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문헌
kowikisource
https://ko.wikisource.org/wiki/%EC%9C%84%ED%82%A4%EB%AC%B8%ED%97%8C:%EB%8C%80%EB%AC%B8
MediaWiki 1.45.0-wmf.6
first-letter
미디어
특수
토론
사용자
사용자토론
위키문헌
위키문헌토론
파일
파일토론
미디어위키
미디어위키토론
틀
틀토론
도움말
도움말토론
분류
분류토론
저자
저자토론
포털
포털토론
번역
번역토론
초안
초안토론
페이지
페이지토론
색인
색인토론
TimedText
TimedText talk
모듈
모듈토론
저자:윤선도
100
10546
392379
386948
2025-06-23T04:26:08Z
ZornsLemon
15531
/* 작품 */
392379
wikitext
text/x-wiki
{{저자
|이름 = 윤선도
|다른 표기 = 尹善道
|이름 첫 글자 =ㅇ
|국적 = 조선
|탄생 연도 = 1587년
|사망 연도 = 1671년
|설명 = 조선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본관은 해남, 자는 약이(約而), 호는 고산(孤山) 또는 해옹(海翁). 자연을 소재로 지은 시조 짓기가 뛰어나서 [[저자:정철|정철]], [[저자:박인로|박인로]]와 함께 조선의 삼대 시가인(三大詩歌人)으로 불린다. 남인의 거두로서 치열한 당쟁 속에 휘말려 일생을 거의 벽지 유배지에서 보냈다. 문집으로 《고산유고(孤山遺稿)》가 있다. {{글로벌 인용|가사문학}}
|그림 =
|그림 크기 = 250px
|위키백과 링크 = 윤선도
|위키인용집 링크 =
|공용 링크 =
|정렬 = 윤선도
}}
== 저작 ==
* 《[[:zh:孤山遗稿|고산선생유고 (孤山先生遺稿, 중국어 위키)]]》
* 《별집》(別集)
* 《약화제》(藥和劑)
=== 처방전 ===
* 선창약(癬瘡藥) - 버짐을 없애는 약
* 회충약(蛔蟲藥) - 회충을 없애는 약
* 해수약(咳嗽藥) - 노인들의 해수병 치료약
* 복학신방(腹瘧神方) - 어린애들의 자라배를 다스리는 약
* 우역신방(牛疫神方) - 농촌지역 소의 전염병을 퇴치하는 간단한 처방전
* 오선주방(五仙酒方) - 술, 건강주
=== 작품 ===
* [[산중신곡]](山中新曲, 1642년)
* [[산중속신곡]](山中續新曲, 1645년)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1651년)
** [[어부사여음]](漁父詞餘音)
* [[몽천요]](夢天謠, 1652년)
* [[견회요]](遣懷謠, 1616년)
* [[우후요]](雨後謠, 1618년)
* [[증반금]](贈伴琴, 1645년)
* [[초연곡]](初筵曲)
* [[파연곡]](罷宴曲)
* [[고금영]](古琴詠, 1645년)
{{PD-old-100}}
57w7sdn549g64kx0zev6v3p0mdtzooo
392380
392379
2025-06-23T04:28:37Z
ZornsLemon
15531
/* 작품 */
392380
wikitext
text/x-wiki
{{저자
|이름 = 윤선도
|다른 표기 = 尹善道
|이름 첫 글자 =ㅇ
|국적 = 조선
|탄생 연도 = 1587년
|사망 연도 = 1671년
|설명 = 조선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본관은 해남, 자는 약이(約而), 호는 고산(孤山) 또는 해옹(海翁). 자연을 소재로 지은 시조 짓기가 뛰어나서 [[저자:정철|정철]], [[저자:박인로|박인로]]와 함께 조선의 삼대 시가인(三大詩歌人)으로 불린다. 남인의 거두로서 치열한 당쟁 속에 휘말려 일생을 거의 벽지 유배지에서 보냈다. 문집으로 《고산유고(孤山遺稿)》가 있다. {{글로벌 인용|가사문학}}
|그림 =
|그림 크기 = 250px
|위키백과 링크 = 윤선도
|위키인용집 링크 =
|공용 링크 =
|정렬 = 윤선도
}}
== 저작 ==
* 《[[:zh:孤山遗稿|고산선생유고 (孤山先生遺稿, 중국어 위키)]]》
* 《별집》(別集)
* 《약화제》(藥和劑)
=== 처방전 ===
* 선창약(癬瘡藥) - 버짐을 없애는 약
* 회충약(蛔蟲藥) - 회충을 없애는 약
* 해수약(咳嗽藥) - 노인들의 해수병 치료약
* 복학신방(腹瘧神方) - 어린애들의 자라배를 다스리는 약
* 우역신방(牛疫神方) - 농촌지역 소의 전염병을 퇴치하는 간단한 처방전
* 오선주방(五仙酒方) - 술, 건강주
=== 작품 ===
* [[산중신곡]](山中新曲, 1642년)
* [[산중속신곡]](山中續新曲, 1645년)
* [[고금영]](古琴詠, 1645년)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1651년)
** [[어부사여음]](漁父詞餘音)
* [[몽천요]](夢天謠, 1652년)
* [[견회요]](遣懷謠, 1616년)
* [[우후요]](雨後謠, 1618년)
* [[증반금]](贈伴琴, 1645년)
* [[초연곡]](初筵曲)
* [[파연곡]](罷宴曲)
{{PD-old-100}}
hbgobxkdsn5s0y3z83mzy32obst131z
392387
392380
2025-06-23T04:52:46Z
ZornsLemon
15531
/* 저작 */
392387
wikitext
text/x-wiki
{{저자
|이름 = 윤선도
|다른 표기 = 尹善道
|이름 첫 글자 =ㅇ
|국적 = 조선
|탄생 연도 = 1587년
|사망 연도 = 1671년
|설명 = 조선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본관은 해남, 자는 약이(約而), 호는 고산(孤山) 또는 해옹(海翁). 자연을 소재로 지은 시조 짓기가 뛰어나서 [[저자:정철|정철]], [[저자:박인로|박인로]]와 함께 조선의 삼대 시가인(三大詩歌人)으로 불린다. 남인의 거두로서 치열한 당쟁 속에 휘말려 일생을 거의 벽지 유배지에서 보냈다. 문집으로 《고산유고(孤山遺稿)》가 있다. {{글로벌 인용|가사문학}}
|그림 =
|그림 크기 = 250px
|위키백과 링크 = 윤선도
|위키인용집 링크 =
|공용 링크 =
|정렬 = 윤선도
}}
== 저작 ==
* 《[[:zh:孤山遗稿|고산선생유고 (孤山先生遺稿, 중국어 위키)]]》
* 《[[금쇄동집고]]》{{작게|[[색인:Geumswaedong-jipgo.djvu|transcription project]]}}
* 《별집》(別集)
* 《약화제》(藥和劑)
=== 처방전 ===
* 선창약(癬瘡藥) - 버짐을 없애는 약
* 회충약(蛔蟲藥) - 회충을 없애는 약
* 해수약(咳嗽藥) - 노인들의 해수병 치료약
* 복학신방(腹瘧神方) - 어린애들의 자라배를 다스리는 약
* 우역신방(牛疫神方) - 농촌지역 소의 전염병을 퇴치하는 간단한 처방전
* 오선주방(五仙酒方) - 술, 건강주
=== 작품 ===
* [[산중신곡]](山中新曲, 1642년)
* [[산중속신곡]](山中續新曲, 1645년)
* [[고금영]](古琴詠, 1645년)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1651년)
** [[어부사여음]](漁父詞餘音)
* [[몽천요]](夢天謠, 1652년)
* [[견회요]](遣懷謠, 1616년)
* [[우후요]](雨後謠, 1618년)
* [[증반금]](贈伴琴, 1645년)
* [[초연곡]](初筵曲)
* [[파연곡]](罷宴曲)
{{PD-old-100}}
lj25t0jye5362xftcv1np4o1oy2diky
산중신곡
0
10563
392383
382879
2025-06-23T04:38:17Z
ZornsLemon
15531
392383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산중신곡
|다른 표기 = 山中新曲
|지은이 = [[저자:윤선도|윤선도]]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edition = true
|설명 = 윤선도가 1642년(인조 20년)에 유배에서 풀려나 전라남도 해남 금쇄동(金鎖洞)에서 지은 연작 시조이자 그의 친필 가첩. 〈만흥(漫興)〉이 6수, 〈조무요(朝霧謠)〉, 〈일모요(日暮謠)〉, 〈야심요(夜深謠)〉, 〈기세탄(饑世嘆)〉이 각각 1수, 〈하우요(夏雨謠)〉가 2수, 그리고 〈오우가(五友歌)〉가 6수로 모두 18수의 시조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일상이나 자연과 관련된 소재가 주로 등장한다. 윤선도의 문집 《고산유고(孤山遺稿)》 제6권에 수록되어 있다.
현대 한국어로는 [[만흥 (윤선도)/현대 한국어]]를 참조.
}}
{{스캔으로 이동|[[색인:Sanjungsinguk.djvu]]}}
{{옛한글}}
[[File:Sanjungsingok.jpg|thumb|300px|《산중신곡》 필사본. 보물 482-3호.]]
{{옛한글 시작}}
<big>山<sub>산</sub>中<sub>듕</sub>新<sub>신</sub>曲<sub>곡</sub></big>
__NOTOC__
=== 만흥 ===
<poem>山<sub>산</sub>水<sub>슈</sub>間<sub>간</sub>바회아래뛰집을짓노라ᄒᆞ니
그모른ᄂᆞᆷ들은욷는다ᄒᆞᆫ다마ᄂᆞᆫ
어리고햐암의뜻의ᄂᆞᆫ내分<sub>분</sub>인가ᄒᆞ노라
보리밥풋ᄂᆞ물을알마초먹은後<sub>후</sub>에
바횟긋믉ᄀᆞ의슬ᄏᆞ지노니노라
그나믄녀나믄일이야부ᄅᆞᆯ줄이이시랴
잔들고혼자안자먼뫼흘ᄇᆞ라보니
그리던님이오나반가옴이이리ᄒᆞ랴
말ᄉᆞᆷ도우음도아녀도몯내됴ᄒᆞ노라
누고셔三<sub>삼</sub>公<sub>공</sub>도곤낫다ᄒᆞ더니萬<sub>만</sub>乘<sub>승</sub>이이만ᄒᆞ랴
이제로헤어든巢<sub>소</sub>父<sub>부</sub>許<sub>허</sub>由<sub>유</sub>ㅣ냑돗더라
아마도林<sub>님</sub>泉<sub>쳔</sub>閑<sub>한</sub>興<sub>흥</sub>을비길곳이업세라
내셩이게으르더니히ᄂᆞᆯ히아ᄅᆞ실샤
人<sub>인</sub>間<sub>간</sub>萬<sub>만</sub>事<sub>ᄉᆞ</sub>ᄅᆞᆯᄒᆞᆫ일도아니맛뎌
다만당ᄃᆞ토리업슨江<sub>강</sub>山<sub>산</sub>을딕히라ᄒᆞ시도다
江<sub>강</sub>山<sub>산</sub>이됴타ᄒᆞᆫᄃᆞᆯ내分<sub>분</sub>으로누얻ᄂᆞ냐
님<sub>군</sub>恩<sub>은</sub>惠<sub>혜</sub>ᄅᆞᆯ이제더옥아노이다
아므리갑고쟈ᄒᆞ야도ᄒᆡ올일이업세라
右<sub>우</sub>漫<sub>만</sub>興<sub>흥</sub>
</poem>
=== 조무요 ===
<poem>
月<sub>월</sub>出<sub>츌</sub>山<sub>산</sub>이놉더니마ᄂᆞᆫ믜운거시안개로다
天<sub>텬</sub>王<sub>왕</sub>第<sub>데</sub>一<sub>일</sub>峰<sub>봉</sub>을一<sub>일</sub>時<sub>시</sub>예ᄀᆞ리와다
두어라ᄒᆡ퍼딘휘면안개아니거드랴
右<sub>우</sub>朝<sub>됴</sub>霧<sub>무</sub>謠<sub>요</sub>
</poem>
=== 하우요 ===
<poem>비오는ᄃᆡ들희가랴사립닷고쇼머겨라
마히ᄆᆡ양이랴잠기연장다ᄉᆞ려라
쉬다가개ᄂᆞᆫ날보아ᄉᆞ래긴밧가라라
심심은ᄒᆞ다마ᄂᆞᆫ일업ᄉᆞᆯᄉᆞᆫ마히로다
답답은ᄒᆞ다마ᄂᆞᆫ閑<sub>한</sub>暇<sub>가</sub>ᄒᆞᆯᄉᆞᆫ밤이로다
아ᄒᆡ야일즉자다가東<sub>동</sub>트거든닐거라
右<sub>우</sub>夏<sub>하</sub>雨<sub>우</sub>謠<sub>요</sub>
</poem>
=== 일모요 ===
<poem>夕<sub>셕</sub>陽<sub>양</sub>넘은後<sub>후</sub>에山<sub>산</sub>氣<sub>긔</sub>ᄂᆞᆫ됴타마ᄂᆞᆫ
黃<sub>황</sub>昏<sub>혼</sub>이갓가오니物<sub>믈</sub>色<sub>석</sub>이어둡ᄂᆞᆫ다
아ᄒᆡ야범므셔온ᄃᆡ나ᄃᆞᆫ니지마라라
右<sub>우</sub>日<sub>일</sub>暮<sub>모</sub>謠<sub>요</sub></poem>
=== 야심요 ===
<poem>
ᄇᆞ람분다지게다다라밤들거다블아사라
벼개예히즈려슬ᄏᆞ지쉬여보쟈
아희야새야오거든내ᄌᆞᆷ와ᄭᆡ와스라
右<sub>우</sub>夜<sub>야</sub>深<sub>심</sub>謠<sub>요</sub></poem>
=== 기세탄 ===
<poem>환자타산다ᄒᆞ고그ᄅᆞᆯ사그르다ᄒᆞ니
夷<sub>이</sub>齊<sub>졔</sub>의노픈줄을이렁구러알관디고
어즈머사ᄅᆞᆷ이야외라ᄒᆡ운의타시로다
右<sub>우</sub>饑<sub>기</sub>世<sub>새</sub>嘆<sub>탄</sub>
</poem>
=== 오우가 ===
<poem>
내버디몃치나ᄒᆞ니水<sub>슈</sub>石<sub>석</sub>과松<sub>숑</sub>竹<sub>듁</sub>이라
東<sub>동</sub>山<sub>산</sub>의ᄃᆞᆯ오르니긔더옥반갑고야
두어라이다ᄉᆞᆺ밧긔또더ᄒᆞ야머엇ᄒᆞ리
구룸빗치조타ᄒᆞ나검기ᄅᆞᆯᄌᆞ로ᄒᆞᆫ다
ᄇᆞ람소ᄅᆡᄆᆞᆰ다ᄒᆞ나그칠적이하노매라
조코도그츨뉘업기ᄂᆞᆫ믈뿐인가ᄒᆞ노라
고즌므스닐로퓌며셔쉬이디고
플은어이ᄒᆞ야프르ᄂᆞᆫᄃᆞᆺ누르ᄂᆞ니
아마도변티아닐ᄉᆞᆫ바회뿐인가ᄒᆞ노라
더우면곳퓌고치우면닙디거ᄂᆞᆯ
솔아너ᄂᆞᆫ얻디눈서리ᄅᆞᆯ모ᄅᆞᄂᆞᆫ다
九<sub>구</sub>泉<sub>쳔</sub>의불희고ᄃᆞᆫ줄을글로ᄒᆞ야아노라
나모도아닌거시플도아닌거시
곳기ᄂᆞᆫ뉘시기며속은어이뷔연ᄂᆞᆫ다
뎌러코四<sub>ᄉᆞ</sub>時<sub>시</sub>예프르니그를됴하ᄒᆞ노라
쟈근거시노피떠셔萬<sub>만</sub>物<sub>믈</sub>을다비취니
밤듕의光<sub>광</sub>明<sub>명</sub>이너만ᄒᆞ니또잇ᄂᆞ냐
보고도말아니ᄒᆞ니내벋인가ᄒᆞ노라
右<sub>우</sub>五<sub>오</sub>友<sub>우</sub>歌<sub>가</sub>
</poem>
{{옛한글 끝}}
== 라이선스 ==
{{PD-old-100}}
[[분류:시조]]
djimjpsshbqc74sf4jye672y56npzd6
번역:천자문
114
12396
392397
391834
2025-06-23T10:56:26Z
2406:5900:1001:2070:96AF:3000:7EA8:38D5
392397
wikitext
text/x-wiki
{{번역 머리말
|제목 = 천자문
|저자 = [[저자:주흥사|주흥사]]
|역자 = [[사용자:jjw|jjw]]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위키백과|천자문}}
천자문(千字文)은 중국 남조 양(502~549)의 주흥사가 양 무제의 명을 받아 지은 책으로, 모두 다른 한자 1000자를 사용하여 1구 4자의 사언 고시 250구로 만들었다. 한문의 입문서로 널리 쓰였다. 2010년 8월 25일 석봉 한호의 필체를 목각한 《천자문》이 대한민국 보물 제1659호로 지정되었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200px; background:#eeffee;"| 원문
!background:#eeeeff;"| 번역
|-
| {{더 크게|{{lang|zh|天地玄黃 宇宙洪荒}}}}
|rowspan=2|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며 우주는 넓고도 크다.
|-
|천지현황 우주홍황<ref>독음은 [http://handic.daum.net/dicha/view_top.do 다음한자사전] 을 따랐다. 두음법칙에 의해 독음이 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리(李)는 낱말의 앞에 올경우 이로 적었다.</ref>
|-
| {{더 크게|{{lang|zh|日月盈昃 辰宿列張}}}}
|rowspan=2| 해와 달이 차고 기울며 별은 자리를 잡아 늘어서 있다.
|-
|일월영측 진수열장
|-
| {{더 크게|{{lang|zh|寒來暑往 秋收冬藏}}}}
|rowspan=2| 추위가 오고 더위가 가니 가을엔 거두고 겨울엔 갈무리하여 둔다.
|-
| 한래서왕 추수동장
|-
| {{더 크게|{{lang|zh|閏餘成歲 律呂調陽}}}}
|rowspan=2| 윤달을 더하여 한해를 이루고 가락을 맞추어 양기를 돋운다.
|-
| 윤여성세 율려조양
|-
| {{더 크게|{{lang|zh|雲騰致雨 露結為霜}}}}
|rowspan=2| 구름은 올라가 비가 되고 이슬은 얼어 서리가 된다.
|-
| 운등치우 노결위상
|-
| {{더 크게|{{lang|zh|金生麗水 玉出崑岡}}}}
|rowspan=2| 금은 여수에서 나고 옥은 곤강에서 난다.
|-
| 금생여수 옥출곤강
|-
| {{더 크게|{{lang|zh|劍號巨闕 珠稱夜光}}}}
|rowspan=2| 검은 일컬어 거궐이요 구슬은 일컬어 야광이라.
|-
| 검호거궐 주칭야광
|-
| {{더 크게|{{lang|zh|果珍李柰 菜重芥薑}}}}
|rowspan=2| 과일 가운데 진미는 오얏과 능금이요 채소 가운데 중요한 것은 겨자와 생강이라.
|-
| 과진이내 채중개강
|-
| {{더 크게|{{lang|zh|海鹹河淡 鱗潛羽翔}}}}
|rowspan=2| 바다는 짜고 강물은 싱거우며 비늘 달린 물고기는 물에 잠기고 깃 달린 새는 높이 난다.
|-
| 해함하담 인잠우상
|-
| {{더 크게|{{lang|zh|龍師火帝 鳥官人皇}}}}
|rowspan=2| 복희씨<ref>복희는 뱀의 몸에 사람의 얼굴을 하였다고 하며 용사는 복희의 별칭이다.</ref>, 신농씨<ref>화제 또는 염제(炎帝)는 신농씨의 별칭이다</ref>, 소호<ref>소호는 새 이름을 관직명으로 삼았다고 한다.</ref> 와 황제헌원<ref>황제는 《황제내경》과 같은 의술서의 저자로 알려져 있어 인황이란 별칭이 붙었다.</ref>
|-
| 용사화제 조관인황
|-
| {{더 크게|{{lang|zh|始制文字 乃服衣裳}}}}
|rowspan=2| 문자를 처음 짓고 옷을 지어 입혔지.
|-
| 시제문자 내복의상
|-
| {{더 크게|{{lang|zh|推位讓國 有虞陶唐}}}}
|rowspan=2| 자리를 미루며 나라를 물려주니 유우<ref>순임금의 이름이다.</ref> 와 도당<ref>우 임금의 이름이다.</ref> 이라.
|-
| 추위양국 유우도당
|-
| {{더 크게|{{lang|zh|弔民伐罪 周發殷湯}}}}
|rowspan=2| 백성을 돕고 죄를 벌하니 주나라 무왕<ref>발(發)은 주 무왕의 이름</ref> 과 은나라 탕왕이라.
|-
| 조민벌죄 주발은탕
|-
| {{더 크게|{{lang|zh|坐朝問道 垂拱平章}}}}
|rowspan=2| 조정에 앉아 도를 묻기에 두 손으로 문장을 올리니,
|-
| 좌조문도 수공평장
|-
| {{더 크게|{{lang|zh|愛育黎首 臣伏戎羌}}}}
|rowspan=2| 백성을 아끼고<ref>여수(黎首)는 검은 머리, 즉 관직이 없는 백성을 말한다.</ref> 오랑캐가 신하로 복종하게 하소서.
|-
| 애육여수 신복융강
|-
| {{더 크게|{{lang|zh|遐邇壹體 率賓歸王}}}}
|rowspan=2| 멀고 가까운 곳이 하나가 되어 임금께 이끌려 따를 것입니다.
|-
| 하이일체 솔빈귀왕
|-
| {{더 크게|{{lang|zh|鳴鳳在樹 白駒食場}}}}
|rowspan=2|봉황은 나무에 내려 울고 흰망아지 풀을 뜯으니<ref>성군이 나면 봉황이 찾아와 울고 흰망아지가 나타난다는 전설에 빗대어 태평성대를 말함</ref>
|-
| 명봉재수 백구식장
|-
| {{더 크게|{{lang|zh|化被草木 賴及萬方}}}}
|rowspan=2| 덕화가 초목까지 미치고 만방에 퍼지리.
|-
| 화피초목 뇌급만방
|-
| {{더 크게|{{lang|zh|蓋此身髮 四大五常}}}}
|rowspan=2| 몸에 털이 덮힌 것과 같이 4대5상을 지키고<ref>4대는 하늘, 땅, 도(道), 임금. 5상은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ref>
|-
| 개차신발 사대오상
|-
| {{더 크게|{{lang|zh|恭惟鞠養 豈敢毁傷}}}}
|rowspan=2| 길러준 은혜를 공경하여 감히 상처를 내지 말아야 한다.
|-
| 공유국양 기감훼상
|-
| {{더 크게|{{lang|zh|女慕貞烈 男效才良}}}}
|rowspan=2|여자는 정조를 따르고 남자는 재량을 본받아
|-
| 여모정렬 남효재량
|-
| {{더 크게|{{lang|zh|知過必改 得能莫忘}}}}
|rowspan=2|잘못이 있으면 반드시 고치고 배운 것은 잊지 말아야 한다.
|-
| 지과필개 득능막망
|-
| {{더 크게|{{lang|zh|罔談彼短 靡恃己長}}}}
|rowspan=2| 다른이의 단점을 입에 담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너무 믿지 마라
|-
| 망담피단 미시기장
|-
| {{더 크게|{{lang|zh|信使可覆 器欲難量}}}}
|rowspan=2| 믿었던 장점이 뒤집힐 수 있고 다른 사람 기량은 헤아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
| 신사가복 기욕난량
|-
| {{더 크게|{{lang|zh|墨悲絲染 詩讚羔羊}}}}
|rowspan=2| 이 때문에 묵자는 실이 물드는 것을 탄식하였고<ref>묵자 소염론</ref> 시경은 고양을 찬송하였다.<ref>시경 고양편</ref>
|-
| 묵비사염 시찬고양
|-
| {{더 크게|{{lang|zh|景行維賢 克念作聖}}}}
|rowspan=2| 바르고 어진 것을 보고 행하여 지극히 생각하면 성인이 되고
|-
| 경행유현 극념작성
|-
| {{더 크게|{{lang|zh|德建名立 形端表正}}}}
|rowspan=2|덕을 쌓아 이름을 세우면 바른 모양이 겉으로 드러난다.
|-
| 덕건명립 형단표정
|-
| {{더 크게|{{lang|zh|空谷傳聲 虛堂習聽}}}}
|rowspan=2| 빈 골짜기에 울리는 소리처럼 또한 빈집에서 들리는 소리처럼
|-
| 공곡전성 허당습청
|-
| {{더 크게|{{lang|zh|禍因惡積 福緣善慶}}}}
|rowspan=2| 화는 악행을 쌓은 것이 원인이요 복은 선행의 결과이다.
|-
| 화인악적 복연선경
|-
| {{더 크게|{{lang|zh|尺璧非寶 寸陰是競}}}}
|rowspan=2| 커다란 옥 구슬이<ref>여기서 벽은 완벽의 유래가 된 옥구슬을 말한다. 척(尺)과 촌(寸)은 길이의 단위이나 크고 작은 것으로 의역하였다.</ref> 보배가 아니니 작은 시간을 경주하여야 하여라.
|-
| 척벽비보 촌음시경
|-
| {{더 크게|{{lang|zh|資父事君 曰嚴與敬}}}}
|rowspan=2|부모를 모시고 임금을 섬기는 것은 엄정하면서도 정성스러워야 하는 것이니
|-
| 자부사군 왈엄여경
|-
| {{더 크게|{{lang|zh|孝當竭力 忠則盡命}}}}
|rowspan=2| 효도는 마땅히 온 힘을 다해야 하고 충성은 목숨도 바쳐야 하는 것이다.
|-
| 효당갈력 충즉진명
|-
| {{더 크게|{{lang|zh|臨深履薄 夙興溫凊}}}}
|rowspan=2| 깊은 곳을 만나도 살얼음 지나듯 조심하고 일찍 일어나 덥고 차가운지 살피는 것(이 효도하는 마음가짐이며)
|-
| 임심리박 숙흥온정
|-
| {{더 크게|{{lang|zh|似蘭斯馨 如松之盛}}}}
|rowspan=2| 난초와 같이 향기롭고 소나무처럼 굳센 것(이 충성하는 마음가짐이다.)
|-
| 사란사형 여송지성
|-
| {{더 크게|{{lang|zh|川流不息 淵澄取映}}}}
|rowspan=2| 냇물을 쉬지 않고 흐르고 연못은 맑아 그림자를 비추듯
|-
| 천류불식 연징취영
|-
| {{더 크게|{{lang|zh|容止若思 言辭安定}}}}
|rowspan=2| 얼굴은 생각과 같게 하고 말은 안정되게 하여야 한다.
|-
| 용지약사 언사안정
|-
| {{더 크게|{{lang|zh|篤初誠美 愼終宜令}}}}
|rowspan=2| 일을 시작할 때에 정성을 다하고 마무리 지을 때에도 신중히 하면
|-
| 독초성미 신종의령
|-
| {{더 크게|{{lang|zh|榮業所基 籍甚憮竟}}}}
|rowspan=2| 이를 바탕으로 이루는 업적이 끝없으리라.
|-
| 영업소기 적심무경
|-
| {{더 크게|{{lang|zh|學優登仕 攝職從政}}}}
|rowspan=2| 학문이 뛰어나 벼슬에 올라 직무를 맞고 정사를 돌볼 때에
|-
| 학우등사 섭직종정
|-
| {{더 크게|{{lang|zh|存以甘棠 去而益詠}}}}
|rowspan=2| 벼슬을 맡아 팥배나무 밑에서 정사를 본 소공과 같이 청렴하면 물러날 때 칭송을 들을 것이다.<ref>감당(甘棠)은 팥배나무이다. 주나라 소공은 팥배나무 아래에서 정사를 보고 공명 정대하며 청렴하였다고 한다. 소공이 죽자 백성들이 그를 그리워하며 감당시를 읇었다. 시경 국풍편 감당</ref>
|-
| 존이감당 거이익영
|-
| {{더 크게|{{lang|zh|樂殊貴賤 禮別尊卑}}}}
|rowspan=2| 즐거움에 귀천이 없으나 예절에는 존비가 있으니
|-
| 악수귀천 예별존비
|-
| {{더 크게|{{lang|zh|上和下睦 夫唱婦隨}}}}
|rowspan=2| 상하가 화목하고 부부가 원만하며<ref>사자성어 부창부수의 출전이다.</ref>
|-
| 상화하목 부창부수
|-
| {{더 크게|{{lang|zh|外受傅訓 入奉母儀}}}}
|rowspan=2| 밖에서는 스승의 가르침을 받고 안에서는 어머니의 뜻을 받을며
|-
| 외수부훈 입봉모의
|-
| {{더 크게|{{lang|zh|諸姑伯叔 猶子比兒}}}}
|rowspan=2| 모든 고모 삼촌의 아이를 내 아이라 여기고
|-
| 제고백숙 유자비아
|-
| {{더 크게|{{lang|zh|孔懷兄弟 同氣連枝}}}}
|rowspan=2| 형제는 서로 품어주니 같은 기운에서 나온 가지기 때문이고
|-
| 공회형제 동기연지
|-
| {{더 크게|{{lang|zh|交友投分 切磨箴規}}}}
|rowspan=2| 벗을 사귈 때는 가려서 사귀고 규범을 염두에 두어 절제하여
|-
| 교우투분 절마잠규
|-
| {{더 크게|{{lang|zh|仁慈隱惻 造次弗離}}}}
|rowspan=2| 어질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대하여 떠나지 말아야 하고
|-
| 인자은측 조차불리
|-
| {{더 크게|{{lang|zh|節義廉退 顛沛匪虧}}}}
|rowspan=2| 절의를 지키고 청렴히 물러나 이러한 (예의가) 이지러지지 않게 하여야 한다.
|-
| 절의염퇴 전패비휴
|-
| {{더 크게|{{lang|zh|性靜情逸 心動神疲}}}}
|rowspan=2| 성정이 고요하면 심정이 편안하고 마음이 동요하면 정신이 피로하니
|-
| 성정정일 심동신피
|-
| {{더 크게|{{lang|zh|守眞志滿 逐物意移}}}}
|rowspan=2| 참 뜻이 가득하도록 지키고 물욕을 멀리하라.
|-
| 수진지만 축물의이
|-
| {{더 크게|{{lang|zh|堅持雅操 好爵自縻}}}}
|rowspan=2| 우아하고 절개가 있으면 관작은 스스로 오게 되어 있다.
|-
| 견지아조 호작자미
|-
| {{더 크게|{{lang|zh|都邑華夏 東西二京}}}}
|rowspan=2| 화하<ref>중국의 별칭</ref> 의 도읍은 동서 2경이라
|-
|도읍화하 동서이경
|-
| {{더 크게|{{lang|zh|背邙面洛 浮渭據涇}}}}
|rowspan=2|낙양은 북망산을 등지고 낙수를 마주하고 장안에는 위수와 경수가 흐르는 구나.
|-
|배망면락 부위거경
|-
| {{더 크게|{{lang|zh|宮殿盤鬱 樓觀飛驚}}}}
|rowspan=2|궁전은 울창한 숲에 쌓였고 누각에 올라 놀라운 경치를 보며
|-
|궁전반울 누관비경
|-
| {{더 크게|{{lang|zh|圖寫禽獸 畵綵仙靈}}}}
|rowspan=2|날짐승 들짐승을 그리니 신선 사는 그림이로구나.
|-
|도사금수 화채선령
|-
| {{더 크게|{{lang|zh|丙舍傍啟 甲帳對楹}}}}
|rowspan=2|병사<ref>궁전 내에 있는 건물들을 뜻하는 낱말</ref> 옆을 열어 갑장<ref>동방삭이 만들었다는 장막</ref> 이 기둥을 마주하게 하고
|-
| 병사방계 갑장대영
|-
| {{더 크게|{{lang|zh|肆筵設席 鼓瑟吹笙}}}}
|rowspan=2|자리를 마련해 연회를 열고 비파를 뜯고 생황을 부니
|-
|사연설석 고슬취생
|-
| {{더 크게|{{lang|zh|升階納陛 弁轉疑星}}}}
|rowspan=2| 계단을 올라 납폐하는 신료들은 별인듯 번쩍이고
|-
|승계납폐 변전의성
|-
| {{더 크게|{{lang|zh|右通廣內 左達承明}}}}
|rowspan=2| 오른쪽은 광내로 통하고 왼쪽은 승명에 닿아<ref>광내와 승명은 모두 고대 중국 궁내의 관직처</ref>
|-
|우통광내 좌달승명
|-
| {{더 크게|{{lang|zh|既集墳典 亦聚群英}}}}
|rowspan=2| 이미 분전<ref>삼황오제 시절의 법률과 의전을 뜻한다.</ref> 을 모은 곳에 영웅들이 모였도다.
|-
|기집분전 역취군영
|-
| {{더 크게|{{lang|zh|杜稾鍾隸 漆書壁經}}}}
|rowspan=2| 두고<ref>초서를 처음 썼다고 전해진다.</ref> 와 종례<ref>예서로 이름이 알려져 있다.</ref> 의 글 칠서<ref>대나무에 칠을 한 뒤 쓴 글, 종이가 없던 시절에 사용하였다.</ref> 와 벽경<ref>공자에게서 전해 왔다는 육경</ref>
|-
|두고종례 칠서벽경
|-
| {{더 크게|{{lang|zh|府羅將相 路俠槐卿}}}}
|rowspan=2|각 부에 장군과 재상이 있어 고관이 즐비하여 길이 좁다.
|-
|부라장상 노협괴경
|-
| {{더 크게|{{lang|zh|戶封八縣 家給千兵}}}}
|rowspan=2|여덟 고을을 봉지로 주고 천명의 군사로 지키게 하니<ref>한고조의 논공행상을 가리킨다.</ref>
|-
|호봉팔현 가급천병
|-
| {{더 크게|{{lang|zh|高冠陪輦 驅轂振纓}}}}
|rowspan=2|높은 관을 쓰고 수레에올라 바퀴를 구르며 갓끈을 떨치는 구나.
|-
|고관배련 구곡진영
|-
| {{더 크게|{{lang|zh|世祿侈富 車駕肥輕}}}}
|rowspan=2| 대대로 받는 녹으로 부귀를 누리며 수레는 (제물로) 무겁고 가마는 가벼우니
|-
|세록치부 거가비경
|-
| {{더 크게|{{lang|zh|策功茂實 勒碑刻銘}}}}
|rowspan=2|끝없이 쌓은 공적 비석에 세기는 구나.
|-
|책공무실 늑비각명
|-
| {{더 크게|{{lang|zh|磻溪伊尹 佐時阿衡}}}}
|rowspan=2| 반계의 (태공망)과 (탕왕을 도운) 이윤은 때가 도와 아형의 벼슬에 올랐고
|-
|반계이윤 좌시아형
|-
| {{더 크게|{{lang|zh|奄宅曲阜 微旦孰營}}}}
|rowspan=2| 곡부에 궁전을 지은 것은 주공 단<ref>주문왕의 아우, 노나라의 시조</ref> 이 아니면 누가할 것인가
|-
|엄택곡부 미단숙영
|-
| {{더 크게|{{lang|zh|桓公匡合 濟弱扶傾}}}}
|rowspan=2|환공은 제후를 널리 합쳐 기울어져가는 나라를 구했지
|-
|환공광합 제약부경
|-
| {{더 크게|{{lang|zh|綺迴漢惠 說感武丁}}}}
|rowspan=2|기리계<ref>한고조가 죽고 여희가 여씨 일족에서 황제를 즉위시키고자 하였으나 장량은 기리계의 도움으로 혜제가 즉위하도록 하였다.</ref> 가 한 혜제를 회복시키고 부열이 무정을 감동시키듯.<ref>은 나라 무정이 부열에게 감동하여 선정을 배풀었다는 고사</ref>
|-
|기회한혜 설감무정
|-
| {{더 크게|{{lang|zh|俊乂密勿 多士寔寧}}}}
|rowspan=2|준걸과 예사가 모이니 참으로 평안하구나.
|-
|준예밀물 다사식녕
|-
| {{더 크게|{{lang|zh|晉楚更霸 趙魏困橫}}}}
|rowspan=2|진과 초가 다시 패자가 되고 조와위는 연횡으로 곤궁에 빠져
|-
|진초갱패 조위곤횡
|-
| {{더 크게|{{lang|zh|假途滅虢 踐土會盟}}}}
|rowspan=2|진은 위계를 써 괵을 멸하고 천토에서 회맹하였고
|-
|가도멸괵 천토회맹
|-
| {{더 크게|{{lang|zh|何遵約法 韓弊煩刑}}}}
|rowspan=2|어찌 (한고조의) 약법을 두고 한비자의 낡고 번잡한 형벌을 따를 것인가
|-
|하준약법 한폐번형
|-
| {{더 크게|{{lang|zh|起翦頗牧 用軍最精}}}}
|rowspan=2| 백기 왕전 염파 이목은 군사를 가장 잘 다루었고
|-
|기전파목 용군최정
|-
| {{더 크게|{{lang|zh|宣威沙漠 馳譽丹青}}}}
|rowspan=2|위엄을 사막에까지 떨치니 단청에 넣어 기리는 구나.
|-
|선위사막 치예단청
|-
| {{더 크게|{{lang|zh|九州禹跡 百郡秦幷}}}}
|rowspan=2| 하우씨가 구주를 두어 백군이 진에 병합되고
|-
|구주우적 백군진병
|-
| {{더 크게|{{lang|zh|嶽宗恆岱 禪主云亭}}}}
|rowspan=2| 산중 으뜸은 항산과 태산이라 임금을 정하는 운정이 그곳에 있으며
|-
|악종항대 선주운정
|-
| {{더 크게|{{lang|zh|雁門紫塞 雞田赤城}}}}
|rowspan=2| 안문관과 만리장성, 계전과 적성
|-
|안문자새 계전적성
|-
| {{더 크게|{{lang|zh|昆池碣石 鉅野洞庭}}}}
|rowspan=2| 운남의 곤지와 부평의 갈석, 거야의 넓은 들판과 동정의 큰 호수
|-
|곤지갈석 거야동정
|-
| {{더 크게|{{lang|zh|曠遠緜邈 巖岫杳冥}}}}
|rowspan=2|아득히 멀리 줄지어 있으니 아득하고 묘연하구나.
|-
|광원면막 암수묘명
|-
| {{더 크게|{{lang|zh|治本於農 務茲稼穡}}}}
|rowspan=2| 다스림의 근본은 농업이니 때를 맞추어 심고 거두어야 하리
|-
|치본어농 무자가색
|-
| {{더 크게|{{lang|zh|俶載南畝 我藝黍稷}}}}
|rowspan=2|이제 남쪽 이랑을 일궈 나는 기장과 피를 가꾸어
|-
|숙재남묘 아예서직
|-
| {{더 크게|{{lang|zh|稅熟貢新 勸賞黜陟}}}}
|rowspan=2| 익으면 세를 내고 햇곡식으로 제사를 지내 상을 권하고 (못된 자는) 내쫓으리라.
|-
|세숙공신 권상출척
|-
| {{더 크게|{{lang|zh|孟軻敦素 史魚秉直}}}}
|rowspan=2|맹자는 도타운 사람이었고 사어는 강직했으니
|-
|맹가돈소 사어병직
|-
| {{더 크게|{{lang|zh|庶幾中庸 勞謙謹敕}}}}
|rowspan=2|중용을 으뜸으로 삼고 겸손에 힘쓰고 경계해야지
|-
|서기중용 노겸근칙
|-
| {{더 크게|{{lang|zh|聆音察理 鑑貌辨色}}}}
|rowspan=2|들리는 소리 자세히 살피고 거울에 비치는 모양 꼼꼼히 구별하고
|-
|영음찰리 감모변색
|-
| {{더 크게|{{lang|zh|貽厥嘉猷 勉其祗植}}}}
|rowspan=2|그 아름다움이 후세에 미치도록 그 덕을 쌓기를 부지런히 하며
|-
|이궐가유 면기지식
|-
| {{더 크게|{{lang|zh|省躬譏誡 寵增抗極}}}}
|rowspan=2|몸을 살펴 나무라고 탓할 일은 없는지 반성하고 총애가 늘면 더욱 조심하여야 한다.
|-
|성궁기계 총증항극
|-
| {{더 크게|{{lang|zh|殆辱近恥 林皋幸即}}}}
|rowspan=2| 위태로운 치욕은 부끄러운 일에 의한 것이니 수풀과 언덕에 있는 것이 도리어 다행이다.
|-
|태욕근치 임고행즉
|-
| {{더 크게|{{lang|zh|兩疏見機 解組誰逼}}}}
|rowspan=2| 양소<ref>한나라의 소광과 소수</ref> 는 기회를 보아 관복을 벗으니 누가 핍박하였으랴
|-
|양소견기 해조수핍
|-
| {{더 크게|{{lang|zh|索居閒處 沈默寂寥}}}}
|rowspan=2|한가한 곳을 찾아 살며 고요히 살며 침묵한 채
|-
|색거한처 침묵적요
|-
| {{더 크게|{{lang|zh|求古尋論 散慮逍遙}}}}
|rowspan=2|옛일을 두고 논장을 찾고 염려를 잊고 소요하니
|-
|구고심론 산려소요
|-
| {{더 크게|{{lang|zh|欣奏累遣 慼謝歡招}}}}
|rowspan=2|기쁜 일은 알리고 누추한 것은 보내며 슬픈 일은 마다하고 기쁜 일을 환영하리
|-
|흔주루견 척사환초
|-
| {{더 크게|{{lang|zh|渠荷的歷 園莽抽條}}}}
|rowspan=2|도랑에 핀 연꽃의 이력, 동산에 자란 풀 가지
|-
|거하적력 원망추조
|-
| {{더 크게|{{lang|zh|枇杷晚翠 梧桐早凋}}}}
|rowspan=2|비파나무 만추에도 푸르른데 오동나무 일찍이 시들었고
|-
|비파만취 오동조조
|-
| {{더 크게|{{lang|zh|陳根委翳 落葉飄颻}}}}
|rowspan=2|고목 뿌리 덮은 낙엽 바람에 날리니
|-
|진근위예 낙엽표요
|-
| {{더 크게|{{lang|zh|遊鵾獨運 凌摩絳霄}}}}
|rowspan=2|댓닭 한 마리 홀로 해엄치며 노을진 하늘을 업수이 여기고
|-
|유곤독운 능마강소
|-
| {{더 크게|{{lang|zh|耽讀翫市 寓目囊箱}}}}
|rowspan=2|(한나라 왕총은) 독서를 즐겨 한 번 보면 상자에 넣은 듯 (잊지 않았다지)
|-
|탐독완시 우목낭상
|-
| {{더 크게|{{lang|zh|易輶攸畏 屬耳垣墻}}}}
|rowspan=2|가벼이 경솔하게 구는 것을 두려워하는 까닭은 담장에도 귀가 있다 하기 때문
|-
|역유유외 속이원장
|-
| {{더 크게|{{lang|zh|具膳飡飯 適口充腸}}}}
|rowspan=2|반찬이나 저녁밥이야 먹고 배를 채우면 그만인 것
|-
|구선손반 적구충장
|-
| {{더 크게|{{lang|zh|飽飫烹宰 飢厭糟糠}}}}
|rowspan=2|배부르면 재상의 요리도 물리게 되고 배 고프면 겨 지게미로도 족하니
|-
|포어팽재 기염조강
|-
| {{더 크게|{{lang|zh|親戚故舊 老少異糧}}}}
|rowspan=2|친척이나 옛친구 노소에 따라 음식도 다를 밖에
|-
|친척고구 노소이량
|-
| {{더 크게|{{lang|zh|妾御績紡 侍巾帷房}}}}
|rowspan=2|아내가 길쌈하여 어른 방에 수건을 받들고
|-
|첩어적방 시건유방
|-
| {{더 크게|{{lang|zh|紈扇圓潔 銀燭煒煌}}}}
|rowspan=2|흰 비단으로 지은 부채 둥글고 깨끗하며 은촛대 불빛 밝으니
|-
|환선원결 은촉위황
|-
| {{더 크게|{{lang|zh|晝眠夕寐 藍笋象床}}}}
|rowspan=2|낮에 자고 저녁에 또 자려 푸른 대로 코끼리 침상을 만들지
|-
|주면석매 남순상상
|-
| {{더 크게|{{lang|zh|絃歌酒讌 接盃舉觴}}}}
|rowspan=2|거문거를 뜯고 노래를 부르며 주연을 열고 술잔을 들어 부딛히고
|-
|현가주연 접배거상
|-
| {{더 크게|{{lang|zh|矯手頓足 悅豫且康}}}}
|rowspan=2|손을 들고 발을 움직여 춤추며 이처럼 평안함을 즐거워하세
|-
|교수돈족 열예차강
|-
| {{더 크게|{{lang|zh|嫡後嗣續 祭祀烝嘗}}}}
|rowspan=2| 맏이는 뒤를 이어 제사를 지내어
|-
|적후사속 제사증상
|-
| {{더 크게|{{lang|zh|稽顙再拜 悚懼恐惶}}}}
|rowspan=2|이마를 조아려 두 번 절하여 송구하고 두려운 마음을 보여야 한다.
|-
|계상재배 송구공황
|-
| {{더 크게|{{lang|zh|牋牒簡要 顧答審詳}}}}
|rowspan=2|편지는 간략히 요지만 쓰고 답신은 자세히 살펴서 하라.
|-
|전첩간요 고답심상
|-
| {{더 크게|{{lang|zh|骸垢想浴 執熱願涼}}}}
|rowspan=2|몸에 때가 끼면 목욕할 생각이 나고 열이 차면 서늘하기를 원하게 되는 것
|-
|해구상욕 집열원량
|-
| {{더 크게|{{lang|zh|驢騾犢特 駭躍超驤}}}}
|rowspan=2|노새며 망아지, 숫송아지가 놀라뛰며 내달리듯
|-
|여라독특 해약초양
|-
| {{더 크게|{{lang|zh|誅斬賊盜 捕獲叛亡}}}}
|rowspan=2|적도는 잡아 죽이고 배역자는 잡아들이리
|-
|주참적도 포획반망
|-
| {{더 크게|{{lang|zh|布射遼丸 嵇琴阮嘯}}}}
|rowspan=2|여포는 활 잘 쏘았고 의료는 돌 잘 던졌으며 혜강은 금을 잘켰고 완적은 휘파람을 잘 불었지
|-
|포사료환 혜금완소
|-
| {{더 크게|{{lang|zh|恬筆倫紙 鈞巧任釣}}}}
|rowspan=2|붓을 만든 건 몽념 종이를 만든 건 채륜, 마륜의 교묘한 솜씨<ref>마륜은 지남차를 만들었다고 한다.</ref> 임공자의 낚시대<ref>장자에 나오는 이야기이다.</ref>
|-
|염필윤지 균교임조
|-
| {{더 크게|{{lang|zh|釋紛利俗 竝皆佳妙}}}}
|rowspan=2|이러한 재주를 세상에 푸니 모두다 뛰어나고 신기하였다.
|-
|석분리속 병개가묘
|-
| {{더 크게|{{lang|zh|毛施淑姿 工顰妍笑}}}}
|rowspan=2|오나라 모타와 월나라 서시의 자태는 찡그린 모습도 아름다워라
|-
|모시숙자 공빈연소
|-
| {{더 크게|{{lang|zh|年矢每催 曦暉朗耀}}}}
|rowspan=2| 세월은 살같이 언제나 제촉하나 햇빛 달빛은 밝게 빛나
|-
|연시매최 희휘낭요
|-
| {{더 크게|{{lang|zh|璇璣懸斡 晦魄環照}}}}
|rowspan=2|천문을 보는 기계 매달려 돌듯 그믐이 지나 다시 보름이 되니
|-
|선기현알 회백환조
|-
| {{더 크게|{{lang|zh|指薪修祜 永綏吉劭}}}}
|rowspan=2|손가락에 섶불을 단 듯 수양에 전념하면 영원토록 평안하고 길하리라.
|-
|지신수우 영수길소
|-
| {{더 크게|{{lang|zh|矩步引領 俯仰廊廟}}}}
|rowspan=2|반듯하게 걸으며 옷길을 끌고 사당에 엎드려 예의를 다하고
|-
|구보인령 부앙낭묘
|-
| {{더 크게|{{lang|zh|束帶矜莊 徘徊瞻眺}}}}
|rowspan=2|허리띠를 단단히 묶어 긍지를 갖고 여러 곳을 두루 살펴라
|-
|속대긍장 배회첨조
|-
| {{더 크게|{{lang|zh|孤陋寡聞 愚蒙等誚}}}}
|rowspan=2|(이런 글을 쓴 나는) 고루하고 들은 것 없어 어리석단 꾸짖음을 면치 못하리
|-
|고루과문 우몽등초
|-
| {{더 크게|{{lang|zh|謂語助者 焉哉乎也}}}}
|rowspan=2|어조사에는 언재호야가 있다.
|-
|위어조자 언재호야
|}
==역주 ==
<references/>
= 라이선스 =
{{번역 저작권
|원문 = {{PD-old-100}}
|번역 = {{PD-자작}}
}}
[[분류:한시]]
ncv8bd2qt18d752vk7pi2l2r0gto8vc
392398
392397
2025-06-23T11:00:58Z
2406:5900:1001:2070:96AF:3000:7EA8:38D5
392398
wikitext
text/x-wiki
{{번역 머리말
|제목 = 천자문
|저자 = [[저자:주흥사|주흥사]]
|역자 = [[사용자:jjw|jjw]]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위키백과|천자문}}
천자문(千字文)은 중국 남조 양(502~549)의 주흥사가 양 무제의 명을 받아 지은 책으로, 모두 다른 한자 1000자를 사용하여 1구 4자의 사언 고시 250구로 만들었다. 한문의 입문서로 널리 쓰였다. 2010년 8월 25일 석봉 한호의 필체를 목각한 《천자문》이 대한민국 보물 제1659호로 지정되었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200px; background:#eeffee;"| 원문
!background:#eeeeff;"| 번역
|-
| {{더 크게|{{lang|zh|天地玄黃 宇宙洪荒}}}}
|rowspan=2|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며 우주는 넓고도 크다.
|-
|천지현황 우주홍황<ref>독음은 [http://handic.daum.net/dicha/view_top.do 다음한자사전] 을 따랐다. 두음법칙에 의해 독음이 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리(李)는 낱말의 앞에 올경우 이로 적었다.</ref>
|-
| {{더 크게|{{lang|zh|日月盈昃 辰宿列張}}}}
|rowspan=2| 해와 달이 차고 기울며 별은 자리를 잡아 늘어서 있다.
|-
|일월영측 진수열장
|-
| {{더 크게|{{lang|zh|寒來暑往 秋收冬藏}}}}
|rowspan=2| 추위가 오고 더위가 가니 가을엔 거두고 겨울엔 갈무리하여 둔다.
|-
| 한래서왕 추수동장
|-
| {{더 크게|{{lang|zh|閏餘成歲 律呂調陽}}}}
|rowspan=2| 윤달을 더하여 한해를 이루고 가락을 맞추어 양기를 돋운다.
|-
| 윤여성세 율려조양
|-
| {{더 크게|{{lang|zh|雲騰致雨 露結為霜}}}}
|rowspan=2| 구름은 올라가 비가 되고 이슬은 얼어 서리가 된다.
|-
| 운등치우 노결위상
|-
| {{더 크게|{{lang|zh|金生麗水 玉出崑岡}}}}
|rowspan=2| 금은 여수에서 나고 옥은 곤강에서 난다.
|-
| 금생여수 옥출곤강
|-
| {{더 크게|{{lang|zh|劍號巨闕 珠稱夜光}}}}
|rowspan=2| 검은 일컬어 거궐이요 구슬은 일컬어 야광이라.
|-
| 검호거궐 주칭야광
|-
| {{더 크게|{{lang|zh|果珍李柰 菜重芥薑}}}}
|rowspan=2| 과일 가운데 진미는 오얏과 능금이요 채소 가운데 중요한 것은 겨자와 생강이라.
|-
| 과진이내 채중개강
|-
| {{더 크게|{{lang|zh|海鹹河淡 鱗潛羽翔}}}}
|rowspan=2| 바다는 짜고 강물은 싱거우며 비늘 달린 물고기는 물에 잠기고 깃 달린 새는 높이 난다.
|-
| 해함하담 인잠우상
|-
| {{더 크게|{{lang|zh|龍師火帝 鳥官人皇}}}}
|rowspan=2| 복희씨<ref>복희는 뱀의 몸에 사람의 얼굴을 하였다고 하며 용사는 복희의 별칭이다.</ref>, 신농씨<ref>화제 또는 염제(炎帝)는 신농씨의 별칭이다</ref>, 소호<ref>소호는 새 이름을 관직명으로 삼았다고 한다.</ref> 와 황제헌원<ref>황제는 《황제내경》과 같은 의술서의 저자로 알려져 있어 인황이란 별칭이 붙었다.</ref>
|-
| 용사화제 조관인황
|-
| {{더 크게|{{lang|zh|始制文字 乃服衣裳}}}}
|rowspan=2| 문자를 처음 짓고 옷을 지어 입혔지.
|-
| 시제문자 내복의상
|-
| {{더 크게|{{lang|zh|推位讓國 有虞陶唐}}}}
|rowspan=2| 자리를 미루며 나라를 물려주니 유우<ref>순임금의 이름이다.</ref> 와 도당<ref>우 임금의 이름이다.</ref> 이라.
|-
| 추위양국 유우도당
|-
| {{더 크게|{{lang|zh|弔民伐罪 周發殷湯}}}}
|rowspan=2| 백성을 돕고 죄를 벌하니 주나라 무왕<ref>발(發)은 주 무왕의 이름</ref> 과 은나라 탕왕이라.
|-
| 조민벌죄 주발은탕
|-
| {{더 크게|{{lang|zh|坐朝問道 垂拱平章}}}}
|rowspan=2| 조정에 앉아 도를 묻기에 두 손으로 문장을 올리니,
|-
| 좌조문도 수공평장
|-
| {{더 크게|{{lang|zh|愛育黎首 臣伏戎羌}}}}
|rowspan=2| 백성을 아끼고<ref>여수(黎首)는 검은 머리, 즉 관직이 없는 백성을 말한다.</ref> 오랑캐가 신하로 복종하게 하소서.
|-
| 애육여수 신복융강
|-
| {{더 크게|{{lang|zh|遐邇壹體 率賓歸王}}}}
|rowspan=2| 멀고 가까운 곳이 하나가 되어 임금께 이끌려 따를 것입니다.
|-
| 하이일체 솔빈귀왕
|-
| {{더 크게|{{lang|zh|鳴鳳在樹 白駒食場}}}}
|rowspan=2|봉황은 나무에 내려 울고 흰망아지 풀을 뜯으니<ref>성군이 나면 봉황이 찾아와 울고 흰망아지가 나타난다는 전설에 빗대어 태평성대를 말함</ref>
|-
| 명봉재수 백구식장
|-
| {{더 크게|{{lang|zh|化被草木 賴及萬方}}}}
|rowspan=2| 덕화가 초목까지 미치고 만방에 퍼지리.
|-
| 화피초목 뇌급만방
|-
| {{더 크게|{{lang|zh|蓋此身髮 四大五常}}}}
|rowspan=2| 몸에 털이 덮힌 것과 같이 4대5상을 지키고<ref>4대는 하늘, 땅, 도(道), 임금. 5상은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ref>
|-
| 개차신발 사대오상
|-
| {{더 크게|{{lang|zh|恭惟鞠養 豈敢毁傷}}}}
|rowspan=2| 길러준 은혜를 공경하여 감히 상처를 내지 말아야 한다.
|-
| 공유국양 기감훼상
|-
| {{더 크게|{{lang|zh|女慕貞烈 男效才良}}}}
|rowspan=2|여자는 정조를 따르고 남자는 재량을 본받아
|-
| 여모정렬 남효재량
|-
| {{더 크게|{{lang|zh|知過必改 得能莫忘}}}}
|rowspan=2|잘못이 있으면 반드시 고치고 배운 것은 잊지 말아야 한다.
|-
| 지과필개 득능막망
|-
| {{더 크게|{{lang|zh|罔談彼短 靡恃己長}}}}
|rowspan=2| 다른이의 단점을 입에 담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너무 믿지 마라
|-
| 망담피단 미시기장
|-
| {{더 크게|{{lang|zh|信使可覆 器欲難量}}}}
|rowspan=2| 믿었던 장점이 뒤집힐 수 있고 다른 사람 기량은 헤아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
| 신사가복 기욕난량
|-
| {{더 크게|{{lang|zh|墨悲絲染 詩讚羔羊}}}}
|rowspan=2| 이 때문에 묵자는 실이 물드는 것을 탄식하였고<ref>묵자 소염론</ref> 시경은 고양을 찬송하였다.<ref>시경 고양편</ref>
|-
| 묵비사염 시찬고양
|-
| {{더 크게|{{lang|zh|景行維賢 克念作聖}}}}
|rowspan=2| 바르고 어진 것을 보고 행하여 지극히 생각하면 성인이 되고
|-
| 경행유현 극념작성
|-
| {{더 크게|{{lang|zh|德建名立 形端表正}}}}
|rowspan=2|덕을 쌓아 이름을 세우면 바른 모양이 겉으로 드러난다.
|-
| 덕건명립 형단표정
|-
| {{더 크게|{{lang|zh|空谷傳聲 虛堂習聽}}}}
|rowspan=2| 빈 골짜기에 울리는 소리처럼 또한 빈집에서 들리는 소리처럼
|-
| 공곡전성 허당습청
|-
| {{더 크게|{{lang|zh|禍因惡積 福緣善慶}}}}
|rowspan=2| 화는 악행을 쌓은 것이 원인이요 복은 선행의 결과이다.
|-
| 화인악적 복연선경
|-
| {{더 크게|{{lang|zh|尺璧非寶 寸陰是競}}}}
|rowspan=2| 커다란 옥 구슬이<ref>여기서 벽은 완벽의 유래가 된 옥구슬을 말한다. 척(尺)과 촌(寸)은 길이의 단위이나 크고 작은 것으로 의역하였다.</ref> 보배가 아니니 작은 시간을 경주하여야 하여라.
|-
| 척벽비보 촌음시경
|-
| {{더 크게|{{lang|zh|資父事君 曰嚴與敬}}}}
|rowspan=2|부모를 모시고 임금을 섬기는 것은 엄정하면서도 정성스러워야 하는 것이니
|-
| 자부사군 왈엄여경
|-
| {{더 크게|{{lang|zh|孝當竭力 忠則盡命}}}}
|rowspan=2| 효도는 마땅히 온 힘을 다해야 하고 충성은 목숨도 바쳐야 하는 것이다.
|-
| 효당갈력 충즉진명
|-
| {{더 크게|{{lang|zh|臨深履薄 夙興溫凊}}}}
|rowspan=2| 깊은 곳을 만나도 살얼음 지나듯 조심하고 일찍 일어나 덥고 차가운지 살피는 것(이 효도하는 마음가짐이며)
|-
| 임심리박 숙흥온정
|-
| {{더 크게|{{lang|zh|似蘭斯馨 如松之盛}}}}
|rowspan=2| 난초와 같이 향기롭고 소나무처럼 굳센 것(이 충성하는 마음가짐이다.)
|-
| 사란사형 여송지성
|-
| {{더 크게|{{lang|zh|川流不息 淵澄取映}}}}
|rowspan=2| 냇물을 쉬지 않고 흐르고 연못은 맑아 그림자를 비추듯
|-
| 천류불식 연징취영
|-
| {{더 크게|{{lang|zh|容止若思 言辭安定}}}}
|rowspan=2| 얼굴은 생각과 같게 하고 말은 안정되게 하여야 한다.
|-
| 용지약사 언사안정
|-
| {{더 크게|{{lang|zh|篤初誠美 愼終宜令}}}}
|rowspan=2| 일을 시작할 때에 정성을 다하고 마무리 지을 때에도 신중히 하면
|-
| 독초성미 신종의령
|-
| {{더 크게|{{lang|zh|榮業所基 籍甚無竟}}}}
|rowspan=2| 이를 바탕으로 이루는 업적이 끝없으리라.
|-
| 영업소기 적심무경
|-
| {{더 크게|{{lang|zh|學優登仕 攝職從政}}}}
|rowspan=2| 학문이 뛰어나 벼슬에 올라 직무를 맞고 정사를 돌볼 때에
|-
| 학우등사 섭직종정
|-
| {{더 크게|{{lang|zh|存以甘棠 去而益詠}}}}
|rowspan=2| 벼슬을 맡아 팥배나무 밑에서 정사를 본 소공과 같이 청렴하면 물러날 때 칭송을 들을 것이다.<ref>감당(甘棠)은 팥배나무이다. 주나라 소공은 팥배나무 아래에서 정사를 보고 공명 정대하며 청렴하였다고 한다. 소공이 죽자 백성들이 그를 그리워하며 감당시를 읇었다. 시경 국풍편 감당</ref>
|-
| 존이감당 거이익영
|-
| {{더 크게|{{lang|zh|樂殊貴賤 禮別尊卑}}}}
|rowspan=2| 즐거움에 귀천이 없으나 예절에는 존비가 있으니
|-
| 악수귀천 예별존비
|-
| {{더 크게|{{lang|zh|上和下睦 夫唱婦隨}}}}
|rowspan=2| 상하가 화목하고 부부가 원만하며<ref>사자성어 부창부수의 출전이다.</ref>
|-
| 상화하목 부창부수
|-
| {{더 크게|{{lang|zh|外受傅訓 入奉母儀}}}}
|rowspan=2| 밖에서는 스승의 가르침을 받고 안에서는 어머니의 뜻을 받을며
|-
| 외수부훈 입봉모의
|-
| {{더 크게|{{lang|zh|諸姑伯叔 猶子比兒}}}}
|rowspan=2| 모든 고모 삼촌의 아이를 내 아이라 여기고
|-
| 제고백숙 유자비아
|-
| {{더 크게|{{lang|zh|孔懷兄弟 同氣連枝}}}}
|rowspan=2| 형제는 서로 품어주니 같은 기운에서 나온 가지기 때문이고
|-
| 공회형제 동기연지
|-
| {{더 크게|{{lang|zh|交友投分 切磨箴規}}}}
|rowspan=2| 벗을 사귈 때는 가려서 사귀고 규범을 염두에 두어 절제하여
|-
| 교우투분 절마잠규
|-
| {{더 크게|{{lang|zh|仁慈隱惻 造次弗離}}}}
|rowspan=2| 어질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대하여 떠나지 말아야 하고
|-
| 인자은측 조차불리
|-
| {{더 크게|{{lang|zh|節義廉退 顛沛匪虧}}}}
|rowspan=2| 절의를 지키고 청렴히 물러나 이러한 (예의가) 이지러지지 않게 하여야 한다.
|-
| 절의염퇴 전패비휴
|-
| {{더 크게|{{lang|zh|性靜情逸 心動神疲}}}}
|rowspan=2| 성정이 고요하면 심정이 편안하고 마음이 동요하면 정신이 피로하니
|-
| 성정정일 심동신피
|-
| {{더 크게|{{lang|zh|守眞志滿 逐物意移}}}}
|rowspan=2| 참 뜻이 가득하도록 지키고 물욕을 멀리하라.
|-
| 수진지만 축물의이
|-
| {{더 크게|{{lang|zh|堅持雅操 好爵自縻}}}}
|rowspan=2| 우아하고 절개가 있으면 관작은 스스로 오게 되어 있다.
|-
| 견지아조 호작자미
|-
| {{더 크게|{{lang|zh|都邑華夏 東西二京}}}}
|rowspan=2| 화하<ref>중국의 별칭</ref> 의 도읍은 동서 2경이라
|-
|도읍화하 동서이경
|-
| {{더 크게|{{lang|zh|背邙面洛 浮渭據涇}}}}
|rowspan=2|낙양은 북망산을 등지고 낙수를 마주하고 장안에는 위수와 경수가 흐르는 구나.
|-
|배망면락 부위거경
|-
| {{더 크게|{{lang|zh|宮殿盤鬱 樓觀飛驚}}}}
|rowspan=2|궁전은 울창한 숲에 쌓였고 누각에 올라 놀라운 경치를 보며
|-
|궁전반울 누관비경
|-
| {{더 크게|{{lang|zh|圖寫禽獸 畵綵仙靈}}}}
|rowspan=2|날짐승 들짐승을 그리니 신선 사는 그림이로구나.
|-
|도사금수 화채선령
|-
| {{더 크게|{{lang|zh|丙舍傍啟 甲帳對楹}}}}
|rowspan=2|병사<ref>궁전 내에 있는 건물들을 뜻하는 낱말</ref> 옆을 열어 갑장<ref>동방삭이 만들었다는 장막</ref> 이 기둥을 마주하게 하고
|-
| 병사방계 갑장대영
|-
| {{더 크게|{{lang|zh|肆筵設席 鼓瑟吹笙}}}}
|rowspan=2|자리를 마련해 연회를 열고 비파를 뜯고 생황을 부니
|-
|사연설석 고슬취생
|-
| {{더 크게|{{lang|zh|升階納陛 弁轉疑星}}}}
|rowspan=2| 계단을 올라 납폐하는 신료들은 별인듯 번쩍이고
|-
|승계납폐 변전의성
|-
| {{더 크게|{{lang|zh|右通廣內 左達承明}}}}
|rowspan=2| 오른쪽은 광내로 통하고 왼쪽은 승명에 닿아<ref>광내와 승명은 모두 고대 중국 궁내의 관직처</ref>
|-
|우통광내 좌달승명
|-
| {{더 크게|{{lang|zh|既集墳典 亦聚群英}}}}
|rowspan=2| 이미 분전<ref>삼황오제 시절의 법률과 의전을 뜻한다.</ref> 을 모은 곳에 영웅들이 모였도다.
|-
|기집분전 역취군영
|-
| {{더 크게|{{lang|zh|杜稾鍾隸 漆書壁經}}}}
|rowspan=2| 두고<ref>초서를 처음 썼다고 전해진다.</ref> 와 종례<ref>예서로 이름이 알려져 있다.</ref> 의 글 칠서<ref>대나무에 칠을 한 뒤 쓴 글, 종이가 없던 시절에 사용하였다.</ref> 와 벽경<ref>공자에게서 전해 왔다는 육경</ref>
|-
|두고종례 칠서벽경
|-
| {{더 크게|{{lang|zh|府羅將相 路俠槐卿}}}}
|rowspan=2|각 부에 장군과 재상이 있어 고관이 즐비하여 길이 좁다.
|-
|부라장상 노협괴경
|-
| {{더 크게|{{lang|zh|戶封八縣 家給千兵}}}}
|rowspan=2|여덟 고을을 봉지로 주고 천명의 군사로 지키게 하니<ref>한고조의 논공행상을 가리킨다.</ref>
|-
|호봉팔현 가급천병
|-
| {{더 크게|{{lang|zh|高冠陪輦 驅轂振纓}}}}
|rowspan=2|높은 관을 쓰고 수레에올라 바퀴를 구르며 갓끈을 떨치는 구나.
|-
|고관배련 구곡진영
|-
| {{더 크게|{{lang|zh|世祿侈富 車駕肥輕}}}}
|rowspan=2| 대대로 받는 녹으로 부귀를 누리며 수레는 (제물로) 무겁고 가마는 가벼우니
|-
|세록치부 거가비경
|-
| {{더 크게|{{lang|zh|策功茂實 勒碑刻銘}}}}
|rowspan=2|끝없이 쌓은 공적 비석에 세기는 구나.
|-
|책공무실 늑비각명
|-
| {{더 크게|{{lang|zh|磻溪伊尹 佐時阿衡}}}}
|rowspan=2| 반계의 (태공망)과 (탕왕을 도운) 이윤은 때가 도와 아형의 벼슬에 올랐고
|-
|반계이윤 좌시아형
|-
| {{더 크게|{{lang|zh|奄宅曲阜 微旦孰營}}}}
|rowspan=2| 곡부에 궁전을 지은 것은 주공 단<ref>주문왕의 아우, 노나라의 시조</ref> 이 아니면 누가할 것인가
|-
|엄택곡부 미단숙영
|-
| {{더 크게|{{lang|zh|桓公匡合 濟弱扶傾}}}}
|rowspan=2|환공은 제후를 널리 합쳐 기울어져가는 나라를 구했지
|-
|환공광합 제약부경
|-
| {{더 크게|{{lang|zh|綺迴漢惠 說感武丁}}}}
|rowspan=2|기리계<ref>한고조가 죽고 여희가 여씨 일족에서 황제를 즉위시키고자 하였으나 장량은 기리계의 도움으로 혜제가 즉위하도록 하였다.</ref> 가 한 혜제를 회복시키고 부열이 무정을 감동시키듯.<ref>은 나라 무정이 부열에게 감동하여 선정을 배풀었다는 고사</ref>
|-
|기회한혜 설감무정
|-
| {{더 크게|{{lang|zh|俊乂密勿 多士寔寧}}}}
|rowspan=2|준걸과 예사가 모이니 참으로 평안하구나.
|-
|준예밀물 다사식녕
|-
| {{더 크게|{{lang|zh|晉楚更霸 趙魏困橫}}}}
|rowspan=2|진과 초가 다시 패자가 되고 조와위는 연횡으로 곤궁에 빠져
|-
|진초갱패 조위곤횡
|-
| {{더 크게|{{lang|zh|假途滅虢 踐土會盟}}}}
|rowspan=2|진은 위계를 써 괵을 멸하고 천토에서 회맹하였고
|-
|가도멸괵 천토회맹
|-
| {{더 크게|{{lang|zh|何遵約法 韓弊煩刑}}}}
|rowspan=2|어찌 (한고조의) 약법을 두고 한비자의 낡고 번잡한 형벌을 따를 것인가
|-
|하준약법 한폐번형
|-
| {{더 크게|{{lang|zh|起翦頗牧 用軍最精}}}}
|rowspan=2| 백기 왕전 염파 이목은 군사를 가장 잘 다루었고
|-
|기전파목 용군최정
|-
| {{더 크게|{{lang|zh|宣威沙漠 馳譽丹青}}}}
|rowspan=2|위엄을 사막에까지 떨치니 단청에 넣어 기리는 구나.
|-
|선위사막 치예단청
|-
| {{더 크게|{{lang|zh|九州禹跡 百郡秦幷}}}}
|rowspan=2| 하우씨가 구주를 두어 백군이 진에 병합되고
|-
|구주우적 백군진병
|-
| {{더 크게|{{lang|zh|嶽宗恆岱 禪主云亭}}}}
|rowspan=2| 산중 으뜸은 항산과 태산이라 임금을 정하는 운정이 그곳에 있으며
|-
|악종항대 선주운정
|-
| {{더 크게|{{lang|zh|雁門紫塞 雞田赤城}}}}
|rowspan=2| 안문관과 만리장성, 계전과 적성
|-
|안문자새 계전적성
|-
| {{더 크게|{{lang|zh|昆池碣石 鉅野洞庭}}}}
|rowspan=2| 운남의 곤지와 부평의 갈석, 거야의 넓은 들판과 동정의 큰 호수
|-
|곤지갈석 거야동정
|-
| {{더 크게|{{lang|zh|曠遠緜邈 巖岫杳冥}}}}
|rowspan=2|아득히 멀리 줄지어 있으니 아득하고 묘연하구나.
|-
|광원면막 암수묘명
|-
| {{더 크게|{{lang|zh|治本於農 務茲稼穡}}}}
|rowspan=2| 다스림의 근본은 농업이니 때를 맞추어 심고 거두어야 하리
|-
|치본어농 무자가색
|-
| {{더 크게|{{lang|zh|俶載南畝 我藝黍稷}}}}
|rowspan=2|이제 남쪽 이랑을 일궈 나는 기장과 피를 가꾸어
|-
|숙재남묘 아예서직
|-
| {{더 크게|{{lang|zh|稅熟貢新 勸賞黜陟}}}}
|rowspan=2| 익으면 세를 내고 햇곡식으로 제사를 지내 상을 권하고 (못된 자는) 내쫓으리라.
|-
|세숙공신 권상출척
|-
| {{더 크게|{{lang|zh|孟軻敦素 史魚秉直}}}}
|rowspan=2|맹자는 도타운 사람이었고 사어는 강직했으니
|-
|맹가돈소 사어병직
|-
| {{더 크게|{{lang|zh|庶幾中庸 勞謙謹敕}}}}
|rowspan=2|중용을 으뜸으로 삼고 겸손에 힘쓰고 경계해야지
|-
|서기중용 노겸근칙
|-
| {{더 크게|{{lang|zh|聆音察理 鑑貌辨色}}}}
|rowspan=2|들리는 소리 자세히 살피고 거울에 비치는 모양 꼼꼼히 구별하고
|-
|영음찰리 감모변색
|-
| {{더 크게|{{lang|zh|貽厥嘉猷 勉其祗植}}}}
|rowspan=2|그 아름다움이 후세에 미치도록 그 덕을 쌓기를 부지런히 하며
|-
|이궐가유 면기지식
|-
| {{더 크게|{{lang|zh|省躬譏誡 寵增抗極}}}}
|rowspan=2|몸을 살펴 나무라고 탓할 일은 없는지 반성하고 총애가 늘면 더욱 조심하여야 한다.
|-
|성궁기계 총증항극
|-
| {{더 크게|{{lang|zh|殆辱近恥 林皋幸即}}}}
|rowspan=2| 위태로운 치욕은 부끄러운 일에 의한 것이니 수풀과 언덕에 있는 것이 도리어 다행이다.
|-
|태욕근치 임고행즉
|-
| {{더 크게|{{lang|zh|兩疏見機 解組誰逼}}}}
|rowspan=2| 양소<ref>한나라의 소광과 소수</ref> 는 기회를 보아 관복을 벗으니 누가 핍박하였으랴
|-
|양소견기 해조수핍
|-
| {{더 크게|{{lang|zh|索居閒處 沈默寂寥}}}}
|rowspan=2|한가한 곳을 찾아 살며 고요히 살며 침묵한 채
|-
|색거한처 침묵적요
|-
| {{더 크게|{{lang|zh|求古尋論 散慮逍遙}}}}
|rowspan=2|옛일을 두고 논장을 찾고 염려를 잊고 소요하니
|-
|구고심론 산려소요
|-
| {{더 크게|{{lang|zh|欣奏累遣 慼謝歡招}}}}
|rowspan=2|기쁜 일은 알리고 누추한 것은 보내며 슬픈 일은 마다하고 기쁜 일을 환영하리
|-
|흔주루견 척사환초
|-
| {{더 크게|{{lang|zh|渠荷的歷 園莽抽條}}}}
|rowspan=2|도랑에 핀 연꽃의 이력, 동산에 자란 풀 가지
|-
|거하적력 원망추조
|-
| {{더 크게|{{lang|zh|枇杷晚翠 梧桐早凋}}}}
|rowspan=2|비파나무 만추에도 푸르른데 오동나무 일찍이 시들었고
|-
|비파만취 오동조조
|-
| {{더 크게|{{lang|zh|陳根委翳 落葉飄颻}}}}
|rowspan=2|고목 뿌리 덮은 낙엽 바람에 날리니
|-
|진근위예 낙엽표요
|-
| {{더 크게|{{lang|zh|遊鵾獨運 凌摩絳霄}}}}
|rowspan=2|댓닭 한 마리 홀로 해엄치며 노을진 하늘을 업수이 여기고
|-
|유곤독운 능마강소
|-
| {{더 크게|{{lang|zh|耽讀翫市 寓目囊箱}}}}
|rowspan=2|(한나라 왕총은) 독서를 즐겨 한 번 보면 상자에 넣은 듯 (잊지 않았다지)
|-
|탐독완시 우목낭상
|-
| {{더 크게|{{lang|zh|易輶攸畏 屬耳垣墻}}}}
|rowspan=2|가벼이 경솔하게 구는 것을 두려워하는 까닭은 담장에도 귀가 있다 하기 때문
|-
|역유유외 속이원장
|-
| {{더 크게|{{lang|zh|具膳飡飯 適口充腸}}}}
|rowspan=2|반찬이나 저녁밥이야 먹고 배를 채우면 그만인 것
|-
|구선손반 적구충장
|-
| {{더 크게|{{lang|zh|飽飫烹宰 飢厭糟糠}}}}
|rowspan=2|배부르면 재상의 요리도 물리게 되고 배 고프면 겨 지게미로도 족하니
|-
|포어팽재 기염조강
|-
| {{더 크게|{{lang|zh|親戚故舊 老少異糧}}}}
|rowspan=2|친척이나 옛친구 노소에 따라 음식도 다를 밖에
|-
|친척고구 노소이량
|-
| {{더 크게|{{lang|zh|妾御績紡 侍巾帷房}}}}
|rowspan=2|아내가 길쌈하여 어른 방에 수건을 받들고
|-
|첩어적방 시건유방
|-
| {{더 크게|{{lang|zh|紈扇圓潔 銀燭煒煌}}}}
|rowspan=2|흰 비단으로 지은 부채 둥글고 깨끗하며 은촛대 불빛 밝으니
|-
|환선원결 은촉위황
|-
| {{더 크게|{{lang|zh|晝眠夕寐 藍笋象床}}}}
|rowspan=2|낮에 자고 저녁에 또 자려 푸른 대로 코끼리 침상을 만들지
|-
|주면석매 남순상상
|-
| {{더 크게|{{lang|zh|絃歌酒讌 接盃舉觴}}}}
|rowspan=2|거문거를 뜯고 노래를 부르며 주연을 열고 술잔을 들어 부딛히고
|-
|현가주연 접배거상
|-
| {{더 크게|{{lang|zh|矯手頓足 悅豫且康}}}}
|rowspan=2|손을 들고 발을 움직여 춤추며 이처럼 평안함을 즐거워하세
|-
|교수돈족 열예차강
|-
| {{더 크게|{{lang|zh|嫡後嗣續 祭祀烝嘗}}}}
|rowspan=2| 맏이는 뒤를 이어 제사를 지내어
|-
|적후사속 제사증상
|-
| {{더 크게|{{lang|zh|稽顙再拜 悚懼恐惶}}}}
|rowspan=2|이마를 조아려 두 번 절하여 송구하고 두려운 마음을 보여야 한다.
|-
|계상재배 송구공황
|-
| {{더 크게|{{lang|zh|牋牒簡要 顧答審詳}}}}
|rowspan=2|편지는 간략히 요지만 쓰고 답신은 자세히 살펴서 하라.
|-
|전첩간요 고답심상
|-
| {{더 크게|{{lang|zh|骸垢想浴 執熱願涼}}}}
|rowspan=2|몸에 때가 끼면 목욕할 생각이 나고 열이 차면 서늘하기를 원하게 되는 것
|-
|해구상욕 집열원량
|-
| {{더 크게|{{lang|zh|驢騾犢特 駭躍超驤}}}}
|rowspan=2|노새며 망아지, 숫송아지가 놀라뛰며 내달리듯
|-
|여라독특 해약초양
|-
| {{더 크게|{{lang|zh|誅斬賊盜 捕獲叛亡}}}}
|rowspan=2|적도는 잡아 죽이고 배역자는 잡아들이리
|-
|주참적도 포획반망
|-
| {{더 크게|{{lang|zh|布射遼丸 嵇琴阮嘯}}}}
|rowspan=2|여포는 활 잘 쏘았고 의료는 돌 잘 던졌으며 혜강은 금을 잘켰고 완적은 휘파람을 잘 불었지
|-
|포사료환 혜금완소
|-
| {{더 크게|{{lang|zh|恬筆倫紙 鈞巧任釣}}}}
|rowspan=2|붓을 만든 건 몽념 종이를 만든 건 채륜, 마륜의 교묘한 솜씨<ref>마륜은 지남차를 만들었다고 한다.</ref> 임공자의 낚시대<ref>장자에 나오는 이야기이다.</ref>
|-
|염필윤지 균교임조
|-
| {{더 크게|{{lang|zh|釋紛利俗 竝皆佳妙}}}}
|rowspan=2|이러한 재주를 세상에 푸니 모두다 뛰어나고 신기하였다.
|-
|석분리속 병개가묘
|-
| {{더 크게|{{lang|zh|毛施淑姿 工顰妍笑}}}}
|rowspan=2|오나라 모타와 월나라 서시의 자태는 찡그린 모습도 아름다워라
|-
|모시숙자 공빈연소
|-
| {{더 크게|{{lang|zh|年矢每催 曦暉朗耀}}}}
|rowspan=2| 세월은 살같이 언제나 제촉하나 햇빛 달빛은 밝게 빛나
|-
|연시매최 희휘낭요
|-
| {{더 크게|{{lang|zh|璇璣懸斡 晦魄環照}}}}
|rowspan=2|천문을 보는 기계 매달려 돌듯 그믐이 지나 다시 보름이 되니
|-
|선기현알 회백환조
|-
| {{더 크게|{{lang|zh|指薪修祜 永綏吉劭}}}}
|rowspan=2|손가락에 섶불을 단 듯 수양에 전념하면 영원토록 평안하고 길하리라.
|-
|지신수우 영수길소
|-
| {{더 크게|{{lang|zh|矩步引領 俯仰廊廟}}}}
|rowspan=2|반듯하게 걸으며 옷길을 끌고 사당에 엎드려 예의를 다하고
|-
|구보인령 부앙낭묘
|-
| {{더 크게|{{lang|zh|束帶矜莊 徘徊瞻眺}}}}
|rowspan=2|허리띠를 단단히 묶어 긍지를 갖고 여러 곳을 두루 살펴라
|-
|속대긍장 배회첨조
|-
| {{더 크게|{{lang|zh|孤陋寡聞 愚蒙等誚}}}}
|rowspan=2|(이런 글을 쓴 나는) 고루하고 들은 것 없어 어리석단 꾸짖음을 면치 못하리
|-
|고루과문 우몽등초
|-
| {{더 크게|{{lang|zh|謂語助者 焉哉乎也}}}}
|rowspan=2|어조사에는 언재호야가 있다.
|-
|위어조자 언재호야
|}
==역주 ==
<references/>
= 라이선스 =
{{번역 저작권
|원문 = {{PD-old-100}}
|번역 = {{PD-자작}}
}}
[[분류:한시]]
cuvhc6hg2mv7rw5wwk5rx0og897wvp4
저자:월산대군
100
34163
392377
383201
2025-06-23T04:08:07Z
ZornsLemon
15531
392377
wikitext
text/x-wiki
{{저자
|이름 = 월산대군
|다른 표기 = 月山大君
|이름 첫 글자 = ㅇ
|국적 = 조선
|탄생 연도 = 1454년
|사망 연도 = 1488년
|설명 = 조선의 제9대 왕인 [[저자:조선 성종|성종]]의 형이다. 이름은 정(婷), 자(字)는 자미(子美), 호(號)는 풍월정(風月亭)이며, 시호(諡號)는 효문(孝文)이다.
|그림 =
|위키백과 링크 = 월산대군
|위키인용집 링크 =
|공용 링크 =
|정렬 = 월산대군
}}
== 저작 ==
* 《풍월정집》
===시조===
* [[추강에 밤이 드니]]
== 라이선스 ==
{{PD-old-100}}
h9duwvgndlbh2c9abqlvekb3lomji2r
청구영언/이삭대엽
0
36392
392364
392135
2025-06-23T02:20:00Z
ZornsLemon
15531
392364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청구영언
|부제=이삭대엽
|부제 다른 표기=二數大葉
|이전=[[../중대엽 북전|중대엽 북전]]
|다음=[[../삼삭대엽|삼삭대엽]]
|설명=
}}
{{옛한글}}
{{옛한글 시작}}
== 麗末 ==
牧隱 李穡字穎叔號牧隱元朝授翰林知製誥恭愍朝門下侍中文章伎術爲縉紳領袖入本朝封韓山伯謚文靖
七. 白雪이ᄌᆞ자진골에구루미머흐레라반가온梅花ᄂᆞᆫ어ᄂᆡ곳에픠엿ᄂᆞᆫ고夕陽에홀로셔이셔갈곳몰라ᄒᆞ노라
圃隱 鄭夢周字達可號圃隱恭讓時門下侍中麗朝命革身與國亡 李朝贈領議政謚文忠 理學爲東方之祖革胡服襲華制文風大振
八. 니몸이주거주거一白番고쳐주거白骨이塵土ㅣ되여넉시라도잇고업고님向ᄒᆞᆫ一片丹心이야가싈줄이이시랴
東浦 孟思誠字誠之號東浦前朝魁科入 我朝官至左相致仕謚文貞至孝淸簡性解音律甞執一笛日弄三四聲
九. 江湖에봄이드니미친興이절로난다濁醪溪邊에錦鱗魚ㅣ안주로다이몸이閑暇ᄒᆡ옴도亦君恩이샷다
一◯. 江湖에녀름이드니草堂에일이업다有信ᄒᆞᆫ江波ᄂᆞᆫ보내ᄂᆞ니ᄇᆞ람이다이몸이서ᄂᆞᆯᄒᆡ옴도亦君恩이샷다
一一. 江湖에ᄀᆞᄋᆞᆯ이드니고기마다ᄉᆞᆯ져잇다小艇에그믈시러흘리ᄠᅴ여더뎌두고이몸이消日ᄒᆡ옴도亦君恩이샷다
一二. 江湖에겨월이드니눈기픠자히남다삿갓빗기ᄡᅳ고누역으로오슬삼아이몸이칩지아니ᄒᆡ옴도亦君恩이샷다
== 本朝 ==
節齋 金宗瑞字國卿號節齋 太宗朝登第官至領相 有大節多智略時目虎體矮癸酉亂死
一三. 朔風은나모긋ᄃᆡ불고明月은눈속에ᄎᆞᆫ듸萬里邊城에一長劒집고셔셔긴ᄑᆞ람큰ᄒᆞᆫ소릐에거칠거시업세라
一四. 長白山에旗ᄅᆞᆯ곳고豆滿江에ᄆᆞᆯ을싯겨서근져션븨야우리아니ᄉᆞ나희냐엇덧타獜閣畵像을누고몬져ᄒᆞ리오
梅竹堂 成三問字謹甫號梅竹堂 世宗朝登第選湖堂登重試官至承旨與李塏等謨復魯山事覺被誅後有六臣祠
一五. 首陽山ᄇᆞ라보며夷齊ᄅᆞᆯ恨하노라주려주글진들採薇도ᄒᆞᄂᆞᆫ것가비록애푸새엣거신들긔뉘ᄯᅡ헤낫ᄃᆞ니
一六. 이몸이주거가셔무어시될ᄭᅩᄒᆞ니蓬萊山第一峰에落落長松되야이셔白雲이滿乾坤ᄒᆞᆯ제獨也靑靑ᄒᆞ리라
王邦衍 世宗詩人以金吾郞押去魯山及還彷徨川邊有感而作是歌盖卽此一曲斯人愛君之誠可見矣
一七. 千萬里머나먼길에고은님여희ᄋᆞᆸ고내ᄆᆞ음둘듸업서냇ᄀᆞ에안자이다져물도내안ᄀᆞᆺ도다우러밤길녜놋다
聾岩 漁父歌 李賢輔字棐仲號聾岩燕山朝登第官至判中
一八. 이즁에시름업스니漁父의生涯로다一葉扁舟ᄅᆞᆯ萬頃波에ᄠᅴ여두고人世ᄅᆞᆯ다니젯거니날가ᄂᆞᆫ줄을안가
一九. 구버ᄂᆞᆫ千尋綠水도라보니萬疊靑山十丈紅塵이언매나ᄀᆞ련ᄂᆞᆫ고江湖에月白ᄒᆞ거든더옥無心ᄒᆞ얘라
二◯. 靑荷에밥을ᄡᆞ고綠柳에고기ᄭᅦ여蘆荻花叢에ᄇᆡ매야두고一般淸意味ᄅᆞᆯ어ᄂᆡ分이아ᄅᆞ실고
二一. 山頭에閑雲이起ᄒᆞ고水中에白鷗ㅣ飛라無心코多情ᄒᆞ니이두거시로다一生애시ᄅᆞᆷ을닛고너ᄅᆞᆯ조차노로리라
二二. 長安을도라보니北闕이千里로다漁舟에누어신들니즌스치이시랴두어라내시름아니라濟世賢이업스랴
右漁父歌兩篇 不知何人所作 余自退老田間 心閑無事 裒集古人觴詠間 可歌詩文若干首 敎閱婢僕 時時聽而消遣 兒孫輩 晩得此歌而來示 余觀其詞語閑適 意味深遠 唫咏之餘 使人有脫略功名 飄飄遐擧塵外之意 得此之後 盡棄其前所玩悅歌詞而專意于此 手自謄冊 花朝月夕 把酒呼朋 使詠於汾江小艇之上 興味尤眞 亹亹忘倦 第以語多不倫 或重疊 必其傳寫之訛 此非聖賢經據之文 妄加撰改一篇十二章 去三爲九 作長歌而詠焉 一篇十章 約作短歌五闋爲葉而唱之 合成一部 新曲 非徒刪改添補處亦多 然亦各因舊文本意而增損之 名曰聾岩野錄 覽者 幸勿以僣越咎我也。 時嘉靖己酉夏六月流頭後三日 雪鬢翁聾岩主人 書于汾江漁艇之舷
世所傳漁父詞 集古人漁父之詠 間綴以俗語而爲之長言者 凡十二章而作者名姓無聞焉 往者 安東府 有老妓 能唱此詞 叔父松齋先生 時召此妓使歌之 以助壽席之歡 滉 時尙小 心竊喜之 錄得其槪而猶恨其未爲全調也 厥後存沒推遷 舊聲杳不可追而身墮紅塵 益遠於江湖之樂則 思欲更聞此詞 以寓興而忘憂也 在京師遊蓮亭 常編問而歷訪之 雖老伶韻倡 莫有能解此詞者 以是知其好之者鮮矣 頃歲有密陽朴浚者 名知衆音 凡係東方之樂 或雅或俗 靡不裒集 爲一部書 刊行于世 此詞 與霜花店諸曲 混載其中然 人之聽之於彼則 手舞足蹈 於此則倦而思睡者 何哉 非其人 固不知其音 又焉知其樂乎 惟我聾岩李先生 年踰七十 卽投紱高厲 退閑於汾水之曲 屢召不起 等富貴於浮雲 寄雅懷於物外 常以小舟短棹 嘯傲於煙波之裏 徘徊於釣石之上 狎鷗而忘機 觀魚而知樂則 其於江湖之樂 可謂得其眞矣 佐郞黃君仲擧 於先生親且厚矣 嘗於朴浚書中 取此詞 又得短歌之爲漁父作者十闋 並以爲献 先生得而玩之 喜愜其素尙而猶病其未免冗長也 於是 刪改補撰 約十二爲九 約十爲五而付之侍兒 習而歌之 每遇佳賓好景 憑水檻而弄煙艇 必使數兒並喉而唱詠 聯袂而蹁躚 傍人望之若神仙人焉 噫 先生之於此 旣得其眞樂 宜好其眞聲 豈若世俗之人 悅鄭衛而增淫 聞玉樹而蕩志者比耶 先生 常手寫此本 不辱下示 且責以跋語 滉 身効轅駒 盟寒沙鳥 何敢語江湖之樂 論魚釣之事乎 辭之至再而命之不置 不獲已 謹書所感於其尾 以塞勤命之萬一 東坡所譏以朝市眷戀之徒而山林獨往之語 滉之謂矣。 是歲臈月旣望 豊基守李滉 拜手敬書于郡齋
花潭 徐敬德字可久號花潭 中廟朝授證文康
二三. ᄆᆞ음이어린後ㅣ니ᄒᆞᄂᆞᆫ일이다어리다萬重雲山에어ᄂᆡ님오리마ᄂᆞᆫ지ᄂᆞᆫ닙부ᄂᆞᆫᄇᆞ람에ᄒᆡᆼ혀긘가ᄒᆞ노라
頤菴 宋寅字明仲號頤菴 中朝駙馬礪城尉治禮學善書法謚文端
二四. 이셩져셩ᄒᆞ니이론일이무스일고흐롱하롱ᄒᆞ니歲月이거의로다두어라已矣已矣여니아니놀고어이리
二五. ᄒᆞᆫᄃᆞᆯ셜흔날에盞을아니노핫노라ᄑᆞᆯ病도아니들고입덧도아니난다每日에病업슨덧으란ᄭᆡ지말미엇더리
二六. 드른말卽時닛고본일도못본드시내人事ㅣ이러홈애ᄂᆞᆷ의是非모를로다다만지손이셩ᄒᆞ니盞잡기만ᄒᆞ노라
退溪 陶山六曲 李滉字景浩號退溪 中宗朝登第選湖堂典文衡官至賛成東方之宗謚文純
前六曲 * 言志
二七. 이런들엇더ᄒᆞ며져런들엇더ᄒᆞ료草野愚生이이러타엇더ᄒᆞ료ᄒᆞ믈며泉石膏肓을고쳐므슴ᄒᆞ료
二八. 烟霞로집을삼고風月로벗을사마太平聖代에病으로늘거가뇌이즁에ᄇᆞ라ᄂᆞᆫ일은허믈이나업고쟈
二九. 淳風이죽다ᄒᆞ니眞實로거즛말이人性이어지다ᄒᆞ니眞實올흔말이天下에許多英才ᄅᆞᆯ소겨말슴ᄒᆞᆯ가
三◯. 幽蘭이在谷ᄒᆞ니自然이듯디죠희白雪이在山ᄒᆞ니自然이보디죠해이즁에彼美一人을더옥닛디못ᄒᆞ얘
三一. 山前에有臺ᄒᆞ고臺下에有水ㅣ로다ᄠᅦ만흔ᄀᆞᆯ며기ᄂᆞᆫ오명가명ᄒᆞ거든엇더타皎皎白駒ᄂᆞᆫ멀리ᄆᆞ음ᄒᆞᄂᆞᆫ고
三二. 春風에花滿山ᄒᆞ고秋夜에月滿臺라四時佳興이사ᄅᆞᆷ과한가지라ᄒᆞ믈며魚躍鳶飛雲影天光이야어ᄂᆡ그지이시리
其二 後六曲
三三. 天雲臺도라드러玩樂齋蕭灑ᄒᆞᆫ듸萬卷生涯로樂事ㅣ無窮ᄒᆞ얘라이즁에往來風流ᄅᆞᆯ닐러므슴ᄒᆞᆯ고
三四. 雷霆이破山ᄒᆞ여도聾者ᄂᆞᆫ못듯ᄂᆞ니白日이中天하야도瞽者ᄂᆞᆫ못보ᄂᆞ니우리ᄂᆞᆫ耳目聰明男子로聾瞽ᄀᆞᆺ지마로리
三五. 古人도날못보고나도古人못뵈古人을못봐도녀ᄃᆞᆫ길알픠잇ᄂᆡ녀ᄃᆞᆫ길알픠잇거든아니녀고엇졀고
三六. 當時에녀ᄃᆞᆫ길흘몃ᄒᆡᄅᆞᆯᄇᆞ려두고어듸가ᄃᆞᆫ니다가이제야도라온고이제야도라오나니년듸ᄆᆞ음마로리
三七. 靑山은엇졔ᄒᆞ여萬古에프르르며流水ᄂᆞᆫ엇졔하여晝夜애긋지아니ᄂᆞᆫ고우리도그치지마라萬古常靑ᄒᆞ리라
三八. 愚夫도알며ᄒᆞ거니긔아니쉬온가聖人도못다ᄒᆞ시니긔아니어려온가쉽거나어렵거나즁에늙ᄂᆞᆫ줄을몰래라
右陶山十二曲者 陶山老人之所作也 老人之作此何爲也哉 吾東方歌曲 大抵吾 多淫哇不足言 如翰林別曲之類 出於文人之口 而矜豪放蕩 兼以褻慢戲狎 尤非君子所宜 尙惟近世 有李鼈六歌者 世所盛傳 猶爲彼善於此 亦惜乎其 有溫柔少 玩世不恭之意 而少溫柔敦厚之實也 老人素不解音律而猶知厭聞世俗之樂 閑居養疾之餘 凡有感於情性者 每發於詩 然今之詩 異於古之詩 可詠而不可歌也 如欲歌之 必綴以俚俗之語 盖國俗音節 所不得不然也 故甞略倣李歌而作爲陶山六曲者二焉 其一言志 其二言學 欲使兒輩 朝夕習而歌之 憑几而聽之 亦令兒輩 自歌而自舞蹈之 庶幾可以蕩滌鄙吝 感發融通而歌者與聽者 不能無交有益焉 顧自以蹤跡頗乖若以等閑事 或因以惹起鬧端 未可知也 又未信其以入腔調偕音節與未也 姑寫一件藏之篋笥 時取玩以自省 又以待他日覽者之去取云爾。 嘉靖四十四年 歲乙丑 暯春旣望山老書。
松江 鄭澈字季涵號松江 明宗朝登魁第選湖堂 官至左相寅城府院君謚文淸 宜祖甞曰精忠節義草木亦知其名眞所謂鴺班之鶚殿上之虎
三九. 아바님날나흐시고어마님날기르시니두分곳아니면이몸이사라시랴하ᄂᆞᆯᄀᆞᆺ튼恩德을어듸다혀갑ᄉᆞ올고
四◯. 兄아아으야네ᄉᆞᆯ을ᄆᆞᆫ져보아뉘손ᄃᆡ타낫관ᄃᆡ양ᄌᆞ조차ᄀᆞᆺ트슨다ᄒᆞᆫ졋먹고자라나시니닷ᄆᆞ음을먹지마라
四一. 님금과百姓과ᄉᆞ이하ᄂᆞᆯ과ᄯᅡ히로되내의셜온일을다아로려ᄒᆞ시거든우린들ᄉᆞᆯ진미나리ᄅᆞᆯ흔자어이머그리
四二. 어버이사라신제셤길일란다ᄒᆞ여라지나간後ㅣ면애ᄃᆞᆲ다엇지ᄒᆞ리平生에곳쳐못ᄒᆞᆯ일이잇분인가ᄒᆞ노라
四三. ᄒᆞᆫ몸둘헤ᄂᆞᆫ화夫婦ᄅᆞᆯ삼기실샤이신제ᄒᆞᆷᄭᅴ늙고주그면ᄒᆞᆫ대간다어듸셔망녕앳거시눈흘긔려ᄒᆞᄂᆞᆫ고
四四. 간나희가ᄂᆞᆫ길흘ᄉᆞ나희에도드시ᄉᆞ나희녜ᄂᆞᆫ길흘계집이츼도드시제남진제계집아니여든일홈뭇지마로려
四五. 네아들孝經닑ᄃᆞ니어드록ᄇᆡ환ᄂᆞ니내아들小學은모릐면ᄆᆞ츨로다어ᄂᆡ제이두글ᄇᆡ화어질거든보려뇨
四六. ᄆᆞ을사람들아올흔일ᄒᆞ쟈스라사ᄅᆞᆷ이되야나셔올치옷못ᄒᆞ면은ᄆᆞ쇼ᄅᆞᆯ갓곳갈ᄡᅴ워밥머기나다르랴
四七. ᄑᆞᆯ목쥐시거든두손으로바치리라나갈듸계시거든막대들고조츠리라鄕飮酒다罷ᄒᆞ後에뫼셔가려ᄒᆞ노라
四八. ᄂᆞᆷ으로삼긴즁에벗ᄀᆞᆺ치有信ᄒᆞ랴내의왼일을다니려ᄒᆞ노매라이몸이벗님곳아니면사ᄅᆞᆷ되미쉬올가
四九. 어와져族下야밥업시엇지ᄒᆞᆯ고어와져아자바옷업시엇지ᄒᆞᆯ고머흔일다닐러스라돌보고쟈ᄒᆞ노라
五◯. 네집喪事들은어도록호슨다네ᄠᆞᆯ書房은언제나마치ᄂᆞ슨다내게도업다커니와돌보고져ᄒᆞ노라
五一. 오ᄂᆞᆯ도다새거다호뫼메오가쟈스라내논다ᄆᆡ여든네논졈ᄆᆡ야주마올길헤ᄲᅩᆼᄯᅡ다가누에머켜보쟈스라
五二. 비록못니버도ᄂᆞᆷ의오슬앗지마라비록못머거도ᄂᆞᆷ의밥을비지마라ᄒᆞᆫ적곳ᄯᆡ시ᄅᆞᆫ後ㅣ면고쳐싯기어려우니
五三. 雙六將碁ᄒᆞ지마라訟事ㅅ글월ᄒᆞ지마라집배야무슴하며ᄂᆞᆷ의怨讐될줄엇지나라히法을셰오샤罪인ᄂᆞᆫ줄을모로ᄂᆞᆫ다
五四. 이고진져늘그니짐푸러날을주오나ᄂᆞᆫ져멋거니돌히라무거올가늙기도셜웨라커든짐을조차지실가
右十六載見警民編
五五. 江原道百姓들아兄弟訟事마라스라죵ᄭᅱ밧ᄭᅱᄂᆞᆫ엇기에쉽거니와어대가또어들거시라흘긧할긧ᄒᆞᄂᆞᆫ다
五六. 남진죽고우ᄂᆞᆫ눈물두졋에ᄂᆞ리흘러졋마시ᄧᆞ다ᄒᆞ고子息은보채거든져놈아어ᄂᆡ안흐로계집되라ᄒᆞᄂᆞᆫ다
五七. 光化門드리ᄃᆞ라內兵曹上直房에ᄒᆞ롯밤다섯更에스믈석點치ᄂᆞᆫ소릐그덧에陳跡이되도다ᄭᅮᆷ이론듯하여라
五八. 蓬萊山님계신듸五更친나믄소릐城너머구롬지나客窓에들리ᄂᆞ다江南에ᄂᆞ려옷가면그립거든엇지리
五九. ᄡᅳᆫᄂᆞ믈데온물이고기도곤마시이셰草屋조븐줄이긔더욱내分이라다만당님그린타스로시름계워ᄒᆞ노라
六◯. 劉伶은언제사ᄅᆞᆷ고晋적의高士ㅣ로다季涵은긔뉘런고當代에狂生이라두어라高士狂生을무러무슴ᄒᆞ리
六一. 이바이집사ᄅᆞᆷ아이셰간엇지살리솟벼다ᄯᆞ리고죡박귀다업괴야ᄒᆞ믈며기울계대니거든누를밋고살리
六二. 기울계대니거든ᄯᆞ나죡바귀업거니ᄯᆞ나비록이셰간板蕩ᄒᆞᆯ만졍고온님괴기옷괴면그를밋고살리
六三. 므스일이루리라十年지이너를조차내ᄒᆞᆫ일업시셔외다마다ᄒᆞᄂᆞᆫ이이제야絶交篇지여餞送ᄒᆞ되엇더리
六四. 일이나일우려ᄒᆞ면처엄에사괴실가보면반기실싀나도조차ᄃᆞᆫ니ᄃᆞ니眞實로외다옷ᄒᆞ시면마ᄅᆞ신들아니랴
六五. 내말고쳐드러너업스면못살려니머흔일구즌일널로ᄒᆞ여다닛거든이제야ᄂᆞᆷ괴려ᄒᆞ여녯밧말고엇지리
六六. 一定百年산들긔아니草草ᄒᆞᆫ가草草ᄒᆞᆫ浮生이므스일ᄒᆞ려ᄒᆞ여내자바勸ᄒᆞᄂᆞᆫ盞을덜머그려ᄒᆞᄂᆞ니
六七. 예셔ᄂᆞᆯ애를드러두세번만부츠며ᄂᆞᆫ逢箂山第一峯에고온님보련마ᄂᆞᆫᄒᆞ다가못ᄒᆞᄂᆞᆫ일은닐러므슴ᄒᆞ리
六八. 이몸허러내여낸물에ᄯᅴ오고져이물이우러녜여漢江여흘되다ᄒᆞ면그제야님그린내病이헐ᄒᆞᆯ법도잇ᄂᆞ니
六九. 내ᄆᆞ음버혀내여뎌ᄃᆞᆯ을ᄆᆡᆼ글고져九萬里長天에번드시걸려이셔고온님계신고ᄃᆡ가비최여나보리라
七◯. 興亡이數업스니帶方城이秋草ㅣ로다나모론지난일난牧笛에부쳐부고이죠흔太平烟花에ᄒᆞᆫ盞ᄒᆞ되엇더라
七一. 申君望校理적의내마ᄎᆞᆷ修撰으로上下番ᄀᆞ초와勤政門밧기러니고온님玉ᄀᆞᆺ튼양ᄌᆡ눈에암암ᄒᆞ여라
七二. 南極老人星이息影亭에비최여셔滄海桑田이슬ᄏᆞ장뒤눕도록가지록새빗츨내여그믈뉘를모론다
七三. 臺우희셧ᄂᆞᆫ느틔몃ᄒᆡ나ᄌᆞ랏ᄂᆞᆫ고ᄡᅵ지여난휘추리저ᄀᆞᆺ치늙도록애그제야ᄯᅩᄒᆞᆫ盞부어다시獻壽하리라
七四. 靑天구룸밧긔노피ᄯᅳᆫ鶴이러니人間이죠ᄐᆞ냐므스므라ᄂᆞ려온다쟝짓치다ᄯᅥ러지도록ᄂᆞ라갈줄모로ᄂᆞᆫ다
七五. 거문고大絃을치니ᄆᆞ음이다눅ᄃᆞ니子絃에羽調올라漠漠調쇠온말이셟기ᄂᆞᆫ젼혀아니되離別엇지ᄒᆞ리오
七六. 長짓치다지게야ᄂᆞᆯ애ᄅᆞᆯ고쳐드러靑天구룸속에소솝ᄯᅥ올은말이싀훤코훤츨ᄒᆞᆫ世界ᄅᆞᆯ다시보고말와라
七七. 新院院主ㅣ되여녈손님을지내ᄋᆞᆸᄂᆡ가거니오거니人事도하도할샤안가셔보노라ᄒᆞ니슈고로와ᄒᆞ노라
七八. 新院院主ㅣ되여되롱삿갓메오이고細雨斜風에一竿竹빗기드러紅蓼花白蘋洲渚에오명가명ᄒᆞ노라
七九. 新院院主ㅣ되여柴扉ᄅᆞᆯ고쳐닷고流水靑山을벗사마더졋노라아ᄒᆡ야碧蹄에손이라커든날나가다ᄒᆞ고려
八◯. 長沙王賈太傅혜건대우읍괴야ᄂᆞᆷ대되근심을제혼자맛다이셔긴한숨눈물도過커든에에ᄒᆞᆯ줄엇제오
八一. 내양ᄌᆞᄂᆞᆷ만못ᄒᆞᆫ줄나도잠간알건마ᄂᆞᆫ臙脂도ᄇᆞ려잇고粉ᄯᅥ도아니미ᄂᆡ이러코괴실가ᄠᅳᆺ은젼혀아니먹노라
八二. 나모도病이드니亭子ㅣ라도쉬리업다豪華히셔신제ᄂᆞᆫ오리가리다쉬더니닙지고柯枝져즌後ㅣ니새도아니온다
八三. 어화버힐시고落落長松버힐시고져근덧두던들棟梁材되리러니어즈버明堂이기울거든무서스로바치려뇨
八四. 中書堂白玉杯ᄅᆞᆯ十年만에고쳐보니ᄆᆞᆰ고흰빗츤녜온듯ᄒᆞ다마ᄂᆞᆫ엇더타사ᄅᆞᆷ의ᄆᆞ음은朝夕變을ᄒᆞᆫ다
八五. 재너머成勸農집의술닉단말어제듯고누은쇼발로박차언치노하지즐ᄐᆞ고아ᄒᆡ야네勸農계시냐鄭座首왓다ᄉᆞ뢰라
八六. 어화棟梁村ᄅᆞᆯ져리ᄒᆞ여어이ᄒᆞᆯᄭᅩ헐ᄯᅳ더기운집의議論도하도할샤뭇지위고ᄌᆞ자만들고헵ᄯᅳ다가말년ᄂᆞᆫ다
八七. 風波에일니ᄃᆞᆫᄇᆡ어드러로가닷말고구룸이머흘거든처엄에날줄엇지허술ᄒᆞᆫᄇᆡ가진分ᄂᆡᄂᆞᆫ모다조심ᄒᆞ시소
八八. 져긔셧ᄂᆞᆫ져소나모셤도셜샤길ᄀᆞ에가져녀마드리혀져굴헝에셔고라쟈ᄉᆞᆺ듸고도츼멘分ᄂᆡᄂᆞᆫ다지그려ᄒᆞᆫ다
右松江相國鄭文淸公之所著也 公 詩詞淸新警拔 固膾炙人口而歌曲尤妙絶今古 長篇短什 無不盛傳 雖屈平之楚騷子瞻之詞賦殆無以過之 每聽其引喉高詠 聲韻淸楚 音旨超忽 不覺其飄飄乎如憑虛面御風 羽化而登仙 至其愛君憂國之誠則 亦且藹然於辭語之表 至使人感愴而興歎焉 苛非出天忠義 間世風流 其孰能與於此 噫 公以耿介之性 正直之行 而適會黨議大興 讒構肆行 上而得罪於君父 下以見嫉於同朝 流離竄謫 幾死幸全而其所詬罵 至身後彌甚昔 子瞻之遭罹世禍 亦可謂極矣 愛君篇什 猶能見賞於九重 而公則並與此而終不能上撤抑 何其不幸之甚歟 淸陰金文正公 甞論公始末 而比之於左徒之忠 此誠至言哉 北關 舊有公歌曲之刊行者而顧年代已久 且經兵燹 遂失其傳誠可惜也 余以無狀得罪 明時受玦天涯遠隔君親 實無以萬懷 乃澤畔行唫之暇 聊取此篇 正訛繕寫 置諸案頭 時一諷誦 其於排遣 不爲無助 蓋亦僣擬於朱夫子楚辭集註之遺意云爾 時庚子元月上澣 完山後人李選書于車城之幽蘭軒。
灌園 朴啓賢字君沃號灌園 明宗朝文科兵判
八九. ᄃᆞᆯᄇᆞᆯ근五禮城에혀나믄벗이안자故鄕感淚ᄅᆞᆯ뉘아니지리마ᄂᆞᆫ아마도爲國丹忱은나ᄲᅮᆫ인가ᄒᆞ노라
松川 梁應鼎字公燮號松川 明宗登第魁重試官至府尹
九◯. 太平天地間에簞瓢ᄅᆞᆯ두러메고두ᄉᆞ매느리혀고우즑우즑ᄒᆞᄂᆞᆫᄠᅳᆺ은人世에걸닌일업스니그ᄅᆞᆯ죠하ᄒᆞ노라
九一. 嚴冬에뵈옷닙고岩穴에눈비마자구름ᄭᅵᆫ볏뉘ᄅᆞᆯᄧᅬᆫ적이업건마ᄂᆞᆫ西山에ᄒᆡ지다ᄒᆞ니눈물겨워ᄒᆞ노라
南窓 金玄成字餘慶號南窓 明宗祖文科官至同敦 有文才善筆
九二. 樂只쟈오ᄂᆞᆯ이여즐거온쟈今日이야즐거온오ᄂᆞᆯ이ᄒᆡᆼ혀아니져물셰라每日에오ᄂᆞᆯᄀᆞᆺ트면므슴시ᄅᆞᆷ이시리
萬竹 徐益字君受號萬竹 宣廟朝登第官至義州牧使
九三. 이뫼흘허러내여져바흘몌오며ᄂᆞᆫ蓬萊山고온님을거러가도보련마ᄂᆞᆫ이몸이精衞鳥ᄀᆞ틔야바잔일만ᄒᆞ노라
九四. 綠草晴江上에구레버슨ᄆᆞᆯ이되야ᄯᅢㅣ로머리드러北向ᄒᆞ여우ᄂᆞᆫᄠᅳᆺ은夕陽이재너머가매님자그려우노라
荷衣子 洪迪字太古號荷衣子 宣廟朝登第選湖當官止舍人
九五. 어제오ᄃᆞᆫ눈이沙堤에도오돗ᄃᆞᆫ가눈이모래ᄀᆞᆺ고모래도눈이로다아마도世上일이야다이런가ᄒᆞ노라
朴仁老 宣廟時武人官至萬戶 漢陰見盤中早紅使朴仁老命作三章盖出於思親至誠
九六. 盤中早紅감이고와도보이ᄂᆞ다柚子ㅣ아니라도품엄즉ᄒᆞ다마ᄂᆞᆫ품어가반기리업슬싀글로셜워ᄒᆞᄂᆞ이다
九七. 王祥의鯉漁잡고孟宗의竹笋것거검던머리희도록老萊子의오슬닙고一生애養志誠孝ᄅᆞᆯ曾子ᄀᆞᆺ치ᄒᆞ리이다
九八. 萬鈞을느려내야길게길게노를ᄭᅩ와九萬里長天에가ᄂᆞᆫᄒᆡᄅᆞᆯ자바ᄆᆡ야北堂에鶴髮雙親을더듸늙게ᄒᆞ리라
九九. 群鳳모도신듸외가마귀드러오니白玉ᄡᅡ힌듸돌ᄒᆞ나ᄀᆞᆺ다마ᄂᆞᆫ鳳凰도飛鳥와類ㅣ시니뫼셔논들엇ᄃᆞ리
此曲 何爲而作也 昔在辛亥春 曾祖考漢陰相國 使朴萬戶仁老 述懷之曲也 世代旣遠 此曲無傳 恐其泯沒於後 窃甞慨然於心者稔矣 不肖孫允文 是歲庚午春 徐永川郡守 仁老玆土人也 其曲尙今流傳 其孫亦且生存 公餘月夕以其孫進善命歌而聽之 怳若後生 叨陪杖履於龍津山水之間 愴懷益激 感淚自零 並與長歌三曲及短歌四章 而付諸剞劂氏以圖廣傳焉。 時是年三月三日也。
漢陰 李德馨字明甫號漢陰 宣廟朝登第選湖堂典文衡官至領相謚文翼年十四揚蓬萊見而大奇曰眞吾師也
一◯◯. 큰盞에ᄀᆞ득부어醉토록머그며서萬古英雄을손고바혀여보니아마도劉伶李白이내벗인가ᄒᆞ노라
白沙 李恒福字子常號白沙 宣廟朝登第選湖堂 典文衡官至領相鰲城府院君謚文忠善諧謔能文章光海時立節謫北靑卒
一◯一. 時節도져러ᄒᆞ니人事도이러ᄒᆞ다이러ᄒᆞ거니어이져러아닐소냐이런쟈져런쟈ᄒᆞ니한숨계워ᄒᆞ노라
一◯二. 江湖에期約을두고十年을奔走ᄒᆞ니그모른白鷗ᄂᆞᆫ더듸온다하건마ᄂᆞᆫ聖恩이至重ᄒᆞ시니갑고가려ᄒᆞ노라
一◯三. 鐵嶺노픈峰에쉬여넘ᄂᆞᆫ져구름아孤臣寃淚ᄅᆞᆯ비사마ᄯᅴ여다가님계신九重深處에ᄲᅮ려본들엇ᄃᆞ리
月沙 李廷龜字聖徵號月沙 宣廟朝登第典文衡 官至右相謚文忠以戊戍奏文名聞天下
一◯四. 님을미들것가못미들슨님이시라미더온時節도못미들줄아라스라밋기야어려와마ᄂᆞᆫ아니밋고어이리
柳自新 宣廟時人官至判尹 希奮之父
一◯五. 秋山이夕陽을ᄠᅴ고江心에ᄌᆞᆷ겻ᄂᆞᆫ듸一竿竹두러메고小艇에안자시니天公이閑暇히녀겨ᄃᆞᆯ올조차보내도다
南怡 世祖時人官至兵判
一◯六. 長劒을ᄲᅡ혀들고白頭山에올라보니大明天地에腥塵이ᄌᆞᆷ겨셰라언제나南北風塵을헤쳐볼고ᄒᆞ노라
白湖 林悌字子順號白湖 宣廟朝登第官止禮曺正郞
一◯七. 靑草우거진골에자ᄂᆞᆫ다누엇ᄂᆞᆫ다紅顔을어듸두고白骨만무쳣ᄂᆞᆫ이盞자바勸ᄒᆞ리업스니그를슬허ᄒᆞ노라
玄洲 趙纘韓字善述號玄洲 宣廟朝登第官至承旨有文才
一◯八. 貧賤을ᄑᆞᆯ랴ᄒᆞ고權門에드러가니침업슨흥졍을뉘몬져ᄒᆞ쟈ᄒᆞ리江山과風月을달라ᄒᆞ니그ᄂᆞᆫ그리못ᄒᆞ리
一◯九. 天地몃번ᄧᅢ며英雄은누고누고萬古興亡이수후ᄌᆞᆷ에ᄭᅮᆷ이여ᄂᆞᆯ어듸셔망녕엣거슨노지말라ᄒᆞᄂᆞ니
鶴谷 洪瑞鳳字輝世號鶴谷 宣廟朝登第選湖堂參重試典文衡官至嶺相益城府院君
一一◯. 離別ᄒᆞ던날에피눈물이난지만지鴨綠江ᄂᆞ린물이프른빗치젼혀업ᄂᆡᄇᆡ우희허여셴沙工이처음보롸ᄒᆞᄃᆞ라
李舜臣 宣廟朝武科官至統制使謚忠武有智略壬辰亂全羅右水使作龜舡破倭賊
一一一. 閑山셤ᄃᆞᆯᄇᆞᆯ근밤의戍樓에혼자안자큰칼녀픠ᄎᆞ고기픈시ᄅᆞᆷᄒᆞᄂᆞᆫ적의어듸셔一聲胡茄ᄂᆞᆫᄂᆞᆷ의애ᄅᆞᆯ긋ᄂᆞ니
龍湖 呼兒曲四調並詩 趙存性字守初號龍湖 宣廟朝登第官至知敦寧謚昭敏
一一二. 아ᄒᆡ야구럭망태어두西山에날늣거다밤지낸고사리ᄒᆞ마아니늘그리야이몸이이푸새아니면朝夕어이지내리
呼兒先問有無筐 回首西山晩日長 怕夜來薇蕨老只 只綠朝夕不盈膓 右西山採薇
一一三. 아ᄒᆡ야되롱삿갓ᄎᆞᆯ화東澗에비지거다기나긴낙대에미ᄂᆞᆯ업슨낙시ᄆᆡ야져고기놀라지마라내興계워ᄒᆞ노라
呼兒將出綠簑衣 東澗春霏洒石磯 籊籊竹竿魚自在 爲他溪老已忘機 右東澗觀魚
一一四. 아ᄒᆡ야粥早飯다오南畝에일만해라서루론ᄯᅡ부를눌마조자부려뇨두어라聖世躬畊도亦君恩이시니라
呼兒曉起促盤凔 南畝春深事己殷 欲把犁鋤誰與耦 聖時農圃亦君恩 右南畝躬畊
一一五. 아ᄒᆡ야쇼며겨내여北郭에새술먹쟈大醉ᄒᆞᆫ얼굴을ᄃᆞᆯ빗체시러오니어즈버羲皇上人을오ᄂᆞᆯ다시보와다
呼兒騎犢過前川 北郭新醪正似泉 大醉浪吟牛背月 怳然身在伏羲天 右北郭醉歸
象村 申欽字敬叔號象村 宣廟朝登第仁祖初 首拜吏判典文衡官至領相諡文貞
一一六. 山村에눈이오니돌길이무쳐셰라柴扉ᄅᆞᆯ여지마라날ᄎᆞ즈리뉘이시리밤즁만一片明月이긔벗인가ᄒᆞ노라
山村雪後 石逕埋兮 柴扉且莫開兮 訪我有誰哉 中宵一片明月兮 是吾朋兮
一一七. 功名이긔무엇고헌신ᄧᅡᆨ버스니로다田園에도라오니麋鹿이벗이로다百年을이리지냄도亦君恩이로다
功名是何物 如脫弊履 田園歸處 麋鹿爲友 百年此中 過亦君恩
一一八. 草木이다埋沒ᄒᆞᆫ제松竹만프르럿다風霜섯거친제네무스일혼자프른두어라내性이어니무러무슴ᄒᆞ리
草木盡埋沒 松竹獨靑靑 風霜搖落時 爾何獨靑靑置焉哉 不須問兮 亦各性只
一一九. 四皓ㅣ진짓것가留候의奇計로다眞實로四皓ㅣ면은一定아니나오려니그려도아니냥ᄒᆞ여呂氏客이되도다
四皓眞也僞 留侯奇計 實有四皓應不出 終爲呂氏客
一二○. 兩生이긔뉘런고眞實로高士ㅣ로다秦ᄧᅥᆨ의일흠업고漢ᄧᅥᆨ의아니나니엇덧타叔孫通은오다말라ᄒᆞᄂᆞᆫ고
兩生其誰 正是高士 秦時無名 漢時不出 是何物 叔孫通使來不來
一二一. 어제밤눈온後에ᄃᆞᆯ이조차비최엿다눈後ᄃᆞᆯ빗치ᄆᆞᆯ그미그지업다엇더타天末浮雲은오락가락ᄒᆞᄂᆞ뇨
昨夜雪後 月又來照之 雪上月色兮 淸光十分 底事天末 浮雲往來
一二二.냇ᄀᆞ에ᄒᆡ오라바므스일셔잇ᄂᆞᆫ다無心ᄒᆞᆫ져고기를여어무슴ᄒᆞ려ᄂᆞᆫ다아마도ᄒᆞᆫ믈에잇거니니저신들엇ᄃᆞ리
溪邊鷺立何事 魚自無心底事窺 旣是一樣水中物 相忘也宜
一二三. 혓가레기나쟈르나기동이기우나트나數間茅屋을자근줄웃지마라어즈버滿山蘿月이다내거신가ᄒᆞ노라
椽任長短 棟任欹傾 數間茅屋小 且莫笑滿山蘿月皆吾有
一二四. 蒼梧山ᄒᆡ진후에二妃ᄂᆞᆫ어듸간고ᄒᆞᆷᄭᅴ못주근들셔롬이엇더ᄐᆞᆫ고千古에이ᄠᅳᆺ알니ᄂᆞᆫ댓숩핀가ᄒᆞ노라
蒼梧日落 二妃何所 死不同時 恨何極 千古知心是竹林
一二五. 술먹고노ᄂᆞᆫ일을나도왼줄알건마ᄂᆞᆫ信陵君무덤우희밧가ᄂᆞᆫ줄못보신가百年이亦草草ᄒᆞ니아니놀고엇지ᄒᆞ리
飮酒遊亦知非 君不見耕犁遍及信陵墳 百年若草草 不遊何爲
一二六. 神仙을보려ᄒᆞ고弱水를건너가니玉女金童이다나와뭇ᄂᆞᆫ괴야歲星이어듸나간고긔날인가ᄒᆞ노라
欲見神仙渡弱水 玉女金童來相問 歲星何所是吾身
一二七. 얼일샤져鵬鳥ㅣ야웃노라져鵬鳥ㅣ야九萬里長天에므스일로올라간다굴헝에볍새ᄎᆞᆷ새ᄂᆞᆫ못내즐겨ᄒᆞᄂᆞ다
痴平鵬鳥 强乎鵬鳥 九萬里長天 爾胡爲溝壑槍楡彼微禽兮
一二八. 날을뭇지마라前身이柱下史ㅣ뢰靑牛로나간後에몃ᄒᆡᆫ마ᄂᆡ도라온다世間이하多事ᄒᆞ니온동만동ᄒᆞ여라
不須問我 前身柱下史 靑牛去後幾時還 世間太多事來不來
一二九. 是非업슨後ㅣ라榮辱이다不關타琴書를흐튼後에이몸이閑暇ᄒᆞ다白鷗ㅣ야機事를니즘은너와낸가ᄒᆞ노라
是非亡矣 榮辱何關 琴書散後此身閑 白鷗乎忘機吾與爾
一三○. 아츰은비오ᄃᆞ니느지니ᄂᆞᆫᄇᆞ람이로다千里萬里ㅅ길헤風雨ᄂᆞᆫ무스일고두어라黃昏이머럿거니수여간들엇ᄃᆞ리
朝雨晩風 千里萬里 風雨何爲 黃昏尙遠 休歟歸止
一三一. 내가슴헤친피로님의양ᄌᆞ그려내여高堂素壁에거러두고보고지고뉘라셔離別을삼겨사ᄅᆞᆷ죽게ᄒᆞᄂᆞᆫ고
披來胸裏血 寫出檀郞面 掛之高堂素壁間 誰爲離別使人死
一三二. 寒食비온밤의봄빗치다퍼졋다無情ᄒᆞᆫ花柳도ᄯᅢ를아라픠엿거든엇더타우리의님은가고아니오ᄂᆞᆫ고
寒食夜雨 春光遍 花柳無情亦知時 底事檀郞 去不來
一三三. 어젯밤비온後에石榴곳이다픠엿다芙蓉塘畔에水晶簾을거더두고눌向ᄒᆞᆫ기픈시름을못내프러ᄒᆞᄂᆞ뇨
昨夜雨 石榴花開 芙蓉塘畔 捲起水晶簾 等閑愁爲誰苦
一三四. 窓밧긔워석버석님이신가니러보니蕙蘭蹊徑에落葉은므스일고어즈버有限ᄒᆞᆫ肝腸이다그츨가ᄒᆞ노라
窓外窸窣認郞來 蕙蘭蹊徑 落葉又何有限 肝腸盡斷
一三五. 銀釭에불ᄇᆞᆰ고獸爈에香이진지芙蓉기픈帳에혼자ᄭᆡ야안자시니엇더타헌ᄉᆞᄒᆞᆫ져更點아ᄌᆞᆷ못드러ᄒᆞ노라
銀釭熖獸爐燼 芙蓉深帳獨覺 遲遲更漏 夢未成
一三六. 봄이왓다ᄒᆞ되消息을모로더니냇ᄀᆞ에프른버들네몬져아도괴야어즈버人間離別을ᄯᅩ엇지ᄒᆞᄂᆞ다
聞道春還 未聞消息 溪邊柳 爾先知人間離別又將何
一三七. 人間을ᄯᅥ나니ᄂᆞᆫ이몸이閑暇ᄒᆞ다簑衣를니믜ᄎᆞ고釣磯로올라가니운노라太公望은나간줄을몰레라
離了人間此身閑 簑上釣磯 却笑太公望底事去無還
一三八. 南山기픈골에두어이랑니러두고三神山不死藥을다ᄏᆡ야심근말이어즈버滄海桑田을혼자볼가ᄒᆞ노라
南山深山洞數頃田 蒔遍三神山不老草 滄海桑田我獨見
一三九. 술이몃가지오淸酒와濁酒ㅣ로다먹고醉할션졍淸濁이관계ᄒᆞ랴ᄃᆞᆯᄇᆞᆰ고風淸한밤이여니아니ᄭᆡᆫ들엇ᄃᆞ리
酒有幾種 淸兮又濁 得酒已矣 淸濁何分 月白風淸 惟醉無醒
一四○. 반되불이되다반되지웨불일소냐돌히별이되다돌이지웨별일소냐불인가별인가ᄒᆞ니그를몰라ᄒᆞ노라
螢雖爲火 螢也非火 石雖爲星 石也非星 或火或星 此未解者
一四一. 곳지고속닙나니時節도變ᄒᆞ거다풀소게푸른버레나뷔되야ᄂᆞ다ᄂᆞᆫ다뉘라셔造化를자바千變萬化ᄒᆞᄂᆞᆫ고
花落葉生 時節變 草底靑蟲作蝶飛 誰持造化 千變萬化
一四二. 느저날셔이고太古ㅅ적을못보완쟈結繩을罷ᄒᆞᆫ後에世故도하도할샤ᄎᆞᆯ하로酒鄕에드러이世界를니즈리라
生胡晩不太古 結繩罷世故多 寧入酒鄕 忘世界
一四三. 樽中에술이잇고座上에손이ᄀᆞ득大兒孔文擧를고쳐어더볼ᄭᅥ이고어즈버世間餘子를닐러므슴ᄒᆞ리
樽中酒 座上客 大兒孔文擧 那復見世間餘子何復道
一四四. 노래삼긴사ᄅᆞᆷ시름도하도할샤닐러다못닐러불러나푸돗ᄃᆞᆫ가眞實로풀릴거시면은나도불러보리라
始作歌者正多愁 言不能盡歌以解 歌可解愁吾亦歌
一四五. 步虛子ᄆᆞᆺ츤後에與民樂을니어ᄒᆞ니羽調界面調에客興이더어셰라아ᄒᆡ야商聲을마라ᄒᆡ져믈가ᄒᆞ노라
步虛子將闋 與民樂繼奏 羽調界面調 客興添 莫彈商聲 恐歲暮
放翁詩餘序
中國之歌 備風雅而登載籍 我國所謂歌者 只足以爲賓筵之娛 用之風雅籍則否焉 盖語音殊也 中華之音 以言爲文我國之音 待譯乃文故 我東非才彦之乏 而如樂府新聲無傳焉 可慨而亦可謂野矣 余旣歸田 世固棄我 而我且倦於世故矣 顧平昔榮顯已糠粃土苴 惟遇物諷詠則 有憑夫下車之病有所會心 輒形詩章而有餘 繼以方言而腔之而記之 以諺此僅下里折楊 無得駱壇一斑而其出於遊戱 或不無可觀 萬歷癸丑長至放翁 書于黔浦田舍
竹所 栗里遺曲 金光煜字晦而號竹所光海時登第官至形曺判書提學
一四六. 陶淵明주근後에ᄯᅩ淵明이나닷말이밤ᄆᆞ을녜일흠이마초와ᄀᆞ틀시고도라와守拙田園이야긔오내오다르랴
一四七. 功名도니젓노라富貴도니젓노라世上번우한일다주어니젓노라내몸을내ᄆᆞ자니즈니ᄂᆞᆷ이아니니즈랴
一四八. 뒷집의술ᄡᆞᆯ을ᄭᅮ니거츤보리말못ᄎᆞ다즈는것마고ᄯᅵ허쥐비저괴아내니여러날주렷ᄃᆞᆫ입이니ᄃᆞ나ᄡᅳ나어이리
一四九. 江山閑雅ᄒᆞᆫ風景다주어맛다이셔내혼자님자여나뉘라셔ᄃᆞ톨소니ᄂᆞᆷ이야숨ᄭᅮ지너긴들ᄂᆞᆫ화볼줄이시랴
一五○. 딜가마조히싯고바회아래ᄉᆡᆷ물기려ᄑᆞᆺ쥭ᄃᆞᆯ게ᄡᅮ고저리지이ᄭᅳ어내니世上에이두마시야ᄂᆞᆷ이알가ᄒᆞ노라
一五一. 어와져白鷗야므슴슈고ᄒᆞᄂᆞ슨다ᄀᆞᆯ숩흐로바자니며고기엇기ᄒᆞᄂᆞᆫ괴야날ᄀᆞᆺ치군ᄆᆞ음업시ᄌᆞᆷ만들며엇더리
一五二. 茅簷기나긴ᄒᆡ에ᄒᆡ올일이아조업어蒲團에낫ᄌᆞᆷ드러夕陽에지자ᄭᆡ니門밧귀뉘ᄋᆞᄒᆞᆷᄒᆞ며낙시가쟈ᄒᆞᄂᆞ니
一五三. 三公이貴타ᄒᆞᆫ들이江山과밧골소냐扁舟에ᄃᆞᆯ을싯고낙대를흣더질제이몸이이淸興가지고萬戶侯인들부르랴
一五四. 秋江ᄇᆞᆯ근ᄃᆞᆯ에一葉舟혼자저어낙대를ᄯᅥᆯ쳐드니자ᄂᆞᆫ白鷗다놀란다어듸셔一聲漁笛은조차興을돕ᄂᆞ니
一五五. 헛글고싯근文書다주어후리치고匹馬秋風에채를쳐도라오니아므리ᄆᆡ인새노히다이대도록싀훤ᄒᆞ랴
一五六. 대막대너를보니有信ᄒᆞ고반갑괴야나니아ᄒᆡᆺ적의너를ᄐᆞ고ᄃᆞᆫ니더이이제란窓뒤혜셧다가날뒤셰고ᄃᆞᆫ녀라
一五七. 世上사ᄅᆞᆷ들이다ᄡᅳ러어리더라죽을줄알면셔놀줄란모로더라우리ᄂᆞᆫ그런줄알모로長日醉로노노라
一五八. 사ᄅᆞᆷ이주근後에다시사니보왓ᄂᆞᆫ다왓노라ᄒᆞ니업고도라와ᄂᆞᆯ보니업다우리는그런줄알모로사라신제노노라
一五九. 黃河水ᄆᆞᆰ단말가聖人이나셔도다草野群賢이다니러나닷말가어즈버江山風月을눌을주고갈소니
一六○. 셰버들柯枝것거낙근고기ᄭᅱ여들고酒家를ᄎᆞ즈려斷橋로건너가니왼골에杏花져ᄡᅡ히니갈길몰라ᄒᆞ노라
一六一. 東風이건듯부러積雪을다노기니四面靑山이녜얼골나노매라귀밋틔ᄒᆡ무근서리ᄂᆞᆫ녹을줄을모른다
一六二. 崔行首ᄡᅮᆨ달힘ᄒᆞ새趙同甲곳달힘ᄒᆞ새ᄃᆞᆯᄧᅵᆷ게ᄧᅵᆷ오려點心날시기소每日에이렁셩굴면므슴시름이시랴
洛西 張晩字好古號洛西 仁祖朝官至二相兵判都元師玉城府院君
一六三. 風波에놀란沙工ᄇᆡᄑᆞ라ᄆᆞᆯ을사니九折羊腸이물도곤어려왜라이後란ᄇᆡ도ᄆᆞᆯ도말고밧갈기만ᄒᆞ리라
湖洲 蔡裕後字伯昌號湖洲 仁祖朝登第選湖堂 典文衡官至吏曺判書
一六四. ᄃᆞ나ᄡᅳ나니濁酒죠코대테메온질병드리더옥죠희어론쟈박구기ᄅᆞᆯ둥지둥둥ᄠᅴ여두고아ᄒᆡ야저리짐칄만졍업다말고내여라
陽坡 鄭太和字囿春號陽坡 仁祖朝登第官至嶺相謚翼憲
一六五. 술을醉케먹고두렷이안자시니億萬시름이가노라下直ᄒᆞᆫ다아ᄒᆡ야盞ᄀᆞ득부어라시ᄅᆞᆷ餞送ᄒᆞ리라
東溟 鄭斗卿字君平號東溟 仁祖朝登魁枓官至禮曺參判提學文章奇拔
一六六. 金樽에ᄀᆞ득ᄒᆞᆫ술을슬커장거후로고醉ᄒᆞᆫ後긴노래에즐거오미그지업다어즈버夕陽이盡타마라ᄃᆞᆯ이조차오노매
一六七. 君平이旣棄世ᄒᆞ니世亦棄君平이醉狂은上之上이오時事는更之更이라다만지淸風明月은간곳마다좃늰다
余 髮未燥已嗜詩 猥爲鄭東溟斗卿所獎愛 甞呼餘爲敬亭山 盖相看不厭之意也 曾於戊申間 抱痾杜門 一日東溟 來問任休窩有後 金相谷得臣 亦繼至皆不期也 餘於是 設小酌 致數三女 樂以娛之 酒半 溟老 乘興擧酌曰 丈夫生世 韶華如電 今朝一懽 可敵萬鐘休窩 即唫一絶曰 春動寒梅臈酒濃 栢翁溟老兩難逢 樽前錦瑟兼淸唱 醉對終南雪後峰 題畢 屬東溟曰 弱者失手 願君以扛鼎力 試於奉匜㓇盥也 東溟曰 蘭亭之會 賦者賦 飮者飮 今日之樂 亦可以歌者歌 舞者舞 吾請歌之仍作短歌 揮手大唱 仍破顏徵笑 素髮朱顏 眞酒中仙也 休窩俾餘和之 餘忘拙效嚬曰淸夜開罇琥珀濃 文章三老一時逢 縱穔筆下千釣力 可倒天臺萬丈峯 諸公皆稱善 洪晩洲錫箕 後之 運倒三杯 携携起栢谷 蹲蹲而舞 東溟 顧餘曰 人生百年 此樂如何 不恨我不見古人恨 古人之不見我也 君其志之 庶使此會 傳之不杇 余並䟽于左 以觀夫失輩寓意遺辭之處耳 豊山後人玄默子洪宇海識
雪峰 姜栢年字叔久號雪峰 仁祖朝登第魁重試 官至行禮曺判書提學
一六八. 靑春에곱던양ᄌᆞ님으뢰야다늙거다이제님이보면날인줄아르실가아모나내形容그려다가님의손ᄃᆡ드리고져
李浣 字淸之 仁祖朝武科至 李廟朝官至右相
一六九. 君山을削評턴들洞庭湖ㅣ너를랏다桂樹ᄅᆞᆯ버히던들ᄃᆞᆯ이더욱ᄇᆞᆯ글거슬ᄠᅳᆺ두고이로지못ᄒᆞ고늙기셜워ᄒᆞ노라
松湖 許珽字仲玉號松湖 李廟朝登第官至承旨
一七○. 日中三足烏ㅣ야가지말고내말드러너희ᄂᆞᆫ反哺鳥ㅣ라鳥中之曾參이로니北堂에鶴髮雙親을더듸늙게ᄒᆞ여라
一七一. 西湖눈진밤의ᄃᆞᆯ빗치낫ᄀᆞᆺᄐᆞᆫ제鶴氅을님의ᄎᆞ고江皐로나려가니蓬海에羽衣仙人을마조본듯ᄒᆞ여라
一七二. 니영이다거두치니울잣신들셩ᄒᆞᆯ소냐불아니다힌房에긴밤어이새오려니아ᄒᆡᄂᆞᆫ世事ᄅᆞᆯ모로고이야지야ᄒᆞᆫ다
最樂堂 朗原君諱侃字和叔號最樂堂 宣祖大王之孫仁與君之子
一七三. 淨友亭도라드러最樂堂閑暇ᄒᆞᆫ듸琴書生涯로樂事ㅣ無窮ᄒᆞ다마ᄂᆞᆫ이밧긔淸風明月이야어ᄂᆡ그지이시리
一七四. 山은잇건마ᄂᆞᆫ물은간듸업다晝夜로흐르니나믄물이이실소냐아마도千年流水ᄂᆞᆫ나도몰라ᄒᆞ노라
一七五. ᄃᆞᆯ은언제나며술은뉘삼긴고劉伶이업슨後에太白이도간듸업다아마도무를듸업스니홀로醉코놀리라
一七六. 이도聖恩이오뎌도聖恩이라모도신公子님ᄂᆡ아ᄂᆞᆫ가모로ᄂᆞᆫ가眞實로이ᄠᅳᆺ을ᄋᆞ라셔同樂太平ᄒᆞ오리라
一七七. 이술이天香酒ㅣ라모다대되슬타마소令辰에醉ᄒᆞᆫ後에解酲杯다시ᄒᆞ새ᄒᆞ믈며聖代를만나아니醉코어이리
一七八. 天寶山ᄂᆞ린물을金谷村에흘려두고玉流堂지은ᄠᅳᆺ을아ᄂᆞᆫ다모로ᄂᆞᆫ다眞實로이ᄠᅳᆺ을알면날인줄을알리라
一七九. 玉流堂죠탓말듯고金谷村에드러가니天寶山下에玉流水ㅅᄲᅮᆫ이로다두어라樂山樂水를알리업서ᄒᆞ노라
一八○. 山아首陽山아伯夷叔齊어듸가니萬古淸節을두고간줄뉘아ᄃᆞ니어즈버堯天舜日이야親히본가ᄒᆞ노라
一八一. 太公의釣魚臺를계유구러ᄎᆞ자가니江山도그지업고志槩도새로왜라眞實로萬古英風을다시본듯하여라
一八二. 灤河水도라드니師尙父의釣磯로다渭水風煙이야古今에다를소냐어즈버玉璜畢事를親히본듯ᄒᆞ여라
一八三. 首陽山ᄂᆞ린물이釣魚臺로가다ᄒᆞ니太公이낙던고기나도낙가보련마ᄂᆞᆫ그고기至今히업스니물동말동ᄒᆞ여라
右三首釣魚臺和孝廟御製
一八四. 日月도녜과ᄀᆞᆺ고山川도依舊ᄒᆞ되大明大物은쇼졀업시간듸업다두어라天運이循環ᄒᆞ니다시볼가ᄒᆞ노라
一八五. 笛童을아픠셰고楓嶽을ᄎᆞ자오니神仙은어듸가고鶴巢만나만ᄂᆞᆫ고아므나赤松子만나든날왓더러닐러라
一八六. 平生에일이업서山水間에노니다가江湖에님자되니世上일다니제라엇더타江山風月이긔벗인가ᄒᆞ노라
一八七. 天恩이ᄀᆞ이업서代마다덥혀두고太平聖世에가플일이어려왜라두어라爲國忠心을永世不忘ᄒᆞ오리라
一八八. 石上에自枯桐을석자만버혀내면一張玄琴이自然이되련마ᄂᆞᆫ아마도高山流水를알리업서ᄒᆞ노라
一八九. 솔아심긴솔아네어이심겻ᄂᆞᆫ다遲遲澗畔을어듸두고예와셧ᄂᆞᆫ眞實로鬱鬱ᄒᆞᆫ晩翠를알리업서ᄒᆞ노라
一九○. ᄒᆡ져어돕거ᄂᆞᆯ밤즁만너겻더니덧업시ᄇᆞᆯ가지니새날이되야긔야歲月이流水ᄀᆞ트니늙기셜워ᄒᆞ노라
一九一. 제分죠흔줄을ᄆᆞ음에定ᄒᆞᆫ後에功名富貴로草屋을밧골손가世俗에버서난後ㅣ면自行自處ᄒᆞ리라
一九二. 天理ᄅᆞᆯ알쟉시면天道ㅣ라타뉘모르리忠孝大義ᄂᆞᆫ修身에ᄃᆞᆯ년ᄂᆞ니事業을節義로行ᄒᆞ면긔올흔가ᄒᆞ노라
一九三. 德으로일삼으면제分일줄제모로며懲忿을져버보면窒慾인들뉘모로리學文을보뵈로아라야去取適中ᄒᆞ리라
一九四. 말슴을ᄀᆞᆯ희여내면결을일이바히업고無逸을죠하ᄒᆞ면貧慾인들이실소냐一毫ㅣ나밧긔일ᄒᆞ면헷工夫인가ᄒᆞ노라
一九五. 어져내말듯소君子工夫다ᄒᆞᆫ後에死生을뉘알관ᄃᆡ老少로ᄃᆞ톨손가그려도餘日이이시니學文이나ᄒᆞ리라
一九六. 사람이삼긴後에天性을가져이셔善惡을分別ᄒᆞ면孔孟인들부를소냐이밧긔說話만ᄒᆞ니그를몰라ᄒᆞ노라
一九七. 어버이날나흐셔어질과쟈길러내니이두分아니시면내몸나셔어질소냐아마도至極ᄒᆞᆫ恩德을못내가파ᄒᆞ노라
一九八. 우리몸갈라난들두몸이라아지마소分形連氣ᄒᆞ니이니론兄弟니라兄弟아이ᄠᅳᆺ을아라自友自恭ᄒᆞ쟈스라
一九九. 男女有別ᄒᆞᆫ줄사ᄅᆞᆷ마다알년마ᄂᆞᆫ學文을모로면알기아니어려온랴眞實로國法이이시니無別無行ᄒᆞ지마라
二○○. 져무니어룬뫼셔간듸마다ᄎᆞ례곳알면無知ᄒᆞᆫ愚氓들도아니아지못ᄒᆞ려니ᄒᆞ믈며人倫을알려ᄒᆞ면이아니코어이리
二○一. ᄂᆞᆷ으로셔親ᄒᆞᆫ사ᄅᆞᆷ벗이라닐러시니有信곳아니ᄒᆞ면사괼줄이이실소냐우리ᄂᆞᆫ어진벗아라셔責善을바다보리라
二○二. 鄕黨은禮ᄇᆞ르니어ᄂᆡ사ᄅᆞᆷ無禮ᄒᆞ리無知ᄒᆞᆫ少年들이年齒를제몰라도그러나人形을가져시니ᄇᆡ화알가ᄒᆞ노라
余一日 謁 王孫朗原公於最樂堂中 公 授一小冊子 名永言者 曰此吾平日家居行役之際 叙懷面寄興 私自收錄者 子其爲我評焉 余謹受而退 三復而諷誦 槩絶無芬華場流蕩鄙俚之作 而其得於跌宕山水之間者 爲獨多且愛君啚報之 願與勑身自警之意 輒於是而發之 凡數十有餘闋也 余素不能爲此 其音調節族之盡合於格與否 固未可知也 而試就其得於山水之間者 言之 實幽遠閑放 有緱嶺淮南之遺 思 至如感祝啚報之詠則忠愛之誠 又藹然溢於辭表 而所謂自警之語 亦嚴正切實 凛然若有道者言 要之皆可歌而傳也 夫歌者 詩之類也 是以 古者里巷風謠 如田畯野夫之詞 亦得徹於陳詩之列 或被以管絃 用之鄕黨邦國 而爲感發興起之資焉 其不可廢也 亦審矣 嗟乎 公 以天潢貴介 主上 方待以尊屬 位遇甚隆 子姓繁昌 金犀貂玉輝映於階庭 其福履之盛 世盖比之於漢萬石君然公又小心畏愼 孜孜焉 躬布一素儒雅之行而言之出於情性之正者 又如此 其可貴重也 豈止如里卷田畯野夫之詞而惜乎 我朝無採謠之擧 不免爲巾笥之藏也 雖然 使世之人 得此卷而讀之 詠嘆淫液之餘 其榮利塵氛之累 豈不少瘳乎 而愛君勑身之念 亦必有不能己者矣 公 其勿秘惜之也 歲在丁丑初春 姪延安李賀朝謹書
藥泉 南九萬字雲路號藥泉 李廟朝登第官至領相奉朝賀
二○三. 東窓이ᄇᆞᆯ갓ᄂᆞ냐노고지리우지진다쇼칠아ᄒᆡᄂᆞᆫ여태아니니러ᄂᆞ냐재너머ᄉᆞ래긴밧츨언제갈려ᄒᆞᄂᆞ니
柳赫然 肅宗朝武科至大將
二○四. ᄃᆞᆺᄂᆞᆫᄆᆞᆯ셔셔늙고드ᄂᆞᆫ칼보뫼거다無情歲月은白髮을ᄌᆡ촉ᄒᆞ니聖主의累世鴻恩을못가플가ᄒᆞ노라
定齋 朴泰輔字士元號定齋 肅宗朝登第官至應敎己巳三臣
二○五. 胸中에불이나니五臓이다ᄐᆞ간다神農氏ᄭᅮᆷ에보와불ᄭᅳᆯ藥무러보니忠節과慷慨로난불이니ᄭᅳᆯ藥업다ᄒᆞᄃᆞ라
逸老堂
二○六. 公庭에吏退ᄒᆞ고ᄒᆞᆯ일이아조업서扁舟에술을싯고侍中臺ᄎᆞ자가니蘆花에수만흔ᄀᆞᆯ며기는제벗인가ᄒᆞᄃᆞ라
二○七. 술ᄭᆡ야니러안자거믄고를戯弄ᄒᆞ니窓밧긔셧ᄂᆞᆫ鶴이즐겨서넘ᄂᆞᄂᆞᆫ다아ᄒᆡ야나믄술부어라興이다시오노ᄆᆡ라
二○八. 좌내집의술직거든부듸날부르시소내집의곳픠여든나도좌내請ᄒᆡ옴ᄉᆡ百年ᄯᅥᆺ시ᄅᆞᆷ니즐일을議論코져ᄒᆞ노라
石郊
二○九. 거믄고술ᄭᅩ자노코호졋이낫ᄌᆞᆷ든제柴門犬吠聲에반가온벗오도괴야아ᄒᆡ야點心도ᄒᆞ려니와외자濁酒내여라
二一○. 자나믄보라매를엇그제ᄀᆞᆺ손ᄯᅥ혀ᄲᅢ짓체방올ᄃᆞ라夕陽애밧고나니丈夫의平生得意ᄂᆞᆫ잇분인가ᄒᆞ노라
二一一. 벼슬을저마다ᄒᆞ면農夫ᄒᆞ리뉘이시며醫員이病고치면北邙山이져려ᄒᆞ랴아ᄒᆡ야盞ᄀᆞ특부어라내ᄠᅳᆺ대로하리라
石湖
二一二. 벼슬이貴타ᄒᆞᆫ들이내몸에비길소냐蹇驢ᄅᆞᆯ밧비모라故山으로도라오니어듸셔急ᄒᆞᆫ비ᄒᆞᆫ줄기에出塵行裝시서고
二一三. 諫死ᄒᆞᆫ朴坡州ㅣ야주그라셜워마라三百年綱常을네혼자붓들거다우리의聖君不遠復이네죽긴가ᄒᆞ노라
光齋
二一四. 사ᄅᆞᆷ이삼겨나셔皐陶稷契못될지면千古往牒에ᄯᅩ눌을부러ᄒᆞ리五湖에扁舟烟月이明哲인가ᄒᆞ노라
二一五. 金壇이雄豪ᄒᆞ고黃閣이尊重ᄒᆞᆫ들功業이蕭條ᄒᆞ여富貴만ᄒᆞ량이면ᄎᆞᆯ하리靑山綠水에逸民이나되오리라
== 列聖御製 ==
太宗
二一六. 이런들엇더ᄒᆞ며져런들엇더ᄒᆞ료萬壽山드렁츩이얼거진들엇더ᄒᆞ리우리도이ᄀᆞᆺ치얼거져百年ᄭᆞ지누리리라
孝宗
二一七. 靑石嶺지나거냐草河口ㅣ어듸ᄆᆡ오胡風도ᄎᆞᆷ도ᄎᆞᆯ샤구즌비ᄂᆞᆫ무스일고아므나行色그려내여님계신듸드리고쟈
二一八. 朝天路보뫼닷말가玉河舘이뷔닷말가大明崇禎이어드러로가시건고三百年事大誠信이ᄭᅮᆷ이런가ᄒᆞ노라
二一九. 앗가야사ᄅᆞᆷ되랴온몸에짓치도쳐九萬里長天에프드득소사올라님계신九重宮闕을구버볼가ᄒᆞ노라
肅宗
二二○. 秋水ᄂᆞᆫ天一色이오龍舸ᄂᆞᆫ泛中流ㅣ라簫鼓一聲에解萬古之愁兮로다우리도萬民ᄃᆞ리고同樂太平ᄒᆞ리라
== 閭巷六人 ==
張鉉
二二一. 鴨綠江ᄒᆡ진後에에엿분우리님이燕雲萬里ᄅᆞᆯ어듸라고가시ᄂᆞᆫ고봄풀이프르고프르거든卽時도라오쇼셔
朱義植
二二二. 하ᄂᆞᆯ이놉다ᄒᆞ고발져겨셔지말며ᄯᅡ히두텁다고ᄆᆞ이ᄇᆞᆲ지마롤거시하ᄂᆞᆯᄯᅡ놉고두터워도내조심을ᄒᆞ리라
二二三. 窓밧긔아ᄒᆡ와셔오ᄂᆞᆯ이새ᄒᆡ오커ᄂᆞᆯ東窓을열처보니녜돗ᄃᆞᆫᄒᆡ도닷다아ᄒᆡ야萬古ᄒᆞᆫᄒᆡ니後天에와닐러라
二二四. 말하면雜類라ᄒᆞ고말아니면어리다ᄒᆞᄂᆡ貧寒을ᄂᆞᆷ이웃고富貴를새오ᄂᆞᆫ듸아마도이하ᄂᆞᆯ아레사롤일이어려왜라
二二五. 늙고病든몸이가다가아므듸나절로소슨뫼헤손조밧가로리라結實이언매리마ᄂᆞᆫ連命이나ᄒᆞ리라
二二六. 荊山에璞玉을어더世上사ᄅᆞᆷ뵈라가니것치돌이여니속알리뉘이시리두어라알닌들업스랴돌인드시잇거라
二二七. 人生을혜여ᄒᆞ니ᄒᆞᆫ바탕ᄭᅮᆷ이로다죠흔일구즌일ᄭᅮᆷ속에ᄭᅮᆷ이여니두어라ᄭᅮᆷᄀᆞᆺ튼人生이아니놀고어이리
二二八. 주려주그려ᄒᆞ고首陽山에드럿거니헌마고사리ᄅᆞᆯ머그려ᄏᆡ야시랴物性이구븐줄믜워펴보려고ᄏᆡ미라
二二九. 屈原忠魂ᄇᆡ에너흔고기采石江등에언ᄭᅩᄒᆞᄂᆞᆯ우회올ᄂᆞ시니에제ᄂᆞᆫ새고기낫거니낙가ᄉᆞᆷ다엇더리
二三○. 忠臣의속ᄆᆞ음을그님금이모로므로九原千載에다스러ᄒᆞ려니와比干은ᄆᆞ음을뵈야시니므슴恨이이시리
二三一. 唐虞도죠커니와夏商周ㅣ더옥죠희이제를혜여ᄒᆞ니어ᄂᆡ적만ᄒᆞᆫ거이고堯天에舜日이ᄇᆞᆯ가시니아모젠줄몰래라
余甞得見失公道源所製 新飜一二闋 惟恨未得其全調也 一日 卞君和叔 爲我得全篇以眎之 余三復遍閱 其辭正大 其旨微婉 皆發乎情而實有風雅之遺韵 使古之觀民風者采之 其亦得徹於陳詩之列矣 盖玩其詞而想其人 必非烟火中人也 噫公 非徒能於此也 持身恭儉 處心恬靜 逡逡有君子之風焉 歲戊申夏五月上澣 南坡老圃書
金三賢
二三二. 늙기셜은줄을모로고나늘것ᄂᆞᆫ가春光이덧이업서白髮이절로낫다그러나少年ᄶᅧᆨᄆᆞ음은감ᄒᆞᆫ일이업세라
二三三. 綠楊春三月을자바ᄆᆡ야둘거시면셴머리ᄲᅩ바내여ᄎᆞᆫᄎᆞᆫ동혀두련마ᄂᆞᆫ올ᄒᆡ도그리못ᄒᆞ고그저노화보내거다
二三四. 松壇에선ᄌᆞᆷᄭᆡ야醉眼을드러보니夕陽浦口에나드ᄂᆞ니白鷗ㅣ로다어즈버이江山風景이야어ᄂᆡ그지이시리
二三五. 功名을즐겨마라榮辱이半이로다富貴ᄅᆞᆯ貪치마라危機를ᄇᆞᆲᄂᆞ니라우리ᄂᆞᆫ一身이閑暇커니두려온일업세라
二三六. 크나큰바회우희네사ᄅᆞᆷ이閑暇롭다紫芝歌ᄒᆞᆫ曲調ᄅᆞᆯ오ᄂᆞᆯ이야드를런가이後ᄂᆞᆫ나ᄒᆞ나더ᄒᆞ니五皓ㅣ될가ᄒᆞ노라
二三七. 내精靈술에섯겨님의속에흘러드러九回肝腸을다ᄎᆞ자ᄃᆞᆫ닐만졍날닛고ᄂᆞᆷ向ᄒᆞᆫᄆᆞ음을다스로려ᄒᆞ노라
漁隱
二三八. 江湖에ᄇᆞ린몸이白鷗와벗이되야漁艇을흘리노코玉簫를노피부니아마도世上興味ᄂᆞᆫ잇분인가ᄒᆞ노라
二三九. 겨월이다지나고봄節이도라오니萬壑千峰에프른빗치새로왜라아ᄒᆡ야江湖에ᄇᆡᄯᅴ오고낙대推尋ᄒᆞ여라
二四○. 이몸이ᄒᆞᆯ일업서西湖ᄅᆞᆯᄎᆞ자가니白沙淸江에ᄂᆞ니ᄂᆞ니白鷗ㅣ로다어듸셔漁歌一曲이이내興을돕ᄂᆞ니
二四一. 寥花에ᄌᆞᆷ든白鷗선ᄌᆞᆷᄭᆡ야ᄂᆞ지마라나도일업서江湖客이되엿노라이後ᄂᆞᆫᄎᆞ즈리업스니너를조차놀리라
二四二. 塵埃에무친分ᄂᆡ이내말드러보소富貴功名이됴타도ᄒᆞ려니와갑업슨江山風景이긔죠흔ᄒᆞ노라
二四三. 紅塵을다ᄯᅥᆯ치고竹杖芒鞋집고신고玄琴을두러메고洞天으로드러가니어듸셔ᄧᅡᆨ을흔鶴唳聲이구룸밧긔들린다
二四四. 玉盆에심근梅花ᄒᆞᆫ柯枝것거내니곳도됴커니와暗香이더옥죠타두어라것근곳이니ᄇᆞ릴줄이이시랴
二四五. 구레버슨千里馬를뉘라셔자바다가조쥭ᄉᆞᆯ믄콩을ᄉᆞᆯ지게머겨둔들本性이왜양ᄒᆞ거니이실줄이이시랴
余甞癖於歌 裒集 國朝以來名人里巷之作 獨漁隱金聖器之譜 往往傳誦 而知其全譜者鮮故 廣求而莫之得 心常恨焉 乃者遇西湖金君重呂於文郁哉許君卽漁隱知己也 余謂之曰 子甞從漁隱 其所謂永言 想多記藏者 爲我示諸曰吾與漁隱 十數年 同遊江湖 其平日叙懷寓興者 盡記而有之 其中多有油然感人者 聾俗不知故 藏諸巾笥 以待好事者久矣 子言如是 玆曲 將行于世也 遂歸其全篇 三復諷詠 其得於跌宕山水之趣者 自見於辭語之表 飄飄然有遐擧物外之意矣 盖漁隱 逍遙天地間一閑人也 凡於音律 莫不妙悟 性好江山 構屋于西江之上 號漁隱 晴朝月夕 或拊琴坐柳磯 或吹簫弄烟波 狎鷗而忘機 觀魚而知樂 以自放於形骸之外 此其所以自適其適 而善鳴於歌曲者歟。 歲戊申暮春旣望 南波老圃書
金裕器
二四六. 내몸에病이만하世上에ᄇᆞ리이여是非榮辱을오로다니저마ᄂᆞᆫ다만지淸閑一癖이매부르기죠해라
二四七. 丈夫로삼겨나셔立身揚名못ᄒᆞᆯ지면ᄎᆞᆯ하리ᄯᅥᆯ치고일업시늘그리라이밧긔碌碌ᄒᆞᆫ營爲에걸릴길줄이시랴
二四八. 百歲를닷못사라七八十만살지라도벗고굼지말고病업시누리다가有子코有孫ᄒᆞ오면긔願인가ᄒᆞ노라
二四九. 春風桃李花들아고온양ᄌᆞ쟈랑말고長松綠竹을歲寒에보려므나亭亭코落落한節을고칠줄이이시랴
二五○. 唐虞ᄂᆞᆫ언제時節孔孟은뉘시런고淳風禮樂이戰國이되야시니이몸이서근션븨로擊節悲歌ᄒᆞ노라
二五一. 泰山에올라안자四海를구버보니天地四方이훤츨도ᄒᆞ져이고丈夫의浩然之氣를오ᄂᆞᆯ이야알괘라
二五二. 不忠不孝ᄒᆞ고罪만흔이내몸이苟苟히사라이셔ᄒᆡ온일업거니와그러나太平聖代에늙기셜워ᄒᆞ오라
二五三. 오ᄂᆞᆯ은川獵ᄒᆞ고來日은山行가ᄉᆡ곳다림모릐ᄒᆞ고降神으란글픠ᄒᆞ리그글픠邊射會ᄒᆞᆯ제各持壺果ᄒᆞ시소
二五四. 蘭干에지혀안자玉笛을빗기부니五月江城에흣듯ᄂᆞ니梅花ㅣ로다ᄒᆞᆫ曲調舜琴에섯거百工相和ᄒᆞ리라
二五五. 景星出慶雲興ᄒᆞ니日月이光華ㅣ로다三王禮樂이오五帝ㅣ文物이로다四海로太平酒비저萬姓同醉ᄒᆞ리라
金君 大哉 以善歌 鳴於世 曾於丙申間 余甞造其門 叩其篋 得一編 開卷而閱之 乃自家所爲新飜也 仍要余訂正 余曰 觀其詞 說盡情境 諧合音律 信樂譜之絶調也 以余不才 奚容贅焉 遂相與問答而歸 一二年間 已成陳迹 曺子建存沒之感 至是極矣 余於是掇拾其遺曲 以布于世 傳之不朽也 歲戊申暮春旣望 南波老圃書
南坡
二五六. 榮辱이並行ᄒᆞ니富貴도不關ᄐᆞ라第一江山에내혼자님자되야夕陽에낙싯대두러메고오명가명ᄒᆞ리라
二五七. 白鷗ㅣ야말무러보쟈놀라지마라스라名區勝地ᄅᆞᆯ어듸어듸ᄇᆞ렷ᄃᆞ니날ᄃᆞ려仔細히닐러든네와게가놀리라
二五八. 蘆花기픈곳에落霞를빗기ᄯᅴ고三三五五히섯거노ᄂᆞᆫ져白鷗ㅣ야므서세ᄌᆞᆷ챡ᄒᆞ엿관ᄃᆡ날온줄을모로ᄂᆞ니
二五九. 南山ᄂᆞ린골에五穀을ᄀᆞ초심거먹고못나마도긋지나아니ᄒᆞ면그밧긔녀나믄富貴야ᄇᆞ랄줄이이시랴
二六○. 울밋陽地ㅅ편에외ᄡᅵ를ᄲᅧ허두고ᄆᆡ거니붓도도와빗김에달화내니어즈버東陵瓜地ᄂᆞᆫ예야긘가ᄒᆞ노라
二六一. 田園에나믄興을전나귀에모도싯고溪山니근길로흥치며도라와셔아ᄒᆡ琴書를다스려라나믄ᄒᆡ를보내리라
二六二. 雲霄에오로젼들ᄂᆞ래업시어이ᄒᆞ며蓬島로가쟈ᄒᆞ니舟楫을어이ᄒᆞ리山林에主人되야이世界를니즈리라
二六三. 知足이면不辱이오知止면不殆라ᄒᆞ니功成名遂ᄒᆞ면마ᄂᆞᆫ거시긔올흐니어즈버宦海諸君子ᄂᆞᆫ모다조심ᄒᆞ시소
二六四. 綠駬霜蹄櫪上에셔늙고龍泉雪鍔匣裏에운다丈夫의혜온ᄠᅳᆺ을쇽졀업시못이로고귀밋테흰털이ᄂᆞᆯ니니글을셜워ᄒᆞ노라
二六五. 長劍을ᄲᅡ혀들고다시안자혜아리니胸中에머근ᄠᅳᆺ이邯鄲步ㅣ되야괴야두어라이ᄯᅩ한命이여니닐러므슴ᄒᆞ리오
二六六. 生前에富貴키는一杯酒만ᄒᆞᆫ것업고死後風流ᄂᆞᆫ陌上花ᄲᅮᆫ이여니므스일이죠흔聖世에아니醉코어이리
二六七. 내부어勸ᄒᆞᄂᆞᆫ盞을덜머그려辭讓마소花開鶯啼ᄒᆞ니이아니됴흔ᄯᅢᆫ가엇더타明年看花伴이눌과될줄알리오
二六八. ᄒᆞᆫᄃᆞᆯ셜흔날에醉ᄒᆞᆯ날이몃날이리盞자븐날이야眞實로내날이라그날곳지나간後ㅣ면뉘집날이될줄알리
二六九. 사ᄅᆞᆷ이ᄒᆞᆫ번늘근後에다시져머보ᄂᆞᆫ것가更少年ᄒᆞ닷말이千萬古에업슨말이우리ᄂᆞᆫ그런줄알므로ᄆᆡ양醉코노노라
二七○. 人生을혜아리니아마도늣거웨라旅逆光陰에시름이半이여니므스일몃百年살리라아니놀고어이리
二七一. 世上사ᄅᆞᆷ들아이내말드러보소靑春이ᄆᆡ양이며白髮이검ᄂᆞᆫ것가엇더타有限ᄒᆞᆫ人生이아니놀고어이리
二七二. 梅窓에月上ᄒᆞ고竹逕에風淸ᄒᆞᆫ제素琴을빗기안고두세曲調흣ᄐᆞ다가醉ᄒᆞ고花塢에져이셔夢羲皇을ᄒᆞ놋다
二七三. 午睡를느지ᄭᆡ야醉眼을여러보니밤비에ᄀᆞᆺ픤곳이暗香을보내ᄂᆞ다아마도山家에ᄆᆞᆯ근맛시이죠흔가ᄒᆞ노라
二七四. 泰山에올라안자天下를두로보니世路ㅣ多岐ᄒᆞ여어이져리머흔게고阮籍이이러ᄒᆞᆷ으로窮途哭을ᄒᆞ닷다
二七五. 堯日月舜乾坤은녜대로잇거마ᄂᆞᆫ世上人事ᄂᆞᆫ어이져리달란ᄂᆞᆫ고이몸이느저난줄을못내슬허ᄒᆞ노라
二七六. 人間번우한일을다주어후리치고康衢烟月에일업시노닐며셔어즈버聖化千載애이러구러지내리라
二七七. 尼山에降彩ᄒᆞ샤大聖人을내오시니繼往聖開來學에德業도노프실샤아마도群聖中集大成은夫子ㅣ신가ᄒᆞ노라
二七八. 遏人慾存天理ᄂᆞᆫ秋天에氣象이오知言養氣ᄂᆞᆫ古今에긔뉘런고아마도擴前聖所未發은孟軻ㅣ신가ᄒᆞ노라
二七九. 杜拾遺의忠君愛國이日月로爭光ᄒᆞᆯ로다間關劒閣에ᄠᅳᆺ둘듸젼혀업서어즈버無限丹衷을一部詩에부치도다
二八○. 岳鵬擧의一生肝膽이석지아닌忠孝ㅣ로다背上四字ᄂᆞᆫ무어시라ᄒᆞ엿ᄃᆞᆫ고南枝上一片宋日이耿耿丹衷에비최엿다
二八一. 北扉下져믄날에에엿불슨文天祥이여八年燕霜에검ᄃᆞᆫ머리다희거다至今히從容就死를못내슬허ᄒᆞ노라
二八二. 沃野千里긴담안헤阿房宮을노피짓고當年에어린ᄠᅳᆺ은萬歲計를ᄒᆞ려ᄐᆞ니어ᄂᆡ덧陳迹이되도다긔뉘타슬사므리
二八三. 莊生의ᄒᆞᄂᆞᆫ일이아마도多事ᄒᆞ다斥鷃大鵬을비겨므슴ᄒᆞ렷ᄐᆞᆫ고두어라物之不齊를견훌줄이이시랴
二八四. 賀季眞의鏡湖水ᄂᆞᆫ榮寵으로어덧거니비록말고젼들므슴핑계ᄒᆞ려니오엇더타내의이江山은걸닌곳업세라
二八五. 叩馬諫不聽커ᄂᆞᆯ首陽山에드러가셔周粟을아니먹고ᄆᆞ츰내餓死키ᄂᆞᆫ千秋에賊子의ᄆᆞ음을것거보려홈이라
金君履叔 以善唱 名國中 一洗下里之陋 而能自爲新聲 瀏喨可聽 又製新曲數十闋 以傳於世 少年習而唱之余觀其詞 皆艶麗有理致 音調節腔 淸濁高下 自叶於律 可與松江公新飜 後先方駕矣 履叔 非特能於歌 亦見其能於文也 嗚呼 使今之世 有善觀風者 必采是詞而列於樂官 用之鄕人 用之邦國 不但爲里巷歌謠而止爾 奈何徒使履叔 爲燕趙悲慨之音 以鳴其不平也 且是歌也 多引江湖山林放浪隱遯之語 反覆嗟歎而不已 其亦衰世之意歟 歲戊申暮春 黑窩書
== 閨秀三人 ==
黃眞
二八六. 靑山裏碧溪水ㅣ야수이감을쟈랑마라一到滄海ᄒᆞ면도라오기어려오니明月이滿空山ᄒᆞ니수여간들엇더리
二八七. 冬至ㅅᄃᆞᆯ기나긴밤을한허리를버혀내여春風니불아레서리서리너헛다가어론님오신날밤이여든구뷔구뷔펴리라
二八八. 내언제無信ᄒᆞ여님을언제소겻관ᄃᆡ月沉三更에온ᄠᅳᆺ이젼혀업ᄂᆡ秋風에지ᄂᆞᆫ닙소릐야낸들어이ᄒᆞ리오
小栢舟
二八九. 相公을뵈온後에事事를밋ᄌᆞ오매拙直ᄒᆞᆫᄆᆞ음에病들가念慮ㅣ러니이리마져리챠ᄒᆞ시니百年同抱ᄒᆞ리이다
梅花
二九○. 梅花녯등걸에봄졀이도라오니녜퓌던柯枝에픠염즉도ᄒᆞ다마ᄂᆞᆫ春雪이亂紛紛ᄒᆞ니픨동말동ᄒᆞ여라
== 年代缺考 ==
林晋
二九一. 활지어ᄑᆞᆯ헤걸고칼ᄀᆞ라녀폐ᄎᆞ고鐵瓮城邊에筒盖볘고누어시니보완다보괴라솔의에ᄌᆞᆷ못드러ᄒᆞ노라
李仲集
二九二. 뉘라셔날늙다ᄂᆞᆫ고늘근이도이러ᄒᆞᆫ가곳보면반갑고盞보면우음난다春風에흣ᄂᆞᄂᆞᆫ白髮이야낸들어이ᄒᆞ리오
西湖主人 茂豊正 摠
二九三. 이몸이ᄡᅳᆯ듸업서世上이ᄇᆞ리오매西湖녯집을다시ᄡᅳᆯ고누어시니一身이閑暇ᄒᆞᆯᄧᅵ나님못뵈와ᄒᆞ노라
我東 自麗季 至 國朝名公碩士及閭巷閨秀之作 爲永言以傳於世者 皆錄而其間 雖不以絶作 鳴若聞人則 皆記之 雖其人不足取也 其永言可觀則 亦取有記之云爾
== 無名氏 ==
二九四. 나의님向ᄒᆞᆫᄠᅳᆺ이주근後ㅣ면엇더ᄒᆞᆯ지桑田이變ᄒᆞ여碧海ᄂᆞᆫ되려니와님向ᄒᆞᆫ一片丹心이야가싈줄이이시랴 *이총
二九五. 가마귀눈비마자희ᄂᆞᆫ듯검노ᄆᆡ라夜光明月이밤인들어두오랴님向ᄒᆞᆫ一片丹心이야고칠줄이이시랴 *박팽년
二九六. 간밤의우던여흘슬피우러지내여다이제야ᄉᆡᆼ각ᄒᆞ니님이우러보내도다져물이거스리흐로고져나도우러녜리라 *원호
二九七. 늙고病든몸이北向ᄒᆞ여우니노라님向ᄒᆞᆫᄆᆞ음을뉘아니두리마ᄂᆞᆫᄃᆞᆯᄇᆞᆯ고밤긴적이면나ᄲᅮᆫ인가ᄒᆞ노라 *송시열
右戀君
二九八. 님이혜오시매나ᄂᆞᆫ젼혀미덧ᄃᆞ니날ᄉᆞ랑ᄒᆞ던情을뉘손ᄃᆡ옴기신고처음에믜시던거시면이대도록셜오랴
二九九. 어제감던머리현마오ᄂᆞᆯ다셸소냐鏡裏衰容이이어인늘그니오님계셔뉜다ᄒᆞ셔든내긔로라ᄒᆞ리라
三○○. 이리혜고져리혜니쇽졀업슨혬만만희業구즌人生이살고져사란ᄂᆞᆫ가至今히사라잇기ᄂᆞᆫ님을보려ᄒᆞᆷ이라
右譴謫
三○一. 靑山아웃지마라白雲아譏弄마라白髮紅塵에내즐겨ᄃᆞᆫ니더냐聖恩이至重ᄒᆞ시니갑고가려ᄒᆞ노라 *정구
三○二. 故園花竹들아우리를웃지마라林泉舊約이야니즌적이업건마ᄂᆞᆫ聖恩이至重ᄒᆞ시니갑고가려ᄒᆞ노라
右報効
三○三. 江湖에봄이드니이몸이일이하다나ᄂᆞᆫ그믈깁고아ᄒᆡᄂᆞᆫ밧츨가니뒷뫼헤엄기ᄂᆞᆫ藥을언제ᄏᆡ랴ᄒᆞᄂᆞ니 *황희 / 김굉필
三○四. 冊덥고窓을여니江湖에ᄇᆡᄯᅥ잇다往來白鷗ᄂᆞᆫ무슴ᄠᅳᆺ머것ᄂᆞᆫ고앗구려功名도말고너ᄅᆞᆯ조차놀리라 *정온
三○五. 池塘에비ᄲᅮ리고楊柳에ᄂᆡᄭᅵ인제沙工은어듸가고뷘ᄇᆡ만ᄆᆡ엿ᄂᆞᆫ고夕陽에ᄧᅡᆨ일흔ᄀᆞᆯ며기ᄂᆞᆫ오락가락ᄒᆞ노매 *조헌
三○六. 졋소릐반겨듯고竹窓을밧비여니細雨長堤에쇠등에아ᄒᆡ로다아ᄒᆡ야江湖에봄들거다낙대推尋ᄒᆞ여라
三○七. 아ᄒᆡ야그믈내여漁舡에시러노코달괸술막걸리酒樽에다마두고어즈버ᄇᆡ아직노치마라ᄃᆞᆯ기드려가리라
三○八. 秋江에밤이드니물결이ᄎᆞ노ᄆᆡ라낙시드리치니고기아니무노ᄆᆡ라無心ᄒᆞᆫᄃᆞᆯ빗만싯고뷘ᄇᆡ저어오노라 *월산대군
三○九. 우ᄂᆞᆫ거슨버국이가프른거슨버들숩가漁村두세집이ᄂᆡᆺ속에날락들락夕陽에款乃聲듯거든더옥無心ᄒᆞ여라 *윤선도 (어부사시사)
右江湖
三一○. 功名富貴과란世上사ᄅᆞᆷ맛져두고말업슨江山에일업시누어시니봄비에절로난山菜긔分인가ᄒᆞ노라
三一一. 말업슨靑山이오態업슨流水로다王喬赤松外에날알니업것마ᄂᆞᆫ어듸셔망녕엣겨슨오라말라ᄒᆞᄂᆞ니
三一二. 淸凉山六六峰을아ᄂᆞ니나와白鷗白鷗ㅣ야헌ᄉᆞᄒᆞ랴못미들슨桃花ㅣ로다桃花ㅣ야ᄯᅥ나지마라漁舟子ㅣ알가ᄒᆞ노라 *이황
右山林
三一三. 時節이太平토다이몸이閑暇커니竹林프른곳에午鷄聲아니런들기피든一場華胥夢을어ᄂᆡ벗이ᄭᆡ오리 *성혼
三一四. 아ᄒᆡᄂᆞᆫ藥ᄏᆡ라가고竹亭은뷔엿ᄂᆞᆫ듸흐터진바독을뉘주어다믈소니醉ᄒᆞ고松下에져셔니節가ᄂᆞᆫ줄몰래라
右閑適
三一五. 목불근山上雉와홰에안즌松骨이와집압논무살미에고기엇ᄂᆞᆫ白鷺ㅣ로다草堂에너희곳아니면날보내기어려왜라
三一六. ᄯᅴ업슨손이오나늘갓버슨主人이나셔여나모亭子에박將碁버려노코아ᄒᆡ야濁酒걸러라외안ᄌᆔᆫ들못머그랴
三一七. 새벽비일갠날에닐거스라아ᄒᆡ들아뒷뫼헤고사리ᄒᆞ마아니ᄌᆞ라시랴오ᄂᆞᆯ은일것거오ᄂᆞ라새술안쥬ᄒᆞ리라 *적성군
三一八. 還上도ᄐᆞ와잇고小川魚도어더잇고비즌술새로닉고뫼헤ᄃᆞᆯ이ᄇᆞᆯ가셰라곳픠고거믄고이시니벗請ᄒᆞ여놀리라
三一九. 집方席내지마라落葉엔들못안즈랴솔불혀지마라어제진ᄃᆞᆯ도다온다아ᄒᆡ야濁酒山菜ᅟᅵᆯ만졍업다말고내여라 *한호
右野趣
三二○. 世上이말하거ᄂᆞᆯᄯᅥᆯ치고드러가니一頃荒田과八百桑株ᄲᅮᆫ이로다生利야不足다마ᄂᆞᆫ시름업서ᄒᆞ노라
三二一. 忠誠이첫ᄠᅳᆺ이러니님으뢰야마롼졔고두어라엇지ᄒᆞ리天分이그러커니ᄎᆞᆯ하리江湖에主人되야이世界를니즈리라
右隱遯
三二二. 비오ᄂᆞᆫ날들에가랴사립닷고쇼머겨라마히ᄆᆡ양이랴장기연장다스려라쉬다가개ᄂᆞᆫᄂᆞᆯ보와ᄉᆞ래긴밧갈리라 *윤선도 (하우요)
三二三. 삿갓세되롱이닙고細雨中에호믜메고山田을흣ᄆᆡ다가綠陰에누어시니牧童이牛羊을모라잠든날을ᄭᆡ와다 *황희 / 김굉필
三二四. 대쵸볼불근골에밤은어이ᄠᅳᆺ드르며벼뷘그르헤게ᄂᆞᆫ어이ᄂᆞ리ᄂᆞᆫ고술닉쟈체쟝ᄉᆞ도라가니아니먹고어이리 *황희 / 김굉필
三二五. 오려고개속고열무우ᄉᆞᆯ졋ᄂᆞᆫ듸낙시에고기물고게ᄂᆞᆫ어이ᄂᆞ리ᄂᆞᆫ고아마도農家에ᄆᆞᆯ근맛시이죠흔가ᄒᆞ노라
右田家
三二六. 치위를마글션졍구ᄐᆡ야비단옷가고폰ᄇᆡ몌올션졍山菜라타관계ᄒᆞ랴이밧긔잡시름업스면긔죠흔가ᄒᆞ노라
三二七. 시름이업슬션정富貴功名관계ᄒᆞ며ᄆᆞ음이편ᄒᆞᆯ션졍ᄂᆞᆷ이웃다어이ᄒᆞ리엇더타守拙安貧을나ᄂᆞᆫ죠화ᄒᆞ노라
三二八. 내오ᄉᆡ내밥먹고내집의누어시니귀에잡말업고是非에걸릴소냐百年을이리지내미긔分인가ᄒᆞ노라
右守分
三二九. 이셩져셩다지내고흐롱하롱인일업ᄂᆡ功名도어근버근世事도싱슝샹슝每日에ᄒᆞᆫ盞두盞ᄒᆞ여이렁져렁ᄒᆞ리다
三三○. 이럿타져러탓말이오로다두리슝슝잇거나사거나기픈盞에ᄀᆞ득부어每日에長醉不醒ᄒᆞ면긔죠흔가ᄒᆞ노라
三三一. 어리거든채어리거나밋치거든채밋치거나어린듯밋친듯아ᄂᆞᆫ듯모로ᄂᆞᆫ듯이런가져런가ᄒᆞ니아므란줄몰래라
三三二. 世事ㅣ삼ᄭᅥ울이라허틀고ᄆᆡ쳐셰라거귀여드리치고나몰래라ᄒᆞ고라쟈아ᄒᆡ야덩덕궁북쳐라이야지야ᄒᆞ리라
右放浪
三三三. 그러ᄒᆞ거니어이아니그러ᄒᆞ리이리도그러그러져리도그러그러아마도그러그러ᄒᆞ니ᄒᆞᆫ숨계워ᄒᆞ노라
三三四. 흥흥노래ᄒᆞ고덩덕궁북을치고宮商角徵羽를마초리ᄭᅧᆼᄒᆞ엿ᄃᆞ니어긔고다齟齬ᄒᆞ니허허웃고마노라
右悶世
三三五. 萬頃滄波水로도다못시슬千古愁를一壺酒가지고오ᄂᆞᆯ이야시서괴야太白이이ᄒᆞᆷ으로長醉不醒ᄒᆞ닷다
三三六. 술을내즐기더냐狂藥인줄알건마ᄂᆞᆫ一寸肝膓에萬斛愁 너허두고醉ᄒᆞ여ᄌᆞᆷ든덧이나시름닛쟈ᄒᆞ노라
右消愁
三三七. 人生이둘가셋가이몸이네다섯가비러온人生에ᄭᅮ어온몸가지고셔平生에사롤일만ᄒᆞ고언제놀려ᄒᆞᄂᆞ니
三三八. 一定百年산들百年이긔언매라疾病憂患더니남ᄂᆞᆫ날아조젹의두어라非百歲人生이아니놀고어이리
右遊樂
三三九. 白沙場紅蓼邊에구버기ᄂᆞᆫ白鷺들아口腹을못몌워뎌다지굽니ᄂᆞᆫ다一身이閑暇ᄒᆞᆯ션졍ᄉᆞᆯ져무슴ᄒᆞ리오 *[김상현]
三四○. 쥐ᄎᆞᆫ쇼로기들아ᄇᆡ부로롸쟈랑마라淸江여왼鶴이주리다부를소냐내몸이閑暇ᄒᆞ야마ᄂᆞᆫᄉᆞᆯ못진들엇ᄃᆞ리 *[구지정]
右嘲奔走
三四一. 내ᄒᆡ죠타ᄒᆞ고ᄂᆞᆷ슬흔일ᄒᆞ지말며ᄂᆞᆷ이ᄒᆞᆫ다ᄒᆞ고義아니면좃지말니우리ᄂᆞᆫ天性을직희여삼긴대로ᄒᆞ리라 *주의식 / 성수침 / 변계량
三四二. 듯ᄂᆞᆫ말보ᄂᆞᆫ일을事理에비겨보와올흐면ᄒᆞᆯ지라도그르면마롤거시平生에말슴을ᄀᆞᆯ희내면므슴是非이시리
三四三. ᄂᆞᆷ이害ᄒᆞᆯ지라도나ᄂᆞᆫ아니겨로리라ᄎᆞᆷ으면德이오겨로면ᄀᆞᆺ트리니구부미제게잇거니ᄀᆞᆯ올줄이이시랴
右修身
三四四. 가마귀검거라말고ᄒᆡ오라비셸줄어이검거니셰거니一便도ᄒᆞᆫ져이고우리ᄂᆞᆫ수리두루미라검도셰도아녜라
三四五. 넙엿ᄒᆞ쟈ᄒᆞ니모난듸ᄀᆞ일셰라두렷ᄒᆞ쟈ᄒᆞ니ᄂᆞᆷ의손ᄃᆡ둘릴셰라外두렷內번듯ᄒᆞ면ᄀᆡ둘릴줄이시랴
右周便
三四六. 琵琶를두러메고玉蘭干에지혀시니東風細雨에ᄠᅳᆺ드ᄂᆞ니桃花ㅣ로다春鳥도送春을슬허百般啼를ᄒᆞ놋다
三四七. 곳이진다ᄒᆞ고새들아슬허마라ᄇᆞ람에흣ᄂᆞᆯ리니곳의탓아니로다가노라희짓ᄂᆞᆫ봄을새와므슴ᄒᆞ리오
右惜春
三四八. 구룸이無心탄말이아마도虚浪ᄒᆞ다中天에ᄯᅥ이셔任意ᄃᆞᆫ니며서구ᄐᆡ야光明ᄒᆞᆫ날빗츨ᄯᅡ라가며덥ᄂᆞ니 *이존오
三四九. 구룸아너ᄂᆞᆫ어이ᄒᆡᆺ비츨ᄀᆞᆷ초ᄂᆞᆫ다油然作雲하면大旱에죠커니와北風이ᄉᆞᆯ하져블제볏뉘몰라ᄒᆞ노라
右壅蔽
三五○. ᄋᆞ자내少年이야어드러로간거이고酒色에ᄌᆞᆷ겨신제白髮과밧괴도다이제야아모리ᄎᆞ즌들다시오기쉬오랴
三五一. 半나마늘거시니다시졈든못ᄒᆞ여도이後ㅣ나늙지말고ᄆᆡ양이만ᄒᆞ엿고쟈白髮아네나짐쟉ᄒᆞ여더듸늙게ᄒᆞ여라
三五二. 남도준배업고바든바도업건마ᄂᆞᆫ怨讐白髮이어더러셔온거이고白髮이公道ㅣ없도다날을몬져늙킨다
三五三. 희여검을지라도희ᄂᆞᆫ거시셔로려든희여못검ᄂᆞᆫ듸ᄂᆞᆷ의몬져힐줄어이白髮이公道ㅣ쟉도다날을몬져ᄇᆡ얀다
右歎老
三五四. 靑春少年들아白髮老人웃지마라공번된하ᄂᆞᆯ아래넨들ᄆᆡ양져머시랴우리도少年行藥이어제론듯ᄒᆞ여라
三五五. 귀밋치셰여시니ᄂᆞᆷ이늙다ᄒᆞ려니와내ᄆᆞ음져믈션졍ᄂᆞᆷ의말허믈ᄒᆞ랴곳과술죠히너기기야엇ᄃᆞᆫ老少이시리
右老壯
三五六. 나의未平ᄒᆞᆫᄠᅳᆺ을日月ᄭᅢ뭇ᄌᆞᆸᄂᆞ니九萬里長天에무스일ᄇᆡ얏바셔酒色에못슬믠이몸을수이늙게ᄒᆞᄂᆞᆫ고 *[김상현]
三五七. 金烏玉兎들아뉘너를ᄧᅩᆺ니관ᄃᆡ九萬里長天에허위허위ᄃᆞᆫ니ᄂᆞᆫ다이後란十里에ᄒᆞᆫ번식쉬염쉬염니거라
右戒日
三五八. 노프나노픈남게날勸ᄒᆞ여오려두고이보오벗님ᄂᆡ야흔드지나마르되야ᄂᆞ려져죽기ᄂᆞᆫ섧지아녀님못볼가ᄒᆞ노라 *이양원
三五九. 간밤의부던ᄇᆞ람에눈서리치단말가落落長松이다기우러가노ᄆᆡ라ᄒᆞ믈며못다픤곳이야닐러므슴ᄒᆞ리오 *유응부
三六◯. 어인벌리완ᄃᆡ落落長松다먹ᄂᆞᆫ고부리긴져고리ᄂᆞᆫ어ᄂᆡ곳에가잇ᄂᆞᆫ고空山에落木聲들릴제내안둘듸업세라
右戕害
三六一. 小園百花叢에ᄂᆞ니ᄂᆞᆫ나뷔들아香내를죠히너겨柯枝마다안지마라夕陽에숨ᄭᅮ즌거믜그믈걸여은다 *[인평대군]
三六二. 굼벙이매암이되야ᄂᆞ래도쳐ᄂᆞ라올라노프나노픈남게소릐ᄂᆞᆫ죠커니와그우희거믜줄이시니그를조심ᄒᆞ여라
右知止
三六三. 興亡이有數ᄒᆞ니滿月臺도秋草ㅣ로다五百年王業이牧笛에부쳐시니夕陽에지나ᄂᆞᆫ客이눈물계워ᄒᆞᄃᆞ라 *원천석
三六四. 五百年都邑地를匹馬로도라드니山川은依舊ᄒᆞ되人傑은간듸업다어즈버太平烟月이ᄭᅮᆷ이런가ᄒᆞ노라 *길재
右懷古
三六五. 梨花에月白ᄒᆞ고銀漢이三更인제一枝春心을子規ㅣ야아라마ᄂᆞᆫ多情도病이냥ᄒᆞ여ᄌᆞᆷ못드러ᄒᆞ노라 *이조년
三六六. 金爐에香盡ᄒᆞ고漏聲이殘ᄒᆞ도록어듸가이셔뉘ᄉᆞ랑바치다가月影이上蘭干ᄏᆡ야ᄆᆡᆨ바드라왓ᄂᆞ니 *김상용
三六七. 梨花雨흣ᄲᅮ릴제울며잡고離別ᄒᆞᆫ님秋風落葉에저도날ᄉᆡᆼ각ᄂᆞᆫ가千里에외로온ᄭᅮᆷ만오락가락ᄒᆞ노매 *매창
三六八. 이몸이싀여져셔졉동새넉시되야梨花픤柯枝속닙헤ᄡᆡ엿다가밤즁만ᄉᆞᆯ하져우리님의귀에들리리라
三六九. ᄉᆞ랑거즛말이님날ᄉᆞ랑거즛말이ᄭᅮᆷ에뵌닷말이긔더옥거즛말이날ᄀᆞᆺ치ᄌᆞᆷ아니오면어ᄂᆡᄭᅮᆷ에뵈이리 *김상용
右閨情
三七◯. 十年을經營ᄒᆞ여草廬三間지여내니나ᄒᆞᆫ간ᄃᆞᆯᄒᆞᆫ간에淸風ᄒᆞᆫ간맛져두고江山은들일듸업스니둘러두고보리라 *송순 / 김장생
右兼致
三七一. 술을醉케먹고오다가空山에지니뉘날ᄭᆡ오리天地卽衾枕이로다狂風이細雨를모라ᄌᆞᆷ든날을ᄭᆡ와다 *조준
右大醉
三七二. 비즌술다머그니먼듸셔벗이왓다술집은졔연마ᄂᆞᆫ헌옷세언마주리아ᄒᆡ야셔기지말고주ᄂᆞᆫ대로바다라 *박인로
右客至
三七三. 三角山푸른빗치中天에소사올라鬱葱佳氣란象闕에부쳐두고江湖에盞잡은늘그니란ᄆᆡ양醉케ᄒᆞ쇼셔
右醉隱
三七四. 泰山이높다ᄒᆞ되ᄒᆞᄂᆞᆯ아레뫼히로다오르고ᄯᅩ오르면못오를理업건마ᄂᆞᆫ사ᄅᆞᆷ이제아니오르고뫼흘놉다ᄒᆞᄂᆞ니 *양사언
右中道而廢
三七五. 十年ᄀᆞ온칼이匣裏에우노ᄆᆡ라關山을ᄇᆞ라보며ᄯᅢᄯᅢ로ᄆᆞᆫ져보니丈夫의爲國功勳을어ᄂᆡᄯᅢ에드리올고 *이순신
右壯懷
三七六. 天下匕首劒을ᄒᆞᆫ듸모하뷔를ᄆᆡ야南蠻北狄을다ᄡᅳ러ᄇᆞ린後에그쇠로홈의를ᄆᆡᆼ그라江上田을ᄆᆡ리라 *이정진
右勇退
三七七. 一生에願ᄒᆞ기를羲皇時節못난줄이草衣를무릅고木實을머글만졍人心이淳厚ᄒᆞ던줄을못내불워ᄒᆞ노라 *최충
右羨古
三七八. 靑山自負松아네어이누엇ᄂᆞᆫ다狂風을못이긔여불휘져저누엇노라가다가良工을만나거든날옛ᄃᆞ라ᄒᆞ고려 *박태보
右自售
三七九. ᄃᆞᆯ이두렷ᄒᆞ여碧空에걸려시니萬古風霜에ᄯᅥ러졈즉ᄒᆞ다마ᄂᆞᆫ至今히醉客을爲ᄒᆞ여長照金樽ᄒᆞ노매 *이덕형
右醉月
三八◯. 가마귀ᄡᅡ호ᄂᆞᆫ골에白鷺ㅣ야가지마라셩낸가마귀흰빗ᄎᆞᆯ새을셰라淸江에잇것시슨몸을더러일가ᄒᆞᄂᆞ라 *정몽주母
右
三八一. ᄒᆡ도나지계면山河로도라지고ᄃᆞᆯ도보롬後ㅣ면ᄒᆞᆫᄀᆞ보터이져온다世上에富貴功名이다이런가ᄒᆞ노라 ?천금
右盈虧
三八二. 北海上져믄날에울고가ᄂᆞᆫ져기러기내말슴드러다가金尙書ㅅ게ᄉᆞ롸주렴수羊이삿기칠덧으란ᄎᆞᆷ으쇼셔ᄒᆞ여라
右
三八三. 胸中에머근ᄠᅳᆺ을속졀업시못이로고半世紅塵에ᄂᆞᆷ의우음된져이고두어라時乎時乎니恨ᄒᆞᆯ줄이이시랴 ?이순신
右命蹇
三八四. ᄒᆡ다져믄날에지져귀ᄂᆞᆫᄌᆞᆷ새들아죠고마ᄒᆞᆫ몸이半柯枝도足ᄒᆞ거든ᄒᆞ믈며크나큰수풀을새와무슴ᄒᆞ리오 *조명리
右不爭
三八五. 假使주글지라도明堂이뷘듸업ᄂᆡ三神山不死藥을다ᄏᆡ야머글만졍海中에새뫼나거든게가들려ᄒᆞ노라
右遠致
三八六. 蒼梧山聖帝魂이구룸조차瀟湘에ᄂᆞ려夜半에흘러드러竹間雨되온ᄠᅳᆺ은二妃의千年淚痕을못내시서홈이라 *이후백
右二妃
三八七. 洞庭ᄇᆞᆯ근ᄃᆞᆯ이楚懷王의넉시되야七百里平湖에두렷이비쵠ᄠᅳᆺ은屈三閭魚腹裏忠誠을못내ᄇᆞᆯ켜홈이라 *이후백
右懷王
三八八. 楚江漁夫들아고기낫가ᄉᆞᆷ지마라屈三閭忠魂이魚腹裏에드럿ᄂᆞ니아므리鼎鑊에ᄉᆞᆯ믄들變ᄒᆞᆯ줄이이시랴 *이명한
右屈平
三八九. 공번된天下業을힘으로어들것가秦宮室불질음도오히려無道커든ᄒᆞ믈며義帝를주기고하ᄂᆞᆯ罪를免ᄒᆞ랴
右項羽
三九◯. ᄇᆞ람에휘엿노라구븐솔웃지마라春風에픠온곳이ᄆᆡ양에고아시랴風飄飄雪紛紛ᄒᆞᆯ제네야날을부르리라 *인평대군
右 松
三九一. 눈마자휘어진대를뉘라셔굽다ᄐᆞᆫ고구블節이면눈속에프를소냐아마도歲寒高節은너ᄲᅮᆫ인가ᄒᆞ노라 *원천석
右 竹
三九二. 空山이寂寞ᄒᆞᆫ듸슬피우ᄂᆞᆫ져杜鵑아蜀國興亡이어제오ᄂᆞᆯ아니여ᄂᆞᆯ至今히피나게우러ᄂᆞᆷ의애를긋나니 *정충신
右杜宇
三九三. 이리도太平聖代져리도聖代太平堯之日月이오舜之乾坤이로다우리도太平聖代에놀고가려ᄒᆞ노라 *성수침
右太平
三九四. ᄆᆞ음아너ᄂᆞᆫ어이ᄆᆡ양에져멋ᄂᆞᆫ다내늘글적이면넨들아니늘글소냐아마도너죳녀ᄃᆞᆫ니다가ᄂᆞᆷ우일가ᄒᆞ노라 *서경덕
右戒心
三九五. 녯적의이러ᄒᆞ면形容이나마실가愁心이실이되야구뷔구뷔ᄆᆡ쳐이셔아므리푸로ᄒᆞ되긋간듸를몰래라
右勞役
三九六. 泰山이平地되고河海陸地되도록北堂俱慶下에忠孝로일삼다가聖代에稷契이되야늘글뉘를모르리라 *성여완
右忠孝
三九七. 곳은밤비에퓌고비즌술다닉거다거문고가진벗이ᄃᆞᆯᄒᆞᆷ긔오마터니아ᄒᆡ야茅簷에ᄃᆞᆯ올랏다손오ᄂᆞᆫ가보와라 *정철
右待客
{{옛한글 끝}}
f0fbxp9vyj1o102qcq7fgrg3mq48hcz
번역:주자어류/권53 맹자3 孟子三
114
86507
392396
384956
2025-06-23T10:40:34Z
Thomas Dongsob Ahn
16640
26, 27
392396
wikitext
text/x-wiki
朱子語類卷第五十三
*
* 孟子三
* ∞∞∞∞公孫丑上之下
*
* ∞∞∞∞ 以力假仁章
* 53:1 彝叟問: “‘行仁’與‘假仁’如何?” 曰: “公且道如何是‘行仁·假仁’?” 曰: “莫是誠與不誠否?” 曰: “這箇自分曉, 不須問得. 如‘由仁義行, 非行仁義’處卻好問. 如行仁, 便自仁中行出, 皆仁之德. 若假仁, 便是恃其甲兵之强, 財賦之多, 足以欺人, 是假仁之名以欺其衆, 非有仁之實也. 故下文言‘伯必有大國’, 其言可見.” 又曰: “成湯東征西怨, 南征北怨, 皆是拯民於水火之中, 此是行仁也. 齊桓公時, 周室微弱, 夷狄强大, 桓公攘夷狄, 尊王室, ‘九合諸侯, 不以兵車’. 這只是仁之功, 終無拯民塗炭之心, 謂之‘行仁’則不可.” 卓(미상).
* 53:2 問“以力假仁”, “以德行仁”. 曰: “‘以力假仁’, 仁與力是兩箇; ‘以德行仁’, 仁便是德, 德便是仁.” 問“霸”字之義. 曰: “霸卽伯也, 漢書引‘哉生魄’作‘哉生霸’, 古者‘霸·伯·魄’三字通用.” 蘷孫(68이후).
* 53:3 “以德行仁者王”. 所謂德者, 非止謂有救民於水火之誠心. 這“德”字又說得闊, 是自己身上事都做得是, 無一不備了, 所以行出去便是仁. 僩(69이후).
* 53:4 問“以德行仁者王”. 曰: “且如成湯‘不邇聲色, 不殖貨利; 德懋懋官, 功懋懋賞; 用人惟己, 改過不吝; 克寬克仁, 彰信兆民’. 是先有前面底, 方能‘彰信兆民’, ‘救民於水火之中’. 若無前面底, 雖欲‘救民於水火之中’, 不可得也. 武王‘亶聰明, 作元后’, 是亶聰明, 方能作元后, ‘救民於水火之中’. 若無這亶聰明, 雖欲救民, 其道何由?” 燾(70때).
* ∞∞∞∞ 仁則榮章
* 53:5 “仁則榮, 不仁則辱”. 此亦只是爲下等人言. 若是上等人, 他豈以榮辱之故而後行仁哉? 伊川易傳比彖辭有云: “以聖人之心言之, 固至誠求天下之比, 以安民也. 以後王之私言之, 不求下民之附, 則危亡至矣.” 蓋且得他畏危亡之禍, 而求所以比附其民, 猶勝於全不顧者, 政此謂也. 僩(69이후).
* ∞∞∞∞ 尊賢使能章
* 53:6 “市廛而不征”. 問: “此市在何處?” 曰: “此都邑之市. 人君國都如井田樣, 畫爲九區: 面朝背市, 左祖右社, 中間一區, 則君之宮室. 宮室前一區爲外朝, 凡朝會藏庫之屬皆在焉. 後一區爲市, 市四面有門, 每日市門開, 則商賈百物皆入焉. 賦其廛者, 謂收其市地錢, 如今民間之舖面錢. 蓋逐末者多, 則賦其廛以抑之; 少則不廛, 而但治以市官之法, 所以招徠之也. 市官之法, 如周禮司市平物價, 治爭訟, 譏察異服異言之類. 市中惟民乃得入, 凡公卿大夫有爵位及士者皆不得入, 入則有罰. 如‘國君過市, 則刑人赦; 夫人過市, 則罰一幕; 世子過市, 則罰一欒; 命夫·命婦過市, 則罰一蓋·帷’之類. 左右各三區, 皆民所居. 而外朝一區, 左則宗廟, 右則社稷在焉. 此國君都邑規模之大槪也.” 僩(69이후).
* 53:7 或問: “‘法而不廛’, 謂治以市官之法, 如何是市官之法?” 曰: “周禮自有, 如司市之屬平價, 治爭訟, 謹權量等事, 皆其法也.” 又問: “市, 廛而不征, 法而不廛.” 曰: “‘市, 廛而不征’, 謂使居市之廛者, 各出廛賦若干, 如今人賃舖面相似, 更不征稅其所貨之物. ‘法而不廛’, 則但治之以市官之法而已, 雖廛賦亦不取之也.” 又問: “‘古之爲市者, 以其所有, 易其所無者, 有司者治之耳. ’此便是市官之法否?” 曰: “然. 如漢之獄市·軍市之類, 皆是古之遺制. 蓋自有一箇所在以爲市, 其中自有許多事.” 廣(65이후).
* 53:8 “‘市, 廛而不征, 法而不廛’, 伊川之說如何?” 曰: “伊川之說不可曉. 橫渠作二法, 其說卻似分明.” 謨(50이후).
* 53:9 問: “‘廛無夫里之布’. 周禮: ‘宅不毛者有里布, 民無職事, 出夫家之征. ’鄭氏謂宅不種桑麻者, 罰之, 使出一里二十五家之布. 不知一里二十五家之布是如何?” 曰: “亦不可考.” 又問: “鄭氏謂民無常業者, 罰之, 使出一夫百畝之稅, 一家力役之征. 如何罰得恁地重?” 曰: “後世之法與此正相反, 農民賦稅丁錢卻重, 而遊手浮浪之民, 泰然都不管他.” 因說: “浙間農民丁錢之重, 民之彫困, 不可開眼!” 至(64·65때).
* ∞∞∞∞ 人皆有不忍人之心章
* 53:10 “人皆有不忍人之心”者, 是得天地生物之心爲心也. 蓋無天地生物之心, 則沒這身. 才有這血氣之身, 便具天地生物之心矣. 燾(70때).
* 53:11 “人皆有不忍人之心”. 人皆自和氣中生. 天地生人物, 須是和氣方生. 要生這人, 便是氣和, 然後能生. 人自和氣中生, 所以有不忍人之心.
* 53:12 “天地以生物爲心”. 天包著地, 別無所作爲, 只是生物而已. 亘古亘今, 生生不窮. 人物則得此生物之心以爲心, 所以箇箇肖他, 本不須說以生物爲心. 緣做箇語句難做, 著箇以生物爲心. 僩(69이후).
* 53:13 問: “天地以生物爲心, 而所生之物, 因各得夫天地之心以爲心, 所以‘人皆有不忍人之心’.” 曰: “天地生物, 自是溫暖和煦, 這箇便是仁. 所以人物得之, 無不有慈愛惻怛之心.” 又曰: “人物皆得此理, 只緣他上面一箇母子如此, 所以生物無不肖他.” 又曰: “心如界方, 一面靑, 一面赤, 一面白, 一面黑. 靑屬東方, 仁也; 赤屬南方, 禮也; 白屬西方, 義也; 黑屬北方, 智也. 又如寅卯辰屬東方, 爲春; 巳午未屬南方, 爲夏; 申酉戌屬西方, 爲秋; 亥子丑屬北方, 爲冬. 寅卯辰是萬物初生時, 是那生氣方發, 這便是仁. 至巳午未, 則萬物長茂, 只是那生氣發得來盛. 及至申酉戌, 則那生氣到此生得來充足無餘, 那物事只有許多限量, 生滿了更生去不得, 須用收斂. 所以秋訓揫. 揫, 斂也, 揫斂箇什麽? 只是生氣到這裏都揫斂耳. 若更生去, 則無合殺矣. 及至亥子丑屬冬. 冬, 終也; 終, 藏也. 生氣到此都終藏了, 然那生底氣早是在裏面發動了, 可以見生氣之不息也, 所以說‘復, 見天地之心’也.” 胡泳(69때).
* 53:14 “‘天地以生物爲心’. 譬如甄蒸飯, 氣從下面滾到上面, 又滾下, 只管在裏面滾, 便蒸得熟. 天地只是包許多氣在這裏無出處, 滾一番, 便生一番物. 他別無勾當, 只是生物, 不似人便有許多應接. 所謂爲心者, 豈是切切然去做, 如云‘天命之, 豈諄諄然命之’也? 但如磨子相似, 只管磨出這物事. 人便是小胞, 天地是大胞. 人首圓象天, 足方象地, 中間虛包許多生氣, 自是惻隱; 不是爲見人我一理後, 方有此惻隱. 而今便敎單獨只有一箇人, 也自有這惻隱. 若謂見人我一理而後有之, 便是兩人相夾在這裏, 方有惻隱, 則是仁在外, 非由內也. 且如乍見孺子入井時有惻隱, 若見他人入井時, 也須自有惻隱在.” <池錄作: “若未見孺子入井, 亦自是惻隱.”> 問: “怵惕, 莫是動處? 因怵惕而後惻隱否?” 曰: “不知孟子怎生尋得這四箇字恁地好!” 蘷孫(68이후).
* 53:15 孟子“赤子入井”章, 間架闊, 須恁地看. 蘷孫(68이후).
* 53:16 說仁, 只看孺子將入井時, 尤好體認. 季札(47·66때).
* 53:17 問: “如何是‘發之人心而不可已’?” 曰: “見孺子將入井, 惻隱之心便發出來, 如何已得! 此樣說話, 孟子說得極分明. 世間事若出於人力安排底, 便已得; 若已不得底, 便是自然底.” 祖道(68때).
* 53:18 方其乍見孺子入井時, 也著脚手不得. 縱有許多私意, 要譽鄕黨之類, 也未暇思量到. 但更遲霎時, 則了不得也. 是非·辭遜·羞惡, 雖是與惻隱並說, 但此三者皆自惻隱中發出來. 因有惻隱後, 方有此三者. 惻隱比三者又較大得些子. 義剛(64이후).
* 53:19 “非惡其聲”, 非惡其有不救孺子之惡聲也. 升卿(62때).
* 53:20 問: “惡其聲而然, 何爲不可?” 曰: “惡其聲, 已是有些計較. 乍見而惻隱, 天理之所發見, 而無所計較也. 惡其聲之念一形, 則出於人欲矣. 人欲隱於天理之中, 其幾甚微, 學者所宜體察.” 燾(70때).
* 53:21 或問: “非內交·要譽·惡其聲, 而怵惕惻隱形焉, 是其中心不忍之實也. 若內交·要譽·惡其聲之類一毫萌焉, 則爲私欲蔽其本心矣. 據南軒如此說, 集注卻不如此說.” 曰: “這當作兩截看. 初且將大界限看, 且分別一箇義利了, 卻細看. 初看, 惻隱便是仁, 若恁地殘賊, 便是不仁; 羞惡是義, 若無廉恥便是不義; 辭遜是禮, 若恁地爭奪, 便是無禮; 是非是知, 若恁地顚顚倒倒, 便是不知. 且恁地看了, 又卻於惻隱·羞惡上面看. 有是出於至誠如此底, 有不是出於本來善心底.” 賀孫(62이후).
* 53:22 先生問節曰: “孺子入井, 如何不推得羞惡之類出來, 只推得惻隱出來?” 節應曰: “節以爲當他出來.” 曰: “是從這一路子去感得他出來.” 節(64이후).
* 53:23 如孺子入井, 如何不推得其他底出來, 只推得惻隱之心出來? 蓋理各有路. 如做得穿窬底事, 如何令人不羞惡! 偶遇一人衣冠而揖我, 我便亦揖他, 如何不恭敬! 事有是非, 必辨別其是非. 試看是甚麽去感得他何處, 一般出來. 節(64이후).
* 53:24 孟子論“乍見孺子將入於井, 怵惕惻隱”一段, 如何說得如此好? 只是平平地說去, 自是好. 而今人做作說一片, 只是不如他. 又曰: “怵惕·惻隱·羞惡, 都是道理自然如此, 不是安排. 合下制這‘仁’字, 纔是那傷害底事, 便自然惻隱. 合下制這‘義’字, 纔見那不好底事, 便自然羞惡. 這仁與義, 都在那惻隱·羞惡之先. 未有那惻隱底事時, 已先有那愛底心了; 未有那羞惡底事時, 已先有那斷制裁割底心了.” 又曰: “日用應接動靜之間, 這箇道理從這裏迸將出去. 如箇寶塔, 那毫光都從四面迸出去.” 僩(69이후).
* 53:25 或問“滿腔子是惻隱之心”. 曰: “此身軀殼謂之腔子. 而今人滿身知痛處可見.” 銖(67이후). <池錄作: “疾痛痾癢, 擧切吾身, 何處不有!”>
* 53:26 問“滿腔子是惻隱之心”.
''' '배 속[腔子] 가득한 것이 측은지심이다.'에 대한 질문.
曰: “此身軀殼謂之腔子. 能於此身知有痛, 便見於應接, 方知有箇是與不是.” 季札(47·66때).
'''대답: 이 몸의 껍데기[軀殼]를 강자(腔子)라고 한다. 이 몸에 대하여 (아플 때) 아픈 줄 잘 안다면<ref>주희는 측은지심을 통각에 비긴다. 우리 손가락 끝에 통각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손가락에 상처가 나면 아픔을 '지각'한다. 마찬가지로 상대방이 상처를 입었을 때 마치 상대방에게 나의 통각이 있기라도 한 것처럼 내가 아픔을 '지각'하는 것이 바로 측은지심의 작동이다. 이는 가려움과 같이 신체에 편재하는 다른 감각으로 대체해도 마찬가지로 성립하는 은유이다. 53:25, 86을 참조하라.</ref> (사건/사물과) 접하여 대응할 때 (내면의 도리가) 드러나니, (이렇게 해야) 비로소 무엇이 옳고 그른지 알 수 있다.
계찰(季札)의 기록(47세, 66세 때)
* 53:27 問: “‘滿腔子是惻隱之心. ’只是此心常存, 纔有一分私意, 便闕了他一分.”
'''질문: '배 속[腔子] 가득한 것이 측은지심이다.'의 경우, 이 마음은 늘 (제자리에) 있으나, 사의(私意)가 한 토막 생기면 곧 그것<ref>이 마음</ref>도 한 토막 없어집니다.
曰: “只是滿這箇軀殼, 都是惻隱之心. 纔築著, 便是這箇物事出來, 大感則大應, 小感則小應. 恰似大段痛傷固是痛, 只如針子略挑些血出, 也便痛. 故日用所當應接, 更無些子間隔. 癢痾疾痛, 莫不相關. 纔是有些子不通, 便是被些私意隔了.” 賀孫(62이후).
'''대답: 그저 이 껍데기 안쪽에 가득한 것이 모두 측은지심이다. 때리는[築] 즉시 이 물건이 튀어나오니<ref>통증에 대한 반응이 튀어나옴을 말한다. '축(築)'은 때린다는 뜻이다.</ref> 크게 느끼면 크게 반응하고 작게 느끼면 작게 반응한다. 이건 마치, 매우 크게 다친 것이야 물론 통증이겠거니와, 예컨대 작은 바늘로 찔러 피가 조금 나는 것 역시 통증이라는 면에서 매한가지인 것과 같다. 그러므로 일상 속에서 응당 접하고 대응해야 하는 바에 있어 조금도 간격(間隔)이 없다.<ref>감각이 통하는 범위까지가 나의 몸이다. 옆사람이 크게 다치는 것을 보고 나 자신이 다치는 것처럼 통증을 느낀다면 옆사람과 나 사이에 '간격'이 없는 것이다. 간격이 없으면 한 몸이다. 53:26을 보라.</ref> 가려움이든 통증이든간에, 상호 연결되지 않음이 없다.<ref>어느쪽 감각이든 상대방과 내 몸이 하나요, 한 몸 안에 편재한 감각이라는 측면에서 공히 성립하는 은유이다.</ref> 조금이라도 (감각이) 통하지 않기만 하면 곧 사의(私意) 때문에 간격이[隔] 생긴 것이다.
* 53:28 問: “‘滿腔子是惻隱之心’, 或以爲京師市語: ‘食飽時心動.’” 呂子約云. 曰: “不然, 此是爲‘動’字所拘. 腔子, 身裏也, 言滿身裏皆惻隱之心. 心在腔子裏, 亦如云心只是在身裏.” 問: “心所發處不一, 便說惻隱, 如何?” 曰: “惻隱之心, 渾身皆是, 無處不發. 如見赤子有惻隱之心, 見一蟻子亦豈無此心!” 可學(62때).
* 53:29 問: “如何是‘滿腔子皆惻隱之心’?” 曰: “腔, 只是此身裏虛處.” 問: “莫是人生來惻隱之心具足否?” 曰: “如今也恁地看. 事有箇不穩處, 便自覺不穩, 這便是惻隱之心. 林擇之嘗說: ‘人七尺之軀, 一箇針箚著便痛.’” 問: “吾身固如此, 處事物亦然否?” 曰: “此心應物不窮. 若事事物物常是這箇心, 便是仁. 若有一事不如此, 便是這一處不仁了.” 問: “本心依舊在否?” 曰: “如今未要理會在不在. 論著理來, 他自是在那裏. 只是這一處不恁地, 便是這一處不在了. 如‘率土之濱, 莫非王臣’. 忽然有一鄕人自不服化, 稱王稱伯, 便是這一處無君, 君也只在那裏, 然而他靠不得. 不可道是天理只在那裏, 自家這私欲放行不妨. 王信伯在館中, 范伯達問: ‘人須是天下物物皆歸吾仁?’ 王指牕櫺問范曰: ‘此牕還歸仁否?’ 范黙然. 某見之, 當答曰: ‘此牕不歸仁, 何故不打壞了?’ 如人處事, 但箇箇處得是, 便是事事歸仁. 且如牕也要糊得在那裏敎好, 不成沒巴鼻打壞了!” 問: “‘仁者以萬物爲一體’, 如事至物來, 皆有以處之. 如事物未至, 不可得而體者, 如何?” 曰: “只是不在這裏. 然此理也在這裏, 若來時, 便以此處之.” 榦(미상).
* 53:30 問: “‘滿腔子是惻隱之心’, 如何是滿腔子?” 曰: “滿腔子, 是只在這軀殼裏, ‘腔子’乃洛中俗語.” 又問: “惻隱之心, 固是人心之懿, 因物感而發見處. 前輩令以此操而存之, 充而達之. 不知如何要常存得此心?” 曰: “此心因物方感得出來, 如何强要尋討出? 此心常存在這裏, 只是因感時識得此體. 平時敬以存之, 久久會熟. 善端發處, 益見得分曉, 則存養之功益有所施矣.” 又問: “要惻隱之心常存, 莫只是要得此心常有發生意否?” 曰: “四端中, 羞惡·辭讓·是非亦因事而發爾. 此心未當起羞惡之時, 而强要憎惡那人, 便不可. 如惻隱, 亦因有感而始見, 欲强安排敎如此, 也不得. 如天之四時, 亦因發見處見得. 欲於冬時要尋討箇春出來, 不知如何尋. 到那陽氣發生萬物處, 方見得是春耳. 學者但要識得此心, 存主在敬, 四端漸會擴充矣.” 㝢(61이후).
* 53:31 “滿腔子是惻隱之心”. 不特是惻隱之心, 滿腔子是羞惡之心, 滿腔子是辭遜之心, 滿腔子是是非之心. 彌滿充實, 都無空闕處. “滿腔子是惻隱之心”, 如將刀割著固是痛, 若將針箚著也痛, 如爛打一頓, 固是痛, 便輕掐一下, 也痛, 此類可見. 僩(69이후).
* 53:32 “‘滿腔子是惻隱之心’, 腔子, 猶言邼郭, 此是方言, 指盈於人身而言.” 因論“方言難曉, 如橫渠語錄是呂與叔諸公隨日編者, 多陝西方言, 全有不可曉者.” 㽦(59때).
* 53:33 惻隱之心, 頭尾都是惻隱. 三者則頭是惻隱, 尾是羞惡·辭遜·是非. 若不是惻隱, 則三者都是死物. 蓋惻隱是箇頭子, 羞惡·辭遜·是非便從這裏發來. 蘷孫(68이후).
* 53:34 旣仁矣, 合惻隱則惻隱, 合羞惡則羞惡. 節(64이후).
* 53:35 不成只管惻隱, 須有斷制. 德明(44이후).
* 53:36 惻隱羞惡, 也有中節·不中節. 若不當惻隱而惻隱, 不當羞惡而羞惡, 便是不中節. 淳(61·70때).
* 53:37 仁義禮智, 性也, 且言有此理. 至惻隱·羞惡·辭遜·是非, 始謂之心. 德明(44이후).
* 53:38 惻隱·羞惡·辭讓·是非, 情也. 仁義禮智, 性也. 心, 統情性者也. 端, 緖也. 因情之發露, 而後性之本然者可得而見. 季札(47·66때).
* 53:39 四端本諸人心, 皆因所寓而後發見. 季札(47·66때).
* 53:40 王丈說: “孟子‘惻隱之心’一段, 論心不論性.” 曰: “心性只是一箇物事, 離不得. 孟子說四端處最好看. 惻隱是情, 惻隱之心是心, 仁是性, 三者相因. 橫渠云‘心統性情’, 此說極好.” 閎祖(59이후).
* 53:41 王德修解四端, 謂和靖言: “此只言心, 不言性. 如‘操則存, 舍則亡, 出入無時, 莫知其鄕’, 亦只是言心.” 曰: “固是言心. 畢竟那仁義禮智是甚物? 仁義禮智是性, 端便是情. 纔說一箇‘心’字, 便是著性情. 果判然是二截如何?” <此處疑有闕誤.> 德修曰: “固是‘心統性情’, 孟子於此只是說心.” 文蔚(59이후).
* 53:42 問: “‘四端’之‘端’, 集解以爲端緖. 向見季通說‘端乃尾’, 如何?” 曰: “以體·用言之, 有體而後有用, 故端亦可謂之尾. 若以始終言之, 則四端是始發處, 故亦可以端緖言之. 二說各有所指, 自不相礙也.” 廣(65이후).
* 53:43 “四端未是盡, 所以只謂之端. 然四端八箇字, 每字是一意: 惻, 是惻然有此念起; 隱, 是惻然之後隱痛, 比惻是深; 羞者, 羞己之非; 惡者, 惡人之惡; 辭者, 辭己之物; 讓者, 讓與他人; 是·非自是兩樣分明. 但仁是總名. 若說仁義, 便如陰陽; 若說四端, 便如四時; 若分四端八字, 便如八節.” 又曰: “天地只是一氣, 便自分陰陽, 緣有陰陽二氣相感, 化生萬物, 故事物未嘗無對. 天便對地, 生便對死, 語黙動靜皆然, 以其種如此故也. 所以四端只擧仁義言, 亦如陰陽. 故曰: ‘立天之道, 曰陰與陽; 立人之道, 曰仁與義.’” 明作(63이후).
* 53:44 四端皆是自人心發出. 惻隱本是說愛, 愛則是說仁. 如見孺子將入井而救之, 此心只是愛這孺子. 惻隱元在這心裏面, 被外面事觸起. 羞惡·辭遜·是非亦然. 格物便是從此四者推將去, 要見裏面是甚底物事. 賜(66이후).
* 53:45 仁言惻隱之端, 如水之動處. 蓋水平靜而流, 則不見其動. 流到灘石之地, 有以觸之, 則其勢必動, 動則有可見之端. 如仁之體存之於心, 若愛親敬兄, 皆是此心本然, 初無可見. 及其發而接物, 有所感動, 此心惻然, 所以可見, 如怵惕於孺子入井之類是也. 卓(미상).
* 53:46 或問“四端”. 曰: “看道理也有兩般, 看得細時, 卻見得義理精處; 看得粗時, 卻且見得大槪處. 四端未見精細時, 且見得惻隱便是仁, 不惻隱而殘忍便是不仁; 羞惡便是義, 貪利無廉恥便是不義; 辭遜便是禮, 攘奪便是非禮; 是非便是智, 大段無知顚倒錯謬, 便是不智. 若見得細時, 雖有惻隱之心, 而意在於內交·要譽, 亦是不仁了. 然孟子之意, 本初不如此, 只是言此四端皆是心中本有之物, 隨觸而發. 方孺子將入於井之時, 而怵惕惻隱之心便形於外, 初無許多涯涘.” 卓(미상).
* 53:47 “惻隱·羞惡, 是仁義之端. 惻隱自是情, 仁自是性, 性卽是這道理. 仁本難說, 中間卻是愛之理, 發出來方有惻隱; 義卻是羞惡之理, 發出來方有羞惡; 禮卻是辭遜之理, 發出來方有辭遜; 智卻是是非之理, 發出來方有是非. 仁義禮智, 是未發底道理, 惻隱·羞惡·辭遜·是非, 是已發底端倪. 如桃仁·杏仁是仁, 到得萌芽, 卻是惻隱.” 又曰: “分別得界限了, 更須日用常自體認, 看仁義禮智意思是如何.” 又曰: “如今因孟子所說惻隱之端, 可以識得仁意思; 因說羞惡之端, 可以識得義意思; 因說恭敬之端, 可以識得禮意思; 因說是非之端, 可以識得智意思. 緣是仁義禮智本體自無形影, 要捉模不著, 一作“得”. 只得將他發動處看, 卻自見得. 恰如有這般兒子, 便知得是這樣母. 程子云‘以其惻隱, 知其有仁’, 此八字說得最親切分明. 也不道惻隱便是仁, 又不道掉了惻隱, 別取一箇物事說仁. 譬如草木之萌芽, 可以因萌芽知得他下面有根. 也不道萌芽便是根, 又不道掉了萌芽別取一箇根.” 又曰: “孟子說性, 不曾說著性, 只說‘乃若其情, 則可以爲善’. 看得情善, 則性之善可知.” 又曰: “惻隱羞惡, 多是因逆其理而見. 惟有所可傷, 這裏惻隱之端便動; 惟有所可惡, 這裏羞惡之端便動. 若是事親從兄, 又是自然順處見之.” 又曰: “人須擴而充之. 人誰無惻隱, 只是不能常如此. 能常如此, 便似孟子說‘火之始然, 泉之始達, 苟能充之, 足以保四海’. 若不能常如此, 恰似火相似, 自去打滅了; 水相似, 自去淤塞了; 如草木之萌芽相似, 自去踏折了, 便死了, 更無生意.” 又曰: “孟子云: ‘仁義禮智根於心. ’‘心統性情’, 故說心亦得.” 賀孫(62이후).
* 53:48 問喜怒哀樂未發·已發之別. 曰: “未發時無形影可見, 但於已發時照見. 謂如見孺子入井, 而有怵惕惻隱之心, 便照見得有仁在裏面; 見穿窬之類, 而有羞惡之心, 便照見得有義在裏面. 蓋這惻隱之心屬仁, 必有這仁在裏面, 故發出來做惻隱之心; 羞惡之心屬義, 必有這義在裏面, 故發出來做羞惡之心. 譬如目屬肝, 耳屬腎. 若視不明, 聽不聰, 必是肝腎有病; 若視之明, 聽之聰, 必是肝腎之氣無虧, 方能如此. 然而仁未有惻隱之心, 只是箇愛底心; 義未有羞惡之心, 只是箇斷制底心. 惟是先有這物事在裏面, 但隨所感觸, 便自是發出來. 故見孺子入井, 便是惻隱之心; 見穿窬之類, 便有羞惡之心; 見尊長之屬, 便有恭敬之心; 見得是, 便有是之之心; 見得非, 便有非之之心, 從那縫罅裏迸將出來, 恰似寶塔裏面四面毫光放出來.” 又云: “孟子此一章, 其初只是匹自閒容易說出來. 然說得來連那本末內外, 體用精粗, 都包在裏面, 無些欠闕處. 如孔子許多門弟, 都不曾恁地說得分曉. 想是曾子子思後來講來講去講得精, 所以孟子說得來恁地. 若子思亦只說得箇大體分曉而已.” 燾(70때).
* 53:49 問: “前面專說不忍之心, 後面兼說四端, 亦是仁包四者否?” 曰: “然.” 道夫(60이후).
* 53:50 問: “惻隱之心, 如何包得四端?” 曰: “惻隱便是初動時, 羞惡·是非·恭敬, 亦須是這箇先動一動了, 方會恁地只於動處便見. 譬如四時, 若不是有春生之氣, 夏來長箇甚麽? 秋時又把甚收? 冬時又把甚藏?” 時擧(64이후).
* 53:51 惻隱是箇腦子, 羞惡·辭遜·是非須從這裏發來. 若非惻隱, 三者俱是死物了. 惻隱之心, 通貫此三者. 賜(66이후).
* 53:52 因說仁義禮智之別, 曰: “譬如一箇物, 自然有四界, 而仁則又周貫其中. 以四端言之, 其間又自有小界限, 各各是兩件事. 惻是惻然發動處, 隱是漸漸及著隱痛處, 羞是羞己之非, 惡是惡人之惡, 辭是辭之於己, 遜是遜之於人, 是·非固是兩端.” 雉(미상).
* 53:53 問: “四端之根於心, 覺得一者纔動, 三者亦自次第而見.” 曰: “這四箇界限自分明, 然亦有隨事相連而見者: 如事親孝是愛之理; 才孝, 便能敬兄, 便是義.” 問: “有節文便是禮, 知其所以然便是智.” 曰: “然.” 問: “據看來多是相連而至者: 如惻隱於所傷, 便惡於其所以傷, 這是仁帶義意思; 惡於其所以傷, 便須惜其本來之未嘗傷, 這是義帶仁意思.” 曰: “也是如此. 嘗思之: 孟子發明四端, 乃孔子所未發. 人只道孟子有闢楊墨之功, 殊不知他就人心上發明大功如此. 看來此說那時若行, 楊墨亦不攻而自退. 闢楊墨, 是扞邊境之功; 發明四端, 是安社稷之功. 若常體認得來, 所謂活潑潑地, 眞箇是活潑潑地!” 賀孫(62이후).
* 53:54 “伊川常說: ‘如今人說, 力行是淺近事, 惟知爲上, 知最爲要緊. ’中庸說‘知仁勇’, 把知做擗初頭說, 可見知是要緊.” 賀孫問: “孟子四端, 何爲以知爲後?” 曰: “孟子只循環說. 智本來是藏仁義禮, 惟是知恁地了, 方恁地, 是仁禮義都藏在智裏面. 如元亨利貞, 貞是智, 貞卻藏元亨利意思在裏面. 如春夏秋冬, 冬是智, 冬卻藏春生·夏長·秋成意思在裏面. 且如冬伏藏, 都似不見, 到一陽初動, 這生意方從中出, 也未發露, 十二月也未盡發露. 只管養在這裏, 到春方發生, 到夏一齊都長, 秋漸成, 漸藏, 冬依舊都收藏了. 只是‘大明終始’亦見得, 無終安得有始! 所以易言‘先生以至日閉關, 商旅不行, 后不省方.’” 賀孫(62이후).
* 53:55 孟子四端處極好思索玩味, 只反身而自驗其明昧深淺如何. 升卿(62때).
* 53:56 著意讀孟子四端之類切要處, 其他論事處, 且緩不妨.
* 53:57 仔細看孟子說四端處兩段, 未發明一段處, 意思便與發明底同. 又不是安排, 須是本源有, 方發得出來, 著實見得皆是當爲底道理. 又不是外面事如此. 知得果性善, 便有賓有主, 有輕有重. 又要心爲主, 心把得定, 人慾自然沒安頓處. 孟子言“仁人心也”一段, 兩句下只說心. 祖道(68때).
* 53:58 至問: “‘凡有四端於我者, 知皆擴而充之矣. ’莫是知得了, 方能擴而充之否?” 曰: “‘知皆擴而充之’, 卽是苟能知去擴充, 則此道漸漸生長, ‘如火之始然, 泉之始達’. 中間‘矣’字, 文意不斷. 充, 是滿其本然之量, 卻就上有‘擴’字, 則是方知去推擴, 要充滿他, 所以‘如火之始然, 泉之始達’.”
* 53:59 問: “‘知皆擴而充之矣’, ‘知’字是重字? 還是輕字?” 曰: “不能擴充者, 正爲不知, 都只是冷過了. 若能知而擴充, 其勢甚順, 如乘快馬·放下水船相似.” 文蔚(59이후).
* 53:60 劉居之問: “‘知皆擴而充之’章兩說‘充’字, 寬夫未曉.” 曰: “上只說‘知皆擴而充之’, 只說知得了, 要推廣以充滿此心之量; 下云‘苟能充之, 足以保四海’, 是能充滿此心之量. 上帶‘知皆擴’字說, 下就能充滿說. 推擴而後能充, 能充則不必說擴也.” 賀孫(62이후).
* 53:61 劉居之問“人皆有不忍人之心”一節. 曰: “‘隱之心, 仁之端也. ’乍見孺子入井, 此只是一件事. 仁之端, 只是仁萌芽處. 如羞惡·辭遜·是非, 方是義·禮·智之萌芽處. 要推廣充滿得自家本然之量, 不特是孺子入井便恁地, 其他事皆恁地. 如羞惡·辭遜·是非, 不特於一件事上恁地, 要事事皆然, 方是充滿慊足, 無少欠闕也. ‘知皆擴而充之矣. ’知, 方且是知得如此. 至說到‘苟能充之, 足以保四海’, 卽掉了‘擴’字, 只說‘充’字. 蓋‘知’字與‘始然·始達’字相應; ‘充’字與‘保四海’相應. 才知得, 便自不能已. 若火始然, 便不可遏; 泉才達, 便涓涓流而不絶.” 時擧(64이후).
* 53:62 問“知皆擴而充之”. 曰: “上面言‘擴而充之’, 是方知要擴充. 到下面‘苟能充之’, 便掉了箇‘擴’字. 蓋‘充’字是充滿得了, 知已到地頭相似; ‘擴’字是方在箇路裏相似.” 時擧(64이후).
* 53:63 “知皆擴而充之”, 南軒把知做重, 文勢未有此意. “知”字只帶“擴充”說. “知皆擴而充之”, 與“苟能充之”句相應. 上句是方知去充, 下句是眞能恁地充. 淳(61·70때).
* 53:64 問“知皆擴而充之”. 曰: “這處與‘於止, 知其所止’語意略同. 上面在‘知’字上, 下在‘能’字上. 旣知得, 則皆當擴而充之. 如惻隱之心是仁, 則每事皆當擴而爲仁; 羞惡之心是義, 則每事皆當擴而爲義. 爲禮爲知, 亦各如此. 今有一種人, 雖然知得, 又道是這箇也無妨. 而今未能理會得, 又且恁地. 如知這事做得不是, 到人憎, 面前也自皇恐, 識得可羞, 又卻不能改. 如今人受人之物, 旣知是不當受, 便不受可也; 心裏又要, 卻說是我且受去莫管, 這便是不能充. 但當於知之之初, 便一向從這裏充將去, 便廣大‘如火之始然, 泉之始達’. 始然始達, 能有幾多. 於這裏便當擴開放出, 使四散流出去, 便是能擴. 如怵惕孺子入井之心, 這一些子能做得甚事. 若不能充, 今日這些子發了, 又過卻, 明日這些子發了, 又過卻, 都只是閒. 若能擴充, 於這一事發見, 知得這是惻隱之心, 是仁; 於別底事便當將此心充去, 使事事是仁. 如不欲害人, 這是本心, 這是不忍處. 若能充之於每事上, 有害人之處便不可做, 這也是充其惻隱. 如齊宣王有愛牛之心, 孟子謂‘是乃仁術也’. 若宣王能充著這心, 看甚事不可做! 只是面前見這一牛, 這心便動, 那不曾見底, 便不如此了. 至於‘興甲兵, 危士臣, 構怨於諸侯’, 這是多少傷害! 只爲利心一蔽, 見得土地之美, 卻忘了這心. 故孟子曰: ‘不仁哉, 梁惠王也! 仁者以其所愛及其所不愛; 不仁者以其所不愛及其所愛. ’且如土地無情之物, 自是不當愛, 自家不必愛之, 愛他作甚. 梁惠王其始者愛心一萌, 縻爛其民以戰, 已自不是了; 又恐不勝, 盡驅所愛子弟以徇之. 這是由其不愛之心, 反之以至害其所愛處, 這又是反著那心處.” 子蒙(미상).
* 53:65 “凡有四端於我者, 知皆擴而充之”, 只是要擴而充之. 而今四端之發, 甚有不整齊處. 有惻隱處, 有合惻隱而不惻隱處; 有羞惡處, 又有合羞惡而不羞惡處. 且如齊宣不忍於一牛, 而卻不愛百姓. 呼爾之食, 則知惡而弗受; 至於萬鍾之祿, 則不辨禮義而受之. 而今則要就這處理會. 蘷孫(68이후).
* 53:66 人於仁義禮智, 惻隱·羞惡·辭遜·是非此四者, 須當日夕體究, 令分曉精確. 此四者皆我所固有, 其初發時毫毛如也. 及推廣將去, 充滿其量, 則廣大無窮, 故孟子曰: “知皆擴而充之.” 且如人有當惻隱而不惻隱, 當羞而不羞, 當惡而不惡, 當辭而不辭, 當遜而不遜, 是其所非, 非其所是者, 皆是失其本心. 此處皆當體察, 必有所以然也. 只此便是日用間做工夫處. 廣(65이후).
* 53:67 人只有箇仁義禮智四者, 是此身綱紐, 其他更無當. 於其發處, 體驗擴充將去. 惻隱·羞惡·是非·辭遜, 日間時時發動, 特人自不能擴充耳. 又言, 四者時時發動, 特有正不正耳. 如暴戾愚狠, 便是發錯了羞惡之心; 含糊不分曉, 便是發錯了是非之心; 如一種不遜; 便是發錯了辭遜之心. 日間一正一反, 無往而非四端之發. 方子(59이후).
* 53:68 子武問: “四端須著逐處擴充之?” 曰: “固是. 纔常常如此推廣, 少間便自會密, 自會闊. 到得無間斷, 少問卻自打合作一片去.” 木之(68때).
* 53:69 問: “如何擴而充之?” 曰: “這事恭敬, 那事也恭敬, 事事恭敬, 方是.” 節(64이후).
* 53:70 問: “推四端而行, 亦無欠闕.” 曰: “無欠闕, 只恐交加了: 合惻隱底不惻隱, 合羞惡底不羞惡, 是是非非交加了. 四端本是對著, 他後流出來, 恐不對窠臼子.” 問: “不對窠臼子, 莫是爲私意隔了?” 曰: “也是私意, 也是不曉.” 節又問: “恭敬卻無當不當?” 曰: “此人不當拜他, 自家也去拜他, 便不是.” 節(64이후).
* 53:71 問“推”字與“充”字. 曰: “推, 是從這裏推將去, 如‘老吾老以及人之老, 幼吾幼以及人之幼’, 到得此, 充則塡得來滿了. 注水相似, 推是注下水去, 充則注得這一器滿了. 蓋仁義之性, 本自充塞天地. 若自家不能擴充, 則無緣得這箇殼子滿, 只是箇空殼子.” 又曰: “充是占得這地位滿, 推是推吐雷反. 向前去.” 僩(69이후).
* 53:72 問: “推四端, 無出乎守.” 曰: “學者須見得守底是甚底物事. 人只是一箇心, 識得箇心, 卓然在這裏無走作, 雖不守, 亦自在, 學者且恁守將去.” 賜(66이후).
* 53:73 問“知皆擴而充之, 若火之始然”, 至“以事父母”. 曰: “此心之量, 本足以包括天地, 兼利萬物. 只是人自不能充滿其量, 所以推不去. 或能推之於一家, 而不能推之於一國; 或能推之于一國, 而不足以及天下, 此皆是未盡其本然之量. 須是充滿其量, 自然足以保四海.” 僩(69이후).
* 53:74 胡問擴充之義. 曰: “擴是張開, 充是放滿. 惻隱之心, 不是只見孺子時有, 事事都如此. 今日就第一件事上推將去, 明日又就第二件事上推將去, 漸漸放開, 自家及國, 自國及天下, 至足以保四海處, 便是充得盡.” 問: “擴充亦是盡己·推己否?” 曰: “只是擴而充之, 那曾有界限處! 如手把筆落紙, 便自成字, 不可道手是一樣, 字又是一樣. 孺子入井在彼, 惻隱之心在我, 只是一箇物事, 不可道孺子入井是他底, 惻隱之心是我底.” 義剛(64이후).
* 53:75 問: “前日承敎, 令於日用間體認仁義禮知意思. 且如朋友皆異鄕人, 一日會聚, 思意便自相親, 這可見得愛之理形見處. 同門中或有做不好底事, 或有不好底人, 便使人惡之, 這可見得羞惡之理形見處. 每時升堂, 尊卑序齒, 秩然有序而不亂, 這可見得恭敬之理形見處. 聽先生敎誨而能辨別得眞是眞非, 這可見得是非之理形見處. 凡此四端, 時時體認, 不使少有間斷, 便是所謂擴充之意否?” 曰: “
* 如此看得好, 這便是尋得路, 踏著了.” 賀孫(62이후).
* 53:76 問: “體認四端擴充之意, 如朋友相親, 充之而無間斷, 則貧病必相卹, 患難必相死, 至於仁民愛物莫不皆然, 則仁之理得矣. 如朋友責善, 充之而無間斷, 則見惡必如惡惡臭, 以至於除殘去穢, 戢暴禁亂, 莫不皆然, 則義之理得矣. 如尊卑秩序, 充之而無間斷, 則不肯一時安於不正, 以至於正天下之大倫, 定天下之大分, 莫不皆然, 則禮之理得矣. 如是是非非充之而無間斷, 則善惡義利公私之別, 截然而不可亂, 以至於分別忠佞, 親君子, 遠小人, 莫不皆然, 則智之理得矣.” 曰: “只要常常恁地體認. 若常常恁地體認, 則日用之間, 匝匝都滿, 密拶拶地.” 問: “人心陷溺之久, 四端蔽於利欲之私, 初用工亦未免間斷.” 曰: “固是. 然義理之心纔勝, 則利欲之念便消. 且如惻隱之心勝, 則殘虐之意自消; 羞惡之心勝, 則貪冒無恥之意自消; 恭敬之心勝, 則驕惰之意自消; 是非之心勝, 則含糊苟且頑冥昏謬之意自消.” 賀孫(62이후).
* 53:77 楊至之云: “看孟子, 見得一箇大意, 是性之本體, 仁義之良心, 到戰國時, 君臣上下都一齊埋沒了. 孟子所以推明發見之端緖, 敎人去體認擴充.” 曰: “孟子高, 他都未有許多意思. 今說得一‘體認’字, 蚤是遲鈍了孟子. 孟子大段見得敏, 見到快, 他說話, 恰似箇獅子跳躍相似. 且如他說箇惻隱之心, 便是仁之端; 羞惡之心, 便是義之端; 只他說在那裏底便是. 似他說時, 見得聖賢大段易做, 全無許多等級, 所以程子云: ‘孟子才高, 學之無可依據.’” 道夫(60이후).
* 53:78 周季儼云: “在興化攝學事, 因與諸生說得一部孟子.” 先生因問: “孟子裏面大綱目是如何?” 答云: “要得人充擴. 惻隱·羞惡·許多固要充擴, 如說無欲害人, 無穿窬之心, 亦要充擴.” 先生曰: “人生本來合有許多好底, 到得被物遮蔽了, 卻把不好處做合著做底事.” 周云: “看孟子說性, 只是道順底是, 纔逆便不是.” 曰: “止緣今人做不好事卻順.” 因問: “孟子以下諸人言性, 誰說得庶幾?” 周云: “似乎荀子以爲惡, 卻索性. 只荀子有意於救世, 故爲此說.” 先生久之曰: “韓公之意, 人多看不出. 他初便說: ‘所以爲性者五, 曰仁義禮智信; 所以爲情者七, 曰喜怒哀懼愛惡欲. ’下方說‘三品’. 看其初語, 豈不知得性善? 他只欠數字, 便說得出.” 黃嵩老云: “韓子欠說一箇氣稟不同.” 曰: “然. 他道仁義禮知信, 自是了. 只說到‘三品’, 不知是氣稟使然, 所以說得不盡.” 賀孫因云: “自孟子說, 已是欠了下意, 所以費無限言語.” 先生卽擧程子之言: “論性不論氣, 不備; 論氣不論性, 不明.” “若如說‘性惡’, ‘性善惡混’, 都只說得氣. 如孟子韓子之言, 便是不論氣, 所以不全.” 賀孫(62이후).
* 53:79 或問: “性中只有四端, 信是如何?” 曰: “且如惻隱羞惡, 實是惻隱羞惡, 便信在其中.” 祖道(68때).
* 53:80 問: “四端不言信, 周子謂‘五性動而善惡分’. 如信之未發時如何, 已發時如何?” 曰: “如惻隱眞箇惻隱, 羞惡眞箇羞惡, 此便是信.” 曰: “此卻是已發時, 方有這信.” 曰: “其中眞箇有此理.” 賜(66이후).
* 53:81 問: “四端不言信, 如何?” 曰: “公潑了碗中飯, 卻去碗背拾!” 振(미상).
* 53:82 問: “四端便是明德?” 曰: “此是大者.” 節問: “‘明明德’, 只是擴充得他去?” 曰: “不昏著他.” 節(64이후).
* 53:83 “四端是理之發, 七情是氣之發.” 問: “看得來如喜怒愛惡欲, 卻似近仁義.” 曰: “固有相似處.” 廣(65이후).
* 53:84 或問: “孟子言四端處有二, 大抵皆以心爲言. 明道卻云: ‘惻隱之類, 皆情也. ’伊川亦云: ‘人性所以善者, 於四端之情可見. ’一以四端屬諸心, 一以四端屬諸情, 何也?” 曰: “心, 包情性者也, 自其動者言之, 雖謂之情亦可也.” 去僞(46때). <集義.>
* 53:85 黃景申嵩老問: “仁兼四端意思, 理會不透.” 曰: “謝上蔡見明道先生, 擧史文成誦, 明道謂其‘玩物喪志’. 上蔡汗流浹背, 面發赤色, 明道云: ‘此便見得惻隱之心. ’公且道上蔡聞得過失, 恁地慚皇, 自是羞惡之心, 如何卻說道‘見得惻隱之心’? 公試思.” 久之, 先生曰: “惟是有惻隱之心, 方會動; 若無惻隱之心, 卻不會動. 惟是先動了, 方始有羞惡, 方始有恭敬, 方始有是非. 動處便是惻隱. 若不會動, 卻不成人. 若不從動處發出, 所謂羞惡者非羞惡, 所謂恭敬者非恭敬, 所謂是非者非是非. 天地生生之理, 這些動意未嘗止息, 看如何梏亡, 亦未嘗盡消滅, 自是有時而動, 學者只怕間斷了.” 賀孫(62이후).
* 53:86 問: “何謂惻隱?” 曰: “惻, 惻然也; 隱, 痛也.” 又問: “明道先生以上蔡面赤爲惻隱之心, 何也?” 曰: “指其動處而言之, 只是羞惡之心. 然惻隱之心必須動, 則方有羞惡之心. 如肅然恭敬, 其中必動. 羞惡·恭敬·是非之心, 皆自仁中出. 故仁, 專言則包四者, 是箇帶子. 無仁則麻痺死了, 安有羞惡恭敬是非之心! 仁則有知覺, 癢則覺得癢, 痛則覺得痛, 癢痛雖不同, 其覺則一也.” 又問: “若指動言仁, 則近禪.” 曰: “這箇如何占得斷! 是天下公共底. 釋氏也窺見些子, 只是他只知得這箇, 合惻隱底不惻隱, 合羞惡底不羞惡, 合恭敬底不恭敬.” 又問: “他卻無惻隱·羞惡·恭敬·是非?” 曰: “然.” 節(64이후).
* 53:87 仁言惻隱之端, 程云: “端如水之動處.” 蓋水平靜則不見其動流. 愛親敬兄, 皆是此心本然, 初無可見. 及其發而接物, 有所感動, 此心惻然, 所以可見, 如怵惕於孺子入井之類是也. 卓(미상). 按集義不見程說.
* 53:88 四端, 伊川云: “聖人無端, 故不見其心.” <今按: 遺書中止云: “復非天地心, 復則見天地心. 聖人無復, 故未嘗見其心. 今云‘無端’, 義亦不通, 恐誤.”> 閎祖(59이후).
* 53:89 龜山答人問赤子入井, 令求所以然一段, 好. 方(41때).
* ∞∞∞∞ 矢人豈不仁於函人章
* 53:90 問: “‘仁, 天之尊爵. ’先生解曰: ‘仁者, 天地生物之心, 得之最先. ’如何是得之最先?” 曰: “人得那生底道理, 所謂‘心, 生道’也. 有是心, 斯具是形以生也.” 廣(65이후).
* 53:91 “仁者如射”, 但那發時毫釐不可差! ∞∞∞∞ 子路人告以有過則喜章
* 53:92 “禹聞善言則拜”, 猶著意做. 舜與人同, 是自然氣象. 聖人之拜, 固出於誠意. 然拜是容貌間, 未見得行不行. 若舜, 則眞見於行事處, 己未善, 則舍己之未善而從人之善; 人有善, 則取人之善而爲己之善. 人樂於見取, 便是許助他爲善也. 淳(61·70때).
* 53:93 問: “‘是與人爲善’, 當其取人之際, 莫未有助之之意否?” 曰: “然.” 曰: “三者本意, 似只是取人, 但有淺深. 而‘與人爲善’, 乃是孟子再疊一意以發明之否?” 曰: “然.” 道夫(60이후).
* 53:94 大舜“樂取諸人以爲善”, 是成己之善, 是與人爲善, 也是著人之善. 端蒙(50이후).
* 53:95 “與人爲善”, 蓋舜不私己, 如爲人爲此善一般. 升卿(62때).
* ∞∞∞∞ 伯夷非其君不事章
* 53:96 問“進不隱賢, 必以其道”. 曰: “‘不隱賢’, 謂不隱避其賢, 如己當廉, 卻以利自汙; 己當勇, 卻以怯自處之類, 乃是隱賢, 是枉道也.” 又問: “所以不解作蔽賢, 謂其下文云‘必以其道’. 若作不蔽賢說, 則下文不同矣.” 曰: “然.” 人傑(51이후).
* 53:97 至問: “集注云: ‘“進不隱賢”, 不枉道也. ’似少字.” 曰: “‘進不隱賢’, 便是‘必以其道’. 人有所見, 不肯盡發出, 尙有所藏, 便是枉道.” 至云: “尋常看此二句, 只云進雖不敢自隱其賢, 凡有所蘊, 皆樂於發用, 然而卻不妄進, 二句做兩意看.” 曰: “恁地看也得.”
* 53:98 伯夷“不屑就已”, 注云: “屑, 潔也. 潔, 猶美也. 苟以其辭命禮意之美而就之, 是切切於是也.” 然伯夷“雖有善其辭命而至者”, 亦不肯就, 而況不道而無禮者, 固速去之矣. 世之所謂淸者, 不就惡人耳; 若善辭令而來者, 固有時而就之. 惟伯夷不然, 此其所以爲聖之淸也. 柳下惠不屑之意亦然. 夷隘, 惠不恭, 不必言效之而不至者, 其弊乃如此. 只二子所爲, 已有此弊矣. 僩(69이후).
* 53:99 “不屑去”, 說文說“屑”字云: “動作切切也.” 只是不汲汲於就, 不汲汲於去. “屑”字卻是重. <必大錄云: “不以就爲重, 而切切急於就; 不以去爲重, 而切切急於去.”> 㽦(59때).
* 53:100 問: “‘伯夷隘, 柳下惠不恭’, 莫是後來之弊至此否?” 曰: “伯夷自是有隘處, 柳下惠自是有不恭處. 且如‘雖袒裼裸裎於我側’, 分明是不將人做人看了!” 去僞(46때).
* 53:101 問: “‘柳下惠不恭’, 是待人不恭否?” 曰: “是他玩世, 不把人做人看, 如‘袒裼裸裎於我側’, 是已. 邵堯夫正是這意思, 如皇極經世書成, 封做一卷, 題云: ‘文字上呈堯夫.’” 㽦(59때).
* 53:102 或問: “明道云: ‘此非瑕疵夷惠之語, 言其弊必至於此. ’今觀伯夷與惡人處, ‘如以朝衣朝冠坐於塗炭’, 則伯夷果似隘者. 柳下惠‘雖袒裼裸裎於我側, 爾焉能浼我哉’! 柳下惠果似不恭者, 豈得謂其弊必至於此哉?” 曰: “伯夷旣淸, 必有隘處; 柳下惠旣和, 必有不恭處. 道理自是如此. 孟子恐後人以隘爲淸, 以不恭爲和, 故曰: ‘隘與不恭, 君子不由也.’” 去僞(46때).
n2pmktee6zhbck4ssfjdno9ltl7h3hy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44
250
101117
392360
391924
2025-06-23T01:26:02Z
ZornsLemon
15531
39236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ᄒᆞ얏더라 이윽고 {{u|나파륜 졔일}}이 그 웅심을 펴고ᄌᆞ ᄒᆞ야 {{du|일이만}} ᄯᅡ을 가져 혹 ᄉᆞᄅᆞᆷ을 쥬기도 ᄒᆞ며 혹 {{du|법국}}에 붓치기도 ᄒᆞ야 종심소욕ᄒᆞ야 무소고긔ᄒᆞ며 지어 {{u|보로ᄉᆞ}}<ref>프러시아(Prussia)</ref> 일국 ᄒᆞ야ᄂᆞᆫ 속국으로 알다가 {{u|보}}왕이 독립ᄒᆞᆯ ᄯᅳᆺ이 잇슴을 알고 즉일에 크게 증벌ᄒᆞ야 거의 그 나라ᄅᆞᆯ 망케 ᄒᆞ더니 {{u|나파륜 졔일}}이 ᄑᆡᄒᆞᄆᆡ {{du|법}}인이 {{du|보로ᄉᆞ}}에 이르러 요란치 아니ᄒᆞᆫ 자ㅣ 오십년이라 {{du|보국}}이 ᄐᆡ평ᄒᆞᆫ ᄯᅢᄅᆞᆯ 당ᄒᆞ고 인군과 신하ㅣ 다 과인지ᄌᆡ 잇고 인민이 ᄯᅩᄒᆞᆫ 근검ᄒᆞ야 국셰 크게 흥ᄒᆞ니 {{du|법국}}이 지쳑에 잇스ᄆᆡ {{du|덕국}}의 졍형을 낫낫치 알고 질투ᄒᆞᄂᆞᆫ 마음이 ᄯᅩᄒᆞᆫ 일증월가ᄒᆞ더라 일쳔팔ᄇᆡᆨ뉵십뉵년【금샹 ᄃᆡ군쥬 ᄉᆞᆷ년】에 {{du|보로사}}ㅣ {{du|오국}}과 ᄊᆞ와 크게 이기고 드듸여 {{du|일이만}} 븍부ᄅᆞᆯ 합ᄒᆞ야 ᄒᆞ나ᄅᆞᆯ ᄉᆞᆷ고 【상경 하권이라】 비단 이ᄲᅮᆫ 아니라 {{du|일이만}} 젼부ㅣ 쟝찻 다 {{du|보로ᄉᆞ}}에 합ᄒᆞᆯ지라 {{du|법}}인이 이르되 ᄂᆡ 힘을 빌지 아니ᄒᆞ고 졸지에 강ᄒᆞ엿다 ᄒᆞ고 약망ᄌᆞᄇᆡᄒᆞ야 조셕불안ᄒᆞ고 그 졍부 ᄃᆡ신이 다 ᄒᆞ되 {{du|법국}}이 {{du|보로사}}ᄅᆞᆯ 반다시 이긔ᄂᆞᆫ 계ᄎᆡᆨ을 졍ᄒᆞ여야 {{du|보로사}}ㅣ 비로소 부수청명ᄒᆞᆯ 거시요 불연이면 장ᄎᆞᆺ {{du|법국}}에 불리ᄒᆞ리라 ᄒᆞ더라 연이나 {{du|법국}}의 병ᄋᆡᆨ은 젼보다 ᄐᆡ감ᄒᆞ고 {{du|보국}}은 의긔양양ᄒᆞ야 고면ᄌᆞ호ᄒᆞ고 ᄯᅩ 새로 ᄆᆡᆫ든 양창이 잇셔 그 위엄을 도으니 {{du|법}}인이 스ᄉᆞ로 당치 못ᄒᆞᆯ 쥴 헤아리고 감히 ᄊᆞ호지 못ᄒᆞ더라 {{u|노의 나파륜}}이 심ᄉᆞ숙계ᄒᆞ되 ᄃᆡ젹지 못ᄒᆞᆯ 쥴 알고 {{du|법}}인의 ᄊᆞ홈ᄒᆞᄌᆞ ᄒᆞᄂᆞᆫ ᄌᆞᄅᆞᆯ 억졔ᄒᆞ나 그 마음은 항상 ᄒᆞᆫ번 ᄊᆞ홈ᄒᆞᆷ을 잇지 아니ᄒᆞ야 일으되 이졔 아직 ᄯᅢ가 아니라 ᄒᆞ고 좌우 ᄃᆡ신으로 더브러 군무ᄅᆞᆯ 졍돈ᄒᆞ야 불유여력ᄒᆞ고 {{du|일이만}}에 틈 잇슴을 기다려 ᄒᆞᆫ 번에 소탕ᄒᆞ야 당년에 위망을 회복고ᄌᆞ ᄒᆞ더니 일쳔팔ᄇᆡᆨ뉵십팔년【금상 ᄃᆡ군쥬 오년】에 {{du|법}}정이 병ᄋᆡᆨ을 더ᄒᆞ고 새 창을 졔조ᄒᆞ야 군ᄉᆞᄅᆞᆯ 쥬어 련습시기고 일면으로 풍셜을 ᄂᆡ야 이르되 {{du|법국}}이 병ᄋᆡᆨ 외에 다시 새 창을 지으ᄆᆡ 가이 취지 불금ᄒᆞ고 용지 불갈ᄒᆞ야 그 수ᄅᆞᆯ 알 수 업다 ᄒᆞ야 위엄을 장ᄒᆞ게 ᄒᆞ고 인심을 굿게 ᄒᆞ며 {{du|법}}황이 ᄯᅩ 군무ᄅᆞᆯ 졍돈ᄒᆞᆯ새 군즁의 ᄉᆞ소ᄒᆞᆫ 장정이라도 다 몸소 지어 용심ᄒᆞᆷ이 여ᄎᆞᄒᆞ더라
::뎨십일졀 {{du|법국}}이 {{du|덕국}}과 ᄊᆞ홈코ᄌᆞ ᄒᆞᆷ이라
{{nop}}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nqwnknvugnp8xwcshg1o5mqbhjm1rru
페이지:쥬역언해 제1책.djvu/6
250
101192
392353
392055
2025-06-23T00:34:53Z
1.245.51.194
39235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ymeu" /></noinclude>:ᄒᆞ야始ᄒᆞᄂᆞ니이예天텬을統ᄒᆞ얏도다<br>
雲운行ᄒᆡᆼ雨우施시{{작게|ᄒᆞ야}}品품物믈이流류形형{{작게|ᄒᆞᄂᆞ니라}}<br>
:雲운이行ᄒᆡᆼᄒᆞ며雨우ㅣ施시{{작게|ᄒᆞ야}}品품物믈이形형을流류ᄒᆞᄂᆞ니라<br>
大대明명終죵始시{{작게|ᄒᆞ만}}六륙位위時시成셩{{작게|ᄒᆞᄂᆞ니}}時시乘승六륙龍룡{{작게|ᄒᆞ야}}以이御어天텬{{작게|ᄒᆞᄂᆞ니라}}<br>
:終죵始시를크게明명ᄒᆞ면六륙位위ㅣ時시로成셩ᄒᆞᄂᆞ니時시로六륙龍룡을乘승ᄒᆞ야ᄡᅥ天텬을御어ᄒᆞᄂᆞ니라<br>
건乾도道ㅣ변變화化에各각正졍性셩命명{{작게|ᄒᆞᄂᆞ니}}保보合합大대和화{{작게|ᄒᆞ야}}乃내利리貞뎡{{작게|ᄒᆞ니라}}【本義】各각正졍性셩命{{작게|ᄒᆞ야}}保보合합大대和화{{작게|ᄒᆞᄂᆞ니}}乃내利리貞뎡{{작게|이니라}}
{{nop}}<noinclude><references/></noinclude>
jnc1r5wmk1rwaknzd83vl7xsawtf8d5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47
250
101211
392361
392087
2025-06-23T01:28:32Z
ZornsLemon
15531
39236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만이 되니 젼일에 {{u|노의 나파륜}}이 황졔ᄅᆞᆯ 칭ᄒᆞᆫ ᄯᅢᄂᆞᆫ 불가라 ᄒᆞᄂᆞᆫ 자ㅣ 겨우 이십오만이러니 지금은 신법을 불가라 ᄒᆞᄂᆞᆫ 자ㅣ 지어 일ᄇᆡᆨ오십만이 되니 이ᄂᆞᆫ 민심이 불복ᄒᆞᆷ을 가지오 더욱 염녀되ᄂᆞᆫ 바ᄂᆞᆫ 군심이 ᄒᆡ쳬ᄒᆞ니 만일 일조유ᄉᆞᄒᆞ면 션후지ᄎᆡᆨ이 업슬가 염녀ㅣ라 이럼으로 {{du|법}}황이 외국에 용병ᄒᆞ야 ᄒᆞᆫ번 ᄃᆡ쳡ᄒᆞ면 위력소급에 ᄂᆡ란을 막을 ᄲᅮᆫ 아니라 ᄌᆞ손의 긔업이 장구ᄒᆞᆯ가 ᄒᆞᆷ이라
연이 {{du|법국}}의 폐단이 이ᄲᅮᆫ이 아니라 신법이 가타 ᄒᆞᄂᆞᆫ ᄌᆞㅣ도 ᄯᅩᄒᆞᆫ 일으되 우리 황졔 년로ᄒᆞ야 셕일예 긔 업다 ᄒᆞ며 ᄯᅩ ᄀᆞᆯ오ᄃᆡ 조졍의 용도ㅣ ᄐᆡ다ᄒᆞ야 왕년에 비ᄒᆞ면 민쥬던지 황졔던지 왕이던지 이ᄯᅢ ᄀᆞᆺ치 심ᄒᆞᆷ이 업다 ᄒᆞ고 ᄯᅩ {{du|법}}황이 타국과 교졔ᄒᆞᆷ이 불션ᄒᆞ야 {{du|법국}}의 위망이 손상되고 긔변과 권슐이 점점 탄로되야 그 일의 선불션은 물논ᄒᆞ고 다 의심ᄒᆞ야 괴술이 잇다 ᄒᆞ니 시사ㅣ 지ᄎᆞᄒᆞᄆᆡ 위ᄌᆡᄐᆡᄌᆡ로다 ᄃᆡ신 {{u|졔이}}와 밋 구신당들은 {{du|법}}황이 남으로 {{du|의ᄃᆡ리}}ᄅᆞᆯ 도아 엄연이 강국을 ᄆᆡᆫ들고 북에ᄂᆞᆫ {{du|일이만}}이 잇셔 날노 강ᄃᆡᄒᆞ거ᄂᆞᆯ 졔어ᄒᆞᆯ 방ᄎᆡᆨ이 업스니 만일 남북이 일조에 이러나 {{du|법국}}을 치면 장ᄎᆞᆺ 엇지 방비ᄒᆞᆯ이오 ᄒᆞ야 상하의원과 ᄃᆡ소 졔신이 다 {{du|보로사}}와 ᄊᆞ호고져 ᄒᆞ며 {{du|파리}} ᄇᆡᆨ셩과 외도 인민들도 시셰ᄂᆞᆫ 아지 못ᄒᆞ나 ᄯᅩᄒᆞᆫ 수셩부화ᄒᆞ야 ᄊᆞ홈을 쥬장ᄒᆞ니 {{du|법}}황이 홀노 우에 잇셔 고장난명이라 {{du|법}}황이 비록 ᄊᆞ홈을 조아 아니ᄒᆞ나 신민의 핍박ᄒᆞᆫ 바ㅣ 되야 신법이 정ᄒᆞᆫ지 겨우 ᄉᆞ십일에 {{du|보로ᄉᆞ}}에 사로잡힌 바ㅣ 되니 ᄎᆞ호ㅣ라 텬실위디니 인하우언이리오 기후 {{du|법}}황이 보국 ᄃᆡ신 {{u|비ᄉᆞᄆᆡᆨ}}다려<ref>비스마르크(Bismarck)</ref> 일너 왈 과인이 귀국과 ᄊᆞ호ᄌᆞ ᄒᆞᆷ이 아니오 ᄇᆡᆨ셩의게 핍박되엿노라 ᄒᆞ더라
::뎨십ᄉᆞᆷ졀 {{du|법}}병이 방비 업슴이라
일쳔팔ᄇᆡᆨ칠십년 【금상 ᄃᆡ군쥬 칠년】 칠월 이십오일에 {{du|법}}황이 어림군을 거ᄂᆞ리고 {{du|몰치}}<ref>메츠(Metz)</ref> ᄯᅡ에 이르니 {{du|법국}} 동편 변방이라 드ᄃᆡ여 어영을 ᄇᆡ셜ᄒᆞ고 ᄃᆡ군이 모힘을 기다리더라 {{du|법}}황이 {{du|파리}} 셩을 ᄯᅥ나 {{du|몰치}}에 일을새 보ᄂᆞᆫ 자ㅣ 다 고장칭송ᄒᆞ고 만셰 부르ᄂᆞᆫ 소ᄅᆡ 귀에 ᄭᅳᆫ히지 아니ᄒᆞ니 {{du|법}}인의 ᄌᆞ긍ᄒᆞᆷ과 호ᄃᆡ 희공ᄒᆞᄂᆞᆫ 마음이 ᄯᅩᄒᆞᆫ 심ᄒᆞ더라 연이나 {{du|법}}황의 격셔ᄅᆞᆯ 바다 청후 조용ᄒᆞᄂᆞᆫ 자ㅣ 사십만이러니 이졔 륙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1akpx2pzdewok73jxa3h4eyrelbvf6
페이지:쥬역언해 제1책.djvu/7
250
101216
392352
392092
2025-06-23T00:33:57Z
1.245.51.194
39235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ymeu" /></noinclude>:乾건道도ㅣ變변ᄒᆞ야化화호매각각性셩命명을正졍ᄒᆞᄂᆞ니大대和화ᄅᆞᆯ保보合합ᄒᆞ야이예利리ᄒᆞ고貞뎡ᄒᆞ니라【本義】각각性셩命을正졍ᄒᆞ야大대和화ᄅᆞᆯ保보合합ᄒᆞᄂᆞ니利리貞뎡이니라<br>
首슈出츌庶셔物믈애萬만國국이咸함寧녕{{작게|ᄒᆞᄂᆞ니라}}
:庶셔物믈에웃듬으로出츌홈애萬만國국이다寧녕{{작게|ᄒᆞᄂᆞ니라}}<br>
象샹曰왈天텬行ᄒᆡᆼ이建건ᄒᆞ니君군子ᄌᆞㅣ以이ᄒᆞ야自ᄌᆞ彊강不블息식{{작게|ᄒᆞᄂᆞ니라}}<br>
:象샹애ᄀᆞᆯ오ᄃᆡ天텬의行ᄒᆡᆼ이建건ᄒᆞ니君군子ᄌᆞㅣ以이ᄒᆞ야스스로彊강ᄒᆞ야息식디아니ᄒᆞᄂᆞ니라<br>
潜ᄌᆞᆷ龍룡勿믈用용은陽양在ᄌᆡ下하也야ㅣ오<noinclude><references/></noinclude>
nu27e8fjb2or2ymg5sc7ptjyxpavgcu
페이지:쥬역언해 제1책.djvu/8
250
101279
392351
392175
2025-06-23T00:32:16Z
1.245.51.194
39235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ymeu" /></noinclude>:潛ᄌᆞᆷ龍룡勿믈用은陽양이下하애在ᄌᆡ흠이오<br>
見현龍룡在ᄌᆡ田뎐은德덕의施시ㅣ普보也야{{작게|ㅣ오}}<br>
:見현龍룡在ᄌᆡ田뎐은德덕의施시ㅣ普보흠이오<br>
終종日일乾건乾건은反반復복흠을道也야{{작게|ㅣ오}}
:終종日일乾건乾건은反반復복흠을道도로흠이오【本義】道도ᄅᆞᆯ反반復복홈이오<br>
或혹躍약在ᄌᆡ淵연{{작게|은}}進진{{작게|이}}无무咎구也{{작게|야}}ㅣ오<br>
:或혹躍약在ᄌᆡ淵연은進진이无무咎구ㅣ없슴이오<br>
飛비龍룡在ᄌᆡ天텬{{작게|은}}大대人인造조也{{작게|ㅣ오}}<br>
:飛비龍룡在ᄌᆡ天텬은大대人인의造조ㅣ오【本義】大대人인이造조홈이오<br>
亢항龍룡有유悔회{{작게|ᄂᆞᆫ}}盈영不블可가久구也ㅣ오<br><noinclude><references/></noinclude>
78pbaqy03y61y22tu5ttvkzm37woifc
392354
392351
2025-06-23T00:49:52Z
ZornsLemon
15531
39235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ymeu" /></noinclude>:潛ᄌᆞᆷ龍룡勿믈用용은陽양이下하애在ᄌᆡ흠이오<br>
見현龍룡在ᄌᆡ田뎐은德덕의施시ㅣ普보也야{{작게|ㅣ오}}<br>
:見현龍룡在ᄌᆡ田뎐은德덕의施시ㅣ普보흠이오<br>
終종日일乾건乾건은反반復복흠을道也야{{작게|ㅣ오}}
:終종日일乾건乾건은反반復복흠을道도로흠이오【本義】道도ᄅᆞᆯ反반復복홈이오<br>
或혹躍약在ᄌᆡ淵연{{작게|은}}進진{{작게|이}}无무咎구也야{{작게|ㅣ오}}<br>
:或혹躍약在ᄌᆡ淵연은進진이无무咎구ㅣ업슴이오<br>
飛비龍룡在ᄌᆡ天텬{{작게|은}}大대人인造조也{{작게|ㅣ오}}<br>
:飛비龍룡在ᄌᆡ天텬은大대人인의造조ㅣ오【本義】大대人인이造조홈이오<br>
亢항龍룡有유悔회{{작게|ᄂᆞᆫ}}盈영不블可가久구也{{작게|ㅣ오}}<br><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4nl1a6o6xdwk23p46c02hetf6ekhux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70
250
101369
392358
392294
2025-06-23T00:56:50Z
ZornsLemon
15531
39235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혜오ᄃᆡ {{du|일이만}} 합즁국의 대셰 이믜 졍ᄒᆞ얏스니 우리 소국을 ᄉᆞ랑ᄒᆞᄂᆞᆫ 도리ᄅᆞᆯ 다 ᄒᆞ얏다 ᄒᆞ더라 【이윽고 {{du|일이만}} 졔국 왕후ㅣ 다시 {{du|번복}}<ref>프랑크푸르트(Frankfurt)</ref> {{sic|ᄯᅢ|ᄯᅡ}}에 모이여 그 의론이 두 가지 잇스니 일은 외환을 막고 일은 ᄂᆡ란을 정ᄒᆞᆷ이러라】
{{du|구쥬}} 대란이 정ᄒᆞᄆᆡ {{du|일이만}} ᄇᆡᆨ셩이 그 인군ᄭᅦ 쳥ᄒᆞ야 젼일 언약ᄃᆡ로 졔도ᄅᆞᆯ 곳치고 ᄇᆡᆨ셩의게 거관ᄒᆞᄂᆞᆫ 권을 쥬라 ᄒᆞ야 독셔사ᄌᆞ와 모리ᄒᆞᄂᆞᆫ 상고ㅣ 다 말ᄒᆞ며 ᄯᅩ {{du|ᄒᆞᆫ락비}}와 {{u|조탄ᄇᆡᆨ}}<ref>뷔르템베르크(Württemberg)</ref> 두 소국이 잇셔 그 ᄉᆞ셰ᄂᆞᆫ 부득불 민원을 죳친 후에야 편안ᄒᆞᆯ지라 연이나 오직 {{du|보로사}}국은 조졍 셩셰 졍히 강ᄒᆞᄆᆡ ᄇᆡᆨ셩을 억졔코ᄌᆞ ᄒᆞ야 신보관에셔 긔탄 업시 말ᄒᆞᄂᆞᆫ 자ㅣ 잇스면 즉일에 그 문을 봉ᄒᆞ고 신보ᄅᆞᆯ 금ᄒᆞ더니 일쳔팔ᄇᆡᆨ십칠년【순조 십칠년】에 ᄯᅩ 한 ᄉᆞᄅᆞᆷ이 {{du|보}}왕ᄭᅦ 청ᄒᆞ야 졔도ᄅᆞᆯ 곳치ᄌᆞ ᄒᆞ며 ᄯᅩ 그 식언ᄒᆞᆷ을 ᄎᆡᆨᄒᆞ얏더니 뎡부 대신이 진로ᄒᆞ야 졔ᄉᆞᄒᆞ야 왈 너의 왕ᄭᅦ 구ᄒᆞᄂᆞᆫ ᄉᆞᄅᆞᆷ이 왕을 의심ᄒᆞᄂᆞᆫ 죄 잇다 ᄒᆞ고 ᄎᆞ외 {{du|일이만}} 렬방 국회에셔도 ᄯᅩᄒᆞᆫ ᄇᆡᆨ셩의게 권 줌을 싀려 ᄒᆞ야 다시 새로 ᄆᆡᆼ셰ᄒᆞ고 각 소국을 명ᄒᆞ야 구법을 죳게 ᄒᆞ야 다만 셰력으로 ᄇᆡᆨ셩을 압졔ᄒᆞ더니
일쳔팔ᄇᆡᆨ십팔 십구 이십년간【순조 십팔 십구 이십년】에 {{du|셔반아}}국과 {{du|의대리}} 소속 {{du|나파나사}}국이<ref>나폴리(Naples)</ref> 다 졔도ᄅᆞᆯ 곳쳐 환연 일신ᄒᆞ거ᄂᆞᆯ {{du|일이만}} 각 졔후 왕이 타국 인민이 졍ᄉᆞ ᄀᆡ혁ᄒᆞᆷ을 보고 그 ᄇᆡᆨ셩이 본바들가 염녀ᄒᆞ야 다 최최공구ᄒᆞ고 {{du|보}}왕은 특별히 엄지ᄅᆞᆯ 나려 왈 풍문에 부랑ᄑᆡ류ㅣ 망언 션동ᄒᆞ야 국졍을 요란ᄒᆞ고 민심을 고혹ᄒᆞ며 ᄯᅩ 감히 회당을 셰워 ᄌᆞ주지권을 구ᄒᆞ고 국가ᄅᆞᆯ 겁ᄒᆞ지 아니ᄒᆞᆫ다 ᄒᆞ니 이ᄂᆞᆫ 란민이라 ᄒᆞ고 {{du|일이만}} 국회에셔도 신보관을 단속ᄒᆞ야 감히 ᄇᆡᆨ셩을 고호ᄒᆞᄂᆞᆫ 일로 편언 쳑ᄌᆞ라도 신문에 올니ᄂᆞᆫ ᄌᆞᄂᆞᆫ 관가이 립각에 그 문을 봉ᄒᆞ며 그 더욱 감히 ᄇᆡᆨ셩을 위ᄒᆞ야 연편누독ᄒᆞ야 의론ᄒᆞᄂᆞᆫ ᄌᆞᄂᆞᆫ 가두고 그 신문 주인을 구츅ᄒᆞ며 ᄯᅩ ᄇᆡᆨ셩을 명ᄒᆞ야 무단히 모히여 조졍을 의론치 못ᄒᆞ게 ᄒᆞ니 이에 인심이 더욱 효연부졍ᄒᆞ야 도로ㅣ 측목ᄒᆞ고 감히 망녕된 말을 ᄒᆞ지 못ᄒᆞ더라 일쳔팔ᄇᆡᆨ십구년【순조 십구년】에 {{du|오국}} ᄌᆡ상 {{u|몰투니}}<ref>메테르니히(Metternich)</ref> 공쟉이 말ᄒᆞ야 왈 금일에 {{du|일이만}} ᄇᆡᆨ셩이 적이 편안ᄒᆞ다 ᄒᆞ더라
{{nop}}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ry60uar5t5elpq327kqu35t5bw7awe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74
250
101404
392332
2025-06-22T13:39:59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33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쳐로더부러교합하여둘이한몸이된다하여스니이글올너의외오지못하엿나냐
{{절||六}} 그러면두사ᄅᆞᆷ이안이요한몸이니고로하나님이ᄶᅡᆨ한바를사ᄅᆞᇫ이논으지못하나니라하니
{{절||七}} {{복원|갈}}오ᄃᆡ그런즉모쇼가우리를명하여각닙문서를주고ᄂᆡ보ᄂᆡ라하문엇지미뇨하니
{{절||八}} 예수갈오샤ᄃᆡ모쇼가너의마암완ᄑᆡ하물위하여너의를용납하여쳐를ᄂᆡ보ᄂᆡ라하여시되다못ᄐᆡ초에ᄂᆞᆫ글{{복원|엇}}치안으니라
{{절||九}} ᄂᆡ너의게일으나니오입에연고안이로써쳐를ᄂᆡ보ᄂᆡ고달은쳐를취하ᄂᆞᆫ쟈난음난을ᄒᆡᆼ{{복원|하}}미요ᄂᆡ{{복원|보}}ᄂᆡᆫ쳐를취하ᄂᆞᆫ쟈도ᄯᅩ한음ᄂᆞᆫ을ᄒᆡᆼ하미라하니
{{절||十}} 뎨자갈오ᄃᆡ사ᄅᆞᆷ이쳐과이갓타면쟝ᄀᆡ가지안으미니익하다하거날
{{절||十一}} 예수갈오샤ᄃᆡ뭇사ᄅᆞᆷ이다이말을밧지못하되오직타ᄂᆞᆫ쟈야능하문
{{절||十二}} ᄉᆡᆼᄂᆡ의고졔도잇고사ᄅᆞᆷ{{복원|으}}게베운고졔도잇{{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glfkl4y4hzzfmse4wipt6ipqsuv57bt
392333
392332
2025-06-22T13:40:59Z
Aspere
5453
39233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쳐로더부러교합하여둘이한몸이된다하여스니이글올너의외오지못하엿나냐
{{절||六}} 그러면두사ᄅᆞᆷ이안이요한몸이니고로하나님이ᄶᅡᆨ한바를사ᄅᆞᆷ이논으지못하나니라하니
{{절||七}} {{복원|갈}}오ᄃᆡ그런즉모쇼가우리를명하여각닙문서를주고ᄂᆡ보ᄂᆡ라하문엇지미뇨하니
{{절||八}} 예수갈오샤ᄃᆡ모쇼가너의마암완ᄑᆡ하물위하여너의를용납하여쳐를ᄂᆡ보ᄂᆡ라하여시되다못ᄐᆡ초에ᄂᆞᆫ글{{복원|엇}}치안으니라
{{절||九}} ᄂᆡ너의게일으나니오입에연고안이로써쳐를ᄂᆡ보ᄂᆡ고달은쳐를취하ᄂᆞᆫ쟈난음난을ᄒᆡᆼ{{복원|하}}미요ᄂᆡ{{복원|보}}ᄂᆡᆫ쳐를취하ᄂᆞᆫ쟈도ᄯᅩ한음ᄂᆞᆫ을ᄒᆡᆼ하미라하니
{{절||十}} 뎨자갈오ᄃᆡ사ᄅᆞᆷ이쳐과이갓타면쟝ᄀᆡ가지안으미니익하다하거날
{{절||十一}} 예수갈오샤ᄃᆡ뭇사ᄅᆞᆷ이다이말을밧지못하되오직타ᄂᆞᆫ쟈야능하문
{{절||十二}} ᄉᆡᆼᄂᆡ의고졔도잇고사ᄅᆞᆷ{{복원|으}}게베운고졔도잇{{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dl0kfpumtgwh6lz40vlso570jy9i09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75
250
101405
392334
2025-06-22T13:43:24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33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고텬국을위ᄒᆞ여스사로되ᄂᆞᆫ고졔도이스니능히밧으면밧으미라하니
{{절||十三}} ᄯᆡ여얼인아ᄒᆡ를다리고예수으게와셔그우에손을안찰{{복원|ᄒᆞ}}고빌고져ᄒᆞᄆᆡ뎨자ᄎᆡᆨ망{{복원|ᄒᆞ}}니
{{절||十四}} 예수갈오샤ᄃᆡ얼인아ᄒᆡ를용납ᄒᆞ여ᄂᆡ게나오게ᄒᆞ고금치말나ᄒᆞ문텬국이이런사ᄅᆞᆷ이미라ᄒᆞ고
{{절||十五}} 이여손을그우에안찰ᄒᆞ고거긔를ᄯᅥ나다라
{{절||十六}} 한사ᄅᆞᆷ이나아와갈오ᄃᆡ스승아ᄂᆡ맛당이무삼션을ᄒᆡᆼᄒᆞ며영ᄉᆡᆼ을{{복원|어}}드리요{{복원|ᄒᆞ}}니
{{절||十七}} 예수갈오샤ᄃᆡ엇지써ᄂᆡ게션을뭇나뇨한분션한이가잇나니라다못네가영ᄉᆡᆼ에들고져ᄒᆞ면계명을직키라{{복원|ᄒᆞ}}니
{{절||十八}} 갈오ᄃᆡ무어시니잇가예수갈오샤ᄃᆡ살인말며음ᄂᆞᆫ치말며도적질말며망녕된간증할{{?}}
{{절||十九}} 너의부모를공경ᄒᆞ며근쳐사랑하기를제몸갓치하라하니
{{절||二十}} 쇼년이갈오ᄃᆡᄂᆡ이거슨다직키엿ᄂᆞᆫᄃᆡ사로무삼부죡한거시잇{{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fytpywvblaa3fudeyap58wrgcptg03v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114
250
101406
392335
2025-06-22T13:53:45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33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함게ᄒᆞᄂᆞᆫ쟈라ᄒᆞ니
{{절||七十}} 뭇사ᄅᆞᆷ의압페셔모루노라ᄒᆞ며갈으되ᄂᆡ너의말ᄒᆞᄂᆞᆫ거슬아지못ᄒᆞ갓다ᄒᆞ고
{{절||七十一}} 나와문ᄭᅡᆫ에닐으니ᄯᅩ한비자보고함게잇ᄂᆞᆫ쟈으게갈으되이ᄯᅩ한나살ᄋᆡᆺ예수과함게ᄒᆞᄂᆞᆫ쟈라ᄒᆞ니
{{절||七十二}} 다시모루노라ᄒᆞ며ᄆᆡᆼ세ᄒᆞ여갈으되ᄂᆡ그사ᄅᆞᆷ을아지못ᄒᆞ노라ᄒᆞ고
{{절||七十三}} 이잇고겻테션쟈나와갈으되네실노데과한당인거시네말에낫타난다ᄒᆞ니
{{절||七十四}} 피들이비르소욕ᄒᆞ며ᄆᆡᆼ세ᄒᆞ여갈으되ᄂᆡ그사ᄅᆞᆷ을아지못ᄒᆞ노라하난데달기우ᄂᆞᆫ지라
{{절||七十五}} 피들이예수달울기젼에네세번나를모룬다하물ᄉᆡᆼ각하고이여밧게나가통곡하더라
== 맛ᄃᆡ복음뎨이십칠쟝 ==
{{절||一}} 아츰에졔사쟝과ᄇᆡᆨ셩의쟝노가함게도모하여예수를죽이려하여
{{절||二}} 결박하여ᄭᅳ을고방ᄇᆡᆨ피나토으게날으니
{{절||三}} ᄯᆡ여스승{{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3x3d273vsu82vpkuh2ig7ee3bxojanu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31
250
101407
392336
2025-06-22T14:00:3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시혹〮 間{{*|간〮}}色{{*|ᄉᆡᆨ〮}}服{{*|뽁〮}}이〮라〮 ᄒᆞ며〮 ::세〯 가짓〮 비〮ᄎᆞ로〮 일울〮ᄊᆡ〮니라〮 :시혹〮 慈{{*|ᄍᆞᆼ}}悲{{*|빙}}衣{{*|ᅙᅴᆼ}}라〮 ᄒᆞ며〮 시혹〮 福{{*|복〮}}田{{*|뗜}}衣{{*|ᅙᅴᆼ}}라〮 ᄒᆞ〮ᄂᆞ니〮라〮 各{{*|각〮}}別{{*|벼ᇙ〮}}ᄒᆞᆫ 일후〮믄〮 ᄒᆞ나ᄒᆞᆫ〮 僧{{*|스ᇰ}}伽{{*|꺙}}梨{{*|링}}니〮 雜{{*|...
39233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시혹〮 間{{*|간〮}}色{{*|ᄉᆡᆨ〮}}服{{*|뽁〮}}이〮라〮 ᄒᆞ며〮
::세〯 가짓〮 비〮ᄎᆞ로〮 일울〮ᄊᆡ〮니라〮
:시혹〮 慈{{*|ᄍᆞᆼ}}悲{{*|빙}}衣{{*|ᅙᅴᆼ}}라〮 ᄒᆞ며〮 시혹〮 福{{*|복〮}}田{{*|뗜}}衣{{*|ᅙᅴᆼ}}라〮 ᄒᆞ〮ᄂᆞ니〮라〮 各{{*|각〮}}別{{*|벼ᇙ〮}}ᄒᆞᆫ 일후〮믄〮 ᄒᆞ나ᄒᆞᆫ〮 僧{{*|스ᇰ}}伽{{*|꺙}}梨{{*|링}}니〮 雜{{*|짭〮}}碎{{*|쇵〮}}衣{{*|ᅙᅴᆼ}}라〮 혼〮 마〯리니〮
::碎{{*|쇵〮}}ᄂᆞᆫ〮 ᄇᆞᅀᆞᄎᆞᆯ〮씨〮라〮 條{{*|뚀ᇢ}}相{{*|샤ᇰ〮}}이〮 할ᄊᆡ〮니라〮 ○ 西{{*|솅}}域{{*|ᅙᆑᆨ〮}}記{{*|긩〮}}예〮 닐오〮ᄃᆡ〮 僧{{*|스ᇰ}}伽{{*|꺙}}梨{{*|링}}ᄂᆞᆫ〮 合{{*|ᅘᅡᆸ〮}}이〮라〮 ᄒᆞ며〮 重{{*|뜌ᇰ}}이〮라〮 혼〮 마〯리니〮 ᄇᆞ〮려 어울〮워〮 일우〮며〮 重{{*|뜌ᇰ}}複{{*|복〮}}衣{{*|ᅙᅴᆼ}}라〮 혼〮 마〯리라〮 重{{*|뜌ᇰ}}複{{*|복〮}}ᄋᆞᆫ〮 겨〮필씨〮라〮
{{nop}}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5dd4ieotrbqilbei93h5q73m394bvy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32
250
101408
392337
2025-06-22T14:01:00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ᄡᅮ〮믈〮 조초ᇙ〮뎬〮 일후〮미〮 王{{*|ᅌᅪᇰ}}宮{{*|구ᇰ}}聚{{*|쯍〮}}落{{*|락〮}}애〮 드〮ᄂᆞᆫ 오〮시라〮 ::乞{{*|크ᇙ〮}}食{{*|씩〮}}說{{*|ᄉᆑᇙ〮}}法{{*|법〮}} 時{{*|씽}}예〮 닙ᄂᆞ니〮라〮 :둘〯흔 鬱{{*|ᅙᅮᇙ〮}}多{{*|당}}羅{{*|랑}}僧{{*|스ᇰ}}이〮니〮 中{{*|듀ᇰ}}價{{*|강〮}}衣{{*|ᅙᅴᆼ}}라〮 혼〮 마〯리니〮 ::價{{*|강〮}}ᄂᆞᆫ...
39233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ᄡᅮ〮믈〮 조초ᇙ〮뎬〮 일후〮미〮 王{{*|ᅌᅪᇰ}}宮{{*|구ᇰ}}聚{{*|쯍〮}}落{{*|락〮}}애〮 드〮ᄂᆞᆫ 오〮시라〮
::乞{{*|크ᇙ〮}}食{{*|씩〮}}說{{*|ᄉᆑᇙ〮}}法{{*|법〮}} 時{{*|씽}}예〮 닙ᄂᆞ니〮라〮
:둘〯흔 鬱{{*|ᅙᅮᇙ〮}}多{{*|당}}羅{{*|랑}}僧{{*|스ᇰ}}이〮니〮 中{{*|듀ᇰ}}價{{*|강〮}}衣{{*|ᅙᅴᆼ}}라〮 혼〮 마〯리니〮
::價{{*|강〮}}ᄂᆞᆫ〮 갑시니〮 갑시〮 두〯 옷〮 ᄉᆞᅀᅵ〮라〮
:ᄡᅮ〮믈〮 조초ᇙ〮뎬〮 일후〮미〮 한 사〯ᄅᆞᄆᆡ〮게 드〮는 오〮시라〮
::禮{{*|렝〯}}誦{{*|쑈ᇰ〮}}齋{{*|쟁}}講{{*|가ᇰ〯}} 時{{*|씽}}예〮 닙ᄂᆞ니〮라〮
:세〯ᄒᆞᆫ 安{{*|ᅙᅡᆫ}}陁{{*|땅}}會{{*|ᅘᅬᆼ〮}}니〮 下{{*|ᅘᅡᆼ〯}}衣{{*|ᅙᅴᆼ}}라〮 혼〮 마〯리니〮
{{nop}}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2w2955iqwafwzmttjukwi6nd3a67u4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33
250
101409
392338
2025-06-22T14:01:3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ᄆᆞᆺ〮 아래〮며〮 아래〮 닙논〮 젼ᄎᆡ〮라〮 :ᄡᅮ〮믈〮 조초ᇙ〮뎬〮 일후〮미〮 院{{*|ᅌᅯᆫ〮}}內{{*|뇡〮}}예〮셔〮 道{{*|또ᇢ〯}}行{{*|ᅘᆡᇰ}}雜{{*|짭〮}}作{{*|작〮}}ᄒᆞᇙ 젯 오〮시라〮 ::雜{{*|짭〮}}作{{*|작〮}}ᄋᆞᆫ〮 잡〮일〯ᄒᆞᆯ씨〮라〮 ○ 聚{{*|쯍〮}}落{{*|락〮}}애〮 들〮어 나〮 한 사〯ᄅᆞᆷ 조ᄎᆞᇙ〮 저기〮면〮...
39233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ᄆᆞᆺ〮 아래〮며〮 아래〮 닙논〮 젼ᄎᆡ〮라〮
:ᄡᅮ〮믈〮 조초ᇙ〮뎬〮 일후〮미〮 院{{*|ᅌᅯᆫ〮}}內{{*|뇡〮}}예〮셔〮 道{{*|또ᇢ〯}}行{{*|ᅘᆡᇰ}}雜{{*|짭〮}}作{{*|작〮}}ᄒᆞᇙ 젯 오〮시라〮
::雜{{*|짭〮}}作{{*|작〮}}ᄋᆞᆫ〮 잡〮일〯ᄒᆞᆯ씨〮라〮 ○ 聚{{*|쯍〮}}落{{*|락〮}}애〮 들〮어 나〮 한 사〯ᄅᆞᆷ 조ᄎᆞᇙ〮 저기〮면〮 몯〯 닙ᄂᆞ니〮라〮
:○ 律{{*|류ᇙ〮}}中{{*|듀ᇰ}}엔〮 오〮히려〮 깁〯과〮 뵈〮와〮ᄅᆞᆯ〮 通{{*|토ᇰ}}케〮 ᄒᆞ〮얫〮거니〮와〮 業{{*|ᅌᅥᆸ〮}}䟽{{*|송〮}}ᄃᆞᆯ〮핸〮 깁〯도〮 몯〯ᄒᆞ리〮라〮 ᄒᆞ니〮 䟽{{*|송〮}}애〮 닐오〮ᄃᆡ〮 오〮시〮 梵{{*|뻠〮}}服{{*|뽁〮}}이〮라〮 四{{*|ᄉᆞᆼ〮}}無{{*|뭉}}量{{*|랴ᇰ〮}}ᄋᆞᆯ〮 行{{*|ᅘᆡᇰ}}ᄒᆞ〮ᄂᆞ니〮 殺{{*|사ᇙ〮}}生{{*|ᄉᆡᇰ}}ᄒᆞᆫ ᄃᆞᆯ〮 아로〮ᄃᆡ〮 니부〮미〮 몯〯ᄒᆞ리〮라〮 그 오〮ᄉᆡ〮 體{{*|톙〯}}ᄂᆞᆫ〮 모로〮매〮 둗거ᄫᅳ〮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qagz99ywak7plr6mkrha8hgf7nlhus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34
250
101410
392339
2025-06-22T14:02:2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며〮 ᄎᆡᆨᄎᆡᆨ호〮ᄆᆞᆯ〮 求{{*|꾸ᇢ}}ᄒᆞ고〮 빗〮나〯ᄆᆞᆯ〮 여희〮요ᇙ디〮니〮 律{{*|류ᇙ〮}}에〮 닐오〮ᄃᆡ〮 ᄀᆞ〮ᄂᆞᆯ며〮 열ᄫᅳ〮며〮 生{{*|ᄉᆡᇰ}}ᄒᆞ며〮 서ᇰ긔〮며〮 綾{{*|르ᇰ}}羅{{*|랑}} 錦{{*|금〯}}綺{{*|킝〯}} 紗{{*|상}}縠{{*|ᅘᅩᆨ〮}} 紬{{*|뜌ᇢ}}絹{{*|ᄀᆑᆫ〮}} 等{{*|드ᇰ〯}}은〮 다〯 法{{*|법〮}}物{{*|무ᇙ〮}}...
39233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며〮 ᄎᆡᆨᄎᆡᆨ호〮ᄆᆞᆯ〮 求{{*|꾸ᇢ}}ᄒᆞ고〮 빗〮나〯ᄆᆞᆯ〮 여희〮요ᇙ디〮니〮 律{{*|류ᇙ〮}}에〮 닐오〮ᄃᆡ〮 ᄀᆞ〮ᄂᆞᆯ며〮 열ᄫᅳ〮며〮 生{{*|ᄉᆡᇰ}}ᄒᆞ며〮 서ᇰ긔〮며〮 綾{{*|르ᇰ}}羅{{*|랑}} 錦{{*|금〯}}綺{{*|킝〯}} 紗{{*|상}}縠{{*|ᅘᅩᆨ〮}} 紬{{*|뜌ᇢ}}絹{{*|ᄀᆑᆫ〮}} 等{{*|드ᇰ〯}}은〮 다〯 法{{*|법〮}}物{{*|무ᇙ〮}}이〮 아니〮라〮
::綾{{*|르ᇰ}}은〮 紋{{*|문}} 잇ᄂᆞᆫ 기〯비오〮 綺{{*|킝〯}}ᄂᆞᆫ〮 ᄀᆞ〮ᄂᆞᆫ 綾{{*|르ᇰ}}이〮오〮 縠{{*|ᅘᅩᆨ〮}}은〮 ᄀᆞ〮ᄂᆞᆫ 기〯비오〮 絹{{*|ᄀᆑᆫ〮}}은〮 기〯비라〮
:智{{*|딩〮}}論{{*|론〮}}애〮 닐오〮ᄃᆡ〮 如{{*|ᅀᅧᆼ}}來{{*|ᄅᆡᆼ}} 麁{{*|총}}布{{*|봉〮}}僧{{*|스ᇰ}}伽{{*|꺙}}梨{{*|링}}ᄅᆞᆯ〮 니브시〮다〮 ᄒᆞ며〮 녜〯록〮브터〮 道{{*|또ᇢ〯}}理{{*|링〯}} 잇ᄂᆞᆫ 노ᄑᆞᆫ〮 쥬ᇰ〯이〮 뵈〮누비〮예〮 ᄡᅮ〮글〮 두고〮 ᄒᆞᆫ 실〯도〮 섯디〮 아니〮ᄒᆞ〮ᄂᆞ〮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fsejioutwd6mtzx6b740cp180ghiim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35
250
101411
392340
2025-06-22T14:02:56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니라〮 ○ 律{{*|류ᇙ〮}}에〮 닐오〮ᄃᆡ〮 爲{{*|ᅌᅱᆼ}}頭{{*|뚜ᇢ}}ᄒᆞᆫ 비쳇〮 믈〮 드〮륜 오〮ᄉᆞᆫ〮 몯〯 니브〮리니〮 허러〮 袈{{*|강}}裟{{*|상}}ㅅ 비〮츨〮 ᄆᆡᇰᄀᆞ〮로ᇙ디〮니〮 ᄯᅩ〮 일후〮미〮 壞{{*|ᅘᅫᆼ〮}}色{{*|ᄉᆡᆨ〮}}이〮니〮 戒{{*|갱〮}}本{{*|본〯}} 中{{*|듀ᇰ}}에〮 세〯 가짓〮 허러〮 드〮륜 므〮리〮 다〯 法{{*...
39234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니라〮 ○ 律{{*|류ᇙ〮}}에〮 닐오〮ᄃᆡ〮 爲{{*|ᅌᅱᆼ}}頭{{*|뚜ᇢ}}ᄒᆞᆫ 비쳇〮 믈〮 드〮륜 오〮ᄉᆞᆫ〮 몯〯 니브〮리니〮 허러〮 袈{{*|강}}裟{{*|상}}ㅅ 비〮츨〮 ᄆᆡᇰᄀᆞ〮로ᇙ디〮니〮 ᄯᅩ〮 일후〮미〮 壞{{*|ᅘᅫᆼ〮}}色{{*|ᄉᆡᆨ〮}}이〮니〮 戒{{*|갱〮}}本{{*|본〯}} 中{{*|듀ᇰ}}에〮 세〯 가짓〮 허러〮 드〮륜 므〮리〮 다〯 法{{*|법〮}}답〯다〮 호〮미니〮 ᄒᆞ나ᄒᆞᆫ〮 靑{{*|쳐ᇰ}}色{{*|ᄉᆡᆨ〮}}이〮오〮
::僧{{*|스ᇰ}}衹{{*|낑}}예〮 닐오〮ᄃᆡ〮 銅{{*|또ᇰ}}靑{{*|쳐ᇰ}}이〮라〮 ᄒᆞ니〮 銅{{*|또ᇰ}}ᄋᆞᆫ〮 구리〮라〮
:둘〯흔 黑{{*|흑〮}}色{{*|ᄉᆡᆨ〮}}이〮오〮
::거믄〮 ᄒᆞᆰ므〮리라〮 이〮젯 禪{{*|쎤}}衆{{*|쥬ᇰ〮}}의〮 深{{*|심}}黲{{*|참〯}}과〮 深{{*|심}}蒼{{*|차ᇰ}}褐{{*|ᅘᅡᇙ〮}}이〮 다〯 黑{{*|흑〮}}色{{*|ᄉᆡᆨ〮}}이〮 ᄀᆞᆮ〮ᄒᆞ니〮라〮 黲{{*|참〯}}은〮 녀튼〮 靑{{*|쳐ᇰ}}黑{{*|흑〮}}色{{*|ᄉᆡᆨ〮}}이〮오〮 蒼{{*|차ᇰ}}은〮 프를〮씨〮오〮 褐{{*|ᅘᅡᇙ〮}}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dbal3m79dqh40icxwnhcwnc89zawpqq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36
250
101412
392341
2025-06-22T14:17:3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ᄋᆞᆫ〮 터러그〮로〮 ᄧᅩᆫ〮 뵈〮라〮 :세〯ᄒᆞᆫ 木{{*|목〮}}蘭{{*|란}}ㅅ 비〮치니〮 ::西{{*|솅}}蜀{{*|쑉〮}}木{{*|목〮}}蘭{{*|란}}ㅅ 거치〮 븕고〮 거믄〮 비〮치〮 드〮ᄂᆞ니〮 이〮젯 기피〮 누른〮 기〯비〮 져〯기〮 ᄲᅥ즛 ᄒᆞ니〮라〮 :이〮 세〯 비〮치〮 모로〮매〮 俗{{*|쑉〮}}中{{*|듀ᇰ}}엣〮 五{{*|ᅌᅩᆼ〯}}方{{*|바ᇰ}}正{{*|...
39234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ᄋᆞᆫ〮 터러그〮로〮 ᄧᅩᆫ〮 뵈〮라〮
:세〯ᄒᆞᆫ 木{{*|목〮}}蘭{{*|란}}ㅅ 비〮치니〮
::西{{*|솅}}蜀{{*|쑉〮}}木{{*|목〮}}蘭{{*|란}}ㅅ 거치〮 븕고〮 거믄〮 비〮치〮 드〮ᄂᆞ니〮 이〮젯 기피〮 누른〮 기〯비〮 져〯기〮 ᄲᅥ즛 ᄒᆞ니〮라〮
:이〮 세〯 비〮치〮 모로〮매〮 俗{{*|쑉〮}}中{{*|듀ᇰ}}엣〮 五{{*|ᅌᅩᆼ〯}}方{{*|바ᇰ}}正{{*|져ᇰ〮}}色{{*|ᄉᆡᆨ〮}}과〮
::靑{{*|쳐ᇰ}} 黃{{*|ᅘᅪᇰ}} 赤{{*|쳑〮}} 白{{*|ᄈᆡᆨ〮}} 黑{{*|흑〮}}이〮라〮
:五{{*|ᅌᅩᆼ〯}}間{{*|간〮}}色{{*|ᄉᆡᆨ〮}}ᄋᆞᆯ〮 여희〮요ᇙ디〮니라〮
{{nop}}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nmuaxlmwnojaks4kixmsq8ubz4cw79y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37
250
101413
392342
2025-06-22T14:18:01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緋{{*|빙}}紅{{*|ᅘᅩᇰ}}紫{{*|ᄌᆞᆼ〯}}綠{{*|록〮}}碧{{*|벽〮}}이〮라〮 緋{{*|빙}}ᄂᆞᆫ〮 ᄀᆞ자ᇰ〮 블글〮씨〮오〮 紅{{*|ᅘᅩᇰ}}ᄋᆞᆫ〮 븕고〮 ᄒᆡᆯ〮씨〮오〮 綠{{*|록〮}}ᄋᆞᆫ〮 프르〮고〮 누를〮씨〮오〮 碧{{*|벽〮}}은〮 기피〮 프른〮 비〮치라〮 :業{{*|ᅌᅥᆸ〮}}䟽{{*|송〮}}애〮 닐오〮ᄃᆡ〮 錦{{*|금〯}}色{{*|ᄉᆡᆨ〮}}斑{{*|반...
39234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緋{{*|빙}}紅{{*|ᅘᅩᇰ}}紫{{*|ᄌᆞᆼ〯}}綠{{*|록〮}}碧{{*|벽〮}}이〮라〮 緋{{*|빙}}ᄂᆞᆫ〮 ᄀᆞ자ᇰ〮 블글〮씨〮오〮 紅{{*|ᅘᅩᇰ}}ᄋᆞᆫ〮 븕고〮 ᄒᆡᆯ〮씨〮오〮 綠{{*|록〮}}ᄋᆞᆫ〮 프르〮고〮 누를〮씨〮오〮 碧{{*|벽〮}}은〮 기피〮 프른〮 비〮치라〮
:業{{*|ᅌᅥᆸ〮}}䟽{{*|송〮}}애〮 닐오〮ᄃᆡ〮 錦{{*|금〯}}色{{*|ᄉᆡᆨ〮}}斑{{*|반}}綺{{*|킝〯}}ᄂᆞᆫ〮 ᄆᆞᅀᆞᄆᆞᆯ〮 뮈우〮며〮
::斑{{*|반}}ᄋᆞᆫ〮 어르누글〮씨〮라〮
:靑{{*|쳐ᇰ}}黃{{*|ᅘᅪᇰ}}五{{*|ᅌᅩᆼ〯}}綵{{*|ᄎᆡᆼ〯}}眞{{*|진}}紫{{*|ᄌᆞᆼ〯}}上{{*|쌰ᇰ〮}}色{{*|ᄉᆡᆨ〮}}ᄋᆞᆫ〮 世{{*|솅〮}}俗{{*|쑉〮}}이〮 貪{{*|탐}}ᄒᆞᆯᄊᆡ〮 다〯 몯〯ᄒᆞ리〮라〮
::부텻 法{{*|법〮}}에〮 얼구를〮 헐〯며〮 비〮츨〮 허〯르〮샤ᄆᆞᆫ〮 俗{{*|쑉〮}}애〮셔〮 달아〮 慚{{*|짬}}媿{{*|귕〮}} 잇과〮뎌〮 ᄒᆞ〮시니〮 黲{{*|참〯}}色{{*|ᄉᆡᆨ〮}}ᄋᆞᆫ〮 世{{*|솅〮}}俗{{*|쑉〮}}이〮 ᄡᅳ〮디〮 아니〮ᄒᆞ며〮 ᄯᅩ〮 正{{*|져ᇰ〮}}色{{*|ᄉᆡᆨ〮}}이〮 아닐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ti3vpqhym310i1jwsii69b6342iwsdr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38
250
101414
392343
2025-06-22T14:19:05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ᄊᆡ〮 道{{*|또ᇢ〯}}人{{*|ᅀᅵᆫ}}이〮 니부〮미〮 正{{*|져ᇰ〮}}히〮 맛〮다ᇰ〮ᄒᆞ니〮라〮 ᄯᅩ〮 수플〮 아랫〮 禪{{*|쎤}}人{{*|ᅀᅵᆫ}}이〮 자〮시〮 머러〮 믈〮 드〮류미〮 어려〮ᄫᅳ니〮 黲{{*|참〯}}淡{{*|땀〮}}ᄒᆞᆫ 비〮치〮 해〯 자 업〯고〮 쉬〯ᄫᅳ니〮라〮 淡{{*|땀〮}}은〮 ᄆᆞᆯᄀᆞᆯ〮씨〮라〮 :○ 律{{*|류ᇙ〮}}에〮 닐...
39234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ᄊᆡ〮 道{{*|또ᇢ〯}}人{{*|ᅀᅵᆫ}}이〮 니부〮미〮 正{{*|져ᇰ〮}}히〮 맛〮다ᇰ〮ᄒᆞ니〮라〮 ᄯᅩ〮 수플〮 아랫〮 禪{{*|쎤}}人{{*|ᅀᅵᆫ}}이〮 자〮시〮 머러〮 믈〮 드〮류미〮 어려〮ᄫᅳ니〮 黲{{*|참〯}}淡{{*|땀〮}}ᄒᆞᆫ 비〮치〮 해〯 자 업〯고〮 쉬〯ᄫᅳ니〮라〮 淡{{*|땀〮}}은〮 ᄆᆞᆯᄀᆞᆯ〮씨〮라〮
:○ 律{{*|류ᇙ〮}}에〮 닐오〮ᄃᆡ〮 모〮ᄆᆞᆯ〮 견조〮아〮 니버〮 足{{*|죡〮}}ᄒᆞᆯ 만〮ᄒᆞ라〮 ᄒᆞ니〮 몸〮 견주〮ᄂᆞᆫ 法{{*|법〮}}은〮 몬져 옷〮 ᄀᆞᅀᆞᄆᆞ〮로〮 엇게〮로셔〮 밧귀〯머리〮 우희〮 네〯 가락만〮 견주〮아〮 쟉〮ᄋᆞᆯ〮 ᄆᆡᇰᄀᆞᆯ〮오〮 녀〮나ᄆᆞᆫ〮 葉{{*|엽〮}}相{{*|샤ᇰ〮}}ᄋᆞᆫ〮 마ᄌᆞᆯ〮 야ᇰ〯ᄋᆞ〮로〮 ᄒᆞ라〮 ○ 下{{*|ᅘᅡᆼ〯}}衣{{*|ᅙᅴᆼ}}五{{*|ᅌᅩᆼ〯}}條{{*|뚀ᇢ}}ᄂᆞᆫ〮 一{{*|ᅙᅵᇙ〮}}長{{*|땨ᇰ}}一{{*|ᅙᅵᇙ〮}}短{{*|돤〯}}ᄒᆞ고〮 中{{*|듀ᇰ}}衣{{*|ᅙᅴᆼ}}七{{*|치ᇙ〮}}條{{*|뚀ᇢ}}ᄂᆞᆫ〮 兩{{*|랴ᇰ〯}}長{{*|땨ᇰ}}一{{*|ᅙᅵᇙ〮}}短{{*|돤〯}}ᄒᆞ고〮 大{{*|땡〮}}衣{{*|ᅙᅴᆼ}}三{{*|삼}}品{{*|픔〯}}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ydl26qe4011f813i2o0znww3l08qyo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39
250
101415
392344
2025-06-22T14:19:3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에〮 下{{*|ᅘᅡᆼ〯}}品{{*|픔〯}}이〮 세〯히니〮 九{{*|구ᇢ〯}}條{{*|뚀ᇢ}} 十{{*|씹〮}}一{{*|ᅙᅵᇙ〮}}條{{*|뚀ᇢ}} 十{{*|씹〮}}三{{*|삼}}條{{*|뚀ᇢ}}ㅣ니〮 다〯 兩{{*|랴ᇰ〯}}長{{*|땨ᇰ}}一{{*|ᅙᅵᇙ〮}}短{{*|돤〯}}ᄒᆞ고〮 中{{*|듀ᇰ}}品{{*|픔〯}} 세〯흔 十{{*|씹〮}}五{{*|ᅌᅩᆼ〯}} 十{{*|씹〮}}七{{*|치ᇙ〮}} 十{{*|씹〮}}九{{*|구ᇢ〯}}條{{*|뚀ᇢ}}ㅣ...
39234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에〮 下{{*|ᅘᅡᆼ〯}}品{{*|픔〯}}이〮 세〯히니〮 九{{*|구ᇢ〯}}條{{*|뚀ᇢ}} 十{{*|씹〮}}一{{*|ᅙᅵᇙ〮}}條{{*|뚀ᇢ}} 十{{*|씹〮}}三{{*|삼}}條{{*|뚀ᇢ}}ㅣ니〮 다〯 兩{{*|랴ᇰ〯}}長{{*|땨ᇰ}}一{{*|ᅙᅵᇙ〮}}短{{*|돤〯}}ᄒᆞ고〮 中{{*|듀ᇰ}}品{{*|픔〯}} 세〯흔 十{{*|씹〮}}五{{*|ᅌᅩᆼ〯}} 十{{*|씹〮}}七{{*|치ᇙ〮}} 十{{*|씹〮}}九{{*|구ᇢ〯}}條{{*|뚀ᇢ}}ㅣ니〮 다〯 三{{*|삼}}長{{*|땨ᇰ}}一{{*|ᅙᅵᇙ〮}}短{{*|돤〯}}ᄒᆞ고〮 上{{*|쌰ᇰ〮}}品{{*|픔〯}} 세〯흔 二{{*|ᅀᅵᆼ〮}}十{{*|씹〮}}一{{*|ᅙᅵᇙ〮}} 二{{*|ᅀᅵᆼ〮}}十{{*|씹〮}}三{{*|삼}} 二{{*|ᅀᅵᆼ〮}}十{{*|씹〮}}五{{*|ᅌᅩᆼ〯}}條{{*|뚀ᇢ}}ㅣ니〮 다〯 四{{*|ᄉᆞᆼ〮}}長{{*|땨ᇰ}}一{{*|ᅙᅵᇙ〮}}短{{*|돤〯}}ᄒᆞ니〮라〮 鈔{{*|쵸ᇢ〮}}애〮 닐오〮ᄃᆡ〮 이〮ᄅᆞᆯ〮 마초〮아 보〮아 히〮믈〮 조차〮 ᄆᆡᇰᄀᆞᆯ〮라〮
::九{{*|구ᇢ〯}}品{{*|픔〯}}中{{*|듀ᇰ}}에〮 ᄀᆞᅀᆞᄆᆡ〮 하며〮 져〯구믈〮 조차〮 ᄒᆞ나ᄒᆞᆯ〮 어〯더 受{{*|쓔ᇢ〯}}持{{*|띵}}ᄒᆞ라〮
:羯{{*|거ᇙ〮}}磨{{*|망}}䟽{{*|송〮}}애〮 닐오〮ᄃᆡ〮 二{{*|ᅀᅵᆼ〮}}十{{*|씹〮}}五{{*|ᅌᅩᆼ〯}}ᄭᆞ자ᇰ〮 다ᄃᆞ로〮ᄆᆞᆫ〮 二{{*|ᅀᅵᆼ〮}}十{{*|씹〮}}五{{*|ᅌᅩᆼ〯}}有{{*|ᅌᅮᇢ〯}}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xeod2gjpvrad5w9qdjia2otdlkgxfj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40
250
101416
392345
2025-06-22T14:20:08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에〮 福{{*|복〮}}田{{*|뗜}} 짓〯고져〮 ᄒᆞ〮논 젼ᄎᆡ〮라〮 雙{{*|솨ᇰ}} 맛디〮 아니〮호〮ᄆᆞᆫ 沙{{*|상}}門{{*|몬}}이〮 쥬ᇰᄉᆡᇰ 어〯엿비〮 너겨〮 츄〮미〮 世{{*|솅〮}}間{{*|간}} 陽{{*|야ᇰ}}化{{*|황〮}}ㅣ ᄀᆞᆮ〮ᄒᆞᆯᄊᆡ〮 雙{{*|솨ᇰ}} 맛디〮 아니〮ᄒᆞ니〮라〮 ::陽{{*|야ᇰ}}數{{*|숭〮}}ᄂᆞᆫ〮 ᄧᅡᆨ 그르고〮 陰{{*|ᅙᅳᆷ}}數{...
39234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에〮 福{{*|복〮}}田{{*|뗜}} 짓〯고져〮 ᄒᆞ〮논 젼ᄎᆡ〮라〮 雙{{*|솨ᇰ}} 맛디〮 아니〮호〮ᄆᆞᆫ 沙{{*|상}}門{{*|몬}}이〮 쥬ᇰᄉᆡᇰ 어〯엿비〮 너겨〮 츄〮미〮 世{{*|솅〮}}間{{*|간}} 陽{{*|야ᇰ}}化{{*|황〮}}ㅣ ᄀᆞᆮ〮ᄒᆞᆯᄊᆡ〮 雙{{*|솨ᇰ}} 맛디〮 아니〮ᄒᆞ니〮라〮
::陽{{*|야ᇰ}}數{{*|숭〮}}ᄂᆞᆫ〮 ᄧᅡᆨ 그르고〮 陰{{*|ᅙᅳᆷ}}數{{*|숭〮}}ᄂᆞᆫ〮 ᄧᅡᆨ 마ᄌᆞ〮니〮라〮
:길〯며〮 뎔오〮ᄆᆞᆫ〮 世{{*|솅〮}}間{{*|간}}ㅅ 노〮니〮믈〮 잇ᄂᆞᆫ ᄯᅡ〮ᄒᆡ〮 노ᄑᆞ〮며〮 ᄂᆞᆺ가ᄫᅩ〮ᄆᆞᆯ〮 조차〮 다ᄅᆞᄃᆞᆺ〮 ᄒᆞ니〮라〮 ᄯᅩ〮 諸{{*|졍}}有{{*|ᅌᅮᇢ〯}}利{{*|링〮}}호〮ᄆᆞᆯ〮 爲{{*|윙〮}}ᄒᆞ니〮 聖{{*|셔ᇰ〮}}이〮 더으고〮 凡{{*|뻠}}이〮 減{{*|감〯}}호〮ᄆᆞᆯ〮 表{{*|뵤ᇢ〯}}ᄒᆞ〮야〮 長{{*|땨ᇰ}}이〮 하고〮 短{{*|돤〯}}이〮 져〯고ᄆᆞᆯ〮 가ᄌᆞᆯ〮비〮니라〮
::章{{*|쟈ᇰ}}服{{*|뽁〮}}儀{{*|ᅌᅴᆼ}}예〮 닐오〮ᄃᆡ〮 노내〮 믈〮 다마〮 됴〯ᄒᆞᆫ 穀{{*|곡〮}}食{{*|씩〮}}ᄋᆞᆯ〮 기르ᄂᆞ니〮 이〮 옷〮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t1s7wh9mj53vlkelxw2llcuns3wj15w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73
250
101417
392346
2025-06-22T15:39:4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뎨오졀 {{du|일이만}}의 일쳔팔ᄇᆡᆨᄉᆞ십팔년 졍형이라 {{du|일이만}} ᄀᆡ화당 각 관이 각 방을 합ᄒᆞ야 일국이 되고ᄌᆞ ᄒᆞᆯᄉᆡ 【일쳔팔ᄇᆡᆨ오십구년에 {{du|법난셔}}ㅣ {{du|의ᄃᆡ리}}와 실화ᄒᆞᄆᆡ {{du|일이만}}이 {{du|법}}인을 겁ᄒᆞ야 렬방을 합ᄒᆞ야 일 ᄃᆡ국을 ᄆᆡᆫ드러 {{du|법국}}을 막고ᄌᆞ ᄒᆞ더라】 당시에 {{du|일이만...
39234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뎨오졀 {{du|일이만}}의 일쳔팔ᄇᆡᆨᄉᆞ십팔년 졍형이라
{{du|일이만}} ᄀᆡ화당 각 관이 각 방을 합ᄒᆞ야 일국이 되고ᄌᆞ ᄒᆞᆯᄉᆡ 【일쳔팔ᄇᆡᆨ오십구년에 {{du|법난셔}}ㅣ {{du|의ᄃᆡ리}}와 실화ᄒᆞᄆᆡ {{du|일이만}}이 {{du|법}}인을 겁ᄒᆞ야 렬방을 합ᄒᆞ야 일 ᄃᆡ국을 ᄆᆡᆫ드러 {{du|법국}}을 막고ᄌᆞ ᄒᆞ더라】 당시에 {{du|일이만}} 각 방 인구ㅣ 점점 증가ᄒᆞ야 ᄉᆞ쳔만에 일으니 만일 합ᄒᆞ면 {{du|구쥬}} 각국에 ᄲᆞ지지 아닐지라 연이나 각 방이 셔로 시긔ᄒᆞ야 합의치 아니ᄒᆞ니 유식ᄒᆞᆫ 션ᄇᆡ 항상 말ᄒᆞ되 {{du|일이만}}은 졔도ᄅᆞᆯ 곳쳐 통합지 아니ᄒᆞ면 강린을 막지 못ᄒᆞ리라 ᄒᆞᆫᄃᆡ 듯ᄂᆞᆫ 자ㅣ 다 올히 녁이며 당시 {{du|일이만}} 관리와 지어 여항 소민이 다 각 방을 연합고ᄌᆞ ᄒᆞ나 오직 {{du|오}}{{du|보}} 냥국이 ᄆᆡᆼ쥬ᄅᆞᆯ 닷토ᄆᆡ 각 소국이 죳칠 바ᄅᆞᆯ 아지 못ᄒᆞ야 다만 관망ᄒᆞ더라
지어 {{du|보로ᄉᆞ}}국은 {{du|보}}왕의 마음이 ᄇᆡᆨ셩과 불합ᄒᆞ야 ᄆᆡᄉᆞ에 민심을 순치 못ᄒᆞ니 {{du|보}}민이 다 말ᄒᆞ되 {{du|법국}} 인민은 다 권을 가졋거ᄂᆞᆯ 우리ᄂᆞᆫ 무ᄉᆞᆷ 다름이 잇셔 왕이 거관ᄒᆞᄂᆞᆫ 권을 허치 아니ᄒᆞᄂᆞ뇨 ᄒᆞ며 {{du|보}}왕은 왈 왕은 하ᄂᆞᆯ이 명ᄒᆞ신 ᄇᆡ라 ᄂᆡ 응당 텬명을 죳칠 거시니 엇지 ᄇᆡᆨ셩의 말을 들으리요 ᄒᆞ며 일쳔팔ᄇᆡᆨᄉᆞ십칠년【헌종 십삼년】에 ᄌᆡ상 {{u|비ᄉᆞᄆᆡᆨ}}이 ᄯᅩᄒᆞᆫ 의론ᄒᆞ야 왈 {{du|보국}} 역ᄃᆡ 군왕이 다 텬명을 이어 대위에 잇셧고 민간이 공쳔ᄒᆞ야 셰운 ᄇᆡ 아니라 왕이 ᄌᆞ연 만ᄉᆞ의 주ᄌᆡ될 것시니 엇지 하민을 ᄆᆡᆺ기여 국ᄉᆞᄅᆞᆯ ᄎᆞᆷ에ᄒᆞ리요 ᄒᆞ니 대져 {{du|보}}왕은 ᄇᆡᆨ셩을 ᄉᆞ랑ᄒᆞ야 은덕을 베풀고 타국 인군과 갓치 ᄉᆞ욕만 일ᄉᆞᆷ지 아니ᄒᆞ며 ᄯᅩ 비ᄉᆞᄆᆡᆨ은 셩망이 놉흔 ᄉᆞᄅᆞᆷ이라 그 립론이 여ᄎᆞᄒᆞᄆᆡ {{du|보국}} 풍긔ᄅᆞᆯ 가히 알 거시라 연이나 상하ㅣ 동심치 아니ᄒᆞ니 그 졍ᄉᆞᄅᆞᆯ 조쳐ᄒᆞᆷ이 ᄯᅩᄒᆞᆫ 어려우리로다
일쳔팔ᄇᆡᆨᄉᆞ십팔년【헌종 십사년】에 {{du|일이만}} 즁 ᄒᆞᆫ 소국 왕이 {{du|법}}경 {{du|파리}} ᄃᆡ란ᄒᆞᆷ을 듯고 ᄌᆞ긔 ᄇᆡᆨ셩이 ᄯᅩᄒᆞᆫ 란을 지을가 겁ᄒᆞ야 령을 나려 민심을 슌이 ᄒᆞᆫ다 ᄒᆞ고 기외 {{du|살극ᄉᆡᆼ}} 왕과 {{u|조탄ᄇᆡᆨ}} 왕이 다 졔도ᄅᆞᆯ 곳쳐 ᄇᆡᆨ셩의 권을 쥬고 ᄯᅩ {{du|파와리아}}국 인민은 그 왕을 심복지 아니ᄒᆞ고 셩셰 흉흉ᄒᆞ야 집졍대신 {{u|파랍몽퇴ᄉᆞ}}ᄅᆞᆯ<ref>롤라 몬테스(Lola Montes)</ref> 칭원ᄒᆞ더니 밋 {{du|법}}인이 요란ᄒᆞᆷ을 듯고 {{u|파랍몽퇴ᄉᆞ}}ᄅᆞᆯ ᄂᆡ치라 ᄒᆞ며 ᄯᅩ 왕게 두 가지 일을 요구ᄒᆞ니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lt2hrqslq3dcdhx9ypmrazrj6zsf9ik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74
250
101418
392347
2025-06-22T15:40:07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일은 신보관을 셰워 민간 질고ᄅᆞᆯ 알게 ᄒᆞᆷ이요 일은 의원을 셰워 ᄇᆡᆨ셩이 어진 ᄉᆞᄅᆞᆷ을 공쳔ᄒᆞ야 졍ᄉᆞ 득실을 의론ᄒᆞ게 ᄒᆞ고 ᄎᆞ외 각 졔후도 다 졔도ᄅᆞᆯ 졍돈ᄒᆞ니 ᄌᆞᄎᆞ로 {{du|일이만}} 각 방 국회에셔도 법령을 곳치더라 {{du|보}}왕 {{u|위량 뎨사}}ㅣ<ref>윌리엄 4세(Frederick William IV)</ref> 일쳔팔ᄇᆡᆨᄉᆞ십년【...
39234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일은 신보관을 셰워 민간 질고ᄅᆞᆯ 알게 ᄒᆞᆷ이요 일은 의원을 셰워 ᄇᆡᆨ셩이 어진 ᄉᆞᄅᆞᆷ을 공쳔ᄒᆞ야 졍ᄉᆞ 득실을 의론ᄒᆞ게 ᄒᆞ고 ᄎᆞ외 각 졔후도 다 졔도ᄅᆞᆯ 졍돈ᄒᆞ니 ᄌᆞᄎᆞ로 {{du|일이만}} 각 방 국회에셔도 법령을 곳치더라
{{du|보}}왕 {{u|위량 뎨사}}ㅣ<ref>윌리엄 4세(Frederick William IV)</ref> 일쳔팔ᄇᆡᆨᄉᆞ십년【헌종 뉵년】에 즉위ᄒᆞ얏더니 지시ᄒᆞ야 ᄇᆡᆨ셩이 다 ᄌᆞ주지심이 잇슴을 보고 혜오ᄃᆡ 이 긔회ᄅᆞᆯ 타 민졍을 순캐 ᄒᆞ리라 ᄒᆞ고 일쳔팔ᄇᆡᆨᄉᆞ십팔년【현종 십사년】 ᄉᆞᆷ월 십칠일에 령을 나려 졍돈ᄒᆞᄂᆞᆫ 각 ᄉᆞᄅᆞᆯ 발키 션유ᄒᆞ고 ᄯᅩ 일후에 ᄀᆡ혁ᄒᆞᆯ 일이 잇다 ᄒᆞ며 ᄯᅩ {{du|일이만}} 각국에 공문ᄒᆞ야 각국을 합ᄒᆞ야 ᄒᆞ나히 되야 외국을 막ᄌᆞ ᄒᆞ니 그 글에 비록 어ᄂᆡ 나라로 ᄆᆡᆼ주 ᄉᆞᆷᄌᆞ ᄒᆞᆷ은 업스나 렬국이 그 웅장ᄒᆞᆫ 마음이 잇슴을 알더라
{{du|보}}왕이 젼일에ᄂᆞᆫ 민원을 죳지 아니ᄒᆞ야 쳔만번 호소ᄒᆞ야도 듯지 아니ᄒᆞ더니 이졔 홀연이 장졍을 졍ᄒᆞ야 민심을 순종ᄒᆞ리라 ᄒᆞ니 ᄇᆡᆨ셩이 깃거ᄒᆞ지 아닐 ᄲᅮᆫ 아니라 도뤼혀 의심 왈 이 필연 깁흔 ᄯᅳᆺ이 잇고 진심이 아니라 ᄒᆞ야 【{{du|영국}} 군쥬 {{u|유다리아}}의<ref>빅토리아 아델레이드(Victoria Adelaide)</ref> 부마ᄂᆞᆫ {{du|보국}} 왕자ㅣ라 그 일홈을 존칭ᄒᆞ야 왈 {{u|아ᄇᆡᆨ}}<ref>아돌프(Adolf)?</ref> ᄐᆡ자ㅣ라 유다리아ㅣ {{du|영국}} 군주ㅣ 되ᄆᆡ 셔국 젼례ᄅᆞᆯ 말ᄒᆞ면 {{u|아ᄇᆡᆨ}} ᄐᆡ자ㅣ 졍사ᄅᆞᆯ ᄎᆞᆷ예치 못ᄒᆞᆯ지라 연이나 민ᄉᆡᆼ의 유익ᄒᆞᆫ 일은 다 직언무은ᄒᆞᄆᆡ {{du|영}}군주ㅣ ᄌᆞ연 락종ᄒᆞ며 ᄯᅩ {{u|아ᄇᆡᆨ}} ᄐᆡ자ㅣ {{du|영국}}에 갈 ᄯᅢ에 셔긔관 {{u|ᄉᆞ토극마}}ᄅᆞᆯ<ref>??</ref> 쳥ᄒᆞ야 동ᄒᆡᆼᄒᆞ니 {{u|ᄉᆞ토극마}}ᄂᆞᆫ 모략이 잇ᄂᆞᆫ 큰 명사ㅣ라 ᄆᆡ양 ᄃᆡ사ㅣ 잇스면 ᄐᆡᄌᆞᄅᆞᆯ 권ᄒᆞ야 {{du|영}}군주게 젼품ᄒᆞ야 시ᄒᆡᆼᄒᆞ니 {{du|영국}}이 ᄃᆡ치ᄒᆞ더라 이ᄯᅢ에 이르러 {{u|아ᄇᆡᆨ}} ᄐᆡᄌᆞ의게 글을 올녀 왈 {{du|보}}왕의 병통은 ᄇᆡᆨ셩의게 권을 양두치 아니ᄒᆞᆷ이라 이졔ᄂᆞᆫ 긔회 지나고 시셰 ᄯᅩᄒᆞᆫ 변ᄒᆞ얏스니 나의 우견은 도뤼혀 양두치 아니니만 갓지 못ᄒᆞ다 ᄒᆞ더라】 익일에 {{du|보}}경 {{du|ᄇᆡᆨ령}} 인민이 졸연이 왕명을 듯지 아니ᄒᆞ고 란리ᄅᆞᆯ 지어 가시간에 진을 치고 심지어 왕궁 밧게 목ᄎᆡᆨ을 셰이고 살인 방화ᄒᆞ야 무소부지ᄒᆞᄂᆞᆫ지라 병부에셔 군ᄉᆞᄅᆞᆯ 조발ᄒᆞ야 대젼ᄒᆞᆫ지 반일만에 {{du|보}}왕이 크게 염녀ᄒᆞ야 십구일에 군긔쳐 ᄃᆡ신을 쳬ᄎᆞᄒᆞ고 다시 령을 나려 ᄇᆡᆨ셩을 쳬휼ᄒᆞᆷ이 젼일보다 더ᄒᆞ더라
{{nop}}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jq22o9gju7vv06tcr5e4mrpsdgdtit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75
250
101419
392348
2025-06-22T15:40:30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이ᄒᆡ ᄉᆞ월에 ᄃᆡ소 인민이 다 거관ᄒᆞᄂᆞᆫ 권을 허ᄒᆞ니 민회인이 다 흔희과망ᄒᆞ나 오직 신임 의원은 ᄆᆡ양 ᄃᆡ톄ᄅᆞᆯ 도라보지 아니ᄒᆞ고 소졀에 구구ᄒᆞ야 심지어 왕의 반교 문즁에 과인이 텬명을 바닷다 ᄒᆞᄂᆞᆫ 말을 보고 왕게 력청ᄒᆞ야 그 글ᄌᆞᄅᆞᆯ 산삭고ᄌᆞ ᄒᆞ니 ᄃᆡ져 그 ᄯᅳᆺ에 일으ᄃᆡ 왕으로 ᄒᆞ...
39234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이ᄒᆡ ᄉᆞ월에 ᄃᆡ소 인민이 다 거관ᄒᆞᄂᆞᆫ 권을 허ᄒᆞ니 민회인이 다 흔희과망ᄒᆞ나 오직 신임 의원은 ᄆᆡ양 ᄃᆡ톄ᄅᆞᆯ 도라보지 아니ᄒᆞ고 소졀에 구구ᄒᆞ야 심지어 왕의 반교 문즁에 과인이 텬명을 바닷다 ᄒᆞᄂᆞᆫ 말을 보고 왕게 력청ᄒᆞ야 그 글ᄌᆞᄅᆞᆯ 산삭고ᄌᆞ ᄒᆞ니 ᄃᆡ져 그 ᄯᅳᆺ에 일으ᄃᆡ 왕으로 ᄒᆞ야곰 국사ㅣ 왕의 주장이 아니요 ᄇᆡᆨ셩의 주장됨을 알게 ᄒᆞ고ᄌᆞ ᄒᆞᆷ이요 ᄯᅩ 셕일에 {{du|보}}왕이 명ᄒᆞᆫ 바 졔 대신을 다 파직ᄒᆞ라 ᄒᆞ니 이ᄂᆞᆫ 대ᄉᆞ에 호무관계요 오직 왕의 분긔만 돗을 ᄲᅮᆫ이며 민간인즉 왕과 의원이 불합ᄒᆞᄆᆡ 일조에 화란이 잇슬가 ᄒᆞ야 위션 져ᄌᆞᄅᆞᆯ 파ᄒᆞ니 ᄇᆡᆨ공이 ᄌᆞ연 ᄉᆡᆼ업이 업셔지고 ᄇᆡᆨ공이 업이 업스ᄆᆡ 져의 안분치 못ᄒᆞ야 ᄆᆡ양 ᄃᆡ란을 일우더라 왕이 민회의 거역ᄒᆞᆷ을 한ᄒᆞ야 혜오ᄃᆡ 과인의 깁흔 ᄯᅳᆺ이 다 ᄇᆡᆨ셩을 위ᄒᆞ고ᄌᆞ ᄒᆞᆷ이어ᄂᆞᆯ ᄇᆡᆨ셩이 도뤼혀 순종치 아니ᄒᆞᆫ다 ᄒᆞ며 ᄯᅩ 이ᄲᅮᆫ 아니라 {{du|보}}왕이 원ᄅᆡ {{du|일이만}} 렬방의 ᄆᆡᆼ주 되고ᄌᆞ ᄒᆞ얏더니 밋 렬국이 모일 ᄯᅢ에ᄂᆞᆫ {{du|오}}황을 추존ᄒᆞ야 ᄆᆡᆼ주ᄅᆞᆯ ᄉᆞᆷᄂᆞᆫ지라 이럼으로 더욱 분한ᄒᆞ야 【{{du|일이만}} 렬방 ᄃᆡ회 시에 {{du|보국}} ᄃᆡ신이 {{du|보}}왕을 추존ᄒᆞᄌᆞ ᄒᆞ니 졔후 왕이 다 웃고 답지 아니ᄒᆞ더라】 다시 혜오ᄃᆡ 이졔 ᄇᆡᆨ셩의 거관ᄒᆞᄂᆞᆫ 권을 허ᄒᆞ면 다 교만ᄒᆞ야 화란이 봉긔ᄒᆞᆯ지라 압졔ᄒᆞ니만 갓지 못ᄒᆞ다 ᄒᆞ고 군긔쳐 ᄃᆡ신을 명ᄒᆞ야 령을 나려 왈 이졔 젼일 졔도ᄅᆞᆯ 젼혀 ᄀᆡ혁지 못ᄒᆞᆫ다 ᄒᆞ고 {{u|ᄇᆡᆨ령}} 도셩 뉵가ᄉᆞᆷ<ref>브란덴부르크(Burandenburg)??</ref> 시에 다 즁병을 둔찰ᄒᆞ니 기시 군ᄉᆞ 총통ᄒᆞ 니ᄂᆞᆫ {{u|남격근}}<ref>부란겔(Wrangel)</ref> 장군이라 군률이 ᄉᆞᆷ엄ᄒᆞ야 위풍이 산악을 흔들지라 ᄇᆡᆨ셩이 감히 동치 못ᄒᆞ더라 이 ᄒᆡ 동십일월에 ᄯᅩ 민회가 너무 소요ᄒᆞ다 ᄒᆞ야 회의ᄅᆞᆯ 헷칠셰 민회의 령수ᄅᆞᆯ 그 좌상에 안진 ᄎᆡ로 담아 ᄂᆡ여 가시상에 더지나 ᄇᆡᆨ셩이 ᄯᅩ 감히 엇지치 못ᄒᆞ고 일쳔팔ᄇᆡᆨᄉᆞ십구년 【헌종 십오년】 오월에 률문을 곳치되 구식이 만코 신식은 적으며 ᄇᆡᆨ성이 이십ᄉᆞ셰 된 ᄌᆞᄂᆞᆫ 다 관원을 쳔거ᄒᆞ나 연이 ᄉᆞᆷ등에 분ᄒᆞ야 부셰 다과ᄅᆞᆯ ᄯᅡ라 거관ᄒᆞᄂᆞᆫ 수ᄅᆞᆯ 졍ᄒᆞ니 종ᄎᆞ로 부호ᄂᆞᆫ 권이 더ᄒᆞ고 빈민은 권이 더욱 경ᄒᆞ니 ᄃᆡ져 지금ᄭᆞ지 이 법을 쥰ᄒᆡᆼᄒᆞ더라
::뎨륙졀 {{du|덕국}} ᄌᆡ상 {{u|비ᄉᆞᄆᆡᆨ}}의 ᄒᆡᆼ젹이라
일쳔팔ᄇᆡᆨᄉᆞ십칠년【헌종 십사년】 이월에 {{du|보국}} 의원 즁에 홀연이 ᄒᆞᆫ 영걸이 나오니 명은 {{u|비사ᄆᆡᆨ}}이오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di5gyhuoplg3g66mr6a5v5fmykq10cq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76
250
101420
392349
2025-06-22T15:40:51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나흔 겨우 ᄉᆞᆷ십오셰오 상모만 보와도 괴위웅걸ᄒᆞᆷ이 셰상에 드물고 그 부조 이ᄅᆡ로 셰가ᄃᆡ족이라 가산이 부요ᄒᆞ더니 오직 ᄉᆞ치 과도ᄒᆞ야 {{u|비ᄉᆞᄆᆡᆨ}}에 이르러 가계 령쳬ᄒᆞ나 오히려 소년 호긔로 번화가 려장에 치츅ᄒᆞ야 거의 락이망반ᄒᆞ니 ᄉᆞᄅᆞᆷ이 다 긔환 ᄌᆞ뎨라 지목ᄒᆞ고 그 경텬위지ᄒᆞᄂᆞᆫ 문무...
39234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나흔 겨우 ᄉᆞᆷ십오셰오 상모만 보와도 괴위웅걸ᄒᆞᆷ이 셰상에 드물고 그 부조 이ᄅᆡ로 셰가ᄃᆡ족이라 가산이 부요ᄒᆞ더니 오직 ᄉᆞ치 과도ᄒᆞ야 {{u|비ᄉᆞᄆᆡᆨ}}에 이르러 가계 령쳬ᄒᆞ나 오히려 소년 호긔로 번화가 려장에 치츅ᄒᆞ야 거의 락이망반ᄒᆞ니 ᄉᆞᄅᆞᆷ이 다 긔환 ᄌᆞ뎨라 지목ᄒᆞ고 그 경텬위지ᄒᆞᄂᆞᆫ 문무ᄌᆡ략이 잇슴은 아지 못ᄒᆞ더라 나히 ᄉᆞᆷ십이 지나ᄆᆡ 홀연히 졀졀 독셔ᄒᆞ야 ᄀᆡ연히 국ᄉᆞ로ᄡᅥ 긔임을 ᄉᆞᆷ더니 밋 {{du|보국}} 인민이 {{du|구쥬}} 각국 습긔에 물들어 급히 신법 구ᄒᆞᆷ을 보고 ᄃᆡ단 근심ᄒᆞ야 그 소친다려 왈 군왕의 위ᄂᆞᆫ 하ᄂᆞᆯ이 쥬심이니 이 리치ᄂᆞᆫ 만고불역ᄒᆞᆯ지라 ᄉᆞᄅᆞᆷ이 엇지 모로ᄂᆞᆫ고 ᄒᆞ며 ᄯᅩ {{du|보}}왕이 부득이 민심을 슌종코ᄌᆞ ᄒᆞᆷ을 보고 더욱 불열ᄒᆞ야 ᄆᆡ양 국ᄉᆞᄅᆞᆯ 의론ᄒᆞᆯ ᄯᅢ에ᄂᆞᆫ 강ᄀᆡ격앙ᄒᆞ야 군권을 보젼케 ᄒᆞ고 ᄯᅩ 말호ᄃᆡ ᄇᆡᆨ셩의 우쥰ᄒᆞᆷ이 엇지 나라 은덕을 알며 왕은 엇지 권을 양두코ᄌᆞ ᄒᆞᄂᆞ뇨 ᄒᆞ고 영예ᄒᆞᆫ 형용이 언외에 드러나며 총명ᄒᆞᆫ 긔ᄉᆡᆨ이 외모에 넘치니 이럼으로 미긔에 군권당 ᄃᆡ소 졔신이 {{u|비ᄉᆞᄆᆡᆨ}}을 공쳔ᄒᆞ야 령수ᄅᆞᆯ ᄉᆞᆷ더라 연이 {{u|비ᄉᆞᄆᆡᆨ}}의 마음이 엇지 군권이 과즁ᄒᆞᆷ을 바라며 당시에 졔도ᄅᆞᆯ 졍돈코ᄌᆞ 아니리요 마ᄂᆞᆫ 다만 {{du|보}}민이 동ᄒᆞᆷ을 조와ᄒᆞ고 안정치 아니ᄒᆞᄆᆡ 국권이 손상ᄒᆞ면 ᄇᆡᆨ셩이 필연 요란ᄒᆞᆯ 거시요 허물며 {{du|보국}}이 {{du|일이만}} 졔후 왕의 톄통을 다 곳칠지니 더욱 먼져 {{du|보}}왕으로 ᄒᆞ야곰 그 긔강을 잡게 ᄒᆞ고ᄌᆞ ᄒᆞᆷ이요 다만 뉴령 시종ᄒᆞ야 왕실만 놉히고 퇴연히 ᄯᅥᆯ치지 못ᄒᆞᄂᆞᆫ ᄉᆞᄅᆞᆷ과 비ᄒᆞᆯ 일이 아니러라
{{du|보}}왕이 {{u|비ᄉᆞᄆᆡᆨ}}이 ᄃᆡᄌᆡ 잇고 ᄯᅩ 군권을 보젼ᄒᆞᆫ다 ᄒᆞ야 심히 경ᄋᆡᄒᆞ더니 맛ᄎᆞᆷ {{du|일이만}}이 {{du|번복}} ᄯᅡ에셔 ᄃᆡ회ᄒᆞ거ᄂᆞᆯ 곳 {{u|비ᄉᆞᄆᆡᆨ}}을 보ᄂᆡ여 {{du|보}}왕의 ᄯᅳᆺ을 션포ᄒᆞ고 ᄯᅩ {{du|아라사}} 츌ᄉᆞ ᄃᆡ신을 ᄉᆞᆷ으니 ᄌᆞᄎᆞ로 명위 점점 융셩ᄒᆞ며 일쳔팔ᄇᆡᆨ륙십일년【쳘종 십이년】에 {{u|비질례 위량}} 왕이 졸ᄒᆞ고 왕의 아오 {{u|위량 뎨일}}이<ref>빌헬름 1세(Wilhelm I)</ref> 즉위ᄒᆞ야 더욱 {{u|비ᄉᆞᄆᆡᆨ}}을 친임ᄒᆞ더니 권이 날로 즁ᄒᆞ며 일쳔팔ᄇᆡᆨ륙십이년【철종 십ᄉᆞᆷ년】에 ᄯᅩ 명ᄒᆞ야 {{du|법}}경 {{du|파리}}에 이르러 긔무ᄅᆞᆯ 의론ᄒᆞᆯᄉᆡ {{u|비ᄉᆞᄆᆡᆨ}} 일긔 즁에 ᄒᆞ엿스되 ᄂᆡ 일즉이 각 신문지에 {{du|법}}황의 화상을 보ᄆᆡ 살짐이 {{u|곽즁}}과 갓고 늘금이 {{u|염파}} 갓다 ᄒᆞ야 조롱ᄒᆞ얏더니 이졔 친히 {{du|법}}황을 보니 비로소 신문의 망녕됨을 아랏스며 지어 {{du|법}}후 ᄒᆞ야ᄂᆞᆫ 텬ᄉᆡᆼ 려질이 교ᄐᆡ만반이라 나의 소견은 텬하 미인이 이ᄅᆞᆯ 방불ᄒᆞᆯ 이 업고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6c3a185hta5klf7nt6xcx46qa7c0nr6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77
250
101421
392350
2025-06-22T15:41:14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내 폐현ᄒᆞᆯ 즈음에 깁흔 졍과 후ᄒᆞᆫ 모양이 ᄉᆞᄅᆞᆷ으로 감동ᄒᆞᄀᆡᆺ더라 ᄒᆞ니 그 츄슝ᄒᆞᆷ을 가지라 연이 겨우 수년 후에 셔로 젹국이 될 쥴을 뉘 아랏스리오 {{u|비사ᄆᆡᆨ}}이 {{du|파리}}에 잇실ᄉᆡ {{du|보}}왕 {{u|위량 뎨일}}이 명ᄒᆞ야 ᄌᆡ상을 ᄉᆞᆷ으니 대져 {{u|비ᄉᆞᄆᆡᆨ}}이 ᄌᆡ상됨은 실로 난쳐ᄒᆞᆷ이 잇스니...
39235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내 폐현ᄒᆞᆯ 즈음에 깁흔 졍과 후ᄒᆞᆫ 모양이 ᄉᆞᄅᆞᆷ으로 감동ᄒᆞᄀᆡᆺ더라 ᄒᆞ니 그 츄슝ᄒᆞᆷ을 가지라 연이 겨우 수년 후에 셔로 젹국이 될 쥴을 뉘 아랏스리오
{{u|비사ᄆᆡᆨ}}이 {{du|파리}}에 잇실ᄉᆡ {{du|보}}왕 {{u|위량 뎨일}}이 명ᄒᆞ야 ᄌᆡ상을 ᄉᆞᆷ으니 대져 {{u|비ᄉᆞᄆᆡᆨ}}이 ᄌᆡ상됨은 실로 난쳐ᄒᆞᆷ이 잇스니 그 ᄒᆡᆼ코ᄌᆞ ᄒᆞᄂᆞᆫ 일은 의원 즁 졔인이 ᄐᆡ반이나 셔로 상좌ᄒᆞ야 【{{du|ᄐᆡ셔}} 법률에 당국 ᄒᆞᆫ ᄌᆡ상이 졔의원과 동심ᄒᆞ여야 바야흐로 그 위에 편안ᄒᆞ고 불연이면 위에 퇴ᄒᆞᄂᆞᆫ 자ㅣ 비비유지라】 거의 상위에 퇴ᄒᆞᆯ지라 연이나 왕이 그 ᄌᆡ략을 깁히 흠앙ᄒᆞ고 ᄯᅩ 왕만 그럴 ᄲᅮᆫ 아니라 병부상셔 {{u|분롱}}은 {{du|보국}} 명신이요 총통 병마 대장군 {{u|모긔}}ᄂᆞᆫ {{du|구라파쥬}} 명장이라 다 {{u|비사ᄆᆡᆨ}}을 츄숭ᄒᆞ며 {{u|비ᄉᆞᄆᆡᆨ}}이 ᄯᅩ 심식원견이 잇셔 {{du|보로ᄉᆞ}}와 {{du|일이만}}의 대ᄉᆞᄅᆞᆯ 당ᄒᆞ면 계ᄎᆡᆨ이 흉등에 요연ᄒᆞ야 결단ᄒᆞᆷ이 흐르ᄂᆞᆫ 듯ᄒᆞ고 ᄯᅩ 혜오되 ᄂᆡ 인군과 뎨우ㅣ 잇스니 나의 도ㅣ {{du|일이만}}에 ᄒᆡᆼᄒᆞᆯ지라 져 소민의 져희와 의원의 시비ᄅᆞᆯ 무ᄉᆞᆷ 고려ᄒᆞ며 ᄯᅩ 엇지 구구ᄒᆞᆫ 물의ᄅᆞᆯ 겁ᄒᆞ야 큰일을 ᄒᆡᆼ치 아니리요 ᄒᆞ더라
일쳔팔ᄇᆡᆨ륙십이년【철종 십삼년】에 {{du|보}}왕이 위엄을 베풀고ᄌᆞ ᄒᆞ야 군ᄋᆡᆨ을 증셜ᄒᆞᆯ새 탁지의 셰입이 항졍이 잇셔 ᄇᆡᆨ셩의게 취치 아니면 군비ᄅᆞᆯ 지발ᄒᆞᆯ 수 업ᄂᆞᆫ지라 이에 부셰ᄅᆞᆯ 느리고ᄌᆞ ᄒᆞ나 하의원이 ᄇᆡᆨ계 져희ᄒᆞ거ᄂᆞᆯ 왕이 속수무ᄎᆡᆨᄒᆞ야 오직 ᄎᆞ탄ᄒᆞᆯ ᄲᅮᆫ이러니 이 ᄒᆡ에 {{u|비사ᄆᆡᆨ}}이 입상ᄒᆞ야 곳 하의원에 엄ᄎᆡᆨ 왈 국ᄉᆞᄅᆞᆯ 졍돈코ᄌᆞ ᄒᆞ면 민간이 부득불 보조ᄒᆞ리니 너희 만일 막고ᄌᆞ ᄒᆞ면 국가ㅣ ᄯᅩᄒᆞᆫ 너희ᄅᆞᆯ 용랍지 아닐지라 너희ᄂᆞᆫ 각기 젼리에 도라가라 ᄒᆞ고 법률ᄅᆞᆯ 정ᄒᆞ야 각 신문사의 망언 혹즁ᄒᆞᆷ을 금ᄒᆞ니 이에 {{du|보}}왕이 그 ᄯᅳᆺ을 일우엇스나 ᄌᆞ후 ᄉᆞ년간에 {{du|보국}} 구신당 졔인이 다 말ᄒᆞ되 {{u|비ᄉᆞᄆᆡᆨ}}이 셰력을 밋고 졔도ᄅᆞᆯ 어긔인다 ᄒᆞ야 날로 원망ᄒᆞ더니 밋 타국과 교졔ᄒᆞᆷ을 보ᄆᆡ 식견이 초월ᄒᆞ야 형연히 범인과 다른지라 다 경탄 아니 리 업고 ᄌᆞᄎᆞ로 져희ᄒᆞᄂᆞᆫ 자ㅣ 점점 적으며 밋 {{du|오국}}과 실화ᄒᆞᄆᆡ 곳 명장츌ᄉᆞᄒᆞ야 ᄌᆞ조 대공을 일우니 이에 의원 졔인이 다 진심공직ᄒᆞ야 {{u|비ᄉᆞᄆᆡᆨ}} ᄌᆡ상의 대지ᄅᆞᆯ 일우게 ᄒᆞ고 {{u|비ᄉᆞᄆᆡᆨ}}도 ᄯᅩᄒᆞᆫ 법도ᄅᆞᆯ 어긔여 의원의 긔운을 ᄭᅥᆨ지 아니ᄒᆞ더라 당시에 {{u|비ᄉᆞᄆᆡᆨ}}이 ᄌᆞ긔 ᄒᆞᆫ 일이 좀 과격ᄒᆞ다 ᄒᆞ야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10kj4mb9nbu04ko6dwdmtncmo9kuyr
페이지:쥬역언해 제1책.djvu/9
250
101422
392355
2025-06-23T00:53:08Z
1.245.51.194
/* 교정 안 됨 */ 새 문서: :亢항龍룡有유悔ᄂᆞᆫ盈영이可가히久구티몯홈이오<br> 用용九구ᄂᆞᆫ天텬德덕{{작게|은}}不블可가爲위首수也야{{작게|ㅣ라}} :用용九구ᄂᆞᆫ天텬德덕은可가히首슈ㅣ되디몯ᄒᆞᆯ거시라 文문言언曰왈元원者자{{작게|ᄂᆞᆫ}}善션之지長댱也야{{작게|ㅣ오}}亨형者쟈{{작게|ᄂᆞᆫ}}嘉가之지會회也야{{작게|ㅣ오}}利리者ᄂᆞᆫ義의之지和화也야ㅣ오貞뎡者쟈{{작...
39235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1.245.51.194" /></noinclude>:亢항龍룡有유悔ᄂᆞᆫ盈영이可가히久구티몯홈이오<br>
用용九구ᄂᆞᆫ天텬德덕{{작게|은}}不블可가爲위首수也야{{작게|ㅣ라}}
:用용九구ᄂᆞᆫ天텬德덕은可가히首슈ㅣ되디몯ᄒᆞᆯ거시라
文문言언曰왈元원者자{{작게|ᄂᆞᆫ}}善션之지長댱也야{{작게|ㅣ오}}亨형者쟈{{작게|ᄂᆞᆫ}}嘉가之지會회也야{{작게|ㅣ오}}利리者ᄂᆞᆫ義의之지和화也야ㅣ오貞뎡者쟈{{작게|ᄂᆞᆫ}}事ᄉᆞ之지幹간也야{{작게|ㅣ니}}
:文문言언의ᄀᆞᆯ오ᄃᆡ元원은善의長당이오亨형은嘉가의會회ㅣ오利리ᄂᆞᆫ義의의和화ㅣ오貞뎡은事ᄉᆞ의幹간이니
君군子ᄌᆞㅣ體톄仁인{{작게|이}}足죡以이長댱人인{{작게|이며}}
:君군子ᄌᆞㅣ仁인을體톄ᄒᆞ욤이足죡히ᄡᆡ人인애長댱<noinclude><references/></noinclude>
jyj7vlf6wjrcd8upj55p6zixld2d1rg
392356
392355
2025-06-23T00:54:05Z
1.245.51.194
39235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1.245.51.194" /></noinclude>:亢항龍룡有유悔ᄂᆞᆫ盈영이可가히久구티몯홈이오<br>
用용九구ᄂᆞᆫ天텬德덕{{작게|은}}不블可가爲위首수也야{{작게|ㅣ라}}
:用용九구ᄂᆞᆫ天텬德덕{{작게|은}}可가히首슈ㅣ되디몯ᄒᆞᆯ거시라
文문言언曰왈元원者자{{작게|ᄂᆞᆫ}}善션之지長댱也야{{작게|ㅣ오}}亨형者쟈{{작게|ᄂᆞᆫ}}嘉가之지會회也야{{작게|ㅣ오}}利리者ᄂᆞᆫ義의之지和화也야ㅣ오貞뎡者쟈{{작게|ᄂᆞᆫ}}事ᄉᆞ之지幹간也야{{작게|ㅣ니}}
:文문言언의ᄀᆞᆯ오ᄃᆡ元원은善의長당이오亨형은嘉가의會회ㅣ오利리ᄂᆞᆫ義의의和화ㅣ오貞뎡은事ᄉᆞ의幹간이니
君군子ᄌᆞㅣ體톄仁인{{작게|이}}足죡以이長댱人인{{작게|이며}}
:君군子ᄌᆞㅣ仁인을體톄ᄒᆞ욤이足죡히ᄡᆡ人인애長댱<noinclude><references/></noinclude>
l9ohubjo6piiwfizkm0ivi03qxk8nog
392357
392356
2025-06-23T00:55:08Z
1.245.51.194
39235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1.245.51.194" /></noinclude>:亢항龍룡有유悔ᄂᆞᆫ盈영이可가히久구티몯홈이오<br>
用용九구ᄂᆞᆫ天텬德덕{{작게|은}}不블可가爲위首수也야{{작게|ㅣ라}}
:用용九구ᄂᆞᆫ天텬德덕{{작게|은}}可가히首슈ㅣ되디몯ᄒᆞᆯ거시라
文문言언曰왈元원者자{{작게|ᄂᆞᆫ}}善션之지長댱也야{{작게|ㅣ오}}亨형者쟈{{작게|ᄂᆞᆫ}}嘉가之지會회也야{{작게|ㅣ오}}利리者{{작게|ᄂᆞᆫ}}義의之지和화也야ㅣ오貞뎡者쟈{{작게|ᄂᆞᆫ}}事ᄉᆞ之지幹간也야{{작게|ㅣ니}}
:文문言언의ᄀᆞᆯ오ᄃᆡ元원은善의長당이오亨형은嘉가의會회ㅣ오利리ᄂᆞᆫ義의의和화ㅣ오貞뎡은事ᄉᆞ의幹간이니
君군子ᄌᆞㅣ體톄仁인{{작게|이}}足죡以이長댱人인{{작게|이며}}
:君군子ᄌᆞㅣ仁인을體톄ᄒᆞ욤이足죡히ᄡᆡ人인애長댱<noinclude><references/></noinclude>
bxrzudttx3v74x1jue3r60hpbueetu3
392359
392357
2025-06-23T00:59:24Z
1.245.51.194
39235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1.245.51.194" /></noinclude>:亢항龍룡有유悔ᄂᆞᆫ盈영이可가히久구티몯홈이오<br>
用용九구{{작게|ᄂᆞᆫ}}天텬德덕{{작게|은}}不블可가爲위首수也{{작게|야ㅣ라}}
:用용九구ᄂᆞᆫ天텬德덕{{작게|은}}可가히首슈ㅣ되디몯ᄒᆞᆯ거시라
文문言언曰왈元원者자{{작게|ᄂᆞᆫ}}善션之지長댱也야{{작게|ㅣ오}}亨형者쟈{{작게|ᄂᆞᆫ}}嘉가之지會회也야{{작게|ㅣ오}}利리者{{작게|ᄂᆞᆫ}}義의之지和화也야ㅣ오貞뎡者쟈{{작게|ᄂᆞᆫ}}事ᄉᆞ之지幹간也야{{작게|ㅣ니}}
:文문言언의ᄀᆞᆯ오ᄃᆡ元원은善의長당이오亨형은嘉가의會회ㅣ오利리ᄂᆞᆫ義의의和화ㅣ오貞뎡은事ᄉᆞ의幹간이니
君군子ᄌᆞ{{작게|ㅣ}}體톄仁인{{작게|이}}足죡以이長댱人인{{작게|이며}}
:君군子ᄌᆞㅣ仁인을體톄ᄒᆞ욤이足죡히ᄡᆡ人인애長댱<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q0va7mnfjmzmt9r8g3a5k2m798k011
페이지:쥬역언해 제1책.djvu/10
250
101423
392362
2025-06-23T01:38:31Z
1.245.51.194
/* 교정 안 됨 */ 새 문서: :ᄒᆞᆯ거시며 嘉가會희{{작게|ㅣ}}足죡以이合합禮례ㅣ며 :會회ㅣ嘉가홈이足죡히ᄡᅥ禮례애合합ᄒᆞᆯ거시며 利리物믈{{작게|이}}足죡以이和화義의{{작게|ㅣ며}} :物믈을利리케ᄒᆞ욤이足죡히ᄡᅥ義의예和화ᄒᆞᆯ거시며 貞뎡固고ㅣ足죡以이幹간事ᄉᆞ{{작게|ㅣ니}} :貞뎡ᄒᆞ고固고ᄒᆞ욤이足죡히ᄡᅥ事ᄉᆞᄅᆞᆯ幹간ᄒᆞᆯ거시니 君군子ᄌᆞㅣ 行ᄒᆡᆼ此...
39236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1.245.51.194" /></noinclude>:ᄒᆞᆯ거시며
嘉가會희{{작게|ㅣ}}足죡以이合합禮례ㅣ며
:會회ㅣ嘉가홈이足죡히ᄡᅥ禮례애合합ᄒᆞᆯ거시며
利리物믈{{작게|이}}足죡以이和화義의{{작게|ㅣ며}}
:物믈을利리케ᄒᆞ욤이足죡히ᄡᅥ義의예和화ᄒᆞᆯ거시며
貞뎡固고ㅣ足죡以이幹간事ᄉᆞ{{작게|ㅣ니}}
:貞뎡ᄒᆞ고固고ᄒᆞ욤이足죡히ᄡᅥ事ᄉᆞᄅᆞᆯ幹간ᄒᆞᆯ거시니
君군子ᄌᆞㅣ 行ᄒᆡᆼ此ᄎᆞ四ᄉᆞ德덕者자{{작게|ㅣ라}}故고{{작게|로}}曰왈乾건元원亨형利리貞뎡{{작게|이라}}
:君군子ᄌᆞㅣ이四ᄉᆞ德덕을行ᄒᆡᆼᄒᆞᄂᆞᆫ者쟈ㅣ라故고로ᄀᆞᆯ오ᄃᆡ乾건元원亨형利리貞뎡이라
初초九구曰왈潜ᄌᆞᆷ龍룡勿믈用용{{작게|은}}何하謂위也야{{작게|오}}子자<noinclude><references/></noinclude>
78yg2b19x72zxk1ldezkglmrqpeqgqg
페이지:(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14
250
101424
392363
2025-06-23T01:46:24Z
Ming9113
1846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 국의형셰를셰々이살펴연구ᄒᆞ기를일년이넘도록ᄒᆞ니텬하ᄃᆡ셰손바닥가온ᄃᆡ잇ᄂᆞᆫ것ᄀᆞᆺ거ᄂᆞᆯ이에스ᄉᆞ로위로ᄒᆞ야왈ᄂᆡ가학문이이갓치잇스니니일노써인군을달ᄂᆡ엇지금옥금슈와경상에벼ᄉᆞᆯᄎᆔᄒᆞ기가어려우리오그아오ᄃᆡ와려를불너일너왈나의학문이인졔ᄂᆞᆫ셩ᄎᆔ되ᄆᆡ부귀ᄎᆔᄒᆞᆷ이장즁에잇ᄂᆞᆫ지라...
39236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Ming9113" /></noinclude>{{옛한글 시작}}
국의형셰를셰々이살펴연구ᄒᆞ기를일년이넘도록ᄒᆞ니텬하ᄃᆡ셰손바닥가온ᄃᆡ잇ᄂᆞᆫ것ᄀᆞᆺ거ᄂᆞᆯ이에스ᄉᆞ로위로ᄒᆞ야왈ᄂᆡ가학문이이갓치잇스니니일노써인군을달ᄂᆡ엇지금옥금슈와경상에벼ᄉᆞᆯᄎᆔᄒᆞ기가어려우리오그아오ᄃᆡ와려를불너일너왈나의학문이인졔ᄂᆞᆫ셩ᄎᆔ되ᄆᆡ부귀ᄎᆔᄒᆞᆷ이장즁에잇ᄂᆞᆫ지라너의ᄂᆞᆫ나의ᄒᆡᆼᄌᆞ를도읍게ᄒᆞ면ᄂᆡ가렬국에노라만일발신ᄒᆞᄂᆞᆫ날에ᄂᆞᆫ반다시셔로쳔거ᄒᆞ리라ᄒᆞ며ᄯᅩ음부경을놋크그아오를위ᄒᆞ야강론ᄒᆡ셕ᄒᆞ니그아오진ᄃᆡ진려가ᄯᅩᄒᆞᆫᄭᆡ다롬이잇ᄂᆞᆫ지라아오두사ᄅᆞᆷ이각기황금을ᄂᆡ야진의로ᄌᆞ를ᄎᆞ려쥬거ᄂᆞᆯ쇼진이부모와안ᄒᆡ와형슈의게하직ᄒᆞ고다시진국에드러가니이ᄯᆡ진나라ᄂᆞᆫ칠국즁가장강ᄒᆞᆫ나라가되ᄂᆞᆫ지라도와ᄑᆡ업을일우게ᄒᆞ면엇지진왕이슈용ᄒᆞ야좃기를질겨ᄒᆞ지아니리오ᄂᆡ가이번나갓다가만일젼파갓흘지경이면무ᄉᆞᆷ낫으로다시고향에도라오리오반다시진나라물니치ᄂᆞᆫᄭᅬ를ᄉᆡᆼ각ᄒᆞ야렬국으로ᄒᆞ야금동심합력ᄒᆞ야진국이외롭게ᄒᆞ면반다시셩공ᄒᆞ러라ᄒᆞ고이에동으로됴국에드러가니이ᄯᆡ됴슉후ㅣ인군이오그아오공ᄌᆞ셩이상국이되야봉양군이라ᄒᆞ거ᄂᆞᆯ쇼진이먼져봉양군을보고달ᄂᆡ니봉양군이깃버ᄒᆞ지안커ᄂᆞᆯ쇼진이됴나라를바리고북녁으로노라연나라에드러가연문공뵈ᄋᆞᆸ기를쳥ᄒᆞᆫᄃᆡ연나라사ᄅᆞᆷ들이통ᄒᆞ야쥬지안커ᄂᆞᆯ일년을지ᄂᆡ도록잇슨즉ᄒᆡᆼ탁이임의핍진ᄒᆞ야녀관에셔굴무니녀관사ᄅᆞᆷ들이그졍경을불상이역여돈ᄇᆡᆨ량을ᄭᅮ여쥬ᄂᆞᆫ지라그돈으로식비를쓰더니맛참연문공이놀나나가거ᄂᆞᆯ쇼진이길가에업ᄃᆡ엿다가뵈인ᄃᆡ문공이그셩명을무르니쇼진인쥴을알ᄀᆡᆺᄂᆞᆫ지라이에깃버ᄒᆞ야왈드른즉젼일에십만가지말노진왕ᄭᅴ드
{{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1qfu2ls2ggmezlgm326ut1ewfykbckl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16
250
101425
392365
2025-06-23T02:41:35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더더작게|황}}{{분주|이|며}}有{{더더작게|유}}瑲{{더더작게|챵}}䓗{{더더작게|총}}珩{{더더작게|형}}{{분주|이로|다}}<br> :잠ᄭᅡᆫ芑{{더더작게|긔}}ᄅᆞᆯ采{{더더작게|ᄎᆡ}}홈을뎌新{{더더작게|신}}田{{더더작게|뎐}}에ᄒᆞ며이中{{더더작게|즁}}鄕{{더더작게|향}}애ᄒᆞ놋다方{{더더작게|방}}叔{{더더작게|슉}}이涖{{더더작게|리}}ᄒᆞ니그車{{더더...
39236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더더작게|황}}{{분주|이|며}}有{{더더작게|유}}瑲{{더더작게|챵}}䓗{{더더작게|총}}珩{{더더작게|형}}{{분주|이로|다}}<br>
:잠ᄭᅡᆫ芑{{더더작게|긔}}ᄅᆞᆯ采{{더더작게|ᄎᆡ}}홈을뎌新{{더더작게|신}}田{{더더작게|뎐}}에ᄒᆞ며이中{{더더작게|즁}}鄕{{더더작게|향}}애ᄒᆞ놋다方{{더더작게|방}}叔{{더더작게|슉}}이涖{{더더작게|리}}ᄒᆞ니그車{{더더작게|거}}ᅵ三{{더더작게|삼}}千{{더더작게|쳔}}이로소니旂{{더더작게|긔}}와旐{{더더작게|죠}}ᅵ央{{더더작게|앙}}央{{더더작게|앙}}ᄒᆞ도다方{{더더작게|방}}叔{{더더작게|슉}}이率{{더더작게|솔}}ᄒᆞ니約{{더더작게|약}}ᄒᆞᆫ軝{{더더작게|기}}와錯{{더더작게|착}}ᄒᆞᆫ衡{{더더작게|형}}이며八{{더더작게|팔}}鸞{{더더작게|란}}이瑲{{더더작게|챵}}瑲{{더더작게|챵}}ᄒᆞ도다그命{{더더작게|명}}ᄒᆞ신服{{더더작게|복}}을닙어시니朱{{더더작게|쥬}}ᄒᆞᆫ芾{{더더작게|블}}이이皇{{더더작게|황}}ᄒᆞ며瑲{{더더작게|챵}}ᄒᆞᄂᆞᆫ䓗{{더더작게|총}}ᄀᆞᆮᄐᆞᆫ珩{{더더작게|형}}이로다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t4kzd2ybcxlgncyoy2uyaljarqh8945
페이지:(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11
250
101426
392366
2025-06-23T03:02:28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을밧드러셤길마음이업슴은안니ᄂᆞ大慨ᄃᆡᄀᆡ妾쳡에所懷쇼회가이갓ᄉᆞ오니公子공ᄌᆞᄂᆞᆫ깁히生覺ᄉᆡᆼ각ᄒᆞ쇼셔王生왕ᄉᆡᆼ이이말을듯고驚喜경희ᄒᆞ야이러졀ᄒᆞ고曰욀삼가至極지극ᄒᆞᆫ言辭언ᄉᆞ을드르ᄆᆡ欽慰흠위ᄒᆞ믈이기지못ᄒᆞ리로다萬若만약素性쇼셩이貞靜졍〻치안이면엇지이런마음이잇스리요ᄂᆡ가비록六禮...
39236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을밧드러셤길마음이업슴은안니ᄂᆞ大慨ᄃᆡᄀᆡ妾쳡에所懷쇼회가이갓ᄉᆞ오니公子공ᄌᆞᄂᆞᆫ깁히生覺ᄉᆡᆼ각ᄒᆞ쇼셔王生왕ᄉᆡᆼ이이말을듯고驚喜경희ᄒᆞ야이러졀ᄒᆞ고曰욀삼가至極지극ᄒᆞᆫ言辭언ᄉᆞ을드르ᄆᆡ欽慰흠위ᄒᆞ믈이기지못ᄒᆞ리로다萬若만약素性쇼셩이貞靜졍〻치안이면엇지이런마음이잇스리요ᄂᆡ가비록六禮육례을갓초미업스ᄂᆞ娘子낭ᄌᆞ가엇지從一종일ᄒᆞᄂᆞᆫ義의가업스리요盟誓ᄆᆡᆼ셔코娘子낭ᄌᆞ로더부러終身종신토록偕老ᄒᆡ로ᄒᆞ리니娘子낭ᄌᆞᄂᆞᆫ疑心의심을두지말지어다玉檀옥단이笑而對曰소이ᄃᆡ왈娘君낭군이萬若만약이와갓치妾쳡을바리지안이ᄒᆞ실진ᄃᆡ妾쳡에願원이足족ᄒᆞᆯ지라다시무어슬顧忌고긔ᄒᆞ리잇가말을맛치ᄆᆡ生ᄉᆡᆼ이이에玉手옥슈을잇그러衾裡금리에ᄂᆞ아가니鴛鴦원앙이綠水록슈에놀고翡翠連理枝비취연리지에깃드림갓더라王生왕ᄉᆡᆼ이일노부터愛情ᄋᆡ졍에沈惑침혹ᄒᆞ고故鄕고향에도라가지을茫然망연히잇고晝夜쥬야로宴樂연락ᄒᆞ기로일을ᄉᆞᆷ거ᄂᆞᆯ노복이公子공ᄌᆞ에이러틋沈惑침혹ᄒᆞ야故鄕고향을生覺ᄉᆡᆼ각지안니물보고크게근심ᄒᆞ야이에公子공ᄌᆞ을보고諫간ᄒᆞ야曰왈主郞쥬랑이前日젼일老僕노복에말을生覺ᄉᆡᆼ각지안니ᄒᆞ시고이갓치留連류련ᄒᆞᄉᆞ父母부모에依閭之望의려지망을조곰도生覺ᄉᆡᆼ각지안니ᄒᆞ시니將次장ᄎᆞ엇지코져ᄒᆞ시ᄂᆞ잇가ᄒᆞᆫᄃᆡ王生왕ᄉᆡᆼ이實狀실상으로말ᄒᆞ야曰욀新情신졍이未洽미흡ᄒᆞᄆᆡᄯᅦ치고가기어려온지라두어ᄂᆞᆯ더멈은後후發발{{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n6pydnvabloqffj2bg9u9oblkolxgya
페이지: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38
250
101427
392367
2025-06-23T03:12:19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즉사" />외로온 플로 니욘 亭子ㅣ로소니 ᄀᆞᄅᆞᇝ 가온ᄃᆡ ᄇᆞᄅᆞᆷ 부ᄂᆞᆫ 믌겨레 비 아ᄃᆡᆨ아ᄃᆞᆨ히 오놋다】 一雙白魚不受釣 三寸黃柑猶自靑 【魚不可得이며 柑不可食ᄒᆞ니 其蕭索ᄋᆞᆫ 可知로다 ○ ᄒᆞᆫ 雙ㅅ ᄒᆡᆫ 고기ᄂᆞᆫ 낙슬 므디 아니코 세 寸ㅅ 누른 柑子ᄂᆞᆫ 오히려 제 프르렛도다】 多病馬卿無...
39236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즉사" />외로온 플로 니욘 亭子ㅣ로소니 ᄀᆞᄅᆞᇝ 가온ᄃᆡ ᄇᆞᄅᆞᆷ 부ᄂᆞᆫ 믌겨레 비 아ᄃᆡᆨ아ᄃᆞᆨ히 오놋다】
一雙白魚不受釣 三寸黃柑猶自靑 【魚不可得이며 柑不可食ᄒᆞ니 其蕭索ᄋᆞᆫ 可知로다 ○ ᄒᆞᆫ 雙ㅅ ᄒᆡᆫ 고기ᄂᆞᆫ 낙슬 므디 아니코 세 寸ㅅ 누른 柑子ᄂᆞᆫ 오히려 제 프르렛도다】
多病馬卿無日起 窮途阮籍幾時醒 【馬卿ᄋᆞᆫ 司馬長卿이니 甫ㅣ 自比長卿阮籍ᄒᆞ니라 ○ 病 한 馬卿이 닐 나리 업스니 窮ᄒᆞᆫ 길헤 阮籍ᄋᆞᆫ 어느 ᄡᅴ ᄭᆡ려뇨】
未聞細柳散金甲 腸斷秦州流濁涇 【此ᄂᆞᆫ 甫ㅣ 言盜賊이 未平ᄒᆞ며 干戈ㅣ 未息ᄒᆞᆯᄉᆡ 望秦州故鄕而斷膓也ㅣ라 ○ 細柳營에 金甲 흐토ᄆᆞᆯ 듣디 몯ᄒᆞ리로소니 秦州에 흐린 涇水 흐르ᄂᆞᆫ ᄯᅡ해 애ᄅᆞᆯ 긋노라】
<section end="즉사" />
<section begin="협중남물" />::峽中覽物 【此篇ᄋᆞᆫ 思長安而作이라】
曾爲椽吏趍三輔 憶在潼關詩興多 【椽吏ᄋᆞᆫ 甫ㅣ 爲華州功曹也ㅣ라 ○ 일즉 椽吏 ᄃᆞ외야 三輔애 가 ᄃᆞᆫ뇨니 潼關애 이셔 詩興이 하던 이ᄅᆞᆯ 思憶ᄒᆞ노라】
巫峽忽如瞻華嶽 蜀江猶似見黃河 【三輔潼關華嶽黃河ᄂᆞᆫ 皆在長安ᄒᆞ니 甫ㅣ 思故鄕ᄒᆞ야 在蜀而想望故로 見巫峽蜀江ᄒᆞ고 如見華嶽黃河也ㅣ라 ○ 巫峽ᄋᆞᆯ 믄득 華嶽 보ᄂᆞᆫ ᄃᆞᆺ 녀기며 蜀江ᄋᆞᆯ 오히려 黃河 보ᄂᆞᆫ ᄃᆞᆺᄒᆞ노라】
舟中得病移衾枕 洞口經春長薜蘿
{{옛한글쪽 끝}}
<section end="협중남물"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spn1tibu2sahu5bsc7eee2pbbjno5j
페이지: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39
250
101428
392368
2025-06-23T03:12:40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협중남물" />【移衾枕은 言在舟得病ᄒᆞ야 移衾枕於洞口之居ㅣ니라 ○ ᄇᆡᆺ 가온ᄃᆡ셔 病을 어더 니블와 벼개와ᄅᆞᆯ 옮겨 오고 곬 이페셔 보ᄆᆞᆯ 디내요니 薛蘿ㅣ 기놋다】 形勝有餘風土惡 幾時回首一長歌 【夔蜀이 雖有形勝이나 風土ㅣ 不類中原故로 甫ㅣ 望故鄕而歌詠也ㅣ라 ○ 形勢의 죠호미 하나 風土ㅣ 모디니 몃 ᄢᅳ...
39236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협중남물" />【移衾枕은 言在舟得病ᄒᆞ야 移衾枕於洞口之居ㅣ니라 ○ ᄇᆡᆺ 가온ᄃᆡ셔 病을 어더 니블와 벼개와ᄅᆞᆯ 옮겨 오고 곬 이페셔 보ᄆᆞᆯ 디내요니 薛蘿ㅣ 기놋다】
形勝有餘風土惡 幾時回首一長歌 【夔蜀이 雖有形勝이나 風土ㅣ 不類中原故로 甫ㅣ 望故鄕而歌詠也ㅣ라 ○ 形勢의 죠호미 하나 風土ㅣ 모디니 몃 ᄢᅳᆯ 머리 도ᄅᆞ혀 ᄇᆞ라고 ᄒᆞᆫ 번 기리 놀애ᄅᆞᆯ 브르가니오】
<section end="협중남물" />
<section begin="억정남자" />::憶鄭南玼 【玼ᄂᆞᆫ 音泚ㅣ니 石之似玉者也ㅣ라】
鄭南伏毒寺 瀟洒到江心 【伏毒寺ㅣ 在華州鄭南縣江水中ᄒᆞ니라 ○ 鄭南애 伏毒 뎌리 瀟洒히 ᄀᆞᄅᆞᇝ 가온ᄃᆡ 니르렛ᄂᆞ니라】
石影銜珠閣 泉聲帶玉琴 【石ᄋᆞᆫ 卽玼ㅣ니 在寺閣下ᄒᆞ야 閣影ㅣ 倒照而銜之니라 帶玉琴은 言泉聲이 如琴響이라 ○ 돌햇 그르메ᄂᆞᆫ 구슬로 혼 지블 머게고 믌소리ᄂᆞᆫ 玉琴을 ᄯᅴ 찻ᄂᆞᆫ ᄃᆞᆺᄒᆞ니라】
風杉曾曙倚 雲橋憶春臨 【ᄇᆞᄅᆞᆷ 부ᄂᆞᆫ 杉木애 일즉 새배 지요니 구롬 ᄭᅵᆫ 뫼해 보ᄆᆡ 臨觀호ᄆᆞᆯ 思憶ᄒᆞ노라】
萬里蒼茫水 龍蛇只自深 【蒼茫ᄋᆞᆫ 本作滄浪ᄒᆞ니 言滄浪之水에 龍蛇ㅣ 深藏이라 不如鄭南江心之可到ㅣ니라 ○ 萬里ㅅ 아ᄋᆞ라ᄒᆞᆫ 므레 龍과 ᄇᆡ얌괘 오직 제 기피 드렛ᄂᆞ니라】
<section end="억정남자" />
<section begin="회파상유" />::懷灞上遊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회파상유"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jcn8zehhmls74d4im975cdicmndxfhw
페이지: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40
250
101429
392369
2025-06-23T03:13:01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회파상유" />悵望東陵道 平生灞上遊 【東陵灞水ᄂᆞᆫ 皆在長安이라 ○ 東陵ㅅ 길흘 슬허셔 ᄇᆞ라노니 平生애 灞水ㅅ 우희셔 노다라】 春濃停野騎 夜宿敞雲樓 【此ᄂᆞᆫ 言昔日之事ᄒᆞ다 ○ 보ᇝ비치 둗겁거든 ᄆᆡ해 가 ᄐᆞᆫ ᄆᆞᆯᄅᆞᆯ 머믈오고 바ᄆᆡ 자니 구룸 ᄭᅵᆫ 樓ㅣ 훤ᄒᆞ더라】 別離人誰在 經過老自休 【言...
39236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회파상유" />悵望東陵道 平生灞上遊 【東陵灞水ᄂᆞᆫ 皆在長安이라 ○ 東陵ㅅ 길흘 슬허셔 ᄇᆞ라노니 平生애 灞水ㅅ 우희셔 노다라】
春濃停野騎 夜宿敞雲樓 【此ᄂᆞᆫ 言昔日之事ᄒᆞ다 ○ 보ᇝ비치 둗겁거든 ᄆᆡ해 가 ᄐᆞᆫ ᄆᆞᆯᄅᆞᆯ 머믈오고 바ᄆᆡ 자니 구룸 ᄭᅵᆫ 樓ㅣ 훤ᄒᆞ더라】
別離人誰在 經過老自休 【言昔日同遊者ㅣ 今誰ㅣ 復在오 我則已老ㅣ라 未能反歸也ㅣ니라 ○ 여희요매 사ᄅᆞ미 뉘 잇ᄂᆞ니오 디나가ᄆᆞᆯ 늘거 내 말와라】
眼前今古意 江漢一歸舟 【누ᇇ 알ᄑᆡ 보논 이제와 녜왓 ᄠᅳ드로 江漢애 ᄒᆞᆫ 가ᄂᆞᆫ ᄇᆡᄅᆞᆯ 탓노라】
<section end="회파상유" />
<section begin="강상" />::江上
江上日多雨 蕭蕭荊楚秋 【蕭蕭ᄂᆞᆫ 風聲이라 ○ ᄀᆞᄅᆞᇝ 우희 날마다 비 하 오니 蕭蕭ᄒᆞᆫ 荊楚ㅅ ᄀᆞᄋᆞᆯ히로다】
高風下木葉 永夜攬貂裘 【노ᄑᆞᆫ ᄇᆞᄅᆞ매 나못니피 ᄂᆞ리ᄂᆞ니 긴 바ᄆᆡ 貂裘ᄅᆞᆯ 자보라】
勲業頻看鏡 行藏獨倚樓 【此ᄂᆞᆫ 言勲業ᄋᆞᆯ 未立而看鏡은 所以惜其老이오 行藏ᄋᆞᆯ 未定而倚樓ᄂᆞᆫ 所以致其思ㅣ라 ○ 功業으란 ᄌᆞ조 거우ᄅᆞᆯ 보노니 行커나 藏커나 호매 ᄒᆞ올로 樓ᄅᆞᆯ 지혓노라】
時危思報主 衰謝不能休 【時節이 危難ᄒᆞᆫ 저긔 님그ᇝ 恩私ᄅᆞᆯ 갑ᄉᆞᆸ고져 ᄉᆞ랑ᄒᆞ야 늘거도 能히 마디 못ᄒᆞ노라】
<section end="강상" />
<section begin="강한" />::江漢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강한"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6fdsfbxbprl7ehb7vdbncooffmo5kkk
두시언해/중간본/권3/즉사
0
101430
392370
2025-06-23T03:14:34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즉사 | 다른 표기 = 卽事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견수|견수]] | 다음 = [[../협중남물|협중남물]]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37 to=38 fromsection="즉사" tosection="즉사" /> ==저작권== {{PD-old}}
392370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즉사
| 다른 표기 = 卽事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견수|견수]]
| 다음 = [[../협중남물|협중남물]]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37 to=38 fromsection="즉사" tosection="즉사" />
==저작권==
{{PD-old}}
fqjj3l3x11xs55ygdbj5xyhv43kew1h
두시언해/중간본/권3/협중남물
0
101431
392371
2025-06-23T03:16:04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협중남물 | 다른 표기 = 峽中覽物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즉사|즉사]] | 다음 = [[../억정남자|억정남자]]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38 to=39 fromsection="협중남물" tosection="협중남물" /> ==저작권== {{PD-old}}
392371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협중남물
| 다른 표기 = 峽中覽物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즉사|즉사]]
| 다음 = [[../억정남자|억정남자]]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38 to=39 fromsection="협중남물" tosection="협중남물" />
==저작권==
{{PD-old}}
parewoy8usiesha8f2k1a3hztl0yfhd
두시언해/중간본/권3/억정남자
0
101432
392372
2025-06-23T03:17:38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억정남자 | 다른 표기 = 憶鄭南玼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협중남물|협중남물]] | 다음 = [[../회파상유|회파상유]]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39 to=39 fromsection="억정남자" tosection="억정남자" /> ==저작권== {{PD-old}}
392372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억정남자
| 다른 표기 = 憶鄭南玼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협중남물|협중남물]]
| 다음 = [[../회파상유|회파상유]]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39 to=39 fromsection="억정남자" tosection="억정남자" />
==저작권==
{{PD-old}}
gxn3n9059g1c5jyhbs3o3l6rji5wj1k
두시언해/중간본/권3/회파상유
0
101433
392373
2025-06-23T03:19:06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회파상유 | 다른 표기 = 懷灞上遊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억정남자|억정남자]] | 다음 = [[../강한|강한]]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39 to=40 fromsection="회파상유" tosection="회파상유" /> ==저작권== {{PD-old}}
392373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회파상유
| 다른 표기 = 懷灞上遊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억정남자|억정남자]]
| 다음 = [[../강한|강한]]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39 to=40 fromsection="회파상유" tosection="회파상유" />
==저작권==
{{PD-old}}
8iuguhcwt4yznndlj8ss0v492q98da8
392374
392373
2025-06-23T03:19:44Z
ZornsLemon
15531
392374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회파상유
| 다른 표기 = 懷灞上遊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억정남자|억정남자]]
| 다음 = [[../강상|강상]]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39 to=40 fromsection="회파상유" tosection="회파상유" />
==저작권==
{{PD-old}}
5x90dixdcliujc3w3jk7zc9oe8m1cyb
두시언해/중간본/권3/강상
0
101434
392375
2025-06-23T03:20:43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강상 | 다른 표기 = 江上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회파상유|회파상유]] | 다음 = [[../강한|강한]]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40 to=40 fromsection="강상" tosection="강상" /> ==저작권== {{PD-old}}
392375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강상
| 다른 표기 = 江上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회파상유|회파상유]]
| 다음 = [[../강한|강한]]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40 to=40 fromsection="강상" tosection="강상" />
==저작권==
{{PD-old}}
fhzwg8rbdz29x90fz4xz09x9ssv2l8o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17
250
101435
392376
2025-06-23T03:35:44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鴥{{더더작게|휼}}彼{{더더작게|피}}飛{{더더작게|비}}準{{더더작게|쥰}}{{분주|이|여}}基{{더더작게|기}}飛{{더더작게|비}}戾{{더더작게|려}}天{{더더작게|텬}}{{분주|이|며}}亦{{더더작게|역}}集{{더더작게|집}}爰{{더더작게|원}}止{{더더작게|지}}{{분주|로|다}}方{{더더작게|방}}叔{{더더작게|슉}}涖{{더더작게|리}}止{{더더작게|지}}{{분주|ᄒᆞ|니}}基{{...
39237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鴥{{더더작게|휼}}彼{{더더작게|피}}飛{{더더작게|비}}準{{더더작게|쥰}}{{분주|이|여}}基{{더더작게|기}}飛{{더더작게|비}}戾{{더더작게|려}}天{{더더작게|텬}}{{분주|이|며}}亦{{더더작게|역}}集{{더더작게|집}}爰{{더더작게|원}}止{{더더작게|지}}{{분주|로|다}}方{{더더작게|방}}叔{{더더작게|슉}}涖{{더더작게|리}}止{{더더작게|지}}{{분주|ᄒᆞ|니}}基{{더더작게|기}}車{{더더작게|거}}三{{더더작게|삼}}千{{더더작게|쳔}}{{분주|이로|소니}}師{{더더작게|ᄉᆞ}}干{{더더작게|간}}之{{더더작게|지}}試{{더더작게|시}}{{분주|로|다}}方{{더더작게|방}}叔{{더더작게|슉}}率{{더더작게|솔}}止{{더더작게|지}}{{분주|ᄒᆞ|니}}鉦{{더더작게|졍}}人{{더더작게|인}}伐{{더더작게|벌}}皷{{더더작게|고}}{{분주|ᅵ어|ᄂᆞᆯ}}陳{{더더작게|진}}師{{더더작게|ᄉᆞ}}鞠{{더더작게|국}}旅{{더더작게|려}}{{분주|ᅵ로|다}}顯{{더더작게|현}}允{{더더작게|윤}}方{{더더작게|방}}叔{{더더작게|슉}}{{분주|이|여}}伐{{더더작게|벌}}皷{{더더작게|고}}淵{{더더작게|연}}淵{{더더작게|연}}{{분주|이|며}}振{{더더작게|진}}旅{{더더작게|려}}闐{{더더작게|뎐}}闐{{더더작게|뎐}}{{분주|이로|다}}<br>
:鴥{{더더작게|휼}}ᄒᆞᆫ뎌飛{{더더작게|비}}ᄒᆞᄂᆞᆫ準{{더더작게|쥰}}이여그飛{{더더작게|비}}홈이天{{더더작게|텬}}애戾{{더더작게|려}}ᄒᆞ며ᄯᅩᄒᆞᆫ이예止{{더더작게|지}}ᄒᆞᆯᄃᆡ集{{더더작게|집}}ᄒᆞ놋다方{{더더작게|방}}叔{{더더작게|슉}}이涖{{더더작게|리}}ᄒᆞ니그車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lz2gqdiscv1pd2dmw89en81ao6a2kk2
추강에 밤이 드니
0
101436
392378
2025-06-23T04:09:55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추강(秋江)에 밤이 드니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월산대군|월산대군]]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의 시조로 게재되어 있다.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76 to=76 fromsection="三○八" tosection="三○八"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392378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추강(秋江)에 밤이 드니
|다른 표기 =
|지은이 = [[저자:월산대군|월산대군]]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청구영언]]에 무명씨의 시조로 게재되어 있다.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ages index="김천택 청구영언 (디지털한글박물관, 1728).pdf" from=76 to=76 fromsection="三○八" tosection="三○八" />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조}}
k0n8sn0jdcirmz20p984ovv90aodbo3
파연곡
0
101437
392381
2025-06-23T04:34:05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파연곡 |다른 표기 = 罷宴曲 |저자 = [[저자:윤선도|윤선도]]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edition = true |설명 =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oem> 罷<sub>파</sub>宴<sub>연</sub>曲<sub>곡</sub>二<sub>이</sub>章<sub>쟝</sub> 즐기기도ᄒᆞ려니와근심을니즐것가 놀기도ᄒᆞ려니와길기아니어려오냐 어려온근심을알면萬<sub>만</sub>壽<sub>슈</sub>無<sub>무</sub>疆<sub>...
392381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제목 = 파연곡
|다른 표기 = 罷宴曲
|저자 = [[저자:윤선도|윤선도]]
|역자 =
|부제 =
|이전 =
|다음 =
|edition = true
|설명 =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oem>
罷<sub>파</sub>宴<sub>연</sub>曲<sub>곡</sub>二<sub>이</sub>章<sub>쟝</sub>
즐기기도ᄒᆞ려니와근심을니즐것가
놀기도ᄒᆞ려니와길기아니어려오냐
어려온근심을알면萬<sub>만</sub>壽<sub>슈</sub>無<sub>무</sub>疆<sub>강</sub>ᄒᆞ리라
술도머그려니와德<sub>덕</sub>업스면亂<sub>란</sub>ᄒᆞᄂᆞ니
춤도추려니와禮<sub>례</sub>업스면雜<sub>잡</sub>되ᄂᆞ니
아마도德<sub>덕</sub>禮<sub>례</sub>를딕희면萬<sub>만</sub>壽<sub>슈</sub>無<sub>무</sub>疆<sub>강</sub>ᄒᆞ리라
</poem>
{{옛한글 끝}}
== 라이선스 ==
{{PD-old-100}}
[[분류:시조]]
eyvybuat02gy7bpqs8hhzyj87gt8xqf
페이지:(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12
250
101438
392382
2025-06-23T04:38:14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行ᄒᆡᆼᄒᆞᆯ거시니念慮념려치말고물너가잇스라ᄒᆞ거ᄂᆞᆯ老僕노복이이말을드르ᄆᆡ情理졍리에그러ᄒᆞᆯᄯᅳᆺᄒᆞᆫ지라다시말아니ᄒᆞ고물너와잇셧더니公子공ᄌᆞ의行動ᄒᆡᆼ동이前日젼일과달나宴樂연락ᄒᆞ기에만蠱惑고혹ᄒᆞ고一毫일호라도他念타념ᄒᆞᆷ은업ᄂᆞᆫ지라老僕로복이悶忙민망히녁여두셰번懇切간졀히諫간ᄒ...
39238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行ᄒᆡᆼᄒᆞᆯ거시니念慮념려치말고물너가잇스라ᄒᆞ거ᄂᆞᆯ老僕노복이이말을드르ᄆᆡ情理졍리에그러ᄒᆞᆯᄯᅳᆺᄒᆞᆫ지라다시말아니ᄒᆞ고물너와잇셧더니公子공ᄌᆞ의行動ᄒᆡᆼ동이前日젼일과달나宴樂연락ᄒᆞ기에만蠱惑고혹ᄒᆞ고一毫일호라도他念타념ᄒᆞᆷ은업ᄂᆞᆫ지라老僕로복이悶忙민망히녁여두셰번懇切간졀히諫간ᄒᆞ야왈항자에銀子은ᄌᆞ을娼家창가로보낼ᄯᆡ老僕로복이挽留만류치아니ᄒᆞᆷ은主郞쥬랑의마음과ᄯᅳᆺ이기우러지ᄆᆡ可가히諫간ᄒᆡ지못ᄒᆞᆯ쥴아ᄂᆞᆫ故고로다만主郞쥬랑에回心회심ᄒᆞ기만바라옵더니한갈갓치류련ᄒᆞ심이이에이르시니老僕로복이엇지垂手傍觀슈슈방관ᄒᆞ고잇스리잇가前日젼일에말ᄉᆞᆷ을드르니數三日後슈삼일후에ᄂᆞᆫ發程발졍ᄒᆞ신다ᄒᆞ옵더니이졔이르러ᄂᆞᆫ모든일을돈불고견ᄒᆞ옵고宴樂연락ᄒᆞ시기만第一事業뎨일ᄉᆞ업으로아르시니財物ᄌᆡ물에消耗소모되옴은足죡히앗갑지아니ᄒᆞ오ᄂᆞ公子공ᄌᆞ의총명령오ᄒᆞᆷ으로能능히ᄭᆡ닷지못ᄒᆞ심이可惜가셕ᄒᆞᆯᄲᅮᆫ아니라父母부모의바라시ᄂᆞᆫ마음을一毫生覺일호ᄉᆡᆼ각지아니ᄒᆞ시니엇지人子인ᄌᆞ의道理도리라ᄒᆞ오며老僕로복도老爺로야의付托부탁ᄒᆞ심을드럿ᄂᆞᆫ지라公子공ᄌᆞ에이갓치行事ᄒᆡᆼᄉᆞᄒᆞ심을보옵고悶忙민망ᄒᆞ옵기測量측량업ᄉᆞ와累次루ᄎᆞ苦諫고간ᄒᆞ오ᄃᆡ聽而不行쳥이불ᄒᆡᆼᄒᆞ시니바라건ᄃᆡ主郞쥬랑은千番生覺쳔번ᄉᆡᆼ각ᄒᆞ시고萬番만번혜아리ᄉᆞ前過젼과를고치시고卽日發行즉일발ᄒᆡᆼᄒᆞ야故鄕고향에도라{{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mfi23exa122auec7ubri0gcr5k1ojl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18
250
101439
392384
2025-06-23T04:38:39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더더작게|거}}l三{{더더작게|삼}}千{{더더작게|쳔}}이로소니師{{더더작게|ᄉᆞ}}ᅵ干{{더더작게|간}}을試{{더더작게|시}}ᄒᆞ얏도다方{{더더작게|방}}叔{{더더작게|슉}}이率{{더더작게|솔}}ᄒᆞ니鉦{{더더작게|졍}}人{{더더작게|인}}이皷{{더더작게|고}}ᄅᆞᆯ伐{{더더작게|벌}}ᄒᆞ거늘師{{더더작게|ᄉᆞ}}ᄅᆞᆯ陳{{더더작게|진}}ᄒᆞ며旅{{더더작...
39238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더더작게|거}}l三{{더더작게|삼}}千{{더더작게|쳔}}이로소니師{{더더작게|ᄉᆞ}}ᅵ干{{더더작게|간}}을試{{더더작게|시}}ᄒᆞ얏도다方{{더더작게|방}}叔{{더더작게|슉}}이率{{더더작게|솔}}ᄒᆞ니鉦{{더더작게|졍}}人{{더더작게|인}}이皷{{더더작게|고}}ᄅᆞᆯ伐{{더더작게|벌}}ᄒᆞ거늘師{{더더작게|ᄉᆞ}}ᄅᆞᆯ陳{{더더작게|진}}ᄒᆞ며旅{{더더작게|려}}ᄅᆞᆯ鞠{{더더작게|국}}ᄒᆞ놋다顯{{더더작게|현}}ᄒᆞ고允{{더더작게|윤}}ᄒᆞᆫ方{{더더작게|방}}叔{{더더작게|슉}}이여북을티매淵{{더더작게|연}}淵{{더더작게|연}}히ᄒᆞ며旅{{더더작게|려}}ᄅᆞᆯ振{{더더작게|진}}홈애闐{{더더작게|뎐}}闐{{더더작게|뎐}}ᄒᆞ놋다<br>
○蠢{{더더작게|쥰}}爾{{더더작게|이}}蠻{{더더작게|만}}荆{{더더작게|형}}{{분주|이|}}大{{더더작게|대}}邦{{더더작게|방}}爲{{더더작게|위}}讎{{더더작게|슈}}{{분주|ᅵ로|다}}方{{더더작게|방}}叔{{더더작게|슉}}元{{더더작게|원}}老{{더더작게|로}}{{분주|ᅵ|나}}克{{더더작게|극}}壯{{더더작게|장}}基{{더더작게|기}}猶{{더더작게|유}}{{분주|ᅵ로|다}}方{{더더작게|방}}叔{{더더작게|슉}}率{{더더작게|솔}}止{{더더작게|지}}{{분주|ᄒᆞ|니}}執{{더더작게|집}}訉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n8yorr3waqy0f0awmsvjp0512r85ttv
페이지:Sanjungsinguk.djvu/8
250
101440
392385
2025-06-23T04:39:15Z
ZornsLemon
15531
/* 텍스트 없음 */
39238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0" user="ZornsLemon" /></noinclude><noinclude></noinclude>
53sv6je6gx7xkbc99c3onrj8oxgjbpc
페이지:쥬역언해 제1책.djvu/11
250
101441
392386
2025-06-23T04:50:17Z
1.245.51.194
/* 교정 안 됨 */ 새 문서: :ᄌᆡ曰왈龍룡德덕而이隱은者쟈也{{작게|야ㅣ니}}不블易역乎호世셰{{작게|ᄒᆞ며}}不블成셩乎호名명{{작게|ᄒᆞ야}}遯돈世셰无무悶민{{작게|ᄒᆞ며}}不블見견是시而이无무悶민{{작게|ᄒᆞ야}}樂락則즉行ᄒᆡᆼ之지{{작게|ᄒᆞ고}}憂우則즉違위之지{{작게|ᄒᆞ야}}確확乎호其不블可가拔발{{작게|이}}潜ᄌᆞᆷ龍룡也야{{작게|ㅣ라}}<br> :初초九구애ᄀᆞᆯ오ᄃᆡ潜ᄌ...
39238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1.245.51.194" /></noinclude>:ᄌᆡ曰왈龍룡德덕而이隱은者쟈也{{작게|야ㅣ니}}不블易역乎호世셰{{작게|ᄒᆞ며}}不블成셩乎호名명{{작게|ᄒᆞ야}}遯돈世셰无무悶민{{작게|ᄒᆞ며}}不블見견是시而이无무悶민{{작게|ᄒᆞ야}}樂락則즉行ᄒᆡᆼ之지{{작게|ᄒᆞ고}}憂우則즉違위之지{{작게|ᄒᆞ야}}確확乎호其不블可가拔발{{작게|이}}潜ᄌᆞᆷ龍룡也야{{작게|ㅣ라}}<br>
:初초九구애ᄀᆞᆯ오ᄃᆡ潜ᄌᆞᆷ龍룡勿믈用용은엇디닐옴고子ᄌᆞㅣᄀᆞᆯᄋᆞ샤ᄃᆡ龍룡德덕이오隱은ᄒᆞᆫ者쟈ㅣ니世셰로易역디아니ᄒᆞ며名명으로成셩티아니ᄒᆞ야世셰예遯돈호ᄃᆡ悶민홈이업스며是시홈을見견티몯ᄒᆞ야도悶민홈이업서樂락ᄒᆞ면行ᄒᆡᆼᄒᆞ고憂우ᄒᆞ면違위ᄒᆞ야確확히그可가히㧞발티몯홈이濳ᄌᆞᆷᄒᆞᆫ龍룡이라<br>
九구二이曰왈見현龍룡在ᄌᆡ田뎐利리見견大대人인{{작게|은}}<br><noinclude><references/></noinclude>
kwvveo3mc62bbz8axigbmd56qz5ghno
페이지:오션긔봉.djvu/4
250
101442
392388
2025-06-23T04:59:55Z
Gu89106v6
18486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 ㅣᄯᅩ위로왈나도ᄆᆞᄋᆞᆷ이털석이아니어니엇지참아ᄐᆡ을을바리고가고ᄌᆞᄒᆞ리오만은갓치가다가면도저의칼아ᄅᆡ원혼이될리니차라리여긔다두고가면도적이라도태을의어리고아ᄅᆞᆼ:옴을보고불상이넉여죽이지아니ᄒᆞᆯ리니과이셜워마시고목슘을보존ᄒᆞᆷ이가가ᄒᆞᆯᄒᆞᄂᆞ이다ᄒᆞᆫᄃᆡ {{옛한글 끝}}
39238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u89106v6" /></noinclude>{{옛한글 시작}}
ㅣᄯᅩ위로왈나도ᄆᆞᄋᆞᆷ이털석이아니어니엇지참아ᄐᆡ을을바리고가고ᄌᆞᄒᆞ리오만은갓치가다가면도저의칼아ᄅᆡ원혼이될리니차라리여긔다두고가면도적이라도태을의어리고아ᄅᆞᆼ:옴을보고불상이넉여죽이지아니ᄒᆞᆯ리니과이셜워마시고목슘을보존ᄒᆞᆷ이가가ᄒᆞᆯᄒᆞᄂᆞ이다ᄒᆞᆫᄃᆡ
{{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b87o8s0ngv68k3qolfnw5makuf3kur1
페이지:(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13
250
101443
392389
2025-06-23T05:43:37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가사北堂북당에기다리시든마ᄋᆞᆷ을慰勞위로ᄒᆞ시면그반가워ᄒᆞ심이엇더ᄒᆞ시며그ᄲᅮᆫ안이라老僕로복도ᄯᅩᄒᆞᆫ付託부탁ᄒᆞ신分付분부를져바리지아니케되오리니이엇지多幸다ᄒᆡᆼᄒᆞ고깃부지아니ᄒᆞ리릿가ᄉᆞᄅᆞᆷ이世上셰상에나ᄆᆡ孝悌효뎨가웃듬이어ᄂᆞᆯ主郞쥬랑은讀書독셔ᄒᆞ신지十餘年십여년이로되오날ᄂᆞ...
39238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가사北堂북당에기다리시든마ᄋᆞᆷ을慰勞위로ᄒᆞ시면그반가워ᄒᆞ심이엇더ᄒᆞ시며그ᄲᅮᆫ안이라老僕로복도ᄯᅩᄒᆞᆫ付託부탁ᄒᆞ신分付분부를져바리지아니케되오리니이엇지多幸다ᄒᆡᆼᄒᆞ고깃부지아니ᄒᆞ리릿가ᄉᆞᄅᆞᆷ이世上셰상에나ᄆᆡ孝悌효뎨가웃듬이어ᄂᆞᆯ主郞쥬랑은讀書독셔ᄒᆞ신지十餘年십여년이로되오날ᄂᆞᆯ行事ᄒᆡᆼᄉᆞᄒᆞ심은無知下賤무지하쳔에도比비치못ᄒᆞᆷ지라不孝불효의일을行ᄒᆡᆼᄒᆞ시되能능히悔改회ᄀᆡ치못ᄒᆞ시며娼樓창루에醜陋츄루ᄒᆞᆫ女色녀ᄉᆡᆨ올貪탐ᄒᆞ야萬金만금을ᄋᆡᆺ기지아니ᄒᆞ시니이ᄂᆞᆫ비록形狀형상이ᄉᆞᄅᆞᆷ갓ᄒᆞ나그行實ᄒᆡᆼ실은禽獸금슈와갓흐신一般일반이라무ᄉᆞᆷ面目면목으로世上셰상에셔며天下텬하사ᄅᆞᆷ의鼻笑비쇼ᄒᆞᆷ을免면ᄒᆞ리오願원컨ᄃᆡ主郞쥬랑은老僕로복의말ᄉᆞᆷ을猥濫외람타ᄉᆡᆼ각지마시고急速급속히登程등졍케ᄒᆞ쇼셔ᄒᆞᆫᄃᆡ王生왕ᄉᆡᆼ이이말을듯고不悅불열ᄒᆞ야가로되ᄂᆡ나히弱冠약관에이르도록室家실가의樂락을아지못ᄒᆞ얏더니이졔이계집은비록일홈이娼女창녀나일즉이다른ᄉᆞᄅᆞᆷ과相從상종ᄒᆞᆷ이업고ᄯᅩᄒᆞᆫ蘭心蕙質란심혜질이足족히君子군ᄌᆞ의配匹ᄇᆡ필이되염즉ᄒᆞᆷᄲᅮᆫ안니라허물며百年ᄇᆡᆨ년을偕老ᄒᆡ로ᄒᆞ기로盟誓ᄆᆡᆼ셔가如山若海여산약ᄒᆡᄒᆞᆫ지라假使가ᄉᆞ어진媒婆ᄆᆡ파로淑女슉녀를求구ᄒᆞ드ᄅᆡ도이ᄉᆞᄅᆞᆷ에지ᄂᆞ지못ᄒᆞ리니엇지ᄎᆞᆷ아一朝일조에바리고ᄯᅥᄂᆞ리요伊後이후ᄂᆞᆫ다시말ᄒᆞ지말지어다老僕로복이이말을드르ᄆᆡ어이{{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qs07yxut74njfva6u9m078o4n5qegzg
페이지:(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14
250
101444
392390
2025-06-23T05:55:17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업ᄂᆞᆫ지라이에소ᄅᆡ질너가로되主郞쥬랑에일은임의決斷결단ᄒᆞ신바이잇슴이니마음ᄃᆡ로ᄒᆞ쇼셔老僕로복은일노조ᄎᆞ하직을告고ᄒᆞ노라ᄒᆞᆫᄃᆡ王生왕ᄉᆡᆼ이ᄃᆡ로절왈이놈아네가가고ᄌᆞᄒᆞᆯ진ᄃᆡᄲᅡᆯ니갈거시어ᄂᆞᆯ무ᄉᆞᆷ일노指東指西지동지셔ᄒᆞ야잡말노나을怨望원망ᄒᆞᄂᆞᆫ다ᄲᅡᆯ니가고나의눈에보이...
39239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업ᄂᆞᆫ지라이에소ᄅᆡ질너가로되主郞쥬랑에일은임의決斷결단ᄒᆞ신바이잇슴이니마음ᄃᆡ로ᄒᆞ쇼셔老僕로복은일노조ᄎᆞ하직을告고ᄒᆞ노라ᄒᆞᆫᄃᆡ王生왕ᄉᆡᆼ이ᄃᆡ로절왈이놈아네가가고ᄌᆞᄒᆞᆯ진ᄃᆡᄲᅡᆯ니갈거시어ᄂᆞᆯ무ᄉᆞᆷ일노指東指西지동지셔ᄒᆞ야잡말노나을怨望원망ᄒᆞᄂᆞᆫ다ᄲᅡᆯ니가고나의눈에보이지말나ᄒᆞ고등을미러ᄂᆡ치거ᄂᆞᆯ老僕로복이門문에ᄂᆞ아오며歎息曰탄식왈ᄂᆞ主郞쥬랑으로더부러ᄒᆞᆫ가지로老爺로야에丁寧정녕ᄒᆞᆫ付托부탁을바다銀子은ᄌᆞ數萬金슈만금을바다가지고도라오다가不意불의에中路즁로에셔妖物요물에빌미ᄒᆞᆫ바이되여일이이에이르럿스니銀子은ᄌᆞᄂᆞᆫ足족히앗가울바이업스나主郞쥬랑이不義불의에ᄲᅡ지미可가히앗갑도다ᄒᆞ고드ᄃᆡ여도라갈ᄉᆡ浙江졀강에이르지못ᄒᆞ야同里동리ᄉᆞᄂᆞᆫᄉᆞᄅᆞᆷ을만난지라이에울며告曰고왈그ᄃᆡᄂᆞᆫ집에도라가거든나을爲위ᄒᆞ야王閣老왕각로ᄭᅴ뵈옵고나에欵曲관곡ᄒᆞᆫ말ᄉᆞᆷ을仔細ᄌᆞ셔히告고ᄒᆞ야쥬물바라노라老僕노복이無狀무상ᄒᆞ야能능히主郞쥬랑으로ᄒᆞ야금正道졍도에引導인도치못ᄒᆞ고中路즁로에이르러ᄯᅳᆺ밧게ᄒᆞᆫ妖物요물노因인ᄒᆞ야巨多거다ᄒᆞᆫ銀子은ᄌᆞ을물쓰듯消耗소모ᄒᆞ고故鄕고향을거의잇기에이르러쓰니이ᄂᆞᆫ老僕노복에不忠불츙ᄒᆞᆫ罪죄라何面目하면목으로相公상공을뵈오리요ᄎᆞ라리쥭어罪죄을續속ᄒᆞᆫ이만갓지못ᄒᆞ다ᄒᆞ고드ᄃᆡ여칼을ᄲᆡ여ᄌᆞ문ᄒᆞ{{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qinfkbf7zfgm3cz35wpd68amv5i92d
페이지:(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15
250
101445
392391
2025-06-23T06:05:32Z
Ming9113
1846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 림을알고과언이마ᄋᆞᆷ에깃버ᄒᆞ야션ᄉᆡᆼ의글을ᄒᆞᆫ번보지못ᄒᆞᆷ을한ᄒᆞ얏더니이졔션ᄉᆡᆼ이와셔과인을가라치니연나라에ᄒᆡᆼ복이될가ᄒᆞᄂᆞ이다연왕이슈ᄅᆡ를도리켜궁즁에도라오며쇼진을불너드려셔공손이가라침을쳥ᄒᆞ거ᄂᆞᆯ쇼진이쥬왈ᄃᆡ왕이젼국에벌려잇셔디방이이쳔리에병갑이슈만이오슈ᄅᆡ가륙ᄇᆡᆨ승이오...
39239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Ming9113" /></noinclude>{{옛한글 시작}}
림을알고과언이마ᄋᆞᆷ에깃버ᄒᆞ야션ᄉᆡᆼ의글을ᄒᆞᆫ번보지못ᄒᆞᆷ을한ᄒᆞ얏더니이졔션ᄉᆡᆼ이와셔과인을가라치니연나라에ᄒᆡᆼ복이될가ᄒᆞᄂᆞ이다연왕이슈ᄅᆡ를도리켜궁즁에도라오며쇼진을불너드려셔공손이가라침을쳥ᄒᆞ거ᄂᆞᆯ쇼진이쥬왈ᄃᆡ왕이젼국에벌려잇셔디방이이쳔리에병갑이슈만이오슈ᄅᆡ가륙ᄇᆡᆨ승이오말이륙쳔필이되나즁원에비ᄒᆞ면반졀이밋지못ᄒᆞ나귀에ᄂᆞᆫ금고쳘마에소ᄅᆡ를듯지못ᄒᆞ며눈으로업힌슈ᄅᆡ와장슈쥭ᄂᆞᆫ위험ᄒᆞᆷ을당치아니ᄒᆞ고편안이거ᄒᆞ야무ᄉᆞᄒᆞᆷ을ᄃᆡ왕에갓가운됴나라ᄂᆞᆫ화친ᄒᆞ야지ᄂᆡᆯᄉᆡᆼ각은아니ᄒᆞ고도리혀멀니잇ᄂᆞᆫ진국에ᄯᅡ을베혀아리ᄯᅡ옴을뵈이고ᄌᆞᄒᆞ니이ᄂᆞᆫ사근취윈니아니리잇가문공왈그러ᄒᆞ면장찻엇지ᄒᆞ여야죠흐리오쇼진이ᄃᆡ왈신의미련ᄒᆞᆫ소견으로말ᄉᆞᆷᄒᆞ오면됴나라로더부러화친을ᄆᆡᆺ게ᄒᆞ고ᄯᅩ렬국을결련ᄒᆞ야셔로동심합력ᄒᆞ면텬하가일심된후에진나라를막으면ᄋᆝᄂᆞᆫ일ᄇᆡᆨᄃᆡ나지날지라도편안케될거시어ᄂᆞᆯ엇지ᄉᆞ근취원ᄒᆞ야남을ᄯᅡᆼ으로쥬고편안ᄒᆞ기를바라리잇가문공왈션ᄉᆡᆼ이합죵ᄒᆞᄂᆞᆫ계교로연국을편안케ᄒᆞ면과인이깁히원ᄒᆞᄂᆞᆫ바어니와다만두리건ᄃᆡ졔후가질겨좃지아닐가ᄒᆞᄂᆞ이다쇼진왈신이비록ᄌᆡ죠가업스나원컨ᄃᆡ됴나라인군을친히뵈ᄋᆞᆸ고말ᄉᆞᆷᄒᆞ야언약을좃게ᄒᆞ리이다연문공이ᄃᆡ희ᄒᆞ야금ᄇᆡᆨ과로ᄌᆞ를후이쥬며놉흔ᄎᆞ와장ᄉᆞ로ᄒᆞ야곰쇼진을호위ᄒᆞ야됴나라에이르게ᄒᆞ니이ᄯᆡᄂᆞᆫ맛참봉양군이쥭고슉후만잇ᄂᆞᆫᄯᆡ이라드른즉연국에셔손을보ᄂᆡ야이르럿다ᄒᆞ거ᄂᆞᆯ셤돌에나려마지며왈귀공이페방
{{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ns3sjocqn5wbou9cvvug6cveu7spr88
페이지:(고대소설)쳥루지열녀.djvu/15
250
101446
392392
2025-06-23T06:07:27Z
Kwonmax23
1577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ᄂᆞᆫ지라그ᄉᆞᄅᆞᆷ이크게놀나急급히救구ᄒᆞ고ᄌᆞᄒᆞ나임이쥭은지라헐일업셔그곳에掩土엄토ᄒᆞᆫ後후도라와閣老각노에게前後事緣젼후ᄉᆞ연을一一일일히告고ᄒᆞᆫᄃᆡ閣老각뇌이消息소식을듯고忿恨분한ᄒᆞᆷ을참지못ᄒᆞ야家人가인으로ᄒᆞ야금四方ᄉᆞ방으로흣허搜索슈ᄉᆡᆨ코ᄌᆞᄒᆞ나廣大광ᄃᆡᄒᆞᆫ天地쳔디에定...
39239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Kwonmax23" /></noinclude>{{옛한글쪽 시작}}ᄂᆞᆫ지라그ᄉᆞᄅᆞᆷ이크게놀나急급히救구ᄒᆞ고ᄌᆞᄒᆞ나임이쥭은지라헐일업셔그곳에掩土엄토ᄒᆞᆫ後후도라와閣老각노에게前後事緣젼후ᄉᆞ연을一一일일히告고ᄒᆞᆫᄃᆡ閣老각뇌이消息소식을듯고忿恨분한ᄒᆞᆷ을참지못ᄒᆞ야家人가인으로ᄒᆞ야금四方ᄉᆞ방으로흣허搜索슈ᄉᆡᆨ코ᄌᆞᄒᆞ나廣大광ᄃᆡᄒᆞᆫ天地쳔디에定處졍쳐가업ᄂᆞᆫᄉᆞᄅᆞᆷ을어ᄃᆡ가ᄎᆞ스리요다만말노ᄭᅮ지즐ᄯᅡ름이러라却說王生각셜왕ᄉᆡᆼ이老僕노복을ᄶᅩᆺᄎᆞ보ᄂᆡᆫ뒤로붓터將次장ᄎᆞ늙기로限한ᄒᆞ고玉檀옥단과ᄒᆞᆫ가지徐州셔쥬에셔지ᄂᆡ고ᄌᆞᄒᆞᄂᆞ그집은娼樓창누라ᄂᆞᆯ마다門前문젼에車馬거마가絡繹部絶낙역부쳘ᄒᆞ야喧譁헌화가ᄭᅳ칠ᄯᆡ가업스물괴로히역이여多數다슈ᄒᆞᆫ銀子은ᄌᆞ을虛費허비ᄒᆞ야別별노히ᄒᆞᆫ집을짓고玉檀옥단과ᄒᆞᆫ자기同處동쳐코ᄌᆞᄒᆞᆯᄉᆡ一日일일은玉檀옥단이生ᄉᆡᆼ에게對ᄃᆡᄒᆞ야告曰고왈妾쳡이娼家창가에賤쳔ᄒᆞᆫ몸으로君子군ᄌᆞ에바리지안니ᄒᆞ심을힘입ᄉᆞ와집을ᄉᆡ로建築건츅ᄒᆞ시고ᄒᆞᆫ집에閑暇한가히同處동쳐코ᄌᆞᄒᆞ시니그恩惠難忘은혜난망이오ᄂᆞ君子妾군ᄌᆞ쳡으로더부러海誓山盟ᄒᆡ셔산ᄆᆡᆼ이至重지즁ᄒᆞᄆᆡ同處동쳐ᄒᆞ물달게역이지안임은안니ᄂᆞ이졔公子妾공ᄌᆞ쳡으로말ᄆᆡ아마父母부모에게得罪득죄ᄒᆞ시고ᄯᅩ士林ᄉᆞ림에恥笑치소을바드시니이ᄂᆞᆫ곳妾쳡에罪죄라그러ᄂᆞ公子공ᄌᆞᄂᆞᆫ모로미大丈夫ᄃᆡ장부의志氣지긔를셰우고兒女子아녀ᄌᆞ의깁흔情졍을顧念고념치말으쇼셔妾쳡이公子공ᄌᆞ를ᄯᅡ라가고져아니ᄒᆞᆷ은아니나{{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qt4pavp7348w5r50r4jkqswlngi6bvg
페이지:(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16
250
101447
392393
2025-06-23T06:29:09Z
Ming9113
1846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 욕이림ᄒᆞ시니엇지써나를가라치려ᄒᆞ시ᄂᆞ뇨쇼진이쥬왈신은듯ᄉᆞ온즉텬하에포의현ᄉᆞ가어진인군이인의를ᄒᆡᆼᄒᆞ면모다놉히보와그인군압헤셔츙셩베푸기를사ᄅᆞᆷ마다원ᄒᆞ거ᄂᆞᆯ봉양군은엇지ᄒᆞ야ᄌᆡ죠잇ᄂᆞᆫ사ᄅᆞᆷ을투긔ᄒᆞ며능ᄒᆞᆫ사ᄅᆞᆷ을미워ᄒᆞᄆᆡ이럼으로놀아다니ᄂᆞᆫ션ᄇᆡ들이발을싸셔나아오지아...
39239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Ming9113" /></noinclude>{{옛한글 시작}}
욕이림ᄒᆞ시니엇지써나를가라치려ᄒᆞ시ᄂᆞ뇨쇼진이쥬왈신은듯ᄉᆞ온즉텬하에포의현ᄉᆞ가어진인군이인의를ᄒᆡᆼᄒᆞ면모다놉히보와그인군압헤셔츙셩베푸기를사ᄅᆞᆷ마다원ᄒᆞ거ᄂᆞᆯ봉양군은엇지ᄒᆞ야ᄌᆡ죠잇ᄂᆞᆫ사ᄅᆞᆷ을투긔ᄒᆞ며능ᄒᆞᆫ사ᄅᆞᆷ을미워ᄒᆞᄆᆡ이럼으로놀아다니ᄂᆞᆫ션ᄇᆡ들이발을싸셔나아오지아니ᄒᆞ며혀를움쳐말을ᄒᆞ지아니ᄒᆞ얏더니이졔봉양군이업슴으로신이감히미거ᄒᆞᆫ츙셩을듸리고ᄌᆞᄒᆞᄂᆞ니신은듯건ᄃᆡ나라를보젼ᄒᆞ려면ᄇᆡᆨ셩을편안케ᄒᆞᆷ에셔지나지못ᄒᆞ며ᄇᆡᆨ셩을편안케ᄒᆞ려면이웃나라ᄉᆞ귀물갈히ᄂᆞᆫᄃᆡ지나지못ᄒᆞᄂᆞᆫ지라이졔산동나라에오즉됴나라이가장강ᄒᆞ니됴나라는디방이쳔여리가되며ᄃᆡ갑이슈십만이되며슈ᄅᆡ가쳔승이되며말이만여필이되며곡식이슈년을지ᄐᆡᆼᄒᆞᆯ만ᄒᆞ니진국이가장ᄭᅳ리ᄂᆞᆫ나라가됴국갓흠이업스나감히군ᄉᆞ를들어치지못ᄒᆞᆷ은한국과위국이뒤음습ᄒᆞᆯ가두려워ᄒᆞᄂᆞ니됴나라남편으로가려쥬ᄂᆞᆫ나라ᄂᆞᆫ한국위국이라한위량국에명산ᄃᆡ쳔에험디가업슨즉만일하로라도진병이크게동ᄒᆞ면량국을누에먹듯ᄒᆞᆯ거시오한위량국이항복ᄒᆞᆫ즉그버금은됴나라에셔화를당ᄒᆞᆯ지라신이일즉이디도를상고ᄒᆞᆫ즉렬국디방이진나라만리를지나가면졔후의군ᄉᆞ가진나라보다십ᄇᆡ나만흐니륙국으로ᄒᆞ야곰일쳬로합ᄒᆞ야힘을아울너셔편으로향ᄒᆞ면엇지진나라파ᄒᆞ기를근심ᄒᆞ리오이졔진국에셔ᄭᅬᄒᆞᆷ은졔후를공동ᄒᆞ야위엄으로반다시ᄯᅡ흘베혀화친ᄒᆞ라ᄒᆞᆷ이니ᄃᆡ져무고히ᄯᅡᆼ을베혀진국에화친ᄒᆞ면이ᄂᆞᆫ스ᄉᆞ로ᄌᆞ긔가파ᄒᆞᆷ이라스ᄉᆞ로파ᄒᆞᆷ과남이파ᄒᆞᆷ을비교ᄒᆞ면량ᄌᆞ지즁에누가나흐리잇가신의미거ᄒᆞᆫ소견으로ᄂᆞᆫ렬국으로더부러언약을뎡ᄒᆞ고환슈에군신이모도
{{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pfussy2r16ylboswqoj705fery60rh
페이지:(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17
250
101448
392394
2025-06-23T06:45:05Z
Ming9113
1846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 여ᄆᆡᆼ셔를졍ᄒᆞ고형졔를ᄆᆡ져슌치되ᄂᆞᆫ형셰를연락ᄒᆞ면진나라이나라ᄒᆞ나를치거든다셧나라가갓치구원ᄒᆞ고만일ᄆᆡᆼ셔를위반ᄒᆞᄂᆞᆫ나라가잇거든졔후ㅣ갓치쳐셔못ᄒᆞ게ᄒᆞ면진나라이비록강ᄒᆞ나엇지외로운형셰로텬하에만은형셰를당ᄒᆞ야승부를닷투게ᄂᆞ잇가됴슉후ㅣ왈과인이년쇼ᄒᆞ야나라에션지얼마못되고됴흔...
39239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Ming9113" /></noinclude>{{옛한글 시작}}
여ᄆᆡᆼ셔를졍ᄒᆞ고형졔를ᄆᆡ져슌치되ᄂᆞᆫ형셰를연락ᄒᆞ면진나라이나라ᄒᆞ나를치거든다셧나라가갓치구원ᄒᆞ고만일ᄆᆡᆼ셔를위반ᄒᆞᄂᆞᆫ나라가잇거든졔후ㅣ갓치쳐셔못ᄒᆞ게ᄒᆞ면진나라이비록강ᄒᆞ나엇지외로운형셰로텬하에만은형셰를당ᄒᆞ야승부를닷투게ᄂᆞ잇가됴슉후ㅣ왈과인이년쇼ᄒᆞ야나라에션지얼마못되고됴흔계교를듯지못ᄒᆞ얏더니이졔상ᄀᆡᆨ이졔후를연락ᄒᆞ야강ᄒᆞᆫ진국을막ᄌᆞᄒᆞ시니과인이엇지공경ᄒᆞ야좃지안켓ᄂᆞ잇가이에샹국인을차게ᄒᆞ여큰집을쥬어들게ᄒᆞ며ᄯᅩ슈ᄅᆡᄇᆡᆨ승과황금쳔일과ᄇᆡᆨ벽ᄇᆡᆨ쌍과비단쳔필을쥬어ᄒᆞ야곰종약장을ᄉᆞᆷ거ᄂᆞᆯ쇼진이사ᄅᆞᆷ으로ᄒᆞ야곰황금ᄇᆡᆨ량을연나라에가지고가셔려관사ᄅᆞᆷ이 젼일에ᄭᅮ어준돈ᄇᆡᆨ량을갑게ᄒᆞ고장찻ᄐᆡᆨ일ᄒᆞ야한나라위나라를달ᄂᆡ라갈ᄉᆡ홀연됴슉후ㅣ쇼진을불너죠희에드러오라ᄒᆞ며급ᄒᆞᆫ일에샹의ᄒᆞᆷ이잇다ᄒᆞ거ᄂᆞᆯ쇼진이황망ᄒᆞ야슉후를드러와본ᄃᆡ슉후ㅣ왈이졔변방에셔보ᄒᆞ되진나라샹국공손연이츌ᄉᆞᄒᆞ야위국을치며그ᄃᆡ장룡가를ᄉᆞ로잡아가며군ᄉᆞᄉᆞ만오쳔을버힌ᄃᆡ위국니하북에십셩을버혀화친을구ᄒᆞᆷ으로공손연이ᄯᅩ군ᄉᆞ를옴기여됴국을치려ᄒᆞᆫ다니장찻엇지ᄒᆞ면죠흐리잇가쇼진이々말을드리ᄆᆡ은근히심즁에놀나되진나라군ᄉᆞ가만일됴나라에이르면됴왕이반다시위국에화진을번바다할디쳥화ᄒᆞ면합죵ᄒᆞᄂᆞᆫ계교가ᄭᆡ질지라이ᄯᆡ쇼진이급ᄒᆞᆫ일을당ᄒᆞ니사ᄅᆞᆷ마다급ᄒᆞᆫᄯᆡ에ᄂᆞᆫ계교가ᄉᆡᆼ기ᄆᆡ아직ᄭᅮ며ᄃᆡ답ᄒᆞ얏다가ᄎᆞ々구졍을짓ᄌᆞᄒᆞ고이에안연ᄒᆞᆫ모양으로공슈ᄃᆡ왈신이혜아려ᄉᆡᆼ각컨ᄃᆡ진병이피폐ᄒᆞ야능히됴국에즉시오지못ᄒᆞᆯ거시오만일오면신이ᄌᆞ연계교가잇셔믈너가게ᄒᆞ리이다슉후왈션ᄉᆡᆼ은잠간머물
{{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1fkbt5695d4ytpgao7774x8091l80m
페이지:(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18
250
101449
392395
2025-06-23T06:59:38Z
Ming9113
1846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 너타국에가지말고진병이름을기다리다가과연오지안커든멀니ᄯᅥ나게ᄒᆞ라이말ᄒᆞᆫ마듸가쇼진의마ᄋᆞᆷ에졍히맛거ᄂᆞᆯ이에ᄃᆡ답ᄒᆞ야물너나올ᄉᆡ승샹부에도라와심복인에필셩을불너밀실에이르게ᄒᆞ고분부왈ᄂᆡ가동학ᄒᆞ던친구에장의라ᄒᆞᄂᆞᆫ사ᄅᆞᆷ이잇스니ᄌᆞ는여ᄌᆞ오ᄃᆡ량ᄉᆞ람이라ᄂᆡ가이졔너를쳔금으로쥬나...
39239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Ming9113" /></noinclude>{{옛한글 시작}}
너타국에가지말고진병이름을기다리다가과연오지안커든멀니ᄯᅥ나게ᄒᆞ라이말ᄒᆞᆫ마듸가쇼진의마ᄋᆞᆷ에졍히맛거ᄂᆞᆯ이에ᄃᆡ답ᄒᆞ야물너나올ᄉᆡ승샹부에도라와심복인에필셩을불너밀실에이르게ᄒᆞ고분부왈ᄂᆡ가동학ᄒᆞ던친구에장의라ᄒᆞᄂᆞᆫ사ᄅᆞᆷ이잇스니ᄌᆞ는여ᄌᆞ오ᄃᆡ량ᄉᆞ람이라ᄂᆡ가이졔너를쳔금으로쥬나니너는상고모양을ᄭᅮ며셩명을변ᄒᆞ되가ᄉᆞ인이라ᄒᆞ고위국에ᄲᅡᆯ니가셔장의를차져보되만일셔로맛나거든여ᄎᆞ여ᄎᆞᄒᆞᆯ거시오희졍ᄒᆞ야됴국에이르거든ᄯᅩ여ᄎᆞ여ᄎᆞᄒᆞ여아모죠록너ᄂᆞᆫ죠심죠심ᄒᆞ라가ᄉᆞ인이텽명ᄒᆞ고밤도와ᄃᆡ량으로오더라각셜장의귀곡에셔ᄯᅥ나위국에도라오니집이심히빈ᄒᆞᆫ々지라그나라혜왕을셤기고ᄌᆞᄒᆞ되여의치못ᄒᆞ고보건ᄃᆡ위국군ᄉᆞ가여러빈ᄑᆡᄒᆞ거날이에쳐ᄌᆞ를ᄭᅳᆯ고위국을ᄯᅥ나쵸국에이르니쵸나라상국쇼양이머물너문ᄒᆞᄀᆡᆨ을ᄉᆞᆷ앗더라쇼양이군ᄉᆞ를거나리고위병을쳐셔크게익이고양々등쳐일곱고을이나으드니쵸위왕이그공을아름답게아라화씨벽을쥬니화씨벽이라ᄒᆞᄂᆞᆫ구슬은본ᄃᆡ쵸여왕말년에쵼나라사ᄅᆞᆷ변화가박옥ᄒᆞ나를형산에셔으더왕ᄭᅴ듸리니여왕이옥공으로ᄒᆞ야곰보라ᄒᆞᆫ즉옥공왈이ᄂᆞᆫ옥이아니오돌이라ᄒᆞ거ᄂᆞᆯ여왕이ᄃᆡ로ᄒᆞ야변화가인군을쇽엿다ᄒᆞ고그좌죡을베히며여왕이쥭고무왕이즉위ᄒᆞ거ᄂᆞᆯ화씨그박옥을ᄯᅩ밧친ᄃᆡ왕이옥공으로ᄒᆞ야곰ᄌᆞ셰히보라ᄒᆞ나옥공왈이ᄂᆞᆫ옥이아니오돌이라ᄒᆞ거ᄂᆞᆯ왕이로ᄒᆞ야그우죡을베힌지라그후에쵸나라문왕이ᄯᅩ즉위ᄒᆞᄆᆡ화씨박옥을밧치고ᄌᆞᄒᆞ나쌍죡이모다업스ᄆᆡ능히ᄒᆡᆼ동치못ᄒᆞ고이에박옥을품에품고형산아ᄅᆡ셔통곡ᄒᆞ기를ᄉᆞᆷ일ᄉᆞᆷ야나ᄒᆞᆫ즉나죵에는피가눈에셔나더라화씨아는사ᄅᆞᆷ
{{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d58jkp1sbc3ogv7ftrnhphsuxiporu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