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문헌 kowikisource https://ko.wikisource.org/wiki/%EC%9C%84%ED%82%A4%EB%AC%B8%ED%97%8C:%EB%8C%80%EB%AC%B8 MediaWiki 1.45.0-wmf.5 first-letter 미디어 특수 토론 사용자 사용자토론 위키문헌 위키문헌토론 파일 파일토론 미디어위키 미디어위키토론 틀토론 도움말 도움말토론 분류 분류토론 저자 저자토론 포털 포털토론 번역 번역토론 초안 초안토론 페이지 페이지토론 색인 색인토론 TimedText TimedText talk 모듈 모듈토론 번역:천자문 114 12396 391831 382944 2025-06-14T11:13:18Z 2406:5900:1001:2070:EFCF:2B5E:89B2:FD59 391831 wikitext text/x-wiki {{번역 머리말 |제목 = 천자문 |저자 = [[저자:주흥사|주흥사]] |역자 = [[사용자:jjw|jjw]]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위키백과|천자문}} 천자문(千字文)은 중국 남조 양(502~549)의 주흥사가 양 무제의 명을 받아 지은 책으로, 모두 다른 한자 1000자를 사용하여 1구 4자의 사언 고시 250구로 만들었다. 한문의 입문서로 널리 쓰였다. 2010년 8월 25일 석봉 한호의 필체를 목각한 《천자문》이 대한민국 보물 제1659호로 지정되었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200px; background:#eeffee;"| 원문 !background:#eeeeff;"| 번역 |- | {{더 크게|{{lang|zh|天地玄黃 宇宙洪荒}}}} |rowspan=2|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며 우주는 넓고도 크다. |- |천지현황 우주홍황<ref>독음은 [http://handic.daum.net/dicha/view_top.do 다음한자사전] 을 따랐다. 두음법칙에 의해 독음이 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리(李)는 낱말의 앞에 올경우 이로 적었다.</ref> |- | {{더 크게|{{lang|zh|日月盈昃 辰宿列張}}}} |rowspan=2| 해와 달이 차고 기울며 별은 자리를 잡아 늘어서 있다. |- |일월영측 진수열장 |- | {{더 크게|{{lang|zh|寒來暑往 秋收冬藏}}}} |rowspan=2| 추위가 오고 더위가 가니 가을엔 거두고 겨울엔 갈무리하여 둔다. |- | 한래서왕 추수동장 |- | {{더 크게|{{lang|zh|閏餘成歲 律呂調陽}}}} |rowspan=2| 윤달을 더하여 한해를 이루고 가락을 맞추어 양기를 돋운다. |- | 윤여성세 율려조양 |- | {{더 크게|{{lang|zh|雲騰致雨 露結威霜}}}} |rowspan=2| 구름은 올라가 비가 되고 이슬은 얼어 서리가 된다. |- | 운등치우 노결위상 |- | {{더 크게|{{lang|zh|金生麗水 玉出崑岡}}}} |rowspan=2| 금은 여수에서 나고 옥은 곤강에서 난다. |- | 금생여수 옥출곤강 |- | {{더 크게|{{lang|zh|劍號巨闕 珠稱夜光}}}} |rowspan=2| 검은 일컬어 거궐이요 구슬은 일컬어 야광이라. |- | 검호거궐 주칭야광 |- | {{더 크게|{{lang|zh|果珍李柰 菜重芥薑}}}} |rowspan=2| 과일 가운데 진미는 오얏과 능금이요 채소 가운데 중요한 것은 겨자와 생강이라. |- | 과진이내 채중개강 |- | {{더 크게|{{lang|zh|海鹹河淡 鱗潛羽翔}}}} |rowspan=2| 바다는 짜고 강물은 싱거우며 비늘 달린 물고기는 물에 잠기고 깃 달린 새는 높이 난다. |- | 해함하담 인잠우상 |- | {{더 크게|{{lang|zh|龍師火帝 鳥官人皇}}}} |rowspan=2| 복희씨<ref>복희는 뱀의 몸에 사람의 얼굴을 하였다고 하며 용사는 복희의 별칭이다.</ref>, 신농씨<ref>화제 또는 염제(炎帝)는 신농씨의 별칭이다</ref>, 소호<ref>소호는 새 이름을 관직명으로 삼았다고 한다.</ref> 와 황제헌원<ref>황제는 《황제내경》과 같은 의술서의 저자로 알려져 있어 인황이란 별칭이 붙었다.</ref> |- | 용사화제 조관인황 |- | {{더 크게|{{lang|zh|始制文字 乃服衣裳}}}} |rowspan=2| 문자를 처음 짓고 옷을 지어 입혔지. |- | 시제문자 내복의상 |- | {{더 크게|{{lang|zh|推位讓國 有虞陶唐}}}} |rowspan=2| 자리를 미루며 나라를 물려주니 유우<ref>순임금의 이름이다.</ref> 와 도당<ref>우 임금의 이름이다.</ref> 이라. |- | 추위양국 유우도당 |- | {{더 크게|{{lang|zh|弔民伐罪 周發殷湯}}}} |rowspan=2| 백성을 돕고 죄를 벌하니 주나라 무왕<ref>발(發)은 주 무왕의 이름</ref> 과 은나라 탕왕이라. |- | 조민벌죄 주발은탕 |- | {{더 크게|{{lang|zh|坐朝問道 垂拱平章}}}} |rowspan=2| 조정에 앉아 도를 묻기에 두 손으로 문장을 올리니, |- | 좌조문도 수공평장 |- | {{더 크게|{{lang|zh|愛育黎首 臣伏戎羌}}}} |rowspan=2| 백성을 아끼고<ref>여수(黎首)는 검은 머리, 즉 관직이 없는 백성을 말한다.</ref> 오랑캐가 신하로 복종하게 하소서. |- | 애육여수 신복융강 |- | {{더 크게|{{lang|zh|遐邇壹體 率賓歸王}}}} |rowspan=2| 멀고 가까운 곳이 하나가 되어 임금께 이끌려 따를 것입니다. |- | 하이일체 솔빈귀왕 |- | {{더 크게|{{lang|zh|鳴鳳在樹 白駒食場}}}} |rowspan=2|봉황은 나무에 내려 울고 흰망아지 풀을 뜯으니<ref>성군이 나면 봉황이 찾아와 울고 흰망아지가 나타난다는 전설에 빗대어 태평성대를 말함</ref> |- | 명봉재수 백구식장 |- | {{더 크게|{{lang|zh|化被草木 賴及萬方}}}} |rowspan=2| 덕화가 초목까지 미치고 만방에 퍼지리. |- | 화피초목 뇌급만방 |- | {{더 크게|{{lang|zh|蓋此身髮 四大五常}}}} |rowspan=2| 몸에 털이 덮힌 것과 같이 4대5상을 지키고<ref>4대는 하늘, 땅, 도(道), 임금. 5상은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ref> |- | 개차신발 사대오상 |- | {{더 크게|{{lang|zh|恭惟鞠養 豈敢毁傷}}}} |rowspan=2| 길러준 은혜를 공경하여 감히 상처를 내지 말아야 한다. |- | 공유국양 기감훼상 |- | {{더 크게|{{lang|zh|女慕貞烈 男效才良}}}} |rowspan=2|여자는 정조를 따르고 남자는 재량을 본받아 |- | 여모정렬 남효재량 |- | {{더 크게|{{lang|zh|知過必改 得能莫忘}}}} |rowspan=2|잘못이 있으면 반드시 고치고 배운 것은 잊지 말아야 한다. |- | 지과필개 득능막망 |- | {{더 크게|{{lang|zh|罔談彼短 靡恃己長}}}} |rowspan=2| 다른이의 단점을 입에 담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너무 믿지 마라 |- | 망담피단 미시기장 |- | {{더 크게|{{lang|zh|信使可覆 器欲難量}}}} |rowspan=2| 믿었던 장점이 뒤집힐 수 있고 다른 사람 기량은 헤아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 | 신사가복 기욕난량 |- | {{더 크게|{{lang|zh|墨悲絲染 詩讚羔羊}}}} |rowspan=2| 이 때문에 묵자는 실이 물드는 것을 탄식하였고<ref>묵자 소염론</ref> 시경은 고양을 찬송하였다.<ref>시경 고양편</ref> |- | 묵비사염 시찬고양 |- | {{더 크게|{{lang|zh|景行維賢 克念作聖}}}} |rowspan=2| 바르고 어진 것을 보고 행하여 지극히 생각하면 성인이 되고 |- | 경행유현 극념작성 |- | {{더 크게|{{lang|zh|德建名立 形端表正}}}} |rowspan=2|덕을 쌓아 이름을 세우면 바른 모양이 겉으로 드러난다. |- | 덕건명립 형단표정 |- | {{더 크게|{{lang|zh|空谷傳聲 虛堂習聽}}}} |rowspan=2| 빈 골짜기에 울리는 소리처럼 또한 빈집에서 들리는 소리처럼 |- | 공곡전성 허당습청 |- | {{더 크게|{{lang|zh|禍因惡積 福緣善慶}}}} |rowspan=2| 화는 악행을 쌓은 것이 원인이요 복은 선행의 결과이다. |- | 화인악적 복연선경 |- | {{더 크게|{{lang|zh|尺璧非寶 寸陰是競}}}} |rowspan=2| 커다란 옥 구슬이<ref>여기서 벽은 완벽의 유래가 된 옥구슬을 말한다. 척(尺)과 촌(寸)은 길이의 단위이나 크고 작은 것으로 의역하였다.</ref> 보배가 아니니 작은 시간을 경주하여야 하여라. |- | 척벽비보 촌음시경 |- | {{더 크게|{{lang|zh|資父事君 曰嚴與敬}}}} |rowspan=2|부모를 모시고 임금을 섬기는 것은 엄정하면서도 정성스러워야 하는 것이니 |- | 자부사군 왈엄여경 |- | {{더 크게|{{lang|zh|孝當竭力 忠則盡命}}}} |rowspan=2| 효도는 마땅히 온 힘을 다해야 하고 충성은 목숨도 바쳐야 하는 것이다. |- | 효당갈력 충즉진명 |- | {{더 크게|{{lang|zh|臨深履薄 夙興溫凊}}}} |rowspan=2| 깊은 곳을 만나도 살얼음 지나듯 조심하고 일찍 일어나 덥고 차가운지 살피는 것(이 효도하는 마음가짐이며) |- | 임심리박 숙흥온정 |- | {{더 크게|{{lang|zh|似蘭斯馨 如松之盛}}}} |rowspan=2| 난초와 같이 향기롭고 소나무처럼 굳센 것(이 충성하는 마음가짐이다.) |- | 사란사형 여송지성 |- | {{더 크게|{{lang|zh|川流不息 淵澄取映}}}} |rowspan=2| 냇물을 쉬지 않고 흐르고 연못은 맑아 그림자를 비추듯 |- | 천류불식 연징취영 |- | {{더 크게|{{lang|zh|容止若思 言辭安定}}}} |rowspan=2| 얼굴은 생각과 같게 하고 말은 안정되게 하여야 한다. |- | 용지약사 언사안정 |- | {{더 크게|{{lang|zh|篤初誠美 愼終宜令}}}} |rowspan=2| 일을 시작할 때에 정성을 다하고 마무리 지을 때에도 신중히 하면 |- | 독초성미 신종의령 |- | {{더 크게|{{lang|zh|榮業所基 籍甚無竟}}}} |rowspan=2| 이를 바탕으로 이루는 업적이 끝없으리라. |- | 영업소기 적심무경 |- | {{더 크게|{{lang|zh|學優登仕 攝職從政}}}} |rowspan=2| 학문이 뛰어나 벼슬에 올라 직무를 맞고 정사를 돌볼 때에 |- | 학우등사 섭직종정 |- | {{더 크게|{{lang|zh|存以甘棠 去而益詠}}}} |rowspan=2| 벼슬을 맡아 팥배나무 밑에서 정사를 본 소공과 같이 청렴하면 물러날 때 칭송을 들을 것이다.<ref>감당(甘棠)은 팥배나무이다. 주나라 소공은 팥배나무 아래에서 정사를 보고 공명 정대하며 청렴하였다고 한다. 소공이 죽자 백성들이 그를 그리워하며 감당시를 읇었다. 시경 국풍편 감당</ref> |- | 존이감당 거이익영 |- | {{더 크게|{{lang|zh|樂殊貴賤 禮別尊卑}}}} |rowspan=2| 즐거움에 귀천이 없으나 예절에는 존비가 있으니 |- | 악수귀천 예별존비 |- | {{더 크게|{{lang|zh|上和下睦 夫唱婦隨}}}} |rowspan=2| 상하가 화목하고 부부가 원만하며<ref>사자성어 부창부수의 출전이다.</ref> |- | 상화하목 부창부수 |- | {{더 크게|{{lang|zh|外受傅訓 入奉母儀}}}} |rowspan=2| 밖에서는 스승의 가르침을 받고 안에서는 어머니의 뜻을 받을며 |- | 외수부훈 입봉모의 |- | {{더 크게|{{lang|zh|諸姑伯叔 猶子比兒}}}} |rowspan=2| 모든 고모 삼촌의 아이를 내 아이라 여기고 |- | 제고백숙 유자비아 |- | {{더 크게|{{lang|zh|孔懷兄弟 同氣連枝}}}} |rowspan=2| 형제는 서로 품어주니 같은 기운에서 나온 가지기 때문이고 |- | 공회형제 동기연지 |- | {{더 크게|{{lang|zh|交友投分 切磨箴規}}}} |rowspan=2| 벗을 사귈 때는 가려서 사귀고 규범을 염두에 두어 절제하여 |- | 교우투분 절마잠규 |- | {{더 크게|{{lang|zh|仁慈隱惻 造次弗離}}}} |rowspan=2| 어질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대하여 떠나지 말아야 하고 |- | 인자은측 조차불리 |- | {{더 크게|{{lang|zh|節義廉退 顛沛匪虧}}}} |rowspan=2| 절의를 지키고 청렴히 물러나 이러한 (예의가) 이지러지지 않게 하여야 한다. |- | 절의염퇴 전패비휴 |- | {{더 크게|{{lang|zh|性靜情逸 心動神疲}}}} |rowspan=2| 성정이 고요하면 심정이 편안하고 마음이 동요하면 정신이 피로하니 |- | 성정정일 심동신피 |- | {{더 크게|{{lang|zh|守眞志滿 逐物意移}}}} |rowspan=2| 참 뜻이 가득하도록 지키고 물욕을 멀리하라. |- | 수진지만 축물의이 |- | {{더 크게|{{lang|zh|堅持雅操 好爵自縻}}}} |rowspan=2| 우아하고 절개가 있으면 관작은 스스로 오게 되어 있다. |- | 견지아조 호작자미 |- | {{더 크게|{{lang|zh|都邑華夏 東西二京}}}} |rowspan=2| 화하<ref>중국의 별칭</ref> 의 도읍은 동서 2경이라 |- |도읍화하 동서이경 |- | {{더 크게|{{lang|zh|背邙面洛 浮渭據涇}}}} |rowspan=2|낙양은 북망산을 등지고 낙수를 마주하고 장안에는 위수와 경수가 흐르는 구나. |- |배망면락 부위거경 |- | {{더 크게|{{lang|zh|宮殿盤鬱 樓觀飛驚}}}} |rowspan=2|궁전은 울창한 숲에 쌓였고 누각에 올라 놀라운 경치를 보며 |- |궁전반울 누관비경 |- | {{더 크게|{{lang|zh|圖寫禽獸 畵綵仙靈}}}} |rowspan=2|날짐승 들짐승을 그리니 신선 사는 그림이로구나. |- |도사금수 화채선령 |- | {{더 크게|{{lang|zh|丙舍傍啟 甲帳對楹}}}} |rowspan=2|병사<ref>궁전 내에 있는 건물들을 뜻하는 낱말</ref> 옆을 열어 갑장<ref>동방삭이 만들었다는 장막</ref> 이 기둥을 마주하게 하고 |- | 병사방계 갑장대영 |- | {{더 크게|{{lang|zh|肆筵設席 鼓瑟吹笙}}}} |rowspan=2|자리를 마련해 연회를 열고 비파를 뜯고 생황을 부니 |- |사연설석 고슬취생 |- | {{더 크게|{{lang|zh|升階納陛 弁轉疑星}}}} |rowspan=2| 계단을 올라 납폐하는 신료들은 별인듯 번쩍이고 |- |승계납폐 변전의성 |- | {{더 크게|{{lang|zh|右通廣內 左達承明}}}} |rowspan=2| 오른쪽은 광내로 통하고 왼쪽은 승명에 닿아<ref>광내와 승명은 모두 고대 중국 궁내의 관직처</ref> |- |우통광내 좌달승명 |- | {{더 크게|{{lang|zh|既集墳典 亦聚群英}}}} |rowspan=2| 이미 분전<ref>삼황오제 시절의 법률과 의전을 뜻한다.</ref> 을 모은 곳에 영웅들이 모였도다. |- |기집분전 역취군영 |- | {{더 크게|{{lang|zh|杜稾鍾隸 漆書壁經}}}} |rowspan=2| 두고<ref>초서를 처음 썼다고 전해진다.</ref> 와 종례<ref>예서로 이름이 알려져 있다.</ref> 의 글 칠서<ref>대나무에 칠을 한 뒤 쓴 글, 종이가 없던 시절에 사용하였다.</ref> 와 벽경<ref>공자에게서 전해 왔다는 육경</ref> |- |두고종례 칠서벽경 |- | {{더 크게|{{lang|zh|府羅將相 路俠槐卿}}}} |rowspan=2|각 부에 장군과 재상이 있어 고관이 즐비하여 길이 좁다. |- |부라장상 노협괴경 |- | {{더 크게|{{lang|zh|戶封八縣 家給千兵}}}} |rowspan=2|여덟 고을을 봉지로 주고 천명의 군사로 지키게 하니<ref>한고조의 논공행상을 가리킨다.</ref> |- |호봉팔현 가급천병 |- | {{더 크게|{{lang|zh|高冠陪輦 驅轂振纓}}}} |rowspan=2|높은 관을 쓰고 수레에올라 바퀴를 구르며 갓끈을 떨치는 구나. |- |고관배련 구곡진영 |- | {{더 크게|{{lang|zh|世祿侈富 車駕肥輕}}}} |rowspan=2| 대대로 받는 녹으로 부귀를 누리며 수레는 (제물로) 무겁고 가마는 가벼우니 |- |세록치부 거가비경 |- | {{더 크게|{{lang|zh|策功茂實 勒碑刻銘}}}} |rowspan=2|끝없이 쌓은 공적 비석에 세기는 구나. |- |책공무실 늑비각명 |- | {{더 크게|{{lang|zh|磻溪伊尹 佐時阿衡}}}} |rowspan=2| 반계의 (태공망)과 (탕왕을 도운) 이윤은 때가 도와 아형의 벼슬에 올랐고 |- |반계이윤 좌시아형 |- | {{더 크게|{{lang|zh|奄宅曲阜 微旦孰營}}}} |rowspan=2| 곡부에 궁전을 지은 것은 주공 단<ref>주문왕의 아우, 노나라의 시조</ref> 이 아니면 누가할 것인가 |- |엄택곡부 미단숙영 |- | {{더 크게|{{lang|zh|桓公匡合 濟弱扶傾}}}} |rowspan=2|환공은 제후를 널리 합쳐 기울어져가는 나라를 구했지 |- |환공광합 제약부경 |- | {{더 크게|{{lang|zh|綺迴漢惠 說感武丁}}}} |rowspan=2|기리계<ref>한고조가 죽고 여희가 여씨 일족에서 황제를 즉위시키고자 하였으나 장량은 기리계의 도움으로 혜제가 즉위하도록 하였다.</ref> 가 한 혜제를 회복시키고 부열이 무정을 감동시키듯.<ref>은 나라 무정이 부열에게 감동하여 선정을 배풀었다는 고사</ref> |- |기회한혜 설감무정 |- | {{더 크게|{{lang|zh|俊乂密勿 多士寔寧}}}} |rowspan=2|준걸과 예사가 모이니 참으로 평안하구나. |- |준예밀물 다사식녕 |- | {{더 크게|{{lang|zh|晉楚更霸 趙魏困橫}}}} |rowspan=2|진과 초가 다시 패자가 되고 조와위는 연횡으로 곤궁에 빠져 |- |진초갱패 조위곤횡 |- | {{더 크게|{{lang|zh|假途滅虢 踐土會盟}}}} |rowspan=2|진은 위계를 써 괵을 멸하고 천토에서 회맹하였고 |- |가도멸괵 천토회맹 |- | {{더 크게|{{lang|zh|何遵約法 韓弊煩刑}}}} |rowspan=2|어찌 (한고조의) 약법을 두고 한비자의 낡고 번잡한 형벌을 따를 것인가 |- |하준약법 한폐번형 |- | {{더 크게|{{lang|zh|起翦頗牧 用軍最精}}}} |rowspan=2| 백기 왕전 염파 이목은 군사를 가장 잘 다루었고 |- |기전파목 용군최정 |- | {{더 크게|{{lang|zh|宣威沙漠 馳譽丹青}}}} |rowspan=2|위엄을 사막에까지 떨치니 단청에 넣어 기리는 구나. |- |선위사막 치예단청 |- | {{더 크게|{{lang|zh|九州禹跡 百郡秦幷}}}} |rowspan=2| 하우씨가 구주를 두어 백군이 진에 병합되고 |- |구주우적 백군진병 |- | {{더 크게|{{lang|zh|嶽宗恆岱 禪主云亭}}}} |rowspan=2| 산중 으뜸은 항산과 태산이라 임금을 정하는 운정이 그곳에 있으며 |- |악종항대 선주운정 |- | {{더 크게|{{lang|zh|雁門紫塞 雞田赤城}}}} |rowspan=2| 안문관과 만리장성, 계전과 적성 |- |안문자새 계전적성 |- | {{더 크게|{{lang|zh|昆池碣石 鉅野洞庭}}}} |rowspan=2| 운남의 곤지와 부평의 갈석, 거야의 넓은 들판과 동정의 큰 호수 |- |곤지갈석 거야동정 |- | {{더 크게|{{lang|zh|曠遠緜邈 巖岫杳冥}}}} |rowspan=2|아득히 멀리 줄지어 있으니 아득하고 묘연하구나. |- |광원면막 암수묘명 |- | {{더 크게|{{lang|zh|治本於農 務茲稼穡}}}} |rowspan=2| 다스림의 근본은 농업이니 때를 맞추어 심고 거두어야 하리 |- |치본어농 무자가색 |- | {{더 크게|{{lang|zh|俶載南畝 我藝黍稷}}}} |rowspan=2|이제 남쪽 이랑을 일궈 나는 기장과 피를 가꾸어 |- |숙재남묘 아예서직 |- | {{더 크게|{{lang|zh|稅熟貢新 勸賞黜陟}}}} |rowspan=2| 익으면 세를 내고 햇곡식으로 제사를 지내 상을 권하고 (못된 자는) 내쫓으리라. |- |세숙공신 권상출척 |- | {{더 크게|{{lang|zh|孟軻敦素 史魚秉直}}}} |rowspan=2|맹자는 도타운 사람이었고 사어는 강직했으니 |- |맹가돈소 사어병직 |- | {{더 크게|{{lang|zh|庶幾中庸 勞謙謹敕}}}} |rowspan=2|중용을 으뜸으로 삼고 겸손에 힘쓰고 경계해야지 |- |서기중용 노겸근칙 |- | {{더 크게|{{lang|zh|聆音察理 鑑貌辨色}}}} |rowspan=2|들리는 소리 자세히 살피고 거울에 비치는 모양 꼼꼼히 구별하고 |- |영음찰리 감모변색 |- | {{더 크게|{{lang|zh|貽厥嘉猷 勉其祗植}}}} |rowspan=2|그 아름다움이 후세에 미치도록 그 덕을 쌓기를 부지런히 하며 |- |이궐가유 면기지식 |- | {{더 크게|{{lang|zh|省躬譏誡 寵增抗極}}}} |rowspan=2|몸을 살펴 나무라고 탓할 일은 없는지 반성하고 총애가 늘면 더욱 조심하여야 한다. |- |성궁기계 총증항극 |- | {{더 크게|{{lang|zh|殆辱近恥 林皋幸即}}}} |rowspan=2| 위태로운 치욕은 부끄러운 일에 의한 것이니 수풀과 언덕에 있는 것이 도리어 다행이다. |- |태욕근치 임고행즉 |- | {{더 크게|{{lang|zh|兩疏見機 解組誰逼}}}} |rowspan=2| 양소<ref>한나라의 소광과 소수</ref> 는 기회를 보아 관복을 벗으니 누가 핍박하였으랴 |- |양소견기 해조수핍 |- | {{더 크게|{{lang|zh|索居閒處 沈默寂寥}}}} |rowspan=2|한가한 곳을 찾아 살며 고요히 살며 침묵한 채 |- |색거한처 침묵적요 |- | {{더 크게|{{lang|zh|求古尋論 散慮逍遙}}}} |rowspan=2|옛일을 두고 논장을 찾고 염려를 잊고 소요하니 |- |구고심론 산려소요 |- | {{더 크게|{{lang|zh|欣奏累遣 慼謝歡招}}}} |rowspan=2|기쁜 일은 알리고 누추한 것은 보내며 슬픈 일은 마다하고 기쁜 일을 환영하리 |- |흔주루견 척사환초 |- | {{더 크게|{{lang|zh|渠荷的歷 園莽抽條}}}} |rowspan=2|도랑에 핀 연꽃의 이력, 동산에 자란 풀 가지 |- |거하적력 원망추조 |- | {{더 크게|{{lang|zh|枇杷晚翠 梧桐早凋}}}} |rowspan=2|비파나무 만추에도 푸르른데 오동나무 일찍이 시들었고 |- |비파만취 오동조조 |- | {{더 크게|{{lang|zh|陳根委翳 落葉飄颻}}}} |rowspan=2|고목 뿌리 덮은 낙엽 바람에 날리니 |- |진근위예 낙엽표요 |- | {{더 크게|{{lang|zh|遊鵾獨運 凌摩絳霄}}}} |rowspan=2|댓닭 한 마리 홀로 해엄치며 노을진 하늘을 업수이 여기고 |- |유곤독운 능마강소 |- | {{더 크게|{{lang|zh|耽讀翫市 寓目囊箱}}}} |rowspan=2|(한나라 왕총은) 독서를 즐겨 한 번 보면 상자에 넣은 듯 (잊지 않았다지) |- |탐독완시 우목낭상 |- | {{더 크게|{{lang|zh|易輶攸畏 屬耳垣墻}}}} |rowspan=2|가벼이 경솔하게 구는 것을 두려워하는 까닭은 담장에도 귀가 있다 하기 때문 |- |역유유외 속이원장 |- | {{더 크게|{{lang|zh|具膳飡飯 適口充腸}}}} |rowspan=2|반찬이나 저녁밥이야 먹고 배를 채우면 그만인 것 |- |구선손반 적구충장 |- | {{더 크게|{{lang|zh|飽飫烹宰 飢厭糟糠}}}} |rowspan=2|배부르면 재상의 요리도 물리게 되고 배 고프면 겨 지게미로도 족하니 |- |포어팽재 기염조강 |- | {{더 크게|{{lang|zh|親戚故舊 老少異糧}}}} |rowspan=2|친척이나 옛친구 노소에 따라 음식도 다를 밖에 |- |친척고구 노소이량 |- | {{더 크게|{{lang|zh|妾御績紡 侍巾帷房}}}} |rowspan=2|아내가 길쌈하여 어른 방에 수건을 받들고 |- |첩어적방 시건유방 |- | {{더 크게|{{lang|zh|紈扇圓潔 銀燭煒煌}}}} |rowspan=2|흰 비단으로 지은 부채 둥글고 깨끗하며 은촛대 불빛 밝으니 |- |환선원결 은촉위황 |- | {{더 크게|{{lang|zh|晝眠夕寐 藍笋象床}}}} |rowspan=2|낮에 자고 저녁에 또 자려 푸른 대로 코끼리 침상을 만들지 |- |주면석매 남순상상 |- | {{더 크게|{{lang|zh|絃歌酒讌 接盃舉觴}}}} |rowspan=2|거문거를 뜯고 노래를 부르며 주연을 열고 술잔을 들어 부딛히고 |- |현가주연 접배거상 |- | {{더 크게|{{lang|zh|矯手頓足 悅豫且康}}}} |rowspan=2|손을 들고 발을 움직여 춤추며 이처럼 평안함을 즐거워하세 |- |교수돈족 열예차강 |- | {{더 크게|{{lang|zh|嫡後嗣續 祭祀烝嘗}}}} |rowspan=2| 맏이는 뒤를 이어 제사를 지내어 |- |적후사속 제사증상 |- | {{더 크게|{{lang|zh|稽顙再拜 悚懼恐惶}}}} |rowspan=2|이마를 조아려 두 번 절하여 송구하고 두려운 마음을 보여야 한다. |- |계상재배 송구공황 |- | {{더 크게|{{lang|zh|牋牒簡要 顧答審詳}}}} |rowspan=2|편지는 간략히 요지만 쓰고 답신은 자세히 살펴서 하라. |- |전첩간요 고답심상 |- | {{더 크게|{{lang|zh|骸垢想浴 執熱願涼}}}} |rowspan=2|몸에 때가 끼면 목욕할 생각이 나고 열이 차면 서늘하기를 원하게 되는 것 |- |해구상욕 집열원량 |- | {{더 크게|{{lang|zh|驢騾犢特 駭躍超驤}}}} |rowspan=2|노새며 망아지, 숫송아지가 놀라뛰며 내달리듯 |- |여라독특 해약초양 |- | {{더 크게|{{lang|zh|誅斬賊盜 捕獲叛亡}}}} |rowspan=2|적도는 잡아 죽이고 배역자는 잡아들이리 |- |주참적도 포획반망 |- | {{더 크게|{{lang|zh|布射遼丸 嵇琴阮嘯}}}} |rowspan=2|여포는 활 잘 쏘았고 의료는 돌 잘 던졌으며 혜강은 금을 잘켰고 완적은 휘파람을 잘 불었지 |- |포사료환 혜금완소 |- | {{더 크게|{{lang|zh|恬筆倫紙 鈞巧任釣}}}} |rowspan=2|붓을 만든 건 몽념 종이를 만든 건 채륜, 마륜의 교묘한 솜씨<ref>마륜은 지남차를 만들었다고 한다.</ref> 임공자의 낚시대<ref>장자에 나오는 이야기이다.</ref> |- |염필윤지 균교임조 |- | {{더 크게|{{lang|zh|釋紛利俗 竝皆佳妙}}}} |rowspan=2|이러한 재주를 세상에 푸니 모두다 뛰어나고 신기하였다. |- |석분리속 병개가묘 |- | {{더 크게|{{lang|zh|毛施淑姿 工顰妍笑}}}} |rowspan=2|오나라 모타와 월나라 서시의 자태는 찡그린 모습도 아름다워라 |- |모시숙자 공빈연소 |- | {{더 크게|{{lang|zh|年矢每催 曦暉朗耀}}}} |rowspan=2| 세월은 살같이 언제나 제촉하나 햇빛 달빛은 밝게 빛나 |- |연시매최 희휘낭요 |- | {{더 크게|{{lang|zh|璇璣懸斡 晦魄環照}}}} |rowspan=2|천문을 보는 기계 매달려 돌듯 그믐이 지나 다시 보름이 되니 |- |선기현알 회백환조 |- | {{더 크게|{{lang|zh|指薪修祜 永綏吉劭}}}} |rowspan=2|손가락에 섶불을 단 듯 수양에 전념하면 영원토록 평안하고 길하리라. |- |지신수우 영수길소 |- | {{더 크게|{{lang|zh|矩步引領 俯仰廊廟}}}} |rowspan=2|반듯하게 걸으며 옷길을 끌고 사당에 엎드려 예의를 다하고 |- |구보인령 부앙낭묘 |- | {{더 크게|{{lang|zh|束帶矜莊 徘徊瞻眺}}}} |rowspan=2|허리띠를 단단히 묶어 긍지를 갖고 여러 곳을 두루 살펴라 |- |속대긍장 배회첨조 |- | {{더 크게|{{lang|zh|孤陋寡聞 愚蒙等誚}}}} |rowspan=2|(이런 글을 쓴 나는) 고루하고 들은 것 없어 어리석단 꾸짖음을 면치 못하리 |- |고루과문 우몽등초 |- | {{더 크게|{{lang|zh|謂語助者 焉哉乎也}}}} |rowspan=2|어조사에는 언재호야가 있다. |- |위어조자 언재호야 |} ==역주 == <references/> = 라이선스 = {{번역 저작권 |원문 = {{PD-old-100}} |번역 = {{PD-자작}} }} [[분류:한시]] sf7vm3z52s8sedjsb95qqjen0iv5nw3 391832 391831 2025-06-14T11:14:35Z 2406:5900:1001:2070:EFCF:2B5E:89B2:FD59 391832 wikitext text/x-wiki {{번역 머리말 |제목 = 천자문 |저자 = [[저자:주흥사|주흥사]] |역자 = [[사용자:jjw|jjw]]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위키백과|천자문}} 천자문(千字文)은 중국 남조 양(502~549)의 주흥사가 양 무제의 명을 받아 지은 책으로, 모두 다른 한자 1000자를 사용하여 1구 4자의 사언 고시 250구로 만들었다. 한문의 입문서로 널리 쓰였다. 2010년 8월 25일 석봉 한호의 필체를 목각한 《천자문》이 대한민국 보물 제1659호로 지정되었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200px; background:#eeffee;"| 원문 !background:#eeeeff;"| 번역 |- | {{더 크게|{{lang|zh|天地玄黃 宇宙洪荒}}}} |rowspan=2|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며 우주는 넓고도 크다. |- |천지현황 우주홍황<ref>독음은 [http://handic.daum.net/dicha/view_top.do 다음한자사전] 을 따랐다. 두음법칙에 의해 독음이 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리(李)는 낱말의 앞에 올경우 이로 적었다.</ref> |- | {{더 크게|{{lang|zh|日月盈昃 辰宿列張}}}} |rowspan=2| 해와 달이 차고 기울며 별은 자리를 잡아 늘어서 있다. |- |일월영측 진수열장 |- | {{더 크게|{{lang|zh|寒來暑往 秋收冬藏}}}} |rowspan=2| 추위가 오고 더위가 가니 가을엔 거두고 겨울엔 갈무리하여 둔다. |- | 한래서왕 추수동장 |- | {{더 크게|{{lang|zh|閏餘成歲 律呂調陽}}}} |rowspan=2| 윤달을 더하여 한해를 이루고 가락을 맞추어 양기를 돋운다. |- | 윤여성세 율려조양 |- | {{더 크게|{{lang|zh|雲騰致雨 露結位霜}}}} |rowspan=2| 구름은 올라가 비가 되고 이슬은 얼어 서리가 된다. |- | 운등치우 노결위상 |- | {{더 크게|{{lang|zh|金生麗水 玉出崑岡}}}} |rowspan=2| 금은 여수에서 나고 옥은 곤강에서 난다. |- | 금생여수 옥출곤강 |- | {{더 크게|{{lang|zh|劍號巨闕 珠稱夜光}}}} |rowspan=2| 검은 일컬어 거궐이요 구슬은 일컬어 야광이라. |- | 검호거궐 주칭야광 |- | {{더 크게|{{lang|zh|果珍李柰 菜重芥薑}}}} |rowspan=2| 과일 가운데 진미는 오얏과 능금이요 채소 가운데 중요한 것은 겨자와 생강이라. |- | 과진이내 채중개강 |- | {{더 크게|{{lang|zh|海鹹河淡 鱗潛羽翔}}}} |rowspan=2| 바다는 짜고 강물은 싱거우며 비늘 달린 물고기는 물에 잠기고 깃 달린 새는 높이 난다. |- | 해함하담 인잠우상 |- | {{더 크게|{{lang|zh|龍師火帝 鳥官人皇}}}} |rowspan=2| 복희씨<ref>복희는 뱀의 몸에 사람의 얼굴을 하였다고 하며 용사는 복희의 별칭이다.</ref>, 신농씨<ref>화제 또는 염제(炎帝)는 신농씨의 별칭이다</ref>, 소호<ref>소호는 새 이름을 관직명으로 삼았다고 한다.</ref> 와 황제헌원<ref>황제는 《황제내경》과 같은 의술서의 저자로 알려져 있어 인황이란 별칭이 붙었다.</ref> |- | 용사화제 조관인황 |- | {{더 크게|{{lang|zh|始制文字 乃服衣裳}}}} |rowspan=2| 문자를 처음 짓고 옷을 지어 입혔지. |- | 시제문자 내복의상 |- | {{더 크게|{{lang|zh|推位讓國 有虞陶唐}}}} |rowspan=2| 자리를 미루며 나라를 물려주니 유우<ref>순임금의 이름이다.</ref> 와 도당<ref>우 임금의 이름이다.</ref> 이라. |- | 추위양국 유우도당 |- | {{더 크게|{{lang|zh|弔民伐罪 周發殷湯}}}} |rowspan=2| 백성을 돕고 죄를 벌하니 주나라 무왕<ref>발(發)은 주 무왕의 이름</ref> 과 은나라 탕왕이라. |- | 조민벌죄 주발은탕 |- | {{더 크게|{{lang|zh|坐朝問道 垂拱平章}}}} |rowspan=2| 조정에 앉아 도를 묻기에 두 손으로 문장을 올리니, |- | 좌조문도 수공평장 |- | {{더 크게|{{lang|zh|愛育黎首 臣伏戎羌}}}} |rowspan=2| 백성을 아끼고<ref>여수(黎首)는 검은 머리, 즉 관직이 없는 백성을 말한다.</ref> 오랑캐가 신하로 복종하게 하소서. |- | 애육여수 신복융강 |- | {{더 크게|{{lang|zh|遐邇壹體 率賓歸王}}}} |rowspan=2| 멀고 가까운 곳이 하나가 되어 임금께 이끌려 따를 것입니다. |- | 하이일체 솔빈귀왕 |- | {{더 크게|{{lang|zh|鳴鳳在樹 白駒食場}}}} |rowspan=2|봉황은 나무에 내려 울고 흰망아지 풀을 뜯으니<ref>성군이 나면 봉황이 찾아와 울고 흰망아지가 나타난다는 전설에 빗대어 태평성대를 말함</ref> |- | 명봉재수 백구식장 |- | {{더 크게|{{lang|zh|化被草木 賴及萬方}}}} |rowspan=2| 덕화가 초목까지 미치고 만방에 퍼지리. |- | 화피초목 뇌급만방 |- | {{더 크게|{{lang|zh|蓋此身髮 四大五常}}}} |rowspan=2| 몸에 털이 덮힌 것과 같이 4대5상을 지키고<ref>4대는 하늘, 땅, 도(道), 임금. 5상은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ref> |- | 개차신발 사대오상 |- | {{더 크게|{{lang|zh|恭惟鞠養 豈敢毁傷}}}} |rowspan=2| 길러준 은혜를 공경하여 감히 상처를 내지 말아야 한다. |- | 공유국양 기감훼상 |- | {{더 크게|{{lang|zh|女慕貞烈 男效才良}}}} |rowspan=2|여자는 정조를 따르고 남자는 재량을 본받아 |- | 여모정렬 남효재량 |- | {{더 크게|{{lang|zh|知過必改 得能莫忘}}}} |rowspan=2|잘못이 있으면 반드시 고치고 배운 것은 잊지 말아야 한다. |- | 지과필개 득능막망 |- | {{더 크게|{{lang|zh|罔談彼短 靡恃己長}}}} |rowspan=2| 다른이의 단점을 입에 담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너무 믿지 마라 |- | 망담피단 미시기장 |- | {{더 크게|{{lang|zh|信使可覆 器欲難量}}}} |rowspan=2| 믿었던 장점이 뒤집힐 수 있고 다른 사람 기량은 헤아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 | 신사가복 기욕난량 |- | {{더 크게|{{lang|zh|墨悲絲染 詩讚羔羊}}}} |rowspan=2| 이 때문에 묵자는 실이 물드는 것을 탄식하였고<ref>묵자 소염론</ref> 시경은 고양을 찬송하였다.<ref>시경 고양편</ref> |- | 묵비사염 시찬고양 |- | {{더 크게|{{lang|zh|景行維賢 克念作聖}}}} |rowspan=2| 바르고 어진 것을 보고 행하여 지극히 생각하면 성인이 되고 |- | 경행유현 극념작성 |- | {{더 크게|{{lang|zh|德建名立 形端表正}}}} |rowspan=2|덕을 쌓아 이름을 세우면 바른 모양이 겉으로 드러난다. |- | 덕건명립 형단표정 |- | {{더 크게|{{lang|zh|空谷傳聲 虛堂習聽}}}} |rowspan=2| 빈 골짜기에 울리는 소리처럼 또한 빈집에서 들리는 소리처럼 |- | 공곡전성 허당습청 |- | {{더 크게|{{lang|zh|禍因惡積 福緣善慶}}}} |rowspan=2| 화는 악행을 쌓은 것이 원인이요 복은 선행의 결과이다. |- | 화인악적 복연선경 |- | {{더 크게|{{lang|zh|尺璧非寶 寸陰是競}}}} |rowspan=2| 커다란 옥 구슬이<ref>여기서 벽은 완벽의 유래가 된 옥구슬을 말한다. 척(尺)과 촌(寸)은 길이의 단위이나 크고 작은 것으로 의역하였다.</ref> 보배가 아니니 작은 시간을 경주하여야 하여라. |- | 척벽비보 촌음시경 |- | {{더 크게|{{lang|zh|資父事君 曰嚴與敬}}}} |rowspan=2|부모를 모시고 임금을 섬기는 것은 엄정하면서도 정성스러워야 하는 것이니 |- | 자부사군 왈엄여경 |- | {{더 크게|{{lang|zh|孝當竭力 忠則盡命}}}} |rowspan=2| 효도는 마땅히 온 힘을 다해야 하고 충성은 목숨도 바쳐야 하는 것이다. |- | 효당갈력 충즉진명 |- | {{더 크게|{{lang|zh|臨深履薄 夙興溫凊}}}} |rowspan=2| 깊은 곳을 만나도 살얼음 지나듯 조심하고 일찍 일어나 덥고 차가운지 살피는 것(이 효도하는 마음가짐이며) |- | 임심리박 숙흥온정 |- | {{더 크게|{{lang|zh|似蘭斯馨 如松之盛}}}} |rowspan=2| 난초와 같이 향기롭고 소나무처럼 굳센 것(이 충성하는 마음가짐이다.) |- | 사란사형 여송지성 |- | {{더 크게|{{lang|zh|川流不息 淵澄取映}}}} |rowspan=2| 냇물을 쉬지 않고 흐르고 연못은 맑아 그림자를 비추듯 |- | 천류불식 연징취영 |- | {{더 크게|{{lang|zh|容止若思 言辭安定}}}} |rowspan=2| 얼굴은 생각과 같게 하고 말은 안정되게 하여야 한다. |- | 용지약사 언사안정 |- | {{더 크게|{{lang|zh|篤初誠美 愼終宜令}}}} |rowspan=2| 일을 시작할 때에 정성을 다하고 마무리 지을 때에도 신중히 하면 |- | 독초성미 신종의령 |- | {{더 크게|{{lang|zh|榮業所基 籍甚無竟}}}} |rowspan=2| 이를 바탕으로 이루는 업적이 끝없으리라. |- | 영업소기 적심무경 |- | {{더 크게|{{lang|zh|學優登仕 攝職從政}}}} |rowspan=2| 학문이 뛰어나 벼슬에 올라 직무를 맞고 정사를 돌볼 때에 |- | 학우등사 섭직종정 |- | {{더 크게|{{lang|zh|存以甘棠 去而益詠}}}} |rowspan=2| 벼슬을 맡아 팥배나무 밑에서 정사를 본 소공과 같이 청렴하면 물러날 때 칭송을 들을 것이다.<ref>감당(甘棠)은 팥배나무이다. 주나라 소공은 팥배나무 아래에서 정사를 보고 공명 정대하며 청렴하였다고 한다. 소공이 죽자 백성들이 그를 그리워하며 감당시를 읇었다. 시경 국풍편 감당</ref> |- | 존이감당 거이익영 |- | {{더 크게|{{lang|zh|樂殊貴賤 禮別尊卑}}}} |rowspan=2| 즐거움에 귀천이 없으나 예절에는 존비가 있으니 |- | 악수귀천 예별존비 |- | {{더 크게|{{lang|zh|上和下睦 夫唱婦隨}}}} |rowspan=2| 상하가 화목하고 부부가 원만하며<ref>사자성어 부창부수의 출전이다.</ref> |- | 상화하목 부창부수 |- | {{더 크게|{{lang|zh|外受傅訓 入奉母儀}}}} |rowspan=2| 밖에서는 스승의 가르침을 받고 안에서는 어머니의 뜻을 받을며 |- | 외수부훈 입봉모의 |- | {{더 크게|{{lang|zh|諸姑伯叔 猶子比兒}}}} |rowspan=2| 모든 고모 삼촌의 아이를 내 아이라 여기고 |- | 제고백숙 유자비아 |- | {{더 크게|{{lang|zh|孔懷兄弟 同氣連枝}}}} |rowspan=2| 형제는 서로 품어주니 같은 기운에서 나온 가지기 때문이고 |- | 공회형제 동기연지 |- | {{더 크게|{{lang|zh|交友投分 切磨箴規}}}} |rowspan=2| 벗을 사귈 때는 가려서 사귀고 규범을 염두에 두어 절제하여 |- | 교우투분 절마잠규 |- | {{더 크게|{{lang|zh|仁慈隱惻 造次弗離}}}} |rowspan=2| 어질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대하여 떠나지 말아야 하고 |- | 인자은측 조차불리 |- | {{더 크게|{{lang|zh|節義廉退 顛沛匪虧}}}} |rowspan=2| 절의를 지키고 청렴히 물러나 이러한 (예의가) 이지러지지 않게 하여야 한다. |- | 절의염퇴 전패비휴 |- | {{더 크게|{{lang|zh|性靜情逸 心動神疲}}}} |rowspan=2| 성정이 고요하면 심정이 편안하고 마음이 동요하면 정신이 피로하니 |- | 성정정일 심동신피 |- | {{더 크게|{{lang|zh|守眞志滿 逐物意移}}}} |rowspan=2| 참 뜻이 가득하도록 지키고 물욕을 멀리하라. |- | 수진지만 축물의이 |- | {{더 크게|{{lang|zh|堅持雅操 好爵自縻}}}} |rowspan=2| 우아하고 절개가 있으면 관작은 스스로 오게 되어 있다. |- | 견지아조 호작자미 |- | {{더 크게|{{lang|zh|都邑華夏 東西二京}}}} |rowspan=2| 화하<ref>중국의 별칭</ref> 의 도읍은 동서 2경이라 |- |도읍화하 동서이경 |- | {{더 크게|{{lang|zh|背邙面洛 浮渭據涇}}}} |rowspan=2|낙양은 북망산을 등지고 낙수를 마주하고 장안에는 위수와 경수가 흐르는 구나. |- |배망면락 부위거경 |- | {{더 크게|{{lang|zh|宮殿盤鬱 樓觀飛驚}}}} |rowspan=2|궁전은 울창한 숲에 쌓였고 누각에 올라 놀라운 경치를 보며 |- |궁전반울 누관비경 |- | {{더 크게|{{lang|zh|圖寫禽獸 畵綵仙靈}}}} |rowspan=2|날짐승 들짐승을 그리니 신선 사는 그림이로구나. |- |도사금수 화채선령 |- | {{더 크게|{{lang|zh|丙舍傍啟 甲帳對楹}}}} |rowspan=2|병사<ref>궁전 내에 있는 건물들을 뜻하는 낱말</ref> 옆을 열어 갑장<ref>동방삭이 만들었다는 장막</ref> 이 기둥을 마주하게 하고 |- | 병사방계 갑장대영 |- | {{더 크게|{{lang|zh|肆筵設席 鼓瑟吹笙}}}} |rowspan=2|자리를 마련해 연회를 열고 비파를 뜯고 생황을 부니 |- |사연설석 고슬취생 |- | {{더 크게|{{lang|zh|升階納陛 弁轉疑星}}}} |rowspan=2| 계단을 올라 납폐하는 신료들은 별인듯 번쩍이고 |- |승계납폐 변전의성 |- | {{더 크게|{{lang|zh|右通廣內 左達承明}}}} |rowspan=2| 오른쪽은 광내로 통하고 왼쪽은 승명에 닿아<ref>광내와 승명은 모두 고대 중국 궁내의 관직처</ref> |- |우통광내 좌달승명 |- | {{더 크게|{{lang|zh|既集墳典 亦聚群英}}}} |rowspan=2| 이미 분전<ref>삼황오제 시절의 법률과 의전을 뜻한다.</ref> 을 모은 곳에 영웅들이 모였도다. |- |기집분전 역취군영 |- | {{더 크게|{{lang|zh|杜稾鍾隸 漆書壁經}}}} |rowspan=2| 두고<ref>초서를 처음 썼다고 전해진다.</ref> 와 종례<ref>예서로 이름이 알려져 있다.</ref> 의 글 칠서<ref>대나무에 칠을 한 뒤 쓴 글, 종이가 없던 시절에 사용하였다.</ref> 와 벽경<ref>공자에게서 전해 왔다는 육경</ref> |- |두고종례 칠서벽경 |- | {{더 크게|{{lang|zh|府羅將相 路俠槐卿}}}} |rowspan=2|각 부에 장군과 재상이 있어 고관이 즐비하여 길이 좁다. |- |부라장상 노협괴경 |- | {{더 크게|{{lang|zh|戶封八縣 家給千兵}}}} |rowspan=2|여덟 고을을 봉지로 주고 천명의 군사로 지키게 하니<ref>한고조의 논공행상을 가리킨다.</ref> |- |호봉팔현 가급천병 |- | {{더 크게|{{lang|zh|高冠陪輦 驅轂振纓}}}} |rowspan=2|높은 관을 쓰고 수레에올라 바퀴를 구르며 갓끈을 떨치는 구나. |- |고관배련 구곡진영 |- | {{더 크게|{{lang|zh|世祿侈富 車駕肥輕}}}} |rowspan=2| 대대로 받는 녹으로 부귀를 누리며 수레는 (제물로) 무겁고 가마는 가벼우니 |- |세록치부 거가비경 |- | {{더 크게|{{lang|zh|策功茂實 勒碑刻銘}}}} |rowspan=2|끝없이 쌓은 공적 비석에 세기는 구나. |- |책공무실 늑비각명 |- | {{더 크게|{{lang|zh|磻溪伊尹 佐時阿衡}}}} |rowspan=2| 반계의 (태공망)과 (탕왕을 도운) 이윤은 때가 도와 아형의 벼슬에 올랐고 |- |반계이윤 좌시아형 |- | {{더 크게|{{lang|zh|奄宅曲阜 微旦孰營}}}} |rowspan=2| 곡부에 궁전을 지은 것은 주공 단<ref>주문왕의 아우, 노나라의 시조</ref> 이 아니면 누가할 것인가 |- |엄택곡부 미단숙영 |- | {{더 크게|{{lang|zh|桓公匡合 濟弱扶傾}}}} |rowspan=2|환공은 제후를 널리 합쳐 기울어져가는 나라를 구했지 |- |환공광합 제약부경 |- | {{더 크게|{{lang|zh|綺迴漢惠 說感武丁}}}} |rowspan=2|기리계<ref>한고조가 죽고 여희가 여씨 일족에서 황제를 즉위시키고자 하였으나 장량은 기리계의 도움으로 혜제가 즉위하도록 하였다.</ref> 가 한 혜제를 회복시키고 부열이 무정을 감동시키듯.<ref>은 나라 무정이 부열에게 감동하여 선정을 배풀었다는 고사</ref> |- |기회한혜 설감무정 |- | {{더 크게|{{lang|zh|俊乂密勿 多士寔寧}}}} |rowspan=2|준걸과 예사가 모이니 참으로 평안하구나. |- |준예밀물 다사식녕 |- | {{더 크게|{{lang|zh|晉楚更霸 趙魏困橫}}}} |rowspan=2|진과 초가 다시 패자가 되고 조와위는 연횡으로 곤궁에 빠져 |- |진초갱패 조위곤횡 |- | {{더 크게|{{lang|zh|假途滅虢 踐土會盟}}}} |rowspan=2|진은 위계를 써 괵을 멸하고 천토에서 회맹하였고 |- |가도멸괵 천토회맹 |- | {{더 크게|{{lang|zh|何遵約法 韓弊煩刑}}}} |rowspan=2|어찌 (한고조의) 약법을 두고 한비자의 낡고 번잡한 형벌을 따를 것인가 |- |하준약법 한폐번형 |- | {{더 크게|{{lang|zh|起翦頗牧 用軍最精}}}} |rowspan=2| 백기 왕전 염파 이목은 군사를 가장 잘 다루었고 |- |기전파목 용군최정 |- | {{더 크게|{{lang|zh|宣威沙漠 馳譽丹青}}}} |rowspan=2|위엄을 사막에까지 떨치니 단청에 넣어 기리는 구나. |- |선위사막 치예단청 |- | {{더 크게|{{lang|zh|九州禹跡 百郡秦幷}}}} |rowspan=2| 하우씨가 구주를 두어 백군이 진에 병합되고 |- |구주우적 백군진병 |- | {{더 크게|{{lang|zh|嶽宗恆岱 禪主云亭}}}} |rowspan=2| 산중 으뜸은 항산과 태산이라 임금을 정하는 운정이 그곳에 있으며 |- |악종항대 선주운정 |- | {{더 크게|{{lang|zh|雁門紫塞 雞田赤城}}}} |rowspan=2| 안문관과 만리장성, 계전과 적성 |- |안문자새 계전적성 |- | {{더 크게|{{lang|zh|昆池碣石 鉅野洞庭}}}} |rowspan=2| 운남의 곤지와 부평의 갈석, 거야의 넓은 들판과 동정의 큰 호수 |- |곤지갈석 거야동정 |- | {{더 크게|{{lang|zh|曠遠緜邈 巖岫杳冥}}}} |rowspan=2|아득히 멀리 줄지어 있으니 아득하고 묘연하구나. |- |광원면막 암수묘명 |- | {{더 크게|{{lang|zh|治本於農 務茲稼穡}}}} |rowspan=2| 다스림의 근본은 농업이니 때를 맞추어 심고 거두어야 하리 |- |치본어농 무자가색 |- | {{더 크게|{{lang|zh|俶載南畝 我藝黍稷}}}} |rowspan=2|이제 남쪽 이랑을 일궈 나는 기장과 피를 가꾸어 |- |숙재남묘 아예서직 |- | {{더 크게|{{lang|zh|稅熟貢新 勸賞黜陟}}}} |rowspan=2| 익으면 세를 내고 햇곡식으로 제사를 지내 상을 권하고 (못된 자는) 내쫓으리라. |- |세숙공신 권상출척 |- | {{더 크게|{{lang|zh|孟軻敦素 史魚秉直}}}} |rowspan=2|맹자는 도타운 사람이었고 사어는 강직했으니 |- |맹가돈소 사어병직 |- | {{더 크게|{{lang|zh|庶幾中庸 勞謙謹敕}}}} |rowspan=2|중용을 으뜸으로 삼고 겸손에 힘쓰고 경계해야지 |- |서기중용 노겸근칙 |- | {{더 크게|{{lang|zh|聆音察理 鑑貌辨色}}}} |rowspan=2|들리는 소리 자세히 살피고 거울에 비치는 모양 꼼꼼히 구별하고 |- |영음찰리 감모변색 |- | {{더 크게|{{lang|zh|貽厥嘉猷 勉其祗植}}}} |rowspan=2|그 아름다움이 후세에 미치도록 그 덕을 쌓기를 부지런히 하며 |- |이궐가유 면기지식 |- | {{더 크게|{{lang|zh|省躬譏誡 寵增抗極}}}} |rowspan=2|몸을 살펴 나무라고 탓할 일은 없는지 반성하고 총애가 늘면 더욱 조심하여야 한다. |- |성궁기계 총증항극 |- | {{더 크게|{{lang|zh|殆辱近恥 林皋幸即}}}} |rowspan=2| 위태로운 치욕은 부끄러운 일에 의한 것이니 수풀과 언덕에 있는 것이 도리어 다행이다. |- |태욕근치 임고행즉 |- | {{더 크게|{{lang|zh|兩疏見機 解組誰逼}}}} |rowspan=2| 양소<ref>한나라의 소광과 소수</ref> 는 기회를 보아 관복을 벗으니 누가 핍박하였으랴 |- |양소견기 해조수핍 |- | {{더 크게|{{lang|zh|索居閒處 沈默寂寥}}}} |rowspan=2|한가한 곳을 찾아 살며 고요히 살며 침묵한 채 |- |색거한처 침묵적요 |- | {{더 크게|{{lang|zh|求古尋論 散慮逍遙}}}} |rowspan=2|옛일을 두고 논장을 찾고 염려를 잊고 소요하니 |- |구고심론 산려소요 |- | {{더 크게|{{lang|zh|欣奏累遣 慼謝歡招}}}} |rowspan=2|기쁜 일은 알리고 누추한 것은 보내며 슬픈 일은 마다하고 기쁜 일을 환영하리 |- |흔주루견 척사환초 |- | {{더 크게|{{lang|zh|渠荷的歷 園莽抽條}}}} |rowspan=2|도랑에 핀 연꽃의 이력, 동산에 자란 풀 가지 |- |거하적력 원망추조 |- | {{더 크게|{{lang|zh|枇杷晚翠 梧桐早凋}}}} |rowspan=2|비파나무 만추에도 푸르른데 오동나무 일찍이 시들었고 |- |비파만취 오동조조 |- | {{더 크게|{{lang|zh|陳根委翳 落葉飄颻}}}} |rowspan=2|고목 뿌리 덮은 낙엽 바람에 날리니 |- |진근위예 낙엽표요 |- | {{더 크게|{{lang|zh|遊鵾獨運 凌摩絳霄}}}} |rowspan=2|댓닭 한 마리 홀로 해엄치며 노을진 하늘을 업수이 여기고 |- |유곤독운 능마강소 |- | {{더 크게|{{lang|zh|耽讀翫市 寓目囊箱}}}} |rowspan=2|(한나라 왕총은) 독서를 즐겨 한 번 보면 상자에 넣은 듯 (잊지 않았다지) |- |탐독완시 우목낭상 |- | {{더 크게|{{lang|zh|易輶攸畏 屬耳垣墻}}}} |rowspan=2|가벼이 경솔하게 구는 것을 두려워하는 까닭은 담장에도 귀가 있다 하기 때문 |- |역유유외 속이원장 |- | {{더 크게|{{lang|zh|具膳飡飯 適口充腸}}}} |rowspan=2|반찬이나 저녁밥이야 먹고 배를 채우면 그만인 것 |- |구선손반 적구충장 |- | {{더 크게|{{lang|zh|飽飫烹宰 飢厭糟糠}}}} |rowspan=2|배부르면 재상의 요리도 물리게 되고 배 고프면 겨 지게미로도 족하니 |- |포어팽재 기염조강 |- | {{더 크게|{{lang|zh|親戚故舊 老少異糧}}}} |rowspan=2|친척이나 옛친구 노소에 따라 음식도 다를 밖에 |- |친척고구 노소이량 |- | {{더 크게|{{lang|zh|妾御績紡 侍巾帷房}}}} |rowspan=2|아내가 길쌈하여 어른 방에 수건을 받들고 |- |첩어적방 시건유방 |- | {{더 크게|{{lang|zh|紈扇圓潔 銀燭煒煌}}}} |rowspan=2|흰 비단으로 지은 부채 둥글고 깨끗하며 은촛대 불빛 밝으니 |- |환선원결 은촉위황 |- | {{더 크게|{{lang|zh|晝眠夕寐 藍笋象床}}}} |rowspan=2|낮에 자고 저녁에 또 자려 푸른 대로 코끼리 침상을 만들지 |- |주면석매 남순상상 |- | {{더 크게|{{lang|zh|絃歌酒讌 接盃舉觴}}}} |rowspan=2|거문거를 뜯고 노래를 부르며 주연을 열고 술잔을 들어 부딛히고 |- |현가주연 접배거상 |- | {{더 크게|{{lang|zh|矯手頓足 悅豫且康}}}} |rowspan=2|손을 들고 발을 움직여 춤추며 이처럼 평안함을 즐거워하세 |- |교수돈족 열예차강 |- | {{더 크게|{{lang|zh|嫡後嗣續 祭祀烝嘗}}}} |rowspan=2| 맏이는 뒤를 이어 제사를 지내어 |- |적후사속 제사증상 |- | {{더 크게|{{lang|zh|稽顙再拜 悚懼恐惶}}}} |rowspan=2|이마를 조아려 두 번 절하여 송구하고 두려운 마음을 보여야 한다. |- |계상재배 송구공황 |- | {{더 크게|{{lang|zh|牋牒簡要 顧答審詳}}}} |rowspan=2|편지는 간략히 요지만 쓰고 답신은 자세히 살펴서 하라. |- |전첩간요 고답심상 |- | {{더 크게|{{lang|zh|骸垢想浴 執熱願涼}}}} |rowspan=2|몸에 때가 끼면 목욕할 생각이 나고 열이 차면 서늘하기를 원하게 되는 것 |- |해구상욕 집열원량 |- | {{더 크게|{{lang|zh|驢騾犢特 駭躍超驤}}}} |rowspan=2|노새며 망아지, 숫송아지가 놀라뛰며 내달리듯 |- |여라독특 해약초양 |- | {{더 크게|{{lang|zh|誅斬賊盜 捕獲叛亡}}}} |rowspan=2|적도는 잡아 죽이고 배역자는 잡아들이리 |- |주참적도 포획반망 |- | {{더 크게|{{lang|zh|布射遼丸 嵇琴阮嘯}}}} |rowspan=2|여포는 활 잘 쏘았고 의료는 돌 잘 던졌으며 혜강은 금을 잘켰고 완적은 휘파람을 잘 불었지 |- |포사료환 혜금완소 |- | {{더 크게|{{lang|zh|恬筆倫紙 鈞巧任釣}}}} |rowspan=2|붓을 만든 건 몽념 종이를 만든 건 채륜, 마륜의 교묘한 솜씨<ref>마륜은 지남차를 만들었다고 한다.</ref> 임공자의 낚시대<ref>장자에 나오는 이야기이다.</ref> |- |염필윤지 균교임조 |- | {{더 크게|{{lang|zh|釋紛利俗 竝皆佳妙}}}} |rowspan=2|이러한 재주를 세상에 푸니 모두다 뛰어나고 신기하였다. |- |석분리속 병개가묘 |- | {{더 크게|{{lang|zh|毛施淑姿 工顰妍笑}}}} |rowspan=2|오나라 모타와 월나라 서시의 자태는 찡그린 모습도 아름다워라 |- |모시숙자 공빈연소 |- | {{더 크게|{{lang|zh|年矢每催 曦暉朗耀}}}} |rowspan=2| 세월은 살같이 언제나 제촉하나 햇빛 달빛은 밝게 빛나 |- |연시매최 희휘낭요 |- | {{더 크게|{{lang|zh|璇璣懸斡 晦魄環照}}}} |rowspan=2|천문을 보는 기계 매달려 돌듯 그믐이 지나 다시 보름이 되니 |- |선기현알 회백환조 |- | {{더 크게|{{lang|zh|指薪修祜 永綏吉劭}}}} |rowspan=2|손가락에 섶불을 단 듯 수양에 전념하면 영원토록 평안하고 길하리라. |- |지신수우 영수길소 |- | {{더 크게|{{lang|zh|矩步引領 俯仰廊廟}}}} |rowspan=2|반듯하게 걸으며 옷길을 끌고 사당에 엎드려 예의를 다하고 |- |구보인령 부앙낭묘 |- | {{더 크게|{{lang|zh|束帶矜莊 徘徊瞻眺}}}} |rowspan=2|허리띠를 단단히 묶어 긍지를 갖고 여러 곳을 두루 살펴라 |- |속대긍장 배회첨조 |- | {{더 크게|{{lang|zh|孤陋寡聞 愚蒙等誚}}}} |rowspan=2|(이런 글을 쓴 나는) 고루하고 들은 것 없어 어리석단 꾸짖음을 면치 못하리 |- |고루과문 우몽등초 |- | {{더 크게|{{lang|zh|謂語助者 焉哉乎也}}}} |rowspan=2|어조사에는 언재호야가 있다. |- |위어조자 언재호야 |} ==역주 == <references/> = 라이선스 = {{번역 저작권 |원문 = {{PD-old-100}} |번역 = {{PD-자작}} }} [[분류:한시]] 7w9p1a0rp0o5p7alk2ctsdaau7avdhf 391833 391832 2025-06-14T11:16:04Z 2406:5900:1001:2070:EFCF:2B5E:89B2:FD59 391833 wikitext text/x-wiki {{번역 머리말 |제목 = 천자문 |저자 = [[저자:주흥사|주흥사]] |역자 = [[사용자:jjw|jjw]]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위키백과|천자문}} 천자문(千字文)은 중국 남조 양(502~549)의 주흥사가 양 무제의 명을 받아 지은 책으로, 모두 다른 한자 1000자를 사용하여 1구 4자의 사언 고시 250구로 만들었다. 한문의 입문서로 널리 쓰였다. 2010년 8월 25일 석봉 한호의 필체를 목각한 《천자문》이 대한민국 보물 제1659호로 지정되었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200px; background:#eeffee;"| 원문 !background:#eeeeff;"| 번역 |- | {{더 크게|{{lang|zh|天地玄黃 宇宙洪荒}}}} |rowspan=2|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며 우주는 넓고도 크다. |- |천지현황 우주홍황<ref>독음은 [http://handic.daum.net/dicha/view_top.do 다음한자사전] 을 따랐다. 두음법칙에 의해 독음이 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리(李)는 낱말의 앞에 올경우 이로 적었다.</ref> |- | {{더 크게|{{lang|zh|日月盈昃 辰宿列張}}}} |rowspan=2| 해와 달이 차고 기울며 별은 자리를 잡아 늘어서 있다. |- |일월영측 진수열장 |- | {{더 크게|{{lang|zh|寒來暑往 秋收冬藏}}}} |rowspan=2| 추위가 오고 더위가 가니 가을엔 거두고 겨울엔 갈무리하여 둔다. |- | 한래서왕 추수동장 |- | {{더 크게|{{lang|zh|閏餘成歲 律呂調陽}}}} |rowspan=2| 윤달을 더하여 한해를 이루고 가락을 맞추어 양기를 돋운다. |- | 윤여성세 율려조양 |- | {{더 크게|{{lang|zh|雲騰致雨 露結*霜}}}} |rowspan=2| 구름은 올라가 비가 되고 이슬은 얼어 서리가 된다. |- | 운등치우 노결위상 |- | {{더 크게|{{lang|zh|金生麗水 玉出崑岡}}}} |rowspan=2| 금은 여수에서 나고 옥은 곤강에서 난다. |- | 금생여수 옥출곤강 |- | {{더 크게|{{lang|zh|劍號巨闕 珠稱夜光}}}} |rowspan=2| 검은 일컬어 거궐이요 구슬은 일컬어 야광이라. |- | 검호거궐 주칭야광 |- | {{더 크게|{{lang|zh|果珍李柰 菜重芥薑}}}} |rowspan=2| 과일 가운데 진미는 오얏과 능금이요 채소 가운데 중요한 것은 겨자와 생강이라. |- | 과진이내 채중개강 |- | {{더 크게|{{lang|zh|海鹹河淡 鱗潛羽翔}}}} |rowspan=2| 바다는 짜고 강물은 싱거우며 비늘 달린 물고기는 물에 잠기고 깃 달린 새는 높이 난다. |- | 해함하담 인잠우상 |- | {{더 크게|{{lang|zh|龍師火帝 鳥官人皇}}}} |rowspan=2| 복희씨<ref>복희는 뱀의 몸에 사람의 얼굴을 하였다고 하며 용사는 복희의 별칭이다.</ref>, 신농씨<ref>화제 또는 염제(炎帝)는 신농씨의 별칭이다</ref>, 소호<ref>소호는 새 이름을 관직명으로 삼았다고 한다.</ref> 와 황제헌원<ref>황제는 《황제내경》과 같은 의술서의 저자로 알려져 있어 인황이란 별칭이 붙었다.</ref> |- | 용사화제 조관인황 |- | {{더 크게|{{lang|zh|始制文字 乃服衣裳}}}} |rowspan=2| 문자를 처음 짓고 옷을 지어 입혔지. |- | 시제문자 내복의상 |- | {{더 크게|{{lang|zh|推位讓國 有虞陶唐}}}} |rowspan=2| 자리를 미루며 나라를 물려주니 유우<ref>순임금의 이름이다.</ref> 와 도당<ref>우 임금의 이름이다.</ref> 이라. |- | 추위양국 유우도당 |- | {{더 크게|{{lang|zh|弔民伐罪 周發殷湯}}}} |rowspan=2| 백성을 돕고 죄를 벌하니 주나라 무왕<ref>발(發)은 주 무왕의 이름</ref> 과 은나라 탕왕이라. |- | 조민벌죄 주발은탕 |- | {{더 크게|{{lang|zh|坐朝問道 垂拱平章}}}} |rowspan=2| 조정에 앉아 도를 묻기에 두 손으로 문장을 올리니, |- | 좌조문도 수공평장 |- | {{더 크게|{{lang|zh|愛育黎首 臣伏戎羌}}}} |rowspan=2| 백성을 아끼고<ref>여수(黎首)는 검은 머리, 즉 관직이 없는 백성을 말한다.</ref> 오랑캐가 신하로 복종하게 하소서. |- | 애육여수 신복융강 |- | {{더 크게|{{lang|zh|遐邇壹體 率賓歸王}}}} |rowspan=2| 멀고 가까운 곳이 하나가 되어 임금께 이끌려 따를 것입니다. |- | 하이일체 솔빈귀왕 |- | {{더 크게|{{lang|zh|鳴鳳在樹 白駒食場}}}} |rowspan=2|봉황은 나무에 내려 울고 흰망아지 풀을 뜯으니<ref>성군이 나면 봉황이 찾아와 울고 흰망아지가 나타난다는 전설에 빗대어 태평성대를 말함</ref> |- | 명봉재수 백구식장 |- | {{더 크게|{{lang|zh|化被草木 賴及萬方}}}} |rowspan=2| 덕화가 초목까지 미치고 만방에 퍼지리. |- | 화피초목 뇌급만방 |- | {{더 크게|{{lang|zh|蓋此身髮 四大五常}}}} |rowspan=2| 몸에 털이 덮힌 것과 같이 4대5상을 지키고<ref>4대는 하늘, 땅, 도(道), 임금. 5상은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ref> |- | 개차신발 사대오상 |- | {{더 크게|{{lang|zh|恭惟鞠養 豈敢毁傷}}}} |rowspan=2| 길러준 은혜를 공경하여 감히 상처를 내지 말아야 한다. |- | 공유국양 기감훼상 |- | {{더 크게|{{lang|zh|女慕貞烈 男效才良}}}} |rowspan=2|여자는 정조를 따르고 남자는 재량을 본받아 |- | 여모정렬 남효재량 |- | {{더 크게|{{lang|zh|知過必改 得能莫忘}}}} |rowspan=2|잘못이 있으면 반드시 고치고 배운 것은 잊지 말아야 한다. |- | 지과필개 득능막망 |- | {{더 크게|{{lang|zh|罔談彼短 靡恃己長}}}} |rowspan=2| 다른이의 단점을 입에 담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너무 믿지 마라 |- | 망담피단 미시기장 |- | {{더 크게|{{lang|zh|信使可覆 器欲難量}}}} |rowspan=2| 믿었던 장점이 뒤집힐 수 있고 다른 사람 기량은 헤아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 | 신사가복 기욕난량 |- | {{더 크게|{{lang|zh|墨悲絲染 詩讚羔羊}}}} |rowspan=2| 이 때문에 묵자는 실이 물드는 것을 탄식하였고<ref>묵자 소염론</ref> 시경은 고양을 찬송하였다.<ref>시경 고양편</ref> |- | 묵비사염 시찬고양 |- | {{더 크게|{{lang|zh|景行維賢 克念作聖}}}} |rowspan=2| 바르고 어진 것을 보고 행하여 지극히 생각하면 성인이 되고 |- | 경행유현 극념작성 |- | {{더 크게|{{lang|zh|德建名立 形端表正}}}} |rowspan=2|덕을 쌓아 이름을 세우면 바른 모양이 겉으로 드러난다. |- | 덕건명립 형단표정 |- | {{더 크게|{{lang|zh|空谷傳聲 虛堂習聽}}}} |rowspan=2| 빈 골짜기에 울리는 소리처럼 또한 빈집에서 들리는 소리처럼 |- | 공곡전성 허당습청 |- | {{더 크게|{{lang|zh|禍因惡積 福緣善慶}}}} |rowspan=2| 화는 악행을 쌓은 것이 원인이요 복은 선행의 결과이다. |- | 화인악적 복연선경 |- | {{더 크게|{{lang|zh|尺璧非寶 寸陰是競}}}} |rowspan=2| 커다란 옥 구슬이<ref>여기서 벽은 완벽의 유래가 된 옥구슬을 말한다. 척(尺)과 촌(寸)은 길이의 단위이나 크고 작은 것으로 의역하였다.</ref> 보배가 아니니 작은 시간을 경주하여야 하여라. |- | 척벽비보 촌음시경 |- | {{더 크게|{{lang|zh|資父事君 曰嚴與敬}}}} |rowspan=2|부모를 모시고 임금을 섬기는 것은 엄정하면서도 정성스러워야 하는 것이니 |- | 자부사군 왈엄여경 |- | {{더 크게|{{lang|zh|孝當竭力 忠則盡命}}}} |rowspan=2| 효도는 마땅히 온 힘을 다해야 하고 충성은 목숨도 바쳐야 하는 것이다. |- | 효당갈력 충즉진명 |- | {{더 크게|{{lang|zh|臨深履薄 夙興溫凊}}}} |rowspan=2| 깊은 곳을 만나도 살얼음 지나듯 조심하고 일찍 일어나 덥고 차가운지 살피는 것(이 효도하는 마음가짐이며) |- | 임심리박 숙흥온정 |- | {{더 크게|{{lang|zh|似蘭斯馨 如松之盛}}}} |rowspan=2| 난초와 같이 향기롭고 소나무처럼 굳센 것(이 충성하는 마음가짐이다.) |- | 사란사형 여송지성 |- | {{더 크게|{{lang|zh|川流不息 淵澄取映}}}} |rowspan=2| 냇물을 쉬지 않고 흐르고 연못은 맑아 그림자를 비추듯 |- | 천류불식 연징취영 |- | {{더 크게|{{lang|zh|容止若思 言辭安定}}}} |rowspan=2| 얼굴은 생각과 같게 하고 말은 안정되게 하여야 한다. |- | 용지약사 언사안정 |- | {{더 크게|{{lang|zh|篤初誠美 愼終宜令}}}} |rowspan=2| 일을 시작할 때에 정성을 다하고 마무리 지을 때에도 신중히 하면 |- | 독초성미 신종의령 |- | {{더 크게|{{lang|zh|榮業所基 籍甚無竟}}}} |rowspan=2| 이를 바탕으로 이루는 업적이 끝없으리라. |- | 영업소기 적심무경 |- | {{더 크게|{{lang|zh|學優登仕 攝職從政}}}} |rowspan=2| 학문이 뛰어나 벼슬에 올라 직무를 맞고 정사를 돌볼 때에 |- | 학우등사 섭직종정 |- | {{더 크게|{{lang|zh|存以甘棠 去而益詠}}}} |rowspan=2| 벼슬을 맡아 팥배나무 밑에서 정사를 본 소공과 같이 청렴하면 물러날 때 칭송을 들을 것이다.<ref>감당(甘棠)은 팥배나무이다. 주나라 소공은 팥배나무 아래에서 정사를 보고 공명 정대하며 청렴하였다고 한다. 소공이 죽자 백성들이 그를 그리워하며 감당시를 읇었다. 시경 국풍편 감당</ref> |- | 존이감당 거이익영 |- | {{더 크게|{{lang|zh|樂殊貴賤 禮別尊卑}}}} |rowspan=2| 즐거움에 귀천이 없으나 예절에는 존비가 있으니 |- | 악수귀천 예별존비 |- | {{더 크게|{{lang|zh|上和下睦 夫唱婦隨}}}} |rowspan=2| 상하가 화목하고 부부가 원만하며<ref>사자성어 부창부수의 출전이다.</ref> |- | 상화하목 부창부수 |- | {{더 크게|{{lang|zh|外受傅訓 入奉母儀}}}} |rowspan=2| 밖에서는 스승의 가르침을 받고 안에서는 어머니의 뜻을 받을며 |- | 외수부훈 입봉모의 |- | {{더 크게|{{lang|zh|諸姑伯叔 猶子比兒}}}} |rowspan=2| 모든 고모 삼촌의 아이를 내 아이라 여기고 |- | 제고백숙 유자비아 |- | {{더 크게|{{lang|zh|孔懷兄弟 同氣連枝}}}} |rowspan=2| 형제는 서로 품어주니 같은 기운에서 나온 가지기 때문이고 |- | 공회형제 동기연지 |- | {{더 크게|{{lang|zh|交友投分 切磨箴規}}}} |rowspan=2| 벗을 사귈 때는 가려서 사귀고 규범을 염두에 두어 절제하여 |- | 교우투분 절마잠규 |- | {{더 크게|{{lang|zh|仁慈隱惻 造次弗離}}}} |rowspan=2| 어질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대하여 떠나지 말아야 하고 |- | 인자은측 조차불리 |- | {{더 크게|{{lang|zh|節義廉退 顛沛匪虧}}}} |rowspan=2| 절의를 지키고 청렴히 물러나 이러한 (예의가) 이지러지지 않게 하여야 한다. |- | 절의염퇴 전패비휴 |- | {{더 크게|{{lang|zh|性靜情逸 心動神疲}}}} |rowspan=2| 성정이 고요하면 심정이 편안하고 마음이 동요하면 정신이 피로하니 |- | 성정정일 심동신피 |- | {{더 크게|{{lang|zh|守眞志滿 逐物意移}}}} |rowspan=2| 참 뜻이 가득하도록 지키고 물욕을 멀리하라. |- | 수진지만 축물의이 |- | {{더 크게|{{lang|zh|堅持雅操 好爵自縻}}}} |rowspan=2| 우아하고 절개가 있으면 관작은 스스로 오게 되어 있다. |- | 견지아조 호작자미 |- | {{더 크게|{{lang|zh|都邑華夏 東西二京}}}} |rowspan=2| 화하<ref>중국의 별칭</ref> 의 도읍은 동서 2경이라 |- |도읍화하 동서이경 |- | {{더 크게|{{lang|zh|背邙面洛 浮渭據涇}}}} |rowspan=2|낙양은 북망산을 등지고 낙수를 마주하고 장안에는 위수와 경수가 흐르는 구나. |- |배망면락 부위거경 |- | {{더 크게|{{lang|zh|宮殿盤鬱 樓觀飛驚}}}} |rowspan=2|궁전은 울창한 숲에 쌓였고 누각에 올라 놀라운 경치를 보며 |- |궁전반울 누관비경 |- | {{더 크게|{{lang|zh|圖寫禽獸 畵綵仙靈}}}} |rowspan=2|날짐승 들짐승을 그리니 신선 사는 그림이로구나. |- |도사금수 화채선령 |- | {{더 크게|{{lang|zh|丙舍傍啟 甲帳對楹}}}} |rowspan=2|병사<ref>궁전 내에 있는 건물들을 뜻하는 낱말</ref> 옆을 열어 갑장<ref>동방삭이 만들었다는 장막</ref> 이 기둥을 마주하게 하고 |- | 병사방계 갑장대영 |- | {{더 크게|{{lang|zh|肆筵設席 鼓瑟吹笙}}}} |rowspan=2|자리를 마련해 연회를 열고 비파를 뜯고 생황을 부니 |- |사연설석 고슬취생 |- | {{더 크게|{{lang|zh|升階納陛 弁轉疑星}}}} |rowspan=2| 계단을 올라 납폐하는 신료들은 별인듯 번쩍이고 |- |승계납폐 변전의성 |- | {{더 크게|{{lang|zh|右通廣內 左達承明}}}} |rowspan=2| 오른쪽은 광내로 통하고 왼쪽은 승명에 닿아<ref>광내와 승명은 모두 고대 중국 궁내의 관직처</ref> |- |우통광내 좌달승명 |- | {{더 크게|{{lang|zh|既集墳典 亦聚群英}}}} |rowspan=2| 이미 분전<ref>삼황오제 시절의 법률과 의전을 뜻한다.</ref> 을 모은 곳에 영웅들이 모였도다. |- |기집분전 역취군영 |- | {{더 크게|{{lang|zh|杜稾鍾隸 漆書壁經}}}} |rowspan=2| 두고<ref>초서를 처음 썼다고 전해진다.</ref> 와 종례<ref>예서로 이름이 알려져 있다.</ref> 의 글 칠서<ref>대나무에 칠을 한 뒤 쓴 글, 종이가 없던 시절에 사용하였다.</ref> 와 벽경<ref>공자에게서 전해 왔다는 육경</ref> |- |두고종례 칠서벽경 |- | {{더 크게|{{lang|zh|府羅將相 路俠槐卿}}}} |rowspan=2|각 부에 장군과 재상이 있어 고관이 즐비하여 길이 좁다. |- |부라장상 노협괴경 |- | {{더 크게|{{lang|zh|戶封八縣 家給千兵}}}} |rowspan=2|여덟 고을을 봉지로 주고 천명의 군사로 지키게 하니<ref>한고조의 논공행상을 가리킨다.</ref> |- |호봉팔현 가급천병 |- | {{더 크게|{{lang|zh|高冠陪輦 驅轂振纓}}}} |rowspan=2|높은 관을 쓰고 수레에올라 바퀴를 구르며 갓끈을 떨치는 구나. |- |고관배련 구곡진영 |- | {{더 크게|{{lang|zh|世祿侈富 車駕肥輕}}}} |rowspan=2| 대대로 받는 녹으로 부귀를 누리며 수레는 (제물로) 무겁고 가마는 가벼우니 |- |세록치부 거가비경 |- | {{더 크게|{{lang|zh|策功茂實 勒碑刻銘}}}} |rowspan=2|끝없이 쌓은 공적 비석에 세기는 구나. |- |책공무실 늑비각명 |- | {{더 크게|{{lang|zh|磻溪伊尹 佐時阿衡}}}} |rowspan=2| 반계의 (태공망)과 (탕왕을 도운) 이윤은 때가 도와 아형의 벼슬에 올랐고 |- |반계이윤 좌시아형 |- | {{더 크게|{{lang|zh|奄宅曲阜 微旦孰營}}}} |rowspan=2| 곡부에 궁전을 지은 것은 주공 단<ref>주문왕의 아우, 노나라의 시조</ref> 이 아니면 누가할 것인가 |- |엄택곡부 미단숙영 |- | {{더 크게|{{lang|zh|桓公匡合 濟弱扶傾}}}} |rowspan=2|환공은 제후를 널리 합쳐 기울어져가는 나라를 구했지 |- |환공광합 제약부경 |- | {{더 크게|{{lang|zh|綺迴漢惠 說感武丁}}}} |rowspan=2|기리계<ref>한고조가 죽고 여희가 여씨 일족에서 황제를 즉위시키고자 하였으나 장량은 기리계의 도움으로 혜제가 즉위하도록 하였다.</ref> 가 한 혜제를 회복시키고 부열이 무정을 감동시키듯.<ref>은 나라 무정이 부열에게 감동하여 선정을 배풀었다는 고사</ref> |- |기회한혜 설감무정 |- | {{더 크게|{{lang|zh|俊乂密勿 多士寔寧}}}} |rowspan=2|준걸과 예사가 모이니 참으로 평안하구나. |- |준예밀물 다사식녕 |- | {{더 크게|{{lang|zh|晉楚更霸 趙魏困橫}}}} |rowspan=2|진과 초가 다시 패자가 되고 조와위는 연횡으로 곤궁에 빠져 |- |진초갱패 조위곤횡 |- | {{더 크게|{{lang|zh|假途滅虢 踐土會盟}}}} |rowspan=2|진은 위계를 써 괵을 멸하고 천토에서 회맹하였고 |- |가도멸괵 천토회맹 |- | {{더 크게|{{lang|zh|何遵約法 韓弊煩刑}}}} |rowspan=2|어찌 (한고조의) 약법을 두고 한비자의 낡고 번잡한 형벌을 따를 것인가 |- |하준약법 한폐번형 |- | {{더 크게|{{lang|zh|起翦頗牧 用軍最精}}}} |rowspan=2| 백기 왕전 염파 이목은 군사를 가장 잘 다루었고 |- |기전파목 용군최정 |- | {{더 크게|{{lang|zh|宣威沙漠 馳譽丹青}}}} |rowspan=2|위엄을 사막에까지 떨치니 단청에 넣어 기리는 구나. |- |선위사막 치예단청 |- | {{더 크게|{{lang|zh|九州禹跡 百郡秦幷}}}} |rowspan=2| 하우씨가 구주를 두어 백군이 진에 병합되고 |- |구주우적 백군진병 |- | {{더 크게|{{lang|zh|嶽宗恆岱 禪主云亭}}}} |rowspan=2| 산중 으뜸은 항산과 태산이라 임금을 정하는 운정이 그곳에 있으며 |- |악종항대 선주운정 |- | {{더 크게|{{lang|zh|雁門紫塞 雞田赤城}}}} |rowspan=2| 안문관과 만리장성, 계전과 적성 |- |안문자새 계전적성 |- | {{더 크게|{{lang|zh|昆池碣石 鉅野洞庭}}}} |rowspan=2| 운남의 곤지와 부평의 갈석, 거야의 넓은 들판과 동정의 큰 호수 |- |곤지갈석 거야동정 |- | {{더 크게|{{lang|zh|曠遠緜邈 巖岫杳冥}}}} |rowspan=2|아득히 멀리 줄지어 있으니 아득하고 묘연하구나. |- |광원면막 암수묘명 |- | {{더 크게|{{lang|zh|治本於農 務茲稼穡}}}} |rowspan=2| 다스림의 근본은 농업이니 때를 맞추어 심고 거두어야 하리 |- |치본어농 무자가색 |- | {{더 크게|{{lang|zh|俶載南畝 我藝黍稷}}}} |rowspan=2|이제 남쪽 이랑을 일궈 나는 기장과 피를 가꾸어 |- |숙재남묘 아예서직 |- | {{더 크게|{{lang|zh|稅熟貢新 勸賞黜陟}}}} |rowspan=2| 익으면 세를 내고 햇곡식으로 제사를 지내 상을 권하고 (못된 자는) 내쫓으리라. |- |세숙공신 권상출척 |- | {{더 크게|{{lang|zh|孟軻敦素 史魚秉直}}}} |rowspan=2|맹자는 도타운 사람이었고 사어는 강직했으니 |- |맹가돈소 사어병직 |- | {{더 크게|{{lang|zh|庶幾中庸 勞謙謹敕}}}} |rowspan=2|중용을 으뜸으로 삼고 겸손에 힘쓰고 경계해야지 |- |서기중용 노겸근칙 |- | {{더 크게|{{lang|zh|聆音察理 鑑貌辨色}}}} |rowspan=2|들리는 소리 자세히 살피고 거울에 비치는 모양 꼼꼼히 구별하고 |- |영음찰리 감모변색 |- | {{더 크게|{{lang|zh|貽厥嘉猷 勉其祗植}}}} |rowspan=2|그 아름다움이 후세에 미치도록 그 덕을 쌓기를 부지런히 하며 |- |이궐가유 면기지식 |- | {{더 크게|{{lang|zh|省躬譏誡 寵增抗極}}}} |rowspan=2|몸을 살펴 나무라고 탓할 일은 없는지 반성하고 총애가 늘면 더욱 조심하여야 한다. |- |성궁기계 총증항극 |- | {{더 크게|{{lang|zh|殆辱近恥 林皋幸即}}}} |rowspan=2| 위태로운 치욕은 부끄러운 일에 의한 것이니 수풀과 언덕에 있는 것이 도리어 다행이다. |- |태욕근치 임고행즉 |- | {{더 크게|{{lang|zh|兩疏見機 解組誰逼}}}} |rowspan=2| 양소<ref>한나라의 소광과 소수</ref> 는 기회를 보아 관복을 벗으니 누가 핍박하였으랴 |- |양소견기 해조수핍 |- | {{더 크게|{{lang|zh|索居閒處 沈默寂寥}}}} |rowspan=2|한가한 곳을 찾아 살며 고요히 살며 침묵한 채 |- |색거한처 침묵적요 |- | {{더 크게|{{lang|zh|求古尋論 散慮逍遙}}}} |rowspan=2|옛일을 두고 논장을 찾고 염려를 잊고 소요하니 |- |구고심론 산려소요 |- | {{더 크게|{{lang|zh|欣奏累遣 慼謝歡招}}}} |rowspan=2|기쁜 일은 알리고 누추한 것은 보내며 슬픈 일은 마다하고 기쁜 일을 환영하리 |- |흔주루견 척사환초 |- | {{더 크게|{{lang|zh|渠荷的歷 園莽抽條}}}} |rowspan=2|도랑에 핀 연꽃의 이력, 동산에 자란 풀 가지 |- |거하적력 원망추조 |- | {{더 크게|{{lang|zh|枇杷晚翠 梧桐早凋}}}} |rowspan=2|비파나무 만추에도 푸르른데 오동나무 일찍이 시들었고 |- |비파만취 오동조조 |- | {{더 크게|{{lang|zh|陳根委翳 落葉飄颻}}}} |rowspan=2|고목 뿌리 덮은 낙엽 바람에 날리니 |- |진근위예 낙엽표요 |- | {{더 크게|{{lang|zh|遊鵾獨運 凌摩絳霄}}}} |rowspan=2|댓닭 한 마리 홀로 해엄치며 노을진 하늘을 업수이 여기고 |- |유곤독운 능마강소 |- | {{더 크게|{{lang|zh|耽讀翫市 寓目囊箱}}}} |rowspan=2|(한나라 왕총은) 독서를 즐겨 한 번 보면 상자에 넣은 듯 (잊지 않았다지) |- |탐독완시 우목낭상 |- | {{더 크게|{{lang|zh|易輶攸畏 屬耳垣墻}}}} |rowspan=2|가벼이 경솔하게 구는 것을 두려워하는 까닭은 담장에도 귀가 있다 하기 때문 |- |역유유외 속이원장 |- | {{더 크게|{{lang|zh|具膳飡飯 適口充腸}}}} |rowspan=2|반찬이나 저녁밥이야 먹고 배를 채우면 그만인 것 |- |구선손반 적구충장 |- | {{더 크게|{{lang|zh|飽飫烹宰 飢厭糟糠}}}} |rowspan=2|배부르면 재상의 요리도 물리게 되고 배 고프면 겨 지게미로도 족하니 |- |포어팽재 기염조강 |- | {{더 크게|{{lang|zh|親戚故舊 老少異糧}}}} |rowspan=2|친척이나 옛친구 노소에 따라 음식도 다를 밖에 |- |친척고구 노소이량 |- | {{더 크게|{{lang|zh|妾御績紡 侍巾帷房}}}} |rowspan=2|아내가 길쌈하여 어른 방에 수건을 받들고 |- |첩어적방 시건유방 |- | {{더 크게|{{lang|zh|紈扇圓潔 銀燭煒煌}}}} |rowspan=2|흰 비단으로 지은 부채 둥글고 깨끗하며 은촛대 불빛 밝으니 |- |환선원결 은촉위황 |- | {{더 크게|{{lang|zh|晝眠夕寐 藍笋象床}}}} |rowspan=2|낮에 자고 저녁에 또 자려 푸른 대로 코끼리 침상을 만들지 |- |주면석매 남순상상 |- | {{더 크게|{{lang|zh|絃歌酒讌 接盃舉觴}}}} |rowspan=2|거문거를 뜯고 노래를 부르며 주연을 열고 술잔을 들어 부딛히고 |- |현가주연 접배거상 |- | {{더 크게|{{lang|zh|矯手頓足 悅豫且康}}}} |rowspan=2|손을 들고 발을 움직여 춤추며 이처럼 평안함을 즐거워하세 |- |교수돈족 열예차강 |- | {{더 크게|{{lang|zh|嫡後嗣續 祭祀烝嘗}}}} |rowspan=2| 맏이는 뒤를 이어 제사를 지내어 |- |적후사속 제사증상 |- | {{더 크게|{{lang|zh|稽顙再拜 悚懼恐惶}}}} |rowspan=2|이마를 조아려 두 번 절하여 송구하고 두려운 마음을 보여야 한다. |- |계상재배 송구공황 |- | {{더 크게|{{lang|zh|牋牒簡要 顧答審詳}}}} |rowspan=2|편지는 간략히 요지만 쓰고 답신은 자세히 살펴서 하라. |- |전첩간요 고답심상 |- | {{더 크게|{{lang|zh|骸垢想浴 執熱願涼}}}} |rowspan=2|몸에 때가 끼면 목욕할 생각이 나고 열이 차면 서늘하기를 원하게 되는 것 |- |해구상욕 집열원량 |- | {{더 크게|{{lang|zh|驢騾犢特 駭躍超驤}}}} |rowspan=2|노새며 망아지, 숫송아지가 놀라뛰며 내달리듯 |- |여라독특 해약초양 |- | {{더 크게|{{lang|zh|誅斬賊盜 捕獲叛亡}}}} |rowspan=2|적도는 잡아 죽이고 배역자는 잡아들이리 |- |주참적도 포획반망 |- | {{더 크게|{{lang|zh|布射遼丸 嵇琴阮嘯}}}} |rowspan=2|여포는 활 잘 쏘았고 의료는 돌 잘 던졌으며 혜강은 금을 잘켰고 완적은 휘파람을 잘 불었지 |- |포사료환 혜금완소 |- | {{더 크게|{{lang|zh|恬筆倫紙 鈞巧任釣}}}} |rowspan=2|붓을 만든 건 몽념 종이를 만든 건 채륜, 마륜의 교묘한 솜씨<ref>마륜은 지남차를 만들었다고 한다.</ref> 임공자의 낚시대<ref>장자에 나오는 이야기이다.</ref> |- |염필윤지 균교임조 |- | {{더 크게|{{lang|zh|釋紛利俗 竝皆佳妙}}}} |rowspan=2|이러한 재주를 세상에 푸니 모두다 뛰어나고 신기하였다. |- |석분리속 병개가묘 |- | {{더 크게|{{lang|zh|毛施淑姿 工顰妍笑}}}} |rowspan=2|오나라 모타와 월나라 서시의 자태는 찡그린 모습도 아름다워라 |- |모시숙자 공빈연소 |- | {{더 크게|{{lang|zh|年矢每催 曦暉朗耀}}}} |rowspan=2| 세월은 살같이 언제나 제촉하나 햇빛 달빛은 밝게 빛나 |- |연시매최 희휘낭요 |- | {{더 크게|{{lang|zh|璇璣懸斡 晦魄環照}}}} |rowspan=2|천문을 보는 기계 매달려 돌듯 그믐이 지나 다시 보름이 되니 |- |선기현알 회백환조 |- | {{더 크게|{{lang|zh|指薪修祜 永綏吉劭}}}} |rowspan=2|손가락에 섶불을 단 듯 수양에 전념하면 영원토록 평안하고 길하리라. |- |지신수우 영수길소 |- | {{더 크게|{{lang|zh|矩步引領 俯仰廊廟}}}} |rowspan=2|반듯하게 걸으며 옷길을 끌고 사당에 엎드려 예의를 다하고 |- |구보인령 부앙낭묘 |- | {{더 크게|{{lang|zh|束帶矜莊 徘徊瞻眺}}}} |rowspan=2|허리띠를 단단히 묶어 긍지를 갖고 여러 곳을 두루 살펴라 |- |속대긍장 배회첨조 |- | {{더 크게|{{lang|zh|孤陋寡聞 愚蒙等誚}}}} |rowspan=2|(이런 글을 쓴 나는) 고루하고 들은 것 없어 어리석단 꾸짖음을 면치 못하리 |- |고루과문 우몽등초 |- | {{더 크게|{{lang|zh|謂語助者 焉哉乎也}}}} |rowspan=2|어조사에는 언재호야가 있다. |- |위어조자 언재호야 |} ==역주 == <references/> = 라이선스 = {{번역 저작권 |원문 = {{PD-old-100}} |번역 = {{PD-자작}} }} [[분류:한시]] 53t0n0xl5aepwoxqnkdk9eisx2pmtip 391834 391833 2025-06-14T11:16:51Z 2406:5900:1001:2070:EFCF:2B5E:89B2:FD59 391834 wikitext text/x-wiki {{번역 머리말 |제목 = 천자문 |저자 = [[저자:주흥사|주흥사]] |역자 = [[사용자:jjw|jjw]]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위키백과|천자문}} 천자문(千字文)은 중국 남조 양(502~549)의 주흥사가 양 무제의 명을 받아 지은 책으로, 모두 다른 한자 1000자를 사용하여 1구 4자의 사언 고시 250구로 만들었다. 한문의 입문서로 널리 쓰였다. 2010년 8월 25일 석봉 한호의 필체를 목각한 《천자문》이 대한민국 보물 제1659호로 지정되었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200px; background:#eeffee;"| 원문 !background:#eeeeff;"| 번역 |- | {{더 크게|{{lang|zh|天地玄黃 宇宙洪荒}}}} |rowspan=2|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며 우주는 넓고도 크다. |- |천지현황 우주홍황<ref>독음은 [http://handic.daum.net/dicha/view_top.do 다음한자사전] 을 따랐다. 두음법칙에 의해 독음이 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리(李)는 낱말의 앞에 올경우 이로 적었다.</ref> |- | {{더 크게|{{lang|zh|日月盈昃 辰宿列張}}}} |rowspan=2| 해와 달이 차고 기울며 별은 자리를 잡아 늘어서 있다. |- |일월영측 진수열장 |- | {{더 크게|{{lang|zh|寒來暑往 秋收冬藏}}}} |rowspan=2| 추위가 오고 더위가 가니 가을엔 거두고 겨울엔 갈무리하여 둔다. |- | 한래서왕 추수동장 |- | {{더 크게|{{lang|zh|閏餘成歲 律呂調陽}}}} |rowspan=2| 윤달을 더하여 한해를 이루고 가락을 맞추어 양기를 돋운다. |- | 윤여성세 율려조양 |- | {{더 크게|{{lang|zh|雲騰致雨 露結爲霜}}}} |rowspan=2| 구름은 올라가 비가 되고 이슬은 얼어 서리가 된다. |- | 운등치우 노결위상 |- | {{더 크게|{{lang|zh|金生麗水 玉出崑岡}}}} |rowspan=2| 금은 여수에서 나고 옥은 곤강에서 난다. |- | 금생여수 옥출곤강 |- | {{더 크게|{{lang|zh|劍號巨闕 珠稱夜光}}}} |rowspan=2| 검은 일컬어 거궐이요 구슬은 일컬어 야광이라. |- | 검호거궐 주칭야광 |- | {{더 크게|{{lang|zh|果珍李柰 菜重芥薑}}}} |rowspan=2| 과일 가운데 진미는 오얏과 능금이요 채소 가운데 중요한 것은 겨자와 생강이라. |- | 과진이내 채중개강 |- | {{더 크게|{{lang|zh|海鹹河淡 鱗潛羽翔}}}} |rowspan=2| 바다는 짜고 강물은 싱거우며 비늘 달린 물고기는 물에 잠기고 깃 달린 새는 높이 난다. |- | 해함하담 인잠우상 |- | {{더 크게|{{lang|zh|龍師火帝 鳥官人皇}}}} |rowspan=2| 복희씨<ref>복희는 뱀의 몸에 사람의 얼굴을 하였다고 하며 용사는 복희의 별칭이다.</ref>, 신농씨<ref>화제 또는 염제(炎帝)는 신농씨의 별칭이다</ref>, 소호<ref>소호는 새 이름을 관직명으로 삼았다고 한다.</ref> 와 황제헌원<ref>황제는 《황제내경》과 같은 의술서의 저자로 알려져 있어 인황이란 별칭이 붙었다.</ref> |- | 용사화제 조관인황 |- | {{더 크게|{{lang|zh|始制文字 乃服衣裳}}}} |rowspan=2| 문자를 처음 짓고 옷을 지어 입혔지. |- | 시제문자 내복의상 |- | {{더 크게|{{lang|zh|推位讓國 有虞陶唐}}}} |rowspan=2| 자리를 미루며 나라를 물려주니 유우<ref>순임금의 이름이다.</ref> 와 도당<ref>우 임금의 이름이다.</ref> 이라. |- | 추위양국 유우도당 |- | {{더 크게|{{lang|zh|弔民伐罪 周發殷湯}}}} |rowspan=2| 백성을 돕고 죄를 벌하니 주나라 무왕<ref>발(發)은 주 무왕의 이름</ref> 과 은나라 탕왕이라. |- | 조민벌죄 주발은탕 |- | {{더 크게|{{lang|zh|坐朝問道 垂拱平章}}}} |rowspan=2| 조정에 앉아 도를 묻기에 두 손으로 문장을 올리니, |- | 좌조문도 수공평장 |- | {{더 크게|{{lang|zh|愛育黎首 臣伏戎羌}}}} |rowspan=2| 백성을 아끼고<ref>여수(黎首)는 검은 머리, 즉 관직이 없는 백성을 말한다.</ref> 오랑캐가 신하로 복종하게 하소서. |- | 애육여수 신복융강 |- | {{더 크게|{{lang|zh|遐邇壹體 率賓歸王}}}} |rowspan=2| 멀고 가까운 곳이 하나가 되어 임금께 이끌려 따를 것입니다. |- | 하이일체 솔빈귀왕 |- | {{더 크게|{{lang|zh|鳴鳳在樹 白駒食場}}}} |rowspan=2|봉황은 나무에 내려 울고 흰망아지 풀을 뜯으니<ref>성군이 나면 봉황이 찾아와 울고 흰망아지가 나타난다는 전설에 빗대어 태평성대를 말함</ref> |- | 명봉재수 백구식장 |- | {{더 크게|{{lang|zh|化被草木 賴及萬方}}}} |rowspan=2| 덕화가 초목까지 미치고 만방에 퍼지리. |- | 화피초목 뇌급만방 |- | {{더 크게|{{lang|zh|蓋此身髮 四大五常}}}} |rowspan=2| 몸에 털이 덮힌 것과 같이 4대5상을 지키고<ref>4대는 하늘, 땅, 도(道), 임금. 5상은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ref> |- | 개차신발 사대오상 |- | {{더 크게|{{lang|zh|恭惟鞠養 豈敢毁傷}}}} |rowspan=2| 길러준 은혜를 공경하여 감히 상처를 내지 말아야 한다. |- | 공유국양 기감훼상 |- | {{더 크게|{{lang|zh|女慕貞烈 男效才良}}}} |rowspan=2|여자는 정조를 따르고 남자는 재량을 본받아 |- | 여모정렬 남효재량 |- | {{더 크게|{{lang|zh|知過必改 得能莫忘}}}} |rowspan=2|잘못이 있으면 반드시 고치고 배운 것은 잊지 말아야 한다. |- | 지과필개 득능막망 |- | {{더 크게|{{lang|zh|罔談彼短 靡恃己長}}}} |rowspan=2| 다른이의 단점을 입에 담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너무 믿지 마라 |- | 망담피단 미시기장 |- | {{더 크게|{{lang|zh|信使可覆 器欲難量}}}} |rowspan=2| 믿었던 장점이 뒤집힐 수 있고 다른 사람 기량은 헤아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 | 신사가복 기욕난량 |- | {{더 크게|{{lang|zh|墨悲絲染 詩讚羔羊}}}} |rowspan=2| 이 때문에 묵자는 실이 물드는 것을 탄식하였고<ref>묵자 소염론</ref> 시경은 고양을 찬송하였다.<ref>시경 고양편</ref> |- | 묵비사염 시찬고양 |- | {{더 크게|{{lang|zh|景行維賢 克念作聖}}}} |rowspan=2| 바르고 어진 것을 보고 행하여 지극히 생각하면 성인이 되고 |- | 경행유현 극념작성 |- | {{더 크게|{{lang|zh|德建名立 形端表正}}}} |rowspan=2|덕을 쌓아 이름을 세우면 바른 모양이 겉으로 드러난다. |- | 덕건명립 형단표정 |- | {{더 크게|{{lang|zh|空谷傳聲 虛堂習聽}}}} |rowspan=2| 빈 골짜기에 울리는 소리처럼 또한 빈집에서 들리는 소리처럼 |- | 공곡전성 허당습청 |- | {{더 크게|{{lang|zh|禍因惡積 福緣善慶}}}} |rowspan=2| 화는 악행을 쌓은 것이 원인이요 복은 선행의 결과이다. |- | 화인악적 복연선경 |- | {{더 크게|{{lang|zh|尺璧非寶 寸陰是競}}}} |rowspan=2| 커다란 옥 구슬이<ref>여기서 벽은 완벽의 유래가 된 옥구슬을 말한다. 척(尺)과 촌(寸)은 길이의 단위이나 크고 작은 것으로 의역하였다.</ref> 보배가 아니니 작은 시간을 경주하여야 하여라. |- | 척벽비보 촌음시경 |- | {{더 크게|{{lang|zh|資父事君 曰嚴與敬}}}} |rowspan=2|부모를 모시고 임금을 섬기는 것은 엄정하면서도 정성스러워야 하는 것이니 |- | 자부사군 왈엄여경 |- | {{더 크게|{{lang|zh|孝當竭力 忠則盡命}}}} |rowspan=2| 효도는 마땅히 온 힘을 다해야 하고 충성은 목숨도 바쳐야 하는 것이다. |- | 효당갈력 충즉진명 |- | {{더 크게|{{lang|zh|臨深履薄 夙興溫凊}}}} |rowspan=2| 깊은 곳을 만나도 살얼음 지나듯 조심하고 일찍 일어나 덥고 차가운지 살피는 것(이 효도하는 마음가짐이며) |- | 임심리박 숙흥온정 |- | {{더 크게|{{lang|zh|似蘭斯馨 如松之盛}}}} |rowspan=2| 난초와 같이 향기롭고 소나무처럼 굳센 것(이 충성하는 마음가짐이다.) |- | 사란사형 여송지성 |- | {{더 크게|{{lang|zh|川流不息 淵澄取映}}}} |rowspan=2| 냇물을 쉬지 않고 흐르고 연못은 맑아 그림자를 비추듯 |- | 천류불식 연징취영 |- | {{더 크게|{{lang|zh|容止若思 言辭安定}}}} |rowspan=2| 얼굴은 생각과 같게 하고 말은 안정되게 하여야 한다. |- | 용지약사 언사안정 |- | {{더 크게|{{lang|zh|篤初誠美 愼終宜令}}}} |rowspan=2| 일을 시작할 때에 정성을 다하고 마무리 지을 때에도 신중히 하면 |- | 독초성미 신종의령 |- | {{더 크게|{{lang|zh|榮業所基 籍甚無竟}}}} |rowspan=2| 이를 바탕으로 이루는 업적이 끝없으리라. |- | 영업소기 적심무경 |- | {{더 크게|{{lang|zh|學優登仕 攝職從政}}}} |rowspan=2| 학문이 뛰어나 벼슬에 올라 직무를 맞고 정사를 돌볼 때에 |- | 학우등사 섭직종정 |- | {{더 크게|{{lang|zh|存以甘棠 去而益詠}}}} |rowspan=2| 벼슬을 맡아 팥배나무 밑에서 정사를 본 소공과 같이 청렴하면 물러날 때 칭송을 들을 것이다.<ref>감당(甘棠)은 팥배나무이다. 주나라 소공은 팥배나무 아래에서 정사를 보고 공명 정대하며 청렴하였다고 한다. 소공이 죽자 백성들이 그를 그리워하며 감당시를 읇었다. 시경 국풍편 감당</ref> |- | 존이감당 거이익영 |- | {{더 크게|{{lang|zh|樂殊貴賤 禮別尊卑}}}} |rowspan=2| 즐거움에 귀천이 없으나 예절에는 존비가 있으니 |- | 악수귀천 예별존비 |- | {{더 크게|{{lang|zh|上和下睦 夫唱婦隨}}}} |rowspan=2| 상하가 화목하고 부부가 원만하며<ref>사자성어 부창부수의 출전이다.</ref> |- | 상화하목 부창부수 |- | {{더 크게|{{lang|zh|外受傅訓 入奉母儀}}}} |rowspan=2| 밖에서는 스승의 가르침을 받고 안에서는 어머니의 뜻을 받을며 |- | 외수부훈 입봉모의 |- | {{더 크게|{{lang|zh|諸姑伯叔 猶子比兒}}}} |rowspan=2| 모든 고모 삼촌의 아이를 내 아이라 여기고 |- | 제고백숙 유자비아 |- | {{더 크게|{{lang|zh|孔懷兄弟 同氣連枝}}}} |rowspan=2| 형제는 서로 품어주니 같은 기운에서 나온 가지기 때문이고 |- | 공회형제 동기연지 |- | {{더 크게|{{lang|zh|交友投分 切磨箴規}}}} |rowspan=2| 벗을 사귈 때는 가려서 사귀고 규범을 염두에 두어 절제하여 |- | 교우투분 절마잠규 |- | {{더 크게|{{lang|zh|仁慈隱惻 造次弗離}}}} |rowspan=2| 어질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대하여 떠나지 말아야 하고 |- | 인자은측 조차불리 |- | {{더 크게|{{lang|zh|節義廉退 顛沛匪虧}}}} |rowspan=2| 절의를 지키고 청렴히 물러나 이러한 (예의가) 이지러지지 않게 하여야 한다. |- | 절의염퇴 전패비휴 |- | {{더 크게|{{lang|zh|性靜情逸 心動神疲}}}} |rowspan=2| 성정이 고요하면 심정이 편안하고 마음이 동요하면 정신이 피로하니 |- | 성정정일 심동신피 |- | {{더 크게|{{lang|zh|守眞志滿 逐物意移}}}} |rowspan=2| 참 뜻이 가득하도록 지키고 물욕을 멀리하라. |- | 수진지만 축물의이 |- | {{더 크게|{{lang|zh|堅持雅操 好爵自縻}}}} |rowspan=2| 우아하고 절개가 있으면 관작은 스스로 오게 되어 있다. |- | 견지아조 호작자미 |- | {{더 크게|{{lang|zh|都邑華夏 東西二京}}}} |rowspan=2| 화하<ref>중국의 별칭</ref> 의 도읍은 동서 2경이라 |- |도읍화하 동서이경 |- | {{더 크게|{{lang|zh|背邙面洛 浮渭據涇}}}} |rowspan=2|낙양은 북망산을 등지고 낙수를 마주하고 장안에는 위수와 경수가 흐르는 구나. |- |배망면락 부위거경 |- | {{더 크게|{{lang|zh|宮殿盤鬱 樓觀飛驚}}}} |rowspan=2|궁전은 울창한 숲에 쌓였고 누각에 올라 놀라운 경치를 보며 |- |궁전반울 누관비경 |- | {{더 크게|{{lang|zh|圖寫禽獸 畵綵仙靈}}}} |rowspan=2|날짐승 들짐승을 그리니 신선 사는 그림이로구나. |- |도사금수 화채선령 |- | {{더 크게|{{lang|zh|丙舍傍啟 甲帳對楹}}}} |rowspan=2|병사<ref>궁전 내에 있는 건물들을 뜻하는 낱말</ref> 옆을 열어 갑장<ref>동방삭이 만들었다는 장막</ref> 이 기둥을 마주하게 하고 |- | 병사방계 갑장대영 |- | {{더 크게|{{lang|zh|肆筵設席 鼓瑟吹笙}}}} |rowspan=2|자리를 마련해 연회를 열고 비파를 뜯고 생황을 부니 |- |사연설석 고슬취생 |- | {{더 크게|{{lang|zh|升階納陛 弁轉疑星}}}} |rowspan=2| 계단을 올라 납폐하는 신료들은 별인듯 번쩍이고 |- |승계납폐 변전의성 |- | {{더 크게|{{lang|zh|右通廣內 左達承明}}}} |rowspan=2| 오른쪽은 광내로 통하고 왼쪽은 승명에 닿아<ref>광내와 승명은 모두 고대 중국 궁내의 관직처</ref> |- |우통광내 좌달승명 |- | {{더 크게|{{lang|zh|既集墳典 亦聚群英}}}} |rowspan=2| 이미 분전<ref>삼황오제 시절의 법률과 의전을 뜻한다.</ref> 을 모은 곳에 영웅들이 모였도다. |- |기집분전 역취군영 |- | {{더 크게|{{lang|zh|杜稾鍾隸 漆書壁經}}}} |rowspan=2| 두고<ref>초서를 처음 썼다고 전해진다.</ref> 와 종례<ref>예서로 이름이 알려져 있다.</ref> 의 글 칠서<ref>대나무에 칠을 한 뒤 쓴 글, 종이가 없던 시절에 사용하였다.</ref> 와 벽경<ref>공자에게서 전해 왔다는 육경</ref> |- |두고종례 칠서벽경 |- | {{더 크게|{{lang|zh|府羅將相 路俠槐卿}}}} |rowspan=2|각 부에 장군과 재상이 있어 고관이 즐비하여 길이 좁다. |- |부라장상 노협괴경 |- | {{더 크게|{{lang|zh|戶封八縣 家給千兵}}}} |rowspan=2|여덟 고을을 봉지로 주고 천명의 군사로 지키게 하니<ref>한고조의 논공행상을 가리킨다.</ref> |- |호봉팔현 가급천병 |- | {{더 크게|{{lang|zh|高冠陪輦 驅轂振纓}}}} |rowspan=2|높은 관을 쓰고 수레에올라 바퀴를 구르며 갓끈을 떨치는 구나. |- |고관배련 구곡진영 |- | {{더 크게|{{lang|zh|世祿侈富 車駕肥輕}}}} |rowspan=2| 대대로 받는 녹으로 부귀를 누리며 수레는 (제물로) 무겁고 가마는 가벼우니 |- |세록치부 거가비경 |- | {{더 크게|{{lang|zh|策功茂實 勒碑刻銘}}}} |rowspan=2|끝없이 쌓은 공적 비석에 세기는 구나. |- |책공무실 늑비각명 |- | {{더 크게|{{lang|zh|磻溪伊尹 佐時阿衡}}}} |rowspan=2| 반계의 (태공망)과 (탕왕을 도운) 이윤은 때가 도와 아형의 벼슬에 올랐고 |- |반계이윤 좌시아형 |- | {{더 크게|{{lang|zh|奄宅曲阜 微旦孰營}}}} |rowspan=2| 곡부에 궁전을 지은 것은 주공 단<ref>주문왕의 아우, 노나라의 시조</ref> 이 아니면 누가할 것인가 |- |엄택곡부 미단숙영 |- | {{더 크게|{{lang|zh|桓公匡合 濟弱扶傾}}}} |rowspan=2|환공은 제후를 널리 합쳐 기울어져가는 나라를 구했지 |- |환공광합 제약부경 |- | {{더 크게|{{lang|zh|綺迴漢惠 說感武丁}}}} |rowspan=2|기리계<ref>한고조가 죽고 여희가 여씨 일족에서 황제를 즉위시키고자 하였으나 장량은 기리계의 도움으로 혜제가 즉위하도록 하였다.</ref> 가 한 혜제를 회복시키고 부열이 무정을 감동시키듯.<ref>은 나라 무정이 부열에게 감동하여 선정을 배풀었다는 고사</ref> |- |기회한혜 설감무정 |- | {{더 크게|{{lang|zh|俊乂密勿 多士寔寧}}}} |rowspan=2|준걸과 예사가 모이니 참으로 평안하구나. |- |준예밀물 다사식녕 |- | {{더 크게|{{lang|zh|晉楚更霸 趙魏困橫}}}} |rowspan=2|진과 초가 다시 패자가 되고 조와위는 연횡으로 곤궁에 빠져 |- |진초갱패 조위곤횡 |- | {{더 크게|{{lang|zh|假途滅虢 踐土會盟}}}} |rowspan=2|진은 위계를 써 괵을 멸하고 천토에서 회맹하였고 |- |가도멸괵 천토회맹 |- | {{더 크게|{{lang|zh|何遵約法 韓弊煩刑}}}} |rowspan=2|어찌 (한고조의) 약법을 두고 한비자의 낡고 번잡한 형벌을 따를 것인가 |- |하준약법 한폐번형 |- | {{더 크게|{{lang|zh|起翦頗牧 用軍最精}}}} |rowspan=2| 백기 왕전 염파 이목은 군사를 가장 잘 다루었고 |- |기전파목 용군최정 |- | {{더 크게|{{lang|zh|宣威沙漠 馳譽丹青}}}} |rowspan=2|위엄을 사막에까지 떨치니 단청에 넣어 기리는 구나. |- |선위사막 치예단청 |- | {{더 크게|{{lang|zh|九州禹跡 百郡秦幷}}}} |rowspan=2| 하우씨가 구주를 두어 백군이 진에 병합되고 |- |구주우적 백군진병 |- | {{더 크게|{{lang|zh|嶽宗恆岱 禪主云亭}}}} |rowspan=2| 산중 으뜸은 항산과 태산이라 임금을 정하는 운정이 그곳에 있으며 |- |악종항대 선주운정 |- | {{더 크게|{{lang|zh|雁門紫塞 雞田赤城}}}} |rowspan=2| 안문관과 만리장성, 계전과 적성 |- |안문자새 계전적성 |- | {{더 크게|{{lang|zh|昆池碣石 鉅野洞庭}}}} |rowspan=2| 운남의 곤지와 부평의 갈석, 거야의 넓은 들판과 동정의 큰 호수 |- |곤지갈석 거야동정 |- | {{더 크게|{{lang|zh|曠遠緜邈 巖岫杳冥}}}} |rowspan=2|아득히 멀리 줄지어 있으니 아득하고 묘연하구나. |- |광원면막 암수묘명 |- | {{더 크게|{{lang|zh|治本於農 務茲稼穡}}}} |rowspan=2| 다스림의 근본은 농업이니 때를 맞추어 심고 거두어야 하리 |- |치본어농 무자가색 |- | {{더 크게|{{lang|zh|俶載南畝 我藝黍稷}}}} |rowspan=2|이제 남쪽 이랑을 일궈 나는 기장과 피를 가꾸어 |- |숙재남묘 아예서직 |- | {{더 크게|{{lang|zh|稅熟貢新 勸賞黜陟}}}} |rowspan=2| 익으면 세를 내고 햇곡식으로 제사를 지내 상을 권하고 (못된 자는) 내쫓으리라. |- |세숙공신 권상출척 |- | {{더 크게|{{lang|zh|孟軻敦素 史魚秉直}}}} |rowspan=2|맹자는 도타운 사람이었고 사어는 강직했으니 |- |맹가돈소 사어병직 |- | {{더 크게|{{lang|zh|庶幾中庸 勞謙謹敕}}}} |rowspan=2|중용을 으뜸으로 삼고 겸손에 힘쓰고 경계해야지 |- |서기중용 노겸근칙 |- | {{더 크게|{{lang|zh|聆音察理 鑑貌辨色}}}} |rowspan=2|들리는 소리 자세히 살피고 거울에 비치는 모양 꼼꼼히 구별하고 |- |영음찰리 감모변색 |- | {{더 크게|{{lang|zh|貽厥嘉猷 勉其祗植}}}} |rowspan=2|그 아름다움이 후세에 미치도록 그 덕을 쌓기를 부지런히 하며 |- |이궐가유 면기지식 |- | {{더 크게|{{lang|zh|省躬譏誡 寵增抗極}}}} |rowspan=2|몸을 살펴 나무라고 탓할 일은 없는지 반성하고 총애가 늘면 더욱 조심하여야 한다. |- |성궁기계 총증항극 |- | {{더 크게|{{lang|zh|殆辱近恥 林皋幸即}}}} |rowspan=2| 위태로운 치욕은 부끄러운 일에 의한 것이니 수풀과 언덕에 있는 것이 도리어 다행이다. |- |태욕근치 임고행즉 |- | {{더 크게|{{lang|zh|兩疏見機 解組誰逼}}}} |rowspan=2| 양소<ref>한나라의 소광과 소수</ref> 는 기회를 보아 관복을 벗으니 누가 핍박하였으랴 |- |양소견기 해조수핍 |- | {{더 크게|{{lang|zh|索居閒處 沈默寂寥}}}} |rowspan=2|한가한 곳을 찾아 살며 고요히 살며 침묵한 채 |- |색거한처 침묵적요 |- | {{더 크게|{{lang|zh|求古尋論 散慮逍遙}}}} |rowspan=2|옛일을 두고 논장을 찾고 염려를 잊고 소요하니 |- |구고심론 산려소요 |- | {{더 크게|{{lang|zh|欣奏累遣 慼謝歡招}}}} |rowspan=2|기쁜 일은 알리고 누추한 것은 보내며 슬픈 일은 마다하고 기쁜 일을 환영하리 |- |흔주루견 척사환초 |- | {{더 크게|{{lang|zh|渠荷的歷 園莽抽條}}}} |rowspan=2|도랑에 핀 연꽃의 이력, 동산에 자란 풀 가지 |- |거하적력 원망추조 |- | {{더 크게|{{lang|zh|枇杷晚翠 梧桐早凋}}}} |rowspan=2|비파나무 만추에도 푸르른데 오동나무 일찍이 시들었고 |- |비파만취 오동조조 |- | {{더 크게|{{lang|zh|陳根委翳 落葉飄颻}}}} |rowspan=2|고목 뿌리 덮은 낙엽 바람에 날리니 |- |진근위예 낙엽표요 |- | {{더 크게|{{lang|zh|遊鵾獨運 凌摩絳霄}}}} |rowspan=2|댓닭 한 마리 홀로 해엄치며 노을진 하늘을 업수이 여기고 |- |유곤독운 능마강소 |- | {{더 크게|{{lang|zh|耽讀翫市 寓目囊箱}}}} |rowspan=2|(한나라 왕총은) 독서를 즐겨 한 번 보면 상자에 넣은 듯 (잊지 않았다지) |- |탐독완시 우목낭상 |- | {{더 크게|{{lang|zh|易輶攸畏 屬耳垣墻}}}} |rowspan=2|가벼이 경솔하게 구는 것을 두려워하는 까닭은 담장에도 귀가 있다 하기 때문 |- |역유유외 속이원장 |- | {{더 크게|{{lang|zh|具膳飡飯 適口充腸}}}} |rowspan=2|반찬이나 저녁밥이야 먹고 배를 채우면 그만인 것 |- |구선손반 적구충장 |- | {{더 크게|{{lang|zh|飽飫烹宰 飢厭糟糠}}}} |rowspan=2|배부르면 재상의 요리도 물리게 되고 배 고프면 겨 지게미로도 족하니 |- |포어팽재 기염조강 |- | {{더 크게|{{lang|zh|親戚故舊 老少異糧}}}} |rowspan=2|친척이나 옛친구 노소에 따라 음식도 다를 밖에 |- |친척고구 노소이량 |- | {{더 크게|{{lang|zh|妾御績紡 侍巾帷房}}}} |rowspan=2|아내가 길쌈하여 어른 방에 수건을 받들고 |- |첩어적방 시건유방 |- | {{더 크게|{{lang|zh|紈扇圓潔 銀燭煒煌}}}} |rowspan=2|흰 비단으로 지은 부채 둥글고 깨끗하며 은촛대 불빛 밝으니 |- |환선원결 은촉위황 |- | {{더 크게|{{lang|zh|晝眠夕寐 藍笋象床}}}} |rowspan=2|낮에 자고 저녁에 또 자려 푸른 대로 코끼리 침상을 만들지 |- |주면석매 남순상상 |- | {{더 크게|{{lang|zh|絃歌酒讌 接盃舉觴}}}} |rowspan=2|거문거를 뜯고 노래를 부르며 주연을 열고 술잔을 들어 부딛히고 |- |현가주연 접배거상 |- | {{더 크게|{{lang|zh|矯手頓足 悅豫且康}}}} |rowspan=2|손을 들고 발을 움직여 춤추며 이처럼 평안함을 즐거워하세 |- |교수돈족 열예차강 |- | {{더 크게|{{lang|zh|嫡後嗣續 祭祀烝嘗}}}} |rowspan=2| 맏이는 뒤를 이어 제사를 지내어 |- |적후사속 제사증상 |- | {{더 크게|{{lang|zh|稽顙再拜 悚懼恐惶}}}} |rowspan=2|이마를 조아려 두 번 절하여 송구하고 두려운 마음을 보여야 한다. |- |계상재배 송구공황 |- | {{더 크게|{{lang|zh|牋牒簡要 顧答審詳}}}} |rowspan=2|편지는 간략히 요지만 쓰고 답신은 자세히 살펴서 하라. |- |전첩간요 고답심상 |- | {{더 크게|{{lang|zh|骸垢想浴 執熱願涼}}}} |rowspan=2|몸에 때가 끼면 목욕할 생각이 나고 열이 차면 서늘하기를 원하게 되는 것 |- |해구상욕 집열원량 |- | {{더 크게|{{lang|zh|驢騾犢特 駭躍超驤}}}} |rowspan=2|노새며 망아지, 숫송아지가 놀라뛰며 내달리듯 |- |여라독특 해약초양 |- | {{더 크게|{{lang|zh|誅斬賊盜 捕獲叛亡}}}} |rowspan=2|적도는 잡아 죽이고 배역자는 잡아들이리 |- |주참적도 포획반망 |- | {{더 크게|{{lang|zh|布射遼丸 嵇琴阮嘯}}}} |rowspan=2|여포는 활 잘 쏘았고 의료는 돌 잘 던졌으며 혜강은 금을 잘켰고 완적은 휘파람을 잘 불었지 |- |포사료환 혜금완소 |- | {{더 크게|{{lang|zh|恬筆倫紙 鈞巧任釣}}}} |rowspan=2|붓을 만든 건 몽념 종이를 만든 건 채륜, 마륜의 교묘한 솜씨<ref>마륜은 지남차를 만들었다고 한다.</ref> 임공자의 낚시대<ref>장자에 나오는 이야기이다.</ref> |- |염필윤지 균교임조 |- | {{더 크게|{{lang|zh|釋紛利俗 竝皆佳妙}}}} |rowspan=2|이러한 재주를 세상에 푸니 모두다 뛰어나고 신기하였다. |- |석분리속 병개가묘 |- | {{더 크게|{{lang|zh|毛施淑姿 工顰妍笑}}}} |rowspan=2|오나라 모타와 월나라 서시의 자태는 찡그린 모습도 아름다워라 |- |모시숙자 공빈연소 |- | {{더 크게|{{lang|zh|年矢每催 曦暉朗耀}}}} |rowspan=2| 세월은 살같이 언제나 제촉하나 햇빛 달빛은 밝게 빛나 |- |연시매최 희휘낭요 |- | {{더 크게|{{lang|zh|璇璣懸斡 晦魄環照}}}} |rowspan=2|천문을 보는 기계 매달려 돌듯 그믐이 지나 다시 보름이 되니 |- |선기현알 회백환조 |- | {{더 크게|{{lang|zh|指薪修祜 永綏吉劭}}}} |rowspan=2|손가락에 섶불을 단 듯 수양에 전념하면 영원토록 평안하고 길하리라. |- |지신수우 영수길소 |- | {{더 크게|{{lang|zh|矩步引領 俯仰廊廟}}}} |rowspan=2|반듯하게 걸으며 옷길을 끌고 사당에 엎드려 예의를 다하고 |- |구보인령 부앙낭묘 |- | {{더 크게|{{lang|zh|束帶矜莊 徘徊瞻眺}}}} |rowspan=2|허리띠를 단단히 묶어 긍지를 갖고 여러 곳을 두루 살펴라 |- |속대긍장 배회첨조 |- | {{더 크게|{{lang|zh|孤陋寡聞 愚蒙等誚}}}} |rowspan=2|(이런 글을 쓴 나는) 고루하고 들은 것 없어 어리석단 꾸짖음을 면치 못하리 |- |고루과문 우몽등초 |- | {{더 크게|{{lang|zh|謂語助者 焉哉乎也}}}} |rowspan=2|어조사에는 언재호야가 있다. |- |위어조자 언재호야 |} ==역주 == <references/> = 라이선스 = {{번역 저작권 |원문 = {{PD-old-100}} |번역 = {{PD-자작}} }} [[분류:한시]] 41iqcv2i78gihhg5a4lxr7a9lew7z91 페이지:숙향전 권상 (서강대 소장본).djvu/19 250 66060 391802 351643 2025-06-14T00:14:03Z ZornsLemon 15531 39180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3"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ᄇᆡ필을 엇어 네 몸도 의탁ᄒᆞ고 우리 후ᄉᆞ와 허다 가산을 맛지고져 ᄒᆞ더니 네 ᄆᆞ옴이 가쟝 불냥호니 장ᄎᆞᆺ 엇지 ᄒᆞ리오 나ᄂᆞᆫ 너ᄅᆞᆯ 오히려 앗기나 승샹은 노ᄒᆞ시니 이작에 의복을 가지고 근쳐의 가 잇스면 ᄂᆡ 종용이 ᄉᆞᆯ와 곳쳐 도려 오리라 ᄒᆞ며 낙누ᄒᆞ니 슉향이 쳬읍 왈 쇼녜 오 셰의 부모ᄅᆞᆯ 일ᄉᆞᆸ고 동셔뉴리 ᄒᆞᄋᆞᆸ다가 텬ᄒᆡᆼ으로 승샹과 부인의 ᄋᆡ휼ᄒᆞ심을 닙ᄉᆞ오ᄆᆡ 그 은혜 망극ᄒᆞ은지라 죵신토록 지셩으로 밧들기 원이러니 쳔만 의외 이런 닐어 엇ᄉᆞ오니 도시 쇼녀의 팔ᄌᆡ라 슈원슈구ᄒᆞ리오 그러나 이ᄂᆞᆫ 요인의 간계로 쇼녀ᄅᆞᆯ 쥭이려 ᄒᆞ오미니 부인은 ᄉᆞᆯ피소셔 이제 누명을 발명무로 ᄒᆞ온지라 ᄎᆞ라리 부인 안젼의 쥭고져 ᄒᆞ오니 부인은 쇼녀의 원ᄃᆡ로 ᄇᆡᄅᆞᆯ 헷쳐 져ᄌᆡ 거리의 달아 두면 왕ᄂᆡ 지인 하나히라도 쇼녀의 ᄋᆡᄆᆡᄒᆞ믈 아올 거시니 쇼녀의 억명을 씨스면 디하의 가도 눈을 감을가 ᄒᆞᄂᆞ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63owb13m98syg588asqgwcnn0m8w17t 페이지:숙향전 권상 (서강대 소장본).djvu/45 250 67477 391803 351360 2025-06-14T00:18:01Z ZornsLemon 15531 /* 교정됨 */ 39180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3"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ᄒᆞ여 뭇고져 ᄒᆞ더니 한미 왈 공ᄌᆡ 촌가의 소쇄ᄒᆞᆫ 맛을 알으시ᄂᆞ니잇가 니랑 왈 녯말의 닐홈 모로ᄂᆞᆫ 음식을 먹지 말나 ᄒᆞ엿시니 근본을 알고져 ᄒᆞ노라 한미 왈 늙으니 망령되이 남의 집의 가 엇어온 거시니 비록 무미ᄒᆞ나 하져나 ᄒᆞ소셔 니랑 왈 그러ᄒᆞ나 닐흠을 알고 먹으리라 한미 쇼왈 뉴리 졉시의ᄂᆞᆫ 일랑ᄎᆡ니 동ᄒᆡ 뇽왕의게 엇어오고 산호 졉시의ᄂᆞᆫ 쳥랑ᄎᆡ니 말뉴산 길원션의게 엇어오고 그ᄑᆡ 졉시의ᄂᆞᆫ 신랑ᄎᆡ니 쳔ᄐᆡ산 마고션녀의게 엇어오고 밀화 졉시의ᄂᆞᆫ 금랑ᄎᆡ니 봉ᄂᆡ산 구류션의게 엇뎌 오고 만호 졉시의ᄂᆞᆫ 반되니 요지 셔왕모의게 엇뎌 왓ᄂᆞ이다 니랑이 한미 말을 듯고 니르되 한미 말이 가쟝 황당ᄒᆞ도다 봉ᄂᆡ 동ᄒᆡ 등이 다 선경이라 진황 한무도 못 엇은 거슬 요마 한미 엇지 엇어 왓시리오 한미 쇼왈 ᄂᆡ 비록 긔력이 업셔도 ᄉᆞᄒᆡ 팔황을 임의로 왕ᄂᆡᄒᆞ거니와 공ᄌᆞ ᄀᆞᆺ치 구ᄎᆞ히 남의게 인도ᄒᆞ여 ᄃᆞᆫ니리오 니랑 왈 ᄂᆡ게 천니 노ᄉᆡ 이스니 임의로 단니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htjqeooykdbxq3pakl45ss8hc61eb9 페이지:숙향전 권상 (서강대 소장본).djvu/46 250 67668 391805 351325 2025-06-14T01:06:56Z ZornsLemon 15531 /* 교정됨 */ 39180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3"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거든 엇지 남이 인도ᄒᆞ리오 한미 왈 그러ᄒᆞ면 ᄃᆡ셩ᄉᆞ 부쳐ᄅᆞᆯ 엇지 ᄯᆞ라갓ᄂᆞ뇨 니랑이 ᄃᆡ쇼 왈 ᄂᆡ 과연 ᄃᆡ셩ᄉᆞ 부쳐를 ᄯᆞ라가 요지의 단녀왓거니와 한미 엇지 ᄂᆡ 몽ᄉᆞᄅᆞᆯ 아ᄂᆞ뇨 한미 왈 공ᄌᆡ 날 업슈이 넉이거니와 나ᄂᆞᆫ 요지를 지쳑ᄀᆞᆺ치 단니니 모ᄅᆞᆯ 거시 업ᄂᆞᆫ지라 샹졔 쥬시던 반도와 계화ᄅᆞᆯ 어듸 두엇ᄂᆞ뇨 니랑 왈 ᄭᅮᆷ이 다 허ᄉᆡ니 ᄋᆞ모란 쥴 모로노라 한미 왈 그 닐은 ᄭᅮᆷ이거니와 됴젹의게 ᄉᆞᆫ 죡ᄌᆞ도 ᄭᅮᆷ이니잇가 니랑이 더욱 황홀ᄒᆞ여 그졔야 젼후 ᄉᆞ연을 다 니르고 문왈 쇼ᄋᆡ 인간의 나려 왓다 ᄒᆞ니 한미ᄅᆞᆯ 보아 죡ᄌᆞ 난 곳을 알아 쇼아ᄅᆞᆯ ᄎᆞᆺ고져 ᄒᆞ노라 한미 왈 쇼아 잇ᄂᆞᆫ 곳을 알거니와 공ᄌᆡ 쇼아ᄅᆞᆯ ᄎᆞᄌᆞ 무엇 ᄒᆞ려ᄂᆞ뇨 니랑 왈 쇼아ᄂᆞᆫ 나의 텬졍ᄇᆡ필이ᄆᆡ 부듸 ᄎᆞ즈려 ᄒᆞ노라 한미 왈 ᄇᆡ필을 ᄉᆞᆷ으려 ᄒᆞ거든 아이의 ᄎᆞ즐 ᄉᆡᆼ각을 말으쇼셔 니랑 왈 그 어인 말이뇨 한미 왈 낭군은 샹셔ᄃᆡᆨ 귀공ᄌᆞ라 졔왕가 부마 아니면 ᄌᆡ샹가 셔랑이 되리니 엇지 쇼아의 ᄇᆡ필이 되리오 니랑 왈 쇼아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9qi3yfdqaue9vtcpjphkpzeviv7s31s 페이지:숙향전 권상 (서강대 소장본).djvu/47 250 67669 391807 351406 2025-06-14T01:22:50Z ZornsLemon 15531 /* 교정됨 */ 39180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3"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ᄂᆞᆫ 무ᄉᆞᆷ 허물이 잇ᄂᆞ뇨 한미 왈 쇼ᄋᆡ 텬샹 죄 즁ᄒᆞ여 인간의 나려와 쳔인의 ᄌᆞ식이 되여 오셰의 난즁의 부모ᄅᆞᆯ 일코 졍쳐 업시 단니다가 도젹을 만나 환도의 마ᄌᆞ ᄒᆞᆫ 팔을 업시 ᄒᆞ고 명ᄉᆞ계 셩황당을 덧ᄂᆡ여 귀먹고 표진강의 ᄲᆞ져실 ᄯᆡ의 ᄒᆡᆼ인이 구ᄒᆞ여 ᄂᆡ니 안졍이 흐려 보지 못ᄒᆞ고 노젼의셔 화ᄌᆡᄅᆞᆯ 만나 ᄒᆞᆫ ᄃᆞ리ᄅᆞᆯ 불의 뎨여 져니 닙만 남은 병신이라 엇지 ᄇᆡ필을 ᄉᆞᆷ으리오 니랑 왈 비록 병신이나 젼ᄉᆡᆼ 연분이 즁ᄒᆞ니 다만 쇼아만 ᄎᆞᆺ고져 ᄒᆞ노라 한미 왈 낭군은 지셩으로 ᄎᆞ즈나 그런 병인을 샹셔ᄭᅴ셔 며ᄂᆞ리ᄅᆞᆯ ᄉᆞᆷ을니 업ᄉᆞᆯ 거시니 부졀 업시 ᄎᆞᆺ지 말으쇼셔 니랑 왈 부뫼 ᄋᆞ모리 금ᄒᆞ여도 나ᄂᆞᆫ ᄆᆡᆼ셰코 쇼아 곳 아니면 ᄎᆔ쳐치 아니ᄒᆞ리니 한미ᄂᆞᆫ 잔말 말고 가르치라 한미 왈 나ᄂᆞᆫ 쇼아ᄅᆞᆯ ᄯᅥ난지 오ᄅᆡ니 잇ᄂᆞᆫ 곳을 ᄌᆞ셰이 모로거니와 일졍 ᄎᆞ즈려 ᄒᆞ거든 남군 댱승샹 집의 가 ᄎᆞ즈되 근본 남양 김젼의 ᄯᆞᆯ 슉향이니이다 니랑이 즉시 도라가 부모ᄭᅴ 고ᄒᆞ되 형초 ᄯᆞᄒᆡ 문인들과 ᄌᆡᄉᆡ 만타 ᄒᆞ오니 구경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viw04hmqqq5ryukony4as6t2207m1p 위키문헌:소식지 4 96862 391801 389501 2025-06-13T23:01:33Z MediaWiki message delivery 4815 /* Vote now in the 2025 U4C Election */ 새 문단 391801 wikitext text/x-wiki {{절차 머리말 | 제목 = 소식지 | 부제 = | 이전 = | 다음 = | 단축 = 문:소식지 | 설명 = [[:w:ko:위키미디어 재단|위키미디어 재단]] 및 [[:w:ko:위키문헌|위키문헌]] 전반에 관련된 뉴스레터를 모아두는 공간입니다. 뉴스레터와 관련한 경우 이 곳에 직접 의견을 남겨도 되지만, 일반적인 토의와 토론은 [[위키문헌:사랑방|사랑방]]에서 진행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 위키미디어 운동 헌장 비준 투표가 곧 종료됩니다 ==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Movement Charter/Drafting Committee/Announcement - Final reminder|이 메시지는 메타 위키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된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Movement Charter/Drafting Committee/Announcement - Final reminder}}&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 모두들 안녕하세요, 이는 [[m:Special:MyLanguage/Movement Charter|위키미디어 운동 헌장]] 비준을 위한 투표 기간이 '''2024년 7월 9일 23시 59분 UTC'''에 마감됨을 알려드리는 안내입니다. 아직 투표하지 않은 경우 [[m:Special:SecurePoll/vote/398|SecurePoll에서]] 투표하십시오. [[m:Special:MyLanguage/Movement_Charter/Ratification/Voting#Electoral_Commission|헌장 선거 위원회]]를 대표하여,<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m:User:RamzyM (WMF)|RamzyM (WMF)]] 2024년 7월 8일 (월) 12:47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6989444의 목록을 사용해 User:RamzyM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U4C Special Election - Call for Candidates</span>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Announcement – call for candidates|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Announcement – call for candidates}}&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 Hello all, A special election has been called to fill additional vacancies on the U4C. The call for candidates phase is open from now through July 19, 2024.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foundation:Wikimedia Foundation Universal Code of Conduct|UCoC]]. Community members are invited to submit their applications in the special election for the U4C. For more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U4C, please review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Charter|U4C Charter]]. In this special election, according to [[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Charter#2. Elections and Terms|chapter 2 of the U4C charter]], there are 9 seats available on the U4C: '''four''' community-at-large seats and '''five''' regional seats to ensure the U4C represents the diversity of the movement. [[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Charter#5. Glossary|No more than two members of the U4C can be elected from the same home wiki]]. Therefore, candidates must not have English Wikipedia, German Wikipedia, or Italian Wikipedia as their home wiki. Read more and submit your application on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Meta-wiki]]. In cooperation with the U4C,<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 talk:Keegan (WMF)|talk]]) 2024년 7월 10일 (수) 09:03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6989444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Wikimedia Movement Charter ratification voting results</span>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Movement Charter/Drafting Committee/Announcement - Results of the ratification vote|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Movement Charter/Drafting Committee/Announcement - Results of the ratification vote}}&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 Hello everyone, After carefully tallying both individual and affiliate votes, the [[m:Special:MyLanguage/Movement Charter/Ratification/Voting#Electoral Commission|Charter Electoral Commission]] is pleased to announce the final results of the Wikimedia Movement Charter voting.   As [[m:Special:MyLanguage/Talk:Movement Charter#Thank you for your participation in the Movement Charter ratification vote!|communicated]] by the Charter Electoral Commission, we reached the quorum for both Affiliate and individual votes by the time the vote closed on '''July 9, 23:59 UTC'''. We thank all 2,451 individuals and 129 Affiliate representatives who voted in the ratification process. Your votes and comments are invaluable for the future steps in Movement Strategy. The final results of the [[m:Special:MyLanguage/Movement Charter|Wikimedia Movement Charter]] ratification voting held between 25 June and 9 July 2024 are as follows: '''Individual vote:''' Out of 2,451 individuals who voted as of July 9 23:59 (UTC), 2,446 have been accepted as valid votes. Among these, '''1,710''' voted “yes”; '''623''' voted “no”; and '''113''' selected “–” (neutral). Because the neutral votes don’t count towards the total number of votes cast, 73.30% voted to approve the Charter (1710/2333), while 26.70% voted to reject the Charter (623/2333). '''Affiliates vote:''' Out of 129 Affiliates designated voters who voted as of July 9 23:59 (UTC), 129 votes are confirmed as valid votes. Among these, '''93''' voted “yes”; '''18''' voted “no”; and '''18''' selected “–” (neutral). Because the neutral votes don’t count towards the total number of votes cast, 83.78% voted to approve the Charter (93/111), while 16.22% voted to reject the Charter (18/111). '''Board of Trustees of the Wikimedia Foundation:''' The Wikimedia Foundation Board of Trustees voted '''not to ratify''' the proposed Charter during their special Board meeting on July 8, 2024. The Chair of the Wikimedia Foundation Board of Trustees, Nataliia Tymkiv, [[m: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Board_noticeboard/Board_resolution_and_vote_on_the_proposed_Movement_Charter|shared the result of the vote, the resolution, meeting minutes and proposed next steps]].   With this, the Wikimedia Movement Charter in its current revision is '''not ratified'''. We thank you for your participation in this important moment in our movement’s governance. The Charter Electoral Commission, [[m:User:Abhinav619|Abhinav619]], [[m:User:Borschts|Borschts]], [[m:User:Iwuala Lucy|Iwuala Lucy]], [[m:User:Tochiprecious|Tochiprecious]], [[m:User:Der-Wir-Ing|Der-Wir-Ing]]<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사용자: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용자토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4년 7월 19일 (금) 02:53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6989444의 목록을 사용해 User:RamzyM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Vote now to fill vacancies of the first U4C</span>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Announcement – voting opens|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Announcement – voting opens}}&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 Dear all, I am writing to you to let you know the voting period for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open now through '''August 10, 2024'''. Read the information on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voting page on Meta-wiki]] to learn more about voting and voter eligibility.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Community members were invited to submit their applications for the U4C. For more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U4C, please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Charter|review the U4C Charter]]. Please share this message with members of your community so they can participate as well. In cooperation with the U4C,<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m:User:RamzyM (WMF)|RamzyM (WMF)]] 2024년 7월 27일 (토) 11:47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6989444의 목록을 사용해 User:RamzyM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Reminder! Vote closing soon to fill vacancies of the first U4C</span>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Announcement – reminder to vote|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Announcement – reminder to vote}}&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 Dear all, The voting period for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closing soon. It is open through 10 August 2024. Read the information on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Election/2024_Special_Election#Voting|the voting page on Meta-wiki to learn more about voting and voter eligibility]]. If you are eligible to vote and have not voted in this special election, it is important that you vote now. '''Why should you vote?''' Th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Community input into the committee membership is critical to the success of the UCoC. Please share this message with members of your community so they can participate as well. In cooperation with the U4C,<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 talk:Keegan (WMF)|talk]]) 2024년 8월 7일 (수) 00:30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7183190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Coming soon: A new sub-referencing feature – try it!</span> == <div lang="en" dir="ltr"> <section begin="Sub-referencing"/> [[File:Sub-referencing reuse visual.png|{{#ifeq:{{#dir}}|ltr|right|left}}|400px]] Hello. For many years, community members have requested an easy way to re-use references with different details. Now, a MediaWiki solution is coming: The new sub-referencing feature will work for wikitext and Visual Editor and will enhance the existing reference system. You can continue to use different ways of referencing, but you will probably encounter sub-references in articles written by other users. More information on [[m:Special:MyLanguage/WMDE Technical Wishes/Sub-referencing|the project page]]. '''We want your feedback''' to make sure this feature works well for you: * [[m:Special:MyLanguage/WMDE Technical Wishes/Sub-referencing#Test|Please try]] the current state of development on beta wiki and [[m:Talk:WMDE Technical Wishes/Sub-referencing|let us know what you think]]. * [[m:WMDE Technical Wishes/Sub-referencing/Sign-up|Sign up here]] to get updates and/or invites to participate in user research activities. [[m:Special:MyLanguage/Wikimedia Deutschland|Wikimedia Deutschland]]’s [[m:Special:MyLanguage/WMDE Technical Wishes|Technical Wishes]] team is planning to bring this feature to Wikimedia wikis later this year. We will reach out to creators/maintainers of tools and templates related to references beforehand. Please help us spread the message. --[[m:User:Johannes Richter (WMDE)|Johannes Richter (WMDE)]] ([[m:User talk:Johannes Richter (WMDE)|talk]]) 10:36, 19 August 2024 (UTC) <section end="Sub-referencing"/>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Johannes_Richter_(WMDE)/Sub-referencing/massmessage_list&oldid=27309345의 목록을 사용해 User:Johannes Richter (WMDE)@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ign up for the language community meeting on August 30th, 15:00 UTC == Hi all, The next language community meeting is scheduled in a few weeks—on August 30th at 15:00 UTC. If you're interested in joining, you can [https://www.mediawiki.org/wiki/Wikimedia_Language_and_Product_Localization/Community_meetings#30_August_2024 sign up on this wiki page]. This participant-driven meeting will focus on sharing language-specific updates related to various projects, discussing technical issues related to language wikis, and working together to find possible solutions. For example, in the last meeting, topics included the Language Converter, the state of language research, updates on the Incubator conversations, and technical challenges around external links not working with special characters on Bengali sites. Do you have any ideas for topics to share technical updates or discuss challenges? Please add agenda items to the document [https://etherpad.wikimedia.org/p/language-community-meeting-aug-2024 here] and reach out to ssethi(__AT__)wikimedia.org. We look forward to your participation! [[사용자: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용자토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4년 8월 23일 (금) 08:20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7183190의 목록을 사용해 User:SSethi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Announcing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span> == <div lang="en" dir="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https://lists.wikimedia.org/hyperkitty/list/board-elections@lists.wikimedia.org/thread/OKCCN2CANIH2K7DXJOL2GPVDFWL27R7C/ Original message at wikimedia-l].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Announcement - results|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Announcement - results}}&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 Hello all, The scrutineers have finished reviewing the vote and the [[m:Special:MyLanguage/Elections Committee|Elections Committee]] have certified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Results|results]] for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special election]]. I am pleased to announce the following individual as regional members of the U4C, who will fulfill a term until 15 June 2026: * North America (USA and Canada) ** Ajraddatz The following seats were not filled during this special election: * Latin America and Caribbean * Central and East Europe (CEE) * Sub-Saharan Africa * South Asia * The four remaining Community-At-Large seats Thank you again to everyone who participated in this process and much appreciation to the candidates for your leadership and dedication to the Wikimedia movement and community. Over the next few weeks, the U4C will begin meeting and planning the 2024-25 year in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and review of the UCoC and Enforcement Guidelines. You can follow their work on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Meta-Wiki]]. On behalf of the U4C and the Elections Committee,<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m:User:RamzyM (WMF)|RamzyM (WMF)]] 2024년 9월 2일 (월) 23:06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7183190의 목록을 사용해 User:RamzyM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Have your say: Vote for the 2024 Board of Trustees!</span> == <div lang="en" dir="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Hello all, The voting period for the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4|2024 Board of Trustees election]] is now open. There are twelve (12) candidates running for four (4) seats on the Board. Learn more about the candidates by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4/Candidates|reading their statements]] and their [[m: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4/Questions_for_candidates|answers to community questions]]. When you are ready, go to the [[Special:SecurePoll/vote/400|SecurePoll]] voting page to vote. '''The vote is open from September 3rd at 00:00 UTC to September 17th at 23:59 UTC'''. To check your voter eligibility, please visit the [[m: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4/Voter_eligibility_guidelines|voter eligibility page]]. Best regards, The Elections Committee and Board Selection Working Group<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사용자: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용자토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4년 9월 3일 (화) 21:15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7183190의 목록을 사용해 User:RamzyM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cholarship Applications Now Open for Wikisource Conference 2025! == Dear Wikimedians, We are thrilled to announce that the Wikisource Conference is returning after a decade! It will be held from 14 to 16 February 2025 in Denpasar, Bali, Indonesia. This event will be a great opportunity for us to come together, share experiences, and discuss the future of Wikisource and its community. We are now accepting scholarship applications for the Wikisource Conference 2025 to promote diversity and inclusion. Scholarships are open to active contributors, community members, developers, and partners involved with Wikisource or related projects. Important Details: * Application Period: 1 September 2024 to 20 September 2024 * Application Deadline: 20 September 2024 * Meta page: [[:m:Wikisource Conference 2025/Scholarships|Link]] We encourage everyone who is passionate about Wikisource and interested in attending this unique gathering to apply for a scholarship. The selection committee will carefully review all applications, focusing on contributions to the Wikisource project, community engagement, and the potential impact of participation in the conference. To apply, please fill out the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fKU36artM5fVRFeG9GAZGhJSVFJKlACkywvE522fJ6zBf_nA/viewform scholarship application form]. We will provide updates soon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conference, including program details, speakers, and venue. If you have any questions or need help with your application, feel free to reach out on the [[:m:Talk:Wikisource Conference 2025/Scholarships|Meta Talk page]] or email us at wikisourceconference@gmail.com. We look forward to receiving your applications and hope to see many of you in Bali for the Wikisource Conference 2025! Regards, <small> Nitesh Gill The Wikisource Conference 2025 Team </small> [[사용자: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용자토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4년 9월 5일 (목) 20:14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SGill_(WMF)/lists/WS_VPs&oldid=27399964의 목록을 사용해 User:Nitesh (CIS-A2K)@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cholarship Application Deadline Extended for Wikisource Conference 2025! == Dear Wikimedians, This message is about the Wikisource Conference, taking place from 14 to 16 February 2025 in Denpasar, Bali, Indonesia, after a decade-long break. This conference will be a fantastic opportunity to reconnect, share insights, and discuss the future of Wikisource and its vibrant community. In the spirit of promoting diversity and inclusion, we're pleased to inform you that the deadline for scholarship applications has been '''extended to 29 September 2024'''. If you still need to apply, please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fKU36artM5fVRFeG9GAZGhJSVFJKlACkywvE522fJ6zBf_nA/viewform fill out the application form]. For any questions or assistance, feel free to contact us via the [[:m:Talk:Wikisource Conference 2025|Meta Talk page]] or by email at wikisourceconference@gmail.com. We look forward to your applications and hope to see you at the Wikisource Conference 2025! Thank you [[사용자: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용자토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4년 9월 20일 (금) 22:32 (KST) Wikisource Conference 2025 Scholarship Team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SGill_(WMF)/lists/WS_VPs&oldid=27416045의 목록을 사용해 User:Nitesh (CIS-A2K)@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Wikidata item' link is moving. Find out where...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i>Apologies for cross-posting in English. Please consider translating this message.</i>{{tracked|T66315}} Hello everyone, a small change will soon be coming to the user-interface of your Wikimedia project. The [[d:Q16222597|Wikidata item]] [[w:|sitelink]] currently found under the <span style="color: #54595d;"><u>''General''</u></span> section of the '''Tools''' sidebar menu will move into the <span style="color: #54595d;"><u>''In Other Projects''</u></span> section. We would like the Wiki communities feedback so please let us know or ask questions on the [[m:Talk:Wikidata_For_Wikimedia_Projects/Projects/Move_Wikidata_item_link|Discussion page]] before we enable the change which can take place October 4 2024, circa 15:00 UTC+2. More information can be found on [[m:Wikidata_For_Wikimedia_Projects/Projects/Move_Wikidata_item_link|the project page]].<br><br>We welcome your feedback and questions.<br> [[사용자: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용자토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4년 9월 28일 (토) 03:58 (KST)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Danny_Benjafield_(WMDE)/MassMessage_Test_List&oldid=27524260의 목록을 사용해 User:Danny Benjafield (WMDE)@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Final Reminder: Wikisource Conference 2025 Scholarship Deadline == Dear Wikimedians, This is a final reminder that the scholarship application deadline for the Wikisource Conference 2025 is 29 September 2024. The conference will take place from 14-16 February 2025 in Denpasar, Bali, Indonesia, after a decade-long break. If you haven’t applied yet, please do so by completing the scholarship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fKU36artM5fVRFeG9GAZGhJSVFJKlACkywvE522fJ6zBf_nA/viewform application form] by 11:59 AM UTC, 29th September 2024. For any questions, reach out via the Meta Talk page or email us at wikisourceconference@gmail.com. We look forward to your participation! Regards, Wikisource Conference 2025 Scholarship Team [[사용자: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용자토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4년 9월 30일 (월) 02:31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SGill_(WMF)/lists/WS_VPs&oldid=27416045의 목록을 사용해 User:Nitesh (CIS-A2K)@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2024년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 선거 예비 결과 ==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모두들 안녕하세요,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4|2024년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 선거]]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180개 이상의 위키 프로젝트에서 6000명에 가까운 커뮤니티 구성원이 투표했습니다. 다음 4명의 후보가 가장 많은 표를 얻었습니다: # [[User:Kritzolina|Christel Steigenberger]] # [[User:Nadzik|Maciej Artur Nadzikiewicz]] # [[User:Victoria|Victoria Doronina]] # [[User:Laurentius|Lorenzo Losa]] 이 후보자들은 투표를 통해 순위가 매겨졌지만, 여전히 이사회에 임명되어야 합니다. 그들은 성공적인 배경 조사를 통과하고 정관에 명시된 자격을 충족해야 합니다. 새로운 이사는 2024년 12월에 열리는 다음 이사회에서 임명될 것입니다. [[m: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4/Results|메타위키에서 결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감사를 전하며, 선거위원회 및 이사회 선정 실무 그룹 <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User:MPossoupe_(WMF)|MPossoupe_(WMF)]] 2024년 10월 14일 (월) 17:26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7183190의 목록을 사용해 User:MPossoupe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운동 위원회에 참여할 자원봉사자를 모집합니다 ==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매년, 일반적으로 10월부터 12월까지, 이 운동의 여러 위원회는 새로운 자원봉사자를 모집합니다. 위원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메타위키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m:Special:MyLanguage/Affiliations_Committee|가맹위원회(AffCom)]] * [[m:Special:MyLanguage/Ombuds_commission|옴부즈 위원회 (OC)]] *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Legal/Community Resilience and Sustainability/Trust and Safety/Case Review Committee|사례 검토 위원회 (CRC)]] 위원회 신청은 2024년 10월 16일에 시작합니다. 가맹위원회 신청은 2024년 11월 18일에 마감되고, 옴부즈 위원회와 사례 검토 위원회 신청은 2024년 12월 2일에 마감됩니다. [[m: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Legal/Committee_appointments|메타위키의 임명 페이지를 방문]]하여 신청 방법을 알아보세요. 토론 페이지에 게시하거나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mailto:cst@wikimedia.org cst@wikimedia.org]로 이메일을 보내세요. 위원회 지원팀을 위해, <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 talk:Keegan (WMF)|talk]]) 2024년 10월 17일 (목) 08:09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7601062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Wikidata item' link is moving, finally. == Hello everyone, I previously wrote on the 27th September to advise that the ''Wikidata item'' sitelink will change places in the sidebar menu, moving from the '''General''' section into the '''In Other Projects''' section. The scheduled rollout date of 04.10.2024 was delayed due to a necessary request for Mobile/MinervaNeue skin. I am happy to inform that the global rollout can now proceed and will occur later today, 22.10.2024 at 15:00 UTC-2. [[m:Talk:Wikidata_For_Wikimedia_Projects/Projects/Move_Wikidata_item_link|Please let us know]] if you notice any problems or bugs after this change. There should be no need for null-edits or purging cache for the changes to occur. Kind regards, -[[m:User:Danny Benjafield (WMDE)|Danny Benjafield (WMDE)]] 2024년 10월 22일 (화) 20:29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Danny_Benjafield_(WMDE)/MassMessage_Test_List&oldid=27535421의 목록을 사용해 User:Danny Benjafield (WMDE)@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ign up for the language community meeting on November 29th, 16:00 UTC == Hello everyone, The next language community meeting is coming up next week, on November 29th, at 16:00 UTC (Zonestamp! For your timezone <https://zonestamp.toolforge.org/1732896000>). If you're interested in joining, you can sign up on this wiki page: <https://www.mediawiki.org/wiki/Wikimedia_Language_and_Product_Localization/Community_meetings#29_November_2024>. This participant-driven meeting will be organized by the Wikimedia Foundation’s Language Product Localization team and the Language Diversity Hub. There will be presentations on topics like developing language keyboards, the creation of the Moore Wikipedia, and the language support track at Wiki Indaba. We will also have members from the Wayuunaiki community joining us to share their experiences with the Incubator and as a new community within our movement. This meeting will have a Spanish interpretation. Looking forward to seeing you at the language community meeting! Cheers, [[User:SSethi (WMF)|Srishti]] 2024년 11월 22일 (금) 04:55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7746256의 목록을 사용해 User:SSethi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Universal Code of Conduct annual review: provide your comments on the UCoC and Enforcement Guidelines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My apologies for writing in English. {{Int:Please-translate}}. I am writing to you to let you know the annual review period for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and Enforcement Guidelines is open now. You can make suggestions for changes through 3 February 2025. This is the first step of several to be taken for the annual review.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Annual_review|Read more information and find a conversation to join on the UCoC page on Meta]].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This annual review was planned and implemented by the U4C. For more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U4C,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Charter|you may review the U4C Charter]]. Please share this information with other members in your community wherever else might be appropriate. -- In cooperation with the U4C,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 talk:Keegan (WMF)|talk]]) 2025년 1월 24일 (금) 10:12 (KST)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7746256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Reminder: first part of the annual UCoC review closes soon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My apologies for writing in English. {{Int:Please-translate}}. This is a reminder that the first phase of the annual review period for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and Enforcement Guidelines will be closing soon. You can make suggestions for changes through [[d:Q614092|the end of day]], 3 February 2025. This is the first step of several to be taken for the annual review.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Annual_review|Read more information and find a conversation to join on the UCoC page on Meta]]. After review of the feedback, proposals for updated text will be published on Meta in March for another round of community review. Please share this information with other members in your community wherever else might be appropriate. -- In cooperation with the U4C,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 talk:Keegan (WMF)|talk]]) 2025년 2월 3일 (월) 09:49 (KST)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198931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 Upcoming Language Community Meeting (Feb 28th, 14:00 UTC) and Newsletter</span> == <div lang="en" dir="ltr"> <section begin="message"/> Hello everyone! [[File:WP20Symbols WIKI INCUBATOR.svg|right|frameless|150x150px|alt=An image symbolising multiple languages]] We’re excited to announce that the next '''Language Community Meeting''' is happening soon, '''February 28th at 14:00 UTC'''! If you’d like to join, simply sign up on the '''[[mw:Wikimedia_Language_and_Product_Localization/Community_meetings#28_February_2025|wiki page]]'''. This is a participant-driven meeting where we share updates on language-related projects, discuss technical challenges in language wikis, and collaborate on solutions. In our last meeting, we covered topics like developing language keyboards, creating the Moore Wikipedia, and updates from the language support track at Wiki Indaba. '''Got a topic to share?''' Whether it’s a technical update from your project, a challenge you need help with, or a request for interpretation support, we’d love to hear from you! Feel free to '''reply to this message''' or add agenda items to the document '''[[etherpad:p/language-community-meeting-feb-2025|here]]'''. Also, we wanted to highlight that the sixth edition of the Language & Internationalization newsletter (January 2025) is available here: [[:mw:Special:MyLanguage/Wikimedia Language and Product Localization/Newsletter/2025/January|Wikimedia Language and Product Localization/Newsletter/2025/January]]. This newsletter provides updates from the October–December 2024 quarter on new feature development, improvements in various language-related technical projects and support efforts, details about community meetings, and ideas for contributing to projects. To stay updated, you can subscribe to the newsletter on its wiki page: [[:mw:Wikimedia Language and Product Localization/Newsletter|Wikimedia Language and Product Localization/Newsletter]]. We look forward to your ideas and participation at the language community meeting, see you there! <section end="message"/> </div> <bdi lang="en" dir="ltr">[[User: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bdi> 2025년 2월 22일 (토) 17:29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217779의 목록을 사용해 User:SSethi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Universal Code of Conduct annual review: proposed changes are available for comment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My apologies for writing in English. {{Int:Please-translate}}. I am writing to you to let you know that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Annual_review/Proposed_Changes|proposed changes]] to the [[foundation:Special:MyLanguage/Policy:Universal_Code_of_Conduct/Enforcement_guidelines|Universal Code of Conduct (UCoC) Enforcement Guidelines]] and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Charter|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Charter]] are open for review.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Annual_review/Proposed_Changes|You can provide feedback on suggested changes]]''' through the [[d:Q614092|end of day]] on Tuesday, 18 March 2025. This is the second step in the annual review process, the final step will be community voting on the proposed changes.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Annual_review|Read more information and find relevant links about the process on the UCoC annual review page on Meta]].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This annual review was planned and implemented by the U4C. For more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U4C,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Charter|you may review the U4C Charter]]. Please share this information with other members in your community wherever else might be appropriate. -- In cooperation with the U4C, [[m:User:Keegan (WMF)|Keegan (WMF)]] 2025년 3월 8일 (토) 03:51 (KST)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307738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Final proposed modifications to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Enforcement Guidelines and U4C Charter now posted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The proposed modifications to the [[foundation:Special:MyLanguage/Policy:Universal_Code_of_Conduct/Enforcement_guidelines|Universal Code of Conduct Enforcement Guidelines]] and the U4C Charter [[m:Universal_Code_of_Conduct/Annual_review/2025/Proposed_Changes|are now on Meta-wiki for community notice]] in advance of the voting period. This final draft was developed from the previous two rounds of community review. Community members will be able to vote on these modifications starting on 17 April 2025. The vote will close on 1 May 2025, and results will be announced no later than 12 May 2025. The U4C election period, starting with a call for candidates, will open immediately following the announcement of the review results. More information will be posted on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Election|the wiki page for the election]] soon. Please be advised that this process will require more messages to be sent here over the next two months.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This annual review was planned and implemented by the U4C. For more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U4C, you may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Charter|review the U4C Charter]]. Please share this message with members of your community so they can participate as well. -- In cooperation with the U4C,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_talk:Keegan (WMF)|talk]]) 2025년 4월 4일 (금) 11:05 (KST)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469465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Vote now on the revised UCoC Enforcement Guidelines and U4C Charter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The voting period for the revisions to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Enforcement Guidelines ("UCoC EG") and the UCoC's Coordinating Committee Charter is open now through the end of 1 May (UTC) ([https://zonestamp.toolforge.org/1746162000 find in your time zone]).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Annual_review/2025/Voter_information|Read the information on how to participate and read over the proposal before voting]] on the UCoC page on Meta-wiki.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This annual review of the EG and Charter was planned and implemented by the U4C. Further information will be provided in the coming months about the review of the UCoC itself. For more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U4C, you may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Charter|review the U4C Charter]]. Please share this message with members of your community so they can participate as well. In cooperation with the U4C --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_talk:Keegan (WMF)|talk]]) 2025년 4월 17일 (목) 09:35 (KST)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469465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Vote on proposed modifications to the UCoC Enforcement Guidelines and U4C Charter</span> == <div lang="en" dir="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The voting period for the revisions to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Enforcement Guidelines and U4C Charter closes on 1 May 2025 at 23:59 UTC ([https://zonestamp.toolforge.org/1746162000 find in your time zone]).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Annual review/2025/Voter information|Read the information on how to participate and read over the proposal before voting]] on the UCoC page on Meta-wiki.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This annual review was planned and implemented by the U4C. For more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U4C, you may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Charter|review the U4C Charter]]. Please share this message with members of your community in your language, as appropriate, so they can participate as well. In cooperation with the U4C -- <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 talk:Keegan (WMF)|talk]]) 2025년 4월 29일 (화) 12:41 (KST)</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618011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Call for Candidates for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span> == <div lang="en" dir="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The results of voting on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Enforcement Guidelines and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Charter is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Annual review/2025#Results|available on Meta-wiki]]. You may now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5/Candidates|submit your candidacy to serve on the U4C]] through 29 May 2025 at 12:00 UTC. Information about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5|eligibility, process, and the timeline are on Meta-wiki]]. Voting on candidates will open on 1 June 2025 and run for two weeks, closing on 15 June 2025 at 12:00 UTC. If you have any questions, you can ask on [[m:Talk: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5|the discussion page for the election]]. -- in cooperation with the U4C, </div><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bdi lang="en" dir="ltr">[[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_talk:Keegan (WMF)|토론]])</bdi> 2025년 5월 16일 (금) 07:08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618011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RfC ongoing regarding Abstract Wikipedia (and your project)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Apologies for posting in English, if this is not your first language)'' Hello all! We opened a discussion on Meta about a very delicate issue for the development of [[:m:Special:MyLanguage/Abstract Wikipedia|Abstract Wikipedia]]: where to store the abstract content that will be developed through functions from Wikifunctions and data from Wikidata. Since some of the hypothesis involve your project, we wanted to hear your thoughts too. We want to make the decision process clear: we do not yet know which option we want to use, which is why we are consulting here. We will take the arguments from the Wikimedia communities into account, and we want to consult with the different communities and hear arguments that will help us with the decision. The decision will be made and communicated after the consultation period by the Foundation. You can read the various hypothesis and have your say at [[:m:Abstract Wikipedia/Location of Abstract Content|Abstract Wikipedia/Location of Abstract Content]]. Thank you in advance! -- [[User:Sannita (WMF)|Sannita (WMF)]] ([[User talk:Sannita (WMF)|<span class="signature-talk">{{int:Talkpagelinktext}}</span>]]) 2025년 5월 23일 (금) 00:27 (KST)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Sannita_(WMF)/Mass_sending_test&oldid=28768453의 목록을 사용해 User:Sannita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 2025년 선정 및 질의응답 ==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5/Announcement/Selection announcement|{{int:interlanguage-link-mul}}]]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5/Announcement/Selection announcement}}&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 여러분 모두에게, 올해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에서 커뮤니티 및 가맹단체가 선정한 이사 2명의 임기가 종료됩니다.[1] 이사회는 모든 회원이 올해의 선정 과정에 참여하여 해당 자리를 채우기 위한 투표를 실시할 것을 요청합니다. 선거위원회는 재단 직원의 지원을 받아 이 과정을 감독합니다.[2] 2025년 커뮤니티 및 가맹단체 선정 이사 선출 과정에 후보로 포함되지 않은 이사(라주 나리셰티, 샤니 에반스타인 시갈로프, 로렌조 로사, 케이트 콜린스, 빅토리아 도로니나, 에즈라 알라 샤피)[3]로 구성된 거버넌스 위원회는 2025년 이사 선출 과정에 대한 이사회 감독 및 이사회에 대한 정보 제공을 담당합니다. 선거위원회, 이사회 및 직원의 역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4]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요 계획 날짜는 다음과 같습니다: * 5월 22일 ~ 6월 5일 : 발표(이 커뮤니케이션) 및 질의응답 기간 [6] * 2025년 6월 17일 ~ 7월 1일: 후보자 모집 * 2025년 7월: 필요한 경우, 10명 이상이 지원하면 가맹단체가 후보자를 최종 후보로 선정하기 위해 투표합니다. [5] * 2025년 8월: 캠페인 기간 * 2025년 8월~9월: 2주간의 커뮤니티 투표 기간 * 2025년 10월~11월: 선발된 후보자의 신원 조사 * 2025년 12월 이사회 회의: 새로운 이사 선출 이 메타위키 페이지 [[m: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5|[링크]]]에서 2025년 선거 과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자세한 일정, 후보자 자격 기준, 캠페인 규칙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질문하기''' 각 선발 과정에서 커뮤니티는 이사회 후보자들이 답변할 질문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선거위원회는 커뮤니티가 작성한 목록에서 후보자들이 답변할 질문을 선정합니다. 후보자는 지원서에 기재된 모든 필수 질문에 답변해야 자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지원 자격이 박탈됩니다. 올해 선거위원회는 후보자들이 답변할 5개의 질문을 선정할 예정입니다. 선정된 질문은 커뮤니티에서 제출된 질문들을 조합하여 작성될 수 있으며, 유사하거나 관련이 있는 질문일 경우 해당 질문을 조합하여 작성할 수 있습니다. [[m: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5/Questions_for_candidates|[링크]]] '''선거 자원봉사자''' 2025년 선거 과정에 참여하는 또 다른 방법은 선거 자원봉사자가 되는 것입니다. 선거 자원봉사자는 선거위원회와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지역 사회의 대표성을 확보하고 투표 참여를 독려합니다. 이 메타위키 페이지 [[m: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5/Election_volunteers|[링크]]]에서 이 프로그램과 참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감사합니다! [1] https://meta.wikimedia.org/wiki/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2/Results [2] https://foundation.wikimedia.org/wiki/Committee:Elections_Committee_Charter [3] https://foundation.wikimedia.org/wiki/Resolution:Committee_Membership,_December_2024 [4] https://meta.wikimedia.org/wiki/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_committee/Roles [5] https://meta.wikimedia.org/wiki/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5/FAQ [6] https://meta.wikimedia.org/wiki/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5/Questions_for_candidates 감사를 전하며, 빅토리아 도로니나 선거위원회와의 이사회 연락 담당자 거버넌스 위원회<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사: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5년 5월 28일 (수) 12:08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618011의 목록을 사용해 User:RamzyM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Vote now in the 2025 U4C Election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Apologies for writing in English. {{Int:Please-translate}} Eligible voters a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2025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election. More information–including an eligibility check, voting process information, candidate information, and a link to the vote–are available on Meta at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Election/2025|2025 Election information page]]. The vote closes on 17 June 2025 at [https://zonestamp.toolforge.org/1750161600 12:00 UTC]. Please vote if your account is eligible. Results will be available by 1 July 2025. -- In cooperation with the U4C,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 talk:Keegan (WMF)|talk]]) 2025년 6월 14일 (토) 08:01 (KST)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848819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88wgj6vvrnot1c962f6v5zmz9bwg5zt 페이지:리린젼 상권.djvu/32 250 100851 391814 391473 2025-06-14T05:09:37Z Ssooongk 18491 39181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sooongk"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리린젼上31'''</br> 치민ᄒᆞ야입신양명ᄒᆞᆷ이족ᄒᆞᆯ지라방금즁원이ᄉᆞ방에무ᄉᆞᄒᆞ야태민안이오니병셔 가라치심을어리셕은소견에ᄭᆡ닷지못ᄒᆞᄂᆞ이다진인이미소왈그ᄃᆡ말이ᄯᅩᄒᆞᆫ불가 ᄒᆞᆷ이읍스되파리머리와나무가루를버리지아니ᄒᆞᆷ은각々쓸곳이잇슴이오여름에베 옷과겨울에갓옷이ᄯᆡ를ᄯᅡ러젼당ᄒᆞᆷ을취ᄒᆞᆷ이라ᄉᆞᄅᆞᆷ이임의공업에마음을둘진ᄃᆡ 읏지ᄒᆞᆫ갓셩경현젼만공부ᄒᆞ고병셔를등ᄒᆞᆫ히ᄒᆞ리오그런고로셩인의말ᄉᆞᆷ에문교을 닥는자는반득이무비가잇다ᄒᆞ고ᄭᅩ갈아사ᄃᆡ워려가읍스면근우가잇다ᄒᆞ시니목 말은후에ᄉᆡᄋᆞᆷ을피먄밋지멋ᄒᆞᄂᆞ니큰ᄉᆞ업을결뎡ᄒᆞ는자ㅣ읏지ᄒᆞᆫ가지만ᄉᆡᆼ각ᄒᆞ고 두가지를알지아니ᄒᆞ리오현하비록태평ᄒᆞ나젼두에무슨일이잇슬지아지못ᄒᆞᆯ지오 일조에완급이잇으면문교로만읏지임을평졍ᄒᆞ리오셜ᄉᆞ일이읍슬지라도병셔셥 렵ᄒᆞᆷ이방ᄒᆡ될것이읍슬지니이른바문무병용이쟝구지술이니그ᄃᆡ읏지넓이ᄉᆡᆼ각지 못ᄒᆞᄂᆞᆫ고ᄉᆡᆼ이다공손히엿ᄌᆞ오ᄃᆡ소ᄌᆞ의소견이우ᄆᆡᄒᆞ고의사가협착ᄒᆞ와당돌 ᄒᆞᆫ말ᄉᆞᆷ을졸구이발이ᄋᆞᆸ더나이갓치ᄇᆞᆰ혀쥬시니어둡은귀에우뢰소ᄅᆡ를들은듯ᄒᆞ온 지라교훈ᄒᆞ심을삼가밧사오리이다ᄒᆞ고ᄎᆡᆨ을ᄃᆡᄒᆞ야셔로강론ᄒᆞᆯᄉᆡᄉᆡᆼ의ᄌᆡ조가본 ᄃᆡ초등ᄒᆞ야깁혼의미를무불통관ᄒᆞ니진인이마음에긔특히여긔여은근히탄복ᄒᆞᆷ을 마지아니ᄒᆞ더라</br> 이젹에두쳐ᄉᆞ리랑을보ᄂᆡᆫ후로가즁이ᄉᆡ로이젹막ᄒᆞ야더부러수작ᄒᆞᆯᄉᆞ람이업고ᄃᆞᆯ 이지ᄂᆡ되소식이업스ᄆᆡ쳐ᄉᆞ크게민망ᄒᆞ야남씨로더부러남텬을바라며리랑도라오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j2gik8yv06jgmlrghz3ij462h4wgmm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18 250 100912 391813 391556 2025-06-14T03:25:38Z ZornsLemon 15531 39181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du|법}}왕셰ᄌᆞ {{u|으마후}}ㅣ<ref>오말레 공작(Duc d'Aumale)</ref> 다 허락ᄒᆞ더니 {{du|법국}} 뎡부ㅣ 신의ᄅᆞᆯ 돈망ᄒᆞ고 {{u|아포득감젹}}을 잡아 {{du|법국}} 경셩에 보ᄂᆡ여 옥에 ᄂᆡ리니 차ᄂᆞᆫ 일쳔팔ᄇᆡᆨ사십칠년【헌종 십삼년】이러라 일쳔팔ᄇᆡᆨ오십이년【쳘종 삼년】에 {{u|노의 나파륜}}이<ref>루이 나폴레옹(Louis Napoleon, 나폴레옹 3세)</ref> 즉위ᄒᆞ야 비로소 명ᄒᆞ야 방셕ᄒᆞ고 젼일 관작을 의지ᄒᆞ야 녹봉을 쥬엇더라 연이나 옥에 감금ᄒᆞᆫ지 이믜 오년이러라 이십년 젼에 {{du|법국}}이 {{du|아리젹}}을 칠새 {{du|영국}}이 의심ᄒᆞ되 {{du|법국}}이 그 ᄯᅡ을 웅거ᄒᆞᆯ가 ᄒᆞ야 누누이 져희ᄒᆞ더니 밋 {{du|법국}}이 쳘병ᄒᆞᄆᆡ 비로소 이론이 업더라 연이나 기실은 {{du|법국}}이 {{du|아리젹}}을 토평ᄒᆞ미 {{du|영국}}에 ᄃᆡ단이 리익이 잇스니 젼일은 상고의 물건이 {{du|영국}} 항구에 입구ᄒᆞᄂᆞᆫ 거시 그 갑시 ᄆᆡ년에 겨우 영금 이십팔만 방【{{du|영국}} 일 방은 즉금 아국 시셰로 말ᄒᆞ면 거의 십 원 가량이라】이러니 즉금은 오ᄇᆡᆨ만 방이 되고 【이ᄂᆞᆫ 이 ᄐᆡ셔신ᄉᆞ 짓든 ᄒᆡ로 말ᄒᆞ미라】 츌구ᄒᆞᄂᆞᆫ 거슨 젼일에 젼혀 업더니 지금은 {{du|영}}금 칠ᄇᆡᆨ만 방이 되고 셕일 {{du|아라ᄇᆡᆨ}}인【{{du|구라파쥬}} 븍방에 {{du|아라ᄇᆡᆨ}}인이<ref>아라비아(Arabia)</ref> 분분이 졈거ᄒᆞ더니 지금에도 그 ᄌᆞ손이 만이 잇더라】이 {{du|아리젹}}에 이르러 장막을 치고 산쳐ᄒᆞ더니 지금은 육노에 큰 길이 잇고 물에ᄂᆞᆫ 교량이 잇고 ᄯᅩ 쳘로가 {{du|영국}} 리슈로 사ᄇᆡᆨ리 【아국 리슈로 일쳔이ᄇᆡᆨ여 리라】 잇고 젼일에 ᄒᆡ젹이 츌몰ᄒᆞ든 데가 지금은 ᄒᆡ변에 항구가 잇고 ᄒᆡ즁에 장명등이 잇고 호구가 삼ᄇᆡᆨ만이 되ᄆᆡ 기즁에 {{du|구라파쥬}}의 인종이 이십만이요 그 ᄉᆞᄅᆞᆷ이 셜시ᄒᆞᆫ 은ᄒᆡᆼ의 일년 리식이 항상 영금 팔ᄇᆡᆨ만 방 ᄂᆡ외가 되니 무역의 셩ᄒᆞ미 가이 상상ᄒᆞ야 알너라 ᄯᅩ 그 ᄇᆡᆨ셩이 안거낙업ᄒᆞ야 농ᄉᆞ에 젼력ᄒᆞ야 면화와 모밀과 보리와 포도와 감ᄂᆞᆷ과 유ᄌᆞ와 귤과 담배와 삼과 모시 등류ᄅᆞᆯ 만이 심어 각국에 발ᄆᆡᄒᆞ야 각국은 그 물건을 사고 {{du|아리적}}은 그 돈을 밧아 피ᄎᆞ 셔로 리익을 엇더라 {{u|노의 비례왕}}이 ᄌᆡ위 일구에 {{du|법}}민이 ᄐᆡ평무ᄉᆞᄒᆞ고 ᄯᅩᄒᆞᆫ 가급인족ᄒᆞ야 다시 원ᄆᆞᆼᄒᆞᄂᆞᆫ 소ᄅᆡ 나지 아니ᄒᆞᄂᆞᆫ지라 각 신문ᄉᆞㅣ 더욱 ᄇᆡᆨ셩의게 유익ᄒᆞᆫ 일을 의논ᄒᆞ고 다시 자단ᄉᆡᆼᄉᆞ치 아니ᄒᆞ며 의원의 ᄒᆡᆼᄒᆞᄂᆞᆫ 졍ᄉᆞㅣ 다 왕실에 진츙ᄒᆞ며 ᄒᆞᄂᆞᆫ 일이 인심을 격동치 아니ᄒᆞ고 ᄆᆡᄉᆞᄅᆞᆯ 공평이 쳐단ᄒᆞ야 화평 온후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3q43ekc7rzkfysi0pwnacq2a3212ju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30 250 101004 391768 2025-06-13T12:17:57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76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을영화하문이런권셰로써사람을주미라 {{절||九}} 예수거긔로가다가한사람을보니일홈은맛ᄐᆡ라셰소에안젓거날일오ᄃᆡ나를좃추라하니이여닐어좃다라 {{절||十}} 맛참예수맛ᄐᆡ의집돗게안즈ᄆᆡ열어셰관과죄인이와예수과뎨자로더부러함게안즈니 {{절||十一}} 바리ᄉᆡ인이보고그뎨자으게일으되엇지너의스ᄉᆡᆼ이셰관과죄인으로더부러함긔먹나냐하니 {{절||十二}} 예수듯고갈오시ᄃᆡ건장한쟈난의원을쓰지안코병든쟈야쓰나니 {{절||十三}} 다못ᄂᆡ긍휼ᄒᆞ고졔사코져안난말의ᄯᅳᆺ이엇더ᄒᆞ물ᄇᆡ와가라ᄂᆡ가오문올은사람을불으미안이요이죄인이미라하다라 {{절||十四}} 요안ᄂᆡ의뎨자예수으게나아가갈오ᄃᆡ우리과바리ᄉᆡ인은자주ᄌᆡ계하ᄂᆞᆫᄃᆡ오직너의뎨자난ᄌᆡ계치안으문엇지뇨 {{절||十五}} 예수갈오시ᄃᆡ실낭이이슬적에경하하난쟈엇지슬어하랴오직쟝ᄂᆡ에{{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6pcybkqr7flrqgvww2z0fdnt53g4y8u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31 250 101005 391769 2025-06-13T12:21:59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76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실낭이ᄯᅥ나간후에ᄌᆡ계{{복원|ᄒᆞ}}리라 {{절||十六}} ᄉᆡ무녕의로써헌오슬깁지안으문기운거시그오슬안고터지미심{{복원|ᄒᆞ}}미요 {{절||十七}} ᄉᆡ술노써헌피ᄃᆡ예넷치안으문피ᄃᆡ가터져술이ᄉᆡ고ᄯᅩ한피ᄃᆡ가망ᄒᆞ미니오직ᄉᆡ피ᄃᆡ로써ᄉᆡ술을담우면두가지다온젼ᄒᆞ나니라 {{절||十八}} 예수이를말{{복원|ᄒᆞ}}실ᄯᆡ여한ᄌᆡ샹이와절{{복원|ᄒᆞ}}여갈오ᄃᆡᄂᆡ의사ᇋ이거즌죽어가니다못쥬와셔손으로{{복원|안}}찰ᄒᆞ면곳살갓나이다{{복원|ᄒᆞ}}니 {{절||十九}} 예수닐어좃차뎨자과함게ᄒᆡᆼ{{복원|ᄒᆞ}}난ᄃᆡ {{절||二十}} 한부인이ᄃᆡᄒᆞ증ᄒᆞ난지열두ᄒᆡ여예수뒤예셔그옷단을ᄆᆡᆫ지고 {{절||二十一}} ᄯᅳᆺᄒᆞ되오직그옷만ᄆᆡᆫ져도낫갓다ᄒᆞ다니 {{절||二十二}} 예수도라보와갈오시ᄃᆡ네인아너마음을노으라미으면나으리라{{복원|ᄒᆞ}}니일노붓터부인이나은지라 {{절||二十三}} 예수ᄌᆡ샹의집에들어가뎨를불며뭇사람이분요ᄒᆞ물보고 {{절||二十四}} 갈오시ᄃᆡ물너가라네ᄋᆡ죽지안코잔다ᄒᆞ니뭇{{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r0u1bp5y9rtn3y4a2nbxnomu2gaezd 391770 391769 2025-06-13T12:22:20Z Aspere 5453 39177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실낭이ᄯᅥ나간후에ᄌᆡ계{{복원|ᄒᆞ}}리라 {{절||十六}} ᄉᆡ무녕의로써헌오슬깁지안으문기운거시그오슬안고터지미심{{복원|ᄒᆞ}}미요 {{절||十七}} ᄉᆡ술노써헌피ᄃᆡ예넷치안으문피ᄃᆡ가터져술이ᄉᆡ고ᄯᅩ한피ᄃᆡ가망ᄒᆞ미니오직ᄉᆡ피ᄃᆡ로써ᄉᆡ술을담우면두가지다온젼ᄒᆞ나니라 {{절||十八}} 예수이를말{{복원|ᄒᆞ}}실ᄯᆡ여한ᄌᆡ샹이와절{{복원|ᄒᆞ}}여갈오ᄃᆡᄂᆡ의사ᇋ이거즌죽어가니다못쥬와셔손으로{{복원|안}}찰ᄒᆞ면곳살갓나이다{{복원|ᄒᆞ}}니 {{절||十九}} 예수닐어좃차뎨자과함게ᄒᆡᆼ{{복원|ᄒᆞ}}난ᄃᆡ {{절||二十}} 한부인이ᄃᆡᄒᆞ증ᄒᆞ난지열두ᄒᆡ여예수뒤예셔그옷단을ᄆᆡᆫ지고 {{절||二十一}} ᄯᅳᆺᄒᆞ되오직그옷만ᄆᆡᆫ져도낫갓다ᄒᆞ다니 {{절||二十二}} 예수도라보와갈오시ᄃᆡ네인아너마음을노으라미으면나으리라{{복원|ᄒᆞ}}니일노붓터부인이나은지라 {{절||二十三}} 예수ᄌᆡ샹의집에들어가뎨를불며뭇사람이분요ᄒᆞ물보고 {{절||二十四}} 갈오시ᄃᆡ물너가라네ᄋᆡ죽지안코잔다ᄒᆞ니뭇{{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dbc8x4rcrzai4fjf4dlasxi1pi2jm14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32 250 101006 391771 2025-06-13T12:25:10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77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사람이웃거날 {{절||二十五}} 뭇사람을ᄂᆡᄶᅩᆺ고예수들어가그손을잡으니네ᄋᆡ곳닐어나거날 {{절||二十六}} 일노써명셩이그곳에헤여지다라 {{절||二十七}} 예수일노말마암아가난ᄃᆡ두쇠경이이서좃츠며불너갈오ᄃᆡ다빗의후예ᄂᆞᆫ우리를어엽비네기소셔ᄒᆞ다니 {{절||二十八}} 집에들어가ᄆᆡ쇠경된쟈나아오거날예수갈오시ᄃᆡᄂᆡ능히ᄒᆞ난일을네밋갓나냐{{복원|ᄒᆞ}}니갈오ᄃᆡ쥬아글어ᄒᆞ갓나이다ᄒᆞ니 {{절||二十九}} 이여그눈을ᄆᆡᆫ져갈오시ᄃᆡ네밋으무로써일넛다ᄒᆞᄆᆡ {{절||三十}} 눈이곳발그니예수엄이경계ᄒᆞ여갈오시ᄃᆡ너의삼가사람으로알게말나 {{절||三十一}} 두사람이나가그일홈을이ᄯᅡᆼ에헤치다라 {{절||三十二}} 뎌나간후에벙얼이과귀신붓튼쟈를다리고오거날 {{절||三十三}} 귀신을ᄶᅩᆺ츠ᄆᆡ벙얼이말ᄒᆞ니뭇사람이긔긔이네겨갈오ᄃᆡ이살ᄋᆡᆯ가온ᄃᆡ셔난일즉일언일을보지못ᄒᆞ엿다ᄒᆞ니 {{절||三十四}} 바리ᄉᆡ인이갈오ᄃᆡ뎌귀왕을빙{{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730pjjxb8zz8zg4h9nwemluc8mrgsm 페이지:正俗諺解.djvu/6 250 101007 391772 2025-06-13T13:17:45Z 돈의문 17299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冊主豐山後柳氏 {{옛한글쪽 끝}} 39177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돈의문"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冊主豐山後柳氏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lpqqk9igjyat1kxf087j1mboodzw6o 페이지:팔상록.djvu/48 250 101008 391773 2025-06-13T13:27:35Z Athematic 18478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갓사오며관복과건쳑을갓다가부왕ᄭᅦ드리라하옵기로명을거역지못하와도라왓사오나무삼면목으로셰상에쳐하오릿가삭발시에울며지극히간하되듯지아니하시고졔텬의신력으로몸을감초와보이지안이하옵고ᄯᅩ관복을벗고사냥하는사람의가사를어더입고셜산으로가든바와건쳑을ᄯᅩ일흔사연을낫々치고하니왕이야슈와백관으로더부러태자의관복... 39177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thematic"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갓사오며관복과건쳑을갓다가부왕ᄭᅦ드리라하옵기로명을거역지못하와도라왓사오나무삼면목으로셰상에쳐하오릿가삭발시에울며지극히간하되듯지아니하시고졔텬의신력으로몸을감초와보이지안이하옵고ᄯᅩ관복을벗고사냥하는사람의가사를어더입고셜산으로가든바와건쳑을ᄯᅩ일흔사연을낫々치고하니왕이야슈와백관으로더부러태자의관복을보시고통곡왈의관은잇스나니의한아해자ᄎᆔ젹막하니슬푸다화풍경운어나ᄯᅢ에다시보랴종일쳬읍하시니차익이고두읍왈태자가평일의학행이쳔고성현보다지낸지라졔텬텬인으로더부러츌가하시니불구에반다시대각에을나생사고해를건너한가지로텬궁쾌락을바드시리니복원대왕은비회를억졔하사졍각을기다리소셔너는말을근치라내심쟝이ᄭᅳᆫ어져이기기어럽도다금생에다시모히기엇지바라리요하더라왕이다시령을나리사되태자임이삭발하얏스니그ᄯᅳᆺ을도리키지못할지라오즉쟝사를도로거두어ᄯᅡ르지말나하시고셩즁에서츙효졍직하고자손다셧식둔사람의자식한아식거두어슈십인으로하야금셜산에보내여태자를모시라하시니교진여등이슈명하고거나려가게되니차익이왕ᄭᅦ엿자오대소신이쳐음도라올ᄯᅢ태자의소식을알외고져합이니이졔엇지흘노ᄯᅥ러지릿가교진여등을좃차가고져하나니다왕이허락하사차익의츙셩을기특하다하시니라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nkq20s955n8d2hvpf44tomiuiz4z4ho 페이지:正俗諺解.djvu/7 250 101009 391774 2025-06-13T13:34:41Z 돈의문 17299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正俗諺解<br/> 人之行莫大於孝故以孝父母先之<br/> 사름믜ᄒᆡᆼ실효도만크니업슬ᄉᆡ어버의효도ᄅᆞᆯ몬져ᄒᆞ노라<br/> 父母者{{작게|隱}}子之天地{{작게|尼}}孔子曰子生三年然後{{작게|厓沙}}免於父母之懷{{작게|伊羅爲時古}}詩曰哀哀父母{{작게|亦}}生我劬勞{{작게|舍叱多}}又曰父兮生我{{작게|爲時古}}母兮鞠我{{작게|爲時尼}}欲報之德{{작게|伊... 39177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돈의문"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正俗諺解<br/> 人之行莫大於孝故以孝父母先之<br/> 사름믜ᄒᆡᆼ실효도만크니업슬ᄉᆡ어버의효도ᄅᆞᆯ몬져ᄒᆞ노라<br/> 父母者{{작게|隱}}子之天地{{작게|尼}}孔子曰子生三年然後{{작게|厓沙}}免於父母之懷{{작게|伊羅爲時古}}詩曰哀哀父母{{작게|亦}}生我劬勞{{작게|舍叱多}}又曰父兮生我{{작게|爲時古}}母兮鞠我{{작게|爲時尼}}欲報之德{{작게|伊隱大}}昊天罔極{{작게|伊舍多爲尼}}故孝子之事親也{{작게|隱}}冬溫夏淸{{작게|爲旀}}昏定晨省{{작게|爲旀}}出必告反必面{{작게|爲旀}}問衣燠寒{{작게|爲旀}}問何飮食{{작게|爲旀}}有疾{{작게|伊於時等}}飮藥先嘗{{작게|爲旀}}有過於{{작게|於時等}}柔聲以諫{{작게|爲也}}撻之流血{{작게|爲伊舍}}<br/>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pa6saep6srhxtr9dwov9hullpxkw48 페이지:正俗諺解.djvu/8 250 101010 391775 2025-06-13T13:49:22Z 돈의문 17299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작게|豆}}不敢疾怨{{작게|乎里尼}}此皆職分之所當爲也{{작게|伊羅}}雖在貧乏之中{{작게|伊那}}亦當竭力{{작게|爲也}}以奉菽水之歡{{작게|乎里尼}}盖今日之孝吾親{{작게|伊}}後日子孫{{작게|伊}}亦必盡孝於我{{작게|爲里尼}}此感應自然之理也{{작게|羅}}若夫不敬其父{{작게|伊面}}是不知有天也{{작게|伊五}}不愛其母{{작게|面}}是不知有地也{{작게|尼}}... 39177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돈의문"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작게|豆}}不敢疾怨{{작게|乎里尼}}此皆職分之所當爲也{{작게|伊羅}}雖在貧乏之中{{작게|伊那}}亦當竭力{{작게|爲也}}以奉菽水之歡{{작게|乎里尼}}盖今日之孝吾親{{작게|伊}}後日子孫{{작게|伊}}亦必盡孝於我{{작게|爲里尼}}此感應自然之理也{{작게|羅}}若夫不敬其父{{작게|伊面}}是不知有天也{{작게|伊五}}不愛其母{{작게|面}}是不知有地也{{작게|尼}}人而不知有天地則覆載所不容{{작게|伊㫆}}神明所不祐{{작게|伊羅}}將有天誅人禍{{작게|伊}}以及其身{{작게|爲里尼}}尙誰咎哉{{작게|里五}}孔子曰五刑之屬{{작게|伊}}三千{{작게|伊尼}}而罪莫大於不孝也{{작게|伊羅爲時尼羅}}<br/> 어버인ᄌᆞ셕긔하늘와ᄯᅡᄀᆞᄐᆞ니고ᇰ저니ᄅᆞ샤ᄃᆡ{{작게|공ᄌᆞᄂᆞᆫ큰셩인니신어딘아비라}}ᄌᆞ식기난세ᄒᆡ후의아어버이품믈ᄠᅥ나ᄂᆞ니모시에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3e33v5grn08wk194mg4phtatid44nhl 페이지:팔상록.djvu/49 250 101011 391776 2025-06-13T14:01:17Z Athematic 18478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크게|☉셜산에셔도닥는모양}} 이ᄯᅢ에태자차익을보내고셜산으로향할새수백리를행하야드러가니디명은피션쥬라득도한신션수십인이모되엿스니목엽초의로의복을하야입고먹난것은나무열매요배우는도는수화를희롱하야불속에도들며물속에도다니며텬궁에올나가일월도흔드러요동하며풍운을부리니그슐법이족히긔특하다하나일신이생멸문에쳐... 39177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thematic"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크게|☉셜산에셔도닥는모양}} 이ᄯᅢ에태자차익을보내고셜산으로향할새수백리를행하야드러가니디명은피션쥬라득도한신션수십인이모되엿스니목엽초의로의복을하야입고먹난것은나무열매요배우는도는수화를희롱하야불속에도들며물속에도다니며텬궁에올나가일월도흔드러요동하며풍운을부리니그슐법이족히긔특하다하나일신이생멸문에쳐하야고행으로행하니졍히해탈하는도는아니라태자션인다려문왈그대도슐을배와쓰나마참내생멸문을면치못하리니우업는큰도를배올지어다도인등이답왈우리원하는도는셰々생々에텬상에나셔풍운을타며팔방을임이로왕내하야요지에반도를먹고큰신션에도를셩ᄎᆔ코자하나이다태자왈세상쾌락이비록중하나복이다하면타락하야륜희를바드리니엇지외도를수행하리요하고그곳을ᄯᅥ나깁흔산으로더드러가시니라이ᄯᅢ에교진여등이태자를찻고자두루다니매노중에고행을견대지못하야닐오되엇지광인을면하리요왕궁부귀를바리고도망츌가하야우리로하야금고를밧게하니엇지분치아니리요연이나바리고도라가면멸족지환이잇스리니노중에머물너태자의거쳐를탐지함만갓지못하다하거늘차익이그반함을알고심중에분하여갈오대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w852fsuyttjsl540rioi3a2l4bmo63 391778 391776 2025-06-13T14:01:34Z Athematic 18478 39177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thematic"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크게|☉셜산에셔도닥는모양}} 이ᄯᅢ에태자차익을보내고셜산으로향할새수백리를행하야드러가니디명은피션쥬라득도한신션수십인이모되엿스니목엽초의로의복을하야입고먹난것은나무열매요배우는도는수화를희롱하야불속에도들며물속에도다니며텬궁에올나가일월도흔드러요동하며풍운을부리니그슐법이족히긔특하다하나일신이생멸문에쳐하야고행으로행하니졍히해탈하는도는아니라태자션인다려문왈그대도슐을배와쓰나마참내생멸문을면치못하리니우업는큰도를배올지어다도인등이답왈우리원하는도는셰々생々에텬상에나셔풍운을타며팔방을임이로왕내하야요지에반도를먹고큰신션에도를셩ᄎᆔ코자하나이다태자왈세상쾌락이비록중하나복이다하면타락하야륜희를바드리니엇지외도를수행하리요하고그곳을ᄯᅥ나깁흔산으로더드러가시니라이ᄯᅢ에교진여등이태자를찻고자두루다니매노중에고행을견대지못하야닐오되엇지광인을면하리요왕궁부귀를바리고도망츌가하야우리로하야금고를밧게하니엇지분치아니리요연이나바리고도라가면멸족지환이잇스리니노중에머물너태자의거쳐를탐지함만갓지못하다하거늘차익이그반함을알고심중에분하여갈오대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g44l5zu21yrcrpyedljj9xj7xt7mctu 페이지:正俗諺解.djvu/9 250 101012 391777 2025-06-13T14:01:25Z 돈의문 17299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닐우ᄃᆡ{{작게|모시ᄂᆞᆫ글일홈미라}}슬프고슬플셔어버이나를슈구로이나ᄒᆞ시니ᄯᅩ닐오ᄃᆡ아비날나ᄒᆞ시고어미날 쳐내시니덕분늘갑프려ᄒᆞ면하ᄂᆞᆯᄀᆞᆮ티ᄀᆞᆺ업도다 그런줄로효ᄌᆞ의어버이셤교ᄆᆞᆫ겨으렌덥게ᄒᆞ고녀름멘서늘리ᄒᆞ며어스름메거보아ᄌᆞᆷ재ᅀᆞᆸ고새배가닐어시든 뵈ᅀᆞ오며나갈제ᄉᆞᆲ고가고도... 39177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돈의문"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닐우ᄃᆡ{{작게|모시ᄂᆞᆫ글일홈미라}}슬프고슬플셔어버이나를슈구로이나ᄒᆞ시니ᄯᅩ닐오ᄃᆡ아비날나ᄒᆞ시고어미날 쳐내시니덕분늘갑프려ᄒᆞ면하ᄂᆞᆯᄀᆞᆮ티ᄀᆞᆺ업도다 그런줄로효ᄌᆞ의어버이셤교ᄆᆞᆫ겨으렌덥게ᄒᆞ고녀름멘서늘리ᄒᆞ며어스름메거보아ᄌᆞᆷ재ᅀᆞᆸ고새배가닐어시든 뵈ᅀᆞ오며나갈제ᄉᆞᆲ고가고도라와의식뵈ᅀᆞ오며옷 더우신가치우신가묻ᄌᆞ오며므스거슬자실고묻ᄌᆞ오며병ᄒᆞ시거든약글맛보아밧ᄌᆞ오며허믈리겨시거든유화로이간ᄒᆞ요ᄃᆡ외오너기셔피흐르게티샤도원탄티마로리니이다ᄌᆞ식긔직분네ᄒᆞ욜이리라 비록가난ᄒᆞ야도모로미힘ᄡᅥ사오나온자실거시라두깃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507u687fc9cbm3mvansnvikypay3sp7 페이지:팔상록.djvu/50 250 101013 391779 2025-06-13T14:34:00Z Athematic 18478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그대등은머므러잇스라나는태자를차자사생동고하리라하니원하여좃는자슈인이라차익이다리고래자를차자가니라이ᄯᅢ에탲자가아라나션인잇는곳을드러가니층암노송아래두어션인이이스대푸른눈셥이한자나되여눈을덥헛고두렷한이마우에연엽판을쓰고몸에자하의를입어쓰니쳥슈한거동이비상한지라태자나아가배례한대아른쳬아니하거날태자입... 39177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thematic"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그대등은머므러잇스라나는태자를차자사생동고하리라하니원하여좃는자슈인이라차익이다리고래자를차자가니라이ᄯᅢ에탲자가아라나션인잇는곳을드러가니층암노송아래두어션인이이스대푸른눈셥이한자나되여눈을덥헛고두렷한이마우에연엽판을쓰고몸에자하의를입어쓰니쳥슈한거동이비상한지라태자나아가배례한대아른쳬아니하거날태자입졍도인인가하야다시공경문왈션군의숭상하는도를배엇더한밋친승도관대산즁슈도하는곳을요란케하는고그즁에한션인이무릅을드러다리우에언고누엇다가추파갓흔눈을드려태자를보고동반다려일너왈텬상텬하에서서로ᄯᅥ난후에각々연진에ᄯᅥ러져자맥쳥산이길이다른지라오래보옵지못하옵더니이제태자가부왕을바리고심산궁곡에드러가구경열반대도를무르시니실로천고에히유한일이로소이다그러나우리등이엇지대셩인의압페감히대도를의논하리오릿가태자다시이러나배사문왈중생이비로소오온육식에싸이여대성인을알아보지못하는것은교만심을ᄶᅩ침이요교만심은치심을ᄶᅩ침이요치심은생각을ᄶᅩ침이요생각은육신을ᄶᅩ침이요육신은모든변뢰와우비고노를일우나니이러함은로여히지못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qbow78p1q3gs9cs4yan2znymu8mmao 391780 391779 2025-06-13T14:39:24Z Athematic 18478 39178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thematic"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그대등은머므러잇스라나는태자를차자사생동고하리라하니원하여좃는자슈인이라차익이다리고래자를차자가니라이ᄯᅢ에태자가아라나션인잇는곳을드러가니층암노송아래두어션인이이스대푸른눈셥이한자나되여눈을덥헛고두렷한이마우에연엽판을쓰고몸에자하의를입어쓰니쳥슈한거동이비상한지라태자나아가배례한대아른쳬아니하거날태자입졍도인인가하야다시공경문왈션군의숭상하는도를배오고자하나니생노병사영단하는도를가라치소셔그도인이눈셥을찡그리고닐오대엇더한밋친승도관대산즁슈도하는곳을요란케하는고그즁에한션인이무릅을드러다리우에언고누엇다가추파갓흔눈을드려태자를보고동반다려일너왈텬상텬하에우업는대셩인이강림하엿도다하고이러나태자를마져합쟝례배왈과거도솔텬상에서서로ᄯᅥ난후에각々연진에ᄯᅥ러져자맥쳥산이길이다른지라오래보옵지못하옵더니이제태자가부왕을바리고심산궁곡에드러가구경열반대도를무르시니실로천고에히유한일이로소이다그러나우리등이엇지대셩인의압페감히대도를의논하리오릿가태자다시이러나배사문왈중생이비로소오온육식에싸이여대성인을알아보지못하는것은교만심을ᄶᅩ침이요교만심은치심을ᄶᅩ침이요치심은생각을ᄶᅩ침이요생각은육신을ᄶᅩ침이요육신은모든변뢰와우비고노를일우나니이러함은로여히지못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351bpotberbb9kis07nhoctrugx5c33 페이지:팔상록.djvu/51 250 101014 391781 2025-06-13T14:54:25Z Athematic 18478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하야륜회봉응이잇나니다태자가청파에생각하되이노션이생노병사영단하는도를아는도다하고인하야뭇자오대무삼방변으로생노병사를영단하리잇고노션이답왈선졍을수습하야졍념을어더야무량식종을멸하나니이것이구경해탈의도니일홈을피안이라하나이다태자답왈구경해탈이맛참내내라하는샹이잇나잇가만일이상이잇슬진댄이난상에집착하는것... 39178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thematic"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하야륜회봉응이잇나니다태자가청파에생각하되이노션이생노병사영단하는도를아는도다하고인하야뭇자오대무삼방변으로생노병사를영단하리잇고노션이답왈선졍을수습하야졍념을어더야무량식종을멸하나니이것이구경해탈의도니일홈을피안이라하나이다태자답왈구경해탈이맛참내내라하는샹이잇나잇가만일이상이잇슬진댄이난상에집착하는것이라엇지피안에이르리요일쳬가쳥졍하야어인아상사상이굿어지고두려시밝으며고요이빗처둘업는성품을ᄭᅢ처야사졍각에오르리니이것이구경해탈의도라생노병사에근본을해탈함이니다션인이듯고각々배사하더라태자이곳에머믄지수년이되도록도덕을의론하더니일일은두션인이니르대션과각의도가길은비록다르나쳥졍도덕은한가지라이제무상대각황을만나엇지ᄯᅥ나고자하리요만은우리는종젹이안개와구름갓하야칠금산과사쥬세게를슌식간에단이더니이졔상졔ᄭᅦ밀조를나리사도리텬션법젼에셔삼세제불을쳥하시와대법을설하실새삼게제텬과팔부성신과모든신선으로하여금법을드르라고신칙하시니상제의명을바다도라가오니타일령산대회에뵈오리다하고몸을소々와공즁을향하거날태자노션을이별하고셜산구름깁흔곳으로향하시니라셜산은사람자최이르지아니하고산이하날에다흐며층암졀벽에긔화요촌과젼단향림과모든슈림이만흐니말근향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o5v5wsi61jeuohbd3m6i386gogfzeh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33 250 101015 391782 2025-06-13T15:20:45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78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쟈{{복원|ᄒᆞ}}여귀신을ᄶᅩᆺ난다{{복원|ᄒᆞ}}다라 {{절||三十五}} {{복원|예}}수향읍에쥬류ᄒᆞ여회당에셔가라칠세텬국복음을뎐{{복원|ᄒᆞ}}며ᄇᆡᆨ셩의질병을곳치다가 {{절||三十六}} 뭇사람을보고어엽비네기문{{?}}곤고ᄒᆞ고뉴리ᄒᆞ미양이목인업슴갓타무로써ᄒᆞ미다라 {{절||三十七}} 뎨자게일오시ᄃᆡ거둘거슨만코싹군은져그니쥬인으게구ᄒᆞ여싹군을보ᄂᆡ여힘써거두게ᄒᆞ라ᄒᆞ다라 == 맛ᄃᆡ{{SIC|북|복}}음뎨십쟝 == {{절||一}} 예수열두뎨자를불너권셰를주워샤귀를ᄶᅩᆺ추며질병을곳치라ᄒᆞ니 {{절||二}} 열두뎨자의일홈은ᄒᆞ면에긔록ᄒᆞ여스니처음한뎨자난시몬이니피들이라ᄒᆞ고그동ᄉᆡᆼ안들야과시비ᄃᆡ아달야곱과그동ᄉᆡᆼ요안ᄂᆡ과 {{절||三}} 비립과발도로마과도마과셰관맛ᄐᆡ과알비의아달야곱과닷ᄯᆡ과 {{절||四}} 예라칭ᄒᆞᄂᆞᆫ시몬과쥬를{{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l3826uv9puyc8lval644xm1cqltabnu 페이지:쌍셩봉효록 권1.djvu/25 250 101016 391783 2025-06-13T15:28:52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를밧들지안이{{?}}잇고{{?}}고ᄃᆡ셔현의{{?}}아사부친게고코져ᄒᆞ더니문득졍상셔연{{?}}밀이니르러ᄃᆡ셔헌의ᄂᆞ아가되ᄉᆞ게ᄇᆡ을후ᄐᆡᄉᆞ를{{?}}승상잇ᄂᆞᆫ곳제ᄂᆞ아오니승상과뉴공이ᄲᅳᆯ이ᄐᆡᆨᄉᆞ를마져뫼셔안즈ᄆᆡ승상이뎡상셔연{{?}}밀도려왈현졔등이어ᄂᆡᄯᅵᆨ왓{{?}}요뎡연앙인왈은지오라지아니〻라등여뉴공을ᄒᆞ원을차ᄒᆞ되승상이... 39178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를밧들지안이{{?}}잇고{{?}}고ᄃᆡ셔현의{{?}}아사부친게고코져ᄒᆞ더니문득졍상셔연{{?}}밀이니르러ᄃᆡ셔헌의ᄂᆞ아가되ᄉᆞ게ᄇᆡ을후ᄐᆡᄉᆞ를{{?}}승상잇ᄂᆞᆫ곳제ᄂᆞ아오니승상과뉴공이ᄲᅳᆯ이ᄐᆡᆨᄉᆞ를마져뫼셔안즈ᄆᆡ승상이뎡상셔연{{?}}밀도려왈현졔등이어ᄂᆡᄯᅵᆨ왓{{?}}요뎡연앙인왈은지오라지아니〻라등여뉴공을ᄒᆞ원을차ᄒᆞ되승상이뉴공잇뎡혼ᄉᆞ{{?}}셔부젼의알왼ᄃᆡᄐᆡᄉᆡ왈뉴공은현명ᄌᆞ{{?}}라기예엇지응우ᄒᆞ리오족히뉴인의아름다오물짐작ᄒᆞᆯᄇᆡᆨ{{?}}엇지촉탁ᄒᆞ미잇시리오뉴공이ᄃᆡ희ᄒᆞ여황상이ᄐᆡᆨᄉᆞ게졀 {{nop}}<noinclude><references/></noinclude> 9viait7y6xzew359szda3u2ifg7e4of 페이지:쌍셩봉효록 권1.djvu/26 250 101017 391784 2025-06-13T15:48:39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ᄒᆞ여ᄉᆞ레{{?}}지{{?}}뎡상셰소왈인〻니님흔{{?}}가 ᄒᆞ여아둘리ᄌᆞ라ᄆᆡ장가드리고ᄯᆞᆯ리ᄌᆞ라ᄆᆡ셔방맛치미여식{{?}}ᄒᆞᄉᆞ회엇지잇길져ᄃᆡ든{{?}}구〻ᄒᆞ니뉴형이맛ᄎᆞᆷ일녀를두엇{{?}}삭졍여러달두엇둑둘된응익짐마디ᄌᆞ{{?}}ᄒᆞ고졀ᄉᆞ무조불릅히다를낫다뉴공이공ᄌᆞ의옥수을잡고역소왈아겨ᄂᆞᆫ인즁셩인니라만ᄉᆡᆼ이젼후열인니... 39178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ᄒᆞ여ᄉᆞ레{{?}}지{{?}}뎡상셰소왈인〻니님흔{{?}}가 ᄒᆞ여아둘리ᄌᆞ라ᄆᆡ장가드리고ᄯᆞᆯ리ᄌᆞ라ᄆᆡ셔방맛치미여식{{?}}ᄒᆞᄉᆞ회엇지잇길져ᄃᆡ든{{?}}구〻ᄒᆞ니뉴형이맛ᄎᆞᆷ일녀를두엇{{?}}삭졍여러달두엇둑둘된응익짐마디ᄌᆞ{{?}}ᄒᆞ고졀ᄉᆞ무조불릅히다를낫다뉴공이공ᄌᆞ의옥수을잡고역소왈아겨ᄂᆞᆫ인즁셩인니라만ᄉᆡᆼ이젼후열인니젹지아니ᄒᆞ되그진짓기ᄌᆞ를맛ᄂᆞ지못ᄒᆞ엿더니금일임상을보ᄆᆡᄉᆡᆼ혀옥인ᄌᆞᆫᄌᆞ를질족ᄌᆞ의게이일번ᄒᆞ니엇지친몸의졔ᄒᆞ번졀ᄒᆞᆯᄯᆞ름잇리오소졔단목ᄒᆞ기로노함{{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8pyv97jm0emxnpu7qve6vl1dktt1zoa 페이지:쌍셩봉효록 권1.djvu/27 250 101018 391785 2025-06-13T15:51:42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하의{{?}}{{?}}번졀ᄒᆞᆯᄲᅮᆫ이니뎌니형의인물노이런일를당{{?}}량이면ᄇᆡᆨᄇᆡ고두ᄒᆞᆯ가ᄒᆞ노라ᄒᆞ니졍연양인니ᄃᆡ소왈가히우치{{?}}다뉴운니군직변우리ᄂᆞᆫ공ᄆᆡᆼ안등이되리로다ᄒᆞ니이{{?}}뉴공과친{{?}}벗신고로셔로희롱ᄒᆞ시러라뉴공이훈연좌담ᄒᆞ여빈쥬의화기누루녹고ᄇᆡᆨ영공ᄌᆞ의가긔를돗우의셔ᄐᆡᆨ일ᄒᆞ니길{{?}}{{?}}슌이가... 39178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하의{{?}}{{?}}번졀ᄒᆞᆯᄲᅮᆫ이니뎌니형의인물노이런일를당{{?}}량이면ᄇᆡᆨᄇᆡ고두ᄒᆞᆯ가ᄒᆞ노라ᄒᆞ니졍연양인니ᄃᆡ소왈가히우치{{?}}다뉴운니군직변우리ᄂᆞᆫ공ᄆᆡᆼ안등이되리로다ᄒᆞ니이{{?}}뉴공과친{{?}}벗신고로셔로희롱ᄒᆞ시러라뉴공이훈연좌담ᄒᆞ여빈쥬의화기누루녹고ᄇᆡᆨ영공ᄌᆞ의가긔를돗우의셔ᄐᆡᆨ일ᄒᆞ니길{{?}}{{?}}슌이가리엿더라이윽고져공ᄌᆡᄐᆡᆨᄒᆞᄆᆡ뉴공이ᄇᆡᆨ영을{{?}}버무{{?}}고ᄇᆡᆨ즁ᄒᆞ물마지아니타가셕양본부의도라와부인과졔ᄌᆞ를ᄃᆡᄒᆞ여녀ᄋᆞ의친ᄉᆞ{{?}}님ᄌᆞ와졍ᄒᆞ물니를님공ᄌᆞ의ᄌᆡ무를못{{?}}기리니문부인니 {{nop}}<noinclude><references/></noinclude> 3zzeadcltiquhbtkcuzg6e0ifanlsgi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27 250 101019 391786 2025-06-13T15:54:56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되얏다 ᄒᆞ고 ᄯᅩ 말호되 어림군이 맛ᄎᆞᆷᄂᆡ ᄇᆡᆨ셩과 동심이 되고 왕을 돕지 아니ᄒᆞᆫ다 ᄒᆞ야 더욱 ᄒᆡ연ᄒᆞ더라 이십일일 난이 일어ᄂᆞᆯ ᄯᅢ에 왕이 ᄃᆡ신으로 더부러 ᄆᆞᆼ지소조ᄒᆞ야 곳 {{du|ᄐᆡ연리 궁}}에<ref>튈르리 궁(Tuileries)</ref> 이르러 종장게의ᄒᆞᆯ새 다 ᄒᆞ되 민심을 안즙ᄒᆞ미 대신을 밧구ᄂᆞᆫ 이만 갓... 39178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되얏다 ᄒᆞ고 ᄯᅩ 말호되 어림군이 맛ᄎᆞᆷᄂᆡ ᄇᆡᆨ셩과 동심이 되고 왕을 돕지 아니ᄒᆞᆫ다 ᄒᆞ야 더욱 ᄒᆡ연ᄒᆞ더라 이십일일 난이 일어ᄂᆞᆯ ᄯᅢ에 왕이 ᄃᆡ신으로 더부러 ᄆᆞᆼ지소조ᄒᆞ야 곳 {{du|ᄐᆡ연리 궁}}에<ref>튈르리 궁(Tuileries)</ref> 이르러 종장게의ᄒᆞᆯ새 다 ᄒᆞ되 민심을 안즙ᄒᆞ미 대신을 밧구ᄂᆞᆫ 이만 갓지 못ᄒᆞ다 ᄒᆞ야 이에 {{u|계사}} 대신을 면관 식이고 구 신당 즁령슈 {{u|졔이}}와 밋 {{u|오지윤 ᄇᆡ노}}로ᄡᅥ 군긔쳐 대신을 삼고 ᄯᅩ {{u|파가덕}}으로ᄡᅥ<ref>뷔조(Bugeaud)</ref> 대장군을 삼아 경영 젼부 병마ᄅᆞᆯ 거ᄂᆞ려 문무 병진ᄒᆞ야 속히 신법을 판결케 ᄒᆞ고 ᄯᅩ 난리ᄅᆞᆯ 진압ᄒᆞ라 ᄒᆞ야 부셔ᄅᆞᆯ ᄃᆡ강 졍ᄒᆞ얏더니 불의 이십이일 오후에 홀연이 ᄃᆡ화ㅣ 이러 종ᄎᆞ로 {{du|법}}졍이 신법이 잇셔도 만만불가 ᄒᆡᆼᄒᆞᆯ지라 오호ㅣ라 이 명명 즁에 식이ᄂᆞᆫ ᄌᆞㅣ 잇ᄂᆞᆫ 듯ᄒᆞ더라 {{du|법}}병이 나올 ᄯᅢ에 길거리마다 병졍을 둔찰ᄒᆞ고 ᄯᅩ 마ᄃᆡᄅᆞᆯ 나노아 각 아문을 호위ᄒᆞ얏더니 이ᄯᅢ에 아문 젼후좌우에 난민이 옹졔ᄒᆞ야 불게기슈요 분분요란ᄒᆞ거ᄂᆞᆯ 마ᄃᆡ 초관이 보고 미워ᄒᆞ더니 난민 즁에 일인이 양창을 가지고 마ᄃᆡ 가운데로 향ᄒᆞ니 ᄒᆞᆫ번 노아 ᄑᆡᆼ연이 드러가ᄂᆞᆫ지라 초관이 대로ᄒᆞ야 급히 마ᄃᆡᄅᆞᆯ 최촉ᄒᆞ야 난민을 향ᄒᆞ야 노으라 ᄒᆞ니 슈ᄇᆡᆨ 탄환이 일졔 병발ᄒᆞ야 ᄇᆡᆨ셩의 쥭은 ᄌᆞㅣ 오십 인이라 비록 분분이 도망ᄒᆞ야 물너가나 쥭은 ᄌᆞᄅᆞᆯ 머이고 상ᄒᆞᆫ ᄌᆞᄅᆞᆯ 븟들고 연로에 거량마필을 겁탈ᄒᆞ야 시신과 상ᄒᆞᆫ ᄌᆞᄅᆞᆯ 싯고 대로상에 ᄭᅳᆯ고 나아가 크게 외이고 ᄃᆡ셩질호ᄒᆞ야 ᄇᆡᆨ셩으로 ᄒᆞ야곰 보라 ᄒᆞ고 ᄯᅩ 관군의 잔포ᄒᆞ믈 하슈연ᄒᆞ니 민심이 더욱 분ᄒᆞ야 로발이츙관ᄒᆞᆫ ᄌᆞㅣ 만터라 ::뎨이십ᄉᆞ졀 {{du|법}}왕이 도망ᄒᆞ미라 시야에 신임 장군 {{u|파가덕}}이 편비 쟝교ᄅᆞᆯ 명ᄒᆞ야 졔군을 거ᄂᆞ러 몬져 대로에 ᄇᆡᆨ셩이 셰운 ᄎᆡᄎᆡᆨ 등을 젼슈이 졈거ᄒᆞ니 민당이 겁ᄂᆡ여 시졍간이 다 숙연이 안졍ᄒᆞ더니 불의에 신임 군긔처 대신이 이르되 난민을 문덕으로ᄡᅥ 안즙 식이미 올코 간과로ᄡᅥ 핍박ᄒᆞᆷ은 불가라 ᄒᆞ야 이십삼일 청신에 젼령 쳘병ᄒᆞ고 ᄇᆡᆨ셩이 물너감을 기다렷더니 ᄃᆡ병이 겨우 퇴ᄒᆞᄆᆡ 난민이 ᄯᅩ 이러날 줄을 뉘 아랏스리요 난민들이 즉시로 {{du|ᄐᆡ연리 궁}}에 드러가니 왕이 맛ᄎᆞᆷ 조반을 진어ᄒᆞ고 졔 대신과 편젼에 안ᄌᆞ 민간의 동졍을 기다리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t5bni5v0c22k6dx0hfq0t3gdfdfldwo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28 250 101020 391787 2025-06-13T15:55:25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다가 홀연이 드르니 분등헌요ᄒᆞ야 들레ᄂᆞᆫ 소ᄅᆡ 갓가이 오ᄂᆞᆫ지라 왕이 곳 붓슬 드러 두어 대신의 셩명을 젹으니 ᄃᆡᄀᆡ 작일에 명ᄒᆞᆫ {{u|졔이}}와 밋 {{u|오지윤 ᄇᆡ노}} 양 ᄃᆡ신보다 더 신법을 조아ᄒᆞᄂᆞᆫ ᄉᆞᄅᆞᆷ이라 다 군긔쳐에 드러와 신졍을 의논ᄒᆞ라 ᄒᆞ고 겨우 붓을 노으ᄆᆡ 홀연 {{du|파리}} 신보관 쥬인 {{u|... 39178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다가 홀연이 드르니 분등헌요ᄒᆞ야 들레ᄂᆞᆫ 소ᄅᆡ 갓가이 오ᄂᆞᆫ지라 왕이 곳 붓슬 드러 두어 대신의 셩명을 젹으니 ᄃᆡᄀᆡ 작일에 명ᄒᆞᆫ {{u|졔이}}와 밋 {{u|오지윤 ᄇᆡ노}} 양 ᄃᆡ신보다 더 신법을 조아ᄒᆞᄂᆞᆫ ᄉᆞᄅᆞᆷ이라 다 군긔쳐에 드러와 신졍을 의논ᄒᆞ라 ᄒᆞ고 겨우 붓을 노으ᄆᆡ 홀연 {{du|파리}} 신보관 쥬인 {{u|긔난졍}}이<ref>에밀 지라르댕(Émile de Girardin)</ref> 직입 왕궁 ᄒᆞᄂᆞᆫ지라 모다 그 돌연이 드러오믈 힐문ᄒᆞᆯ새 {{u|긔난셩}}이 소ᄅᆡᄅᆞᆯ 가다듬어 왕게 말ᄒᆞ야 왈 왕이 대위ᄅᆞᆯ 탐ᄒᆞ면 {{du|법}}국 일이 단단 편안치 못ᄒᆞ리니 ᄒᆞᆫ갓 대신만 박구면 무삼 일에 유조ᄒᆞ리요 왕이 로ᄒᆞ야 듯지 아니ᄒᆞ나 들네ᄂᆞᆫ 소ᄅᆡ 더욱 갓가와 오거ᄂᆞᆯ 졔 대신이 왕을 권ᄒᆞ야 {{u|긔난정}}의 말을 드러 왕위ᄅᆞᆯ ᄉᆞ양ᄒᆞ야 연미의 급ᄒᆞᆷ을 구ᄒᆞ소셔 ᄒᆞ니 왕이 부득이 ᄒᆞ야 위연장탄ᄒᆞ고 퇴위ᄒᆞᄂᆞᆫ 조칙을 ᄂᆡ리여 ᄐᆡ손의게 젼위ᄒᆞ얏더니 난민이 발셔 궁문 밧게 분분이 모얏는지라 졔 ᄃᆡ신이 급히 {{u|노의 비례왕}}과 밋 궁권을 보호ᄒᆞ야 궁에 나아와 차ᄅᆞᆯ 타고 린틴연 쇼쇼연ᄒᆞ게 {{du|파리}}셩으로 나갈새 고궁을 회수ᄒᆞ니 ᄯᅩᄒᆞᆫ 젼왕의 산연쳬하ᄒᆞ든 옛 광경일너라 ᄯᅩ 셕일 녁ᄃᆡ {{du|법}}왕이 난을 당ᄒᆞᆯ ᄯᅢ에 ᄆᆡ양 {{du|영}}국에 피란ᄒᆞ얏ᄂᆞᆫ지라 드듸여 어ᄌᆞᄅᆞᆯ 명ᄒᆞ야 ᄒᆡ변으로 향ᄒᆞ야 ᄌᆡ로분치ᄒᆞ야 범 칠쥬야 일쳔팔ᄇᆡᆨᄉᆞ십팔년 【헌종 십ᄉᆞ년】 삼월 초이일에 무한고황을 격고 비로소 ᄒᆡ변에 이르러 륜션을 타고 {{du|영}}국으로 진발ᄒᆞ야 {{du|영}}국 ᄒᆡ관에 다다라 ᄌᆞ칭 {{u|사미}}<ref>스미스(Smith)</ref> 션ᄉᆡᆼ이라 ᄒᆞ더라 초에 {{du|법}}민이 {{u|노의 비례}}ᄅᆞᆯ 셰워 왕을 삼을 ᄯᅢ에 ᄡᅥ 이르되 왕이 필연 민졍을 부순ᄒᆞ야 신법을 ᄒᆡᆼᄒᆞ리라 ᄒᆞ얏더니 왕이 즉위ᄒᆞᆫ 후에 다만 관작으로ᄡᅥ 사ᄅᆞᆷ을 농낙ᄒᆞ다가 그 ᄉᆞᄅᆞᆷ이 심복이 되면 곳 ᄉᆞ심으로ᄡᅥ 일을 ᄒᆡᆼᄒᆞ야 치국ᄒᆞᄂᆞᆫ 법이 녁ᄃᆡ {{du|법}}왕과 다르미 업고 민졍이 엇더ᄒᆞᆷ을 무른즉 몽연부지ᄒᆞ더라 차시에 {{du|법}}인이 인군을 ᄶᅩᆺ고 별노이 치국ᄒᆞᄂᆞᆫ 신법을 구ᄒᆞ니 ᄃᆡ져 {{du|법}}인이 뉵십년 간에 구ᄒᆞᄂᆞᆫ 바ᄂᆞᆫ 왕위ᄅᆞᆯ 부젼ᄌᆞ ᄌᆞ젼손하ᄂᆞᆫ 마음일너라 ::뎨이십오졀 법국이 ᄯᅩ 변ᄒᆞ야 민쥬국이 되미라 {{du|법}}왕이 이믜 도망ᄒᆞ미 졍부ㅣ 신법을 셰워 일{{sic|ᄒᆞᆷ|홈}}ᄒᆞ야 갈오ᄃᆡ 잠조졍【잠조졍은 잠간 조졍이라 ᄒᆞᆷ이라】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jp1f8fne60vnpifne13fp1gppma5dc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34 250 101021 391788 2025-06-13T15:55:36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78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팔잇카료유다다라 {{절||五}} {{여백|1em}}예수열두사람을보ᄂᆡ며명ᄒᆞ여갈오시ᄃᆡ외방의길에나아가지말고사마랴고을에들지말고 {{절||六}} 오직이살ᄋᆡᆯ집에망한양으게ᄒᆡᆼᄒᆞ라 {{절||七}} ᄒᆡᆼᄒᆞ며뎐ᄒᆞ여갈오ᄃᆡ텬{{복원|국}}이갓가왓다ᄒᆞ고 {{절||八}} 병을곳치며죽은쟈를닐게하며ᄇᆡᆨ납풍을간졍케하며귀{{복원|신}}을ᄶᅩᆺ고너의공이바든바로써공이베풀나 {{절||九}} 금과은과돈과젼ᄃᆡ를뎨츅지말고 {{절||十}} 길에쟈루과두벌옷과신파막ᄃᆡ를가지지말나싹군이그싹젼을어드미싸니라 {{절||十一}} 고을에들어가곳뉘룰차자올은쟈여든더부러거하여갈ᄯᆡ거지이스라 {{절||十二}} 무룬사람의집에들어가문안하라 {{절||十三}} 그집이싸면너의빈바문안이님하고싸지못할것갓타면너의비난바문안이자긔게로도라오리라 {{절||十四}} 너의를ᄃᆡ졉지안으며너의말을듯지안난쟈ᄂᆞᆫ그집과고을을ᄯᅥ날ᄯᆡ여발에몬주ᄭᅥ지ᄯᅥᆯ어버{{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gov96wjn1cjapdzbccry1vsowylaiom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29 250 101022 391789 2025-06-13T15:55:54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이라 ᄒᆞ고 {{u|랍마졍}}을 드러 잠조졍의 두령을 삼으니 ᄎᆞ시ᄅᆞᆯ 당ᄒᆞ야 {{du|법}}민 다사리기 어러우미 {{u|노의 비례왕}} 쳐음 즉위시보다 더욱 착슈ᄒᆞᆯ 곳이 업더라 {{du|파리}} 셩즁에 쥭은 ᄌᆞㅣ 길예 널니엿고 그 다ᄒᆡᆼ이 ᄉᆡᆼ존ᄌᆞᄂᆞᆫ 분로ᄒᆞᆫ 긔운을 발셜코ᄌᆞ ᄒᆞ야 크게 소요ᄅᆞᆯ 지어 례의가 무엇신지 모르며... 39178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이라 ᄒᆞ고 {{u|랍마졍}}을 드러 잠조졍의 두령을 삼으니 ᄎᆞ시ᄅᆞᆯ 당ᄒᆞ야 {{du|법}}민 다사리기 어러우미 {{u|노의 비례왕}} 쳐음 즉위시보다 더욱 착슈ᄒᆞᆯ 곳이 업더라 {{du|파리}} 셩즁에 쥭은 ᄌᆞㅣ 길예 널니엿고 그 다ᄒᆡᆼ이 ᄉᆡᆼ존ᄌᆞᄂᆞᆫ 분로ᄒᆞᆫ 긔운을 발셜코ᄌᆞ ᄒᆞ야 크게 소요ᄅᆞᆯ 지어 례의가 무엇신지 모르며 ᄯᅩ 상고ㅣ 업스ᄆᆡ 량식이 일공ᄒᆞ야 ᄇᆡᆨ셩의 아포ㅣ 흉년을 당ᄒᆞᆷ과 갓튼지라 난민이 {{du|ᄐᆡ연리 궁}}을 ᄭᆡ치고 음식을 겁탈ᄒᆞ며 각 아문 밧게ᄂᆞᆫ 난민이 ᄉᆞ면에 둘녀 잇고 그 심ᄒᆞᆫ ᄌᆞᄂᆞᆫ 아문 즁 누ᄃᆡ 청ᄉᆞ와 밋 관원의 판공ᄒᆞᄂᆞᆫ 쳐소ᄅᆞᆯ 다 웅거ᄒᆞ며 노략ᄒᆞ되 감이 막ᄂᆞᆫ 자ㅣ 업고 {{u|랍마정}}이 이믜 두령이 되ᄆᆡ ᄇᆡᆨ셩이 그 관원인지 ᄇᆡᆨ셩인지 아니 못ᄒᆞ며 밋 {{u|랍마정}}이 {{du|파리}} 부윤 아문에 일을새 ᄌᆞᆼ창 ᄃᆡ검으로ᄡᅥ 호위ᄒᆞᆷ이 ᄃᆡ젹을 림ᄒᆞᆷ과 갓고 부에 이르러 신법을 정ᄒᆞᆯ새 범 삼일 삼야에 조곰도 쉬이지 못ᄒᆞ고 즁인이 젼후좌우에 잇ᄂᆞᆫ ᄌᆞㅣ 례로ᄡᅥ 청ᄒᆞ며 혹 손으로ᄡᅥ 붓들며 혹 역지로 ᄭᅳ러 다리여 아문 밧계 이르다가 ᄯᅩ 홀연이 창 압흐로 나아가 젼후 범 이십ᄎᆞ에 다 ᄇᆡᆨ셩을 권ᄒᆞ야 왈 너의 다시 요란치 말고 잠간 기다리라 곳 조흔 장졍이 잇셔 ᄂᆡ리리라 ᄒᆞ더라 {{du|법}}경의 난이 지ᄎᆞᄒᆞᄆᆡ 모든 현ᄉᆞ로 더부러 진심갈녁ᄒᆞ야 민난을 졍돈ᄒᆞᆯ새 부윤부 즁에셔 고시ᄒᆞ믈 뉵속부졀ᄒᆞ야 왕왕 고시 ᄒᆞ나을 부치ᄆᆡ 보ᄂᆞᆫ ᄌᆞㅣ 보기ᄅᆞᆯ 다 못ᄒᆞ야 고시 ᄯᅩ ᄒᆞ나이 나는다시 와 부터 일이 일간에 발셔 {{du|법}}국 녁ᄃᆡ의 셰습ᄒᆞᄂᆞᆫ 법을 다 혁파ᄒᆞ고 장ᄉᆡᆨ 긔계창을 지어 ᄇᆡᆨ셩으로 ᄒᆞ야곰 업이 잇게 ᄒᆞ고 ᄯᅩ 양식을 변통ᄒᆞ야 긔민을 쥬급ᄒᆞ니 이ᄂᆞᆫ 다 신졍의 가이 긔록ᄒᆞᆯ ᄌᆞ이요 ᄯᅩ 왕을 ᄶᅩ차 츌경ᄒᆞ든 ᄉᆞᄅᆞᆷ을 호괴ᄒᆞ고 국긔의 긔호ᄅᆞᆯ 고치고 ᄯᅩ ᄌᆞ쥬ᄒᆞᆫ다ᄂᆞᆫ 크나무ᄅᆞᆯ 대로상 냥변에 셰우고 【{{du|법}}인이 다 이르되 우리 다년 고ᄉᆡᆼᄒᆞᆷ이 다 {{du|법}}왕이 홀노 졍ᄉᆞᄒᆞ고 ᄇᆡᆨ셩이 ᄎᆞᆷ예치 못ᄒᆞᆫ 연고ㅣ라 ᄎᆞ후ᄂᆞᆫ ᄇᆡᆨ셩이 다 ᄌᆞ쥬지권이 잇셔야 바야흐로 ᄇᆡᆨ셩이 소ᄉᆡᆼ이 된다 ᄒᆞ고 인ᄒᆞ야 나무ᄅᆞᆯ 셰워 불망ᄒᆞ믈 긔록ᄒᆞ미라】 각 져ᄌᆞ 거리에 흰 장원과 분벽이 잇스면 다 크게 ᄡᅥ 왈 ᄌᆞ쥬 평등 동포 【평등은 상하 존비 귀쳔 업단 말이요 동포ᄂᆞᆫ ᄉᆞᄒᆡ 형졔라 ᄒᆞᄂᆞᆫ 말이라】 여셧 ᄌᆞᄅᆞᆯ 크게 쓰고 군졍의 불편ᄒᆞᆫ ᄌᆞᄂᆞᆫ 고치고 구법에 불합ᄒᆞᆫ ᄌᆞᄂᆞᆫ 산삭ᄒᆞᆯ새 구법에 이르되 ᄉᆞᄅᆞᆷ이 국졍을 고치고ᄌᆞ ᄒᆞᄂᆞᆫ ᄌᆞᄂᆞᆫ ᄉᆞ죄에 쳐ᄒᆞᆫ다 ᄒᆞ더니 지금은 경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lpg5bvw3zo1m8erz73zj4fybo2h03px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30 250 101023 391790 2025-06-13T15:56:27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ᄒᆞ게 ᄒᆞ고 새로 창셜ᄒᆞᆫ 바 장ᄉᆡᆨ의 각 긔계 ᄆᆡᆫ드난 창이 가이 공장 십이만 명을 용납ᄒᆞᆯ 만ᄒᆞ고 다 업이 잇게 ᄒᆞ며 쟝ᄉᆡᆨ ᄒᆞ나애 ᄆᆡ일 공젼이 이십젼 식이러라 【신졍이 새로 셔ᄆᆡ {{du|파리}} ᄇᆡᆨ셩이 다 만구동셩ᄒᆞ야 졀묘ᄒᆞ다 일컷고 ᄃᆡ희과망ᄒᆞ야 랍마졍을 ᄭᅧ안고 ᄯᅱ놀고 조와ᄒᆞ야 왈 이ᄂᆞ... 39179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ᄒᆞ게 ᄒᆞ고 새로 창셜ᄒᆞᆫ 바 장ᄉᆡᆨ의 각 긔계 ᄆᆡᆫ드난 창이 가이 공장 십이만 명을 용납ᄒᆞᆯ 만ᄒᆞ고 다 업이 잇게 ᄒᆞ며 쟝ᄉᆡᆨ ᄒᆞ나애 ᄆᆡ일 공젼이 이십젼 식이러라 【신졍이 새로 셔ᄆᆡ {{du|파리}} ᄇᆡᆨ셩이 다 만구동셩ᄒᆞ야 졀묘ᄒᆞ다 일컷고 ᄃᆡ희과망ᄒᆞ야 랍마졍을 ᄭᅧ안고 ᄯᅱ놀고 조와ᄒᆞ야 왈 이ᄂᆞᆫ 몰셰불망ᄒᆞᄀᆡᆺ다 ᄒᆞ더라】 잠조졍이 신졍을 셰우ᄆᆡ 의원의 모든 관원을 장ᄎᆞᆺ 다시 쳔거ᄒᆞᆯ새 젼일에ᄂᆞᆫ ᄇᆡᆨ셩이 부셰ᄅᆞᆯ {{du|영}}금 팔방 이상 되ᄂᆞᆫ ᄌᆞ라야 비로소 관원을 쳔거ᄒᆞᄆᆡ 민졍에 미흡ᄒᆞ더니 지금은 다 혁파ᄒᆞ고 무릇 나이 장뎡된 남ᄌᆞᄂᆞᆫ 다 부셰 유무ᄅᆞᆯ 뭇지 아니ᄒᆞ고 관원 쳔거ᄒᆞᄂᆞᆫ 권을 쥬어 오즉 기즁에 명철ᄒᆞᆫ 션ᄇᆡ 능이 치국ᄒᆞᄂᆞᆫ 신규모ᄅᆞᆯ 셰울 ᄌᆞ여든 비로소 ᄲᆞ는데 들게 ᄒᆞ고 무ᄌᆡᄒᆞᆫ ᄌᆞ로 공연이 츙슈치 못ᄒᆞ리라 ᄒᆞ고 관원 쳔거ᄒᆞᄂᆞᆫ 법이 이믜 졍ᄒᆞᄆᆡ 일쳔팔ᄇᆡᆨᄉᆞ십팔년 【헌종 십ᄉᆞ년】 십일월 ᄉᆞ일에 민쥬ᄒᆞᄂᆞᆫ 신장졍을 반포ᄒᆞ니 그 ᄃᆡ지에 ᄒᆞ얏스되 법률을 졍ᄒᆞᄂᆞᆫ 관원은 오즉 의원에 잇고 의원의 관원은 {{du|법난셔}} 국즁에 인인이 가이 공쳔ᄒᆞᆯ 거시요 신법을 봉ᄒᆡᆼᄒᆞᄂᆞᆫ ᄌᆞㅣ 우에ᄂᆞᆫ {{sic|ᄆᆡᆫ|민}}쥬지군이 잇고 아리ᄂᆞᆫ 민쥬지관이 잇스니 민쥬지군은 ᄉᆞ년을 위한ᄒᆞ야 ᄌᆡ위시에 좌우 ᄃᆡ신을 츌쳑ᄒᆞᄂᆞᆫ 권을 인군이 가지고 젼국의 병권을 인군이 가지고 타국의 교섭을 인군이 쥬장ᄒᆞ고 ᄉᆞ년을 ᄎᆡ이되 ᄉᆞ무ᄃᆡ소ᄒᆞ고 그릇치미 업거든 가이 다시 인군의 위ᄅᆞᆯ 이어 ᄯᅩ ᄉᆞ년을 작졍ᄒᆞ야 젼과 갓치 ᄒᆞ되 인군 츄ᄃᆡᄒᆞᆯ ᄯᅢ에 국ᄂᆡ ᄇᆡᆨ셩이 다 ᄎᆞᆷ예ᄒᆞ야 아지 안인 ᄌᆞㅣ 업게 ᄒᆞ고 ᄯᅩ 그 셩명을 통에 너어 가만이 쳔거ᄒᆞᄂᆞᆫ 법을 ᄡᅥ 그 원망을 부르거나 은혜ᄅᆞᆯ 사ᄂᆞᆫ 폐ᄅᆞᆯ 면케 ᄒᆞ라 ᄒᆞ니 이ᄂᆞᆫ 다 신쟝정의 ᄃᆡ지러라 이 쟝졍을 의원에 ᄂᆡ리여 공의ᄒᆞ라 ᄒᆞ니 의원 칠ᄇᆡᆨ뉵십칠 명 즁에 가타 ᄒᆞᄂᆞᆫ ᄌᆞㅣ 칠ᄇᆡᆨ삼십칠 인이요 불가타 ᄒᆞᄂᆞᆫ ᄌᆞㅣ 겨우 삼십인이러라 연즉 이ᄂᆞᆫ ᄇᆡᆨ인 즁 구십여 인이 가타 ᄒᆞ미라 드듸여 국문에 놉피 달고 한 글자도 증감치 아니ᄒᆞ얏더라 연이나 {{du|법}}인의 겁운이 진치 아니ᄒᆞ야 양법미규가 잇셔도 필경 여러 ᄒᆡ 풍파ᄅᆞᆯ 지ᄂᆡ고 비로소 원을 맛칠너라 구신당 각 관원이 새 법을 강마ᄒᆞᆯ 즈음에 호란낙화ᄒᆞᄂᆞᆫ ᄇᆡᆨ셩이 오히려 신법이 진션진미치 못ᄒᆞ다 ᄒᆞ고 우민을 고혹ᄒᆞ야 드듸여 일쳔팔ᄇᆡᆨᄉᆞ십팔년 【헌종 십ᄉᆞ년】 뉵월 이십삼일에 다시 북과 긔ᄅᆞᆯ 베풀고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vl4lcuc1ekulrmirwbkwy0p5u6jqhz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31 250 101024 391791 2025-06-13T15:56:50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크게 창궐ᄒᆞ니 잠조졍이 엇지ᄒᆞᆯ 길 업셔 급히 {{u|가번아}}로ᄡᅥ<ref>카베냐크(Cavaignac)</ref> 대장군을 삼아 병마ᄅᆞᆯ 통솔ᄒᆞ야 편의 ᄒᆡᆼᄉᆞᄒᆞᄂᆞᆫ 권을 쥬어 각쳐로 츌병ᄒᆞ야 탄압ᄒᆞ니 난민이 이로되 국가ㅣ 병력으로ᄡᅥ 시위ᄒᆞ나 우리 이왕이 누누이 승쳡ᄒᆞ얏스니 무ᄉᆞᆷ 무셔우미 잇스리요 ᄒᆞ며 ᄯᅩ 난민이 다... 39179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크게 창궐ᄒᆞ니 잠조졍이 엇지ᄒᆞᆯ 길 업셔 급히 {{u|가번아}}로ᄡᅥ<ref>카베냐크(Cavaignac)</ref> 대장군을 삼아 병마ᄅᆞᆯ 통솔ᄒᆞ야 편의 ᄒᆡᆼᄉᆞᄒᆞᄂᆞᆫ 권을 쥬어 각쳐로 츌병ᄒᆞ야 탄압ᄒᆞ니 난민이 이로되 국가ㅣ 병력으로ᄡᅥ 시위ᄒᆞ나 우리 이왕이 누누이 승쳡ᄒᆞ얏스니 무ᄉᆞᆷ 무셔우미 잇스리요 ᄒᆞ며 ᄯᅩ 난민이 다 긔계 잇스ᄆᆡ 담이 더욱 쟝ᄒᆞ고 거괴되ᄂᆞᆫ ᄌᆞㅣ ᄯᅩ ᄌᆡ간이 잇셔 셩ᄂᆡ 가로에 ᄎᆡᄎᆡᆨ ᄉᆞ쳔 좌ᄅᆞᆯ 셰우고 셩외의 셰운 ᄌᆞᄂᆞᆫ 셩ᄂᆡ보다 더ᄒᆞ더라 {{u|가번아}} 쟝군이 병사ᄅᆞᆯ 독솔ᄒᆞ고 대포로ᄡᅥ 뭇질으ᄆᆡ ᄇᆡᆨ셩이 ᄯᅩᄒᆞᆫ 항거ᄒᆞ야 당낭거철이 범 ᄉᆞᆷ쥬야에 대란을 평졍ᄒᆞ얏스나 가시상에 류혈이 셩거ᄒᆞ고 로방에 시ᄒᆡ가 산젹ᄒᆞ얏더라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ql8u0sqwa5fqf9qha60x6cn84075g63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35 250 101025 391792 2025-06-13T15:57:34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79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리라 {{절||十五}} ᄂᆡ실노너의게일으노니판죄하난날에소도모과고몰로의형벌이이고을에비기면더밧기쉬올이라 {{절||十六}} ᄂᆡ너의를보ᄂᆡ미양이일이물이에들어감갓탄고로지혜를ᄇᆡ암갓치하고슌하기를비들기갓치하여 {{절||十七}} 삼가사람을막으라너의를공회예ᄭᅳᆯ며회당에셔ᄎᆡᄯᅵᆨ질하리라 {{절||十八}} 너의쟝차나를위하난고로왕과방ᄇᆡᆨ으게ᄭᅳᆯ니워가면이사람과밋외방사람으로간증을삼으라 {{절||十九}} 잡펴갈ᄯᆡ여쟝차엇지하며엇지말할고념녀치말나ᄯᆡ닐으면너의를무삼말노써주리라 {{절||二十}} 너의스사로말치안이하여도너의아바님의령이너의속에이서말하나니 {{절||二十一}} 이ᄯᆡ여동ᄉᆡᆼ이동ᄉᆡᆼ을가져죽을데닐으며아밤이아달을ᄯᅩ한글어하고아달이부모로하여금죽을데닐으나니 {{절||二十二}} 너의ᄂᆡ일홈으로써뭇사람으게슬푸물보이리니오직ᄂᆡ죵것참난쟈{{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k7q46m4ug71i1g55tp97k2smhgj9tou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36 250 101026 391793 2025-06-13T16:05:58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79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난구완하나니라 {{절||二十三}} 이고을에셔군박을보면곳뎌고을노달아가라ᄂᆡ실노너의게일으나니이살ᄋᆡᆯ모든고을에쥬류치못하여인자가닐으리라 {{절||二十四}} 뎨자가스ᄉᆡᆼ을넘지못하며죵이쥬인을넘지못하나니 {{절||二十五}} 뎨자가스ᄉᆡᆼ갓고죵이쥬인갓타면죡하니라쥬인일컷기를별시불이라하난쟈도이스니하물며그집안사람일컷기ᄂᆞᆫ가이알지니 {{절||二十六}} 고로뎨을무셔워말나간직한거시낫타나지안코은밀한거시현노치안으미업나니 {{절||二十七}} ᄂᆡ그윽한곳에셔너의게말한거슬발근데셔긔슐하고너의귀로듯난거슬집우에셔뎐하라 {{절||二十八}} 몸은죽어도능히령혼은죽이지못하난쟈를무셔워말고오직능히몸을죽이며령혼을지옥에망케하ᄂᆞᆫ쟈를차라리두려워하라 {{절||二十九}} ᄉᆡ두말이를돈한푼에사지안나냐글어나너의아밤이그한나토ᄯᅡᆼ에ᄯᅥᆯ어치지안{{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7jxrn9dk4fvinnh7zdda6jvw1zr0ef3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37 250 101027 391794 2025-06-13T16:08:13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79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이하고 {{절||三十}} 너의멀이ᄭᅳᆯ도ᄯᅩ한수를보나니 {{절||三十一}} 고로무셔워말나너의가만온ᄉᆡ보담귀하니라 {{절||三十二}} 물운나를사람압페발키알면ᄂᆡᄯᅩ한ᄂᆡ의텬부압페셔발키알고 {{절||三十三}} 물은나를사람압페막으면ᄂᆡᄯᅩ한ᄂᆡ의텬부압페셔막나니라 {{절||三十四}} ᄂᆡ가셰샹을편안케하려온줄노네기지말나ᄂᆡ가오문셰샹을편안치안케하미요오직칼을닐이우미라 {{절||三十五}} ᄃᆡᄀᆡᄂᆡ가온즉아달이그아밤으게닷토고ᄯᅡᆯ이그어맘으게닷토고메나리가그시엄암으게닷토나니 {{절||三十六}} 원슈난곳집안사람으게잇나니라 {{절||三十七}} 부모를사랑하미ᄂᆡ게지ᄂᆡᄂᆞᆫ쟈도ᄂᆡ게싸지안코{{복원|자}}네사랑하미ᄂᆡ게지ᄂᆡᄂᆞᆫ쟈도ᄂᆡ게싸지안코 {{절||三十八}} 십ᄌᆡ틀을지지안코나를좃ᄂᆞᆫ쟈도ᄯᅩ한ᄂᆡ게싸지안으니라 {{절||三十九}} ᄉᆡᆼ명을엇난쟈ᄂᆞᆫ망하고{{복원|나}}를위하여ᄉᆡᆼ명을망하ᄂᆞᆫ쟈난엇나니라 {{절||四十}} 너의를ᄃᆡ졉하ᄂᆞᆫ쟈난곳나를ᄃᆡ졉하{{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rqq6zfx4emnjdd7bpqrazys3amktxl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40 250 101029 391797 2025-06-13T16:42:51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뭄이데보담크니라 {{절||十二}} 밥팀레버푸ᄂᆞᆫ요안ᄂᆡ로봇터이제닐으도록텬국을힘써어드려ᄒᆞ되힘쓰ᄂᆞᆫ쟈난엇나니 {{절||十三}} 모단션지과뉼법에밀이말{{복원|ᄒᆞ}}여요안ᄂᆡᄭᅥ지닐으럿나니라 {{절||十四}} 만약너의ᄃᆡ졉ᄒᆞ기를원{{복원|ᄒᆞ}}면올이니아가꿋이이사ᄅᆞᆷ이니라 {{절||十五}} 귀이스면들으라 {{절||十六}} 다못이셰샹을무어스로비... 39179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뭄이데보담크니라 {{절||十二}} 밥팀레버푸ᄂᆞᆫ요안ᄂᆡ로봇터이제닐으도록텬국을힘써어드려ᄒᆞ되힘쓰ᄂᆞᆫ쟈난엇나니 {{절||十三}} 모단션지과뉼법에밀이말{{복원|ᄒᆞ}}여요안ᄂᆡᄭᅥ지닐으럿나니라 {{절||十四}} 만약너의ᄃᆡ졉ᄒᆞ기를원{{복원|ᄒᆞ}}면올이니아가꿋이이사ᄅᆞᆷ이니라 {{절||十五}} 귀이스면들으라 {{절||十六}} 다못이셰샹을무어스로비길고{{복원|ᄒᆞ}}니어른아ᄒᆡ가쟝니에안즘갓탄지라그동무를불너갈{{복원|오}}되 {{절||十七}} 우리ᄂᆞᆫ데를부난데너의난ᄯᅱ닐거리지안코우리ᄂᆞᆫ우ᄂᆞᆫ데너의난슬퍼안이ᄒᆞ니 {{절||十八}} 요안ᄂᆡᄂᆞᆫ닐으러먹지도안코마시지도안이ᄒᆞ되사ᄅᆞᆷ이일으기를뎌귀신을품엇다{{복원|ᄒᆞ}}고 {{절||十九}} 인자ᄂᆞᆫ닐으러먹으며마시되사ᄅᆞᆷ이일으기를식츙이쥬ᄀᆡᆨ이니셰관과죄인의벗시라{{복원|ᄒᆞ}}니{{복원|오}}직지혜가그일노써의를칭ᄒᆞ나니라 {{절||二十}} ᄯᆡ여예수능ᄒᆞ물만이버푼고을을ᄎᆡᆨ망{{복원|ᄒᆞ}}문회ᄀᆡᄒᆞ미업스미라 {{절||二十一}} 코라신{{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j6409z27ohdl3edq7wxeg737j5q38wl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38 250 101030 391798 2025-06-13T16:50:36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79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고나를ᄃᆡ졉ᄒᆞ난쟈ᄂᆞᆫ곳나보ᄂᆡᆫ이를ᄃᆡ졉ᄒᆞ미니라 {{절||四十一}} 션지를ᄃᆡ졉ᄒᆞᅀᅮᆫ그션지를위하여션지의공네어드물인ᄒᆞ미요올은사람을ᄃᆡ졉{{복원|ᄒᆞ}}문그올은사람을위ᄒᆞ여올은사람의공네어드물인ᄒᆞᅀᅵ라 {{절||四十二}} 이아희에한나이그ᄂᆡ의뎨자되믈인ᄒᆞ여잔엣물노써맛길쟈라ᄂᆡ실노너의게일으노니뎌공네주물힐치안으리라 == 맛ᄃᆡ복음뎨십일쟝 == {{절||一}} 마즘예수열두뎨자게명하기를다하ᄆᆡ거긔를ᄯᅥ나모든고을에가가라치며도를뎐하다라 {{절||二}} 요안ᄂᆡ옥에셔키리스토일ᄒᆡᆼ한다물듯고 {{절||三}} 두뎨자를보ᄂᆡ여갈오ᄃᆡ올쟈가긔ᄃᆡ니잇가사로다른사람을바ᄅᆡ리잇가하니 {{절||四}} 예수ᄃᆡ답하여갈오시ᄃᆡ곳너의듯난바과보난바를가셔요안ᄂᆡ으게보하되 {{절||五}} 쇠경을<noinclude><references/></noinclude> dl3osjhtnc1s71tbqacxx36ybq4x3q7 391799 391798 2025-06-13T16:52:51Z Aspere 5453 39179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고나를ᄃᆡ졉ᄒᆞ난쟈ᄂᆞᆫ곳나보ᄂᆡᆫ이를ᄃᆡ졉ᄒᆞ미니라 {{절||四十一}} 션지를ᄃᆡ졉ᄒᆞ문그션지를위하여션지의공네어드물인ᄒᆞ미요올은사람을ᄃᆡ졉{{복원|ᄒᆞ}}문그올은사람을위ᄒᆞ여올은사람의공네어드물인ᄒᆞ미라 {{절||四十二}} 이아희에한나이그ᄂᆡ의뎨자되믈인ᄒᆞ여잔엣물노써맛길쟈라ᄂᆡ실노너의게일으노니뎌공네주물힐치안으리라 == 맛ᄃᆡ복음뎨십일쟝 == {{절||一}} 마즘예수열두뎨자게명하기를다하ᄆᆡ거긔를ᄯᅥ나모든고을에가가라치며도를뎐하다라 {{절||二}} 요안ᄂᆡ옥에셔키리스토일ᄒᆡᆼ한다물듯고 {{절||三}} 두뎨자를보ᄂᆡ여갈오ᄃᆡ올쟈가긔ᄃᆡ니잇가사로다른사람을바ᄅᆡ리잇가하니 {{절||四}} 예수ᄃᆡ답하여갈오시ᄃᆡ곳너의듯난바과보난바를가셔요안ᄂᆡ으게보하되 {{절||五}} 쇠경을<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3bt7xark22odyku0hh6zjgbhtnkl2b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39 250 101031 391800 2025-06-13T16:55:28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80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보게하며안잔방이를{{복원|ᄒᆡᆼ}}케하며ᄇᆡᆨ납풍ᄒᆞᄂᆞᆫ쟈를졍케ᄒᆞ며귀먹당이를듯게ᄒᆞ며죽은쟈를살게ᄒᆞ며가ᄂᆞᆫ한쟈로복음을돗게ᄒᆞ나니 {{절||六}} 물온나로써것치물삼지안ᄂᆞᆫ쟈난복이라ᄒᆞ니 {{절||七}} 요안ᄂᆡ의뎨자가거날예수요안ᄂᆡ를갈아쳐뭇사ᄅᆞᆷ으게갈오ᄃᆡ{{복원|너}}의들게나가무어슬{{복원|보}}려{{복원|ᄒᆞ}}엿나냐갈아바ᄅᆞᆷ{{복원|에}}진동할거시냐 {{절||八}} 너의나가무어슬보려ᄒᆞ엿나냐사ᄅᆞᆷ이부들어온것닙은거시냐보라부들{{복원|어}}온것닙은쟈난왕궁{{복원|에}}잇나니라 {{절||九}} 글언즉너의엇지ᄒᆞ여나갓나냐션지를보려ᄒᆞ엿나냐ᄂᆡ너의게일{{복원|오}}나니이ᄂᆞᆫ션지보담더한쟈라 {{절||十}} 경에일너스되ᄂᆡ가ᄂᆡ의사쟈를너의압페보ᄂᆡ여너의길을예비한쟈곳이{{복원|사ᄅᆞᆷ}}이{{복원|라}} {{절||十一}} ᄂᆡ실노너의게일으나니부인이나은바ᄂᆞᆫ밥팀레를버푸ᄂᆞᆫ요안ᄂᆡ보담큰쟈업사되다못텬국에지극키져근시{{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gyuoymh8ivwt35oxovpuntsfrez3ycm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41 250 101032 391804 2025-06-14T01:01:57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80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아ᄌᆡ화라ᄇᆡᆺᄉᆡ다아ᄌᆡ화{{복원|라}}너의가온ᄃᆡ셔{{복원|버}}푼바능하물만약투로과시톤에셔{{복원|버}}푸러스면뵈과ᄌᆡ로써회ᄀᆡ하여스리라 {{절||二十二}} 다못ᄂᆡ너의게일으나니판죄하ᄂᆞᆫ날에투로과시톤의형벌이너의보담밧기쉬올이라 {{절||二十三}} 가ᄇᆡᆯ남아너의올나하날에닐{{복원|으}}려하{{복원|나}}냐쟝차명부에ᄯᅥ러지리{{복원|라}}너의가온ᄃᆡ셔버푼바능하물만약소도모에셔버푸러스면오날ᄭᅥ지온젼하리라 {{절||二十四}} 다못ᄂᆡ너의게일으나니판죄하ᄂᆞᆫ날에소도모의형벌이너의보담밧기쉬올이라하다라 {{절||二十五}} ᄯᆡ여예수갈오시ᄃᆡ아바님{{?}}디{{?}}쥬야ᄂᆡ아바님{{복원|을}}칭찬하눈이{{?}}써지헤과총명한쟈으게ᄂᆞᆫ숨기고젹자으게ᄂᆞᆫ나타ᄂᆡ이미니이다 {{절||二十六}} 진실뒤지라이바니야깃거ᄒᆞ미이갓타니 {{절||二十七}} 만{{복원|물}}이아바니로말ᄆᆡ여나를주ᄆᆡ아바님외여ᄂᆞᆫ아달을아ᄂᆞᆫ이업고아달과아달이즐겨나{{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d8dxcwxdrn5k0sqknd2l6lzfx3ljgn1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42 250 101033 391806 2025-06-14T01:07:49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180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타ᄂᆡ인쟈외여ᄂᆞᆫ아바님을아ᄂᆞᆫ쟈가업나니 {{절||二十八}} 물온신고하ᄂᆞᆫ쟈과무거온거슬진쟈ᄂᆞᆫᄂᆡ게나아오라ᄂᆡ너의를쉬{{복원|이}}물주리{{복원|라}} {{절||二十九}} ᄂᆡ의ᄋᆡᆨ을지고ᄂᆡ게ᄇᆡ오문ᄂᆡ가온유ᄒᆞ고겸손하미니너의마음에쉬이물어들거시 {{절||三十}} {{복원|ᄂᆡ}}의ᄋᆡᆨ은쉽고ᄂᆡ의짐은경하니라 == 맛ᄃᆡ복음뎨십이쟝 == {{절||一}} 그ᄯᆡ사밧일에예수밧틀ᄒᆡᆼ하ᄂᆞᆫ{{복원|ᄃᆡ}}뎨자ᄇᆡ곱파곡셕이삭{{?}}ᄯᅡ먹으니 {{절||二}} 바리ᄉᆡ인이보고갈오ᄃᆡ너의뎨자하ᄂᆞᆫ바가사{{복원|밧}}일에합당치안타하니 {{절||三}} 예수갈오시ᄃᆡ너의다빗과밋좃ᄂᆞᆫ{{복원|자}}ᄇᆡ곱풀ᄯᆡ여ᄒᆡᆼ한바{{?}}외이지못하엿나냐 {{절||四}} 엇지하나님{{?}}궁에들어가딘셜한ᄯᅥᆨ을먹어스니이ᄯᅥᆨ은뎌과좃ᄂᆞᆫ쟈ᄂᆞᆫ합당치안으되오직졔사야가ᄒᆞ니라 {{절||五}} ᄯᅩ뉼법에졔사가안식일에{{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50bz1sz8c76ihhvkz4bksxg2xhz1na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106 250 101034 391808 2025-06-14T02:24:0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만횡청류" />::蔓橫淸類 辭語淫哇 意旨寒陋 不足爲法 然其流來也已久 不可以一時廢棄 故特題于下方 <section end="만횡청류" /> <section begin="465" /><poem> 江原道 開骨山 감도라 드러 鍮店졀 뒤헤 우둑 션 전나모 긋헤 숭구루혀 안즌 白松骨이도 아므려나 자바 질드려 ᄭᅯᆼ山行 보내ᄂᆞᆫ듸 우리ᄂᆞᆫ 새님 거러 두고 질 못 드려 ᄒᆞ노라 <... 39180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만횡청류" />::蔓橫淸類 辭語淫哇 意旨寒陋 不足爲法 然其流來也已久 不可以一時廢棄 故特題于下方 <section end="만횡청류" /> <section begin="465" /><poem> 江原道 開骨山 감도라 드러 鍮店졀 뒤헤 우둑 션 전나모 긋헤 숭구루혀 안즌 白松骨이도 아므려나 자바 질드려 ᄭᅯᆼ山行 보내ᄂᆞᆫ듸 우리ᄂᆞᆫ 새님 거러 두고 질 못 드려 ᄒᆞ노라 </poem><br> <section end="465" /> <section begin="466" /><poem> 金化ㅣ 金城 슈슛대 半 단만 어더 죠고만 말마치 움을 뭇고 조쥭 니쥭 白楊箸로 지거 자내 자소 나ᄂᆞᆫ 매 서로 歡ᄒᆞᆯ만졍 一生에 離別 뉘 모로미 긔 願인가 ᄒᆞ노라 </poem><br> <section end="466" /> <section begin="467" /><poem> 人生 시른 수레 가거ᄂᆞᆯ 보고 온다 七十 고개 너머 八十 드르흐로 진동한동 건너가거ᄂᆞᆯ 보고 왓노라다 가기ᄂᆞᆫ 가ᄃᆞ라마ᄂᆞᆫ 少年 行樂을 못내 닐러 ᄒᆞ더라 </poem>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467"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fv6vz1ro3v1wjpaa7k86fso2psa7kd0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107 250 101035 391809 2025-06-14T02:24:20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468" /><poem> 두고 가ᄂᆞᆫ 의 안과 보내고 잇ᄂᆞᆫ 의 안과 두고 가ᄂᆞᆫ 이ᄂᆞᆫ 雪擁藍關에 馬不前 ᄲᅮᆫ이여니 보내고 잇ᄂᆞᆫ 의 안흔 芳草年年에 恨不窮이로다 </poem><br> <section end="468" /> <section begin="469" /><poem> 東山 昨日雨에 老謝와 바독 두고 草堂 今夜月에 謫仙을 만나 酒一斗 詩百篇이로다 來日은 陌上 靑樓에 杜陵豪 邯鄲... 39180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468" /><poem> 두고 가ᄂᆞᆫ 의 안과 보내고 잇ᄂᆞᆫ 의 안과 두고 가ᄂᆞᆫ 이ᄂᆞᆫ 雪擁藍關에 馬不前 ᄲᅮᆫ이여니 보내고 잇ᄂᆞᆫ 의 안흔 芳草年年에 恨不窮이로다 </poem><br> <section end="468" /> <section begin="469" /><poem> 東山 昨日雨에 老謝와 바독 두고 草堂 今夜月에 謫仙을 만나 酒一斗 詩百篇이로다 來日은 陌上 靑樓에 杜陵豪 邯鄲娼과 큰 못ᄀᆞ지 ᄒᆞ리라 </poem><br> <section end="469" /> <section begin="470" /><poem> 李太白의 酒量은 긔 엇더ᄒᆞ여 一日須傾 三百杯ᄒᆞ며 杜牧之의 風度ᄂᆞᆫ 긔 엇더ᄒᆞ여 醉過楊州ㅣ 橘滿車ㅣ런고 아마도 이 둘의 風采ᄂᆞᆫ 못내 부러ᄒᆞ노라 </poem><br> <section end="470" /> <section begin="471" /><poem> 項羽ㅣ ᄌᆞ컨 天下壯士ㅣ랴마ᄂᆞᆫ 虞美人 離別 泣數行下ᄒᆞ고 唐明皇이 ᄌᆞ컨 濟世英主ㅣ랴마ᄂᆞᆫ 楊貴妃 離別에 우럿ᄂᆞ니 ᄒᆞ믈며 녀나믄 丈夫ㅣ야 닐러 무슴 ᄒᆞ리오 </poem>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471"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4lq8itc4cydkf6n2byh7xy0x9d0vsq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108 250 101036 391810 2025-06-14T02:24:38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472" /><poem> 靑개고리 腹疾ᄒᆞ여 주근 날 밤의 金두텁 花郞이 즌호개새남 갈싀 靑묍독 겨대ᄂᆞᆫ 杖鼓 던더러쿵 ᄒᆞᄂᆞᆫ듸 黑묍독 典樂이 져 힐니리 ᄒᆞᆫ다 어듸셔 돌 진 가재ᄂᆞᆫ 舞鼓를 둥둥 치ᄂᆞ니 </poem><br> <section end="472" /> <section begin="473" /><poem> 大丈夫ㅣ 天地間에 ᄒᆡ올 이 바히 업다 글을 ᄒᆞ쟈 ᄒᆞ니 人生 識字ㅣ... 39181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472" /><poem> 靑개고리 腹疾ᄒᆞ여 주근 날 밤의 金두텁 花郞이 즌호개새남 갈싀 靑묍독 겨대ᄂᆞᆫ 杖鼓 던더러쿵 ᄒᆞᄂᆞᆫ듸 黑묍독 典樂이 져 힐니리 ᄒᆞᆫ다 어듸셔 돌 진 가재ᄂᆞᆫ 舞鼓를 둥둥 치ᄂᆞ니 </poem><br> <section end="472" /> <section begin="473" /><poem> 大丈夫ㅣ 天地間에 ᄒᆡ올 이 바히 업다 글을 ᄒᆞ쟈 ᄒᆞ니 人生 識字ㅣ 憂患始오 칼 ᄡᅳ쟈 ᄒᆞ니 乃知 兵者ㅣ 是兇器로다 ᄎᆞᆯ하리 靑樓酒肆로 오락가락 ᄒᆞ리라 </poem><br> <section end="473" /> <section begin="474" /><poem> 世上 富貴人들아 貧寒士를 웃지 마라 石富萬財로 匹夫에 긋치고 顔貧一瓢로도 聖賢에 니르시니 내 몸이 貧寒ᄒᆞ야마ᄂᆞᆫ 내 길을 닥그면 ᄂᆞᆷ의 富貴 부르랴 </poem><br> <section end="474" /> <section begin="475" /><poem> 月黃昏 계여 간 날에 定處 업시 나간 님이 白馬金鞭으로 어듸 가 ᄃᆞᆫ니다가 酒色에 ᄌᆞᆷ기여 도라올 줄 니젓ᄂᆞᆫ고 獨宿 孤房ᄒᆞ여 長相思 淚如雨에 轉輾不寐 ᄒᆞ노라 </poem>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475"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7n5nolmf996tr70a23zoxn1sui05mf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109 250 101037 391811 2025-06-14T02:25:0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476" /><poem> ᄋᆞ자 나 ᄡᅳ던 되黃毛筆을 首陽梅月을 흠벅 지거 窓前에 언젓더니 댁ᄃᆡ글 구우러 ᄯᅩᆨ 나려지거고 이제 도라면 어들 법 잇건마ᄂᆞᆫ 아모나 어더 가져셔 그려 보면 알리라 </poem><br> <section end="476" /> <section begin="477" /><poem> 梨花에 露濕도록 뉘게 잡혀 못오ᄃᆞᆫ고 오쟈락 뷔혀잡고 가지 마소 ᄒᆞᄂᆞᆫ듸 無端히 ᄯ... 39181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476" /><poem> ᄋᆞ자 나 ᄡᅳ던 되黃毛筆을 首陽梅月을 흠벅 지거 窓前에 언젓더니 댁ᄃᆡ글 구우러 ᄯᅩᆨ 나려지거고 이제 도라면 어들 법 잇건마ᄂᆞᆫ 아모나 어더 가져셔 그려 보면 알리라 </poem><br> <section end="476" /> <section begin="477" /><poem> 梨花에 露濕도록 뉘게 잡혀 못오ᄃᆞᆫ고 오쟈락 뷔혀잡고 가지 마소 ᄒᆞᄂᆞᆫ듸 無端히 ᄯᅥᆯ치고 오쟈 ᄒᆞᆷ도 어렵더라 져 님아 네 안흘 져버 보스라 네오 긔오 다르랴 </poem><br> <section end="477" /> <section begin="478" /><poem> 어이려뇨 어이려뇨 싀어마님아 어이려뇨 쇼대남진의 밥을 담다가 놋쥬걱 잘를 부르쳐시니 이를 어이ᄒᆞ려뇨 싀어마님아 져 아기 하 걱졍 마스라 우리도 져머신 제 만히 것거 보왓노라 </poem><br> <section end="478" /> <section begin="479" /><poem> ᄇᆞ른갑이라 하ᄂᆞᆯ로 ᄂᆞᆯ며 두더쥐라 ᄯᅡ흐로 들랴 금죵달이 鐵綱에 걸려 플덕플덕 프드덕이니 ᄂᆞᆯ다 긜다 네 어드로 갈다 우리도 새님 거러 두고 플더겨 볼가 ᄒᆞ노라 </poem>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479"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0dub0t1ab3143ab97v6919px9b6ql1 페이지: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110 250 101038 391812 2025-06-14T02:25:25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480" /><poem> 각시ᄂᆡ 玉 ᄀᆞᆺ튼 가슴을 어이구러 다혀 볼고 토綿紬 紫芝 작져구리 속에 깁젹삼 안셥히 되되여 죤득죤득 대히고지고 잇다감 ᄯᆞᆷ 나 붓닐 제 ᄯᅥ힐 뉘를 모르리라 </poem><br> <section end="480" /> <section begin="481" /><poem> 솔 아레 에구븐 길로 셋 가ᄂᆞᆫ듸 말잿 즁아 人間 離別 獨宿孤房 삼긴 부쳐 어ᄂᆡ 졀에 안젓ᄃᆞ니... 39181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480" /><poem> 각시ᄂᆡ 玉 ᄀᆞᆺ튼 가슴을 어이구러 다혀 볼고 토綿紬 紫芝 작져구리 속에 깁젹삼 안셥히 되되여 죤득죤득 대히고지고 잇다감 ᄯᆞᆷ 나 붓닐 제 ᄯᅥ힐 뉘를 모르리라 </poem><br> <section end="480" /> <section begin="481" /><poem> 솔 아레 에구븐 길로 셋 가ᄂᆞᆫ듸 말잿 즁아 人間 離別 獨宿孤房 삼긴 부쳐 어ᄂᆡ 졀에 안젓ᄃᆞ니 문노라 말잿 중아 小僧은 아읍지 못ᄒᆞ오니 샹좌 누의 ᄋᆞ나이다 </poem><br> <section end="481" /> <section begin="482" /><poem> 淸風明月 智水仁山 鶴髮烏巾 大賢君子 辛野叟 琅琊翁이 大東에 다시 나 松桂幽栖에 紫芝를 노래ᄒᆞ여 逸趣ㅣ도 노프실샤 비ᄂᆞ니 經綸大志로 聖主를 도와 治國安民 ᄒᆞ쇼셔 </poem><br> <section end="482" /> <section begin="483" /><poem> 白雲은 千里萬里 明月은 前溪後溪 罷釣歸來ᄒᆞᆯ 제 낫근 고기 ᄭᅯ여 들고 斷橋로 건너 杏花 ᄇᆞ라보며 酒家로 도라드ᄂᆞᆫ 져 늘그니 眞實로 네 興味 언매오 갑 못 칠가 ᄒᆞ노라 </poem>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483"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q9o4wotddtmiqojiylk57a24juds85 페이지:리린젼 상권.djvu/33 250 101039 391815 2025-06-14T05:30:22Z Ssooongk 1849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32 리린젼 上'''</br> 기를기다리더니오호라쳐ᄉᆞ우연득병ᄒᆞ야백약이무효ᄒᆞ고졈々위즁ᄒᆞ니쳐ᄉᆞ스ᄉᆞ 로일지못ᄒᆞᆯ쥴알고녀아를불너손을잡고탄식ᄒᆞ야왈ᄂᆡ박복ᄒᆞ야다른ᄌᆞ식이업고다 만너를길너텬ᄒᆡᆼ으로어진ᄉᆞ외를엇으ᄆᆡ만년의몸을부탁ᄒᆞ야귀ᄒᆞᆷ을볼가ᄒᆞ얏더니 셔랑의도라옴을보지못ᄒᆞ고황쳔긱을... 39181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sooongk"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32 리린젼 上'''</br> 기를기다리더니오호라쳐ᄉᆞ우연득병ᄒᆞ야백약이무효ᄒᆞ고졈々위즁ᄒᆞ니쳐ᄉᆞ스ᄉᆞ 로일지못ᄒᆞᆯ쥴알고녀아를불너손을잡고탄식ᄒᆞ야왈ᄂᆡ박복ᄒᆞ야다른ᄌᆞ식이업고다 만너를길너텬ᄒᆡᆼ으로어진ᄉᆞ외를엇으ᄆᆡ만년의몸을부탁ᄒᆞ야귀ᄒᆞᆷ을볼가ᄒᆞ얏더니 셔랑의도라옴을보지못ᄒᆞ고황쳔긱을지어너의모녀로ᄒᆞ야금강담치못ᄒᆞᆯ졍경을ᄭᅵ 치니여한이업지못ᄒᆞ거니와리랑은록々ᄒᆞᆫ장부가아니라네부ᄃᆡ군자밧드ᄂᆞᆫ도리를 다ᄒᆞ야부모로ᄒᆞ야금교훈치못ᄒᆞᆫᄎᆡᆨ망을면케ᄒᆞ라ᄒᆞ시고ᄯᅩ남씨더러러갈아ᄃᆡᄉᆞᄅᆞᆷ의 나이오십이지ᄂᆡ면과히불족ᄒᆞ다아니ᄒᆞ나니ᄂᆡ이졔륙십이너멋즌즉쥭어도족히한 ᄒᆞᆯ것이업스되오직셔랑으로더부러영결을일우지못ᄒᆞ며녀아의셩가ᄒᆞᆷ을보지못ᄒᆞ 고구원에도라가닝눈을감지못ᄒᆞᆯ지라그러나부인은나의업슴으로너머샹ᄒᆞ오치말 고아모죠록녀아를올흔도리로교훈ᄒᆞ고셔로의지ᄒᆞ다셔랑이도라온후반가히맛 나영귀ᄒᆞᆷ을보라ᄒᆞ고언필에인ᄒᆞ야별셰시니남씨모녀의맛극애통을엇지다측 량ᄒᆞ리오례를갓초아션산에안쟝ᄒᆞ고모녀셔로의지ᄒᆞ야셰월을보ᄂᆡ며리랑오기를 고ᄃᆡᄒᆞ더니이ᄯᆡ화쥬와남방열읍이크게흉년들어아ᄉᆞᄒᆞᄂᆞᆫᄌᆡ길에련ᄒᆞ고도젹이봉 긔ᄒᆞ야백주살인ᄒᆞ며황혼츙화ᄒᆞ야도로에ᄒᆡᆼ인이ᄭᅳᆫ치고읍촌이소요ᄒᆞ야극히황々 ᄒᆞᆫ지라화불단ᄒᆡᆼ이오셜샹가샹ᄒᆞᄂᆞᆫᄋᆡᆨ회를가히알지못ᄒᆞ리로다수백여명도젹이백 록촌에들어와ᄌᆡ물을로략ᄒᆞ다가두씨의아름다운ᄌᆞᄉᆡᆨ을보고일시에ᄃᆞᆯ녀들어ᄭᅳᆯ 어ᄂᆡ여업고다라나니남씨긔가막혀가삼을두다리며하날을부르지져무수히애통ᄒᆞᆫ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blf2bl6i8huxyk5y465lyrz1n3tw0uw 페이지:리린젼 상권.djvu/34 250 101040 391816 2025-06-14T05:54:33Z Ssooongk 1849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리린젼上 33''' 등발셔이십리양산강에이르러배안■등이고배를살갓치걱으니뉘눙히금지ᄒᆞ리오 두씨창황즁배에업듸려가만히ᄉᆡᆼ각ᄒᆞᄆᆡ몸에■개업셔ᄂᆞᆯ지못ᄒᆞ고셤々약질이맛 참ᄂᆡ도젹의겁박을당ᄒᆞᆯ자러더사죵산울가다듬어처마를무릅쓰고몸을소수어배아 ᄅᆡᄯᅥ러지너가련타두씨의ᄆᆡ운마음으로쳥강에몸을던져어복... 39181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sooongk"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리린젼上 33''' 등발셔이십리양산강에이르러배안■등이고배를살갓치걱으니뉘눙히금지ᄒᆞ리오 두씨창황즁배에업듸려가만히ᄉᆡᆼ각ᄒᆞᄆᆡ몸에■개업셔ᄂᆞᆯ지못ᄒᆞ고셤々약질이맛 참ᄂᆡ도젹의겁박을당ᄒᆞᆯ자러더사죵산울가다듬어처마를무릅쓰고몸을소수어배아 ᄅᆡᄯᅥ러지너가련타두씨의ᄆᆡ운마음으로쳥강에몸을던져어복고혼이되ᄆᆡ일월이 무광ᄒᆞ며강수가오열ᄒᆞ고도젹들도오히려참악히여기더라두씨효열이겸비ᄒᆞᆫ텬ᄉᆡᆼ 미질로이러ᄒᆞᆫᄋᆡᆨ을당ᄒᆞᄆᆡ원한이구텬ᄉᆞ못치니엇지텬도가무심ᄒᆞ리오ᄂᆞᆯ옥 황상졔ᄒᆡ룡왕에게ᄒᆞ교ᄒᆞ교ᄒᆞᄉᆞᄃᆡ열녀두계셤이금일오시에양산강ᄲᅡ질것이니급 히구ᄒᆞ야수궁에두엇다가삼년후다시인잔으로출송ᄒᆞ라ᄒᆞᄃᆡ룡왕이즉시여러 시녀로ᄒᆞ야금백옥ᄌᆞ를가지고양산강에보내여기다리더니ᄂᆞᆯ두씨물ᄲᅡ지ᄆᆡ 뎐디명ᄒᆞᄎᆡ의홍ᄒᆞᆫ녀인등이옥교로올으기를쳥ᄒᆞᄂᆞᆯ두ᄉᆞ양ᄒᆞ야갈오 ᄃᆡᄂᆡ이제도젹의욕을피ᄒᆞ야물에ᄲᅡ졋거늘그ᄃᆡ둥이구ᄒᆞ고ᄌᆞᄒᆞ니감사ᄒᆞ나연고를 알지못ᄒᆞ고엇지경션히허락ᄒᆞ리오시녀등이갈오ᄃᆡ우ᄂᆞᆫ남ᄒᆡ룡왕의시ᄋᆞᆸ더 니우리왕게ᄋᆞᆸ셔상제의명을밧ᄌᆞ와낭자를구ᄒᆞ라ᄒᆞ시ᄆᆡ등ᄃᆡᄒᆞᆫ지이믜오ᄅᆡ되얏나 이다두씨그졔야교ᄌᆡ에올으니슌식간에영덕겨문ᄋᆞᆸ헤이으러바ᄂᆡ궁으로인도 ᄒᆞ고룡왕비마죠나와영졉ᄒᆞ야좌를ᄒᆞᆫ야좌를졍ᄒᆞᆫ후룡왕비왈수부와양계가셔로통셜이어려 은고ᄯᅳᆺ이잇셔도일우지못ᄒᆞᄂᆞᆫ일이만터니의외샹졔하교를인ᄒᆞ야낭자로더부 러셔로맛나니감ᄒᆞᆫ마음이실로은근ᄒᆞ도다두씨아미를슉이ᄃᆡ왈쳡은죄악이중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k3mrajqvgosg373elhmpv1htpaakond 391817 391816 2025-06-14T05:54:55Z Ssooongk 18491 39181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sooongk"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리린젼上 33'''</br> 등발셔이십리양산강에이르러배안■등이고배를살갓치걱으니뉘눙히금지ᄒᆞ리오 두씨창황즁배에업듸려가만히ᄉᆡᆼ각ᄒᆞᄆᆡ몸에■개업셔ᄂᆞᆯ지못ᄒᆞ고셤々약질이맛 참ᄂᆡ도젹의겁박을당ᄒᆞᆯ자러더사죵산울가다듬어처마를무릅쓰고몸을소수어배아 ᄅᆡᄯᅥ러지너가련타두씨의ᄆᆡ운마음으로쳥강에몸을던져어복고혼이되ᄆᆡ일월이 무광ᄒᆞ며강수가오열ᄒᆞ고도젹들도오히려참악히여기더라두씨효열이겸비ᄒᆞᆫ텬ᄉᆡᆼ 미질로이러ᄒᆞᆫᄋᆡᆨ을당ᄒᆞᄆᆡ원한이구텬ᄉᆞ못치니엇지텬도가무심ᄒᆞ리오ᄂᆞᆯ옥 황상졔ᄒᆡ룡왕에게ᄒᆞ교ᄒᆞ교ᄒᆞᄉᆞᄃᆡ열녀두계셤이금일오시에양산강ᄲᅡ질것이니급 히구ᄒᆞ야수궁에두엇다가삼년후다시인잔으로출송ᄒᆞ라ᄒᆞᄃᆡ룡왕이즉시여러 시녀로ᄒᆞ야금백옥ᄌᆞ를가지고양산강에보내여기다리더니ᄂᆞᆯ두씨물ᄲᅡ지ᄆᆡ 뎐디명ᄒᆞᄎᆡ의홍ᄒᆞᆫ녀인등이옥교로올으기를쳥ᄒᆞᄂᆞᆯ두ᄉᆞ양ᄒᆞ야갈오 ᄃᆡᄂᆡ이제도젹의욕을피ᄒᆞ야물에ᄲᅡ졋거늘그ᄃᆡ둥이구ᄒᆞ고ᄌᆞᄒᆞ니감사ᄒᆞ나연고를 알지못ᄒᆞ고엇지경션히허락ᄒᆞ리오시녀등이갈오ᄃᆡ우ᄂᆞᆫ남ᄒᆡ룡왕의시ᄋᆞᆸ더 니우리왕게ᄋᆞᆸ셔상제의명을밧ᄌᆞ와낭자를구ᄒᆞ라ᄒᆞ시ᄆᆡ등ᄃᆡᄒᆞᆫ지이믜오ᄅᆡ되얏나 이다두씨그졔야교ᄌᆡ에올으니슌식간에영덕겨문ᄋᆞᆸ헤이으러바ᄂᆡ궁으로인도 ᄒᆞ고룡왕비마죠나와영졉ᄒᆞ야좌를ᄒᆞᆫ야좌를졍ᄒᆞᆫ후룡왕비왈수부와양계가셔로통셜이어려 은고ᄯᅳᆺ이잇셔도일우지못ᄒᆞᄂᆞᆫ일이만터니의외샹졔하교를인ᄒᆞ야낭자로더부 러셔로맛나니감ᄒᆞᆫ마음이실로은근ᄒᆞ도다두씨아미를슉이ᄃᆡ왈쳡은죄악이중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s83gz5hz37ec3ih1vx8qtslmewxli1 391818 391817 2025-06-14T05:55:11Z Ssooongk 18491 39181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sooongk"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리린젼上 33'''</br> 들발셔이십리양산강에이르러배안■등이고배를살갓치걱으니뉘눙히금지ᄒᆞ리오 두씨창황즁배에업듸려가만히ᄉᆡᆼ각ᄒᆞᄆᆡ몸에■개업셔ᄂᆞᆯ지못ᄒᆞ고셤々약질이맛 참ᄂᆡ도젹의겁박을당ᄒᆞᆯ자러더사죵산울가다듬어처마를무릅쓰고몸을소수어배아 ᄅᆡᄯᅥ러지너가련타두씨의ᄆᆡ운마음으로쳥강에몸을던져어복고혼이되ᄆᆡ일월이 무광ᄒᆞ며강수가오열ᄒᆞ고도젹들도오히려참악히여기더라두씨효열이겸비ᄒᆞᆫ텬ᄉᆡᆼ 미질로이러ᄒᆞᆫᄋᆡᆨ을당ᄒᆞᄆᆡ원한이구텬ᄉᆞ못치니엇지텬도가무심ᄒᆞ리오ᄂᆞᆯ옥 황상졔ᄒᆡ룡왕에게ᄒᆞ교ᄒᆞ교ᄒᆞᄉᆞᄃᆡ열녀두계셤이금일오시에양산강ᄲᅡ질것이니급 히구ᄒᆞ야수궁에두엇다가삼년후다시인잔으로출송ᄒᆞ라ᄒᆞᄃᆡ룡왕이즉시여러 시녀로ᄒᆞ야금백옥ᄌᆞ를가지고양산강에보내여기다리더니ᄂᆞᆯ두씨물ᄲᅡ지ᄆᆡ 뎐디명ᄒᆞᄎᆡ의홍ᄒᆞᆫ녀인등이옥교로올으기를쳥ᄒᆞᄂᆞᆯ두ᄉᆞ양ᄒᆞ야갈오 ᄃᆡᄂᆡ이제도젹의욕을피ᄒᆞ야물에ᄲᅡ졋거늘그ᄃᆡ둥이구ᄒᆞ고ᄌᆞᄒᆞ니감사ᄒᆞ나연고를 알지못ᄒᆞ고엇지경션히허락ᄒᆞ리오시녀등이갈오ᄃᆡ우ᄂᆞᆫ남ᄒᆡ룡왕의시ᄋᆞᆸ더 니우리왕게ᄋᆞᆸ셔상제의명을밧ᄌᆞ와낭자를구ᄒᆞ라ᄒᆞ시ᄆᆡ등ᄃᆡᄒᆞᆫ지이믜오ᄅᆡ되얏나 이다두씨그졔야교ᄌᆡ에올으니슌식간에영덕겨문ᄋᆞᆸ헤이으러바ᄂᆡ궁으로인도 ᄒᆞ고룡왕비마죠나와영졉ᄒᆞ야좌를ᄒᆞᆫ야좌를졍ᄒᆞᆫ후룡왕비왈수부와양계가셔로통셜이어려 은고ᄯᅳᆺ이잇셔도일우지못ᄒᆞᄂᆞᆫ일이만터니의외샹졔하교를인ᄒᆞ야낭자로더부 러셔로맛나니감ᄒᆞᆫ마음이실로은근ᄒᆞ도다두씨아미를슉이ᄃᆡ왈쳡은죄악이중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ieucyczvdvmf6k41ps5myitchjzin2 페이지:리린젼 상권.djvu/35 250 101041 391819 2025-06-14T06:15:28Z Ssooongk 1849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34 리린젼上''' 와ᄒᆞ환란에쥭게된목숨을구ᄒᆞ사추비ᄒᆞᆫ자최로쳥숙ᄒᆞᆫ슈궁에들어와존안을뵈오니 황공ᄉᆞᄒᆞᆷ을엇자다말삼ᄒᆞ올닛가이후부터룡왕비로더부러침식을갓치ᄒᆞ며문답 이친근ᄒᆞᄆᆡ일신은평안ᄒᆞ나모친과랑군의ᄉᆞᄉᆡᆼ존망을알지못ᄒᆞ야주야수심으로셰 월을지ᄂᆡ더라ᄌᆞ셜남씨도젹에게녀아를일코실... 39181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sooongk"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34 리린젼上''' 와ᄒᆞ환란에쥭게된목숨을구ᄒᆞ사추비ᄒᆞᆫ자최로쳥숙ᄒᆞᆫ슈궁에들어와존안을뵈오니 황공ᄉᆞᄒᆞᆷ을엇자다말삼ᄒᆞ올닛가이후부터룡왕비로더부러침식을갓치ᄒᆞ며문답 이친근ᄒᆞᄆᆡ일신은평안ᄒᆞ나모친과랑군의ᄉᆞᄉᆡᆼ존망을알지못ᄒᆞ야주야수심으로셰 월을지ᄂᆡ더라ᄌᆞ셜남씨도젹에게녀아를일코실셩애통ᄒᆞ야주야수심으로셰 즈되종젹을알지못ᄒᆞ고지향업시단이다가한곳에이르니좌우산곡에수목이무셩ᄒᆞ 고ᄋᆞᆸ해강물을림ᄒᆞᆫ지라맛ᄎᆞᆷ긔갈이심ᄒᆞ야능히행보를못ᄒᆞ고언덕에비겨안셔졍 신이혼몽ᄒᆞ더니홀연막ᄃᆡᄭᅳ는ᄅᆡ나며한녀승이겻헤와남씨경샹을보고바랑을 글너다과를ᄂᆡ여쥬거늘남씨밧어먹으ᄆᆡ요긔가족ᄒᆞᆫ지라녀승을향ᄒᆞ야치하왈존사 ᄂᆞᆫ어는절에잇ᄃᆡ쥭게된ᄉᆡᆼ을구졔ᄒᆞ시니은혜를엇지다갑ᄉᆞ올닛가녀승왈약 잔식물을과도히말ᄒᆞᆯ것업거니와부인의모양을보온즉단졍ᄒᆞ고온숙ᄒᆞ야산촌의 미쳔ᄒᆞᆫ부녀가아니온ᄃᆡ무삼연고로이곳에이르러저러릇곤박ᄒᆞ시닛가남씨답왈 화쥬ᄯᅡ에살더니가문이불ᄒᆡᆼᄒᆞ야군자기셰ᄒᆞ시고무남독녀를도젹에게일으ᄆᆡ혈々 단신이의탁ᄒᆞᆯ곳이업고구차ᄒᆞᆫ목슘이졀로쥭지못ᄒᆞ야동셔남북의분별이업시류 리ᄀᆡ걸ᄒᆞ오니ᄯᅩᄒᆞᆫ이곳이어ᄃᆡ인지알지못ᄒᆞ노라녀승이갈오ᄃᆡ소승은자운암에잇 사오며법명은혜관이오이ᄯᅡ은졔양현이요이강에연화가만히피ᄂᆞᆫ고로일음을연자 강이라ᄒᆞᄋᆞᆸ나니이길로륙칠리를가면자운암이잇스되슈셕과화초의경ᄀᆡ가보암직 ᄒᆞ야근읍수령이며충류남ᄌᆞ들이강에션유와졀노리로낙연부졀ᄒᆞᄂᆞᆫ고로남방승디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9pmki41liujpiqma85p8tdd656nnaoc 391821 391819 2025-06-14T06:15:42Z Ssooongk 18491 39182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sooongk"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34 리린젼上'''</br> 와ᄒᆞ환란에쥭게된목숨을구ᄒᆞ사추비ᄒᆞᆫ자최로쳥숙ᄒᆞᆫ슈궁에들어와존안을뵈오니 황공ᄉᆞᄒᆞᆷ을엇자다말삼ᄒᆞ올닛가이후부터룡왕비로더부러침식을갓치ᄒᆞ며문답 이친근ᄒᆞᄆᆡ일신은평안ᄒᆞ나모친과랑군의ᄉᆞᄉᆡᆼ존망을알지못ᄒᆞ야주야수심으로셰 월을지ᄂᆡ더라ᄌᆞ셜남씨도젹에게녀아를일코실셩애통ᄒᆞ야주야수심으로셰 즈되종젹을알지못ᄒᆞ고지향업시단이다가한곳에이르니좌우산곡에수목이무셩ᄒᆞ 고ᄋᆞᆸ해강물을림ᄒᆞᆫ지라맛ᄎᆞᆷ긔갈이심ᄒᆞ야능히행보를못ᄒᆞ고언덕에비겨안셔졍 신이혼몽ᄒᆞ더니홀연막ᄃᆡᄭᅳ는ᄅᆡ나며한녀승이겻헤와남씨경샹을보고바랑을 글너다과를ᄂᆡ여쥬거늘남씨밧어먹으ᄆᆡ요긔가족ᄒᆞᆫ지라녀승을향ᄒᆞ야치하왈존사 ᄂᆞᆫ어는절에잇ᄃᆡ쥭게된ᄉᆡᆼ을구졔ᄒᆞ시니은혜를엇지다갑ᄉᆞ올닛가녀승왈약 잔식물을과도히말ᄒᆞᆯ것업거니와부인의모양을보온즉단졍ᄒᆞ고온숙ᄒᆞ야산촌의 미쳔ᄒᆞᆫ부녀가아니온ᄃᆡ무삼연고로이곳에이르러저러릇곤박ᄒᆞ시닛가남씨답왈 화쥬ᄯᅡ에살더니가문이불ᄒᆡᆼᄒᆞ야군자기셰ᄒᆞ시고무남독녀를도젹에게일으ᄆᆡ혈々 단신이의탁ᄒᆞᆯ곳이업고구차ᄒᆞᆫ목슘이졀로쥭지못ᄒᆞ야동셔남북의분별이업시류 리ᄀᆡ걸ᄒᆞ오니ᄯᅩᄒᆞᆫ이곳이어ᄃᆡ인지알지못ᄒᆞ노라녀승이갈오ᄃᆡ소승은자운암에잇 사오며법명은혜관이오이ᄯᅡ은졔양현이요이강에연화가만히피ᄂᆞᆫ고로일음을연자 강이라ᄒᆞᄋᆞᆸ나니이길로륙칠리를가면자운암이잇스되슈셕과화초의경ᄀᆡ가보암직 ᄒᆞ야근읍수령이며충류남ᄌᆞ들이강에션유와졀노리로낙연부졀ᄒᆞᄂᆞᆫ고로남방승디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dn4h0o5zawdc81geoz30x22yvu0gms7 페이지:正俗諺解.djvu/10 250 101042 391820 2025-06-14T06:15:33Z 돈의문 17299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거ᄒᆞ시게호리니오ᄂᆞᆯ날내어버이효도호미후에내ᄌᆞ손니나를ᄯᅩ진졍ᄒᆞ야효도ᄒᆞᆯ거시니이감응의ᄌᆞ연ᄒᆞᆫ도리라 ᄒᆞ다가아비ᄅᆞᆯ공경티아니ᄒᆞ면이ᄂᆞᆫ하ᄂᆞᆯ이쇼ᄆᆞᆯ모ᄅᆞᄂᆞᆫ디오 어미ᄅᆞᆯᄉᆞ랑티아니ᄒᆞ면이ᄂᆞᆫᄯᅡ이쇼ᄆᆞᆯ도ᄅᆞᄂᆞᆫ디니사ᄅᆞᆷ미하ᄂᆞᆯᄯᅡ이쇼ᄆᆞᆯ모ᄅᆞ면 하ᄂᆞ... 39182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돈의문"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거ᄒᆞ시게호리니오ᄂᆞᆯ날내어버이효도호미후에내ᄌᆞ손니나를ᄯᅩ진졍ᄒᆞ야효도ᄒᆞᆯ거시니이감응의ᄌᆞ연ᄒᆞᆫ도리라 ᄒᆞ다가아비ᄅᆞᆯ공경티아니ᄒᆞ면이ᄂᆞᆫ하ᄂᆞᆯ이쇼ᄆᆞᆯ모ᄅᆞᄂᆞᆫ디오 어미ᄅᆞᆯᄉᆞ랑티아니ᄒᆞ면이ᄂᆞᆫᄯᅡ이쇼ᄆᆞᆯ도ᄅᆞᄂᆞᆫ디니사ᄅᆞᆷ미하ᄂᆞᆯᄯᅡ이쇼ᄆᆞᆯ모ᄅᆞ면 하ᄂᆞᆯᄯᅡᄉᆞ이예잇디몯ᄒᆞ리며실령들히돕디아니ᄒᆞ여쟈ᇰᄎᆞᆺ하ᄂᆞᆯ히주기시거나사ᄅᆞᆷ믜 ᄌᆡ홰어나제몸매미츠리니누를허믈ᄒᆞ리오 공ᄌᆡ니르샤ᄃᆡ다ᄉᆞᆺ가지형벌니블이리 {{작게|다ᄉᆞᆺ가지형벌ᄅᆞᆫ피조이고버히기발버히기불버히기목허히ᄂᆞᆫ형버리라}} 삼쳔가지로ᄃᆡ그죄브효만크니업스니라<br/> 友兄弟형뎨ᄉᆞ랑ᄒᆞ야사괴욤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7khlmzb3uuuj5jberomzmlvoug3v5q9 페이지:正俗諺解.djvu/11 250 101043 391822 2025-06-14T06:28:22Z 돈의문 17299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父母者己之所自出兄弟者己之所同出故以友兄弟次之 {{작게|어버이ᄂᆞᆫ내몸난듸오형뎨ᄂᆞᆫ내ᄒᆞᆫ듸셔난거실ᄉᆡ형뎨사괴요ᄆᆞᆯ버거ᄒᆞ노라}}<br/> 骨肉至親{{작게|伊}}莫如兄弟{{작게|尼}}詩云死喪之威{{작게|余伊}}兄弟孔懷{{작게|伊㫆}}又曰兄弟䦧于墻{{작게|伊那}}外禦其侮{{작게|伊羅爲尼}}則兄弟之親{{작게|伊}}異體同氣{{작게|羅}}死... 39182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돈의문"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父母者己之所自出兄弟者己之所同出故以友兄弟次之 {{작게|어버이ᄂᆞᆫ내몸난듸오형뎨ᄂᆞᆫ내ᄒᆞᆫ듸셔난거실ᄉᆡ형뎨사괴요ᄆᆞᆯ버거ᄒᆞ노라}}<br/> 骨肉至親{{작게|伊}}莫如兄弟{{작게|尼}}詩云死喪之威{{작게|余伊}}兄弟孔懷{{작게|伊㫆}}又曰兄弟䦧于墻{{작게|伊那}}外禦其侮{{작게|伊羅爲尼}}則兄弟之親{{작게|伊}}異體同氣{{작게|羅}}死喪則相恤{{작게|爲㫆}}患難則相救{{작게|爲也}}其眞情之發{{작게|伊}}每見於顚沛之頃{{작게|爲飛尼}}以此{{작게|奴}}知兄弟之親{{작게|隱}}不可一日而絶也{{작게|伊羅}}世有視親人{{작게|乙}}過於兄弟者{{작게|爲尼}}然始聚而終離者多矣{{작게|於尼臥}}唯兄弟{{작게|隱}}一脉之親{{작게|伊羅}}終不可絶{{작게|伊尼}}始雖乖也而終必和{{작게|爲㫆}}始雖散也而終必聚{{작게|爲里尼}}此倫誼之愛{{작게|伊}}雖屬乎人{{작게|伊那}}實本於天也{{작게|羅}}書云子弟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cgtbiqsutnwlhzue0qitu1ede4daf5 페이지:正俗諺解.djvu/12 250 101044 391823 2025-06-14T06:36:48Z 돈의문 17299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不念天顯{{작게|爲也}}乃不克恭厥兄{{작게|爲面}}兄亦不念鞠子哀{{작게|爲也}}大不友于弟{{작게|羅爲尼}}至有同室操戈{{작게|爲也}}踈薄骨肉{{작게|爲里}}是自絶其手足{{작게|爲㫆}}自撒其藩籬{{작게|伊羅}}一旦{{작게|厓}}殃咎之至而欲求援於他人{{작게|伊}}難矣{{작게|里羅}}經曰宜兄宜弟而后{{작게|厓}}可以敎國人{{작게|伊羅爲豆多}}<br/> 골육긔지극... 39182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돈의문"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不念天顯{{작게|爲也}}乃不克恭厥兄{{작게|爲面}}兄亦不念鞠子哀{{작게|爲也}}大不友于弟{{작게|羅爲尼}}至有同室操戈{{작게|爲也}}踈薄骨肉{{작게|爲里}}是自絶其手足{{작게|爲㫆}}自撒其藩籬{{작게|伊羅}}一旦{{작게|厓}}殃咎之至而欲求援於他人{{작게|伊}}難矣{{작게|里羅}}經曰宜兄宜弟而后{{작게|厓}}可以敎國人{{작게|伊羅爲豆多}}<br/> 골육긔지극기친ᄒᆞ니형뎨만ᄀᆞᆮᄐᆞ니업스니모시예닐우ᄃᆡ주거상ᄉᆞᄋᆡ어려운ᄃᆡ도혀ᇰ뎨아ᄉᆞ랑ᄒᆞᄂᆞ니라ᄒᆞ고ᄯᅩ닐우ᄃᆡ형뎨집븨셔사호고도밧ᄀᆡ간녁셔ᄂᆞ니라ᄒᆞ니형뎨의친호미몸ᄆᆞᆫ다ᄅᆞ나긔운니ᄒᆞᆫ가지라 주거상ᄉᆞ애서르에엿비너기며어려운저긔서르구ᄒᆞ여그진짓ᄆᆞᅀᆞᆷ미가ᄀᆞᆨᄀᆞᆫᄉᆞ이예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5g0ma6vhw0m3zioxwt875ksno5y7ews 페이지:리린젼 상권.djvu/36 250 101045 391824 2025-06-14T06:38:14Z Ssooongk 1849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리린젼'''</br> 라ᄒᆞᄋᆞᆸ더니근년에법젼이퇴락ᄒᆞ야불셩모양이기로소승이즁수ᄒᆞ기를경영ᄒᆞ야쵼 여에나려가시주를권션ᄒᆞ고ㅓ도라오나이다남씨왈ᄂᆡ이졔사고무친ᄒᆞ야쳐량ᄒᆞᆫ신셰 로일향표박ᄒᆞ다가맛참ᄂᆡᄀᆡ쳔과구렁을면치ᄒᆞᆯ지니바라ᄃᆡ존사ᄂᆞᆫ불상히여거 여거졀치아니ᄒᆞ면ᄯᅡ라가찰아리삭발위승ᄒᆞ... 39182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sooongk"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리린젼'''</br> 라ᄒᆞᄋᆞᆸ더니근년에법젼이퇴락ᄒᆞ야불셩모양이기로소승이즁수ᄒᆞ기를경영ᄒᆞ야쵼 여에나려가시주를권션ᄒᆞ고ㅓ도라오나이다남씨왈ᄂᆡ이졔사고무친ᄒᆞ야쳐량ᄒᆞᆫ신셰 로일향표박ᄒᆞ다가맛참ᄂᆡᄀᆡ쳔과구렁을면치ᄒᆞᆯ지니바라ᄃᆡ존사ᄂᆞᆫ불상히여거 여거졀치아니ᄒᆞ면ᄯᅡ라가찰아리삭발위승ᄒᆞ고부쳐님게발원ᄒᆞ야후ᄉᆡᆼ길이나닥글 가ᄒᆞ노라혜관왈부쳐님마ᄋᆞᆷ이ᄃᆡ자ᄃᆡ비ᄒᆞ야ᄉᆡᆼ의구졔를조와ᄒᆞ시ᄆᆡ부쳐님의뎨 자되야엇지사양ᄒᆞ올잇가남씨다ᄒᆡᆼ이역여혜관ᄃᆡ사ᄒᆞᆫ가지졀에이르러즉시삭발 ᄒᆞ고목욕ᄌᆡ계ᄒᆞᆫ후불젼에나아가배례ᄒᆞ고물너오니홀디에변형ᄒᆞ야ᄀᆡ산승이된 지라이후로부터남씨ᄆᆡ일셰번식불젼에츅수ᄒᆞ야녀아와리랑맛나기를발원ᄒᆞ 고혜관으로더부러불경을문답ᄒᆞ야비회를억졔ᄒᆞ니자연이셰월가ᄂᆞᆫ쥴을ᄭᅵ닷지 못ᄒᆞ더라</br> 화셜이ᄭᆡᄂᆞᆫ당나라목종시ᄃᆡ라시화셰풍ᄒᆞ야국ᄐᆡ평ᄒᆞ더니승상조자항은본ᄃᆡ마 ᄋᆞᆷ이간악ᄒᆞ고젼혀외면을ᄭᅮ미여일홈엇기를조와ᄒᆞᄂᆞᆫ고로벼살에올으ᄆᆡ권문에츌 입■기를일삼고ᄌᆡ물과ᄉᆞ치를슝상ᄒᆞ며간신장호권과환자양회를쳬결ᄒᆞ야조졍 권■를■단■며인군을긔망ᄒᆞ야백악이구비ᄒᆞ되모다그형셰를두려워ᄒᆞ야감히말 ■■■■이■ᄂᆞᆫ지라잔의ᄃᆡ부주신은본래강직ᄒᆞᆫᄉᆞᄅᆞᆷ으로조졍의명망이잇더니조 ■■의무뢰ᄒᆞᆷ을항상통분히여기다가맛참ᄂᆡ참지못ᄒᆞ야글을올녀갈오ᄃᆡ간의ᄃᆡ부 신주신은돈슌ᄌᆡᄇᆡᄒᆞᄋᆞᆸ고감히어리셕은소견을알외나이다신이그윽히ᄉᆡᆼ각ᄒᆞ오ᄆᆡ<noinclude><references/></noinclude> fnkp2jtg5n29drth7rc5wo0yclhdlhu 페이지:리린젼 상권.djvu/37 250 101046 391825 2025-06-14T06:54:47Z Ssooongk 1849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36 리린젼 上'''</br> 인군이텬ᄒᆞ를다ᄉᆞ리며ᄇᆡᆨ셩을편안케ᄒᆞ고사ᄒᆞᆯ잔ᄃᆡ반듯이먼서어진신하를나소고 소인을물리칠지라어진신ᄒᆞ가나오고소인이울너간즉법강이서며명분이졍ᄒᆞ고 소인이나오고어진신하가물너간즉법강이문어지고명분이졍치못ᄒᆞ나니텬하의치 란안위가법강과당분을보아가히알지라이에엇지깁히살피지아... 39182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sooongk"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36 리린젼 上'''</br> 인군이텬ᄒᆞ를다ᄉᆞ리며ᄇᆡᆨ셩을편안케ᄒᆞ고사ᄒᆞᆯ잔ᄃᆡ반듯이먼서어진신하를나소고 소인을물리칠지라어진신ᄒᆞ가나오고소인이울너간즉법강이서며명분이졍ᄒᆞ고 소인이나오고어진신하가물너간즉법강이문어지고명분이졍치못ᄒᆞ나니텬하의치 란안위가법강과당분을보아가히알지라이에엇지깁히살피지아니ᄒᆞ올잇가이러ᄒᆞᆷ 으로요슌ᄭᆡ에ᄂᆞᆫ팔원팔ᄀᆡ와십이목과사악의어진신하가셔로이어도으ᄆᆡ지극히 다ᄉᆞ림과착ᄒᆞ신덕화가백셰에읏듬되시고하우씨ᄂᆞᆫ구년의홍슈를다사리사슌인군 의션위를이으시도은탕과쥬문무ᄂᆞᆫ어진신하의이윤쥬공소공을쓰사례악교화가크 게ᄒᆡᆼᄒᆞ고기후로어진ᄉᆞ람이연ᄒᆞ야나오ᄆᆡᄐᆡ평안안락ᄒᆞ더니후셰에이르러걸쥬와유 려ᄂᆞᆫ포학혼암ᄒᆞ야츙량을분뎍ᄒᆞ고소인을친근ᄒᆞ야텬하ᄃᆡ란에사직을보젼치못ᄒᆞ 얏ᄉᆞ오니어진이와소인의관계가과연엇더ᄒᆞ오며ᄯᅩᄒᆞᆫ텬자ᄂᆞᆫ뢰졍갓흔위엄이잇 고만근갓흔형셰를가져사방을진압ᄒᆞ고만민을무휼ᄒᆞᄉᆞ깃버ᄒᆞ신즉상을쥬고로ᄒᆞ 실즉벌이잇ᄂᆞᆫ고로무릇신민된자법강과명분을직히며두려워복종ᄒᆞ고밧들어셤 기나이ᄂᆞᆫ고금의ᄯᅥᆺ々ᄒᆞᆫ일이온지라그러ᄒᆞᆫ고로신하를총애ᄒᆞᆯ지라도위엄과권셰 ᄂᆞᆫ한만히빌니지못ᄒᆞᆯ지니만일위엄과권셰를한번일으면필경슈습지못ᄒᆞᆯ념려가잇 ᄉᆞ오며더욱환자를친근히못ᄒᆞᆯ것이온즉신이들어아ᄂᆞᆫ일이ᄃᆡ강진슐ᄒᆞ나이다한나 라공손홍은본ᄃᆡ소인의심장으로인군의총애ᄒᆞᆷ을밋고간ᄉᆞ한ᄒᆡᆼ실로아쳠ᄒᆞ기를일 삼어방자ᄒᆞᆷ이날로더ᄒᆞᄆᆟ드러운일홈이후셰에젼ᄒᆞᄋᆞᆸ고왕망과동탁은인군의위엄<noinclude><references/></noinclude> swjk1ao8uwa3bqhw6igr2skpi1l8rcq 391826 391825 2025-06-14T06:55:07Z Ssooongk 18491 39182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sooongk"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36 리린젼 上'''</br> 인군이텬ᄒᆞ를다ᄉᆞ리며ᄇᆡᆨ셩을편안케ᄒᆞ고사ᄒᆞᆯ잔ᄃᆡ반듯이먼서어진신하를나소고 소인을물리칠지라어진신ᄒᆞ가나오고소인이울너간즉법강이서며명분이졍ᄒᆞ고 소인이나오고어진신하가물너간즉법강이문어지고명분이졍치못ᄒᆞ나니텬하의치 란안위가법강과당분을보아가히알지라이에엇지깁히살피지아니ᄒᆞ올잇가이러ᄒᆞᆷ 으로요슌ᄭᆡ에ᄂᆞᆫ팔원팔ᄀᆡ와십이목과사악의어진신하가셔로이어도으ᄆᆡ지극히 다ᄉᆞ림과착ᄒᆞ신덕화가백셰에읏듬되시고하우씨ᄂᆞᆫ구년의홍슈를다사리사슌인군 의션위를이으시도은탕과쥬문무ᄂᆞᆫ어진신하의이윤쥬공소공을쓰사례악교화가크 게ᄒᆡᆼᄒᆞ고기후로어진ᄉᆞ람이연ᄒᆞ야나오ᄆᆡᄐᆡ평안안락ᄒᆞ더니후셰에이르러걸쥬와유 려ᄂᆞᆫ포학혼암ᄒᆞ야츙량을분뎍ᄒᆞ고소인을친근ᄒᆞ야텬하ᄃᆡ란에사직을보젼치못ᄒᆞ 얏ᄉᆞ오니어진이와소인의관계가과연엇더ᄒᆞ오며ᄯᅩᄒᆞᆫ텬자ᄂᆞᆫ뢰졍갓흔위엄이잇 고만근갓흔형셰를가져사방을진압ᄒᆞ고만민을무휼ᄒᆞᄉᆞ깃버ᄒᆞ신즉상을쥬고로ᄒᆞ 실즉벌이잇ᄂᆞᆫ고로무릇신민된자법강과명분을직히며두려워복종ᄒᆞ고밧들어셤 기나이ᄂᆞᆫ고금의ᄯᅥᆺ々ᄒᆞᆫ일이온지라그러ᄒᆞᆫ고로신하를총애ᄒᆞᆯ지라도위엄과권셰 ᄂᆞᆫ한만히빌니지못ᄒᆞᆯ지니만일위엄과권셰를한번일으면필경슈습지못ᄒᆞᆯ념려가잇 ᄉᆞ오며더욱환자를친근히못ᄒᆞᆯ것이온즉신이들어아ᄂᆞᆫ일이ᄃᆡ강진슐ᄒᆞ나이다한나 라공손홍은본ᄃᆡ소인의심장으로인군의총애ᄒᆞᆷ을밋고간ᄉᆞ한ᄒᆡᆼ실로아쳠ᄒᆞ기를일 삼어방자ᄒᆞᆷ이날로더ᄒᆞᄆᆟ드러운일홈이후셰에젼ᄒᆞᄋᆞᆸ고왕망과동탁은인군의위엄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8hghoogm8uokcxsfttmh5sdd9fxsf0u 페이지:正俗諺解.djvu/13 250 101047 391827 2025-06-14T06:59:40Z 돈의문 17299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ᄆᆡ양나ᄂᆞ니일로아로니형뎨의친호ᄆᆞᆫᄒᆞᄅᆞ도엄디몯ᄒᆞᆯ거시로다 샹녜다ᄅᆞᆫ사ᄅᆞᆷᄆᆞᆯ친히너겨형뎨라와더ᄒᆞ리잇ᄂᆞ니그려도처엄믜사괴다가내죵애아니ᄒᆞ리하거니와 오직형뎨ᄂᆞᆫᄒᆞᆫ긔ᄆᆡᆨ익친ᄒᆞᆫ거시라내죵내그치디몯ᄒᆞ리니 처어믜거슯ᄧᅥ도내죵애반드시화동ᄒᆞ며처어믜흐럿다가도내죵애ᄒᆞᆫ... 39182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돈의문"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ᄆᆡ양나ᄂᆞ니일로아로니형뎨의친호ᄆᆞᆫᄒᆞᄅᆞ도엄디몯ᄒᆞᆯ거시로다 샹녜다ᄅᆞᆫ사ᄅᆞᆷᄆᆞᆯ친히너겨형뎨라와더ᄒᆞ리잇ᄂᆞ니그려도처엄믜사괴다가내죵애아니ᄒᆞ리하거니와 오직형뎨ᄂᆞᆫᄒᆞᆫ긔ᄆᆡᆨ익친ᄒᆞᆫ거시라내죵내그치디몯ᄒᆞ리니 처어믜거슯ᄧᅥ도내죵애반드시화동ᄒᆞ며처어믜흐럿다가도내죵애ᄒᆞᆫᄃᆡ몯ᄂᆞ니 이아ᅀᆞᆷ미라ᄉᆞ랑호미비룩사ᄅᆞᆷ이일린ᄃᆞᆺᄒᆞ나진실로하ᄂᆞ리근원ᄒᆞᆫ거시로다 샹셔에닐우ᄃᆡ {{작게|샹셔ᄂᆞᆫ글월일후미라}} 아이하ᄂᆞᆯ희형뎨내신ᄯᅳ들혜디안이ᄒᆞ여형을공경티아니ᄒᆞ면형도어버ᄋᆡᄌᆞ식길어내오ᄆᆞᆯ혜디아니ᄒᆞ며ᄀᆞ장아ᅀᆞᆯᄉᆞ랑티아니ᄒᆞᄂᆞ다ᄒᆞ니지어ᄒᆞᆫ집븨셔갈카지고ᄡᅡ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tdhfba1h8dqo9kgn6q93oy0iaveqfo 391828 391827 2025-06-14T07:00:08Z 돈의문 17299 39182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돈의문"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ᄆᆡ양나ᄂᆞ니일로아로니형뎨의친호ᄆᆞᆫᄒᆞᄅᆞ도엄디몯ᄒᆞᆯ거시로다샹녜다ᄅᆞᆫ사ᄅᆞᆷᄆᆞᆯ친히너겨형뎨라와더ᄒᆞ리잇ᄂᆞ니그려도처엄믜사괴다가내죵애아니ᄒᆞ리하거니와오직형뎨ᄂᆞᆫᄒᆞᆫ긔ᄆᆡᆨ익친ᄒᆞᆫ거시라내죵내그치디몯ᄒᆞ리니처어믜거슯ᄧᅥ도내죵애반드시화동ᄒᆞ며처어믜흐럿다가도내죵애ᄒᆞᆫᄃᆡ몯ᄂᆞ니이아ᅀᆞᆷ미라ᄉᆞ랑호미비룩사ᄅᆞᆷ이일린ᄃᆞᆺᄒᆞ나진실로하ᄂᆞ리근원ᄒᆞᆫ거시로다샹셔에닐우ᄃᆡ{{작게|샹셔ᄂᆞᆫ글월일후미라}}아이하ᄂᆞᆯ희형뎨내신ᄯᅳ들혜디안이ᄒᆞ여형을공경티아니ᄒᆞ면형도어버ᄋᆡᄌᆞ식길어내오ᄆᆞᆯ혜디아니ᄒᆞ며ᄀᆞ장아ᅀᆞᆯᄉᆞ랑티아니ᄒᆞᄂᆞ다ᄒᆞ니지어ᄒᆞᆫ집븨셔갈카지고ᄡᅡ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n44fpmvevazo6ex650kvmtepashf0sx 페이지:正俗諺解.djvu/14 250 101048 391829 2025-06-14T07:10:34Z 돈의문 17299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화골육글소박ᄒᆞᄂᆞ니이ᄂᆞᆫ제손발ᄅᆞᆯ버히며제짓울흘허러ᄇᆞ료미니ᄒᆞᄅᆞ아ᄎᆞᆷ믜어려운일잇거든다ᄅᆞᆫ사름믜게구콰뎌호미어려우니라대ᄒᆞᆨ개닐우듸형의도애도올ᄒᆞ며앗의도애도올ᄒᆞᆫ훼아나랏사ᄅᆞᄆᆞᆯᄀᆞᄅᆞ칠거시라ᄒᆞ도다<br/> 和室家겨집과화동<br/> 家之不齊由夫婦不和人能和於妻子宜於兄弟則父母安樂... 39182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돈의문"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화골육글소박ᄒᆞᄂᆞ니이ᄂᆞᆫ제손발ᄅᆞᆯ버히며제짓울흘허러ᄇᆞ료미니ᄒᆞᄅᆞ아ᄎᆞᆷ믜어려운일잇거든다ᄅᆞᆫ사름믜게구콰뎌호미어려우니라대ᄒᆞᆨ개닐우듸형의도애도올ᄒᆞ며앗의도애도올ᄒᆞᆫ훼아나랏사ᄅᆞᄆᆞᆯᄀᆞᄅᆞ칠거시라ᄒᆞ도다<br/> 和室家겨집과화동<br/> 家之不齊由夫婦不和人能和於妻子宜於兄弟則父母安樂之故以和室家次之 {{작게|집븨올티이니호미남진겨집븨화동티아니호ᄆᆞ로조채니사름미쳐ᄌᆞ식과화동ᄒᆞ며형뎨예올ᄒᆞ며어버이깃거ᄒᆞ릴ᄉᆡ실가화동호ᄆᆞᆯ버거ᄒᆞ노라 夫婦{{작게|隱}}人倫之本{{작게|伊羅}}有夫婦然後{{작게|厓}}有父子{{작게|爲里尼}}易以乾坤爲首{{작게|五}}詩以關雎爲先{{작게|爲尼}}然欲齊家{{작게|伊隱大}}必自脩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1sth5y6d5n21utj80u3atqva1hvhegx 391830 391829 2025-06-14T07:10:54Z 돈의문 17299 39183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돈의문"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화골육글소박ᄒᆞᄂᆞ니이ᄂᆞᆫ제손발ᄅᆞᆯ버히며제짓울흘허러ᄇᆞ료미니ᄒᆞᄅᆞ아ᄎᆞᆷ믜어려운일잇거든다ᄅᆞᆫ사름믜게구콰뎌호미어려우니라대ᄒᆞᆨ개닐우듸형의도애도올ᄒᆞ며앗의도애도올ᄒᆞᆫ훼아나랏사ᄅᆞᄆᆞᆯᄀᆞᄅᆞ칠거시라ᄒᆞ도다<br/> 和室家겨집과화동<br/> 家之不齊由夫婦不和人能和於妻子宜於兄弟則父母安樂之故以和室家次之 {{작게|집븨올티이니호미남진겨집븨화동티아니호ᄆᆞ로조채니사름미쳐ᄌᆞ식과화동ᄒᆞ며형뎨예올ᄒᆞ며어버이깃거ᄒᆞ릴ᄉᆡ실가화동호ᄆᆞᆯ버거ᄒᆞ노라}} 夫婦{{작게|隱}}人倫之本{{작게|伊羅}}有夫婦然後{{작게|厓}}有父子{{작게|爲里尼}}易以乾坤爲首{{작게|五}}詩以關雎爲先{{작게|爲尼}}然欲齊家{{작게|伊隱大}}必自脩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3balr2ogjc2ocuf1uovolb1885tfg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