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문헌 kowikisource https://ko.wikisource.org/wiki/%EC%9C%84%ED%82%A4%EB%AC%B8%ED%97%8C:%EB%8C%80%EB%AC%B8 MediaWiki 1.45.0-wmf.4 first-letter 미디어 특수 토론 사용자 사용자토론 위키문헌 위키문헌토론 파일 파일토론 미디어위키 미디어위키토론 틀토론 도움말 도움말토론 분류 분류토론 저자 저자토론 포털 포털토론 번역 번역토론 초안 초안토론 페이지 페이지토론 색인 색인토론 TimedText TimedText talk 모듈 모듈토론 저자:김구 100 2373 391469 349836 2025-06-11T05:59:07Z ZornsLemon 15531 /* 기타 */ 391469 wikitext text/x-wiki {{저자 |이름 = 김구 |이름 첫 글자 = ㄱ |국적 = 대한민국 |탄생 연도 = 1876년 |사망 연도 = 1949년 |설명 =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아호는 창암(昌巖)이고, 호는 백범(白凡)이며, 세례명은 베드로이다. 19세에 이름을 창수(昌洙)로 바꾸었다가 39세에 이름을 구(九)로 바꾸었다. 1927년부터 1948년 8월 15일까지 제6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을 지냈다. |그림 = |위키백과 링크 = 김구 |위키인용집 링크 = 김구 |공용 링크 = |정렬 = 김구 }} == 저작 == === 기타 === * [[한국 광복군 선언문]](1940) * [[백범일지]] * [[도왜실기]] * [[유엔한국위원회에 보낸 의견서]] * [[삼천만동포에 읍고함]] {{PD-old-50}} [[분류:일제 강점기의 저자]] [[분류:로마 가톨릭교도]] bvneonp3oanqbchzgb8xibbv4ngox54 가마귀 눈비 마자 0 4509 391402 382765 2025-06-10T13:43:54Z ZornsLemon 15531 391402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title = 까마귀 눈비 맞아 | author = [[저자:박팽년|박팽년]] | section = | previous = | next = | notes = [[청구영언]]에 무명씨의 시조로 실려 있다. }} {{옛한글}} {{col-begin}} {{col-2}}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74 to=74 fromsection="二九五" tosection="二九五" /> {{옛한글 끝}} {{col-2}} <poem> 까마귀가 눈비를 맞아 흰듯 검구나 밤에 밝게 빛나는 달이 밤이 된들 어둡겠느냐 임 향한 일편단심이 변할리가 있겠느냐 </poem> {{col-end}} == 라이선스 == {{PD-old-100}} [[분류:시조]] sudhtckhpz7kdkyzlbgv75lvpeoeaae 꽃은 밤비에 피고 0 6084 391394 382826 2025-06-10T13:10:26Z ZornsLemon 15531 ZornsLemon님이 [[곳즌 밤비에 피고]] 문서를 [[꽃은 밤비에 피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382826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무제 |지은이 = [[저자:정철|정철]]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 {{옛한글 알림}} {{옛한글 처음}} <poem> 곳즌밤비에피고비즌술다익거다 거문고가진벗이ᄃᆞᆯᄒᆞᆷᄭᅴ오마터니 아희야草簷에ᄃᆞᆯ올나다벗님오나보아라 </poem> {{옛한글 끝}} == 라이선스 == {{PD-old-100}} [[분류:시조]] eme3d726swh9k5uvp3pdfkuxnsn0tbm 391397 391394 2025-06-10T13:16:16Z ZornsLemon 15531 391397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곳은 밤비에 퓌고 |지은이 = [[저자:정철|정철]]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의 시조로 실려 있다. 정철의 시조인지 출처 확인 필요. }} {{옛한글 알림}}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91 to=91 fromsection="천금" tosection="천금" /> {{옛한글 끝}} == 라이선스 == {{PD-old-100}} [[분류:시조]] 2mc825ggwob08sm1jq70j7e4jqoyc59 저자:펄 S. 벅 100 8899 391468 153675 2025-06-11T05:58:49Z ZornsLemon 15531 391468 wikitext text/x-wiki {{저자 |이름 = 펄 사이든스트리커 벅 |다른 표기 = Pearl Sydenstricker Buck |이름 첫 글자 = ㅂ |국적 = 미국 |탄생 연도 = 1892년 |사망 연도 = 1973년 |설명 = 미국의 소설가로, 노벨 문학상 수상자. |그림 = Pearl Buck (Nobel).jpg |위키백과 링크 = 펄 S. 벅 |위키인용집 링크 = |공용 링크 = Category:Pearl Buck |정렬 = 벅, 펄 }} == 저작 == * 《[[동풍 서풍]]》 * 《[[아들들]]》 (1933년) * 《[[분열한 집]]》 (1933년) * 《[[갈대는 바람에 시달려도]]》(1963년) * 《[[새해 (펄 S. 벅)|새해]]》(1968년) * 《[[어머니]]》 (1934년) * 《[[싸우는 천사들]]》 (1936년) - 아버지의 전기 * 《[[어머니의 초상]]》 (1936년) * 《[[애국자]]》 (1939년) * 《[[서태후 (펄 벅의 소설)|서태후]]》 (1956년), * 《[[나의 가지가지 세계]]》(1954년) - 자서전 * 《[[대지 (펄벅)|대지]]》(1931년) == 라이선스 == {{저작권 미소멸 저자}} [[분류:노벨 문학상 수상자]] oy1snnw2yti7a0kujosxgkx7uq8rrd2 간밤에 우던 여흘 0 8933 391403 382857 2025-06-10T13:46:46Z ZornsLemon 15531 391403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무제 |지은이 = [[글쓴이:원호|원호]]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edition = true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의 작품으로 게재되어 있다. }} {{옛한글 알림}} {{col-begin}} {{col-2}}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74 to=74 fromsection="二九六" tosection="二九六" /> {{옛한글 끝}} {{col-2}} <poem> 간밤에 울던 여울 슬피 울며 흘러간다 이제와서 생각해보니 님이 울던 소리구나 저 물이 거꾸로 흐르게 하고 나도 울리라 </poem> {{col-end}} == 라이선스 == {{PD-old-100}} {{분류:시조}} bpzydiwwmasphlreamw6qb4l7niv0ut 391404 391403 2025-06-10T13:47:27Z ZornsLemon 15531 391404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간밤의 우던 여흘 |지은이 = [[저자:원호|원호]]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edition = true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의 작품으로 게재되어 있다. }} {{옛한글 알림}} {{col-begin}} {{col-2}}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74 to=74 fromsection="二九六" tosection="二九六" /> {{옛한글 끝}} {{col-2}} <poem> 간밤에 울던 여울 슬피 울며 흘러간다 이제와서 생각해보니 님이 울던 소리구나 저 물이 거꾸로 흐르게 하고 나도 울리라 </poem> {{col-end}} == 라이선스 == {{PD-old-100}} {{분류:시조}} 26f97sb1rgis13ny38zyqio9b9ydk70 저자:원천석 100 10581 391384 382883 2025-06-10T12:50:52Z ZornsLemon 15531 /* 시조 */ 391384 wikitext text/x-wiki {{저자 |이름 = 원천석 |다른 표기 = 元天錫 |이름 첫 글자 = ㅇ |국적 = 조선 |탄생 연도 = ? |사망 연도 = ? |설명 =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학자. 자는 자정(子正), 호는 운곡(耘谷). 고려 말기에 정치가 문란해지자 치악산(雉嶽山)에 들어가 농사를 지으며 숨어 살았다. 조선 태종의 스승으로서 태종이 즉위한 뒤에 그를 찾아 벼슬을 권하였으나 응하지 않았다. 한시집 2권이 전한다. 한편 야사 6권을 저술하였으나 국사와 다른 것이 많아 그의 증손이 화가 두려워 불태웠다고 한다. {{글로벌 인용|원천석}} |그림 = |그림 크기 = |위키백과 링크 = |위키인용집 링크 = |공용 링크 = |정렬 = }} == 저작 == === 시조 === * [[회고가 (원천석)|흥망이 유수하니]](懷古歌) * [[눈 맞아 휘어진 대를]] {{PD-old-100}} [[분류:고려의 저자]] d2vbvgl9za2y8pgnap5b8b63b645yie 저자:조광조 100 16730 391451 105321 2025-06-11T05:07:41Z ZornsLemon 15531 391451 wikitext text/x-wiki {{글쓴이 |이름 = 조광조 |다른 표기 = 趙光祖 |이름 첫 글자 = ㅈ |국적 = 조선 |탄생 연도 = 1482년 |사망 연도 = 1519년 |설명 = 조선 중기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다. 훈구파를 견제하려던 중종에 의해 관직에 진출하여 도학정치를 실현하려 하였으나 중종 반정의 위훈 삭제 문제에서 훈구파의 역공격을 받고 사사된다.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효직(孝直), 호는 정암(靜庵)이며,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그림 = |위키백과 링크 = 조광조 |위키인용집 링크 = 조광조 |공용 링크 = }} == 저작 == * 정암집 g3mxxr83ph7sgv4h4pr4fg2j8uuyki8 저자:카를 폰 클라우제비츠 100 16868 391454 382976 2025-06-11T05:12:12Z ZornsLemon 15531 /* 라이선스 = */ 391454 wikitext text/x-wiki {{글쓴이 |이름 = 카를 필리프 고틀리프 폰 클라우제비츠 |다른 표기 = Carl Philipp Gottlieb von Clausewitz |표기 코드 = de |이름 첫 글자 = ㅋ |국적 = 독일 |탄생 연도 = 1780년 |사망 연도 = 1831년 |설명 = 프로이센 왕국의 장군이자 군사 이론가. 프로이센 군대의 근대화와 제도 확립에 공헌하였으며, 《[[전쟁론]]》 등의 저서를 통해 적의 모든 영토·재산·주민을 공격 대상으로 하는 전면전(全面戰) 개념을 주창했다. |그림 = Carl von Clausewitz.PNG |위키백과 링크 =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 |위키인용집 링크 = |공용 링크 = Category:Carl von Clausewitz |정렬 = 클라우제비츠, 카를 폰 }} == 작품 == * [[전쟁론]](''Vom Kriege'', 1832년) == 라이선스 == {{PD-old-100}} [[분류:군인]] [[분류:역사가]] [[분류:독일의 정치인]] i6qsx5pcfz1gqo3uzl6eai0w0d7f6u1 저자:송시열 100 17383 391411 385967 2025-06-10T13:55:30Z ZornsLemon 15531 391411 wikitext text/x-wiki {{저자 |이름 = 송시열 |이름 첫 글자 = ㅅ |국적 = 조선 |탄생 연도 = 1607년 |사망 연도 = 1689년 |설명 =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사상가, 작가, 시인이다. 본관은 은진, 자는 영보(英甫), 아명은 성뢰(聖賚), 성래(聖來), 호는 우암(尤庵)·우재(尤齋)·교산노부(橋山老夫)·남간노수(南澗老叟)·화양동주(華陽洞主)·화양부자(華陽夫子),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효종, 현종 두 국왕의 왕자 시절 가르친 스승이기도 하다. 별칭은 대로(大老), 송자(宋子), 송부자(宋夫子)이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예송 논쟁 당시 서인 측 주요 논객의 한사람으로, 효종과 효종비 인선왕후를 차남과 차자부로 봤다. |그림 = Korea-Portrait of Song Si-yeol-joseon.jpg |위키백과 링크 = 송시열 |위키인용집 링크 = 송시열 |공용 링크 = |정렬 = 송시열 }} == 작품 == [[파일:우암 송시열 전신상.png|thumb|right|송시열]] * [[우암송선생계녀서]] * 《우암집(尤庵集)》 * 《우암선생후집(尤菴先生後集)》 * 《우암유고(尤菴遺稿)》 * 《주자대전잡억》 * 《송서습유(宋書拾遺)》 * 《송서속습유(宋書續拾遺)》 *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 * 《정서분류(程書分類)》 * 《주자어류소분(朱子語類小分)》 * 《논맹문의통고(論孟問義通攷)》 * 《심경석의(心經釋義)》 * 《삼방촬요(三方撮要)》 * 《송자대전(宋子大全)》 : 송시열 저서 모음집, 사후 편찬 * 《장릉지문(長陵誌文)》 * 《영릉지문(寧陵誌文)》 * 《송준길묘지명》 * 《사계선생행장(沙溪先生行狀)》 ===시조=== * [[늙고 병든 몸이]] {{PD-old-100}} t7l88xzqi7o7qdesyovhka667x7podi 효대 0 25094 391459 382639 2025-06-11T05:45:16Z ZornsLemon 15531 391459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효대 |저자 = [[저자:의천|의천]]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 <poem> 적멸당 앞에는 빼어난 경치도 많은데 길상봉 위에는 한 점 티끌도 끊겼네 온 종일 서성이며 지난 일들 생각하니 날은 저무는데 효대에 슬픈 바람 이누나 </poem> == 라이선스 == {{PD-old-100}} [[분류:시]] [[en:Translation:Hyodae]] ocak4rpe0ivkhhxcffhiqbdz1ed4ha5 391463 391459 2025-06-11T05:53:10Z ZornsLemon 15531 391463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효대 |저자 = [[저자:의천|의천]]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留題智異山華嚴寺. 화엄사 창건주 연기(緣起, 煙起) 스님의 효심을 기려 조성한 사사자삼층석탑을 대각국사 의천이 효대라 이름 짓고 이 시를 지었다고 한다. [[en:Translation:Hyodae]] }} ==한시== <poem> 寂滅堂前多勝景 적멸당전다승경 吉祥峰上絶纖埃 길상봉상절섬애 彷徨盡日思前事 방황진일사전사 薄暮悲風起孝臺 박모비풍기효대 </poem> ==번역== <poem> 적멸당 앞에는 빼어난 경치도 많은데 길상봉 위에는 한 점 티끌도 끊겼네 온 종일 서성이며 지난 일들 생각하니 날은 저무는데 효대에 슬픈 바람 이누나 </poem> == 라이선스 == {{PD-old-100}} [[분류:시]] e5koiekz14iait4dodv0n7dow247gdh 저자:김육 100 34171 391505 383204 2025-06-11T09:34:21Z Namoroka 1939 /* 저작 */ 391505 wikitext text/x-wiki {{저자 |이름 = 김육 |다른 표기 = 金堉 |이름 첫 글자 = ㄱ |국적 = 조선 |탄생 연도 = 1580년 |사망 연도 = 1658년 |설명 = 조선 후기의 문신, 유학자, 정치인이다. 자(字)는 백후(伯厚), 호는 잠곡(潛谷), 시호는 문정(文貞)이며, 본관은 청풍(淸風)이다. |그림 = |위키백과 링크 = 김육 |위키인용집 링크 = |공용 링크 = |정렬 = 김육 }} == 저작 == * 《[[잠곡필람]]》(潛谷筆談) * 《[[유원총보]]》(類苑叢寶) * 《[[송도지]]》(松都誌) * 《[[팔현전]]》(八賢傳) *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 * 《[[황명기략]]》(皇明紀略) * 《[[종덕신편]]》(種德新編) ** 《[[종덕신편언해]]》(種德新編諺解) == 라이선스 == {{PD-old-100}} 2ijasdhly7vi64m0wf8osxgj6rx1f4t 청구영언/서 0 36389 391413 389573 2025-06-10T14:10:29Z ZornsLemon 15531 391413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청구영언 |부제=서 |저자=[[저자:정래교|정래교]] |이전= |다음=[[../초중대엽|초중대엽]] |설명= }}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2 to=3 /> 9rh4micwdqadpzqvu4nrh4b38qwn0ef 청구영언/이삭대엽 0 36392 391412 311145 2025-06-10T13:58:35Z ZornsLemon 15531 무명씨 작품 정리 중 391412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청구영언 |부제=이삭대엽 |부제 다른 표기=二數大葉 |이전=[[../중대엽 북전|중대엽 북전]] |다음=[[../삼삭대엽|삼삭대엽]] |설명= }} {{옛한글}} {{옛한글 시작}} <div style="width:48%;float:left;"> == 麗末 == 牧隱 李穡字穎叔號牧隱元朝授翰林知製誥恭愍朝門下侍中文章伎術爲縉紳領袖入本朝封韓山伯謚文靖 七. 白雪이ᄌᆞ자진골에구루미머흐레라반가온梅花ᄂᆞᆫ어ᄂᆡ곳에픠엿ᄂᆞᆫ고夕陽에홀로셔이셔갈곳몰라ᄒᆞ노라 圃隱 鄭夢周字達可號圃隱恭讓時門下侍中麗朝命革身與國亡 李朝贈領議政謚文忠 理學爲東方之祖革胡服襲華制文風大振 八. 니몸이주거주거一白番고쳐주거白骨이塵土ㅣ되여넉시라도잇고업고님向ᄒᆞᆫ一片丹心이야가싈줄이이시랴 東浦 孟思誠字誠之號東浦前朝魁科入 我朝官至左相致仕謚文貞至孝淸簡性解音律甞執一笛日弄三四聲 九. 江湖에봄이드니미친興이절로난다濁醪溪邊에錦鱗魚ㅣ안주로다이몸이閑暇ᄒᆡ옴도亦君恩이샷다 一◯. 江湖에녀름이드니草堂에일이업다有信ᄒᆞᆫ江波ᄂᆞᆫ보내ᄂᆞ니ᄇᆞ람이다이몸이서ᄂᆞᆯᄒᆡ옴도亦君恩이샷다 一一. 江湖에ᄀᆞᄋᆞᆯ이드니고기마다ᄉᆞᆯ져잇다小艇에그믈시러흘리ᄠᅴ여더뎌두고이몸이消日ᄒᆡ옴도亦君恩이샷다 一二. 江湖에겨월이드니눈기픠자히남다삿갓빗기ᄡᅳ고누역으로오슬삼아이몸이칩지아니ᄒᆡ옴도亦君恩이샷다 == 本朝 == 節齋 金宗瑞字國卿號節齋 太宗朝登第官至領相 有大節多智略時目虎體矮癸酉亂死 一三. 朔風은나모긋ᄃᆡ불고明月은눈속에ᄎᆞᆫ듸萬里邊城에一長劒집고셔셔긴ᄑᆞ람큰ᄒᆞᆫ소릐에거칠거시업세라 一四. 長白山에旗ᄅᆞᆯ곳고豆滿江에ᄆᆞᆯ을싯겨서근져션븨야우리아니ᄉᆞ나희냐엇덧타獜閣畵像을누고몬져ᄒᆞ리오 梅竹堂 成三問字謹甫號梅竹堂 世宗朝登第選湖堂登重試官至承旨與李塏等謨復魯山事覺被誅後有六臣祠 一五. 首陽山ᄇᆞ라보며夷齊ᄅᆞᆯ恨하노라주려주글진들採薇도ᄒᆞᄂᆞᆫ것가비록애푸새엣거신들긔뉘ᄯᅡ헤낫ᄃᆞ니 一六. 이몸이주거가셔무어시될ᄭᅩᄒᆞ니蓬萊山第一峰에落落長松되야이셔白雲이滿乾坤ᄒᆞᆯ제獨也靑靑ᄒᆞ리라 王邦衍 世宗詩人以金吾郞押去魯山及還彷徨川邊有感而作是歌盖卽此一曲斯人愛君之誠可見矣 一七. 千萬里머나먼길에고은님여희ᄋᆞᆸ고내ᄆᆞ음둘듸업서냇ᄀᆞ에안자이다져물도내안ᄀᆞᆺ도다우러밤길녜놋다 聾岩 漁父歌 李賢輔字棐仲號聾岩燕山朝登第官至判中 一八. 이즁에시름업스니漁父의生涯로다一葉扁舟ᄅᆞᆯ萬頃波에ᄠᅴ여두고人世ᄅᆞᆯ다니젯거니날가ᄂᆞᆫ줄을안가 一九. 구버ᄂᆞᆫ千尋綠水도라보니萬疊靑山十丈紅塵이언매나ᄀᆞ련ᄂᆞᆫ고江湖에月白ᄒᆞ거든더옥無心ᄒᆞ얘라 二◯. 靑荷에밥을ᄡᆞ고綠柳에고기ᄭᅦ여蘆荻花叢에ᄇᆡ매야두고一般淸意味ᄅᆞᆯ어ᄂᆡ分이아ᄅᆞ실고 二一. 山頭에閑雲이起ᄒᆞ고水中에白鷗ㅣ飛라無心코多情ᄒᆞ니이두거시로다一生애시ᄅᆞᆷ을닛고너ᄅᆞᆯ조차노로리라 二二. 長安을도라보니北闕이千里로다漁舟에누어신들니즌스치이시랴두어라내시름아니라濟世賢이업스랴 右漁父歌兩篇 不知何人所作 余自退老田間 心閑無事 裒集古人觴詠間 可歌詩文若干首 敎閱婢僕 時時聽而消遣 兒孫輩 晩得此歌而來示 余觀其詞語閑適 意味深遠 唫咏之餘 使人有脫略功名 飄飄遐擧塵外之意 得此之後 盡棄其前所玩悅歌詞而專意于此 手自謄冊 花朝月夕 把酒呼朋 使詠於汾江小艇之上 興味尤眞 亹亹忘倦 第以語多不倫 或重疊 必其傳寫之訛 此非聖賢經據之文 妄加撰改一篇十二章 去三爲九 作長歌而詠焉 一篇十章 約作短歌五闋爲葉而唱之 合成一部 新曲 非徒刪改添補處亦多 然亦各因舊文本意而增損之 名曰聾岩野錄 覽者 幸勿以僣越咎我也。 時嘉靖己酉夏六月流頭後三日 雪鬢翁聾岩主人 書于汾江漁艇之舷 世所傳漁父詞 集古人漁父之詠 間綴以俗語而爲之長言者 凡十二章而作者名姓無聞焉 往者 安東府 有老妓 能唱此詞 叔父松齋先生 時召此妓使歌之 以助壽席之歡 滉 時尙小 心竊喜之 錄得其槪而猶恨其未爲全調也 厥後存沒推遷 舊聲杳不可追而身墮紅塵 益遠於江湖之樂則 思欲更聞此詞 以寓興而忘憂也 在京師遊蓮亭 常編問而歷訪之 雖老伶韻倡 莫有能解此詞者 以是知其好之者鮮矣 頃歲有密陽朴浚者 名知衆音 凡係東方之樂 或雅或俗 靡不裒集 爲一部書 刊行于世 此詞 與霜花店諸曲 混載其中然 人之聽之於彼則 手舞足蹈 於此則倦而思睡者 何哉 非其人 固不知其音 又焉知其樂乎 惟我聾岩李先生 年踰七十 卽投紱高厲 退閑於汾水之曲 屢召不起 等富貴於浮雲 寄雅懷於物外 常以小舟短棹 嘯傲於煙波之裏 徘徊於釣石之上 狎鷗而忘機 觀魚而知樂則 其於江湖之樂 可謂得其眞矣 佐郞黃君仲擧 於先生親且厚矣 嘗於朴浚書中 取此詞 又得短歌之爲漁父作者十闋 並以爲献 先生得而玩之 喜愜其素尙而猶病其未免冗長也 於是 刪改補撰 約十二爲九 約十爲五而付之侍兒 習而歌之 每遇佳賓好景 憑水檻而弄煙艇 必使數兒並喉而唱詠 聯袂而蹁躚 傍人望之若神仙人焉 噫 先生之於此 旣得其眞樂 宜好其眞聲 豈若世俗之人 悅鄭衛而增淫 聞玉樹而蕩志者比耶 先生 常手寫此本 不辱下示 且責以跋語 滉 身効轅駒 盟寒沙鳥 何敢語江湖之樂 論魚釣之事乎 辭之至再而命之不置 不獲已 謹書所感於其尾 以塞勤命之萬一 東坡所譏以朝市眷戀之徒而山林獨往之語 滉之謂矣。 是歲臈月旣望 豊基守李滉 拜手敬書于郡齋 花潭 徐敬德字可久號花潭 中廟朝授證文康 二三. ᄆᆞ음이어린後ㅣ니ᄒᆞᄂᆞᆫ일이다어리다萬重雲山에어ᄂᆡ님오리마ᄂᆞᆫ지ᄂᆞᆫ닙부ᄂᆞᆫᄇᆞ람에ᄒᆡᆼ혀긘가ᄒᆞ노라 頤菴 宋寅字明仲號頤菴 中朝駙馬礪城尉治禮學善書法謚文端 二四. 이셩져셩ᄒᆞ니이론일이무스일고흐롱하롱ᄒᆞ니歲月이거의로다두어라已矣已矣여니아니놀고어이리 二五. ᄒᆞᆫᄃᆞᆯ셜흔날에盞을아니노핫노라ᄑᆞᆯ病도아니들고입덧도아니난다每日에病업슨덧으란ᄭᆡ지말미엇더리 二六. 드른말卽時닛고본일도못본드시내人事ㅣ이러홈애ᄂᆞᆷ의是非모를로다다만지손이셩ᄒᆞ니盞잡기만ᄒᆞ노라 退溪 陶山六曲 李滉字景浩號退溪 中宗朝登第選湖堂典文衡官至賛成東方之宗謚文純 前六曲 * 言志 二七. 이런들엇더ᄒᆞ며져런들엇더ᄒᆞ료草野愚生이이러타엇더ᄒᆞ료ᄒᆞ믈며泉石膏肓을고쳐므슴ᄒᆞ료 二八. 烟霞로집을삼고風月로벗을사마太平聖代에病으로늘거가뇌이즁에ᄇᆞ라ᄂᆞᆫ일은허믈이나업고쟈 二九. 淳風이죽다ᄒᆞ니眞實로거즛말이人性이어지다ᄒᆞ니眞實올흔말이天下에許多英才ᄅᆞᆯ소겨말슴ᄒᆞᆯ가 三◯. 幽蘭이在谷ᄒᆞ니自然이듯디죠희白雪이在山ᄒᆞ니自然이보디죠해이즁에彼美一人을더옥닛디못ᄒᆞ얘 三一. 山前에有臺ᄒᆞ고臺下에有水ㅣ로다ᄠᅦ만흔ᄀᆞᆯ며기ᄂᆞᆫ오명가명ᄒᆞ거든엇더타皎皎白駒ᄂᆞᆫ멀리ᄆᆞ음ᄒᆞᄂᆞᆫ고 三二. 春風에花滿山ᄒᆞ고秋夜에月滿臺라四時佳興이사ᄅᆞᆷ과한가지라ᄒᆞ믈며魚躍鳶飛雲影天光이야어ᄂᆡ그지이시리 其二 後六曲 * 言學 三三. 天雲臺도라드러玩樂齋蕭灑ᄒᆞᆫ듸萬卷生涯로樂事ㅣ無窮ᄒᆞ얘라이즁에往來風流ᄅᆞᆯ닐러므슴ᄒᆞᆯ고 三四. 雷霆이破山ᄒᆞ여도聾者ᄂᆞᆫ못듯ᄂᆞ니白日이中天하야도瞽者ᄂᆞᆫ못보ᄂᆞ니우리ᄂᆞᆫ耳目聰明男子로聾瞽ᄀᆞᆺ지마로리 三五. 古人도날못보고나도古人못뵈古人을못봐도녀ᄃᆞᆫ길알픠잇ᄂᆡ녀ᄃᆞᆫ길알픠잇거든아니녀고엇졀고 三六. 當時에녀ᄃᆞᆫ길흘몃ᄒᆡᄅᆞᆯᄇᆞ려두고어듸가ᄃᆞᆫ니다가이제야도라온고이제야도라오나니년듸ᄆᆞ음마로리 三七. 靑山은엇졔ᄒᆞ여萬古에프르르며流水ᄂᆞᆫ엇졔하여晝夜애긋지아니ᄂᆞᆫ고우리도그치지마라萬古常靑ᄒᆞ리라 三八. 愚夫도알며ᄒᆞ거니긔아니쉬온가聖人도못다ᄒᆞ시니긔아니어려온가쉽거나어렵거나즁에늙ᄂᆞᆫ줄을몰래라 右陶山十二曲者 陶山老人之所作也 老人之作此何爲也哉 吾東方歌曲 大抵吾 多淫哇不足言 如翰林別曲之類 出於文人之口 而矜豪放蕩 兼以褻慢戲狎 尤非君子所宜 尙惟近世 有李鼈六歌者 世所盛傳 猶爲彼善於此 亦惜乎其 有溫柔少 玩世不恭之意 而少溫柔敦厚之實也 老人素不解音律而猶知厭聞世俗之樂 閑居養疾之餘 凡有感於情性者 每發於詩 然今之詩 異於古之詩 可詠而不可歌也 如欲歌之 必綴以俚俗之語 盖國俗音節 所不得不然也 故甞略倣李歌而作爲陶山六曲者二焉 其一言志 其二言學 欲使兒輩 朝夕習而歌之 憑几而聽之 亦令兒輩 自歌而自舞蹈之 庶幾可以蕩滌鄙吝 感發融通而歌者與聽者 不能無交有益焉 顧自以蹤跡頗乖若以等閑事 或因以惹起鬧端 未可知也 又未信其以入腔調偕音節與未也 姑寫一件藏之篋笥 時取玩以自省 又以待他日覽者之去取云爾。 嘉靖四十四年 歲乙丑 暯春旣望山老書。 松江 鄭澈字季涵號松江 明宗朝登魁第選湖堂 官至左相寅城府院君謚文淸 宜祖甞曰精忠節義草木亦知其名眞所謂鴺班之鶚殿上之虎 三九. 아바님날나흐시고어마님날기르시니두分곳아니면이몸이사라시랴하ᄂᆞᆯᄀᆞᆺ튼恩德을어듸다혀갑ᄉᆞ올고 四◯. 兄아아으야네ᄉᆞᆯ을ᄆᆞᆫ져보아뉘손ᄃᆡ타낫관ᄃᆡ양ᄌᆞ조차ᄀᆞᆺ트슨다ᄒᆞᆫ졋먹고자라나시니닷ᄆᆞ음을먹지마라 四一. 님금과百姓과ᄉᆞ이하ᄂᆞᆯ과ᄯᅡ히로되내의셜온일을다아로려ᄒᆞ시거든우린들ᄉᆞᆯ진미나리ᄅᆞᆯ흔자어이머그리 四二. 어버이사라신제셤길일란다ᄒᆞ여라지나간後ㅣ면애ᄃᆞᆲ다엇지ᄒᆞ리平生에곳쳐못ᄒᆞᆯ일이잇분인가ᄒᆞ노라 四三. ᄒᆞᆫ몸둘헤ᄂᆞᆫ화夫婦ᄅᆞᆯ삼기실샤이신제ᄒᆞᆷᄭᅴ늙고주그면ᄒᆞᆫ대간다어듸셔망녕앳거시눈흘긔려ᄒᆞᄂᆞᆫ고 四四. 간나희가ᄂᆞᆫ길흘ᄉᆞ나희에도드시ᄉᆞ나희녜ᄂᆞᆫ길흘계집이츼도드시제남진제계집아니여든일홈뭇지마로려 四五. 네아들孝經닑ᄃᆞ니어드록ᄇᆡ환ᄂᆞ니내아들小學은모릐면ᄆᆞ츨로다어ᄂᆡ제이두글ᄇᆡ화어질거든보려뇨 四六. ᄆᆞ을사람들아올흔일ᄒᆞ쟈스라사ᄅᆞᆷ이되야나셔올치옷못ᄒᆞ면은ᄆᆞ쇼ᄅᆞᆯ갓곳갈ᄡᅴ워밥머기나다르랴 四七. ᄑᆞᆯ목쥐시거든두손으로바치리라나갈듸계시거든막대들고조츠리라鄕飮酒다罷ᄒᆞ後에뫼셔가려ᄒᆞ노라 四八. ᄂᆞᆷ으로삼긴즁에벗ᄀᆞᆺ치有信ᄒᆞ랴내의왼일을다니려ᄒᆞ노매라이몸이벗님곳아니면사ᄅᆞᆷ되미쉬올가 四九. 어와져族下야밥업시엇지ᄒᆞᆯ고어와져아자바옷업시엇지ᄒᆞᆯ고머흔일다닐러스라돌보고쟈ᄒᆞ노라 五◯. 네집喪事들은어도록호슨다네ᄠᆞᆯ書房은언제나마치ᄂᆞ슨다내게도업다커니와돌보고져ᄒᆞ노라 五一. 오ᄂᆞᆯ도다새거다호뫼메오가쟈스라내논다ᄆᆡ여든네논졈ᄆᆡ야주마올길헤ᄲᅩᆼᄯᅡ다가누에머켜보쟈스라 五二. 비록못니버도ᄂᆞᆷ의오슬앗지마라비록못머거도ᄂᆞᆷ의밥을비지마라ᄒᆞᆫ적곳ᄯᆡ시ᄅᆞᆫ後ㅣ면고쳐싯기어려우니 五三. 雙六將碁ᄒᆞ지마라訟事ㅅ글월ᄒᆞ지마라집배야무슴하며ᄂᆞᆷ의怨讐될줄엇지나라히法을셰오샤罪인ᄂᆞᆫ줄을모로ᄂᆞᆫ다 五四. 이고진져늘그니짐푸러날을주오나ᄂᆞᆫ져멋거니돌히라무거올가늙기도셜웨라커든짐을조차지실가 右十六載見警民編 五五. 江原道百姓들아兄弟訟事마라스라죵ᄭᅱ밧ᄭᅱᄂᆞᆫ엇기에쉽거니와어대가또어들거시라흘긧할긧ᄒᆞᄂᆞᆫ다 五六. 남진죽고우ᄂᆞᆫ눈물두졋에ᄂᆞ리흘러졋마시ᄧᆞ다ᄒᆞ고子息은보채거든져놈아어ᄂᆡ안흐로계집되라ᄒᆞᄂᆞᆫ다 五七. 光化門드리ᄃᆞ라內兵曹上直房에ᄒᆞ롯밤다섯更에스믈석點치ᄂᆞᆫ소릐그덧에陳跡이되도다ᄭᅮᆷ이론듯하여라 五八. 蓬萊山님계신듸五更친나믄소릐城너머구롬지나客窓에들리ᄂᆞ다江南에ᄂᆞ려옷가면그립거든엇지리 五九. ᄡᅳᆫᄂᆞ믈데온물이고기도곤마시이셰草屋조븐줄이긔더욱내分이라다만당님그린타스로시름계워ᄒᆞ노라 六◯. 劉伶은언제사ᄅᆞᆷ고晋적의高士ㅣ로다季涵은긔뉘런고當代에狂生이라두어라高士狂生을무러무슴ᄒᆞ리 六一. 이바이집사ᄅᆞᆷ아이셰간엇지살리솟벼다ᄯᆞ리고죡박귀다업괴야ᄒᆞ믈며기울계대니거든누를밋고살리 六二. 기울계대니거든ᄯᆞ나죡바귀업거니ᄯᆞ나비록이셰간板蕩ᄒᆞᆯ만졍고온님괴기옷괴면그를밋고살리 六三. 므스일이루리라十年지이너를조차내ᄒᆞᆫ일업시셔외다마다ᄒᆞᄂᆞᆫ이이제야絶交篇지여餞送ᄒᆞ되엇더리 六四. 일이나일우려ᄒᆞ면처엄에사괴실가보면반기실싀나도조차ᄃᆞᆫ니ᄃᆞ니眞實로외다옷ᄒᆞ시면마ᄅᆞ신들아니랴 六五. 내말고쳐드러너업스면못살려니머흔일구즌일널로ᄒᆞ여다닛거든이제야ᄂᆞᆷ괴려ᄒᆞ여녯밧말고엇지리 六六. 一定百年산들긔아니草草ᄒᆞᆫ가草草ᄒᆞᆫ浮生이므스일ᄒᆞ려ᄒᆞ여내자바勸ᄒᆞᄂᆞᆫ盞을덜머그려ᄒᆞᄂᆞ니 六七. 예셔ᄂᆞᆯ애를드러두세번만부츠며ᄂᆞᆫ逢箂山第一峯에고온님보련마ᄂᆞᆫᄒᆞ다가못ᄒᆞᄂᆞᆫ일은닐러므슴ᄒᆞ리 六八. 이몸허러내여낸물에ᄯᅴ오고져이물이우러녜여漢江여흘되다ᄒᆞ면그제야님그린내病이헐ᄒᆞᆯ법도잇ᄂᆞ니 六九. 내ᄆᆞ음버혀내여뎌ᄃᆞᆯ을ᄆᆡᆼ글고져九萬里長天에번드시걸려이셔고온님계신고ᄃᆡ가비최여나보리라 七◯. 興亡이數업스니帶方城이秋草ㅣ로다나모론지난일난牧笛에부쳐부고이죠흔太平烟花에ᄒᆞᆫ盞ᄒᆞ되엇더라 七一. 申君望校理적의내마ᄎᆞᆷ修撰으로上下番ᄀᆞ초와勤政門밧기러니고온님玉ᄀᆞᆺ튼양ᄌᆡ눈에암암ᄒᆞ여라 七二. 南極老人星이息影亭에비최여셔滄海桑田이슬ᄏᆞ장뒤눕도록가지록새빗츨내여그믈뉘를모론다 七三. 臺우희셧ᄂᆞᆫ느틔몃ᄒᆡ나ᄌᆞ랏ᄂᆞᆫ고ᄡᅵ지여난휘추리저ᄀᆞᆺ치늙도록애그제야ᄯᅩᄒᆞᆫ盞부어다시獻壽하리라 七四. 靑天구룸밧긔노피ᄯᅳᆫ鶴이러니人間이죠ᄐᆞ냐므스므라ᄂᆞ려온다쟝짓치다ᄯᅥ러지도록ᄂᆞ라갈줄모로ᄂᆞᆫ다 七五. 거문고大絃을치니ᄆᆞ음이다눅ᄃᆞ니子絃에羽調올라漠漠調쇠온말이셟기ᄂᆞᆫ젼혀아니되離別엇지ᄒᆞ리오 七六. 長짓치다지게야ᄂᆞᆯ애ᄅᆞᆯ고쳐드러靑天구룸속에소솝ᄯᅥ올은말이싀훤코훤츨ᄒᆞᆫ世界ᄅᆞᆯ다시보고말와라 七七. 新院院主ㅣ되여녈손님을지내ᄋᆞᆸᄂᆡ가거니오거니人事도하도할샤안가셔보노라ᄒᆞ니슈고로와ᄒᆞ노라 七八. 新院院主ㅣ되여되롱삿갓메오이고細雨斜風에一竿竹빗기드러紅蓼花白蘋洲渚에오명가명ᄒᆞ노라 七九. 新院院主ㅣ되여柴扉ᄅᆞᆯ고쳐닷고流水靑山을벗사마더졋노라아ᄒᆡ야碧蹄에손이라커든날나가다ᄒᆞ고려 八◯. 長沙王賈太傅혜건대우읍괴야ᄂᆞᆷ대되근심을제혼자맛다이셔긴한숨눈물도過커든에에ᄒᆞᆯ줄엇제오 八一. 내양ᄌᆞᄂᆞᆷ만못ᄒᆞᆫ줄나도잠간알건마ᄂᆞᆫ臙脂도ᄇᆞ려잇고粉ᄯᅥ도아니미ᄂᆡ이러코괴실가ᄠᅳᆺ은젼혀아니먹노라 八二. 나모도病이드니亭子ㅣ라도쉬리업다豪華히셔신제ᄂᆞᆫ오리가리다쉬더니닙지고柯枝져즌後ㅣ니새도아니온다 八三. 어화버힐시고落落長松버힐시고져근덧두던들棟梁材되리러니어즈버明堂이기울거든무서스로바치려뇨 八四. 中書堂白玉杯ᄅᆞᆯ十年만에고쳐보니ᄆᆞᆰ고흰빗츤녜온듯ᄒᆞ다마ᄂᆞᆫ엇더타사ᄅᆞᆷ의ᄆᆞ음은朝夕變을ᄒᆞᆫ다 八五. 재너머成勸農집의술닉단말어제듯고누은쇼발로박차언치노하지즐ᄐᆞ고아ᄒᆡ야네勸農계시냐鄭座首왓다ᄉᆞ뢰라 八六. 어화棟梁村ᄅᆞᆯ져리ᄒᆞ여어이ᄒᆞᆯᄭᅩ헐ᄯᅳ더기운집의議論도하도할샤뭇지위고ᄌᆞ자만들고헵ᄯᅳ다가말년ᄂᆞᆫ다 八七. 風波에일니ᄃᆞᆫᄇᆡ어드러로가닷말고구룸이머흘거든처엄에날줄엇지허술ᄒᆞᆫᄇᆡ가진分ᄂᆡᄂᆞᆫ모다조심ᄒᆞ시소 八八. 져긔셧ᄂᆞᆫ져소나모셤도셜샤길ᄀᆞ에가져녀마드리혀져굴헝에셔고라쟈ᄉᆞᆺ듸고도츼멘分ᄂᆡᄂᆞᆫ다지그려ᄒᆞᆫ다 右松江相國鄭文淸公之所著也 公 詩詞淸新警拔 固膾炙人口而歌曲尤妙絶今古 長篇短什 無不盛傳 雖屈平之楚騷子瞻之詞賦殆無以過之 每聽其引喉高詠 聲韻淸楚 音旨超忽 不覺其飄飄乎如憑虛面御風 羽化而登仙 至其愛君憂國之誠則 亦且藹然於辭語之表 至使人感愴而興歎焉 苛非出天忠義 間世風流 其孰能與於此 噫 公以耿介之性 正直之行 而適會黨議大興 讒構肆行 上而得罪於君父 下以見嫉於同朝 流離竄謫 幾死幸全而其所詬罵 至身後彌甚昔 子瞻之遭罹世禍 亦可謂極矣 愛君篇什 猶能見賞於九重 而公則並與此而終不能上撤抑 何其不幸之甚歟 淸陰金文正公 甞論公始末 而比之於左徒之忠 此誠至言哉 北關 舊有公歌曲之刊行者而顧年代已久 且經兵燹 遂失其傳誠可惜也 余以無狀得罪 明時受玦天涯遠隔君親 實無以萬懷 乃澤畔行唫之暇 聊取此篇 正訛繕寫 置諸案頭 時一諷誦 其於排遣 不爲無助 蓋亦僣擬於朱夫子楚辭集註之遺意云爾 時庚子元月上澣 完山後人李選書于車城之幽蘭軒。 灌園 朴啓賢字君沃號灌園 明宗朝文科兵判 八九. ᄃᆞᆯᄇᆞᆯ근五禮城에혀나믄벗이안자故鄕感淚ᄅᆞᆯ뉘아니지리마ᄂᆞᆫ아마도爲國丹忱은나ᄲᅮᆫ인가ᄒᆞ노라 松川 梁應鼎字公燮號松川 明宗登第魁重試官至府尹 九◯. 太平天地間에簞瓢ᄅᆞᆯ두러메고두ᄉᆞ매느리혀고우즑우즑ᄒᆞᄂᆞᆫᄠᅳᆺ은人世에걸닌일업스니그ᄅᆞᆯ죠하ᄒᆞ노라 九一. 嚴冬에뵈옷닙고岩穴에눈비마자구름ᄭᅵᆫ볏뉘ᄅᆞᆯᄧᅬᆫ적이업건마ᄂᆞᆫ西山에ᄒᆡ지다ᄒᆞ니눈물겨워ᄒᆞ노라 南窓 金玄成字餘慶號南窓 明宗祖文科官至同敦 有文才善筆 九二. 樂只쟈오ᄂᆞᆯ이여즐거온쟈今日이야즐거온오ᄂᆞᆯ이ᄒᆡᆼ혀아니져물셰라每日에오ᄂᆞᆯᄀᆞᆺ트면므슴시ᄅᆞᆷ이시리 萬竹 徐益字君受號萬竹 宣廟朝登第官至義州牧使 九三. 이뫼흘허러내여져바흘몌오며ᄂᆞᆫ蓬萊山고온님을거러가도보련마ᄂᆞᆫ이몸이精衞鳥ᄀᆞ틔야바잔일만ᄒᆞ노라 九四. 綠草晴江上에구레버슨ᄆᆞᆯ이되야ᄯᅢㅣ로머리드러北向ᄒᆞ여우ᄂᆞᆫᄠᅳᆺ은夕陽이재너머가매님자그려우노라 荷衣子 洪迪字太古號荷衣子 宣廟朝登第選湖當官止舍人 九五. 어제오ᄃᆞᆫ눈이沙堤에도오돗ᄃᆞᆫ가눈이모래ᄀᆞᆺ고모래도눈이로다아마도世上일이야다이런가ᄒᆞ노라 朴仁老 宣廟時武人官至萬戶 漢陰見盤中早紅使朴仁老命作三章盖出於思親至誠 九六. 盤中早紅감이고와도보이ᄂᆞ다柚子ㅣ아니라도품엄즉ᄒᆞ다마ᄂᆞᆫ품어가반기리업슬싀글로셜워ᄒᆞᄂᆞ이다 九七. 王祥의鯉漁잡고孟宗의竹笋것거검던머리희도록老萊子의오슬닙고一生애養志誠孝ᄅᆞᆯ曾子ᄀᆞᆺ치ᄒᆞ리이다 九八. 萬鈞을느려내야길게길게노를ᄭᅩ와九萬里長天에가ᄂᆞᆫᄒᆡᄅᆞᆯ자바ᄆᆡ야北堂에鶴髮雙親을더듸늙게ᄒᆞ리라 九九. 群鳳모도신듸외가마귀드러오니白玉ᄡᅡ힌듸돌ᄒᆞ나ᄀᆞᆺ다마ᄂᆞᆫ鳳凰도飛鳥와類ㅣ시니뫼셔논들엇ᄃᆞ리 此曲 何爲而作也 昔在辛亥春 曾祖考漢陰相國 使朴萬戶仁老 述懷之曲也 世代旣遠 此曲無傳 恐其泯沒於後 窃甞慨然於心者稔矣 不肖孫允文 是歲庚午春 徐永川郡守 仁老玆土人也 其曲尙今流傳 其孫亦且生存 公餘月夕以其孫進善命歌而聽之 怳若後生 叨陪杖履於龍津山水之間 愴懷益激 感淚自零 並與長歌三曲及短歌四章 而付諸剞劂氏以圖廣傳焉。 時是年三月三日也。 漢陰 李德馨字明甫號漢陰 宣廟朝登第選湖堂典文衡官至領相謚文翼年十四揚蓬萊見而大奇曰眞吾師也 一◯◯. 큰盞에ᄀᆞ득부어醉토록머그며서萬古英雄을손고바혀여보니아마도劉伶李白이내벗인가ᄒᆞ노라 白沙 李恒福字子常號白沙 宣廟朝登第選湖堂 典文衡官至領相鰲城府院君謚文忠善諧謔能文章光海時立節謫北靑卒 一◯一. 時節도져러ᄒᆞ니人事도이러ᄒᆞ다이러ᄒᆞ거니어이져러아닐소냐이런쟈져런쟈ᄒᆞ니한숨계워ᄒᆞ노라 一◯二. 江湖에期約을두고十年을奔走ᄒᆞ니그모른白鷗ᄂᆞᆫ더듸온다하건마ᄂᆞᆫ聖恩이至重ᄒᆞ시니갑고가려ᄒᆞ노라 一◯三. 鐵嶺노픈峰에쉬여넘ᄂᆞᆫ져구름아孤臣寃淚ᄅᆞᆯ비사마ᄯᅴ여다가님계신九重深處에ᄲᅮ려본들엇ᄃᆞ리 月沙 李廷龜字聖徵號月沙 宣廟朝登第典文衡 官至右相謚文忠以戊戍奏文名聞天下 一◯四. 님을미들것가못미들슨님이시라미더온時節도못미들줄아라스라밋기야어려와마ᄂᆞᆫ아니밋고어이리 柳自新 宣廟時人官至判尹 希奮之父 一◯五. 秋山이夕陽을ᄠᅴ고江心에ᄌᆞᆷ겻ᄂᆞᆫ듸一竿竹두러메고小艇에안자시니天公이閑暇히녀겨ᄃᆞᆯ올조차보내도다 南怡 世祖時人官至兵判 一◯六. 長劒을ᄲᅡ혀들고白頭山에올라보니大明天地에腥塵이ᄌᆞᆷ겨셰라언제나南北風塵을헤쳐볼고ᄒᆞ노라 白湖 林悌字子順號白湖 宣廟朝登第官止禮曺正郞 一◯七. 靑草우거진골에자ᄂᆞᆫ다누엇ᄂᆞᆫ다紅顔을어듸두고白骨만무쳣ᄂᆞᆫ이盞자바勸ᄒᆞ리업스니그를슬허ᄒᆞ노라 玄洲 趙纘韓字善述號玄洲 宣廟朝登第官至承旨有文才 一◯八. 貧賤을ᄑᆞᆯ랴ᄒᆞ고權門에드러가니침업슨흥졍을뉘몬져ᄒᆞ쟈ᄒᆞ리江山과風月을달라ᄒᆞ니그ᄂᆞᆫ그리못ᄒᆞ리 一◯九. 天地몃번ᄧᅢ며英雄은누고누고萬古興亡이수후ᄌᆞᆷ에ᄭᅮᆷ이여ᄂᆞᆯ어듸셔망녕엣거슨노지말라ᄒᆞᄂᆞ니 鶴谷 洪瑞鳳字輝世號鶴谷 宣廟朝登第選湖堂參重試典文衡官至嶺相益城府院君 一一◯. 離別ᄒᆞ던날에피눈물이난지만지鴨綠江ᄂᆞ린물이프른빗치젼혀업ᄂᆡᄇᆡ우희허여셴沙工이처음보롸ᄒᆞᄃᆞ라 李舜臣 宣廟朝武科官至統制使謚忠武有智略壬辰亂全羅右水使作龜舡破倭賊 一一一. 閑山셤ᄃᆞᆯᄇᆞᆯ근밤의戍樓에혼자안자큰칼녀픠ᄎᆞ고기픈시ᄅᆞᆷᄒᆞᄂᆞᆫ적의어듸셔一聲胡茄ᄂᆞᆫᄂᆞᆷ의애ᄅᆞᆯ긋ᄂᆞ니 龍湖 呼兒曲四調並詩 趙存性字守初號龍湖 宣廟朝登第官至知敦寧謚昭敏 一一二. 아ᄒᆡ야구럭망태어두西山에날늣거다밤지낸고사리ᄒᆞ마아니늘그리야이몸이이푸새아니면朝夕어이지내리 呼兒先問有無筐 回首西山晩日長 怕夜來薇蕨老只 只綠朝夕不盈膓 右西山採薇 一一三. 아ᄒᆡ야되롱삿갓ᄎᆞᆯ화東澗에비지거다기나긴낙대에미ᄂᆞᆯ업슨낙시ᄆᆡ야져고기놀라지마라내興계워ᄒᆞ노라 呼兒將出綠簑衣 東澗春霏洒石磯 籊籊竹竿魚自在 爲他溪老已忘機 右東澗觀魚 一一四. 아ᄒᆡ야粥早飯다오南畝에일만해라서루론ᄯᅡ부를눌마조자부려뇨두어라聖世躬畊도亦君恩이시니라 呼兒曉起促盤凔 南畝春深事己殷 欲把犁鋤誰與耦 聖時農圃亦君恩 右南畝躬畊 一一五. 아ᄒᆡ야쇼며겨내여北郭에새술먹쟈大醉ᄒᆞᆫ얼굴을ᄃᆞᆯ빗체시러오니어즈버羲皇上人을오ᄂᆞᆯ다시보와다 呼兒騎犢過前川 北郭新醪正似泉 大醉浪吟牛背月 怳然身在伏羲天 右北郭醉歸 象村 申欽字敬叔號象村 宣廟朝登第仁祖初 首拜吏判典文衡官至領相諡文貞 一一六. 山村에눈이오니돌길이무쳐셰라柴扉ᄅᆞᆯ여지마라날ᄎᆞ즈리뉘이시리밤즁만一片明月이긔벗인가ᄒᆞ노라 *한정가(閑精歌) 山村雪後 石逕埋兮 柴扉且莫開兮 訪我有誰哉 中宵一片明月兮 是吾朋兮 一一七. 功名이긔무엇고헌신ᄧᅡᆨ버스니로다田園에도라오니麋鹿이벗이로다百年을이리지냄도亦君恩이로다 功名是何物 如脫弊履 田園歸處 麋鹿爲友 百年此中 過亦君恩 一一八. 草木이다埋沒ᄒᆞᆫ제松竹만프르럿다風霜섯거친제네무스일혼자프른두어라내性이어니무러무슴ᄒᆞ리 草木盡埋沒 松竹獨靑靑 風霜搖落時 爾何獨靑靑置焉哉 不須問兮 亦各性只 一一九. 四皓ㅣ진짓것가留候의奇計로다眞實로四皓ㅣ면은一定아니나오려니그려도아니냥ᄒᆞ여呂氏客이되도다 四皓眞也僞 留侯奇計 實有四皓應不出 終爲呂氏客 一二○. 兩生이긔뉘런고眞實로高士ㅣ로다秦ᄧᅥᆨ의일흠업고漢ᄧᅥᆨ의아니나니엇덧타叔孫通은오다말라ᄒᆞᄂᆞᆫ고 兩生其誰 正是高士 秦時無名 漢時不出 是何物 叔孫通使來不來 一二一. 어제밤눈온後에ᄃᆞᆯ이조차비최엿다눈後ᄃᆞᆯ빗치ᄆᆞᆯ그미그지업다엇더타天末浮雲은오락가락ᄒᆞᄂᆞ뇨 昨夜雪後 月又來照之 雪上月色兮 淸光十分 底事天末 浮雲往來 一二二.냇ᄀᆞ에ᄒᆡ오라바므스일셔잇ᄂᆞᆫ다無心ᄒᆞᆫ져고기를여어무슴ᄒᆞ려ᄂᆞᆫ다아마도ᄒᆞᆫ믈에잇거니니저신들엇ᄃᆞ리 溪邊鷺立何事 魚自無心底事窺 旣是一樣水中物 相忘也宜 一二三. 혓가레기나쟈르나기동이기우나트나數間茅屋을자근줄웃지마라어즈버滿山蘿月이다내거신가ᄒᆞ노라 椽任長短 棟任欹傾 數間茅屋小 且莫笑滿山蘿月皆吾有 一二四. 蒼梧山ᄒᆡ진후에二妃ᄂᆞᆫ어듸간고ᄒᆞᆷᄭᅴ못주근들셔롬이엇더ᄐᆞᆫ고千古에이ᄠᅳᆺ알니ᄂᆞᆫ댓숩핀가ᄒᆞ노라 蒼梧日落 二妃何所 死不同時 恨何極 千古知心是竹林 一二五. 술먹고노ᄂᆞᆫ일을나도왼줄알건마ᄂᆞᆫ信陵君무덤우희밧가ᄂᆞᆫ줄못보신가百年이亦草草ᄒᆞ니아니놀고엇지ᄒᆞ리 飮酒遊亦知非 君不見耕犁遍及信陵墳 百年若草草 不遊何爲 一二六. 神仙을보려ᄒᆞ고弱水를건너가니玉女金童이다나와뭇ᄂᆞᆫ괴야歲星이어듸나간고긔날인가ᄒᆞ노라 欲見神仙渡弱水 玉女金童來相問 歲星何所是吾身 一二七. 얼일샤져鵬鳥ㅣ야웃노라져鵬鳥ㅣ야九萬里長天에므스일로올라간다굴헝에볍새ᄎᆞᆷ새ᄂᆞᆫ못내즐겨ᄒᆞᄂᆞ다 痴平鵬鳥 强乎鵬鳥 九萬里長天 爾胡爲溝壑槍楡彼微禽兮 一二八. 날을뭇지마라前身이柱下史ㅣ뢰靑牛로나간後에몃ᄒᆡᆫ마ᄂᆡ도라온다世間이하多事ᄒᆞ니온동만동ᄒᆞ여라 不須問我 前身柱下史 靑牛去後幾時還 世間太多事來不來 一二九. 是非업슨後ㅣ라榮辱이다不關타琴書를흐튼後에이몸이閑暇ᄒᆞ다白鷗ㅣ야機事를니즘은너와낸가ᄒᆞ노라 是非亡矣 榮辱何關 琴書散後此身閑 白鷗乎忘機吾與爾 一三○. 아츰은비오ᄃᆞ니느지니ᄂᆞᆫᄇᆞ람이로다千里萬里ㅅ길헤風雨ᄂᆞᆫ무스일고두어라黃昏이머럿거니수여간들엇ᄃᆞ리 朝雨晩風 千里萬里 風雨何爲 黃昏尙遠 休歟歸止 一三一. 내가슴헤친피로님의양ᄌᆞ그려내여高堂素壁에거러두고보고지고뉘라셔離別을삼겨사ᄅᆞᆷ죽게ᄒᆞᄂᆞᆫ고 披來胸裏血 寫出檀郞面 掛之高堂素壁間 誰爲離別使人死 一三二. 寒食비온밤의봄빗치다퍼졋다無情ᄒᆞᆫ花柳도ᄯᅢ를아라픠엿거든엇더타우리의님은가고아니오ᄂᆞᆫ고 寒食夜雨 春光遍 花柳無情亦知時 底事檀郞 去不來 一三三. 어젯밤비온後에石榴곳이다픠엿다芙蓉塘畔에水晶簾을거더두고눌向ᄒᆞᆫ기픈시름을못내프러ᄒᆞᄂᆞ뇨 昨夜雨 石榴花開 芙蓉塘畔 捲起水晶簾 等閑愁爲誰苦 一三四. 窓밧긔워석버석님이신가니러보니蕙蘭蹊徑에落葉은므스일고어즈버有限ᄒᆞᆫ肝腸이다그츨가ᄒᆞ노라 窓外窸窣認郞來 蕙蘭蹊徑 落葉又何有限 肝腸盡斷 一三五. 銀釭에불ᄇᆞᆰ고獸爈에香이진지芙蓉기픈帳에혼자ᄭᆡ야안자시니엇더타헌ᄉᆞᄒᆞᆫ져更點아ᄌᆞᆷ못드러ᄒᆞ노라 銀釭熖獸爐燼 芙蓉深帳獨覺 遲遲更漏 夢未成 一三六. 봄이왓다ᄒᆞ되消息을모로더니냇ᄀᆞ에프른버들네몬져아도괴야어즈버人間離別을ᄯᅩ엇지ᄒᆞᄂᆞ다 聞道春還 未聞消息 溪邊柳 爾先知人間離別又將何 一三七. 人間을ᄯᅥ나니ᄂᆞᆫ이몸이閑暇ᄒᆞ다簑衣를니믜ᄎᆞ고釣磯로올라가니운노라太公望은나간줄을몰레라 離了人間此身閑 簑上釣磯 却笑太公望底事去無還 一三八. 南山기픈골에두어이랑니러두고三神山不死藥을다ᄏᆡ야심근말이어즈버滄海桑田을혼자볼가ᄒᆞ노라 南山深山洞數頃田 蒔遍三神山不老草 滄海桑田我獨見 一三九. 술이몃가지오淸酒와濁酒ㅣ로다먹고醉할션졍淸濁이관계ᄒᆞ랴ᄃᆞᆯᄇᆞᆰ고風淸한밤이여니아니ᄭᆡᆫ들엇ᄃᆞ리 酒有幾種 淸兮又濁 得酒已矣 淸濁何分 月白風淸 惟醉無醒 一四○. 반되불이되다반되지웨불일소냐돌히별이되다돌이지웨별일소냐불인가별인가ᄒᆞ니그를몰라ᄒᆞ노라 螢雖爲火 螢也非火 石雖爲星 石也非星 或火或星 此未解者 一四一. 곳지고속닙나니時節도變ᄒᆞ거다풀소게푸른버레나뷔되야ᄂᆞ다ᄂᆞᆫ다뉘라셔造化를자바千變萬化ᄒᆞᄂᆞᆫ고 花落葉生 時節變 草底靑蟲作蝶飛 誰持造化 千變萬化 一四二. 느저날셔이고太古ㅅ적을못보완쟈結繩을罷ᄒᆞᆫ後에世故도하도할샤ᄎᆞᆯ하로酒鄕에드러이世界를니즈리라 生胡晩不太古 結繩罷世故多 寧入酒鄕 忘世界 一四三. 樽中에술이잇고座上에손이ᄀᆞ득大兒孔文擧를고쳐어더볼ᄭᅥ이고어즈버世間餘子를닐러므슴ᄒᆞ리 樽中酒 座上客 大兒孔文擧 那復見世間餘子何復道 一四四. 노래삼긴사ᄅᆞᆷ시름도하도할샤닐러다못닐러불러나푸돗ᄃᆞᆫ가眞實로풀릴거시면은나도불러보리라 始作歌者正多愁 言不能盡歌以解 歌可解愁吾亦歌 一四五. 步虛子ᄆᆞᆺ츤後에與民樂을니어ᄒᆞ니羽調界面調에客興이더어셰라아ᄒᆡ야商聲을마라ᄒᆡ져믈가ᄒᆞ노라 步虛子將闋 與民樂繼奏 羽調界面調 客興添 莫彈商聲 恐歲暮 放翁詩餘序 中國之歌 備風雅而登載籍 我國所謂歌者 只足以爲賓筵之娛 用之風雅籍則否焉 盖語音殊也 中華之音 以言爲文我國之音 待譯乃文故 我東非才彦之乏 而如樂府新聲無傳焉 可慨而亦可謂野矣 余旣歸田 世固棄我 而我且倦於世故矣 顧平昔榮顯已糠粃土苴 惟遇物諷詠則 有憑夫下車之病有所會心 輒形詩章而有餘 繼以方言而腔之而記之 以諺此僅下里折楊 無得駱壇一斑而其出於遊戱 或不無可觀 萬歷癸丑長至放翁 書于黔浦田舍 竹所 栗里遺曲 金光煜字晦而號竹所光海時登第官至形曺判書提學 一四六. 陶淵明주근後에ᄯᅩ淵明이나닷말이밤ᄆᆞ을녜일흠이마초와ᄀᆞ틀시고도라와守拙田園이야긔오내오다르랴 一四七. 功名도니젓노라富貴도니젓노라世上번우한일다주어니젓노라내몸을내ᄆᆞ자니즈니ᄂᆞᆷ이아니니즈랴 一四八. 뒷집의술ᄡᆞᆯ을ᄭᅮ니거츤보리말못ᄎᆞ다즈는것마고ᄯᅵ허쥐비저괴아내니여러날주렷ᄃᆞᆫ입이니ᄃᆞ나ᄡᅳ나어이리 一四九. 江山閑雅ᄒᆞᆫ風景다주어맛다이셔내혼자님자여나뉘라셔ᄃᆞ톨소니ᄂᆞᆷ이야숨ᄭᅮ지너긴들ᄂᆞᆫ화볼줄이시랴 一五○. 딜가마조히싯고바회아래ᄉᆡᆷ물기려ᄑᆞᆺ쥭ᄃᆞᆯ게ᄡᅮ고저리지이ᄭᅳ어내니世上에이두마시야ᄂᆞᆷ이알가ᄒᆞ노라 一五一. 어와져白鷗야므슴슈고ᄒᆞᄂᆞ슨다ᄀᆞᆯ숩흐로바자니며고기엇기ᄒᆞᄂᆞᆫ괴야날ᄀᆞᆺ치군ᄆᆞ음업시ᄌᆞᆷ만들며엇더리 一五二. 茅簷기나긴ᄒᆡ에ᄒᆡ올일이아조업어蒲團에낫ᄌᆞᆷ드러夕陽에지자ᄭᆡ니門밧귀뉘ᄋᆞᄒᆞᆷᄒᆞ며낙시가쟈ᄒᆞᄂᆞ니 一五三. 三公이貴타ᄒᆞᆫ들이江山과밧골소냐扁舟에ᄃᆞᆯ을싯고낙대를흣더질제이몸이이淸興가지고萬戶侯인들부르랴 一五四. 秋江ᄇᆞᆯ근ᄃᆞᆯ에一葉舟혼자저어낙대를ᄯᅥᆯ쳐드니자ᄂᆞᆫ白鷗다놀란다어듸셔一聲漁笛은조차興을돕ᄂᆞ니 一五五. 헛글고싯근文書다주어후리치고匹馬秋風에채를쳐도라오니아므리ᄆᆡ인새노히다이대도록싀훤ᄒᆞ랴 一五六. 대막대너를보니有信ᄒᆞ고반갑괴야나니아ᄒᆡᆺ적의너를ᄐᆞ고ᄃᆞᆫ니더이이제란窓뒤혜셧다가날뒤셰고ᄃᆞᆫ녀라 一五七. 世上사ᄅᆞᆷ들이다ᄡᅳ러어리더라죽을줄알면셔놀줄란모로더라우리ᄂᆞᆫ그런줄알모로長日醉로노노라 一五八. 사ᄅᆞᆷ이주근後에다시사니보왓ᄂᆞᆫ다왓노라ᄒᆞ니업고도라와ᄂᆞᆯ보니업다우리는그런줄알모로사라신제노노라 一五九. 黃河水ᄆᆞᆰ단말가聖人이나셔도다草野群賢이다니러나닷말가어즈버江山風月을눌을주고갈소니 一六○. 셰버들柯枝것거낙근고기ᄭᅱ여들고酒家를ᄎᆞ즈려斷橋로건너가니왼골에杏花져ᄡᅡ히니갈길몰라ᄒᆞ노라 一六一. 東風이건듯부러積雪을다노기니四面靑山이녜얼골나노매라귀밋틔ᄒᆡ무근서리ᄂᆞᆫ녹을줄을모른다 一六二. 崔行首ᄡᅮᆨ달힘ᄒᆞ새趙同甲곳달힘ᄒᆞ새ᄃᆞᆯᄧᅵᆷ게ᄧᅵᆷ오려點心날시기소每日에이렁셩굴면므슴시름이시랴 洛西 張晩字好古號洛西 仁祖朝官至二相兵判都元師玉城府院君 一六三. 風波에놀란沙工ᄇᆡᄑᆞ라ᄆᆞᆯ을사니九折羊腸이물도곤어려왜라이後란ᄇᆡ도ᄆᆞᆯ도말고밧갈기만ᄒᆞ리라 湖洲 蔡裕後字伯昌號湖洲 仁祖朝登第選湖堂 典文衡官至吏曺判書 一六四. ᄃᆞ나ᄡᅳ나니濁酒죠코대테메온질병드리더옥죠희어론쟈박구기ᄅᆞᆯ둥지둥둥ᄠᅴ여두고아ᄒᆡ야저리짐칄만졍업다말고내여라 陽坡 鄭太和字囿春號陽坡 仁祖朝登第官至嶺相謚翼憲 一六五. 술을醉케먹고두렷이안자시니億萬시름이가노라下直ᄒᆞᆫ다아ᄒᆡ야盞ᄀᆞ득부어라시ᄅᆞᆷ餞送ᄒᆞ리라 東溟 鄭斗卿字君平號東溟 仁祖朝登魁枓官至禮曺參判提學文章奇拔 一六六. 金樽에ᄀᆞ득ᄒᆞᆫ술을슬커장거후로고醉ᄒᆞᆫ後긴노래에즐거오미그지업다어즈버夕陽이盡타마라ᄃᆞᆯ이조차오노매 一六七. 君平이旣棄世ᄒᆞ니世亦棄君平이醉狂은上之上이오時事는更之更이라다만지淸風明月은간곳마다좃늰다 余 髮未燥已嗜詩 猥爲鄭東溟斗卿所獎愛 甞呼餘爲敬亭山 盖相看不厭之意也 曾於戊申間 抱痾杜門 一日東溟 來問任休窩有後 金相谷得臣 亦繼至皆不期也 餘於是 設小酌 致數三女 樂以娛之 酒半 溟老 乘興擧酌曰 丈夫生世 韶華如電 今朝一懽 可敵萬鐘休窩 即唫一絶曰 春動寒梅臈酒濃 栢翁溟老兩難逢 樽前錦瑟兼淸唱 醉對終南雪後峰 題畢 屬東溟曰 弱者失手 願君以扛鼎力 試於奉匜㓇盥也 東溟曰 蘭亭之會 賦者賦 飮者飮 今日之樂 亦可以歌者歌 舞者舞 吾請歌之仍作短歌 揮手大唱 仍破顏徵笑 素髮朱顏 眞酒中仙也 休窩俾餘和之 餘忘拙效嚬曰淸夜開罇琥珀濃 文章三老一時逢 縱穔筆下千釣力 可倒天臺萬丈峯 諸公皆稱善 洪晩洲錫箕 後之 運倒三杯 携携起栢谷 蹲蹲而舞 東溟 顧餘曰 人生百年 此樂如何 不恨我不見古人恨 古人之不見我也 君其志之 庶使此會 傳之不杇 余並䟽于左 以觀夫失輩寓意遺辭之處耳 豊山後人玄默子洪宇海識 雪峰 姜栢年字叔久號雪峰 仁祖朝登第魁重試 官至行禮曺判書提學 一六八. 靑春에곱던양ᄌᆞ님으뢰야다늙거다이제님이보면날인줄아르실가아모나내形容그려다가님의손ᄃᆡ드리고져 李浣 字淸之 仁祖朝武科至 李廟朝官至右相 一六九. 君山을削評턴들洞庭湖ㅣ너를랏다桂樹ᄅᆞᆯ버히던들ᄃᆞᆯ이더욱ᄇᆞᆯ글거슬ᄠᅳᆺ두고이로지못ᄒᆞ고늙기셜워ᄒᆞ노라 松湖 許珽字仲玉號松湖 李廟朝登第官至承旨 一七○. 日中三足烏ㅣ야가지말고내말드러너희ᄂᆞᆫ反哺鳥ㅣ라鳥中之曾參이로니北堂에鶴髮雙親을더듸늙게ᄒᆞ여라 一七一. 西湖눈진밤의ᄃᆞᆯ빗치낫ᄀᆞᆺᄐᆞᆫ제鶴氅을님의ᄎᆞ고江皐로나려가니蓬海에羽衣仙人을마조본듯ᄒᆞ여라 一七二. 니영이다거두치니울잣신들셩ᄒᆞᆯ소냐불아니다힌房에긴밤어이새오려니아ᄒᆡᄂᆞᆫ世事ᄅᆞᆯ모로고이야지야ᄒᆞᆫ다 最樂堂 朗原君諱侃字和叔號最樂堂 宣祖大王之孫仁與君之子 一七三. 淨友亭도라드러最樂堂閑暇ᄒᆞᆫ듸琴書生涯로樂事ㅣ無窮ᄒᆞ다마ᄂᆞᆫ이밧긔淸風明月이야어ᄂᆡ그지이시리 一七四. 山은잇건마ᄂᆞᆫ물은간듸업다晝夜로흐르니나믄물이이실소냐아마도千年流水ᄂᆞᆫ나도몰라ᄒᆞ노라 一七五. ᄃᆞᆯ은언제나며술은뉘삼긴고劉伶이업슨後에太白이도간듸업다아마도무를듸업스니홀로醉코놀리라 一七六. 이도聖恩이오뎌도聖恩이라모도신公子님ᄂᆡ아ᄂᆞᆫ가모로ᄂᆞᆫ가眞實로이ᄠᅳᆺ을ᄋᆞ라셔同樂太平ᄒᆞ오리라 一七七. 이술이天香酒ㅣ라모다대되슬타마소令辰에醉ᄒᆞᆫ後에解酲杯다시ᄒᆞ새ᄒᆞ믈며聖代를만나아니醉코어이리 一七八. 天寶山ᄂᆞ린물을金谷村에흘려두고玉流堂지은ᄠᅳᆺ을아ᄂᆞᆫ다모로ᄂᆞᆫ다眞實로이ᄠᅳᆺ을알면날인줄을알리라 一七九. 玉流堂죠탓말듯고金谷村에드러가니天寶山下에玉流水ㅅᄲᅮᆫ이로다두어라樂山樂水를알리업서ᄒᆞ노라 一八○. 山아首陽山아伯夷叔齊어듸가니萬古淸節을두고간줄뉘아ᄃᆞ니어즈버堯天舜日이야親히본가ᄒᆞ노라 一八一. 太公의釣魚臺를계유구러ᄎᆞ자가니江山도그지업고志槩도새로왜라眞實로萬古英風을다시본듯하여라 一八二. 灤河水도라드니師尙父의釣磯로다渭水風煙이야古今에다를소냐어즈버玉璜畢事를親히본듯ᄒᆞ여라 一八三. 首陽山ᄂᆞ린물이釣魚臺로가다ᄒᆞ니太公이낙던고기나도낙가보련마ᄂᆞᆫ그고기至今히업스니물동말동ᄒᆞ여라 右三首釣魚臺和孝廟御製 一八四. 日月도녜과ᄀᆞᆺ고山川도依舊ᄒᆞ되大明大物은쇼졀업시간듸업다두어라天運이循環ᄒᆞ니다시볼가ᄒᆞ노라 一八五. 笛童을아픠셰고楓嶽을ᄎᆞ자오니神仙은어듸가고鶴巢만나만ᄂᆞᆫ고아므나赤松子만나든날왓더러닐러라 一八六. 平生에일이업서山水間에노니다가江湖에님자되니世上일다니제라엇더타江山風月이긔벗인가ᄒᆞ노라 一八七. 天恩이ᄀᆞ이업서代마다덥혀두고太平聖世에가플일이어려왜라두어라爲國忠心을永世不忘ᄒᆞ오리라 一八八. 石上에自枯桐을석자만버혀내면一張玄琴이自然이되련마ᄂᆞᆫ아마도高山流水를알리업서ᄒᆞ노라 一八九. 솔아심긴솔아네어이심겻ᄂᆞᆫ다遲遲澗畔을어듸두고예와셧ᄂᆞᆫ眞實로鬱鬱ᄒᆞᆫ晩翠를알리업서ᄒᆞ노라 一九○. ᄒᆡ져어돕거ᄂᆞᆯ밤즁만너겻더니덧업시ᄇᆞᆯ가지니새날이되야긔야歲月이流水ᄀᆞ트니늙기셜워ᄒᆞ노라 一九一. 제分죠흔줄을ᄆᆞ음에定ᄒᆞᆫ後에功名富貴로草屋을밧골손가世俗에버서난後ㅣ면自行自處ᄒᆞ리라 一九二. 天理ᄅᆞᆯ알쟉시면天道ㅣ라타뉘모르리忠孝大義ᄂᆞᆫ修身에ᄃᆞᆯ년ᄂᆞ니事業을節義로行ᄒᆞ면긔올흔가ᄒᆞ노라 一九三. 德으로일삼으면제分일줄제모로며懲忿을져버보면窒慾인들뉘모로리學文을보뵈로아라야去取適中ᄒᆞ리라 一九四. 말슴을ᄀᆞᆯ희여내면결을일이바히업고無逸을죠하ᄒᆞ면貧慾인들이실소냐一毫ㅣ나밧긔일ᄒᆞ면헷工夫인가ᄒᆞ노라 一九五. 어져내말듯소君子工夫다ᄒᆞᆫ後에死生을뉘알관ᄃᆡ老少로ᄃᆞ톨손가그려도餘日이이시니學文이나ᄒᆞ리라 一九六. 사람이삼긴後에天性을가져이셔善惡을分別ᄒᆞ면孔孟인들부를소냐이밧긔說話만ᄒᆞ니그를몰라ᄒᆞ노라 一九七. 어버이날나흐셔어질과쟈길러내니이두分아니시면내몸나셔어질소냐아마도至極ᄒᆞᆫ恩德을못내가파ᄒᆞ노라 一九八. 우리몸갈라난들두몸이라아지마소分形連氣ᄒᆞ니이니론兄弟니라兄弟아이ᄠᅳᆺ을아라自友自恭ᄒᆞ쟈스라 一九九. 男女有別ᄒᆞᆫ줄사ᄅᆞᆷ마다알년마ᄂᆞᆫ學文을모로면알기아니어려온랴眞實로國法이이시니無別無行ᄒᆞ지마라 二○○. 져무니어룬뫼셔간듸마다ᄎᆞ례곳알면無知ᄒᆞᆫ愚氓들도아니아지못ᄒᆞ려니ᄒᆞ믈며人倫을알려ᄒᆞ면이아니코어이리 二○一. ᄂᆞᆷ으로셔親ᄒᆞᆫ사ᄅᆞᆷ벗이라닐러시니有信곳아니ᄒᆞ면사괼줄이이실소냐우리ᄂᆞᆫ어진벗아라셔責善을바다보리라 二○二. 鄕黨은禮ᄇᆞ르니어ᄂᆡ사ᄅᆞᆷ無禮ᄒᆞ리無知ᄒᆞᆫ少年들이年齒를제몰라도그러나人形을가져시니ᄇᆡ화알가ᄒᆞ노라 余一日 謁 王孫朗原公於最樂堂中 公 授一小冊子 名永言者 曰此吾平日家居行役之際 叙懷面寄興 私自收錄者 子其爲我評焉 余謹受而退 三復而諷誦 槩絶無芬華場流蕩鄙俚之作 而其得於跌宕山水之間者 爲獨多且愛君啚報之 願與勑身自警之意 輒於是而發之 凡數十有餘闋也 余素不能爲此 其音調節族之盡合於格與否 固未可知也 而試就其得於山水之間者 言之 實幽遠閑放 有緱嶺淮南之遺 思 至如感祝啚報之詠則忠愛之誠 又藹然溢於辭表 而所謂自警之語 亦嚴正切實 凛然若有道者言 要之皆可歌而傳也 夫歌者 詩之類也 是以 古者里巷風謠 如田畯野夫之詞 亦得徹於陳詩之列 或被以管絃 用之鄕黨邦國 而爲感發興起之資焉 其不可廢也 亦審矣 嗟乎 公 以天潢貴介 主上 方待以尊屬 位遇甚隆 子姓繁昌 金犀貂玉輝映於階庭 其福履之盛 世盖比之於漢萬石君然公又小心畏愼 孜孜焉 躬布一素儒雅之行而言之出於情性之正者 又如此 其可貴重也 豈止如里卷田畯野夫之詞而惜乎 我朝無採謠之擧 不免爲巾笥之藏也 雖然 使世之人 得此卷而讀之 詠嘆淫液之餘 其榮利塵氛之累 豈不少瘳乎 而愛君勑身之念 亦必有不能己者矣 公 其勿秘惜之也 歲在丁丑初春 姪延安李賀朝謹書 藥泉 南九萬字雲路號藥泉 李廟朝登第官至領相奉朝賀 </div> <div style="width:48%;float:right;"> </div> {{-}} <div style="width:48%;float:left;"> 二○三. 東窓이ᄇᆞᆯ갓ᄂᆞ냐노고지리우지진다쇼칠아ᄒᆡᄂᆞᆫ여태아니니러ᄂᆞ냐재너머ᄉᆞ래긴밧츨언제갈려ᄒᆞᄂᆞ니 </div> <div style="width:48%;float:right;">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 소치는 아이는 여태 아니 일었느냐 / 재 너머 사래 긴 밭을 언제 갈려 하느니 </div> {{-}} 柳赫然 肅宗朝武科至大將 二○四. ᄃᆞᆺᄂᆞᆫᄆᆞᆯ셔셔늙고드ᄂᆞᆫ칼보뫼거다無情歲月은白髮을ᄌᆡ촉ᄒᆞ니聖主의累世鴻恩을못가플가ᄒᆞ노라 定齋 朴泰輔字士元號定齋 肅宗朝登第官至應敎己巳三臣 二○五. 胸中에불이나니五臓이다ᄐᆞ간다神農氏ᄭᅮᆷ에보와불ᄭᅳᆯ藥무러보니忠節과慷慨로난불이니ᄭᅳᆯ藥업다ᄒᆞᄃᆞ라 逸老堂 二○六. 公庭에吏退ᄒᆞ고ᄒᆞᆯ일이아조업서扁舟에술을싯고侍中臺ᄎᆞ자가니蘆花에수만흔ᄀᆞᆯ며기는제벗인가ᄒᆞᄃᆞ라 二○七. 술ᄭᆡ야니러안자거믄고를戯弄ᄒᆞ니窓밧긔셧ᄂᆞᆫ鶴이즐겨서넘ᄂᆞᄂᆞᆫ다아ᄒᆡ야나믄술부어라興이다시오노ᄆᆡ라 二○八. 좌내집의술직거든부듸날부르시소내집의곳픠여든나도좌내請ᄒᆡ옴ᄉᆡ百年ᄯᅥᆺ시ᄅᆞᆷ니즐일을議論코져ᄒᆞ노라 石郊 二○九. 거믄고술ᄭᅩ자노코호졋이낫ᄌᆞᆷ든제柴門犬吠聲에반가온벗오도괴야아ᄒᆡ야點心도ᄒᆞ려니와외자濁酒내여라 二一○. 자나믄보라매를엇그제ᄀᆞᆺ손ᄯᅥ혀ᄲᅢ짓체방올ᄃᆞ라夕陽애밧고나니丈夫의平生得意ᄂᆞᆫ잇분인가ᄒᆞ노라 二一一. 벼슬을저마다ᄒᆞ면農夫ᄒᆞ리뉘이시며醫員이病고치면北邙山이져려ᄒᆞ랴아ᄒᆡ야盞ᄀᆞ특부어라내ᄠᅳᆺ대로하리라 石湖 二一二. 벼슬이貴타ᄒᆞᆫ들이내몸에비길소냐蹇驢ᄅᆞᆯ밧비모라故山으로도라오니어듸셔急ᄒᆞᆫ비ᄒᆞᆫ줄기에出塵行裝시서고 二一三. 諫死ᄒᆞᆫ朴坡州ㅣ야주그라셜워마라三百年綱常을네혼자붓들거다우리의聖君不遠復이네죽긴가ᄒᆞ노라 光齋 二一四. 사ᄅᆞᆷ이삼겨나셔皐陶稷契못될지면千古往牒에ᄯᅩ눌을부러ᄒᆞ리五湖에扁舟烟月이明哲인가ᄒᆞ노라 二一五. 金壇이雄豪ᄒᆞ고黃閣이尊重ᄒᆞᆫ들功業이蕭條ᄒᆞ여富貴만ᄒᆞ량이면ᄎᆞᆯ하리靑山綠水에逸民이나되오리라 == 列聖御製 == 太宗 二一六. 이런들엇더ᄒᆞ며져런들엇더ᄒᆞ료萬壽山드렁츩이얼거진들엇더ᄒᆞ리우리도이ᄀᆞᆺ치얼거져百年ᄭᆞ지누리리라 孝宗 二一七. 靑石嶺지나거냐草河口ㅣ어듸ᄆᆡ오胡風도ᄎᆞᆷ도ᄎᆞᆯ샤구즌비ᄂᆞᆫ무스일고아므나行色그려내여님계신듸드리고쟈 二一八. 朝天路보뫼닷말가玉河舘이뷔닷말가大明崇禎이어드러로가시건고三百年事大誠信이ᄭᅮᆷ이런가ᄒᆞ노라 二一九. 앗가야사ᄅᆞᆷ되랴온몸에짓치도쳐九萬里長天에프드득소사올라님계신九重宮闕을구버볼가ᄒᆞ노라 肅宗 二二○. 秋水ᄂᆞᆫ天一色이오龍舸ᄂᆞᆫ泛中流ㅣ라簫鼓一聲에解萬古之愁兮로다우리도萬民ᄃᆞ리고同樂太平ᄒᆞ리라 == 閭巷六人 == 張鉉 二二一. 鴨綠江ᄒᆡ진後에에엿분우리님이燕雲萬里ᄅᆞᆯ어듸라고가시ᄂᆞᆫ고봄풀이프르고프르거든卽時도라오쇼셔 朱義植 二二二. 하ᄂᆞᆯ이놉다ᄒᆞ고발져겨셔지말며ᄯᅡ히두텁다고ᄆᆞ이ᄇᆞᆲ지마롤거시하ᄂᆞᆯᄯᅡ놉고두터워도내조심을ᄒᆞ리라 二二三. 窓밧긔아ᄒᆡ와셔오ᄂᆞᆯ이새ᄒᆡ오커ᄂᆞᆯ東窓을열처보니녜돗ᄃᆞᆫᄒᆡ도닷다아ᄒᆡ야萬古ᄒᆞᆫᄒᆡ니後天에와닐러라 二二四. 말하면雜類라ᄒᆞ고말아니면어리다ᄒᆞᄂᆡ貧寒을ᄂᆞᆷ이웃고富貴를새오ᄂᆞᆫ듸아마도이하ᄂᆞᆯ아레사롤일이어려왜라 二二五. 늙고病든몸이가다가아므듸나절로소슨뫼헤손조밧가로리라結實이언매리마ᄂᆞᆫ連命이나ᄒᆞ리라 二二六. 荊山에璞玉을어더世上사ᄅᆞᆷ뵈라가니것치돌이여니속알리뉘이시리두어라알닌들업스랴돌인드시잇거라 二二七. 人生을혜여ᄒᆞ니ᄒᆞᆫ바탕ᄭᅮᆷ이로다죠흔일구즌일ᄭᅮᆷ속에ᄭᅮᆷ이여니두어라ᄭᅮᆷᄀᆞᆺ튼人生이아니놀고어이리 二二八. 주려주그려ᄒᆞ고首陽山에드럿거니헌마고사리ᄅᆞᆯ머그려ᄏᆡ야시랴物性이구븐줄믜워펴보려고ᄏᆡ미라 二二九. 屈原忠魂ᄇᆡ에너흔고기采石江등에언ᄭᅩᄒᆞᄂᆞᆯ우회올ᄂᆞ시니에제ᄂᆞᆫ새고기낫거니낙가ᄉᆞᆷ다엇더리 二三○. 忠臣의속ᄆᆞ음을그님금이모로므로九原千載에다스러ᄒᆞ려니와比干은ᄆᆞ음을뵈야시니므슴恨이이시리 二三一. 唐虞도죠커니와夏商周ㅣ더옥죠희이제를혜여ᄒᆞ니어ᄂᆡ적만ᄒᆞᆫ거이고堯天에舜日이ᄇᆞᆯ가시니아모젠줄몰래라 余甞得見失公道源所製 新飜一二闋 惟恨未得其全調也 一日 卞君和叔 爲我得全篇以眎之 余三復遍閱 其辭正大 其旨微婉 皆發乎情而實有風雅之遺韵 使古之觀民風者采之 其亦得徹於陳詩之列矣 盖玩其詞而想其人 必非烟火中人也 噫公 非徒能於此也 持身恭儉 處心恬靜 逡逡有君子之風焉 歲戊申夏五月上澣 南坡老圃書 金三賢 二三二. 늙기셜은줄을모로고나늘것ᄂᆞᆫ가春光이덧이업서白髮이절로낫다그러나少年ᄶᅧᆨᄆᆞ음은감ᄒᆞᆫ일이업세라 二三三. 綠楊春三月을자바ᄆᆡ야둘거시면셴머리ᄲᅩ바내여ᄎᆞᆫᄎᆞᆫ동혀두련마ᄂᆞᆫ올ᄒᆡ도그리못ᄒᆞ고그저노화보내거다 二三四. 松壇에선ᄌᆞᆷᄭᆡ야醉眼을드러보니夕陽浦口에나드ᄂᆞ니白鷗ㅣ로다어즈버이江山風景이야어ᄂᆡ그지이시리 二三五. 功名을즐겨마라榮辱이半이로다富貴ᄅᆞᆯ貪치마라危機를ᄇᆞᆲᄂᆞ니라우리ᄂᆞᆫ一身이閑暇커니두려온일업세라 二三六. 크나큰바회우희네사ᄅᆞᆷ이閑暇롭다紫芝歌ᄒᆞᆫ曲調ᄅᆞᆯ오ᄂᆞᆯ이야드를런가이後ᄂᆞᆫ나ᄒᆞ나더ᄒᆞ니五皓ㅣ될가ᄒᆞ노라 二三七. 내精靈술에섯겨님의속에흘러드러九回肝腸을다ᄎᆞ자ᄃᆞᆫ닐만졍날닛고ᄂᆞᆷ向ᄒᆞᆫᄆᆞ음을다스로려ᄒᆞ노라 漁隱 * 漁隱 金聖器 二三八. 江湖에ᄇᆞ린몸이白鷗와벗이되야漁艇을흘리노코玉簫를노피부니아마도世上興味ᄂᆞᆫ잇분인가ᄒᆞ노라 二三九. 겨월이다지나고봄節이도라오니萬壑千峰에프른빗치새로왜라아ᄒᆡ야江湖에ᄇᆡᄯᅴ오고낙대推尋ᄒᆞ여라 二四○. 이몸이ᄒᆞᆯ일업서西湖ᄅᆞᆯᄎᆞ자가니白沙淸江에ᄂᆞ니ᄂᆞ니白鷗ㅣ로다어듸셔漁歌一曲이이내興을돕ᄂᆞ니 二四一. 寥花에ᄌᆞᆷ든白鷗선ᄌᆞᆷᄭᆡ야ᄂᆞ지마라나도일업서江湖客이되엿노라이後ᄂᆞᆫᄎᆞ즈리업스니너를조차놀리라 二四二. 塵埃에무친分ᄂᆡ이내말드러보소富貴功名이됴타도ᄒᆞ려니와갑업슨江山風景이긔죠흔ᄒᆞ노라 二四三. 紅塵을다ᄯᅥᆯ치고竹杖芒鞋집고신고玄琴을두러메고洞天으로드러가니어듸셔ᄧᅡᆨ을흔鶴唳聲이구룸밧긔들린다 二四四. 玉盆에심근梅花ᄒᆞᆫ柯枝것거내니곳도됴커니와暗香이더옥죠타두어라것근곳이니ᄇᆞ릴줄이이시랴 二四五. 구레버슨千里馬를뉘라셔자바다가조쥭ᄉᆞᆯ믄콩을ᄉᆞᆯ지게머겨둔들本性이왜양ᄒᆞ거니이실줄이이시랴 余甞癖於歌 裒集 國朝以來名人里巷之作 獨漁隱金聖器之譜 往往傳誦 而知其全譜者鮮故 廣求而莫之得 心常恨焉 乃者遇西湖金君重呂於文郁哉許君卽漁隱知己也 余謂之曰 子甞從漁隱 其所謂永言 想多記藏者 爲我示諸曰吾與漁隱 十數年 同遊江湖 其平日叙懷寓興者 盡記而有之 其中多有油然感人者 聾俗不知故 藏諸巾笥 以待好事者久矣 子言如是 玆曲 將行于世也 遂歸其全篇 三復諷詠 其得於跌宕山水之趣者 自見於辭語之表 飄飄然有遐擧物外之意矣 盖漁隱 逍遙天地間一閑人也 凡於音律 莫不妙悟 性好江山 構屋于西江之上 號漁隱 晴朝月夕 或拊琴坐柳磯 或吹簫弄烟波 狎鷗而忘機 觀魚而知樂 以自放於形骸之外 此其所以自適其適 而善鳴於歌曲者歟。 歲戊申暮春旣望 南波老圃書 金裕器 * 漁隱 金裕器 二四六. 내몸에病이만하世上에ᄇᆞ리이여是非榮辱을오로다니저마ᄂᆞᆫ다만지淸閑一癖이매부르기죠해라 二四七. 丈夫로삼겨나셔立身揚名못ᄒᆞᆯ지면ᄎᆞᆯ하리ᄯᅥᆯ치고일업시늘그리라이밧긔碌碌ᄒᆞᆫ營爲에걸릴길줄이시랴 二四八. 百歲를닷못사라七八十만살지라도벗고굼지말고病업시누리다가有子코有孫ᄒᆞ오면긔願인가ᄒᆞ노라 二四九. 春風桃李花들아고온양ᄌᆞ쟈랑말고長松綠竹을歲寒에보려므나亭亭코落落한節을고칠줄이이시랴 二五○. 唐虞ᄂᆞᆫ언제時節孔孟은뉘시런고淳風禮樂이戰國이되야시니이몸이서근션븨로擊節悲歌ᄒᆞ노라 二五一. 泰山에올라안자四海를구버보니天地四方이훤츨도ᄒᆞ져이고丈夫의浩然之氣를오ᄂᆞᆯ이야알괘라 二五二. 不忠不孝ᄒᆞ고罪만흔이내몸이苟苟히사라이셔ᄒᆡ온일업거니와그러나太平聖代에늙기셜워ᄒᆞ오라 二五三. 오ᄂᆞᆯ은川獵ᄒᆞ고來日은山行가ᄉᆡ곳다림모릐ᄒᆞ고降神으란글픠ᄒᆞ리그글픠邊射會ᄒᆞᆯ제各持壺果ᄒᆞ시소 二五四. 蘭干에지혀안자玉笛을빗기부니五月江城에흣듯ᄂᆞ니梅花ㅣ로다ᄒᆞᆫ曲調舜琴에섯거百工相和ᄒᆞ리라 二五五. 景星出慶雲興ᄒᆞ니日月이光華ㅣ로다三王禮樂이오五帝ㅣ文物이로다四海로太平酒비저萬姓同醉ᄒᆞ리라 金君 大哉 以善歌 鳴於世 曾於丙申間 余甞造其門 叩其篋 得一編 開卷而閱之 乃自家所爲新飜也 仍要余訂正 余曰 觀其詞 說盡情境 諧合音律 信樂譜之絶調也 以余不才 奚容贅焉 遂相與問答而歸 一二年間 已成陳迹 曺子建存沒之感 至是極矣 余於是掇拾其遺曲 以布于世 傳之不朽也 歲戊申暮春旣望 南波老圃書 南坡 二五六. 榮辱이並行ᄒᆞ니富貴도不關ᄐᆞ라第一江山에내혼자님자되야夕陽에낙싯대두러메고오명가명ᄒᆞ리라 二五七. 白鷗ㅣ야말무러보쟈놀라지마라스라名區勝地ᄅᆞᆯ어듸어듸ᄇᆞ렷ᄃᆞ니날ᄃᆞ려仔細히닐러든네와게가놀리라 二五八. 蘆花기픈곳에落霞를빗기ᄯᅴ고三三五五히섯거노ᄂᆞᆫ져白鷗ㅣ야므서세ᄌᆞᆷ챡ᄒᆞ엿관ᄃᆡ날온줄을모로ᄂᆞ니 二五九. 南山ᄂᆞ린골에五穀을ᄀᆞ초심거먹고못나마도긋지나아니ᄒᆞ면그밧긔녀나믄富貴야ᄇᆞ랄줄이이시랴 二六○. 울밋陽地ㅅ편에외ᄡᅵ를ᄲᅧ허두고ᄆᆡ거니붓도도와빗김에달화내니어즈버東陵瓜地ᄂᆞᆫ예야긘가ᄒᆞ노라 二六一. 田園에나믄興을전나귀에모도싯고溪山니근길로흥치며도라와셔아ᄒᆡ琴書를다스려라나믄ᄒᆡ를보내리라 二六二. 雲霄에오로젼들ᄂᆞ래업시어이ᄒᆞ며蓬島로가쟈ᄒᆞ니舟楫을어이ᄒᆞ리山林에主人되야이世界를니즈리라 二六三. 知足이면不辱이오知止면不殆라ᄒᆞ니功成名遂ᄒᆞ면마ᄂᆞᆫ거시긔올흐니어즈버宦海諸君子ᄂᆞᆫ모다조심ᄒᆞ시소 二六四. 綠駬霜蹄櫪上에셔늙고龍泉雪鍔匣裏에운다丈夫의혜온ᄠᅳᆺ을쇽졀업시못이로고귀밋테흰털이ᄂᆞᆯ니니글을셜워ᄒᆞ노라 二六五. 長劍을ᄲᅡ혀들고다시안자혜아리니胸中에머근ᄠᅳᆺ이邯鄲步ㅣ되야괴야두어라이ᄯᅩ한命이여니닐러므슴ᄒᆞ리오 二六六. 生前에富貴키는一杯酒만ᄒᆞᆫ것업고死後風流ᄂᆞᆫ陌上花ᄲᅮᆫ이여니므스일이죠흔聖世에아니醉코어이리 二六七. 내부어勸ᄒᆞᄂᆞᆫ盞을덜머그려辭讓마소花開鶯啼ᄒᆞ니이아니됴흔ᄯᅢᆫ가엇더타明年看花伴이눌과될줄알리오 二六八. ᄒᆞᆫᄃᆞᆯ셜흔날에醉ᄒᆞᆯ날이몃날이리盞자븐날이야眞實로내날이라그날곳지나간後ㅣ면뉘집날이될줄알리 二六九. 사ᄅᆞᆷ이ᄒᆞᆫ번늘근後에다시져머보ᄂᆞᆫ것가更少年ᄒᆞ닷말이千萬古에업슨말이우리ᄂᆞᆫ그런줄알므로ᄆᆡ양醉코노노라 二七○. 人生을혜아리니아마도늣거웨라旅逆光陰에시름이半이여니므스일몃百年살리라아니놀고어이리 二七一. 世上사ᄅᆞᆷ들아이내말드러보소靑春이ᄆᆡ양이며白髮이검ᄂᆞᆫ것가엇더타有限ᄒᆞᆫ人生이아니놀고어이리 二七二. 梅窓에月上ᄒᆞ고竹逕에風淸ᄒᆞᆫ제素琴을빗기안고두세曲調흣ᄐᆞ다가醉ᄒᆞ고花塢에져이셔夢羲皇을ᄒᆞ놋다 二七三. 午睡를느지ᄭᆡ야醉眼을여러보니밤비에ᄀᆞᆺ픤곳이暗香을보내ᄂᆞ다아마도山家에ᄆᆞᆯ근맛시이죠흔가ᄒᆞ노라 二七四. 泰山에올라안자天下를두로보니世路ㅣ多岐ᄒᆞ여어이져리머흔게고阮籍이이러ᄒᆞᆷ으로窮途哭을ᄒᆞ닷다 二七五. 堯日月舜乾坤은녜대로잇거마ᄂᆞᆫ世上人事ᄂᆞᆫ어이져리달란ᄂᆞᆫ고이몸이느저난줄을못내슬허ᄒᆞ노라 二七六. 人間번우한일을다주어후리치고康衢烟月에일업시노닐며셔어즈버聖化千載애이러구러지내리라 二七七. 尼山에降彩ᄒᆞ샤大聖人을내오시니繼往聖開來學에德業도노프실샤아마도群聖中集大成은夫子ㅣ신가ᄒᆞ노라 二七八. 遏人慾存天理ᄂᆞᆫ秋天에氣象이오知言養氣ᄂᆞᆫ古今에긔뉘런고아마도擴前聖所未發은孟軻ㅣ신가ᄒᆞ노라 二七九. 杜拾遺의忠君愛國이日月로爭光ᄒᆞᆯ로다間關劒閣에ᄠᅳᆺ둘듸젼혀업서어즈버無限丹衷을一部詩에부치도다 二八○. 岳鵬擧의一生肝膽이석지아닌忠孝ㅣ로다背上四字ᄂᆞᆫ무어시라ᄒᆞ엿ᄃᆞᆫ고南枝上一片宋日이耿耿丹衷에비최엿다 二八一. 北扉下져믄날에에엿불슨文天祥이여八年燕霜에검ᄃᆞᆫ머리다희거다至今히從容就死를못내슬허ᄒᆞ노라 二八二. 沃野千里긴담안헤阿房宮을노피짓고當年에어린ᄠᅳᆺ은萬歲計를ᄒᆞ려ᄐᆞ니어ᄂᆡ덧陳迹이되도다긔뉘타슬사므리 二八三. 莊生의ᄒᆞᄂᆞᆫ일이아마도多事ᄒᆞ다斥鷃大鵬을비겨므슴ᄒᆞ렷ᄐᆞᆫ고두어라物之不齊를견훌줄이이시랴 二八四. 賀季眞의鏡湖水ᄂᆞᆫ榮寵으로어덧거니비록말고젼들므슴핑계ᄒᆞ려니오엇더타내의이江山은걸닌곳업세라 二八五. 叩馬諫不聽커ᄂᆞᆯ首陽山에드러가셔周粟을아니먹고ᄆᆞ츰내餓死키ᄂᆞᆫ千秋에賊子의ᄆᆞ음을것거보려홈이라 金君履叔 以善唱 名國中 一洗下里之陋 而能自爲新聲 瀏喨可聽 又製新曲數十闋 以傳於世 少年習而唱之余觀其詞 皆艶麗有理致 音調節腔 淸濁高下 自叶於律 可與松江公新飜 後先方駕矣 履叔 非特能於歌 亦見其能於文也 嗚呼 使今之世 有善觀風者 必采是詞而列於樂官 用之鄕人 用之邦國 不但爲里巷歌謠而止爾 奈何徒使履叔 爲燕趙悲慨之音 以鳴其不平也 且是歌也 多引江湖山林放浪隱遯之語 反覆嗟歎而不已 其亦衰世之意歟 歲戊申暮春 黑窩書 == 閨秀三人 == 黃眞 二八六. 靑山裏碧溪水ㅣ야수이감을쟈랑마라一到滄海ᄒᆞ면도라오기어려오니明月이滿空山ᄒᆞ니수여간들엇더리 二八七. 冬至ㅅᄃᆞᆯ기나긴밤을한허리를버혀내여春風니불아레서리서리너헛다가어론님오신날밤이여든구뷔구뷔펴리라 二八八. 내언제無信ᄒᆞ여님을언제소겻관ᄃᆡ月沉三更에온ᄠᅳᆺ이젼혀업ᄂᆡ秋風에지ᄂᆞᆫ닙소릐야낸들어이ᄒᆞ리오 小栢舟 二八九. 相公을뵈온後에事事를밋ᄌᆞ오매拙直ᄒᆞᆫᄆᆞ음에病들가念慮ㅣ러니이리마져리챠ᄒᆞ시니百年同抱ᄒᆞ리이다 梅花 二九○. 梅花녯등걸에봄졀이도라오니녜퓌던柯枝에픠염즉도ᄒᆞ다마ᄂᆞᆫ春雪이亂紛紛ᄒᆞ니픨동말동ᄒᆞ여라 == 年代缺考 == 林晋 二九一. 활지어ᄑᆞᆯ헤걸고칼ᄀᆞ라녀폐ᄎᆞ고鐵瓮城邊에筒盖볘고누어시니보완다보괴라솔의에ᄌᆞᆷ못드러ᄒᆞ노라 李仲集 二九二. 뉘라셔날늙다ᄂᆞᆫ고늘근이도이러ᄒᆞᆫ가곳보면반갑고盞보면우음난다春風에흣ᄂᆞᄂᆞᆫ白髮이야낸들어이ᄒᆞ리오 西湖主人 茂豊正 摠 二九三. 이몸이ᄡᅳᆯ듸업서世上이ᄇᆞ리오매西湖녯집을다시ᄡᅳᆯ고누어시니一身이閑暇ᄒᆞᆯᄧᅵ나님못뵈와ᄒᆞ노라 我東 自麗季 至 國朝名公碩士及閭巷閨秀之作 爲永言以傳於世者 皆錄而其間 雖不以絶作 鳴若聞人則 皆記之 雖其人不足取也 其永言可觀則 亦取有記之云爾 * 有名氏作品跋 == 無名氏 == 二九四. 나의님向ᄒᆞᆫᄠᅳᆺ이주근後ㅣ면엇더ᄒᆞᆯ지桑田이變ᄒᆞ여碧海ᄂᆞᆫ되려니와님向ᄒᆞᆫ一片丹心이야가싈줄이이시랴 *이총 二九五. 가마귀눈비마자희ᄂᆞᆫ듯검노ᄆᆡ라夜光明月이밤인들어두오랴님向ᄒᆞᆫ一片丹心이야고칠줄이이시랴 *박팽년 二九六. 간밤의우던여흘슬피우러지내여다이제야ᄉᆡᆼ각ᄒᆞ니님이우러보내도다져물이거스리흐로고져나도우러녜리라 *[원호] 二九七. 늙고病든몸이北向ᄒᆞ여우니노라님向ᄒᆞᆫᄆᆞ음을뉘아니두리마ᄂᆞᆫᄃᆞᆯᄇᆞᆯ고밤긴적이면나ᄲᅮᆫ인가ᄒᆞ노라 *송시열 右戀君 二九八. 님이혜오시매나ᄂᆞᆫ젼혀미덧ᄃᆞ니날ᄉᆞ랑ᄒᆞ던情을뉘손ᄃᆡ옴기신고처음에믜시던거시면이대도록셜오랴 二九九. 어제감던머리현마오ᄂᆞᆯ다셸소냐鏡裏衰容이이어인늘그니오님계셔뉜다ᄒᆞ셔든내긔로라ᄒᆞ리라 三○○. 이리혜고져리혜니쇽졀업슨혬만만희業구즌人生이살고져사란ᄂᆞᆫ가至今히사라잇기ᄂᆞᆫ님을보려ᄒᆞᆷ이라 右譴謫 三○一. 靑山아웃지마라白雲아譏弄마라白髮紅塵에내즐겨ᄃᆞᆫ니더냐聖恩이至重ᄒᆞ시니갑고가려ᄒᆞ노라 三○二. 故園花竹들아우리를웃지마라林泉舊約이야니즌적이업건마ᄂᆞᆫ聖恩이至重ᄒᆞ시니갑고가려ᄒᆞ노라 右報効 三○三. 江湖에봄이드니이몸이일이하다나ᄂᆞᆫ그믈깁고아ᄒᆡᄂᆞᆫ밧츨가니뒷뫼헤엄기ᄂᆞᆫ藥을언제ᄏᆡ랴ᄒᆞᄂᆞ니 三○四. 冊덥고窓을여니江湖에ᄇᆡᄯᅥ잇다往來白鷗ᄂᆞᆫ무슴ᄠᅳᆺ머것ᄂᆞᆫ고앗구려功名도말고너ᄅᆞᆯ조차놀리라 三○五. 池塘에비ᄲᅮ리고楊柳에ᄂᆡᄭᅵ인제沙工은어듸가고뷘ᄇᆡ만ᄆᆡ엿ᄂᆞᆫ고夕陽에ᄧᅡᆨ일흔ᄀᆞᆯ며기ᄂᆞᆫ오락가락ᄒᆞ노매 三○六. 졋소릐반겨듯고竹窓을밧비여니細雨長堤에쇠등에아ᄒᆡ로다아ᄒᆡ야江湖에봄들거다낙대推尋ᄒᆞ여라 三○七. 아ᄒᆡ야그믈내여漁舡에시러노코달괸술막걸리酒樽에다마두고어즈버ᄇᆡ아직노치마라ᄃᆞᆯ기드려가리라 三○八. 秋江에밤이드니물결이ᄎᆞ노ᄆᆡ라낙시드리치니고기아니무노ᄆᆡ라無心ᄒᆞᆫᄃᆞᆯ빗만싯고뷘ᄇᆡ저어오노라 三○九. 우ᄂᆞᆫ거슨버국이가프른거슨버들숩가漁村두세집이ᄂᆡᆺ속에날락들락夕陽에款乃聲듯거든더옥無心ᄒᆞ여라 右江湖 三一○. 功名富貴과란世上사ᄅᆞᆷ맛져두고말업슨江山에일업시누어시니봄비에절로난山菜긔分인가ᄒᆞ노라 三一一. 말업슨靑山이오態업슨流水로다王喬赤松外에날알니업것마ᄂᆞᆫ어듸셔망녕엣겨슨오라말라ᄒᆞᄂᆞ니 三一二. 淸凉山六六峰을아ᄂᆞ니나와白鷗白鷗ㅣ야헌ᄉᆞᄒᆞ랴못미들슨桃花ㅣ로다桃花ㅣ야ᄯᅥ나지마라漁舟子ㅣ알가ᄒᆞ노라 右山林 三一三. 時節이太平토다이몸이閑暇커니竹林프른곳에午鷄聲아니런들기피든一場華胥夢을어ᄂᆡ벗이ᄭᆡ오리 三一四. 아ᄒᆡᄂᆞᆫ藥ᄏᆡ라가고竹亭은뷔엿ᄂᆞᆫ듸흐터진바독을뉘주어다믈소니醉ᄒᆞ고松下에져셔니節가ᄂᆞᆫ줄몰래라 右閑適 三一五. 목불근山上雉와홰에안즌松骨이와집압논무살미에고기엇ᄂᆞᆫ白鷺ㅣ로다草堂에너희곳아니면날보내기어려왜라 三一六. ᄯᅴ업슨손이오나늘갓버슨主人이나셔여나모亭子에박將碁버려노코아ᄒᆡ야濁酒걸러라외안ᄌᆔᆫ들못머그랴 三一七. 새벽비일갠날에닐거스라아ᄒᆡ들아뒷뫼헤고사리ᄒᆞ마아니ᄌᆞ라시랴오ᄂᆞᆯ은일것거오ᄂᆞ라새술안쥬ᄒᆞ리라 三一八. 還上도ᄐᆞ와잇고小川魚도어더잇고비즌술새로닉고뫼헤ᄃᆞᆯ이ᄇᆞᆯ가셰라곳픠고거믄고이시니벗請ᄒᆞ여놀리라 三一九. 집方席내지마라落葉엔들못안즈랴솔불혀지마라어제진ᄃᆞᆯ도다온다아ᄒᆡ야濁酒山菜ᅟᅵᆯ만졍업다말고내여라 右野趣 三二○. 世上이말하거ᄂᆞᆯᄯᅥᆯ치고드러가니一頃荒田과八百桑株ᄲᅮᆫ이로다生利야不足다마ᄂᆞᆫ시름업서ᄒᆞ노라 三二一. 忠誠이첫ᄠᅳᆺ이러니님으뢰야마롼졔고두어라엇지ᄒᆞ리天分이그러커니ᄎᆞᆯ하리江湖에主人되야이世界를니즈리라 右隱遯 三二二. 비오ᄂᆞᆫ날들에가랴사립닷고쇼머겨라마히ᄆᆡ양이랴장기연장다스려라쉬다가개ᄂᆞᆫᄂᆞᆯ보와ᄉᆞ래긴밧갈리라 三二三. 삿갓세되롱이닙고細雨中에호믜메고山田을흣ᄆᆡ다가綠陰에누어시니牧童이牛羊을모라잠든날을ᄭᆡ와다 三二四. 대쵸볼불근골에밤은어이ᄠᅳᆺ드르며벼뷘그르헤게ᄂᆞᆫ어이ᄂᆞ리ᄂᆞᆫ고술닉쟈체쟝ᄉᆞ도라가니아니먹고어이리 三二五. 오려고개속고열무우ᄉᆞᆯ졋ᄂᆞᆫ듸낙시에고기물고게ᄂᆞᆫ어이ᄂᆞ리ᄂᆞᆫ고아마도農家에ᄆᆞᆯ근맛시이죠흔가ᄒᆞ노라 右田家 三二六. 치위를마글션졍구ᄐᆡ야비단옷가고폰ᄇᆡ몌올션졍山菜라타관계ᄒᆞ랴이밧긔잡시름업스면긔죠흔가ᄒᆞ노라 三二七. 시름이업슬션정富貴功名관계ᄒᆞ며ᄆᆞ음이편ᄒᆞᆯ션졍ᄂᆞᆷ이웃다어이ᄒᆞ리엇더타守拙安貧을나ᄂᆞᆫ죠화ᄒᆞ노라 三二八. 내오ᄉᆡ내밥먹고내집의누어시니귀에잡말업고是非에걸릴소냐百年을이리지내미긔分인가ᄒᆞ노라 右守分 三二九. 이셩져셩다지내고흐롱하롱인일업ᄂᆡ功名도어근버근世事도싱슝샹슝每日에ᄒᆞᆫ盞두盞ᄒᆞ여이렁져렁ᄒᆞ리다 三三○. 이럿타져러탓말이오로다두리슝슝잇거나사거나기픈盞에ᄀᆞ득부어每日에長醉不醒ᄒᆞ면긔죠흔가ᄒᆞ노라 三三一. 어리거든채어리거나밋치거든채밋치거나어린듯밋친듯아ᄂᆞᆫ듯모로ᄂᆞᆫ듯이런가져런가ᄒᆞ니아므란줄몰래라 三三二. 世事ㅣ삼ᄭᅥ울이라허틀고ᄆᆡ쳐셰라거귀여드리치고나몰래라ᄒᆞ고라쟈아ᄒᆡ야덩덕궁북쳐라이야지야ᄒᆞ리라 右放浪 三三三. 그러ᄒᆞ거니어이아니그러ᄒᆞ리이리도그러그러져리도그러그러아마도그러그러ᄒᆞ니ᄒᆞᆫ숨계워ᄒᆞ노라 三三四. 흥흥노래ᄒᆞ고덩덕궁북을치고宮商角徵羽를마초리ᄭᅧᆼᄒᆞ엿ᄃᆞ니어긔고다齟齬ᄒᆞ니허허웃고마노라 右悶世 三三五. 萬頃滄波水로도다못시슬千古愁를一壺酒가지고오ᄂᆞᆯ이야시서괴야太白이이ᄒᆞᆷ으로長醉不醒ᄒᆞ닷다 三三六. 술을내즐기더냐狂藥인줄알건마ᄂᆞᆫ一寸肝膓에萬斛愁 너허두고醉ᄒᆞ여ᄌᆞᆷ든덧이나시름닛쟈ᄒᆞ노라 右消愁 三三七. 人生이둘가셋가이몸이네다섯가비러온人生에ᄭᅮ어온몸가지고셔平生에사롤일만ᄒᆞ고언제놀려ᄒᆞᄂᆞ니 三三八. 一定百年산들百年이긔언매라疾病憂患더니남ᄂᆞᆫ날아조젹의두어라非百歲人生이아니놀고어이리 右遊樂 三三九. 白沙場紅蓼邊에구버기ᄂᆞᆫ白鷺들아口腹을못몌워뎌다지굽니ᄂᆞᆫ다一身이閑暇ᄒᆞᆯ션졍ᄉᆞᆯ져무슴ᄒᆞ리오 三四○. 쥐ᄎᆞᆫ쇼로기들아ᄇᆡ부로롸쟈랑마라淸江여왼鶴이주리다부를소냐내몸이閑暇ᄒᆞ야마ᄂᆞᆫᄉᆞᆯ못진들엇ᄃᆞ리 右嘲奔走 三四一. 내ᄒᆡ죠타ᄒᆞ고ᄂᆞᆷ슬흔일ᄒᆞ지말며ᄂᆞᆷ이ᄒᆞᆫ다ᄒᆞ고義아니면좃지말니우리ᄂᆞᆫ天性을직희여삼긴대로ᄒᆞ리라 三四二. 듯ᄂᆞᆫ말보ᄂᆞᆫ일을事理에비겨보와올흐면ᄒᆞᆯ지라도그르면마롤거시平生에말슴을ᄀᆞᆯ희내면므슴是非이시리 三四三. ᄂᆞᆷ이害ᄒᆞᆯ지라도나ᄂᆞᆫ아니겨로리라ᄎᆞᆷ으면德이오겨로면ᄀᆞᆺ트리니구부미제게잇거니ᄀᆞᆯ올줄이이시랴 右修身 三四四. 가마귀검거라말고ᄒᆡ오라비셸줄어이검거니셰거니一便도ᄒᆞᆫ져이고우리ᄂᆞᆫ수리두루미라검도셰도아녜라 三四五. 넙엿ᄒᆞ쟈ᄒᆞ니모난듸ᄀᆞ일셰라두렷ᄒᆞ쟈ᄒᆞ니ᄂᆞᆷ의손ᄃᆡ둘릴셰라外두렷內번듯ᄒᆞ면ᄀᆡ둘릴줄이시랴 右周便 三四六. 琵琶를두러메고玉蘭干에지혀시니東風細雨에ᄠᅳᆺ드ᄂᆞ니桃花ㅣ로다春鳥도送春을슬허百般啼를ᄒᆞ놋다 三四七. 곳이진다ᄒᆞ고새들아슬허마라ᄇᆞ람에흣ᄂᆞᆯ리니곳의탓아니로다가노라희짓ᄂᆞᆫ봄을새와므슴ᄒᆞ리오 右惜春 三四八. 구룸이無心탄말이아마도虚浪ᄒᆞ다中天에ᄯᅥ이셔任意ᄃᆞᆫ니며서구ᄐᆡ야光明ᄒᆞᆫ날빗츨ᄯᅡ라가며덥ᄂᆞ니 *이존오 三四九. 구룸아너ᄂᆞᆫ어이ᄒᆡᆺ비츨ᄀᆞᆷ초ᄂᆞᆫ다油然作雲하면大旱에죠커니와北風이ᄉᆞᆯ하져블제볏뉘몰라ᄒᆞ노라 右壅蔽 三五○. ᄋᆞ자내少年이야어드러로간거이고酒色에ᄌᆞᆷ겨신제白髮과밧괴도다이제야아모리ᄎᆞ즌들다시오기쉬오랴 三五一. 半나마늘거시니다시졈든못ᄒᆞ여도이後ㅣ나늙지말고ᄆᆡ양이만ᄒᆞ엿고쟈白髮아네나짐쟉ᄒᆞ여더듸늙게ᄒᆞ여라 三五二. 남도준배업고바든바도업건마ᄂᆞᆫ怨讐白髮이어더러셔온거이고白髮이公道ㅣ없도다날을몬져늙킨다 三五三. 희여검을지라도희ᄂᆞᆫ거시셔로려든희여못검ᄂᆞᆫ듸ᄂᆞᆷ의몬져힐줄어이白髮이公道ㅣ쟉도다날을몬져ᄇᆡ얀다 右歎老 三五四. 靑春少年들아白髮老人웃지마라공번된하ᄂᆞᆯ아래넨들ᄆᆡ양져머시랴우리도少年行藥이어제론듯ᄒᆞ여라 三五五. 귀밋치셰여시니ᄂᆞᆷ이늙다ᄒᆞ려니와내ᄆᆞ음져믈션졍ᄂᆞᆷ의말허믈ᄒᆞ랴곳과술죠히너기기야엇ᄃᆞᆫ老少이시리 右老壯 三五六. 나의未平ᄒᆞᆫᄠᅳᆺ을日月ᄭᅢ뭇ᄌᆞᆸᄂᆞ니九萬里長天에무스일ᄇᆡ얏바셔酒色에못슬믠이몸을수이늙게ᄒᆞᄂᆞᆫ고 三五七. 金烏玉兎들아뉘너를ᄧᅩᆺ니관ᄃᆡ九萬里長天에허위허위ᄃᆞᆫ니ᄂᆞᆫ다이後란十里에ᄒᆞᆫ번식쉬염쉬염니거라 右戒日 三五八. 노프나노픈남게날勸ᄒᆞ여오려두고이보오벗님ᄂᆡ야흔드지나마르되야ᄂᆞ려져죽기ᄂᆞᆫ섧지아녀님못볼가ᄒᆞ노라 *이양원 三五九. 간밤의부던ᄇᆞ람에눈서리치단말가落落長松이다기우러가노ᄆᆡ라ᄒᆞ믈며못다픤곳이야닐러므슴ᄒᆞ리오 *유응부 三六◯. 어인벌리완ᄃᆡ落落長松다먹ᄂᆞᆫ고부리긴져고리ᄂᆞᆫ어ᄂᆡ곳에가잇ᄂᆞᆫ고空山에落木聲들릴제내안둘듸업세라 右戕害 三六一. 小園百花叢에ᄂᆞ니ᄂᆞᆫ나뷔들아香내를죠히너겨柯枝마다안지마라夕陽에숨ᄭᅮ즌거믜그믈걸여은다 三六二. 굼벙이매암이되야ᄂᆞ래도쳐ᄂᆞ라올라노프나노픈남게소릐ᄂᆞᆫ죠커니와그우희거믜줄이시니그를조심ᄒᆞ여라 右知止 三六三. 興亡이有數ᄒᆞ니滿月臺도秋草ㅣ로다五百年王業이牧笛에부쳐시니夕陽에지나ᄂᆞᆫ客이눈물계워ᄒᆞᄃᆞ라 *원천석 三六四. 五百年都邑地를匹馬로도라드니山川은依舊ᄒᆞ되人傑은간듸업다어즈버太平烟月이ᄭᅮᆷ이런가ᄒᆞ노라 *길재 右懷古 三六五. 梨花에月白ᄒᆞ고銀漢이三更인제一枝春心을子規ㅣ야아라마ᄂᆞᆫ多情도病이냥ᄒᆞ여ᄌᆞᆷ못드러ᄒᆞ노라 *이조년 三六六. 金爐에香盡ᄒᆞ고漏聲이殘ᄒᆞ도록어듸가이셔뉘ᄉᆞ랑바치다가月影이上蘭干ᄏᆡ야ᄆᆡᆨ바드라왓ᄂᆞ니 三六七. 梨花雨흣ᄲᅮ릴제울며잡고離別ᄒᆞᆫ님秋風落葉에저도날ᄉᆡᆼ각ᄂᆞᆫ가千里에외로온ᄭᅮᆷ만오락가락ᄒᆞ노매 *매창 三六八. 이몸이싀여져셔졉동새넉시되야梨花픤柯枝속닙헤ᄡᆡ엿다가밤즁만ᄉᆞᆯ하져우리님의귀에들리리라 三六九. ᄉᆞ랑거즛말이님날ᄉᆞ랑거즛말이ᄭᅮᆷ에뵌닷말이긔더옥거즛말이날ᄀᆞᆺ치ᄌᆞᆷ아니오면어ᄂᆡᄭᅮᆷ에뵈이리 *김상용 右閨情 三七◯. 十年을經營ᄒᆞ여草廬三間지여내니나ᄒᆞᆫ간ᄃᆞᆯᄒᆞᆫ간에淸風ᄒᆞᆫ간맛져두고江山은들일듸업스니둘러두고보리라*송순 右兼致 三七一. 술을醉케먹고오다가空山에지니뉘날ᄭᆡ오리天地卽衾枕이로다狂風이細雨를모라ᄌᆞᆷ든날을ᄭᆡ와다 *조준 右大醉 三七二. 비즌술다머그니먼듸셔벗이왓다술집은졔연마ᄂᆞᆫ헌옷세언마주리아ᄒᆡ야셔기지말고주ᄂᆞᆫ대로바다라 *박인로 右客至 三七三. 三角山푸른빗치中天에소사올라鬱葱佳氣란象闕에부쳐두고江湖에盞잡은늘그니란ᄆᆡ양醉케ᄒᆞ쇼셔 右醉隱 三七四. 泰山이높다ᄒᆞ되ᄒᆞᄂᆞᆯ아레뫼히로다오르고ᄯᅩ오르면못오를理업건마ᄂᆞᆫ사ᄅᆞᆷ이제아니오르고뫼흘놉다ᄒᆞᄂᆞ니 *양사언 右中道而廢 三七五. 十年ᄀᆞ온칼이匣裏에우노ᄆᆡ라關山을ᄇᆞ라보며ᄯᅢᄯᅢ로ᄆᆞᆫ져보니丈夫의爲國功勳을어ᄂᆡᄯᅢ에드리올고 *이순신 右壯懷 三七六. 天下匕首劒을ᄒᆞᆫ듸모하뷔를ᄆᆡ야南蠻北狄을다ᄡᅳ러ᄇᆞ린後에그쇠로홈의를ᄆᆡᆼ그라江上田을ᄆᆡ리라 *이정진 右勇退 三七七. 一生에願ᄒᆞ기를羲皇時節못난줄이草衣를무릅고木實을머글만졍人心이淳厚ᄒᆞ던줄을못내불워ᄒᆞ노라 *최충 右羨古 三七八. 靑山自負松아네어이누엇ᄂᆞᆫ다狂風을못이긔여불휘져저누엇노라가다가良工을만나거든날옛ᄃᆞ라ᄒᆞ고려 *박태보 右自售 三七九. ᄃᆞᆯ이두렷ᄒᆞ여碧空에걸려시니萬古風霜에ᄯᅥ러졈즉ᄒᆞ다마ᄂᆞᆫ至今히醉客을爲ᄒᆞ여長照金樽ᄒᆞ노매 *이덕형 右醉月 三八◯. 가마귀ᄡᅡ호ᄂᆞᆫ골에白鷺ㅣ야가지마라셩낸가마귀흰빗ᄎᆞᆯ새을셰라淸江에잇것시슨몸을더러일가ᄒᆞᄂᆞ라 *[정몽주母] 右 三八一. ᄒᆡ도나지계면山河로도라지고ᄃᆞᆯ도보롬後ㅣ면ᄒᆞᆫᄀᆞ보터이져온다世上에富貴功名이다이런가ᄒᆞ노라 ?[천금] 右盈虧 三八二. 北海上져믄날에울고가ᄂᆞᆫ져기러기내말슴드러다가金尙書ㅅ게ᄉᆞ롸주렴수羊이삿기칠덧으란ᄎᆞᆷ으쇼셔ᄒᆞ여라 右 三八三. 胸中에머근ᄠᅳᆺ을속졀업시못이로고半世紅塵에ᄂᆞᆷ의우음된져이고두어라時乎時乎니恨ᄒᆞᆯ줄이이시랴 ?이순신 右命蹇 三八四. ᄒᆡ다져믄날에지져귀ᄂᆞᆫᄌᆞᆷ새들아죠고마ᄒᆞᆫ몸이半柯枝도足ᄒᆞ거든ᄒᆞ믈며크나큰수풀을새와무슴ᄒᆞ리오 ?이이 右不爭 三八五. 假使주글지라도明堂이뷘듸업ᄂᆡ三神山不死藥을다ᄏᆡ야머글만졍海中에새뫼나거든게가들려ᄒᆞ노라 右遠致 三八六. 蒼梧山聖帝魂이구룸조차瀟湘에ᄂᆞ려夜半에흘러드러竹間雨되온ᄠᅳᆺ은二妃의千年淚痕을못내시서홈이라 *이후백 右二妃 三八七. 洞庭ᄇᆞᆯ근ᄃᆞᆯ이楚懷王의넉시되야七百里平湖에두렷이비쵠ᄠᅳᆺ은屈三閭魚腹裏忠誠을못내ᄇᆞᆯ켜홈이라 *이후백 右懷王 三八八. 楚江漁夫들아고기낫가ᄉᆞᆷ지마라屈三閭忠魂이魚腹裏에드럿ᄂᆞ니아므리鼎鑊에ᄉᆞᆯ믄들變ᄒᆞᆯ줄이이시랴 *이명한 右屈平 三八九. 공번된天下業을힘으로어들것가秦宮室불질음도오히려無道커든ᄒᆞ믈며義帝를주기고하ᄂᆞᆯ罪를免ᄒᆞ랴 右項羽 三九◯. ᄇᆞ람에휘엿노라구븐솔웃지마라春風에픠온곳이ᄆᆡ양에고아시랴風飄飄雪紛紛ᄒᆞᆯ제네야날을부르리라 *인평대군 右 松 三九一. 눈마자휘어진대를뉘라셔굽다ᄐᆞᆫ고구블節이면눈속에프를소냐아마도歲寒高節은너ᄲᅮᆫ인가ᄒᆞ노라 *원천석 右 竹 三九二. 空山이寂寞ᄒᆞᆫ듸슬피우ᄂᆞᆫ져杜鵑아蜀國興亡이어제오ᄂᆞᆯ아니여ᄂᆞᆯ至今히피나게우러ᄂᆞᆷ의애를긋나니 *정충신 右杜宇 三九三. 이리도太平聖代져리도聖代太平堯之日月이오舜之乾坤이로다우리도太平聖代에놀고가려ᄒᆞ노라 *성수침 右太平 三九四. ᄆᆞ음아너ᄂᆞᆫ어이ᄆᆡ양에져멋ᄂᆞᆫ다내늘글적이면넨들아니늘글소냐아마도너죳녀ᄃᆞᆫ니다가ᄂᆞᆷ우일가ᄒᆞ노라 *서경덕 右戒心 三九五. 녯적의이러ᄒᆞ면形容이나마실가愁心이실이되야구뷔구뷔ᄆᆡ쳐이셔아므리푸로ᄒᆞ되긋간듸를몰래라 右勞役 三九六. 泰山이平地되고河海陸地되도록北堂俱慶下에忠孝로일삼다가聖代에稷契이되야늘글뉘를모르리라 *성여완 右忠孝 三九七. 곳은밤비에퓌고비즌술다닉거다거문고가진벗이ᄃᆞᆯᄒᆞᆷ긔오마터니아ᄒᆡ야茅簷에ᄃᆞᆯ올랏다손오ᄂᆞᆫ가보와라 ?천금 *정철 右待客 {{옛한글 끝}} emvcq08y4nff1xb3v4dkuxsniv5f7fr 색인:종덕신편언해 권1.pdf 252 65262 391503 391115 2025-06-11T09:32:31Z Namoroka 1939 391503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종덕신편언해]](種德新編諺解) |언어=ko |권=[[종덕신편언해/권1|권1]] |저자= |번역자= |편집자=[[저자:김육|김육]] |삽화가= |학교= |출판사= |위치= |연도=1758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C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빈면 3=어제서1 4=2 11=제문1 12=2 13=본서1 14=2 17=권상1 18=2 93=권중1 94=2 185=빈면 186=뒷표지/> |권별 색인={{가로목록| * [[색인:종덕신편언해 권1.pdf|권1(권상, 권중)]] * [[색인:종덕신편언해 권2.pdf|권2(권하)]] }}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분류: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의 색인 - 완료]] s9acckv38bb9t7ghe8fzk00wcg6rfnt 색인:종덕신편언해 권2.pdf 252 65264 391504 256883 2025-06-11T09:32:32Z Namoroka 1939 391504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종덕신편언해]](種德新編諺解) |언어=ko |권=[[종덕신편언해/권2|권2]] |저자= |번역자= |편집자=[[저자:김육|김육]] |삽화가= |학교= |출판사= |위치= |연도=1758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C |쪽별 색인=<pagelist 1=표지 2=권하1 3=빈면 4=3 5=2 6=5 7=4 8=9 9=8 10=11 11=10 12=13 13=12 14=15 15=14 16=17 17=16 18=19 19=18 20=21 21=20 22=23 23=22 24=25 25=24 26=27 27=26 28=29 29=28 30=31 31=30 32=33 33=32 34=35 35=34 36=37 37=36 38=39 39=38 40=41 41=40 42=43 43=42 44=45 45=44 46=47 47=48 48=47 49=48 50=51 51=50 52=53 53=52 54=55 55=54 56=57 57=56 58=59 59=58 60=61 61=60 62=63 63=62 64=65 65=64 66=67 67=66 68=69 69=68 70=71 71=70 72=73 73=72 74=75 75=74 76=77 77=76 78=79 79=78 80=81 81=80 82=83 83=82 84=85 85=84 86=87 87=86 88=89 89=88 90=91 91=90 92=93 93=92 94=95 95=94 96=97 97=96 98=99 99=98 100=101 101=100 102=103 103=102 104=105 105=104 106=107 107=106 108=109 109=108 110=111 111=110 112=113 113=112 114=115 115=114 116=117 117=116 118=119 119=118 120=121 121=120 122=123 123=122 124=125 125=124 126=127 127=126 128=129 129=128 130=131 131=130 132=133 133=132 134=135 135=134 136=137 137=136 138=139 139=138 140=141 141=140 142=143 143=142 144=빈면 145=144 146=뒷표지/> |권별 색인={{가로목록| * [[색인:종덕신편언해 권1.pdf|권1(권상, 권중)]] * [[색인:종덕신편언해 권2.pdf|권2(권하)]] }}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ssaer0vbn455enydpwpokg6xl2wjlrn 종덕신편언해 0 67148 391506 383550 2025-06-11T09:34:39Z Namoroka 1939 391506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종덕신편언해 | 다른 표기 = {{첫가끝|죵덕신편언ᄒᆡ}}, 種德新編諺解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김육|김육]] | 역자 = | 이전 = | 다음 = | 연도 = 1758 | 설명 = 《종덕신편언해》는 조선의 문신 김육이 1644년(인조 22)에 발간한 《종덕신편》을 1758년(영조 34)에 언해본을 발간한 것이다. 덕행의 일화와 고사를 집대성하여 널리 읽히게 하기 위해 발간한 책으로 18세기 한국어의 어두 자음군이 잘 드러나 있다. }} {{옛한글}} {{보조 목차|1= * [[/권1|권1]] (권상, 권중) * [[/권2|권2]] (권하) }} == 라이선스 == {{PD-old}} h3beu7pt341ibc4ohq9yn1r7pxxlvwf 수궁전 0 67854 391512 292109 2025-06-11T09:54:07Z Namoroka 1939 391512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수궁전 | 다른 표기 = 水宮傳, 토끼전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미상 | 편집자 = | 역자 = | 이전 = | 다음 = | 연도 = | 설명 = 《수궁전》은 《[[토끼전]]》의 다양한 이본 중 하나이다. 이 판본은 국립한글박물관 소장본으로, 총 4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위키백과 =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수궁전 한구000015.djvu" from=2 to=45/> {{옛한글 끝}} {{PD-anon-US}} 6yevhmdhw42pph29opvzgcocmqrr2lg 종덕신편언해/권2 0 67855 391508 292111 2025-06-11T09:35:58Z Namoroka 1939 391508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종덕신편언해 | 다른 표기 = {{첫가끝|죵덕신편언ᄒᆡ}}, 種德新編諺解 | 부제 = 권1(권하)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김육|김육]] | 역자 = | 이전 = [[../권1|권1]] | 다음 = | 연도 = 1758 | 설명 = 《종덕신편언해》는 조선의 문신 김육이 1644년(인조 22)에 발간한 《종덕신편》을 1758년(영조 34)에 언해본을 발간한 것이다. 덕행의 일화와 고사를 집대성하여 널리 읽히게 하기 위해 발간한 책으로 18세기 한국어의 어두 자음군이 잘 드러나 있다.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2 to=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5 to=5/>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4 to=4/>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7 to=7/>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6 to=6/> ---- (6, 7쪽 누락) ----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9 to=9/>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8 to=8/>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1 to=11/>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0 to=10/>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3 to=13/>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2 to=1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5 to=15/>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4 to=14/>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7 to=17/>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6 to=16/>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9 to=19/>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8 to=18/>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21 to=21/>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20 to=20/>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23 to=23/>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22 to=2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25 to=25/>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24 to=24/>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27 to=27/>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26 to=26/>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29 to=29/>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28 to=28/>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31 to=31/>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30 to=30/>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33 to=33/>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32 to=3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35 to=35/>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34 to=34/>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37 to=37/>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36 to=36/>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39 to=39/>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38 to=38/>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41 to=41/>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40 to=40/>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43 to=43/>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42 to=4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45 to=45/>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44 to=44/>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47 to=47/>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46 to=46/>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49 to=49/>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48 to=48/>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51 to=51/>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50 to=50/>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53 to=53/>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52 to=5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55 to=55/>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54 to=54/>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57 to=57/>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56 to=56/>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59 to=59/>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58 to=58/>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61 to=61/>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60 to=60/>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63 to=63/>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62 to=6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65 to=65/>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64 to=64/>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67 to=67/>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66 to=66/>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69 to=69/>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68 to=68/>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71 to=71/>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70 to=70/>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73 to=73/>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72 to=7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75 to=75/>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74 to=74/>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77 to=77/>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76 to=76/>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79 to=79/>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78 to=78/>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81 to=81/>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80 to=80/>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83 to=83/>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82 to=8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85 to=85/>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84 to=84/>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87 to=87/>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86 to=86/>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89 to=89/>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88 to=88/>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91 to=91/>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90 to=90/>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93 to=93/>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92 to=9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95 to=95/>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94 to=94/>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97 to=97/>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96 to=96/>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99 to=99/>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98 to=98/>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01 to=101/>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00 to=100/>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03 to=103/>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02 to=10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05 to=105/>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04 to=104/>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07 to=107/>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06 to=106/>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09 to=109/>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08 to=108/>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11 to=111/>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10 to=110/>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13 to=113/>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12 to=11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15 to=115/>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14 to=114/>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17 to=117/>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16 to=116/>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19 to=119/>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18 to=118/>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21 to=121/>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20 to=120/>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23 to=123/>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22 to=12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25 to=125/>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24 to=124/>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27 to=127/>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26 to=126/>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29 to=129/>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28 to=128/>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31 to=131/>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30 to=130/>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33 to=133/>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32 to=13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35 to=135/>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34 to=134/>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37 to=137/>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36 to=136/>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39 to=139/>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38 to=138/>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41 to=141/>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40 to=140/>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43 to=143/>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42 to=14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2.pdf" from=145 to=145/> {{옛한글 끝}} {{PD-old}} hv8lzf4t7jivbir08q4svrf8vg5lln0 종덕신편언해/권1 0 69274 391507 292087 2025-06-11T09:35:57Z Namoroka 1939 391507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종덕신편언해 | 다른 표기 = {{첫가끝|죵덕신편언ᄒᆡ}}, 種德新編諺解 | 부제 = 권1(권상, 권중)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김육|김육]] | 역자 = | 이전 = | 다음 = [[../권2|권2]] | 연도 = 1758 | 설명 = 《종덕신편언해》는 조선의 문신 김육이 1644년(인조 22)에 발간한 《종덕신편》을 1758년(영조 34)에 언해본을 발간한 것이다. 덕행의 일화와 고사를 집대성하여 널리 읽히게 하기 위해 발간한 책으로 18세기 한국어의 어두 자음군이 잘 드러나 있다.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1.pdf" from=3 to=9/>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1.pdf" from=11 to=1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1.pdf" from=13 to=16/>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1.pdf" from=17 to=92/> <pages index="종덕신편언해 권1.pdf" from=93 to=184/> {{옛한글 끝}} {{PD-old}} ruyvw4u2gyar7l0ekld55zsz0yahat1 주부전 0 69318 391510 257387 2025-06-11T09:46:28Z Namoroka 1939 391510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주부전]] | 다른 표기 = 토끼전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미상 | 편집자 = | 역자 = | 이전 = | 다음 = | 연도 = | 설명 = 《주부전》은 《[[토끼전]]》의 다양한 이본 중 하나이다. 이 판본은 국립한글박물관 소장본으로, 결말부에 독수리 위기가 등장한다. | 위키백과 = }} {{옛한글}} <pages index="주부전 한구001398.djvu" from=2 to=33/> {{PD-anon-US}} s2uavwiwxh0u75i4a80ulei4aurb4ej 색인:셩경젼셔 구약 권1.pdf 252 80473 391420 367996 2025-06-10T14:56:25Z Aspere 5453 391420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셩경젼셔#구약젼셔|구약젼셔]] |언어=ko |권=뎨일권 |저자=대영셩셔공회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 |위치= |연도=1911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 표지 <pagelist from=1 to=4 1=표지 2=내지 3=목차1 4=목차2 /> ; 창셰긔 <pagelist from=5 to=156 5=1 /> ; 츌애굽긔 <pagelist from=157 to=282 157=153 /> ; 레위긔 <pagelist from=283 to=368 283=279 /> ; 민수긔 <pagelist from=369 to=492 369=365 /> ; 신명긔 <pagelist from=493 to=608 493=489 /> ; {{u|여호수아}} <pagelist from=609 to=682 609=605 /> ; ᄉᆞᄉᆞ긔 <pagelist from=683 to=758 683=679 /> ; 룻긔 <pagelist from=759 to=770 759=755 /> ; {{u|삼우엘}} 젼편 <pagelist from=771 to=872 771=767 /> ; {{SIC|삼우엘 후}} <pagelist from=873 to=960 873=869 /> ; 렬왕긔 샹 <pagelist from=961 to=1062 961=957 /> ; 렬왕긔 하 <pagelist from=1063 to=1156 1063=1059 /> ; 력ᄃᆡ 샹 <pagelist from=1157 to=1246 1157=1153 /> ; 력ᄃᆡ 하 <pagelist from=1247 to=1354 1247=1243 /> ; 뒷표지 <pagelist from=1355 to=1356 1355=- 1356=뒷표지 /> |권별 색인={{flatlist| * [[색인:셩경젼셔 구약 권1.pdf|구약 권1]] * [[색인:셩경젼셔 구약 권2.pdf|구약 권2]] * [[색인:셩경젼셔 신약.pdf|신약]] }} |목차=<!-- {{페이지:셩경젼셔 구약 권1.pdf/3}} {{페이지:셩경젼셔 구약 권1.pdf/4}} --> |너비= |머리말= |꼬리말= }} tthm30q4ygqrihu0unix182y7f7jp0c 색인:쥬교요지 (1885년).pdf 252 88632 391521 331385 2025-06-11T10:32:54Z Namoroka 1939 391521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주교요지]](쥬교요지, 主敎要旨) |언어=ko |권= |저자=[[저자:정약종|정약종]]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 |위치= |연도=1885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C |쪽별 색인=; 표지 <pagelist from=1 to=3 1=겉표지 2=속표지 3=서지 /> ; 목록 <pagelist from=4 to=11 4=1 11=- /> ; 상편 <pagelist from=12 to=93 12=1 /> ; 하편 <pagelist from=94 to=185 185=서지 /> |권별 색인=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jxah9dgmx6xw2gbl68vc2mcxsrd5h1r 391522 391521 2025-06-11T10:33:35Z Namoroka 1939 391522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주교요지/뮈텔 주교 소장본|주교요지]](쥬교요지, 主敎要旨) |언어=ko |권= |저자=[[저자:정약종|정약종]]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 |위치= |연도=1885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C |쪽별 색인=; 표지 <pagelist from=1 to=3 1=겉표지 2=속표지 3=서지 /> ; 목록 <pagelist from=4 to=11 4=1 11=- /> ; 상편 <pagelist from=12 to=93 12=1 /> ; 하편 <pagelist from=94 to=185 185=서지 /> |권별 색인=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85029whr2rtaxoqpo5ocdvcur5meh73 페이지:김원젼.djvu/1 250 89151 391419 336528 2025-06-10T14:54:04Z Leesabina65 18495 39141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Namerose" /></noinclude>{{옛한글쪽 시작}}김원전 화설대명성화년간의황성동화 문밖에 일위재상이있으니성은김이오 명은슈ㅇ요 자난 희경이니 대대명문 가족으로 왕후장상이대핍절하니진실노교목셰가요쥬셕지신이라공의사람되옴이인후정직한군자 일 뿐더러문장이일셰의탁월하더니일즉이룡문에올나벼살이좌승상의이르매상총이융즁하고명망이죠야에진동하며부인뉴씨로더부러관져지락이흡연하니부인의슉덕현행이또한원근에낫타나사람이칭도하기를마지아니하더라공에벼살이일품의거하고가산이유여하야평생에그릴것이업으되다만슬하에남녀간일점혈육이업어공이매양슬허하더니일일은부인를대하야탄식왈누대향화를내계니르러맛게되니일후디하의도라간들무삼면목으로조션을뵈오리오말을맛치며일변늣기여눈물을뿌리니부인이또한슬허함을마지아니하며가로대쳡의죄악이심즁함으로존문에드러와칠거에허물을범하얏사오니엇지상공을대하낫치잇사오며디하의도라간들하면목으로구고령혼을위로하오릿가공이개연이탄식하며부인을위로하야가로대이나도시텬슈요우리집운슈이니엇지허물을말하리오부인은과도이슬허마소셔유씨다시금옷깃슬바로하고상공ᄭᅴ고왈쳡은듯{{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qmz765rym1l4satr9308eyrp5czbgx9 391422 391419 2025-06-10T15:24:22Z Leesabina65 18495 39142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Namerose" /></noinclude>{{옛한글쪽 시작}}김원전 화설 대명성 화년간의 황성 동화 문밖에 일위 재상이있으니 성은김이오 명은숭이요 자난 희경이니 대대명문 가족으로 왕후장상이대핍절하니 진실노교목셰가요쥬셕지신이라공의사람되옴이인후정직한군자 일 뿐더러문장이일셰의탁월하더니일즉이룡문에올나벼살이좌승상의이르매상총이융즁하고명망이죠야에진동하며부인뉴씨로더부러관져지락이흡연하니부인의슉덕현행이또한원근에낫타나사람이칭도하기를마지아니하더라공에벼살이일품의거하고가산이유여하야평생에그릴것이업으되다만슬하에남녀간일점혈육이업어공이매양슬허하더니일일은부인를대하야탄식왈누대향화를내계니르러맛게되니일후디하의도라간들무삼면목으로조션을뵈오리오말을맛치며일변늣기여눈물을뿌리니부인이또한슬허함을마지아니하며가로대쳡의죄악이심즁함으로존문에드러와칠거에허물을범하얏사오니엇지상공을대하낫치잇사오며디하의도라간들하면목으로구고령혼을위로하오릿가공이개연이탄식하며부인을위로하야가로대이나도시텬슈요우리집운슈이니엇지허물을말하리오부인은과도이슬허마소셔유씨다시금옷깃슬바로하고상공ᄭᅴ고왈쳡은듯{{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pog6tkfk3gir86z1lxrg0f677cxl137 저자:정약종 100 89873 391453 383644 2025-06-11T05:11:09Z ZornsLemon 15531 391453 wikitext text/x-wiki {{글쓴이 |이름 = 정약종 |다른 표기 = 丁若鍾 |이름 첫 글자 = ㅈ |국적 = 조선 |탄생 연도 = 1760년 |사망 연도 = 1801년 |설명 = 조선 천주교 박해로 순교한 성인. [[저자:정약용|정약용]]의 형. 세례명은 아우구스티노. |그림 = |위키백과 링크 = 정약종 |위키인용집 링크 = 정약종 |공용 링크 = Category:Jeong Yak-jong |정렬 = 정약종 }} == 저작 == * [[주교요지]] {{PD-old-100}} sjgvc516rt2xkg6a3q5i9idb0remya4 저자:정하상 100 89919 391452 383646 2025-06-11T05:09:40Z ZornsLemon 15531 391452 wikitext text/x-wiki {{글쓴이 |이름 = 정하상 |다른 표기 = 丁夏祥 |이름 첫 글자 = ㅈ |국적 = 조선 |탄생 연도 = 1795년 |사망 연도 = 1839년 |설명 = 조선 시대 천주교 박해로 순교한 성인. [[저자:정약종|정약종]]의 아들. 세례명은 바오로. |그림 = |위키백과 링크 = 정하상 |정렬 = 정하상 }} == 저작 == * [[상재상서|상재상서(上宰相書)]] {{PD-old-100}} tp7kwjmosqubp3iklm1n35418ko2f0z 색인:중등 인류교과서.pdf 252 91741 391520 339911 2025-06-11T10:32:26Z Namoroka 1939 391520 proofread-index text/x-wiki {{:MediaWiki:Proofreadpage_index_template |종류=book |제목=[[중등 인류교과서]](中等 人類敎科書) |언어=ko |권= |저자=윤익병 |번역자= |편집자= |삽화가= |학교= |출판사= |위치= |연도=1949 |정렬 키= |ISBN= |OCLC= |LCCN= |BNF_ARK= |ARC= |DOI= |출처=pdf |그림=1 |진행 상황=OCR |쪽별 색인=<pagelist 1=겉표지 2=- 3=속표지 4=- 5=그림 6=머리말 7to10=차례 11=1 70=서지 71=뒷표지 /> |권별 색인= |목차= |너비= |머리말= |꼬리말= }} oy2oho4fyq2xs9r851f66k3df8qw59y 수당연의 0 93627 391405 385669 2025-06-10T13:48:18Z Namoroka 1939 391405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수당연의 | 다른 표기 = 슈당연의 | 저자 = 미상 | 편집자 = 고유상 | 역자 = | 부제 = | 이전 = | 다음 = | 연도 = 1918 | 설명 = 《수당연의》는 명나라의 《수양제염사》를 번안한 소설이다. 수 양제의 방탕한 사치로 수가 멸망하고 당이 건국되는 이야기이다. 원전 40회를 13회로 축약하며 지나치게 외설적이고 패륜적인 부분은 삭제되었다. 서지에는 출판사 회동서관의 사장이었던 고유상(高裕相, 1884~1972)을 저작겸 발행자로 명시하고 있으나, 실제 저자는 알 수 없다.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슈당연의.djvu" from=1 /> {{옛한글 끝}} == 라이선스 == {{PD-anon-US|1918}} rficuc1xmbq5esuqz2ddxozrk524flv 죽음과 그 전후 0 93988 391466 349395 2025-06-11T05:57:08Z ZornsLemon 15531 391466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죽음과 그 前後 1 |지은이 = 有島武郞(아리시마 다케오) |역자 = [[저자:김동인|김동인]]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曙光》 7호(1920년)에 게재. 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郞, 1878~1923)의 희곡 〈死と其前後〉의 전반부를 번역하였다. 후반부는 번역하지 않았다. }} 검•시어딤 譯 <poem> 登場人物 「죽음」 그림자 (몃 사람) 남편 안해 ─ A子 醫師 看護婦 한멈 學生 (세 사람) 刑事係 그 바ᇧ </poem> :{{크게|序幕}} {{내어쓰기/시작|2}} {{들여쓰기/s|0.1}}幕 열린다. 舞 가운대 좀 들어간 곳에 불ᄭᅩᆺ 하나이 흐리게 불붓는 밧게는, 모도 어두움. 이러케 지나기를 五分間.{{들여쓰기/e}} '''죽음''' ᄯᅢ의 {{드러냄표|흐름|sesame}}에 ᄯᅥ돌던 족으만 방울 하나이 고만 소리를 남기고 터질 ᄯᅢ가 왓다. 그 준비를 하여 두라. {{들여쓰기/s|0.1}}불ᄭᅩᆺ 近處에서 感情이 들지 아는 중얼거리는 것가튼 이 소리가 들린다. 沈默.{{들여쓰기/e}} '''죽음''' ᄯᅩ 한 個의 목숨에 永久히 열리지 안는 {{드러냄표|잠을쇠|sesame}}를 채울 ᄯᅢ가 왓다. {{들여쓰기/s|0.1}}불ᄭᅩᆺ 近處에서 중얼거리는 것 가티 이 소리가 들린다. ᄯᅩ 침믁, 그 침믁 새에 舞臺 좀 더 밝아지고 불ᄭᅩᆺ 뒤에 안즌 「죽음」의 모양이 재ㅅ빗 背景 가운대 나타난다. 舞臺 밝아지는 것과 함ᄭᅴ 천천이 흐려지는 불ᄭᅩᆺ 周圍에는 그림자 몃 사람이 半圓形으로 둘러 잇다.{{들여쓰기/e}} '''죽음''' 준비를 하여 두라 (그름자들 머리를 그덕인다. 알에도 갓다) {{드러냄표|슬픔|sesame}}과 {{드러냄표|괴로움|sesame}}과 {{드러냄표|답답함|sesame}}의 소리가 ᄯᅩ 한번 ᄯᅢ의 줄기를 저어 노을 터이지. 다만 이번 것은 귀에 잘 안 들리도록 작은 것이다. 두손의 손ㅅ가락 數보담도 적은 사람의 발거름이 흐려질 ᄲᅮᆫ이다. 사람 全體는 돌아보지도 아니하고 如前히 方面 업시 그 겨틀 ᄲᅡ져 지나갈 터이지 (좀 오래 沈默) 그러치만 작으나 크나 가튼 일이다 작으나 크나 가튼 일이다 드디어 맨 마지막에는 天體의 타는 大音樂의 소리도 어린애의 爽俠한 첫소리도 고지낙해질 ᄯᅢ가 온다─ 업서질 ᄯᅢ가 온다─ ᄭᅳᆫ어져 버릴 ᄯᅢ가 온다. 모도 다─ 가튼 일이다. (침묵) {{드러냄표|걸쇠|sesame}}와 {{드러냄표|잠을쇠|sesame}}는 든든하야. 작아고 {{드러냄표|목숨|sesame}}은 목숨이다. ᄭᅩᆨ 걸쇠가 벗어젓다는 안 되느니라. 틀림 업시 바ᄲᅮ지 안케 이 불ᄭᅩᆺ이 흐려져 가지 아느면 안 된다 (침묵) 大抵 누리에 잇는 모든 {{드러냄표|불ᄭᅩᆺ|sesame}}이 모도 ᄭᅥ져 벌릴 ᄯᅢ─ 大抵 음즉이는 것이 모도 안 음즉이게 될 ᄯᅢ─ 내가 나 自身을 이져 버릴 ᄯᅢ 그 ᄯᅢ가 오는 것을 고지낙이 느리게 凉凉히 기다리지 아느면 안된다. 이 불ᄭᅩᆺ도 모든 불ᄭᅩᆺ과 가튼 運命을 바다서 ᄭᅥ지지 아느면 안된다. 그 준비를 하여 두어라 (좀 오래 沈默. 불ᄭᅩᆺ 작고 흔들린다) 보라. 불ᄭᅩᆺ이 苦悶한다. '''안해의 소리''' 아─ 덥다. '''남편의 소리''' 어렵지오? 내 부처 주지. '''안해의 소리''' 괜챤아요. :그름자들 夫婦의 소리를 듯고 일어서려 한다. '''죽음''' 가만 (안해의 呻吟하는 소리 들린다. 그름자들 일어서려 한다) 가만. 너희들은 {{SIC|묵|목}}숨에 그러케ᄭᅡ지 마음을 부치느냐. 불상한 者들이다. 終焉을 생각해보라. 모든 生命의 ᄭᅳ틀 ᄯᅩᆨᄯᅩᆨ이 보아 두라. 덤뷜 必要는 업다. (침묵) 그런다고 너히들 威嚴을 차릴 必要는 업다. ᄭᅩᆨ 이길 者는 威嚴이 쓸 대 업다. 덤뷔지 말고 목숨이 命하는 대로 그 일을 일보라. (침믁) '''남편의 소리''' 자─ 부처 주지요. '''안해의 소리''' 아니요 졍말 괜챤아요. 당신님이 ᄭᅢ 계시면 잠이 안 오니 자 ᄲᅡᆯ리 자주세요. '''죽음''' 서로 慰勞해 줄 수 잇슬 동안에 서로 慰勞하라. ᄯᅢ는 멎지 안코 지나간다. (그름자들에게 向하여) 너희들은 가서 죽어가는 사람의 일을 돌보아 주라. 나는 여긔서 고지낙이 불ᄭᅩᆺ의 희롱을 보고 잇겟다 (좀 오래 沈默) 래일 아츰 萬物에게 生命을 준다는 해가 새빛으로 東편 하눌에서 여름의 {{드러냄표|뫼와 바다|sesame}}를 빛나게 비치이기 시작할 ᄯᅢ 모든 물건이 즐거움에 못 이겨서 목숨을 讚誦할 ᄭᅩᆨ 한창 그럴 ᄯᅢ 그 젊은 계집의 작은 불ᄭᅩᆺ은 다─ 부터 버리리라. 모도 다─ 가튼 일이다. 來日 아츰 닐곱 時. 너희들은 來日 아츰 일곱 時를 닛지 마라. {{들여쓰기/s|0.1}}舞臺 처음과 가티 어두워진다. 불ᄭᅩᆺ 작고 흔들린다. (좀 오래 沈默){{들여쓰기/e}} '''한멈의 소리''' 마님, 단여왓슴니다. '''남편의 소리''' 무어 무어라시던가. '''한멈의 소리''' 院長은 벌서 주므셔서 來日 아츰 여듧시 ᄶᅳᆷᄭᅡ지 무러 보겟답듸다. '''안해의 소리''' 그래? 수구 햇네. '''남편의 소리''' 올ㅅ바에는 좀 더 ᄲᅡᆯ리 와 주시면 조켓구먼. '''죽음''' (한참 沈默 뒤에) 모도 다─ 가튼 일이다. :幕 천천이 나린다. 序幕 (ᄭᅳᆺ) :{{크게|第一場}} {{들여쓰기/s|0.1}}海岸 保養 別莊의 한 방, ᄯᅳᆯ에는 작은 소나무서 폭이와, 랭초 盆 열암은 개. 퇴ㅅ마루에는 털이불로 더픈 藤椅子 하나. 방안에는 젊고 파리한 안해, 숨쉬기 괴로운 듯이, 하─얀 자리 우에 하눌을 向하고 누어서 부채질한다. 그 겨테 한 사람 用의 모긔帳 치워 잇다. 덧門은 열려 잇고 첨하 ᄭᅳ테는 키후 觸燈이 걸려 잇다.{{들여쓰기/e}} {{들여쓰기/s|0.1}}病室에 결한 腰窓으로 ᄯᅳᆯ에 面한 한방에는 眼鏡 ᄭᅵᆫ 看護婦가 看護服을 벗고 잘 준비를 하고 잇다. 밤. 멀리서 오는 물ㅅ결 소리와 벌네 소리만 들린다.{{들여쓰기/e}} {{들여쓰기/s|0.1}}幕 열린다. 좀 잇다 열 時 친다.{{들여쓰기/e}} '''안해''' 간호부. '''간호부''' (시ᄭᅳ러운 듯이, 그러나 소리는 얌전하게) 네. '''안해''' 당신 자기 前에 한번 더 어름 주머니 밧과 주우. {{들여쓰기/s|0.1}}간호부 실흔 듯이 대답하고 看護服을 벗은 대로 부억으로 간다. 어름 ᄭᅢ트리는 소리.{{들여쓰기/e}} {{들여쓰기/s|0.1}}모긔帳 속에서 남편 나온다.{{들여쓰기/e}} '''남편''' (혀를 채면서 작은 소리로) 오는 것들이 모두 다 갓지 아는 것들이로다. ᄯᅩ 그걸 안 햇소? '''안해''' 아즉 안 주므시셨서요? '''남편''' 그덕그덕 하댓지. 에─ 더운 밤이로다. 난 亦是 ᄭᅢ잇는 것이 조타. 자면 ᄭᅮᆷ만 ᄭᅮ여저서…. '''안해''' 그래두 이제 친 건 몃 時ᅟᅵᆫ가요 열두 시지요? '''남편''' 음 아즉 열시외다. '''안해''' 아즉...... 아─ 긴─ 밤이다. '''남편''' (同情하여서) 정말 괴롭지요? (이마를 쓸어 준다) 에─구 이 ᄯᅡᆷ 봐라. (겨테 잇는 {{드러냄표|핸커치─ᅋᅳ|sesame}}로써 씨츠려 한다) '''안해''' 안 돼요 안 돼요 그러케 가차 오면……. 당신님은 넘우 無神經이야요. 傳染하면 엇지 하시랴우? '''남편''' 못난 소릴! '''안해''' 못난 소리가 아니야요. 당신님ᄭᅥ정 結核에라도 걸려 보시요 약들을 엇지 하겟나요. '''남편''' 그런 消極的 일만 생각하는 것보담, 당신이 나으면 애들이 엇지 깃버하겟나 그걸 생각하는 편이 썩 더 正確하구 조치 안소. '''안해''' 그런 느린 말슴만 하시며... '''남편''' 왜 느린 말이요? '''안해''' 느린 말슴 아니구요! (성난 것가티 나츨 돌린다. 좀 잇다가 온화한 소리로) 怒하시지 말아주셔요 네? 전 이전 ᄭᅩᆨ 죽을 테니ᄭᅡ 이제부터는 죽을 ᄯᅢᄭᅥ정 성 안내기로 합시다. '''남편''' 그런 소릴…. 성낸 건 당신이 아니요? '''안해''' 참 그랫지요. (좀 잇다가) 그래두 怒하시지 마셔요. 전 느린 말을 들으면 참 성이 납듸다 그려. 이즈음은 죽을 줄을 ᄭᅩᆨ 알아 노으니ᄭᅡ 니야기의 참말 거짓말이 진저리 나두룩 ᄯᅩᆨᄯᅩᆨ이 알겟습듸다 그려. 당신님ᄭᅥ정 마음에 업슨 말슴을 하셔서 절 慰勞하시는가 생각함은…… 정말 쓸쓸해져요. 그러니ᄭᅡ... {{들여쓰기/s|0.1}}이ᄯᅢ 看護婦 얼음 주머니를 다섯 개 안고 온다. 니야기 ᄭᅳᆫ어진다.{{들여쓰기/e}} '''간호부''' 가제 밧구엇기 아즉 괜챤을 줄만 알앗더니 벌서 녹앗습니ᄭᅡ? '''남편''' (안해의 머리의 {{드러냄표|어름 주머니|sesame}}에 손을 대여 보면서) 이거 잘─ 녹앗서요. 대린차 ᄶᅳᆷ은 먹을 것 갓다. {{들여쓰기/s|0.1}}看護婦 얼음 베개를 밧구고 머리와 가슴의 얼음 주머니 全部를 밧군다.{{들여쓰기/e}} '''간호부''' 하는 길에 體溫ᄭᅥ정 보십시다. '''안해''' 어려워서 시ᄭᅳ러우니 그만 두어 주십시오. '''남편''' (燥急히 헐덕어리면서) 한번은 안해두 조치 안소? 그만 두어 주시오. {{들여쓰기/s|0.1}}이ᄯᅢ에 살門이 열리는 소리가 난다. 구두 벗는 소리로 醫師인 줄 알고 看護婦 ᄲᅡᆯ리 다음 방으로 간다. 이편 門으로 醫師 登場. 모도 간단히 례한다. 의사 病床에 갓가히 가서 患者를 드려다 보면서.{{들여쓰기/e}} '''의사''' 엇덧슴니ᄭᅡ? '''남편''' (안해의 대신으로) 나두 이틈ᄶᅳᆷ은 東京에 일이 이서서 못 왓다가 오늘 저녁 前에 왓는데 오늘밤은 대단히 어려운 모양이야요. 대단히 더워하구 숨이 보시는 바 가티 이러케 힘들게 해요. 속은 如前히 ᄯᅩᆨᄯᅩᆨ해 잇지만 '''간호부''' 病床日記 좀………. {{들여쓰기/s|0.1}}간호부 다음 방에서 대답하면서 面鏡을 向하여 나츨 만졋다 한다.{{들여쓰기/e}} '''의사''' 무어, 좃습니다. (고지낙이 脈을 보면서) 口味는 엇덧습니ᄭᅡ? '''남편''' 저녁ᄯᅢ, 무슨 생각이 낫는지 北海道ㅅ 것이 먹구 십다구 해서 乾鮭 족음하고 昆布茶하구 米飮을 좀 먹엇겟지오. 능금도 먹구 십다구 해두 아즉 조흔 것이 나지 안쿠 消化 안 됏다는 안 되겟기 그만 두엇는데요……… '''의사''' 괜챤치요 족음은………. (안해에게 向하여) 잡숫구 시픈 것은 아무 걸 자셔두 괜챤아요. 婦人은 胃는 안 밧브니ᄭᅡ요. 어드랫습니ᄭᅡ 鮭魚하구 昆布茶는 그래요 그건 잘 햇습니다. 北海道 맛이 납듸ᄭᅡ 간호부 看護服을 입고 나와서 용케 病床日記 等을 내놋는다. {{들여쓰기/s|0.1}}아ᄭᅡ 院長에게 사람을 보내섯지만 마침 院長은 주므신 다음이댓서서………. 來日 아츰은 일즉이 오시겟지요. 그래서 엇더냐구 내가 바ᄲᅵ 오게 되엇습니다.{{들여쓰기/e}} {{들여쓰기/s|0.1}}이제 方今 대인 冰囊을 치우고 배와 등을 打診 聽診한다. 안해의 숨 더욱 急하여진다. 의사 눈ㅅ살을 ᄶᅵ프린다. 발을 만져 보면서{{들여쓰기/e}} '''의사''' 발이 칩지 안습니ᄭᅡ. 시리면은 湯罐에 더운 물을 너서 듸리고 (간호부 머리를 그덕인다) 아니 이런다구 別루 머 그런 바는 아니야요……… 아니지만 할 수 잇는 대루 마음을 나려 안쳐서 고지낙히 하시지 안으면 안 되여요. 한번 더 注射하지요. {{들여쓰기/s|0.1}}주사의 준비를 하고 注射를 하랸다.{{들여쓰기/e}} '''안해''' 오늘 藥은 내음새가 달습니다 그려. '''의사''' 二年이나 알으시면 病人 분이 우리보다 銳敏하게 되여요. 그래요 오늘은 좀 다른 거루 해 보려구요. {{들여쓰기/s|0.1}}진찰을 ᄭᅳᆺ내고 가려구 인사를 하면서, 의사 남편에게 눈ㅅ짓을 한다. 안헤에게 정신 일흔 {{드러냄표|남편|sesame}}은 가치 의사에게 意味 잇는 듯한 눈ㅅ짓을 하고 ᄯᅡᆯ아 나가지는 안는다. 醫師 할 수 업시 혼자 나간다. ᄯᅡᆯ아 갓던 看議婦 돌아와서{{들여쓰기/e}} '''간호부''' 醫師ᄭᅦ서 院長의 말슴이 잇다구요. '''남편''' (탁 생각낫지만 안해의 아피라 모른 체 하고) 음, 그래요? {{들여쓰기/s|0.1}}일어서서 겻방으로 간다. 간호부는 그 자리에 잇고.{{들여쓰기/e}} '''의사''' 病이 대단히 낫부게 되엇서요. 注意 안 하시면 안 되리다. '''남편''' ……… (잠잠히 의사를 드려다 본다). '''의사''' 무엇이던 살아게실 ᄯᅢ 들어 두실 것이 잇스면 이제라야……… '''남편''' 알앗습니다. '''간호부''' (겻방 소리를 못 듯게 하려고) 마님 제가 아ᄭᅡ 院長 宅에 가는 길에요, 저 개가……… 여긔두 흔히 오지요 그 개가…… '''안해''' (엄하게) 그런 니야긴 잇다가. '''간호부''' 그래두 정 재미 잇서서 못 견듸겟는걸요. 그 개 눈ᄭᅡᆯ 우에 어대ㅅ 사환애가……… '''안해''' (작게 날카롭게) 가만 잇서 주어요. (좀 머리를 들고 듯는다) '''의사''' 알게 할데두 알리는 편이 좃습니다. '''남편''' 저녁에 편진 햇서요. 그러구 저 애들이오. {{들여쓰기/s|0.1}}妻는 決心하구 一年 동안을 만나 봣는데요 엇지 할는지요?{{들여쓰기/e}} '''의사''' 그랜요.…… 이리면 좀 酷毒히 들리실진 모르지만 夫人ᄭᅦ서 만나 보구 십다지 아느시면 그만 두시는 편이 조흘 듯 해요. 만나신 대두 아무데두 이 境遇에 조흔 結果는 생각할 수 업스니ᄭᅡ요. 그대루면은 萬一의 機會가 남는 셈이 됩니다. 醫師의 義務로 사람의 목숨을 마지막 瞬間ᄭᅡ지 保護하지 안으면 안 되는 責任을 ᄭᅢ다름으로 난 이러케 말슴 듸리는 거야요. 할 수 잇는 대루 안 만나 보이시는 편이 조치요. 그것두……… '''남편''' 알겟습니다. 알겟습니다. '''의사''' 그것이 말슴이야요 만나 보신대두 말하자면 不幸의 色彩를 한층 더지게 하는 것 가튼……… '''남편''' 아 알앗습니다 알겟서요! '''의사''' 좀 過하게 말슴 듸렷는지는 모르겟습니다만……… 그러구 이제 安眠 注射를 햇섯스니ᄭᅡ 잠간은 잘 주므시겟지요. ᄯᅩ 容態의 변화가 잇스면 언제던 사람을 보내 주십시요. 곳 올께 엇더턴 대단한 걱정이시겟습니다. '''남편''' 고맙습니다. 오래 괴로움 ᄭᅵ첫섯는데 壽命이 업섯습니다. '''의사''' (좀 소리를 노피어) 그래서 院長은 그걸 말슴듸려 달라구 함으로………. 그 藥을 쓰며는 或 ᄯᅳᆺ 밧게 특별한 效力이 잇슬지도 못라요. '''남편''' (좀 소리를 노피어) 여러 가지 同情은 참 고맙습니다. :의사 간다. 남편 病室에 온다. '''남편''' 간호부 가 주므시우 얼음이 녹으면 내 당신을 ᄭᅢ우지요. '''간호부''' 아니 괜챤습니다. '''남편''' 괜챤치 안어! 來日이 잇지 안소? 난 來日 낮에 실컷 잘께 당신은 자시우.……… 가만, 그러구 자기 前에 네? 겻집에 가서 電話 좀 빌어서 菜蔬商에게 능금 가져 오래 주우. 오늘 밤은 글럿는지 모르지만 來日 아츰 일즉이 가저오라요 그래 주. {{들여쓰기/s|0.1}}간호부 간다. 남편 腰窓을 닷고 就寢. 잠간 침믁. 안해 남편에게 向한다.{{들여쓰기/e}} '''안해''' 간호부 자나요? '''남편''' 자는 것 갓소. 그런대 注射한 다음에 편안해젓서요? '''안해''' 오래간만에 속과 숨이 다─ 편안해젓서요. 그래두 ᄯᅡᆷ이 작구작구 나와서………. 아─ 덥다. 더운 것두 대단히 괴로운 거야. '''남편''' 정 오늘 밤은 더운 밤이다. (하늘을 쳐다보고) 비가 올 것 갓구려 안 와서 그러쿠레. '''안해''' 죽을 것 갓구두 안 죽어지는 것두 어러워요. '''남편''' 무슨 말슴을………. (침믁) '''안해''' 여보서요. '''남편''' 왜요. '''안해''' 醫師 무에래요? '''남편''' 藥 일로 院長에게서 무슨 말이 잇섯다구요………. '''안해''' 오래 말슴하십듸다 그려. '''남편''' 머 그리 오래지두 안치 아낫서요? :(좀 沈默) '''안해''' 저 거시키요. '''남편''' 네. '''안해''' 애들이요. '''남편''' 네. '''안해''' 亦是 안 만나보는 편이 조태지요? '''남편''' (ᄯᅳ끔하여) 누구서 그런 소릴 해요? 언제던지 만나구 십다면 데려오지요. 만나구 십지 아나요 '''안해''' 아니요.……… 이전 거짓말하긴 그만 둡시다. '''남편''' (ᄭᅢ다른 것 가티) 음 그만둡시다.……… 올소이다. '''안해''' 그럼 저두 당신님ᄭᅦ 쓸데 업는 소리 뭇는 건 이전 안 하겟서요. 죽을지 살진 自己가 第一 ᄯᅩᆨᄯᅩᆨ이 아는 것이니ᄭᅡ요. '''남편''' ……… '''안해''' 전 당신님을, 한번 이러케 看病해 듸리구 시펏서요. '''남편''' 弄談 마시요. 난 이런 病은 ᄯᅡᆨ 살혀요. (억지로 웃는다) '''안해''' 졍 그래용 (안해도 웃는다) '''남편''' 그래두 萬一 그러케 되면 내가 당신ᄭᅦ 해준 十倍 以上으로 날 看病 안 해주면 난 성낼 테야요. '''안해''' 그런 마음에 업슨 말슴을 하셔요? 당신님은 거짓말을 하셔요. '''남편''' 거짓말이 아니외다. :안해 대단히 성난 것 가티 오래 沈默 '''남편''' 여보 A子氏 내가 잘못햇섯소. 그러치만 누구가 무에라던지 난 한 번 더 당신을 살려 보구 시프외다. 거짓말을 하는 내 입을, 내 귀는 그것을 미드려구 해요. '''안해''' (感하여) 아니야요. 성을 내구 해서 정 졍 제가 잘못햇서요 당신님의 마음 속은 잘 알구 잇지만은……… 이전 제 차림에 더 살구 시픈 마음을 안 나게 해 주셔요 네? 그것보담 藥으로 속이 편안할 동안 자미 잇는 니야기라도 하십시다. 네? '''남편''' 그래두 당신은 좀 자야 하지 안……… (自己에게 생각나서 혀를 차면서) 난 웨 이리 시재 일만 생각한단 말인구……… 자 밤새도록 야기합시다. '''안해''' 아아 깃브다 (대단히 깃븐 듯이) 무슨 니야기던지 해주셔요. '''남편''' 자─ 무슨 니야길 할가 (침믁) 니야깃 말이 낫스니 말이지 갓 結婚 햇섯슬 ᄯᅢᆫ 每日 밤 누어서 한 마듸씩 햇더니만, '''안해''' 그래두 한 달ᄶᅳᆷ 지나서는 니야기 ᄭᅡᆷ이 다─ 업서젓섯지요? '''남편''' 한달 連續한 건 훌륭하지요. 당신은 대단히 욕심이 만핫지요? 톨스로이의 「復活」 가튼 건 첨부터 마지막ᄭᅡ질 하로 밤 동안에 시켜버리구. 이야기 하면서 自己가 興奮한 나두 못낫거니와 당신도 前後 생각 업는 사람이엇섯다우. 그러니ᄭᅡ 한 달 동안에 말ㅅ감이 다─ ᄭᅳᆺ나 버리겟지요. 그래두 그 德으로 당신도 ᄭᅫ 有識하게 되엇소인다. '''안해''' 정말 여러 가지 일을 가르쳐 주셧지요. 그만큼 마음이 작구 작구 發育되는 ᄯᅢᆫ 前에두 뒤에두 업섯서요. 그다음부터는 도루 점점 바로 뒤ㅅ거름질하여 버렷겟지요. '''남편''' 第一루는 내가 점점 不熱心하게 된 연고이왼다 (웃는다) 자, 덧門을 그만 다다 버리지요. 넘우 밤ㅅ 긔운이 만히 오지? '''안해''' 아니 亦是 여러 두어 주십시요. 더울 ᄲᅮᆫ이 아니라 다드면 숨이 답답해저서 (문 밧글 보고서) 날이 흐림니다 그려. 별은 아무데두 안 뵈지요? '''남편''' (하눌을 쳐다보면서) 에이구, 바람두 업는데 저 구름 날아가는 것 봐라. 八月이라 허믄 亦是 別로히 日氣가 낫버요. 아 저─긔 하나 뵌다. 보임니ᄭᅡ? '''남편''' 이젠 들어가 버렷다. '''안해''' 별에게두 作別을 햇구……… (침믁) 거짓말이야요 弄談이야요. 전 이러케 別것이 다─ 사랑스러웟 다 情다윗다 할 젠 아무래두 안 죽어요. 정말 이 괴롭던 일이나 슬펏던 일이나 다 아름답게만 생각나요……… 그러니ᄭᅡ 전 나을 테야요 ᄭᅩᆨ 낫지요. '''남편''' 네, 참 낫습니다. (좀 침믁) 당신의 괴롭다구 생각한 일이나 슬프다구 생각한 일이나, 世上 사람에게 말하랴면……… 내가 第一 실혀하는, 신것이나 단것을 다─ 알구 感情의 種子가 ᄭᅩᆺ난 사람에게 말하랴면 귀찬은 일이랄지는 모르지만, 나로써는 亦是 그것이 즐거웟서요. 머, 그 當時엔 대단히 시ᄭᅳ럽다구 생각은 하얏지만………. (좀 억지의 웃음을 웃는다) 엇더튼 내 性格에나 일에 標ㅅ대가 서기 前에 당신이 세상을 ᄯᅥ나면 내 나치 서지를 못해요. 나두 언제ᄭᅥ정이던 이러구 잇지는 아늘 테야요. 당신이 탈이 나서 이 二年 동안 놀고 잇난 동안에 점점 標ㅅ대를 차젓소이다 노는 것두 낫븐 것ᄲᅮᆫ이 아니라오. 아즉ᄭᅡ지 나는 거저 다만 허투루 뭉개기만 햇지요. 그것이 안 되게 됏서요. 생각해보면 이제ㅅ것 일 가튼 일은 하두 못하엿는데 그래두 당신은 내게 잘 참아 주엇습니다. 말하자면 당신은 ᄭᅫ 순하게 된 사람입닌다. '''안해''' 일을 만히 하시지 아엇서요? '''남편''' 失敗한 일은 암만 잇서두 오히려 하지 아는 편만 못하다오. '''안해''' 그래두 당신님은 學生들에게 힘으로 되어 게시지오. '''남편''' 안 되어 안 되어. 길 일흔 羊이 길 일흔 羊을 引導할 수 업서요. 나가튼 것은 정말 말하자면 가만히 自己 압만 보고 잇지 아느면 안 되는 것이외다. 이런 사내답지 아는 소리를 당신에게 말하기는 부ᄭᅳ럽지만. '''안해''' ᄯᅩ 그런 말슴을 그런 말슴을 하시믄 저는 더옥 더 죽고 시퍼져요.─ 저 거시키요. '''남편''' 네. '''안해''' 제 手帖이요. :이ᄯᅢ, 한멈•비틀비틀하며 登場. 자리옷채로. '''한멈''' 서방님, 이런 ᄭᅩᆯ을 해서 용서해 주십시요. '''남편''' 멀 그러나 이런 ᄯᅢ 일어나서. '''한멈''' ᄯᅩ 우스실진 모르지만 이제 별한 ᄭᅮᆷ을 봐서 그래서……… '''남편''' ᄯᅩ ᄭᅮᆷ 니야기 조아, 자게. '''한멈''' 그럿습니ᄭᅡ? 마님은 주므십니ᄭᅡ? '''남편''' ᄭᅢ 잇네 왜? '''한멈''' 네─ 그럼 ᄯᅩ……… :한멈 登場. 잠간 침믁 '''안해''' 당신님ᄭᅦ 암만 해두 안 보인 저 手帖이요 물ㅅ빗 ᄯᅮ껑한 것 말이야요. '''남편''' 네. '''안해''' 그건 저 壁장 알에층에 너어 두엇는데요… …아니 아즉 보시면 안 되어요……… 손 좀 주셔요 (남편의 손을 잡고 ᄯᅩ 한 손으로는 가만히 쓸면서) 제가 말이야요……… 제가 만약 죽어버리면요……… 그ᄯᅢ 보서요. ᄭᅩᆨ 나을 테지만.……… 그러구, 이번은 ᄭᅩᆨ, 괴로움만 ᄭᅵ치지 안코 드러 일 할 테야요. 조치요? 네? '''남편''' ……… '''안해''' 그러케 怒하시면 실혀요. '''남편''' (그 말과 한ᄭᅴ) 성은 왜 내요. :沈默 '''남편''' 당신은 정말루 낫─지 아느면 안 되어요 그럴 作定이면, 마즈막 瞬間ᄭᅡ지라두 목숨을 重히 하지 아느면 안 됩니다. 疲困해지면 안 되겟스니……… 그래두 더 니야기 할가요? 더 니야기할 것이 잇습닛ᄭᅡ? '''안해''' 이젠 업서요. '''남편''' 그럼 좀 자보십시요. '''안해''' 네. 그 대신 당신님두 좀 주므셔요. '''남편''' 난 괜챤소이다. 게다가 모긔帳두 안 치구 자면 모긔 성화에 당신은 못 잡니다 내 겨테서 부처 듸릴 터이니 걱정 말구 자시요. '''안해''' 당신님이 안 자시면 전 잠이 안 오는 걸요. '''남편''' 頑固구럭이 그러면 나두 자지요. '''안해''' 자 당신두 몸보중 잘 하셔요. 그럼 잘 주므셔요. {{들여쓰기/s|0.1}}남편 모긔帳 속에 들어간다. 안해는 呼吸이 곤난하면서도 장하게 부채를 들고 모긔를 날린다. 催眠劑의 효험이 나타나서 苦眠에 들고 부채는 손에서 ᄯᅥ러진다. 남편 모긔帳 속에서 나와서 안해의 겨테 가서 부채로 부처 준다. 한멈 ᄯᅩ다시 몰래 登場.{{들여쓰기/e}} '''한멈''' 서방님 마님은……… '''남편''' (씨그러운 듯이) 잠들엇스니……… '''한멈''' 서방님 아ᄭᅡ ᄭᅮᆷ을 ᄭᅮᆫ 다음에는 전 암만 해두 잠이 안 와요. ᄯᅩᆨᄯᅩᆨ이 생각나는 ᄭᅮᆷ이엇섯는데요. 하누님이, 서방님. 하누님ᄭᅴ서 마님을 불러가셧겟지요. 그것이, 서방님. 그 하나님 얼울이 ᄭᅩᆨ 서방님 고대루 엇서요. '''남편''' 무슨 갓지도 안은 소릴……… 썩 가 자게. '''한멈''' 게다가……… 별루 무서워서……… '''남편''' 조흐니 조아 가 자라닛가! '''한멈''' 네 그리옵지요. 서방님 「하나님을 밋는 者는 福 잇다」고 말슴하지만……… '''남편''' 講道는 來日 해주게 내게는 생각하는 일이 잇스니ᄭᅡ……… 자 조으니 ᄲᅡᆯ리 가 자게. '''한멈''' (실흔 듯이) 그럿습니ᄭᅡ 그럼 자겟습니다. {{들여쓰기/s|0.1}}한멈 退場. 남편•안해의 낯을 드려다 본다.{{들여쓰기/e}} {{들여쓰기/s|0.1}}舞臺 그대로 어두어진다.{{들여쓰기/e}} {{들여쓰기/s|0.1}}ᄯᅡ─크•췌인쥐.{{들여쓰기/e}} {{들여쓰기/s|0.1}}잡은손을 참아 놋키가 실혀 ᄭᅩᆨ 쥐엇다가 노으려다가 더 ᄭᅩᆨ 쥐엇지오 그리고 나는{{들여쓰기/e}} {{들여쓰기/s|0.1}}「이번에 ᄯᅥ나면 언제나 오시려오?」 하닛가 사랑의 그는 소리 업는 가는 웃음을 흘리면서 내 손을 이끌어 西쪽 파란 하늘의 初生달을 가르쳐 주면서 「저 달요? 두 번 ᄯᅩᆼ그래지는 그날에 나요」{{들여쓰기/e}} {{들여쓰기/s|0.1}}「에구─ 그러케도 오래나요 난 참 一日이 如隔三秋ᅟᅵᆫ데………」{{들여쓰기/e}} {{들여쓰기/s|0.1}}「무엇이야요?」 「한一 날日 一日동안이라두 말이야요」 「一刻 말요? 네? 一刻이 如隔三秋라는 말심이지오 알앗습니다 알앗서요 전 도라서기도 실힌데……… 엇더캐요……{{들여쓰기/e}} {{들여쓰기/s|0.1}} 그러고 사랑의 그는 나의 손을 쥐기를 ᄭᅩᆨ─ 더 ᄭᅩᆨ─{{들여쓰기/e}} {{오른쪽|手帖에서 一節……默……}} [[분류:미완의 작품]] s46e36b9tjouzwbdsnf4z3v4u73aj1r 위키문헌: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5년 상반기/문헌목록 4 94877 391462 391369 2025-06-11T05:52:30Z Motoko (WMKR) 14454 391462 wikitext text/x-wiki {{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2025년 상반기}} == 작업할 문헌 == ===<span style="color:#cc0000">난이도 상</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상 || 정속언해 || 윤리서 || [[색인:正俗諺解.djvu]] || {{완료}} |- | 상 || 천문학 || 과학 || [[색인:天文學.djvu]] || {{완료}} |} ===<span style="color:#CC9900">난이도 중</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중 || 공부자언행록 || 유교경전 || [[색인:孔夫子言行錄.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2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2책.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3책.djvu]] || {{완료}} |- | 중 || 시경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4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5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6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6책.djvu]] || |- | 중 || 시경언해 제7책 || 유교경전 || [[색인:詩經諺解 제7책.djvu]] || {{완료}} |- | 중 || 논어언해 권2 || 유교경전 || [[색인:論語諺解 권2.djvu]] || {{완료}} <!-- 프로젝트 개시 전 이미 완성된 문헌 숨김 |- | 중 || 삼강오륜언해동몽초학 || 유교 입문서 || [[색인:三綱五倫諺解童蒙初學.djvu]] || --> |- | 중 || 주역언해 제1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1책.djvu]] || {{완료}} |- | 중 || 주역언해 제3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3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4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4책.djvu]] || |- | 중 || 주역언해 제5책 || 유교경전 || [[색인:쥬역언해 제5책.djvu]] || |- | 중 || 사친곡 || 규방가사 || [[색인:사친곡.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1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1.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2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2.djvu]] || |- | 중 || 일동장유가 권3 || 가사 || [[색인:일동장유가 권3.djvu]] || |- | 중 || 귀여아전 || 소설 || [[색인:귀여아전.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1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1.djvu]] || {{완료}}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2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2.djvu]] || |- | 중 || 혜경궁읍혈록 권3 || 수필 || [[색인:혜경궁읍혈록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3.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4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4.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5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5.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6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6.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7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7.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8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8.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9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9.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0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0.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1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1.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2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2.djvu]] || |- | 중 || 창란호연록 권13 || 소설 || [[색인:창난호연녹 권13.djvu]] || |- | 중 || 쌍셩봉효록 권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djvu]] || {{완료}} |- | 중 || 쌍성봉효록 권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6.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7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7.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8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8.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9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9.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0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0.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1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1.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2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2.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3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3.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4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4.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5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5.djvu]] || |- | 중 || 쌍성봉효록 권16 || 소설 || [[색인:쌍셩봉효록 권16.djvu]] || |- | 중 || 형사가 || 가사 || [[색인:형사가.djvu]] || |- | 중 || 장단대신훈도긔라 || 가사 || [[색인:장단대신훈도긔라.djvu]] || |- | 중 || 태남잡기 || 수필 || [[색인:태남잡긔.djvu]] || {{완료}} |- | 중 || 죽리탄금 || 산문 || [[색인:쥭리탄금.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1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1.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2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2.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3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3.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4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4.djvu]] || |- | 중 || 이씨효문록 권5 || 소설 || [[색인:니씨효문녹 권5.djvu]] || |- | 중 || 태아선적강록 || 소설 || [[색인:태아션젹강녹.djvu]] || |- | 중 || 금고기 || 소설 || [[색인:금고기.djvu]] || |- | 중 || 규훈 || 윤리서 || [[색인:규훈.djvu]] || |- | 중 || 금우전 || 소설 || [[색인:금우젼.djvu]] || |- | 중 || 여자유행사친가 || 가사 || [[색인:여자유행사친가.djvu]] || {{완료}} |- | 중 || 규곤의측 || 교훈서 || [[색인:규곤의측.djvu]] || |- | 중 || 초한전 || 소설 || [[색인:쵸한젼.djvu]] || |- | 중 || 소약란회문금록 || 소설 || [[색인:쇼약난회문금녹.djvu]] || {{완료}}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1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1.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2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2.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3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3.djvu]] || |- | 중 || 십이봉전환기 권4 || 소설 || [[색인:십이봉전환기 권4.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1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1.djvu]] || {{완료}} |- | 중 || 묘법연화경 권3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3.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5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5.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6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6.djvu]] || |- | 중 || 묘법연화경 권7 || 불경 || [[색인:묘법연화경 권7.djvu]] || |- | 중 || 연행일기 권1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1.djvu]] || |- | 중 || 연행일기 권2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2.djvu]] || |- | 중 || 연행일기 권3 || 기행문 || [[색인:연행일긔 권4.djvu]] || |- | 중 || 소약란직금도 || 소설 || [[색인:소야란직금도.djvu]] || |- | 중 || 천지팔양신주경 || 불경 || [[색인:(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 || {{완료}} |- | 중 || 지장보살본원경언해 || 불경 || [[색인:지장보살본원경언해.djvu]] || {{완료}} |- | 중 || 육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 || 불경 || [[색인:(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 || {{완료}} |- | 중 || 대한국어문법 || 국어문법서 || [[색인:대한국어문법.djvu]] || {{완료}} |- | 중 || 고왕경 || 불경 || [[색인:고왕경.djvu]] || {{완료}} |} ===<span style="color:#336600">난이도 하</span>=== {| class="wikitable" |- ! 난이도 !! 문헌 이름 !! 분야 !! 원문 파일 !! 선택 여부 |- | 하 || 팔상록 || 불교 서적 || [[색인:팔상록.djvu]] || {{완료}} |- | 하 || 지구약론 || 교과서 || [[색인:디구략론.djvu]] || {{완료}} |- | 하 || 속명의록언해 || 역사서 || [[색인:續明義錄諺解.djvu]] || {{완료}} |- | 하 || 태서신사 하 || 역사서 || [[색인:태셔신사 하.djvu]] || {{완료}} |- | 하 || 고불응험명성경언해 || 도교수양서 || [[색인:古佛應驗明聖經序諺解.djvu]] || |- | 하 || (희자초서)언간필법 || 실용서 || [[색인:(희자초서)언간필법.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1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1.djvu]] || {{완료}} |- | 하 || 이언 권3 || 서양문물서 || [[색인:이언 권3.djvu]] || {{완료}} |- | 하 || 초한가 || 가사 || [[색인:초한가.djvu]] || |- | 하 || 심청전 || 소설 || [[색인:심쳥젼.djvu]] || {{완료}} |- | 하 || 권왕가 || 가사 || [[색인:권왕가.djvu]] || {{완료}} |- | 하 || 식물학 || 과학 || [[색인:식물학.djvu]] || {{완료}} |- | 하 || 사민필지 || 지리교과서 || [[색인:사민필지.djvu]] || {{완료}} |- | 하 || 동물학 || 교육학 || [[색인:동물학.djvu]] || {{완료}} |- | 하 || 오선기봉 || 소설 || [[색인:오션긔봉.djvu]] || {{완료}} |- | 하 || 쳥류지열녀 || 소설 || [[색인:(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 || |- | 하 || 형산백옥 || 소설 || [[색인:형산백옥.djvu]] || |- | 하 || 오자서실기 || 소설 || [[색인:오자셔실긔.djvu]] || {{완료}} |- | 하 || 손방연의 || 소설 || [[색인:손방연의.djvu]] ||{{완료}} |- | 하 || 현씨양웅쌍린기 || 소설 || [[색인:(고대소설)현씨량웅쌍인긔.djvu]] || {{완료}} |- | 하 || 봉황대 || 소설 || [[색인:(구대소설)봉황대.djvu]] || {{완료}} |- | 하 || 금고기관 || 단편소설집 || [[색인:(언한문)금고긔관.djvu]] || {{완료}} |- | 하 || 도화원 || 소설 || [[색인:(소설)도화원.djvu]] || {{완료}} |- | 하 || 별삼설기|| 소설 || [[색인:별삼셜긔.djvu]] || |- | 하 || 진대방전|| 소설 || [[색인:진대방젼.djvu]] || {{완료}} |- | 하 || 쌍미기봉 || 소설 || [[색인:쌍미긔봉.djvu]] || |- | 하 || 몽결초한송 || 소설 || [[색인:(고대소설)몽결초한숑.djvu]] || {{완료}} |- | 하 || 현수문전 || 소설 || [[색인:현수문젼.djvu]] || {{완료}} |- | 하 || 양산백전 || 소설 || [[색인:(고대소설)양산백젼.djvu]] || {{완료}} |- | 하 || 김원전 || 소설 || [[색인:김원젼.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상권 || 소설 || [[색인:리린젼 상권.djvu]] || {{완료}} |- | 하 || 이린전 하권 || 소설 || [[색인:리린젼 하권.djvu]] || {{완료}} |- | 하 || 권용선전 || 소설 || [[색인:권룡션젼.djvu]] || {{완료}} |- | 하 || 제환공 || 소설 || [[색인:졔환공.djvu]] || {{완료}} |- | 하 || 소진장의전 || 소설 || [[색인:(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 || {{완료}} |- | 하 || 양풍운전 || 소설 || [[색인:양풍운젼.djvu]] || {{완료}} |} [[분류: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 2025년 상반기]] [[분류:옛한글 문헌 전자화 프로젝트의 색인| ]] oc7que4smzpm6eixumr7f40xsvon50h 위키문헌:저작권 토론 4 97996 391519 389958 2025-06-11T10:31:43Z Namoroka 1939 391519 wikitext text/x-wiki {{절차 머리말 | 제목 = 저작권 토론 | 부제 = | 이전 = | 다음 = | 단축 = | 설명 = {{단축|문:저작권의심|문:저작권침해}} 이 문서는 위키문헌의 [[문:저작권 정책|저작권 정책]]을 침해하는 것으로 보이는 문헌에 관하여 논의하는 장소입니다. 논의에 앞서 위키문헌의 서버는 물리적으로 미국에 위치하여 있다는 특징으로 '''미국의 저작권법을 중심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음을 기억해 주십시오. 이미 진행 중인 논의에 참여하는 것과 [{{fullurl:위키문헌:저작권 토론|action=edit&section=new 새 논의를 시작하는 것}}] 모두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p>명백하게 저작권을 침해하는 문서의 경우 이 문서를 거치지 않고 바로 삭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키미디어 재단을 법적 책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저작권 상태에 관해 상당한 의심이 있는 경우는 바로 삭제될 수 있습니다.</p> <p>이 토론 문서에 주제를 추가할 때는 해당 문서에 '''<code><nowiki>{{저작권 의심}}</nowiki></code>'''틀을 부착하여 주십시오. 이렇게 하면 문서의 내용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저작권 문제가 아닌 이유로 삭제를 신청하는 경우에는 이 문서를 이용하지 말아 주십시오.</p> }} == [[틀:세계법제정보센터]] == {{토론 가져옴|틀토론:세계법제정보센터#저작권 문제}} {{답장|HappyMidnight}} [https://web.archive.org/web/20150220051538/http://www.moleg.go.kr/openarea/guide/copyright 2015년 당시 저작권 정책]에 따르면 "즉,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담당자와 사전에 협의한 이후에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명시되어 있었으므로, 공공누리 중에서도 제1유형이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을 것입니다. 현재에도 제1유형이 붙은 것이 있는 반면, 2·3·4유형이 붙은 경우도 있으므로 해당 틀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각 문서별로 저작권을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8일 (토) 02:38 (KST) : 안녕하세요? 법제처 말고, 세계법제정보센터의 저작권 정책에 따르면, "공공데이터 정책에 따라 ‘세계법제정보센터’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세계법제정보는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으며, 제공된 세계법제정보는 영리 목적의 이용을 포함하여 자유로운 활용이 보장됩니다."라고 하고 있습니다만. [https://web.archive.org/web/20150220051538/http://www.moleg.go.kr/openarea/guide/copyright 세계법제정보센터의 저작권 정책] [[사:HappyMidnight|HappyMidnight]] ([[사토:HappyMidnight|토론]]) 2025년 3월 9일 (일) 18:55 (KST) ::{{답장|HappyMidnight}} 언급하신 링크가 제가 처음에 언급한 링크와 같은 링크인데, 리다이렉트가 자동으로 된거였네요. 다시 확인해보니 말씀하신 내용이 담겨있는 것은 [https://web.archive.org/web/20171031073438/http://world.moleg.go.kr/introduce/copyRight 2017년 10월 31일에 보존된 것]이 마지막으로 보존되어 있네요. [https://web.archive.org/web/20171207035516/https://world.moleg.go.kr/web/main/index.do 2017년 12월 7일] 이전에 홈페이지 개편이 이루어졌고, 이때부터는 법제처 홈페이지의 저작권 정책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이때를 기준으로 저작권 정책이 바뀌었다고 보는 것이 맞아 보입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9일 (일) 21:26 (KST) ::: {{답장|Namoroka}} 그렇다면, 2017년 이전에 저작권이 선언된 것과 그 이후의 것을 구별해야 할 것 같네요.[[사:HappyMidnight|HappyMidnight]] ([[사토:HappyMidnight|토론]]) 2025년 3월 10일 (월) 15:39 (KST) == [[틀:우리역사넷]] == {{토론 가져옴|틀토론:우리역사넷#저작권 문제}} {{답장|HappyMidnight|Aspere|Vpark45}} [https://web.archive.org/web/20160202184649/http://contents.history.go.kr/front/etc/data.do 2016년 저작권 정책]에서는 "그러므로 저작권법 제25조의 ‘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이외의 목적에는 임의로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https://www.history.go.kr/contents/contentsPage.do?groupId=000000000571&menuId=000000000572&pageId=000000000213 현 저작권 정책]에서는 "단, 자유이용의 경우 학술, 연구 등의 개인적인 목적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며"라고 말하고 있으므로 자유 이용이 허가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8일 (토) 03:30 (KST) : {{핑|Namoroka}} 저도 우리역사넷 자체의 저작권 정책이 보존문서로 넘어간 것은 지금 알았습니다. 분명 얼마 전까지만 해도 그냥 봤던 것 같은데... 그런데 제가 이해하기로는 그건 아닐 것 같습니다. 먼저 제일 위의 문구를 보면, {{인용문|공공 데이터 개방은 민간이 공공 데이터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관련 산업 및 서비스의 육성과 경제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역사넷>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중 일부 데이터도 공개·개방되고 있습니다.}} : 라고 적혀 있는데, 이를 보면 이는 상업적 이용을 허가하는 것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또한 말씀하신 맨 밑의 문구도 전체적인 맥락을 보면, {{인용문| 따라서 <우리역사넷>의 콘텐츠 중 저작권이 개방된 ‘역사 속 오늘’, ‘역대 국사 교과서’ 중 국정 교과서, ‘한국의 역사와 지리’를 제외한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습니다.<br />그러므로 저작권법 제25조의 ‘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이외의 목적에는 임의로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또한 서비스 이용 외에 무단 전재 또는 재배포로 인한 명예 훼손, 초상권 침해, 재산상의 피해 등이 발생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이렇게 적혀 있는 것을 보면 "개방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의 경우에는 (경우에만) 25조 이외의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8일 (토) 09:15 (KST) :: 그런데 별개로 이렇게 써 있는 저작권 정책이 사라진 것이니 배포를 철회한 것으로 봐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이게 법적으로 철회가 가능한 건지도 잘 모르겠고...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8일 (토) 09:18 (KST) ::: 제가 조건문을 제대로 안 읽어보았군요. 말씀하신 사항이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 저작권 정책이 바뀌었으므로, 저작권 정책이 변경되기 이전 내용은 계속 사용해도 되는 것인지, 또한 이런 경우라면 "너 고소"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건지 의문입니다. (이러한 경우처럼 초기에 미리 공식적으로 저작권 관련 허락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문의를 넣으면 담당 공무원으로부터 당연히 상업적 이용 및 재배포 등이 안 된다고 답이 올 것 같다는 예상입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8일 (토) 19:52 (KST) == [[색인:철학사전 (1949).pdf]] == {{토론보존}} '''삭제'''. 공용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저자에 대한 정보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휘문고 교장을 지냈으며 1956년에 55살이었고[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6043000239203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6-04-30&officeId=00023&pageNo=3&printNo=10403&publishType=00020], 1982년에도 아마? 사망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2011900329209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1-19&officeId=00032&pageNo=9&printNo=11171&publishType=00020] [https://www.gangnam.go.kr/board/article/3478/view.do?mid=ID01_0501] [http://www.dni.co.kr/webzine/view/?m_seqno=128&seqno=13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12821]--[[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29일 (토) 00:00 (KST) ---- {{토론 가져옴|색인토론:철학사전 (1949).pdf#저작권}} 이 책의 저자인 李載壎에 대한 정보를 찾기 어렵지만, 1973년에 철학책 '프라토: 철학과 정치'를 낸 사람과 동일한 분 같습니다. 따라서 아직 저작권이 만료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사:ZornsLemon|Z.Lemon]] ([[사토:ZornsLemon|토론]]) 2025년 3월 2일 (일) 17:01 (KST) :사실 원본 출처인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권리자 불명 저작물"로 공개되어 있어서 좀 애매하긴 했는데 그 정도로 최근일 줄은 몰랐네요.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2일 (일) 20:52 (KST) : [[:c:Commons:Deletion requests/File:철학사전 (1949).pdf|공용 파일에 삭제 신청]]을 넣었습니다. 완료되면 색인 문서도 지우면 될 것 같습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12일 (수) 17:53 (KST) {{토론보존끝}} == [[수당연의]] 및 [[색인:슈당연의.djvu]] == {{토론보존}} '''복구'''. [[commons:Commons:Undeletion_requests/Archive/2025-03#File:슈당연의.djvu]] 공용에서 복구가 완료되었습니다. 또한 추가로 관련된 내용을 발견하여서 링크를 걸어둡니다. "당시에는 오늘날과 같은 저작권에 대한 개념이 생기기 전이므로 여기서 말하는 著作者는 글쓴이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책을 펴낸이 내지 엮은이 정도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https://www.mjmedi.com/news/articleView.html?idxno=35854] --[[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28일 (금) 23:36 (KST) ---- 본 문서 도입 전 이미 {{틀|저작권 의심}}이 부착되어 있던 점과, 해당 파일이 공용에서 삭제된 점을 들어 발제합니다. ([[:c:Commons:Deletion requests/File:슈당연의.djvu|공용에서의 삭제 토론 문서]]) 한국어 위키문헌이라도 이론적으로 미국 저작권법을 따르는 특성 상, 한국에서 저작권이 만료되지 않았더라도 로컬에 파일을 다시 올리는 방법으로 우회 가능합니다.<ref group="수당연의">공용은 "미국과 본국에서 자유일 것"을 정책으로 채택했기 때문에 불가능한 것이지, 법적인 관점에서만 보면 미국에서만 만료되었으면 됩니다. 영어판에서도 미국에서만 만료된 경우 로컬 업로드를 허용하고 있습니다.</ref> 만약 괜찮다는 쪽으로 총의가 모이고 미국법 상 저작권이 만료된 것이 확실하면 그 방법으로 복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핑|Motoko C. K.}} 공용에서의 삭제 토론 발제자께도 안내 차 알림드립니다. ; 설명 <references group="수당연의" />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12일 (수) 17:39 (KST) :회동서관(匯東書館)을 운영하였던 고유상(高裕相)은 1884년 출생, 1972년 사망한 인물로 보입니다. {{뉴스 인용|url=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404210032920500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4-21&officeId=00032&pageNo=5&printNo=11866&publishType=00020|제목=黎明(여명)의 開拓者(개척자)들 (7) 高裕相(고유상)|날짜=1984-04-21|뉴스=경향신문|면=5|경유=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gongu.copyright.or.kr/gongu/authr/authr/viewWrtrPage.do?menuNo=200186&authrSn=12326&wrtFileTy=01 공공누리]에는 만료 저작물 저자로 잘못 올라와 있습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12일 (수) 21:41 (KST) :제가 전에 회동서관의 오성긔담을 올린 적이 있었는데, (고유상의 [[삼쾌정]]이 올라와 있어서 이분 저작은 당연히 만료인 줄 알고 올렸어요.) 그러다 조사했더니 고유상씨가 1972년 사망으로 밝혀져서 일단은 삭제한 적이 있습니다. 사실 조금 불만스러운 점은... 당시 회동서관에서 출판된 서적의 '저작자'라고 돼 있지만 실은 저작자 불명이며 고유상씨는 회동서관의 사장으로 편집자인 경우가 상당수 있다는 점입니다. 실제 회동서관에서 나온 책 중 저작자가 알려져 있음에도 저작자가 고유상씨로 돼 있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고, 당시 다른 출판사에서도 '저작자' 개념이 잘 서 있지 않아서 이런 관행이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를 확증할 방법이 거의 없다는 데 있죠. [[사:ZornsLemon|Z.Lemon]] ([[사토:ZornsLemon|토론]]) 2025년 3월 12일 (수) 22:02 (KST) ::지금 저작권 틀을 계속 정리하고 있는데, 미국에서의 저작권만을 따진다면 {{tlx|PD-anon-US|1918}}을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고유상 씨가 저자든 번역자든 편집자든 미국에서는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만약 고유상 씨가 저자라면 {{tlx|PD-US|1972|1918}}입니다. ::그런데 Aspere 님 의견처럼 로컬 위키에서 미국 법만을 따른다는 것은 그냥 각 커뮤니티에서 결정하는 사항인지요?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당연히 한국 법 또한 따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위키문헌에서는 이러한 토론이 있었는지 모르겠네요. (일본어 위키문헌의 [[:ja:テンプレート:PD-KRGov|틀:PD-KRGov]]를 보니 한국, 일본, 미국에서 PD인 이유 3가지를 모두 기재해뒀더라고요.)--[[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13일 (목) 00:13 (KST) :::저도 이 김에 정확히 확인해보려고 여러 프로젝트를 뒤졌는데 굉장한 회색지대라는 생각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요약하면 "애매하니 하지 말자"가 제일 적절할 것 같습니다. :::일단 재단 이용 약관에는 "적용되는 법은 최소한 미합중국과 캘리포니아주의 법을 포함한다" 정도의 언급이 제일 직접적이고, 나머지는 미국 법만 따르라고 하지는 않으나 미국 법 이외에도 꼭 따라야 한다는 말도 없습니다. 공용의 경우에는 "미국과 원작국에서 자유여야 한다"라는 언급은 적혀 있으나 이 문구의 도입 배경 같은 것은 결국 못 찾았고요. :::영어판에서는 {{틀|PD-EdictGov}}을 이용해서 "미국이 아니어도 미국에서 자유면 다 올려도 된다" 정도의 언급([[:en:Help:Official texts|Help:Official texts]])이 직접적이고, 로컬 업로드가 가능하다는 언급이 토론 문서에 산재되어 있으나 정책 문서에 적어놓은 건 아닌 것 같습니다. 사실 영어판은 관례적으로 이렇게 한 경우가 많아서 그냥 그렇게 밀어붙이는 것에 가깝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또한 (전부 확인해본 건 아니긴 하나) 이외의 언어판에서는 정책에 해당 국가의 법을 지킬 것을 명기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처리하고 있었습니다. :::엄밀한 의미에서는 안 정했으니까 해도 된다고 해석할 여지도 있어 보이는데, 이걸 시작하면 어디까지 올릴 수 있는가에 관해 엄청난 난장판이 날 것도 같고, 또 현실적으로 한국인이 제일 많이 볼 한국어판에서 "한국에서는 자유 사용이 불가능한 텍스트"를 우르르 올리는 것이 적절할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13일 (목) 02:29 (KST) :::결국 들은 말을 확신에 차서 얘기한 제 잘못이 가장 큰 것 같습니다... 무엇인가 큰일이 나기 전에 알아채서 다행이긴 하지만 그래도 죄송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13일 (목) 02:30 (KST) ::::죄송해 하실 필요 전혀 없습니다. 저작권 자체로도 복잡한데 관련 규정이 전혀 없는 것 같아서 저도 상황을 이해하는데 난처한 처지였습니다. 대충 더 찾아보니 중국어 위키문헌과 스페인어 위키문헌에서는 "중화권 사용자"나 "스페언어 사용 국가"의 법률 등을 고려한다는 표현이 있는 것 같은데.. 이것도 사실 엄청 애매모호한 표현 아닌가 싶습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당연하다는 듯이 남한 인구의 절반 수준에 달하는 북한 법률은 "인터넷 접속이 사실상 어렵다"라는 이유로 고려하고 있지 않은 처지인데 말입니다. ::::하여튼 이건 긴 얘기이고 파일로 돌아오면, 서지 부분을 찾아 보니 명확하게 "저작겸 발행자 고유상"(著作兼 發行者 高裕相)이라고 쓰여 있어 번역자를 고유상으로 봐야할 것 같습니다. [[페이지:삼쾌정 (회동서관, 1921).djvu/78]]에도 같은 내용이 적혀 있네요.--[[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13일 (목) 06:45 (KST) :::::서지에 쓰여 있다고 해서 실제 저작자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신유복전]]은 광문서시에서 1917년 발간한 것이 우리 문헌 사이트에 올라와 있습니니다. 회동서관에서도 신류복적을 발간한 적이 있는데, 한자가 없다는 것만 빼면 거의 동일합니다. 그런데 회동서관본 신류복전의 서지를 보면 저작 겸 발행자가 고유상으로 돼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무명 저작물의 '편집자'에 불과하지만 '저작자'로 기재한 경우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가 좀 있는 듯하고, 당시 어느 출판사를 막론하고 저작권 개념이 정립돼 있지 않은 탓에 이런 일이 많았다고 합니다. 물론 개별 작품에 대해 실제 저작 여부를 '증명'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문제긴 하죠. [[사:ZornsLemon|Z.Lemon]] ([[사토:ZornsLemon|토론]]) 2025년 3월 13일 (목) 13:02 (KST) :::::예를 들어 회동서관에서 발행한 '(女의鬼)강명화전'을 보면 '이해관'이라는 사람이 저작자라고 나와 있습니다. '(女의鬼)강명화실기'의 저자 '이해조'와 동일 인물이지요. 하지만 이 책의 서지를 보면 저작겸 발행자가 고유상 씨로 돼 있습니다. [[사:ZornsLemon|Z.Lemon]] ([[사토:ZornsLemon|토론]]) 2025년 3월 13일 (목) 13:09 (KST) ::::::저도 해당 인물이 당시 나온 모든 글을 쓴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100년전 책에 쓰여있는 내용을 "저작자"라고 되어 있다는 이유로 오늘날의 시점에서 해석하는 것이 잘못된 것일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말씀하신 내용을 언급한 문헌이나 논문이 있나 찾아보니 [https://www.nl.go.kr/NL/contents/N20103000000.do?schM=contView&schOpt1=CA0000000022&schOpt2=CA0000000024&schOpt3=05&schIdSub=CO0000232607 국립중앙도서관]의 설명 중에 관련된 내용이 있네요. "그러나 서지에는, 저작 겸 발행자가 출판사 회동서관의 대표인 고유상高裕相으로 되어 있다. 당시에는 출판사의 대표가 저작자로 표기된 경우가 많았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13일 (목) 21:26 (KST) :::::::한국저작권위원회로부터도 동일한 답변을 받았습니다. 실제 저자가 아닌 단순 출판인이므로 실제 저자는 조선시대 문인들이 맞으니 만료저작물이 맞다고 합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19일 (수) 18:33 (KST) ::::::::와. 직접 확인까지 하셨네요. 그럼 전에 올렸던 오성기담 다시 올리는 걸 고려해야겠네요. [[사:ZornsLemon|Z.Lemon]] ([[사토:ZornsLemon|토론]]) 2025년 3월 19일 (수) 19:35 (KST) :::::::::그전에 가능하다면 다른 사용자분들 의견도 좀 더 들어보고, 이견이 없다면 공용에서 해당 파일에 대해 [[:commons:Commons:Undeletion requests|복구 토론]]을 만들면 될 것 같습니다. 만약 공용에서 거부가 된다면 한국어 위키문헌에서만 로컬로 올리는 방안도 고려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저작권위원회의 답변은 이메일로 오지 않고 개인적으로만 확인 가능하여서 [[commons:Commons:Volunteer_Response_Team/ko|VRT]] 등에 증거를 제시할 수 없습니다. 영어로 외국 사용자들을 설득을 못하면 공용에서 살아남기 어려울 겁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19일 (수) 23:04 (KST) ::::::::::제 생각에도 복구에 문제가 없을 것습니다. 또한 로컬에 업로드하는 방안도 좋은 것 같습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22:43 (KST) [[commons:Commons:Undeletion requests/Current requests#File:슈당연의.djvu]] 복구 토론을 열었습니다. 한국어로 의견을 남기셔도 좋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22일 (토) 01:34 (KST) {{토론보존끝}} == [[대비계획 세부자료]] == 국군기무사령부의 유출된 내부 문서일 뿐이지, 대한민국 저작권법 제7조에서 말하는 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페이지:전시계엄 및 합수업무 수행방안 - 대비계획 세부자료.pdf/67|붙임 4]]에 있는 훈령 예시 또한 실제 훈령이 아니었으므로 제7조에 해당한다고 봐야할 지 의문입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6월 2일 (월) 20:09 (KST) : 공식적으로 발표하거나 한 게 아니고 말 그대로 "유출"된 문서이다 보니 말씀하신 것처럼 자유 저작물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그래도 별개로 나름 역사적 가치도 있고 이걸 보고 "저작권 침해"라고 할 사람은 없으리라 생각하는지라 좀 아쉽긴 하네요...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6월 3일 (화) 14:41 (KST) == [[색인:중등 인류교과서.pdf]] == 윤익병(尹益炳)이라는 인물에 대한 정보를 전혀 찾을 수 없습니다. 아래 다섯 서적을 발행한 것 이외에는 정보가 없네요. * 중등생리실험, 수문관, ? * 중등 인류교과서, 수문관, ? [https://www.hbem.or.kr/prog/relic/kor/sub04_01_01/possessionGoods.do] * 동물해부학, 동지사 1949 * 중등 인류교과서, 문화당 1947.6 * 중등동물실험, 수문관 1950.3 --[[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6월 11일 (수) 19:31 (KST) io3xs8m4lm1irb2hypwecziit6d1f30 저자:서경덕 100 100146 391388 389463 2025-06-10T12:56:00Z ZornsLemon 15531 /* 시조 */ 391388 wikitext text/x-wiki {{글쓴이 |이름 = 서경덕 |다른 표기 = |이름 첫 글자 = ㅅ |국적 = 조선 |탄생 연도 = 1489년 |사망 연도 = 1546년 |설명 = 조선 중기의 학자이다. 자는 가구(可久), 호는 복재(復齋), 화담(花潭)이다. |그림 = |위키백과 링크 = 서경덕 |공용 링크 = }} == 저작 == === 시조 === * [[마음이 어린 후이니]] ([[마음이 어린 후니|마음이 어린 후이니 (해설)]]) * [[마음아 너는 어이]] {{PD-old-100}} rrmh3q0p83uyjrovjmq41mn8z4kab7n 저자:주의식 100 100461 391409 390328 2025-06-10T13:51:41Z ZornsLemon 15531 /* 시조 */ 391409 wikitext text/x-wiki {{저자 |이름 = 주의식 |다른 표기 = 朱義植 |이름 첫 글자 = ㅈ |국적 = 조선 |탄생 연도 = ? |사망 연도 = ? |설명 = 조선 중기의 여항시인. 자는 도원(道源), 호는 남곡(南谷). 여항시인 [[저자:김삼현|김삼현]]의 장인. |그림 = |위키백과 링크 = |위키인용집 링크 = |공용 링크 = |정렬 = 주의식 }} == 저작 == === 시조 === * [[하늘이 높다 하고]] * [[창밖에 아이 와서]] * [[말하면 잡류라 하고]] * [[늙고 병든 몸이 가다가 아무 데나]] * [[형산에 박옥을 얻어]] * [[인생을 헤여하니]] * [[주려 죽으려 하고]] * [[굴원 충혼 배에 넣은 고기]] * [[충신의 속마음을]] * [[당우도 좋거니와]] {{PD-old-100}} 5geauqpr4u8zvknoy2mxwsyfzexii8w 늙고 병든 몸이 가다가 아무 데나 0 100518 391406 390320 2025-06-10T13:50:09Z ZornsLemon 15531 ZornsLemon님이 [[늙고 병든 몸이]] 문서를 [[늙고 병든 몸이 가다가 아무 데나]]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390320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늙고 병(病)든 몸이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주의식|주의식]]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58 to=58 fromsection="二二五" tosection="二二五"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5dv5cbb6kgx2hcpukh97qz46ljv5cfr 391408 391406 2025-06-10T13:51:03Z ZornsLemon 15531 391408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늙고 병(病)든 몸이 가다가 아므듸나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주의식|주의식]]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58 to=58 fromsection="二二五" tosection="二二五"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iuwkeho0wfsy9v3uurpbr00or0nvmhb 페이지:팔상록.djvu/41 250 100561 391497 390386 2025-06-11T07:41:35Z Athematic 18478 39149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Motoko (WMKR)"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시녀를다리고태자의침실노드러가니텬문이열이고문밧게수직하는우타수다라등 이궁녀의환신과가치히잠든지라바로침실노드러가니다만옥노에향연이스러지 고쇠잔한초불이밝게빗ᄎᆔ는대사람의자취모연하거늘야슈창황망극하야탄식하더 니건쳑의우는소래나거날소래를좃차너머질ᄯᅳᆺ이내다르니태자바야흐로말허리를 잡고쥬져하시다가야슈를보시고은근이닐아사대금일츌성함은졍각을위함이라낭 々만나니족키과거인연을일우어후사를부탁하리로다야슈나아가금포소매를잡 고탄식체읍왈태자엇지부왕과첩을소기시며국민을바리시고창황이반야에뉘를좃 차어대로향하시나잇가비록츌셩하시나사문에수직이구드니부에왕에긔침하심을기 다려거ᄎᆔ를고하고가심이ᄯᅩ한늣지안이하거늘쟝부엇지암매한ᄯᅳᆺ을두어군부를소 기고도망하리잇가태자경색왈낭々은다못셰상일만아는지라엇지세상밧거일을모 를ᄭᅡ하로사리사철을아지하지못하고버셧풀이회삭을모로나니셩현도덕을규즁녀지가 엇지알리요연이나부왕의게셰번이나말삼하여도불허하시니오날밤츌가함은 제불이도읍난배라내의원이본래이러함은낭々도아는배라오날날안이가고어늬ᄯᅢ 를기다리々요야슈대왈츌가셩도하야즁생을졔도함ᄯᅩ한성덕이어니와일윤대의 도셩현의일이라녀자삼종지도잇는지라이졔태자츌가하시고일졈혈육이업사오니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t8e98ryd1bgu7kzfbqndqf58jirvm0 저자:이총 100 100591 391401 390437 2025-06-10T13:42:16Z ZornsLemon 15531 /* 시조 */ 391401 wikitext text/x-wiki {{저자 |이름 = 이총 |다른 표기 = 李摠 |이름 첫 글자 = ㅇ |국적 = 조선 |탄생 연도 = ? |사망 연도 = 1504 |설명 = 조선 전기의 문인으로 갑자사화 때 처형된 종실. 사후 신원되어 무풍정(茂豊正)에 추증되었다. 자는 백원(百源), 호는 서호주인(西湖主人)·구로주인(鷗鷺主人)·월창(月牕). |그림 = |위키백과 링크 = 이총 (왕족) |위키인용집 링크 = |공용 링크 = |정렬 = 이총 }} == 저작 == === 시조 === * [[이 몸이 쓸 데 없어]] * [[나의 님 향한 뜻이]] {{PD-old-100}} r9n4gip0srg2p9omjtly9z0mpkrns8r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89 250 100678 391379 390692 2025-06-10T12:42:55Z ZornsLemon 15531 39137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이이" /><poem> ᄒᆡ 다 져믄 날에 지져귀ᄂᆞᆫ ᄌᆞᆷ새들아 죠고마ᄒᆞᆫ 몸이 半柯枝도 足ᄒᆞ거든 ᄒᆞ믈며 크나큰 수풀을 ᄭᅴ여 무슴 ᄒᆞ리오 </poem> <section end="이이" /> <section begin="부쟁" />【右 不爭】 <section end="부쟁" /> <section begin="三八五" /><poem> 假使 주글지라도 明堂이 뷘 듸 업ᄂᆡ 三神山 不死藥을 다 ᄏᆡ야 머글만졍 海中에 새 뫼 나거든 게 가 들려 ᄒᆞ노라 </poem> <section end="三八五" /> <section begin="원치" />【右 遠致】 <section end="원치" /> <section begin="이후백1" /><poem> 蒼梧山 聖帝魂이 구룸 조차 瀟湘에 ᄂᆞ려 夜半에 흘러드러 竹間雨 되온 ᄠᅳᆺ은 二妃의 千年 淚痕을 못내 시서 홈이라 </poem> <section end="이후백1" /> <section begin="이비" />【右 二妃】 <section end="이비" /> <section begin="이후백2" /><poem> 洞庭 ᄇᆞᆯ근 ᄃᆞᆯ이 楚懷王의 넉시 되야 七百里 平湖에 두렷이 비쵠 ᄠᅳᆺ은 屈三 閭魚腹裏忠誠을 못내 ᄇᆞᆯ켜 홈이라 </poem> <section end="이후백2" /> <section begin="회왕" />【右 懷王】 <section end="회왕" /> <section begin="이명한" /><poem> 楚江 漁夫들아 고기 낫가 ᄉᆞᆷ지 마라 屈三閭 忠魂이 魚腹裏에 드럿ᄂᆞ니 아므리 鼎鑊에 ᄉᆞᆯ믄들 變ᄒᆞᆯ 줄이 이시랴 </poem> <section end="이명한" /> <section begin="굴평" />【右 屈平】 <section end="굴평" /> <section begin="三八九" /><poem> 공번된 天下業을 힘으로 어들 것가 秦宮室 불 질음도 오히려 無道커든 ᄒᆞ믈며 義帝를 주기고 하ᄂᆞᆯ 罪를 免ᄒᆞ랴 </poem> <section end="三八九" /> <section begin="항우" />【右 項羽】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항우"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2jlvliuu8cjc36ngh70zs9hap8jkhu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4 250 100786 391393 391348 2025-06-10T13:06:02Z 자모한울 18471 39139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쪽 시작}}일월리낭명하야<br/>지후에초목ᄉᆡᆼ하고<br/>천봉만학고준하야<br/>금수가삼겻도다<br/>수지음졍이ᄎᆡ로셔<br/>일월리분명한ᄃᆡ<br/>사ᄒᆡ팔방둘너본니<br/>호호막막운ᄒᆡ로다<br/>욱야철이만은토지<br/>인간시ᄃᆡ긋첫ᄯᅳᆫ니<br/>시속ᄀᆡ명볍을ᄯᅡ라{{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pk9b41hpn7bktpa3b9swjh505ik7yuj 페이지:詩經諺解 제7책.djvu/2 250 100801 391500 391368 2025-06-11T08:05:52Z 218.234.57.1 39150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ifestory24"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詩{{더 작게|시}}經{{더 작게|경}}諺{{더 작게|언}}解{{더 작게|ᄒᆡ}}卷{{더 작게|권}}之{{더 작게|지}}十{{더 작게|십}}九{{더 작게|구}}<br/> :頌{{더 작게|숑}}<br/> ::周{{더 작게|쥬}}頌{{더 작게|숑}}淸{{더 작게|쳥}}廟{{더 작게|묘}}之{{더 작게|지}}什{{더 작게|습}}<br/> 於{{더 작게|오}}穆{{더 작게|목}}淸{{더 작게|쳥}}廟{{더 작게|묘애}}肅{{더 작게|슉}}雝{{더 작게|옹}}顯{{더 작게|현}}相{{더 작게|샹이며}}濟{{더 작게|졔}}濟{{더 작게|졔}}多{{더 작게|다}}士{{더 작게|ᄉᆞㅣ}}秉{{더 작게|병}}文{{더 작게|문}}之{{더 작게|지}}德{{더 작게|덕ᄒᆞ야}}對{{더 작게|ᄃᆡ}}越{{더 작게|월}}在{{더 작게|ᄌᆡ}}天{{더 작게|텬이오}}駿{{더 작게|쥰}}奔{{더 작게|분}}走{{더 작게|주}}在{{더 작게|ᄌᆡ}}廟{{더 작게|묘ᄒᆞᄂᆞ니}}不{{더 작게|블}}承{{더 작게|승가}}無{{더 작게|무}}射{{더 작게|역}}於{{더 작게|어}}人{{더 작게|인}}斯{{더 작게|ᄉᆞㅣ샷다}}<br/> :於{{더 작게|오}}홉다穆{{더 작게|목}}ᄒᆞᆫ淸{{더 작게|쳥}}廟{{더 작게|묘}}애肅{{더 작게|슉}}ᄒᆞ며雝{{더 작게|옹}}ᄒᆞᆫ顯{{더 작게|현}}ᄒᆞᆫ相{{더 작게|샹}}이며濟{{더 작게|졔}}濟{{더 작게|졔}}ᄒᆞᆫ多<noinclude><references/></noinclude> jccnmb512rcu2pms16wlqyxm5s3saeu 까마귀 싸우는 골에 0 100803 391376 2025-06-10T12:00:51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가마귀 ᄡᅡ호ᄂᆞᆫ 골에 |다른 표기 = |지은이 = 정몽주 모친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88 to=88 fromsection="정몽주 母" tosection="정몽주 母"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391376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가마귀 ᄡᅡ호ᄂᆞᆫ 골에 |다른 표기 = |지은이 = 정몽주 모친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88 to=88 fromsection="정몽주 母" tosection="정몽주 母"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6nwbyq5ylqgl3st7d1jwc9lg2n6l0tg 해 다 저문 날에 0 100804 391377 2025-06-10T12:38:52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ᄒᆡ 다 져믄 날에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구지정|구지정(具志禎)]]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89 to=89 fromsection="이이" tosection="이이"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391377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ᄒᆡ 다 져믄 날에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구지정|구지정(具志禎)]]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89 to=89 fromsection="이이" tosection="이이"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4l3df9jxdhbgc5p9y61mz5gfop6l8ry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13 250 100805 391378 2025-06-10T12:41:25Z 자모한울 184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천하일석일너시되<br/>자결하야죽엇도다<br/>시즁천자이ᄐᆡᄇᆡᆨ도<br/>긔경산천하여시되<br/>죽어진이헌사로다<br/>맨성천자진시왕도<br/>만국게방유리ᄀᆡ라<br/>천만고위ᄃᆡ인물<br/>불사불멸그일홈도<br/>십ᄉᆡᆼ구사어렵도다<br/>어화ᄉᆡ상번님ᄂᆡ야{{옛한글 끝}} 39137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천하일석일너시되<br/>자결하야죽엇도다<br/>시즁천자이ᄐᆡᄇᆡᆨ도<br/>긔경산천하여시되<br/>죽어진이헌사로다<br/>맨성천자진시왕도<br/>만국게방유리ᄀᆡ라<br/>천만고위ᄃᆡ인물<br/>불사불멸그일홈도<br/>십ᄉᆡᆼ구사어렵도다<br/>어화ᄉᆡ상번님ᄂᆡ야{{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lyzpzyj56mwmedg29aj2kv333dgktq2 391392 391378 2025-06-10T13:04:16Z 자모한울 18471 39139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천하일석일너시되<br/>자결하야죽엇도다<br/>시즁천자이ᄐᆡᄇᆡᆨ도<br/>긔경산천하여시되<br/>죽어진이헌사로다<br/>만성천자진시왕도<br/>만국게방유리ᄀᆡ라<br/>천만고위ᄃᆡ인물<br/>불사불멸그일홈도<br/>십ᄉᆡᆼ구사어렵도다<br/>어화ᄉᆡ상번님ᄂᆡ야{{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fvp9mj2wz94qz4pmx1jaiy3o82nc2dz 창오산 성제혼이 0 100806 391380 2025-06-10T12:44:19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창오산(蒼梧山) 성제혼(聖帝魂)이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이후백|이후백]]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89 to=89 fromsection="이후백1" tosection="이후백1"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391380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창오산(蒼梧山) 성제혼(聖帝魂)이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이후백|이후백]]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89 to=89 fromsection="이후백1" tosection="이후백1"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s6r0ndvv04nxhzdsyid49r9wdu86w4s 동정 밝은 달이 0 100807 391381 2025-06-10T12:45:16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동정(洞庭) ᄇᆞᆯ근 ᄃᆞᆯ이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이후백|이후백]]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89 to=89 fromsection="이후백2" tosection="이후백2"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391381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동정(洞庭) ᄇᆞᆯ근 ᄃᆞᆯ이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이후백|이후백]]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89 to=89 fromsection="이후백2" tosection="이후백2"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8xo2kintehrcr9g2k001q9zxe9huiyr 초강 어부들아 0 100808 391382 2025-06-10T12:47:28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초강(楚江) 어부(漁夫)들아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이명한|이명한]]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89 to=89 fromsection="이명한" tosection="이명한"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391382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초강(楚江) 어부(漁夫)들아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이명한|이명한]]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89 to=89 fromsection="이명한" tosection="이명한"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trnxwq6q5c9kutlu6oeyyhta7lkh6vi 바람에 휘었노라 0 100809 391383 2025-06-10T12:49:41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ᄇᆞ람에 휘엿노라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인평대군|인평대군]]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90 to=90 fromsection="인평대군" tosection="인평대군"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391383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ᄇᆞ람에 휘엿노라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인평대군|인평대군]]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90 to=90 fromsection="인평대군" tosection="인평대군"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9rdn5htjawahz6xqeq2odxb131x45xk 눈 맞아 휘어진 대를 0 100810 391385 2025-06-10T12:51:59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눈 마자 휘어진 대를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원천석|원천석]]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90 to=90 fromsection="원천석" tosection="원천석"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391385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눈 마자 휘어진 대를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원천석|원천석]]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90 to=90 fromsection="원천석" tosection="원천석"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ddzga26bl9od4ypufnf7p2jhhpw156e 공산이 적막한데 0 100811 391386 2025-06-10T12:53:47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공산(空山)이 적막(寂寞)ᄒᆞᆫ듸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정충신|정충신]]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90 to=90 fromsection="정충신" tosection="정충신"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391386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공산(空山)이 적막(寂寞)ᄒᆞᆫ듸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정충신|정충신]]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90 to=90 fromsection="정충신" tosection="정충신"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0aaxy9y6e5sm3y5m4ylg4h7qv8oj3ia 이리도 태평성대 0 100812 391387 2025-06-10T12:55:18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이리도 태평성대(太平聖代)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성수침|성수침]]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90 to=90 fromsection="성수침" tosection="성수침"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391387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이리도 태평성대(太平聖代)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성수침|성수침]]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90 to=90 fromsection="성수침" tosection="성수침"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8v63wjzx6lufjby8x3kjbrsg48n11h8 마음아 너는 어이 0 100813 391389 2025-06-10T12:56:57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ᄆᆞ음아 너ᄂᆞᆫ 어이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서경덕|서경덕]]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90 to=90 fromsection="서경덕" tosection="서경덕"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391389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ᄆᆞ음아 너ᄂᆞᆫ 어이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서경덕|서경덕]]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90 to=90 fromsection="서경덕" tosection="서경덕"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hffoo08jmcw7ac7fnrhf165kmom08at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14 250 100814 391390 2025-06-10T13:02:13Z 자모한울 184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실력헤ᄒᆞᆫ력살인ᄃᆡ<br/>ᄉᆡ상만사헌사로다<br/>부귀영화이ᄂᆡ몸도<br/>명문ᄃᆡ가조흔집ᄋᆡ<br/>ᄒᆡ로ᄇᆡᆨ연언약하되<br/>이십젼ᄋᆡ출가ᄒᆞ야<br/>이ᄒᆡ저ᄒᆡ몃ᄒᆡ련고<br/>귀ᄋᆡᄌᆡᆼᄌᆡᆼ임ᄋᆡ염셩<br/>눈애삼삼님ᄋᆡ얼골<br/>불션다시보고지라<br/>지척이사 사이련만{{옛한글 끝}} 39139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실력헤ᄒᆞᆫ력살인ᄃᆡ<br/>ᄉᆡ상만사헌사로다<br/>부귀영화이ᄂᆡ몸도<br/>명문ᄃᆡ가조흔집ᄋᆡ<br/>ᄒᆡ로ᄇᆡᆨ연언약하되<br/>이십젼ᄋᆡ출가ᄒᆞ야<br/>이ᄒᆡ저ᄒᆡ몃ᄒᆡ련고<br/>귀ᄋᆡᄌᆡᆼᄌᆡᆼ임ᄋᆡ염셩<br/>눈애삼삼님ᄋᆡ얼골<br/>불션다시보고지라<br/>지척이사 사이련만{{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tuv5q72gx7lbnuylzup1sxrt52xe4sa 태산이 육지 되고 0 100815 391391 2025-06-10T13:02:16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泰山이 平地 되고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성여완|성여완]]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악학습령]]에 성여완이 저자로 나와 있다고 함. 김유기의 시조라는 설이 있으므로 확인 필요.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91 to=91 fromsection="... 391391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泰山이 平地 되고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성여완|성여완]]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 작품으로 실린 시조. [[악학습령]]에 성여완이 저자로 나와 있다고 함. 김유기의 시조라는 설이 있으므로 확인 필요.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91 to=91 fromsection="성여완" tosection="성여완"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tkpc7s29mh90jkhhaq1enp34sdj8lb9 곳즌 밤비에 피고 0 100816 391395 2025-06-10T13:10:26Z ZornsLemon 15531 ZornsLemon님이 [[곳즌 밤비에 피고]] 문서를 [[꽃은 밤비에 피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391395 wikitext text/x-wiki #넘겨주기 [[꽃은 밤비에 피고]] pxprqyfkbgkl6kuawbgow336jscnqij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15 250 100817 391396 2025-06-10T13:13:47Z 자모한울 184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ᄂᆡ몬본니철일ᄂᆡ라<br/>동지셧달긴긴밤ᄋᆡ<br/>삼척동자품ᄋᆡ안고<br/>홀노안자누어션니<br/>아비불너우ᄂᆞᆫ소ᄅퟅ<br/>어미간장다녹는다<br/>불션다시손난회표<br/>인간이별만사즁에<br/>독수공방가련하다<br/>어화ᄉᆡ상번님ᄂᆡ야<br/>ᄉᆡ우분분화락시ᄋᆡ{{옛한글 끝}} 39139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ᄂᆡ몬본니철일ᄂᆡ라<br/>동지셧달긴긴밤ᄋᆡ<br/>삼척동자품ᄋᆡ안고<br/>홀노안자누어션니<br/>아비불너우ᄂᆞᆫ소ᄅퟅ<br/>어미간장다녹는다<br/>불션다시손난회표<br/>인간이별만사즁에<br/>독수공방가련하다<br/>어화ᄉᆡ상번님ᄂᆡ야<br/>ᄉᆡ우분분화락시ᄋᆡ{{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2hvjcexmlof0ivo9qsd8g9l6vh4plo2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16 250 100818 391398 2025-06-10T13:22:55Z 자모한울 184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마상에피곤하야<br/>병이날가염여턴니<br/>홍안청춘다바리고<br/>련장고혼되단말가<br/>가련하다이ᄂᆡ팔자<br/>이리될줄아라시며<br/>여필죵부라하엿슨니<br/>철이라도ᄯᅡ라가고<br/>말이라도ᄯᅡᆯ아갈글<br/>ᄋᆡ탄한들슬ᄃᆡ업고<br/>ᄉᆡᆼ각한들별일인나{{옛한글 끝}} 39139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마상에피곤하야<br/>병이날가염여턴니<br/>홍안청춘다바리고<br/>련장고혼되단말가<br/>가련하다이ᄂᆡ팔자<br/>이리될줄아라시며<br/>여필죵부라하엿슨니<br/>철이라도ᄯᅡ라가고<br/>말이라도ᄯᅡᆯ아갈글<br/>ᄋᆡ탄한들슬ᄃᆡ업고<br/>ᄉᆡᆼ각한들별일인나{{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2b0p3j56wyoqniksrme3uh1fny4tu3v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17 250 100819 391399 2025-06-10T13:32:50Z 자모한울 184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중문밧ᄀᆡ손길잡고<br/>이별할ᄃᆡ하신말삼<br/>명연삼춘돌아옴아<br/>금석갓ᄎᆡ긔약두고<br/>눈물겨워가신님은<br/>명연삼춘도라올ᄃᆡ<br/>옷실넌지알수업다<br/>반야추월발근밤ᄋᆡ<br/>낙목솔ᄅᆡ소소할ᄃᆡ<br/>금치못할고향회포<br/>이ᄂᆡ간장조분곳ᄋᆡ{{옛한글 끝}} 39139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중문밧ᄀᆡ손길잡고<br/>이별할ᄃᆡ하신말삼<br/>명연삼춘돌아옴아<br/>금석갓ᄎᆡ긔약두고<br/>눈물겨워가신님은<br/>명연삼춘도라올ᄃᆡ<br/>옷실넌지알수업다<br/>반야추월발근밤ᄋᆡ<br/>낙목솔ᄅᆡ소소할ᄃᆡ<br/>금치못할고향회포<br/>이ᄂᆡ간장조분곳ᄋᆡ{{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zpcqvb3ga1443njzmiqf1uoa03kkko 나의 님 향한 뜻이 0 100820 391400 2025-06-10T13:41:40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나의 님 향(向)ᄒᆞᆫ ᄠᅳᆺ이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이총|이총]]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의 시조로 실려 있다.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74 to=74 fromsection="二九四" tosection="二九四"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391400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나의 님 향(向)ᄒᆞᆫ ᄠᅳᆺ이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이총|이총]]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의 시조로 실려 있다.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74 to=74 fromsection="二九四" tosection="二九四"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14z9ttpcv74863ncusqgmzeujscfvcn 늙고 병든 몸이 0 100821 391407 2025-06-10T13:50:09Z ZornsLemon 15531 ZornsLemon님이 [[늙고 병든 몸이]] 문서를 [[늙고 병든 몸이 가다가 아무 데나]]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391407 wikitext text/x-wiki #넘겨주기 [[늙고 병든 몸이 가다가 아무 데나]] nqhccqpun43gn2g24eirn2jo5gtpepc 391410 391407 2025-06-10T13:54:58Z ZornsLemon 15531 [[늙고 병든 몸이 가다가 아무 데나]]에 대한 넘겨주기를 제거함 391410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늙고 병(病)든 몸이 북향(北向)ᄒᆞ여 우니노라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송시열|송시열]]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의 시조로 게재돼 있다.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74 to=74 fromsection="二九七" tosection="二九七"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l282g0trlfwq3d2vsk40a2sgy7xb1jt 페이지:쌍셩봉효록 권1.djvu/10 250 100822 391414 2025-06-10T14:21:32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긔{{?}}을{{?}}이서인은지실을{{?}}지여라잇ᄯᆡ님승상 왼비뎡부인과ᄎᆞ비연부인과{{?}}비화부인은일셰의절염비ᄉᆡᆨ이오당ᄃᆡ의희글헌셩여쳘부며버거빅을양시는비촉명회젼글나ᄯᅩ을ᄉᆞ문일ᄒᆡᆨ이나젼도을님학ᄉᆞ양노의일여오용ᄆᆡ초미글되긔혼글여부노숙당이참성{{?}}ᄉᆞ글고문회ᄎᆡ{{?}}을니양시그유모를더부러도주을여유확졈가을{{?}}가님승상... 39141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긔{{?}}을{{?}}이서인은지실을{{?}}지여라잇ᄯᆡ님승상 왼비뎡부인과ᄎᆞ비연부인과{{?}}비화부인은일셰의절염비ᄉᆡᆨ이오당ᄃᆡ의희글헌셩여쳘부며버거빅을양시는비촉명회젼글나ᄯᅩ을ᄉᆞ문일ᄒᆡᆨ이나젼도을님학ᄉᆞ양노의일여오용ᄆᆡ초미글되긔혼글여부노숙당이참성{{?}}ᄉᆞ글고문회ᄎᆡ{{?}}을니양시그유모를더부러도주을여유확졈가을{{?}}가님승상빈쳔시의조찬희쳡이되여시니비록졍시가승을ᄂᆞᄒᆡᆼᄉᆡᆫ즉비안{{?}}위인의압열을눌알니러라그러나님승상을죠을빈쳔간고의공니〻시니승상이위고금{{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dkuotna1czdbmme9pope35st3gxb56e 페이지:쌍셩봉효록 권1.djvu/11 250 100823 391415 2025-06-10T14:31:48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다을고숙여미회를쌍〻잇갓초와실즁이번화글후라도져바리미업셔텬ᄌᆞ긔고을여직졉울어더읏듬졈실을{{?}}고긔여셜월{{?}}ᄇᆡᆨ시형{{?}}와왕시가시소강이다지우희졉어{{?}}졔희을갈갓치셤죄{{?}}겨을여{{?}}춘의ᄃᆞᆯ홰웃{{?}}릇을고셩질이춍혜을며위인니양션을니시인니님승상쳐쳡의벅차{{?}}과ᄉᆞᆷ부인칠희ᄀᆡ히츌셔탁이을여뎡실{{?}}임ᄉᆞ번월의셩덕이잇고... 39141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다을고숙여미회를쌍〻잇갓초와실즁이번화글후라도져바리미업셔텬ᄌᆞ긔고을여직졉울어더읏듬졈실을{{?}}고긔여셜월{{?}}ᄇᆡᆨ시형{{?}}와왕시가시소강이다지우희졉어{{?}}졔희을갈갓치셤죄{{?}}겨을여{{?}}춘의ᄃᆞᆯ홰웃{{?}}릇을고셩질이춍혜을며위인니양션을니시인니님승상쳐쳡의벅차{{?}}과ᄉᆞᆷ부인칠희ᄀᆡ히츌셔탁이을여뎡실{{?}}임ᄉᆞ번월의셩덕이잇고쳡희의등이일〻히은슌현아글여가ᄂᆡ화형글고님공의금술종고의관〻을화락이국{{?}}ᄃᆡ인의일홈ᄂᆞ니국문의화긔은ᄌᆞ을여문왕의넘은덕과ᄐᆡᆨᄉᆞ {{nop}}<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igestqhngu1jnihyip2w0y2x4y1crv 페이지:쌍셩봉효록 권1.djvu/12 250 100824 391416 2025-06-10T14:35:16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의{{?}}홰이니{{?}}ᄃᆡ극실의흥용글눌가히알어 {{?}}다지엽의션〻글이ᄇᆡᆨᄌᆞ쳔손의번화글눌족히긔칠을ᄇᆡ호ᄃᆡ주고조조물의헌ᄉᆞ{{?}}과텬조의이극을시ᄯᅥ{{?}}을니셩산글가즁의엇지ᄌᆡ앙이업기를바라며슈디인원의일졔히어진ᄌᆡ쉽지안일거라위온ᄃᆡ양시무근무원글바의무고히쵸원을시되여우람을동ᄉᆡᆼ과불현을ᄌᆞ식울더부러고요글가즁의일장... 39141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의{{?}}홰이니{{?}}ᄃᆡ극실의흥용글눌가히알어 {{?}}다지엽의션〻글이ᄇᆡᆨᄌᆞ쳔손의번화글눌족히긔칠을ᄇᆡ호ᄃᆡ주고조조물의헌ᄉᆞ{{?}}과텬조의이극을시ᄯᅥ{{?}}을니셩산글가즁의엇지ᄌᆡ앙이업기를바라며슈디인원의일졔히어진ᄌᆡ쉽지안일거라위온ᄃᆡ양시무근무원글바의무고히쵸원을시되여우람을동ᄉᆡᆼ과불현을ᄌᆞ식울더부러고요글가즁의일장분판를일희여ᄂᆡ니ᄎᆞ을회를셕남을화어시의님승상원비뎡부인니찰ᄌᆞ이뎌를ᄉᆡᆼ글고{{?}}비연부인니칠노일녀를ᄉᆡᆼ{{?}}{{?}}비화시으ᄌᆞ이여를ᄉᆡᆼ{{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08n8d5w3181tfk4k7uz21fzou45cps 페이지:셩경젼셔 구약 권1.pdf/546 250 100825 391417 2025-06-10T14:39:02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41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와ᄭᅴ 부르지짐으로 죄가 네게 도라갈가 두려워ᄒᆞ노라 {{절||十}} 네가 반ᄃᆞ시 구졔ᄒᆞᆯ 거시오 ᄯᅩ 구졔ᄒᆞᆯ ᄯᅢ에 린ᄉᆡᆨᄒᆞᆫ ᄆᆞᄋᆞᆷ으로 ᄒᆞ지말나 대개 이러ᄒᆞᆫ 일노 인ᄒᆞ야 네 하ᄂᆞ님 여호와ᄭᅴ셔 네 모든 ᄉᆞ업과 네 손을 대여 ᄒᆞᄂᆞᆫ 일에 복을 주시리라 {{절||十一}} 간난ᄒᆞᆫ쟈가 그 ᄯᅡ에 영영 ᄭᅳᆫ치지아니ᄒᆞ리니 그럼으로 내가 네게 명ᄒᆞ야 닐ᄋᆞ기를 네가 맛당히 네 ᄯᅡ에셔 궁핍ᄒᆞ고 간난ᄒᆞᆫ 형뎨의게 네 손을 펴라 ᄒᆞ엿노라 ○ {{절||十二}} 만일 네 형뎨 되ᄂᆞᆫ {{du|히브리}} 남ᄌᆞ나 {{du|히브리}} 녀ᄌᆞ가 네게 팔녀 륙년 동안 너를 셤겻거든 뎨 칠년에 네가 뎌를 노하 ᄯᅥ나 ᄌᆞ쥬ᄒᆞ게 ᄒᆞ라 {{절||十三}} 네가 뎌를 노하 너를 ᄯᅥ나 ᄌᆞ쥬케 ᄒᆞᆯ ᄯᅢ에는 공슈로 가게 ᄒᆞ지말고 {{절||十四}} 네 양 무리와 타작 마당과 술 ᄶᅡᄂᆞᆫ 틀에셔 후ᄒᆞ게 내여 메워주ᄃᆡ 곳 네 하ᄂᆞ님 여호와ᄭᅴ셔 네게 복 주신대로 뎌의게 주라 {{절||十五}} 네가 맛당히 긔억ᄒᆞᆯ 거슨 네가 {{du|애굽}} ᄯᅡ에셔 죵이 되엿더니 네 하ᄂᆞ님 여호와ᄭᅴ셔 너를 쇽량ᄒᆞ여내신지라 이럼으로 내가 오ᄂᆞᆯ날 이 거슬 네게 명ᄒᆞ{{복원|노}}라 {{절||十六}} 만일 그 사ᄅᆞᆷ이 너와 ᄒᆞᆷᄭᅴ 잇ᄂᆞᆫ 거시 됴화셔 너와 네 집을 ᄉᆞ랑ᄒᆞ야 네게 닐ᄋᆞ기를 내가 쥬인을 ᄯᅥ나지안켓노라 ᄒᆞ거든 {{절||十七}} 네가 송곳을 가져다가 그 귀를 문에 대고 ᄯᅮ를지니 그리ᄒᆞ면 뎌가 영영 네<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2fofndz9bqond3mtsvxchxxwnpuryc 페이지:쌍셩봉효록 권1.djvu/13 250 100826 391418 2025-06-10T14:52:09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을니ᄃᆡᄀᆡᄉᆞᆷ부인의ᄌᆞ녀이십ᄌᆞ와모{{?}}ᄀᆡ히부풍노슴ᄒᆞ여{{?}}시방인니오ᄎᆡ가교옥갓트니남조ᄂᆞᆫ옥쳔신션갓고여ᄌᆞᄂᆞᆫ월젼항{{?}}갓더라희비양시ᄉᆞᆷᄌᆞᄉᆞ녀를둘셕시셤월이〻ᄌᆞ일녀를두고ᄂᆞᆫ〻진〻다각{{?}}ᄌᆞ여션〻글니션ᄌᆞ심{{?}}인이라션여ᄂᆞᆫ심이인니젹셔의{{?}}십뉵ᄌᆞ와십칠여의글{{?}}갓치초츌탁셰글니ᄀᆡ히... 39141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을니ᄃᆡᄀᆡᄉᆞᆷ부인의ᄌᆞ녀이십ᄌᆞ와모{{?}}ᄀᆡ히부풍노슴ᄒᆞ여{{?}}시방인니오ᄎᆡ가교옥갓트니남조ᄂᆞᆫ옥쳔신션갓고여ᄌᆞᄂᆞᆫ월젼항{{?}}갓더라희비양시ᄉᆞᆷᄌᆞᄉᆞ녀를둘셕시셤월이〻ᄌᆞ일녀를두고ᄂᆞᆫ〻진〻다각{{?}}ᄌᆞ여션〻글니션ᄌᆞ심{{?}}인이라션여ᄂᆞᆫ심이인니젹셔의{{?}}십뉵ᄌᆞ와십칠여의글{{?}}갓치초츌탁셰글니ᄀᆡ히션통옥녀러라ᄎᆞ시님화뎡연졔공이다입조을여님승상은임의작위ᄉᆞᆷ텨의지을여복당훤을의화락이{{?}}옥글니디시흠이임ᄉᆞ되임신ᄌᆡ상의우즉뎡상겨연북야화{{?}}실둘른님승상쳐남이라소연임신을여 {{nop}}<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cp0ewgktynsvmsg5pv0s6d3t4o511x 391441 391418 2025-06-11T04:05:42Z ZornsLemon 15531 39144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하니ᄃᆡᄀᆡᄉᆞᆷ부인의ᄌᆞ녜이십ᄌᆞ와모녜ᄀᆡ히부풍모습ᄒᆞ여ᄆᆡ시방인니오ᄎᆡ가교옥갓트니남ᄌᆞᄂᆞᆫ옥쳔신션갓고여ᄌᆞᄂᆞᆫ월젼항ᄋᆞ갓더라희비양시ᄉᆞᆷᄌᆞᄉᆞ녀를둘셕시셤월이〻ᄌᆞ일녀를두고ᄂᆞᆫ〻진〻다각〻ᄌᆞ여션〻ᄒᆞ니셔ᄌᆞ십뉵인이라션녀ᄂᆞᆫ십이인니〻젹셔의ᄉᆞᆷ십뉵ᄌᆞ와십칠여의ᄒᆞᆫ갈갓치초츌탁셰ᄒᆞ니ᄀᆡ〻히션통옥녀러라ᄎᆞ시님화뎡연졔공이다입조ᄒᆞ여님승상은임의작위ᄉᆞᆷ텨의긔ᄒᆞ여복당훤ᄒᆞ의화락이지극ᄒᆞ니다시흠이업ᄉᆞ되입신ᄌᆡ상의오즉뎡상셔연북야화츄실둘른님승상쳐남이라소연입신ᄒᆞ여 {{nop}}<noinclude><references/></noinclude> 5hm6g9k6ivx9aryuo8ev3w4qobwe71w 391442 391441 2025-06-11T04:06:00Z ZornsLemon 15531 39144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ᄒᆞ니ᄃᆡᄀᆡᄉᆞᆷ부인의ᄌᆞ녜이십ᄌᆞ와모녜ᄀᆡ히부풍모습ᄒᆞ여ᄆᆡ시방인니오ᄎᆡ가교옥갓트니남ᄌᆞᄂᆞᆫ옥쳔신션갓고여ᄌᆞᄂᆞᆫ월젼항ᄋᆞ갓더라희비양시ᄉᆞᆷᄌᆞᄉᆞ녀를둘셕시셤월이〻ᄌᆞ일녀를두고ᄂᆞᆫ〻진〻다각〻ᄌᆞ여션〻ᄒᆞ니셔ᄌᆞ십뉵인이라션녀ᄂᆞᆫ십이인니〻젹셔의ᄉᆞᆷ십뉵ᄌᆞ와십칠여의ᄒᆞᆫ갈갓치초츌탁셰ᄒᆞ니ᄀᆡ〻히션통옥녀러라ᄎᆞ시님화뎡연졔공이다입조ᄒᆞ여님승상은임의작위ᄉᆞᆷ텨의긔ᄒᆞ여복당훤ᄒᆞ의화락이지극ᄒᆞ니다시흠이업ᄉᆞ되입신ᄌᆡ상의오즉뎡상셔연북야화츄실둘른님승상쳐남이라소연입신ᄒᆞ여 {{nop}}<noinclude><references/></noinclude> 8h4zpu23xcv7lae8ixrdeemy9vkkpfc 391443 391442 2025-06-11T04:07:33Z ZornsLemon 15531 39144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ᄒᆞ니ᄃᆡᄀᆡᄉᆞᆷ부인의ᄌᆞ녜이십ᄌᆞ와모녜ᄀᆡ히부풍모습ᄒᆞ여ᄆᆡ시방인니오ᄎᆡ가교옥갓트니남ᄌᆞᄂᆞᆫ옥쳔신션갓고여ᄌᆞᄂᆞᆫ월젼항ᄋᆞ갓더라희비양시ᄉᆞᆷᄌᆞᄉᆞ녀를두고셕시셤월이〻ᄌᆞ일녀를두고ᄂᆞᆫ〻진〻다각〻ᄌᆞ여션〻ᄒᆞ니셔ᄌᆞ십뉵인이라션녀ᄂᆞᆫ십이인니〻젹셔의ᄉᆞᆷ십뉵ᄌᆞ와십칠여의ᄒᆞᆫ갈갓치초츌탁셰ᄒᆞ니ᄀᆡ〻히션통옥녀러라ᄎᆞ시님화뎡연졔공이다입조ᄒᆞ여님승상은임의작위ᄉᆞᆷ텨의긔ᄒᆞ여복당훤ᄒᆞ의화락이지극ᄒᆞ니다시흠이업ᄉᆞ되입신ᄌᆡ상의오즉뎡상셔연북야화츄실둘른님승상쳐남이라소연입신ᄒᆞ여 {{nop}}<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mudv35yh7qs9b54rco8vghpywt3840 391444 391443 2025-06-11T04:09:30Z ZornsLemon 15531 39144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ᄒᆞ니ᄃᆡᄀᆡᄉᆞᆷ부인의ᄌᆞ녜이십ᄌᆞ와모녜ᄀᆡ히부풍모습ᄒᆞ여ᄆᆡ시방인니오ᄎᆡ가교옥갓트니남ᄌᆞᄂᆞᆫ옥쳔신션갓고여ᄌᆞᄂᆞᆫ월젼항ᄋᆞ갓더라희비양시ᄉᆞᆷᄌᆞᄉᆞ녀를두고셕시셤월이〻ᄌᆞ일녀를두고ᄂᆞᆫ〻진〻다각〻ᄌᆞ여션〻ᄒᆞ니셔ᄌᆞ십뉵인이라션녀ᄂᆞᆫ십이인니〻젹셔의ᄉᆞᆷ십뉵ᄌᆞ와십칠여의ᄒᆞᆫ갈갓치초츌탁셰ᄒᆞ니ᄀᆡ〻히션동옥녀러라ᄎᆞ시님화뎡연졔공이다입조ᄒᆞ여님승상은임의작위ᄉᆞᆷ텨의긔ᄒᆞ여복당훤ᄒᆞ의화락이지극ᄒᆞ니다시흠이업ᄉᆞ되입신ᄌᆡ상의오즉뎡상셔연북야화츄실둘른님승상쳐남이라소연입신ᄒᆞ여 {{nop}}<noinclude><references/></noinclude> kv913d88lecbw9d2s3502uanrjfdlde 391445 391444 2025-06-11T04:11:08Z ZornsLemon 15531 39144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ᄒᆞ니ᄃᆡᄀᆡᄉᆞᆷ부인의ᄌᆞ녜이십ᄌᆞ와모녜ᄀᆡ히부풍모습ᄒᆞ여ᄆᆡ시방인니오ᄎᆡ가교옥갓트니남ᄌᆞᄂᆞᆫ옥쳔신션갓고여ᄌᆞᄂᆞᆫ월젼항ᄋᆞ갓더라희비양시ᄉᆞᆷᄌᆞᄉᆞ녀를두고셕시셤월이〻ᄌᆞ일녀를두고ᄂᆞᆫ〻진〻다각〻ᄌᆞ여션〻ᄒᆞ니셔ᄌᆞ십뉵인이라션녀ᄂᆞᆫ십이인니〻젹셔의ᄉᆞᆷ십뉵ᄌᆞ와십칠여의ᄒᆞᆫ갈갓치초츌탁셰ᄒᆞ니ᄀᆡ〻히션동옥녀러라ᄎᆞ시님화뎡연졔공이다입조ᄒᆞ여님승상은임의작위ᄉᆞᆷ텨의긔ᄒᆞ여복당훤ᄒᆞ의화락이지극ᄒᆞ니다시흠이업ᄉᆞ되입신ᄌᆡ상의오즉뎡상셔연북야화측실둘른님승상쳐남이라소연입신ᄒᆞ여 {{nop}}<noinclude><references/></noinclude> 3t8m0t4hnb1ey0f9xgwmk3713calakj 페이지:孔夫子言行錄.djvu/4 250 100827 391421 2025-06-10T15:05:09Z Ghdtjdals 18466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상쥬녹ᄃᆡ고ᄉᆞ商紂鹿臺故事<br/> 쥬무왕졍텬하周武王定天下<br/> 강ᄐᆡ공에궁달姜太公窮達<br/> ᄇᆡᆨ이슉졔졀의伯夷叔齊節義<br/> 쇼부셰이영쳔슈巢父洗耳潁泉水<br/> 긔ᄌᆞᄆᆡᆨ슈가箕子麥秀歌<br/> 쥬목왕유요지연周穆王遊瑤池宴<br/> 유궁후예사요졍有竆后羿射妖精<br/> 고공단보이도빈읍古公亶父移都邠邑<br/> 유왕무도학졍幽王無道虐政... 39142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hdtjdals"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상쥬녹ᄃᆡ고ᄉᆞ商紂鹿臺故事<br/> 쥬무왕졍텬하周武王定天下<br/> 강ᄐᆡ공에궁달姜太公窮達<br/> ᄇᆡᆨ이슉졔졀의伯夷叔齊節義<br/> 쇼부셰이영쳔슈巢父洗耳潁泉水<br/> 긔ᄌᆞᄆᆡᆨ슈가箕子麥秀歌<br/> 쥬목왕유요지연周穆王遊瑤池宴<br/> 유궁후예사요졍有竆后羿射妖精<br/> 고공단보이도빈읍古公亶父移都邠邑<br/> 유왕무도학졍幽王無道虐政<br/> 오ᄌᆞ셔츙간오왕伍子胥忠諫吳王<br/> 장ᄌᆞ고분지탄莊子叩盆之歎<br/> 방흘문답方笏問答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go2ouskugutm1pde1g9gas3sgwczxy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12 250 100828 391423 2025-06-10T15:39:16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ᄅᆞᆷ은 다 붓ᄶᅩᆺ지 아니ᄒᆞ고 더욱 민권ᄅᆞᆯ 즁이 아ᄂᆞᆫ 당들은 일신월셩ᄒᆞ야 군권으로 ᄒᆞᄂᆞᆫ 법을 미워ᄒᆞ야 왕의 졍사ᄅᆞᆯ 쥰ᄒᆡᆼ치 아니ᄒᆞ고 이에 각 당이 불괴지심을 먹고 ᄯᅩ 각각 셰력을 밋어 긔탄ᄒᆞᄂᆞᆫ ᄇᆡ 업스니 왕은 비록 잠시 롱낙으로 무마ᄒᆞ나 필경 민심이 소요ᄒᆞ야 조셕을 불보헐지라 왕이... 39142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ᄅᆞᆷ은 다 붓ᄶᅩᆺ지 아니ᄒᆞ고 더욱 민권ᄅᆞᆯ 즁이 아ᄂᆞᆫ 당들은 일신월셩ᄒᆞ야 군권으로 ᄒᆞᄂᆞᆫ 법을 미워ᄒᆞ야 왕의 졍사ᄅᆞᆯ 쥰ᄒᆡᆼ치 아니ᄒᆞ고 이에 각 당이 불괴지심을 먹고 ᄯᅩ 각각 셰력을 밋어 긔탄ᄒᆞᄂᆞᆫ ᄇᆡ 업스니 왕은 비록 잠시 롱낙으로 무마ᄒᆞ나 필경 민심이 소요ᄒᆞ야 조셕을 불보헐지라 왕이 난이 날가 염녀ᄒᆞ야 순포와 병졍을 푸러 방비ᄒᆞ더라 왕이 즉위ᄒᆞᆫ지 십여일에 괴이ᄒᆞᆫ 풍셜이 이러나 왕의 명망을 손상케 ᄒᆞ야 인심이 더욱 흉구ᄒᆞ니 이ᄂᆞᆫ {{du|법국}} 왕족에 {{u|강특}}이라<ref>콩드(Condé, Duc of Bourbon)</ref> ᄒᆞᄂᆞᆫ ᄉᆞᄅᆞᆷ이 잇셔 명ᄆᆞᆼ과 훈업이 일셰에 진동ᄒᆞ더니 홀연이 ᄉᆞᄅᆞᆷ의게 쥭인 ᄇᆡ 되거ᄂᆞᆯ ᄎᆞ인을 왕이 쥭엿는가 의심ᄒᆞᄂᆞᆫ ᄌᆞㅣ 잇셔 왕을 법부에 졍소ᄒᆞ야 두 번 ᄌᆡ판ᄒᆞ되 조곰도 증거가 업ᄂᆞᆫ지라 인ᄒᆞ야 요ᄆᆞᆼᄒᆞᆫ 말이라 ᄒᆞ고 판결ᄒᆞ엿스나 소문이 파다ᄒᆞ야 ᄇᆡᆨ셩의 의심을 놋치 못ᄒᆞ더라 왕이 즉위 후에 ᄌᆞ긔 ᄌᆡ산은 다 ᄌᆞ녀의게 분ᄌᆡᄒᆞ야 쥬고 ᄯᅡ로이 궁ᄂᆡ부 일년 용비 뉵ᄇᆡᆨ만 원을 졍ᄒᆞ야 탁지부에 차ᄌᆞ 쓰니 ᄇᆡᆨ셩이 왕의 그 돈 ᄎᆞ져 쓰ᄂᆞᆫ 조목ᄎᆡᆨ을 보고 다 웃고 긔롱ᄒᆞ야 왈 젼왕 {{u|노의 뎨십팔}}은 잔약ᄒᆞ고 다병ᄒᆞ되 이런 말이 업더니 즉금 왕은 건장ᄒᆞ고 츙실ᄒᆞ나 오히려 약 갑시 여ᄎᆞ이 만은가 ᄒᆞ고 ᄯᅩ 왕이 례ᄇᆡ당에 큰 일이 업스면 가지 아니ᄒᆞ거ᄂᆞᆯ 이졔 이 ᄎᆡᆨ을 보니 쳔쥬교에 혹ᄒᆞᆫ {{u|후례왕}} 갓치 례ᄇᆡ당에 ᄌᆞ조 가ᄂᆞᆫ 이도 이러타시 용을 아니 썻거든 왕은 도르여 {{u|후례왕}}의게 비ᄒᆞ야 십ᄇᆡ가 되니 이런 리치도 잇ᄂᆞᆫ가 ᄒᆞ며 왕이 말 삼ᄇᆡᆨ 필이 잇스ᄆᆡ ᄆᆡ필 갑시 왕의 근시ᄒᆞᄂᆞᆫ 관원의 일년 월급과 갓트니 더욱 우습고 왕이 쓰ᄂᆞᆫ 난로 ᄒᆞ나에 ᄆᆡ년에 삼십만원 돈을 쓰니 이ᄂᆞᆫ 엇더케 셕탄을 쓰ᄂᆞᆫ지 민궁ᄌᆡ{{sic|칼|갈}}ᄒᆞᆫ ᄯᅢᄅᆞᆯ 당ᄒᆞ야 여ᄎᆞ이 낭비ᄒᆞᄂᆞᆫ다 ᄒᆞ더라 이ᄯᅢ에 {{du|법국}}이 병졍을 셜시ᄒᆞᆯ새 장ᄉᆡᆨ 즁에셔 ᄲᅩ분 ᄌᆞᄂᆞᆫ 잔열ᄒᆞ고 쇠병ᄒᆞᆫ ᄌᆞㅣ 십분에 구이요 농부 즁에셔 ᄲᅩ핀 ᄌᆞᄂᆞᆫ 연약ᄒᆞ고 다 겁한 ᄌᆞㅣ 열에 너희 되니 이ᄂᆞᆫ 다 지빈지궁ᄒᆞ야 비록 극녁ᄒᆞ야 ᄉᆡᆼ계에 골몰ᄒᆞ야도 능히 호구치 못ᄒᆞᄂᆞᆫ지라 드듸여 군졍에 드러 월급을 먹으니 만일 일조에 일이 잇스면 그 위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yz0127ekogni3uu9cinasejigon8uj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13 250 100829 391424 2025-06-10T15:39:44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ᄐᆡᄒᆞ미 루란 갓더라 왕이 즉위ᄒᆞᆫ지 사오년 ᄂᆡ에 항상 신문사의 ᄆᆞᆼ녕된 말ᄒᆞ믈 금ᄒᆞ니 ᄇᆡᆨ셩이 ᄡᅥ 이로되 우리가 무궁ᄒᆞᆫ 고초ᄅᆞᆯ 바드믄 다 졍부ㅣ 치국을 잘못ᄒᆞᆫ 연고ㅣ라 이졔 신보관에ᄂᆞᆫ 치국ᄒᆞᄂᆞᆫ 신법을 의논ᄒᆞ얏거ᄂᆞᆯ 엇지ᄒᆞ야 금ᄒᆞᄂᆞᆫ다 ᄒᆞ고 민간에셔 ᄉᆞᄅᆞᆷ마다 신보... 39142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ᄐᆡᄒᆞ미 루란 갓더라 왕이 즉위ᄒᆞᆫ지 사오년 ᄂᆡ에 항상 신문사의 ᄆᆞᆼ녕된 말ᄒᆞ믈 금ᄒᆞ니 ᄇᆡᆨ셩이 ᄡᅥ 이로되 우리가 무궁ᄒᆞᆫ 고초ᄅᆞᆯ 바드믄 다 졍부ㅣ 치국을 잘못ᄒᆞᆫ 연고ㅣ라 이졔 신보관에ᄂᆞᆫ 치국ᄒᆞᄂᆞᆫ 신법을 의논ᄒᆞ얏거ᄂᆞᆯ 엇지ᄒᆞ야 금ᄒᆞᄂᆞᆫ다 ᄒᆞ고 민간에셔 ᄉᆞᄅᆞᆷ마다 신보 한 장식 가지고 보ᄇᆡ 갓치 아니 이에 명셩과 ᄃᆡ도회에 다 신문사ㅣ 아닌 데가 업ᄂᆞᆫ지라 졍부ㅣ 다시 법을 졍ᄒᆞ야 신문에 졍부표ᄅᆞᆯ 붓치지 아니ᄒᆞᆫ 거슨 곳 사보라 ᄒᆞ야 파지 못ᄒᆞ게 ᄒᆞ얏더니 ᄇᆡᆨ셩은 졍부의 표젹 유무ᄅᆞᆯ 뭇지 아니ᄒᆞ고 다 사셔 보ᄂᆞᆫ지라 법사와 순검이 비록 츅일엄ᄒᆡᆨᄒᆞ나 만일 잡아 치죄ᄒᆞ면 민란이 날가 염녀ᄒᆞ야 셔로 경계ᄒᆞ고 뭇지 아니ᄒᆞ니 국사ㅣ ᄯᅩᄒᆞᆫ 민ᄆᆞᆼᄒᆞ더라 {{du|법국}} 인민이 사사로이 회ᄅᆞᆯ 모으고 여셧 가지 장졍을 졍ᄒᆞ니 기일은 ᄉᆞᄅᆞᆷ마다 ᄆᆞᆺ당이 관원을 쳔거ᄒᆞᄂᆞᆫ 권이 잇게 ᄒᆞ고 기이ᄂᆞᆫ 관원을 ᄇᆡᆨ셩이 쳔거ᄒᆞ되 ᄯᅩᄒᆞᆫ ᄉᆞ긔ᄅᆞᆯ ᄯᅡ라 다른 ᄉᆞᄅᆞᆷ을 식키며 기삼은 국ᄂᆡ 쳐쳐에 관립학교ᄅᆞᆯ 셰워 민간 ᄌᆞ졔ᄅᆞᆯ 가르치되 월급을 밧지 말게 ᄒᆞ고 기사ᄂᆞᆫ 법을 공평케 ᄒᆞ야 부ᄌᆞᄂᆞᆫ 더 부ᄒᆞ고 빈ᄌᆞᄂᆞᆫ 더 빈ᄒᆞ게 말며 {{sic}오|기오}}ᄂᆞᆫ 통상을 널니 뉴통케 ᄒᆞ야 옹쳬치 아니ᄒᆞ게 ᄒᆞ며 기뉵은 {{du|구라파}} 각국을 청ᄒᆞ야 외국인이라 의심ᄒᆞ지 말고 동심합력ᄒᆞ야 {{du|법국}}의 대ᄉᆞᄅᆞᆯ 판결ᄒᆞᄀᆡᆺ다 ᄒᆞ니 졍부ㅣ ᄉᆡᆼ각ᄒᆞ되 차ᄇᆡ 만일 ᄉᆞ방에 흣터지면 반ᄃᆞ시 난을 이리켜리라 ᄒᆞ고 드듸여 회당 이십칠 명을 잡아 법ᄉᆞ로 ᄒᆞ야곰 치죄ᄒᆞ라 ᄒᆞ얏더니 불의에 ᄌᆡ판관들이 무죄ᄒᆞ다 ᄒᆞ고 모다 ᄇᆡᆨ방ᄒᆞ니 뎡부ㅣ ᄯᅩᄒᆞᆫ 엇지ᄒᆞᆯ 슈 업더라 지차ᄒᆞ야 {{du|법}}인의 민쥬 ᄒᆞ자 ᄒᆞᄂᆞᆫ 마음이 더욱 심ᄒᆞ야 가이 막을 슈 업ᄂᆞᆫ지라 ᄒᆞᆫ 의원이 의원에셔 일을 의논ᄒᆞ다가 이 일은 인군이 쥬장ᄒᆞ미 올타 ᄒᆞ얏더니 모든 의원이 크게 짓거려 왈 왕이라 ᄒᆞᄂᆞᆫ 거슨 ᄇᆡᆨ셩을 위ᄒᆞ야 셰운 거시니 만ᄉᆞᄅᆞᆯ ᄇᆡᆨ셩이 쥬장ᄒᆞ미 올코 인군이 엇지 쥬장이 되리요 ᄒᆞ고 ᄃᆡ담으로 ᄒᆞᄂᆞᆫ 말이 긔탄이 업더라 {{nop}}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8g71at6kt5ls27t51v8h5s6rjwehhk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14 250 100830 391425 2025-06-10T15:40:2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뎡부ㅣ 쥬야로 염녀ᄒᆞ야 인민이 ᄉᆞ사로이 회ᄅᆞᆯ 모와 국졍 의논ᄒᆞ믈 엄금ᄒᆞ니 민심이 더욱 요란ᄒᆞ야 ᄡᅥ 이르되 ᄇᆡᆨ셩이 업스면 인군이 어듸셔 나리요 우리로 인ᄒᆞ야 인군이 셧스니 우리ᄂᆞᆫ 즁ᄒᆞ고 인군은 경ᄒᆞ거ᄂᆞᆯ 엇지ᄒᆞ야 국ᄉᆞᄅᆞᆯ 의논치 못ᄒᆞ게 ᄒᆞᄂᆞ뇨 ᄒᆞ고 드듸여 각각 조졍 박굴 일을 ᄭᅬ... 39142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뎡부ㅣ 쥬야로 염녀ᄒᆞ야 인민이 ᄉᆞ사로이 회ᄅᆞᆯ 모와 국졍 의논ᄒᆞ믈 엄금ᄒᆞ니 민심이 더욱 요란ᄒᆞ야 ᄡᅥ 이르되 ᄇᆡᆨ셩이 업스면 인군이 어듸셔 나리요 우리로 인ᄒᆞ야 인군이 셧스니 우리ᄂᆞᆫ 즁ᄒᆞ고 인군은 경ᄒᆞ거ᄂᆞᆯ 엇지ᄒᆞ야 국ᄉᆞᄅᆞᆯ 의논치 못ᄒᆞ게 ᄒᆞᄂᆞ뇨 ᄒᆞ고 드듸여 각각 조졍 박굴 일을 ᄭᅬᄒᆞ더라 이ᄯᅢ에 {{du|법}}인 {{u|납발누투}}라<ref>라파예트(Lafayette)</ref> ᄒᆞᄂᆞᆫ ᄉᆞᄅᆞᆷ은 젼에 {{du|미리견}}<ref>미국(America)</ref> ᄉᆞᄅᆞᆷ을 도아 민쥬국을 ᄆᆡᆫ든 ᄉᆞᄅᆞᆷ이라 이졔 비록 년로 쇠ᄆᆡᄒᆞ나 오십년ᄅᆡ에 고심혈셩으로 타국을 도아 민쥬국을 ᄆᆡᆫ드엇스니 엇지 부모지방을 좌시불구ᄒᆞ야 인군의 압졔ᄒᆞ믈 바드리오 ᄒᆞ고 당뉴ᄅᆞᆯ 호소ᄒᆞ야 날로 인군 박굴 계교ᄅᆞᆯ 의논ᄒᆞᆯ새 ᄒᆞ나이 열의게 젼ᄒᆞ고 열이 ᄇᆡᆨ의게 젼ᄒᆞ야 불긔일에 거국 ᄉᆞᄅᆞᆷ이 다 동심회ᄅᆞᆯ 셰우고 이르되 {{du|파리}} 인민이 만일 인군의게 사호라도 속이고 업수이 너기믈 바드면 각도 각읍 ᄇᆡᆨ셩이 동시 병긔ᄒᆞ리라 ᄒᆞ더니 {{du|남은사}}라<ref>리용(Lyons)</ref> ᄒᆞᄂᆞᆫ 일ᄉᆡᆼ【일ᄉᆡᆼ은 아국에 일도와 갓튼 말이라】에셔 드듸여 이ᄅᆞᆯ 인ᄒᆞ야 과연 두번ᄶᆡ 반ᄒᆞ야 관군을 치다가 쥭은 ᄌᆞㅣ 만으나 종시 항복지 아니ᄒᆞ고 필경 관군을 {{du|남은사}} ᄉᆡᆼ 밧게 ᄂᆡ여 ᄶᅩ치니라 ::뎨십사졀 신뎡을 뎡ᄒᆞ미라 일쳔팔ᄇᆡᆨ삼십오년【헌종 원년】에 ᄒᆞᆫ 병풍ᄒᆞᆫ ᄉᆞᄅᆞᆷ {{u|비셔}}라<ref>피에시(Fieschi)</ref> ᄒᆞᄂᆞᆫ ᄌᆞㅣ 잇셔 왕이 츌궁ᄒᆞ믈 기다려 가만이 이십오 포문 대포 일좌ᄅᆞᆯ 무덧다가 왕이 지날 ᄯᅢ에 대포ᄅᆞᆯ 노아 탄환 이십오 ᄀᆡ가 낙역히 날녀 나오니 왕은 비록 손상치 아니ᄒᆞ나 ᄒᆞᆫ 쳘환이 그 이마ᄅᆞᆯ 스쳐 지나고 호종ᄒᆞᆫ 궁속과 시위 등이 사망ᄒᆞᆫ ᄌᆞㅣ 사십인이라 {{u|노의 비례왕}}이 진로ᄒᆞ야 즉각에 {{u|비셔}}ᄅᆞᆯ 발포ᄒᆞ야 하옥 엄치ᄒᆞ니 이에 민권당이<ref>공화주의당(republican)</ref> ᄡᅥ 이르되 우리 무리ᄅᆞᆯ 약속지 못ᄒᆞ야 대화ᄅᆞᆯ 일우엇스니 민권을 셰워 나라이 평안ᄒᆞᄀᆡᆺ다 ᄒᆞ든 말이 실노 ᄒᆡᆼ치 못헐 ᄇᆡ라 이졔 하면목으로 군권당을 ᄃᆡᄒᆞ리오 ᄒᆞ고 졈졈 긔운이 져상ᄒᆞ야 감이 국뎡을 의논치 못ᄒᆞᄂᆞᆫ지라 군권당이 이 긔회ᄅᆞᆯ 타 말을 ᄂᆡ되 이 무리ᄅᆞᆯ 용납ᄒᆞ면 화란이 조셕에 잇슬이라 ᄒᆞ고 드듸여 법률을 엄케 ᄒᆞ여 인민을 구속ᄒᆞ니 그 법률에 갈오ᄃᆡ 신민이 감이 불괴ᄅᆞᆯ 품어 반역을 ᄒᆡᆼᄒᆞᄂᆞᆫ ᄌᆞᄂᆞᆫ 반ᄃᆞ시 엄치통증ᄒᆞ리라 ᄒᆞ니 녕이 ᄂᆡ리ᄆᆡ ᄇᆡᆨ셩이 다 이르되 이ᄂᆞᆫ ᄉᆞ리 당연ᄒᆞ다 ᄒᆞ고 ᄯᅩ한 녕을 ᄂᆡ려 왈 신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xa2ml4dpmseqc1h7mmjt8ieuqz2sgo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15 250 100831 391426 2025-06-10T15:40:49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문ᄉᆞᄅᆞᆯ 금ᄒᆞ되 만일 신문ᄉᆞᄅᆞᆯ 창립ᄒᆞ고ᄌᆞ ᄒᆞᄂᆞᆫ ᄌᆞᄂᆞᆫ 반ᄃᆞ시 큰 ᄌᆡ물노ᄡᅥ 국고에 밧쳐 볼모ᄅᆞᆯ 삼으라 ᄒᆞ니 {{du|법}}인이 이르되 이ᄂᆞᆫ 젼곡이 만은 ᄌᆡ라야 ᄇᆞ야흐로 신문ᄉᆞᄅᆞᆯ 셰우게 ᄒᆞ니 불가ᄒᆞ고 ᄯᅩ 왕의 허믈과 군권당의 일을 의논치 말나 ᄒᆞ고 ᄯᅩ 신보ᄉᆞ에셔 허믈이 잇... 39142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문ᄉᆞᄅᆞᆯ 금ᄒᆞ되 만일 신문ᄉᆞᄅᆞᆯ 창립ᄒᆞ고ᄌᆞ ᄒᆞᄂᆞᆫ ᄌᆞᄂᆞᆫ 반ᄃᆞ시 큰 ᄌᆡ물노ᄡᅥ 국고에 밧쳐 볼모ᄅᆞᆯ 삼으라 ᄒᆞ니 {{du|법}}인이 이르되 이ᄂᆞᆫ 젼곡이 만은 ᄌᆡ라야 ᄇᆞ야흐로 신문ᄉᆞᄅᆞᆯ 셰우게 ᄒᆞ니 불가ᄒᆞ고 ᄯᅩ 왕의 허믈과 군권당의 일을 의논치 말나 ᄒᆞ고 ᄯᅩ 신보ᄉᆞ에셔 허믈이 잇셔 벌금을 밧칠 ᄯᅢᄂᆞᆫ 타인이 감이 돈을 부조ᄒᆞ야 ᄃᆡ신 밧치지 못ᄒᆞ고 ᄯᅩ 신문지에 그림을 그리ᄂᆞᆫ 자ᄂᆞᆫ 신문을 감찰ᄒᆞᄂᆞᆫ 어ᄉᆞ의게 몬져 올니여 인가ᄅᆞᆯ 맛튼 후에 비로쇼 간ᄒᆡᆼᄒᆞ라 ᄒᆞ얏스니 여ᄎᆞ이 ᄭᅡ달옵고 번거ᄒᆞᆫ 법녕은 불과 ᄇᆡᆨ셩의 입을 막으미라 ᄒᆞ고 다 열복지 아니ᄒᆞ며 ᄎᆞ외에 ᄯᅩ ᄇᆡᆨ셩이 자칭 민권당이라 ᄒᆞᆷ을 금ᄒᆞ니 ᄎᆞ시 ᄃᆡ신 즁에 {{u|졔이}}와<ref>티에르 (Thiers)</ref> {{u|계사}}<ref>기조(Guizot)</ref> 갓튼 이ᄂᆞᆫ 후일에 셩명이 진동ᄒᆞ야 원건에 조요ᄒᆞᄂᆞᆫ ᄌᆞㅣ라 이 신법 졍ᄒᆞᄂᆞᆫ 뎨 ᄎᆞᆷ예ᄒᆞ얏더라 새 녕이 이믜 졍ᄒᆞᄆᆡ 조야ㅣ 안연ᄒᆞ야 상고ㅣ 흥왕ᄒᆞ고 범사ㅣ ᄎᆔ셔되며 젼일에 ᄇᆡᆨ셩을 션동ᄒᆞ야 국가ᄅᆞᆯ 거역ᄒᆞ든 ᄌᆞᄂᆞᆫ 다 궁곤ᄒᆞ야 빈무립츄지ᄇᆡ라 일을 ᄌᆞ단ᄒᆞ야 ᄉᆡᆼᄉᆞᄒᆞᆷ을 조와ᄒᆞ더니 이졔 다 업이 잇셔 긔ᄒᆞᆫ을 면ᄒᆞᄆᆡ 젼일 악습이 다 업셔지고 국가에셔ᄂᆞᆫ 일졀 졍녕을 엄쥰케 ᄒᆞ니 {{du|법}}민이 심복지 아니ᄒᆞ나 감이 항거치 못ᄒᆞ고 기즁에 우완 불법ᄒᆞᆫ ᄌᆞᄂᆞᆫ 관군이 조발셕지ᄒᆞ야 소탕무여ᄒᆞ고 만일 산곡간에 ᄎᆔ당ᄒᆞ야 모반ᄒᆞᄂᆞᆫ ᄌᆞᄂᆞᆫ 장창대포로ᄡᅥ 도쳐에 쥬지살지ᄒᆞ니 ᄇᆡᆨ셩이 더욱 겁ᄂᆡ여 왕명을 거역지 못ᄒᆞ더라 일쳔팔ᄇᆡᆨᄉᆞᆷ십사년【순조 ᄉᆞᆷ십사년】에 ᄇᆡᆨ셩이 관원을 쳔거ᄒᆞᆯ ᄯᅢᄅᆞᆯ 당ᄒᆞ야 새로 쳔거된 ᄌᆞㅣ ᄐᆡ반이나 군권당 ᄉᆞᄅᆞᆷ이라 이에 왕의 마음이 더욱 졍ᄒᆞ야 모든 난리ᄅᆞᆯ 차례로 삭평ᄒᆞ니 민심이 깁히 심복지ᄂᆞᆫ 아니ᄒᆞ나 시셰 ᄌᆞ못 안졍ᄒᆞ더라 ::뎨십오졀 학교라 {{du|법국}}이 젼일에 민쥬ᄅᆞᆯ 셰우고자 ᄒᆞᆯ ᄯᅢ에 인민을 교육ᄒᆞᄂᆞᆫ 법이 진션진미ᄒᆞ다가 밋 난리ᄅᆞᆯ 당ᄒᆞᄆᆡ {{u|나파륜}} 황졔의 취ᄒᆞᄂᆞᆫ 바ᄂᆞᆫ 다 용ᄆᆡᆼ한 규규무부요 독셔종ᄌᆞㅣ 아니라 학교ㅣ 더욱 쇠ᄒᆞ더니 {{u|포이분}}씨 왕위에 올으ᄆᆡ ᄡᅥ ᄒᆞ되 ᄇᆡᆨ셩이 ᄉᆞ리ᄅᆞᆯ 통달ᄒᆞ면 억졔키 어려우니 그 우ᄆᆡᄒᆞ믈 인ᄒᆞ야 다ᄉᆞ리미 올타 ᄒᆞ고 드듸여 학교ᄅᆞᆯ 파ᄒᆞ니라 일쳔팔ᄇᆡᆨ삼십삼년【순조 삼십삼년】에 {{u|계사}}ㅣ 학부대신이 되야 학교ᄅᆞᆯ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pxrfiwdnl6ik56fx8z4oh53xqb81fw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16 250 100832 391427 2025-06-10T15:41:17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셰워 우민을 교육ᄒᆞᆯ새 몬져 소학교ᄅᆞᆯ 각 부 쥬현에 셰우니 학교ㅣ 범 삼만오쳔이라 국가ㅣ ᄆᆡ년에 국고금을 ᄂᆡ여 보조ᄒᆞ더라 ::뎨십뉵졀 {{du|북아비리가쥬}} {{du|아리젹}} ᄯᅡ에 ᄅᆡ력이라 일쳔팔ᄇᆡᆨ이십구년【순조 이십구년】에 {{du|후례왕 졔십이}} ᄌᆡ위시에 명예ᄅᆞᆯ 엇고ᄌᆞ ᄒᆞ야 명장 츌ᄉᆞᄒᆞ야 {{du|아비리가}... 39142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셰워 우민을 교육ᄒᆞᆯ새 몬져 소학교ᄅᆞᆯ 각 부 쥬현에 셰우니 학교ㅣ 범 삼만오쳔이라 국가ㅣ ᄆᆡ년에 국고금을 ᄂᆡ여 보조ᄒᆞ더라 ::뎨십뉵졀 {{du|북아비리가쥬}} {{du|아리젹}} ᄯᅡ에 ᄅᆡ력이라 일쳔팔ᄇᆡᆨ이십구년【순조 이십구년】에 {{du|후례왕 졔십이}} ᄌᆡ위시에 명예ᄅᆞᆯ 엇고ᄌᆞ ᄒᆞ야 명장 츌ᄉᆞᄒᆞ야 {{du|아비리가}}<ref>아프리카(Africa)</ref> 북방 {{du|아리젹}}의<ref>알제리(Algeria)</ref> ᄒᆡ랑젹을 평졍ᄒᆞ고 그 ᄯᅡ을 {{du|법국}}에 예속 식이니 {{du|아리젹}}은 원ᄅᆡ 풍속이 잔포ᄒᆞ야 {{du|지즁ᄒᆡ}} 바ᄃᆞ에 츌몰ᄒᆞ야 ᄒᆡᆼ녀ᄅᆞᆯ 겁냑ᄒᆞ거ᄂᆞᆯ 젼왕 {{u|후례 졔오}}ㅣ 항ᄒᆡ 친졍ᄒᆞ다가 거위 풍파에 쥭을 번ᄒᆞ고 일쳔칠ᄇᆡᆨ년 【숙종 이십뉵년】 이후 지어 일쳔팔ᄇᆡᆨ년【뎡종 이십사년】ᄭᆞ지 {{du|영국}} {{du|법국}}과 밋 {{du|의대리}}의 {{du|비니사}}<ref>베네치아(Venetia)</ref> 황졔 다 용병 졍토ᄒᆞ다가 익이지 못ᄒᆞ고 심지어 {{du|법}}왕 {{u|노의 뎨십사}}ᄂᆞᆫ 두 번 대병을 발ᄒᆞ야 {{du|아리젹}}을 파ᄒᆞ얏더니 ᄒᆡ랑젹들이 {{du|법국}} ᄒᆡ변에 이르러 ᄌᆞ녀 옥ᄇᆡᆨ을 로략ᄒᆞ니 {{du|법}}인이 괴로와 ᄒᆞ더라 일쳔팔ᄇᆡᆨ십뉵년【순조 십뉵년】에 {{du|영국}}이 대군을 거ᄂᆞ려 그 포대ᄅᆞᆯ 뭇질너 평지ᄅᆞᆯ ᄆᆡᆫ드니 {{du|아리젹}}인이 비로소 성ᄒᆞ지ᄆᆡᆼ을 결ᄒᆞ고 ᄆᆡᆼ셰코 다시 {{du|구라파}}ᄅᆞᆯ 침노치 아니ᄒᆞᆫ다 ᄒᆞ더니 {{du|영}}병이 퇴ᄒᆞᆫ 후에 인ᄒᆞ야 강도의 업을 고치지 아니ᄒᆞ고 {{du|구라파}} ᄉᆞᄅᆞᆷ을 만나면 돈 유무ᄅᆞᆯ 무러 돈이 잇스면 억지로 편지ᄅᆞᆯ 씨여 그 집에 보ᄂᆡ야 즁가로 속신ᄒᆞ야 가게 ᄒᆞ고 돈이 업스면 종신 증역ᄒᆞ야 노예갓치 ᄒᆞ니 {{du|구라파}} 각 소국이 외지여호ᄒᆞ야 도르여 폐ᄇᆡᆨ을 보ᄂᆡ야 속국갓치 ᄒᆞ되 오히려 침어ᄒᆞᄂᆞᆫ 폐ᄅᆞᆯ 면치 못ᄒᆞ고 {{du|법국}} 문신 {{u|아랍가}}ᄂᆞᆫ<ref>아라고(Arago)</ref> 박학다문ᄒᆞ야 거국 ᄉᆞᄅᆞᆷ이 다 경앙ᄒᆞᄂᆞᆫ ᄇᆡ러니 ᄯᅩᄒᆞᆫ 사로잡핀 ᄇᆡ 되야 노예 되믈 면치 못ᄒᆞ니 죵죵 흉악ᄒᆞᆫ 일이 다 ᄉᆞᄅᆞᆷ의 ᄯᅳᆺ밧게 나더라 {{du|구라파}} ᄉᆞᄅᆞᆷ은 {{u|야소}}교ᄅᆞᆯ 공경ᄒᆞ고 {{du|아리젹}}인은 회회교ᄅᆞᆯ 봉ᄒᆡᆼᄒᆞᄂᆞᆫ지라 {{u|후례왕 졔십}}이 결계토지ᄒᆞ야 {{u|야소}}교인으로 ᄒᆞ야곰 회회교인의 능멸ᄒᆞᆷ을 밧지 안코자 ᄒᆞ야 대병을 거ᄂᆞ려 {{du|아리젹}}을 파ᄒᆞ고 다시 즁병으로ᄡᅥ 둔찰ᄒᆞ야 {{du|지즁ᄒᆡ}}의 션쳑과 ᄒᆡᆼ녀ᄅᆞᆯ 보호ᄒᆞ야 영구이 ᄒᆡ젹을 평졍ᄒᆞ니 {{du|법}}인이 대희과망ᄒᆞ나 맛ᄎᆞᆷᄂᆡ 군권 잇슴을 미워ᄒᆞ야 그 인군을 ᄶᅩ치니라 {{nop}}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ybu512rc0x223qmftzsjxg2q3wrndt 페이지:天文學.djvu/56 250 100833 391428 2025-06-10T20:24:22Z 121.158.165.118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有ᄒᆞ고又其引力에基因ᄒᆞᆫ特別의運動도無ᄒᆞ야互相位置가不變ᄒᆞᄂᆞᆫ者이오後의境遇에ᄂᆞᆫ互相引力을相加ᄒᆞ고特別의運動을生ᄒᆞ야多少變動ᄒᆞᆯ者이니實로兩種이共有ᄒᆞᆷ과如ᄒᆞ니라 <br/>雙子星의數<br/>現今에在ᄒᆞ야ᄂᆞᆫ吾等은雙子星과多子星의數가凡一万이有ᄒᆞᆷ을知得ᄒᆞᄂᆞ니此中에單히外觀上으로接近... 39142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121.158.165.118" /></noinclude>{{옛한글쪽 시작}}有ᄒᆞ고又其引力에基因ᄒᆞᆫ特別의運動도無ᄒᆞ야互相位置가不變ᄒᆞᄂᆞᆫ者이오後의境遇에ᄂᆞᆫ互相引力을相加ᄒᆞ고特別의運動을生ᄒᆞ야多少變動ᄒᆞᆯ者이니實로兩種이共有ᄒᆞᆷ과如ᄒᆞ니라 <br/>雙子星의數<br/>現今에在ᄒᆞ야ᄂᆞᆫ吾等은雙子星과多子星의數가凡一万이有ᄒᆞᆷ을知得ᄒᆞᄂᆞ니此中에單히外觀上으로接近ᄒᆞᆯᄲᅮᆫ이오實로遠距離에在ᄒᆞᆷ이確實ᄒᆞᆫ者ᄂᆞᆫ僅少ᄒᆞ며又特히運動이冇ᄒᆞᆷ으로認ᄒᆞᆫ者가凡八百이有ᄒᆞ니其中凡三百은極히確實ᄒᆞᆫ者이오又凡三十雙은軌道ᄭᆞ지計算ᄒᆞ얏ᄂᆞᆫ지라最初雙子星을發見ᄒᆞᆷ은西曆千七百年이오千七百七十八年에ᄂᆞᆫ마이에루라ᄒᆞᄂᆞᆫ人이凡八十이有ᄒᆞᆷ을擧ᄒᆞ얏고千七百八十二年에ᄂᆞᆫ헤루시에루가八百餘가有ᄒᆞ다云ᄒᆞ얏고千八百三十七年에至ᄒᆞ야스도루우ᄂᆞᆫ三千餘가有ᄒᆞ다云ᄒᆞ얏스며今日에至ᄒᆞ야ᄂᆞᆫ前記와如히一萬에上ᄒᆞ얏더라<br/>雙子星의近在及運動<br/>大抵雙子星은星座外의星이냐云ᄒᆞᆫ즉不然ᄒᆞ다ᄒᆞᄂᆞᆫ지라星座中의星에雙子星이有{{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j1rtt46zniy7whqyzf4olg0rrdiiho0 페이지:天文學.djvu/57 250 100834 391429 2025-06-10T22:05:52Z 이학민문헌전자화 1847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ᄒᆞ니卽肉眼으로見ᄒᆞ야ᄂᆞᆫ一星과如히現ᄒᆞᄂᆞᆫ星座中의星이望遠鏡으로見ᄒᆞᆯ진ᄃᆡ雙子이라此ᄂᆞᆫ大槪大小二星으로成ᄒᆞ야大ᄒᆞᆫ者ᄅᆞᆯ主星이라云ᄒᆞ고小ᄒᆞᆫ者ᄅᆞᆯ隨星卽侍星이라云ᄒᆞᄂᆞ니라然이나若二星이同大ᄒᆞᆷ도有ᄒᆞᄂᆞ니大小二星이될時ᄂᆞᆫ小ᄂᆞᆫ大ᄅᆞᆯ廻ᄒᆞ고同大의二星이될時ᄂᆞ... 39142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학민문헌전자화" /></noinclude>{{옛한글쪽 시작}}ᄒᆞ니卽肉眼으로見ᄒᆞ야ᄂᆞᆫ一星과如히現ᄒᆞᄂᆞᆫ星座中의星이望遠鏡으로見ᄒᆞᆯ진ᄃᆡ雙子이라此ᄂᆞᆫ大槪大小二星으로成ᄒᆞ야大ᄒᆞᆫ者ᄅᆞᆯ主星이라云ᄒᆞ고小ᄒᆞᆫ者ᄅᆞᆯ隨星卽侍星이라云ᄒᆞᄂᆞ니라然이나若二星이同大ᄒᆞᆷ도有ᄒᆞᄂᆞ니大小二星이될時ᄂᆞᆫ小ᄂᆞᆫ大ᄅᆞᆯ廻ᄒᆞ고同大의二星이될時ᄂᆞᆫ二이星히共兩者에間一을點中으로心ᄒᆞ야作ᄅᆞᆯ此ᄒᆞᄂᆞ니라廻第十五圖ᄂᆞᆫ大態星(北斗七星)中의開陽이오第十六圖ᄂᆞᆫ안도로메다宮의天王將軍一인ᄃᆡ此皆大小二星의雙子星이오又第十七圖ᄂᆞᆫ雙女宮의北河二오第十八圖ᄂᆞᆫ白羊宮의婁宿二인ᄃᆡ此亦擧皆同大의二星으로成ᄒᆞᆫ雙子星이라<br/>雙子星의一週ᄒᆞᄂᆞᆫ時日은各種이有ᄒᆞᆫ지라但百年以下ᄂᆞᆫ僅少ᄒᆞ고其他ᄂᆞᆫ擧皆三百年以上이오千年乃至三千年者ㅣ多ᄒᆞ니라<br/>雙子星中의二星間距離<br/>雙子星을成ᄒᆞᆫ二星間의距離ᄂᆞᆫ里數로擧ᄒᆞᆷ이無ᄒᆞ고弧로表示ᄒᆞᆷ이니此弧ᄂᆞᆫ○,二秒와三十二秒間에有ᄒᆞ며此ᄅᆞᆯ里數로示ᄒᆞᆯ진ᄃᆡ必先雙子星과地球의距離ᄅᆞᆯ知ᄒᆞᄂᆞᆫ必要가有ᄒᆞ니라然이나此ᄂᆞᆫ一二의雙子星을除ᄒᆞ고ᄂᆞᆫ其外ᄂᆞᆫ少無知得ᄒᆞ야里數ᄅᆞᆯ{{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2m1ap8wbuvzm5pvps4cxjic6czadsf2 391518 391429 2025-06-11T10:16:53Z 이학민문헌전자화 18475 39151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학민문헌전자화" /></noinclude>{{옛한글쪽 시작}}ᄒᆞ니卽肉眼으로見ᄒᆞ야ᄂᆞᆫ一星과如히現ᄒᆞᄂᆞᆫ星座中의星이望遠鏡으로見ᄒᆞᆯ진ᄃᆡ雙子이라此ᄂᆞᆫ大槪大小二星으로成ᄒᆞ야大ᄒᆞᆫ者ᄅᆞᆯ主星이라云ᄒᆞ고小ᄒᆞᆫ者ᄅᆞᆯ隨星卽侍星이라云ᄒᆞᄂᆞ니라然이나若二星이同大ᄒᆞᆷ도有ᄒᆞᄂᆞ니大小二星이될時ᄂᆞᆫ小ᄂᆞᆫ大ᄅᆞᆯ廻ᄒᆞ고同大의二星이될時ᄂᆞᆫ二星이共히兩者間에一點을中心으로作ᄒᆞ야此ᄅᆞᆯ廻ᄒᆞᄂᆞ니라第十五圖ᄂᆞᆫ大態星(北斗七星)中의開陽이오第十六圖ᄂᆞᆫ안도로메다宮의天王將軍一인ᄃᆡ此皆大小二星의雙子星이오又第十七圖ᄂᆞᆫ雙女宮의北河二오第十八圖ᄂᆞᆫ白羊宮의婁宿二인ᄃᆡ此亦擧皆同大의二星으로成ᄒᆞᆫ雙子星이라<br/>雙子星의一週ᄒᆞᄂᆞᆫ時日은各種이有ᄒᆞᆫ지라但百年以下ᄂᆞᆫ僅少ᄒᆞ고其他ᄂᆞᆫ擧皆三百年以上이오千年乃至三千年者ㅣ多ᄒᆞ니라<br/>雙子星中의二星間距離<br/>雙子星을成ᄒᆞᆫ二星間의距離ᄂᆞᆫ里數로擧ᄒᆞᆷ이無ᄒᆞ고弧로表示ᄒᆞᆷ이니此弧ᄂᆞᆫ○,二秒와三十二秒間에有ᄒᆞ며此ᄅᆞᆯ里數로示ᄒᆞᆯ진ᄃᆡ必先雙子星과地球의距離ᄅᆞᆯ知ᄒᆞᄂᆞᆫ必要가有ᄒᆞ니라然이나此ᄂᆞᆫ一二의雙子星을除ᄒᆞ고ᄂᆞᆫ其外ᄂᆞᆫ少無知得ᄒᆞ야里數ᄅᆞᆯ{{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2lj1rks26gq2dryurr7phjv1tivkc8m 페이지:天文學.djvu/58 250 100835 391430 2025-06-10T23:01:07Z 이학민문헌전자화 1847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論키不能ᄒᆞ나但候宮의비ㅣ星과셴다우루스宮의아루후아星은其他球距離ᄅᆞᆯ大略知得ᄒᆞᆷ으로里數로擧ᄒᆞ기能ᄒᆞ니卽兩星에距里가甲은凡百十億里(韓國里)오乙은凡百一億里니라<br/>恒星의運動<br/>前에ᄂᆞᆫ恒星은不動ᄒᆞᆫ다云ᄒᆞ얏스나雙子星에就ᄒᆞ야見ᄒᆞᆯ진ᄃᆡ亦是運此ᄒᆞᄂᆞ니雙子星的의運動外에恒星에ᄂᆞᆫ又宇... 39143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학민문헌전자화" /></noinclude>{{옛한글쪽 시작}}論키不能ᄒᆞ나但候宮의비ㅣ星과셴다우루스宮의아루후아星은其他球距離ᄅᆞᆯ大略知得ᄒᆞᆷ으로里數로擧ᄒᆞ기能ᄒᆞ니卽兩星에距里가甲은凡百十億里(韓國里)오乙은凡百一億里니라<br/>恒星의運動<br/>前에ᄂᆞᆫ恒星은不動ᄒᆞᆫ다云ᄒᆞ얏스나雙子星에就ᄒᆞ야見ᄒᆞᆯ진ᄃᆡ亦是運此ᄒᆞᄂᆞ니雙子星的의運動外에恒星에ᄂᆞᆫ又宇宙何方面에進行ᄒᆞᄂᆞᆫ運動이有ᄒᆞ나此運動은短日月間에ᄂᆞᆫ見키不能ᄒᆞᆯᄲᅮᆫ더러最精密ᄒᆞᆫ機械가無ᄒᆞ면觀測키不能ᄒᆞ며又此運動은十八世紀中葉以來로始知ᄒᆞᆫ지라今日에運動이最大ᄒᆞᆫ者로認ᄒᆞᆫ星은아루게란데루星이라稱ᄒᆞᄂᆞᆫ大熊宮과獵犬宮界에在ᄒᆞᆫ者이니其運動이一百年間에七百五秒(太陽視直徑의凡八分의三)오其外에一秒以上運動ᄒᆞᄂᆞᆫ星은今日에凡八十假量을發見ᄒᆞ얏ᄂᆞᆫᄃᆡ其中에一等星은셴다우루스宮의 아루후아星(一年三,六七秒)이오大角(一年二,二六秒)이오河南三(一年一,三三秒)이오天狼(一年一,二五秒)等이有ᄒᆞ고又今日ᄭᆞ지運動이有ᄒᆞ다確認ᄒᆞᆫ星의數ᄂᆞᆫ四千餘ㅣ라몌도레루라云ᄒᆞᄂᆞᆫ人은三{{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ddu3nk10qprlduyow3qb04htolbyavg 391431 391430 2025-06-10T23:07:39Z 이학민문헌전자화 18475 39143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학민문헌전자화" /></noinclude>{{옛한글쪽 시작}}論키不能ᄒᆞ나但候宮의비ㅣ星과셴다우루스宮의아루후아星은其他球距離ᄅᆞᆯ大略知得ᄒᆞᆷ으로里數로擧ᄒᆞ기能ᄒᆞ니卽兩星間에距里가甲은凡百十億里(韓國里)오乙은凡百一億里니라<br/>恒星의運動<br/>前에ᄂᆞᆫ恒星은不動ᄒᆞᆫ다云ᄒᆞ얏스나雙子星에就ᄒᆞ야見ᄒᆞᆯ진ᄃᆡ亦是運此ᄒᆞᄂᆞ니雙子星的의運動外에恒星에ᄂᆞᆫ又宇宙何方面에進行ᄒᆞᄂᆞᆫ運動이有ᄒᆞ나此運動은短日月間에ᄂᆞᆫ見키不能ᄒᆞᆯᄲᅮᆫ더러最精密ᄒᆞᆫ機械가無ᄒᆞ면觀測키不能ᄒᆞ며又此運動은十八世紀中葉以來로始知ᄒᆞᆫ지라今日에運動이最大ᄒᆞᆫ者로認ᄒᆞᆫ星은아루게란데루星이라稱ᄒᆞᄂᆞᆫ大熊宮과獵犬宮界에在ᄒᆞᆫ者이니其運動이一百年間에七百五秒(太陽視直徑의凡八分의三)오其外에一秒以上運動ᄒᆞᄂᆞᆫ星은今日에凡八十假量을發見ᄒᆞ얏ᄂᆞᆫᄃᆡ其中에一等星은셴다우루스宮의 아루후아星(一年三,六七秒)이오大角(一年二,二六秒)이오河南三(一年一,三三秒)이오天狼(一年一,二五秒)等이有ᄒᆞ고又今日ᄭᆞ지運動이有ᄒᆞ다確認ᄒᆞᆫ星의數ᄂᆞᆫ四千餘ㅣ라몌도레루라云ᄒᆞᄂᆞᆫ人은三{{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gwi48ic64ied5uc0hrrzawo14sgbnbr 391516 391431 2025-06-11T10:00:29Z 이학민문헌전자화 18475 39151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학민문헌전자화" /></noinclude>{{옛한글쪽 시작}}論키不能ᄒᆞ나但候宮의비ㅣ星과셴다우루스宮의아루후아星은其他球距離ᄅᆞᆯ大略知得ᄒᆞᆷ으로里數로擧ᄒᆞ기能ᄒᆞ니卽兩星間에距里가甲은凡百十億里(韓國里)오乙은凡百一億里니라<br/>恒星의運動<br/>前에ᄂᆞᆫ恒星은不動ᄒᆞᆫ다云ᄒᆞ얏스나雙子星에就ᄒᆞ야見ᄒᆞᆯ진ᄃᆡ亦是運動ᄒᆞᄂᆞ니雙子星的의運動外에恒星에ᄂᆞᆫ又宇宙何方面에進行ᄒᆞᄂᆞᆫ運動이有ᄒᆞ나此運動은短日月間에ᄂᆞᆫ見키不能ᄒᆞᆯᄲᅮᆫ더러最精密ᄒᆞᆫ機械가無ᄒᆞ면觀測키不能ᄒᆞ며又此運動은十八世紀中葉以來로始知ᄒᆞᆫ지라今日에運動이最大ᄒᆞᆫ者로認ᄒᆞᆫ星은아루게란데루星이라稱ᄒᆞᄂᆞᆫ大熊宮과獵犬宮界에在ᄒᆞᆫ者이니其運動이一百年間에七百五秒(太陽視直徑의凡八分의三)오其外에一秒以上運動ᄒᆞᄂᆞᆫ星은今日에凡八十假量을發見ᄒᆞ얏ᄂᆞᆫᄃᆡ其中에一等星은셴다우루스宮의 아루후아星(一年三,六七秒)이오大角(一年二,二六秒)이오河南三(一年一,三三秒)이오天狼(一年一,二五秒)等이有ᄒᆞ고又今日ᄭᆞ지運動이有ᄒᆞ다確認ᄒᆞᆫ星의數ᄂᆞᆫ四千餘ㅣ라몌도레루라云ᄒᆞᄂᆞᆫ人은三{{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zi227z85189bicomh8c3znmpyiep1q 391517 391516 2025-06-11T10:01:11Z 이학민문헌전자화 18475 39151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학민문헌전자화" /></noinclude>{{옛한글쪽 시작}}論키不能ᄒᆞ나但候宮의비ㅣ星과셴다우루스宮의아루후아星은其他球距離ᄅᆞᆯ大略知得ᄒᆞᆷ으로里數로擧ᄒᆞ기能ᄒᆞ니卽兩星間에距里가甲은凡百十億里(韓國里)오乙은凡百一億里니라<br/>恒星의運動<br/>前에ᄂᆞᆫ恒星은不動ᄒᆞᆫ다云ᄒᆞ얏스나雙子星에就ᄒᆞ야見ᄒᆞᆯ진ᄃᆡ亦是運動ᄒᆞᄂᆞ니此雙子星的의運動外에恒星에ᄂᆞᆫ又宇宙何方面에進行ᄒᆞᄂᆞᆫ運動이有ᄒᆞ나此運動은短日月間에ᄂᆞᆫ見키不能ᄒᆞᆯᄲᅮᆫ더러最精密ᄒᆞᆫ機械가無ᄒᆞ면觀測키不能ᄒᆞ며又此運動은十八世紀中葉以來로始知ᄒᆞᆫ지라今日에運動이最大ᄒᆞᆫ者로認ᄒᆞᆫ星은아루게란데루星이라稱ᄒᆞᄂᆞᆫ大熊宮과獵犬宮界에在ᄒᆞᆫ者이니其運動이一百年間에七百五秒(太陽視直徑의凡八分의三)오其外에一秒以上運動ᄒᆞᄂᆞᆫ星은今日에凡八十假量을發見ᄒᆞ얏ᄂᆞᆫᄃᆡ其中에一等星은셴다우루스宮의 아루후아星(一年三,六七秒)이오大角(一年二,二六秒)이오河南三(一年一,三三秒)이오天狼(一年一,二五秒)等이有ᄒᆞ고又今日ᄭᆞ지運動이有ᄒᆞ다確認ᄒᆞᆫ星의數ᄂᆞᆫ四千餘ㅣ라몌도레루라云ᄒᆞᄂᆞᆫ人은三{{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a605rdcio8suhiw2ajtbojzwgn4qem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33 250 100836 391432 2025-06-11T01:41:51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야ᄒᆞ시며夭요夭요如여也야ㅣ리시다 子ᄌᆞ의燕연居거ᄒᆞ심애申신申신ᄐᆞᆺᄒᆞ시며夭요夭요ᄐᆞᆺᄒᆞ더시다 ○子ᄌᆞㅣ曰왈甚심矣의라吾오衰쇠也야ㅣ여乆구矣의라吾오不블復부夢몽見견周쥬公공이로다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甚심ᄒᆞ다내衰쇠홈이여오라다내다시ᄭᅮᆷ에周쥬公공을보디몯ᄒᆞ리로다 ○子ᄌᆞㅣ曰왈志지於... 39143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야ᄒᆞ시며夭요夭요如여也야ㅣ리시다 子ᄌᆞ의燕연居거ᄒᆞ심애申신申신ᄐᆞᆺᄒᆞ시며夭요夭요ᄐᆞᆺᄒᆞ더시다 ○子ᄌᆞㅣ曰왈甚심矣의라吾오衰쇠也야ㅣ여乆구矣의라吾오不블復부夢몽見견周쥬公공이로다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甚심ᄒᆞ다내衰쇠홈이여오라다내다시ᄭᅮᆷ에周쥬公공을보디몯ᄒᆞ리로다 ○子ᄌᆞㅣ曰왈志지於어道도ᄒᆞ며{{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k2lm7pv35srbi97wohtl4o13idoe4zm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34 250 100837 391433 2025-06-11T02:00:20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道도애志지ᄒᆞ며<br/> 據거於어德덕ᄒᆞ며<br/> 德덕에據거ᄒᆞ며<br/> 依의於어仁인ᄒᆞ며<br/> 仁인에依의ᄒᆞ며<br/> 游유於어藝예니라<br/> 藝예에游유홀띠니라<br/> ○子ᄌᆞㅣ曰왈自ᄌᆞ行ᄒᆡᆼ束속修슈以이上샹은吾오未미嘗샹無무誨회焉언이로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束속修슈行ᄒᆡᆼᄒᆞᆫ이로{{옛한글... 39143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道도애志지ᄒᆞ며<br/> 據거於어德덕ᄒᆞ며<br/> 德덕에據거ᄒᆞ며<br/> 依의於어仁인ᄒᆞ며<br/> 仁인에依의ᄒᆞ며<br/> 游유於어藝예니라<br/> 藝예에游유홀띠니라<br/> ○子ᄌᆞㅣ曰왈自ᄌᆞ行ᄒᆡᆼ束속修슈以이上샹은吾오未미嘗샹無무誨회焉언이로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束속修슈行ᄒᆡᆼᄒᆞᆫ이로{{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let4bbfgedj78r2nk08zl7sxlco7kgj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35 250 100838 391434 2025-06-11T02:16:04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부터ᄡᅥ우흔내일쯕ᄀᆞᄅᆞ침이업디아니호라 ○子ᄌᆞㅣ曰왈不블憤분이어든不블啓계ᄒᆞ며不블悱비어든不블發발호ᄃᆡ舉거一일隅우애不블以이三삼隅우反반이어든則즉不블復부也야ㅣ니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憤분티아니커든啓계티아니ᄒᆞ며悱비티아니커든發발티아니호ᄃᆡ一일隅우를舉거홈애三삼隅우로ᄡᅥ反반티몯ᄒᆞ거든... 39143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부터ᄡᅥ우흔내일쯕ᄀᆞᄅᆞ침이업디아니호라 ○子ᄌᆞㅣ曰왈不블憤분이어든不블啓계ᄒᆞ며不블悱비어든不블發발호ᄃᆡ舉거一일隅우애不블以이三삼隅우反반이어든則즉不블復부也야ㅣ니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憤분티아니커든啓계티아니ᄒᆞ며悱비티아니커든發발티아니호ᄃᆡ一일隅우를舉거홈애三삼隅우로ᄡᅥ反반티몯ᄒᆞ거든곧다시아니ᄒᆞᄂᆞ{{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84xa951jwcpbu52rf6bv09adh2faquf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36 250 100839 391435 2025-06-11T02:20:28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니라 ○子ᄌᆞㅣ食식於어有유喪상者쟈之지側측애未미嘗샹飽포也야ㅣ러시다 子ᄌᆞㅣ喪상인ᄂᆞᆫ者쟈의겨틔셔食식ᄒᆞ심애일쯕飽포티아니터시다 子ᄌᆞㅣ於어是시日일에哭곡則즉不블歌가ㅣ러시다 子ᄌᆞㅣ이날애哭곡ᄒᆞ시면歌가티아니ᄒᆞ더시다 ○子ᄌᆞㅣ謂위顔안淵연曰왈用용之지則{{옛한글쪽 끝}} 39143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니라 ○子ᄌᆞㅣ食식於어有유喪상者쟈之지側측애未미嘗샹飽포也야ㅣ러시다 子ᄌᆞㅣ喪상인ᄂᆞᆫ者쟈의겨틔셔食식ᄒᆞ심애일쯕飽포티아니터시다 子ᄌᆞㅣ於어是시日일에哭곡則즉不블歌가ㅣ러시다 子ᄌᆞㅣ이날애哭곡ᄒᆞ시면歌가티아니ᄒᆞ더시다 ○子ᄌᆞㅣ謂위顔안淵연曰왈用용之지則{{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saiab1y6rms9vp6pxs221llppqhfznx 페이지:(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3 250 100840 391436 2025-06-11T02:23:54Z 곽승훈 18480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션뎡ᄌᆞ쇼 산란ᄌᆞ다 부귀ᄌᆞ쇼 빈텬ᄌᆞ다 온유ᄌᆞ쇼 강강ᄌᆞ다 흥셩ᄌᆞ쇼 경독ᄌᆞ다 졍직ᄌᆞ쇼 곡쳠ᄌᆞ다 쳥신ᄌᆞ쇼 탐탁ᄌᆞ다 보시ᄌᆞ쇼 간린ᄌᆞ다 신실ᄌᆞ쇼 허망ᄌᆞ다 치ᄉᆞ세쇽.쳔박관법도독.부역번즁.ᄇᆡᆨ셩궁고.소구난득.량유.신샤도견.획여시고. 유원셰존.위졔.샤견즁ᄉᆡᆼ.셜기.졍견지법.령득오ᄒᆡ.면어즁... 39143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곽승훈"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션뎡ᄌᆞ쇼 산란ᄌᆞ다 부귀ᄌᆞ쇼 빈텬ᄌᆞ다 온유ᄌᆞ쇼 강강ᄌᆞ다 흥셩ᄌᆞ쇼 경독ᄌᆞ다 졍직ᄌᆞ쇼 곡쳠ᄌᆞ다 쳥신ᄌᆞ쇼 탐탁ᄌᆞ다 보시ᄌᆞ쇼 간린ᄌᆞ다 신실ᄌᆞ쇼 허망ᄌᆞ다 치ᄉᆞ세쇽.쳔박관법도독.부역번즁.ᄇᆡᆨ셩궁고.소구난득.량유.신샤도견.획여시고. 유원셰존.위졔.샤견즁ᄉᆡᆼ.셜기.졍견지법.령득오ᄒᆡ.면어즁고.블언.션ᄌᆡ션ᄌᆡ.무애보살.여대ᄌᆞ비.위졔.샤견즁ᄉᆡᆼ.문어여ᄅᆡ.정견지법.불가ᄉᆞ의.여등톄텽.션ᄉᆞ념지.오당위여.분별ᄒᆡ셜.텬디팔양지경.ᄎᆞ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b0k7hxac1r9b0dz3alrz8mzxkko15l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37 250 100841 391437 2025-06-11T02:30:00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즉行ᄒᆡᆼᄒᆞ고舍샤之지則즉蔵장을惟유我아與여爾이ㅣ有유是시夫부ᅟᅵᆫ뎌 子ᄌᆞㅣ顔안淵연ᄃᆞ려닐러ᄀᆞᆯᄋᆞ샤ᄃᆡ用용ᄒᆞ면行ᄒᆡᆼᄒᆞ고舍샤ᄒᆞ면蔵장홈을오직나와다믓네이ᄅᆞᆯ둔ᄂᆞᆫ뎌 子ᄌᆞ路로ㅣ曰왈子ᄌᆞㅣ行ᄒᆡᆼ三삼軍군則즉誰슈與여ㅣ시리잇고 子ᄌᆞ路로ㅣᄀᆞᆯ오ᄃᆡ子ᄌᆞㅣ三삼軍군을行ᄒᆡᆼᄒ... 39143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즉行ᄒᆡᆼᄒᆞ고舍샤之지則즉蔵장을惟유我아與여爾이ㅣ有유是시夫부ᅟᅵᆫ뎌 子ᄌᆞㅣ顔안淵연ᄃᆞ려닐러ᄀᆞᆯᄋᆞ샤ᄃᆡ用용ᄒᆞ면行ᄒᆡᆼᄒᆞ고舍샤ᄒᆞ면蔵장홈을오직나와다믓네이ᄅᆞᆯ둔ᄂᆞᆫ뎌 子ᄌᆞ路로ㅣ曰왈子ᄌᆞㅣ行ᄒᆡᆼ三삼軍군則즉誰슈與여ㅣ시리잇고 子ᄌᆞ路로ㅣᄀᆞᆯ오ᄃᆡ子ᄌᆞㅣ三삼軍군을行ᄒᆡᆼᄒᆞ시면누를더브러ᄒᆞ시리잇고 子ᄌᆞㅣ曰왈暴포虎호馮빙河하ᄒᆞ야死ᄉᆞ而{{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d74xkgwolohk453j1xjfv0i1r8bl7vu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38 250 100842 391438 2025-06-11T02:35:35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이無무悔회者쟈를吾오不블與여也야ㅣ니必필也야臨림事ᄉᆞ而이懼구ᄒᆞ며好호謀모而이成셩者쟈也야ㅣ니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虎호를暴포ᄒᆞ며河하를馮빙ᄒᆞ야죽어도뉘웃츰이업ᄂᆞᆫ者쟈를내더브러아니호리니반ᄃᆞ시일에臨림ᄒᆞ야저허ᄒᆞ며謀모홈을됴히너기고成셩ᄒᆞᄂᆞᆫ者쟈ㅣ니라 ○子ᄌᆞㅣ曰왈富부而이可가求구... 39143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이無무悔회者쟈를吾오不블與여也야ㅣ니必필也야臨림事ᄉᆞ而이懼구ᄒᆞ며好호謀모而이成셩者쟈也야ㅣ니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虎호를暴포ᄒᆞ며河하를馮빙ᄒᆞ야죽어도뉘웃츰이업ᄂᆞᆫ者쟈를내더브러아니호리니반ᄃᆞ시일에臨림ᄒᆞ야저허ᄒᆞ며謀모홈을됴히너기고成셩ᄒᆞᄂᆞᆫ者쟈ㅣ니라 ○子ᄌᆞㅣ曰왈富부而이可가求구也야ᅟᅵᆫ댄𨿽슈執집鞭편之지士ᄉᆞㅣ라도吾오亦역為{{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vs3xiva9zdxsakwnp7hj8m58xt19qh 페이지:(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4 250 100843 391439 2025-06-11T02:49:00Z 곽승훈 18480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경과거졔불.이셜.미ᄅᆞㅣ래졔불.당셜.현ᄌᆞㅣ재졔불.금셜.부.텬디지간.위인최승최샹.귀어일쳬만물.인쟈정야.진야.심무허망.신ᄒᆞᅟᅵᆼ졍진.자별위졍.우불위진.샹ᄒᆞᅟᅵᆼ졍진.고명위인.시지인능.홍도도이.윤신.의도의인.ᄀᆞㅣ셩셩도.부ᄎᆞ.무애보살.일쳬즁ᄉᆞᅟᅵᆼ.긔득인신.불능슈복.ᄇᆞㅣ진향위.조죵죵악업.명쟝욕죵.침륜고ᄒ... 39143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곽승훈"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경과거졔불.이셜.미ᄅᆞㅣ래졔불.당셜.현ᄌᆞㅣ재졔불.금셜.부.텬디지간.위인최승최샹.귀어일쳬만물.인쟈정야.진야.심무허망.신ᄒᆞᅟᅵᆼ졍진.자별위졍.우불위진.샹ᄒᆞᅟᅵᆼ졍진.고명위인.시지인능.홍도도이.윤신.의도의인.ᄀᆞㅣ셩셩도.부ᄎᆞ.무애보살.일쳬즁ᄉᆞᅟᅵᆼ.긔득인신.불능슈복.ᄇᆞㅣ진향위.조죵죵악업.명쟝욕죵.침륜고ᄒᆞㅣ.슈죵죵죄.약문ᄎᆞ경.신심불역.즉득ᄒᆞㅣ탈.졔죄지난.츌어고ᄒᆞㅣ.션신가호.무졔쟝애.연년익슈.이무횡요.이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2s5ez5cbklixfpcxwehmlutp61iffhi 391440 391439 2025-06-11T02:58:05Z 곽승훈 18480 39144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곽승훈"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경과거졔불.이셜.미ᄅᆡ졔불.당셜.현ᄌᆡ졔불.금셜.부.텬디지간.위인최승최샹.귀어일쳬만물.인쟈정야.진야.심무허망.신ᄒᆡᆼ졍진.좌별위졍.우불위진.샹ᄒᆡᆼ졍진.고명위인.시지인능.홍도도이.윤신.의도의인.ᄀᆡ셩셩도.부ᄎᆞ.무애보살.일쳬즁ᄉᆡᆼ.긔득인신.불능슈복.배진향위.조.죵죵악업.명쟝욕죵.침륜고ᄒᆡ.슈죵죵죄.약문ᄎᆞ경.신심불역.즉득ᄒᆡ탈.졔죄지난.츌어고ᄒᆡ.션신가호.무졔쟝애.연년익슈.이무횡요.이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kup0r2itvbtny2soktjy0v97xrvswte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39 250 100844 391446 2025-06-11T04:11:59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위之지어니와如어不블可가求구ᅟᅵᆫ댄從죵吾오所소好호호리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富부를可가히求구ᄒᆞᆯ꺼신댄비록채를잡ᄂᆞᆫ士ᄉᆞㅣ라도내ᄯᅩᄒᆞᆫᄒᆞ려니와만일에可가히求구티몯ᄒᆞᆯ꺼신댄내의됴히너기ᄂᆞᆫ바ᄅᆞᆯ조초리라 ○子ᄌᆞ之지所소慎신은齊ᄌᆡ戰젼疾질이러시다 子ᄌᆞ의삼가시ᄂᆞᆫ바ᄂᆞᆫ齊ᄌ... 39144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위之지어니와如어不블可가求구ᅟᅵᆫ댄從죵吾오所소好호호리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富부를可가히求구ᄒᆞᆯ꺼신댄비록채를잡ᄂᆞᆫ士ᄉᆞㅣ라도내ᄯᅩᄒᆞᆫᄒᆞ려니와만일에可가히求구티몯ᄒᆞᆯ꺼신댄내의됴히너기ᄂᆞᆫ바ᄅᆞᆯ조초리라 ○子ᄌᆞ之지所소慎신은齊ᄌᆡ戰젼疾질이러시다 子ᄌᆞ의삼가시ᄂᆞᆫ바ᄂᆞᆫ齊ᄌᆡ와戰젼과疾질이러시다{{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1gxzuf1z9r0gn7y8tpxrynv5udjku84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40 250 100845 391447 2025-06-11T04:16:46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子ᄌᆞㅣ在ᄌᆡ齊졔聞문韶쇼ᄒᆞ시고三삼月월을不블知지肉육味미ᄒᆞ샤曰왈不블圖도為위樂악之지至지於어斯ᄉᆞ也야호라 子ᄌᆞㅣ齊졔예겨샤韶쇼를드르시고學학ᄒᆞ신석ᄃᆞᆯ을肉육味미를아디몯ᄒᆞ샤ᄀᆞᆯᄋᆞ샤ᄃᆡ樂악을홈이이예니를줄을圖도티아니호라 ○冉염有유ㅣ曰왈夫부子ᄌᆞㅣ為위衛위君군乎호아子ᄌᆞ貢공이曰왈諾... 39144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子ᄌᆞㅣ在ᄌᆡ齊졔聞문韶쇼ᄒᆞ시고三삼月월을不블知지肉육味미ᄒᆞ샤曰왈不블圖도為위樂악之지至지於어斯ᄉᆞ也야호라 子ᄌᆞㅣ齊졔예겨샤韶쇼를드르시고學학ᄒᆞ신석ᄃᆞᆯ을肉육味미를아디몯ᄒᆞ샤ᄀᆞᆯᄋᆞ샤ᄃᆡ樂악을홈이이예니를줄을圖도티아니호라 ○冉염有유ㅣ曰왈夫부子ᄌᆞㅣ為위衛위君군乎호아子ᄌᆞ貢공이曰왈諾락다吾오將쟝問문之지호리라{{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nhi5juh9ff50jnor3oubxjii0pr11t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41 250 100846 391448 2025-06-11T04:21:56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冉염有유ㅣᄀᆞᆯ오ᄃᆡ夫부子ᄌᆞㅣ衛위君군을為위ᄒᆞ시랴子ᄌᆞ貢공이ᄀᆞᆯ오ᄃᆡ諾락다내쟝ᄎᆞᆺ묻ᄌᆞ오리라 入입曰왈伯ᄇᆡᆨ夷이叔슉齊졔ᄂᆞᆫ何하人인也야ㅣ잇고曰왈古고之지賢현人인也야ㅣ니라曰왈怨원乎호ㅣ잇가曰왈求구仁인而이得득仁인이어니又우何하怨원이리오出츌曰왈夫부子ᄌᆞㅣ不為위也야ㅣ시리러라 들어가ᄀ... 39144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冉염有유ㅣᄀᆞᆯ오ᄃᆡ夫부子ᄌᆞㅣ衛위君군을為위ᄒᆞ시랴子ᄌᆞ貢공이ᄀᆞᆯ오ᄃᆡ諾락다내쟝ᄎᆞᆺ묻ᄌᆞ오리라 入입曰왈伯ᄇᆡᆨ夷이叔슉齊졔ᄂᆞᆫ何하人인也야ㅣ잇고曰왈古고之지賢현人인也야ㅣ니라曰왈怨원乎호ㅣ잇가曰왈求구仁인而이得득仁인이어니又우何하怨원이리오出츌曰왈夫부子ᄌᆞㅣ不為위也야ㅣ시리러라 들어가ᄀᆞᆯ오ᄃᆡ伯ᄇᆡᆨ夷이와叔슉齊졔ᄂᆞᆫ엇던사ᄅᆞᆷ이니잇고ᄀᆞᆯᄋᆞ샤ᄃᆡ녯賢현人{{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3zp78fy2bqo88auqzsmpvb089v7o720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42 250 100847 391449 2025-06-11T04:33:29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인이니라ᄀᆞᆯ오ᄃᆡ怨원ᄒᆞ더니잇가ᄀᆞᆯᄋᆞ샤ᄃᆡ仁인을求구ᄒᆞ야仁인을得득ᄒᆞ야니ᄯᅩ엇디怨원ᄒᆞ리오나와ᄀᆞᆯ오ᄃᆡ夫부子ᄌᆞ為위티아니ᄒᆞ시리러라 ○子ᄌᆞㅣ曰왈飯반䟽소食ᄉᆞ飮음水슈ᄒᆞ고曲곡肱긍而이枕침之지라도樂락亦역在ᄌᆡ其기中즁矣의니不블義의而이富부且챠貴귀ᄂᆞᆫ於어我아애如여浮부雲운이니... 39144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인이니라ᄀᆞᆯ오ᄃᆡ怨원ᄒᆞ더니잇가ᄀᆞᆯᄋᆞ샤ᄃᆡ仁인을求구ᄒᆞ야仁인을得득ᄒᆞ야니ᄯᅩ엇디怨원ᄒᆞ리오나와ᄀᆞᆯ오ᄃᆡ夫부子ᄌᆞ為위티아니ᄒᆞ시리러라 ○子ᄌᆞㅣ曰왈飯반䟽소食ᄉᆞ飮음水슈ᄒᆞ고曲곡肱긍而이枕침之지라도樂락亦역在ᄌᆡ其기中즁矣의니不블義의而이富부且챠貴귀ᄂᆞᆫ於어我아애如여浮부雲운이니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䟽소食ᄉᆞ를飯반ᄒᆞ며水슈를飮음ᄒᆞ고肱긍을曲곡ᄒᆞ야枕침{{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qlc0l3xri757ootywum8vk9ytree5t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43 250 100848 391450 2025-06-11T04:37:23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ᄒᆞ야도樂락이ᄯᅩᄒᆞᆫ그가온대인ᄂᆞ니義의아니오富부코ᄯᅩ貴귀홈은내게浮부雲운ᄀᆞᆮᄐᆞ니라 ○子ᄌᆞㅣ曰왈加가我아數수年년ᄒᆞ야五十졸以이學학易억이면可가以이無무大대過과矣의리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나ᄅᆞᆯ두어ᄒᆡ를假가ᄒᆞ야ᄆᆞᄎᆞᆷ내ᄡᅥ易역을學학ᄒᆞ면可가히ᄡᅥ큰허믈이업스리라 ○子ᄌᆞ所소... 39145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ᄒᆞ야도樂락이ᄯᅩᄒᆞᆫ그가온대인ᄂᆞ니義의아니오富부코ᄯᅩ貴귀홈은내게浮부雲운ᄀᆞᆮᄐᆞ니라 ○子ᄌᆞㅣ曰왈加가我아數수年년ᄒᆞ야五十졸以이學학易억이면可가以이無무大대過과矣의리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나ᄅᆞᆯ두어ᄒᆡ를假가ᄒᆞ야ᄆᆞᄎᆞᆷ내ᄡᅥ易역을學학ᄒᆞ면可가히ᄡᅥ큰허믈이업스리라 ○子ᄌᆞ所소雅아言언ᄋᆞᆫ詩시書셔執집禮{{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nhj2x968am4m099wrkojfxh9s9pv3yl 페이지:(불셜)쳔디팔양신쥬경.djvu/5 250 100849 391455 2025-06-11T05:38:48Z 곽승훈 18480 /* 교정 안 됨 */ 39145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곽승훈"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신력고.획여시복.하황유인.진능샤샤슈지독숑.여법슈ᄒᆡᆼ.기공덕.불가칭.불가량.무유변뎨.명죵지후.병득셩불.불고.무애보살.마하살.약유즁ᄉᆡᆼ.신샤도견.즉피샤마외도.리ᄆᆡ망량.됴명ᄇᆡᆨ괴.졔악귀신.경ᄅᆡ뇌란.여기횡병.악죵악독악오.슈기통고.무유휴식.우션지식.위독.ᄎᆞ경삼편.시졔악귀.ᄀᆡ실쇼멸.병즉제유.신강력죡.독경공덕.획여시복.약유즁ᄉᆡᆼ.다어음욕.진에우치.간탐질투.약견ᄎᆞ경.신경공양.즉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5jqb4ncq9cqjgi1wvyc3hfuw9vt1xtb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44 250 100850 391456 2025-06-11T05:39:23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례ㅣ皆ᄀᆡ雅아言언也야ㅣ러시다 子ᄌᆞ의샹해言언ᄒᆞ시ᄂᆞᆫ바ᄂᆞᆫ詩시와書셔와자받ᄂᆞᆫ禮례ㅣ다샹해言언이러시다 ○葉셥公공이問문孔공子ᄌᆞ於어子ᄌᆞ路로ㅣ어ᄂᆞᆯ子ᄌᆞ路로ㅣ不블對ᄃᆡᄒᆞᆫ대 葉셥公공이孔공子ᄌᆞ를子ᄌᆞ路로의게무러ᄂᆞᆯ子ᄌᆞ路로ㅣ對ᄃᆡ티아니ᄒᆞᆫ대 子ᄌᆞㅣ曰女여ㅣ奚ᄒᆡ不블曰왈... 39145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례ㅣ皆ᄀᆡ雅아言언也야ㅣ러시다 子ᄌᆞ의샹해言언ᄒᆞ시ᄂᆞᆫ바ᄂᆞᆫ詩시와書셔와자받ᄂᆞᆫ禮례ㅣ다샹해言언이러시다 ○葉셥公공이問문孔공子ᄌᆞ於어子ᄌᆞ路로ㅣ어ᄂᆞᆯ子ᄌᆞ路로ㅣ不블對ᄃᆡᄒᆞᆫ대 葉셥公공이孔공子ᄌᆞ를子ᄌᆞ路로의게무러ᄂᆞᆯ子ᄌᆞ路로ㅣ對ᄃᆡ티아니ᄒᆞᆫ대 子ᄌᆞㅣ曰女여ㅣ奚ᄒᆡ不블曰왈其기為위人인也야ㅣ發발憤분忘망食식ᄒᆞ며樂락{{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0ogbjghuogkckl6dq0zz3v5ymw9frk 페이지:리린젼 상권.djvu/32 250 100851 391457 2025-06-11T05:43:54Z Ssooongk 1849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31上리린젼</br> 치민 입신양명홈이지라 금융원이 방에ㅅㅎ야국민안이오니 가라치심을어리석은 조건에서 닷지못ㅎㅎ이다. 이미 그 말이 불가 홈이옵스 파리머리와나무가루를버리지아니혹은각서쓸곳이 있슴이오름에 옷과 겨울에 옷이지를 따져 당함을 취함이라 로이의 공업에 마 음을 웃지 갓성경공부 닥는자는 반듯이무비가 잇다ㅎㅎ 고갈아... 39145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sooongk"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31上리린젼</br> 치민 입신양명홈이지라 금융원이 방에ㅅㅎ야국민안이오니 가라치심을어리석은 조건에서 닷지못ㅎㅎ이다. 이미 그 말이 불가 홈이옵스 파리머리와나무가루를버리지아니혹은각서쓸곳이 있슴이오름에 옷과 겨울에 옷이지를 따져 당함을 취함이라 로이의 공업에 마 음을 웃지 갓성경공부 닥는자는 반듯이무비가 잇다ㅎㅎ 고갈아 말은후에서움을 지 흔히 리오 그런고로인의말씀에문교을 가면 근우가 있다. 시니 두가지를 알지아니 리오하비록 사업을 결ㅎ는자|웃지가지만 성각 ㅎ고 니큰 무슨일이있을지지못지오 에 일조에 급이면문교로만웃자 오이 슬지 라도 혼이 히될것이읍지니이른바문무병용이구지술이니그딕웃지넓이 각지 ㅎㅎ 고성이다 공히 우리의 가호와 돌 한말씀을구이발이옵더니 이치 시니어들은 소리를 들으 라교훈ㅎ심을 가맛사 오리이다 ㅎ 초 야 ㅎ 강 기본 의 무불통 ㅎ이 마음에득하여긔여근히 한복을 혼의미를 마지아니더라 이에 두쳐스리랑을 보넌 후로가쥰이 로이져야 더부러 람이었고 이 소식이 스쳐 크게 야남씨로더 부러 남을바라며 도라 오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1yne5gzvrfjf2cdotqn7m9ld6qqi7ib 391472 391457 2025-06-11T06:07:14Z Ssooongk 18491 39147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sooongk"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31上리린젼'''</br> 치민ᄒᆞ야입신양명ᄒᆞᆷ이족ᄒᆞᆯ지라방금즁원이ᄉᆞ방에무ᄉᆞᄒᆞ야태민안이오니병셔 가라치심을어리셕은소견에ᄭᆡ닷지못ᄒᆞᄂᆞ이다진인이미소왈그ᄃᆡ말이ᄯᅩᄒᆞᆫ불가 ᄒᆞᆷ이읍스되파리머리와나무가루를버리지아니ᄒᆞᆷ은각々쓸곳이잇슴이오여름에베 옷과겨울에갓옷이ᄯᆡ를ᄯᅡ러젼당ᄒᆞᆷ을취ᄒᆞᆷ이라ᄉᆞᄅᆞᆷ이임의공업에마음을둘진ᄃᆡ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qw1c79haqo9asj9smdyvu5azxjwao5 391473 391472 2025-06-11T06:07:47Z Ssooongk 18491 39147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sooongk"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리린젼上31'''</br> 치민ᄒᆞ야입신양명ᄒᆞᆷ이족ᄒᆞᆯ지라방금즁원이ᄉᆞ방에무ᄉᆞᄒᆞ야태민안이오니병셔 가라치심을어리셕은소견에ᄭᆡ닷지못ᄒᆞᄂᆞ이다진인이미소왈그ᄃᆡ말이ᄯᅩᄒᆞᆫ불가 ᄒᆞᆷ이읍스되파리머리와나무가루를버리지아니ᄒᆞᆷ은각々쓸곳이잇슴이오여름에베 옷과겨울에갓옷이ᄯᆡ를ᄯᅡ러젼당ᄒᆞᆷ을취ᄒᆞᆷ이라ᄉᆞᄅᆞᆷ이임의공업에마음을둘진ᄃᆡ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gya0ycu04adhjo88akjxycanuflbbtp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45 250 100852 391458 2025-06-11T05:43:59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以이忘망憂우ᄒᆞ야不블知지老로之지將쟝至지云운爾이오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네엇디ᄀᆞᆯ오ᄃᆡ그사ᄅᆞᆷ이로옴이憤분을發발ᄒᆞ야食식을니즈며樂락ᄒᆞ야ᄡᅥ시름을니저늘금의쟝ᄎᆞᆺ니르롬을아디몯ᄒᆞᆫ다아니ᄒᆞ뇨 ○子ᄌᆞㅣ曰왈我아非비生ᄉᆡᆼ而이知지之지者쟈ㅣ라好호古고敏민以이求구之지者쟈也야ㅣ로라 子ᄌ... 39145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以이忘망憂우ᄒᆞ야不블知지老로之지將쟝至지云운爾이오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네엇디ᄀᆞᆯ오ᄃᆡ그사ᄅᆞᆷ이로옴이憤분을發발ᄒᆞ야食식을니즈며樂락ᄒᆞ야ᄡᅥ시름을니저늘금의쟝ᄎᆞᆺ니르롬을아디몯ᄒᆞᆫ다아니ᄒᆞ뇨 ○子ᄌᆞㅣ曰왈我아非비生ᄉᆡᆼ而이知지之지者쟈ㅣ라好호古고敏민以이求구之지者쟈也야ㅣ로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내生ᄉᆡᆼᄒᆞ야아ᄂᆞᆫ者쟈{{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g0cis8v99p5stf69s511d34r4tmmm4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18 250 100853 391460 2025-06-11T05:47:28Z 자모한울 184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만곡수을너여두고<br/>억죠창ᄉᆡᆼ변님ᄂᆡᄀᆡ<br/>셜화할ᄃᆡ바이업다<br/>어화ᄉᆡ상번님ᄂᆡ야<br/>초한련ᄋᆡ일너시되<br/>알곰삼삼고흔처자<br/>장ᄃᆡ예조흔기집<br/>너얼골자량마라<br/>삼강ᄋᆡ흐른조수<br/>뉘라셔막아ᄂᆡ며<br/>소상강반쥭션ᄋᆡ{{옛한글 끝}} 39146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만곡수을너여두고<br/>억죠창ᄉᆡᆼ변님ᄂᆡᄀᆡ<br/>셜화할ᄃᆡ바이업다<br/>어화ᄉᆡ상번님ᄂᆡ야<br/>초한련ᄋᆡ일너시되<br/>알곰삼삼고흔처자<br/>장ᄃᆡ예조흔기집<br/>너얼골자량마라<br/>삼강ᄋᆡ흐른조수<br/>뉘라셔막아ᄂᆡ며<br/>소상강반쥭션ᄋᆡ{{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h5eodvpr4lfjx0ik8xebwd9nqtn8rz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46 250 100854 391461 2025-06-11T05:48:06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ㅣ아니라녜를됴히너겨敏민히ᄡᅥ求구ᄒᆞᄂᆞᆫ者쟈ㅣ로라 ○子ᄌᆞㅣ不블語어恠괴力력亂란神신이리시다 子ᄌᆞㅣ恠괴와力력과亂란과神신을니ᄅᆞ디아니ᄒᆞ더시다 ○子ᄌᆞㅣ曰왈三삼人인行ᄒᆡᆼ애必필有유我아師ᄉᆞ焉인이니擇ᄐᆡᆨ其기善션者쟈而이從죵之지오其기不블善션者쟈而이改ᄀᆡ之지니라{{옛한글쪽 끝}} 39146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ㅣ아니라녜를됴히너겨敏민히ᄡᅥ求구ᄒᆞᄂᆞᆫ者쟈ㅣ로라 ○子ᄌᆞㅣ不블語어恠괴力력亂란神신이리시다 子ᄌᆞㅣ恠괴와力력과亂란과神신을니ᄅᆞ디아니ᄒᆞ더시다 ○子ᄌᆞㅣ曰왈三삼人인行ᄒᆡᆼ애必필有유我아師ᄉᆞ焉인이니擇ᄐᆡᆨ其기善션者쟈而이從죵之지오其기不블善션者쟈而이改ᄀᆡ之지니라{{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ks3grn8e6m64ebo72jb0vms63unqbg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19 250 100855 391464 2025-06-11T05:53:51Z 자모한울 184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알슝알슝그흔력은<br/>뉘라셔소멸하며<br/>일낙서산지는ᄒᆡ을<br/>어난뉘가금할손가<br/>이려한찬한가렬<br/>허언으로알앗던니<br/>이팔청춘렬문연ᄋᆡ<br/>돌아올줄뉘알손가<br/>어화ᄉᆡ상변님ᄂᆡ야<br/>춘삼월호시렬ᄋᆡ<br/>각ᄉᆡᆨ초목만발한ᄃᆡ{{옛한글 끝}} 39146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알슝알슝그흔력은<br/>뉘라셔소멸하며<br/>일낙서산지는ᄒᆡ을<br/>어난뉘가금할손가<br/>이려한찬한가렬<br/>허언으로알앗던니<br/>이팔청춘렬문연ᄋᆡ<br/>돌아올줄뉘알손가<br/>어화ᄉᆡ상변님ᄂᆡ야<br/>춘삼월호시렬ᄋᆡ<br/>각ᄉᆡᆨ초목만발한ᄃᆡ{{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7c25hsrwe9mnu0xi79px6a5waprw9k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47 250 100856 391465 2025-06-11T05:53:55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세사ᄅᆞᆷ이行ᄒᆡᆼ홈애반ᄃᆞ시내스승이인ᄂᆞ니그어딘者쟈ᄅᆞᆯᄀᆞᆯᄒᆡ여좃고그어디디아닌者쟈ᄅᆞᆯ고틸띠니라 ○子ᄌᆞㅣ曰왈天텬生ᄉᆡᆼ德덕於어予여ㅣ시니桓환魋퇴ㅣ其기如여予여何하ㅣ리오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하ᄂᆞᆯ히德덕을내게生ᄉᆡᆼᄒᆞ시니桓환魋퇴ㅣ그내게엇디리오 ○子ᄌ... 39146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세사ᄅᆞᆷ이行ᄒᆡᆼ홈애반ᄃᆞ시내스승이인ᄂᆞ니그어딘者쟈ᄅᆞᆯᄀᆞᆯᄒᆡ여좃고그어디디아닌者쟈ᄅᆞᆯ고틸띠니라 ○子ᄌᆞㅣ曰왈天텬生ᄉᆡᆼ德덕於어予여ㅣ시니桓환魋퇴ㅣ其기如여予여何하ㅣ리오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하ᄂᆞᆯ히德덕을내게生ᄉᆡᆼᄒᆞ시니桓환魋퇴ㅣ그내게엇디리오 ○子ᄌᆞㅣ曰왈二이三삼子ᄌᆞᄂᆞᆫ以이我아為위隱은乎호아吾오無무隱은乎호爾이{{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i7p0hoy4luuqzjouvj82p5g3quoxvu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48 250 100857 391467 2025-06-11T05:58:17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로라吾오無무行ᄒᆡᆼ而이不블與여二이三삼子ᄌᆞ者쟈ㅣ是시丘구也야ㅣ니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二이三삼子ᄌᆞᄂᆞᆫ날로ᄡᅥ隱은ᄒᆞᆫ다ᄒᆞᄂᆞ냐내네게隱은홈이업소라내行ᄒᆡᆼᄒᆞ고二이三삼子ᄌᆞ에與여티아니홈이업ᄉᆞᆫ者쟈ㅣ이丘구ㅣ니라 ○子ᄌᆞㅣ以이四ᄉᆞ敎교ᄒᆞ시니文문行ᄒᆡᆼ忠츙信신이니라 子ᄌᆞㅣ... 39146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로라吾오無무行ᄒᆡᆼ而이不블與여二이三삼子ᄌᆞ者쟈ㅣ是시丘구也야ㅣ니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二이三삼子ᄌᆞᄂᆞᆫ날로ᄡᅥ隱은ᄒᆞᆫ다ᄒᆞᄂᆞ냐내네게隱은홈이업소라내行ᄒᆡᆼᄒᆞ고二이三삼子ᄌᆞ에與여티아니홈이업ᄉᆞᆫ者쟈ㅣ이丘구ㅣ니라 ○子ᄌᆞㅣ以이四ᄉᆞ敎교ᄒᆞ시니文문行ᄒᆡᆼ忠츙信신이니라 子ᄌᆞㅣ네흐로ᄡᅥᄀᆞᄅᆞ치시니文문과行ᄒᆡᆼ과忠츙과信신이니라{{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9s6rd5qh0s9hv32esiuq8ocuhk7t56j 페이지:論語諺解 권2.djvu/49 250 100858 391470 2025-06-11T06:01:33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子ᄌᆞㅣ曰왈聖셩人인을吾오不블得득而이見견之지矣의어든得득見견君군子ᄌᆞ者쟈ㅣ면斯ᄉᆞ可가矣의니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聖셩人인을내어더보디몯ᄒᆞ거든君군子ᄌᆞ를어더보면이可가ᄒᆞ니라 子ᄌᆞㅣ曰왈善셩人인을吾오不블得득而이見견之지矣의어든得득見견有유恒ᄒᆞᆼ者쟈ㅣ면斯ᄉᆞ可가矣의니라 子ᄌᆞㅣᄀᆞᆯ... 39147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子ᄌᆞㅣ曰왈聖셩人인을吾오不블得득而이見견之지矣의어든得득見견君군子ᄌᆞ者쟈ㅣ면斯ᄉᆞ可가矣의니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聖셩人인을내어더보디몯ᄒᆞ거든君군子ᄌᆞ를어더보면이可가ᄒᆞ니라 子ᄌᆞㅣ曰왈善셩人인을吾오不블得득而이見견之지矣의어든得득見견有유恒ᄒᆞᆼ者쟈ㅣ면斯ᄉᆞ可가矣의니라 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善셩人인을내어더보{{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kae0bnebfqzygo81dpoxzyxmo7bsxql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20 250 100859 391471 2025-06-11T06:02:07Z 자모한울 184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말잘하는ᄋᆡᆼ무ᄉᆡᄂᆞᆫ<br/>소상강을돌아들고<br/>금실유득원앙조ᄂᆞᆫ<br/>동령호로돌아든다<br/>명사심이ᄒᆡ당화는<br/>벗산으로돌아든ᄋᆡ<br/>후ᄉᆡᄋᆡ어난문장<br/>닷시한변만나볼고<br/>물ᄉᆡᆨ도조컨이와<br/>청풍려ᄅᆡ더욱조타<br/>구공을둘너잡고{{옛한글 끝}} 39147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말잘하는ᄋᆡᆼ무ᄉᆡᄂᆞᆫ<br/>소상강을돌아들고<br/>금실유득원앙조ᄂᆞᆫ<br/>동령호로돌아든다<br/>명사심이ᄒᆡ당화는<br/>벗산으로돌아든ᄋᆡ<br/>후ᄉᆡᄋᆡ어난문장<br/>닷시한변만나볼고<br/>물ᄉᆡᆨ도조컨이와<br/>청풍려ᄅᆡ더욱조타<br/>구공을둘너잡고{{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kwbe32k7tjosfj0uv4yy7ntjsntkf0q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125 250 100860 391474 2025-06-11T06:10:27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nop}} == 강명편 == 밥팀례는{{여백|1em}}예수교에드ᄂᆞᆫ법이니물노써ᄒᆞ나니라 할례는{{여백|1em}}예수젼에유ᄃᆡ국교에드ᄂᆞᆫ법인데시조압라함이셔운ᄇᆡ라 사밧일은ᄆᆡ닐궤예할우식쉬이ᄂᆞᆫ날이라 넘넌졀은이살ᄋᆡᆯᄇᆡᆨ셩이ᄋᆡ굽국에나오던ᄯᆡ를ᄉᆡᆼ각ᄒᆞᄂᆞᆫ날이라 쟝막{{복원|졀은}}유ᄃᆡ국취셕이라 유ᄃᆡ난이살ᄋᆡᆯ의남에국... 39147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nop}} == 강명편 == 밥팀례는{{여백|1em}}예수교에드ᄂᆞᆫ법이니물노써ᄒᆞ나니라 할례는{{여백|1em}}예수젼에유ᄃᆡ국교에드ᄂᆞᆫ법인데시조압라함이셔운ᄇᆡ라 사밧일은ᄆᆡ닐궤예할우식쉬이ᄂᆞᆫ날이라 넘넌졀은이살ᄋᆡᆯᄇᆡᆨ셩이ᄋᆡ굽국에나오던ᄯᆡ를ᄉᆡᆼ각ᄒᆞᄂᆞᆫ날이라 쟝막{{복원|졀은}}유ᄃᆡ국취셕이라 유ᄃᆡ난이살ᄋᆡᆯ의남에국명인데로마에부투니라 예루사ᄅᆡᆷ은유ᄃᆡ국셔울이라 셩뎐은{{여백|1em}}하나님게절{{복원|ᄒᆞ}}며졔ᄒᆞ난곳인데예루사ᄅᆡᆷ에잇나{{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s9vvyoicio3ne1pznvweajwbjgprloo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21 250 100861 391475 2025-06-11T06:11:10Z 자모한울 184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차차들어가니<br/>소동파다시만나<br/>적벽강ᄋᆡᄇᆡ을ᄯᅱ와<br/>좌우산천둘너본니<br/>렬벽침야괴괴하다<br/>통소ᄀᆡ을함게ᄆᆡ자<br/>고향가자화답한니<br/>풍편ᄋᆡ명조셩은<br/>귀ᄋᆡᄌᆡᆼᄌᆡᆼ들일ᄂᆡ라<br/>우와등ᄃᆡ되야션이<br/>춘삼월석양풍에{{옛한글 끝}} 39147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차차들어가니<br/>소동파다시만나<br/>적벽강ᄋᆡᄇᆡ을ᄯᅱ와<br/>좌우산천둘너본니<br/>렬벽침야괴괴하다<br/>통소ᄀᆡ을함게ᄆᆡ자<br/>고향가자화답한니<br/>풍편ᄋᆡ명조셩은<br/>귀ᄋᆡᄌᆡᆼᄌᆡᆼ들일ᄂᆡ라<br/>우와등ᄃᆡ되야션이<br/>춘삼월석양풍에{{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5fuomqf67a3drhds26t1rf7pstd0s9i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126 250 100863 391477 2025-06-11T06:18:13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니라{{여백|2em}}사마랴ᄂᆞᆫ유ᄃᆡ북컨인데로마의한도명이라 가니ᄂᆡᄂᆞᆫ사마랴북켠인데ᄯᅩ한로마도명이라 로마난한고을인데넷적에모둔세국의읏듬이라 예수ᄂᆞᆫ구완ᄒᆞ난ᄯᅳᆺ이라키리스토ᄂᆞᆫ기름으로발{{복원|으}}난ᄯᅳᆺ이데라{{여백|5em}}발이ᄉᆡ난모쇼의교에붓ᄂᆞᆫ데혼과죽엇다다시닐물밋난거시요{{여백|2em}}삿두ᄀᆡ도ᄯᅩ한모쇼의... 39147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니라{{여백|2em}}사마랴ᄂᆞᆫ유ᄃᆡ북컨인데로마의한도명이라 가니ᄂᆡᄂᆞᆫ사마랴북켠인데ᄯᅩ한로마도명이라 로마난한고을인데넷적에모둔세국의읏듬이라 예수ᄂᆞᆫ구완ᄒᆞ난ᄯᅳᆺ이라키리스토ᄂᆞᆫ기름으로발{{복원|으}}난ᄯᅳᆺ이데라{{여백|5em}}발이ᄉᆡ난모쇼의교에붓ᄂᆞᆫ데혼과죽엇다다시닐물밋난거시요{{여백|2em}}삿두ᄀᆡ도ᄯᅩ한모쇼의교에붓난데텬사과녕혼과죽엇다다시닐물밋지안ᄂᆞᆫ거시라 제사ᄂᆞᆫ{{여백|1em}}하나님으게제딜이난직분이라 피들은돌이라 랍비ᄂᆞᆫ스승이라 사탄은원슈라 별시불은외방사람의귀신은팔이의쥬ᄯᅳᆺ이라 {{nop}}<noinclude><references/></noinclude> qrto70nv1nkdbxx3kwo2lx31ffjpmus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3 250 100864 391478 2025-06-11T06:21:10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47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nop}} == 맛ᄃᆡ복음뎨일쟝 == {{절||一}} 압라함의자손다빗의후예{{여백|1em}}예수키리스토의족보라 {{절||二}} 압라함이이삭을낫코이삭이야곱을낫코야곱이유다의형뎨를낫코 {{절||三}} 유다가다말씨를위하여밧릿과시라{{?}}낫코바릿은이슬옴을낫코이슬옴이아담을낫코 {{절||四}} 아담이아미나답을낫코아미나답이낫손을낫코낫손이살몬을낫코 {{절||五}} 살몬이라합씨를위ᄒᆞ여보옷슬낫코보옷시룻을위ᄒᆞ여오벳을낫코오벳은옛ᄉᆡ를낫코 {{절||六}} 옛ᄉᆡᄂᆞᆫ다빗왕을낫코다빗은우랴의체를위ᄒᆞ여솔노몬을낫코 {{절||七}} 솔노몬은{{복원|로}}보암을낫코로보암은아비아를낫코아비아난아삽을낫코 {{절||八}} 아삽은요사밧을낫코요사밧은요람을낫코요람은오시아를낫코 {{절||九}} 오시아ᄂᆞᆫ요아담을낫코요아담은아핫을낫코아핫은이시캬를낫코 {{절||十}} 이시캬ᄂᆞᆫ마{{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8plocwppm2r4xvrxcsww0tnm4g0cf75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4 250 100865 391479 2025-06-11T06:25:19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47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낫슬낫{{SIC|쿄|코}}마낫슨아못을낫코아못은요시아를낫코 {{절||十一}} ᄇᆡᆨ셩이바부논에올무물볼ᄯᆡ여요시아예호냐와그동ᄉᆡᆼ을낫코 {{절||十二}} ᄇᆡᆨ셩이바부논에올문후에예호냐살나뎔을낫코살{{복원|나}}디열이소로바ᄇᆡᆯ을낫코 {{절||十三}} 소{{복원|로}}바ᄇᆡᆯ은아비웃을낫코아비웃은일니야킴을낫코일니야킴은아솔을낫코 {{절||十四}} 아솔은사독을낫코사독은아힘을낫코아힘은일니웃을낫코 {{절||十五}} 일니웃은일니아살을낫코일니아살은맛단을낫코맛단은야곱을낫코 {{절||十六}} 야곱은요섭을나으니{{복원|예}}수라일컷ᄂᆞᆫ키리스토나은마리암의가당이랴 {{절||十七}} 그세게를샹고한즉압라함으로붓터다빗에닐으도록열네ᄃᆡ요다빗으로붓터ᄇᆡᆨ셩이바부논에올무물볼ᄯᆡᄭᅥ지네ᄃᆡ요ᄇᆡᆨ셩이바부논에올물ᄯᆡ로키리스토ᄭᅥ지닐으도록ᄯᅩ한열네ᄃᆡ다라 {{절||十八}} 예수키리스토의나물ᄒᆞ면에긔록ᄒᆞ노랴{{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bdxwukiz2b2hpfi8usttwkz4jqbdsec 페이지:(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1 250 100866 391480 2025-06-11T06:27:22Z Goohui 1846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륙자명왕다라니경 {{옛한글쪽 끝}} 39148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oohui"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륙자명왕다라니경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nbevbxynkzt3vj60jmem3dqorrclz16 391499 391480 2025-06-11T07:45:52Z Goohui 18463 39149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oohui"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륙자ᄃᆡ명왕다라니경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hk47kew7p32mllmsdt2e8w7dvaqwd3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5 250 100867 391481 2025-06-11T06:29:24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48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어맘마리암은요섭의빙문한바되여혼인젼에셩령으로잉ᄐᆡᄒᆞ물보ᄆᆡ {{절||十九}} 그지아비난올은사람이라욕되물나타ᄂᆡ지안코져{{복원|ᄒᆞ}}여사사로이말기를ᄯᅳᆺ하고 {{절||二十}} 이를ᄉᆡᆼ각할즈음에쥬의사쟈ᄭᅮᆷ에보이고갈오시ᄃᆡ다빗의후예요섭아너의{{복원|쳐}}마리암취ᄒᆞ기를무셔워말나ᄒᆞ문ᄇᆡ인바가셩령으로말ᄆᆡ미라 {{절||二十一}} 뎌아달을나을지니일홈을예수라칭ᄒᆞ라이ᄂᆞᆫ쟝차그ᄇᆡᆨ셩을죄에구완ᄒᆞ리니 {{절||二十二}} 이거시다일너하나님이션지으게부탁ᄒᆞ여일은바가응험할거시 {{절||二十三}} 처녀가잉ᄐᆡᄒᆞ여아달을나을이니사람이그일홈을칭ᄒᆞ여임마누얼이라ᄒᆞ리니ᄉᆡ긴즉하나님이우리과함긔ᄒᆞ미라 {{절||二十四}} 요섭이자고닐어나하나님의사쟈의명갓치ᄒᆡᆼᄒᆞ여그쳐를취ᄒᆞ여다가 {{절||二十五}} 동침치안코아달을{{복원|나으}}메밋처일홈을칭ᄒᆞ여예수라하다라 {{nop}}<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i3608kw7dxluyhcz71kigbfj2iw8e4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6 250 100868 391482 2025-06-11T06:33:55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48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nop}} == 맛ᄃᆡ복음뎨이쟝 == {{절||一}} 헤롯왕ᄯᆡ여예수가유ᄃᆡ벳니ᄋᆡᆷ에나니박사수인이동방으로붓터예루살ᄋᆡᆷ에닐으러갈오시ᄃᆡ {{절||二}} 나은유ᄃᆡ인의왕이어ᄃᆡ잇나뇨우리가동ᄧᅡᆼ에셔그별을본고로와셔절ᄒᆞ려ᄒᆞ노라{{복원|ᄒᆞ}}니 {{절||三}} 헤롯왕이듯고울울ᄒᆞ니오은예루살ᄋᆡᆷ이함긔ᄒᆞ여 {{절||四}} 이여모든제사쟝과민간션ᄇᆡ를모와물으되키리스토가어ᄂᆡ곳에셔낫나뇨ᄒᆞ니 {{절||五}} 갈오시ᄃᆡ유ᄃᆡ벳니ᄋᆡᆷ인거시션지긔록한바에 {{절||六}} 유ᄃᆡ벳니ᄋᆡᆷ아유ᄃᆡ도슈즁에너의가지극키젹지안은거시쟝차도슈가너의게로나ᄂᆡ의이살ᄋᆡᆯᄇᆡᆨ셩을치리라ᄒᆞ엿나이다ᄒᆞ니 {{절||七}} 이여헤롯이사사로이박사를불너자세이별나타난ᄯᆡ를힐문ᄒᆞ고 {{절||八}} 보ᄂᆡ여벳니ᄋᆡᆷ에가라ᄒᆞ며일오ᄃᆡ너의가셔자세이아희를차자만{{복원|ᄂᆡᆫ}}즉ᄂᆡ게보{{복원|ᄒᆞ}}라나도ᄯᅩ<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1p4p8ru4q7k1lslap1puh7tkahu0t4 391483 391482 2025-06-11T06:36:29Z Aspere 5453 39148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nop}} == 맛ᄃᆡ복음뎨이쟝 == {{절||一}} 헤롯왕ᄯᆡ여예수가유ᄃᆡ벳니ᄋᆡᆷ에나니박사수인이동방으로붓터예루살ᄋᆡᆷ에닐으러갈오시ᄃᆡ {{절||二}} 나은유ᄃᆡ인의왕이어ᄃᆡ잇나뇨우리가동방에셔그별을본고로와셔절ᄒᆞ려ᄒᆞ노라{{복원|ᄒᆞ}}니 {{절||三}} 헤롯왕이듯고울울ᄒᆞ니오은예루살ᄋᆡᆷ이함긔ᄒᆞ여 {{절||四}} 이여모든제사쟝과민간션ᄇᆡ를모와물으되키리스토가어ᄂᆡ곳에셔낫나뇨ᄒᆞ니 {{절||五}} 갈오시ᄃᆡ유ᄃᆡ벳니ᄋᆡᆷ인거시션지긔록한바에 {{절||六}} 유ᄃᆡ벳니ᄋᆡᆷ아유ᄃᆡ도슈즁에너의가지극키젹지안은거시쟝차도슈가너의게로나ᄂᆡ의이살ᄋᆡᆯᄇᆡᆨ셩을치리라ᄒᆞ엿나이다ᄒᆞ니 {{절||七}} 이여헤롯이사사로이박사를불너자세이별나타난ᄯᆡ를힐문ᄒᆞ고 {{절||八}} 보ᄂᆡ여벳니ᄋᆡᆷ에가라ᄒᆞ며일오ᄃᆡ너의가셔자세이아희를차자만{{복원|ᄂᆡᆫ}}즉ᄂᆡ게보{{복원|ᄒᆞ}}라나도ᄯᅩ<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lxtw4rltjxmp3pbu0cqgi43gbv9mq6 페이지:(언한문)금고긔관.djvu/130 250 100869 391484 2025-06-11T06:41:17Z 채윤미 18469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 멀ᄒᆞ되열위친구는홍경에말을공경ᄒᆞ야드르라ᄉᆞ람에ᄌᆞ식을탐ᄒᆞᄂᆞ 거시어질지ᄋᆞ<br/>{{옛한글 끝}} {{옛한글 시작}}니ᄒᆞ고ᄉᆞ람에위ᄐᆡᄒᆞᄒᆞ믈타ᄂᆞᆫ거시의가아니라양양ᄇᆡᄉᆞ군이왕ᄉᆞ로써옥즁에셔쥭{옛한글 끝}}<br/> {옛한글 시작}}고ᄯᆞᆯ난손에나히시집갈ᄯᆡ라ᄂᆡ쳐가쳡을ᄉᆞᆷ옛한글 끝}} 39148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채윤미" /></noinclude>{{옛한글 시작}} 멀ᄒᆞ되열위친구는홍경에말을공경ᄒᆞ야드르라ᄉᆞ람에ᄌᆞ식을탐ᄒᆞᄂᆞ 거시어질지ᄋᆞ<br/>{{옛한글 끝}} {{옛한글 시작}}니ᄒᆞ고ᄉᆞ람에위ᄐᆡᄒᆞᄒᆞ믈타ᄂᆞᆫ거시의가아니라양양ᄇᆡᄉᆞ군이왕ᄉᆞ로써옥즁에셔쥭{옛한글 끝}}<br/> {옛한글 시작}}고ᄯᆞᆯ난손에나히시집갈ᄯᆡ라ᄂᆡ쳐가쳡을ᄉᆞᆷ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9z9gf32mfze70pohu7ewtkze2lxb5vy 391485 391484 2025-06-11T06:45:40Z 채윤미 18469 39148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채윤미" /></noinclude>{{옛한글 시작}}멀ᄒᆞ되열위친구는홍경에말을공경ᄒᆞ야드르라ᄉᆞ람에ᄌᆞ식을탐ᄒᆞᄂᆞ거시어질지ᄋᆞ{{옛한글 끝}}<br/> {{옛한글 시작}}니ᄒᆞ고ᄉᆞ람에위ᄐᆡᄒᆞᄒᆞ믈타ᄂᆞᆫ거시의가아니라양양ᄇᆡᄉᆞ군이왕ᄉᆞ로써옥즁에셔쥭{옛한글 끝}}<br/> {옛한글 시작}}고ᄯᆞᆯ난손에나히시집갈ᄯᆡ라ᄂᆡ쳐가쳡을ᄉᆞᆷ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jhiht6iio2j0p5u5cn6n0bh2n65dosg 391486 391485 2025-06-11T06:47:07Z 채윤미 18469 39148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채윤미" /></noinclude>{{옛한글 시작}}멀ᄒᆞ되열위친구는홍경에말을공경ᄒᆞ야드르라ᄉᆞ람에ᄌᆞ식을탐ᄒᆞᄂᆞ거시어질지ᄋᆞ{{옛한글 끝}} {{옛한글 시작}}니ᄒᆞ고ᄉᆞ람에위ᄐᆡᄒᆞᄒᆞ믈타ᄂᆞᆫ거시의가아니라양양ᄇᆡᄉᆞ군이왕ᄉᆞ로써옥즁에셔쥭{옛한글 끝}} {옛한글 시작}}고ᄯᆞᆯ난손에나히시집갈ᄯᆡ라ᄂᆡ쳐가쳡을ᄉᆞᆷ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vbx71kiqkhauhwrn0gwih46zhghs6o 391487 391486 2025-06-11T06:48:03Z 채윤미 18469 39148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채윤미" /></noinclude>{{옛한글 시작}}멀ᄒᆞ되열위친구는홍경에말을공경ᄒᆞ야드르라ᄉᆞ람에ᄌᆞ식을탐ᄒᆞᄂᆞ거시어질지ᄋᆞ{{옛한글 끝}}{{옛한글 시작}}니ᄒᆞ고ᄉᆞ람에위ᄐᆡᄒᆞᄒᆞ믈타ᄂᆞᆫ거시의가아니라양양ᄇᆡᄉᆞ군이왕ᄉᆞ로써옥즁에셔쥭{옛한글 끝}}{옛한글 시작}}고ᄯᆞᆯ난손에나히시집갈ᄯᆡ라ᄂᆡ쳐가쳡을ᄉᆞᆷ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3ca1g6qcmz77ezwxrdsjewyyz6rc6qe 391488 391487 2025-06-11T06:49:20Z 채윤미 18469 39148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채윤미" /></noinclude>{{옛한글 시작}}멀ᄒᆞ되열위친구는홍경에말을공경ᄒᆞ야드르라ᄉᆞ람에ᄌᆞ식을탐ᄒᆞᄂᆞ거시어질지ᄋᆞ<br/>니ᄒᆞ고ᄉᆞ람에위ᄐᆡᄒᆞᄒᆞ믈타ᄂᆞᆫ거시의가아니라양양ᄇᆡᄉᆞ군이왕ᄉᆞ로써옥즁에셔쥭<br/>고ᄯᆞᆯ난손에나히시집갈ᄯᆡ라ᄂᆡ쳐가쳡을ᄉᆞᆷ{{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5go6gq501sq9r0mk0gpewuaphfv6cj1 391490 391488 2025-06-11T06:55:36Z 채윤미 18469 39149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채윤미" /></noinclude>{{옛한글 시작}}멀ᄒᆞ되열위친구는홍경에말을공경ᄒᆞ야드르라ᄉᆞ람에ᄌᆞ식을탐ᄒᆞᄂᆞ거시어질지ᄋᆞ<br/>니ᄒᆞ고ᄉᆞ람에위ᄐᆡᄒᆞᄒᆞ믈타ᄂᆞᆫ거시의가아니라양양ᄇᆡᄉᆞ군이왕ᄉᆞ로써옥즁에셔쥭<br/>고ᄯᆞᆯ난손에나히시집갈ᄯᆡ라ᄂᆡ쳐가쳡을ᄉᆞᆷ고ᄌᆞᄒᆞ나홍경이엇지ᄌᆞ식보ᄌᆞ고감히ᄉᆞ{{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bwxx0z7drq9cc2z95bjgqbp51794vyb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7 250 100870 391489 2025-06-11T06:52:33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48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복원|한}}가절ᄒᆞ갓다ᄒᆞ니 {{절||九}} 박사명을듯고ᄒᆡᆼᄒᆞ다가동방에셔보이던별이압풀인도ᄒᆞ여아희잇ᄂᆞᆫ곳에닐으러그우에멋거날 {{절||十}} 박사별을보고즐거우물이기지못ᄒᆞ여 {{절||十一}} 집에들어가아희그어맘마리암과함긔이스물보고업더여아희게절{{복원|ᄒᆞ}}고보ᄇᆡ를열어레물을지리ᄂᆞᆫᄃᆡ황금과유향과몰약이다라 {{절||十二}} 박사ᄭᅮᆷ에가라치물닙어헤롯으게로도라가지안코곳ᄯᅥ나달은길노저의게가니라 {{절||十三}} ᄯᅥᄂᆞᆫ후에쥬의사쟈요섭으게ᄭᅮᆷ에보이고갈오시ᄃᆡ닐어나아희과그어맘을{{복원|다}}리고ᄋᆡ굽에도망ᄒᆞ여거긔잇다가ᄂᆡ네게일으기를기다리라ᄒᆞ문헤롯이쟝차아희를차자쥐기려ᄒᆞ미라ᄒᆞ니 {{절||十四}} 이여닐어나아희과그어맘을다리고밤에ᄯᅥ나ᄋᆡ굽에가 {{절||十五}} 거긔이서헤롯죽으메닐으기ᄂᆞᆫ써쥬가션지으게부탁ᄒᆞ여일너스되ᄋᆡ굽으로좃차ᄂᆡ의아{{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9qqcpaiyljjcdspqxmh3oa8a3k6eqsp 페이지:팔상록.djvu/39 250 100871 391491 2025-06-11T07:02:33Z Athematic 18478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법신비로자나불과원만보신노사나불과한가지강림하얏스니좌우에는무슈보살과보현보살과미륵보살이무량졔쳔대즁으로더부러시립하얏스니연등은곳대각의슈긔하신불이라대각이과거연등불ᄯᅢ슈긔를바든션혜비구ᄭᅩᆺ을만드러공양하고ㅗㅅ을버셔길을덥허연등불ᄯᅢ발원하니연등불이슈긔하사후셰왕궁에나나려오사셕가모니불이되시리라하... 39149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thematic"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법신비로자나불과원만보신노사나불과한가지강림하얏스니좌우에는무슈보살과보현보살과미륵보살이무량졔쳔대즁으로더부러시립하얏스니연등은곳대각의슈긔하신불이라대각이과거연등불ᄯᅢ슈긔를바든션혜비구ᄭᅩᆺ을만드러공양하고ㅗㅅ을버셔길을덥허연등불ᄯᅢ발원하니연등불이슈긔하사후셰왕궁에나나려오사셕가모니불이되시리라하엿스니이졔대각이사바셰계오탁악셰에강림하사졍반왕궁에입태함을낫타내사금일야반에성을넘어츌가하실시운이오니ᄯᅢ를일치아니하면오래지안어서졍각을어더삼계즁생을졔도하고대쳔셰계를지쳑갓치왕래하실ᄯᅢ에연ᄭᅩᆺ이거름을좃차져러틋하리이다태자드르시고다시배례하시더니이윽고광명이스러지며허공에무슈한모든불이일시에일진쳥풍을좃차은멸하고다못사텬왕과제ᄭᅦ 서태자압해나아가엿주오되우리등은문수보살ᄭᅦ계측을밧자와기다리오니원컨대 궁즁을ᄯᅥ나ᄯᅢ를일치마르소셔태자답왈궁문을구지닷엇스니엇지버서나가요졔 텬등이엿자오대우리등이모시고가리니엇지궁문닷침을근심하릿가태자비로소츌 가하심을결단하고종자차익을불너왈말안쟝을재촉하야기다리라하시다차익은희 쟝원쟝사즁에긔운이츙직함으로근심하여ᄯᅥ남이업스며이말일홈은건쳑이라태자 칠셰에자재툔묘즁에가실ᄯᅢ에향하슈를건너더니물속으로백룡이내다라배를지고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fu7dpp4m9y90qg998f1zvzyczfvsazb 391492 391491 2025-06-11T07:02:59Z Athematic 18478 39149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thematic"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법신비로자나불과원만보신노사나불과한가지강림하얏스니좌우에는무슈보살과보현보살과미륵보살이무량졔쳔대즁으로더부러시립하얏스니연등은곳대각의슈긔하신불이라대각이과거연등불ᄯᅢ슈긔를바든션혜비구ᄭᅩᆺ을만드러공양하고ㅗㅅ을버셔길을덥허연등불ᄯᅢ발원하니연등불이슈긔하사후셰왕궁에나나려오사셕가모니불이되시리라하엿스니이졔대각이사바셰계오탁악셰에강림하사졍반왕궁에입태함을낫타내사금일야반에성을넘어츌가하실시운이오니ᄯᅢ를일치아니하면오래지안어서졍각을어더삼계즁생을졔도하고대쳔셰계를지쳑갓치왕래하실ᄯᅢ에연ᄭᅩᆺ이거름을좃차져러틋하리이다태자드르시고다시배례하시더니이윽고광명이스러지며허공에무슈한모든불이일시에일진쳥풍을좃차은멸하고다못사텬왕과제ᄭᅦ서태자압해나아가엿주오되우리등은문수보살ᄭᅦ계측을밧자와기다리오니원컨대궁즁을ᄯᅥ나ᄯᅢ를일치마르소셔태자답왈궁문을구지닷엇스니엇지버서나가요졔텬등이엿자오대우리등이모시고가리니엇지궁문닷침을근심하릿가태자비로소츌가하심을결단하고종자차익을불너왈말안쟝을재촉하야기다리라하시다차익은희쟝원쟝사즁에긔운이츙직함으로근심하여ᄯᅥ남이업스며이말일홈은건쳑이라태자칠셰에자재툔묘즁에가실ᄯᅢ에향하슈를건너더니물속으로백룡이내다라배를지고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e361n1p3hnnlom6a7zp79mat4dpq85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22 250 100872 391493 2025-06-11T07:07:54Z 자모한울 184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ᄭᅡᆷᄶᅡᆨ놀나들려본니<br/>불영사 글귀로다<br/>바ᄅᆡ고바ᄅᆡ든차<br/>반갑고잘겁ᄯᅩ다<br/>우리친구함ᄀᆡ모와<br/>뒤동산칫치달아<br/>사방산천바라본니<br/>녹수는만발하고<br/>흑운은만첩하야<br/>ᄉᆡ화춘풍소슬토다<br/>널고널변반셕우에{{옛한글 끝}} 39149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ᄭᅡᆷᄶᅡᆨ놀나들려본니<br/>불영사 글귀로다<br/>바ᄅᆡ고바ᄅᆡ든차<br/>반갑고잘겁ᄯᅩ다<br/>우리친구함ᄀᆡ모와<br/>뒤동산칫치달아<br/>사방산천바라본니<br/>녹수는만발하고<br/>흑운은만첩하야<br/>ᄉᆡ화춘풍소슬토다<br/>널고널변반셕우에{{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3mp8t0hcxrdzlkj379tiq52fc9m5hp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23 250 100873 391494 2025-06-11T07:16:25Z 자모한울 184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좌을평좌하야<br/>사방산천바라본니<br/>ᄉᆡ우줄줄구진비ᄂᆞᆫ<br/>긜지향풍오난곳에<br/>우산을고로들고<br/>지리잇난무순시ᄂᆞᆫ<br/>권군ᄀᆡᆼ진일ᄇᆡ주라<br/>만단셜화화답하야<br/>자미잇게노라본니<br/>월출동산되야도다<br/>어화ᄉᆡ상번님ᄂᆡ야{{옛한글 끝}} 39149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좌을평좌하야<br/>사방산천바라본니<br/>ᄉᆡ우줄줄구진비ᄂᆞᆫ<br/>긜지향풍오난곳에<br/>우산을고로들고<br/>지리잇난무순시ᄂᆞᆫ<br/>권군ᄀᆡᆼ진일ᄇᆡ주라<br/>만단셜화화답하야<br/>자미잇게노라본니<br/>월출동산되야도다<br/>어화ᄉᆡ상번님ᄂᆡ야{{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59i56jzjxv2sbjbco71csqoqilvivk 페이지:팔상록.djvu/40 250 100874 391495 2025-06-11T07:21:56Z Athematic 18478 /* 교정 안 됨 */ 새 문서: 건너간후문득변하야흰말이되여자의게로도라오니하로날에능히삼쳔리를순행하는지라이날밤에차익이명을밧고말을잇그러안쟝을졍돈하니라이ᄯᅢ자의관을정졔하고부왕침뎐을향하야사배하고급히궁젼을ᄯᅥ나게하에나리니차익이건쳑을ᄭᅳ러기다리거늘태자타려하시니건쳑이문득굽을드러두번치며목을느리여셰번슬피우니소래쳐량하더라태자혜아리되슬푸다건... 39149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thematic" /></noinclude>건너간후문득변하야흰말이되여자의게로도라오니하로날에능히삼쳔리를순행하는지라이날밤에차익이명을밧고말을잇그러안쟝을졍돈하니라이ᄯᅢ자의관을정졔하고부왕침뎐을향하야사배하고급히궁젼을ᄯᅥ나게하에나리니차익이건쳑을ᄭᅳ러기다리거늘태자타려하시니건쳑이문득굽을드러두번치며목을느리여셰번슬피우니소래쳐량하더라태자혜아리되슬푸다건쳑이비록김생이나집ᄯᅥ나주인을하직하게되니슬피우는도다이는무상대도를위하야부왕의지극한은혜를ᄭᅳᆫ으나가태자의동졍을살피더니날이오래매약한몸이뇌곤하야침상을비겨조더니문득허공으로상셔구름이이러나며무슈한쟝육금신이금색광명을노아어두은밤이대낫갓더라태자그가온대로몸을날려공즁에오르니해와달이ᄯᅥ러져두억개에언치며구름속으로백룡을타고금신을좃차셔쳔으로향하야가거날야슈창망히소래질려가로되태자는쳡을바리시고누구를좃차어대로가나뇨태자구름가운대로셔한번도라보며뒤에좃차가난동자를발노차밀치니그동자가울며야슈품가온대로들거날야슈놀나ᄭᅮᆷ을ᄭᅢ치니동자의우는소래쟁々이들리는듯하더라야몽사를긔록하며졍신을차려시녀를부르니이ᄯᅢ가삼경이라죵요한월색은셔창에걸여잇고사방이젹요하거늘<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x6bwwvkn0nfjvrv3xb59dyk2ez33eb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8 250 100875 391496 2025-06-11T07:33:35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49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달을불넛다물응험케ᄒᆞ미다라 {{절||十六}} 당시여헤롯이박사으게희롱한줄을알고심이노ᄒᆞ여사람을벳니암경ᄂᆡ에보ᄂᆡ여잇ᄂᆞᆫ바남얼인아희를그박사으게사세이뭇던ᄯᆡ{{복원|를}}{{?}}찰ᄒᆞ여무룬세서울써알에로다쥐기니 {{절||十七}} 이여션지예리미의말이일오ᄃᆡ {{절||十八}} 리마에셔울며통곡ᄒᆞᄂᆞᆫ소ᄅᆡ를들으니라헐씨가자식을울며안위코져안으문그잇지안으미라ᄒᆞ물응험ᄒᆞ다라 {{절||十九}} 헤롯이죽으ᄆᆡ쥬의사쟈ᄋᆡ굽에셔요섭으게현몽{{복원|ᄒᆞ}}여갈오시ᄃᆡ {{절||二十}} 닐어나아희과그어맘을다리고이살ᄋᆡᆯ에ᄒᆡᆼ하라하문아희명을ᄒᆡ코져ᄒᆞ던사람이죽으미라 {{절||二十一}} 이여닐어나아희과그어맘을다리고이살ᄋᆡᆯᄯᅡ에닐으러 {{절||二十二}} 알히노가아밤헤롯을니여유ᄃᆡ왕되물듯고들어가기를무셔워ᄒᆞ다가다못ᄭᅮᆷ에가라치물어든고로ᄯᅥ나가니ᄂᆡ지경에닐으러 {{절||二十三}} 한고을에닐{{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tqpob4vqjbxlt20tcdiwafnelb415d 페이지:(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2 250 100876 391498 2025-06-11T07:44:43Z Goohui 1846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관셰음보살륙자ᄃᆡ명왕다라니신주경</br>ᄃᆡ한국 삼보귀의신샤 동운박션묵 중즙모연 동암강ᄌᆡ희 번역인포셩관자구슈륙자션뎡 거륵신관자ᄌᆡ보살ᄉퟆ륙자선뎡을구ᄒᆞ야닥ᄂᆞᆫ법이라</br>여의륜집경을살피오니이르ᄉᆞᄃᆡ만약사ᄅᆞᆷ이이법문을성취ᄒᆞᆯ쟈ᄂᆞᆫᄆᆡ일두ᄯᆡ에몸과입을조촐ᄒᆞ기만가작으로말고마음을다라... 39149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oohui" /></noinclude>{{옛한글쪽 시작}}관셰음보살륙자ᄃᆡ명왕다라니신주경</br>ᄃᆡ한국 삼보귀의신샤 동운박션묵 중즙모연 동암강ᄌᆡ희 번역인포셩관자구슈륙자션뎡 거륵신관자ᄌᆡ보살ᄉퟆ륙자선뎡을구ᄒᆞ야닥ᄂᆞᆫ법이라</br>여의륜집경을살피오니이르ᄉᆞᄃᆡ만약사ᄅᆞᆷ이이법문을성취ᄒᆞᆯ쟈ᄂᆞᆫᄆᆡ일두ᄯᆡ에몸과입을조촐ᄒᆞ기만가작으로말고마음을다라니에젼일ᄒᆞ아삼보섹귀의ᄒᆞ야법다히공양ᄒᆞᄋᆞᆸ고지극ᄒᆞᆫ마음으로</br>관셰음보살ᄉퟆ와텬룡과팔부와호법션신ᄉퟆ졍셩으로쳥ᄒᆞ오ᄃᆡ오직원ᄒᆞᄋᆞᆸᄂᆞ니ᄅᆡ림ᄒᆞᄉᆞ우리들의원을증명ᄒᆞᄉᆞ우리와ᄯᅩ법계유{{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9so9bhn64fu4eyz2320rhlbq7pgbbk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9 250 100877 391501 2025-06-11T08:14:57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50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으니일홈은나살ᄋᆡᆺ이라거ᄒᆞ문{{SIC|멧}}션지의말이쟝차나살ᄋᆡᆺ사람이라ᄒᆞ미응험ᄒᆞ다라 == 맛ᄃᆡ복음뎨삼쟝 == {{절||一}} ᄯᆡ여밥팀려를버푸난요안ᄂᆡ유ᄃᆡ들게닐으러뎐ᄒᆞ여갈오시ᄃᆡ {{절||二}} 회ᄀᆡᄒᆞ라텬국이갓가오니라하니 {{절||三}} 이사람은션지이사야의말한바쟈라일오ᄃᆡ들게셔불으ᄂᆞᆫ소ᄅᆡ이스되쥬의길을예비ᄒᆞ고그ᄃᆡ로를발으게ᄒᆞ리라한이라 {{절||四}} 요안ᄂᆡᄂᆞᆫ약ᄃᆡ털옷슬닙고가족ᄯᅵ를허리에묵고늣벌기과쳥밀을먹으니 {{절||五}} 이여예루사ᄅᆡᆷ과유ᄃᆡ과욜단사방사람이요안ᄂᆡ으게나아가 {{절||六}} 그죄를말ᄒᆞ며욜단에셔{{복원|밥}}팀레를뎌으게밧으니 {{절||七}} 뎌바리ᄉᆡ과삿두ᄏᆡ사람이만이밧을여오물보고일오ᄃᆡ독샤의자식아뉘가너의로쟝ᄂᆡ의노를피ᄒᆞ라더냐 {{절||八}} 고로회ᄀᆡ에합당{{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znpl283o3mvmblnstvsf7vmrpg9ln0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10 250 100878 391502 2025-06-11T08:35:10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50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케열음을ᄆᆡᆺ치고스사로압라함이우리조샹이라ᄯᅳᆺᄒᆞ지말나 {{복원|{{절||九}}}} ᄂᆡ너의게일으노니하나님이능히이돌노써압라함의자식을변케ᄒᆞ리라 {{절||十}} 이제독구를남우ᄲᅮ리에두워스니무룬션한열음이ᄆᆡᆺ치지안ᄂᆞᆫ나무ᄂᆞᆫᄯᅵᆨ어불에버리리라 {{절||十一}} ᄃᆡᄀᆡ나ᄂᆞᆫ물노써{{복원|밥}}팀레를버푸러너의를회ᄀᆡ에밋게ᄒᆞ되다못ᄂᆡ뒤에오난쟈나보담더승ᄒᆞ여그신을ᄂᆡ감이들지못ᄒᆞ리니뎌쟝차셩령과불노써밥팀레를너의게버푸리라 {{절||十二}} 그손에키를잡고그마당을다말키ᄭᅡᆯ이여밀은곡간에드리고게ᄂᆞᆫᄭᅥ지에안난불노써살으리라ᄒᆞ니 {{절||十三}} ᄯᆡ여예수가니ᄂᆡ로붓터욜단지닐으러요안ᄂᆡ으게나아가밥팀려를바들여ᄒᆞ니 {{절||十四}} 요안ᄂᆡ사양ᄒᆞ여갈오시ᄃᆡᄂᆡ가맛당이밥팀려를긔ᄃᆡ으게바들데도로여ᄂᆡ게나아오나뇨ᄒᆞ니 {{절||十五}} 예수ᄃᆡ답ᄒᆞ여갈오시ᄃᆡ이제{{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klvzlve047erh61za1fln0h9fjy5w80 페이지:(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3 250 100879 391509 2025-06-11T09:37:43Z Goohui 1846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졍과ᄒᆞᆫᄀᆞ지로법문에드ᄋᆞ와보살의힝을니르혀보살의과</br>를층득ᄒᆞᆷ을드르샤허ᄒᆞ읍소셔ᄒᆞ엿더라</br>ᄃᆡ명왕경에이르샤ᄃᆡ만약출가어ᄂᆞᄌᆡ가보살이셩취ᄒᆞ고져ᄒᆞᄂᆞᆫ쟈ᄂᆞᆫ쳐음에도량에들거든셔으로낫ᄒᆞ고동으로좌ᄒᆞ야오른무릅을ᄯᆞ에붓치고합쟝ᄒᆞ고지극ᄒᆞᆫ마음으로참회호ᄃᆡ비로슴업슴으로붓터... 39150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oohui" /></noinclude>{{옛한글쪽 시작}}졍과ᄒᆞᆫᄀᆞ지로법문에드ᄋᆞ와보살의힝을니르혀보살의과</br>를층득ᄒᆞᆷ을드르샤허ᄒᆞ읍소셔ᄒᆞ엿더라</br>ᄃᆡ명왕경에이르샤ᄃᆡ만약출가어ᄂᆞᄌᆡ가보살이셩취ᄒᆞ고져ᄒᆞᄂᆞᆫ쟈ᄂᆞᆫ쳐음에도량에들거든셔으로낫ᄒᆞ고동으로좌ᄒᆞ야오른무릅을ᄯᆞ에붓치고합쟝ᄒᆞ고지극ᄒᆞᆫ마음으로참회호ᄃᆡ비로슴업슴으로붓터옴으로몸과입과ᄯᅳᆺ에죄를이졔모든부쳐와보살젼에ᄃᆡᄒᆞ와졔ᄌᆞ모갑이발ᄒᆞ야드러ᄂᆡ여참회ᄒᆞ고ᄂᆡ지과거와현ᄌᆡ와미ᄅᆡ삼셰졔불보살의복과지혜ᄀᆞ원만ᄒᆞ신종종공덕을ᄂᆡ이졔ᄯᆞ라깃거ᄒᆞᄂᆞ이다ᄒᆞ고곳결가어ᄂᆞ혹반가어ᄂᆞ마음을편안히ᄒᆞ고졍좌ᄒᆞ야일쳬망샹을졔ᄒᆞ고관기ᄒᆞ를륙도즁ᄉᆡᆼ이비{{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9a2syv3t2oz0di8dhqeh3s2nl5zjw4v 391514 391509 2025-06-11T09:56:39Z Goohui 18463 39151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oohui" /></noinclude>{{옛한글쪽 시작}}졍과ᄒᆞᆫᄀᆞ지로법문에드ᄋᆞ와보살의ᄒᆡᆼ을니르혀보살의과</br>를층득ᄒᆞᆷ을드르샤허ᄒᆞ읍소셔ᄒᆞ엿더라</br>ᄃᆡ명왕경에이르샤ᄃᆡ만약출가어ᄂᆞᄌᆡ가보살이셩취ᄒᆞ고져ᄒᆞᄂᆞᆫ쟈ᄂᆞᆫ쳐음에도량에들거든셔으로낫ᄒᆞ고동으로좌ᄒᆞ야오른무릅을ᄯᆞ에붓치고합쟝ᄒᆞ고지극ᄒᆞᆫ마음으로참회호ᄃᆡ비로슴업슴으로붓터옴으로몸과입과ᄯᅳᆺ에죄를이졔모든부쳐와보살젼에ᄃᆡᄒᆞ와졔ᄌᆞ모갑이발ᄒᆞ야드러ᄂᆡ여참회ᄒᆞ고ᄂᆡ지과거와현ᄌᆡ와미ᄅᆡ삼셰졔불보살의복과지혜ᄀᆞ원만ᄒᆞ신종종공덕을ᄂᆡ이졔ᄯᆞ라깃거ᄒᆞᄂᆞ이다ᄒᆞ고곳결가어ᄂᆞ혹반가어ᄂᆞ마음을편안히ᄒᆞ고졍좌ᄒᆞ야일쳬망샹을졔ᄒᆞ고관기ᄒᆞ를륙도즁ᄉᆡᆼ이비{{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89ae4k1v6pfny0szggogds7atv4zfm8 토끼전 0 100880 391511 2025-06-11T09:48:17Z Namoroka 1939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토끼전 | 저자 = 미상 | 역자 = | 부제 = | 이전 = | 다음 = | 연도 = | 설명 = 저자 미상의 조선시대 고전 소설. 《별주부전》(鼈主簿傳), 《토생원전》(兎生員傳), 《수궁전》(水宮傳)으로도 불린다. 본래 구전되던 것이 조선 후기에 기록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전한다. 필사본 및 목판본의 이본이 다수 존재하며, 판본에 따라 결말 및 내용이 상이하... 391511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토끼전 | 저자 = 미상 | 역자 = | 부제 = | 이전 = | 다음 = | 연도 = | 설명 = 저자 미상의 조선시대 고전 소설. 《별주부전》(鼈主簿傳), 《토생원전》(兎生員傳), 《수궁전》(水宮傳)으로도 불린다. 본래 구전되던 것이 조선 후기에 기록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전한다. 필사본 및 목판본의 이본이 다수 존재하며, 판본에 따라 결말 및 내용이 상이하다. 판소리 《[[수궁가]]》의 원 작품이고, 개화기 소설 《[[토끼의 간]]》이 소설로부터 창작되었다. }} * [[주부전]] * [[수궁전]] {{동음이의}} lf74t3gfbdjoroc4irmiuofmj6zspcj 페이지:(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4 250 100881 391513 2025-06-11T09:55:38Z Goohui 1846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로슴업슴으로써옴으로ᄉᆡᆼᄉᆞᄒᆡ즁에륙츄로륜회ᄒᆞᆷ을원컨ᄃᆡᆫ다보리심을발ᄒᆞ며보살ᄒᆡᆼ을ᄒᆡᆼᄒᆞ야속히나가여흼을어더지이다ᄒᆞ고주숑ᄒᆞᄂᆞᆫ쟈가마음으로ᄉᆡᆼ각ᄒᆞ되 관세음보살입ᄀᆞ은데로셔륙쟈다라니문쟈를낫낫쟈ᄀᆞ오ᄉᆡᆨ광명을노아ᄒᆡᆼᄌᆞ의입속으로들오ᄃᆡ쟈긔마음달가온데편안히두되오른편... 39151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oohui" /></noinclude>{{옛한글쪽 시작}}로슴업슴으로써옴으로ᄉᆡᆼᄉᆞᄒᆡ즁에륙츄로륜회ᄒᆞᆷ을원컨ᄃᆡᆫ다보리심을발ᄒᆞ며보살ᄒᆡᆼ을ᄒᆡᆼᄒᆞ야속히나가여흼을어더지이다ᄒᆞ고주숑ᄒᆞᄂᆞᆫ쟈가마음으로ᄉᆡᆼ각ᄒᆞ되 관세음보살입ᄀᆞ은데로셔륙쟈다라니문쟈를낫낫쟈ᄀᆞ오ᄉᆡᆨ광명을노아ᄒᆡᆼᄌᆞ의입속으로들오ᄃᆡ쟈긔마음달가온데편안히두되오른편으로도라펴두고곳다라니일편을송ᄒᆞ고오른손무명지로ᄒᆞᆫ낫념쥬를넘겨지ᄂᆞ셔도로시작ᄒᆞᆫ데회복ᄒᆞᆫ데회복ᄒᆞ되급히도말고늦게도말고고셩도말고모롬이분명히글쟈를일커리셔자긔로ᄒᆞ여곰듯게ᄒᆞ며관ᄒᆞᄂᆞᆫ본존과몸우희글쟈와념송ᄒᆞᆫ긔슈를펴라ᄒᆞ엿더라{{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1rfggw16az49b0ssqmsqdds6r1yr04 페이지:天文學.djvu/59 250 100882 391515 2025-06-11T09:57:47Z 이학민문헌전자화 1847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千百三十六星의運動을調査ᄒᆞ야一百年間에一等星及二等星은平均二十二秒오三等及四等星은平均十五秒오五等星은平均十一秒오六等星及七等星은平均九秒로確定ᄒᆞ야光弱ᄒᆞᆫ星은光强ᄒᆞᆫ星보다遠方에在ᄒᆞ다고結論ᄒᆞ얏더라然而光의强弱을定ᄒᆞ기前에其色도叅酌ᄒᆞᆯ지라何故오光의强弱은色의關係가有ᄒᆞᆫ所以니라<br/>星... 39151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학민문헌전자화" /></noinclude>{{옛한글쪽 시작}}千百三十六星의運動을調査ᄒᆞ야一百年間에一等星及二等星은平均二十二秒오三等及四等星은平均十五秒오五等星은平均十一秒오六等星及七等星은平均九秒로確定ᄒᆞ야光弱ᄒᆞᆫ星은光强ᄒᆞᆫ星보다遠方에在ᄒᆞ다고結論ᄒᆞ얏더라然而光의强弱을定ᄒᆞ기前에其色도叅酌ᄒᆞᆯ지라何故오光의强弱은色의關係가有ᄒᆞᆫ所以니라<br/>星色<br/>星의大部分은白色으로現ᄒᆞ나九等以下星이면最强力의望遠鏡을用ᄒᆞ드ᄅᆡ도速히色의區別은不能ᄒᆞ나確實히色白ᄒᆞᆫ者ᄂᆞᆫ天狼,角宿,織女오色黃ᄒᆞᆫ者ᄂᆞᆫ河彭二,河南三,이오微赤色을帶ᄒᆞᆫ者ᄂᆞᆫ心宿二,大角,參宿四라以上은擧皆一等星이오又一等以下의星으로多少赤色을帶ᄒᆞᆫ者ᄂᆞᆫ六百餘도有ᄒᆞ며就中肉眼에最色赤ᄒᆞ게現ᄒᆞᄂᆞᆫ者ᄂᆞᆫ셰후이후스宮의무ㅣ星(六等)이라近來ᄂᆞᆫ星光을琉璃三角柱에受ᄒᆞ야所謂熖影分柝이라云ᄒᆞᄂᆞ니此에因ᄒᆞ야星을觀ᄒᆞᆯ진ᄃᆡ各種의元素가有ᄒᆞᆫᄃᆡ其元素中의一部ᄂᆞᆫ確實히我地球와太陽에在ᄒᆞᆫ者와同一ᄒᆞ며又熖影分柝으로星色은此ᄅᆞᆯ繞ᄒᆞᆫ大氣의化學的成分에由ᄒᆞᆷ을解得ᄒᆞᆫ지라雙子星中에ᄂᆞᆫ二者가互相色同ᄒᆞᆫ者도有ᄒᆞ{{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fon5hrs9vnncogkxnihr07ny07euj5 페이지:(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5 250 100883 391523 2025-06-11T10:42:06Z Goohui 1846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쳐음션뎡에드ᄂᆞᆫ법이라</br>이뎡에들사ᄅᆞᆷ이쳐음에뎡에들ᄯᆡ에몸과입과ᄯᅳᆺ과감업을쳥쳥케ᄒᆞ고젹졍ᄒᆞᆫ곳에향과ᄭᅩᆺ과등고와과실을펴버려공양ᄒᆞᄋᆞᆸ고버금에스승이결가부좌ᄒᆞ야법다히지극ᄒᆞᆫ졍셩으로붓그러온ᄉᆡᆼ각을ᄂᆡ여신주를ᄇᆡᆨ편이ᄂᆞ혹쳔편이ᄂᆞ은밀히념ᄒᆞ야주보를가지ᄒᆞ고맛당히관샹ᄒ... 39152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oohui" /></noinclude>{{옛한글쪽 시작}}쳐음션뎡에드ᄂᆞᆫ법이라</br>이뎡에들사ᄅᆞᆷ이쳐음에뎡에들ᄯᆡ에몸과입과ᄯᅳᆺ과감업을쳥쳥케ᄒᆞ고젹졍ᄒᆞᆫ곳에향과ᄭᅩᆺ과등고와과실을펴버려공양ᄒᆞᄋᆞᆸ고버금에스승이결가부좌ᄒᆞ야법다히지극ᄒᆞᆫ졍셩으로붓그러온ᄉᆡᆼ각을ᄂᆡ여신주를ᄇᆡᆨ편이ᄂᆞ혹쳔편이ᄂᆞ은밀히념ᄒᆞ야주보를가지ᄒᆞ고맛당히관샹ᄒᆞᄂᆞᆫ데들어셔ᄉᆡᆼ각ᄒᆞ되보살이허공을타오시ᄃᆡ이마우희이르ᄉᆞ혹면문에ᄇᆡᆨᄉᆡᆨ샹을나토ᄉᆞ여러ᄀᆞ짓ᄉᆡᆨ쳔엽련화에안지시고머리우희칠보광명안에ᄒᆞᆫ존ᄃᆡᄒᆞ신아미타불이계시ᄉᆞᄃᆡ귀에ᄂᆞᆫ영낙과구슬을드리오시며몸에ᄂᆞᆫᄭᅩᆺ그린옷을입으시고눈셥은봄버들닙ᄀᆞᆺ흐시며눈은가을물ᄀᆞᆺ흐시며낫{{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kbznw4mhjes2y4xk3yk9y57yt72vd9p 페이지:(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6 250 100884 391524 2025-06-11T11:04:16Z Goohui 1846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츤원만ᄒᆞᆫ달ᄀᆞᆺ흐시며입은빙파과신션의과실ᄀᆞᆺ흐시며우희두손은심즁에합쟝ᄒᆞ시고아레올은손에슈졍념쥬를가지시고아레왼손에ᄇᆡᆨᄉᆡᆨ련화를가지샤가지가지광명을노으시고육계즁으로옥호광을노으시니ᄯᅩᄒᆞᆫ일홈을옴쟈이ᄅᆞᄒᆞ며우희왼손에ᄇᆡᆨᄉᆡᆨ광명을펴시니일홈을마쟈이ᄅᆞᄒᆞ며우희오른손에홍ᄉᆡᆨ... 39152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oohui" /></noinclude>{{옛한글쪽 시작}}츤원만ᄒᆞᆫ달ᄀᆞᆺ흐시며입은빙파과신션의과실ᄀᆞᆺ흐시며우희두손은심즁에합쟝ᄒᆞ시고아레올은손에슈졍념쥬를가지시고아레왼손에ᄇᆡᆨᄉᆡᆨ련화를가지샤가지가지광명을노으시고육계즁으로옥호광을노으시니ᄯᅩᄒᆞᆫ일홈을옴쟈이ᄅᆞᄒᆞ며우희왼손에ᄇᆡᆨᄉᆡᆨ광명을펴시니일홈을마쟈이ᄅᆞᄒᆞ며우희오른손에홍ᄉᆡᆨ광명을펴시니일홈을니쟈이ᄅᆞᄒᆞ며즁간왼손에쳥ᄉᆡᆨ광명을펴시니일홈을반쟈이ᄅᆞᄒᆞ며즁간올으손에흑ᄉᆡᆨ광명을펴시니일홈을몌쟈이ᄅᆞᄒᆞ며미간에황ᄉᆡᆨ광명을펴시니일홈을훔쟈이ᄅᆞᄒᆞ니그광명이두루빗최ᄉᆞ나와다못법계유졍의지은바악업이셔리와눈과ᄀᆞᆺ고몸에잇ᄂᆞᆫ광명은쳐음돗ᄂᆞᆫᄒᆡᄀᆞᆺ흐여ᄒᆞ와서리ᄀᆞ서로빗나다시{{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2anzah74zxvo4jcbxfvq6va9ungv6a0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24 250 100885 391525 2025-06-11T11:28:24Z 자모한울 184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돌아갈길이즐숀가<br/>금축을둘너미고<br/>노ᄅᆡ한귀지어보ᄉᆡ<br/>글귀을ᄉᆡᆼ각하야<br/>일장풍운조케한니<br/>ᄉᆡ류갓튼이ᄂᆡ노ᄅᆡ<br/>심신이살난하다<br/>션경인들변할손야<br/>령월이라십모일ᄋᆡ<br/>망월하난소연들아<br/>동영ᄋᆡ발근달은{{옛한글 끝}} 39152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돌아갈길이즐숀가<br/>금축을둘너미고<br/>노ᄅᆡ한귀지어보ᄉᆡ<br/>글귀을ᄉᆡᆼ각하야<br/>일장풍운조케한니<br/>ᄉᆡ류갓튼이ᄂᆡ노ᄅᆡ<br/>심신이살난하다<br/>션경인들변할손야<br/>령월이라십모일ᄋᆡ<br/>망월하난소연들아<br/>동영ᄋᆡ발근달은{{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o0rjtw53t3ml9vj25ztl0bcz99ecz5 페이지:(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7 250 100886 391526 2025-06-11T11:35:50Z Goohui 1846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물이되ᄂᆞ니라ᄉᆡᆼ각흐ᄃᆡ흑ᄇᆡᆨ죄ᄀᆞㅇ흑은지옥과아귀와축ᄉᆡᆼ이오ᄇᆡᆨ은쳔도와인도를일음이라광명을ᄯᆞ라ᄯᅩᄒᆞᆫ멸ᄒᆞ며죄업더러운ᄯᆡᄀᆞ쇼멸ᄒᆞ다ᄒᆞ면이일홈이쳥결인고로나의몸도유리ᄀᆞ흐여져잇ᄂᆞᆫ쳐소를바야흐로삼보라일커를지니부쳐를일커러스승을삼으와원ᄒᆞᄃᆡ부쳐섹셔ᄋᆡ련ᄒᆞᄉᆞ자비로셥... 39152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oohui" /></noinclude>{{옛한글쪽 시작}}물이되ᄂᆞ니라ᄉᆡᆼ각흐ᄃᆡ흑ᄇᆡᆨ죄ᄀᆞㅇ흑은지옥과아귀와축ᄉᆡᆼ이오ᄇᆡᆨ은쳔도와인도를일음이라광명을ᄯᆞ라ᄯᅩᄒᆞᆫ멸ᄒᆞ며죄업더러운ᄯᆡᄀᆞ쇼멸ᄒᆞ다ᄒᆞ면이일홈이쳥결인고로나의몸도유리ᄀᆞ흐여져잇ᄂᆞᆫ쳐소를바야흐로삼보라일커를지니부쳐를일커러스승을삼으와원ᄒᆞᄃᆡ부쳐섹셔ᄋᆡ련ᄒᆞᄉᆞ자비로셥슈ᄒᆞᄋᆞᆸ소셔ᄒᆞ여여셧가지로관샹ᄒᆞᄃᆡ보살이옴쟈광명으로셥슈ᄒᆞ시면텬도에ᄯᅥ러지지안니ᄒᆞ고보살이마쟈광명으로셥슈ᄒᆞ시면슈라도에ᄯᅥ러지지안니ᄒᆞ고보살이니쟈광명으로셥슈ᄒᆞ시면인도에ᄯᅥ러지지안니ᄒᆞ고보살이반쟈광명으로셥슈하시면츅ᄉᆡᆼ동에ᄯᅥ러지지안니ᄒᆞ고보살이몌쟈광명으로셥슈하시면아귀도에ᄯᅥ러지지안니ᄒᆞ고보살이훔쟈광명으로셥슈ᄒᆞ시면{{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8mcepppgcfppdsvccnoychdetpkg1oi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25 250 100887 391527 2025-06-11T11:37:56Z 자모한울 184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반공중ᄋᆡ소사올나<br/>망월하긔조컨이와<br/>청풍ᄉᆡᄅᆡ덕욱조타<br/>부모님은압흘서고<br/>노소간친척님ᄂᆡ<br/>뒤을ᄯᅡᆯ아망월하며<br/>악수을서로잡고<br/>ᄇᆡᆨ발을탄식한다<br/>어화어ᄌᆡ소연시렬<br/>하로지간ᄇᆡᆨ발일ᄉᆡ<br/>어화ᄉᆡ상안여들아{{옛한글 끝}} 39152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반공중ᄋᆡ소사올나<br/>망월하긔조컨이와<br/>청풍ᄉᆡᄅᆡ덕욱조타<br/>부모님은압흘서고<br/>노소간친척님ᄂᆡ<br/>뒤을ᄯᅡᆯ아망월하며<br/>악수을서로잡고<br/>ᄇᆡᆨ발을탄식한다<br/>어화어ᄌᆡ소연시렬<br/>하로지간ᄇᆡᆨ발일ᄉᆡ<br/>어화ᄉᆡ상안여들아{{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q5fr5598t6c0ibknvs2d5kc2nncby8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26 250 100888 391528 2025-06-11T11:47:49Z 자모한울 184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무령ᄉᆡ월약유파라<br/>동영ᄋᆡ돈는달은<br/>명연보름도라오마<br/>금석갓치ᄆᆡ자<br/>돌아올ᄃᆡ잇근이와<br/>부유갓튼우리인ᄉᆡᆼ<br/>십ᄉᆡᆼ구사가련하다<br/>초로갓치실려진니<br/>안이놀고무엇라리<br/>어화ᄉᆡ상안여들아<br/>첩첩심회만곡수을{{옛한글 끝}} 39152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무령ᄉᆡ월약유파라<br/>동영ᄋᆡ돈는달은<br/>명연보름도라오마<br/>금석갓치ᄆᆡ자<br/>돌아올ᄃᆡ잇근이와<br/>부유갓튼우리인ᄉᆡᆼ<br/>십ᄉᆡᆼ구사가련하다<br/>초로갓치실려진니<br/>안이놀고무엇라리<br/>어화ᄉᆡ상안여들아<br/>첩첩심회만곡수을{{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ogzxg6f90y68d8s2ho7stz6i2bkuzn 391529 391528 2025-06-11T11:49:20Z 자모한울 18471 39152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무령ᄉᆡ월약유파라<br/>동영ᄋᆡ돈는달은<br/>명연보름도라오마<br/>금석갓치ᄆᆡ자두고<br/>돌아올ᄃᆡ잇근이와<br/>부유갓튼우리인ᄉᆡᆼ<br/>십ᄉᆡᆼ구사가련하다<br/>초로갓치실려진니<br/>안이놀고무엇라리<br/>어화ᄉᆡ상안여들아<br/>첩첩심회만곡수을{{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1m5n3sdz6yhftxcqidbepapmjijhc1y 페이지:여자유행사친가.djvu/27 250 100889 391530 2025-06-11T11:57:01Z 자모한울 184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ᄉᆡᄉᆡ원령이별하고<br/>사친사을죤경하라<br/>부자유친하난법은<br/>천셩지친함이라<br/>ᄉᆡᆼ이육지너ᄋᆡ부모<br/>ᄋᆡ이교지하시그던<br/>봉이승지하시옵고<br/>효이양지부ᄃᆡ하라<br/>공자님하신말삼<br/>삼천가지형죄즁ᄋᆡ<br/>불효가막ᄃᆡ로다{{옛한글 끝}} 39153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자모한울" /></noinclude>{{옛한글 시작}}ᄉᆡᄉᆡ원령이별하고<br/>사친사을죤경하라<br/>부자유친하난법은<br/>천셩지친함이라<br/>ᄉᆡᆼ이육지너ᄋᆡ부모<br/>ᄋᆡ이교지하시그던<br/>봉이승지하시옵고<br/>효이양지부ᄃᆡ하라<br/>공자님하신말삼<br/>삼천가지형죄즁ᄋᆡ<br/>불효가막ᄃᆡ로다{{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78s43ni4z76h9vatq3nvu8wi7tzkm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