위키문헌
kowikisource
https://ko.wikisource.org/wiki/%EC%9C%84%ED%82%A4%EB%AC%B8%ED%97%8C:%EB%8C%80%EB%AC%B8
MediaWiki 1.45.0-wmf.4
first-letter
미디어
특수
토론
사용자
사용자토론
위키문헌
위키문헌토론
파일
파일토론
미디어위키
미디어위키토론
틀
틀토론
도움말
도움말토론
분류
분류토론
저자
저자토론
포털
포털토론
번역
번역토론
초안
초안토론
페이지
페이지토론
색인
색인토론
TimedText
TimedText talk
모듈
모듈토론
위키문헌:연습장
4
3561
390600
368761
2025-06-09T01:59:48Z
곽승훈
18480
연습장 비움
390600
wikitext
text/x-wiki
{{/이 줄은 건드리지 마세요}}
{{옛한글쪽시작}}
가나다라사 ᄅᆞ ᄒᆞ
{{옛한글쪽끝}}
g4jhhc3ru5aum6k6xh2z54tim20rj31
390607
390600
2025-06-09T02:29:57Z
Aspere
5453
연습장 비움
390607
wikitext
text/x-wiki
{{/이 줄은 건드리지 마세요}}
c1rfw53mqz6lgo277phxmk1eppmvntk
사용자:ZornsLemon
2
68363
390621
389346
2025-06-09T03:41:26Z
ZornsLemon
15531
390621
wikitext
text/x-wiki
* [[/번역 색인 문서|번역 색인 문서]]
* [[색인: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색인: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 [[/원문 사이트|원문 사이트]]
* [[위키문헌:공유마당에_등록된_문서_목록|공유마당 문서]] 정리 작업: 개별 저자별로 비교적 중요한 것부터 작업 중. 빠진 것은 다른 데서 찾아서 메꾸느라 시간이 많이 걸림.
** [[저자:방정환|방정환]], [[저자:차상찬|차상찬]], [[저자:이정호|이정호]], [[저자:권구현|권구현]]
** [[저자:강경애|강경애]], [[저자:김기림|김기림]], [[저자:김내성|김내성]], [[저자:김동인|김동인]]
** [[저자:나도향|나도향]], [[저자:홍사용|홍사용]], [[저자:이효석|이효석]], [[저자:박영희|박영희]]
** [[저자:윤백남|윤백남]], [[저자:박용철|박용철]], [[저자:정지용|정지용]], [[저자:이상화|이상화]]
* [https://gongu.copyright.or.kr/gongu/main/main.do 공유마당 검색]
* [https://xn--gt1b.xyz/oko/ 한양 PUA]
* [https://www.chineseconverter.com/kr/convert/simplified-to-traditional 한자 번체 간체 변환]
* [[색인:최영년 실사총담 (1918).pdf|실사총담]]
* [[색인:윤백남 희곡 운명 (1930).pdf|운명, 희무정, 영겁의 처]]
* [[진주탑]]은 조금 뒤로...
* [[/신소설 전집|신소설 전집 목록]]
* [[/연습장|내 연습장]]
* [[/옛한글 프로젝트|옛한글 프로젝트]]
fhbzoglxxawe2hay2edpdvf1vgtaotj
색인:조선어 신 철자법.pdf
252
78158
390542
321319
2025-06-08T11:59:00Z
Namoroka
1939
390542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조선어 신 철자법]]
|언어=ko-KP
|권=
|저자=조선 어문 연구회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
|위치=
|연도=1948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C
|쪽별 색인=<pagelist 1=머리말1 2=머리말2 to=2 />
<pagelist 3=목차 4=목차 from=3 to=4 />
<pagelist from=5 5=1 />
|권별 색인=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ot1epm3yxt5hvwvl89qen0befkiheiv
페이지:팔상록.djvu/5
250
85562
390573
325104
2025-06-08T12:40:06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057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더더더크게|팔상녹}}
{{오른쪽|삼장역회 {{자간|0.5em|백상|규}} 져작}}
{{더크게|대각교의원조를표시}}
{{오른쪽|(불타를번역하면대각)}}
이우에두렷한모양은대각의원조를포시한것이니이ㅣ두렷한모양은본래텬디와허공과만물이하나도업서성현도아니오범부도아니오마음도아니오귀신도아니니라일테명상이다업스되지극히크고도ᄯᅩ한적으며지극히비엿고도ᄯᅩ한신령하며그밝은것은백천일월노ᄽᅥ가히비유할수업도다이것은곳ㅣ대원각본연셩이니이것을일{{upe}}<noinclude>{{왼쪽|{{자간|0.5em|팔상녹}}}}
{{오른쪽|一}}</noinclude>
02f908om906tft2uonp8rkeu74yru95
페이지:팔상록.djvu/6
250
85563
390577
325099
2025-06-08T12:41:06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057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왼쪽|{{자간|0.5em|팔|상|녹}}}}
{{오른쪽|二}}</noinclude>홈하야대각교의원조라하니라허공도이본연성으로ᄶᅩ차잇는것이며텬디인류만물이다이본연성으로ᄶᅩ차잇는것이니본성이곳대각교에원조이니라허공과텬디만물이이러나매그본연성품은텬디인삼재에주재되고만법에왕이되는도다텬디보다먼저잇서그처음이업고텬디뒤에잇서마침이업나니이무형한본연성품은형상이업는각에원조로다
{{더크게|유상각의원조}}
호々탕々한대도가모든형상이업서허령독존하야불생불멸하건만은텬디만물이건립하매인류동물이게속하야나는도다최초에위음왕불이세간에나타나시니이것이형상잇는각이시니라위자는형상잇는색을가르치심이요음자는음성을가르치심이니소리와형색이버러진후에위업는큰도를ᄭᅢ친고로일홈을위음왕각이라하시니라위음왕각황이세상에나시매그지헤가영특한지라세게와우주를관찰하시며일변으로는그사람된자의령각이소々함이무삼물건인고궁구하기를마지아니하사홀연히크게ᄭᅢ치시니이위음왕은형색이처음생기매곳선생업시ᄭᅢ치신각이시니라이각이나신뒤로세게가수업시일우고문어지매그각이세상에출현한수를가히알수업나니라
{{nop}}<noinclude><references/></noinclude>
nbh8bagxfj6469lk81ol9055p8fyi6l
번역:주자어류/권17 대학혹문상 大學四或問上
114
86377
390660
390436
2025-06-09T07:49:16Z
Thomas Dongsob Ahn
16640
/* '치국과 평천하는 (천자와) 제후의 일이다' 단락 */
390660
wikitext
text/x-wiki
{{번역 머리말
| 제목 = 주자어류 017
| 다른 표기 =
| 부제 = 대학4 / 혹문 상(上)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 편집자 =
| 역자 =
| 이전 =
| 다음 =
| 설명 =
}}
朱子語類卷第十七
주자어류 권 17
* 大學四或問上
대학 4 / 혹문 상(上)<ref>앞서 주자어류 권 14부터 16까지 대학에 관하여 논하였다. 권 17은 대학에 관한 네 번째 권이자 대학혹문의 상권에 관한 것이므로 이와 같은 부제가 붙었다. 대학혹문은 주희가 지은 대학의 참고서로 상/하 두 권으로 묶여있다. 가상의 질문자가 질문하면 주희가 대답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제목이 '누군가의 질문(或問)'이다. 논어, 맹자, 중용혹문도 있다.</ref>
* 經一章
== 경 1장 ==
<ref>대학은 경 1장과 전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자어류 권 14부터 16까지는 대학의 이 순서에 맞추어 조목들이 정리되어 있었다. 대학혹문 역시 대학의 순서에 따라 경 1장부터 시작하여 전 10장에서 끝난다. 주자어류 권 17과 18 역시 혹문의 순서에 따라 경 1장부터 시작한다.</ref>
=== '누군가의 질문: 그대는 대인의 학문이라고...' 단락 ===
* 或問吾子以爲大人之學一段
''' '누군가의 질문: 그대는 대인의 학문이라고...'
<ref>대학혹문의 각 장은 여러 단락의 문답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류 17:1부터 18까지는 모두 그중 첫 번째 단락에 관한 내용이다. 어류 권 17과 18은 대학혹문을 먼저 읽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려운 곳이 많다. 하지만 독자의 이해를 돕겠다고 여기다 대학혹문 전체를 인용하여 번역하는 것도 그 분량을 감안하였을 때 적절치 못하다. 박완식이 2010년에 번역한 '대학, 대학혹문, 대학강어'를 옆에 두고 참조하는 것이 좋다. 혹은 고려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생들의 번역을 웹상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으니 이쪽을 참조하는 것도 좋겠다 ([https://dh.aks.ac.kr/Edu/wiki/index.php/%EB%8C%80%ED%95%99#.E3.80.8E.ED.98.B9.EB.AC.B8.E3.80.8F_.EA.B2.BD1.EC.9E.A5 대학혹문 번역문(고려대 의적단)]).</ref>
* 17:1 問友仁: “看大學或問如何?”<ref>조선고사본은 상황 묘사가 보다 자세하다. '선생이 내게 물었다: 자네가 오늘 대학혹문을 읽었는데 어떠한가?(先生問友仁曰: 公今日看大學或問如何?)'</ref>
'''(선생이) 나(友仁)에게 질문함: 대학혹문을 보니 어떠한가?
曰: “粗曉其義.” <ref>조선고사본은 다음과 같이 적었다. '그 뜻은 대강 깨쳤으나 아직 다 깨치지 못한 듯합니다. (云: 粗曉其義, 但恐未然.)'</ref>
'''(나의) 대답: 그 뜻을 대강 깨쳤습니다.
曰<ref>조선고사본은 다음과 같이 적었다. '선생이 한두군데를 찍어서 내게 설명해보라고 하였다. 선생이 말하였다. (先生擧一二處令友仁說. 先生曰:)'</ref>: “如何是‘收其放心, 養其德性’?”
'''(선생이) 말함: 무엇이 '그 놓쳐버린 마음을(放心)<ref>맹자 6A:11. 맹자가 되찾으라고 한 마음은 어진 정서(仁)에 가까우나 주희는 이를 집중하여 각성된 의식인 것처럼 풀이했다. 그래서 주희가 '구방심(求放心)'을 요구할 때 이를 '거경(居敬)' 으로 치환해도 말이 통한다. 실제로 대학혹문에서 이 부분은 어렸을 적 소학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성장한 어른이 이렇게 빼먹은 과정을 보충하는 방안으로 거경공부를 제안하는 대목이다. 본래 맹자에서 '방(放)'과 '존(存)'이라는 동사쌍으로 보이고자 한 이미지는 기르는 개나 닭이 울타리를 넘어 달아난 것을 수색해서 찾아오는 상황이었다. 주인이 고의로 풀어준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짐승이 집을 나가서 행방이 묘연한 상태이므로 '방심'은 '놓친 마음', '잃어버린 마음', '놓아버린 마음', '풀려난 마음', '달아난 마음'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된다. 반대로 '존심(存心)'이나 '구방심'은 그렇게 달아난 것을 되찾아 집안에 가져온 뒤 다시 달아나지 못하게 적절하게 관리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그래서 대개 '찾아오다', '보존하다', '간직하다', '간수하다' 등으로 번역한다.</ref> 거두어들이고 그 덕성(德性)을 기른다[收其放心, 養其德性]'는 것인가?
曰: “放心者, 或心起邪思, 意有妄念, 耳聽邪言, 目觀亂色, 口談不道之言, 至於手足動之不以禮, 皆是放也. 收者, 便於邪思妄念處截斷不續, 至於耳目言動皆然, 此乃謂之收. 旣能收其放心, 德性自然養得. 不是收放心之外, 又養箇德性也.”
'''(나의) 대답: 놓쳐버린 마음(放心)이란, 혹 마음(心)에 삿된 생각(邪思)이 일어나고, 의지(意)에 망령된 상념(妄念)이 생기며, 귀로 삿된 말을 듣고, 눈으로 혼란한 색을 보며, 입으로 도(道)에 어긋나는 말을 하고, 손발의 움직임이 예(禮)에 맞지 않는 데 이르기까지가 모두 놓침[放]입니다.<ref>이 주장의 레퍼런스는 물론 논어 12:1의 '극기복례'이다.</ref> 거두어들임[收]이란, 곧 삿된 생각과 망령된 상념이 있는 지점에서 딱 끊어 이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며, 귀·눈·말·움직임[耳目言動]에 이르기까지 모두 그렇게 하는 것이니, 이것을 바로 거두어들인다[收]고 합니다. 자신의 놓쳐버린 마음(放心)을 거두어들일 수 있는 이상 덕성(德性)은 자연히 길러집니다. 방심(放心)을 거두는 것과 별개로 다시 덕성(德性)을 기르는 것이 아닙니다.
曰: “看得也好.” 友仁(69때).
'''(선생이) 말함: 잘 보았다.
우인(友仁)의 기록. (69세 때)
* 17:2 問: 或問"'以七年之病, 求三年之艾', 非百倍其功, 不足以致之." 人於已失學後, 須如此勉强奮勵方得.
'''질문: 《혹문(或問)》에서 "'일곱 해 된 병에 세 해 묵은 쑥을 구하는[七年之病, 求三年之艾]' 경우<ref>맹자 4A:9. 직전 조목의 주석에서 설명한 것처럼 이 부분은 어렸을 적 소학의 단계를 거친 적 없이 없었던 어른이 이렇게 빼먹은 과정을 보충하는 방안으로 거경공부를 제안하는 대목이다. 주희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배움의 과정은 어렸을 적에 도덕원칙들을 신체화/습관화 시킨 뒤 (곧, 소학의 단계) 커서 그러한 도덕원칙들을 이지적으로 묻고 따져서 이해하는 것이다(곧, 대학의 단계). 하지만 주희가 보기에 오늘날에는 어려서부터 몸으로 익히는 사람들이 없으므로 불가피하게 소학의 과정을 다 큰 다음에 보충해야 한다. 이러한 보충 작업이 '경(敬)'공부이다. 비유하자면 평생에 걸쳐 (소학 때 못 했던 것을) 벌충해야 하는 끝나지 않는 검정고시 같은 것이다. 일곱 해 된 병은 소학의 공부를 건너뛴 기간이고 세 해 묵은 쑥은 그것을 뒤늦게 따라잡기 위한 방책으로서의 거경공부이다.</ref> 백 배로 노력하지 않으면 성취하기에 부족하다'고 하였습니다. 사람이 이미 배움을 잃은[失學]<ref>어렸을 적에 소학의 단계를 거치지 못했다는 말이다.</ref> 뒤에는 모름지기 이와 같이 노력하고 분발해야만 해낼 수 있습니다.
曰: “失時而後學, 必著如此趲補得前許多欠闕處. ‘人一能之, 己百之; 人十能之, 己千之.’ 若不如是, 悠悠度日, 一日不做得一日工夫, 只見沒長進, 如何要塡補前面!” 賀孫(62이후).
'''대답: 시기를 놓친 뒤에 배우려면 반드시 이처럼 이전에 건너뛴 빈칸들을 서둘러[趲] 보충하여야 한다. '남이 한 번만에 능숙히 해내거든 자신은 백 번을 하고, 남이 열 번만에 능숙히 해내거든 자신은 천 번을 한다.’<ref>중용 제 20장.</ref> 만약 이와 같이 하지 않고 유유히 세월만 보내며 그날그날 해야할 공부(工夫)를 하지 않는다면 아무런 발전이 없을 것인데 무슨 수로 이전(에 건너뛴) 부분을 메우려 하는가?
하손(賀孫)의 기록. (62세 이후)
* 17:3 持敬以補小學之闕. 小學且是拘檢住身心, 到後來‘克己復禮’, 又是一段事. 德明(44이후).
'''경(敬)을 견지함으로써[持敬]<ref> 마음을 경건하게 유지한다는 것은 마음을 진실하고 순수하며 평온하게 통일된 상태로(端慤純一靜專) 유지한다는 말이다(14:19). 조금 더 비근하게 설명하자면 흐리멍텅한 정신을 고조시켜 맑고 투명하고 집중된 상태로 유지하는 명상수련과 흡사하다. 어린아이가 평소 자유분방하게 지내다가도 엄숙한 선생님 앞에 서거나, 교실에서 무언가를 발표하거나, 그밖에 진지한 이벤트에 참가하여 자신의 몫을 수행하는 동안은 몸가짐을 조심하고 산만한 의식을 또렷하게 집중시키게 된다. 소학에서 요구하는 공부들, 예컨대 거처를 청소하고 어른들의 부름에 응답하는 공부들의 궁극적 목적은 바로 아이들의 마음을 이처럼 평온하게 통일된 상태로 세팅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희가 소학 트레이닝을 겪지 않은 어른들에게 거경/지경 공부를 권하는 것은 A에 대한 대체물로서 (그와는 전혀 다른 범주의) B를 가져와서 제시하는 것이 아니다. A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고 느긋하게 달성하고자했던 궁극적 목표를 생으로 가져와서 빨리 먹으라고 요구하는 것에 가깝다. 지난 십년의 공부를 몇년 안에 따라잡아서 해치워야하는 검정고시준비과정과 제일 가깝다. 한편 주희는 이처럼 마음을 특정한 상태로 세팅하고 유지하는 공부를 적극적인 이지적 탐구와 더불어 배움의 두 축으로 삼았다. 전자가 거경(居敬)/지경(持敬), 후자가 궁리(窮理)이다. 전자가 소학의 목표라면 후자는 대학의 목표이니, 주희의 '학'은 결국 소학과 대학일 뿐이라고 해도 좋다.</ref> 빼먹은 소학(小學) 단계를 보충한다. 소학(小學)은 일단은 몸과 마음을 꾸준히 붙들어매는[拘檢]<ref>'住'는 동사 뒤에 붙어서 행위의 지속을 나타내는 조사이다.</ref> 것이다. 훗날(에 하게 될) ‘자기를 이기고 예(禮)로 돌아가는[克己復禮]' (공부의) 경우는 또다른 단계의 일이다.<ref>극기복례 역시 자신의 몸과 마음을 붙들어매는 공부의 범주에 속한다. 다만 (주희의 설명에 의하면) 그 정도상 더 높은 수준의 공부일 뿐이다. 17:1을 보라.</ref>
덕명(德明)의 기록. (44세 이후)
* 17:4 問: “大學首云明德, 而不曾說主敬, 莫是已具於小學?”
'''질문: 《대학》 첫머리에서 명덕(明德)을 말하면서 주경(主敬)은 전혀 언급하지 않은 까닭은 (주경이) 이미 소학(小學) 단계에서 갖추어져 있기 때문 아닙니까?<ref>직전 조목의 주석을 참조하라.</ref>
曰: “固然. 自小學不傳, 伊川卻是帶補一‘敬’字.” 可學(62때).
'''대답: 진실로 그렇다. 소학(小學)이 전해지지 않게 되면서부터 이천(伊川)<ref>정이(程頤)</ref>이 '경(敬)' 자 하나를 가지고 보충하였다.
가학(可學)의 기록. (62세 때)
* 17:5 “敬”字是徹頭徹尾工夫. 自格物·致知至治國·平天下, 皆不外此. 人傑(51이후).
''' ‘경(敬)’자는 처음부터 끝까지 관통하는 공부이다. 격물(格物) 치지(致知)로부터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에 이르기까지 전혀 이것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인걸(人傑)의 기록. (51세 이후)
* 17:6 問或問說敬處.
'''《혹문》에서 경(敬)을 설명한 부분에 대해 질문함.
曰: “四句不須分析, 只做一句看.”
'''대답: 저 네 구절<ref>대학혹문에서 주희는 경을 다음의 네 가지 문구를 가지고 설명한다. 정씨형제의 '주일무적(主一無適)', '정제엄숙(整齊嚴肅)', 사량좌의 '상성성법(常惺惺法)', 윤돈의 '기심수렴 불용일물(其心收斂, 不容一物)'이다. 주일무적은 의식의 집중이라는 측면, 정제엄숙은 몸가짐을 엄숙하게 한다는 측면, 상성성법은 집중한 의식의 각성되고 고양된 느낌, 기심수렴 불용일물은 그렇게 집중된 의식의 단단히 안정된 느낌을 형용한다.</ref>은 나누어 분석할 필요 없이 그저 한 구절로 보라.
次日, 又曰: “夜來說敬, 不須只管解說, 但整齊嚴肅便是敬, 散亂不收斂便是不敬. 四句只行著, 皆是敬.” 燾(70때).
'''다음 날 다시 말함: 어젯밤에 경(敬)에 대해 설명했는데, 계속 해설만 해서는 안 된다. 그저 정제엄숙(整齊嚴肅)하면 경(敬)이고, 산란하여 수렴하지 못하면 불경(不敬)이다. 저 네 구절은 단지 그대로 실천하기만 하면 모두 경(敬)이다.
도(燾)의 기록. (70세 때)
* 17:7 或問: “大學論敬所引諸說有內外之分.”
'''누군가의 질문: 《대학》<ref>사실은 대학'혹문'이라고 해야 옳다.</ref>에서 경(敬)을 논하며 인용한 여러 설(說)에는 내외(內外)의 구분이 있습니다.<ref>굳이 구분하자면 '정제엄숙(整齊嚴肅)'은 외면에 초점을 맞춘 설명이고 나머지 셋은 내면이다.</ref>
曰: “不必分內外, 都只一般, 只恁行著都是敬.” 僩(69이후).
'''대답: 꼭 내외(內外)로 나눌 필요는 없다. 모두 매한가지다. 그저 그렇게 실천해가기만 하면 모두 경(敬)이다.<ref>회암집 권 56의 답정자상(答鄭子上) 제 14서에 같은 취지의 문답이 실려 있다.</ref>
한(僩)의 기록. (69세 이후)
* 17:8 問: “敬, 諸先生之說各不同. 然總而行<ref>성화본, 조선고사본, 조선정판본에서는 '言'으로 썼다.</ref>之, 常令此心常存, 是否?”
'''질문: 경(敬)에 대한 여러 선생의 설(說)이 각각 다릅니다. 하지만 총체적으로 실천하여 항상 이 마음을 간직하면[常存]<ref>'존(存)'자의 번역에 대해서는 17:1의 주석을 참조하라.</ref> 되는 것입니까?”
曰: “其實只一般. 若是敬時, 自然‘主一無適’, 自然‘整齊嚴肅’, 自然‘常惺惺’, ‘其心收斂不容一物’. 但程子‘整齊嚴肅’與謝氏尹氏之說又更分曉.” 履孫(65때).
'''대답: 기실 매한가지이다. (마음이) 경건(敬)할 때 같으면 자연히 (마음이) '하나로 집중하여 다른 데로 가지 않고[主一無適]', 자연히 (몸가짐이) '단정하고 엄숙하며[整齊嚴肅]’, 자연히 '항상 반짝반짝 깨어있고[常惺惺]', '자기 마음을 거두어들여 한 물건도 (내 마음에 끼어드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其心收斂不容一物]'. 다만 정자(程子)의 '정제엄숙(整齊嚴肅)'이 사씨(謝氏)나 윤씨(尹氏)의 설(說)<ref>'상성성'이 사씨, '기심수렴 불용일물'이 윤씨의 설이다.</ref>보다 더 분명하다.
리손(履孫)의 기록. (65세 때)
* 17:9 或問: “先生說敬處, 擧伊川主一與整齊嚴肅之說與謝氏常惺惺之說. 就其中看, 謝氏尤切當.”
'''누군가의 질문: 선생님께서 경(敬)을 설명하신 부분에서 이천(伊川)의 주일(主一)과 정제엄숙(整齊嚴肅) 설(說), 그리고 사씨(謝氏)의 상성성(常惺惺) 설(說)을 거론하셨습니다.<ref>이 설들에 대해서는 17:6을 참조하라.</ref> 그중에서 보면 사씨(謝氏)의 설명이 더욱 절실하고 적절[切當]<ref>'절(切)'은 어떤 설명이 피부에 와닿는 것처럼 친숙하고 현실적이며 구체적이라는 말이다.</ref>합니다.
曰: “如某所見, 伊川說得切當. 且如整齊嚴肅, 此心便存, 便能惺惺. 若無整齊嚴肅, 卻要惺惺, 恐無捉摸, 不能常惺惺矣.” 人傑(51이후).
'''대답: 내가 보기엔 (사씨보다) 이천(伊川)이 적절하게 설명했다. 예를 들어 몸가짐을 정제엄숙(整齊嚴肅)하게 하면 이 마음이 보존[存]<ref>'존(存)'에 관해서는 17:1을 참조하라.</ref>되어 반짝반짝 깨어있을[惺惺] 수 있게 된다. 만약 정제엄숙(整齊嚴肅)한 자세 없이 반짝반짝 깨어있으려[惺惺] 한다면 아마 구체적으로 붙잡을 데가 없어[無捉摸]<ref>'정제엄숙'은 몸을 이렇게 하고 옷매무새를 저렇게 하라는 행동지침이므로 당장 구체적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으므로 '붙잡을 데'가 있다. '상성성'은 의식의 각성된 상태를 형용한 말이므로 이 설명 속에는 어떤 행동지침이 없다.</ref> 늘 반짝반짝 깨어있을[常惺惺] 수 없게 될 것이다.
인걸(人傑)의 기록. (51세 이후)
* 17:10 問: “或問<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자리에 '然則所謂敬者又若何而用力邪下' 14자가 더 들어있다.</ref>擧伊川及謝氏尹氏之說, 只是一意說敬.”
'''질문: 《혹문》에서 이천(伊川) 및 사씨(謝氏), 윤씨(尹氏)의 설(說)을 거론한 것은 그저 한 뜻으로 경(敬)을 설명한 것입니까?
曰: ‘主一無適’, 又說箇‘整齊嚴肅’; ‘整齊嚴肅’, 亦只是‘主一無適’意. 且自看整齊嚴肅時如何這裏便敬. 常惺惺也便是敬. 收斂此心, 不容一物, 也便是敬. 此事最易見. 試自體察看, 便見. 只是要敎心下常如此.”
'''대답: ‘주일무적(主一無適)’이라 하고 다시 ‘정제엄숙(整齊嚴肅)’이라 했는데 ‘정제엄숙(整齊嚴肅)’ 역시 그저 ‘주일무적(主一無適)’의 뜻이다. 어디 한번 정제엄숙(整齊嚴肅)할 때 어떻게 내면이 바로 경건(敬)해지는지 스스로 살펴 보라. '상성성(常惺惺)'해도 곧 경건(敬)하다. '수렴차심 불용일물[收斂此心, 不容一物]'<ref>본래는 '기심수렴 불용일물(其心收斂不容一物)'이다. 경에 대한 이 네 가지 설명법은 17:6에 자세하니 참조하라.</ref>해도 곧 경건(敬)하다. 이 일은 매우 알기 쉽다. 시험 삼아 스스로 체험[體察]해 보면<ref>'체찰(體察)'은 몸소 체험/관찰하는 것이다.</ref> 바로 알 수 있다. 단지 마음을 항상 이와 같이 하라는 요구일 뿐이다.
因說到放心: “如惻隱·羞惡·是非·辭遜是正心, 才差去, 便是放. 若整齊嚴肅, 便有惻隱·羞惡·是非·辭遜. 某看來, 四海九州, 無遠無近, 人人心都是放心, 也無一箇不放. 如小兒子才有智識, 此心便放了, 這裏便要講學存養.” 賀孫(62이후).
'''이어서 말이 방심(放心)에 미쳤다: 측은(惻隱)·수오(羞惡)·시비(是非)·사손(辭遜)<ref>맹자가 말한 사단(四端)이다.</ref> 같으면 바른 마음[正心]이요, 조금이라도 어긋나면 곧 놓친(放) 것이다. 정제엄숙(整齊嚴肅)한다면 곧 (놓친 마음을 다시 붙들어 와서) 측은·수오·시비·사손의 마음이 있게 된다. 내 생각에 사해(四海)와 구주(九州)<ref>온세상을 말한다.</ref> 어디든 멀거나 가깝거나 사람들 각각의 마음은 모두 놓쳐버린 마음(放心)이니, 놓치지 않은 것이 하나도 없다. 어린아이 같은 경우도 지식[智識]이 생기자마자 이 마음을 바로 놓쳐버리게 되니, 이 지점에서 곧 강학(講學)과 존양(存養)<ref>강학과 존양은 각각 궁리와 거경 공부를 말한다. 17:1과 17:3의 주석을 참조하라.</ref>을 필요로 한다.
o 하손(賀孫)의 기록. (62세 이후)
* 17:11 光祖問: “‘主一無適’與‘整齊嚴肅’不同否?”
'''광조(光祖)<ref>주희의 제자 가운데 광조가 셋이나 있다. 일역판은 여기서는 그 중 증흥종(曽興宗, 1146-1212)을 말한다고 주장한다.</ref>의 질문: ‘주일무적(主一無適)’과 ‘정제엄숙(整齊嚴肅)’은 다르지 않습니까?<ref>둘 다 경건(敬)한 마음가짐에 대한 설명이다. 주일무적은 의식의 집중이라는 측면, 정제엄숙은 몸가짐을 엄숙하게 가다듬고 유지한다는 측면을 말한다. 앞의 몇 조목에서 자세하니 참조하라.</ref>
曰: “如何有兩樣! 只是箇敬. 極而至於堯舜, 也只常常是箇敬. 若語言不同, 自是那時就那事說, 自應如此. 且如大學論語孟子中庸都說敬; 詩也, 書也, 禮也, 亦都說敬. 各就那事上說得改頭換面. 要之, 只是箇敬.”
'''대답: 어찌 두 종류가 있겠나? 경(敬)은 하나 뿐이다. (거경 공부를) 지극히 하여 요순(堯舜)의 경지에 이른다 해도 역시 언제나 이 하나의 경(敬)일 뿐이다. 표현방식이 다르다는 것에 관해서라면, 이러저러한 때에는 이러저러한 일을 가지고 말했기 때문에 자연히 응당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것이다. 또 예컨대 《대학》, 《논어》, 《맹자》, 《중용》이 모두 경(敬)을 말하고, 《시경》, 《서경》, 《예기》 또한 모두 경(敬)을 말하고 있다. 각각 이러저러한 일을 가지고 얼굴을 바꿔가며(改頭換面)<ref>껍데기, 표현방식만 바꾸었지 본질은 같다는 말이다.</ref> 설명하고 있다. 요컨대 경(敬)은 하나일 뿐이다.
又曰: “或人問: ‘出門·使民時是敬, 未出門·使民時是如何?’ 伊川答: ‘此“儼若思”時也.’ 要知這兩句只是箇‘毋不敬’. 又須要問未出門·使民時是如何. 這又何用問, 這自可見. 如未出門·使民時是這箇敬; 當出門·使民時也只是這箇敬. 到得出門·使民了, 也只是如此. 論語如此樣儘有, 最不可如此看.” 賀孫(62이후).
'''다시 말함: 어떤 사람이 묻기를 ‘문을 나설 때와 백성을 부릴 때 경건(敬)하다면, 문을 나서기 전과 백성을 부리기 전에는 어떻게 합니까?’<ref>논어 12:2. </ref>라고 하니, 이천(伊川)이 답하기를 ‘이는 ‘깊은 생각에 잠긴 듯 엄숙할[儼若思]’<ref>예기 곡례 상. '경건하지 않음이 없게 하고, 깊은 생각에 잠긴 듯 엄숙하라(毋不敬,儼若思)'</ref> 때이다’라고 했다.<ref>이정유서 18:10. '질문: 문을 나서면 큰 손님을 뵙듯 하고 백성을 부릴 때는 큰 제사를 받들듯 하라고 하는데, 아직 문을 나서지 않았고 백성을 부리기 전에는 어떻게 합니까? 대답: 이는 깊은 생각에 잠긴 듯 엄숙해야 할 때이다. 문을 나섰을 때의 경건함이 이와 같다면 문을 나서기 전에는 어떨지 알 만하다. 또, 밖으로 드러나는 것은 안에서 나오는 것이다. (問: 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方其未出門未使民時, 如何? 曰: 此儼若思之時也. 當出門時其敬如此, 未出門時可知也. 且見乎外者出乎中者也.)</ref> 이 두 구절<ref>주일무적과 정제엄숙을 말한다.</ref> 모두 ‘경건하지 않음이 없게 하라[毋不敬]’일 뿐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 모름지기 문을 나서기 전과 백성을 부리기 전에는 어떻게 하는지 물어야 하는데, 이걸 또 물을 필요가 있나? 이건 스스로 알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문을 나서기 전과 백성을 부리기 전에도 이 경(敬) 하나일 뿐이고, 문을 나서고 백성을 부릴 때에도 역시 이 경(敬) 하나일 뿐이다. 문을 나서고 백성을 부린 뒤에도 역시 이와 같을 뿐이다. 《논어》에 이러한 경우가 많이 있으니, 결코 (이천에게 질문한 어떤 사람 처럼) 저렇게 보아서는 안 된다.
하손(賀孫)의 기록. (62세 이후)
* 17:12 或問“整齊嚴肅”與“嚴威儼恪”之別.
'''누군가가 '정제엄숙(整齊嚴肅)’과 ‘엄위엄각(嚴威儼恪)’<ref>엄숙하고 위엄있는 안색과 거동을 말한다. 예기 제의(祭義)편에 등장하는 문구이다.</ref>의 차이에 대해 질문함.
曰: “只一般. 整齊嚴肅雖非敬, 然所以爲敬也. 嚴威儼恪, 亦是如此.” 燾(70때).
'''대답: 똑같다. 정제엄숙(整齊嚴肅)이 경(敬)은 아니지만 경(敬)을 행하는 수단이다. 엄위엄각(嚴威儼恪) 역시 그렇다.<ref>이정유서 15:182와 같은 취지이다. '엄위엄각은 경의 도리가 아니다. 다만 경에 이르러면 여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嚴威儼恪, 非敬之道. 但致敬, 須自此入.)'</ref>
도(燾)의 기록. (70세 때)
* 17:13 問: “上蔡說: ‘敬者, 常惺惺法也.’ 此說極精切.”
'''질문: 상채(上蔡)<ref>사량좌</ref>가 말하기를 ‘경(敬)이란 늘 반짝반짝 깨어있기[常惺惺] 위한 방법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이 설명이 지극히 정밀하고 절실합니다[極精切].<ref>17:9를 참조하라.</ref>
曰: “不如程子整齊嚴肅之說爲好. 蓋人能如此, 其心卽在此, 便惺惺. 未有外面整齊嚴肅, 而內不惺惺者. 如人一時間外面整齊嚴肅, 便一時惺惺; 一時放寬了, 便昏怠也.”
'''대답: 정자(程子)의 '정제엄숙(整齊嚴肅)' 설(說)만큼 좋지는 않다. 대개 사람이 이처럼<ref>정제엄숙을 말한다.</ref> 할 수 있으면 그 마음이 곧 여기에 있어서[在此]<ref>의식(consciousness)의 집중되고 각성된 상태를 말한다.</ref> 반짝반짝 깨어있게[惺惺] 되기 때문이다. 외면이 정갈하고 단정하며 엄숙(整齊嚴肅)하면서 내면이 반짝반짝 깨어있지 않은 사람은 없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잠시라도[一時間] 외면이 정제엄숙(整齊嚴肅)하면 곧 그 시간만큼 깨어있게 되고, 잠시라도 (몸가짐이) 풀어지면[放寬] 곧 흐릿하고 나태해지게[昏怠] 된다.
祖道曰: “此箇是氣. 須是氣淸明時, 便整齊嚴肅. 昏時便放過了, 如何捉得定?”
'''내(祖道)가 말함: 이것은 기(氣)의 문제입니다. 모름지기 기(氣)가 맑고 밝을 때[淸明]는 정제엄숙(整齊嚴肅)하고 흐릿할 때는 곧 방만하게[放過] 되니, 어떻게 해야 제대로 붙잡을 수 있습니까?<ref>'정(定)'은 현대 중국어 '주(住)'와 같다. 동사의 뒤에 붙어 'x得住'라고 하면 그 동작을 확실히 해낼 수 있다는 느낌을 주고 'x不住'는 그 동작을 제대로 해낼 역량이 없다는 느낌을 준다.</ref>
曰<ref>조선고사본에서는 '先生曰'이다.</ref>: “‘志者, 氣之帥也.’ 此只當責志. 孟子曰: ‘持其志, 毋暴其氣.’ 若能持其志, 氣自淸明.”
'''대답: ‘심지(志)는 기(氣)를 통솔하는 장수이다[志者, 氣之帥也].’<ref>맹자 2A:2. 이른바 부동심장에 나오는 표현이다. 지(志)는 오늘날 말로 의지나 심지, 기(氣)는 의욕이나 기운, 에너지 정도에 해당한다. 심지가 장수라면 기는 병사들이다. 군부대가 작전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실제 에너지는 병사들에게서 나오지만(의욕과 기운), 병사들 각각이 어디로 움직여서 무엇을 행해야 하는지 정해주는 방향성은 장수에게서 나온다(의지와 심지). 예컨대 시험기간에 공부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우리 심지의 명령이지만 실제로 공부하지 않고 침대에 붙어 시간만 보내고 있는 것은 우리의 의욕과 기운의 항명과 태업 때문이다.</ref> 이는 응당 심지(志)에게 책임을 지워야 한다. 맹자(孟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자기 심지(志)를 붙잡되 자기 기(氣)를 함부로 대하지 말라[持其志, 毋暴其氣]’고 하셨다.<ref>맹자 같은 곳. 어떤 일을 실제로 해내기 위해서는 결국 병사들이 움직여야 한다. 장수의 뜻이 굳건하고 일관되면 병사들이 그 명령에 복종할 가능성이 높으니 심지를 굳건히 붙잡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병사들의 항명과 태업에도 이유가 있으니 어떻게 해도 도저히 일하고 공부할 마음이 들지 않을 경우 그런 자신을 학대해서는 안 된다. 이에 대해서는 Kwong-loi Shun, Mencius and Early Chinese Thought(1997). P.68, 112-119를 참조하라.</ref> 만약 자기 심지(志)를 붙잡을 수 있다면 기(氣)는 저절로 맑고 밝아진다[淸明].
或曰: “程子曰: ‘學者爲習所奪, 氣所勝, 只可責志.’ 又曰: ‘只這箇也是私, 學者不恁地不得.’ 此說如何?”
'''누군가 말함: 정자(程子)께서 말씀하시기를 ‘배우는 자는 습관에게 빼앗기고 기(氣)에게 패배하니,<ref>도저히 의욕이 생기지 않아 공부하지 못하는 경우를 떠올려보라.</ref> 단지 심지(志)에게 책임을 지울 수 있을 뿐이다.’<ref>이정유서 15:96. '배우는 자는 기에게 패배하고 습관에게 빼앗기니, 단지 심지에게 책임을 지울 수 있을 뿐이다.(學者, 爲氣所勝, 習所奪, 只可責志.)' 문구의 배치가 다르나 대의는 같다.</ref>고 하고, 또 (심지를 붙잡으려는 것에 관해서)‘이 또한 사사로운 마음(私)일 뿐이지만, 배우는 자는 이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ref>이정외서 8:6. '심지를 붙잡는 것을 논하다 선생이 말함: (심지를 붙잡으려는 마음) 또한 사사로운 마음일 뿐이다. 그래도 배우는 자는 이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因論持其志先生曰: 只這箇也是私. 然學者不恁地不得.)' 역시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대의는 같다.</ref>고 하셨습니다. 이 설명은 어떻습니까?
曰<ref>조선고사본에서는 '先生曰'이다.</ref>: “涉於人爲, 便是私. 但學者不如此, 如何著力! 此程子所以下面便放一句云‘不如此不得’也.” 祖道(68때).
'''대답: 인위(人爲)에 관련되면 곧 사사롭다(私).<ref>기운과 의욕의 자연스러운 추세에 맡겨두지 않고 심지를 다져서 특정한 방향으로 우리의 의욕을 몰고 가려는 것은 어느정도 작위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ref> 다만 배우는 자가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어떻게 힘을 쓰겠는가[著力]?<ref>'착력(著力)' 두 글자에 이미 작위성이 담겨있다.</ref> 이것이 정자(程子)께서 (사사롭다고 한 다음 그) 아래에다 바로 ‘(그래도) 이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구문을 덧붙이신 까닭이다.
조도(祖道)의 기록. (68세 때)
* 17:14 因看涪陵記善錄, 問: “和靖說敬, 就整齊嚴肅上做; 上蔡卻云‘是惺惺法’, 二者如何?”
'''부릉기선록(涪陵記善錄)<ref>정이의 제자 윤돈(尹焞)의 어록이다. 기록자는 윤돈의 제자인 풍충서(馮忠恕). 윤돈과 풍충서가 교유한 곳이 사천 부릉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제목이 붙었다. 아마도 청 중엽까지는 존재했던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일실되었다. 이정외서 권 12에서 이 책으로부터 여덟 조목을 인용하고 있다.</ref>을 보다가 (선생이) 질문함: “화정(和靖)<ref>윤돈이다.</ref>은 경(敬)을 정제엄숙(整齊嚴肅)의 측면에서 설명하고,<ref>본래 윤돈의 설명은 '자기 마음을 거두어들여 한 물건도 (내 마음에 끼어드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其心收斂, 不容一物]'이다. 윤돈의 지침은 그 초점이 엄숙함에 있으므로 정이의 '정제엄숙'과 조응한다.</ref> 상채(上蔡)<ref>사량좌이다.</ref>는 오히려 ‘반짝반짝 깨어있게 해주는 방법[惺惺法]이다’라고 하니, 이 두 설명이 어떠한가?<ref>비슷한 취지의 문답이 회암집 권 56의 답정자상(答鄭子上) 제 14서에 실려있다. 정자상은 이 조목의 기록자인 정가학이다. '(질문) 和靖論敬以整齊嚴肅, 然專主於內; 上蔡專於事上作工夫, 故云敬是常惺惺法之類. (답변) 謝尹二說難分內外, 皆是自己心地功夫. 事上豈可不整齊嚴肅, 靜處豈可不常惺惺乎?'</ref>
厚之云: “先由和靖之說, 方到上蔡地位.”
'''후지(厚之)가 대답함: 먼저 화정(和靖)의 설(說)을 따른 뒤에야 상채(上蔡)의 경지에 도달하게 됩니다.
曰: “各有法門: 和靖是持守, 上蔡卻不要如此, 常要喚得醒. 要之, 和靖底是, 上蔡底橫.
'''(선생이) 말함: 각각 (나름의) 법문(法門)<ref>불교 용어. 진리에 이르는 방법, 경로 등을 이른다.</ref>이 있다. 화정(和靖)은 붙잡아 지키는 것[持守]이다. 상채(上蔡)는 이와 같이 하려 하지 않고 늘 깨어있고자[喚得醒] 한다. 화정(和靖)의 설은 옳고, 상채(上蔡)의 설은 비뚤다. <ref>횡설(橫說)은 횡설수설의 횡설이다. 조리가 없거나, 너무 고원하거나, 견강부회한 억지 주장을 이른다. 주희가 사량좌의 주장을 횡설이라고까지 했을까 의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잠재적 의문에 답하는 차원에서 고문해의는 114:40에서 주희가 여조겸의 주장 하나를 '횡설'이라고 규정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런데 상채의 설을 '횡'이라고 했으면 화정의 설은 '종(縱)'이나 '직(直)'이라고 해야 어울린다. '시(是)'와 '직(直)'은 자형이 가까우므로 전사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렇게 교감할 경우 화정의 설과 상채의 설 사이에 우열과 정부정은 없고 범주의 차이만 남게 된다. 확신하기 어려운 문제이므로 일단 이렇게 남겨둔다.</ref>
渠<ref>조선고사본과 성화본은 '渠'를 '某'라고 적었다. 주자어류고문해의에서는 이것을 '횡거'라고 볼 경우 이어지는 '역왈경이직내'가 불완전인용이 된다고 지적하고, '某'로 바꿀 것을 제안했다. 일역판의 역자들 역시 이하의 '역왈경이직내'가 장재의 저작에서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근거로 '渠'를 '某'로 바꿀 것을 제안했다. 다만, 고문해의는 이 앞 부분을 '화정의 설은 옳고 상채의 설은 비뚤다(和靖底是, 上蔡底橫.).'라고 구두를 끊어서 읽어야 한다고 보았고 일역판은 '횡모(橫某)가 말했다'처럼 읽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런데, 어류의 다른 부분을 살펴보면 기록자가 정가학(鄭可學)인 조목은 자주 비경(蜚卿)과 후지(厚之) 등 여러 사람이 등장해 다자간 문답을 주고받으므로 각 발언이 누구의 질문이고 누구의 답변인지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 정가학 조목들은 자주 자신의 발언을 '某曰'이나 '某云' 등으로 처리한다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 이러한 사례는 매우 많은데, 예컨대 4:38이나 7:24, 8:27, 19:93, 28:34, 106:32 등을 살펴보라.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면 일역판 보다는 고문해의의 제안이 더 합리적이다. 여기서는 고문해의를 따른다.</ref>曰<ref>조선고사본에서는 '云'이라고 적었다.</ref>: ‘易曰: “敬以直內.” ’伊川云: ‘主一.’ 卻與和靖同. 大抵敬有二: 有未發, 有已發. 所謂‘毋不敬’, ‘事思敬’, 是也.”
'''내(某)가 말함: 《주역》에서 '경(敬)으로써 내면을 곧게 한다[敬以直內]'고 하였고, 이천(伊川)이 말하기를 ‘마음을 하나로 한다[主一]’고 하였으니, 오히려 화정(和靖)의 주장과 같습니다. 대체로 경(敬)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생각과 감정이) 아직 발하지 않았을 시점[未發]의 경과 이미 발한 뒤[已發]의 경입니다. 이른바 ‘경건하지 않음이 없게하라[毋不敬]’<ref>예기 곡례 상.</ref>와 ‘일을 할 적에는 경건할 것을 생각하라[事思敬]’<ref>논어 16:10.</ref>가 그것입니다.<ref>미발의 경과 이발의 경의 구분에 관해서는 17:11을 참조하라.</ref>
曰: “雖是有二, 然但一本, 只是見於動靜有異, 學者須要常流通無間."
'''(선생이) 말함<ref>고문해의와 일역본 모두 주희의 말로 보았다.</ref>: 비록 두 가지가 있다 해도 뿌리는 하나이니, 그저 동(動)과 정(靜)의 차이를 보일 뿐이다. 배우는 자는 항상 (동/정 사이의) 흐름이 중단없이 자연스럽게 통하게 해야 한다. <ref>17:11의 논의를 참조하라. 정시의 경은 문을 나서기 전의 경건함이고 동시의 경은 문을 나서서 사태와 사물에 대처할 때의 경건함이다. 앞선 질문에서의 인용구로 말하자면 주역의 '경이직내'와 이천의 '주일무적', 윤돈(화정)의 '기심수렴 불용일물'은 정시의 경건함이다. 논어의 '사사경'은 동시의 경건함이다.</ref>
又: "如和靖之說固好, 但不知集義, 又卻欠工夫."
'''또 (내가 말함)<ref>이 대목을 이렇게 독립시켜 질문자의 질문으로 처리하지 않으면 직전의 '曰: 雖是有二...'와 직후의 '曰: 亦是...'의 관계가 불분명해진다. 고문해의의 경우 일단은 앞쪽 曰을 주희의 대답으로, 뒤쪽 '曰'을 질문자의 추가 질문이라고 보았으나, 실은 상세히 읽어 보면 질문하는 말투가 아니어서 의심을 거두기 어렵다고 하였다. 일역판에서는 앞의 왈과 뒤의 왈을 모두 주희의 말로 해석하기 위하여 이 부분을 이렇게 질문자의 말로 떼어냈다. 여기서는 일역판을 따랐다.</ref>: 화정(和靖)의 설(說) 같은 경우 물론 좋긴 하지만 (그는) '의(義)에 부합하는 행위를 오래 축적해야 함[集義]'<ref>맹자 2A:2.</ref>을 알지 못했고, 또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힘씀[工夫]이 부족했습니다.<ref>질문자는 화정의 경을 미발의 경건함, 정시의 경건함 쪽에 배속하고 있다. 이 경우 수행자 자신이야 홀로 방에 앉아 마음을 경건하게 길러낼 수 있을지라도 현실 사회 속에서 실질적인 문제들과 부딪치면서 매 순간 올바르고 경건한 선택을 내림으로써 스스로를 키워내는 과정은 겪어보지 못하는 것이다. 송대 문헌에서 거경(居敬)과 집의(集義) 공부를 이처럼 동/정, 내/외, 체/용의 두 방면으로 구분한 경우가 많다. 이정유서 18:101 '질문: "반드시 일삼는 것이 있어야 한다" 부분은 응당 경을 써야 하는 것 아닙니까? 답: 경은 (내면을) 함양하는 것 뿐이다. '반드시 일삼는 것이 있어야 한다' 부분은 모름지기 '집의'를 써야 한다.(問: 必有事焉, 當用敬否? 曰: 敬只是涵養一事, 必有事焉, 須當集義.) '질문: 경과 의는 어떻게 다릅니까? 대답: 경은 자신을 붙잡는 도리이고 의는 시비를 알고 이치에 따라 실천하는 것이 바로 의가 된다.(問: 敬義何別? 曰: 敬只是持己之道, 義便知有是有非, 順理而行, 是爲義也.)' 또 남헌집(南軒集) 권 32 답유성지(答㳺誠之)에서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거경과 집의 공부는 병행하며 서로 의존하고 서로 이루어주는 것이다. 만약 경건하게 할 줄만 알고 의로운 행위를 축적할 줄은 모른다면 이른바 경이라는 것 또한 멀뚱히 아무런 일도 해내지 못하고 말 것이니 어떻게 마음의 본체가 사방으로 두루 흘러 영향을 미칠 수 있겠나? 집(集)은 축적한다(積)라는 뜻이다. 세상 모든 사건과 사물에 의로움(義)없는 것이 없으되 (그 의로움은) 사람의 마음에서 드러나니, 구체적인 사태 하나하나에서 (의로운 판단과 행위를) 모아서 축적해야 한다.(居敬集義, 工夫並進, 相須而相成也. 若只要能敬, 不知集義, 則所謂敬者, 亦塊然無所爲而已, 烏得心體周流哉? 集訓積, 事事物物, 莫不有義, 而著乎人心, 正要一事一件上集.)'</ref>
曰: “亦是渠才氣去不得, 只得如此. 大抵有體無用, 便不渾全.”
'''(선생의) 대답<ref>고문해의에서는 일단 주희의 말로 보았으나 확신하지 못했다. 일역판도 주희의 말로 보았다.</ref>: 그는<ref>윤돈을 말한다.</ref> 역시 그 재기(才氣)<ref>재치있고 민활함을 말한다.</ref>가 부족했기에[去不得]<ref>'去得'은 현대 중국어 '可以'와 같다. '去不得'은 이에 대한 부정표현이다. 주희가 보기에 윤돈은 순발력이나 사회성은 부족하지만 묵묵히 정진하는 캐릭터였다. 예컨대 101:102-122를 보라.</ref> 단지 그와 같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대개 본체(體)만 있고 작용(用)이 없으면 온전할[渾全] 수 없다.<ref>본체(體)와 작용(用)은 주희 고유의 것이라고는 결코 말할 수 없지만 그가 매우 자주 사용하는 개념어이다. 이 개념쌍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는 고등학교 때 배웠던 '체언'과 '용언'이라는 문법용어를 되짚어보시기를 권한다. 나, 너, 소, 말 등 정지된 형태로 구체적인 이미지를 그려볼 수 있는 물체들을 지시하는 말이 체언이다. 그렇게 그려낸 물체의 작동을 서술하는 '서술부'에 넣을 만한 말들이 '용언'이다. 예를 들어 '자전거가 움직인다'라는 문장이 있으면 '자전거'가 체, '움직인다'가 용이다. 어류 1:12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가령 귀가 본체라면 들음(hearing)은 작용이다. 눈이 본체라면 봄(seeing)은 작용이다(假如耳便是體, 聽便是用; 目是體, 見是用)" 5:65도 참조하면 좋다.</ref>
又問: “南軒說敬, 常云: ‘義已森然於其中.’”
'''다시 질문함<ref>기록자인 가학의 질문인 듯하다.</ref>: 남헌(南軒)<ref>장식(張栻)이다.</ref>은 경(敬)을 설명할 적에는 늘 ‘(경건하기만 하면) 의(義)는 이미 그 안에 빽빽하게 들어차 있다[義已森然於其中]’고 말합니다.<ref>남헌집에는 이러한 언급이 없다. 오히려 위 주석에서 인용했듯 장식은 개인적 차원에서 경건한 자세를 견지하는 것과 사회적 차원에서 시비판단을 내리고 의로운 행적을 누적하는 것이 서로 구별되는 것처럼 말한 바 있다.</ref>
曰: “渠好如此說, 如仁智動靜之類皆然.” 可學(62때).
'''대답: 그는 이처럼 말하기를 좋아하니, 인(仁)·지(智)·동(動)·정(靜) 등에 (대해서 말할 적에) 모두 그러하다.<ref>장식의 계사논어해(癸巳論語解) 권3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동과 정이라는 것은 인(仁)과 지(知)의 본질[體]이니, 물을 좋아하고(樂水) 산을 좋아(樂山)한다는 것은 그 본질이 그렇다는 말이다. 동(動)하면 즐겁고 정(靜)하면 장수한다. 일삼는 바 없이 실천하니 어찌 즐겁지 않겠는가? 항상 영원히 올바르며 굳건하니 어찌 장수하지 않겠는가? 하지만, 지(知)의 본질은 동적이지만 이치는 각기 멈추는 곳이 있으니 정(靜)이 결국 그 속에 있다. 인(仁)의 본질은 정적이지만 두루 흘러 쉬지 않으니 동(動)이 결국 그 속에 있다. 동과 정이 교차하여 드러나며 본체와 작용은 하나의 근원에서 나온다. 인과 지의 (진정한) 뜻을 깊이 체득한 자가 아니라면 (동정과 체용의 관계를) 알아보지 못한다.(動靜者, 仁知之體, 樂水樂山, 言其體則然也. 動則樂, 靜則夀. 行所無事, 不其樂乎? 常永貞固, 不其夀乎? 雖然, 知之體動, 而理各有止, 靜固在其中矣. 仁之體靜, 而周流不息, 動亦在其中矣. 動靜交見, 體用一源, 仁知之義, 非深體者, 不能識也.)'</ref>
가학(可學)의 기록. (62세 때)
* 17:15 問謝氏惺惺之說.
'''사씨(謝氏)의 '성성(惺惺)' 설(說)에 대하여 질문함.
曰: “惺惺, 乃心不昏昧之謂, 只此便是敬. 今人說敬, 卻只以‘整齊嚴肅’言之, 此固是敬. 然心若昏昧, 燭理不明, 雖强把捉, 豈得爲敬!”
'''대답: '성성(惺惺)'이란 마음이 흐릿하지 않다는[不昏昧] 말이니, 그저 이것이 바로 경(敬)이다. 요즘 사람들은 경(敬)에 대해 말할 적에 그저 ‘정제엄숙(整齊嚴肅)’만 가지고 설명한다. 이것도 물론 경(敬)이긴 하다만, 마음이 만약 흐릿하여 이치를 밝게 비춰주지 못한다면, 비록 억세게 붙잡는다[强把捉]<ref>주희는 의식(consciousness)을 바짝 긴장시켜 집중되고 각성된 상태로 유지하는 행위를 대개 물건을 손으로 세게 쥐고 있는 느낌으로 비유한다. 그래서 파착(把捉), 지(持), 지수(持守) 등은 글자는 달라도 동일한 현상을 지시하는 말로 보아야 한다.</ref> 한들 어찌 경(敬)이 될 수 있겠는가?
又問孟子告子不動心.
'''또, 맹자(孟子)와 고자(告子)의 부동심(不動心)에 대하여 질문함.
曰: “孟子是明理合義, 告子只是硬把捉.” 砥(61때).
'''대답: 맹자(孟子) (의 부동심은) 이치를 밝히고 의로움(義)에 부합하여 (획득하는 것)이고, 고자(告子)는 단지 (마음을) 억지로 단단히 붙잡아[硬把捉] (흔들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ref>부동심을 논한 맹자 2A:2는 난해한 조목이다. 주자어류 권 52의 200여 조목이 모두 이에 관한 내용이다. 요약하자면, 주희가 생각하기에 고자는 세상의 여러 일과 서책 등으로부터 이치를 파악하려고 하지 않는 도가적인 인물이다. 세상 일을 관찰하고 서책을 읽는 것이 자신의 마음을 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주희가 생각하는 맹자의 부동심은 적극적으로 이치를 따져서 파악하고(즉, 지언知言) 의로운 행위를 실천함으로써(즉, 집의集義) 마음을 다잡는 것이다. 이때문에 맹자의 부동심을 명리합의(明理合義)라고 평가하고 고자의 부동심을 경파착(硬把捉)이라고 힐난한 것이다. 이때 명리는 이지적 노력, 집의는 실천적 노력이다. 자세한 분석은 장원태, "맹자 3.2에 대한 고찰", 2013과 김명석, "不動心 획득을 위한 孟子의 심리적 메커니즘에 관한 고찰", 2021을 참조하라.</ref>
지(砥)의 기록. (61세 때)
* 17:16 或問: “謝氏常惺惺之說, 佛氏亦有此語.”
'''누군가의 질문: 사씨(謝氏)<ref>사량좌이다.</ref>의 상성성(常惺惺) 설(說)<ref>앞서 십여 조목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니 참조하라.</ref>의 경우, 불씨(佛氏) 역시 이러한 말이 있습니다.
曰: “其喚醒此心則同, 而其爲道則異. 吾儒喚醒此心, 欲他照管許多道理; 佛氏則空喚醒在此, 無所作爲, 其異處在此.” 僩(69이후).
'''대답: 이 마음을 일깨우는[喚醒此心] 점에서는 같지만 그 도(道)의 성격은 다르다. 우리 유학(儒學)에서는 이 마음을 일깨워 그것이 많은 도리를 관조하게[照管] 하려는 것인데, 불씨(佛氏)는 헛되이 일깨워[在此]<ref>'재차'는 의식의 집중되고 각성된 상태를 말한다.</ref> (실제로) 하는 바가(作爲) 아무것도 없으니, 그 차이점이 여기에 있다.
한(僩)의 기록. (69세 이후)
* 17:17 問: “和靖說: ‘其心收斂, 不容一物.’”
'''질문: 화정(和靖)<ref>윤돈이다.</ref>이‘기심수렴 불용일물(其心收斂, 不容一物)’이라고 했습니다.<ref>자기 마음을 거두어들여 한 물건도 (내 마음에 끼어드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17:8, 14 등을 참조하라.</ref>
曰: “這心都不著一物, 便收斂. 他上文云: ‘今人入神祠, 當那時直是更不著得些子事, 只有箇恭敬.’ 此最親切. 今人若能專一此心, 便收斂緊密, 都無些子空罅. 若這事思量未了, 又走做那邊去, 心便成兩路.” 賀孫(62이후).
'''대답: 이 마음이 그 어떤 대상에도 전혀 붙어있지 않으면[不著一物] 그게 바로 수렴(收斂)이다. 그는 윗 구절에서 이르기를 ‘지금 사람이 사당[神祠]에 들어갈 때, 그때에는 그 어떤 사안도 전혀 마음에 더 붙일 수 없고 단지 공경(恭敬)함만 있을 뿐이다’고 하였으니,<ref>사고전서본 화정집(和靖集) 권 7, '예컨대 누군가 사당에 들어가 경의를 표할 적에 그 마음이 수렴되어 그 어떤 다른 사안도 전혀 붙일 수 없다. 이것이 하나로 집중됨[主一]이 아니고 무엇이겠나? (且如人到神祠中致敬時, 其心收斂, 更著不得毫髮事. 非主一而何?)'</ref> 이 말이 매우 친근하고 절실하다. 지금 사람이 만약 이 마음을 전일하게 할 수 있다면 곧 바짝 수렴하여 그 어떤 빈틈[空罅]도 없을 것이다. 만약 어떤 사안에 대하여 생각[思量]을 마치지 못했는데 또 다른 쪽으로 (마음이) 달려가 버리면 마음은 곧 두 갈래 길이 되어버린다.
하손(賀孫)의 기록. (62세 이후)
* 17:18 問尹氏“其心收斂不容一物”之說.
'''윤씨(尹氏)<ref>윤돈.</ref>의 '기심수렴 불용일물(其心收斂, 不容一物)'<ref>자기 마음을 거두어들여 한 물건도 (내 마음에 끼어드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17:8, 14 등을 참조하라.</ref> 설(說)에 대한 질문.
曰: “心主這一事, 不爲他事所亂, 便是不容一物也.”
'''대답: 마음이 어떤 한 가지 일을 주인으로 세워[主]<ref>'주(主)'자의 번역이 까다로운데, 전통적으로 '주장하다', '위주로 하다'와 같이 옮긴다. 여기서는 자신의 내면에 품은 여러 생각들의 위계서열에 있어서 최상의 자리, 즉 '주인'의 자리에 어떤 생각이나 마음가짐을 올려두었다는 의미에서 이상과 같이 번역했다. </ref> 다른 일에 의해 어지럽혀지지 않으면 곧 한 물건도 (내 마음에 끼어드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 것이다.
問: “此只是說靜時氣象否?”
'''질문: 이는 고요할 때[靜時]의 기상(氣象)을 설명한 것 아닙니까?
曰: “然.”
'''대답: 그렇다.
又問: “只靜時主敬, 便是‘必有事’否?”
'''재질문: 고요할 때[靜時] 경(敬)을 주인으로 세우는[主] 것이 곧 '반드시 일삼는 것이 있어[必有事]'<ref>본래 출전은 맹자 2A:2. 정씨 형제에 의하면 마음의 고요한 측면에 대해서도 모종의 의식적[用意] 노력을 동반한 공부가 필요하니 그것이 바로 경(敬)이다.(이정유서 18:35) 맹자의 '반드시 일이 있다[必有事]'에서 '일삼다'는 의식적 노력에 대한 요청인데, 여기서 맹자가 요청한 것을 정씨 형제는 경공부라고 해석했다. 이정유서 15:186'필유사언은 반드시 일삼는 바가 있다는 말이니, 경이다.(必有事焉, 謂必有所事, 是敬也)'. 주희는 이러한 해석이 맹자의 본래 문맥에는 맞지 않다고 생각하면서도 또 배격하지는 않는다. 52:162, 회암집 권40 답하숙경 제 29서('主敬存養, 雖説必有事焉, 然未有思慮作爲, 亦靜而已.'), 권 61 답임덕구(答林德久) 제 6서(질문: ‘반드시 호연지기를 기름에 종사하고 효과를 미리 기대하지 않는다[必有事焉而勿正]’에 대해서, 명도와 이천은 대부분 “경(敬)을 위주로 한다”하고, 일설에는 “마땅히 의(義)를 모아야한다”고 했는데, 이것은 위 글의 ‘의(義)를 모아 생겨나는 것이다’를 이어서 말한 것입니다. 이른바 ‘반드시 호연지기를 기름에 종사한다’라는 것은 여러 가지 선(善)을 축적하는 공부가 아니겠습니까?‘必有事焉而勿正’, 二程多主於敬, 一說須當集義, 是承上文‘是集義所生者’而言. 所謂必有事, 則積集衆善工夫否? 답변: 맹자의 앞뒤 구절에 ‘경(敬)’자는 없고, ‘의(義)’자만 있을 뿐입니다. 정자는 이를 바꾸어서 ‘경(敬)’자로 설명했는데, 맹자의 본의와는 다릅니다. 집주를 보면 또한 자세히 음미할 수 있을 것입니다.孟子上下文無‘敬’字, 只有‘義’字, 程子是移將去‘敬’字上說, 非孟子本意也. 集註亦可細玩.)등을 보라. 이 '일삼음[事]'을 주희는 기본적으로 '의로운 행실을 축적[集義]'하는 행위로 본다. 예컨대 52:93, 97, 167 등을 보라.</ref> 아닙니까?
曰: “然.” 僩(69이후).
'''대답: 그렇다.
한(僩)의 기록. (69세 이후)
=== "이 책의 이른바 '명덕을 밝히는 데 있다...'" 단락 ===
此篇所謂在明明德一段
''' 이 책의 이른바 '명덕을 밝히는 데 있다...'
* 17:19 問: “或問說‘仁義禮智之性’, 添‘健順’字, 如何?”
'''질문: 《대학혹문》에서 ‘인(仁)·의(義)·예(禮)·지(智)의 본성[性]’을 설명하면서 ‘건(健)'과 '순(順)’ 자를 첨가하신 이유가 무엇입니까?<ref>대학혹문의 해당 구절은 다음과 같다. '하늘의 도가 널리 작동하여 세상 만물을 틔워주고 길러주는데 그 창조하고 변화하는 내용물은 (따지고 보면) 음양과 오행일 뿐이다. 그러나 이른바 음양과 오행이란 것도 (음양오행은 그 분류상 氣인데) 반드시 먼저 이치가 있고 난 다음에 기(氣)가 있는 것이요, 사물이 (실제로) 탄생한 측면에서는 또 기(氣)가 (먼저) 응취한 덕분에 그 뒤에 형체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과 사물의 탄생은 필히 (먼저) 이 이치를 얻은 연후에 건, 순, 인, 의, 예, 지의 본성이 있게 되고, 필히 이 기를 얻은 연후에 혼, 백, 오장, 백해의 신체가 있게 된다. 주자(周子)의 이른바 "무극의 진수와 2&5(음양과 오행이다)의 정수가 신비롭게 합쳐져 (사람이 탄생했다)"는 말이 바로 이 이야기이다.(天道流行, 發育萬物, 其所以爲造化者, 陰陽五行而已. 而所謂陰陽五行者, 又必有是理而後有是氣; 及其生物, 則又必因是氣之聚而後有是形. 故人物之生必得是理, 然後有以爲健順仁義禮智之性; 必得是氣, 然後有以爲魂魄五臟百骸之身. 周子所謂‘無極之眞, 二五之精, 妙合而凝’者, 正謂是也.)' 대개 맹자이래로 인간의 본성을 설명할 적에는 '인의예지' 혹은 '인의예지신' 정도를 언급하는데 여기서는 '건'과 '순' 두 형용사가 더 들어갔으니 그 이유를 물은 것이다.</ref>
曰: “此健順, 只是那陰陽之性.” 義剛(64이후).
'''대답: 이 건순(健順)이란 그저 저 음양(陰陽)의 성질일 뿐이다.<ref>주역에서 순양괘인 건(乾)괘의 성질이 굳건함(健), 순음괘인 곤(坤)괘의 성질이 유순함(順)이다. 인의예지신의 경우는 대개 백호통(白虎通)에서 정리한 내용에 따라 오행(목화토금수)에 하나씩 배당한다. 예컨대 인(仁)은 오행의 목(木)에 해당하며 그 방위는 동쪽이다. 어류 6:45를 참조하라. 대학혹문에서 인간의 탄생을 말하면서 단순히 오행의 정수를 받았다고만 했다면 인의예지신만 언급하는 것이 앞뒤가 맞지만 '음양'오행의 정수를 받았다고 했으니 음과 양의 성질에 해당하는 글자를 하나씩 더 첨부해서 앞뒤의 밸런스를 맞춘 것이다.</ref>
의강(義剛)의 기록. (64세 이후)
* 17:20 問<ref>조선고사본은 이 뒤에 '或問中' 세 글자가 더 있다.</ref>“健順仁義禮智之性”.
''' '건(健)·순(順)·인(仁)·의(義)·예(禮)·지(智)의 본성(性)'에 대한 질문.<ref>직전 조목의 주석을 참조하라.</ref>
曰: “此承上文陰陽五行而言. 健, 陽也; 順, 陰也; 四者, 五行也. 分而言之: 仁禮屬陽, 義智屬陰.”
'''대답: “이는 윗글의 음양(陰陽)·오행(五行)을 이어받아 말한 것이다. 건(健)은 양(陽), 순(順)은 음(陰)이며, 네 가지<ref>인의예지(仁義禮智)</ref>는 오행(五行)이다. 나누어 말하면, 인(仁)과 예(禮)는 양(陽)에 속하고, 의(義)와 지(智)는 음(陰)에 속한다.
問: “‘立天之道, 曰陰與陽; 立地之道, 曰柔與剛; 立人之道, 曰仁與義.’ 仁何以屬陰?”
'''질문: ‘하늘의 도(道)를 세우니 음(陰)과 양(陽)이라 하고, 땅의 도(道)를 세우니 유(柔)와 강(剛)이라 하며, 사람의 도(道)를 세우니 인(仁)과 의(義)라 한다.’<ref>주역 설괘전. 설괘전의 설명대로라면 음-유-인, 양-강-의가 각각 같은 범주로 묶여야 한다. 이에 대한 주희의 반론은 어류 6:54를 참조하라.</ref>고 했는데, 인(仁)이 어찌하여 음(陰)에 속합니까?
曰: “仁何嘗屬陰! 袁機仲正來爭辨.<ref>조선고사본에는 이 일곱자가 없다. 서산독서기 갑집 권 8에서는 이 부분을 '袁機仲力爭'이라고 썼다.</ref> 他<ref>조선고사본은 이 뒤에 '便'자가 더 있다.</ref>引<ref>'타인' 두 글자는 만력본과 화각본에서는 주석으로 처리했다.</ref>‘君子於仁也柔, 於義也剛’爲證. 殊不知論仁之定體, 則自屬陽. 至於論君子之學, 則又<ref>조선고사본에는 '又'자가 없다. </ref>各自就地頭說, 如何拘文牽引得! 今只觀天地之化, 草木發生, 自是條暢洞達, 無所窒礙, 此便是陽剛之氣. 如云: ‘采薇采薇, 薇亦陽<ref>하서린의 전경당본은 이 글자를'作'이라고 썼다.</ref>止.’ ‘薇亦剛止.’ 蓋薇之生也, 挺直而上, 此處皆可見.”
'''대답: 인(仁)이 어찌 일찍이 음(陰)에 속했겠는가? 때마침 원기중(袁機仲)<ref>원추(袁樞, 1131-1205)의 자가 기중이다. 어류 6:55를 보면 그는 의를 양에, 인을 음에 배속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보인다. 회암집 권 38의 답원기중별폭(答袁機仲別幅)에도 원기중의 이러한 주장에 대한 주희의 반론이 실려있으니 참조하라.</ref>이 (그런 내용으로) 논쟁을 걸어왔다.<ref>여기서 '래(來)'는 찾아왔다는 의미가 아니라 내 쪽을 '향해서' 어떤 동작을 수행했다는 뜻에 가깝다.</ref> 그는 ‘군자는 인(仁)에 대해서는 유(柔)하고, 의(義)에 대해서는 강(剛)하다’<ref>양웅의 법언(法言) 군자(君子)편. 주자어류 6:136을 보면 주희도 양웅의 이 발언을 완전히 부정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 다르다거나, 본체가 강한 덕목이 작용은 유하다거나 하는 식으로 양웅과 자신의 견해 차이를 해소하려고 할 뿐이다.</ref>를 인용하여 증거로 삼았다. 이는 인(仁)의 확정적 본질[定體]을 논하자면 당연히 양(陽)에 속한다는 것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군자의 배움을 논하는 경우에는 또 각자의 경우[地頭]에 맞게 설명한 것이니,<ref>고문해의에서는 인의 확정적 본질을 논하는 경우에는 양에 속하고 인의 배움을 논하는 경우에는 음에 속한다고 정리했다.</ref> 어찌 (양웅의 법언에서 사용한) 문자(의 표현)에 얽매이는가?<ref>구문색인(拘文牽引)은 표현에 구애되어 얽매인 것이다.</ref> 이제 가만 보면 천지가 변화[天地之化]하여 초목이 탄생하고 발육할 적에 자연히 쭉쭉 뻗어나가 막히거나 걸리는 바가 없으니, 이것이 바로 양강(陽剛)한 기(氣)이다. 예를 들어 ‘고사리 캐고 고사리 캐니, 고사리 또한 양(陽)하네[采薇采薇, 薇亦陽止].’ ‘고사리 또한 강(剛)하네[薇亦剛止].’라 하였다.<ref>시경 소아 녹명지십 채미(采薇)편. 시경 쪽 원문은 '채미채미, 미역작지(采薇采薇 薇亦作止)', '채미채미, 미역유지(采薇采薇, 薇亦柔止)', '채미채미, 미역강지(采薇采薇, 薇亦剛止)'인데, 이는 고사리가 막 땅에서 자라나와 부드러운 단계를 거쳐 다 자라서 뻣뻣한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의 경과를 노래한 것이다. 주희는 우선 '作'을 '陽'으로 잘못 썼고, 또 중간에 위치한 '柔'를 생략하고 마지막 '剛'만을 인용함으로써 시경 채미편을 자신이 앞서 주장한 것처럼 초목이 양강(陽剛)하다는 말의 경전적 근거로 사용하고 있다.</ref> 대개 고사리는 나면서부터 똑바로 위로 자라니, 이러한 (고사리의 특성)에서 (초목의 양강(陽剛)한 성질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問: “禮屬陽. 至樂記, 則又以禮屬陰, 樂屬陽.”
'''질문: (선생님의 말씀에 따르면) 예(禮)는 양(陽)에 속합니다. (하지만) 〈악기(樂記)〉에서는 또 예(禮)를 음(陰)에 배속하고 악(樂)을 양(陽)에 배속합니다.<ref>보다 엄밀히 말하자면 예기 악기편에서는 악을 하늘에, 예를 땅에 배속했다. '악은 하늘에서 말미암아 제작하고 예는 땅을 따라 제작한다(樂由天作, 禮以地制)'</ref>
曰: “固是. 若對樂說, 則自是如此. 蓋禮是箇限定裁節, 粲然有文底物事; 樂是和動底物事, 自當如此分. 如云‘禮主其減, 樂主其盈’之類, 推之可見.” 僩(69이후).
'''대답: 물론 그렇다. 악(樂)과 한 쌍으로 말하자면 당연히 그렇다. 대개 예(禮)는 한정짓고 선을 그으며[限定裁節] 찬란하게 문채가 있는[粲然有文] 것이고, 악(樂)은 조화롭고 감동시키는[和動]<ref>예기 악기편에 나오는 표현이다.</ref> 것이니, 당연히 그렇게 (예가 양, 악이 음으로) 나뉜다. ‘예(禮)는 줄이는[減] 것을 위주로 하고, 악(樂)은 채우는[盈] 것을 위주로 한다[禮主其減, 樂主其盈]’라고 하는 것 등은 (앞선 내용을) 미루어 보면 알 수 있다.<ref>예기 악기편. '악이란 안에서 움직이는 것이요 예란 밖에서 움직이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는 줄이는 것을 위주로 하고 악은 채우는 것을 위주로 한다.(樂也者,動於內者也;禮也者,動於外者也。故禮主其減,樂主其盈.)' 줄이는 것은 '음'적인 운동, 채우는 것이 '양'적인 운동이다. 달이 차고 이지러지는 것을 떠올려 보라.</ref>
한(僩)의 기록. (69세 이후)
* 17:21 問: “健順在四端何屬?”
'''질문: 건순(健順)은 사단(四端) 중 어디에 속합니까?
曰: “仁與禮屬陽, 義與智屬陰.”
'''대답: 인(仁)과 예(禮)는 양(陽)에 속하고, 의(義)와 지(智)는 음(陰)에 속한다.
問: “小學: ‘詩·書·禮·樂以造士.’ 注云: ‘禮, 陰也.’”
'''질문:《소학(小學)》에 ‘시(詩)·서(書)·예(禮)·악(樂)으로써 선비를 만든다’<ref>소학에서 예기 왕제편을 인용한 부분이다.</ref>고 하였는데, 주(注)에 ‘예(禮)는 음(陰)이다’라고 하였습니다.<ref>주석은 예기 왕제편에 대한 정현의 주석이다.</ref>
曰: “此以文明言, 彼以節制言.”
'''대답: 이쪽은 문채나고 빛나는(文明) 측면에서 (예를) 설명한 것이고<ref>양에 속한다는 설명이다.</ref> 저쪽은 구별짓고 제약하는(節制) 측면에서 설명한 것이다.<ref>소학의 주석에 대한 설명이다.</ref>
問: “禮<ref>성화본은 '義'로 썼다. 이 조목의 첫 질문의 내용을 보나 이어지는 대화의 맥락상으로 보나 '義'가 더 어울리므로 이쪽으로 번역했다.</ref>智是束斂底意思, 故屬陰否?”
'''질문: 의(義)와 지(智)는 거두어들이는[束斂] 느낌이 있으므로 음(陰)에 속하는 것입니까?
曰: “然.”
'''대답: 그렇다.
或問: “智未見束斂處.”
'''누군가의 질문: 지(智)는 거두어들이는 측면을 보지 못하겠습니다.<ref>일역판은 이 질문과 6:56과의 유사성을 근거로 여기서의 '누군가'가 해당 조목의 기록자인 심한일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ref>
曰: “義猶略有作爲, 智一知便了, 愈是束斂. 孟子曰: ‘是非之心, 智也.’ 纔知得是而愛, 非而惡, 便交過仁義去了.” 胡泳(69때).
'''대답: 의(義)는 오히려 의식적으로 해야 할 일들이(作爲) 조금 있지만, 지(智)는 한 번 알면 그걸로 끝이니 더욱 거두어들이는 쪽이다. 맹자(孟子)는 ‘시비(是非)를 가리는 마음은 지(智).’라고 한다. 옳은[是] 줄 알고서 사랑하고 그른[非] 줄 알고서 미워하자마자 인(仁)과 의(義)의 (영역으로) 넘어간다.
호영(胡泳)의 기록. (69세 때)
* 17:22 問陰陽五行健順五常之性.
'''음양(陰陽)·오행(五行)·건순(健順)·오상(五常)의 성질(性)에 대한 질문.
曰: “健是稟得那陽之氣, 順是稟得那陰之氣, 五常是稟得五行之理. 人物皆稟得健順五常之性. 且如狗子, 會咬人底, 便是稟得那健底性; 不咬人底, 是稟得那順底性. 又如草木, 直底硬底, 是稟得剛底; 軟底弱底, 是稟得那順底.” 僩<ref>조선고사본에서는 '기손(蘷孫)'으로 썼다.</ref>(69이후).
'''대답: 굳건함(健)은 저 양(陽)의 기(氣)를 부여받은 것이고, 유순함(順)은 저 음(陰)의 기(氣)를 부여받은 것이며, 다섯가지 떳떳한 품성(五常)은 오행(五行)의 이치(理)를 부여받은 것이다. 사람과 사물[人物]은 모두 건순(健順)·오상(五常)의 성질(性)을 부여받았다. 또 예컨대 개[狗子] 중에 사람을 무는 놈은 바로 저 굳건(健)한 성질(性)을 부여받은 놈이요, 사람을 물지 않는 놈은 저 유순(順)한 성질(性)을 부여받은 놈이다. 또 초목(草木) 중에 곧고 단단한 것은 강(剛)한 것을 부여받은 것이고, 부드럽고 약한 것은 저 윤순(順)<ref>이 글자는 엄밀한 문언이었으면 '柔'라고 썼어야 한다.</ref>한 것을 부여받은 것이다.
한(僩)의 기록. (69세 이후)
* 17:23 問: “或問‘氣之正且通者爲人, 氣之偏且塞者爲物’, 如何?”
'''질문: 《대학혹문》에서 ‘바르고 통한[正且通]<ref>바르다는 것은 도덕적 올바름보다는 똑바로 서있는 물건의 경우처럼 밸런스가 좋다는 이미지에 가깝다. 통함은 공간적으로 이동할 때 장애 없이 시원시원하게 뻗어나가는 모습이다.</ref> 기(氣)는 사람이 되고, 치우치고 막힌[偏且塞] 기(氣)는 사물이 된다’고 한 것은 어째서입니까?
曰: “物之生, 必因氣之聚而後有形, 得其淸者爲人, 得其濁者爲物. 假如大鑪鎔鐵, 其好者在一處, 其渣滓又在一處.”
'''대답: 사물의 생성은 반드시 (먼저) 기(氣)가 모인 뒤에 형체가 있게 되니, 그 맑은[淸] 것을 얻은 자는 사람이 되고 그 탁한[濁] 것을 얻은 자는 사물이 된다. 예를 들어 큰 용광로에서 철을 녹이면 잘 정련된 것이 한 쪽에 모이고 찌꺼기[渣滓]는 다른 한 쪽에 모이는 것과 같다.
又問: “氣則有淸濁, 而理則一同, 如何?”
'''재질문: 기(氣)에는 청탁(淸濁)이 있지만 이치(理)는 똑같다고 한 것은 어째서입니까?
曰: “固是如此. 理者, 如一寶珠. 在聖賢, 則如置在淸水中, 其輝光自然發見; 在愚不肖者, 如置在濁水中, 須是澄去泥沙, 則光方可見. 今人所以不見理, 合澄去泥沙, 此所以須要克治也. 至如萬物亦有此理. 天何嘗不將此理與他. 只爲氣昏塞, 如置寶珠於濁泥中, 不復可見. 然物類中亦有知君臣母子, 知祭, 知時者, 亦是其中有一線明處. 然而不能如人者, 只爲他不能克治耳. 且蚤·虱亦有知, 如飢則噬人之類是也.” 祖道(68때).
'''대답: 진실로 그러하다. 이치(理)라는 것은 하나의 보배 구슬과 같다. (구슬이) 성현(聖賢)에게 있으면 마치 맑은 물[淸水] 속에 있는 것과 같아서 그 휘광(輝光)이 자연히 드러나지만, 어리석고 불초(不肖)한 자에게 있으면 마치 탁한 물[濁水] 속에 있는 것과 같아서 반드시 진흙과 모래[泥沙]를 걸러내야만 비로소 그 빛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요즘 사람들이 이치(理)를 보지 못하니 마땅히 진흙과 모래를 걸러내야 한다. 이것이 모름지기 (자기 기질을) 다스려야만[克治] 하는 까닭이다. 만물(萬物)의 경우에도 역시 이 이치(理)가 있다. 하늘이 어찌 일찍이 이 이치(理)를 그것들에게 주지 않았겠는가? 단지 기(氣) 때문에 흐리고 폐색하여[昏塞] 마치 보배 구슬을 탁한 진흙탕 속에 둔 것처럼 (그 빛을) 다시는 볼 수 없을 뿐이다. 그러나 사물들 중에서도 군신(君臣)·모자(母子)를 알고, 제사(祭)를 알며, 때[時]를 아는 종류가 있으니,<ref>당시 사람들은 벌과 개미[蜂蟻]에게 엄정한 군신관계가 있고. 호랑이와 이리[虎狼]에게 부자(혹은 모자)간에 친밀한 관계가 있고, 승냥이와 수달[豺獺]이 사냥한 짐승을 널어놓는 방식으로 제사를 지낼 줄 안다고 생각했다. 호랑이와 이리의 친애함은 장자 천운편, 승냥이와 수달의 제사는 예기 왕제편이 최초의 출전인 것으로 보인다. 관련하여 주자어류 4:9, 11, 19 등을 참조하라.</ref> 역시 그 속에 한 가닥 밝은 부분[一線明處]이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결국) 사람과 같을 수 없는 까닭은 그들이 (자기 기질을) 다스릴[克治] 수 없어서일 뿐이다. 또 벼룩[蚤]과 이[虱] 또한 (제한된 정도의) 지성(知)이 있으니, 예를 들어 굶주리면 사람을 무는 것 등이 이것이다.
조도(祖道)의 기록. (68세 때)
* 17:24 問: “或問云: ‘於其正且通者之中, 又或不能無淸濁之異, 故其所賦之質, 又有智愚賢不肖之殊.’ 世間有人聰明通曉, 是稟其氣之淸者矣, 然卻所爲過差, 或流而爲小人之歸者; 又有爲人賢, 而不甚聰明通曉, 是如何?”
'''질문: 《대학혹문》에서 ‘그 바르고 통한[正且通] 자 중에서도 또 간혹 청탁(淸濁)의 차이가 없을 수 없으므로, 그 부여받은 기질[所賦之質]에 다시 지(智)·우(愚)·현(賢)·불초(不肖)의 차이가 있다’고 했습니다.<ref>현행본 대학혹문에서는 해당 부분을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그러나 통한 기에도 간혹 청탁의 차이가 없을 수 없고, 바른 기에도 간혹 미추의 차이가 없을 수 없기 때문에, 그 부여받은 기질이 맑은 사람은 지혜롭고 탁한 사람은 어리석으며 아름다운 사람은 어질고 추한 사람은 불초하니, 다시 서로 똑같을 수 없는 지점이 있다.(然其通也或不能無淸濁之異, 其正也或不能無美惡之殊, 故其所賦之質, 淸者智而濁者愚, 美者賢而惡者不肖, 又有不能同者.)' 회암집 권 62 답이회숙(答李晦叔) 제 6서에서는 본 조목에서 인용한 것과 흡사한 버전으로 혹문을 인용하고 있다.</ref> 세상 사람 중에 총명하고 통달한[聰明通曉] 자는 맑은[淸] 기(氣)를 부여받은 자입니다. 그러나 도리어 하는 바가 어긋나서 혹 소인(小人)의 부류가 되고 마는 자들이 있고, 또 한편으로 사람됨이 현명하지만[賢] 그다지 총명하고 통달하지 못한 자도 있으니, 이는 어째서입니까?
曰: “或問中固已言之, 所謂‘又有智愚賢不肖之殊’, 是也. 蓋其所賦之質, 便有此四樣. 聰明曉事<ref>다수의 판본에서 '了'로 적었다.</ref>者, 智也而或不賢, 便是稟賦中欠了淸和溫恭之德. 又有人極溫和而不甚曉事, 便是賢而不智. 爲學便是要克化, 敎此等氣質令恰好耳.” 僩(69이후).
'''대답: 《대학혹문》에서 이미 이에 관하여 말했으니, 이른바 ‘또 지(智)·우(愚)·현(賢)·불초(不肖)의 차이가 있다’는 말이 그것이다. 대개 그 부여받은 기질[所賦之質]에 바로 이러한 네 가지 범주가 있다. 총명하고 사리에 밝은[聰明曉事] 자가 똑똑하되[智] 혹 현명하지 못하다면[不賢], 이는 곧 부여받은 것 가운데 맑고 온화하며[淸和] 따스하고 공손한[溫恭] 덕(德)이 부족한 것이다. 또 어떤 사람이 지극히 온화(溫和)하되 그다지 사리에 밝지 못하다면, 이는 바로 현명하지만[賢] 똑똑하지[智]는 못한 것이다. 배움(學)이란 바로 이러한 자기 기질을 이겨내고 변화시켜[克化] 딱 알맞게[恰好] 만들고자 하는 것일 뿐이다.
한(僩)의 기록. (69세 이후)
* 17:25 舜功問: “序引參天地事, 如何?”
'''순공(舜功)의 질문: (대학혹문의) 서문(序)에서 '천지(天地)와 더불어 셋이 되는[參天地]' 일을 인용하신 것은 어째서입니까?<ref> '삼천지(參天地)'는 본래 중용 제 22장에서 인용한 것이다. 자신의 본성을 온전히 실현하면 남이 그렇게 하도록 도울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천지가 만물을 낳고 기르는 일에 참여하는 셈이 된다. 천지가 만물을 낳고 기르는 일에 참여했다면 이미 (이 사람의 위격은) 천지와 같으니, '천지와 더불어 셋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 부분은 현행본 대학혹문에서는 서문이 아니라 경 1장에서 '명덕'을 설명하는 곳에서 인용하고 있다. '오직 사람만은 태어나면서 바르고 통한 기운을 얻었으니 그 본성이 가장 귀하다. 그러므로 그 마음이 허령통철(虛靈洞徹)하여 모든 이치를 다 갖추고 있으니, 사람이 금수와 다른 지점이 바로 여기에 있고, 사람이 요순처럼 되어 천지와 더불어 셋이 되어 (천지의) 낳고 기르는 일을 도울 수 있는 까닭 역시 여기서 벗어나지 않는다. 이것이 이른바 명덕(明德)이란 것이다.(唯人之生, 乃得其氣之正且通者, 而其性爲最貴, 故其方寸之間, 虛靈洞徹, 萬理咸備,蓋其所以異於禽獸者正在於此, 而其所以可爲堯舜而能參天地以贊化育者, 亦不外焉, 是則所謂明德者也.)'</ref>
曰: “初言人之所以異於禽獸者, 至下須是見己之所以參化育者.”
'''대답: 처음에는 사람이 금수(禽獸)와 다른 까닭을 말하였으니, (이어지는) 그 아래에서는 모름지기 자신이 (천지가 만물을) 낳고 기르는 일에 참여하는[參化育] 까닭을 보아야 한다.
又問: “此是到處, 如何?”
'''다시 질문: 이 과정은 종착점이[到處] 어떻게 됩니까?
曰: “到, 大有地步在. 但學者須先知其如此, 方可以下手. 今學者多言待發見處下手, 此已遲卻. 纔思要得善時, 便是善.” 可學(62때).
'''대답: (종착점에) 도달하기까지 크게 (여러가지) 단계들이[地步] 있다. 다만 배우는 자는 반드시 먼저 그 (종착점이) 이러저러하다는 것을 알아야만 비로소 손을 쓸[下手] 수 있다. 지금 배우는 자들은 발현되는 경우[發見處]를 기다렸다가 손을 쓴다고 많이들 말하는데,<ref>이 발언은 아마도 호상학자들의 '찰식이발지제' 공부를 염두에 둔 듯하다. 고문해의는 회암집 권 51의 답동숙중(答董叔重) 제 3서에 이와 같은 내용이 있다고 지적했다.</ref> 이러면 이미 늦고 만다.<ref>'-却'은 현대 중국어 '-掉'와 마찬가지로 부정적인 행위가 완성되었음을 표시한다. 예컨대 '망각(忘却)'은 잊어버린다는 행위가 완성된 것이다.</ref> 선(善)을 얻어야 겠다고 생각하기만 하면 그 즉시 바로 선(善)이다.
가학(可學)의 기록. (62세 때)
* 17:26 問: “或問‘自其有生之初’以下是一節; ‘顧人心稟受之初, 又必皆有以得乎陰陽五行之氣’以下是一節; ‘苟於是焉而不値其淸明純粹之會’, 這又轉一節; 下又轉入一節物欲去, 是否?”
'''질문: 《대학혹문》에서 ‘최초에 태어났을 때부터[自其有生之初]’ 이하가 한 단락이고, ‘생각건대 최초에 사람이 마음을 (하늘로부터) 받았을(稟受) 적에는 또 반드시 모두 음양(陰陽)·오행(五行)의 기(氣)를 얻음이 있었다’ 이하가 한 단락이며, ‘진실로 이 단계에서 그 청명하며 순수한 것들(을 받을) 기회[淸明純粹之會]를 만나지 못한다면’여기서 다시 전환되어 한 단락이고, 이어서 그 아래에서 다시 전환되어 '물욕(物欲)' 한 단락으로 들어가는 것이 맞습니까?<ref>질문자가 인용한 네 단락은 모두 현행본 대학혹문에서 찾아볼 수 없다. 현행본을 사서혹문의 최후개정판이라고 간주할 경우 여기서의 네 단락은 모두 구판의 문구들이 된다. 아래 주희의 말에 더해 여기서 인용된 부분만 가지고 추론하자면 제 1구는 인간 고유의 도덕적 동질성, 제 2구는 음양오행의 정수를 얻어 탄생한 인간의 신체적 동질성, 제 3구는 그럼에도 타고난 기질의 퀄리티 차이가 있다는 사실, 제 4구는 좋은 조건을 타고났으나 물욕에 빠져 추락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인 듯하다. 일역판 역시 이와 흡사하게 추론했으니 참조하라.</ref>
曰: “初間說人人同得之理, 次又說人人同受之氣. 然其間卻有撞著不好底氣以生者, 這便被他拘滯了, 要變化卻難.”
'''대답: 처음에는 사람마다 똑같이 얻는 이치(理)를 설명하고,<ref>제 1구를 해설한 것이다.</ref> 그 다음에는 또 사람마다 똑같이 받는 기(氣)를 설명한 것이다.<ref>제 2구를 설명한 것이다.</ref> 그러나 그 사이에 도리어 좋지 못한 기(氣)를 만나[撞]<ref>'撞'은 우연히 만나는 것으로 질문자가 인용한 제 3구의 '値'와 같다.</ref> 태어나는 자가 있으니,<ref>제 3구에 대한 해설이다.</ref> 그 경우 곧 그 (기에) 구속되고 막혀서[拘滯] 변화시키고자 하여도 어렵다.<ref>제 4구를 해설한 것이다.</ref>
問: “如何是不好底氣?”
'''질문: 어떠한 것이 좋지 못한 기(氣)입니까?
曰: “天地之氣, 有淸有濁. 若値得晦暗昏濁底氣, 這便稟受得不好了. 旣是如此, 又加以應接事物, 逐逐於利欲, 故本來明德只管昏塞了. 故大學必敎人如此用工, 到後來卻會復得初頭渾全底道理.” 賀孫(62이후).
'''대답: 천지의 기(氣)에는 청탁이 있다. 만약 어둡고 혼탁한[晦暗昏濁] 기(氣)를 만난다면, 이는 곧 좋지 못한 것을 받은[稟受] 것이다. 이미 이와 같은데 또 사물을 응대함[應接事物]에 있어 사사건건 이욕(利欲)을 쫓아다니므로, 본래의 명덕(明德)이 계속 흐리고 폐색[昏塞] 된다. 그러므로 《대학》에서는 반드시 사람들이 이와 같이 힘을 쓰도록 가르쳐서, 나중에는 도리어 최초의 온전한[渾全] 도리를 회복할 수 있게 한다.
하손(賀孫)의 기록. (62세 이후)
* 17:27 林安卿問: “‘介然之頃, 一有覺焉, 則其本體已洞然矣.’ 須是就這些覺處, 便致知充擴將去.”
'''임안경(林安卿)의 질문: (대학혹문에서) ‘순간적으로[介然之頃] 한 번 깨닫기만[覺] 하면 그 본체(本體)는 이미 환하다[洞然矣].’<ref>대학혹문에서 명덕(明德)이 끝내 은폐될 수 없음을 설명한 부분이다.</ref>고 했습니다. 모름지기 이렇게 깨달은 지점들[覺處]에 나아가 앎을 지극히 하고(致知) 확충해[充擴] 나가야 합니다.
曰: “然. 昨日固已言之. 如擊石之火, 只是些子, 纔引著, 便可以燎原. 若必欲等大覺了, 方去格物·致知, 如何等得這般時節! <林先引或問中“至於久而後有覺”之語爲比, 先生因及此.> 那箇覺, 是物格知至了, 大徹悟. 到恁地時, 事都了. 若是介然之覺, 一日之間, 其發也無時無數, 只要人識認得操持充養將去.”
'''대답: 그렇다. 어제 진실로 이미 그것을 말했다. (그것은) 마치 부싯돌을 때려서 나오는 스파크[擊石之火]와 같으니, 작은 불씨[些子]일 뿐이지만, 착화하기만 하면 곧 온 들판을 다 태울[燎原] 수 있다. 만약 반드시 먼저 크게 깨달은[大覺] 다음에 비로소 격물(格物)·치지(致知)한다고 한다면, 어떻게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런 순간을 기다릴 수 있겠는가? <임안경[林]이 먼저 《대학혹문》 중의 '(이렇게 하기를) 오래 한 이후에 깨닫게 된다[至於久而後有覺]'<ref>대학혹문에서 인용한 이정(二程)의 말이다. 원출전은 이정유서 18:18. '질문: 배움은 어떻게 해야 깨달음에 이를 수 있습니까? 대답: 앎을 지극히하는 공부가 최우선이다. 앎을 지극히 할 수 있다면 생각이 매일 더욱 밝아질 것이고, (이렇게 하기를) 오래 한 이후에 깨닫게 된다.(問: 學何以有至覺悟處? 曰: 莫先致知. 能致知, 則思一日愈明一日, 久而後有覺也.)'</ref>는 말을 인용하여 비유하자 선생이 이어서 이것을 언급하신 것이다.> (대학혹문에서 말한) 저 깨달음이란[那箇覺] 사물이 탐구되어 앎이 지극해진[物格知至] 뒤의 대철대오[大徹悟]이다. 그러한 경지에 이르면 일은 모두 끝난다. 순간적인 깨달음[介然之覺] 같은 경우는 하루 동안에도 무시로 무수히[無時無數] 터져나오니, 단지 사람들이 그것을 알아차려[識認] 붙잡아 지키고[操持] 확충하고 길러[充養]<ref>산란하는 마음을 수습하여 정신을 집중함으로써 덕성을 두텁게 배양하는 공부를 말한다. 17:1과 3에서 설명하고 있는 소학 단계에서의 공부를 참조하라.</ref> 나아가기를 바랄 뿐이다.
又問: “‘眞知’之‘知’與‘久而後有覺’之‘覺’字, 同否?”
'''다시 질문: ‘참된 앎[眞知]'<ref>진리를 피부에 와닿는 느낌으로 알아서 의심의 여지가 없음을 말한다. 이정이 자주 언급한 것이다. 이정유서 2上:24 '참으로 아는 것과 평범하게 아는 것은 다르다. 내가 본 일인데, 어떤 농부가 호랑이에게 물려 다친 적이 있었는데, 다른 사람이 호랑이가 사람을 해쳤다는 소식을 전하자 주변에서 놀라지 않는 사람이 없었으나 유독 그 농부만 안색이 변하여 다른 사람들과 반응이 달랐다. 호랑이가 사람을 해칠 수 있다는 것은 삼척동자라도 다 아는 사실이지만 '참으로 안' 것은 아니다. 참으로 안다는 것은 저 농부와 같아야 한다. 그러므로 사람이 불선을 알면서도 불선을 행하는 것은 역시 참으로 알지 못해서이다. 참으로 알았다면 결코 하지 않을 것이다.(眞知與常知異. 常見一田夫曾被虎傷, 有人說虎傷人, 衆莫不驚, 獨田夫色動, 異於衆. 若虎能傷人, 雖三尺童子, 莫不知之, 然未嘗眞知. 眞知須如田夫乃是. 故人知不善, 而猶爲不善, 是亦未嘗眞知. 若眞知, 決不爲矣.)</ref>이라고 할 때의 ‘지(知)’와 ‘오래 한 뒤에야 깨달음이 있다[久而後有覺]’의 ‘각(覺)’ 자는 (의미가) 같지 않습니까?
曰: “大略也相似, 只是各自所指不同. 眞知是知得眞箇如此, 不只是聽得人說, 便喚做知. 覺, 則是忽然心中自有所覺悟, 曉得道理是如此. 人只有兩般心: 一箇是是底心, 一箇是不是底心. 只是才知得這是箇<ref>성화본, 조선고사본, 조선정판본에서는 '是箇'의 순서가 '箇是'로 뒤집혀있다. 만력본과 화각본에서는 '是箇'를 주석처리했다. 여유량본과 전경당본에서는 저본(중화서국판)과 같다.</ref>不是底心, 只這知得不是底心底心, 便是是底心. 便將這知得不是底心去治那不是底心. 知得不是底心便是主, 那不是底心便是客. 便將這箇做主去治那箇客, 便常守定這箇知得不是底心做主, 莫要放失, 更那別討箇心來喚做是底心! 如非禮勿視聽言動, 只才知得這箇是非禮底心, 此便是禮底心, 便莫要視. 如人瞌睡, 方其睡時, 固無所覺. 莫敎纔醒, 便抖擻起精神, 莫要更敎他睡, 此便是醒. 不是已醒了, 更別去討箇醒, 說如何得他不睡. 程子所謂‘以心使心’, 便是如此. 人多疑是兩箇心, 不知只是將這知得不是底心去治那不是底心而已.”
'''대답: 대략 비슷하니, 그저 각자 지시하는 바[所指]가 다를 뿐이다. 참된 앎[眞知]은 참으로 이러저러하다는 것을 아는 것이니, 단지 남이 말하는 것을 듣고서 안다고 하는 정도가 아니다. 깨달음[覺]이란 홀연히 마음속에 스스로 깨닫는 바[覺悟]가 있어서 도리가 이러저러하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사람에게는 두 종류의 마음이 있을 뿐이다. 하나는 옳은[是] 마음이고 다른 하나는 옳지 않은[不是] 마음이다. 그저 이것이 '옳지 않은 마음'임을 알기만 하면 곧 이 '옳지 않은 마음'을 아는 마음[知得不是底心底心]이 바로 '옳은 마음[是底心]'이다. 이 옳지 않음을 아는 마음을 가지고 저 옳지 않은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다. 옳지 않음을 아는 마음이 바로 주인(主)이고, 저 옳지 않은 마음이 바로 손님(客)이다. 이것을 주인(主)으로 삼아 저 손님(客) 쪽을 다스려서, 항상 이 '옳지 않음을 아는 마음'을 굳게 지켜[守定] 주인(主)으로 삼고 놓치지[放失] 말아야 하니, 다시 어디서[那]<ref>여기서 '那'는 의문사이다. 현대중국어 '哪'와 같다.</ref> 별도로 마음을 마련해와서[討]<ref>'討'는 물건을 구해다 온다는 뜻이다.</ref> '옳은 마음'이라고 부를 것인가? 예(禮)가 아니면 보거나 듣거나 말하거나 행동하지 말라[非禮勿視聽言動]<ref>논어 12:1.</ref>는 말의 경우, '이건 예(禮)가 아니구나'라고 아는 그 마음[知得這箇是非禮底心]이야말로 바로 '예(禮)의 마음[禮底心]'이니, (이 마음을 주인으로 옹립한 사람은) 곧 (예에 어긋나는 것을) 보려 하지 않는다. 예컨대 사람이 꾸벅꾸벅 조는[瞌睡] 경우, 잠이 든 동안에는 전혀 지각하는[覺]<ref>깨달을 '각(覺)'은 잠에서 깨어있는 상태, 사물을 지각하는 행위를 말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중의적으로 쓴 것이다.</ref> 바가 없다. 그저[莫敎]<ref>고문해의에서는 '只是'나 '除是'와 같다고 풀면서 '莫'을 부정사로, '敎'를 사역동사로 보는 해석을 배격했다. 이러한 해석에 대한 근거로 어류 130:77을 제시했는데, 사실 어류 전체에서 '막교'가 이런 식으로 쓰인 곳은 130:77 한 군데인 반면 다수의 다른 조목에서는 모두 '~하게 하지 말라'는 의미로 쓰였으므로 여전히 의심스럽다. 한어대사전에서는 '막교'를 '막비(莫非)'와 같다고 했는데, 이렇게 되면 '~아님이 없다'가 된다. 일역판은 고문해의의 제언을 따랐다. 여전히 약간의 의심이 남지만 달리 더 낫게 해석할 방안이 떠오르지 않으므로 우선 고문해의를 따라 번역해 두었다.</ref> 막 깨어나자마자[纔醒] 번쩍 정신을 차리고[抖擻起精神]<ref>'두수(抖擻)'는 물건을 번쩍 들어올리거나 몸을 번쩍 일으키는 등을 말한다.</ref> 다시는 그 자신이 잠들도록 하지 않는 것, 이것이 바로 깨었다[醒]는 것이다. 이미 깨어난 뒤에 다시 별도로 '깨어있음'을 마련해와서 어떻게 하면 그 자신이 다시 잠들지 않게 할 수 있을까 하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정자(程子)의 이른바 ‘마음으로 마음을 부린다[以心使心]’는 것이 바로 이와 같다.<ref>이정유서 18:85. '질문: 마음은 누가 부립니까? 대답: 마음으로 마음을 부리면 된다. 사람의 마음은 저 혼자 하라고 맡겨두면 달아나 버린다. (曰: 心誰使之? 曰: 以心使心則可. 人心自由, 便放去也.)'</ref> 사람들은 흔히 (이렇게 하면) 마음이 두개가 되어버리는 것 아닌가 의심하는데,<ref>마음 A로 마음 B를 통제한다는 식으로 서술하면 한 사람에게 있어 마음은 하나 뿐이라는 주희의 평소 생각에 배치되는 것처럼 들리기 때문에 이렇게 변론하는 것이다. '이심사심'이라고 말해도 사실은 하나뿐인 마음이 자기 자신을 제어하는 것이다. 16:136, 34:196, 96:52 등을 보라.</ref> 단지 이 '옳지 않음을 아는 마음'을 가지고 저 '옳지 않은 마음'을 다스릴 뿐이라는 것을 모르는 것이다.
元思云: “上蔡所謂‘人須是識其眞心, 方乍見孺子入井之時, 其怵惕·惻隱之心, 乃眞心也.'”
'''원사(元思)가 상채(上蔡)<ref>사량좌이다.</ref>의 이른바 ‘사람은 모름지기 그 참된 마음[眞心]을 알아야 한다. 갑자기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는 것을 막 보았을 때의 그 경악하며[怵惕] 측은해하는[惻隱] 마음이 바로 참된 마음[眞心]이다.'에 관하여 발언함.<ref>상채어록 권2의 한 대목을 주희가 맹자집주 2A:6에서 인용한 것이다. 맹자집주쪽의 문장은 본 조목과 일치하나 상채어록의 원문과는 조금 다르다. '사람은 모름지기 그 참된 마음을 알아야 한다.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는 것을 보았을 때의 (마음이) 참된 마음이다. (人須識其眞心. 見孺子將入井時, 是眞心也.)'</ref>
曰: “孟子亦是只<ref>성화본, 조선고사본, 조선정판본에서는 '是只'가 '只是'로 순서가 뒤집혀있다.</ref>討譬喩, 就這親切處說仁之心是如此, 欲人易曉. 若論此心發見, 無時而不發見, 不特見孺子之時爲然也. 若必待見孺子入井之時, 怵惕·惻隱之發而後用功, 則終身無緣有此等時節也.”
'''대답: 맹자(孟子) 역시 그저 비유를 하나 가져와서[討] 이렇게 친근하고 절실한[親切] 지점 위에서 인(仁)한 마음이란 이와 같음을 설명하여 사람들이 쉽게 깨닫게 하고자 했을 뿐이다. 이 마음의 발현(發見)을 논하자면 발현되지 않는 때가 없으니[無時而不發見], 꼭 어린아이를 보았을 때만 그러한 것이 아니다. 만약 반드시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는 것을 관찰하게 되는 순간을 기다렸다가 경악하며 측은해하는 마음이 발현된 뒤에야 힘을 써 공부하겠다고 한다면 죽을 때 까지 이러한 순간을 만날 수 없을 것이다.<ref>발현된 것을 근거로 거기서부터 거슬러 올라가 마음 속의 본래성을 회복하려는 시도를 당시 표현으로 이발찰식 공부라고 불렀다. 오늘날 호남성 장사에 해당하는 형호남로 담주(潭州)를 근거지로 하는 일군의 학자들이 이러한 방향의 공부를 주장했는데, 이를 통칭 '호상학(湖湘學)'이라고 부른다. 17:25에 이어 여기에서도 주희는 호상학의 공부방법론을 염두에 두고 이렇게 말하는 듯하다. 이어서 원사가 호상학의 거두인 호굉(胡宏)의 말을 인용하는 데에는 이러한 맥락이 있다.</ref>
元思云: “舊見五峰答彪居仁<ref>'彪居正'의 오기이다.</ref>書, 說齊王易<ref>성화본, 조선정판본, 조선고사본에서는 '易'을 '愛'로 적었다.</ref>牛之心云云, 先生辨之, 正是此意.”
'''원사(元思)가 말함: 옛날 오봉(五峰)<ref>호굉(胡宏, 1105~1161)이다. 호상학의 거두로 장식(張栻, 1133-1180)의 스승이다.</ref>이 표거정(彪居正)에게 답한 편지에서 제나라 임금(齊王)이<ref>맹자와 대담한 제선왕을 말한다.</ref> 소를 바꾼 마음[易牛之心]<ref>맹자 1A:7. 제나라 선왕이 제사에 쓰일 희생물인 소가 두려움에 떨며 도살장으로 끌려가는 모습을 보고 측은한 마음이 들어 소 대신 양으로 바꾸라고 명령한 일을 말한다.</ref> 운운한 것을 보았는데,<ref>호굉의 주저인 지언(知言) 권 4에 이 대담이 실려있다. '다른날 물었다: 사람이 인하지 못한 까닭은 그 좋은 마음을 놓쳐서입니다. 놓친 마음을 가지고 (본래의 좋은) 마음을 구하는 것이 가능합니까? 대답: 제나라 임금이 소를 보고 차마 죽일 수 없었던 것은 이 좋은 마음의 싹이 이욕(利欲)의 틈새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한번이라도 드러난 그것을 붙잡아 간직하고 간직하여 기르고 길러서 확충하여 매우 커질 때까지 그치지 않으면 하늘과 똑같아진다. 이 마음이 발현하는 단서가 사람마다 다르지만, 핵심은 그것을 인식하는데 있을 뿐이다.(他日問曰: 人之所以不仁者, 以放其良心也. 以放心求心, 可乎? 曰: 齊王見牛而不忍殺, 此良心之苖裔, 因利欲之間而見者也. 一有見焉, 操而存之, 存而養之, 養而充之, 以至于大大而不已, 與天同矣. 此心在人, 其發見之端不同, 要在識之而已.)</ref> 선생님께서 (호굉과 표거정 사이의)그 대담을 논변하신 글<ref>주희가 장식, 여조겸과 함께 1170년(41세)에 완성한 호자지언의의(胡子知言疑義)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회암집 권 73에 수록되어 있는데, 분량이 상당하며 또 본 조목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이라고 하기 어려우므로 인용하지는 않겠다.</ref>이 바로 이런 뜻이었습니다.
曰: “然. 齊王之良心, 想得也常有發見時. 只是常時發見時, 不曾識得, 都放過<ref>성화본, 조선고사본, 조선정판본에서는 이 뒤에 '去'자가 있다.</ref>了. 偶然愛牛之心, 有言語說出, 所以孟子因而以此推廣之也.”
'''대답: 그렇다. 제나라 임금(齊王)의 좋은 마음[良心]도 생각해 보면 역시 늘상 발현될 때가 있었을 것이다. 다만 평상시 발현될 적에는 그것을 알아차린 적이 없어서 모두 놓쳐버렸을[放過] 뿐이다. 우연히 소를 아끼는 마음[愛牛之心]이 말로 발화되었기 때문에 맹자(孟子)가 그 기회에 그것을 미루어 넓힌 것이다.
又問: “自非物欲昏蔽之極, 未有不醒覺者.”
'''다시 질문: 물욕(物欲)에 흐려지고 폐색됨이 극심하지[物欲昏蔽之極]않은 이상 (여지껏) 깨어나지[醒覺] 못하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曰: “便是物欲昏蔽之極, 也無時不醒覺. 只是醒覺了, 自放過去, 不曾存得耳.” 僩(69이후).
'''대답: 설령<ref>'便是'는 '설령[即使]', '비록[雖是]' 등으로 풀이할 수 있다. 고문해의를 참조하라.</ref> 물욕(物欲)에 흐려지고 폐색됨이 극심하다 하더라도 (사람은) 깨어나지 못할 때가 없다. 단지 깨어나고 나서도 스스로 놓쳐버려[放過去] 한번도 (제대로) 간직하지[存得] 못했을 뿐이다.
한(僩)의 기록. (69세 이후)
* 17:28 友仁說“明明德”: “此‘明德’乃是人本有之物, 只爲氣稟與物欲所蔽而昏. 今學問進修, 便如磨鏡相似. 鏡本明, 被塵垢昏之, 用磨擦之工, 其明始現. 及其現也, 乃本然之明耳.”
'''내(友仁)가 ‘명명덕(明明德)’을 설명했다: 이 ‘명덕(明德)’은 바로 사람이 본래 가지고 있는 물건인데, 단지 기품(氣稟)<ref>각자가 타고난 정신/신체적 퀄리티를 말한다. '품'은 누군가로부터 받았다는 뜻이다.</ref>과 물욕(物欲)에 뒤덮혀 흐려졌을 뿐입니다. 지금 학문(學問)을 하여 (덕을) 진전시키고 (사업을) 닦아나가는[進修]<ref>'진수'는 주역 건괘 문언전의 '진덕수업(進德修業)'에서 나온 말이다. 주희는 주역본의에서 '진덕'을 마음의 진정성(忠信)을 배양하는 공부로, '수업'을 언행을 가다듬고 단속하는 공부로 풀이했다.</ref> 것은 마치 거울을 갈고닦는[磨鏡]<ref>당시 거울은 청동거울임을 명심해야 한다. '마경'이란 유리거울을 헝겁으로 닦는 것이 아니라 청동거울을 숯돌 등을 가지고 갈아내는 작업에 가깝다.</ref> 것과 비슷합니다. 거울은 본래 밝지만 먼지와 때[塵垢]에 의해 흐려진 것을 갈고닦는[磨擦] 노력을 들여야만 그 밝음이 비로소 드러납니다. 드러나게 되면 곧 본래의 밝음[本然之明]일 뿐입니다.
曰: “公說甚善. 但此理不比磨鏡之法.”
'''대답: 그대(公)의 설명이 매우 좋다. 다만 이 이치(理)는 거울을 갈고닦는 법[磨鏡之法]으로 비유할 수 없다.
先生略擡身, 露開兩手, 如閃出之狀, 曰: “忽然閃出這光明來, 不待磨而後現, 但人不自察耳. 如孺子將入於井, 不拘君子小人, 皆有怵惕·惻隱之心, 便可見.”
선생이 몸을 약간 일으켜 두 손을 펼쳐 (빛이) 번쩍 나오는 듯한 형상을 보이고서 말함: 홀연히 이 광명(光明)이 번쩍 나오는 것이지, 갈고닦기를 기다린 뒤에야 드러나는 것이 아니다. 단지 사람이 스스로 (이 광명을) 살피지 못할 뿐이다. 예컨대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 할 때 군자(君子)냐 소인(小人)이냐 할 것 없이 모두 경악하고 측은해하는 마음이 드는 것에서 (이를) 알 수 있다.
友仁云: “或問中說‘是以雖其昏蔽之極, 而介然之頃, 一有覺焉, 則卽此空隙之中而其本體已洞然’, 便是這箇道理.”
'''내가(友仁) 말함: 《대학혹문》 중에 ‘그러므로 제아무리 뒤덮혀 흐려짐이 극심하다 하더라도 순간적으로[介然之頃] 한 번 깨닫기만[覺] 하면 이 빈틈[空隙] 속에서 그 본체(本體)는 이미 환하다[洞然矣]’<ref>직전 17:27에서 자세히 다루었으니 참조하라.</ref>고 설명한 것이 바로 이 도리입니다.
先生頷之, 曰: “於大原處不差, 正好進修.” 友仁(69때).
'''선생이 고개를 끄덕이고 말함: 큰 근원[大原]의 차원에서 어긋나지 않았으니, (덕을) 진전시키고 (사업을) 닦기에[進修] 딱 좋을 때이다.
우인(友仁)의 기록. (69세 때)
* 17:29 問: “或問: ‘<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지점에 '而吾之'가 더 있다.</ref>所以明而新之者, <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지점에 '又'가 더 있다. 조선고사본처럼 인용해야 현행본 대학혹문과 일치한다.</ref>非可以私意苟且爲也.’ 私意是說著不得人爲, 苟且是說至善.”
'''질문: 《대학혹문》에서 ‘(명덕을) 밝히고 (백성을) 새롭게 하는 일은 사사로운 뜻[私意]으로 구차한 것을[苟且] 해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사의(私意)는 인위(人爲)적으로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말하고, 구차(苟且)는 지극한 선[至善]을 말하는 것입니다.<ref>대학혹문 인용구는 '사사로운 뜻으로 구차하게 해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풀어야 맞겠으나 여기서 질문자가 '구차(苟且)'가 '지선(至善)'을 지시한다고 보고 있으므로 이와 같이 번역해 두었다. '구차(苟且)'라는 표현은 오늘날 한국어에서 '구차한 살림살이'의 경우처럼 가난하고 변변찮은 모양새를 뜻하지만, 주희 당시에는 '임시변통(makeshift)' 같은 뜻으로 쓰였다. 질문자가 구차(苟且)를 지선으로 오인한 까닭에 대해서는 다음 주석을 보라.</ref>
曰: “才苟且, 如何會到極處!”
'''대답: 조금이라도 구차하면[苟且] 어떻게 지극한 지점[極處]에 도달할 수 있겠는가?
賀孫擧程子<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에 '以'가 더 있다.</ref>義理精微之極<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로 '姑以至善目之之語'가 더 있다. 이렇게 인용해야 문장이 현행본 대학혹문에 더 가깝게 된다.</ref>.
'''내가(賀孫) 정자(程子)의 ‘지극히 정미(精微)한 의리(義理)’<ref>대학혹문에서 인용한 정이의 말이다. '지극히 정미한 의리여서 이름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임시로[姑] '지선(至善)'이라고 지목한다(以其義理精微之極, 有不可得而名者, 故姑以至善目之.)'. 원출전은 이정유서 15:183이다. '선이란 정미한 의리여서 이름할 수 없다. 우선은[且] '지선'이라고 지목한다.(善者, 義理之精微, 無可得名. 且以至善目之.)' '임시로[姑]'나 '우선은[且]'은 모두 '구차(苟且)'와 같다. 최초의 질문자와 섭하손(두 사람은 동일인일 수도 있다)은 정자가 계속해서 지극한 진리에 '구차하게' 지선(至善)이라고 임시적인 라벨을 붙이고 있다고 하니 대학혹문의 다른 구절에 등장한 '구차(苟且)'라는 표현 역시 지선(至善)을 지시하는 것이라고 오인한 듯하다.</ref>라는 말을 거론했다.
曰: “大抵至善只是極好處, 十分端正恰好, 無一毫不是處, 無一毫不到處. 且如事君, 必當如舜之所以事堯, 而後喚做敬; 治民, 必當如堯之所以治民, 而後喚做仁. 不獨如此, 凡事皆有箇極好處. 今之人, 多是理會得半截, 便道了. 待人看來, 喚做好也得, 喚做不好也得. 自家本不曾識得到, 少刻也會入於老, 也會入於佛, 也會入於申韓之刑名. 止緣初間不理會到十分, 少刻便沒理會那箇是白, 那箇是皂, 那箇是酸, 那箇是鹹. 故大學必使人從致知直截要理會透, 方做得. 不要恁地半間半界, 含含糊糊. 某與人商量一件事, 須是要徹底敎盡. 若有些子未盡處, 如何住得. 若有事到手, 未是處, 須著極力辨別敎是. 且看孟子, 那箇事恁地含糊放過<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에 '去'가 더 있다.</ref>! 有一字不是, 直<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에 '須'가 더 있다.</ref>爭到底. 這是他見得十分極至, 十分透徹, 如何不說得?” 賀孫(62이후).
'''대답: 대체로 지선(至善)은 그저 지극히 좋은 지점[極好處], 100퍼센트 단정하고 딱 맞아서[端正恰好] 조금도 옳지 못한 데가 없는 지점, 조금도 (목표에) 이르지 못한 데가 없는 지점이다. 예컨대 임금을 섬김[事君]에 반드시 순(舜)임금이 요(堯)임금을 섬긴 방식과 같아야 비로소 경(敬)이라 하고, 백성을 다스림[治民]에 반드시 요(堯)임금이 백성을 다스린 방식과 같아야 비로소 인(仁)이라 한다. 이뿐만 아니라 모든 일에는 예외 없이 지극히 좋은 지점[極好處]이 있다. 요즘 사람들은 흔히 반절[半截]만 이해하고서 다 했다고 말한다. 남이 보고서 판단하기를 좋다고 해도 괜찮고[得] 좋지 않다고 해도 괜찮다[得]는 식이다. 이 표현에 대해서는 15:116을 참조하라.<ref>여기서 '득(得)'은 현대중국어 '行(xing)', 영어 'OK'와 같다. 누가 뭐라 해도 나쁘지 않다, 괜찮다고 받아들이는 나른한 태도를 뜻한다.</ref> 자기 자신의 인식이 본래 (목표에) 도달한 적이 없으니, 조금만 지나면 노자(老子)에게 들어갈 수도 있고, 부처[佛]에게 들어갈 수도 있으며, 신불해(申不害)와 한비자(韓非子)의 형명학(刑名)에도 들어갈 수 있다.<ref>전국시대 법가, 특히 신불해와 한비자의 학문을 형명(刑名) 또는 형명(形名)이라고 부른다. 이는 형벌과 관련된 이름은 아니다. 관료 각각에게 부여된 직무의 내용이 명칭(名)이고, 실제로 그 직무를 수행하는 모습이 형체(形)이다. 형체와 명칭, 실질과 명칭이 서로 부합하도록 국가기구를 운용해야 한다고 주장한 데에서 '형명학'이라는 별칭이 나온 것이다. 풍우란, 중국철학사(上), 1999. P.514-515.</ref> 그저 애초에 100퍼센트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조금만 지나도 어느 것이[那] 희고 어느 것이 검으며, 어느 것이 시고 어느 것이 짠지를 이해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ref>여기서 '那'는 의문사이다. 현대중국어 '哪'와 같다.</ref> 그러므로 《대학》에서는 반드시 사람으로 하여금 치지(致知) 단계에서부터 칼로 자른듯[直截]<ref>'직절(直截)'은 단순하고 명백하다는 뜻이다. 여기서는 확실성, 철저성을 의미한다.</ref> 철저히 이해하도록[理會透] 요구하니, (이렇게 해야) 비로소 해낼 수 있다. 그렇게 어중간하고[半間半界]<ref>'반간불계(半間不界)'와 같다. 철처하지 못하다는 뜻이다.</ref> 웅얼거리듯[含含糊糊]<ref>함호(含糊)는 말소리가 또렷하지 않고 웅얼거린다는 뜻이다.</ref> 해서는 안 된다. 내가 남과 무슨 일을 상의할 때에는 반드시 남김없이 철저히 하고자 한다. 만약 조금이라도 미진한 곳이 있다면 어떻게 멈출 수 있겠는가? 만약 일이 손에 들어왔을 때 맞지 않은 곳이 있다면, 모름지기 극력(極力)으로 변별하여 맞게 만들어야 한다. 또 맹자(孟子)를 보라. (그가) 무슨 일을 그렇게 웅얼웅얼 대충 넘어가던가? 한 글자라도 맞지 않으면 끝까지[到底] 다투었다. 이(렇게 다툰 이유)는 그의 이해가 100퍼센트 지극하고 100퍼센트 투철했기 때문이니, (이러하다면 맹자가) 어찌 논변[說]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ref>여기서는 심상하게 '말하다[說]'라고 풀어서는 안 된다. 논변을 너무 좋아한다는 당시의 악평에 대한 맹자의 변론으로 맹자 3B:9를 참조하라.</ref>
하손(賀孫)의 기록. (62세 이후)
* 17:30 問: “或問說明德處云: ‘所以應乎事物之間, 莫不各有當然之則.’ 其說至善處, 又云: ‘所以見於日用之間者, 莫不各有本然一定之則.’ 二處相類, 何以別?”
'''질문: 《대학혹문》에서 명덕(明德)을 설명한 부분에 이르기를 ‘사물(事物)에 응하는 사이에 각각 마땅히 그러해야 할 법칙[當然之則]이 없는 경우가 없는 것이다'고 하였습니다. 혹문에서 지선(至善)을 설명한 부분에서는 또 이르기를 ‘일상생활[日用] 사이에 나타나는 바에 각각 본래 그러한 일정한 법칙[本然一定之則]이 없는 경우가 없는 것이다’고 하였습니다. 두 부분이 서로 유사한데, 어떻게 구분합니까?<ref>현행본 대학혹문에는 질문자 진순이 인용한 두 문구 가운데 후자만 있다. 전자는 아마도 이러한 문제제기를 받아들여 개정의 과정에서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ref>
曰: “都一般. 至善只是明德極盡處, 至纖至悉, 無所不盡.” 淳(61·70때).
'''대답: 모두 같은 이야기다. 지선(至善)은 단지 명덕(明德)이 남김없이 지극한 곳[極盡處]일 뿐이니, 지극히 섬세하고 상세하여[至纖至悉] 다하지 않음이 없다.<ref>같은 취지의 발언이 14:114에서도 보이는데 이 역시 진순이 질문하고 기록한 조목이다.</ref>
순(淳)의 기록. (61세 혹은 70세 때)
* 17:31 仁甫問: “以其義理精微之極, 有不可得而名者, 故姑以至善目之.”
'''(다음 인용구에 대한) 인보(仁甫)의 질문: '지극히 정미한 의리여서 이름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임시로[姑] '지선(至善)'이라고 지목한다.'<ref>대학혹문. 17:29를 참조하라.</ref>
曰: “此是程先生說. 至善, 便如今人說極是. 且如說孝, 孟子說‘博弈好飮酒, 不顧父母之養’, 此是不孝. 到得會奉養其親, 也似煞强得這箇, 又須著如曾子之養志, 而後爲能養. 這又似好了, 又當如所謂‘先意承志, 諭父母於道', '不遺父母惡名’, 使'國人稱願道‘幸哉有子如此’', 方好.”
'''대답: 이는 정(程) 선생의 설명이다. 지선(至善)은 곧 요즘 사람들이 '극히 옳다[極是]'고 말하는 것과 같다. 예컨대 효(孝)를 말함에 있어, 맹자(孟子)가 ‘장기 두고 바둑 두며 술 마시기를 좋아하여 부모 봉양을 돌보지 않는다’<ref>맹자 4B:30.</ref>고 한 것, 이것은 불효(不孝)이다. 자기 어버이를 봉양할 수 있는 경우는 역시 (앞서 말한) 그것보다는 꽤[煞] 나은[强得] 듯하지만, 그래도 반드시 증자(曾子)가 (어버이의) 뜻을 봉양한[養志] 것과 같이 해야만<ref>맹자 4A:19. 아버지의 의지를 살펴 그가 원하는 것을 이루어주는 쪽으로 일을 처리해주는 것을 말한다.</ref> 비로소 봉양을 잘하는 것이다. 이정도로도 좋은 듯하지만, 다시 마땅히 이른바 ‘부모의 뜻을 한발 앞서 헤아려 받들고, 부모를 타일러 도(道)로 인도하며',<ref>예기 제의편. '군자의 효도란 (어버이의) 생각을 한 발 앞서 알아차려 그 뜻을 받들고, 부모를 타일러 도로 인도하는 것이다. 나는 그저 봉양이나 하는 사람이니 어찌 효도한다고 하겠나?(君子之所為孝者, 先意承志,諭父母於道. 參,直養者也,安能為孝乎?)</ref> '부모에게 오명을 끼치지 않아',<ref>예기 제의편 '부모가 돌아가신 뒤에 자기 행실을 삼가서 부모에게 오명을 끼치지 않으면 잘 보내드렸다고 할 만하다.(父母旣沒,愼行其身,不遺父母惡名,可謂能終矣.)'</ref> '온 나라 사람들이 부러워 칭찬하며 "좋겠다! 저런 아들이 있어서."라고 말하게'<ref>예기 제의편. '좋은 고기를 익혀서 드리는 것은 효가 아니라 봉양[養]이다. 군자가 말하는 효라는 것은 온 나라 사람들이 부러워 칭찬하며 "좋겠다! 아들이 있어서." 라고 이렇게 말하는 것이 효이다.(亨孰膻薌,嘗而薦之,非孝也,養也。君子之所謂孝也者,國人稱愿然曰:『幸哉有子!』如此,所謂孝也已).</ref> 해야만 충분하다 하겠다.
又云: “孝莫大於尊親, 其次能養. 直是到這裏, 方喚做極是處, 方喚做至善處.” 賀孫(62이후).
'''다시 말함: 효(孝)는 어버이를 높이는 것[尊親]보다 큰 것이 없고, 그 다음이 잘 봉양하는 것[能養]이다.<ref>예기 제의편. '큰 효도는 존친이요, 그 다음은 욕먹이지 않는 것이요, 그 아래가 잘 봉양하는 것이다.(大孝尊親,其次弗辱,其下能養)'</ref> 여기에 이르러야 비로소 '극히 옳은 곳[極是處]'이라 하고, 비로소 지선(至善)한 곳이라 한다.
하손(賀孫)의 기록. (62세 이후)
* 17:32 郭德元問: “或問: ‘有不務明其明德, 而徒以政敎法度爲足以新民者; 又有自謂足以明其明德, 而不屑乎新民者; 又有略知二者之當務, 而不求止於至善之所在者.’ 此三者, 求之古今人物, 是有甚人相似?”
'''곽덕원(郭德元)의 질문: “《대학혹문》에서 ‘자신의 명덕(明德)을 밝히는데 힘쓰지 않고 오직 정교(政敎)와 법도(法度)만 가지고도 충분히 백성을 새롭게 할 수 있다고 여기는 자가 있고, 또 스스로 충분히 자신의 명덕(明德)을 밝힐 수 있다고 하면서도 백성을 새롭게 하는 일은 달갑지 않은[不屑] 자가 있으며, 또 이 두 가지<ref>명명덕과 신민이다.</ref>가 마땅히 힘써야 할 바임을 대략 알지만 지선(至善)이 있는 곳(所在)에 도달하여 머무르기를 구하지는 않는 자가 있다.’<ref>현행본 대학혹문의 문구를 약간 축약한 형태이다. 아래 원주에서 인용한 탁록(卓錄) 쪽은 '因'자 하나를 제외하고는 현행본 대학혹문과 일치한다.</ref>고 하였습니다. 이 세 부류를 고금(古今)의 인물 가운데서 찾아보면 누구와 비슷합니까?
曰: “如此等類甚多. 自謂能明其德而不屑乎新民者, 如佛·老便是; 不務明其明德, 而以政敎法度爲足以新民者, 如管仲之徒便是; 略知明德新民, 而不求止於至善者, 如前日所論王通便是<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에 '如此'가 더 있다.</ref>. <卓錄云: “又有略知二者之當務, 顧乃安於小成, 因<ref>현행본 대학혹문에서는 '狃'으로 썼다.</ref>於近利, 而不求止於至善之所在者, 如前日所論王通之事是也.”><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주석 전체가 없는 대신 다음과 같은 주석이 붙어있다. '선생은 며칠 앞서 왕통론(王通論)을 지었는데 거기에 이런 말이 있었다.(先生前此數日作王通論, 其間有此語.)'</ref> 看他於己分上亦甚修飭, 其論爲治本末, 亦有條理, 甚有志於斯世. 只是規模淺狹, 不曾就本原上著功, 便做不徹. 須是無所不用其極, 方始是. 看古之聖賢別無用心, 只這兩者是喫緊處: 明明德, 便欲無一毫私欲; 新民, 便欲人於事事物物上皆是當. 正如佛家說, ‘爲此一大事因緣出見於世’, 此亦是聖人一大事也. 千言萬語, 只是說這箇道理. 若還一日不扶持, 便倒了. 聖人只是常欲扶持這箇道理, 敎他撑天柱地.” 文蔚(59이후). <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에 다음과 같은 주석이 붙어있다. '卓録同. 又問: "秦漢以下, 無一人知講學明理, 所以無善治.” 曰: “然.” 因泛論歷代以及本朝太宗眞宗之朝, 可以有爲而不爲. “太宗每日看太平廣記數卷, 若能推此心去講學, 那裏得來? 不過寫字作詩, 君臣之間以此度日而已. 眞宗東封西祀, 糜費巨萬計, 不曾做得一事. 仁宗有意於爲治, 不肯安於小成, 要做極治之事. 只是資質慈仁, 卻不甚通曉用人, 驟進驟退, 終不曾做得一事. 然百姓戴之如父母. 契丹初陵中國, 後來卻服仁宗之德, 也是慈仁之效. 緣它至誠惻怛, 故能動人如此.' 이 내용은 선두 네 글자를 제외하고 127:8과 일치하므로 그쪽을 참조하라. 여기서 번역하지는 않겠다.</ref>
'''대답: “이러한 부류는 매우 많다. 스스로 자신의 (밝은) 덕(德)을 밝힐 수 있다고 하면서 백성을 새롭게 하는 것을 달갑게 여기지 않는 자로는 예컨대 불가와 노자[佛·老]가 바로 그렇다. 자신의 명덕(明德)을 밝히는데 힘쓰지 않고 정교(政敎)와 법도(法度)만 가지고도 충분히 백성을 새롭게 할 수 있다고 여기는 자는 예를 들어 관중(管仲)과 같은 사람들이 바로 그렇다. 명덕(明德)과 신민(新民)을 대략 알지만 지선(至善)에 도달하여 머무르기를 구하지는 않는 자는 예를 들어 전날 논의했던 왕통(王通)<ref>584-617. 호는 문중자(文中子).</ref>이 바로 그렇다. <탁(卓)의 기록에는 “또 이 두 가지가 마땅히 힘써야 할 바임을 대략 알지만 작은 성취[小成]에 안주하고 근시안적 이익[近利]을 따라서[因] 지선(至善)이 있는 곳(所在)에 도달하여 머무르기를 구하지 않는 자가 있으니, 예를 들어 전날 논의했던 왕통(王通)의 경우가 그렇다.”라고 하고 있다.> 내가 보기에 그는 자기 일신의 차원[己分上]에서도 깊이 수양했으며[修飭], 그 다스림의 본말(本末)을 논한 것도 조리가 있었으니, 이 세상[斯世]에 대해 진지하게 뜻이 있었던 것이다. 단지 스케일[規模]이 얕고 좁아서 일찍이 근본[本原]의 차원에서는 힘을 쓰지[著功] 않았기 때문에 철저하지[做不徹] 못한 것이다. 반드시 그 최선의 것[極]<ref>지선(至善)을 말한다.</ref>을 쓰지 않음이 없어야만 한다. 가만 보면 옛 성현(聖賢)은 다른데 마음을 씀이 없었고, 그저 이 두 가지<ref>명명덕과 신민</ref>만이 긴요한 부분[喫緊處]이었다. 명덕(明德)을 밝힘에 있어서는 조금도 사욕(私欲)이 없기를 원했고, 백성을 새롭게 함[新民]에 있어서는 사람들이 모든 각각의 사안(事事物物)에 대해 모두 마땅하게 처신하기를 원했다. 바로 불교에서 말하는 ‘이 하나의 큰 인연[一大事因緣]을 위해 세상에 출현했다’<ref>법화경 서품 '제불과 세존이 오직 이 하나의 큰 인연 때문에 세상에 출현했다.(諸佛世尊, 唯以一大事因緣故出現於世.)'</ref>는 것과 같으니, 이 역시 성인(聖人)의 하나의 큰일[一大事]이다. 천 마디 만 마디 말이 단지 이 도리를 설명할 뿐이다. 만약 하루라도 부지(扶持) 않으면 곧 쓰러져버린다. 성인(聖人)은 그저 언제나 이 도리를 부지하여 하늘과 땅을 지탱하게[撑天柱地] 하고자 하셨을 뿐이다.
문울(文蔚)의 기록. (59세 이후)
* 17:33 問: “明德而不能推之以新民, 可謂是自私.”
'''질문: 명덕(明德)을 밝혔으되 그것을 미루어 백성을 새롭게하지[新民] 못한다면, 자기 생각만 한다[自私]<ref>자기 자신만을 위함, 자기 생각만 함, 자기 자신에게만 의미있음. 주희는 보통 '자사자리(自私自利)'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며 주로 불교를 비판할 적에 꺼내는 표현이다. 불교는 자기 일신의 구원만 신경쓸 뿐 세상을 구원하는 데는 무관심하다는 취지이다.</ref>고 할 만합니다.
曰: “德旣明, 自然是能新民. 然亦有一種人不如此, 此便是釋·老之學. 此箇道理, 人人有之, 不是自家可專獨之物. 旣是明得此理, 須當推以及人, 使各明其德. 豈可說我自會了, 我自樂之, 不與人共!”
'''대답: 덕(德)이 이미 밝아졌다면 자연히 백성을 새롭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역시 그렇지 않은 부류의 사람들이 있으니, 이것이 바로 불교와 노자의 학문이다. 이 도리는 사람마다 다 가지고 있는 것이지 자기 자신이 독점할 수 있는 물건이 아니다. 이미 이 이치를 밝혔다면, 반드시 미루어 다른 사람에게 미치게 하여[推以及人] 각자 자기 덕(德)을 밝히게 해야 한다. 어찌 나 혼자 해냈으니 나 혼자만 그것을 즐기고 남과 공유하지 않겠다고 말해서야 되겠는가?
因說: 曾有學佛者王天順, 與陸子靜辨論云: “我這佛法, 和耳目鼻口髓腦, 皆不愛惜. 要度天下人, 各成佛法, 豈得是自私!”
'''이어서 (내가) 말함: 일전에 불교를 배운 왕천순(王天順)<ref>누군지 확실치 않다. 상산집(象山集) 권 2의 여왕순백(與王順伯) 제 2서에서 이러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왕천순은 왕순백의 이름을 오기한 것일 수 있다.</ref>이 육자정(陸子靜)<ref>육구연이다.</ref>과 변론하며 이르기를 '나의 이 불법(佛法)은 귀·눈·코·입·골수·뇌[耳目鼻口髓腦]까지 모두 다<ref>'和...皆'는 현대 중국어 '連...都'와 같다. '~까지 모두다', '~마저도 모두 다' 정도의 의미이다.</ref> 아끼지 않고 천하 사람들을 제도하여 각자 불법(佛法)을 이루게 하고자 하는데 이게 어떻게 자기 생각만 하는 것[自私]입니까!”라고 하였습니다.
先生笑曰: “待度得天下人各成佛法, 卻是敎得他各各自私. 陸子靜從初亦學佛, 嘗言: ‘儒佛差處是義利之間.’ 某應曰: ‘此猶是第二著, 只它根本處便不是. 當初釋迦爲太子時, 出遊, 見生老病死苦, 遂厭惡之, 入雪山修行. 從上一念, 便一切作空看, 惟恐割棄之不猛, 屛除之不盡. 吾儒卻不然. 蓋見得無一物不具此理, 無一理可違於物. 佛說萬理俱空, 吾儒說萬理俱實. 從此一差, 方有公私·義利之不同.’ 今學佛者云‘識心見性’, 不知是識何心, 是見何性.” 德明(44이후).
'''선생이 웃으며 말함: 천하 사람들이 각자 불법(佛法)을 이루도록 제도하겠다는 것은<ref>서두의 '대(待)'는 '욕(欲)'이나 '장요(將要)'와 같다. 어떤 것을 하고자 하는 의욕을 말한다.</ref> 도리어 그들 각자가 자기 생각만 하도록[各各自私] 가르치는 것이다. 육자정(陸子靜) 역시 처음에는 불교를 배웠는데, 일찍이 (내게) 말하기를 ‘유교와 불교의 차이는 의(義)와 이(利)의 차이이다’고 하였다.<ref>이 대화가 언제 이루어졌는지는 알 수 없다. 1175년 아호에서의 만남, 혹은 1181년 백록동서원에서의 만남이었을 것으로 보인다.</ref> 내가 응답하기를 ‘그것은 오히려 부차적인 문제[第二著]이다. 그저 그 근본(根本)부터가 옳지 않다. 당초 석가(釋迦)가 태자(太子)였을 때 성문 밖으로 나가 노닐다가 생로병사(生老病死)의 고통을 보고 마침내 그것을 싫어하게 되어 설산(雪山)에 들어가 수행하였다.<ref>석가모니의 사문유관(四門遊觀)을 말한다.</ref> 그 하나의 생각으로부터 곧 일체를 공(空)으로 보게 되었고, 오직 그것을<ref>본질적으로 허망한 이 세상 일체를</ref> 잘라내어 버림[割棄]이 과감하지 못할까, 제거함[屛除]이 완벽하지 못할까 두려워했다.<ref>불교의 출세간주의에 대한 설명이다. 세간의 일은 모두 허망한 것이므로 그런 것에 대한 집착을 과감히 버려야 한다는 말이다.</ref> 우리 유학[吾儒]은 도리어 그렇지 않다. 대개 한 물건도 이 이치(理)를 갖추지 않음이 없고, 한 이치도 사물을 벗어날 수 없음을 이해하기 때문이다. 불교는 모든 이치[萬理]가 모두 헛되다[空]고 말하고, 우리 유학은 모든 이치가 모두 진실[實]하다고 말한다.<ref>'실(實)'을 '진실하다'고 번역하긴 했지만, 여기서 '공'은 내용물이 빈 그릇을, '실'은 내용물이 가득찬 그릇을 연상시키고 있음에 주의하라. 주희가 각각의 사건과 사물에는 본질이자 당위(곧, 이치)가 있으며 그 이치가 '진실되다'라고 말할 때는 불교에서 각각의 사건과 사물에 그러한 본질이자 당위가 '비어있다'고 주장한 것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다.</ref> 이 하나의 차이로부터 비로소 공(公)과 사(私), 의(義)와 이(利)의 차이가 있게 된다.’ 지금 불교를 배우는 자들이 ‘마음을 알고 성품을 본다[識心見性]’고 말하지만, 대체 무슨 마음을 알고 무슨 성품을 본다는 것인지 모르겠다.
o 덕명(德明)의 기록. (44세 이후)
=== '머물 곳을 알고 나서 확정된다' 이하 단락 ===
* 知止而後有定以下一段
'머물 곳을 알고 나서 확정된다' 이하 단락
* 17:34 問: “能知所止, 則方寸之間, 事事物物皆有定理矣.”
'''‘머무를 곳을 알 수 있으면[能知所止] 곧 마음[方寸] 속에서 사사물물(事事物物) 모두 확정불변한 이치[定理]가 있게 된다.’에 관한 질문.<ref>대학혹문. 14:126과 163에서 이 문제를 자세히 다루고 있다. 14:163을 보면 한 제자가 지적하기를 주희가 대학장구와 대학혹문에서 '定'자를 약간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고 한다. 대학장구의 주석에서는 '심지에 확정된 방향이 생긴다(志有定向)'고 해설하는 반면 대학혹문에서는 '마음 속에서 사사물물에 확고한 이치가 있게 된다(方寸之間, 事事物物皆有定理矣)'라고 해설한다. 전자의 경우는 도덕적 앎이 투철해지는 만큼 그러한 앎을 실천으로 옮기기 위해 필요한 정신적 동력인 의지력 또한 그에 비례하여 투철해진다는 의미이다. 반면에 후자의 경우는 도덕적 앎이 투철해져서 각각의 경우에 객관적인 도덕률이 확고하게 존재함을 알게 되었다는 의미이다. 전자는 知止를 인지의 차원으로, 有定을 의욕의 차원으로 나누어 본 것이다. 후자의 경우는 知止도 인지, 有定도 인지의 차원이다. 14:163에서 주희는 '그게 그거다'라고 간단히 대답하고 있지만 현대인의 관점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렵다.</ref>
曰: “定·靜·安三項若相似, 說出來煞不同. 有定, 是就事理上說, 言知得到時, 見事物上各各有箇合當底道理. 靜, 只就心上說.”
'''대답: 정(定)·정(靜)·안(安)<ref>대학 본문에서 제시한 정(定), 정(靜), 안(安), 려(慮), 득(得) 다섯 단계 가운데 세 꼭지를 말한 것이다. 14:157의 설명을 그대로 인용하자면 다음과 같다. '사물에 접촉하여(物格) 앎이 지극해지면(知至) 세상 모든 사태와 사물이 확정적인(定) 이치를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치가) 확정적(定)이란 것은 마치 추운 자가 옷을 갈망하고 굶주린 자가 음식을 갈망하는 것처럼 (너무 확정적이라서) 더 생각해볼 필요도 없다는 것이다. 견해가 이렇게 확정(定)되면 마음이 동요하거나 달아나지 않으므로 고요(靜)할 수 있다. 고요(靜)해지고 나면 가는 곳마다 편안할 수 있다. 어떤 상황에 놓이더라도, 예컨대 부귀함이나 빈천함이나 환난 등 어디에 처하더라도 (그곳에) 가는 족족 편안하다. 고요함(靜)은 마음에 중점을 두고 말한 것이요 편안함(安)은 몸과 상황에 중점을 두고 말한 것이다. 만약 사람의 견해가 확정되지 않으면 마음이 어떻게 고요(靜)해질 수 있겠나. 마음이 고요(靜)하지 않으면 저렇게 하고 싶다가도 다시 이렇게 하고 싶어지니 몸이 어떻게 편안(安)할 수 있겠나. 사려할 수 있다는 것은 눈 앞에 내가 (어떻게 해야 할지) 아는 사태가 닥쳤을 때 그것을 (아는대로) 실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평소에 자식은 효도해야 하고 신하는 충성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 (실제로) 부모를 섬기고 군주를 섬길 때에 이르러 각각의 구체적이고 복잡한 사정과 미묘한 부분을 사려하여 (마땅히) 멈출 (최선의) 지점을 얻을(得) 수 있다.'</ref> 세 항목은 비슷한 듯하지만 설명하면 자못 다르다. 확정됨(定)이 있다는 것은 사리(事理)의 측면에서 말한 것이니, 앎이 지극해졌을 때 사물마다 각각 마땅히 그러해야 할 도리가 있음을 (확실하게) 본다는 말이다. 고요함(靜)은 (같은 내용을) 마음의 측면에서 말한 것뿐이다.<ref>14:129에서 거의 같은 취지로 말하고 있으니 참조하라.</ref>
問: “‘無所擇於地而安’, 莫是‘素富貴行乎富貴, 素貧賤行乎貧賤’否?”
'''질문: ‘자리를 가리지 않고 편안히 안정된다’<ref>대학혹문</ref>는 것은 아마도 ‘부귀(富貴)에 처하면 부귀한대로 행하고, 빈천(貧賤)에 처하면 빈천한대로 행한다’<ref>중용 제 14장. '소(素)'는 '현재(見在)'의 뜻이다.</ref>는 것 아닙니까?”
曰: “這段須看意思接續處. 如‘能得’上面帶箇‘慮’字, ‘能慮’上面帶箇‘安’字, ‘能安’上面帶箇‘靜’字, ‘能靜’上面帶箇‘定’字, ‘有定’上面帶箇‘知止’字, 意思都接續. 旣見得事物有定理, 而此心恁地寧靜了, 看處在那裏: 在這裏也安, 在那邊也安, 在富貴也安, 在貧賤也安, 在患難也安.<ref>조선고사본은 이 뒤에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대가 한 번 생각해 보라(看如何? 公且看,)'가 더 있다.</ref> 不見事理底人, 有一件事, 如此區處不得, 恁地區處又不得, 這如何會有定! 才不定, 則心下便營營皇皇, 心下才恁地, 又安頓在那裏得! 看在何處, 只是不安.” 賀孫(62이후).
'''대답: 이 단락은 모름지기 의미가 어떻게 이어지는지를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능득(能得)’ 위에는 ‘려(慮)’ 자가 있고, ‘능려(能慮)’ 위에는 ‘안(安)’ 자가 있으며, ‘능안(能安)’ 위에는 ‘정(靜)’ 자가 있고, ‘능정(能靜)’ 위에는 ‘정(定)’ 자가 있으며, ‘유정(有定)’ 위에는 ‘지지(知止)’ 자가 있으니, 뜻이 모두 이어진다. 이미 사물에 확고불변한 이치[定理]가 있음을 보고서 이 마음이 이렇게 고요해졌다면[寧靜], 어떤[看]<ref>의문구 앞에 나오는 '간(看)'은 '그 어떤... 막론하고(不管, 儘管)'으로 풀이한다. 14:143, 157을 참조하라.</ref> 상황에 처했느냐를 막론하고, 여기에 있어도 편안하고[安], 저기에 있어도 편안하며, 부귀(富貴)에 있어도 편안하고, 빈천(貧賤)에 있어도 편안하며, 환난(患難)에 있어도 편안하다.<ref>부귀, 빈천, 환난은 질문자가 인용한 중용 제 14장에서 들고 있는 예시들이다.</ref> 사리(事理)를 보지 못하는 사람은 사안 하나를 가지고 이렇게 처리해도 잘 되지 않고 저렇게 처리해도 잘 되지 않으니, 이런 경우 어떻게 확고함(定)이 있을 수 있겠는가! 조금이라도 확고(定)하지 못하면 마음속이 곧바로 안절부절 불안하니[營營皇皇], 마음속이 조금이라도 그렇게 되면 또 어디에 (자신을) 편안히 둘[安頓] 수 있겠는가! 어디에[看] 있든 그저 불안할 뿐이다.
하손(賀孫)의 기록. (62세 이후)
* 17:35 “能慮則隨事觀理, 極深硏幾.”
'''‘사려할 수 있으면[能慮] 사안에 따라 이치를 관찰하여 깊음을 지극히하고 기미를 갈고닦는다[隨事觀理, 極深硏幾].’<ref>대학혹문. '극심'과 '연기'는 본래 주역 계사상에 나오는 표현이다. 심은 깊음이고 극은 그 깊음을 지극히한다는 것이다. 이는 현상세계에 잘 대응할 수 있도록 흔들리지 않고 안정감 있고 깊이 있는 정신을 구축하는 노력을 말한다. 연은 갈고닦는다는 뜻이고 기는 기미이다. 기미를 갈고닦는다는 것은 현상세계의 다양한 변화의 양상을 면밀히 살펴 파악하는 노력을 말한다. 변화의 양상을 잘 알면 변화가 시작하려는 바로 그 지점을 언제나 빠르고 정확하게 캐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다른 것도 아니고 '기미'를 살핀다고 한 것이다. 이 부분에 관한 논의는 14:146을 참조하라.</ref>에 관한 질문.
曰: “到這處又更須審一審. ‘慮’字看來更重似‘思’字. 聖人下得言語恁地鎭重, 恁地重三疊四, 不若今人只說一下便了, 此聖人所以爲聖人.” 賀孫(62이후).
'''대답: 이 지점에 이르러서는 다시 한 번 신중히 살펴보아야[審]<ref>'심(審)'은 극심연기의 '연(硏)'을 풀이한 말이다.</ref> 한다. ‘려(慮)’ 자는 내 생각에 ‘사(思)’ 자보다[似]<ref>여기서 '사(似)'는 '어(於)'와 같다.</ref> 더 무겁다. 성인이 표현을 고른 것이 이렇게 진중(鎭重)하고 이렇게 거듭 반복되니[重三疊四], 요즘 사람들이 그저 한 번 말하고 마는 것과는 같지 않다. 이래서 성인은 성인인 것이다.
하손(賀孫)의 기록. (62세 이후)
* 17:36 安卿問: “知止是始, 能得是終. 或問言: ‘非有等級之相懸.’ 何也?”
'''안경(安卿)의 질문: 지지(知止)는 시작이고 능득(能得)은 끝입니다.<ref>이에 대한 설명은 17:34의 주석을 참조하라.</ref> 《대학혹문》에서는 (양자간에) ‘등급(等級)이 서로 현격히 벌어져 있지 않다’<ref>현행본 대학혹문에서는 이 말을 풀어써두어서 표현이 조금 다르다. '공자의 지우학(志于學)부터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까지와 맹자의 선인(善人), 신인(信人)으로부터 성인(聖人), 신인(神人)까지가 실로 등급이 현격히 벌어져 있어서 평생토록 거쳐가는 순서인 것과는 같지 않다.(非如孔子之志學以至從心, 孟子之善信以至聖神, 實有等級之相懸, 爲終身經歷之次序也)'</ref>고 말했는데, 무슨 뜻입니까?
曰: “也不是無等級,<ref>조선고사본에는 이 여섯 글자가 없다.</ref> 中間許多只是小階級, 無那大階級. 如志學至從心, 中間許多便是大階級, 步卻闊. 知止至能得, 只如志學至立相似, 立至不惑相似. 定·靜·安, 皆相類, 只是中間細分別恁地.”
'''대답: 역시 등급(等級)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중간의 많은 것들은 단지 작은 계단[階級]들일 뿐 그렇게 큰 계단은 없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배움에 뜻을 두는 것[志學]<ref>논어 2:4에서 공자가 자신이 15세에 배움에 뜻을 두었다고 했다.</ref>부터 마음대로 해도 법도에 어긋남이 없는[從心]<ref>공자가 70세에 달성한 경지이다.</ref> 경지에 이르기까지 중간의 많은 것들은 곧 큰 계단이니 보폭이 오히려 넓다. 지지(知止)부터 능득(能得)까지는 배움에 뜻을 두는 것[志學]부터 스스로 섰다[立]<ref>공자가 30세에 달성한 경지이다.</ref>까지와 비슷하고, 스스로 섰다[立]부터 유혹에 흔들리지 않음[不惑]<ref>40세의 경지이다.</ref>까지와 비슷하다. 정(定)·정(靜)·안(安)은 모두 비슷한 부류요, 단지 중간에 저처럼 세밀하게 구별했을 뿐이다.
問: “到能得處是學之大成, 抑後面更有工夫?”
'''질문: 능득(能得)의 경지에 이르면 배움에 대성한[學之大成] 것입니까, 아니면 뒤에 공부가 더 있습니까?
曰: “在己已盡了, 更要去齊家, 治國, 平天下, 亦只是自此推去.” 㝢(61이후).
'''대답: 자기 자신의 차원에서는[在己] 이미 다 했고, 다시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를 해야 하지만, (후자는) 역시 그저 여기서<ref>자기 자신의 차원이다.</ref> 미루어 나아가는 것일 뿐이다.<ref>이 부분은 14:152와 흡사하다.</ref>
우(㝢)의 기록. (61세 이후)
=== '옛날에 명덕을 천하에 밝히고자 한 자는...' 단락 ===
* 古之欲明明德於天下一段
옛날에 명덕을 천하에 밝히고자 한 자는 단락
* 17:37 問: “或問‘自誠意以至於平天下, 所以求得夫至善而止之’, 是能得已包齊家治國說了. 前晩何故又云‘能得後, 更要去齊家, 治國, 平天下'?”
'''질문: 《대학혹문》에서 ‘성의(誠意)에서 평천하(平天下)까지는 저 지선(至善)의 자리를 얻어 거기에 머무르기를 구하는 것이다’<ref>대학혹문. '격물, 치지, 성의, 정심, 수신이란 명명덕의 일이요 제가, 치국, 평천하란 신민의 일이다. 격물치지는 지선이 있는 곳을 알기를 구하는 것이요, 성의부터 평천하까지는 저 지선의 자리를 얻어 거기에 머무르기를 구하는 것이다.(格物·致知·誠意·正心·修身者, 明明德之事也; 齊家·治國·平天下者, 新民之事也. 格物致知, 所以求知至善之所在; 自誠意以至於平天下, 所以求得夫至善而止之也.)'</ref>라고 하였는데, 이는 '능득(能得)'이 이미 제가(齊家)와 치국(治國)까지 포함하여 설명한 것입니다.<ref>전통시대 유학이 커버하는 영역을 크게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으로 나누었을 때, 인용된 대학혹문의 문구대로라면 두 영역이 수기로 일원화된 것처럼 이해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ref> (그런데) 어제 저녁에는 어찌하여 또 ‘능득(能得)한 뒤에 다시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를 해야 한다’고 말씀하신 것입니까?<ref>치인의 영역이 수기만으로 설명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어제 저녁의 대화란 17:36을 말한다. 17:34 또한 참조하라.</ref>
曰: “以修身言之, 都已盡了. 但以明明德言之, 在己無所不盡, 萬物之理亦無所不盡. 如'至誠惟能盡性', 只盡性時萬物之理都無不盡了. 故盡其性, 便盡人之性; 盡人之性, 便盡物之性.” 㝢<ref>조선고사본에서는 '순의 기록. 우의 기록도 같다.(淳○㝢同)'이다.</ref>(61이후).
'''대답: 수신(修身)으로 말하자면 이미 다 된 것이다.<ref>대학의 '능득'이란 문구는 수기와 치인 가운데 수기의 측면에 해당한다는 말이다.</ref> 단, 명덕(明德)을 밝히는 것으로 말하자면 자기 자신의 차원에서도 남김 없이 다 하고 만물의 이치 또한 남김 없이 다 하는 것이다.<ref>명덕을 밝히는 일을 수기에 국한시켜 보지 말고, 수기와 치인을 포함하는 상위의 범주로 보라는 말이다.</ref> 예컨대 '오직 지극한 진정성(誠)이라야 (자신의) 본성(性)을 온전히 다할 수 있고'<ref>중용 제 22장의 한 구문을 축약한 것이다.</ref>, 오직 (자신의) 본성(性)을 다할 때라야 만물의 이치도 남김 없이 다 하게 된다. 그러므로 자기 본성(性)을 다하면 곧 남의 본성(性)을 다하게 되고, 남의 본성(性)을 다하면 곧 사물의 본성(性)을 다하게 된다.
우(㝢)의 기록. (61세 이후)
* 17:38 蜚卿言: “或問云: ‘人皆有以明其明德, 則各誠其意, 各正其心, 各修其身, 各親其親, 各長其長, 而天下無不平矣.’<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에 '伯羽謂' 세 자가 더 있다. '비경(蜚卿)'이 동백우(童伯羽)의 자(字)이므로 한 사람이 연이어 말하고 있는 것이다.</ref> 明德之功果能若是, 不亦善乎? 然以堯舜之聖, 閨門之內, 或未盡化, 況謂天下之大, 能服堯舜之化而各明其德乎?”
'''비경(蜚卿)이 말함: 《대학혹문》에 이르기를 ‘사람들이 모두 자신의 명덕(明德)을 밝힐 수 있다면, 각자 자신의 의지를 참되게 하고[誠其意], 각자 자신의 마음을 바르게 하며[正其心], 각자 자신의 몸을 갈고닦고[修其身], 각자 자신의 어버이를 친애하며[親其親], 각자 자신의 어른을 공경하여[長其長], 천하가 평정되지 않음이 없게 될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명덕(明德)의 공효(功)가 과연 이와 같다면 또한 훌륭하지 않겠습니까? 그러나 요순(堯舜)과 같은 성인도 규문(閨門) 안에서 혹 다 교화시키지 못한 경우가 있었거늘, 하물며 커다란 천하 전체가 요순(堯舜)의 교화에 순복하여 각자 자신의 덕(德)을 밝힐 수 있으리라 말하시는 것입니까?
曰: “大學‘明明德於天下’, 只是且說箇規模如此. 學者須是有如此規模, 卻是自家本來合如此, 不如此便是欠了他底. 且如伊尹思匹夫不被其澤, 如己推而納之溝中, 伊尹也只大槪要恁地, 又如何使得無一人不被其澤! 又如說‘比屋可封’, 也須有一家半家不恁地者. 只是見得自家規模自當如此, 不如此不得. 到得做不去處, 卻無可奈何. 規模自是著恁地, 工夫便卻用寸寸進. 若無規模次第, 只管去細碎處走, 便入世之計功謀利處去; 若有規模而又無細密工夫, 又只是一箇空規模. 外極規模之大, 內推至於事事物物處, 莫不盡其工夫, 此所以爲聖賢之學.” 道夫(60이후).
'''대답: 《대학》의 ‘천하에 명덕을 밝힌다[明明德於天下]’는 것은 일단은 그 규모(規模)<ref>대강의 윤곽선, 원대한 스케일 같은 의미이다.</ref>가 이러하다고 설명한 것뿐이다. 배우는 자는 반드시 이러한 규모(規模)를 가져야 한다. 자기 자신은 본래부터 응당 이와 같아야 하니, 이와 같지 않으면 곧 (본래의) 자기 것을 결여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이윤(伊尹)은 평범한 백성 한 사람이라도 (요순과 같은 정치의) 혜택을 입지 못하는 자가 있으면 마치 자기가 그를 밀어서 도랑에 빠뜨린 것처럼 생각했다.<ref>맹자 5A:7.</ref> (그러나) 이윤(伊尹)도 역시 그저 대체로 이렇게 하고자 했다는 것 뿐이니, 또 어떻게 단 한 사람도 그 혜택을 입지 못함이 없게 할 수 있겠는가? 또 예컨대 ‘집집마다 봉작을 내릴 만하다[比屋可封]’<ref>한서 왕망전(王莽傳). '명성한 세상에는 나라에 훌륭한 사람이 많으므로, 요순 시대에는 집집마다 봉작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明聖之世,國多賢人,故唐虞之時,可比屋而封.)'</ref>는 것 역시 한두 집 정도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었을 것이다. 단지 자기 자신의 규모(規模)가 당연히 이와 같아야 하며 이와 같지 않으면 안 된다고 보았던 것 뿐이다. (세웠던 스케일에 걸맞게) 해낼 수 없었던 부분에 대해서는 어쩔 수 없는 것이다.<ref>'做不去'는 '할 수 없다', '做得去'는 '할 수 있다'이다.</ref> 규모(規模)는 당연히 그렇게 해야 하는 반면<ref>'著'은 '須著'과 같다. '반드시'.</ref> 공부(工夫)는 한 마디 한 마디 나아가야 한다. 규모(規模)와 단계별 순서[次第]도 없이 그저 지엽적인 것들[細碎處]에만 힘을 쓰면 곧바로 (오늘날) 세간의 공리(功利)를 따지는 영역으로 들어가게 되고, 규모(規模)는 있지만 세밀한 공부(工夫)가 없다면 또 한갓 빈 규모(空規模)이고 말 뿐이다. 밖으로는 규모(規模)의 크기를 지극히하고 안으로는 미루어 (구체적인) 사사물물(事事物物)의 부분에 이르게 하여 그 어느 방면으로도 공부(工夫)를 다하지 않음이 없는 것, 이것이 성현(聖賢)의 배움이 성현의 배움이 되는 까닭이다.
도부(道夫)의 기록. (60세 이후)
* 17:39 問或問“心之神明, 妙衆理而宰萬物”.
'''《대학혹문》의 '마음의 신명[心之神明]이니, 여러 이치를 절묘하게 운용하고 만물을 주재한다'<ref>대학혹문. '저 지(知) 같은 경우는 마음의 신명이니, 여러 이치를 절묘하게 운용하고 만물을 주재하는 것이다.(若夫知則心之神明, 妙衆理而宰萬物者也.)' 신명의 신(神)은 우리 의식의 완성도가 높음을, 명(明)은 의식의 활동성을 가리킨다. 재(宰)는 컨트롤한다는 의미이다. 묘(妙)를 운용하다로 풀이한 것은 17:40을 참조하라.</ref>에 대한 질문.
曰: “神是恁地精彩, 明是恁地光明.”
'''대답: 신(神)은 그렇게 정밀하고 아름답다[精彩]는 것이요, 명(明)은 그렇게 밝게 빛난다는[光明] 것이다.
又曰: “心無事時, 都不見; 到得應事接物, 便在這裏; 應事了, 又不見: 恁地神出鬼沒!”
'''다시 말함: 마음은 일이 없을 때는 전혀 보이지 않다가도 응사접물(應事接物)하게 되면 곧 이 안에[在這裏]<ref>마치 주인의 부주의로 인해 풀려나 달아나버린 가축처럼, 정신이 산만하여 마음이 '이 안에 없는' 상태가 바로 '방심(放心)'의 상태이다. 경건한 자세를 견지하면 산란한 정신을 수습하여 집중시킬 수 있는데 이렇게 집중된 상태를 어류에서는 자주 '여기 있다(在這裏)'고 표현한다.</ref> 있으며, 일에 대한 응대를 마치고 나면 다시 보이지 않게 되니, 이렇게나 신출귀몰(神出鬼沒)하다!
又曰: “理是定在這裏, 心便是運用這理底, 須是知得到. 知若不到, 欲爲善也未肯便與你爲善; 欲不爲惡, 也未肯便不與你爲惡. 知得到了, 直是如飢渴之於飮食. 而今不讀書時, 也須收斂身心敎在這裏, 乃程夫子所謂敬也. ‘整齊嚴肅’, 雖只是恁地, 須是下工夫, 方見得.” 賀孫(62이후).
'''다시 말함: 이치(理)는 이 안에<ref>자신의 내면을 말한다.</ref> 확고하게 있고, 마음[心]은 바로 이 이치(理)를 운용(運用)하는 주체이니, 반드시 앎[知]이 지극해져야 한다. 만약 앎[知]이 지극해지지 못하면 선(善)을 행하고자 해도 (마음은) 선뜻 자네와 함께 선(善)을 행하려 하지 않을 것이고, 악(惡)을 행하지 않고자 해도 (마음은) 선뜻 자네와 함께 악(惡)을 행하지 않으려 하지 않을 것이다. 앎[知]이 지극해지고나면 바로 굶주리고 목마른 자가 마시고 먹으려는 것[飢渴之於飮食]과 같이 (선을 행하고 불선을 피하게) 된다. 지금 책을 읽지 않을 때에도 반드시 몸과 마음을 거두어들여[收斂身心] 여기에 있도록[在這裏] 해야 하니, 이것이 곧 정부자(程夫子)<ref>정씨 형제를 말한다.</ref>께서 말씀하신 경(敬)이다.<ref>경에 대한 설명은 17:1부터 18까지에 걸쳐 자세히 적혀있으니 참조하라.</ref> ‘정제엄숙(整齊嚴肅)’이 비록 이런 것에 불과하지만, 반드시 실제로 힘써 해보아야만[工夫] (이러한 것을) 알 수 있다.
하손(賀孫)의 기록. (62세 이후)
* 17:40 德元問<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에 '<대학혹문>에서 "앎은 묘중리하고 만물을 주재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는데,(或問"知妙衆理而宰萬物者也",)'라고 적혀있다.</ref>: “何謂‘妙衆理’?”
'''덕원(德元)의 질문: (대학혹문의)‘묘중리(妙衆理)’는 무슨 말입니까?<ref>직전 조목을 참조하라.</ref>
曰: “大凡道理皆是我自有之物, 非從外得. 所謂知者, <或錄此下云: “便只是理. 才知得,”><ref>조선고사본에는 이 주석이 없다.</ref> 便只是知得我底道理, 非是以我之知去知彼道理也. 道理固本有, 用知, 方發得出來. 若無知, 道理何從而見! <或錄云: “才知得底, 便是自家先有之道理也. 只是無知, 則道無安頓處. 故須知, 然後道理有所湊泊也. 如夏熱冬寒, 君仁臣敬, 非知, 如何知得!”> <ref>조선고사본에는 이 주석이 없다.</ref>所以謂之‘妙衆理’, 猶言能運用衆理也. ‘運用’字有病, 故只下得‘妙’字.” <或錄云: “蓋知得此理也.”> <ref>조선고사본에는 이 주석이 없다.</ref>
'''대답: 무릇 도리(道理)는 모두 자신이 본래 가지고 있는 것이지 밖으로부터 얻는 것이 아니다. 이른바 앎[知]이란 것은 <혹자의 기록에서는 이 다음에 이렇게 말함: “그저 이치(理)일 뿐이다. 알게 되면”> 곧 나에게 있는 도리를 알게 되는 것이지, 나의 앎[知]을 가지고 저쪽의 도리를 알게 되는 것이 아니다.<ref>주희는 '지(知)'를 여러 다른 의미로 사용하므로 주의해서 읽어야 한다. 첫 번째 '앎'과 두 번째 '알게 되는'과 네 번째 '알게 되는'은 어떤 것을 알게 되는 행위(to know)를 뜻하고 세 번째 '나의 앎'은 무언가를 알 수 있는 능력(intelligence)을 뜻한다.</ref> 도리는 물론 (자기 자신이)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것이지만, 앎[知]을 사용해야만 비로소 틔워낼 수 있다.<ref>여기서의 앎은 의식(consciousness)이나 인지(cognition)에 가깝다.</ref> 만약 앎[知]이 없었다면 도리가 무슨 수로 드러나겠는가? <혹자의 기록: “알게 되는 것은 바로 자기 자신이 먼저 가지고 있던 도리이다. 앎[知]이 없으면 도(道)를 놓아둘 곳이 없게 되고 만다. 그러므로 모름지기 알아야 하니, 그런 다음에야 도리가 정박할 곳이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여름은 덥고 겨울은 추우며, 임금은 인(仁)하고 신하는 공경(敬)하는 것을, 앎[知]이 아니면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그래서 ‘여러 이치를 절묘하게 운용한다[妙衆理]’고 했으니, 여러 이치를 잘 운용할 수 있다는 말과 같다. ‘운용(運用)’이라는 글자는 병폐가 있으므로 그저 ‘묘(妙)’ 자를 쓸 수밖에 없었다.” <혹자의 기록: “대개 이 이치를 안다는 뜻이다.”>
又問: “知與思, 於身最切緊.”
'''재질문: 앎[知]과 생각[思]은 자신에게 가장 가깝고 긴요합니다.
曰: “然. 二者只是一事. 知如手, 思是使那手去做事, 思所以用夫知也.” 僩(69이후). <ref>조선고사본에는 이 뒤에 총 196자의 긴 주석이 달려있는데, 본 조목과 비교하면 첫 질문은 약간 다르고 주희의 대답 부분은 동일하며, 재질문과 재대답이 없는 형태이다. 첫 질문만 번역하고 주희의 대답부분 번역은 생략한다. '혹자의 기록. 곽형의 질문: "대학혹문에서 '(앎은) 묘중리하고 만물을 주재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묘중리'는 무슨 말입니까? 혹시 여러 이치의 오묘한 신비를 탐색하여 주재자가 된다는 것 아닙니까?" (或錄云:郭兄問: "或問'妙衆理而宰萬物者也', 何以謂之妙衆理? 豈非以知能探賾衆理之妙, 而爲之主宰乎?", 曰: "大凡道理, 皆是我自有之物, 非從外得. 所謂知者, 便只是理. 才知得, 便是自知得我之道理, 非是我以知去知那道理也. 道理固本有, 須用知, 方發得出來. 若無知, 道理何從而見? 才知得底, 便是自家先有之道理也. 只是無知, 則道無安頓處. 故須知, 然後道理有所湊泊也. 如冬寒夏熱, 君仁臣敬, 非知, 如何知得? 所以謂之妙萬理, 如云能運用萬理. 只是運用字又有病, 故只下得个妙字, 蓋知得此理也.")</ref>
'''대답: 그렇다. 그 둘은 하나일 뿐이다. 앎[知]은 손과 같고, 생각[思]은 저 손을 부려 일을 하게 하는 것이니, 생각[思]이란 저 앎[知]을 사용하는 것이다.<ref>여기서의 '앎'은 알 수 있는 능력(intelligence) 혹은 의식(consciousness)에 가깝다.</ref>
한(僩)의 기록. (69세 이후)
* 17:41 問: <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다음에 '知則心之神明, 妙衆理而宰萬物者也'이 있다. 해당 부분은 대학혹문의 직접인용이다. 17:39를 보라.</ref>“知如何宰物?”
'''질문: 앎[知]이 어떻게 만물을 주재(宰)합니까?<ref>17:39와 40을 참조하라.</ref>
曰: “無所知覺, 則不足以宰制萬物. 要宰制他, 也須是知覺.” 道夫(60이후).
'''대답: 지각(知覺)<ref>지각(知覺)은 사태의 패턴을 알아차리고 시비를 구분하는 등 인지적 활동 전반을 말한다. 주희는 심지어 이나 벼룩이 사람을 무는 것까지도 지각의 활동이라고 말한다.</ref>이 없으면 만물을 재제(宰制)<ref>힘을 행사하여 무언가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행위를 말한다. 오늘날 표현으로 '컨트롤하다' 정도의 뜻이다.</ref>할 수 없다. 만물을 재제(宰制)하려면 역시 지각(知覺)해야 한다.
도부(道夫)의 기록. (60세 이후)
* 17:42 或問<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에 주석으로 '知者妙衆理而宰萬物'가 더 적혀있다.</ref>: “‘宰萬物’, 是‘主宰’之‘宰’, ‘宰制’之‘宰’?”<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부분 전체가 주석처리되어있고, 이어서 역시 주석으로 '答'자가 적혀있다.</ref>
'''누군가의 질문: ‘재만물(宰萬物)’은 ‘주재(主宰)’의 ‘재(宰)’입니까, ‘재제(宰制)’의 ‘재(宰)’입니까?”
曰: “主便是宰, 宰便是制.”
'''대답: 주(主)가 바로 재(宰)이고, 재(宰)가 바로 제(制)이다.<ref>주(主)는 무언가를 소유한 주인, 재(宰)는 일을 통괄하는 매니져, 제(制)는 컨트롤의 뜻이다. 결국 세 글자 모두 같은 실상을 지시하는 말이다.</ref>
又問: “孟子集注言: ‘心者, 具衆理而應萬事.’ 此言‘妙衆理而宰萬物’, 如何?”
'''재질문: 《맹자집주(孟子集注)》에서는 ‘마음이란 여러 이치를 갖추고 만사에 응하는 (것이다).’라고 하셨는데 여기<ref>대학혹문을 말한다.</ref>서는 ‘여러 이치를 절묘하게 운용하고 만물을 주재한다’고 말씀하신 것은 어째서입니까?
曰: “‘妙’字便稍精彩, 但只是不甚穩當, ‘具’字便平穩.” 履孫(65때).
'''대답: ‘묘(妙)’ 자는 조금 정채(精彩)롭긴 하지만 그다지 온당(穩當)하진 못하고, ‘구(具)’ 자는 평온(平穩)하다.<ref>'묘'는 난이도가 높은 동작을 완벽하게 수행해낸다는 인상이 있다. 그와 비교하면 '구'는 훨씬 수수하고 무엇보다도 정적이다.</ref>
리손(履孫)의 기록. (65세 때)
* 17:43 郭兄問“莫不有以知夫所以然之故, 與其所當然之則.<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로 68자가 더 있다. '當然之則, 如君之仁, 臣之敬, 子之孝, 父之慈, 所以然之故, 如君何故用仁, 臣何故用敬, 父何故用慈, 子何故用孝. 畢竟未曉, 敢以君何故用仁問先生, 伏望敎誨, 俾知所以然之故' 번역은 번역문의 주석쪽을 참조하라.</ref>”
'''곽형(郭兄)이 “그렇게 되는 까닭[所以然之故]과 그 그렇게 해야 마땅한 법칙[其所當然之則]을 알지 못함이 없다”<ref>이치(理)를 설명하는 두 가지 방법이다. '소이연지고(所以然之故)'는 어떤 사태가 발생하게 되는 자연스럽고 합리적인 이유를 말한다. 예컨대 물체가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사물의 이치이다. '소당연지칙(所當然之則)'은 우리가 이런저런 상황에 처하였을 때 준수해야 마땅한 법칙을 말한다. 예컨대 부모가 되어서는 자식을 사랑하는 것이 마땅한 법칙이다. 현행본 대학혹문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있다. '천하의 사물에는 반드시 각자 그렇게 되는 까닭과 그렇게 해야 마땅한 법칙이 있으니, 이것이 이른바 이치이다.(至於天下之物, 則必各有所以然之故, 與其所當然之則, 所謂理也.)' 또, 혹문의 전 5장 부분에서도 '다른 수 없이 마땅히 그렇게 해야만 한다는 점과 반드시 그것이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점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없다.(莫不有以見其所當然而不容巳, 與其所以然而不可易者.)'고 적고 있다.</ref>에 대해 질문함.<ref>조선고사본에 적힌 68자를 이어서 번역하자면 다음과 같다. '그렇게 해야 마땅한 법칙이란 임금의 인(仁), 신하의 경(敬), 아들의 효(孝), 아비의 자(慈) 같은 것들이고, 그렇게 되는 까닭이란 임금은 어째서 인(仁)해야 하는지, 신하는 어째서 경(敬)해야 하는지,아비는 어째서 자(慈)해야 하는지, 아들은 어째서 효(孝)해야 하는지 등입니다. 끝내 깨치지 못하겠으니, 감히 '임금은 어째서 인해야 하는가'를 가지고 선생님께 묻습니다. 부디 가르침을 주시어 '그렇게 되는 까닭'을 알게 해주십시오.</ref>
曰: “所以然之故, 卽是更上面一層. 如君之所以仁, 蓋君是箇主腦, 人民土地皆屬它管, 它自是用仁愛. 試不仁愛看, 便行不得.<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로 '자연히 이렇게 하게 된다(自然用如此).'</ref> 非是說<ref>조선고사본에서는 '是說'이 '說是'로 적혀있다.</ref>爲君了, 不得已用<ref>조선고사본에서는 '以'</ref>仁愛<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로 '行之'</ref>, 自是理合如此. 試以一家論之: 爲家長者便用愛一家之人, 惜一家之物, 自是理合如此, 若天使之然. 每常思量著, 極好笑, 自那原頭來便如此了. 又如父之所以慈, 子之所以孝, 蓋父子本同一氣, 只是一人之身, 分成兩箇, 其恩愛相屬, 自有不期然而然者. 其它大倫皆然, 皆天理使之如此, 豈容强爲哉! 且以仁言之: 只天地生這物時便有箇仁, 它只知生而已. 從他原頭下來, 自然有箇春夏秋冬,<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로 '初有陰陽, 有陰陽, 便有四象'.</ref> 金木水火土. <初有陰陽, 有陰陽, 便有此四者.> <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주석이 없다.</ref>故賦於人物, 便有仁義禮智之性.<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로 '自它原頭處便如此了'</ref> 仁<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에 '則'</ref>屬春, 屬木. 且看春間天地<ref>조선고사본에서는 '天地'가 없다.</ref>發生, 藹然和氣, 如草木萌芽, 初間僅一針許, 少間漸漸生長<ref>조선고사본에서는 '長'을 '發'로 적었다.</ref>, 以至枝葉花實, 變化萬狀, 便可見他生生之<ref>조선고사본에서는 '生之'가 없다.</ref>意. 非仁愛, 何以如此. 緣他本原處有箇仁愛溫和之理如此, 所以發之於用, 自然慈祥惻隱. 孟子說‘惻隱之端’, 惻隱又與慈仁不同, 惻隱是傷痛之切. 蓋仁, 本只有慈愛, 緣見孺子入井, 所以傷痛之切<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로 '也'</ref>. 義屬金, 是天地自然有箇淸峻剛烈之氣. 所以人稟得, 自然有裁制, 便自然有羞惡之心. 禮智皆然. 蓋自本原而已然, 非旋安排敎如此也. 昔龜山問一學者: ‘當見孺子入井時, 其心怵惕·惻隱, 何故如此?’ 學者曰: ‘自然如此.’ 龜山曰: ‘豈可只說自然如此了便休? 須是知其所自來, 則仁不遠矣.’ 龜山此語極好. 又<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로 '引'</ref>或人問龜山曰: ‘“以先知覺後知”, 知·覺如何分?’ 龜山曰: ‘知是知此事, 覺是覺此理.’ 且如知得君之仁, 臣之敬, 子之孝, 父之慈, 是知此事也; 又知得君之所以仁, 臣之所以敬, 父之所以慈, 子之所以孝, 是覺此理也.” 僩(69이후).
'''대답: ‘그렇게 되는 까닭[所以然之故]’이란 다시 한 단계 더 위의 것이다. 예를 들어 임금이 인(仁)하게 되는 까닭은 임금은 두뇌[主腦]여서 인민과 토지가 모두 그의 관할이니 그는 자연히 인애(仁愛)하게 된다. 어디 한번 (임금이) 인애(仁愛)하지 않다고 생각해 보면, 즉시 말이 안 된다[行不得].<ref>'행부득(行不得)'은 근본적인 모순이 있어 성립하거나 기능하지 못한다는 말이다. 임금에게는 모든 것이 자기 소유인데 사람이 자신의 것을 아끼지 않는다는 것은 가만 생각해 보면 '전혀 말이 안 된다'는 뜻이다.</ref> 임금이 되고 나서 부득이하게 인애(仁愛)한다는 말이 아니라, 이치상 당연히 이렇다는 말이다. 어디 한번 한 집안으로 논해보자. 가장(家長)이 된 자는 곧 온 집안 사람을 사랑하고 온 집안 물건을 아끼게 되니, 이치상 당연히 그렇게 되어 마치 하늘이 시켜서 그렇게 된 것 같다. (이런 것을) 생각할 때마다 매우 우스우니, 저 근원[原頭]에서부터 이와 같이 된 것이다. 또, 아버지가 자애롭게 되는 까닭과 아들이 효도하게 되는 까닭의 경우는, 대개 부자(父子)란 본래 같은 하나의 기(氣)인데 한 사람의 몸이 둘로 나뉜 것 뿐이므로,<ref>기는 사람의 물질적인 부분을 설명해주는 개념이다. 자식의 신체는 전적으로 부모에게서 연유한 것이다. 따라서 기의 측면으로 말하자면 양측은 동질의 물질을 두 장소에 나누어둔 것 뿐이다. 비유하자면 같은 물을 두 그릇에 나누어 담은 것과 같다.</ref> 그 은혜와 사랑이 서로 이어지는[恩愛相屬] 것은 자연히 그렇게 되기를 기대하지 않아도 그렇게 되는 점이 있다. 그 밖의 다른 중대한 인간관계의 범주[大倫]<ref>예컨대 오륜(五倫) 같은 것이다.</ref>들이 모두 그러하니, 모두 천리(天理)가 그렇게 시킨 것이다. 어찌 억지로 노력하는 요소가 끼어들 틈이 있겠나? 또, 인(仁)으로 말해보자면, 천지(天地)가 이 사물들을 낳으면서 인(仁)이 있게 되니, 그것은<ref>천지를 말한다.</ref> 단지 낳을[生] 줄만 알 뿐이다. 그 근원[原頭]으로부터 흘러나와 자연히 춘하추동(春夏秋冬)과 금목수화토(金木水火土)가 있게 된다. <먼저 음양(陰陽)이 생기고, 음양(陰陽)이 있고 나서 이 네 가지가 있게 된다.><ref>본문의 맥락으로 보면 이 '네 가지'는 춘하추동이다. 다만 조선고사본쪽을 따르자면 이 네 가지는 사상(四象)이다. 사상은 음양이 한 차례 더 분화한 형태, 곧 태음, 태양, 소음, 소양을 말한다.</ref> 그러므로 (그것들이) 사람과 사물(人物)에게 부여되면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본성(性)이 있게 된다. 인(仁)은 봄에 속하고 목(木)에 속한다.<ref>17:19, 6:45를 참조하라.</ref> 또, 봄철에 천지가 만물을 발생시키고 온화한 기운이 가득한 것[藹然和氣]을 보라. 예컨대 초목의 싹[萌芽]이 처음에는 겨우 바늘 하나 크기였다가 이윽고 점점 생장하여 가지, 잎, 꽃, 열매에 이르도록 변화만상(變化萬狀)하니, 이에 그것의<ref>천지.</ref> 낳고 낳는[生生] 의지를 볼 수 있다. (천지의) 인애(仁愛)가 아니라면 어찌 이와 같겠는가. 그것의 본원(本原)에 인애온화(仁愛溫和)의 이치가 이렇게 있기 때문에, 그것이 발현되어 작용할 적에 자연히 자애롭고 측은하다[慈祥惻隱]. 맹자(孟子)가 ‘측은(惻隱)의 단서[端]’<ref>사단의 하나인 측은지심을 말한다.</ref>를 말하였는데, 측은(惻隱)은 또 자인(慈仁)과 다르니, 측은(惻隱)은 상심하고 애통함[傷痛]이 간절한 것이다. 대개 인(仁)은 본래 자애(慈愛)만 있을 뿐이지만,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는 것을 보았기 때문에 상심하고 애통함이 간절한 것이다. 의(義)는 금(金)에 속하니, 천지에는 자연히 맑고 준엄하며 굳세고 맹렬한 기운[淸峻剛烈之氣]이 있다. 그래서 사람이 그것을 부여받으면 자연히 재제(裁制)<ref>선을 긋고 잘라내고 절제하고 통제하는 행위.</ref>함이 있게 되고, 자연히 수오지심(羞惡之心)<ref>불명예를 수치스러워하고 불의를 미워하는 마음이다.</ref>이 있게 된다. 예(禮)와 지(智)의 경우도 모두 그러하다. 대개 본원(本原)으로부터 이미 그러한 것이지, 임의로[旋]<ref>'旋'은 멋대로, 임의로(隨意).</ref> (의도를 가지고) 안배하여 그렇게 되도록 만드는 것이 아니다. 옛날 구산(龜山)<ref>이정의 제자 양시.</ref>이 어떤 배우는 이에게 묻기를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는 것을 보았을 때 그 마음이 깜짝 놀라고 측은한데[怵惕惻隱], 어째서 이러한가?’ 하니, 그 사람이 답하기를 ‘자연히 그러합니다.’라고 하였다. 구산(龜山)이 말하기를 ‘어찌 그냥 자연히 그렇다고만 말하고 말 수 있는가? 반드시 (그것이) 어디서 왔는지[所自來]를 알아야 하니, (그렇게 하면) 인(仁)에서 멀지 않게 된다.’고 하였다.<ref>구산집(龜山集) 권 11, 어록 2. '(선생이) 말함: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는 것을 본 사람에게 반드시 측은지심이 드는데, 자기의 고통이 아닌데도 빠진자를 위하여 고통스러워하는 것은 어째서인가?" 사조의 대답: "(자기 자신의) 자연스러운 부분에서 나온 것이라 멈출 수 없습니다." (선생이) 말함: 어찌 자연스럽게 그러하겠나? 이 이치를 몸소 탐구하여 (그것이) 어디서 왔는지 알게 되면 인의 도리가 멀지 않게 될 것이다." (曰: "孺子將入於井, 而人見之者, 必有惻隠之心, 疾痛非在己也, 而爲之疾痛, 何也?" 似祖曰: "出於自然, 不可已也." 曰: "安得自然如此? 若體究此理, 知其所從來, 則仁之道不遠矣.")' 주희의 인용이 정확하지는 않지만 큰 틀에서는 다르지 않다.</ref> 구산의 이 말이 대단히 좋다. 또 어떤 사람이 구산에게 묻기를 ‘“먼저 안 자가 뒤에 아는 자를 깨우친다”에서 앎(知)과 깨우침(覺)은 무슨 차이입니까?’라고 하니, 구산이 말하기를 ‘지(知)는 이 일[事]을 안다는 것이고, 각(覺)은 이 이치[理]를 깨닫는다는 것이다.’라고 하였다.<ref>양시가 아니라 이정의 말이다. 이정수언(二程粹言) 권 1에 보인다. 해당 텍스트는 양시가 이정의 어록을 문어체로 바꾼 작품이다. 이때문에 양시의 말인 것으로 착각한 듯하다. '누군가의 질문: "석씨는 '말 한마디에 깨친다'고 하는데 어떻습니까?" 선생: "왜 꼭 부처인가? 맹자도 그렇게 말했다. 먼저 안 자가 뒤에 아는 자를 깨우치고, 먼저 깨친 자가 뒤에 깨친 자를 깨우친다. 앎은 이 일을 안다는 것이고 깨달음은 이 이치를 깨닫는다는 것이다." (或問:釋氏有言下覺,如何? 子曰:何必浮屠氏? 孟子言之矣. 以先知覺後知,以先覺覺後覺. 知者,知此事也. 覺者,覺此理也.)'</ref> 예컨대 임금의 인(仁)과 신하의 경(敬), 아들의 효(孝), 아버지의 자(慈)를 아는 것은 이 일을 아는 것이다. 나아가, 임금이 인(仁)하게 되는 까닭, 신하가 경(敬)하게 되는 까닭, 아버지가 자(慈)하게 되는 까닭, 아들이 효(孝)하게 되는 까닭을 아는 것은 이 이치를 깨닫는 것이다.
한(僩)의 기록. (69세 이후)
* 17:44 或問“格物”章本有“所以然之故”.
'''대학혹문의 ‘격물(格物)’ 장(章)에 원래는 ‘그렇게 되는 까닭[所以然之故]'이라는 표현이 있었다.<ref>현행본 대학혹문의 해당 부분은 다음과 같다. '내가 듣기로, 천도가 작동하여 (만물을) 만들어내고 길러냄에, 소리와 색과 모양을 가지고서 천지 사이를 채우고 있는 것들이 모두 물(物)이다. 물이 있고 나면, 이 물이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된 까닭에는 각각 그렇게 해야 마땅한 법칙이 있어서 자연히 그만둘 수 없으니, 이는 모두 하늘이 부여한 것을 받은 것이지 사람이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다.(曰: "吾聞之也: 天道流行, 造化發育, 凡有聲色貌象而盈於天地之間者, 皆物也; 旣有是物, 則其所以爲是物者莫不各有當然之則而自不容已, 是皆得於天之所賦而非人之所能爲也.)"</ref>
曰: “後來看得, 且要見得‘所當然’是要切處. 若果見得不容已處, 則自可黙會矣.”
'''(이에 대한 선생의) 대답: 나중에 보니, 우선은 ‘그렇게 해야 마땅한 바[所當然]’를 알게 하는 것이 긴요하고 절실[要切]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만일 정말로 그만둘 수 없다는[不容已] 측면<ref>'소당연'을 말한다.</ref>을 보게 된다면 저절로 묵묵히 이해할[默會]<ref>묵묵히 이해함은 소리로 발성하지 않는다는 뜻이 아니다. 개념의 차원에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정감의 차원에서 절감하여 세상과 삶에 대한 나의 태도에 비가역적인 변화가 발생함을 말한다.</ref> 수 있게 될 것이다.
=== '치국과 평천하는 (천자와) 제후의 일이다' 단락 ===
* 治國平天下者諸侯之事一段
'치국과 평천하는 (천자와) 제후의 일이다'<ref>치국은 제후의 일이고 평천하는 천자의 일이다. 대학혹문 원문에서는 '천자와 제후의 일(天子諸侯之事)'이라고 하였으나 여기서는 천자 부분이 생략된 형태로 인용되어 있다.</ref> 단락
* 17:45 問: “南軒謂: ‘爲己者, 無所爲而然也.’”
'''질문: 남헌(南軒)<ref>장식(張栻)</ref>이 ‘자신을 위하는 자[爲己者]<ref>논어 14:25. 배움이 제대로 이루어지면 반드시 타인의 인정과 주목을 받게 된다. 하지만 처음부터 타인의 인정과 주목을 목표로 배움에 종사한다면 배움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전자가 위기지학, 후자가 위인지학이다.</ref>는 위하는 바가 없이 그러하다[無所爲而然也].’<ref> 남헌집 권14. 맹자강의서(孟子講義序). '배우는 사람이 공자와 맹자에 깊이 마음을 두어 반드시 그 문을 찾아 들어가려 한다면, 내 생각에 의(義)와 이(利)의 분별보다 먼저 할 것이 없다. 대개 성인의 학문은 위하는 바가 없이 그러하다. 위하는 바 없이 그러함이 (바로 중용에서 말한) 천명(命)이 그치지 않는 이유이고, 본성(性)이 치우치지 않는 이유이며, 가르침(敎)이 무궁한 이유이다. 무릇 위하는 바가 있어서 그리 되는 것들은 모두 인욕(人欲)의 사사로움이요 천리(天理)가 간직된 바가 아니니, 이것이 바로 의와 이의 구분이다.(學者潜心孔孟, 必得其門而入, 愚以爲莫先於義利之辯. 蓋聖學無所爲而然也. 無所爲而然者, 命之所以不已, 性之所以不偏, 而敎之所以無窮也. 凡有所爲而然者, 皆人欲之私而非天理之所存, 此義利之分也.)' 해당 부분은 주희가 대학혹문에서 직접인용하고 있다.</ref>라고 했습니다.
曰: “只是見得天下事皆我所合當爲而爲之, 非有所因而爲之<ref>조선고사본에서는 '之'를 '也'로 적었다.</ref>. 然所謂天下之事皆我之所當爲者, 只恁地强信不得. 須是學到那田地, 經歷磨鍊多後, 方信得過.” 道夫(60이후).
'''대답: 단지 천하의 일이 모두 자신이 마땅히 해야 할 바라고 보았기에 (그 모든 일들을) 하는 것이지, 어떤 다른 이유로 인하여 그것을 하는 것이 아니다.<ref>통상적인 논어 해석에서 벗어나서 '자기 직분을 벗어나는 일을 하는 것'을 위인지학으로, '자기 직분상 마땅히 해야 할 것을 하는 것'을 위기지학이라고 본 것이다. 대학혹문 경 1장의 14절에서는 치국과 평천하는 모두 천자나 제후쯤 되는 사람들의 일인데 평범한 사대부가 대학을 읽으며 치국 평천하를 꿈꾸는 것은 직분을 벗어나는 일을 생각하는 것이므로 '위인지학'이 아니냐며 의문을 제기한다. 이에 대하여 주희는 군자란 자신이 모시는 임금을 요순처럼 만들어 백성들에게 요순의 은택을 입히려고 하므로 치국 평천하가 모두 군자의 '직분'의 범위 안에 들어온다고 대답한다. 그러므로 군자가 되고자 하는 이가 대학의 치국 평천하 부분을 공부하는 것은 자기 직분 내의 것을 공부하는 것이므로 '위기지학'이 된다. 관련하여 어류 15:156을 보라.</ref> 그러나 이른바 천하의 일이 모두 내가 마땅히 해야 할 바라는 것은, 그저 그렇게 억지로 믿는[强信] 것으로는 안 된다. 반드시 배워서 저 경지[田地]에 도달하여 많은 경험과 단련[經歷磨鍊]을 거친 뒤에야 비로소 확실히 믿어지게 된다[信得過].<ref>'得過'의 '득'은 가능성을, '과'는 방향을 나타내는 보어이다.</ref>
도부(道夫)의 기록. (60세 이후)
* 17:46 問爲己.
'''위기(爲己)에 대해 묻다.<ref>직전 조목을 참조하라.</ref>
曰: “這須要自看, 逐日之間, 小事大事, 只是道我合當做, 便如此做, 這便是無所爲. 且如讀書, 只道自家合當如此讀, 合當如此理會身己. 才說要人知, 便是有所爲. 如世上人才讀書, 便安排這箇好做時文, 此又爲人之甚者.” 賀孫(62이후).
'''대답: 이는 모름지기 스스로 보아야 하니, 매일매일 작은 일이든 큰 일이든 그저 '나는 이걸 해야 한다'고 말하고 그렇게 하는 것, 이것이 바로 위하는 바가 없는 것[無所爲]이다. 예컨대 글을 읽을 때, 그저 '나는 이렇게 (이걸) 읽어야 한다', '이렇게 자기자신을 신경써야[理會] 한다'<ref>'리회(理會)'는 종종 어떤 사안에 관심을 가지고 집중적으로 살피고 헤아리는 행위를 말한다. 8:91에서 비슷한 취지로 말하고 있으니 참조하라.</ref>고 말하는 것과 같다. 남이 알아주기를 바란다고 말하자마자 곧 위하는 바가 있는 것[有所爲]이 된다. 예컨대 세상 사람들이 글을 읽자마자 (자기가) 읽은 것을 활용하여[安排] 완전히[好]<ref>'好'는 이어지는 동작의 완성도가 높음을 나타낸다.</ref> 시문(時文)<ref>과거시험답안.</ref>으로 만들어버리는 것은 그중에서도 남을 위함[爲人]이 심한 경우이다.
하손(賀孫)의 기록. (62세 이후)
* 17:47 “‘爲己者, 無所爲而然.’ 無所爲, 只是見得自家合當做, 不是要人道好. 如甲兵·錢穀·籩豆·有司, 到當自家理會便理會, 不是爲別人了理會. 如割股·廬墓, 一則是不忍其親之病, 一則是不忍其親之死, 這都是爲己. 若因要人知了去恁地, 便是爲人.”
'''‘자신을 위하는 자[爲己者]는 위하는 바가 없이 그러하다[無所爲而然].’<ref>장식의 말. 17:45를 보라.</ref> 위하는 바가 없다는 것은 그저 자기 자신이 (어떤 것을) 마땅히 해야 함을 알게 된 것이지, 남들이 '좋다'고 말해주기를 바라는 것이 아니다. 갑병(甲兵)<ref>군무를 말한다.</ref>·전곡(錢穀)<ref>재무를 말한다.</ref>·변두(籩豆)<ref>제사와 의전을 말한다.</ref>·유사(有司)<ref>그밖의 모든 실무를 말한다.</ref>와 같이, 자기 자신이 마땅히 처리[理會]<ref>'리회(理會)'의 번역에 관해서는 직전 조목의 주석을 참조하라.</ref>해야 할 때가 되면 곧 처리하는 것이지, 다른 사람을 위해서 처리하는 것이 아니다. 할고(割股)<ref>자신의 허벅지살을 베어내 병든 부모에게 먹이는 행위. 효행의 케이스로 종종 거론된다.</ref>나 여묘(廬墓)<ref>부모의 무덤 곁에 여막을 짓고 사는 행위. 역시 효행의 일종으로 거론된다.</ref> 같은 것은, 하나는 그 어버이의 병듬을 견디지 못해서 그런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 어버이의 죽음을 견디지 못해서 그런 것이니, 이는 모두 자신을 위하는[爲己] 행위이다. 만약 남이 알아주기를 바라기 때문에 그렇게 한다면 곧 남을 위하는[爲人] 행위이다.<ref> 이 부분은 대학혹문의 특정 구문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이다. '대저 배우는 사람의 입장에서 천하의 사무를 보기를 (모두) 마땅히 해야 하는 자신의 사무로 여기고 수행한다면 갑병, 전곡, 변두, 유사의 업무조차도 모두 자신을 위하는[爲己] 것이다. (하지만) 세상에 알려질 수 있겠구나 하여 수행한다면 (자기) 허벅지살을 베어내고 여묘살이하고 망가진 수레와 파리한 말을 타는 것도 모두 남을 위하는[爲人] 것일 뿐이다.(大抵以學者而視天下之事, 以爲己事之所當然而爲之, 則雖甲兵·錢穀·籩豆·有司之事, 皆爲己也; 以其可以求知於世而爲之, 則雖割股廬墓、敝車羸馬, 亦爲人耳.)'</ref>
器遠問: “子房以家世相韓故, 從少年結士, 欲爲韓報仇, 這是有所爲否?”
'''기원(器遠)<ref>주희의 제자 조숙원(曹叔遠)</ref>의 질문: 자방(子房)<ref>한(漢)의 개국공신 장량(張良, BC 250-BC 186).</ref>이 집안 대대로 한(韓)나라를 섬겼기 때문에 젊어서부터 선비를 모아 한(韓)나라를 위해 복수하고자 하였는데, 이것은 위하는 바가 있는 것[有所爲] 아닙니까?
曰: “他當初只一心欲爲國報仇. 只見這是箇臣子合當做底事, 不是爲別人, 不是要人知.” 賀孫(62이후).
'''대답: 그는 애당초 오직 한 마음으로 나라를 위해 복수하고자 했을 뿐이다. 그저 이것이 신하로서 마땅히 해야 할 일임을 보았을 뿐이지, 다른 사람을 위해서도 아니고 남이 알아주기를 바란 것도 아니다.
하손(賀孫)의 기록. (62세 이후)
* 17:48 行夫問<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로 '남헌이 말하기를(南軒云)'이 더 있다.</ref>“爲己者無所爲而然”. <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로 '...다. 이는 모든 일이 다 자신이 응당 해야 할 바라고 보아서 남이 알아주기를 구하지도 칭찬을 바라지도 않고 그 어떤 다른 (목적)에도 의지하지 않는다는 말 아닙니까? (也. 這是見得凡事皆吾所當爲, 非求人知, 不求人譽, 無倚無靠之謂否?)'가 더 있다.</ref>
'''행부(行夫)가 “자신을 위하는 자는 하는 바가 없이 그러하다[爲己者無所爲而然]”에 대해 묻다.
曰: “有所爲者, 是爲人也. 這須是見得天下之事實是己所當爲, 非吾性分之外所能有, 然後爲之, 而無爲人之弊耳. 且如‘哭死而哀, 非爲生者’. 今人弔人之喪, 若以爲亡者平日與吾善厚, 眞箇可悼, 哭之發於中心, 此固出於自然者. 又有一般人欲亡者家人知我如此而哭者, 便不是, 這便是爲人. 又如人做一件善事, 是自家自肯去做, 非待人敎自家做, 方勉强做, 此便不是爲人也.”
o 답하다: “하는 바가 있는 자[有所爲者]는 남을 위하는 것[爲人]이다. 이는 모름지기 천하의 일이 실제로는 자신이 마땅히 해야 할 바이며 자기 성분(性分) 밖의 것이 아님을 본 뒤에야 그것을 행하여 남을 위하는 폐단[爲人之弊]이 없게 된다. 또한 예컨대 ‘죽은 이를 위해 곡하며 슬퍼하는 것은 산 자를 위한 것이 아니다[哭死而哀, 非爲生者].’ 지금 사람이 다른 사람의 상(喪)에 조문할 때, 만약 죽은 자가 평소 나와 잘 지냈으므로 참으로 슬퍼할 만하다고 여겨 곡함이 마음속에서 우러나온다면, 이는 진실로 자연에서 나온 것이다. 또한 어떤 부류의 사람은 죽은 자의 가족이 내가 이렇다는 것을 알아주기를 바라며 곡하는 자가 있으니, 이는 곧 옳지 않으며 이것이 바로 남을 위하는 것[爲人]이다. 또한 사람이 한 가지 선한 일을 할 때, 자기 자신이 스스로 하려고 해서 하는 것이지, 남이 자기에게 하라고 시키기를 기다려 비로소 억지로 하는 것이 아니라면, 이는 곧 남을 위하는 것[爲人]이 아니다.”
道夫曰: “先生所說錢穀·甲兵·割股·廬墓, 已甚分明, 在人所見如何爾.”
o 도부(道夫)가 말하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전곡(錢穀)·갑병(甲兵)·할고(割股)·여묘(廬墓)는 이미 매우 분명하니, 사람이 어떻게 보느냐에 달려 있을 뿐입니다.”
又問: “割股一事如何?”
o 또한 묻다: “할고(割股) 한 가지 일은 어떻습니까?”
曰: “割股固自不是. 若是誠心爲之, 不求人知, 亦庶幾.”
o 답하다: “할고(割股)는 진실로 그 자체로 옳지 않다. 만약 성심(誠心)으로 그것을 하고 남이 알아주기를 구하지 않는다면 또한 거의 가깝다[庶幾].”
“今有以此要譽者.”
o “지금 이로써 명예를 구하려는 자가 있습니다.”
因擧一事爲問. 先生詢究, 駭愕者久之,<ref>조선고사본에서는 이 뒤로 '再問: 如今都不問如何, 都<不只>自認自家不是然, 其曲折亦甚難處, 久之.'가 더 있다.</ref> 乃始正色直辭曰: “只是自家過計了. 設使後來如何, 自家也未到得如此, 天下事惟其直而已. 試問鄕鄰, 自家平日是甚麽樣人! 官司推究亦自可見.”
이어서 한 가지 일을 들어 물었다. 선생님께서 자세히 물으시고 오랫동안 놀라고 의아해하시다가, 비로소 안색을 바로 하고 단호하게 말씀하셨다: “단지 자기 자신이 지나치게 계산했을 뿐이다[過計]. 설령 나중에 어떻게 되더라도 자기 자신 또한 이 지경에 이르지 않을 것이니, 천하의 일은 오직 그 곧음[直]뿐이다. 시험 삼아 마을 사람들에게 물어보라, 자기 자신이 평소 어떤 사람인지! 관청(官司)에서 조사해도 또한 저절로 알 수 있을 것이다.”
行夫曰: “亦著下獄使錢, 得箇費力去.”
o 행부(行夫)가 말하다: “또한 옥에 갇혀 돈을 써서 힘든 일을 겪어야 할 것입니다.”
曰: “世上那解免得全不霑濕! 如先所說, 是不安於義理之慮. 若安於義理之慮, 但見義理之當爲, 便恁滴水滴凍做去, 都無後來許多事.” 道夫(60이후).
o 답하다: “세상에서 어찌 완전히 젖지 않고[霑濕] 면할 수 있겠는가!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의리(義理)에 불안해하는 걱정이다. 만약 의리(義理)에 편안한 걱정이라면, 단지 의리상 마땅히 해야 함을 보면 곧 그렇게 물방울이 얼음을 녹이듯[滴水滴凍] 해나가서 뒷날의 많은 일이 모두 없을 것이다.”
도부(道夫)의 기록. (60세 이후)
== 전 1장 ==
* 傳一章
전 1장
=== '그렇다면 (전 1장에서) 극명덕이라고 한 것은...' 단락 ===
* 然則其曰克明德一段
'그렇다면 (전 1장에서) 극명덕이라고 한 것은...' 단락
* 17:49 問: “‘克明德’, ‘克, 能也’. 或問中卻作能‘致其克之之功’, 又似‘克治’之‘克’, 如何?” 曰: “此‘克’字雖訓‘能’字, 然‘克’字重於‘能’字. ‘能’字無力, ‘克’字有力. 便見得是他人不能, 而文王獨能之. 若只作‘能明德’, 語意便都弱了. 凡字有訓義一般, 而聲響頓異, 便見得有力無力之分, 如‘克’之與‘能’是也. 如云‘克宅厥心’, ‘克明俊德’之類, 可見.” 僩(69이후).
*
=== '하늘의 밝은 명령을 자세히 살핀다' 단락 ===
* 顧諟天之明命一段
'하늘의 밝은 명령을 자세히 살핀다' 단락
* 17:50 問: “‘全體大用, 無時不發見於日用之間’. 如何是體? 如何是用?” 曰: “體與用不相離. 且如身是體, 要起行去, 便是用. ‘赤子匍匐將入井, 皆有怵惕惻隱之心, ’只此一端, 體·用便可見. 如喜怒哀樂是用, 所以喜怒哀樂是體.” 淳錄云: “所以能喜怒者, 便是體.” 㝢(61이후).
* 17:51 問: “或問: ‘常目在之, 眞若見其“參於前, 倚於衡”也, 則“成性存存”, 而道義出矣.’ 不知所見者果何物耶?” 曰: “此豈有物可見! 但是凡人不知省察, 常行日用, 每與是德相忘, 亦不自知其有是也. 今所謂顧諟者, 只是心裏常常存著此理在. 一出言, 則言必有當然之則, 不可失也; 一行事, 則事必有當然之則, 不可失也. 不過如此耳, 初豈實有一物可以見其形象耶!” 壯祖(미상).
* 17:52 問: “引‘成性存存”, 道義出矣’, 何如?” 曰: “自天之所命, 謂之明命, 我這裏得之於己, 謂之明德, 只是一箇道理. 人只要存得這些在這裏. 才存得在這裏, 則事君必會忠; 事親必會孝; 見孺子, 則怵惕之心便發; 見穿窬之類, 則羞惡之心便發; 合恭敬處, 便自然會恭敬; 合辭遜處, 便自然會辭遜. 須要常存得此心, 則便見得此性發出底都是道理. 若不存得這些, 待做出, 那箇會合道理!” 賀孫(62이후).
*
=== '이 세 가지는 실로 모두 스스로 밝히는 일이다.' 단락 ===
* 是三者固皆自明之事一段
'이 세 가지는 실로 모두 스스로 밝히는 일이다.' 단락
* 17:53 問: “‘顧諟’一句, 或問復以爲見‘天之未始不爲人, 而人之未始不爲天’, 何也?” 曰: “只是言人之性本無不善, 而其日用之間莫不有當然之則. 則, 所謂天理也. 人若每事做得是, 則便合天理. 天人本只一理. 若理會得此意, 則天何嘗大, 人何嘗小也!” 壯祖(미상).
* 17:54 問“天未始不爲人, 而人未始不爲天.” 曰: “天卽人, 人卽天. 人之始生, 得於天也; 旣生此人, 則天又在人矣. 凡語言動作視聽, 皆天也. 只今說話, 天便在這裏. 顧諟, 是常要看敎光明燦爛, 照在目前.” 僩(69이후).
*
== 전 2장 ==
* 傳二章
전 2장
=== '누군가의 질문: 욕조(盤)에 명문(銘)을 새긴 까닭은...' 단락 ===
* 或問盤之有銘一段
'누군가의 질문: 욕조(盤)에 명문(銘)을 새긴 까닭은...' 단락
* 17:55 德元問: “湯之盤銘, 見於何書?” 曰: “只見於大學.” 又曰: “成湯工夫全是在‘敬’字上. 看來, 大段是一箇修飭底人, 故當時人說他做工夫處亦說得大段地著. 如禹‘克勤于邦, 克儉于家’之類, 卻是大綱說. 到湯, 便說‘檢身若不及’.” 文蔚云: “‘以義制事, 以禮制心’, ‘不邇聲色, 不殖貨利’等語, 可見日新之功.” 曰: “固是. 某於或問中所以特地詳載者, 非道人不知, 亦欲學者經心耳.” 文蔚(59이후).
* 17:56 問: “丹書曰: ‘敬勝怠者吉, 怠勝敬者滅; 義勝欲者從, 欲勝義者凶.’ ‘從’字意如何?” 曰: “從, 順也. 敬便豎起, 怠便放倒. 以理從事, 是義; 不以理從事, 便是欲. 這處敬與義, 是箇體·用, 亦猶坤卦說敬·義.” 㝢(61이후).
*
== 전 3장 ==
* 傳三章
전 3장
=== '다시 시경 기욱(淇奧)편을 인용한 까닭은...' 단락 ===
* 復引淇澳之詩一段
'다시 시경 기욱(淇奧)편을 인용한 까닭은...' 단락
* 17:57 “‘瑟兮僩兮者, 恂慄也’. ‘僩’字, 舊訓寬大. 某看經子所載, 或從‘忄’·或從‘扌’之不同, 然皆云有武毅之貌, 所以某注中直以武毅言之.” 道夫云: “如此注, 則方與‘瑟’字及下文恂慄之說相合.” 曰: “且如‘恂’字, 鄭氏讀爲‘峻’. 某始者言, 此只是‘恂恂如也’之‘恂’, 何必如此. 及讀莊子, 見所謂‘木處則惴慄恂懼’, 然後知鄭氏之音爲當. 如此等處, 某於或問中不及載也. 要之, 如這般處, 須是讀得書多, 然後方見得.” 道夫(60이후).
* 17:58 問: “切磋琢磨, 是學者事, 而‘盛德至善’, 或問乃指聖人言之, 何也?” 曰: “後面說得來大, 非聖人不能. 此是連上文‘文王於緝熙敬止’說. 然聖人也不是揷手掉臂做到那處, 也須學始得. 如孔子所謂: ‘德之不修, 學之不講, 聞義不能徙, 不善不能改, 是吾憂也.’ 此有甚緊要? 聖人卻憂者, 何故? 惟其憂之, 所以爲聖人. 所謂‘生而知之者’, 便只是知得此而已. 故曰: ‘惟聖罔念作狂, 惟狂克念作聖.’” 淳(61·70때). 寓同.
* 17:59 “‘如切如磋者, 道學也; 如琢如磨者, 自修也.’ 旣學而猶慮其未至, 則復講習討論以求之, 猶治骨角者, 旣切而復磋之. 切得一箇樸在這裏, 似亦可矣, 又磋之使至於滑澤, 這是治骨角者之至善也. 旣修而猶慮其未至, 則又省察克治以終之, 猶治玉石者, 旣琢而復磨之. 琢, 是琢得一箇樸在這裏, 似亦得矣, 又磨之使至於精細, 這是治玉石之至善也. 取此而喩君子之於至善, 旣格物以求知所止矣, 又且用力以求得其所止焉. 正心·誠意, 便是道學·自修①. ‘瑟兮僩兮, 赫兮喧兮’, 到這裏, 睟面盎背, 發見於外, 便是道學·自修之驗也.” 道夫云: “所以或問中有始終條理之別也, 良爲此爾.” 曰: “然.” 道夫(60이후).
* 17:60 “‘如切如磋’, 道學也”, 卻以爲始條理之事; “‘如琢如磨’, 自修也”, 卻以爲終條理之事, 皆是要工夫精密. 道學是起頭處, 自修是成就處. 中間工夫, 旣講求又復講求, 旣克治又復克治, 此所謂已精而求其益精, 已密而求其益密也. 謨(50이후).
* 17:61 周問: “切磋是始條理, 琢磨是終條理. 終條理較密否?” 曰: “始終條理都要密, 講貫而益講貫, 修飭而益修飭.” 淳(61·70때).
* 17:62 問: “琢磨後, 更有瑟僩赫喧, 何故爲終條理之事?” 曰: “那不是做工夫處, 是成就了氣象恁地. ‘穆穆文王’, 亦是氣象也.” 㝢(61이후).
5ohhg5yatqgnmefmvy1uk438rtw2980
페이지:태셔신사 상.djvu/107
250
86791
390648
351744
2025-06-09T06:28:26Z
ZornsLemon
15531
39064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갑만 도드니 후일의 ᄒᆡ가 장ᄎᆞᆺ 엇더ᄒᆞᆯ이오 국ᄉᆞᄅᆞᆯ 의론ᄒᆞᆷ이 시졍에 모리ᄇᆡ ᄀᆞᆺᄐᆞ야 시비곡직을 무론ᄒᆞ고 갑의 뇌물이 후ᄒᆞ면 갑을 올타 ᄒᆞ고 을의 뇌물이 만흐면 ᄯᅩ 변ᄒᆞ야 을이 올타 ᄒᆞ니 국사ㅣ 지ᄎᆞ에 ᄯᅩ 무를 거시 업다 ᄒᆞ더라
{{du|영}}왕 {{u|쳘이치 뎨ᄉᆞᆷ}}이<ref>조지 3세(George III)</ref> ᄌᆡ위 시에 ᄆᆡ관 뉵작을 일ᄉᆞᆷ을ᄉᆡ 일쳔칠ᄇᆡᆨ팔십ᄉᆞ년 【뎡종 팔년】 이젼의 법률은 무릇 민간이 의원을 쳔거ᄒᆞ면 ᄉᆞ십여 일을 지ᄂᆡ고 비로소 인군의게 정탈ᄒᆞ든 바ㅣ라 {{u|쳘이치 뎨ᄉᆞᆷ}}이 령을 나리여 십오일을 넘지 말나 ᄒᆞ니 이에 의원을 희ᄀᆡᄒᆞᄂᆞᆫ 무리가 조흔 슐과 안쥬ᄅᆞᆯ 가지고 여러 ᄉᆞᄅᆞᆷ을 청ᄒᆞ야 대ᄎᆔ토록 먹이여 즁인의 마음을 ᄉᆞ며 민간이 이ᄅᆞᆯ 인ᄒᆞ야 종신토록 쥬광이 되ᄂᆞᆫ ᄌᆞ도 잇고 그럿치 아니면 이 과궐을 도모코ᄌᆞ ᄒᆞ야 친구 교졉간에 전장과 ᄀᆞᆺ치 ᄊᆞ호니 민간의 ᄒᆡᄂᆞᆫ 더욱 말{{SIC|ᄒᆞᆷ|ᄒᆞᆯ}} 것이 업더라
{{du|소격난}} 일경은 {{du|영륜}}에 비ᄒᆞ야도 더욱 심ᄒᆞ니 ᄇᆡᆨ셩이 거관ᄒᆞᄂᆞᆫ 권이 업고 【거관은 관원 쳔거ᄒᆞᆷ이라】 ᄆᆡ양 거관ᄒᆞᆯ ᄯᅢᄅᆞᆯ 당ᄒᆞ야 일졍ᄒᆞᆫ 규모ㅣ 업고 오즉 종치ᄂᆞᆫ 소ᄅᆡ 들니면 비로소 의원 쳔거ᄒᆞᆷ을 알고 일쳔팔ᄇᆡᆨᄉᆞᆷ십년【순조 삼십년】에 {{du|소격난}} 일ᄉᆡᆼ을 합ᄒᆞ야 거관ᄒᆞᄂᆞᆫ 권을 가진 자ㅣ 불과 이쳔인이오 기즁 {{du|파탈}}이라<ref>뷰트(Bute)</ref> ᄒᆞᄂᆞᆫ 고을은 겨우 한 ᄉᆞᄅᆞᆷ이 거관ᄒᆞᆯ지라 ᄆᆞᆺᄎᆞᆷ 의원의 궐이 잇거ᄂᆞᆯ 그 ᄉᆞᄅᆞᆷ이 곳 ᄌᆞ긔 성명을 쳔거ᄒᆞ야 의원을 ᄌᆞ구ᄒᆞ니 그 가소로옴이 말ᄒᆞᆯ 것 업고 더욱 우수운 ᄌᆞᄂᆞᆫ 당시에 의원 쳔거ᄒᆞᆫ다ᄂᆞᆫ ᄌᆞᄂᆞᆫ ᄇᆡᆨ셩이로되 기실은 다 국가의 왕족이 아니면 곳 셰가라 거관ᄒᆞᆯ ᄯᅢ에ᄂᆞᆫ ᄇᆡᆨ셩의게 뭇지 아니ᄒᆞ고 임의 망ᄒᆡᆼᄒᆞ야 황족이나 셰가의 졀졔ᄃᆡ로 쥰ᄒᆡᆼᄒᆞ며 만일 이 ᄉᆞᄅᆞᆷ이 그 ᄌᆞ졔ᄅᆞᆯ 거쳔코ᄌᆞ ᄒᆞ면 국가에셔ᄂᆞᆫ 그 봉령 승교ᄒᆞ야 국ᄉᆞᄅᆞᆯ 마니 ᄒᆞ얏스니 부득불 한 ᄌᆞ리ᄅᆞᆯ 쥬어야 올타 ᄒᆞ야 공장의 고 ᄭᅡ쥬ᄂᆞᆫ 것과 ᄀᆞᆺ치 시ᄒᆡᆼᄒᆞ니 ᄇᆡᆨ셩의 곤궁ᄒᆞᆷ이 어ᄂᆡ 날 소셩ᄒᆞ리요 슬푸도다
::뎨이졀 {{du|법국}} 대란ᄒᆞᆫ 관계라
{{du|법국}}이 젹폐 ᄐᆡ심ᄒᆞ야 드듸여 민란을 일우니 각국 ᄇᆡᆨ셩이 듯ᄂᆞᆫ 자ㅣ 막불 상고동ᄉᆡᆨᄒᆞ야 국가 폐단을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1bn2s7d7cjjxp7npjzlh3g2j50oxdgf
페이지:태셔신사 상.djvu/138
250
87210
390651
327585
2025-06-09T06:41:47Z
ZornsLemon
15531
39065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ᄯᅩ 그 남ᄌᆞㅣ 쥭은 후에 국가로셔 과부의 빈량을 쥬니 그 미비가 젹지 아니ᄒᆞᆫ지라 ᄉᆞᄅᆞᆷ의 쥭은 거슬 통게ᄒᆞ면 이왕 젼ᄌᆡᆼ시보다 더ᄒᆞ고 ᄯᅩ 진신셰가 ᄉᆞᄅᆞᆷ의 슈한을 상고ᄒᆞ면 ᄉᆞ십ᄉᆞ셰에 넘지 못ᄒᆞ고 ᄎᆞ외에 로력근고ᄒᆞᄂᆞᆫ ᄇᆡᆨ셩으로 말ᄒᆞ면 불과 이십이셰라 만일 위ᄉᆡᆼᄒᆞᄂᆞᆫ 법을 일즉이 ᄒᆡᆼᄒᆞ얏던들 ᄉᆞᄅᆞᆷ마다 칠십을 살지니 그 ᄎᆞᆷ혹ᄒᆞᆷ 을 엇지 말ᄒᆞ리오 이졔 만일 국가로셔 조쳐ᄅᆞᆯ 잘ᄒᆞ면 ᄆᆡ년에 구ᄒᆞᆯ ᄌᆞㅣ ᄉᆞᆷᄉᆞ만이 되리라 ᄒᆞ니 {{du|영}}인이 듯고 경황실조 아니리 업더라
{{du|영}}인이 이에 셩ᄂᆡ에 잇ᄂᆞᆫ 분묘ᄅᆞᆯ 옴기여 셩외에 이장ᄒᆞ고 ᄯᅩ 셩시간에ᄂᆞᆫ 은구ᄅᆞᆯ 노아 더러운 물을 류통케 ᄒᆞ며 민가이 파상ᄒᆞᆫ ᄌᆞᄂᆞᆫ 국가로셔 졍결히 곳처 거ᄒᆞ게 ᄒᆞ며 ᄯᅩ 시병원을 ᄂᆡ여 병든 ᄉᆞᄅᆞᆷ을 구ᄒᆞ더라
쟝졍을 곳친 후 다시 ᄉᆡᆼᄉᆞ 슈효ᄅᆞᆯ 상고ᄒᆞ니 일쳔팔ᄇᆡᆨᄉᆞᆷ십칠년【헌종 ᄉᆞᆷ년】에ᄂᆞᆫ 만 명 즁에 이ᄇᆡᆨᄉᆞ십칠 인이 쥭고 일쳔팔ᄇᆡᆨ팔십뉵년【ᄃᆡ군쥬 이십ᄉᆞᆷ년】에ᄂᆞᆫ 만 명 즁에 이ᄇᆡᆨ 인이 쥭고 ᄯᅩ 근년 {{du|구쥬}} 각국에 ᄆᆡ년 쥭ᄂᆞᆫ ᄉᆞᄅᆞᆷ 총슈가 {{du|셔뎐}} {{du|단믁}} 외에 {{du|영국}}이 가장 젹으며 {{du|법국}}은 만 명 즁에 이ᄇᆡᆨ칠십칠 인이 되고 {{du|항가리}} 【일명은 {{du|마가}}라】 ᄯᅡ에ᄂᆞᆫ 만 명 즁에 ᄉᆞᆷᄇᆡᆨ칠십이 인이오 {{du|오지리아}}국은 만 명 즁에 이ᄇᆡᆨ구십ᄉᆞ 인이 되고 {{du|의대리}}국은 만 명 즁에 이ᄇᆡᆨ팔십칠 인이 되고 {{du|보로ᄉᆞ}}ᄂᆞᆫ 만 명 즁에 이ᄇᆡᆨ오십ᄉᆞ 인이 되더라
이ᄅᆞᆯ 볼진ᄃᆡᆫ 병 되ᄂᆞᆫ 근원을 다 막앗다 ᄒᆞᆯ 만ᄒᆞ나 오히려 진션진미치 못ᄒᆞᆷ은 어린 아ᄒᆡ 나이 오 셰 되면 ᄆᆡ양 ᄉᆡᆼᄉᆞ 관두ᄒᆞ야 아ᄒᆡ 열 중 다셧시 죽으니 만일 아ᄒᆡ 양육ᄒᆞᄂᆞᆫ 법을 곳쳣스면 더욱 조흘너라
::뎨이졀 교중에 ᄭᅡ다로온 젼례ᄅᆞᆯ 졔ᄒᆞᆷ이라
{{du|구쥬}}의 교화ㅣ 셰 길에 난회니 일은 텬주교요 일은 {{du|희랍}}교요 일은 {{u|야소}}교라 {{du|남구쥬}} ᄉᆞᄅᆞᆷ은 ᄐᆡ반이 텬주교ᄅᆞᆯ 봉ᄒᆡᆼᄒᆞ고 {{du|구쥬}} 셔븍 ᄉᆞᄅᆞᆷ은 ᄐᆡ반이 {{u|야소}}교ᄅᆞᆯ 봉ᄒᆡᆼᄒᆞ고 그 동방 일ᄃᆡ에ᄂᆞᆫ {{du|희랍}}교ᄅᆞᆯ 쥰ᄒᆡᆼᄒᆞ니 이 교ᄂᆞᆫ 다 ᄒᆞᆫ 파로 문호만 달은지라 지어 {{du|영국}}ᄒᆞ야ᄂᆞᆫ {{u|야소}}교ᄅᆞᆯ 봉ᄒᆡᆼᄒᆞ되 ᄯᅩ 두 가지 교회ᄅᆞᆯ 분ᄒᆞ야 일은 관회니 【관가로셔 셰운 회라】 창셜헐 ᄯᅢ에 례ᄇᆡ당과 교ᄉᆞ의 집을 관가로셔 지어 쥬고 그 교인은 관회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am557og24456u3ymshzuu4vqietaje
페이지:태셔신사 상.djvu/142
250
87214
390655
327589
2025-06-09T07:08:20Z
ZornsLemon
15531
39065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어 촌민ᄒᆞ야ᄂᆞᆫ 부셰 젹은 ᄌᆞㅣ 의연이 슈슈방관ᄒᆞ야 ᄎᆞᆷ예치 못ᄒᆞ더니 날이 오ᄅᆡᄆᆡ 촌민이 ᄯᅩᄒᆞᆫ 원망ᄒᆞ야 왈 우리 다 {{du|영국}} 신ᄌᆞ 되기ᄂᆞᆫ 갓거ᄂᆞᆯ 엇지ᄒᆞ야 우리ᄂᆞᆫ 향우지탄이 잇게 ᄒᆞᄂᆞᆫ요 ᄒᆞ더라 일쳔팔ᄇᆡᆨ팔십ᄉᆞ년【대군쥬 이십일년】에 하의원이 ᄀᆡ론ᄒᆞ야 촌민의 부셰 다소ᄅᆞᆯ 뭇지 말고 일톄로 권을 쥬미 올타 ᄒᆞ야 상의원에 청ᄒᆞ니 상의원이 허치 아니ᄒᆞᄂᆞᆫ지라 이에 ᄇᆡᆨ셩이 듯고 거국이 소연ᄒᆞ더라 이 ᄒᆡ 가을에 하의원 령수 {{u|긔날ᄉᆞ단}}이 신장졍을 ᄂᆡ되 무릇 거관ᄒᆞᄂᆞᆫ 권은 ᄇᆡᆨ셩의 슈효ᄅᆞᆯ ᄯᅡ라 졍ᄒᆞᄌᆞ ᄒᆞ야 일쳔팔ᄇᆡᆨ팔십오년【대군쥬 이십이년】에 비로소 시ᄒᆡᆼᄒᆞ니 {{du|영}}인이 더욱 환희ᄒᆞ더라
오십년 젼에ᄂᆞᆫ 거관ᄒᆞᄂᆞᆫ 권을 ᄇᆡᆨ셩 다과ᄂᆞᆫ 뭇지 아니ᄒᆞ고 오즉 각 쥬 각군 각부에 분ᄇᆡᄒᆞ얏더니 이졔ᄂᆞᆫ 민인의 슈ᄅᆞᆯ ᄯᅡ라 졍헐ᄉᆡ ᄉᆞᄅᆞᆷ이 젹은 곳은 일이인을 쳔ᄒᆞ고 만은 곳은 오륙인 팔구인을 쳔ᄒᆞ게 ᄒᆞ니 종젼에ᄂᆞᆫ 그 권 가진 ᄌᆞㅣ ᄉᆞᆷᄇᆡᆨ만 명이러니 지금은 오ᄇᆡᆨ만 인이 되더라
::뎨오졀 학교ᄅᆞᆯ 확장ᄒᆞᆷ이라
거관ᄒᆞᄂᆞᆫ 권을 널인 후에 다시 의론 왈 ᄇᆡᆨ셩이 권을 가지고 지식이 열지 아니ᄒᆞ면 엇지 졍ᄉᆞᄅᆞᆯ ᄎᆞᆷ예ᄒᆞ리오 ᄒᆞ니 이ᄯᅢᄂᆞᆫ ᄇᆡᆨ셩이 지식이 업슬 ᄲᅮᆫ 아니라 심지어 목불식졍ᄒᆞᄂᆞᆫ ᄌᆞㅣ 만터라 이에 일쳔팔ᄇᆡᆨ뉵십칠년【대군쥬 사년】에 {{u|긔날ᄉᆞ단}}이 ᄌᆡ상이 되고 그 부하 뇨속이 ᄯᅩᄒᆞᆫ 갈진심력ᄒᆞ야 ᄇᆡᆨ셩을 교육ᄒᆞ더라
일쳔팔ᄇᆡᆨ칠십년【대군쥬 {{sic|뉵|칠}}년】에 의원 {{u|복셰덕}}이<ref>포스터(Forster)</ref> 헌ᄎᆡᆨ 왈 이졔 각쳐 학교ᄅᆞᆯ 사실ᄒᆞ야 다시 확쟝ᄒᆞ고 일년 경비 약간은 국가로셔 보조ᄒᆞ고 민간은 츄렴ᄒᆞ야 셰우게 ᄒᆞ고 ᄯᅩ 교ᄅᆞᆯ ᄇᆡ오ᄂᆞᆫ ᄌᆞᄂᆞᆫ 그 부모의 ᄯᅳᆺ을 ᄯᅡ라 임의 입교ᄒᆞ게 ᄒᆞ며 셰력으로 다른 교에 늑입ᄒᆞ지 말며 {{du|소격난}} 일ᄉᆡᆼ은 아ᄒᆡ 입{{SIC|확|학}}헐 년긔 지나되 가라치지 아니ᄒᆞᄂᆞᆫ ᄌᆞᄂᆞᆫ 그 부모ᄅᆞᆯ 벌ᄒᆞ야 지어 옥에 가두기도 ᄒᆞ며 그 빈궁ᄒᆞᆫ ᄌᆞᄂᆞᆫ 별노이 의슉을 ᄇᆡ셜ᄒᆞ야 가르치고 속슈ᄅᆞᆯ 밧지 말게 ᄒᆞ며 젼국 ᄉᆞᄅᆞᆷ으로 글ᄌᆞ 모르ᄂᆞᆫ ᄌᆞㅣ 업게 ᄒᆞ야 고금 치란 흥폐ᄅᆞᆯ 알아 지식이 열니게 ᄒᆞᄌᆞ ᄒᆞ거ᄂᆞᆯ 졍부ㅣ 그 말을 쥰ᄒᆡᆼᄒᆞ야 신장졍을 셰우니 ᄎᆞ후로 소학교에 든 ᄌᆞㅣ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bl6eoe3n4k3cwda6xqz70vq59u3xks
페이지:태셔신사 상.djvu/156
250
87634
390641
328141
2025-06-09T06:03:58Z
ZornsLemon
15531
39064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du|토}}왕이 {{du|영법}} 냥국이 긔병ᄒᆞᆷ을 듯고 ᄃᆡ희ᄒᆞ야 {{du|아라ᄉᆞ}}와 더욱 흔단을 여러 그 노ᄅᆞᆯ 도드며 ᄯᅩ 혜오ᄃᆡ 이 긔회ᄅᆞᆯ 맛나스니 {{du|토국}}의 위엄을 베풀니라 ᄒᆞ야 ᄊᆞ호고ᄌᆞ ᄒᆞᄂᆞᆫ 마음이 날로 급ᄒᆞ고 ᄎᆞ외에 {{du|보오}} 냥국은 {{du|아토}} 화친ᄒᆞᆷ을 기다리나 {{du|영법토}} ᄉᆞᆷ국이 발셔 긔병ᄒᆞ얏스니 권ᄒᆞ야도 듯지 아닐 거시요 오직 {{du|아}}황이 ᄌᆞ원 퇴병ᄒᆞ면 만사ㅣ 다 ᄐᆡ평ᄒᆞ려니와 {{du|아국}}은 본이 ᄆᆡᆼ렬ᄒᆞᆷ을 ᄌᆞ긍ᄒᆞ든 나라이라 일조에 슈욕ᄒᆞᆷ이 여ᄎᆞᄒᆞ니 엇지 몸을 굽히고 마음을 나초와 ᄋᆡ걸ᄒᆞ리요 이럼으로 겨우 수월 후에 전ᄌᆡᆼ이 곳 이러나더라
::뎨뉵졀 격셔ᄅᆞᆯ 젼ᄒᆞᆷ이라
일쳔팔ᄇᆡᆨ오십ᄉᆞᆷ년 【쳘종 ᄉᆞ년】 십일월 ᄉᆞᆷ십일에 {{du|아}}병이 {{du|토국}}에 일으려 {{du|실나피}}<ref>시노페(Sinope)</ref> 항구에 ᄒᆡ군을 소탕ᄒᆞ고 승승장구ᄒᆞ야 {{du|흑ᄒᆡ}}로 향ᄒᆞ거ᄂᆞᆯ {{du|영법}} 냥국이 듯고 {{du|아}}황의게 격셔ᄅᆞᆯ 보ᄂᆡ여 왈 ᄌᆞ금 이후로ᄂᆞᆫ 귀국 병함이 {{du|흑ᄒᆡ}}에 들어오지 못ᄒᆞ게 ᄒᆞᆯ지라 만일 ᄂᆡ 말을 듯지 아니ᄒᆞ면 나의 칼ᄅᆞᆯ 시험ᄒᆞ라 ᄒᆞ고 곳 각기 병션을 보ᄂᆡ여 {{du|흑ᄒᆡ}} 요로ᄅᆞᆯ 막고 ᄌᆞ후 일쳔팔ᄇᆡᆨ오십ᄉᆞ년 【쳘종 오년】 ᄉᆞᆷ월 이십팔{{SIC|을|일}}에 {{du|영법}} 냥국이 전쟝에 일으니 대져 {{du|아}}병이 웅거ᄒᆞᆫ {{du|토국}} ᄯᅡ은 원ᄅᆡ {{du|보오}} 냥국과 지경이 갓가와 {{du|보오}} 냥국 변방 관원이 분분이 졍부에 고급ᄒᆞ니 {{du|보오}}ㅣ {{du|아국}}과 관계됨은 {{du|영법}}보다 더 급ᄒᆞᆫ지라 이에 다 말ᄒᆞ되 {{du|아라사}}ㅣ 만일 듯지 아니면 ᄯᅩ 각기 츌병ᄒᆞ야 {{du|아라사}}ᄅᆞᆯ 칠이라 ᄒᆞ더니 밋 {{du|영법}} 냥국이 긔병ᄒᆞᆷ을 보고 다만 공문을 {{du|아국}}에 보ᄂᆡ야 힐난ᄒᆞ더라
{{du|영법}} 냥국이 {{du|흑ᄒᆡ}}의 {{du|발라}}<ref>바나(Varna)</ref> ᄒᆡ구ᄅᆞᆯ 직흴ᄉᆡ {{du|영국}}은 {{u|라격난}}으로<ref>라글란(Raglan)</ref> 대장군을 삼고 {{du|법국}}은 {{u|승아나특}}으로<ref>세인트 아르노(St. Arnaud)</ref> ᄃᆡ장군을 ᄉᆞᆷ으니 {{u|승아나특}}은 {{du|법국}}이 젼에 {{du|아비리가쥬}} 븍방을 칠 ᄯᅢ에 일면을 독당ᄒᆞ든 장수요 ᄯᅩ {{u|노의 나파륜}}이 군주국을 만들 ᄯᅢ에 어림군을 거ᄂᆞ려 위엄을 베푸든 ᄉᆞᄅᆞᆷ이요 {{u|라격난}}은 {{u|혜령탄}}을 ᄯᅡ라 {{du|셔반아}}을 졍벌ᄒᆞᆯᄉᆡ 부관으로 운쥬유악ᄒᆞ든 ᄉᆞᄅᆞᆷ이라 다 혁혁ᄒᆞᆫ 일홈이 셰상에 진동ᄒᆞ더라 이졔 냥국이 격셔ᄅᆞᆯ 젼ᄒᆞ야 {{du|아라사}}ᄅᆞᆯ 치니 승부ᄅᆞᆯ 가히 예탁ᄒᆞ려니와 다만 {{du|구쥬}}에 뎨일 용렬 루츄ᄒᆞᆫ {{du|토이기}}ᄅᆞᆯ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2qb4kczktta5caywq6l36yu07x63dp3
페이지:태셔신사 상.djvu/157
250
87635
390642
328142
2025-06-09T06:05:57Z
ZornsLemon
15531
39064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위ᄒᆞ야 ᄉᆡᆼ령의 화ᄅᆞᆯ 비져 전ᄌᆡᆼ불식ᄒᆞ니 앗갑도다
::뎨칠졀 {{du|아라사}}의 젼장이라
{{du|사파사토발}}은<ref>세바스토폴(Sebastopol)</ref> {{du|흑ᄒᆡ}}의 요츙지디라 {{du|발나}}ᄒᆡ 항과 갓치 잇스니 엄연히 {{du|흑ᄒᆡ}}의 즁디요 기외에 {{du|영국}}리 수십리 【조션 ᄉᆞᆷ십리라】 되ᄂᆞᆫ 항구ᄂᆞᆫ 어귀가 불과 ᄉᆞᆷᄉᆞᄇᆡᆨ 파이 되고 {{du|사파사토발}}은 그 남편에 잇셔 포ᄃᆡ가 벌녓스니 그 완고ᄒᆞᆷ을 가지요 ᄯᅩ 포ᄃᆡ 안에 수로ᄅᆞᆯ 통ᄒᆞ야 왕ᄅᆡ키 편ᄒᆞ거ᄂᆞᆯ {{du|아국}}이 군ᄉᆞ ᄉᆞ만을 둔찰ᄒᆞ고 ᄯᅩ 병션으로 왕ᄅᆡᄎᆡᆨ응ᄒᆞ니 {{du|영법}}이 크게 염녀ᄒᆞ더라
{{du|영}}병 오만이 뉵속히 일으고 {{du|영국}} {{u|라격난}} 장군이 ᄯᅩ 일으러 {{du|아}}병이 {{du|아라마하}}수<ref>알마(Alma)</ref> 남편에 진 침을 보고 {{du|영법토}} ᄉᆞᆷ국 군ᄉᆞㅣ 하수ᄅᆞᆯ 건널 ᄉᆡ {{du|아}}병이 놉ᄒᆞᆫ ᄃᆡ 잇셔 대포ᄅᆞᆯ 노와 탄환이 ᄯᅦ러지ᄂᆞᆫ 곳에 ᄉᆞᆷ국 군새 쥭ᄂᆞᆫ ᄌᆡ 불계기수ㅣ라 {{du|영법}} 냥군이 쥭기ᄅᆞᆯ 무릅쓰고 조수 미듯 드러가며 ᄯᅩ ᄃᆡ포로 {{du|아}}병을 향ᄒᆞ야 노으ᄆᆡ {{du|아}}병이 저당치 못ᄒᆞ야 다 도망ᄒᆞ니 이ᄂᆞᆫ {{du|영법토}} ᄉᆞᆷ국이 뎨일ᄎᆞ ᄊᆞ홈이라 일모 시에 퇴군ᄒᆞ니 {{du|영}}병의 쥭은 ᄌᆡ ᄉᆞᆷ쳔인이러라
::뎨팔졀 {{du|사파사토발}}을 에움이라
{{du|영국}} {{u|라격난}} 대장군이 {{du|아라사}}ᄅᆞᆯ 이긔고 {{du|법국}} {{u|승아나특}} 장군을 약회ᄒᆞ야 다시 {{du|아}}군을 ᄶᅩᆺ고ᄌᆞ ᄒᆞᆯᄉᆡ {{u|승아나특}}이 졸연 득병ᄒᆞ야 수일이 못ᄒᆞ야 쥭ᄂᆞᆫ지라 {{u|라격난}} 쟝군이 엇지ᄒᆞᆯ 길 업셔 오직 ᄉᆞᆷ국 군ᄉᆞᄅᆞᆯ 모와 {{du|사파사토발}}을 에워 범 이십여 일에 대포 일쳔ᄉᆞᆷᄇᆡᆨ여 좌ᄅᆞᆯ 걸고 그 셩즁을 향ᄒᆞ야 노와 아ᄎᆞᆷ부터 날이 기울도록 포셩이 ᄭᅳᆫ치지 아니ᄒᆞ더니 그 익일에 ᄯᅩ 셩을 칠ᄉᆡ {{du|아}}군이 ᄯᅩᄒᆞᆫ 군ᄉᆞ ᄉᆞᆷ만을 ᄂᆡ여 다시 ᄊᆞ화 범 칠일이 되도록 불분승부ᄒᆞ니 {{du|아라사}}ᄂᆞᆫ ᄎᆞᆷ 강젹이러라
::뎨구졀 {{du|파라극납와}}의<ref>발라클라바(Balaklava)</ref> 전장이라
{{du|아}}병이 곤ᄒᆞᆫ지 오ᄅᆡᄆᆡ 도망코ᄌᆞ ᄒᆞ야 졸연이 마병을 거ᄂᆞ리고 {{u|토이기}}ᄅᆞᆯ 엄습ᄒᆞ니 {{du|토}}군이 츌기 불의에 다 ᄑᆡᄒᆞ야 다라나거ᄂᆞᆯ {{du|영}}장군 부하 {{du|소격난}}의 뎨구십ᄉᆞᆷᄃᆡ 병이 마ᄌᆞ ᄊᆞ홀ᄉᆡ {{du|아국}} 마병 오ᄂᆞᆫ 곳에 냥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s2tct7h9ntjbon0ygq6r3k1nelvprk1
페이지:태셔신사 상.djvu/168
250
87824
390650
328417
2025-06-09T06:33:38Z
ZornsLemon
15531
39065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면 우리 무역이 쇠ᄑᆡᄒᆞ리라 ᄒᆞ고 일쳔칠ᄇᆡᆨ년【숙종 이십뉵년】에 나라에 청ᄒᆞ야 그 입구ᄒᆞᆷ을 엄금ᄒᆞ고 일쳔칠ᄇᆡᆨ팔년【숙종 ᄉᆞᆷ십ᄉᆞ년】에 {{du|영국}} 션ᄇᆡ {{u|단니이덕복}}이<ref>대니엘 디포(Daniel de Foe)</ref> 글을 지어 왈 {{du|영국}}이 {{du|인도}}의 포속을 금ᄒᆞᆷ이 큰 션졍이라 불연이면 직조창이 쇠멸하리라 ᄒᆞ니 그 오론과 편벽되믈 가이 알너라
비단과 니자 ᄶᆞᄂᆞᆫ 것도 {{du|영}}인이 창ᄀᆡᄒᆞᆷ이 아니라 비단은 {{du|의ᄃᆡ리}}와 {{du|법난셔}} ᄉᆞᄅᆞᆷ의게 ᄇᆡ오고 니자ᄂᆞᆫ {{du|하란}}인의게 ᄇᆡ오ᄆᆡ 다 졀등ᄒᆞ고 유리ᄂᆞᆫ {{du|의ᄃᆡ리}}의 {{du|비니ᄉᆞᄒᆡ}}<ref>베네치아(Venetia)</ref> ᄉᆞᄅᆞᆷ이 가라치고 조희ᄂᆞᆫ {{du|법국}} {{du|하란}} {{du|일이만}} ᄉᆞᆷ국 ᄉᆞᄅᆞᆷ이 가라치고 포속에 ᄭᅩᆺ 그리ᄂᆞᆫ 법은 {{du|법}}인이 가라치고 갈포의 츄ᄒᆞᆫ 것슨 본ᄅᆡ 잇거니와 그 가는 거슨 {{du|일이만}} {{du|비리시}} 냥국으로 젼ᄅᆡ한 바이라 션시에ᄂᆞᆫ {{du|영}}인이 포ᄇᆡᆨ이나 염ᄉᆡᆨᄒᆞᄂᆞᆫ 거슬 반ᄃᆞ시 {{du|하란}}으로 보ᄂᆡ고 일쳔뉵ᄇᆡᆨ여년【인조 시】에 {{du|하란}} ᄉᆞᄅᆞᆷ이 고기ᄅᆞᆯ 잘 잡ᄂᆞᆫ 고로 어부ᄂᆞᆫ 거반 {{du|하란}}인이라 그런 고로 {{du|영}}인의 고기 질기ᄂᆞᆫ ᄌᆞᄂᆞᆫ {{du|하란}}에 부탁ᄒᆞ며 자긔ᄅᆞᆯ 굽ᄂᆞᆫ 것도 ᄯᅩᄒᆞᆫ {{du|하란}}을 스승 ᄉᆞᆷ으며 션쳑을 졔조ᄒᆞᆷ은 븍으로 {{du|단믁}}에 ᄇᆡ호고 남방에ᄂᆞᆫ {{du|의ᄃᆡ리}}에 ᄇᆡ호고 공장의 져명ᄒᆞᆫ ᄉᆞᄅᆞᆷ도 다 {{du|하란}}인의 졔ᄌᆞ요 ᄯᅩ 먼져 풍마와 【풍마ᄂᆞᆫ 바ᄅᆞᆷ을 인ᄒᆞ야 각ᄉᆡᆨ 가로 ᄆᆡᆫ드ᄂᆞᆫ 긔계라】 물방아ᄅᆞᆯ ᄇᆡ인 고로 {{du|영국}}의 큰 공장이 다 물과 바ᄅᆞᆷ의 힘을 비러 긔계ᄅᆞᆯ 부리고 {{du|의ᄃᆡ리}}인이 ᄯᅩ 초립 ᄆᆡᆫ드ᄂᆞᆫ 법을 가르치고 ᄒᆡ슈로 소곰 ᄆᆡᆫ드ᄂᆞᆫ 법은 {{du|구쥬}} 타국으로 젼ᄅᆡᄒᆞ고 일쳔칠ᄇᆡᆨ오십년 【{{sic|쳘종 원년|영조 이십육년}}】 전에 {{du|영}}인의 쓰ᄂᆞᆫ 쳘을 타국의 사오ᄂᆞᆫ ᄌᆞㅣ ᄉᆞᆷ분에 이오 다 셕탄을 피여 단련ᄒᆞ야 셰월이 오ᄅᆡᄆᆡ 드듸여 타국보다 나으니 ᄃᆡ져 타국은 다만 목탄만 쓰ᄂᆞᆫ 연고ㅣ라 총이언지ᄒᆞ면 {{du|영국}}의 공장이 다 타인의 뒤지더니 일조에 황연이 ᄯᅱ여나 타국의 압히 되더라
::뎨ᄉᆞᆷ졀 도로ᄅᆞᆯ 통키 젼이라
ᄇᆡᆨ여년 젼에ᄂᆞᆫ {{du|영}}인이 졔조ᄅᆞᆯ 잘ᄒᆞ나 슈운ᄒᆞᄂᆞᆫ 법이 업ᄂᆞᆫ 고로 츌구 화물이 항상 타국과 갓지 못ᄒᆞ니 당시에 뉵디로 셕탄을 운젼ᄒᆞᄂᆞᆫ 부비 ᄆᆡ 근에 ᄉᆞᆷᄉᆞ푼 【엽젼이라】 되더니 쳘로ᄅᆞᆯ 노은 후에ᄂᆞᆫ 열두 근에 ᄉᆞᆷᄉᆞ푼이 되고 ᄯᅩ 길이 험ᄒᆞ야 수레ᄅᆞᆯ 업치고 말이 상ᄒᆞ며 여름에ᄂᆞᆫ 진흙이 무릅을 ᄲᆞ지며 겨을에ᄂᆞᆫ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ph6kmqmtt9d21b6nd6v6vprua7gag67
페이지:태셔신사 상.djvu/171
250
87827
390653
328420
2025-06-09T06:54:29Z
ZornsLemon
15531
39065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뎨칠졀 사와 베ᄅᆞᆯ ᄶᆞᄂᆞᆫ 긔계라
일쳔칠ᄇᆡᆨ뉵십칠년【영조 ᄉᆞ십년】에 {{du|영}}인 {{u|합이ᄒᆡ}}<ref>하그레이브스(Hargreaves)</ref> 사 ᄶᆞᄂᆞᆫ 긔계ᄅᆞᆯ 창ᄀᆡᄒᆞ야 한 ᄉᆞᄅᆞᆷ의 슈족을 놀녀 일시에 슈십 폭을 ᄶᆞ을너라 【슈십 폭 ᄶᅡᆫ다 ᄒᆞᆷ은 한 틀에 슈십 폭을 ᄶᆞ으미라】 ᄯᅩ 냥년을 지ᄂᆡ여 {{du|영}}인 {{u|아구회}}<ref>아크라이트(Arkwright)</ref> 그 긔계ᄅᆞᆯ 증감ᄒᆞ고 ᄯᅩ 륙년 만에 {{du|영}}인 {{u|극방탄}}이<ref>크롬턴(Crompton)</ref> {{u|아구회}}의 곳친 긔계ᄅᆞᆯ 교졍ᄒᆞ니 직조ᄒᆞᆷ이 더욱 편리ᄒᆞ고 일쳔칠ᄇᆡᆨ팔십칠년【뎡종 십일년】에 {{du|영국}}에 입젹ᄒᆞᆫ {{du|경탄현}}의<ref>켄트(Kent)</ref> 목ᄉᆞ {{u|잡토위}}<ref>카트라이트(Cartwright)</ref> ᄯᅩ 직포ᄒᆞᄂᆞᆫ ᄌᆞᄅᆡ 긔계ᄅᆞᆯ 지으니 【ᄌᆞᄅᆡ 긔계ᄂᆞᆫ 긔계가 스사로 ᄶᅡᆫ다 ᄒᆞᆷ이라】 이에 각 신법이 구비ᄒᆞ야 한 ᄉᆞᄅᆞᆷ이 가이 이삼ᄇᆡᆨ 인의 일을 겸허더라
::뎨팔졀 통상무역 장졍이라
{{du|영국}}이 비록 조흔 법을 어덧스나 구습을 바리지 못ᄒᆞ야 통상ᄒᆞᄂᆞᆫ 장졍을 일일이 금ᄒᆞ야 일홈은 통상이라 ᄒᆞ나 맛ᄎᆞᆷᄂᆡ 상고ᄅᆞᆯ 병드리며 ᄯᅩ 각 항 보업의 구졔ᄅᆞᆯ 죳ᄎᆞ 조흔 법이 잇셔도 흥왕키 어렵더니 일쳔칠ᄇᆡᆨ칠십륙년【영조 오십이년】에 {{du|영}}인 {{u|사미덕아당}}이 부국ᄎᆡᆨ을 져슐ᄒᆞ야 신법이 ᄒᆡᆼᄒᆞᄆᆡ ᄌᆞᄎᆞ로 ᄉᆡ 긔계 더욱 셩ᄒᆡᆼᄒᆞ더라
::뎨구졀 면화ㅣ 직조창에 부족ᄒᆞ미라
{{du|영국}}이 ᄉᆡ 긔계 잇슨 후로 본국에 쓰ᄂᆞᆫ 면화ㅣ 부족ᄒᆞ니 이ᄯᅢ에 {{du|아미리가 주}}ᄂᆞᆫ 면화가 만으나 면화 씨ᄅᆞᆯ ᄲᅩᆸᄂᆞᆫ 법을 아지 못ᄒᆞ야 무용지물이 되엿더니 일쳔칠ᄇᆡᆨ구십삼년【뎡종 십칠년】에 {{du|영국}}에 {{SIC|숙|속}}ᄒᆞᆫ {{du|미쥬}} ᄯᅡ에 {{u|회특ᄂᆡ}}라<ref>휘트니(Whitney)</ref> ᄒᆞᄂᆞᆫ 공장이 긔계ᄅᆞᆯ 지어 면화 씨ᄅᆞᆯ ᄲᅩᆸ게 ᄒᆞ거ᄂᆞᆯ {{du|미}}인이 ᄃᆡ희ᄒᆞ야 ᄌᆞᄎᆞ로 면화ᄅᆞᆯ 수운ᄒᆞ야 {{du|영국}}에 오ᄂᆞᆫ ᄌᆞㅣ 불가승계라 일쳔칠ᄇᆡᆨ구십ᄉᆞ년【뎡종 십{{sic|륙|팔}}년】에 면화 슈입이 일ᄇᆡᆨ뉵십만 방이요 【물건의 즁슈ᄂᆞᆫ ᄆᆡ 방에 열두 냥즁이라】 일쳔팔ᄇᆡᆨ일년【순조 원년】에ᄂᆞᆫ 이쳔일ᄇᆡᆨ만 방이요 일쳔팔ᄇᆡᆨ십오면【순조 십오년】에ᄂᆞᆫ 팔쳔ᄉᆞᆷᄇᆡᆨ만 방이요 일쳔팔ᄇᆡᆨ삼십년【순조 ᄉᆞᆷ십년】에ᄂᆞᆫ 이만만여 방이요 지어 근일 일쳔팔ᄇᆡᆨ팔십뉵년【대군쥬 이십ᄉᆞᆷ년】에ᄂᆞᆫ {{du|영국}}에 각국이 운입ᄒᆞᄂᆞᆫ 면화가 합 십칠만만 방이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97pltpb52suwzm1cw8kqe61oyg5i6nw
위키문헌:사랑방
4
87889
390569
390442
2025-06-08T12:32:03Z
Aspere
5453
/* 한국 저작권 틀 개정 관련 */ 답변
390569
wikitext
text/x-wiki
{{절차 머리말
| 제목 = 사랑방
| 부제 =
| 이전 =
| 다음 =
| 단축 = 문:사
| 설명 = 사랑방은 위키문헌 공동체의 토론 문서입니다. 자유롭게 질문하거나 의견을 남겨 주세요. 기존 토론에 참여하거나 [{{SERVER}}{{localurl:{{NAMESPACE}}:{{BASEPAGENAME}}|action=edit§ion=new}} 새 문단을 만들어서] 참여하시면 됩니다.
위키미디어 재단 등의 소식은 [[위키문헌:소식지|소식지]] 문서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관리 등 [[문:관리자|관리자]]가 필요한 요청의 경우 [[문:관리자 게시판|관리자 게시판]]을 이용하면 더 빠를 수 있습니다.
}}
{{/안내문}}
== 대문 개선에 관한 의견 수렴 ==
현재의 대문이 굉장히 오래 된 것도 맞고 현실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내용도 없다는 의견을 많이 받아, 대문의 모습과 내용을 일부 바꿔 보았습니다.
* [[사용자:Aspere/대문 초안]]
현재 대문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변경하였습니다.
* 최상단 오른쪽의 링크 일부 수정
* 위키문헌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 삽입
* "둘러보기"에 분류와 더불어 대표적인 포털을 삽입
** 제대로 정비된 포털 자체가 많지 않아 그나마 단기간에 발전시킬 수 있을 만한 포털을 중심으로 삽입하였습니다. 대표 이미지 또한 완벽하지 않으며 바뀔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문헌 몇 개를 선정해 "추천 문헌" 란 제작
** 마찬가지로 포함된 문헌 자체는 바꿀 여지가 있습니다.
* 거의 유지관리가 되지 않는 "특집 기사", "오늘의 역사", "하이라이트" 항목 삭제
한 번씩 보시고 드시는 감상이나 의견을 말씀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둘러보기"나 "추천 문헌"에 어떤 것이 들어가면 좋겠다는 간단한 것도 환영합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3일 (금) 19:57 (KST)
:소개 부분이 조금 길고 여백이 많은 것 같습니다. 또한 각 항목간의 여백이 일정치 않습니다. "위키문헌이란" 항목의 제일 밑 부분은 여백이 없는데 "진행중인 공동 작업"과 "새로 올라온 문헌"에는 여백이 있고요. 주제별 색인에서 그림은 가운데 정렬을 하거나 기본 갤러리 기능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그림을 표현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조선노동당"이 들어가 있는 이유는 잘 모르겠네요. 또한 추천 문헌에서 훈민정음 그림과 하단의 "숙종의 한글편지", "개벽/1923년 2월/님의 노래" 부분이 서로 조화가 안 되는 것 같습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7일 (화) 19:04 (KST)
::여백은 기기 환경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는 만큼 정확히 일치시키기가 어렵습니다. 타 언어판 대문을 보시더라도 좌우 불균형이 거의 기본일 정도입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일부러 여백이 많아 보이게끔 배치한 게 맞습니다 (현재 대문이 너무 빡빡하다는 지적을 몇 번 받아서). 포털도 마찬가지로 강제로 가운데 정렬시키면 환경에 따라 깨지기 때문에 기본 정렬로 놔둔 것입니다.
::또한 추천 문헌의 위아래 부분은 전혀 다른 부분인데 둘 사이가 조화되지 않는다는 말씀이 무엇을 말씀하시고자 하는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디자인적으로 어울리지 않는다는 말씀이신가요, 아니면 내용상으로 어울리지 않는다는 말씀이신가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7일 (화) 19:23 (KST)
:::여백을 일부로 의도하신거라면 이해하겠습니다. 훈민정음만 왜 우측에 따로 나와있는지 모르겠다는 의미였습니다. 또한 와이드스크린으로 보면 <code><nowiki>----</nowiki></code>로 구분된 부분이 훈민정음 그림의 좌측으로 올라와 보기 좋지가 않습니다. 벡터 2022가 아니라 기존 벡터 스킨을 쓰시면 바로 확인이 되겠네요. [https://imgdb.in/mnIc 그림 링크]--[[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24 (KST)
::::{{핑|Namoroka}} 그림 남겨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사실 지금 문제 확인이 안 되서 가지고 있는 모든 모니터를 다 꺼내오고 있었던 중이었는데... 일단 오른쪽 먹는 문제는 {{틀|clear}}를 넣어 봤습니다. 제가 레거시벡터를 거의 안 써서 저게 넘어간다고 인지를 못 했네요. (제가 주로 쓰는 모니터에서도 우연의 일치로 레거시벡터에서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그림에 생기는 여백 문제는 틀을 가져온 [[:ja:|일본어판 대문]]에도 확인해보니 그대로 나타나고 있었습니다. 저 정도로 여백이 크게 나타난다면 확실히 고치긴 해야 한다는 것에는 공감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고칠지 당장은 생각이 안 나네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42 (KST)
:::::"위키문헌이란"의 윗부분과 "새로 올라온 문헌"의 윗부분의 여백도 아~주 미묘하게 여백이 다르네요. 해당 부분의 margin을 %가 아닌 em으로 지정하면 문제가 안 발생할 것 같습니다. 다른 부분에서도 margin을 1% 1% 1% 0로 정의했다가 같은 줄에서 1em 0로 지정하는 등 중복되는 부분이 많아 보입니다. 이러면 가장 마지막에 지정한 margin만 적용되는것 아닌가요? / 그리고 그림이 8개가 있으면 좁은 스크린에서, 적어도 벡터 2022에서는 그림이 3개/3개/2개 이런식으로 표시되는데 그러면 좌우를 비교했을 때 우측에 빈 공간이 너무 많이 남지 않는가요?--[[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48 (KST)
::::::일단 그림은 [[특:차이/349148|center 태그를 강제로 넣으면]] 가운데로 가기는 합니다. (이게 더 보기 좋은지 확신이 안 서서 원래대로 되돌려놓기는 했습니다만) 그리고 표시되는 그림 개수 자체는 화면의 좌우폭에 따라 자동으로 되는 거라 신벡터 스킨 자체의 문제는 아닙니다. (저는 6개 / 2개로 나옵니다) 남는 폭이 애매하게 그림 하나가 안 되면 그렇게 되는 것 같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53 (KST)
:::::::<code><nowiki><gallery align="center"></nowiki></code>은 잘못된 코드 같고, <code><nowiki><center><gallery align="center"></nowiki></code> 대신 <code><nowiki><gallery style="text-align:center"></nowiki></code> 이게 맞을 듯 싶습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01 (KST)
:::::::<code><nowiki><gallery class="center"></nowiki></code>가 있네요. 아니면 <code><nowiki><gallery mode=packed></nowiki></code>나 <code><nowiki><gallery mode=packed-hover></nowiki></code>는 어떠신지요.--[[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14 (KST)
:::::::추가로 만약에 packed를 쓰거나, 쓰지 않더라도 대문에 병렬되어 표시되는 그림은 가로세로 비율이 똑같이 나오도록 나중에 자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23 (KST)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자르는 거야 어렵지 않고 여차하면 대문 용도로 문헌에 로컬 업로드도 해버리면 되니까요. 사진은 그래도 조금 더 어울리는 게 있을지 한번 더 찾아본 다음 잘라보겠습니다.
::::::::일단은 packed-hover가 제일 나은 것 같아서 그걸로 해 두긴 했습니다. 이런 게 있는지도 몰랐는데 많이 배워가네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34 (KST)
::::::그리고 좌우 높이가 약간 다른 건 말슴하신 대로 퍼센트 빼니까 동일하게 보입니다. 일단 제가 가지고 있는 모니터 상으로는 동일하게 나오는데 혹시 또 문제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35 (KST)
:::::::그림에서 packed를 쓸지 말지는, 취향 차이인 듯 싶으니 이건 다른 사용자분들도 보시고 의견을 달아주셨으면 좋겠네요.--[[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8일 (수) 22:38 (KST)
오래된 토론이긴 한데 어떻게든 결론을 내놓는 것이 나을 것 같아서 일부 수정점을 남기겠습니다. 사용하는 파일들을 1:1 비율이 되게끔 잘라 로컬에 업로드해 두었습니다 (보호는 아직 안 걸었습니다). 조선노동당 포털은 제가 저것까지 정비할 자신이 없어서 그냥 과감하게 날려버렸습니다. 이 이외에 특별히 변경한 것은 없습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19일 (수) 15:53 (KST)
:{{핑|Namoroka}} 토론에 참여해주신 다른 분이 안 계셔서 연락드립니다. 제 생각에는 이 정도로 일단 도입해봐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조금 더 다듬을 만한 게 있을지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19일 (수) 15:53 (KST)
::저는 큰 이의가 없습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19일 (수) 18:30 (KST)
{{알림}} 대문을 수정하였습니다. 아마 문제가 없으리라고 99% 정도 확신하긴 하는데...혹시 뭔가 잘못되어 있으면 주저 말고 말씀해 주세요.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22:24 (KST)
== 저작권 틀의 번역명 ==
저작권 틀의 명칭이 {{틀|PD-미국}}과 같이 한국어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저는 이를 모두 다른 언어판에 맞춰 영어식으로 바꾸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해당 틀은 미국 연방 정부의 작품만 해당하는데 이름은 그냥 "미국"이라고만 말하고 있습니다. 원래 이름은 PD-USGov이고요. 해당 틀들을 모두 PD-미국-정부 이런 식으로 번역하는 수고를 할 것이 아닌 이상, 다른 언어판이나 공용에서 부르는 이름을 그대로 카피해 오는게 훨씬 수월합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03:18 (KST)
:틀이 전체적으로 굉장히 오래전에 만들어진 것이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틀 내용이 오래 된 경우도 많고요. 어차피 넘겨주기를 남겨두면 괜찮을 테니 과감히 바꾸셔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03:25 (KST)
== 초안 이름공간 도입 제안 ==
현재 위키문헌에는 등재 기준 자체는 충족하는 것으로 보이나 문서의 상태가 너무 좋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90마745]] 문서나 [[71다2016]] 같이 봇으로 긁어온 판례 문서, [[분석심리학 논문집/Chapter2]]와 같이 번역되지 않고 방치된 문서,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 같이 대체 어디서 온 건지 모르겠는 경우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또 문서 품질이 안 좋다고 지우는 것은 점차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라는 위키미디어 운동의 취지 자체에 반하는 것이어서 손을 대지는 못 하고 있습니다.
차라리 그래서 [[w:위키백과:초안|위키백과의 초안 이름공간]]을 동일하게 도입해서 이러한 문서를 따로 격리해 놓는 것은 어떨까 제안해봅니다. 저품질 문서가 표시된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 참여에 의한 문서 개선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입니다. 이에 관하여 여러분의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3일 (월) 16:47 (KST)
:{{찬성}}: 동의합니다. [[사용자:Korbine287|Korbine287]] ([[사용자토론:Korbine287|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17:03 (KST)
:{{찬성}} --[[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22:01 (KST)
{{알림}} 지침화를 위해 [[위키문헌:초안]] 문서를 생성하였습니다. 위키백과의 해당 문서를 들고 온 다음 위키문헌 실정에 맞게 약간 수정해 주었는데, 어색한 부분이 보이신다면 자유로운 수정 부탁드립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9일 (일) 17:45 (KST)
* 초안 이름공간의 설정은 제안문의 "위키백과의 초안 이름공간을 동일하게 도입"이라는 문구에 따라 한국어 위키백과의 설정과 동일하게 도입하도록 조정되었습니다. 특기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초안 이름공간의 영어 넘겨주기 (<code>Draft</code>-><code>초안</code>, <code>Draft_talk</code>-><code>초안토론</code>)가 설정됩니다.
** 초안 이름공간의 내용은 검색엔진의 수집을 거부하도록 설정됩니다.
** 위 검색엔진의 수집 거부는 <code><nowiki>__INDEX__</nowiki></code> [[:mw:Help:Magic words#Behavior switches|매직 워드]]를 무시합니다. (초안 이름공간의 특정 문서만 검색엔진이 수집하도록 설정할 수 없습니다.)
** 초안 이름공간에서도 시각편집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regards, [[User:-revi|<span style="color:green;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Revi</span>]] 2025년 1월 30일 (목) 22:41 (KST)
:: 이 기능은 한국시간으로 다음 주 화요일 (2월 4일) 23시를 전후하여 적용될 예정입니다. (목요일 (UTC) 재단 패치 업데이트: 한국시간 금요일 오전 6시라서 무리, 금요일 (UTC)에는 패치 업데이트는 긴급상황에만 가능, 다음주 월요일은 제가 바빠서...) — regards, [[User:-revi|<span style="color:green;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Revi</span>]] 2025년 1월 30일 (목) 22:48 (KST)
== [[틀:번역 미완료]] 삭제 제안 ==
해당 틀이 저작권적으로 모호한 면이 많고 최대한 자유로운 사용을 보장해야 한다는 위키미디어 운동 자체의 취지와 맞지 않다고 생각하는 바, {{틀|번역 미완료}} 틀을 삭제하고 전부 {{틀|GFDL/CC-BY-SA-4.0}} 틀로 교체할 것을 제안합니다.
# 완성되지 않은 문서의 저작권을 판단할 수 없게끔 하는 구조
#* 위키문헌에 있는 모든 문서는 최소한 {{틀|GFDL/CC-BY-SA-4.0}} 라이선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것보다 더 풀어질 수는 있지만 더 좁혀질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특별히 라이선스를 정한 것이 아니라면 {{틀|GFDL/CC-BY-SA-4.0}} 라이선스를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 문서가 미완성인 경우에도 이 라이선스 규칙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그런데 해당 틀의 내용은 "미완성 상태이기 때문에 쓰지 말고 기다려봐라" 라는 내용에 가깝습니다. 이는 문서 기여의 근본적 취지와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문서를 완성해야만 자유 저작물이 된다고 보는 것도 이상하고요.
# 저작권 결정권을 "번역을 완성한 사용자"에게 주는 시스템 자체의 의문
#* 위키문헌은 그 특성 상 여러 명이 기여하며, 저작권 정책에 따라 문서에 기여한 부분에 대한 저작권은 개인이 가지나 문서 전체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기여자가 문서 전체에 대한 라이선스를 결정"하는 것 자체가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 만약 기여자가 여러 명인데 각자 사용하고자 하는 라이선스가 다른 경우에 부분별로 라이선스를 나눠서 표시할 수도 없을 것이고, 한 사용자가 CC-BY-SA를 주장하는 부분을 다른 사용자가 편집한 다음 "나는 퍼블릭으로 배포하겠다"라고 하면 이것을 저작권 침해로 봐야 하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원래대로라면 해당 틀을 사용한 문서의 주기여자 모두에게 연락을 넣어야 하겠으나, 현실적으로 이 틀을 사용하는 문서는 오래 전 미완료 상태로 방치된 문서인 경우가 많아 현실적으로 연락이 닿을 가능성도 낮을 것 같고, {{틀|GFDL/CC-BY-SA-4.0}}와 호환되지 않는 라이선스를 주장하며 위키문헌에 올렸을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어렵습니다 (만약 그럴 경우 삭제 대상입니다). 따라서 현재 사용자분들의 총의만으로 결정해도 괜찮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관련해서 여러분의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20:47 (KST)
:동의합니다. 저장하기를 누른 그 순간 GFDL/CC-BY-SA-4.0로 배포하는 것을 허락한 것입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14:03 (KST)
{{알림}} 장기간 새로운 의견 제시가 없어 총의가 형성되었다고 보고, {{틀|번역 미완료}}를 {{틀|GFDL/CC-BY-SA-4.0}}으로 치환한 다음 해당 틀을 삭제하겠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21:09 (KST)
== what is this word? ==
{{토론 이동|위키문헌:질문방#what is this word?}}
== What is this word? ==
{{토론 이동|위키문헌:질문방#What is this word?_2}}
== What is this word? ==
{{토론 이동|위키문헌:질문방#What is this word?_3}}
== [[틀:판독 불가]] 개편 알림 ==
{{틀|판독 불가}} 틀을 한국어 위키문헌 실정에 맞게 '□' 기호를 표시하게끔 변경하였습니다. 틀을 이용하면 추적이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으므로, 앞으로 작업하시는 분들께서는 수동으로 '□' 기호를 입력하기보다는 해당 틀을 사용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넘겨주기인 {{틀|?}}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7일 (금) 10:50 (KST)
:영어판과 틀 구성이 조금 다른데, {{틀|판독 불가}}는 한 글자에만 사용하고 {{틀|미판독 문자}}는 두 글자 이상에 사용하는 것이 맞을까요?
::그 틀도 따로 있다는 걸 까먹고 있었네요. 일단 역할이 동일하니 넘겨주기 처리하겠습니다. 지금 외출 중이어서 정리 작업은 조금만 있다가 하겠습니다.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8일 (토) 17:25 (KST)
== "해석" 이름공간 도입 제안 ==
현재 많은 문서에 케이스 바이 케이스식으로 수록되어 있는 "해석문"(번역이 아님)을 수록하기 위하여 "해석:" 이름공간을 새롭게 만들 것을 제안합니다.
; 생성 필요 이유에 관한 설명
# 통일되지 않은 방식: 여러분이 이미 잘 아시는 것처럼, 현재 있는 문서들에는 해석이 중구난방으로 달려 있습니다. 방식도 통일되어 있지 않고 극단적으로 해석이 원문처럼 둔갑한 경우도 많습니다.
#* 현재 방식의 문제는 [[위키문헌토론:한문 해석문의 수록|한문 해석문의 수록 지침 도입 토론]]에 자세히 정리해 둔 것이 있습니다.
#* 통일안으로 만들어진 한문 해석문 지침의 경우, 틀 사용 방식이 어렵기도 하고 "한문은 아닌데 해석문이긴 한 경우"를 전혀 커버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 번역 이름공간으로 대체 불가: [[번역:언간독]]과 같은 경우, 한문도 아니고 원문([[언간독]])은 분명 한국어이기 때문에 "번역"이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해석은 등재해주고 싶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 추가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
# 명확한 구분: 위키문헌은 근본적으로 '''원문을 수록하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 마음대로 해석문을 만들면 안 됩니다. 이것이 너무 가혹한 정책이기 때문에 만들어진 것이 "번역" 이름공간이고요. 현재 "해석문"은 번역도 아니고 그렇다고 원문도 아닌 애매한 상태이나, "번역" 이름공간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이름공간을 주는 것이 매 번 제기되는 "취지에 맞지 않는다"라는 의견을 수용하면서도 해석문의 작성을 가능하게끔 하는 방식이 될 수 있습니다.
#* 번역 이름공간과의 구분: 전 지침에서 지적한 것과 같이 "한문은 엄연한 의미에서는 한국어이다"라는 문제를 해소해 줄 수 있습니다.
# 활동 장려: 해석문을 만드는 방식으로 위키문헌에 기여하고자 하는 분들께는 어떤 방식으로 활동하면 되는지 더 명확해지는 것인 만큼, 이를 매개로 해석 활동을 하고 싶은 사용자를 모을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 문서 간의 관계 정리: 해석이라기보다는 한자 독음만 적는 경우([[대한민국헌법]]과 [[대한민국헌법 (한자혼용)]]의 관계 등)까지도 포함하면 문서 간의 관계를 더 구조적으로 정비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해석이 있다는 것도 모를 수도 있지만 아에 이름공간으로 정비해 버리면 서로 연관지어주기 더 쉬우리라고 생각합니다.
# 정확한 원문 / 이해가 쉬운 텍스트의 동시 제공: 원문에 한자음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 이해를 위해 편집자가 임의로 적어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엄연한 의미에서 원문 훼손인 만큼, 이럴 때 해석 이름공간을 이용하면 확실히 원문은 원문대로, 해석은 해석대로 분리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름공간 번호는 (큰 상관은 없으나) 112(해석)와 113(해석토론)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냥 번역 이름공간이 114-115번이어서 임의로 생각해낸 번호입니다. 또한 일반-해석 사이의 연결은 밑에서 제안하는 것처럼 스크립트를 이용한 버튼 사용을 제가 제안하고는 있지만, 꼭 이래야 하는 것은 아니고 그냥 단순히 상단에 틀을 붙이는 정도로 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해석 이름공간을 실제로 도입한다면 지금까지의 편집 지침·경향·관행을 뜯어고쳐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만큼 꼭 한 마디씩이라도 의견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8:31 (KST)
:{{찬성}} 아무래도 지금 규칙을 만들어두는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것보다는 유비무환이 더 좋다고 보는 입장이라서요. [[사용자:NZ 토끼들|NZ 토끼들]] ([[사용자토론:NZ 토끼들|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8:36 (KST)
:번역 이름공간만을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고 생각하므로 새로운 이름 공간을 도입하자는 의견에 찬성합니다. [[사용자:Respice post te|Respice post te]] ([[사용자토론:Respice post te|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9:12 (KST)
:{{찬성}} 찬성합니다. -- [[사용자:Jjw|Jjw]] ([[사용자토론:Jjw|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9:54 (KST)
:{{찬성}} 개인적으로는 중국어 위키백과의 간체자-정체자 변환처럼 한자를 1:1 단순 대응하는 것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는데, 이러한 방식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다만 여전히 의미가 조금 헷갈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저는 고대 또는 중세 한국어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해석과 번역이 개념상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고대 그리스어를 현대 그리스어로 옮겨도 여전히 "번역"의 개념에 들어가는 것이 아닐련지요? 번역 이름공간을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가 있는지요? [[위키문헌:한문 해석문의 수록]] 생성 당시에 토론에 참여하지 않아서 잘 모르겠네요.--[[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18:21 (KST)
::또한 여전히 해석이나 번역을 사용하더라도 여전히 교정 기능을 사용하였으면 좋겠습니다. 예시 [[:en:Page:รัฐธรรมนูญ (ฉบับชั่วคราว) ๒๕๕๗ (๒) ๒๕๕๙.pdf/1]]--[[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18:22 (KST)
::: 이 모든 문제는 근본적으로 "한문"과 "중국어"의 경계가 불명확해서 생깁니다. 한문이라고 하나로 이야기하긴 하지만 단어만 한자로 쓰는 경우("한국식 한문")부터 중국어로 번역한 것이나 다름없는 수준까지 넓게 분포하기 때문에 어디까지 한국어의 변형인지, 어디부터 중국어인지 선을 긋기가 어려우니까요. [[위키문헌:사랑방/보존 4#한문으로 되어 있는 원문 텍스트의 이동 제안|실제로 과거 토론에서도 관련한 문제가 논의된 적도 있습니다]]. 이런 문제로 인해 한문은 "번역", "해석", "풀이" 등 온갖 용어가 섞여 사용되긴 하는데, 저번에 총의를 수렴할 때는 "그래도 한문은 한국어에 속하니까 "번역"은 아니지 않은가"라는 의견이 상당수 제기되어서 이를 반영한 제안입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0:08 (KST)
::: 또한 한자를 음으로 자동으로 변환하는 것은 저도 정말 보고 싶은 기능인데, 한자와 한자음이 한국어에서 간체-정체 관계처럼 일대일로 대응되지 않기 때문에 그런 예외를 전부 처리해주려면 굉장히 어려울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金"은 거의 항상 "금"으로 읽지만 사람 이름에 들어가는 순간 전부 "김"으로 읽는데 소프트웨어적으로 일반 단어와 인명을 구분해주기가... 만들 수만 있으면 국한문 혼용 문헌의 접근성이 엄청 좋아질 것 같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0:08 (KST)
:::: 중국어 위키백과에서도 기본 변환 테이블은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은 <code>-{zh-tw:歐; zh-cn:奥; zh-hk:奧}--</code>와 같이 지정하고 있고, 한국어 위키문헌에서 필요한 기능은 각 언어별로 양방향 전환이 필요한 중국어와 달리 한자 → 한글 단방향 변환만 필요하기에 더욱 쉬울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이제까지 이러한 논의가 없었나 보네요. 하여튼 이건 나중에 따로 해야하는 얘기입니다. / 원문이 아닌 모든 한국어는 번역 이름공간으로 가지 않는 것이군요. 그렇다면 해석 이름공간에는 "현대 한국어로 풀어서 설명한 것"만을 포함하고, 단순히 한자를 한글로 옮긴 것은 포함하지 않는 건가요? 아님 해석 문서에 가능하면 둘 다 기재하는 건가요?--[[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2:58 (KST)
::::: 둘 다 포함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정리가 필요하다"라고 하는 가장 큰 이유가, 원문도 원문에 따라 한자만 있는 경우, 한글 독음을 달아둔 경우, 원문 내에서 아에 풀이까지 해주는 경우가 모두 있는데 독음을 달아주는 것을 포함해 원문에 무엇인가를 보충하는 것을 편집자의 영역으로 넘겨버리면 독자 입장에서 원문에는 없는데 따로 달아준 것인지, 아니면 원문에 이미 있던 것인지를 구분할 수 없을 테니 확실히 구별해 표시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덧붙여 "위키문헌은 원문을 그대로 넣는 곳"이라고 소개하면서 정작 저런 것 하나하나를 봐 주기 시작하면 결국은 "어디까지 괜찮은가"라는 문제가 생기고 결국은 다시 중구난방으로 돌아가는 셈일 것이고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3:07 (KST)
=== 자바스크립트를 통한 "해석" 버튼 표시 ===
이름공간을 실제로 도입할 경우 원문과 해석문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줄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상단에 틀을 부착하는 방식도 나쁘지는 않으나, 타 사이트에서 영감을 얻어서 상단에 링크 버튼을 추가하는 스크립트를 제작해왔습니다.
; 스크립트 설명
일반 이름공간(ns:0)의 문서일 경우 "문서"와 "토론" 사이에 "해석"으로 가는 링크를, 해석 이름공간(가칭)의 경우 "해석"과 "토론" 사이에 "문서"로 가는 링크를 삽입해줍니다. 도입 시 아마도 [[미디어위키:common.js]]에 해당 내용을 삽입해서 모든 사용자에게 표시되게끔 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스크립트 실험판
크게 두 버전을 만들었는데, 둘 중 어떤 것이 더 나을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관련해서 여러분의 의견을 꼭 받고 싶습니다.
: '''[[사용자:Aspere/haeseoktest.js|버전 1]]''': 상대편 문서가 없을 경우 빨간 링크로 표시합니다.
:* 장점: 문서를 만들어줄 수 있다는 것이 가시적으로 보이는 만큼, 활동 유도에 효과적입니다.
:* 단점: 모든 문서가 해석문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보니, 너무 과도한 표시가 될 우려가 있습니다.
: '''[[사용자:Aspere/haeseoktest-withoutlink.js|버전 2]]''': 상대편 문서가 없을 경우 아에 링크를 표시하지 않습니다.
:* 장점: 깔끔하고 해석문이 필요 없을 경우에 편리합니다.
:* 단점: 해석문으로 가는 링크가 없어지는 셈이다 보니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 접근하기 어려워집니다.
토론 문서도 존재하지는 않지만 빨간 링크로 표시하고 있으며, 영어 위키낱말사전 등에서는 Citations 이름공간이 별도로 있는데 이 경우에도 문서가 없더라도 그대로 표시하고 있으므로 첫 번째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en:wikt:위키백과]] 필요 없는 문서에서는 별도 틀로 숨길 수 있으면 좋겠네요. 추가로 여기에서도 Gadget-DocTabs.js를 이미 사용 중입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3:04 (KST)
:옳으신 말씀입니다. 또 그걸 어떻게 구현해야 하는지 공부해와야겠네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3:13 (KST)
; 스크립트 사용해 보기
[[특수:내사용자문서/common.js]]에 다음 줄을 삽입해 주세요. '''두 개를 동시에 넣지 마세요!'''
* '''버전 1''': <code><nowiki>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js");</nowiki></code> ([[사용자:Aspere/haeseoktest.js]])
* '''버전 2''': <code><nowiki>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withoutlink.js"); </nowiki></code> ([[사용자:Aspere/haeseoktest-withoutlink.js]])
현재 스크립트는 "해석" 이름공간이 없는 만큼 "번역" 이름공간으로 작동하게끔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표시되는 모습은 [[언간독]] 및 [[번역:언간독]] 문서를 보시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8:31 (KST)
:일단 첫 번째 버전부터 [[특수:고유링크/354414|common.js 생성]]을 통해 테스트합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3:54 (KST)
::* [[User:Aspere/haeseoktest.js]]
::코드를 검토하기 위해 링크를 달아 놓습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3:56 (KST)
::: 링크를 좀 눈에 잘 띄게 걸어둘 걸 그랬네요. 신경써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4:13 (KST)
::가젯으로 Gadget-DocTabs.js라는 비슷한 기능이 있고, 이 기능은 하위 문서를 탭으로 보여주는 기능이라 1:1 비교는 어렵겠으나 API 사용을 더 선호하여 선택하신 까닭이 있으실까요?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4:15 (KST)
:::사실 저도 JS를 완벽히 이해하고 있지도 않고 JS 실력이 안 좋기 때문에 상세하게 조언해 드리기는 좀 어렵습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4:16 (KST)
:::: 간단한 이유입니다. 제가 API밖에 몰라서... 저도 이것저것 조합하면서 만든 것이고 "하여튼 작동하니 좋았쓰" 마인드로 완성해서 아마 분명히 개선점이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4:16 (KST)
:::::저도 왜 API를 썼는지 이유가 궁금해서 여쭤 본 거고, JS에서 API를 사용하는 게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이 있는지는 잘 모릅니다. 사실 자바스크립트는 사용자가 사용 중인 컴퓨터나 장치의 에셋을 사용하는 거고, 루아나 API는 서버 에셋을 사용하므로 사실 그 사실만 놓고 본다면 API 써도 문제는 없지 않나 싶습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5:27 (KST)
: <s>$.ready는 현재 depracted된 표현입니다.</s>--[[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3:08 (KST)
:: (대충 진짜 몰랐다는 답변) 혹시 어떻게 고치면 좋을지 조언을 받을 수 있을까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3:11 (KST)
::: 제가 다른 사항과 착각하였습니다. 그대로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6일 (일) 18:12 (KST)
== 문헌 사랑방의 대량 메시지 ==
낱말사전의 경우에는 [[:분류:메시지 전달을 받지 않는 사용자]] 분류를 추가하고 아예 커뮤니티 공간에서는 대량 메시지를 받지 않거나, 다른 공간에 모아 두는 것으로 작년에 사용자들(지금은 없지만...)간 협의를 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제가 메타에서 이러한 대량 메시지를 받아야 하는가 받지 말아야 하는가에 대한 규정은 찾지 못했고, 그래서 낱말사전에서는 메인공간 뿐만 아니라 기간별 하위 문서에도 대량 메시지를 지웠거나 아예 받지 않습니다. [[w:위키백과:사랑방_(기술)/2025년_1월#MediaWiki_message_delivery_봇의_오동작|백과 사랑방에 오동작 보고]]를 잘못 올리면서 생각난 건데, 문헌에서도 의논하려고 생각을 해 뒀다가 잊은 내용이라 지금에서야 올립니다.
문헌 사랑방에서 가장 먼저 노출되어야 하는 건 문헌 사용자들이 문헌에 관해 남기는 의견이지 메타에서 뭐 규정 만들거나 행사한다거나 하는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거의 절대 다수의 메시지가 문헌과는 관련도가 크지 않은 안건이고, 대량 메시지 내용이 더 많아서 사실상 '정보 공해'라고 생각합니다. 문헌 사용자들도 메시지에 적힌 요청처럼 한국어로 번역을 해 준다거나 관심을 전혀 가지지 않습니다.
현재 대량 메시지는 모두 지우고, 이후 기간별 하위 문서가 만들어질 경우 그 하위 문서들에도 위 분류를 추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3:48 (KST)
:{{찬성}} 이전과 달리 활동하는 분들이 많아진 만큼 충분히 신경써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완전히 받지 않는 것은 좀 너무할 수도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 따로 받는 곳을 만드는 게 어떨까 싶은데 기술적인 면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4:11 (KST)
::{{ㄷ|Aspere}} 딱 제 수준에서는 아예 사랑방을 남겨 두고 자유게시판을 새로 만든 다음 자유게시판에 메시지 거부 분류를 넣는 식의 트릭을 떠 올릴 수 있긴 합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21:13 (KST)
:[[:w:백:소식지]] 처럼 격리소를 만들어 두는 방안도 고려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 regards, [[User:-revi|<span style="color:green;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Revi</span>]] 2025년 1월 30일 (목) 21:44 (KST)
::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위키백과에 그런 공간이 있는 줄도 몰랐네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22:10 (KST)
특별한 의견이 없으면 위에서 레비님이 말씀해주신 것을 참고해서 [[위키문헌:소식지]](가칭)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일단 해 보고 안 맞는 것 같으면 그 때 없애도 되니까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22:10 (KST)
:{{ㄷ|Revi C.|Aspere}} 잘 모르는 게 사실이긴 하나, 완벽한 격리가 가능한지에 대한 기술상의 의문점이 있습니다. 위키백과 소식지 공간이 좋은 예시인 건 사실인데, 사실 위키백과 사랑방은 소식지 공간이 있어도 사실 몇몇 대량 메시지가 올라 옵니다. 이건 대량 메시지 봇의 소스코드를 확인해 봐야 하는 부분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3:16 (KST)
::관련 HTML 태그에 뭐 디자인 넣을 때 쓰는 class 같은 거에 표시해 놓고 봇이 식별해서 보내는 건가 싶긴 합니다. 사실 저도 봇이랑 가상 키보드 만들 때 그걸 찾는 식으로 구문을 작성하고 효과 띄우고 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3:19 (KST)
:: 대량메시지의 발송은 '대량메시지 목록'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메타의 대량메시지 목록을 수정하면 됩니다. — regards, [[User:-revi|<span style="color:green;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Revi</span>]] 2025년 1월 31일 (금) 14:12 (KST)
{{알림}} [[문:소식지]] 문서를 만들어서 현재까지 사랑방에 올라온 대량메시지를 옮겨 두었습니다. 또한 메타에 있는 대량메시지 수신 목록도 보이는 대로 소식지 쪽으로 가게끔 수정했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2월 6일 (목) 00:20 (KST)
== Request to buy book ==
There is a book I want to buy, but I want to ask first:
#Is this book available?
#I'm willing to give you people money to buy this in South Korea since I don't have a South Korean phone and thus I can't register an account. Do you guys accept Venmo payments?
[https://www.hanauction.com/htm/off_auction_read.htm?id=6593&off_id=35&page=9&ac_num=44&PHPSESSID=69f7e0e46946ba4f2df13a4e2dc69561] [[사용자:Blahhmosh|Blahhmosh]] ([[사용자토론:Blahhmosh|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12:13 (KST)
:It was already sold out more than 10 years ago. You already know that copy of this book is available on Nat'l Library of Korea. [[:File:NLK-한古朝46-가2239 竹溪遺稿.pdf]] Is there any particular reason you need an original copy? --[[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19:40 (KST)
::This book is also available for checkout at the [https://clio.columbia.edu/catalog/3791963?counter=1 Columbia University Library], fyi.--[[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19:42 (KST)
::The reason I want another copy is because this copy you posted has many worn out characters, so I need another copy of this book to fill in all the worn out characters with the correct characters @[[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Blahhmosh|Blahhmosh]] ([[사용자토론:Blahhmosh|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5:24 (KST)
:::I'll ask the library near where I live if it is possible to borrow or check books.--[[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5:29 (KST)
== 관리자 선거 절차 일부 수정 제안 ==
[[위키문헌토론:관리자 선거 절차#당선자 결정에서의 조건 2 (반대표보다 최소 20표 이상 많은 찬성표) 삭제 제안|위키문헌토론:관리자 선거 절차]]에서 관리자 당선을 결정할 때의 조건 중 하나로 써 있는 "반대표보다 최소 20표 이상 많은 찬성표" 조문을 삭제하면 어떨까 하는 토론을 발제하였습니다. 한 번씩 읽어보시고 의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2월 10일 (월) 02:15 (KST)
== 국회회의록 에디터톤 마무리 ==
지난 1월 한 달 동안 진행되었던 [[문:국회회의록 에디터톤|국회회의록 에디터톤]]이 마무리되었습니다. 참여자 여러분 덕분에 위키문헌 내부의 문서 보충과 더불어 위키백과 문서와의 연계도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에디터톤 결과는 [[위키문헌:국회회의록 에디터톤/채점표]] 문서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여해 주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 종합 순위
* 1위 (1명): [[사:ZornsLemon|ZornsLemon]] (750,029 바이트)
* 2위 (2명): [[사:Aspere|Aspere]] (599,680 바이트), [[사:Raccoon Dog|Raccoon Dog]] (334,597 바이트)
* 3위 (1명): [[사:jjw|jjw]] (105,491 바이트)
* 한자 서브 챌린지 참여자: [[사:ZornsLemon|ZornsLemon]] (92,683 바이트), [[사:Aspere|Aspere]] (5,573 바이트)
; 주제별 완성한 문서
{| class="wikitable"
|-
! 시기·사건 !! 문서
|-
| [[:w:대한민국 제헌 헌법|대한민국 제헌 헌법]]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헌/제1회/제2차]]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헌/제1회/제6차]]
|-
| [[:w:국회 프락치 사건|국회 프락치 사건]]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헌/제3회/제1차]]
|-
| [[:w:사사오입 개헌|사사오입 개헌]]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3대/제19회/제90차]]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3대/제19회/제91차]]
|-
| [[:w:4·19 혁명|4·19 혁명]]
|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7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8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9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10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11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12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13차]]
|-
| [[:w:국회 오물투척사건|국회 오물투척사건]]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6대/제58회/제14차]]
|-
| [[:w:삼선 개헌|삼선 개헌]]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7대/제69회/제3차]]
|-
| [[:w:김영삼 의원 제명 파동|김영삼 의원 제명 파동]]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10대/제103회/제2차]]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10대/제103회/제5차]]
|-
| [[:w:박종철 고문치사 사건|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12대/제132회/개회식]]
** [[국회본회의 회의록/제12대/제132회/개회식]]
|-
| [[:w:이석기 내란 선동 사건|이석기 내란 선동 사건]]
|
* [[국회본회의 회의록/제19대/제320회/제2차]]
|-
| [[:w: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
* [[국회본회의 회의록/제22대/제418회/제16차]]
* [[국회본회의 회의록/제22대/제419회/제4차]]
|}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2월 10일 (월) 14:47 (KST)
== 색인 이름공간 ==
관련 틀을 수정 중이어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편집 버튼을 누른 후 아무 내용도 수정하지 않고 바로 저장([[w:WP:NULL|Null edit]])하면 정상적으로 표시됩니다. 곧 수정할 예정이오니 양해 부탁드립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2월 23일 (일) 03:10 (KST)
[[분류:메시지 전달을 받지 않는 사용자]]
== [[위키문헌:저작권 토론]] (가칭) 신설 제안 ==
지금 각 문서의 저작권 관련 논의는 각 토론 문서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문서의 내용에 관련한 논의이니 자연스러운 일이긴 하나, 가시성이 너무 떨어져서 정말 "부르지 않으면 모르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의견을 받자고 토론을 여는 것인데 몰라서 의견을 못 남기는 건 좀 역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영어판의 [[:en:Wikisource:Copyright discussions|Wikisource:Copyright discussions]]을 도입하여 이러한 논의를 한 곳으로 모아 진행하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w:백:삭제 토론|위키백과의 삭제 토론]]처럼 관련 논의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장소를 만들어 "부르지 않아도" 토론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좀 더 넓혀보자는 취지입니다. 해당 문서에는 삭제 토론 틀처럼 별도의 틀을 달아 안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해당 문서의 이름은 일단 직역하긴 했는데 어감이 좋은 것 같지는 않아서 더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시면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영어판에서 토론 알림용으로 사용하는 <nowiki>{{</nowiki>[[:en:Template:Copyvio|Copyvio]]<nowiki>}}</nowiki>는 한국어판에 {{틀|저작권 의심}}으로 일단 존재는 하지만 한 번 손봐야 할 것 같습니다.
{{핑|Namoroka|ZornsLemon}} 저작권 논의 관련해서 특히 활발히 활동하시는 사용자 분들이라 생각해서 호출드립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9일 (일) 22:08 (KST)
:저작권에 대해 잘 아는 건 아니라서 도움이 될지는 모르지만, 좋은 아이디어 같습니다. [[사:ZornsLemon|Z.Lemon]] ([[사토:ZornsLemon|토론]]) 2025년 3월 9일 (일) 22:21 (KST)
::괜찮은 것 같습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12일 (수) 00:52 (KST)
{{알림}} [[위키문헌:저작권 토론]] 문서를 생성하였습니다. 이게 토론 활성화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두고 봐야 하겠지만 일단은 시험적인 성격으로 활용해 주셨으면 합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12일 (수) 17:43 (KST)
== [[위키문헌토론:저작권 정책#저작권 정책 개정]]에 관하여 ==
안녕하세요 여러분. 현재 저작권 정책의 일부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토론을 개설하였습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사:Takipoint123|Takipoint123]] ([[사토:Takipoint123|토론]]) 2025년 3월 13일 (목) 02:30 (KST)
== Photocopying Ancient texts in SKY and other universities ==
Hello.
I'm planning on going to South Korea some time in April because some ancient historical texts are stored there that I need to copy. Can you check with me on the photocopying and loaning policies of these universities? I don't speak Korean, so I had a really hard time understanding their photocopying and loaning policies.
*https://lib.pusan.ac.kr/
*https://lib.kookmin.ac.kr/
*https://library.history.go.kr/
*https://library.kmu.ac.kr
*https://east.skku.edu/
*https://library.korea.ac.kr/
*https://library.sogang.ac.kr/
*https://library.yonsei.ac.kr/
*http://kostma.korea.ac.kr/
*https://library.cnu.ac.kr/
*https://ndlsearch.ndl.go.jp
*http://www.library.pref.osaka.jp/site/nakato/english-nakato.html
*https://lib.ewha.ac.kr/
*https://dldml2xhd.tistory.com/15920276
*https://lib.snu.ac.kr
*https://lib.khu.ac.kr
*https://lib.gnu.ac.kr
*https://lib.dongguk.edu/search/detail/CATTOT000000239323
*https://www.nfm.go.kr
*https://libs.yu.ac.kr/
*https://lib.jnu.ac.kr/
*https://elibrary.wku.ac.kr/
*https://dl.jbnu.ac.kr/
*https://www.gogung.go.kr/
Specifically, I want to see what their policies on scanning ancient historical texts are. I've searched the internet and couldn't find anything related to some of them. [[사:Blahhmosh|Blahhmosh]] ([[사토:Blahhmosh|토론]]) 2025년 3월 23일 (일) 15:02 (KST)
:Oh, and one more thing, I'm here because I want to read '''ancient historical texts''', which are obviously very fragile, so do I need special permissions to read these books? And is it possible to scan these books? [[사:Blahhmosh|Blahhmosh]] ([[사토:Blahhmosh|토론]]) 2025년 3월 23일 (일) 15:04 (KST)
== 韓語維基文庫《大韓民國憲法》文本之原貌問題及設立大使館頁面之建議 | {{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ruby|本文|본문}}의{{ruby|原型|원형}}{{ruby|問題|문제}}및{{ruby|大使館|대사관}}{{ruby|페이지|page}}{{ruby|設立|설립}}{{ruby|提案|제안}} ==
(本人母語爲漢語而非韓語,韓語文本乃程式翻譯所成,或有錯誤或未臻完善,尚祈海涵。答覆若用漢文(古漢文、今白話文皆可)、英文、德文,則在下能直接讀之;亦歡迎韓文回覆,在下將以翻譯程式讀之。)
(저의{{ruby|母國語|모국어}}는{{ruby|中國語|중국어}}이며{{ruby|韓國語|한국어}}가아닙니다.{{ruby|本|본}}{{ruby|韓國語|한국어}}{{ruby|本文|본문}}는{{ruby|機械|기계}}{{ruby|飜譯|번역}}으로{{ruby|作成|작성}}된것이므로{{ruby|誤謬|오류}}나{{ruby|未洽|미흡}}한{{ruby|部分|부분}}이있을수있습니다.{{ruby|諒解|양해}}부탁드립니다.{{ruby|答辯|답변}}이{{ruby|漢文|한문}}({{ruby|古文|고문}},{{ruby|現代|현대}}{{ruby|白話文|백화문}}모두{{ruby|可能|가능}}),{{ruby|英語|영어}},{{ruby|獨逸語|독일어}}로{{ruby|作成|작성}}될{{ruby|境遇|경우}}저는{{ruby|直接|직접}}읽을수있습니다.{{ruby|韓國語|한국어}}로{{ruby|答辯|답변}}하셔도좋으며,{{ruby|飜譯|번역}}프로그램을통해읽겠습니다.)
=== 一、《大韓民國憲法》文本之原貌問題 ===
=== {{ruby|一|일}}.《{{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ruby|本文|본문}}의{{ruby|原型|원형}}{{ruby|問題|문제}} ===
考諸韓語維基文庫[[대한민국헌법|大韓民國憲法]]所收錄之文本,皆以純諺文示之。然而,按其歷史,該等憲法原文蓋爲'''漢諺混寫'''。具體情形如下:
{{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의[[대한민국헌법|{{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에{{ruby|收錄|수록}}된{{ruby|本文|본문}}는모두{{ruby|純|순}}한글로만{{ruby|表示|표시}}되어있습니다.그러나그{{ruby|歷史|역사}}에따르면,{{ruby|該當|해당}}{{ruby|憲法|헌법}}의{{ruby|原文|원문}}은{{ruby|大部分|대부분}}'''{{ruby|漢字|한자}}한글{{ruby|混用|혼용}}'''으로{{ruby|作成|작성}}되었을{{ruby|可能性|가능성}}이큽니다.{{ruby|具體的|구체적}}인{{ruby|狀況|상황}}은다음과같습니다:
:* '''自一九四八年至一九八七年之十份《大韓民國憲法》''':於韓語維基百科[[대한민국헌법|大韓民國憲法]]分類中所收之文本,悉以'''純諺文'''呈示。然考諸相關資料,當時所定之憲法原文,蓋爲'''漢諺混寫'''。
:* '''{{ruby|一九四八年|일구사팔년}}부터{{ruby|一九八七年|일구팔칠년}}까지의열{{ruby|個|개}}의《{{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百科|백과}}의[[대한민국헌법|{{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ruby|分類|분류}}에{{ruby|收錄|수록}}된{{ruby|本文|본문}}는모두'''{{ruby|純|순}}한글'''로{{ruby|表示|표시}}되어있습니다.그러나{{ruby|關聯|관련}}{{ruby|資料|자료}}에따르면,{{ruby|當時|당시}}{{ruby|制定|제정}}된{{ruby|憲法|헌법}}의{{ruby|原文|원문}}은{{ruby|大槪|대개}}'''{{ruby|漢字|한자}}한글{{ruby|混用|혼용}}'''으로{{ruby|作成|작성}}되었을{{ruby|可能性|가능성}}이큽니다.
:* '''一九一九年大韓民國臨時政府之《[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臨時憲章_(1919年) 大韓民國臨時憲章]》與《[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臨時憲法_(1919年) 大韓民國臨時憲法]》''':見於中文維基文庫,未見於韓語維基文庫。此二文本係臨時政府在華所制,或其原文即爲'''漢文''',然具體情形在下難以考定。
:* '''{{ruby|一九一九年|일구일구년}}{{ruby|大韓民國臨時政府|대한민국임시정부}}의《[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臨時憲章_(1919年) {{ruby|大韓民國臨時憲章|대한민국임시헌장}}]》및《[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臨時憲法_(1919年) {{ruby|大韓民國臨時憲法|대한민국임시헌법}}]》''':이는{{ruby|中國語|중국어}}위키{{ruby|文獻|문헌}}에서볼수있으나{{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에는{{ruby|收錄|수록}}되어있지않습니다.이두{{ruby|文書|문서}}는{{ruby|臨時政府|임시정부}}가{{ruby|中國|중국}}에서{{ruby|制定|제정}}한것으로,그{{ruby|原文|원문}}이'''{{ruby|漢文|한문}}'''일{{ruby|可能性|가능성}}이있으나{{ruby|具體的|구체적}}인{{ruby|狀況|상황}}은제가{{ruby|確認|확인}}할수없습니다.
按中文維基文庫所錄,'''一九八七年現行本'''《[[s:zh:大韓民國憲法|大韓民國憲法]]》備有漢語翻譯及漢諺混寫原文,而'''一九四八年本'''《[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憲法_(1948年) 大韓民國憲法]》僅見中文翻譯,而無原文。至於'''一九一九年臨時政府之兩文本''',則僅有中文譯本,未詳其原文爲韓文抑或漢文。
{{ruby|中國語|중국어}}위키{{ruby|文獻|문헌}}에{{ruby|收錄|수록}}된{{ruby|資料|자료}}에따르면,'''{{ruby|一九八七年|일구팔칠년}}{{ruby|現行本|현행본}}'''《[[s:zh:大韓民國憲法|{{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은{{ruby|漢字|한자}}{{ruby|飜譯|번역}}및{{ruby|漢字|한자}}한글{{ruby|混用|혼용}}{{ruby|原文|원문}}이{{ruby|包含|포함}}되어있고,'''{{ruby|一九四八年本|일구사팔년본}}'''《[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憲法_(1948年) {{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은{{ruby|中國語|중국어}}{{ruby|飜譯|번역}}만있고{{ruby|原文|원문}}은{{ruby|包含|포함}}되어있지않습니다.또한,'''{{ruby|一九一九年|일구일구년}}{{ruby|臨時政府|임시정부}}의두{{ruby|文書|문서}}'''역시{{ruby|中國語|중국어}}{{ruby|飜譯|번역}}만있고{{ruby|原文|원문}}이{{ruby|韓國語|한국어}}인지{{ruby|漢文|한문}}인지{{ruby|明確|명확}}하지않습니다.
據此推想,自一九四八年至一九八七年之各版本,皆應以'''漢諺混寫'''爲原文。今韓語維基文庫所存者純以諺文示之,或非原貌。
이에비추어보면,{{ruby|一九四八年|일구사팔년}}부터{{ruby|一九八七年|일구팔칠년}}까지의모든버전은'''{{ruby|漢字|한자}}한글{{ruby|混用|혼용}}'''으로{{ruby|作成|작성}}되었을{{ruby|可能性|가능성}}이큽니다.{{ruby|現在|현재}}{{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에있는{{ruby|텍스트|rext}}는{{ruby|純|순}}한글로만{{ruby|表示|표시}}되어있어{{ruby|原型|원형}}을{{ruby|完全|완전}}히{{ruby|反映|반영}}하지못하고있을수있습니다.
是以建議:
따라서다음과같은{{ruby|提案|제안}}을드립니다:
:* '''於韓語維基文庫[[대한민국헌법|大韓民國憲法]]分類下,補全各版本憲法之原始漢諺混寫文本,並明示其爲原始文獻。'''
:* '''{{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의[[대한민국헌법|{{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ruby|分類|분류}}하에{{ruby|各|각}}버전의{{ruby|憲法|헌법}}의{{ruby|原來|원래}}{{ruby|漢字|한자}}한글{{ruby|混用|혼용}}{{ruby|本文|본문}}를{{ruby|補完|보완}}하고,이를{{ruby|原文|원문}}으로{{ruby|明示|명시}}하십시오.'''
:* '''如一九一九年臨時政府之憲章及憲法原文爲漢文,則亦宜補錄考定並註明為原始文獻。'''
:* '''{{ruby|萬若|만약}}{{ruby|一九一九年|일구일구년}}{{ruby|臨時政府|임시정부}}의{{ruby|憲章|헌장}}및{{ruby|憲法|헌법}}의{{ruby|原文|원문}}이{{ruby|漢文|한문}}이라면,이를{{ruby|調査|조사}}하여{{ruby|原文|원문}}으로{{ruby|追加|추가}}하고{{ruby|原本|원본}}{{ruby|資料|자료}}임을{{ruby|明示|명시}}하십시오.'''
=== 二、設立大使館頁面之建議 ===
=== {{ruby|二|이}}.{{ruby|大使館|대사관}}{{ruby|페이지|page}}{{ruby|設立|설립}}{{ruby|提案|제안}} ===
各語言之維基文庫,多於社群入口設立'''大使館'''頁面,以便非該語言之使用者得以溝通聯繫。例如:
여러{{ruby|言語|언어}}의위키{{ruby|文獻|문헌}}에서는{{ruby|大槪|대개}}{{ruby|使用者|사용자}}커뮤니티의{{ruby|入口|입구}}에'''{{ruby|大使館|대사관}}'''{{ruby|페이지|page}}를{{ruby|設定|설정}}하여그{{ruby|言語|언어}}를모르는{{ruby|使用者|사용자}}도{{ruby|連絡|연락}}하고{{ruby|疏通|소통}}할수있도록하고있습니다.{{ruby|例|예}}를들어:
:* '''[https://zh.wikisource.org/wiki/Wikisource:大使館 中文維基文庫大使館]''':提供官話白話文外十五種語文之導引,且於[https://zh.wikisource.org/wiki/社群主頁 社群主頁]設有英語入口,便於搜尋。
:* '''[https://zh.wikisource.org/wiki/Wikisource:大使館 {{ruby|中國語|중국어}}위키{{ruby|文獻|문헌}}{{ruby|大使館|대사관}}]''':{{ruby|官話|관화}}{{ruby|白話文|백화문}}외에도{{ruby|十五個|십오개}}{{ruby|言語|언어}}로{{ruby|案內|안내}}를{{ruby|提供|제공}}하며,[https://zh.wikisource.org/wiki/社群主頁 {{ruby|使用者|사용자}}모임]{{ruby|페이지|page}}에{{ruby|英語|영어}}로된{{ruby|入口|입구}}가있어{{ruby|檢索|검색}}이{{ruby|容易|용이}}합니다.
然本人於嘗試聯繫韓語維基文庫社群時,未能於社群主頁或其他入口見設大使館頁面。爲促進跨語言交流與合作,故建議:
그러나제가{{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ruby|使用者|사용자}}모임와{{ruby|連絡|연락}}을{{ruby|試圖|시도}}했을때,커뮤니티{{ruby|主要|주요}}{{ruby|페이지|page}}나다른{{ruby|入口|입구}}에서{{ruby|大使館|대사관}}{{ruby|페이지|page}}를찾을수없었습니다.{{ruby|言語間|언어간}}{{ruby|疏通|소통}}과{{ruby|協力|협력}}을{{ruby|促進|촉진}}하기위해,다음과같은{{ruby|提案|제안}}을드립니다:
:* '''於韓語維基文庫設立大使館頁面,並以主要國際語言(如英語、漢語等)標示聯繫方法,以便異語使用者能通暢聯絡。'''
:* '''{{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에{{ruby|大使館|대사관}}{{ruby|페이지|page}}를{{ruby|設立|설립}}하고,{{ruby|主要|주요}}{{ruby|國際|국제}}{{ruby|言語|언어}}(例:{{ruby|英語|영어}},{{ruby|中國語|중국어}}등)로{{ruby|連絡|연락}}{{ruby|方法|방법}}을{{ruby|表示|표시}}하여다른{{ruby|言語|언어}}{{ruby|使用者|사용자}}들이{{ruby|圓滑|원활}}히{{ruby|連絡|연락}}할수있도록하십시오.'''
謹此奉陳,並頌
文祺。
{{ruby|謹呈|근정}}합니다.
{{ruby|文運|문운}}을기원합니다.
::::[[사:Xsgzjmxs|Xsgzjmxs]] ([[사토:Xsgzjmxs|토론]]) 2025년 4월 3일 (목) 15:28 (KST)
:{{답장|Xsgzjmxs}}, [[:zh:大韓民國臨時憲章 (1919年)]]와 [[:zh:大韓民國臨時憲法 (1919年)]]는 중국어 번역문이며, 당시 실제 원문은 말씀하신대로 국한문혼용의 한국어로 기재되어 있는 것이 맞습니다. 두 문서는 [[대한민국임시헌장 (제1호)]] 및 [[대한민국임시헌법 (제2호)]]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대한민국임시헌법 (제2호)]]의 경우 순한글로만 기록되어 있어 수정이 필요해 보이네요. [https://db.history.go.kr/modern/level.do?levelId=ij_001_0010_00010] [https://db.history.go.kr/modern/level.do?levelId=ij_001_0010_00020] / 대사관은 다른 사용자들의 의견이 있으면 있어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4월 3일 (목) 21:47 (KST)
:예를 들어 [[대한민국헌법 (제1호) 국한문]]에 국한문 제헌헌법을 올려두었습니다. [[사:ZornsLemon|Z.Lemon]] ([[사토:ZornsLemon|토론]]) 2025년 4월 3일 (목) 22:21 (KST)
:: 有勞相助,甚爲感念!<br> 援助을주심에깊이感謝드립니다.
:: 另有一事欲就教於君:竊以爲《大韓民國憲法》(第一號)之[[대한민국헌법 (제1호) 국한문|漢諺混寫本]]與[[대한민국헌법_(제1호)|純諺文本]]實係同一文本,並無實質差異,故其於維基文庫之編排,或可共列於一頁之中,且陳明以漢諺混寫者爲原文,純諺文者爲其對應之譯本。如此編次,不惟便於讀者參照比較,亦可避免彼此分置而互無指引之弊。蓋若分頁而置,且不設標示,則閱者或見其一而不知其二,未免有所遺闕。<br> 또한가지아뢰고자하는바가있습니다:思索건대《大韓民國憲法》(第一號)의[[대한민국헌법 (제1호) 국한문|漢字한글混用本]]과[[대한민국헌법_(제1호)|純粹한글本]]은實質的으로同一한文獻으로,內容上別다른差異는없사온즉,維基文獻에서는兩本文을一페이지에倂記하고,混用本을原文으로삼아純한글本을그對應飜譯으로明記함이어떨까합니다.이와같이編輯한다면,讀者가兩本을對照해읽기에容易할뿐만아니라,兩本을따로이配置하되서로간아무런案內도없을境遇,한쪽만보고他쪽의存在를알지못하게되는弊端도막을수있으리라思料됩니다.
:: 又據《大韓民國憲法》(第一號)[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e/2007_11_25_WarMemorial_120.JPG 實物照片],觀其版面所用空格分詞,與今行標準略有不同。譬如首頁一段,原應爲:<br> 아울러《大韓民國憲法》(第一號)[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e/2007_11_25_WarMemorial_120.JPG 實物寫眞]에따르면,그紙面에使用된空白區分方式은現行表記基準과다소差異가있사옵니다.例컨대初頁의本文은다음과같이되어야할것입니다:
::
:: [[파일:2007 11 25 WarMemorial 120.JPG|섬네일|《大韓民國憲法》(第一號)實物寫眞]]
::
::
:::: 大韓民國憲法
:::: 前 文
:::: 悠久한歷史와傳統에빛나는 우리들大韓國民은 己未三一運動으로大韓民國을建立하여 世界에宣布한偉大한獨立精神을繼承하여 이제民主獨立國家를再建함에있어서 正義人道와同胞愛로써民族의團結을鞏固히하며 모든社會的弊習을打破하고 民主主義諸制度를樹立하여政治、經濟、社會、文化의모든領域에있어서各人의機會를均等히하고 能力을最高度로發揮케하며 各人의責任과義務를完遂⋯⋯
::
:: 依此觀之,維基文庫之錄文,或應如實反映原始版本之格式,庶幾尊重史實,保存原貌。誠願編輯諸君詳察之。<br> 이와같이살펴볼때,위키文獻의收錄文은原本의形式을忠實히反映함이마땅할것이며,그리함으로써歷史的事實을尊重하고元來의面貌를保存하는데에도貢獻할수있으리라信합니다.
바라건대編輯에關係되신여러先生님들께서깊이살펴주시기를仰望하옵니다.
::
順頌<br>時綏。
:: [[사:Xsgzjmxs|Xsgzjmxs]] ([[사토:Xsgzjmxs|토론]]) 2025년 4월 11일 (금) 10:12 (KST)
== Digital Librar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on Wikimedia Commons ==
[[c:Category:Books_in_the_Digital_Library_of_the_National_Library_of_Korea]] [[사:維基小霸王|維基小霸王]] ([[사토:維基小霸王|토론]]) 2025년 5월 20일 (화) 20:38 (KST)
== 한국 저작권 틀 개정 관련 ==
* [[틀:PD-대한민국/연습장|틀:PD-대한민국]] ([[commons:Template:PD-South Korea|Template:PD-South Korea]])
* [[틀:PD-대한민국-법인/연습장|틀:PD-대한민국-법인]] ([[commons:Template:PD-South Korea-organization|Template:PD-South Korea-organization]]) → 기존의 [[틀:PD-대한민국-업무상]]
* [[틀:PD-대한민국-무명/연습장|틀:PD-대한민국-무명]] ([[commons:Template:PD-South Korea-anon|Template:PD-South Korea-anon]])
* [[틀:PD-대한민국-비보호/연습장|틀:PD-대한민국-비보호]] ([[commons:Template:PD-South Korea-exempt|Template:PD-South Korea-exempt]]) → 기존의 [[틀:PD-대한민국]]
한국 저작권 틀을 공용에 맞추어 개정하려고 하는데 이름을 정하는데 있어서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명칭을 "PD-대한민국"과 "PD-South Korea"와 같이 한글과 영문 중 무엇으로 해야할지 정하지 못하였습니다. [[위키문헌:사랑방#저작권 틀의 번역명]]에서 이미 영문명으로 사용했으면 좋겠다고 의견을 남기긴 하였는데, [[틀:PD-대한민국]]의 경우 거의 만 개에 가까운 문서에 사용 중이어서 영향이 클 것 같아 한 번 더 여쭤봅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6월 8일 (일) 20:22 (KST)
:저도 통일성 등을 생각해 영문으로 통일하는 쪽에 동의합니다. 다만 아무래도 틀 이름이 영어로만 되어 있으면 접근성이 낮아질 테니 한국어로 된 넘겨주기도 일일이 다 만들어두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6월 8일 (일) 21:32 (KST)
3yo9nkm5mi6uc83jq7as7x6vvnpvqhg
페이지:태셔신사 상.djvu/188
250
87919
390654
328563
2025-06-09T07:01:34Z
ZornsLemon
15531
39065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방이러니 곡가ㅣ 귀ᄒᆞᆷ을 ᄯᅡ라 도디 돈이 오ᄇᆡᆨ이십오만 방이 되고 화약ᄒᆞᆫ 후ᄂᆞᆫ 곡가히 다시 져락ᄒᆞ야 전ᄌᆡᆼ 젼과 갓트나 도디ᄂᆞᆫ 의연이 감치 아니ᄒᆞ니 농민이 견ᄃᆡ지 못ᄒᆞ야 그졔야 밧가ᄂᆞᆫ 신법을 강구ᄒᆞᆯᄉᆡ 화학 학사ㅣ 거름 만드ᄂᆞᆫ 법을 ᄂᆡ여 디력을 ᄉᆡᆼᄒᆞ게 ᄒᆞ고 일쳔팔ᄇᆡᆨ이십ᄉᆞᆷ년【순조 이십ᄉᆞᆷ년】에 {{u|사미덕}}이라 ᄒᆞᄂᆞᆫ ᄉᆞᄅᆞᆷ이 밧 겻ᄒᆡ ᄀᆡ쳔 ᄂᆡᄂᆞᆫ 법을 창ᄀᆡᄒᆞ니 그 ᄀᆡ쳔이 우흔 널고 아ᄅᆡᄂᆞᆫ 좁으며 가온ᄃᆡᄅᆞᆯ 돌로 메이여 밧과 갓치 평ᄒᆞ게 ᄒᆞ니 디즁 수긔가 ᄌᆞ연 다 ᄉᆡ야 ᄲᅡ지며 인ᄒᆞ야 량식이 젼보다 ᄉᆞᆷ분일이 더 ᄉᆡᆼᄒᆞ고 기외 풀 갓튼 거슨 십분에 ᄉᆞᆷᄉᆞ이 더ᄒᆞ니 이에 젼국이 방ᄒᆡᆼᄒᆞ야 량식이 더ᄒᆞ며 ᄉᆡᆼ츅과 ᄉᆞᄅᆞᆷ의 병이 ᄯᅩᄒᆞᆫ 적은지라 {{du|영}}졍이 그 리익 잇슴을 알고 일쳔팔ᄇᆡᆨᄉᆞ십륙년【헌종 십이년】에 {{du|영}}금 ᄉᆞᄇᆡᆨ만 방을 ᄃᆡ하ᄒᆞ야 농부로 ᄒᆞ야곰 법을 방ᄒᆡᆼ케 ᄒᆞ며 농민이 ᄯᅩ 격물ᄒᆞᄂᆞᆫ 리치ᄅᆞᆯ 강구ᄒᆞ야 무론 하물ᄒᆞ고 토디와 젹당ᄒᆞᆫ 후에 심으며 ᄯᅩ 거름ᄒᆞᄂᆞᆫ 법도 토디ᄅᆞᆯ ᄯᅡ라 상당ᄒᆞ게 ᄒᆞ더니 이윽고 농학 회사ᄅᆞᆯ 셰워 각 선법을 ᄒᆡᆼᄒᆞᆯ새 ᄌᆞ긔의 밧치 어ᄃᆡ 잇셔 디형이 엇더ᄒᆞ니 무ᄉᆞᆷ 법과 무ᄉᆞᆷ 거름을 ᄡᅥ야 올타 ᄒᆞ며 피ᄎᆞ 아ᄂᆞᆫ ᄃᆡ로 말ᄒᆞ야 강마ᄒᆞ며 농학 신문지ᄅᆞᆯ 광포ᄒᆞ야 ᄯᅡ을 ᄀᆡ간ᄒᆞᆷ과 곡식을 타작ᄒᆞᆷ을 다 신긔계로 ᄒᆡᆼᄒᆞ며 일쳔팔ᄇᆡᆨ오십오년【쳘종 {{sic|오|륙}}년】에 ᄯᅩ 화륜긔계로 ᄯᅡ흘 ᄀᆡ간ᄒᆞ니 토력이 더욱 ᄉᆡᆼ신ᄒᆞ야 량식과 과실이 다 무ᄉᆡᆼᄒᆞ고 갑시 ᄯᅩᄒᆞᆫ 헐ᄒᆞ더라
::뎨팔졀 농공의 춍론이라
{{du|영국}} 공장의 ᄌᆡ조ㅣ 만국의 읏듬이 되야 년년이 증가ᄒᆞ더니 지금은 젼일 갓치 더 느러가지 못ᄒᆞ나 대져 ᄇᆡᆨ년 젼에 비ᄒᆞᆯ ᄇᆡ 아니라 {{du|영국}}이 각국을 모와 {{du|법국}}을 칠 ᄯᅢ에ᄂᆞᆫ 각국이 오직 전ᄌᆡᆼ을 일ᄉᆞᆷ아 다른 일에 결을치 못ᄒᆞ고 {{du|영국}}은 수ᄉᆞᆷ명 인군자ㅣ 잇셔 신법을 강구ᄒᆞ니 이에 졀ᄃᆡᄒᆞᆫ ᄌᆡ조ㅣ 만국에 졔일이라 각국이 물건 ᄉᆞᄂᆞᆫ 자ㅣ ᄌᆞ연 {{du|영국}}에 구ᄒᆞ며 {{du|영국}}은 물건이 졍ᄒᆞ고 갑시 념ᄒᆞᆫ 고로 혹 의방ᄒᆞᄂᆞᆫ ᄌᆞ이 잇셔도 {{du|영국}} 갓치 만히 파지 못ᄒᆞ니 {{du|영}}인의 득리ᄒᆞᆷ이 불가승언이러니 근ᄅᆡ 타국이 갈력ᄒᆞ야 ᄉᆡ 긔계ᄅᆞᆯ 졔조ᄒᆞ며 입구 화물의 셰ᄅᆞᆯ 즁ᄒᆞ게 ᄒᆞ야 지어 {{du|미국}}은 셰젼이 더욱 극즁ᄒᆞᆫ 고로 그 ᄇᆡᆨ셩이 {{du|영국}} 물건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zrl9ftar54s5cchp9ffnxrsqbud7qn
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1호).pdf
252
91553
390543
369138
2025-06-08T12:18:10Z
Namoroka
1939
390543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journal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1호|제1권 제1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2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C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서문 3=1 />
|권별 색인='''제1권''' {{가로목록|class=inline|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제2권''' {{가로목록|class=inline|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제3권''' {{가로목록|class=inline|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제4권''' {{가로목록|class=inline|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7fynxj8gjmhu8jw8ni8x4bv08v2njo8
390544
390543
2025-06-08T12:27:31Z
Namoroka
1939
390544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journal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1호|제1권 제1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2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C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서문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mth0sbne3jjcmdkx54faxqxwvay7817
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6호).pdf
252
91554
390549
337862
2025-06-08T12:27:40Z
Namoroka
1939
390549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6호|제1권 제6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2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서문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shm840amgdaobtupfpke50q4qebhukv
390558
390549
2025-06-08T12:28:33Z
Namoroka
1939
390558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journal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6호|제1권 제6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2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서문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24as8utu5ez07x0xoq9xz1idc0lx8oh
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4호).pdf
252
91555
390547
337860
2025-06-08T12:27:35Z
Namoroka
1939
390547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4호|제1권 제4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2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서문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ia72zl67umg0gxgxqx58asfpak4eyn2
390556
390547
2025-06-08T12:28:28Z
Namoroka
1939
390556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journal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4호|제1권 제4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2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서문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dxbr0kqsbs2mjz4idx5g2ai0x5o1e0d
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5호).pdf
252
91556
390548
337861
2025-06-08T12:27:38Z
Namoroka
1939
390548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5호|제1권 제5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2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서문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i03ww8b4kviaad5bz6qddloba9u2st0
390557
390548
2025-06-08T12:28:31Z
Namoroka
1939
390557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journal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5호|제1권 제5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2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서문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efmrv03yyudkr0q9khssosmc3t6v7o1
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2호).pdf
252
91557
390545
369139
2025-06-08T12:27:33Z
Namoroka
1939
390545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2호|제1권 제2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2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C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서문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geaoxy3cl5m3gz6waqy1yhlqjbkd2pp
390554
390545
2025-06-08T12:28:21Z
Namoroka
1939
390554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journal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2호|제1권 제2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2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C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서문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jfy1qqgaapriag6ha2kilhv5mcjt0ki
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3호).pdf
252
91695
390546
369142
2025-06-08T12:27:34Z
Namoroka
1939
390546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3호|제1권 제3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2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C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서문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87o6zjywmdx35z6wqner67912xth1ey
390555
390546
2025-06-08T12:28:25Z
Namoroka
1939
390555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journal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3호|제1권 제3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2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C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서문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fr751c0v2j7svrohi9biruj0qytlk3z
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7호).pdf
252
91700
390550
337881
2025-06-08T12:27:42Z
Namoroka
1939
390550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7호|제1권 제7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3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목차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d4hyj8rus4hy5dt8gau2g05jmmkw2dk
390559
390550
2025-06-08T12:28:36Z
Namoroka
1939
390559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journal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7호|제1권 제7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3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목차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n6ro32wm1lj9oc35ayk7fz3ga219e8q
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8호).pdf
252
91701
390551
337880
2025-06-08T12:27:44Z
Namoroka
1939
390551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8호|제1권 제8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3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목차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6k0ra0nxr16t57mi4rjmsd50mwgpjku
390560
390551
2025-06-08T12:28:40Z
Namoroka
1939
390560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journal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8호|제1권 제8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3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목차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37e2o6q6ziqczsk81r0yborft2n2ppa
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9호).pdf
252
92005
390552
339880
2025-06-08T12:27:46Z
Namoroka
1939
390552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9호|제1권 제9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3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목차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ipnp7hogtaj1wzisasmgm6ubpoihmbq
390561
390552
2025-06-08T12:28:42Z
Namoroka
1939
390561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journal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9호|제1권 제9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3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목차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bye88e1t20nu3po72bp8k0eonk218kx
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10호).pdf
252
92006
390553
339882
2025-06-08T12:27:51Z
Namoroka
1939
390553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10호|제1권 제10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4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목차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513qjojabii6g726ipm6ppsid2un5up
390562
390553
2025-06-08T12:28:45Z
Namoroka
1939
390562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journal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1권/제10호|제1권 제10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4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목차 3=1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6i1fedou261t65kobx645gots25knvh
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1호).pdf
252
92007
390563
339883
2025-06-08T12:29:33Z
Namoroka
1939
390563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journal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2권/제1호|제2권 제1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4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jycfv4anol0uurmkb08craj8oh0r5x3
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2호).pdf
252
92008
390564
339884
2025-06-08T12:29:34Z
Namoroka
1939
390564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한글]]
|언어=ko
|권=[[한글/제2권/제2호|제2권 제2호]]
|저자=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34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
|권별 색인={{가로목록|class=inline|
*'''제1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1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2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2권 %d호).pdf|%d호|1|9}}}}<!--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3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3권 %d호).pdf|%d호|1|10}}}}<!--
--><br />{{가로목록|class=inline|
*'''제4권''':
{{링크 목록|색인:조선어학회 한글 (4권 %d호).pdf|%d호|1|11}}}}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현대 한글 문헌 프로젝트]]
tqwblu5g491vvafffir4ckhuxek7oiv
한글
0
92117
390565
350314
2025-06-08T12:30:25Z
Namoroka
1939
390565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한글
| 다른 표기 =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조선어학회
| 역자 =
| 이전 =
| 다음 =
| 연도 =
| 설명 = 조선어학회(현 한글 학회)에서 출판한 한글에 관한 학술지로, [[한글 마춤법 통일안]]에 관련한 내용이 실려 있다. 1942년 [[w:조선어학회 사건|조선어학회 사건]]으로 발행이 잠시 중단되기도 하였다.
}}
{{보조 목차|title=권별 분류 |comment= |text=
* [[/제1권|제1권]]
* [[/제2권|제2권]]
* [[/제3권|제3권]]
* [[/제4권|제4권]]
}}
== 라이선스 ==
{{PD-대한민국-업무상}}
[[분류:1930년대 작품]]
[[분류:1940년대 작품]]
[[분류:한글]]
perdwl93y8fz9ms6zffyhjj4b8biquo
색인:조선어학회 훈민정음.pdf
252
92553
390571
341934
2025-06-08T12:34:14Z
Namoroka
1939
390571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훈민정음]](訓民正音)
|언어=ko
|권=
|저자=[[저자:조선 세종|세종]]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조선어학회
|위치=
|연도=1946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C
|쪽별 색인=<pagelist />
|권별 색인=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jmt2gsclcuj81i19cxkc2wtc6v9uzaj
장한몽
0
94145
390578
383899
2025-06-08T12:43:46Z
Namoroka
1939
390578
wikitext
text/x-wiki
{{출처 필요}}
{{스캔으로 이동|[[색인:조중환 장한몽 상편 (1930).pdf]], [[색인:조중환 장한몽 중편 (1930).pdf]], [[색인:조중환 장한몽 하편 (1914).pdf]]}}
{{머리말
| 제목 = 장한몽
| 다른 표기 = 長恨夢, 이수일과 심순애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조중환|조중환]]
| 역자 =
| 이전 =
| 다음 =
| 연도 =
| 설명 = '이수일과 심순애'로 더 잘 알려진 작품으로, 일재 조중환이 오자키 고요(尾崎紅葉)가 지은 「곤지키야샤(金色夜叉, 금색야차)」를 번안한 소설이다. 곤지키야사는 Brame, Charlotte M.의 'Weaker Than a Woman'의 번안이라는 주장이 있다. 연극이나 영화로도 여러 차례 공연 또는 상연되었다.
}}
* 상권
** [[/1장/|제1장 윷놀음판]]
** [[/2장/|제2장 돌아오는 길]]
** [[/3장/|제3장 외로운 의탁]]
** [[/4장/|제4장 깊은 밤에 회포를 말한다]]
** [[/5장/|제5장 번민]]
** [[/6장/|제6장 회구]]
** [[/7장/|제7장 평양 우거]]
** [[/8장/|제8장 대동강안]]
** [[/9장/|제9장 남대문 정거장]]
** [[/10장/|제10장 요리점]]
** [[/11장/|제11장 서강 별장]]
** [[/12장/|제12장 해후]]
* 중권
** [[/13장/|제1장 채무 독촉]]
** [[/14장/|제2장 자탄]]
** [[/15장/|제3장 오호 기구]]
** [[/16장/|제4장 병실]]
** [[/17장/|제5장 수루불견]]
** [[/18장/|제6장 투신]]
** [[/19장/|제7장 적원]]
** [[/20장/|제8장 귀화]]
* 하권
** [[/21장/|제1장 충고]]
** [[/22장/|제2장 사죄]]
** [[/23장/|제3장 질투]]
** [[/24장/|제4장 악몽]]
** [[/25장/|제5장 청량암]]
** [[/26장/|제6장 편지]]
** [[/27장/|제7장 부호의 난행]]
** [[/28장/|제8장 병상]]
** [[/29장/|제9장 성광]]
** [[/30장/|제10장 자부의 애원]]
** [[/31장/|제11장 빙상모]]
** [[/32장/|제12장 고목생춘]]
** [[/33장/|제13장 순애의 쾌복]]
** [[/33장/|제14장 단란한 가정]]
==저작권==
{{PD-old-70}}
[[분류:번안 소설]]
fb3gelh2eks99v9dddo0dn7dovcolza
390582
390578
2025-06-08T13:38:11Z
ZornsLemon
15531
390582
wikitext
text/x-wiki
{{스캔으로 이동|[[색인:조중환 장한몽.pdf]]}}
{{머리말
| 제목 = 장한몽
| 다른 표기 = 長恨夢, 이수일과 심순애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조중환|조중환]]
| 역자 =
| 이전 =
| 다음 =
| 연도 =
| 설명 = '이수일과 심순애'로 더 잘 알려진 작품으로, 일재 조중환이 오자키 고요(尾崎紅葉)가 지은 「곤지키야샤(金色夜叉, 금색야차)」를 번안한 소설이다. 곤지키야사는 Brame, Charlotte M.의 'Weaker Than a Woman'의 번안이라는 주장이 있다. 연극이나 영화로도 여러 차례 공연 또는 상연되었다.
}}
* 상권
** [[/1장/|제1장 윷놀음판]]
** [[/2장/|제2장 돌아오는 길]]
** [[/3장/|제3장 외로운 의탁]]
** [[/4장/|제4장 깊은 밤에 회포를 말한다]]
** [[/5장/|제5장 번민]]
** [[/6장/|제6장 회구]]
** [[/7장/|제7장 평양 우거]]
** [[/8장/|제8장 대동강안]]
** [[/9장/|제9장 남대문 정거장]]
** [[/10장/|제10장 요리점]]
** [[/11장/|제11장 서강 별장]]
** [[/12장/|제12장 해후]]
* 중권
** [[/13장/|제1장 채무 독촉]]
** [[/14장/|제2장 자탄]]
** [[/15장/|제3장 오호 기구]]
** [[/16장/|제4장 병실]]
** [[/17장/|제5장 수루불견]]
** [[/18장/|제6장 투신]]
** [[/19장/|제7장 적원]]
** [[/20장/|제8장 귀화]]
* 하권
** [[/21장/|제1장 충고]]
** [[/22장/|제2장 사죄]]
** [[/23장/|제3장 질투]]
** [[/24장/|제4장 악몽]]
** [[/25장/|제5장 청량암]]
** [[/26장/|제6장 편지]]
** [[/27장/|제7장 부호의 난행]]
** [[/28장/|제8장 병상]]
** [[/29장/|제9장 성광]]
** [[/30장/|제10장 자부의 애원]]
** [[/31장/|제11장 빙상모]]
** [[/32장/|제12장 고목생춘]]
** [[/33장/|제13장 순애의 쾌복]]
** [[/33장/|제14장 단란한 가정]]
==저작권==
{{PD-old-70}}
[[분류:번안 소설]]
nfrh1fr995dl1sgrm126mtnnrkb9ts3
색인:조중환 장한몽 상편 (1930).pdf
252
94247
390574
346336
2025-06-08T12:40:19Z
Namoroka
1939
서로 다른 판본이긴 하나.. 권별 색인은 같이 연결해놓음
390574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장한몽]](長恨夢)
|언어=ko
|권=[[장한몽/상|상]](上)
|저자=오자키 고요(尾崎 紅葉)
|번역자=조중환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회동서관
|위치=
|연도=1930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X
|쪽별 색인=<pagelist />
|권별 색인={{가로목록|
* [[색인:조중환 장한몽 상편 (1930).pdf|상]]
* [[색인:조중환 장한몽 중편 (1930).pdf|중]]
* [[색인:조중환 장한몽 하편 (1914).pdf|하]]
}}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bjc0rabtdb9dc03oozcacfi78hdo28a
색인:조중환 장한몽 중편 (1930).pdf
252
94248
390575
346337
2025-06-08T12:40:41Z
Namoroka
1939
390575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장한몽]](長恨夢)
|언어=ko
|권=[[장한몽/중|중]](中)
|저자=오자키 고요(尾崎 紅葉)
|번역자=조중환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신구서림
|위치=
|연도=1916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X
|쪽별 색인=<pagelist />
|권별 색인={{가로목록|
* [[색인:조중환 장한몽 상편 (1930).pdf|상]]
* [[색인:조중환 장한몽 중편 (1930).pdf|중]]
* [[색인:조중환 장한몽 하편 (1914).pdf|하]]
}}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iuqww28so6przj0dkmlfnw6mxzrlq2g
색인:조중환 장한몽 하편 (1914).pdf
252
94249
390576
346338
2025-06-08T12:40:43Z
Namoroka
1939
390576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장한몽]](長恨夢)
|언어=ko
|권=[[장한몽/하|하]](下)
|저자=오자키 고요(尾崎 紅葉)
|번역자=조중환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유일서관
|위치=
|연도=1914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X
|쪽별 색인=<pagelist />
|권별 색인={{가로목록|
* [[색인:조중환 장한몽 상편 (1930).pdf|상]]
* [[색인:조중환 장한몽 중편 (1930).pdf|중]]
* [[색인:조중환 장한몽 하편 (1914).pdf|하]]
}}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ebk1lihncgnd2zbb6f3tmvyyfrpix4t
색인:조양반서(造洋飯書).pdf
252
94250
390572
346333
2025-06-08T12:35:00Z
Namoroka
1939
390572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조양반셔]](조양반셔, 造洋飯書)
|언어=ko
|권=
|저자=마사 크로포드
|번역자=릴리어스 호튼 언더우드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
|위치=
|연도=1899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X
|쪽별 색인=<pagelist />
|권별 색인=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o7zpg64bn1z3ul0eox10sbvwznpgrsy
390583
390572
2025-06-08T13:40:11Z
ZornsLemon
15531
390583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조양반셔]](조양반셔, 造洋飯書)
|언어=ko
|권=
|저자=마사 크로포드
|번역자=릴리어스 호튼 언더우드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
|위치=
|연도=1899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MS
|쪽별 색인=<pagelist />
|권별 색인=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pseaysk3kqdfi8480js3q21xcxruw92
위키문헌: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5년 상반기/문헌목록
4
94877
390590
390383
2025-06-09T01:41:35Z
Motoko (WMKR)
14454
/* 난이도 하 */
390590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ta3ad2v7vfijpf87qicbwaexuh581t3
390591
390590
2025-06-09T01:43:39Z
Motoko (WMKR)
14454
390591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h65ts5qfpvf0qsnd8gqgquhue8epohr
390592
390591
2025-06-09T01:44:47Z
Motoko (WMKR)
14454
390592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f7tbssnrp8vzhbbjm9ofecibzf0k3ce
390593
390592
2025-06-09T01:49:16Z
Motoko (WMKR)
14454
390593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40dzmkvvgj7d9y7uzdxj5johesb0ma4
390594
390593
2025-06-09T01:49:50Z
Motoko (WMKR)
14454
/* 난이도 중 */
390594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2u51hwhywzwdg86utmrf91ji0500oq5
390595
390594
2025-06-09T01:50:45Z
Motoko (WMKR)
14454
390595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cj3vsw06m671pshb8fry5l0pvr4xq2d
390596
390595
2025-06-09T01:51:05Z
Motoko (WMKR)
14454
390596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syrnqsmoeti34ehhr9b89trnoyzzd9z
390597
390596
2025-06-09T01:52:02Z
Motoko (WMKR)
14454
390597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j8505plhjvwong28b1sfxqe21dwecof
390598
390597
2025-06-09T01:53:03Z
Motoko (WMKR)
14454
390598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hki1jt0qofdfcp421x9xhm0iuzm9ihi
390599
390598
2025-06-09T01:59:07Z
Motoko (WMKR)
14454
390599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선택}}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cc7ix3ms53r32c41adi0t1u2fzw4iaj
390601
390599
2025-06-09T02:00:32Z
Motoko (WMKR)
14454
390601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선택}}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ppqtrb96lym77n1nhrb1kf4umv354bf
390602
390601
2025-06-09T02:11:40Z
Motoko (WMKR)
14454
390602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선택}}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ihj1qe26dxkwl98idtfoffxk9z4lh7v
390603
390602
2025-06-09T02:20:32Z
Motoko (WMKR)
14454
390603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선택}}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ow5vejxjeb7f9v9q62egls91ts4ugzr
390604
390603
2025-06-09T02:23:09Z
Motoko (WMKR)
14454
390604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선택}}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eawfvei80tqnbui27zy8styfxer9sj2
390605
390604
2025-06-09T02:24:13Z
Motoko (WMKR)
14454
390605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완료}}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선택}}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8241pyrmwxamkgp6ep5eey5zp55xhhs
390606
390605
2025-06-09T02:29:37Z
Motoko (WMKR)
14454
390606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완료}}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선택}}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완료}}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6dpub6ek4jqimursitwsvmua3661dah
390608
390606
2025-06-09T02:31:54Z
Motoko (WMKR)
14454
390608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완료}}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완료}}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완료}}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fxhuu57rkba8081tc0cq542rp0q4n4v
390609
390608
2025-06-09T02:32:38Z
Motoko (WMKR)
14454
390609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완료}}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완료}}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완료}}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e8qcz9jmey5hab034ulx4cs3wprygj9
390610
390609
2025-06-09T02:34:23Z
Motoko (WMKR)
14454
390610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완료}}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완료}}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완료}}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완료}}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3d83xpmeyzjdq72wzelofuqkl78vfcf
390613
390610
2025-06-09T02:41:36Z
Motoko (WMKR)
14454
390613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완료}}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완료}}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완료}}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완료}}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완료}}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d5em5cksflv6xpv1xmzg5nk2g48m53m
390617
390613
2025-06-09T02:46:11Z
Motoko (WMKR)
14454
390617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완료}}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완료}}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완료}}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완료}}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완료}}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pgykyxi1euirds2dhjjjli8cdsa68wd
390618
390617
2025-06-09T02:51:06Z
Motoko (WMKR)
14454
390618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완료}}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완료}}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완료}}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완료}}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완료}}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완료}}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
d4m98508uug6v0zbdl4rxxn6ejw85gc
390633
390618
2025-06-09T04:32:41Z
Motoko (WMKR)
14454
390633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완료}}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완료}}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완료}}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완료}}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완료}}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완료}}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완료}}
|}
jsekc5m8004f9evuyn5mb06qsgiyqlr
390634
390633
2025-06-09T04:38:06Z
Motoko (WMKR)
14454
390634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완료}}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완료}}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완료}}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완료}}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완료}}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완료}}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완료}}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완료}}
|}
pajo1gw4q2nmoo27nti3kmc04gsmhq1
390643
390634
2025-06-09T06:11:51Z
Motoko (WMKR)
14454
/* 난이도 중 */
390643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완료}}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완료}}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완료}}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완료}}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완료}}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완료}}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완료}}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완료}}
|}
r0259nkn5l51lwnw91w4w6clqrjezxz
390661
390643
2025-06-09T08:43:45Z
Motoko (WMKR)
14454
390661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완료}}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완료}}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완료}}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완료}}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완료}}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완료}}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완료}}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완료}}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완료}}
|}
h11eeqdmdo8llzbwbx3gdtarbp34rvd
390663
390661
2025-06-09T08:59:55Z
Motoko (WMKR)
14454
/* 난이도 하 */
390663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완료}}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완료}}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완료}}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완료}}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완료}}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완료}}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완료}}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완료}}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완료}}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완료}}
|}
908p9qzhy9584j64o55eh08p2fs7bta
390675
390663
2025-06-09T10:12:45Z
Motoko (WMKR)
14454
390675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완료}}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완료}}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완료}}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완료}}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완료}}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완료}}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완료}}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완료}}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완료}}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완료}}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완료}}
|}
e60o94dlva9zsmptjsw3o7cfy6u7ok1
390678
390675
2025-06-09T10:35:33Z
Motoko (WMKR)
14454
390678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완료}}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완료}}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완료}}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완료}}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완료}}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완료}}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완료}}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완료}}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완료}}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완료}}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완료}}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완료}}
|}
qopsxa6kour8vfhuekniwb2b2vwecw1
위키문헌: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5년 상반기/도움말
4
94880
390696
389790
2025-06-09T11:33:32Z
Motoko (WMKR)
14454
/* 날개셋 입력기 */
390696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4년 하반기}}
==옛한글 지원 폰트 설치 ==
* 1단계: 나눔 옛한글 폰트 파일 다운로드 ([https://hangeul.naver.com/2014/archaicword 링크])
* 2단계: 컴퓨터에 설치 ([https://support.microsoft.com/ko-kr/office/글꼴-추가-b7c5f17c-4426-4b53-967f-455339c564c1 윈도우], [https://support.apple.com/ko-kr/guide/font-book/fntbk1000/mac 맥])
==옛한글 입력 방법==
=== 웹 입력기 ===
* [https://ohi.pat.im/?ko=2-KSX5002&y=1 온라인 한글 입력기]
* 옛한글 입력이 안 되는 경우에는 한글키에서 영문키로 변환해 보세요.
=== 날개셋 입력기 ===
* [http://moogi.new21.org/prg4.html 날개셋 한글 입력기 설치] (윈도 전용)
[[파일:2023하반기 옛한글 OT - 5B2 날개셋한글입력기 설치.webm|섬네일|왼쪽|날개셋 한글 입력기 설치 및 설정]]
{{clear}}
==반복 부호 ==
;〻
한글 반복부호
;々
한자 반복부호
{{clear}}
==주의 사항==
* 옛한글 깨짐 현상 방지를 위해 모든 페이지의 시작 부분에 '''<nowiki>{{옛한글쪽 시작}}</nowiki>''', 모든 페이지의 마지막 문장 뒤에 '''<nowiki>{{옛한글쪽 끝}}</nowiki>'''을 입력합니다.
** 모든 문자가 한자라면 생략가능합니다.
** '''<nowiki>{{옛한글쪽 시작}}</nowiki>''' 및 '''<nowiki>{{옛한글쪽 끝}}</nowiki>''' 틀은 기여산정시 유효한 바이트로 계산됩니다.
* "미리 보기"를 클릭하시어 입력 상태를 확인하시고 "문서 게시"를 클릭하여 저장해 주세요.
0ifuuz8eouzo0ib5ax461grjf9mqw9n
한글/제1권
0
95965
390566
350316
2025-06-08T12:31:26Z
Namoroka
1939
390566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한글
| 다른 표기 =
| 부제 = 제1권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w:한글 학회|조선어학회]]
| 편집자 =
| 역자 =
| 이전 =
| 다음 = [[../제2권|제2권]]
| 설명 =
}}
{{보조 목차 |title=호별 분류 |comment= |text=
* [[/제1호|제1호]]
* [[/제2호|제2호]]
* [[/제3호|제3호]]
* [[/제4호|제4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1권 4호).pdf}}
* [[/제5호|제5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1권 5호).pdf}}
* [[/제6호|제6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1권 6호).pdf}}
* [[/제7호|제7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1권 7호).pdf}}
* [[/제8호|제8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1권 8호).pdf}}
* [[/제9호|제9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1권 9호).pdf}}
* [[/제10호|제10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1권 10호).pdf}}
}}
== 라이선스 ==
{{PD-대한민국-업무상}}
[[분류:1930년대 작품]]
2kuq388gs3kiit3csl00mtr63j0mp06
한글/제2권
0
95966
390567
350318
2025-06-08T12:31:45Z
Namoroka
1939
390567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한글
| 다른 표기 =
| 부제 = 제2권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w:한글 학회|조선어학회]]
| 편집자 =
| 역자 =
| 이전 = [[../제1권|제1권]]
| 다음 = [[../제3권|제3권]]
| 설명 =
}}
{{보조 목차 |title=호별 분류 |comment= |text=
* [[/제1호|제1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2권 1호).pdf}}
* [[/제2호|제2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2권 2호).pdf}}
* [[/제3호|제3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2권 3호).pdf}}
* [[/제4호|제4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2권 4호).pdf}}
* [[/제5호|제5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2권 5호).pdf}}
* [[/제6호|제6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2권 6호).pdf}}
* [[/제7호|제7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2권 7호).pdf}}
* [[/제8호|제8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2권 8호).pdf}}
* [[/제9호|제9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2권 9호).pdf}}
}}
== 라이선스 ==
{{PD-대한민국-업무상}}
[[분류:1930년대 작품]]
5mok2vzaqj2is9al85ignktp2pcix8x
한글/제3권
0
95967
390568
350319
2025-06-08T12:32:00Z
Namoroka
1939
390568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한글
| 다른 표기 =
| 부제 = 제3권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w:한글 학회|조선어학회]]
| 편집자 =
| 역자 =
| 이전 = [[../제2권|제2권]]
| 다음 = [[../제4권|제4권]]
| 설명 =
}}
{{보조 목차 |title=호별 분류 |comment= |text=
* [[/제1호|제1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3권 1호).pdf}}
* [[/제2호|제2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3권 2호).pdf}}
* [[/제3호|제3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3권 3호).pdf}}
* [[/제4호|제4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3권 4호).pdf}}
* [[/제5호|제5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3권 5호).pdf}}
* [[/제6호|제6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3권 6호).pdf}}
* [[/제7호|제7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3권 7호).pdf}}
* [[/제8호|제8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3권 8호).pdf}}
* [[/제9호|제9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3권 9호).pdf}}
* [[/제10호|제10호]] {{작은 스캔 링크|조선어학회 한글 (3권 10호).pdf}}
}}
== 라이선스 ==
{{PD-대한민국-업무상}}
[[분류:1930년대 작품]]
a3idb2idg907vhn8xux18o0z8vzku1f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15
250
100205
390587
389751
2025-06-08T14:36:31Z
ZornsLemon
15531
39058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후6곡" /><poem>
愚夫도 알며 ᄒᆞ거니 긔 아니 쉬온가
聖人도 못 다 ᄒᆞ시니 긔 아니 어려온가
쉽거나 어렵거나 즁에 늙ᄂᆞᆫ 줄을 몰래라
</poem>
<section end="후6곡" />
<section begin="도산12곡 해설" />::右陶山十二曲者 陶山老人之所作也 老人之作此 何爲也哉 吾東方歌曲 大抵吾多淫哇 不足言 如翰林別曲之類 出於文人之口 而矜豪放蕩 兼以褻慢戱狎 尤非君子所宜尙 惟近世有李鼈六歌者 世所盛傳 猶爲彼善於此 亦惜乎其 有溫柔少玩世不恭之意 而少溫柔敦厚之實也 老人素不解音律 而猶知厭聞世俗之樂 閑居養疾之餘 凡有感於情性者 每發於詩 然今之詩 異於古之詩 可詠而不可歌也 如欲歌之 必綴以俚俗之語 盖國俗音節 所不得不然也 故嘗略倣李歌 而作爲陶山六曲者二焉 其一言志 其二言學 欲使兒輩 朝夕習而歌之 憑几而聽之 亦令兒輩 自歌而自舞蹈之 庶幾可以蕩滌鄙吝 感發融通 而歌者與聽者 不能無交有益焉 顧自以蹤跡頗乖 若以等閑事 或因以惹起鬧端
{{옛한글쪽 끝}}<section end="도산12곡 해설"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8jhhpzl6kyagwoxb1o55d384rjoy49g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16
250
100206
390588
389750
2025-06-08T14:37:23Z
ZornsLemon
15531
39058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未可知也 又未信其以入腔調偕音節與未也 姑寫一件 藏之篋笥 時取玩以自省 又以待他日覽者之去取云爾 嘉靖四十四年 歲乙丑暮春旣望 山老書
<section begin="송강" />::{{크게|松江}} 【鄭澈 字季涵 號松江 明宗朝登魁第 選湖堂 官至左相 寅城府院君 謚文淸 宜祖嘗曰 精忠節義 草木亦知其名 眞所謂鴺班之鶚 殿上之虎】
<section end="송강" />
<section begin="三九" /><poem>
아바님 날 나흐시고 어마님 날 기르시니
두 分곳 아니면 이 몸이 사라시랴
하ᄂᆞᆯ ᄀᆞᆺ튼 恩德을 어듸다혀 갑ᄉᆞ올고
兄아 아으야 네 ᄉᆞᆯ을 ᄆᆞᆫ져 보아
뉘손ᄃᆡ 타낫관ᄃᆡ 양ᄌᆞ조차 ᄀᆞᆺ트슨다
ᄒᆞᆫ 졋 먹고 자라나시니 닷ᄆᆞ음을 먹지 마라
님금과 百姓과 ᄉᆞ이 하ᄂᆞᆯ과 ᄯᅡ히로되
내의 셜온 일을 다 아로려 ᄒᆞ시거든
우린들 ᄉᆞᆯ진 미나리ᄅᆞᆯ 혼자 어이 머그리
어버이 사라신 제 셤길 일란 다ᄒᆞ여라
지나간 後ㅣ면 애ᄃᆞᆲ다 엇지ᄒᆞ리
平生에 곳쳐 못ᄒᆞᆯ 일이 잇분인가 ᄒᆞ노라
</poem>
{{nop}}
{{옛한글쪽 끝}}<section end="三九"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d32aig3gppfizi6yo3mwa5vuq8v4g7
저자:김창업
100
100437
390657
390191
2025-06-09T07:12:37Z
ZornsLemon
15531
390657
wikitext
text/x-wiki
{{글쓴이
|이름 = 김창업
|다른 표기 = 金昌業
|이름 첫 글자 = ㄱ
|국적 = 조선
|탄생 연도 = 1658년
|사망 연도 = 1722년
|설명 = 조선 후기의 문인이다. 자는 대유(大有), 호는 노가재(老稼齋), 가재(稼齋), 석교(石郊). 김창업이 쓴 노가재연행일기를 선교사 [[저자:제임스 게일|제임스 게일]]이 영역하여 The Korea Magazine에 게재하기도 했다.
|그림 =
|위키백과 링크 = 김창업
|위키인용집 링크 =
|공용 링크 =
|정렬 = 김창업
}}
== 저작 ==
* 노가재집(老稼齋集)
* [[연행일기]](老稼齋燕行日記)
=== 시조 ===
* [[거문고 술 꽂아 놓고]]
* [[자 넘은 보라매를]]
* [[벼슬을 저마다 하면]]
{{PD-old-100}}
ajv2qlspd0zauu3rp9guqwsecgowvc0
390659
390657
2025-06-09T07:17:39Z
ZornsLemon
15531
390659
wikitext
text/x-wiki
{{글쓴이
|이름 = 김창업
|다른 표기 = 金昌業
|이름 첫 글자 = ㄱ
|국적 = 조선
|탄생 연도 = 1658년
|사망 연도 = 1722년
|설명 = 조선 후기의 문인이다. 자는 대유(大有), 호는 노가재(老稼齋), 가재(稼齋), 석교(石郊). 김창업이 쓴 노가재연행일기를 선교사 [[저자:제임스 게일|제임스 게일]]이 영역하여 The Korea Magazine에 게재하기도 했다.
|그림 =
|위키백과 링크 = 김창업
|위키인용집 링크 =
|공용 링크 =
|정렬 = 김창업
}}
== 저작 ==
* 노가재집(老稼齋集)
* [[연행일기 (김창업)|노가재연행일기]](老稼齋燕行日記)
=== 시조 ===
* [[거문고 술 꽂아 놓고]]
* [[자 넘은 보라매를]]
* [[벼슬을 저마다 하면]]
{{PD-old-100}}
enbsvgsdmyv63hqorun8qrf2j6plqbz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63
250
100531
390589
390342
2025-06-08T14:39:46Z
ZornsLemon
15531
39058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十數年同遊江湖 其平日 叙懷寓興者 盡記而有之 其中多有油然感人者 聾俗不知 故藏諸巾笥 以待好事者 久矣 子言如是 玆曲 將行于世也 遂歸其全篇 三復諷詠 其得於跌宕山水之趣者 自見於辭語之表 飄飄然有遐擧物外之意矣 盖漁隱 逍遙天地間一閑人也 凡於音律 莫不妙悟 性好江山 構屋于西江之上 號漁隱 晴朝月夕 或拊琴坐柳磯 或吹簫弄烟波 狎鷗而忘機 觀魚而知樂 以自放於形骸之外 此其所以自適其適 而善鳴於歌曲者歟 歲戊申暮春旣望 南波老圃書
<section begin="김유기" />::{{크게|金裕器}}
<section end="김유기" />
<section begin="二四六" /><poem>
내몸에 病이 만하 世上에 ᄇᆞ리이여
是非 榮辱을 오로 다 니저마ᄂᆞᆫ
다만지 淸閑 一癖이 매 부르기 죠해라
</poem><br>
<section end="二四六" />
<section begin="二四七" /><poem>
丈夫로 삼겨나셔 立身揚名 못ᄒᆞᆯ지면
ᄎᆞᆯ하리 다 ᄯᅥᆯ치고 일 업시 늘그리라
</poem>
{{옛한글쪽 끝}}
<section end="二四七"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15slelj0nyw7ip6iq6lvwe0br3hy35m
페이지:正俗諺解.djvu/66
250
100629
390570
2025-06-08T12:33:28Z
Aspere
5453
/* 텍스트 없음 */
39057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0" user="Aspere" /></noinclude><noinclude></noinclude>
ilvrksekw9git1bxvizusnzvci210ue
페이지:셩경젼셔 구약 권1.pdf/536
250
100630
390579
2025-06-08T12:53:25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057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너희 하ᄂᆞ님 여호와ᄭᅴ는 너희가 이ᄀᆞᆺ치 ᄒᆞ지못ᄒᆞᆯ지니
{{절||五}}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ᄭᅴ셔 너희 모든 지파 즁에셔 ᄐᆡᆨᄒᆞ야 ᄌᆞ긔 일홈을 두고 거ᄒᆞ실 곳을 너희가 차자 그리로 갈 거시오
{{절||六}} 너희가 번졔 드릴 것과 희ᄉᆡᆼ으로 쓸 것과 너희 십일됴 밧칠 것과 너희 손의 거졔와 너희 소원을 일우ᄂᆞᆫ 졔와 즐겨 드리ᄂᆞᆫ 졔와 너희 우양즁에 처음 난 것들을 가지고 그 곳으로 나아가셔
{{절||七}} 거긔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 압헤셔 먹고 너희 권쇽으로 더브러 슈고ᄒᆞ야 엇은 물건을 가지고 즐거워ᄒᆞᆯ지니 이는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ᄭᅴ셔 복을 주심이라
{{절||八}} 우리가 오ᄂᆞᆯ날 여긔셔 ᄒᆡᆼᄒᆞᆷᄀᆞᆺ치 너희가 뎌긔셔는 각각 눈에 합당ᄒᆞᆫ대로 ᄒᆡᆼ치말지니
{{절||九}} 너희가 아직ᄭᆞ지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ᄭᅴ셔 주시ᄂᆞᆫ 안식과 긔업에 니르지못ᄒᆞᆷ이라
{{절||十}} 그러나 너희가 {{du|{{SIC|요당|요단}}}}강을 건너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ᄭᅴ셔 긔업으로 엇게 ᄒᆞ시ᄂᆞᆫ ᄯᅡ에셔 두루 잇ᄂᆞᆫ 모든 ᄃᆡ뎍을 이긔고 안식을 주샤 평안히 거ᄒᆞ게 ᄒᆞ실 ᄯᅢ에는
{{절||十一}}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ᄭᅴ셔 그 일홈을 두시랴고 ᄐᆡᆨᄒᆞ실 그 곳으로 내가 명ᄒᆞᄂᆞᆫ 물건을 다 가지고 갈지니 곳 너희의 번졔 드릴 것과 희ᄉᆡᆼ으로 쓸 것과 너희의 십일됴 밧칠 것과 너희 손에 거졔와 밋 너희가 여호와ᄭᅴ 소원을<noinclude><references/></noinclude>
9f6588mkffobmw2ysb1l5xzdu9ln3ht
페이지:셩경젼셔 구약 권1.pdf/537
250
100631
390580
2025-06-08T12:59:29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058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알외여 드리ᄂᆞᆫ 모든 아름다온 물건이라
{{절||十二}} 너희의 ᄌᆞ녀와 노비와 셩문 안에 잇ᄂᆞᆫ {{u|레위}} 사ᄅᆞᆷ으로 더브러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 압헤 즐거워ᄒᆞᆯ지니 {{u|레위}} 사ᄅᆞᆷ은 너희 즁에셔 분깃도 업고 긔업도 업ᄂᆞᆫ쟈가 됨이라
{{절||十三}} 너희는 스ᄉᆞ로 삼가 어ᄃᆡ셔던지 ᄆᆞᄋᆞᆷ대로 번졔를 드리지말고
{{절||十四}} 오직 너희 지파즁 ᄒᆞᆫ 지파로 여호와의 ᄐᆡᆨᄒᆞ실 그 곳에셔 번졔를 드리고 ᄯᅩ 내가 너희게 명ᄒᆞᄂᆞᆫ 모든 일을 ᄒᆡᆼᄒᆞᆯ지라
{{절||十五}} 그러나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ᄭᅴ셔 너희게 복을 주시ᄂᆞᆫ{{SIC|내}}로 너희 ᄆᆞᄋᆞᆷ에 됴화ᄒᆞᄂᆞᆫ 즘ᄉᆡᆼ을 너희 모든 셩문 안에셔 잡아 그 고기를 먹을지니 부졍ᄒᆞᆫ쟈나 졍ᄒᆞᆫ쟈나 ᄒᆞᆷᄭᅴ 먹기를 노로와 ᄉᆞ슴을 먹ᄂᆞᆫ 것 ᄀᆞᆺ치 ᄒᆞ되
{{절||十六}} 다만 그 피는 먹지말며 물 ᄀᆞᆺ치 ᄯᅡ에 쏫으라
{{절||十七}} 너희 곡식과 새 술과 기름의 십일됴와 너희 우양즁 처음 난 것과 밋 소원을 일우ᄂᆞᆫ 졔와 즐겨 드리ᄂᆞᆫ 희ᄉᆡᆼ과 손의 거졔 졔물은 너희 셩문 안에셔 가히 먹지못ᄒᆞ고
{{절||十八}}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ᄭᅴ셔 ᄐᆡᆨᄒᆞ실 곳에 잇서셔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 압헤셔 먹으ᄃᆡ 곳 너희 ᄌᆞ녀와 노비와 셩문 안에 잇ᄂᆞᆫ {{u|레위}} 사ᄅᆞᆷ으로 더브러 먹을 거시오 너희가 슈고ᄒᆞ야 엇은 모든 물건을 가지고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 압헤셔 즐거워ᄒᆞᆯ 거시오
{{절||十九}} 너희가<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h1w17en6eg5ine391d6bgqpscqr4e7
색인:조중환 장한몽.pdf
252
100632
390581
2025-06-08T13:36:55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390581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장한몽]]
|언어=ko
|권=
|저자=[[저자:조중환|조중환]]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
|위치=
|연도=1912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MS
|쪽별 색인=<pagelist />
|권별 색인=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125mrlreym08asz2d05zr84oqo4qr9a
사용자:Aspere/독립신문 에디터톤
2
100633
390584
2025-06-08T13:57:53Z
Aspere
5453
새 문서: == 독립신문 에디터톤 == * '''에디터톤 제목''': 독립신문 에디터톤 * '''제안 유형''': 에디터톤 부상 지원 * '''제안 이유''': 미완성 상태인 [[독립신문]] 및 하위 문서를 스캔본을 기반으로 하여 정리하고자 함 * '''운영 방안''': 몰라 ** 참고 링크: :c:Category:Newspapers in the Digital Librar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공용) Category:Newspapers in the Digital Librar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
390584
wikitext
text/x-wiki
== 독립신문 에디터톤 ==
* '''에디터톤 제목''': 독립신문 에디터톤
* '''제안 유형''': 에디터톤 부상 지원
* '''제안 이유''': 미완성 상태인 [[독립신문]] 및 하위 문서를 스캔본을 기반으로 하여 정리하고자 함
* '''운영 방안''': 몰라
** 참고 링크: [[:c:Category:Newspapers in the Digital Librar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공용) Category:Newspapers in the Digital Librar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참가자===
#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의견===
iq8fp5nkmvsaqksx775tdi0fqib907s
390585
390584
2025-06-08T14:03:19Z
Aspere
5453
/* 독립신문 에디터톤 */
390585
wikitext
text/x-wiki
== 독립신문 에디터톤 ==
* '''에디터톤 제목''': 독립신문 에디터톤
* '''제안 유형''': 에디터톤 부상 지원
* '''제안 이유''': 미완성 상태인 [[독립신문]] 및 하위 문서를 스캔본을 기반으로 하여 정리하고자 함
* '''운영 방안''': (국회회의록 에디터톤과 유사하게) 색인 파일 리스트를 제공한 다음 참가자가 골라 작업하는 형태
** [[:c:Category:Newspapers in the Digital Librar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공용 분류]]에서 독립신문 파일을 찾아서 색인 문서로 제작
** 문서 1~2개 정도를 미리 완성하여 참가자가 참고할 수 있는 서식(견본)으로 제공하여 참여 난이도를 낮추고자 함
** 기간: 7월 ~ 8월 중 약 1개월 가량
===참가자===
#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의견===
buw5vq9qbfe4czd0tqtwx557fecd8py
390586
390585
2025-06-08T14:07:37Z
Aspere
5453
/* 독립신문 에디터톤 */
390586
wikitext
text/x-wiki
== 독립신문 에디터톤 ==
* '''에디터톤 제목''': 독립신문 에디터톤
* '''제안 유형''': 에디터톤 부상 지원
* '''제안 이유''': 미완성 상태인 [[독립신문]] 및 하위 문서를 스캔본을 기반으로 하여 정리하고자 함
* '''운영 방안''': (국회회의록 에디터톤과 유사하게) 색인 파일 리스트를 제공한 다음 참가자가 골라 작업하는 형태
** <del>[[:c:Category:Newspapers in the Digital Librar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공용 분류]]에서</del> 독립신문 파일을 찾아서 색인 문서로 제작
*** [[:c:Commons:Library back up project/file list/Books in the Digital Librar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newspapers/독립신문(서재필)|공용에 아에 목록 형태로 저장되어 있음]]
** 문서 1~2개 정도를 미리 완성하여 참가자가 참고할 수 있는 서식(견본)으로 제공하여 참여 난이도를 낮추고자 함
** 기간: 7월 ~ 8월 중 약 1개월 가량
===참가자===
#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의견===
pqg41lu7z8t8w7dgj6qo4r1cqxe4diu
페이지:셩경젼셔 구약 권1.pdf/538
250
100634
390611
2025-06-09T02:36:28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061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너희 ᄯᅡ에 살아 잇슬 동안에 {{du|레위}} 사ᄅᆞᆷ을 ᄇᆞ리지말나
{{절||二十}}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ᄭᅴ셔 너희게 허락ᄒᆞ신대로 너희 디경을 넓히신 후에 너희가 ᄆᆞᄋᆞᆷ에 고기를 먹고져ᄒᆞ야 말ᄒᆞ기를 내가 고기를 먹겟노라 ᄒᆞ면 너희 ᄆᆞᄋᆞᆷ에 소원을 ᄯᆞ라 고기를 가히 먹을지니
{{절||二一}} 만일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ᄭᅴ셔 그 일홈을 두시랴고 ᄐᆡᆨᄒᆞ신 곳이 너희게셔 멀거든 내가 너희게 명ᄒᆞᆫ대로 여호와의 주신 우양을 잡아 너희 ᄆᆞᄋᆞᆷ에 소원을 ᄯᆞ라 셩문 안에셔 가히 먹으ᄃᆡ
{{절||二二}} 노로와 ᄉᆞ슴을 먹ᄂᆞᆫ 것 ᄀᆞᆺ치 먹을지니 부졍ᄒᆞᆫ쟈나 졍ᄒᆞᆫ쟈나 ᄒᆞᆷᄭᅴ 먹을 거시오
{{절||二三}} 오직 극히 조심ᄒᆞ야 그 피를 먹지말지니 대개 피는 ᄉᆡᆼ명인즉 너희가 그 ᄉᆡᆼ명을 고기와 아올나 먹지못ᄒᆞᆯ지라
{{절||二四}} 너희는 그 거슬 먹지말고 물 처럼 ᄯᅡ에 쏫아 ᄇᆞ리라
{{절||二五}} 너희는 피를 먹지 말나 너희가 만일 여호와 보시기에 션ᄒᆞᆫ 일을 ᄒᆞ면 너희와 너희 후 ᄌᆞ손의게 복이 잇슬 거시오
{{절||二六}} 오직 너희게 잇ᄂᆞᆫ 셩물과 소원을 일우ᄂᆞᆫ 졔물을 여호와의 ᄐᆡᆨᄒᆞ실 곳으로 가지고 갈지어다
{{절||二七}} 너희가 번졔를 드릴 ᄯᅢ에 그 고기와 피를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의 졔단에 드릴 거시오 ᄯᅩ 희ᄉᆡᆼ의 피를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의 졔단에 붓고 그 고기를 먹을지라<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gw9dnn88hzldknbj2s6457777hdizx
페이지:셩경젼셔 구약 권1.pdf/539
250
100635
390612
2025-06-09T02:40:43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061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절||二八}} 내가 너희게 명ᄒᆞᄂᆞᆫ 이 모든 말을 듯고 직히라 너희가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의 보시기에 션ᄒᆞ고 바른 일을 ᄒᆡᆼᄒᆞ면 너희와 너희 후 ᄌᆞ손의게 영원히 복이 잇스리라 ○
{{절||二九}}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ᄭᅴ셔 너희가 드러가셔 ᄶᅩᆺ차내려ᄒᆞᄂᆞᆫ 그 모든 나라 ᄇᆡᆨ셩을 너희 압헤셔 멸졀 ᄒᆞ시리니
{{절||三十}} 너희가 뎌희를 ᄶᅩᆺ차내고 그 ᄯᅡ에셔 거ᄒᆞᆯ ᄯᅢ에
{{절||三一}} 뎌희가 너희 압헤셔 멸망ᄒᆞᆫ 후에 너희는 스ᄉᆞ로 삼가 뎌희를 본밧아 그 그믈에 걸니지말고 신들을 알아보아 말ᄒᆞ기를 뎌 모든 나라 ᄇᆡᆨ셩들은 엇더ᄒᆞᆫ 모양으로 이 모든 신을 셤기ᄂᆞᆫ가 우리도 그와 ᄀᆞᆺ치 ᄒᆞ겟다 ᄒᆞ지말고
{{절||三二}}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ᄭᅴ 그리ᄒᆞ지말지니 뎌희는 여호와ᄭᅴ셔 뮈워ᄒᆞ시ᄂᆞᆫ 가증ᄒᆞᆫ 모든 일을 그 신들의게 ᄒᆡᆼᄒᆞ야 심지어 ᄌᆞ녀를 불살와 그 신들의게 드리ᄂᆞᆫ도다
{{절||三三}} 내가 너희게 명ᄒᆞᄂᆞᆫ 이 모든 말ᄉᆞᆷ을 직혀 ᄒᆡᆼᄒᆞᄃᆡ 너희가 이 말ᄉᆞᆷ을 더ᄒᆞ지도 말고 덜ᄒᆞ지도 말지니라
== 십삼쟝 ==
{{절|十三|一}} 너희 즁에 혹 션지쟈나 ᄭᅮᆷᄭᅮᄂᆞᆫ쟈가 니러나셔 이젹과 긔ᄉᆞ를 너희게 보이며
{{절||二}} 닐ᄋᆞ기를 너희는 본ᄅᆡ 아지못ᄒᆞ던 다른 신들을 좃차 셤기자 ᄒᆞᆯ지니 그 말ᄒᆞᆫ 이젹과 긔ᄉᆞ가 일울지라도
{{절||三}} 너희는 그 션지쟈나 ᄭᅮᆷᄭᅮᄂᆞᆫ<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6lw238muhk9z9ox5gn5887i8c5q406
페이지:태남잡긔.djvu/1
250
100636
390614
2025-06-09T02:42:14Z
강개미
16206
/* 교정됨 */
39061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3" user="강개미" /></noinclude>무진삼월 일
태남잡긔<noinclude><references/></noinclude>
skugcsr7xs03g8i091oqgv7autan1k7
페이지:태남잡긔.djvu/2
250
100637
390615
2025-06-09T02:42:42Z
강개미
16206
/* 교정됨 */
39061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3" user="강개미" /></noinclude>태남잡긔<noinclude><references/></noinclude>
p6bzknjmljbijvpas035sg2p23nykyb
페이지:태남잡긔.djvu/3
250
100638
390616
2025-06-09T02:43:23Z
강개미
16206
/* 교정됨 */
39061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3" user="강개미" /></noinclude>무진삼월 일
운포농부
태남잡긔<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a6viecn1bans4kw52wfj88ezacyr94
페이지:태남잡긔.djvu/5
250
100639
390619
2025-06-09T02:58:17Z
강개미
16206
/* 문제 있음 */
39061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2" user="강개미" /></noinclude>태남잡긔
고양고씨호행표쟝식가
올나보ᄌᆞ
호연졍올나보ᄌᆞ
쳥쳔을피*질을
셜피고좃컨니와
호뷰표쟝굉쟝ᄒᆞ다
주사에ᄊᆡ인하만
육산표림이루엇다
올나보이엇덧큰고
산쳔도졀승ᄒᆞ다
남으로남졍강
탕탕히널니흘너
달은모춘삼월ᄇᆡᆨ화향이오*
ᄯᆡ는운담품경근오천이라
쳥아ᄒᆞᆫ?소리는
반공에높*히ᄯᅥᆺ고<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ys11y179tp4yy2kejpaassn4ns45np
페이지:오션긔봉.djvu/1
250
100640
390620
2025-06-09T03:27:40Z
Gu89106v6
18486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古代小說<br/> '''{{크게|五仙奇逢}}'''<br/> '''{{크게|第一回}}'''<br/> ■處士裔山生子 石道人遺書接客<br/> 황쳐ᄉᆞ가산에빌어 {{옛한글쪽 끝}}
39062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u89106v6"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古代小說<br/>
'''{{크게|五仙奇逢}}'''<br/>
'''{{크게|第一回}}'''<br/>
■處士裔山生子
石道人遺書接客<br/>
황쳐ᄉᆞ가산에빌어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zkq3iqk7momspoqrdkyt6b616meho9
390644
390620
2025-06-09T06:14:18Z
Gu89106v6
18486
39064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u89106v6"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古代小說<br/>
'''{{크게|五仙奇逢}}'''<br/>
'''{{크게|第一回}}'''<br/>
黃處士裔山生子
石道人遺書接客<br/>
황쳐ᄉᆞ가산에빌어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3d3vzryiywzbadlmu3d4n8ai74a8jdk
390646
390644
2025-06-09T06:19:42Z
Gu89106v6
18486
39064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u89106v6"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古代小說<br/>
'''{{크게|五仙奇逢}}'''<br/>
'''{{크게|第一回}}'''<br/>
黃處士禱山生子
石道人遺書接客<br/>
황쳐ᄉᆞ가산에빌어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p8e0ahnk5cftj7w2gwm8scsddaspupz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2
250
100641
390622
2025-06-09T03:42:57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ᄐᆡ서신사 권십ᄉᆞ :영국 마간셔 원본 리졔마ᄐᆡ 번역 상ᄒᆡ 채이강 술고 ::{{du|법국}}이 다시 군쥬를 세우미라 ::뎨일졀 {{du|활철노}} 젼ᄌᆡᆼ 후에 {{du|법국}} 졍형이라 {{du|법국}}<ref>프랑스(France)</ref> {{u|나파륜 졔일}}이라<ref>나폴레옹 1세(Napoleon I)</ref> ᄒᆞᄂᆞᆫ 황졔가 {{du|구라파}} 일경에 횡ᄒᆡᆼᄒᆞᄆᆡ 각국이 불승분로ᄒᆞ야 각...
39062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ᄐᆡ서신사 권십ᄉᆞ
:영국 마간셔 원본 리졔마ᄐᆡ 번역 상ᄒᆡ 채이강 술고
::{{du|법국}}이 다시 군쥬를 세우미라
::뎨일졀 {{du|활철노}} 젼ᄌᆡᆼ 후에 {{du|법국}} 졍형이라
{{du|법국}}<ref>프랑스(France)</ref> {{u|나파륜 졔일}}이라<ref>나폴레옹 1세(Napoleon I)</ref> ᄒᆞᄂᆞᆫ 황졔가 {{du|구라파}} 일경에 횡ᄒᆡᆼᄒᆞᄆᆡ 각국이 불승분로ᄒᆞ야 각기 ᄃᆡ군을 조ᄇᆞᆯᄒᆞ야 {{du|활쳘노}}라<ref>워털루(Waterloo)</ref> ᄒᆞᄂᆞᆫ ᄯᅡ에셔 두번 ᄊᆞ화 크게 파ᄒᆞ고 {{u|나퐈륜}}을 사로잡아 ᄒᆡ도 즁에 졍ᄇᆡ 보ᄂᆡ니라 당시에 {{du|영국}}과 기타 {{du|아라사}}와<ref>러시아(Russia)</ref> {{du|오사마가}}와<ref>오스트리아(Austria)</ref> {{du|보로사}}와<ref>프러시아(Prussia)</ref> {{du|비리시}}와<ref>벨기에(Belgium)</ref> {{du|의대리}}와<ref>이탈리아(Italy)</ref> {{du|파와리아}}와<ref>바바리아(Bavaria)</ref> {{du|살극ᄉᆡᆼ}}과<ref>색슨(Saxon)</ref> {{du|마가}}와<ref>{{du|항가리}}(Hungary)</ref> {{du|한낙비}}와<ref>하노버(Hanover)</ref> {{du|서반아}}<ref>스페인(Spain)</ref> 등 대소 각국이 {{du|법국}}의 ᄒᆡᄅᆞᆯ 당ᄒᆞᆫ ᄌᆡ 젹분이ᄌᆡ즁ᄒᆞ다가 일조에 긔병ᄒᆞᄅᆞᆫ 격셔ᄅᆞᆯ 보고 각기 대군을 거ᄂᆞ려 ᄆᆡᆼ셰코 설치ᄒᆞ고ᄌᆞ ᄒᆞ야 {{du|법국}} ᄂᆡ지에 드러간 군ᄉᆞㅣ 범 일ᄇᆡᆨ십만 인이라 {{du|활철노}} 전장이 드ᄃᆡ여 {{du|구라파}} 졔일 전장이 되니 {{du|법}}국의 위엄과 권셰가 일조에 ᄯᅡ에 ᄯᅥ러지고 ᄯᅩ 이 일ᄇᆡᆨ십만 명 군사ㅣ ᄊᆞ홈ᄒᆞ기 전과 ᄊᆞ홈ᄒᆞᄂᆞᆫ 동안에 일용 음식을 다 {{du|법국}}의게 ᄲᆡ얏고 만일 불여의ᄒᆞ면 각국 군사ㅣ ᄌᆡ물을 노략ᄒᆞ야 일ᄉᆞ일립이라도 임의 탈ᄎᆔᄒᆞ야 {{du|법국}} ᄉᆞᄅᆞᆷ의 견ᄒᆡᄒᆞᄆᆡ 불가승슈ㅣ러니 밋 {{du|법}}군이 ᄑᆡᄒᆞ고 황졔 사로잡피ᄆᆡ 각국이 {{du|법국}}의게 벌금 삼억뉵쳔만 원을 바다 군ᄉᆞᄅᆞᆯ 호괴ᄒᆞ고 ᄯᅩ 억지로 {{du|법국}} 옛적 인군 {{u|포이분}}을<ref>부르봉(Bourbons)</ref> 세워 인군을 삼고 졍병 십오만 명을 두어 {{du|법국}} 지경에 둔찰ᄒᆞ고 ᄇᆡ상을 바들새 이 슈다ᄒᆞᆫ 군사의 량식과 밋 허다ᄒᆞᆫ 잡용을 다 {{du|법국}} 탁지부에 취용ᄒᆞ게 ᄒᆞ고 ᄯᅩ 각국 군사ㅣ 노략침어ᄒᆞ니 {{du|법}}인이 황공망조ᄒᆞ야 엇지ᄒᆞᆯ 쥴 모르더라 슬푸다 석일 {{du|법국}}의 강ᄃᆡᄒᆞ미 셰계에 읏듬이더니 차일에 곤궁ᄒᆞ고 불상ᄒᆞ미 다시 비헐 데 업더라
{{du|법}}인의 고ᄉᆡᆼᄒᆞᄆᆡ 불가형언이나 연이나 각국이 {{du|법국}} ᄃᆡ졉ᄒᆞ미 오히려 후ᄒᆞ다 ᄒᆞᆯ만ᄒᆞᆫ지라 {{du|법국}}의 토지와 보ᄇᆡᄅᆞᆯ 다 돌녀 보ᄂᆡᄆᆡ 그 ᄇᆡ상금이 비록 만타 ᄒᆞ야도 {{u|나파륜}}이 타국에 탈취ᄒᆞᆫ 병비에 비ᄒᆞ면 오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jigfist4g8j8kgupib7zwq77x3oiso
390623
390622
2025-06-09T03:43:39Z
ZornsLemon
15531
39062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ᄐᆡ서신사 권십ᄉᆞ
:영국 마간셔 원본 리졔마ᄐᆡ 번역 상ᄒᆡ 채이강 술고
:{{du|법국}}이 다시 군쥬를 세우미라
::뎨일졀 {{du|활철노}} 젼ᄌᆡᆼ 후에 {{du|법국}} 졍형이라
{{du|법국}}<ref>프랑스(France)</ref> {{u|나파륜 졔일}}이라<ref>나폴레옹 1세(Napoleon I)</ref> ᄒᆞᄂᆞᆫ 황졔가 {{du|구라파}} 일경에 횡ᄒᆡᆼᄒᆞᄆᆡ 각국이 불승분로ᄒᆞ야 각기 ᄃᆡ군을 조ᄇᆞᆯᄒᆞ야 {{du|활쳘노}}라<ref>워털루(Waterloo)</ref> ᄒᆞᄂᆞᆫ ᄯᅡ에셔 두번 ᄊᆞ화 크게 파ᄒᆞ고 {{u|나퐈륜}}을 사로잡아 ᄒᆡ도 즁에 졍ᄇᆡ 보ᄂᆡ니라 당시에 {{du|영국}}과 기타 {{du|아라사}}와<ref>러시아(Russia)</ref> {{du|오사마가}}와<ref>오스트리아(Austria)</ref> {{du|보로사}}와<ref>프러시아(Prussia)</ref> {{du|비리시}}와<ref>벨기에(Belgium)</ref> {{du|의대리}}와<ref>이탈리아(Italy)</ref> {{du|파와리아}}와<ref>바바리아(Bavaria)</ref> {{du|살극ᄉᆡᆼ}}과<ref>색슨(Saxon)</ref> {{du|마가}}와<ref>{{du|항가리}}(Hungary)</ref> {{du|한낙비}}와<ref>하노버(Hanover)</ref> {{du|서반아}}<ref>스페인(Spain)</ref> 등 대소 각국이 {{du|법국}}의 ᄒᆡᄅᆞᆯ 당ᄒᆞᆫ ᄌᆡ 젹분이ᄌᆡ즁ᄒᆞ다가 일조에 긔병ᄒᆞᄅᆞᆫ 격셔ᄅᆞᆯ 보고 각기 대군을 거ᄂᆞ려 ᄆᆡᆼ셰코 설치ᄒᆞ고ᄌᆞ ᄒᆞ야 {{du|법국}} ᄂᆡ지에 드러간 군ᄉᆞㅣ 범 일ᄇᆡᆨ십만 인이라 {{du|활철노}} 전장이 드ᄃᆡ여 {{du|구라파}} 졔일 전장이 되니 {{du|법}}국의 위엄과 권셰가 일조에 ᄯᅡ에 ᄯᅥ러지고 ᄯᅩ 이 일ᄇᆡᆨ십만 명 군사ㅣ ᄊᆞ홈ᄒᆞ기 전과 ᄊᆞ홈ᄒᆞᄂᆞᆫ 동안에 일용 음식을 다 {{du|법국}}의게 ᄲᆡ얏고 만일 불여의ᄒᆞ면 각국 군사ㅣ ᄌᆡ물을 노략ᄒᆞ야 일ᄉᆞ일립이라도 임의 탈ᄎᆔᄒᆞ야 {{du|법국}} ᄉᆞᄅᆞᆷ의 견ᄒᆡᄒᆞᄆᆡ 불가승슈ㅣ러니 밋 {{du|법}}군이 ᄑᆡᄒᆞ고 황졔 사로잡피ᄆᆡ 각국이 {{du|법국}}의게 벌금 삼억뉵쳔만 원을 바다 군ᄉᆞᄅᆞᆯ 호괴ᄒᆞ고 ᄯᅩ 억지로 {{du|법국}} 옛적 인군 {{u|포이분}}을<ref>부르봉(Bourbons)</ref> 세워 인군을 삼고 졍병 십오만 명을 두어 {{du|법국}} 지경에 둔찰ᄒᆞ고 ᄇᆡ상을 바들새 이 슈다ᄒᆞᆫ 군사의 량식과 밋 허다ᄒᆞᆫ 잡용을 다 {{du|법국}} 탁지부에 취용ᄒᆞ게 ᄒᆞ고 ᄯᅩ 각국 군사ㅣ 노략침어ᄒᆞ니 {{du|법}}인이 황공망조ᄒᆞ야 엇지ᄒᆞᆯ 쥴 모르더라 슬푸다 석일 {{du|법국}}의 강ᄃᆡᄒᆞ미 셰계에 읏듬이더니 차일에 곤궁ᄒᆞ고 불상ᄒᆞ미 다시 비헐 데 업더라
{{du|법}}인의 고ᄉᆡᆼᄒᆞᄆᆡ 불가형언이나 연이나 각국이 {{du|법국}} ᄃᆡ졉ᄒᆞ미 오히려 후ᄒᆞ다 ᄒᆞᆯ만ᄒᆞᆫ지라 {{du|법국}}의 토지와 보ᄇᆡᄅᆞᆯ 다 돌녀 보ᄂᆡᄆᆡ 그 ᄇᆡ상금이 비록 만타 ᄒᆞ야도 {{u|나파륜}}이 타국에 탈취ᄒᆞᆫ 병비에 비ᄒᆞ면 오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1gtswc1335i6b8zjfe2sw3r1ra55jf
390624
390623
2025-06-09T03:48:09Z
ZornsLemon
15531
39062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ᄐᆡ서신사 권십ᄉᆞ
:영국 마간셔 원본 리졔마ᄐᆡ 번역 상ᄒᆡ 채이강 술고
:{{du|법국}}이 다시 군쥬를 세우미라
::뎨일졀 {{du|활철노}} 젼ᄌᆡᆼ 후에 {{du|법국}} 졍형이라
{{du|법국}}<ref>프랑스(France)</ref> {{u|나파륜 졔일}}이라<ref>나폴레옹 1세(Napoleon I)</ref> ᄒᆞᄂᆞᆫ 황졔가 {{du|구라파}} 일경에 횡ᄒᆡᆼᄒᆞᄆᆡ 각국이 불승분로ᄒᆞ야 각기 ᄃᆡ군을 조ᄇᆞᆯᄒᆞ야 {{du|활쳘노}}라<ref>워털루(Waterloo)</ref> ᄒᆞᄂᆞᆫ ᄯᅡ에셔 두번 ᄊᆞ화 크게 파ᄒᆞ고 {{u|나퐈륜}}을 사로잡아 ᄒᆡ도 즁에 졍ᄇᆡ 보ᄂᆡ니라 당시에 {{du|영국}}과 기타 {{du|아라사}}와<ref>러시아(Russia)</ref> {{du|오사마가}}와<ref>오스트리아(Austria)</ref> {{du|보로사}}와<ref>프러시아(Prussia)</ref> {{du|비리시}}와<ref>벨기에(Belgium)</ref> {{du|의대리}}와<ref>이탈리아(Italy)</ref> {{du|파와리아}}와<ref>바바리아(Bavaria)</ref> {{du|살극ᄉᆡᆼ}}과<ref>색슨(Saxon)</ref> {{du|마가}}와<ref>헝가리(Hungary)</ref> {{du|한낙비}}와<ref>하노버(Hanover)</ref> {{du|서반아}}<ref>스페인(Spain)</ref> 등 대소 각국이 {{du|법국}}의 ᄒᆡᄅᆞᆯ 당ᄒᆞᆫ ᄌᆡ 젹분이ᄌᆡ즁ᄒᆞ다가 일조에 긔병ᄒᆞᄅᆞᆫ 격셔ᄅᆞᆯ 보고 각기 대군을 거ᄂᆞ려 ᄆᆡᆼ셰코 설치ᄒᆞ고ᄌᆞ ᄒᆞ야 {{du|법국}} ᄂᆡ지에 드러간 군ᄉᆞㅣ 범 일ᄇᆡᆨ십만 인이라 {{du|활철노}} 전장이 드ᄃᆡ여 {{du|구라파}} 졔일 전장이 되니 {{du|법}}국의 위엄과 권셰가 일조에 ᄯᅡ에 ᄯᅥ러지고 ᄯᅩ 이 일ᄇᆡᆨ십만 명 군사ㅣ ᄊᆞ홈ᄒᆞ기 전과 ᄊᆞ홈ᄒᆞᄂᆞᆫ 동안에 일용 음식을 다 {{du|법국}}의게 ᄲᆡ얏고 만일 불여의ᄒᆞ면 각국 군사ㅣ ᄌᆡ물을 노략ᄒᆞ야 일ᄉᆞ일립이라도 임의 탈ᄎᆔᄒᆞ야 {{du|법국}} ᄉᆞᄅᆞᆷ의 견ᄒᆡᄒᆞᄆᆡ 불가승슈ㅣ러니 밋 {{du|법}}군이 ᄑᆡᄒᆞ고 황졔 사로잡피ᄆᆡ 각국이 {{du|법국}}의게 벌금 삼억뉵쳔만 원을 바다 군ᄉᆞᄅᆞᆯ 호괴ᄒᆞ고 ᄯᅩ 억지로 {{du|법국}} 옛적 인군 {{u|포이분}}을<ref>부르봉(Bourbons)</ref> 세워 인군을 삼고 졍병 십오만 명을 두어 {{du|법국}} 지경에 둔찰ᄒᆞ고 ᄇᆡ상을 바들새 이 슈다ᄒᆞᆫ 군사의 량식과 밋 허다ᄒᆞᆫ 잡용을 다 {{du|법국}} 탁지부에 취용ᄒᆞ게 ᄒᆞ고 ᄯᅩ 각국 군사ㅣ 노략침어ᄒᆞ니 {{du|법}}인이 황공망조ᄒᆞ야 엇지ᄒᆞᆯ 쥴 모르더라 슬푸다 석일 {{du|법국}}의 강ᄃᆡᄒᆞ미 셰계에 읏듬이더니 차일에 곤궁ᄒᆞ고 불상ᄒᆞ미 다시 비헐 데 업더라
{{du|법}}인의 고ᄉᆡᆼᄒᆞᄆᆡ 불가형언이나 연이나 각국이 {{du|법국}} ᄃᆡ졉ᄒᆞ미 오히려 후ᄒᆞ다 ᄒᆞᆯ만ᄒᆞᆫ지라 {{du|법국}}의 토지와 보ᄇᆡᄅᆞᆯ 다 돌녀 보ᄂᆡᄆᆡ 그 ᄇᆡ상금이 비록 만타 ᄒᆞ야도 {{u|나파륜}}이 타국에 탈취ᄒᆞᆫ 병비에 비ᄒᆞ면 오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pk47lyqwu7pj3o6tuec9f3nyjbhwaa0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3
250
100642
390625
2025-06-09T03:50:01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히려 상거가 소양지판이러라 ::뎨이졀 즁흥ᄒᆞ미 속ᄒᆞ미라 {{du|법국}}이 일ᄑᆡ도지ᄒᆞᆫ 후에 ᄂᆡ지에ᄂᆞᆫ 젹국 군사ㅣ 쥬찰ᄒᆞ야 그 ᄌᆡ부ᄅᆞᆯ ᄎᆞ지ᄒᆞᆫ ᄇᆡ 되고 장뎡은 다 전장에셔 ᄐᆡ반이나 쥭고 상고의 길이 돈졀ᄒᆞ며 국고의 잇ᄂᆞᆫ 금은은 다 ᄇᆡ상에 업서지고 ᄯᅩ ᄇᆡ상을 갑플 지음에 동ᄎᆔ셔ᄃᆡᄒᆞ며 ᄯ...
39062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히려 상거가 소양지판이러라
::뎨이졀 즁흥ᄒᆞ미 속ᄒᆞ미라
{{du|법국}}이 일ᄑᆡ도지ᄒᆞᆫ 후에 ᄂᆡ지에ᄂᆞᆫ 젹국 군사ㅣ 쥬찰ᄒᆞ야 그 ᄌᆡ부ᄅᆞᆯ ᄎᆞ지ᄒᆞᆫ ᄇᆡ 되고 장뎡은 다 전장에셔 ᄐᆡ반이나 쥭고 상고의 길이 돈졀ᄒᆞ며 국고의 잇ᄂᆞᆫ 금은은 다 ᄇᆡ상에 업서지고 ᄯᅩ ᄇᆡ상을 갑플 지음에 동ᄎᆔ셔ᄃᆡᄒᆞ며 ᄯᅩ ᄃᆡ병을 지ᄂᆡᆫ 후에 흉년이 드러 ᄇᆡᆨ셩이 쥬려 쥭은 ᄌᆡ 부지기슈ㅣ라 졍부에셔 극력 구제ᄒᆞ나 효험이 업더니 불과 삼년에 졈졈 소ᄉᆡᆼ이 되야 각국의 벌금을 졍ᄒᆞᆫ 젼에 청장ᄒᆞ야 적병으로 ᄒᆞ야곰 믈너가게 ᄒᆞ고 ᄯᅩ 군사ᄅᆞᆯ 모집ᄒᆞ야 부강의 긔업이 다시 졍ᄒᆞ야 강국의 일홈이 진동ᄒᆞ야 여러 ᄒᆡ 곤궁ᄒᆞ든 거슬 일조에 쓰러버렷스니 이ᄂᆞᆫ 국ᄂᆡ에 옥토가 만코 ᄇᆡᆨ셩이 부지런ᄒᆞᆫ 연고ㅣ러라
::뎨삼졀 옛 인군을 존슝ᄒᆞᄂᆞᆫ 편당이라
{{du|법국}} 옛 인군 {{u|포이분}}이 일쳔칠ᄇᆡᆨ구십년에 【뎡종<ref>정조(正祖): 태서신사 출판 당시에는 묘호가 정종(正宗)이었다.</ref> 십사년】 군권이 ᄐᆡ과ᄒᆞ므로 민심이 불복ᄒᆞ야 드듸여 {{sic|ᄶᅩᆨ|ᄶᅩᆺ}}기인 ᄇᆡ 되여 이십오년을 피신ᄒᆞ얏다가 이졔 각국이 병력으로 왕을 삼ᄋᆞᆺ스니 민심이 의연이 불복ᄒᆞ믈 가이 알너라 연이나 괴이ᄒᆞ도다 {{du|법국}}의 인심이 원ᄅᆡ 요양미졍ᄒᆞ야 인군을 폐ᄒᆞ고 셰우믈 장긔와 바둑 둠과 갓치 아ᄂᆞᆫ 고로 지금에 당ᄒᆞ야 {{u|포이분}}이 황졔 되ᄆᆡ 젼사ᄅᆞᆯ 이저 버리고 다만 일으되 우리 ᄇᆡᆨ셩이 곤궁유리ᄒᆞ며 국가이 ᄑᆡ망ᄒᆞ야 각부 각군에 외국 병정이 웅거ᄒᆞ고 인민의 ᄉᆡᆼ계가 돈졀ᄒᆞ얏스니 즉금 당ᄒᆞ야ᄂᆞᆫ 조졍 ᄇᆡᆨ관이 군권으로 되든지 민권으로 되든지 아무러케 ᄒᆞ야도 우리ᄂᆞᆫ 알 ᄇᆡ 아니요 오작 분ᄒᆞᆫ 거슨 {{u|나파륜}} 황졔 ᄒᆞ나로 ᄒᆞ야 지어차경이라 ᄒᆞ고 심지어 박안ᄃᆡᄆᆡᄒᆞ며 노발츙관ᄒᆞᄂᆞᆫ ᄌᆡ 무수ᄒᆞ야 젼일에 {{u|나파륜}}을 셩인이라 ᄒᆞ던 ᄉᆞᄅᆞᆷ이 지금은 원수 갓치 알며 걸쥬 갓치 욕ᄒᆞ고 일너 왈 이졔 다시 셩군을 만나쓰니 일졀 명령을 다 군권ᄃᆡ로 ᄒᆡᆼᄒᆞ고 ᄯᅩ 률문을 엄이 졍ᄒᆞ야 감이 민권을 셰우지 못ᄒᆞ게 ᄒᆞ라 만일 민간 언어간에라도 인군을 불경ᄒᆞᄂᆞᆫ 자ㅣ 잇스면 곳 잡아 쥭이리라 ᄒᆞ고 슌금과 포교ᄅᆞᆯ 각쳐에 보ᄂᆡ여 긔찰케 ᄒᆞ니 어시에 인민이 창황실조ᄒᆞ야 엇지ᄒᆞᆯ 쥴 모르더라 차시에 혹 관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sdddwgzrdxii0yn8ni7ejw92zs4msq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4
250
100643
390626
2025-06-09T03:54:30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후ᄒᆞᆫ 졍사ᄅᆞᆯ ᄒᆡᆼᄒᆞ라 ᄒᆞᄂᆞᆫ 자ㅣ 잇스면 답ᄒᆞ야 왈 엄형쥰법ᄒᆞ야 민권을 ᄒᆡᆼ코자 ᄒᆞᄂᆞᆫ ᄇᆡᆨ셩을 억졔ᄒᆞ미 금일 안민ᄒᆞᄂᆞᆫ 급무라 ᄒᆞ며 심 지어 {{u|나파륜}}의게 슌종ᄒᆞ든 ᄉᆞᄅᆞᆷ을 련좌법으로 쥭이고 ᄯᅩ {{u|야소}}교 ᄒᆞᄂᆞᆫ ᄉᆞᄅᆞᆷ을 ᄉᆞᆯᄒᆡᄒᆞ니 ᄃᆡ저 {{u|나파륜}}의 졍치ᄅ...
39062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후ᄒᆞᆫ 졍사ᄅᆞᆯ ᄒᆡᆼᄒᆞ라 ᄒᆞᄂᆞᆫ 자ㅣ 잇스면 답ᄒᆞ야 왈 엄형쥰법ᄒᆞ야 민권을 ᄒᆡᆼ코자 ᄒᆞᄂᆞᆫ ᄇᆡᆨ셩을 억졔ᄒᆞ미 금일 안민ᄒᆞᄂᆞᆫ 급무라 ᄒᆞ며 심 지어 {{u|나파륜}}의게 슌종ᄒᆞ든 ᄉᆞᄅᆞᆷ을 련좌법으로 쥭이고 ᄯᅩ {{u|야소}}교 ᄒᆞᄂᆞᆫ ᄉᆞᄅᆞᆷ을 ᄉᆞᆯᄒᆡᄒᆞ니 ᄃᆡ저 {{u|나파륜}}의 졍치ᄅᆞᆯ 다시 흥헐가 염녀ᄒᆞ미라 {{du|법}}인의 무상ᄒᆞ미 여ᄎᆞᄒᆞ더라
::뎨사졀 {{du|법}}왕 {{u|노의 제십팔}}이라
각국이 {{u|포이분}}을 츄ᄃᆡᄒᆞ야 {{du|법국}} 인군을 삼으니 이ᄂᆞᆫ {{u|노의 졔십팔}}<ref>루이 18세(Louis XVIII)</ref> 왕이라 나이 이믜 오십구셰러라 당ᄎᆞ시ᄒᆞ야 각국을 친목ᄒᆞ야 국쳬ᄅᆞᆯ 손상치 아니ᄒᆞ게 ᄒᆞ며 각국 졍셰ᄅᆞᆯ ᄯᅡ라 슈시 변통ᄒᆞ야 외인으로 ᄒᆞ야곰 심만의족ᄒᆞ게 ᄒᆞ고 ᄇᆡᆨ셩을 안즙ᄒᆞ야 그 강ᄒᆞᆫ 마음을 변ᄒᆞ야 슌량ᄒᆞ고 안분ᄒᆞᄂᆞᆫ ᄉᆞᄅᆞᆷ이 되게 ᄒᆞ며 각ᄉᆡᆨ 편당을 무마ᄒᆞ야 공편ᄒᆞᆫ 법령과 인자ᄒᆞᆫ ᄒᆡᆼ실로 쳐사ᄅᆞᆯ 명ᄇᆡᆨ히 ᄒᆞ니 비록 영웅 슈단과 호걸의 긔상은 젹다 헐지라도 이 나라로 ᄒᆞ야곰 무사ᄐᆡ평케 ᄒᆞ믄 다 {{u|노의 졔십팔}} 왕의 공덕일너라
연이나 {{du|법국}}은 인심이 조셕변ᄀᆡᄒᆞ야 다만 인과 의로 말ᄒᆞᆯ 슈 업ᄂᆞᆫ 나라이라 젼일 난리에 ᄇᆡᆨ셩들이 전장과 셰간을 헐가 방ᄆᆡᄒᆞ얏더니 지금에 나라 세력을 밋고 혹 본가 환퇴ᄒᆞᆯ가 염녀ᄒᆞᄂᆞᆫ 자도 잇고 유락ᄒᆞ야 사방에 잇ᄂᆞᆫ 군ᄉᆞᄂᆞᆫ ᄉᆡᆼ각ᄒᆞ되 아국이 원ᄅᆡ 쳔ᄒᆞ에 읏듬이라 엇지ᄒᆞ야 이갓치 적막히 셰월을 보ᄂᆡ리오 다시 ᄒᆞᆫ번 크게 ᄊᆞ화 장부의 긔ᄀᆡᄅᆞᆯ 베풀리라 ᄒᆞᄂᆞᆫ 자도 잇고 {{u|나파륜}} 황졔시에 부귀공명ᄒᆞ든 ᄌᆡ 일조에 빈궁무료ᄒᆞ야 오작 조졍의 시비만 평논ᄒᆞ고 말ᄒᆞ되 나라ᄅᆞ ᄒᆞᄂᆞᆫ 거슨 민권이 셩ᄒᆞ야야 흥ᄒᆞᆫ다 ᄒᆞ고 의논이 분분ᄒᆞ야 서로 쳬결ᄒᆞ야 난리ᄅᆞᆯ 이르켜 사방 ᄇᆡᆨ셩이 향응ᄒᆞᄂᆞᆫ ᄌᆡ 처처에 만은지라 당시에 졍부ㅣ 급히 발병ᄒᆞ야 평졍ᄒᆞ얏스나 필경 {{u|노의왕}}의 ᄐᆡᄌᆞᄂᆞᆫ 난당의 자ᄀᆡᆨ의게 쥭은 ᄇᆡ 되니라
::뎨오졀 새 졍사라
{{u|노의왕}}이 ᄌᆡ위 팔년에 훙ᄒᆞ니라 왕이 ᄌᆡ위 시에 병혁이 일지 아니ᄒᆞ고 농부와 상고와 장ᄉᆡᆨ이 다 흥왕ᄒᆞ야 ᄐᆡ평 긔상이 잇스니 밧 갈고 나무 심우ᄂᆞᆫ ᄉᆡ 법이 일신월셩ᄒᆞ야 냥식이 불가승식이요 화륜션은 년년이 더 느러 타국과 통상이 번셩ᄒᆞ고 탁지에 ᄌᆡ믈이 누거만이오 군부에 병ᄋᆡᆨ이 이십오만이요 병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tm49lste81a37fcnvlb0yxjrwkkket1
390627
390626
2025-06-09T03:55:50Z
ZornsLemon
15531
39062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후ᄒᆞᆫ 졍사ᄅᆞᆯ ᄒᆡᆼᄒᆞ라 ᄒᆞᄂᆞᆫ 자ㅣ 잇스면 답ᄒᆞ야 왈 엄형쥰법ᄒᆞ야 민권을 ᄒᆡᆼ코자 ᄒᆞᄂᆞᆫ ᄇᆡᆨ셩을 억졔ᄒᆞ미 금일 안민ᄒᆞᄂᆞᆫ 급무라 ᄒᆞ며 심지어 {{u|나파륜}}의게 슌종ᄒᆞ든 ᄉᆞᄅᆞᆷ을 련좌법으로 쥭이고 ᄯᅩ {{u|야소}}교 <ref>예수(Jesus)</ref> ᄒᆞᄂᆞᆫ ᄉᆞᄅᆞᆷ을 ᄉᆞᆯᄒᆡᄒᆞ니 ᄃᆡ저 {{u|나파륜}}의 졍치ᄅᆞᆯ 다시 흥헐가 염녀ᄒᆞ미라 {{du|법}}인의 무상ᄒᆞ미 여ᄎᆞᄒᆞ더라
::뎨사졀 {{du|법}}왕 {{u|노의 제십팔}}이라
각국이 {{u|포이분}}을 츄ᄃᆡᄒᆞ야 {{du|법국}} 인군을 삼으니 이ᄂᆞᆫ {{u|노의 졔십팔}}<ref>루이 18세(Louis XVIII)</ref> 왕이라 나이 이믜 오십구셰러라 당ᄎᆞ시ᄒᆞ야 각국을 친목ᄒᆞ야 국쳬ᄅᆞᆯ 손상치 아니ᄒᆞ게 ᄒᆞ며 각국 졍셰ᄅᆞᆯ ᄯᅡ라 슈시 변통ᄒᆞ야 외인으로 ᄒᆞ야곰 심만의족ᄒᆞ게 ᄒᆞ고 ᄇᆡᆨ셩을 안즙ᄒᆞ야 그 강ᄒᆞᆫ 마음을 변ᄒᆞ야 슌량ᄒᆞ고 안분ᄒᆞᄂᆞᆫ ᄉᆞᄅᆞᆷ이 되게 ᄒᆞ며 각ᄉᆡᆨ 편당을 무마ᄒᆞ야 공편ᄒᆞᆫ 법령과 인자ᄒᆞᆫ ᄒᆡᆼ실로 쳐사ᄅᆞᆯ 명ᄇᆡᆨ히 ᄒᆞ니 비록 영웅 슈단과 호걸의 긔상은 젹다 헐지라도 이 나라로 ᄒᆞ야곰 무사ᄐᆡ평케 ᄒᆞ믄 다 {{u|노의 졔십팔}} 왕의 공덕일너라
연이나 {{du|법국}}은 인심이 조셕변ᄀᆡᄒᆞ야 다만 인과 의로 말ᄒᆞᆯ 슈 업ᄂᆞᆫ 나라이라 젼일 난리에 ᄇᆡᆨ셩들이 전장과 셰간을 헐가 방ᄆᆡᄒᆞ얏더니 지금에 나라 세력을 밋고 혹 본가 환퇴ᄒᆞᆯ가 염녀ᄒᆞᄂᆞᆫ 자도 잇고 유락ᄒᆞ야 사방에 잇ᄂᆞᆫ 군ᄉᆞᄂᆞᆫ ᄉᆡᆼ각ᄒᆞ되 아국이 원ᄅᆡ 쳔ᄒᆞ에 읏듬이라 엇지ᄒᆞ야 이갓치 적막히 셰월을 보ᄂᆡ리오 다시 ᄒᆞᆫ번 크게 ᄊᆞ화 장부의 긔ᄀᆡᄅᆞᆯ 베풀리라 ᄒᆞᄂᆞᆫ 자도 잇고 {{u|나파륜}} 황졔시에 부귀공명ᄒᆞ든 ᄌᆡ 일조에 빈궁무료ᄒᆞ야 오작 조졍의 시비만 평논ᄒᆞ고 말ᄒᆞ되 나라ᄅᆞ ᄒᆞᄂᆞᆫ 거슨 민권이 셩ᄒᆞ야야 흥ᄒᆞᆫ다 ᄒᆞ고 의논이 분분ᄒᆞ야 서로 쳬결ᄒᆞ야 난리ᄅᆞᆯ 이르켜 사방 ᄇᆡᆨ셩이 향응ᄒᆞᄂᆞᆫ ᄌᆡ 처처에 만은지라 당시에 졍부ㅣ 급히 발병ᄒᆞ야 평졍ᄒᆞ얏스나 필경 {{u|노의왕}}의 ᄐᆡᄌᆞᄂᆞᆫ 난당의 자ᄀᆡᆨ의게 쥭은 ᄇᆡ 되니라
::뎨오졀 새 졍사라
{{u|노의왕}}이 ᄌᆡ위 팔년에 훙ᄒᆞ니라 왕이 ᄌᆡ위 시에 병혁이 일지 아니ᄒᆞ고 농부와 상고와 장ᄉᆡᆨ이 다 흥왕ᄒᆞ야 ᄐᆡ평 긔상이 잇스니 밧 갈고 나무 심우ᄂᆞᆫ ᄉᆡ 법이 일신월셩ᄒᆞ야 냥식이 불가승식이요 화륜션은 년년이 더 느러 타국과 통상이 번셩ᄒᆞ고 탁지에 ᄌᆡ믈이 누거만이오 군부에 병ᄋᆡᆨ이 이십오만이요 병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np0i6yuofc33h8wdr2642oyqzz5vck7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5
250
100644
390628
2025-06-09T03:58:40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함이 구십여 쳑이러라 ::뎨뉵졀 {{u|후레왕 제십}}이라 {{u|노의 졔십팔}} 왕이 훙ᄒᆞᄆᆡ 그 아우 {{du|후레 제십}}이<ref>샤를 10세(Charles X)</ref> ᄃᆡ통을 이어 즉위ᄒᆞ니 나이 뉵십뉵 세러라 소년시에 국가ㅣ 위란ᄒᆞ므로ᄡᅥ 타국에 도망ᄒᆞ야 비상 간고ᄒᆞ엿스나 쳔품이 나약 혼암ᄒᆞ야 졍치와 법률은 ᄒᆞ나토 아지 못ᄒᆞ고 다만 말달리기...
39062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함이 구십여 쳑이러라
::뎨뉵졀 {{u|후레왕 제십}}이라
{{u|노의 졔십팔}} 왕이 훙ᄒᆞᄆᆡ 그 아우 {{du|후레 제십}}이<ref>샤를 10세(Charles X)</ref> ᄃᆡ통을 이어 즉위ᄒᆞ니 나이 뉵십뉵 세러라 소년시에 국가ㅣ 위란ᄒᆞ므로ᄡᅥ 타국에 도망ᄒᆞ야 비상 간고ᄒᆞ엿스나 쳔품이 나약 혼암ᄒᆞ야 졍치와 법률은 ᄒᆞ나토 아지 못ᄒᆞ고 다만 말달리기만 조와ᄒᆞ고 국가 졔반 졍치ᄅᆞᆯ 쳔쥬교ᄉᆞ의게 ᄆᆞᆺ기니 교ᄉᆞㅣ 졍ᄉᆞ에 ᄎᆞᆷ예ᄒᆞ야 허다ᄒᆞᆫ 폐단이 날노 ᄉᆡᆼ기ᄆᆡ {{du|법국}}의 화ㅣ ᄯᅩ 일노 조차 일어나더라
::뎨칠졀 젼일에 원억ᄒᆞᆫ ᄉᆞᄅᆞᆷ을 위무ᄒᆞ미라
연이나 {{u|후례왕}}이 즉위 초에ᄂᆞᆫ 오히려 민졍을 살피여 인심이 열북ᄒᆞ게 ᄒᆞ고 ᄯᅩ 화곡이 풍등ᄒᆞ야 ᄐᆡ평무ᄉᆞᄒᆞᆫ 긔상이 가이 볼 만ᄒᆞ며 ᄯᅩ ᄇᆡᆨ셩의게 허락ᄒᆞ야 왈 국ᄂᆡ 각쳐에 신문사ᄅᆞᆯ 베푸러 각국 통ᄒᆡᆼ지례ᄅᆞᆯ ᄒᆡᆼᄒᆞ고 조곰도 금치 아니ᄒᆞ야 ᄇᆡᆨ셩으로 ᄒᆞ야곰 말을 다 ᄒᆞ게 ᄒᆞ리라 ᄒᆞ니 {{du|법}}민이 ᄃᆡ열ᄒᆞ야 이르되 신문사ᄅᆞᆯ ᄇᆡ셜ᄒᆞ면 ᄇᆡᆨ셩의 질고ᄅᆞᆯ 가이 인군ᄭᅦ 상달ᄒᆞᆯ지라 일노 죳차 직언 극간ᄒᆞᆯ 길이 열녓스니 우리 민ᄉᆡᆼ의게 유익ᄒᆞ미 엇지 크지 아니리오 ᄒᆞ고 환희고무ᄒᆞ기ᄅᆞᆯ 마지 아니ᄒᆞ더라
ᄯᅩ 일ᄉᆞᄅᆞᆯ ᄇᆡᆨ셩의게 허락ᄒᆞ야 왈 【서양 법률에 인군이 새로 즉위헐 ᄯᅢ에 자긔의 ᄯᅳᆺ슬 먼져 말ᄒᆞ야 후일에 시ᄒᆡᆼᄒᆞᄂᆞᆫ 표적을 삼ᄂᆞᆫ 법이라】 국가ㅣ 장찻 은젼 이억 사쳔만 원을 ᄂᆡ여 난리 즁에 토지와 가산을 일은 ᄇᆡᆨ셩의게 쥬리라 ᄒᆞ니 이ᄂᆞᆫ 젼년 민요 잇슬 ᄯᅢ에 졍부에셔 그 ᄇᆡᆨ셩의 젼지와 가산을 적물ᄒᆞ고 그 토지로 ᄇᆡᆨ셩의게 발ᄆᆡᄒᆞ얏더니 그 후에 공논이 불일ᄒᆞ야 이르되 이ᄂᆞᆫ 다 졍부ㅣ ᄇᆡᆨ셩을 위ᄒᆞ미 아니니 그 토지ᄅᆞᆯ 다시 본쥬의게 돌녀 보ᄂᆡ미 올타 ᄒᆞ야 분운미졍ᄒᆞ니 이 토지ᄅᆞᆯ 사 가진 ᄇᆡᆨ셩들도 졍부에셔 다시 ᄲᆡ슬가 넘녀ᄒᆞ야 토가가 졸지에 ᄯᅥ러지고 인심이 흉흉ᄒᆞ더니 이제ᄅᆞᆯ 당ᄒᆞ야 {{u|후례왕}}이 국고금을 ᄂᆡ여 토가ᄅᆞᆯ 상당ᄒᆞ게 갑하 쥬니 민심이 간졍이 되고 왕의 위도 ᄯᅩᄒᆞᆫ 편안ᄒᆞ더라
::뎨팔절 {{du|법}}인이 왕이 쳔쥬교사의게 고혹ᄒᆞ물 의심ᄒᆞ미라
{{nop}}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3nw3ljyqyqpn2h4tvt8otl0ce27hk3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6
250
100645
390629
2025-06-09T04:01:08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u|후례 졔십왕}}이 졍샤ᄅᆞᆯ 쳔쥬교사의게 젼임ᄒᆞ야 ᄆᆡ사ᄅᆞᆯ 고문ᄒᆞ니 ᄇᆡᆨ셩이 듯고 의심ᄒᆞ더니 이윽고 왕이 새로 법률을 곳쳐 왈 감이 례ᄇᆡ당과 교즁 례졀을 셜만이 ᄒᆞᄂᆞᆫ ᄌᆡ 잇스면 쥭이리라 ᄒᆞ며 ᄯᅩ 교ᄉᆞㅣ 왕을 권ᄒᆞ야 형벌을 엄ᄒᆞ게 ᄒᆞ라 ᄒᆞ고 이 새 법률을 반포ᄒᆞᆯ새 왕의 종친과 밋 여{{sic|려|...
39062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u|후례 졔십왕}}이 졍샤ᄅᆞᆯ 쳔쥬교사의게 젼임ᄒᆞ야 ᄆᆡ사ᄅᆞᆯ 고문ᄒᆞ니 ᄇᆡᆨ셩이 듯고 의심ᄒᆞ더니 이윽고 왕이 새로 법률을 곳쳐 왈 감이 례ᄇᆡ당과 교즁 례졀을 셜만이 ᄒᆞᄂᆞᆫ ᄌᆡ 잇스면 쥭이리라 ᄒᆞ며 ᄯᅩ 교ᄉᆞㅣ 왕을 권ᄒᆞ야 형벌을 엄ᄒᆞ게 ᄒᆞ라 ᄒᆞ고 이 새 법률을 반포ᄒᆞᆯ새 왕의 종친과 밋 여{{sic|려|러}} ᄃᆡ신과 모든 관원이 거러 뒤ᄅᆞᆯ ᄯᆞᆯ으며 기즁에 젼ᄃᆡ {{u|장 소로ᄃᆡ}}ᄂᆞᆫ<ref>(**)</ref> 위지 일폼이로ᄃᆡ 쳔쥬교에 득죄ᄒᆞ얏다 ᄒᆞ야 노복으로 더부러 갓치 촉불을 잡게 ᄒᆞ니 이ᄂᆞᆫ 일쳔팔ᄇᆡᆨ이십뉵년【순조 ᄃᆡ왕 이십뉵년】이라 {{du|법}}민이 ᄃᆡ단이 불열ᄒᆞ더니 ᄯᅩ 왕이 쳔쥬교에 입교ᄒᆞ엿다 ᄒᆞᄂᆞᆫ 말을 듯고 더욱 의심ᄒᆞᆯ새 왕이 ᄯᅩ 쳔쥬교인으로ᄡᅥ 셰ᄌᆞ 사부ᄅᆞᆯ 삼으니 일로 조ᄎᆞ 민심이 ᄃᆡ변ᄒᆞ야 왕의 ᄒᆞᄂᆞᆫ 일을 보면 무론 모사ᄒᆞ고 다 이르되 이ᄂᆞᆫ 필연 우리ᄅᆞᆯ ᄒᆡᄒᆞ리라 ᄒᆞ야 이에 민심이 젼혀 변ᄒᆞ엿더라
::뎨구졀 왕이 민심을 일으미라
{{du|법국}} 도셩 일홈은 {{du|파리}}라 {{du|파리}} 각 신문사에셔 신문을 ᄂᆡ여 각쳐에 돌니되 교ᄉᆞㅣ 다만 교즁 일을 ᄎᆞᆷ예ᄒᆞᆯ 거시요 졍사에 간셥ᄒᆞ미 불가ᄒᆞ다 ᄒᆞ고 고담쥰론이 날로 나니 왕이 노ᄒᆞ야 녕을 ᄂᆡ려 금지ᄒᆞ나 민심이 더욱 이산ᄒᆞᄂᆞᆫ지라 왕이 부득이ᄒᆞ야 녕을 환슈ᄒᆞ나 ᄇᆡᆨ셩이 ᄯᅩ 왕이 진심으로 ᄒᆞ지 아니믈 알고 희방이 날노 심ᄒᆞ니 왕의 젼일 셩ᄒᆞᆫ 일홈이 일조에 업셔졋더라 일쳔팔ᄇᆡᆨ이십칠년【순조 ᄃᆡ왕 이십칠년】에 왕이 친이 군사ᄅᆞᆯ 조련ᄒᆞᆯ새 {{du|파리}} 각 군새 다 불공셜화ㅣ 잇ᄂᆞᆫ지라 왕이 ᄃᆡ로ᄒᆞ야 즉일에 각 군사들을 ᄐᆡ거ᄒᆞ얏더라
그 후에 민심이 더욱 변ᄒᆞ니 집졍ᄃᆡ신이 왕을 권ᄒᆞ야 교사로 ᄒᆞ야 곰 다시 집권치 못ᄒᆞ게 ᄒᆞ고 그 당뉴ᄅᆞᆯ 다 면관 식이고 왕의 종실과 {{u|파리조}}로ᄡᅥ<ref>({{옛한글쪽 끝}}
{{옛한글쪽 시작}})</ref> ᄃᆡ신을 삼으니 {{u|파리조}}의 위인이 심이 인ᄌᆞᄒᆞ나 다만 평ᄉᆡᆼ에 두 가지 큰 병이 잇스니 왕이 명ᄒᆞᄂᆞᆫ 바ᄂᆞᆫ 사리의 당부당은 의논치 아니ᄒᆞ고 오작 봉ᄒᆡᆼᄒᆞ믈 힘쓰니 ᄒᆞᆫ 병이요 그 마음이 ᄯᅩᄒᆞᆫ 쳔쥬교에 ᄲᅡ졋스니 두 가지 병이러라
::뎨십졀 새 장졍을 ᄂᆡ야 ᄇᆡᆨ셩을 곤케 ᄒᆞ미라
{{nop}}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6yu58mu2hvqu8rflei37y0qt7lpbxa
390630
390629
2025-06-09T04:16:52Z
ZornsLemon
15531
39063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u|후례 졔십왕}}이 졍샤ᄅᆞᆯ 쳔쥬교사의게 젼임ᄒᆞ야 ᄆᆡ사ᄅᆞᆯ 고문ᄒᆞ니 ᄇᆡᆨ셩이 듯고 의심ᄒᆞ더니 이윽고 왕이 새로 법률을 곳쳐 왈 감이 례ᄇᆡ당과 교즁 례졀을 셜만이 ᄒᆞᄂᆞᆫ ᄌᆡ 잇스면 쥭이리라 ᄒᆞ며 ᄯᅩ 교ᄉᆞㅣ 왕을 권ᄒᆞ야 형벌을 엄ᄒᆞ게 ᄒᆞ라 ᄒᆞ고 이 새 법률을 반포ᄒᆞᆯ새 왕의 종친과 밋 여{{sic|려|러}} ᄃᆡ신과 모든 관원이 거러 뒤ᄅᆞᆯ ᄯᆞᆯ으며 기즁에 젼ᄃᆡ {{u|장 소로ᄃᆡ}}ᄂᆞᆫ<ref>장 드디외 술트(Jean-De-Dieu Sault)</ref> 위지 일폼이로ᄃᆡ 쳔쥬교에 득죄ᄒᆞ얏다 ᄒᆞ야 노복으로 더부러 갓치 촉불을 잡게 ᄒᆞ니 이ᄂᆞᆫ 일쳔팔ᄇᆡᆨ이십뉵년【순조 ᄃᆡ왕 이십뉵년】이라 {{du|법}}민이 ᄃᆡ단이 불열ᄒᆞ더니 ᄯᅩ 왕이 쳔쥬교에 입교ᄒᆞ엿다 ᄒᆞᄂᆞᆫ 말을 듯고 더욱 의심ᄒᆞᆯ새 왕이 ᄯᅩ 쳔쥬교인으로ᄡᅥ 셰ᄌᆞ 사부ᄅᆞᆯ 삼으니 일로 조ᄎᆞ 민심이 ᄃᆡ변ᄒᆞ야 왕의 ᄒᆞᄂᆞᆫ 일을 보면 무론 모사ᄒᆞ고 다 이르되 이ᄂᆞᆫ 필연 우리ᄅᆞᆯ ᄒᆡᄒᆞ리라 ᄒᆞ야 이에 민심이 젼혀 변ᄒᆞ엿더라
::뎨구졀 왕이 민심을 일으미라
{{du|법국}} 도셩 일홈은 {{du|파리}}라 {{du|파리}} 각 신문사에셔 신문을 ᄂᆡ여 각쳐에 돌니되 교ᄉᆞㅣ 다만 교즁 일을 ᄎᆞᆷ예ᄒᆞᆯ 거시요 졍사에 간셥ᄒᆞ미 불가ᄒᆞ다 ᄒᆞ고 고담쥰론이 날로 나니 왕이 노ᄒᆞ야 녕을 ᄂᆡ려 금지ᄒᆞ나 민심이 더욱 이산ᄒᆞᄂᆞᆫ지라 왕이 부득이ᄒᆞ야 녕을 환슈ᄒᆞ나 ᄇᆡᆨ셩이 ᄯᅩ 왕이 진심으로 ᄒᆞ지 아니믈 알고 희방이 날노 심ᄒᆞ니 왕의 젼일 셩ᄒᆞᆫ 일홈이 일조에 업셔졋더라 일쳔팔ᄇᆡᆨ이십칠년【순조 ᄃᆡ왕 이십칠년】에 왕이 친이 군사ᄅᆞᆯ 조련ᄒᆞᆯ새 {{du|파리}} 각 군새 다 불공셜화ㅣ 잇ᄂᆞᆫ지라 왕이 ᄃᆡ로ᄒᆞ야 즉일에 각 군사들을 ᄐᆡ거ᄒᆞ얏더라
그 후에 민심이 더욱 변ᄒᆞ니 집졍ᄃᆡ신이 왕을 권ᄒᆞ야 교사로 ᄒᆞ야 곰 다시 집권치 못ᄒᆞ게 ᄒᆞ고 그 당뉴ᄅᆞᆯ 다 면관 식이고 왕의 종실과 {{u|파리조}}로ᄡᅥ <ref>쥘 드 폴리냐크 왕자(Jules de Polignac)</ref> ᄃᆡ신을 삼으니 {{u|파리조}}의 위인이 심이 인ᄌᆞᄒᆞ나 다만 평ᄉᆡᆼ에 두 가지 큰 병이 잇스니 왕이 명ᄒᆞᄂᆞᆫ 바ᄂᆞᆫ 사리의 당부당은 의논치 아니ᄒᆞ고 오작 봉ᄒᆡᆼᄒᆞ믈 힘쓰니 ᄒᆞᆫ 병이요 그 마음이 ᄯᅩᄒᆞᆫ 쳔쥬교에 ᄲᅡ졋스니 두 가지 병이러라
::뎨십졀 새 장졍을 ᄂᆡ야 ᄇᆡᆨ셩을 곤케 ᄒᆞ미라
{{nop}}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sgivp2ckirkvm6vfgy8bsyucg1x2zmn
390631
390630
2025-06-09T04:18:37Z
ZornsLemon
15531
39063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u|후례 졔십왕}}이 졍샤ᄅᆞᆯ 쳔쥬교사의게 젼임ᄒᆞ야 ᄆᆡ사ᄅᆞᆯ 고문ᄒᆞ니 ᄇᆡᆨ셩이 듯고 의심ᄒᆞ더니 이윽고 왕이 새로 법률을 곳쳐 왈 감이 례ᄇᆡ당과 교즁 례졀을 셜만이 ᄒᆞᄂᆞᆫ ᄌᆡ 잇스면 쥭이리라 ᄒᆞ며 ᄯᅩ 교ᄉᆞㅣ 왕을 권ᄒᆞ야 형벌을 엄ᄒᆞ게 ᄒᆞ라 ᄒᆞ고 이 새 법률을 반포ᄒᆞᆯ새 왕의 종친과 밋 여{{sic|려|러}} ᄃᆡ신과 모든 관원이 거러 뒤ᄅᆞᆯ ᄯᆞᆯ으며 기즁에 젼ᄃᆡ {{u|장 소로ᄃᆡ}}ᄂᆞᆫ<ref>장 드디외 술트(Jean-De-Dieu Sault)</ref> 위지 일폼이로ᄃᆡ 쳔쥬교에 득죄ᄒᆞ얏다 ᄒᆞ야 노복으로 더부러 갓치 촉불을 잡게 ᄒᆞ니 이ᄂᆞᆫ 일쳔팔ᄇᆡᆨ이십뉵년【순조 ᄃᆡ왕 이십뉵년】이라 {{du|법}}민이 ᄃᆡ단이 불열ᄒᆞ더니 ᄯᅩ 왕이 쳔쥬교에 입교ᄒᆞ엿다 ᄒᆞᄂᆞᆫ 말을 듯고 더욱 의심ᄒᆞᆯ새 왕이 ᄯᅩ 쳔쥬교인으로ᄡᅥ 셰ᄌᆞ 사부ᄅᆞᆯ 삼으니 일로 조ᄎᆞ 민심이 ᄃᆡ변ᄒᆞ야 왕의 ᄒᆞᄂᆞᆫ 일을 보면 무론 모사ᄒᆞ고 다 이르되 이ᄂᆞᆫ 필연 우리ᄅᆞᆯ ᄒᆡᄒᆞ리라 ᄒᆞ야 이에 민심이 젼혀 변ᄒᆞ엿더라
::뎨구졀 왕이 민심을 일으미라
{{du|법국}} 도셩 일홈은 {{du|파리}}라 {{du|파리}} 각 신문사에셔 신문을 ᄂᆡ여 각쳐에 돌니되 교ᄉᆞㅣ 다만 교즁 일을 ᄎᆞᆷ예ᄒᆞᆯ 거시요 졍사에 간셥ᄒᆞ미 불가ᄒᆞ다 ᄒᆞ고 고담쥰론이 날로 나니 왕이 노ᄒᆞ야 녕을 ᄂᆡ려 금지ᄒᆞ나 민심이 더욱 이산ᄒᆞᄂᆞᆫ지라 왕이 부득이 ᄒᆞ야 녕을 환슈ᄒᆞ나 ᄇᆡᆨ셩이 ᄯᅩ 왕이 진심으로 ᄒᆞ지 아니믈 알고 희방이 날노 심ᄒᆞ니 왕의 젼일 셩ᄒᆞᆫ 일홈이 일조에 업셔졋더라 일쳔팔ᄇᆡᆨ이십칠년【순조 ᄃᆡ왕 이십칠년】에 왕이 친이 군사ᄅᆞᆯ 조련ᄒᆞᆯ새 {{du|파리}} 각 군새 다 불공셜화ㅣ 잇ᄂᆞᆫ지라 왕이 ᄃᆡ로ᄒᆞ야 즉일에 각 군사들을 ᄐᆡ거ᄒᆞ얏더라
그 후에 민심이 더욱 변ᄒᆞ니 집졍ᄃᆡ신이 왕을 권ᄒᆞ야 교사로 ᄒᆞ야곰 다시 집권치 못ᄒᆞ게 ᄒᆞ고 그 당뉴ᄅᆞᆯ 다 면관 식이고 왕의 종실과 {{u|파리조}}로ᄡᅥ <ref>쥘 드 폴리냐크 왕자(Jules de Polignac)</ref> ᄃᆡ신을 삼으니 {{u|파리조}}의 위인이 심이 인ᄌᆞᄒᆞ나 다만 평ᄉᆡᆼ에 두 가지 큰 병이 잇스니 왕이 명ᄒᆞᄂᆞᆫ 바ᄂᆞᆫ 사리의 당부당은 의논치 아니ᄒᆞ고 오작 봉ᄒᆡᆼᄒᆞ믈 힘쓰니 ᄒᆞᆫ 병이요 그 마음이 ᄯᅩᄒᆞᆫ 쳔쥬교에 ᄲᅡ졋스니 두 가지 병이러라
::뎨십졀 새 장졍을 ᄂᆡ야 ᄇᆡᆨ셩을 곤케 ᄒᆞ미라
{{nop}}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2cerlfpz29v5iw0sr6p4elevywl0jlk
390636
390631
2025-06-09T05:02:27Z
ZornsLemon
15531
39063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u|후례 졔십왕}}이 졍샤ᄅᆞᆯ 쳔쥬교사의게 젼임ᄒᆞ야 ᄆᆡ사ᄅᆞᆯ 고문ᄒᆞ니 ᄇᆡᆨ셩이 듯고 의심ᄒᆞ더니 이윽고 왕이 새로 법률을 곳쳐 왈 감이 례ᄇᆡ당과 교즁 례졀을 셜만이 ᄒᆞᄂᆞᆫ ᄌᆡ 잇스면 쥭이리라 ᄒᆞ며 ᄯᅩ 교ᄉᆞㅣ 왕을 권ᄒᆞ야 형벌을 엄ᄒᆞ게 ᄒᆞ라 ᄒᆞ고 이 새 법률을 반포ᄒᆞᆯ새 왕의 종친과 밋 여{{sic|려|러}} ᄃᆡ신과 모든 관원이 거러 뒤ᄅᆞᆯ ᄯᆞᆯ으며 기즁에 젼ᄃᆡ {{u|장 소로ᄃᆡ}}ᄂᆞᆫ<ref>장 드디외 술트(Jean-De-Dieu Sault)</ref> 위지 일폼이로ᄃᆡ 쳔쥬교에 득죄ᄒᆞ얏다 ᄒᆞ야 노복으로 더부러 갓치 촉불을 잡게 ᄒᆞ니 이ᄂᆞᆫ 일쳔팔ᄇᆡᆨ이십뉵년【순조 ᄃᆡ왕 이십뉵년】이라 {{du|법}}민이 ᄃᆡ단이 불열ᄒᆞ더니 ᄯᅩ 왕이 쳔쥬교에 입교ᄒᆞ엿다 ᄒᆞᄂᆞᆫ 말을 듯고 더욱 의심ᄒᆞᆯ새 왕이 ᄯᅩ 쳔쥬교인으로ᄡᅥ 셰ᄌᆞ 사부ᄅᆞᆯ 삼으니 일로 조ᄎᆞ 민심이 ᄃᆡ변ᄒᆞ야 왕의 ᄒᆞᄂᆞᆫ 일을 보면 무론 모사ᄒᆞ고 다 이르되 이ᄂᆞᆫ 필연 우리ᄅᆞᆯ ᄒᆡᄒᆞ리라 ᄒᆞ야 이에 민심이 젼혀 변ᄒᆞ엿더라
::뎨구졀 왕이 민심을 일으미라
{{du|법국}} 도셩 일홈은 {{du|파리}}라 {{du|파리}} 각 신문사에셔 신문을 ᄂᆡ여 각쳐에 돌니되 교ᄉᆞㅣ 다만 교즁 일을 ᄎᆞᆷ예ᄒᆞᆯ 거시요 졍사에 간셥ᄒᆞ미 불가ᄒᆞ다 ᄒᆞ고 고담쥰론이 날로 나니 왕이 노ᄒᆞ야 녕을 ᄂᆡ려 금지ᄒᆞ나 민심이 더욱 이산ᄒᆞᄂᆞᆫ지라 왕이 부득이 ᄒᆞ야 녕을 환슈ᄒᆞ나 ᄇᆡᆨ셩이 ᄯᅩ 왕이 진심으로 ᄒᆞ지 아니믈 알고 희방이 날노 심ᄒᆞ니 왕의 젼일 셩ᄒᆞᆫ 일홈이 일조에 업셔졋더라 일쳔팔ᄇᆡᆨ이십칠년【순조 ᄃᆡ왕 이십칠년】에 왕이 친이 군사ᄅᆞᆯ 조련ᄒᆞᆯ새 {{du|파리}} 각 군새 다 불공셜화ㅣ 잇ᄂᆞᆫ지라 왕이 ᄃᆡ로ᄒᆞ야 즉일에 각 군사들을 ᄐᆡ거ᄒᆞ얏더라
그 후에 민심이 더욱 변ᄒᆞ니 집졍ᄃᆡ신이 왕을 권ᄒᆞ야 교사로 ᄒᆞ야곰 다시 집권치 못ᄒᆞ게 ᄒᆞ고 그 당뉴ᄅᆞᆯ 다 면관 식이고 왕의 종실 {{u|파리조}}로ᄡᅥ <ref>쥘 드 폴리냐크 왕자(Jules de Polignac)</ref> ᄃᆡ신을 삼으니 {{u|파리조}}의 위인이 심이 인ᄌᆞᄒᆞ나 다만 평ᄉᆡᆼ에 두 가지 큰 병이 잇스니 왕이 명ᄒᆞᄂᆞᆫ 바ᄂᆞᆫ 사리의 당부당은 의논치 아니ᄒᆞ고 오작 봉ᄒᆡᆼᄒᆞ믈 힘쓰니 ᄒᆞᆫ 병이요 그 마음이 ᄯᅩᄒᆞᆫ 쳔쥬교에 ᄲᅡ졋스니 두 가지 병이러라
::뎨십졀 새 장졍을 ᄂᆡ야 ᄇᆡᆨ셩을 곤케 ᄒᆞ미라
{{nop}}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ff48s1ehvxurvw4zev5b7bwbsd6m9qi
페이지: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50
250
100646
390632
2025-06-09T04:22:31Z
곽승훈
18480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ᄉᆞ와미륵보살이부텨도인후엣뉵도즁ᄉᆡᆼ애니르하탈제호리니유연셰존하원호ᄃᆡ분별마ᄅᆞ쇼셔 급ᄭᅴ부텨디쟝보살ᄃᆞ려니르샤ᄃᆡ일쳬즁ᄉᆡᆼ이하탈몯ᄒᆞ니셩식기일뎡호미업서악습으로업을ᄆᆡᄌᆞ며션습으로과을ᄆᆡ자션ᄒᆞ며악ᄒᆞ야경을조차나오도애구우러잠간도쉬디몯ᄒᆞ야딘겁을디내야미혹쟝난ᄒᆞ야끄기그믈에노ᄃ...
39063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곽승훈"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ᄉᆞ와미륵보살이부텨도인후엣뉵도즁ᄉᆡᆼ애니르하탈제호리니유연셰존하원호ᄃᆡ분별마ᄅᆞ쇼셔 급ᄭᅴ부텨디쟝보살ᄃᆞ려니르샤ᄃᆡ일쳬즁ᄉᆡᆼ이하탈몯ᄒᆞ니셩식기일뎡호미업서악습으로업을ᄆᆡᄌᆞ며션습으로과을ᄆᆡ자션ᄒᆞ며악ᄒᆞ야경을조차나오도애구우러잠간도쉬디몯ᄒᆞ야딘겁을디내야미혹쟝난ᄒᆞ야끄기그믈에노ᄃᆞᆮᄒᆞ야이냥뉴을가져비록드러ᄯᅡ가잠간나도ᄯᅩ그믈을만나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b0kmw5l7632ethre3b2qwt5pdu32kcd
390635
390632
2025-06-09T04:44:14Z
곽승훈
18480
39063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곽승훈"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ᄉᆞ와미륵보살이부텨도인후엣뉵도즁ᄉᆡᆼ애니르하탈제호리니유연셰존하원호ᄃᆡ분별마ᄅᆞ쇼셔
급ᄭᅴ부텨디쟝보살ᄃᆞ려니르샤ᄃᆡ일쳬즁ᄉᆡᆼ이하탈몯ᄒᆞ니셩식기일뎡호미업서악습으로업을ᄆᆡᄌᆞ며션습으로과을ᄆᆡ자션ᄒᆞ며악ᄒᆞ야경을조차나오도애구우러잠간도쉬디몯ᄒᆞ야딘겁을디내야미혹쟝난ᄒᆞ야끄기그믈에노ᄃᆞᆮᄒᆞ야이냥뉴을가져비록드러ᄯᅡ가잠간나도ᄯᅩ그믈을만나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7b33env1f7u5e33cmhi6gjhchf5va8v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3
250
100647
390637
2025-06-09T05:39:56Z
자모한울
184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사친가{{옛한글쪽 끝}} {{옛한글쪽 시작}}어화셔상번님ᄂᆡ야<br/>사친가을들어보소<br/>ᄐᆡ극일구부판하야<br/>알월셩진삼겨잇고<br/>음양이긔햡이되야<br/>천지가삼겻ᄯᅩ다<br/>금목수화오ᄒᆡᆼ삼겨<br/>상하가여이되고<br/>근곤이조판하야만물리<br/>삼겻도다{{옛한글쪽 끝}}
39063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쪽 시작}}사친가{{옛한글쪽 끝}}
{{옛한글쪽 시작}}어화셔상번님ᄂᆡ야<br/>사친가을들어보소<br/>ᄐᆡ극일구부판하야<br/>알월셩진삼겨잇고<br/>음양이긔햡이되야<br/>천지가삼겻ᄯᅩ다<br/>금목수화오ᄒᆡᆼ삼겨<br/>상하가여이되고<br/>근곤이조판하야만물리<br/>삼겻도다{{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bstrtzcvk7zgxmj14ewr5rj9p5ji4j2
390684
390637
2025-06-09T10:48:25Z
자모한울
18471
39068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쪽 시작}}사친가{{옛한글쪽 끝}}
{{옛한글쪽 시작}}어화셔상번님ᄂᆡ야<br/>사친가을들어보소<br/>ᄐᆡ극일구부판하야<br/>일월셩진삼겨잇고<br/>음양이긔햡이되야<br/>천지가삼겻ᄯᅩ다<br/>금목수화오ᄒᆡᆼ삼겨<br/>상하가여이되고<br/>근곤이조판하야만물리<br/>삼겻도다{{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whkflobi2yswe5nvar43zs2v4vvyi1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3
250
100648
390638
2025-06-09T05:41:33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論론語어諺언觧ᄒᆡ卷권之지二이 雍옹也야第뎨六룩 子ᄌᆞㅣ曰雍옹也ᄂᆞᆫ可가使ᄉᆞ南남面면이로다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雍옹은可가히ᄒᆡ여곰南남面면ᄒᆞ얌즉ᄋᆞ두다 仲즁弓궁이問문子ᄌᆞ桑싱伯ᄇᆡᆨ子ᄌᆞᄒᆞᆫ대子ᄌᆞㅣ曰可가也야ㅣ簡간이니라 仲즁弓궁이子ᄌᆞ桑상伯ᄇᆡᆨ子ᄌᆞ를묻ᄌᆞ온대子ᄌᆞㅣᄀᆞᆯᄋᆞ...
39063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論론語어諺언觧ᄒᆡ卷권之지二이
雍옹也야第뎨六룩
子ᄌᆞㅣ曰雍옹也ᄂᆞᆫ可가使ᄉᆞ南남面면이로다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雍옹은可가히ᄒᆡ여곰南남面면ᄒᆞ얌즉ᄋᆞ두다
仲즁弓궁이問문子ᄌᆞ桑싱伯ᄇᆡᆨ子ᄌᆞᄒᆞᆫ대子ᄌᆞㅣ曰可가也야ㅣ簡간이니라
仲즁弓궁이子ᄌᆞ桑상伯ᄇᆡᆨ子ᄌᆞ를묻ᄌᆞ온대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可가홈이簡간이{{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qm4kl8osgz6rbfr6r42oqe38e90zmp0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4
250
100649
390639
2025-06-09T05:46:08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니라 仲즁弓궁이曰왈居거敬경而이行ᄒᆡᆼ簡간ᄒᆞ아以이臨림其기民민이면不블亦역可가乎호ㅣ가잇居거簡간而이行ᄒᆡᆼ簡간이면無무乃내大태簡간乎호ㅣ잇가 仲즁弓궁이ᄀᆞᆯ오ᄃᆡ敬경애居거ᄒᆞ고簡간을行ᄒᆡᆼᄒᆞ야ᄡᅥ그ᄇᆡᆨ셩을臨림ᄒᆞ면ᄯᅩᄒᆞᆫ可가티아니ᄒᆞ니잇가簡간애居거ᄒᆞ고簡간을行ᄒᆡᆼᄒᆞ면아니너무簡...
39063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니라
仲즁弓궁이曰왈居거敬경而이行ᄒᆡᆼ簡간ᄒᆞ아以이臨림其기民민이면不블亦역可가乎호ㅣ가잇居거簡간而이行ᄒᆡᆼ簡간이면無무乃내大태簡간乎호ㅣ잇가
仲즁弓궁이ᄀᆞᆯ오ᄃᆡ敬경애居거ᄒᆞ고簡간을行ᄒᆡᆼᄒᆞ야ᄡᅥ그ᄇᆡᆨ셩을臨림ᄒᆞ면ᄯᅩᄒᆞᆫ可가티아니ᄒᆞ니잇가簡간애居거ᄒᆞ고簡간을行ᄒᆡᆼᄒᆞ면아니너무簡간ᄒᆞ니잇가{{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2h3erqm54b1u5pcex3841vbg0oqcr9k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5
250
100650
390640
2025-06-09T05:53:18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자ᄌᆞㅣ曰왈雍옹之지言언이然연ᄒᆞ다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雍옹의말이그러ᄒᆞ다 ○哀ᄋᆞ公공이問문第뎨子ᄌᆞㅣ孰슉為위好호學학이니잇고孔子ᄌᆞㅣ對ᄃᆡ曰왈有유노ᄒᆞ며不블貳이過과ᄒᆞ더니不볼幸ᄒᆡᆼ端단命명死ᄉᆞ矣의라今금也야則즉亡무ᄒᆞ니未미聞문好호學학者쟈也야제이다 哀ᄋᆞ公공이묻ᄌᆞ오ᄃᆡ第뎨子ᄌ...
39064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자ᄌᆞㅣ曰왈雍옹之지言언이然연ᄒᆞ다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雍옹의말이그러ᄒᆞ다
○哀ᄋᆞ公공이問문第뎨子ᄌᆞㅣ孰슉為위好호學학이니잇고孔子ᄌᆞㅣ對ᄃᆡ曰왈有유노ᄒᆞ며不블貳이過과ᄒᆞ더니不볼幸ᄒᆡᆼ端단命명死ᄉᆞ矣의라今금也야則즉亡무ᄒᆞ니未미聞문好호學학者쟈也야제이다
哀ᄋᆞ公공이묻ᄌᆞ오ᄃᆡ第뎨子ᄌᆞㅣ뉘學학을됴히너기ᄂᆞ니잇고孔공子ᄌᆞㅣ對{{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qcedd644vi6cba50dzixjxqwdxd6xli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6
250
100651
390645
2025-06-09T06:17:11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ᄃᆡᄒᆞ야ᄀᆞᆯᄋᆞ샤ᄃᆡ顔안回회라ᄒᆞ리學학을됴히너겨怒노를遷천티아니ᄒᆞ며過과를貳이티아니ᄒᆞ더니幸ᄒᆡᆼ티몯ᄒᆞ야命명이端단ᄒᆞ야죽은디라이제ᄂᆞᆫ업스니學학을됴히너기ᄂᆞᆫ이를듣디돋게이다 ○子ᄌᆞ華화ㅣ使시於齊졔러니冉염子ᄌᆞㅣ為위其기母모請쳥粟속ᄒᆞᆫ대子ᄌᆞㅣ曰왈與여之지釜부ᄒᆞ리請쳥益익ᄒ...
39064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ᄃᆡᄒᆞ야ᄀᆞᆯᄋᆞ샤ᄃᆡ顔안回회라ᄒᆞ리學학을됴히너겨怒노를遷천티아니ᄒᆞ며過과를貳이티아니ᄒᆞ더니幸ᄒᆡᆼ티몯ᄒᆞ야命명이端단ᄒᆞ야죽은디라이제ᄂᆞᆫ업스니學학을됴히너기ᄂᆞᆫ이를듣디돋게이다
○子ᄌᆞ華화ㅣ使시於齊졔러니冉염子ᄌᆞㅣ為위其기母모請쳥粟속ᄒᆞᆫ대子ᄌᆞㅣ曰왈與여之지釜부ᄒᆞ리請쳥益익ᄒᆞᆫ대曰왈與여之지𢈔유ᄒᆞ라ᄒᆞ야시ᄂᆞᆯ冉염子ᄌᆞㅣ與여之지粟속{{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tla8ughvww5b5dfiyyc3jwsp2687hda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7
250
100652
390647
2025-06-09T06:26:34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五오秉병ᄒᆞᆫㅐ 子ᄌᆞ華화ㅣ齊졔예브리이더니冉염子ᄌᆞㅣ그어미를為위ᄒᆞ야粟속을請쳥ᄒᆞᆫ대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釜부를주라더홈을請쳥ᄒᆞᆫ대ᄀᆞᆯᄋᆞ샤ᄃᆡ𢈔유를주라ᄒᆞ야시ᄂᆞᆯ冉염子ᄌᆞㅣ粟숙다ᄉᆞᆺ秉병을준대 子ᄌᆞㅣ曰赤젹之지適뎍齊졔也야애乗승肥비馬마ᄒᆞ미衣의輕경裘구ᄒᆞ니吾오ᄂᆞᆫ聞문之...
39064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五오秉병ᄒᆞᆫㅐ
子ᄌᆞ華화ㅣ齊졔예브리이더니冉염子ᄌᆞㅣ그어미를為위ᄒᆞ야粟속을請쳥ᄒᆞᆫ대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釜부를주라더홈을請쳥ᄒᆞᆫ대ᄀᆞᆯᄋᆞ샤ᄃᆡ𢈔유를주라ᄒᆞ야시ᄂᆞᆯ冉염子ᄌᆞㅣ粟숙다ᄉᆞᆺ秉병을준대
子ᄌᆞㅣ曰赤젹之지適뎍齊졔也야애乗승肥비馬마ᄒᆞ미衣의輕경裘구ᄒᆞ니吾오ᄂᆞᆫ聞문之지也야호니君군子ᄌᆞᄂᆞᆫ周쥬急급이오不블繼계富부ㅣ라호라{{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j9yol58t3gbz0xyx3vucjgar7ipjoml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8
250
100653
390649
2025-06-09T06:33:15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赤젹의齊졔예갈제肥비馬마ᄅᆞᆯᄐᆞ며輕경裘구ᄅᆞᆯ닙으니나ᄂᆞᆫ들으니君군子ᄌᆞᄂᆞᆫ急급ᄒᆞᆫ이를周쥬ᄒᆞ고富부ᄒᆞᆫ이를繼계티아니ᄒᆞᆫ다호라 原원思ᄉᆞㅣ為위之지宰ᄌᆡ러니與여之지粟속九구百ᄇᆡᆨ이어시ᄂᆞᆯ辭ᄉᆞᄒᆞᆫ대 原원思ᄉᆞㅣ宰ᄌᆡ되엿더니粟속九구百ᄇᆡᆨ을주어시ᄂᆞ...
39064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赤젹의齊졔예갈제肥비馬마ᄅᆞᆯᄐᆞ며輕경裘구ᄅᆞᆯ닙으니나ᄂᆞᆫ들으니君군子ᄌᆞᄂᆞᆫ急급ᄒᆞᆫ이를周쥬ᄒᆞ고富부ᄒᆞᆫ이를繼계티아니ᄒᆞᆫ다호라
原원思ᄉᆞㅣ為위之지宰ᄌᆡ러니與여之지粟속九구百ᄇᆡᆨ이어시ᄂᆞᆯ辭ᄉᆞᄒᆞᆫ대
原원思ᄉᆞㅣ宰ᄌᆡ되엿더니粟속九구百ᄇᆡᆨ을주어시ᄂᆞᆯᄉᆞ양ᄒᆞᆫ대
子ᄌᆞㅣ曰왈毋무ᄒᆞ야以이與여爾이鄰린里리鄕향黨당乎호ᅟᅵᆫ뎌{{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7bnb49yz2odplxs4kfl4nk708003eij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9
250
100654
390652
2025-06-09T06:53:35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말아ᄡᅥ네의鄰린이며里리며鄕향이며黨당을줄띤뎌 ○子ᄌᆞㅣ謂위仲즁弓궁曰왈棃리牛우之지子ᄌᆞㅣ騂셩且챠角각이면𨿽슈慾욕勿믈用용이나山산川쳔은其기舍샤諸져아 子ᄌᆞㅣ仲즁弓궁을닐어ᄀᆞᆯᄋᆞ샤ᄃᆡ棃리牛우의子ᄌᆞㅣ騂셩ᄒᆞ고ᄯᅩ角각ᄒᆞ면비록ᄡᅳ디말고쟈ᄒᆞ나山산川쳔은그ᄇᆞ리랴 ○子...
39065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말아ᄡᅥ네의鄰린이며里리며鄕향이며黨당을줄띤뎌
○子ᄌᆞㅣ謂위仲즁弓궁曰왈棃리牛우之지子ᄌᆞㅣ騂셩且챠角각이면𨿽슈慾욕勿믈用용이나山산川쳔은其기舍샤諸져아
子ᄌᆞㅣ仲즁弓궁을닐어ᄀᆞᆯᄋᆞ샤ᄃᆡ棃리牛우의子ᄌᆞㅣ騂셩ᄒᆞ고ᄯᅩ角각ᄒᆞ면비록ᄡᅳ디말고쟈ᄒᆞ나山산川쳔은그ᄇᆞ리랴
○子ᄌᆞㅣ曰왈回회也야ᄂᆞᆫ其기心심이三{{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6k21ctrrq2wguxc58n5f4x73n3ruc2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10
250
100655
390656
2025-06-09T07:09:57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삼月월不블違위仁인이오其기餘여則즉日일月월至지焉언而이已이矣의니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回회ᄂᆞᆫ그ᄆᆞᄋᆞᆷ이석ᄃᆞᆯ을仁인에어글웃디아니ᄒᆞ고그나ᄆᆞᆫ이ᄂᆞᆫ날이며ᄃᆞᆯ로니를ᄯᆞᄅᆞᆷ이니라 ○季계康강子ᄌᆞㅣ問문仲즁由유ᄂᆞᆫ可가使ᄉᆞ從죵政졍也야與여잇가子ᄌᆞㅣ曰왈由유也야ᄂᆞᆫ果과ᄒᆞ니於...
39065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삼月월不블違위仁인이오其기餘여則즉日일月월至지焉언而이已이矣의니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回회ᄂᆞᆫ그ᄆᆞᄋᆞᆷ이석ᄃᆞᆯ을仁인에어글웃디아니ᄒᆞ고그나ᄆᆞᆫ이ᄂᆞᆫ날이며ᄃᆞᆯ로니를ᄯᆞᄅᆞᆷ이니라
○季계康강子ᄌᆞㅣ問문仲즁由유ᄂᆞᆫ可가使ᄉᆞ從죵政졍也야與여잇가子ᄌᆞㅣ曰왈由유也야ᄂᆞᆫ果과ᄒᆞ니於어從죵政졍乎호애何하有유ㅣ리오曰왈賜ᄉᆞ也ᄂᆞᆫ可가使ᄉᆞ從죵政졍也야與여잇가曰왈賜ᄉᆞ也야ᄂᆞᆫ達달{{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dinucupi424otsamqflepgkzd03olu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11
250
100656
390658
2025-06-09T07:15:13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ᄒᆞ니於어從죵政졍乎호애何하有유ㅣ리오曰왈求구也야ᄂᆞᆫ可가使ᄉᆞ從죵政졍也야與여잇가曰왈求구也야ᄂᆞᆫ藝예ᄒᆞ니於어從죵政졍乎호애何하有유ㅣ리오 季계康강子ᄌᆞㅣ묻ᄌᆞ오ᄃᆡ仲즁由유ᄂᆞᆫ可가히ᄒᆡ여곰政졍을從죵ᄒᆞ얌즉ᄒᆞ니잇가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由유ᄂᆞᆫ果과ᄒᆞ니政졍을從죵홈애므스거시이시리오...
39065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ᄒᆞ니於어從죵政졍乎호애何하有유ㅣ리오曰왈求구也야ᄂᆞᆫ可가使ᄉᆞ從죵政졍也야與여잇가曰왈求구也야ᄂᆞᆫ藝예ᄒᆞ니於어從죵政졍乎호애何하有유ㅣ리오
季계康강子ᄌᆞㅣ묻ᄌᆞ오ᄃᆡ仲즁由유ᄂᆞᆫ可가히ᄒᆡ여곰政졍을從죵ᄒᆞ얌즉ᄒᆞ니잇가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由유ᄂᆞᆫ果과ᄒᆞ니政졍을從죵홈애므스거시이시리오ᄀᆞᆯ오ᄃᆡ賜ᄉᆞᄂᆞᆫ可가히ᄒᆡ여곰政졍을從죵ᄒᆞ얌즉ᄒᆞ니잇가ᄀᆞᆯᄋᆞ샤ᄃᆡ賜ᄉᆞᄂᆞᆫ達달{{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nbned6xg7f7zeiz4y78s9371tz5fjky
페이지:(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2
250
100657
390662
2025-06-09T08:52:27Z
곽승훈
18480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불셜텬디팔양신주경 당삼장법ᄉᆞ의정봉 죠역. 문여시.일시불.ᄌᆡ비야달마셩.료확ᄐᆡᆨ즁.십방상슈.ᄉᆞ즁위요.이시.무애보살.ᄌᆡᄃᆡ즁즁.즉죵좌긔.합쟝향불.이ᄇᆡᆨ불언.셰존.ᄎᆞ염부뎨.즁ᄉᆡᆼ.톄ᄃᆡ 무시이ᄅᆡ.상쇽부단. 유식ᄌᆞ쇼 무지ᄌᆞ다 념불ᄌᆞ쇼 귀신ᄌᆞ다 지계ᄌᆞ쇼 파계ᄌᆞ다 졍진ᄌᆞ쇼 해태ᄌᆞ다 지혜ᄌᆞ...
39066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곽승훈"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불셜텬디팔양신주경 당삼장법ᄉᆞ의정봉 죠역.
문여시.일시불.ᄌᆡ비야달마셩.료확ᄐᆡᆨ즁.십방상슈.ᄉᆞ즁위요.이시.무애보살.ᄌᆡᄃᆡ즁즁.즉죵좌긔.합쟝향불.이ᄇᆡᆨ불언.셰존.ᄎᆞ염부뎨.즁ᄉᆡᆼ.톄ᄃᆡ 무시이ᄅᆡ.상쇽부단.
유식ᄌᆞ쇼 무지ᄌᆞ다 념불ᄌᆞ쇼 귀신ᄌᆞ다
지계ᄌᆞ쇼 파계ᄌᆞ다 졍진ᄌᆞ쇼 해태ᄌᆞ다
지혜ᄌᆞ쇼 우치ᄌᆞ다 장슈ᄌᆞ쇼 단명ᄌᆞ다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e2cc9v37k9vwl2635devgypsk422ep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74
250
100658
390664
2025-06-09T09:47:46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二九四" /><poem> 나의 님 向ᄒᆞᆫ ᄠᅳᆺ이 주근 後ㅣ면 엇더ᄒᆞᆯ지 桑田이 變ᄒᆞ여 碧海ᄂᆞᆫ 되려니와 님 向ᄒᆞᆫ 一片丹心이야 가싈 줄이 이시랴 </poem><br> <section end="二九四" /> <section begin="二九五" /><poem> 가마귀 눈비 마자 희ᄂᆞᆫ 듯 검노ᄆᆡ라 夜光 明月이 밤인들 어두오랴 님 向ᄒᆞᆫ 一片丹心이야 고칠 줄이 이시랴 </poe...
39066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二九四" /><poem>
나의 님 向ᄒᆞᆫ ᄠᅳᆺ이 주근 後ㅣ면 엇더ᄒᆞᆯ지
桑田이 變ᄒᆞ여 碧海ᄂᆞᆫ 되려니와
님 向ᄒᆞᆫ 一片丹心이야 가싈 줄이 이시랴
</poem><br>
<section end="二九四" />
<section begin="二九五" /><poem>
가마귀 눈비 마자 희ᄂᆞᆫ 듯 검노ᄆᆡ라
夜光 明月이 밤인들 어두오랴
님 向ᄒᆞᆫ 一片丹心이야 고칠 줄이 이시랴
</poem><br>
<section end="二九五" />
<section begin="二九六" /><poem>
간밤의 우던 여흘 슬피 우러 지내여다
이제야 ᄉᆡᆼ각ᄒᆞ니 님이 우러 보내도다
져 물이 거스리 흐로고져 나도 우러 녜리라
</poem><br>
<section end="二九六" />
<section begin="二九七" /><poem>
늙고 病든 몸이 北向ᄒᆞ여 우니노라
님 向ᄒᆞᆫ ᄆᆞ음을 뉘 아니 두리마ᄂᆞᆫ
ᄃᆞᆯ ᄇᆞᆯ고 밤 긴 적이면 나ᄲᅮᆫ인가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二九七" />
<section begin="연군" />【右 戀君】
<section end="연군" />
<section begin="二九八" /><poem>
님이 혜오시매 나ᄂᆞᆫ 젼혀 미덧ᄃᆞ니
날 ᄉᆞ랑ᄒᆞ던 情을 뉘손ᄃᆡ 옴기신고
처음에 믜시던 거시면 이대도록 셜오랴
</poem><br>
<section end="二九八" />
<section begin="二九九" /><poem>
어제 감던 머리 현마 오ᄂᆞᆯ 다 셸소냐
鏡裏 衰容이 이 어인 늘그니오
님계셔 뉜다 ᄒᆞ셔든 내 긔로라 ᄒᆞ리라
</poem>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二九九"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p6dds6xkz4gkhehm0oxrhegggv65fqu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75
250
100659
390665
2025-06-09T09:48:1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 /><poem> 이리 혜고 져리 혜니 쇽졀업슨 혬만 만희 業 구즌 人生이 살고져 사란ᄂᆞᆫ가 至今히 사라 잇기ᄂᆞᆫ 님을 보려 ᄒᆞᆷ이라 </poem> <section end="三○○" /> <section begin="견적" />【右 譴謫】 <section end="견적" /> <section begin="三○一" /><poem> 靑山아 웃지 마라 白雲아 譏弄 마라 白髮 紅塵에 내 즐겨 ᄃᆞᆫ니더냐 聖恩이 至重ᄒ...
39066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 /><poem>
이리 혜고 져리 혜니 쇽졀업슨 혬만 만희
業 구즌 人生이 살고져 사란ᄂᆞᆫ가
至今히 사라 잇기ᄂᆞᆫ 님을 보려 ᄒᆞᆷ이라
</poem>
<section end="三○○" />
<section begin="견적" />【右 譴謫】
<section end="견적" />
<section begin="三○一" /><poem>
靑山아 웃지 마라 白雲아 譏弄 마라
白髮 紅塵에 내 즐겨 ᄃᆞᆫ니더냐
聖恩이 至重ᄒᆞ시니 갑고 가려 ᄒᆞ노라
</poem><br>
<section end="三○一" />
<section begin="三○二" /><poem>
故園 花竹들아 우리를 웃지 마라
林泉 舊約이야 니즌 적이 업건마ᄂᆞᆫ
聖恩이 至重ᄒᆞ시니 갑고 가려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三○二" />
<section begin="보효" />【右 報効】
<section end="보효" />
<section begin="三○三" /><poem>
江湖에 봄이 드니 이 몸이 일이 하다
나ᄂᆞᆫ 그믈 깁고 아ᄒᆡᄂᆞᆫ 밧츨 가니
뒷뫼헤 엄기ᄂᆞᆫ 藥을 언제 ᄏᆡ랴 ᄒᆞᄂᆞ니
</poem><br>
<section end="三○三" />
<section begin="三○四" /><poem>
冊 덥고 窓을 여니 江湖에 ᄇᆡ ᄯᅥ 잇다
往來 白鷗ᄂᆞᆫ 무슴 ᄠᅳᆺ 머것ᄂᆞᆫ고
앗구려 功名도 말고 너ᄅᆞᆯ 좃차 놀리라
</poem><br>
<section end="三○四" />
<section begin="三○五" /><poem>
池塘에 비 ᄲᅮ리고 楊柳에 ᄂᆡ ᄭᅵ인 제
沙工은 어듸 가고 뷘 ᄇᆡ만 ᄆᆡ엿ᄂᆞᆫ고
夕陽에 ᄧᅡᆨ 일흔 ᄀᆞᆯ며기ᄂᆞᆫ 오락가락 ᄒᆞ노매
</poem>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三○五"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8f481y628y8la0yce40zoj4l19qe9qp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76
250
100660
390666
2025-06-09T09:48:45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六" /><poem> 졋소릐 반겨 듯고 竹窓을 밧비 여니 細雨 長堤에 쇠등에 아ᄒᆡ로다 아ᄒᆡ야 江湖에 봄 들거다 낙대 推尋 ᄒᆞ여라 </poem><br> <section end="三○六" /> <section begin="三○七" /><poem> 아ᄒᆡ야 그믈 내여 漁船에 시러 노코 달 괸 술 막 걸러 酒樽에 다마 두고 어즈버 ᄇᆡ 아직 노치 마라 ᄃᆞᆯ 기드려 가리라 </poem><br> <section end="...
39066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六" /><poem>
졋소릐 반겨 듯고 竹窓을 밧비 여니
細雨 長堤에 쇠등에 아ᄒᆡ로다
아ᄒᆡ야 江湖에 봄 들거다 낙대 推尋 ᄒᆞ여라
</poem><br>
<section end="三○六" />
<section begin="三○七" /><poem>
아ᄒᆡ야 그믈 내여 漁船에 시러 노코
달 괸 술 막 걸러 酒樽에 다마 두고
어즈버 ᄇᆡ 아직 노치 마라 ᄃᆞᆯ 기드려 가리라
</poem><br>
<section end="三○七" />
<section begin="三○八" /><poem>
秋江에 밤이 드니 물결이 ᄎᆞ노ᄆᆡ라
낙시 드리치니 고기 아니 무노ᄆᆡ라
無心ᄒᆞᆫ ᄃᆞᆯ빗만 싯고 뷘 ᄇᆡ 저어 오노라
</poem><br>
<section end="三○八" />
<section begin="三○九" /><poem>
우ᄂᆞᆫ 거슨 버국이가 프른 거슨 버들 숩가
漁村 두세 집이 ᄂᆡᆺ 속에 날락들락
夕陽에 欸乃聲 듯거든 더옥 無心 ᄒᆞ여라
</poem>
<section end="三○九" />
<section begin="강호" />【右 江湖】
<section end="강호" />
<section begin="三一○" /><poem>
功名 富貴과란 世上 사ᄅᆞᆷ 맛져 두고
말 업슨 江山에 일 업시 누어시니
봄비에 절로 난 山菜 긔 分인가 ᄒᆞ노라
</poem><br>
<section end="三一○" />
<section begin="三一一" /><poem>
말 업슨 靑山이오 態 업슨 流水ㅣ로다
王喬 赤松 外에 날 알 니 업것마ᄂᆞᆫ
어듸셔 망녕엣 겨슨 오라 말라 ᄒᆞᄂᆞ니
</poem>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三一一"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st1ext9pfxh1d9gw1bieucoo5hbxp1a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77
250
100661
390667
2025-06-09T09:49:16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一二" /><poem> 淸凉山 六六峰을 아ᄂᆞ 니 나와 白鷗 白鷗ㅣ야 헌ᄉᆞᄒᆞ랴 못 미들슨 桃花ㅣ로다 桃花ㅣ야 ᄯᅥ나지 마라 漁舟子ㅣ 알가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三一二" /> <section begin="산림" />【右 山林】 <section end="산림" /> <section begin="三一三" /><poem> 時節이 太平토다 이 몸이 閑暇커니 竹林 프른 곳에 午鷄聲 아니런들 기피 든...
39066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一二" /><poem>
淸凉山 六六峰을 아ᄂᆞ 니 나와 白鷗
白鷗ㅣ야 헌ᄉᆞᄒᆞ랴 못 미들슨 桃花ㅣ로다
桃花ㅣ야 ᄯᅥ나지 마라 漁舟子ㅣ 알가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三一二" />
<section begin="산림" />【右 山林】
<section end="산림" />
<section begin="三一三" /><poem>
時節이 太平토다 이 몸이 閑暇커니
竹林 프른 곳에 午鷄聲 아니런들
기피 든 一場華胥夢을 어ᄂᆡ 벗이 ᄭᆡ오리
</poem><br>
<section end="三一三" />
<section begin="三一四" /><poem>
아ᄒᆡᄂᆞᆫ 藥 ᄏᆡ라 가고 竹亭은 뷔엿ᄂᆞᆫ듸
흐터진 바독을 뉘 주어 다믈소니
醉ᄒᆞ고 松下에 져셔니 節 가ᄂᆞᆫ 줄 몰래라
</poem>
<section end="三一四" />
<section begin="한적" />【右 閑適】
<section end="한적" />
<section begin="三一五" /><poem>
목불근 山上雉와 홰에 안즌 松骨이와
집압 논 무살마에 고기 엇ᄂᆞᆫ 白鷺ㅣ로다
草堂에 너희곳 아니면 날 보내기 어려왜라
</poem><br>
<section end="三一五" />
<section begin="三一六" /><poem>
ᄯᅴ 업슨 손이 오나늘 갓 버슨 主人이 나셔
여나모 亭子에 박將碁 버려 노코
아ᄒᆡ야 濁酒 걸러라 외 안ᄌᆔᆫ들 못 머그랴
</poem><br>
<section end="三一六" />
<section begin="三一七" /><poem>
새볏 비 일 갠 날에 닐거스라 아ᄒᆡ들아
뒷뫼헤 고사리 ᄒᆞ마 아니 ᄌᆞ라시랴
오ᄂᆞᆯ은 일 것거 오ᄂᆞ라 새 술 안쥬 ᄒᆞ리라
</poem>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三一七"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g0c2umb0pgg1wxjz2pvj56u1rzt0xw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78
250
100662
390668
2025-06-09T09:49:51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一八" /><poem> 還上도 ᄐᆞ 와 잇고 小川魚도 어더 잇고 비즌 술 새로 닉고 뫼헤 ᄃᆞᆯ이 ᄇᆞᆯ가셰라 곳 픠고 거믄고 이시니 벗 請ᄒᆞ여 놀리라 </poem><br> <section end="三一八" /> <section begin="三一九" /><poem> 집方席 내지 마라 落葉엔들 못 안즈랴 솔불 혀지 마라 어제 진 ᄃᆞᆯ 도다 온다 아ᄒᆡ야 濁酒山菜ᅟᅵᆯ만졍 업다 말고 내여...
39066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一八" /><poem>
還上도 ᄐᆞ 와 잇고 小川魚도 어더 잇고
비즌 술 새로 닉고 뫼헤 ᄃᆞᆯ이 ᄇᆞᆯ가셰라
곳 픠고 거믄고 이시니 벗 請ᄒᆞ여 놀리라
</poem><br>
<section end="三一八" />
<section begin="三一九" /><poem>
집方席 내지 마라 落葉엔들 못 안즈랴
솔불 혀지 마라 어제 진 ᄃᆞᆯ 도다 온다
아ᄒᆡ야 濁酒山菜ᅟᅵᆯ만졍 업다 말고 내여라
</poem>
<section end="三一九" />
<section begin="야취" />【右 野趣】
<section end="야취" />
<section begin="三二○" /><poem>
世上이 말 하거ᄂᆞᆯ ᄯᅥᆯ치고 드러가니
一頃 荒田과 八百桑株 ᄲᅮᆫ이로다
生利야 不足다마ᄂᆞᆫ 시름 업서 ᄒᆞ노라
</poem><br>
<section end="三二○" />
<section begin="三二一" /><poem>
忠誠이 첫 ᄠᅳᆺ이러니 님으뢰야 마롼졔고
두어라 엇지ᄒᆞ리 天分이 그러커니
ᄎᆞᆯ하리 江湖에 主人 되야 이 世界를 니즈리라
</poem>
<section end="三二一" />
<section begin="은둔" />【右 隱遯】
<section end="은둔" />
<section begin="三二二" /><poem>
비 오ᄂᆞᆫ 날 들에 가랴 사립 닷고 쇼 머겨라
마히 ᄆᆡ양이랴 장기 연장 다스려라
쉬다가 개ᄂᆞᆫ ᄂᆞᆯ 보와 ᄉᆞ래 긴 밧 갈리라
</poem><br>
<section end="三二二" />
<section begin="三二三" /><poem>
삿갓세 되롱이 닙고 細雨 中에 호믜 메고
山田을 흣ᄆᆡ다가 綠陰에 누어시니
牧童이 牛羊을 모라 잠든 날을 ᄭᆡ와다
</poem>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三二三"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km6djx7dsjisykvf4k9kwop7utr7qm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79
250
100663
390669
2025-06-09T09:50:3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二四" /><poem> 대쵸 볼 불근 골에 밤은 어이 ᄠᅳᆺ드르며 벼 뷘 그르헤 게ᄂᆞᆫ 어이 ᄂᆞ리ᄂᆞᆫ고 술 닉쟈 체쟝ᄉᆞ 도라가니 아니 먹고 어이리 </poem><br> <section end="三二四" /> <section begin="三二五" /><poem> 오려 고개 속고 열무우 ᄉᆞᆯ졋ᄂᆞᆫ듸 낙시에 고기 물고 게ᄂᆞᆫ 어이 ᄂᆞ리ᄂᆞᆫ고 아마도 農家에 ᄆᆞᆯ근 맛시 이...
39066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二四" /><poem>
대쵸 볼 불근 골에 밤은 어이 ᄠᅳᆺ드르며
벼 뷘 그르헤 게ᄂᆞᆫ 어이 ᄂᆞ리ᄂᆞᆫ고
술 닉쟈 체쟝ᄉᆞ 도라가니 아니 먹고 어이리
</poem><br>
<section end="三二四" />
<section begin="三二五" /><poem>
오려 고개 속고 열무우 ᄉᆞᆯ졋ᄂᆞᆫ듸
낙시에 고기 물고 게ᄂᆞᆫ 어이 ᄂᆞ리ᄂᆞᆫ고
아마도 農家에 ᄆᆞᆯ근 맛시 이 죠흔가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三二五" />
<section begin="전가" />【右 田家】
<section end="전가" />
<section begin="三二六" /><poem>
치위를 마글션졍 구ᄐᆡ야 비단옷가
고폰 ᄇᆡ 몌올션졍 山菜라타 관계ᄒᆞ랴
이밧긔 잡시름 업스면 긔 죠흔가 ᄒᆞ노라
</poem><br>
<section end="三二六" />
<section begin="三二七" /><poem>
시름이 업슬션정 富貴功名 관계ᄒᆞ며
ᄆᆞ음이 편ᄒᆞᆯ션졍 ᄂᆞᆷ이 웃다 어이ᄒᆞ리
엇더타 守拙安貧을 나ᄂᆞᆫ 죠화 ᄒᆞ노라
</poem><br>
<section end="三二七" />
<section begin="三二八" /><poem>
내 오ᄉᆡ 내 밥 먹고 내 집의 누어시니
귀에 잡말 업고 是非에 걸릴소냐
百年을 이리 지내미 긔 分인가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三二八" />
<section begin="수분" />【右 守分】
<section end="수분" />
<section begin="三二九" /><poem>
이셩져셩 다 지내고 흐롱하롱 인 일 업ᄂᆡ
功名도 어근버근 世事도 싱슝샹슝
每日에 ᄒᆞᆫ 盞 두 盞 ᄒᆞ여 이렁져렁 ᄒᆞ리라
</poem>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三二九"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q2rpzqb4q1x7eyskk6r0c83uns9j64e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80
250
100664
390670
2025-06-09T09:51:03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三○" /><poem> 이러타 져러탓 말이 오로 다 두리슝슝 잇거나 사거나 기픈 盞에 ᄀᆞ득 부어 每日에 長醉不醒ᄒᆞ면 긔 죠흔가 ᄒᆞ노라 </poem><br> <section end="三三○" /> <section begin="三三一" /><poem> 어리거든 채 어리거나 밋치거든 채 밋치거나 어린 듯 밋친 듯 아ᄂᆞᆫ 듯 모로ᄂᆞᆫ 듯 이런가 져런가 ᄒᆞ니 아므란 줄 몰래라 </poem><br> <...
39067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三○" /><poem>
이러타 져러탓 말이 오로 다 두리슝슝
잇거나 사거나 기픈 盞에 ᄀᆞ득 부어
每日에 長醉不醒ᄒᆞ면 긔 죠흔가 ᄒᆞ노라
</poem><br>
<section end="三三○" />
<section begin="三三一" /><poem>
어리거든 채 어리거나 밋치거든 채 밋치거나
어린 듯 밋친 듯 아ᄂᆞᆫ 듯 모로ᄂᆞᆫ 듯
이런가 져런가 ᄒᆞ니 아므란 줄 몰래라
</poem><br>
<section end="三三一" />
<section begin="三三二" /><poem>
世事ㅣ 삼ᄭᅥ울이라 허틀고 ᄆᆡ쳐셰라
거귀여 드리치고 나 몰래라 ᄒᆞ고라쟈
아ᄒᆡ야 덩덕궁 북 쳐라 이야지야 ᄒᆞ리라
</poem>
<section end="三三二" />
<section begin="방랑" />【右 放浪】
<section end="방랑" />
<section begin="三三三" /><poem>
그러 ᄒᆞ거니 어이 아니 그러ᄒᆞ리
이리도 그러그러 져리도 그러그러
아마도 그러그러 ᄒᆞ니 ᄒᆞᆫ숨 계워 ᄒᆞ노라
</poem><br>
<section end="三三三" />
<section begin="三三四" /><poem>
흥흥 노래ᄒᆞ고 덩덕궁 북을 치고
宮商角徵羽를 마초리ᄭᅧᆼ ᄒᆞ엿ᄃᆞ니
어긔고 다 齟齬ᄒᆞ니 허허 웃고 마노라
</poem>
<section end="三三四" />
<section begin="민세" />【右 悶世】
<section end="민세" />
<section begin="三三五" /><poem>
萬頃 滄波水로도 다 못 시슬 千古愁를
一壺酒 가지고 오ᄂᆞᆯ이야 시서괴야
太白이 이ᄒᆞᆷ으로 長醉不醒 ᄒᆞ닷다
</poem>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三三五"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jrmf0hpied2rn66arirhp4a0ss0pi6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81
250
100665
390671
2025-06-09T09:51:47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三六" /><poem> 술을 내 즐기더냐 狂藥인 줄 알건마ᄂᆞᆫ 一寸 肝膓에 萬斛愁 너허 두고 醉ᄒᆞ여 ᄌᆞᆷ든 덧이나 시름 닛쟈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三三六" /> <section begin="소수" />【右 消愁】 <section end="소수" /> <section begin="三三七" /><poem> 人生이 둘가 셋가 이 몸이 네다섯가 비러 온 人生에 ᄭᅮ어 온 몸 가지고셔 平生에 사롤 일...
39067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三六" /><poem>
술을 내 즐기더냐 狂藥인 줄 알건마ᄂᆞᆫ
一寸 肝膓에 萬斛愁 너허 두고
醉ᄒᆞ여 ᄌᆞᆷ든 덧이나 시름 닛쟈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三三六" />
<section begin="소수" />【右 消愁】
<section end="소수" />
<section begin="三三七" /><poem>
人生이 둘가 셋가 이 몸이 네다섯가
비러 온 人生에 ᄭᅮ어 온 몸 가지고셔
平生에 사롤 일만 ᄒᆞ고 언제 놀려 ᄒᆞᄂᆞ니
</poem><br>
<section end="三三七" />
<section begin="三三八" /><poem>
一定 百年 산들 百年이 긔 언매라
疾病 憂患 더니 남ᄂᆞᆫ 날 아조 젹의
두어라 非百歲人生이 아니 놀고 어이리
</poem>
<section end="三三八" />
<section begin="유락" />【右 遊樂】
<section end="유락" />
<section begin="三三九" /><poem>
白沙場 紅蓼邊에 구버기ᄂᆞᆫ 白鷺들아
口腹을 못 몌워 뎌다지 굽니ᄂᆞᆫ다
一身이 閑暇ᄒᆞᆯ션졍 ᄉᆞᆯ져 무슴 ᄒᆞ리오
</poem><br>
<section end="三三九" />
<section begin="三四○" /><poem>
쥐 ᄎᆞᆫ 쇼로기들아 ᄇᆡ 부로롸 쟈랑 마라
淸江 여왼 鶴이 주리다 부를소냐
내 몸이 閑暇ᄒᆞ야마ᄂᆞᆫ ᄉᆞᆯ 못 진들 엇ᄃᆞ리
</poem>
<section end="三四○" />
<section begin="조분주" />【右 嘲奔走】
<section end="조분주" />
<section begin="三四一" /><poem>
내ᄒᆡ 죠타 ᄒᆞ고 ᄂᆞᆷ 슬흔 일 ᄒᆞ지 말며
ᄂᆞᆷ이 ᄒᆞᆫ다 ᄒᆞ고 義 아니면 좃지 말니
우리ᄂᆞᆫ 天性을 직희여 삼긴 대로 ᄒᆞ리라
</poem>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三四一"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5pzprbst4p6chw6v4yiqrmvxco1tqfa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82
250
100666
390672
2025-06-09T09:53:00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四二" /><poem> 듯ᄂᆞᆫ 말 보ᄂᆞᆫ 일을 事理에 비겨 보와 올흐면 ᄒᆞᆯ지라도 그르면 마롤 거시 平生에 말슴을 ᄀᆞᆯ희내면 므슴 是非 이시리 </poem><br> <section end="三四二" /> <section begin="三四三" /><poem> ᄂᆞᆷ이 害ᄒᆞᆯ지라도 나ᄂᆞᆫ 아니 겨로리라 ᄎᆞᆷ으면 德이오 겨로면 ᄀᆞᆺ트리니 구부미 제게 잇거니 ᄀᆞᆯ올 줄이...
39067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四二" /><poem>
듯ᄂᆞᆫ 말 보ᄂᆞᆫ 일을 事理에 비겨 보와
올흐면 ᄒᆞᆯ지라도 그르면 마롤 거시
平生에 말슴을 ᄀᆞᆯ희내면 므슴 是非 이시리
</poem><br>
<section end="三四二" />
<section begin="三四三" /><poem>
ᄂᆞᆷ이 害ᄒᆞᆯ지라도 나ᄂᆞᆫ 아니 겨로리라
ᄎᆞᆷ으면 德이오 겨로면 ᄀᆞᆺ트리니
구부미 제게 잇거니 ᄀᆞᆯ올 줄이 이시랴
</poem>
<section end="三四三" />
<section begin="수신" />【右 修身】
<section end="수신" />
<section begin="三四四" /><poem>
가마귀 검거라 말고 ᄒᆡ오라비 셸 줄 어이
검거니 셰거니 一便도 ᄒᆞᆫ져이고
우리ᄂᆞᆫ 수리 두루미라 검도 셰도 아녜라
</poem><br>
<section end="三四四" />
<section begin="三四五" /><poem>
넙엿ᄒᆞ쟈 ᄒᆞ니 모난 듸 ᄀᆞ일셰라
두렷ᄒᆞ쟈 ᄒᆞ니 ᄂᆞᆷ의손ᄃᆡ 둘릴셰라
外 두렷 內 번듯ᄒᆞ면 ᄀᆡ둘릴 줄 이시랴
</poem>
<section end="三四五" />
<section begin="주편" />【右 周便】
<section end="주편" />
<section begin="三四六" /><poem>
琵琶를 두러메고 玉蘭干에 지혀시니
東風 細雨에 ᄠᅳᆺ드ᄂᆞ 니 桃花ㅣ로다
春鳥도 送春을 슬허 百般啼를 ᄒᆞ놋다
</poem><br>
<section end="三四六" />
<section begin="三四七" /><poem>
곳이 진다 ᄒᆞ고 새들아 슬허 마라
ᄇᆞ람에 흣ᄂᆞᆯ리니 곳의 탓 아니로다
가노라 희짓ᄂᆞᆫ 봄을 새와 므슴 ᄒᆞ리오
</poem>
<section end="三四七" />
<section begin="석춘" />【右 惜春】
{{옛한글쪽 끝}}
<section end="석춘"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a8syh9tyghzorm0z0loyuo8g0nb5to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83
250
100667
390673
2025-06-09T09:53:3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이존오" /><poem> 구룸이 無心탄 말이 아마도 虛浪ᄒᆞ다 中天에 ᄯᅥ 이셔 任意 ᄃᆞᆫ니며서 구ᄐᆡ야 光明ᄒᆞᆫ 날빗츨 ᄯᅡ라가며 덥ᄂᆞ니 </poem><br> <section end="이존오" /> <section begin="三四九" /><poem> 구룸아 너ᄂᆞᆫ 어이 ᄒᆡᆺ비츨 ᄀᆞᆷ초ᄂᆞᆫ다 油然 作雲하면 大旱에 죠커니와 北風이 ᄉᆞᆯ하져 블 제 볏뉘 몰라 ᄒᆞ노라 <...
39067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이존오" /><poem>
구룸이 無心탄 말이 아마도 虛浪ᄒᆞ다
中天에 ᄯᅥ 이셔 任意 ᄃᆞᆫ니며서
구ᄐᆡ야 光明ᄒᆞᆫ 날빗츨 ᄯᅡ라가며 덥ᄂᆞ니
</poem><br>
<section end="이존오" />
<section begin="三四九" /><poem>
구룸아 너ᄂᆞᆫ 어이 ᄒᆡᆺ비츨 ᄀᆞᆷ초ᄂᆞᆫ다
油然 作雲하면 大旱에 죠커니와
北風이 ᄉᆞᆯ하져 블 제 볏뉘 몰라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三四九" />
<section begin="옹폐" />【右 壅蔽】
<section end="옹폐" />
<section begin="三五○" /><poem>
ᄋᆞ자 내 少年이야 어드러로 간 거이고
酒色에 ᄌᆞᆷ겨신 제 白髮과 밧괴도다
이제야 아모리 ᄎᆞ즌들 다시 오기 쉬오랴
</poem><br>
<section end="三五○" />
<section begin="三五一" /><poem>
半 나마 늘거시니 다시 졈든 못ᄒᆞ여도
이後ㅣ나 늙지 말고 ᄆᆡ양 이만 ᄒᆞ엿고쟈
白髮아 네나 짐쟉ᄒᆞ여 더듸 늙게 ᄒᆞ여라
</poem><br>
<section end="三五一" />
<section begin="三五二" /><poem>
ᄂᆞᆷ도 준 배 업고 바든 바도 업건마ᄂᆞᆫ
怨讐 白髮이 어더러셔 온 거이고
白髮이 公道ㅣ 업도다 날을 몬져 늙킨다
</poem><br>
<section end="三五二" />
<section begin="三五三" /><poem>
희여 검을지라도 희ᄂᆞᆫ 거시 셔로려든
희여 못 검ᄂᆞᆫ듸 ᄂᆞᆷ의 몬져 흴 줄 어이
白髮이 公道ㅣ 쟉도다 날을 몬져 ᄇᆡ얀다
</poem>
<section end="三五三" />
<section begin="탄로" />【右 歎老】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탄로"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q74cxuy0j2jj9jmutl4acd6rrhzsb2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84
250
100668
390674
2025-06-09T09:54:04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五四" /><poem> 靑春 少年들아 白髮老人 웃지 마라 공번되 하ᄂᆞᆯ 아래 넨들 ᄆᆡ양 져머시랴 우리도 少年 行藥이 어제론 듯 ᄒᆞ여라 </poem><br> <section end="三五四" /> <section begin="三五五" /><poem> 귀밋치 셰여시니 ᄂᆞᆷ이 늙다 ᄒᆞ려니와 내 ᄆᆞ음 져믈션졍 ᄂᆞᆷ의 말 허믈ᄒᆞ랴 곳과 술 죠히 너기기야 엇ᄃᆞᆫ 老少 이시리 </poem...
39067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五四" /><poem>
靑春 少年들아 白髮老人 웃지 마라
공번되 하ᄂᆞᆯ 아래 넨들 ᄆᆡ양 져머시랴
우리도 少年 行藥이 어제론 듯 ᄒᆞ여라
</poem><br>
<section end="三五四" />
<section begin="三五五" /><poem>
귀밋치 셰여시니 ᄂᆞᆷ이 늙다 ᄒᆞ려니와
내 ᄆᆞ음 져믈션졍 ᄂᆞᆷ의 말 허믈ᄒᆞ랴
곳과 술 죠히 너기기야 엇ᄃᆞᆫ 老少 이시리
</poem>
<section end="三五五" />
<section begin="노장" />【右 老壯】
<section end="노장" />
<section begin="三五六" /><poem>
나의 未平ᄒᆞᆫ ᄠᅳᆺ을 日月ᄭᅢ 뭇ᄌᆞᆸᄂᆞ니
九萬里 長天에 무스 일 ᄇᆡ얏바셔
酒色에 못 슬믠 이 몸을 수이 늙게 ᄒᆞᄂᆞᆫ고
</poem><br>
<section end="三五六" />
<section begin="三五七" /><poem>
金烏 玉兎들아 뉘 너를 ᄧᅩᆺ니관ᄃᆡ
九萬里 長天에 허위허위 ᄃᆞᆫ니ᄂᆞᆫ다
이 後란 十里에 ᄒᆞᆫ 번식 쉬염쉬염 니거라
</poem>
<section end="三五七" />
<section begin="계일" />【右 戒日】
<section end="계일" />
<section begin="이양원" /><poem>
노프나 노픈 남게 날 勸ᄒᆞ여 오려 두고
이보오 벗님ᄂᆡ야 흔드지나 마르되야
ᄂᆞ려져 죽기ᄂᆞᆫ 섧지 아녀 님 못 볼가 ᄒᆞ노라
</poem><br>
<section end="이양원" />
<section begin="유응부" /><poem>
간밤의 부던 ᄇᆞ람에 눈서리 치단 말가
落落 長松이 다 기우러 가노ᄆᆡ라
ᄒᆞ믈며 못다 픤 곳이야 닐러 므슴 ᄒᆞ리오
</poem>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유응부"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8zf86boug269zoc5uluy6h6kxfo2gp
페이지:쌍셩봉효록 권1.djvu/1
250
100669
390676
2025-06-09T10:23:33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더더크게|'''쌍셩봉효록'''}} {{크게|권지일}} {{nop}}
39067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더더크게|'''쌍셩봉효록'''}} {{크게|권지일}}
{{nop}}<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6ew63l63exw30nfftom1clsg2i7daq
페이지:쌍셩봉효록 권1.djvu/3
250
100670
390677
2025-06-09T10:30:06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왼쪽 여백/s|2em}} 님회뎡연소셜{{여백|2em}}쌍셩봉효록샹 {{왼쪽 여백/e}} 화셜ᄃᆡ명셩화연간의좌승샹님극의ᄌᆞ늘봉인니ᄐᆡᆨ{{?}}님충의ᄌᆡ요졀상인이라위인디활달ᄃᆡ도을여출상엽샹의졔셔경윤지ᄌᆡ오라인후덕을군ᄌᆞ의틀이며훤ᄌᆞᆯ쟝부의슴이〻스며옹뇌비범금여충ᄃᆡ젹당글ᄌᆞ쳑장신의당〻을영듄장상지상이니시니문장이니두를압두을고연긔어...
39067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왼쪽 여백/s|2em}}
님회뎡연소셜{{여백|2em}}쌍셩봉효록샹
{{왼쪽 여백/e}}
화셜ᄃᆡ명셩화연간의좌승샹님극의ᄌᆞ늘봉인니ᄐᆡᆨ{{?}}님충의ᄌᆡ요졀상인이라위인디활달ᄃᆡ도을여출상엽샹의졔셔경윤지ᄌᆡ오라인후덕을군ᄌᆞ의틀이며훤ᄌᆞᆯ쟝부의슴이〻스며옹뇌비범금여충ᄃᆡ젹당글ᄌᆞ쳑장신의당〻을영듄장상지상이니시니문장이니두를압두을고연긔어심의등라을여문무질학이구턴의진등을여텬직총우금ᄉᆞ벼살이병부상셕의잇쓸ᄯᆡ의북젹을쳐ᄃᆡ동울셔우며남평후작녹를ᄇᆡ고그후승상우의거을야ᄇᆡᆨ노를동심{{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jis7ayj9zx9n4kyomrptvk0q2892tw
390682
390677
2025-06-09T10:46:30Z
ZornsLemon
15531
39068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왼쪽 여백/s|2em}}
님회뎡연소셜{{여백|2em}}쌍셩봉효록샹
{{왼쪽 여백/e}}
화셜ᄃᆡ명셩화연간의좌승샹님규의ᄌᆞ는봉인니ᄐᆡ사님충의ᄌᆡ요졀상인니라위인니활달ᄃᆡ도ᄒᆞ여츌상입쟝의졔셔경윤지ᄌᆡ오과인후덕ᄒᆞᆫ군ᄌᆞ의틀이며훤ᄌᆞᆯ쟝부의슴이〻스며용뇌비범ᄒᆞ여충ᄃᆡ젹당ᄒᆞ고구쳑장신의당〻ᄒᆞᆫ영륜장상지상이니시니문장이니두를압두ᄒᆞ고연긔이십의등과ᄒᆞ여문무ᄌᆡ학이구턴의진동ᄒᆞ여텬ᄌᆡ총우ᄒᆞᄉᆞ벼살이병부상셔의잇쓸ᄯᆡ의북젹을쳐ᄃᆡ공을셰우ᄆᆡ남평후작녹를밧고그후승상우의거ᄒᆞ야ᄇᆡᆨ뇨를동심{{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dg1l05jlamnb26mqvdsw9u7q2ycrhf
390683
390682
2025-06-09T10:47:00Z
ZornsLemon
15531
39068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왼쪽 여백/s|2em}}
님회뎡연소셜{{여백|2em}}쌍셩봉효록샹
{{왼쪽 여백/e}}
화셜ᄃᆡ명셩화연간의좌승샹님규의ᄌᆞ는봉인니ᄐᆡᄉᆞ님충의ᄌᆡ요졀상인니라위인니활달ᄃᆡ도ᄒᆞ여츌상입쟝의졔셔경윤지ᄌᆡ오과인후덕ᄒᆞᆫ군ᄌᆞ의틀이며훤ᄌᆞᆯ쟝부의슴이〻스며용뇌비범ᄒᆞ여충ᄃᆡ젹당ᄒᆞ고구쳑장신의당〻ᄒᆞᆫ영륜장상지상이니시니문장이니두를압두ᄒᆞ고연긔이십의등과ᄒᆞ여문무ᄌᆡ학이구턴의진동ᄒᆞ여텬ᄌᆡ총우ᄒᆞᄉᆞ벼살이병부상셔의잇쓸ᄯᆡ의북젹을쳐ᄃᆡ공을셰우ᄆᆡ남평후작녹를밧고그후승상우의거ᄒᆞ야ᄇᆡᆨ뇨를동심{{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e23ggpjjxk2n93y86p39rbimx6344a
390686
390683
2025-06-09T10:51:50Z
Aspere
5453
39068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왼쪽 여백/s|2em}}
님회뎡연소셜{{여백|2em}}쌍셩봉효록샹
{{왼쪽 여백/e}}
화셜ᄃᆡ명셩화연간의좌승샹님규의ᄌᆞ는봉인니ᄐᆡᄉᆞ님충의ᄌᆡ요졀상인니라위인니활달ᄃᆡ도ᄒᆞ여츌상입쟝의졔셔경윤지ᄌᆡ오과인후덕ᄒᆞᆫ군ᄌᆞ의틀이며훤ᄌᆞᆯ쟝부의슴이〻스며용뇌비범ᄒᆞ여충ᄃᆡ젹당ᄒᆞ고구쳑장신의당〻ᄒᆞᆫ영륜장상지상이니시니문장이니두를압두ᄒᆞ고연긔이십의등과ᄒᆞ여문무ᄌᆡ학이구턴의진동ᄒᆞ여텬ᄌᆡ총우ᄒᆞᄉᆞ벼살이병부상셔의잇쓸ᄯᆡ의북젹을쳐ᄃᆡ공을셰우ᄆᆡ남평후작녹를밧고그후승상우의거ᄒᆞ야ᄇᆡᆨ뇨를동심
{{nop}}<noinclude><references/></noinclude>
9tuyxh1wbu9q66ijd90x7ndtke2xawz
페이지:쌍셩봉효록 권1.djvu/4
250
100671
390679
2025-06-09T10:37:31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부졍을여님군의은덕을도으니이음양순ᄉᆞ시을며충심을단〻히병상이도야의읏듬이요부지〻셔의진동을더라그붓친님ᄐᆡᄉᆞᄂᆞᆫ볼시졀강의쳐ᄉᆞ초소부허유외ᄉᆞ호의고졀졍{{?}}를흠모글여독경의문달를구치안니글고{{복원|맑}}은ᄌᆞ최를취글여작인이강직글중관후를{{?}}박학ᄃᆡᄌᆡ글군직러라ᄋᆞᄌᆞᆨ님승상니지히되고공이〻시노로꿔특별이나라의셔...
39067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부졍을여님군의은덕을도으니이음양순ᄉᆞ시을며충심을단〻히병상이도야의읏듬이요부지〻셔의진동을더라그붓친님ᄐᆡᄉᆞᄂᆞᆫ볼시졀강의쳐ᄉᆞ초소부허유외ᄉᆞ호의고졀졍{{?}}를흠모글여독경의문달를구치안니글고{{복원|맑}}은ᄌᆞ최를취글여작인이강직글중관후를{{?}}박학ᄃᆡᄌᆡ글군직러라ᄋᆞᄌᆞᆨ님승상니지히되고공이〻시노로꿔특별이나라의셔ᄐᆡᆨᄉᆞ벼살을막고독글의영호를극히본말를딕셔의{??}}미글여시되ᄃᆡ강길촉글노라이시의님ᄐᆡᄉᆞ부인위시긔농을음글여승상을ᄂᆞ흐리ᄉᆡᆼ셩글미강보의발ᄎᆡ특이글{{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pv3dcemf8y1nj2fnhk37m0ji32pm8pn
390680
390679
2025-06-09T10:38:17Z
Aspere
5453
39068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부졍을여님군의은덕을도으니이음양순ᄉᆞ시을며충심을단〻히병상이도야의읏듬이요부지〻셔의진동을더라그붓친님ᄐᆡᄉᆞᄂᆞᆫ볼시졀강의쳐ᄉᆞ초소부허유외ᄉᆞ호의고졀졍{{?}}를흠모글여독경의문달를구치안니글고{{복원|맑}}은ᄌᆞ최를취글여작인이강직글중관후를{{?}}박학ᄃᆡᄌᆡ글군직러라ᄋᆞᄌᆞᆨ님승상니지히되고공이〻시노로꿔특별이나라의셔ᄐᆡᆨᄉᆞ벼살을막고독글의영호를극히본말를딕셔의{{?}}미글여시되ᄃᆡ강길촉글노라이시의님ᄐᆡᄉᆞ부인위시긔농을음글여승상을ᄂᆞ흐리ᄉᆡᆼ셩글미강보의발ᄎᆡ특이글{{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gln6xldr73jg99vu2myboc8pmaq8fgi
390687
390680
2025-06-09T10:56:46Z
ZornsLemon
15531
39068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보졍ᄒᆞ여님군의은덕을도으니이음양슌ᄉᆞ시ᄒᆞ며츙심을ᄃᆞᄒᆞᄆᆡ명망이도야의읏듬이요부지ᄉᆞ셔의진동ᄒᆞ더라그붓친님ᄐᆡᄉᆞᄂᆞᆫ본시졀강의쳐ᄉᆞ로소부허유외ᄉᆞ호의고졀쳥ᄒᆡᆼ를흠모ᄒᆞ여됴졍의문달를구치안니ᄒᆞ고{{복원|맑}}은ᄌᆞ최를ᄎᆔᄒᆞ여작인니강직ᄒᆞᆫ즁관후ᄒᆞ고박학ᄃᆡᄌᆡᄒᆞᆫ군ᄌᆡ러라ᄋᆞᄌᆞ님승상니지히되고공이〻시므로쎠특별이나라의셔ᄐᆡᄉᆞ벼살을밧고독ᄌᆞ의영효를극히본말흔ᄃᆡ셔의ᄒᆡ비ᄒᆞ여시ᄆᆡᄃᆡ강기록ᄒᆞ노라이시의님ᄐᆡᄉᆞ부인위시긔몽을음ᄒᆞ여승상을ᄂᆞ흐ᄆᆡᄉᆡᆼ셩ᄒᆞ미강보의발ᄎᆡ특이ᄒᆞ{{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59u7owm7hnlbzveh1z7prxanmwzirep
페이지:쌍셩봉효록 권1.djvu/5
250
100672
390681
2025-06-09T10:42:22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여뭉용월ᄋᆡᆨ라ᄉᆞᄌᆞ단순이벼슈혀글이녹라효셩쌍안이으용{{?}}어위〻고쳐ᄃᆡ셕ᄃᆡ글여영운준걸이오덕셩명임글상이츌어외모글니ᄐᆡᆨᄉᆡ명견지감을엇지못{{?}}리오부전ᄃᆡᄋᆞᄌᆞ의특출글품질이범〻을속ᄋᆡ아니라ᄀᆞᄌᆞᆨ식니범〻용우글여도ᄌᆞ의지졍이변연ᄌᆡ안니러던더옥님공의ᄀᆡ비영걸지즁이리오부모의쳔금독ᄌᆞ조만금소중의비...
39068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여뭉용월ᄋᆡᆨ라ᄉᆞᄌᆞ단순이벼슈혀글이녹라효셩쌍안이으용{{?}}어위〻고쳐ᄃᆡ셕ᄃᆡ글여영운준걸이오덕셩명임글상이츌어외모글니ᄐᆡᆨᄉᆡ명견지감을엇지못{{?}}리오부전ᄃᆡᄋᆞᄌᆞ의특출글품질이범〻을속ᄋᆡ아니라ᄀᆞᄌᆞᆨ식니범〻용우글여도ᄌᆞ의지졍이변연ᄌᆡ안니러던더옥님공의ᄀᆡ비영걸지즁이리오부모의쳔금독ᄌᆞ조만금소중의비기며먼니향당니칭찬글여반다시님군을흥긔ᄉᆞᆯ쳔니긔린이라글더라연긔이칠의ᄇᆡᆨ향이속진글여장부의긔상이낙부미엄ᄉᆞ되다만기비빈글ᄉᆞᆯᄐᆡᆨᄉᆡ일즉쳐ᄉᆞ로언건속학{{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5a3fvb4hy1dsxyy8c2hmabdo2gofrig
페이지:쌍셩봉효록 권1.djvu/6
250
100673
390685
2025-06-09T10:51:24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글{{?}}문젼니젹은글즁님승상이인니군ᄌᆞ{{?}} 잠되히츌누글미업고후일발달{{?}}ᄃᆡ을아라셔당의깁히두러고셔를ᄌᆞᆷ심글ᄂᆡ능이승상의영쥰지ᄌᆡ글이라브리업더니이부상셔뎡현은명문ᄌᆞ졔로일즉쳥운의을노벼살이직열의일르럿더니최ᄉᆞ글고향의도리와북지글{{?}}션지감이밟드니ᄃᆡᄉᆞ와지십치우로그ᄋᆞᄌᆞ연경을부탁글여글를가르치며종〻왕기...
39068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글{{?}}문젼니젹은글즁님승상이인니군ᄌᆞ{{?}}
잠되히츌누글미업고후일발달{{?}}ᄃᆡ을아라셔당의깁히두러고셔를ᄌᆞᆷ심글ᄂᆡ능이승상의영쥰지ᄌᆡ글이라브리업더니이부상셔뎡현은명문ᄌᆞ졔로일즉쳥운의을노벼살이직열의일르럿더니최ᄉᆞ글고향의도리와북지글{{?}}션지감이밟드니ᄃᆡᄉᆞ와지십치우로그ᄋᆞᄌᆞ연경을부탁글여글를가르치며종〻왕기글여상종을더니ᄐᆡᆨᄉᆞ를보혀왓{{?}}아님공을글번볼쳔금소포ᄋᆞ로호연을ᄆᆡᄌᆞ물허글엿스니ᄉᆡᆨ덕이겸비글고셩ᄒᆡᆼ이줄누을녀ᄌᆞ로님승상원비숙현부인{{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3oczay8n0btzb3c3k04tez6l88l0off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85
250
100674
390688
2025-06-09T11:06:10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六◯" /><poem> 어인 벌리완ᄃᆡ 落落長松 다 먹ᄂᆞᆫ고 부리 긴 져고리ᄂᆞᆫ 어ᄂᆡ 곳에 가 잇ᄂᆞᆫ고 空山에 落木聲 들릴 제 내 안 둘 듸 업세라 </poem> <section end="三六◯" /> <section begin="장해" />【右 戕害】 <section end="장해" /> <section begin="三六一" /><poem> 小園 百花叢에 ᄂᆞ니ᄂᆞᆫ 나뷔들아 香내를 죠히 너겨 柯枝마다 안지 마라...
39068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六◯" /><poem>
어인 벌리완ᄃᆡ 落落長松 다 먹ᄂᆞᆫ고
부리 긴 져고리ᄂᆞᆫ 어ᄂᆡ 곳에 가 잇ᄂᆞᆫ고
空山에 落木聲 들릴 제 내 안 둘 듸 업세라
</poem>
<section end="三六◯" />
<section begin="장해" />【右 戕害】
<section end="장해" />
<section begin="三六一" /><poem>
小園 百花叢에 ᄂᆞ니ᄂᆞᆫ 나뷔들아
香내를 죠히 너겨 柯枝마다 안지 마라
夕陽에 숨ᄭᅮ즌 거믜 그믈 걸 여은다
</poem><br>
<section end="三六一" />
<section begin="三六二" /><poem>
굼벙이 매암이 되야 ᄂᆞ래 도쳐 ᄂᆞ라올라
노프나 노픈 남게 소릐ᄂᆞᆫ 죠커니와
그 우희 거믜줄 이시니 그를 조심 ᄒᆞ여라
</poem>
<section end="三六二" />
<section begin="지지" />【右 知止】
<section end="지지" />
<section begin="원천석" /><poem>
興亡이 有數ᄒᆞ니 滿月臺도 秋草ㅣ로다
五百年 王業이 牧笛에 부쳐시니
夕陽에 지나ᄂᆞᆫ 客이 눈물 계워 ᄒᆞᄃᆞ라
</poem><br>
<section end="원천석" />
<section begin="길재" /><poem>
五百年 都邑地를 匹馬로 도라드니
山川은 依舊ᄒᆞ되 人傑은 간 듸 업다
어즈버 太平烟月이 ᄭᅮᆷ이런가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길재" />
<section begin="회고" />【右 懷古】
<section end="회고" />
<section begin="이조년" /><poem>
梨花에 月白ᄒᆞ고 銀漢이 三更인 제
一枝 春心을 子規ㅣ야 아라마ᄂᆞᆫ
多情도 病이 냥ᄒᆞ여 ᄌᆞᆷ 못 드러 ᄒᆞ노라
</poem>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이조년"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tszeq0e4sp10eal22alrgj9jrb9121f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86
250
100675
390689
2025-06-09T11:06:3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六六" /><poem> 金爐에 香盡ᄒᆞ고 漏聲이 殘ᄒᆞ도록 어듸 가 이셔 뉘 ᄉᆞ랑 바치다가 月影이 上蘭干ᄏᆡ야 ᄆᆡᆨ바드라 왓ᄂᆞ니 </poem><br> <section end="三六六" /> <section begin="매창" /><poem> 梨花雨 흣ᄲᅮ릴 제 울며 잡고 離別ᄒᆞᆫ 님 秋風 落葉에 저도 날 ᄉᆡᆼ각ᄂᆞᆫ가 千里에 외로온 ᄭᅮᆷ만 오락가락 ᄒᆞ노매 </poem><br> <sectio...
39068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三六六" /><poem>
金爐에 香盡ᄒᆞ고 漏聲이 殘ᄒᆞ도록
어듸 가 이셔 뉘 ᄉᆞ랑 바치다가
月影이 上蘭干ᄏᆡ야 ᄆᆡᆨ바드라 왓ᄂᆞ니
</poem><br>
<section end="三六六" />
<section begin="매창" /><poem>
梨花雨 흣ᄲᅮ릴 제 울며 잡고 離別ᄒᆞᆫ 님
秋風 落葉에 저도 날 ᄉᆡᆼ각ᄂᆞᆫ가
千里에 외로온 ᄭᅮᆷ만 오락가락 ᄒᆞ노매
</poem><br>
<section end="매창" />
<section begin="三六八" /><poem>
이 몸이 싀여져셔 졉동새 넉시 되야
梨花 픤 柯枝 속닙헤 ᄡᆡ엿다가
밤즁만 ᄉᆞᆯ하져 우리 님의 귀에 들리리라
</poem><br>
<section end="三六八" />
<section begin="김상용" /><poem>
ᄉᆞ랑 거즛말이 님 날 ᄉᆞ랑 거즛말이
ᄭᅮᆷ에 뵌닷 말이 긔 더옥 거즛말이
날 ᄀᆞᆺ치 ᄌᆞᆷ 아니 오면 어ᄂᆡ ᄭᅮᆷ에 뵈이리
</poem>
<section end="김상용" />
<section begin="규정" />【右 閨情】
<section end="규정" />
<section begin="송순" /><poem>
十年을 經營ᄒᆞ여 草廬 三間 지여내니
나 ᄒᆞᆫ 간 ᄃᆞᆯ ᄒᆞᆫ 간에 淸風 ᄒᆞᆫ 간 맛져 두고
江山은 들일 듸 업스니 둘러 두고 보리라
</poem>
<section end="송순" />
<section begin="겸치" />【右 兼致】
<section end="겸치" />
<section begin="조준" /><poem>
술을 醉케 먹고 오다가 空山에 지니
뉘 날 ᄭᆡ오리 天地卽 衾枕이로다
狂風이 細雨를 모라 ᄌᆞᆷ든 날을 ᄭᆡ와다
</poem>
<section end="조준" />
<section begin="대취" />【右 大醉】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대취"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7y0pw1lvkgwnbfgb4s9rjhua6ot64gz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87
250
100676
390690
2025-06-09T11:07:13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박인로" /><poem> 비즌 술 다 머그니 먼 듸셔 벗이 왓다 술집은 졔연마ᄂᆞᆫ 헌 옷세 언마 주리 아ᄒᆡ야 셔기지 말고 주ᄂᆞᆫ 대로 바다라 </poem> <section end="박인로" /> <section begin="객지" />【右 客至】 <section end="객지" /> <section begin="三七三" /><poem> 三角山 푸른 빗치 中天에 소사 올라 鬱葱 佳氣란 象闕에 부쳐 두고 江湖에 盞 잡은 늘그니...
39069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박인로" /><poem>
비즌 술 다 머그니 먼 듸셔 벗이 왓다
술집은 졔연마ᄂᆞᆫ 헌 옷세 언마 주리
아ᄒᆡ야 셔기지 말고 주ᄂᆞᆫ 대로 바다라
</poem>
<section end="박인로" />
<section begin="객지" />【右 客至】
<section end="객지" />
<section begin="三七三" /><poem>
三角山 푸른 빗치 中天에 소사 올라
鬱葱 佳氣란 象闕에 부쳐 두고
江湖에 盞 잡은 늘그니란 ᄆᆡ양 醉케 ᄒᆞ쇼셔
</poem>
<section end="三七三" />
<section begin="취은" />【右 醉隱】
<section end="취은" />
<section begin="양사언" /><poem>
泰山이 높다 ᄒᆞ되 ᄒᆞᄂᆞᆯ 아레 뫼히로다
오르고 ᄯᅩ 오르면 모 오를 理 업건마ᄂᆞᆫ
사ᄅᆞᆷ이 제 아니 오르고 뫼흘 놉다 ᄒᆞᄂᆞ니
</poem>
<section end="양사언" />
<section begin="중도이폐" />【右 中道而廢】
<section end="중도이폐" />
<section begin="이순신" /><poem>
十年 ᄀᆞ온 칼이 匣裏에 우노ᄆᆡ라
關山을 ᄇᆞ라보며 ᄯᅢᄯᅢ로 ᄆᆞᆫ져 보니
丈夫의 爲國功勳을 어ᄂᆡ ᄯᅢ에 드리올고
</poem>
<section end="이순신" />
<section begin="장회" />【右 壯懷】
<section end="장회" />
<section begin="이정진" /><poem>
天下 匕首劒을 ᄒᆞᆫ듸 모하 뷔를 ᄆᆡ야
南蠻 北狄을 다 ᄡᅳ러 ᄇᆞ린 後에
그 쇠로 홈의를 ᄆᆡᆼ그라 江上田을 ᄆᆡ리라
</poem>
<section end="이정진" />
<section begin="용퇴" />【右 勇退】
<section end="용퇴" />
<section begin="최충" /><poem>
一生에 願ᄒᆞ기를 羲皇 時節 못 난 줄이
草衣를 무릅고 木實을 머글만졍
人心이 淳厚ᄒᆞ던 줄을 못내 불워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최충" />
<section begin="선고" />【右 羨古】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선고"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5evs4wsfntbmpoojm4b0bt6srkn33nb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88
250
100677
390691
2025-06-09T11:14:11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박태보" /><poem> 靑山 自負松아 네 어이 누엇ᄂᆞᆫ다 狂風을 못 이긔여 불희 져저 누엇노라 가다가 良工을 만나거든 날 옛ᄃᆞ라 ᄒᆞ고려 </poem> <section end="박태보" /> <section begin="자수" />【右 自售】 <section end="자수" /> <section begin="이덕형" /><poem> ᄃᆞᆯ이 두렷ᄒᆞ여 碧空에 걸려시니 萬古 風霜에 ᄯᅥ러졈즉 ᄒᆞ다마ᄂᆞᆫ 至今히...
39069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박태보" /><poem>
靑山 自負松아 네 어이 누엇ᄂᆞᆫ다
狂風을 못 이긔여 불희 져저 누엇노라
가다가 良工을 만나거든 날 옛ᄃᆞ라 ᄒᆞ고려
</poem>
<section end="박태보" />
<section begin="자수" />【右 自售】
<section end="자수" />
<section begin="이덕형" /><poem>
ᄃᆞᆯ이 두렷ᄒᆞ여 碧空에 걸려시니
萬古 風霜에 ᄯᅥ러졈즉 ᄒᆞ다마ᄂᆞᆫ
至今히 醉客을 爲ᄒᆞ여 長照金樽 ᄒᆞ노매
</poem>
<section end="이덕형" />
<section begin="취월" />【右 醉月】
<section end="취월" />
<section begin="정몽주 母" /><poem>
가마귀 ᄡᅡ호ᄂᆞᆫ 골에 白鷺ㅣ야 가지 마라
셩낸 가마귀 흰빗ᄎᆞᆯ 새올셰라
淸江에 잇것 시슨 몸을 더러일가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정몽주 母" />
<section begin="우" />【{{sic|右}} 】
<section end="우" />
<section begin="천금" /><poem>
ᄒᆡ도 나지 계면 山河로 도라 지고
ᄃᆞᆯ도 보롬 後ㅣ면 ᄒᆞᆫ ᄀᆞ보터 이져온다
世上에 富貴功名이 다 이런가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천금" />
<section begin="영휴" />【右 盈虧】
<section end="영휴" />
<section begin="三八二" /><poem>
北海上 져믄 날에 울고 가ᄂᆞᆫ 져 기러기
내 말슴 드러다가 金尙書ㅅ게 ᄉᆞ롸 주렴
수羊이 삿기 칠 덧으란 ᄎᆞᆷ으쇼셔 ᄒᆞ여라
</poem>
<section end="三八二" />
<section begin="우" />【右 】
<section end="우" />
<section begin="??이순신" /><poem>
胸中에 머근 ᄠᅳᆺ을 속졀업시 못 이로고
半世 紅塵에 ᄂᆞᆷ의 우음 된져이고
두어라 時乎時乎니 恨ᄒᆞᆯ 줄이 이시랴
</poem>
<section end="??이순신" />
<section begin="명건" />【右 命蹇】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명건"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b4i7ic22ve8280jho47181dz4sbbx3u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89
250
100678
390692
2025-06-09T11:16:33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이이" /><poem> ᄒᆡ 다 져믄 날에 지져귀ᄂᆞᆫ ᄌᆞᆷ새들아 죠고마ᄒᆞᆫ 몸이 半柯枝도 足ᄒᆞ거든 ᄒᆞ믈며 크나큰 수풀을 ᄭᅴ여 무슴 ᄒᆞ리오 </poem> <section end="이이" /> <section begin="부쟁" />【右 不爭】 <section end="부쟁" /> <section begin="三八五" /><poem> 假使 주글지라도 明堂이 뷘 듸 업ᄂᆡ 三神山 不死藥을 다 ᄏᆡ야 머글만졍 海中...
39069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이이" /><poem>
ᄒᆡ 다 져믄 날에 지져귀ᄂᆞᆫ ᄌᆞᆷ새들아
죠고마ᄒᆞᆫ 몸이 半柯枝도 足ᄒᆞ거든
ᄒᆞ믈며 크나큰 수풀을 ᄭᅴ여 무슴 ᄒᆞ리오
</poem>
<section end="이이" />
<section begin="부쟁" />【右 不爭】
<section end="부쟁" />
<section begin="三八五" /><poem>
假使 주글지라도 明堂이 뷘 듸 업ᄂᆡ
三神山 不死藥을 다 ᄏᆡ야 머글만졍
海中에 새 뫼 나거든 게 가 들려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三八五" />
<section begin="원치" />【右 遠致】
<section end="원치" />
<section begin="이후백" /><poem>
蒼梧山 聖帝魂이 구룸 조차 瀟湘에 ᄂᆞ려
夜半에 흘러드러 竹間雨 되온 ᄠᅳᆺ은
二妃의 千年 淚痕을 못내 시서 홈이라
</poem>
<section end="이후백" />
<section begin="이비" />【右 二妃】
<section end="이비" />
<section begin="이후백" /><poem>
洞庭 ᄇᆞᆯ근 ᄃᆞᆯ이 楚懷王의 넉시 되야
七百里 平湖에 두렷이 비쵠 ᄠᅳᆺ은
屈三 閭魚腹裏忠誠을 못내 ᄇᆞᆯ켜 홈이라
</poem>
<section end="이후백" />
<section begin="회왕" />【右 懷王】
<section end="회왕" />
<section begin="이명한" /><poem>
楚江 漁夫들아 고기 낫가 ᄉᆞᆷ지 마라
屈三閭 忠魂이 魚腹裏에 드럿ᄂᆞ니
아므리 鼎鑊에 ᄉᆞᆯ믄들 變ᄒᆞᆯ 줄이 이시랴
</poem>
<section end="이명한" />
<section begin="굴평" />【右 屈平】
<section end="굴평" />
<section begin="三八九" /><poem>
공번된 天下業을 힘으로 어들 것가
秦宮室 불 질음도 오히려 無道커든
ᄒᆞ믈며 義帝를 주기고 하ᄂᆞᆯ 罪를 免ᄒᆞ랴
</poem>
<section end="三八九" />
<section begin="항우" />【右 項羽】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항우"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p9pmwhatk3i5aw3jq74qindhsajqeg4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90
250
100679
390693
2025-06-09T11:16:57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인평대군" /><poem> ᄇᆞ람에 휘엿노라 구븐 솔 웃지 마라 春風에 픠온 곳이 ᄆᆡ양에 고아시랴 風飄飄 雪紛紛ᄒᆞᆯ 제 네야 날을 부르리라 </poem> <section end="인평대군" /> <section begin="송" />【右 松】 <section end="송" /> <section begin="원천석" /><poem> 눈 마자 휘어진 대를 뉘라셔 굽다ᄐᆞᆫ고 구블 節이면 눈 속에 프를소냐 아마도 歲寒高節은...
39069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인평대군" /><poem>
ᄇᆞ람에 휘엿노라 구븐 솔 웃지 마라
春風에 픠온 곳이 ᄆᆡ양에 고아시랴
風飄飄 雪紛紛ᄒᆞᆯ 제 네야 날을 부르리라
</poem>
<section end="인평대군" />
<section begin="송" />【右 松】
<section end="송" />
<section begin="원천석" /><poem>
눈 마자 휘어진 대를 뉘라셔 굽다ᄐᆞᆫ고
구블 節이면 눈 속에 프를소냐
아마도 歲寒高節은 너ᄲᅮᆫ인가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원천석" />
<section begin="죽" />【右 竹】
<section end="죽" />
<section begin="정충신" /><poem>
空山이 寂寞ᄒᆞᆫ듸 슬피 우ᄂᆞᆫ 져 杜鵑아
蜀國 興亡이 어제 오ᄂᆞᆯ 아니여ᄂᆞᆯ
至今히 피나게 우러 ᄂᆞᆷ의 애를 긋ᄂᆞ니
</poem>
<section end="정충신" />
<section begin="두우" />【右 杜宇】
<section end="두우" />
<section begin="성수침" /><poem>
이리도 太平聖代 져리도 聖代太平
堯之日月이오 舜之乾坤이로다
우리도 太平聖代에 놀고 가려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성수침" />
<section begin="태평" />【右 太平】
<section end="태평" />
<section begin="서경덕" /><poem>
ᄆᆞ음아 너ᄂᆞᆫ 어이 ᄆᆡ양에 져멋ᄂᆞᆫ다
내 늘글 적이면 넨들 아니 늘글소냐
아마도 너 죳녀 ᄃᆞᆫ니다가 ᄂᆞᆷ 우일가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서경덕" />
<section begin="계심" />【右 戒心】
<section end="계심" />
<section begin="三九五" /><poem>
녯적의 이러ᄒᆞ면 이 形容이 나마실가
愁心이 실이 되야 구뷔구뷔 ᄆᆡ쳐 이셔
아므리 푸로 ᄒᆞ되 긋 간 듸를 몰래라
</poem>
<section end="三九五" />
<section begin="노역" />【右 勞役】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노역"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fm0qyl9t1vc7l1j86z4fphd2awrycj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91
250
100680
390694
2025-06-09T11:20:18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성여완" /><poem> 泰山이 平地 되고 河海 陸地 되도록 北堂 俱慶下에 忠孝로 일삼다가 聖代에 稷契이 되야 늘글 뉘를 모르리라 </poem> <section end="성여완" /> <section begin="충효" />【右 忠孝】 <section end="충효" /> <section begin="천금" /><poem> 곳은 밤비에 퓌고 비즌 술 다 닉거다 거문고 가진 벗이 ᄃᆞᆯ ᄒᆞᆷ긔 오마터니 아ᄒᆡ야 茅簷에 ᄃᆞᆯ...
39069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성여완" /><poem>
泰山이 平地 되고 河海 陸地 되도록
北堂 俱慶下에 忠孝로 일삼다가
聖代에 稷契이 되야 늘글 뉘를 모르리라
</poem>
<section end="성여완" />
<section begin="충효" />【右 忠孝】
<section end="충효" />
<section begin="천금" /><poem>
곳은 밤비에 퓌고 비즌 술 다 닉거다
거문고 가진 벗이 ᄃᆞᆯ ᄒᆞᆷ긔 오마터니
아ᄒᆡ야 茅簷에 ᄃᆞᆯ 올랏다 손 오ᄂᆞᆫ가 보와라
</poem>
<section end="천금" />
<section begin="대객" />【右 待客】
{{nop}}
{{옛한글쪽 끝}}<section end="대객"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8z2i75xvk3zl3fhoxpci078kapss4dq
청구영언/무명씨
0
100681
390695
2025-06-09T11:25:30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제목=청구영언 |부제=이삭대엽(二數大葉) 무명씨(無名氏) |이전=[[../연대결고|연대결고]] |다음=[[../삼삭대엽|삼삭대엽]] |설명=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73 to=91 fromsection="무명씨" /> {{옛한글 끝}}
390695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청구영언
|부제=이삭대엽(二數大葉) 무명씨(無名氏)
|이전=[[../연대결고|연대결고]]
|다음=[[../삼삭대엽|삼삭대엽]]
|설명=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73 to=91 fromsection="무명씨" />
{{옛한글 끝}}
i6rem8bvku0jy23apgk6qvc5zubfo1j
페이지:셩경젼셔 구약 권1.pdf/540
250
100682
390697
2025-06-09T11:37:50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069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쟈의 말을 듯지말나 대개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ᄭᅴ셔 너희를 시험ᄒᆞᅌᅣ 너희가 ᄆᆞᄋᆞᆷ을 다ᄒᆞ고 ᄯᅳᆺ을 다ᄒᆞ야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를 ᄉᆞ랑ᄒᆞ나 아니ᄒᆞ나 알고져ᄒᆞ심이라
{{절||四}} 너희는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를 좃차 ᄒᆡᆼᄒᆞ며 경외ᄒᆞ고 그 계명을 직히며 그 말ᄉᆞᆷ을 슌죵ᄒᆞ며 셤기며 친근히 ᄒᆞᆯ지라
{{절||五}} 그 션지쟈나 ᄭᅮᆷᄭᅮᄂᆞᆫ쟈가 맛당히 죽음을 당ᄒᆞ리니 이는 너희를 인도ᄒᆞ야 {{du|애굽}} ᄯᅡ에셔 나오게 ᄒᆞ시고 그 죵노릇ᄒᆞ던 집에셔 쇽량ᄒᆞ여 주신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를 ᄇᆡ반ᄒᆞᄂᆞᆫ 말을 ᄒᆞ야 너희 하ᄂᆞ님 여호와ᄭᅴ셔 명ᄒᆞ야 ᄒᆡᆼᄒᆞ라 ᄒᆞ신 길에셔 너희를 ᄭᅬ여내려ᄒᆞᆷ이라 너희는 이에 너희 가온ᄃᆡ셔 악을 졔ᄒᆞ야 ᄇᆞ리라 ○
{{절||六}} 네 어미의 아ᄃᆞᆯ 곳 네 형뎨나 네 아ᄃᆞᆯ이나 ᄯᆞᆯ이나 네 품에 잇ᄂᆞᆫ 안ᄒᆡ나 너{{SIC|ᄋᆦ|와}} ᄆᆞᄋᆞᆷ이 ᄀᆞᆺ흔 친구가 ᄀᆞ만히 너를 ᄭᅬ이며 말ᄒᆞ기를 너와 네 렬조들도 아지못ᄒᆞ던 다른 신들이 잇스니 우리가 가셔 셤기자
{{절||七}} 이는 곳 두루 잇ᄂᆞᆫ 모든 ᄇᆡᆨ셩의 신이니 혹 네게 갓가히도 잇스며 혹 네게 멀니도 잇고 ᄯᅡ 이 ᄭᅳᆺ헤셔 ᄯᅡ 뎌 ᄭᅳᆺᄭᆞ지 잇다 ᄒᆞ여도
{{절||八}} 너는 좃지도 말며 듯지도 말며 불샹히 보지도 말며 앗기지도 말며 뎌를 숨기지도 말고
{{절||九}} 네가 맛당히 죽이ᄃᆡ 죽일 ᄯᅢ에 네가 몬져<noinclude><references/></noinclude>
720hx14eujwdo0iourq3ku40wv6ii0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