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문헌 kowikisource https://ko.wikisource.org/wiki/%EC%9C%84%ED%82%A4%EB%AC%B8%ED%97%8C:%EB%8C%80%EB%AC%B8 MediaWiki 1.45.0-wmf.7 first-letter 미디어 특수 토론 사용자 사용자토론 위키문헌 위키문헌토론 파일 파일토론 미디어위키 미디어위키토론 틀토론 도움말 도움말토론 분류 분류토론 저자 저자토론 포털 포털토론 번역 번역토론 초안 초안토론 페이지 페이지토론 색인 색인토론 TimedText TimedText talk 모듈 모듈토론 미디어위키:Edittools 8 3380 392720 27832 2025-06-28T05:52:06Z Aspere 5453 테스트: 바로 되돌릴 예정 392720 wikitext text/x-wiki <!-- 이 문서는 편집 창과 파일 올리기 창에 출력됩니다. --> <div id="specialchars" class="my-buttons" style="margin-top:10px; border-style:solid; border-width:1px; border-color:#aaaaaa; padding:1px; text-align:center; font-size:120%;"> <p class="specialbasic" id="Standard"> <charinsert><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 … × ÷ ¹ ² ³ ½ € † ← →</charinsert> <br /> <charinsert><poem>+</poem> <!--+--> <ref>+</ref> <references/></charinsert> <br /> <charinsert>[[분류:+]]</charinsert> <charinsert><nowiki>#넘겨주기 [[+]]</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기본정렬:+<nowiki>}}</nowiki></charinsert> <br /> <charinsert><nowiki>{{IPA|</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lang|</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llang|</nowiki>+<nowiki>}}</nowiki></charinsert> <br /> <charinsert><nowiki>〻 </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々</nowiki></charinsert> </p> </div> iygvg9391xf7nb6gdu4h7zcpnxpu8yr 392721 392720 2025-06-28T05:52:35Z Aspere 5453 [[Special:Contributions/Aspere|Aspere]]([[User talk:Aspere|토론]])의 편집을 [[User:알밤한대|알밤한대]]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27832 wikitext text/x-wiki <!-- 이 문서는 편집 창과 파일 올리기 창에 출력됩니다. --> <div id="specialchars" class="my-buttons" style="margin-top:10px; border-style:solid; border-width:1px; border-color:#aaaaaa; padding:1px; text-align:center; font-size:120%;"> <p class="specialbasic" id="Standard"> <charinsert><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 … × ÷ ¹ ² ³ ½ € † ← →</charinsert> <br /> <charinsert><poem>+</poem> <!--+--> <ref>+</ref> <references/></charinsert> <br /> <charinsert>[[분류:+]]</charinsert> <charinsert><nowiki>#넘겨주기 [[+]]</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기본정렬:+<nowiki>}}</nowiki></charinsert> <br /> <charinsert><nowiki>{{IPA|</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lang|</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llang|</nowiki>+<nowiki>}}</nowiki></charinsert> </p> </div> 4s7nsgy9os2qw9k6nfz1zm12su6sdq4 번역:천자문 114 12396 392680 392626 2025-06-27T13:31:13Z 2406:5900:1001:2070:A26F:EE70:E517:F1C 392680 wikitext text/x-wiki {{번역 머리말 |제목 = 천자문 |저자 = [[저자:주흥사|주흥사]] |역자 = [[사용자:jjw|jjw]]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위키백과|천자문}} 천자문(千字文)은 중국 남조 양(502~549)의 주흥사가 양 무제의 명을 받아 지은 책으로, 모두 다른 한자 1000자를 사용하여 1구 4자의 사언 고시 250구로 만들었다. 한문의 입문서로 널리 쓰였다. 2010년 8월 25일 석봉 한호의 필체를 목각한 《천자문》이 대한민국 보물 제1659호로 지정되었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200px; background:#eeffee;"| 원문 !background:#eeeeff;"| 번역 |- | {{더 크게|{{lang|zh|天地玄黃 宇宙洪荒}}}} |rowspan=2|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며 우주는 넓고도 크다. |- |천지현황 우주홍황<ref>독음은 [http://handic.daum.net/dicha/view_top.do 다음한자사전] 을 따랐다. 두음법칙에 의해 독음이 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리(李)는 낱말의 앞에 올경우 이로 적었다.</ref> |- | {{더 크게|{{lang|zh|日月盈昃 辰宿列張}}}} |rowspan=2| 해와 달이 차고 기울며 별은 자리를 잡아 늘어서 있다. |- |일월영측 진수열장 |- | {{더 크게|{{lang|zh|寒來暑往 秋收冬藏}}}} |rowspan=2| 추위가 오고 더위가 가니 가을엔 거두고 겨울엔 갈무리하여 둔다. |- | 한래서왕 추수동장 |- | {{더 크게|{{lang|zh|閏餘成歲 律呂調陽}}}} |rowspan=2| 윤달을 더하여 한해를 이루고 가락을 맞추어 양기를 돋운다. |- | 윤여성세 율려조양 |- | {{더 크게|{{lang|zh|雲騰致雨 露結為霜}}}} |rowspan=2| 구름은 올라가 비가 되고 이슬은 얼어 서리가 된다. |- | 운등치우 노결위상 |- | {{더 크게|{{lang|zh|金生麗水 玉出崑岡}}}} |rowspan=2| 금은 여수에서 나고 옥은 곤강에서 난다. |참고로 崑은 昆과 같다. |- | 금생여수 옥출곤강 |- | {{더 크게|{{lang|zh|劍號巨闕 珠稱夜光}}}} |rowspan=2| 검은 일컬어 거궐이요 구슬은 일컬어 야광이라. |- | 검호거궐 주칭야광 |- | {{더 크게|{{lang|zh|果珍李柰 菜重芥薑}}}} |rowspan=2| 과일 가운데 진미는 오얏과 능금이요 채소 가운데 중요한 것은 겨자와 생강이라. |- | 과진이내 채중개강 |- | {{더 크게|{{lang|zh|海鹹河淡 鱗潛羽翔}}}} |rowspan=2| 바다는 짜고 강물은 싱거우며 비늘 달린 물고기는 물에 잠기고 깃 달린 새는 높이 난다. |- | 해함하담 인잠우상 |- | {{더 크게|{{lang|zh|龍師火帝 鳥官人皇}}}} |rowspan=2| 복희씨<ref>복희는 뱀의 몸에 사람의 얼굴을 하였다고 하며 용사는 복희의 별칭이다.</ref>, 신농씨<ref>화제 또는 염제(炎帝)는 신농씨의 별칭이다</ref>, 소호<ref>소호는 새 이름을 관직명으로 삼았다고 한다.</ref> 와 황제헌원<ref>황제는 《황제내경》과 같은 의술서의 저자로 알려져 있어 인황이란 별칭이 붙었다.</ref> |- | 용사화제 조관인황 |- | {{더 크게|{{lang|zh|始制文字 乃服衣裳}}}} |rowspan=2| 문자를 처음 짓고 옷을 지어 입혔지. |- | 시제문자 내복의상 |- | {{더 크게|{{lang|zh|推位讓國 有虞陶唐}}}} |rowspan=2| 자리를 미루며 나라를 물려주니 유우<ref>순임금의 이름이다.</ref> 와 도당<ref>우 임금의 이름이다.</ref> 이라. |- | 추위양국 유우도당 |- | {{더 크게|{{lang|zh|弔民伐罪 周發殷湯}}}} |rowspan=2| 백성을 돕고 죄를 벌하니 주나라 무왕<ref>발(發)은 주 무왕의 이름</ref> 과 은나라 탕왕이라. |- | 조민벌죄 주발은탕 |- | {{더 크게|{{lang|zh|坐朝問道 垂拱平章}}}} |rowspan=2| 조정에 앉아 도를 묻기에 두 손으로 문장을 올리니, |- | 좌조문도 수공평장 |- | {{더 크게|{{lang|zh|愛育黎首 臣伏戎羌}}}} |rowspan=2| 백성을 아끼고<ref>여수(黎首)는 검은 머리, 즉 관직이 없는 백성을 말한다.</ref> 오랑캐가 신하로 복종하게 하소서. |- | 애육여수 신복융강 |- | {{더 크게|{{lang|zh|遐邇壹體 率賓歸王}}}} |rowspan=2| 멀고 가까운 곳이 하나가 되어 임금께 이끌려 따를 것입니다. |- | 하이일체 솔빈귀왕 |- | {{더 크게|{{lang|zh|鳴鳳在樹 白駒食場}}}} |rowspan=2|봉황은 나무에 내려 울고 흰망아지 풀을 뜯으니<ref>성군이 나면 봉황이 찾아와 울고 흰망아지가 나타난다는 전설에 빗대어 태평성대를 말함</ref> |- | 명봉재수 백구식장 |- | {{더 크게|{{lang|zh|化被草木 賴及萬方}}}} |rowspan=2| 덕화가 초목까지 미치고 만방에 퍼지리. |- | 화피초목 뇌급만방 |- | {{더 크게|{{lang|zh|蓋此身髮 四大五常}}}} |rowspan=2| 몸에 털이 덮힌 것과 같이 4대5상을 지키고<ref>4대는 하늘, 땅, 도(道), 임금. 5상은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ref> |- | 개차신발 사대오상 |- | {{더 크게|{{lang|zh|恭惟鞠養 豈敢毁傷}}}} |rowspan=2| 길러준 은혜를 공경하여 감히 상처를 내지 말아야 한다. |- | 공유국양 기감훼상 |- | {{더 크게|{{lang|zh|女慕貞烈 男效才良}}}} |rowspan=2|여자는 정조를 따르고 남자는 재량을 본받아 |- | 여모정렬 남효재량 |- | {{더 크게|{{lang|zh|知過必改 得能莫忘}}}} |rowspan=2|잘못이 있으면 반드시 고치고 배운 것은 잊지 말아야 한다. |- | 지과필개 득능막망 |- | {{더 크게|{{lang|zh|罔談彼短 靡恃己長}}}} |rowspan=2| 다른이의 단점을 입에 담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너무 믿지 마라 |- | 망담피단 미시기장 |- | {{더 크게|{{lang|zh|信使可覆 器欲難量}}}} |rowspan=2| 믿었던 장점이 뒤집힐 수 있고 다른 사람 기량은 헤아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 | 신사가복 기욕난량 |- | {{더 크게|{{lang|zh|墨悲絲染 詩讚羔羊}}}} |rowspan=2| 이 때문에 묵자는 실이 물드는 것을 탄식하였고<ref>묵자 소염론</ref> 시경은 고양을 찬송하였다.<ref>시경 고양편</ref> |- | 묵비사염 시찬고양 |- | {{더 크게|{{lang|zh|景行維賢 克念作聖}}}} |rowspan=2| 바르고 어진 것을 보고 행하여 지극히 생각하면 성인이 되고 |- | 경행유현 극념작성 |- | {{더 크게|{{lang|zh|德建名立 形端表正}}}} |rowspan=2|덕을 쌓아 이름을 세우면 바른 모양이 겉으로 드러난다. |- | 덕건명립 형단표정 |- | {{더 크게|{{lang|zh|空谷傳聲 虛堂習聽}}}} |rowspan=2| 빈 골짜기에 울리는 소리처럼 또한 빈집에서 들리는 소리처럼 |- | 공곡전성 허당습청 |- | {{더 크게|{{lang|zh|禍因惡積 福緣善慶}}}} |rowspan=2| 화는 악행을 쌓은 것이 원인이요 복은 선행의 결과이다. |- | 화인악적 복연선경 |- | {{더 크게|{{lang|zh|尺璧非寶 寸陰是競}}}} |rowspan=2| 커다란 옥 구슬이<ref>여기서 벽은 완벽의 유래가 된 옥구슬을 말한다. 척(尺)과 촌(寸)은 길이의 단위이나 크고 작은 것으로 의역하였다.</ref> 보배가 아니니 작은 시간을 경주하여야 하여라. |- | 척벽비보 촌음시경 |- | {{더 크게|{{lang|zh|資父事君 曰嚴與敬}}}} |rowspan=2|부모를 모시고 임금을 섬기는 것은 엄정하면서도 정성스러워야 하는 것이니 |- | 자부사군 왈엄여경 |- | {{더 크게|{{lang|zh|孝當竭力 忠則盡命}}}} |rowspan=2| 효도는 마땅히 온 힘을 다해야 하고 충성은 목숨도 바쳐야 하는 것이다. |- | 효당갈력 충즉진명 |- | {{더 크게|{{lang|zh|臨深履薄 夙興溫凊}}}} |rowspan=2| 깊은 곳을 만나도 살얼음 지나듯 조심하고 일찍 일어나 덥고 차가운지 살피는 것(이 효도하는 마음가짐이며) |- | 임심리박 숙흥온정 |- | {{더 크게|{{lang|zh|似蘭斯馨 如松之盛}}}} |rowspan=2| 난초와 같이 향기롭고 소나무처럼 굳센 것(이 충성하는 마음가짐이다.) |- | 사란사형 여송지성 |- | {{더 크게|{{lang|zh|川流不息 淵澄取映}}}} |rowspan=2| 냇물을 쉬지 않고 흐르고 연못은 맑아 그림자를 비추듯 |- | 천류불식 연징취영 |- | {{더 크게|{{lang|zh|容止若思 言辭安定}}}} |rowspan=2| 얼굴은 생각과 같게 하고 말은 안정되게 하여야 한다. |- | 용지약사 언사안정 |- | {{더 크게|{{lang|zh|篤初誠美 愼終宜令}}}} |rowspan=2| 일을 시작할 때에 정성을 다하고 마무리 지을 때에도 신중히 하면 |- | 독초성미 신종의령 |- | {{더 크게|{{lang|zh|榮業所基 籍甚無竟}}}} |rowspan=2| 이를 바탕으로 이루는 업적이 끝없으리라. |- | 영업소기 적심무경 |- | {{더 크게|{{lang|zh|學優登仕 攝職從政}}}} |rowspan=2| 학문이 뛰어나 벼슬에 올라 직무를 맞고 정사를 돌볼 때에 |- | 학우등사 섭직종정 |- | {{더 크게|{{lang|zh|存以甘棠 去而益詠}}}} |rowspan=2| 벼슬을 맡아 팥배나무 밑에서 정사를 본 소공과 같이 청렴하면 물러날 때 칭송을 들을 것이다.<ref>감당(甘棠)은 팥배나무이다. 주나라 소공은 팥배나무 아래에서 정사를 보고 공명 정대하며 청렴하였다고 한다. 소공이 죽자 백성들이 그를 그리워하며 감당시를 읇었다. 시경 국풍편 감당</ref> |- | 존이감당 거이익영 |- | {{더 크게|{{lang|zh|樂殊貴賤 禮別尊卑}}}} |rowspan=2| 즐거움에 귀천이 없으나 예절에는 존비가 있으니 |- | 악수귀천 예별존비 |- | {{더 크게|{{lang|zh|上和下睦 夫唱婦隨}}}} |rowspan=2| 상하가 화목하고 부부가 원만하며<ref>사자성어 부창부수의 출전이다.</ref> |- | 상화하목 부창부수 |- | {{더 크게|{{lang|zh|外受傅訓 入奉母儀}}}} |rowspan=2| 밖에서는 스승의 가르침을 받고 안에서는 어머니의 뜻을 받을며 |- | 외수부훈 입봉모의 |- | {{더 크게|{{lang|zh|諸姑伯叔 猶子比兒}}}} |rowspan=2| 모든 고모 삼촌의 아이를 내 아이라 여기고 |- | 제고백숙 유자비아 |- | {{더 크게|{{lang|zh|孔懷兄弟 同氣連枝}}}} |rowspan=2| 형제는 서로 품어주니 같은 기운에서 나온 가지기 때문이고 |- | 공회형제 동기연지 |- | {{더 크게|{{lang|zh|交友投分 切磨箴規}}}} |rowspan=2| 벗을 사귈 때는 가려서 사귀고 규범을 염두에 두어 절제하여 |- | 교우투분 절마잠규 |- | {{더 크게|{{lang|zh|仁慈隱惻 造次弗離}}}} |rowspan=2| 어질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대하여 떠나지 말아야 하고 |- | 인자은측 조차불리 |- | {{더 크게|{{lang|zh|節義廉退 顛沛匪虧}}}} |rowspan=2| 절의를 지키고 청렴히 물러나 이러한 (예의가) 이지러지지 않게 하여야 한다. |- | 절의염퇴 전패비휴 |- | {{더 크게|{{lang|zh|性靜情逸 心動神疲}}}} |rowspan=2| 성정이 고요하면 심정이 편안하고 마음이 동요하면 정신이 피로하니 |- | 성정정일 심동신피 |- | {{더 크게|{{lang|zh|守眞志滿 逐物意移}}}} |rowspan=2| 참 뜻이 가득하도록 지키고 물욕을 멀리하라. |- | 수진지만 축물의이 |- | {{더 크게|{{lang|zh|堅持雅操 好爵自縻}}}} |rowspan=2| 우아하고 절개가 있으면 관작은 스스로 오게 되어 있다. |- | 견지아조 호작자미 |- | {{더 크게|{{lang|zh|都邑華夏 東西二京}}}} |rowspan=2| 화하<ref>중국의 별칭</ref> 의 도읍은 동서 2경이라 |- |도읍화하 동서이경 |- | {{더 크게|{{lang|zh|背邙面洛 浮渭據涇}}}} |rowspan=2|낙양은 북망산을 등지고 낙수를 마주하고 장안에는 위수와 경수가 흐르는 구나. |- |배망면락 부위거경 |- | {{더 크게|{{lang|zh|宮殿盤鬱 樓觀飛驚}}}} |rowspan=2|궁전은 울창한 숲에 쌓였고 누각에 올라 놀라운 경치를 보며 |- |궁전반울 누관비경 |- | {{더 크게|{{lang|zh|圖寫禽獸 畵綵仙靈}}}} |rowspan=2|날짐승 들짐승을 그리니 신선 사는 그림이로구나. |- |도사금수 화채선령 |- | {{더 크게|{{lang|zh|丙舍傍啟 甲帳對楹}}}} |rowspan=2|병사<ref>궁전 내에 있는 건물들을 뜻하는 낱말</ref> 옆을 열어 갑장<ref>동방삭이 만들었다는 장막</ref> 이 기둥을 마주하게 하고 |- | 병사방계 갑장대영 |- | {{더 크게|{{lang|zh|肆筵設席 鼓瑟吹笙}}}} |rowspan=2|자리를 마련해 연회를 열고 비파를 뜯고 생황을 부니 |- |사연설석 고슬취생 |- | {{더 크게|{{lang|zh|升階納陛 弁轉疑星}}}} |rowspan=2| 계단을 올라 납폐하는 신료들은 별인듯 번쩍이고 |- |승계납폐 변전의성 |- | {{더 크게|{{lang|zh|右通廣內 左達承明}}}} |rowspan=2| 오른쪽은 광내로 통하고 왼쪽은 승명에 닿아<ref>광내와 승명은 모두 고대 중국 궁내의 관직처</ref> |- |우통광내 좌달승명 |- | {{더 크게|{{lang|zh|既集墳典 亦聚群英}}}} |rowspan=2| 이미 분전<ref>삼황오제 시절의 법률과 의전을 뜻한다.</ref> 을 모은 곳에 영웅들이 모였도다. |- |기집분전 역취군영 |- | {{더 크게|{{lang|zh|杜稾鍾隸 漆書壁經}}}} |rowspan=2| 두고<ref>초서를 처음 썼다고 전해진다.</ref> 와 종례<ref>예서로 이름이 알려져 있다.</ref> 의 글 칠서<ref>대나무에 칠을 한 뒤 쓴 글, 종이가 없던 시절에 사용하였다.</ref> 와 벽경<ref>공자에게서 전해 왔다는 육경</ref> |- |두고종례 칠서벽경 |- | {{더 크게|{{lang|zh|府羅將相 路俠槐卿}}}} |rowspan=2|각 부에 장군과 재상이 있어 고관이 즐비하여 길이 좁다. |- |부라장상 노협괴경 |- | {{더 크게|{{lang|zh|戶封八縣 家給千兵}}}} |rowspan=2|여덟 고을을 봉지로 주고 천명의 군사로 지키게 하니<ref>한고조의 논공행상을 가리킨다.</ref> |- |호봉팔현 가급천병 |- | {{더 크게|{{lang|zh|高冠陪輦 驅轂振纓}}}} |rowspan=2|높은 관을 쓰고 수레에올라 바퀴를 구르며 갓끈을 떨치는 구나. |- |고관배련 구곡진영 |- | {{더 크게|{{lang|zh|世祿侈富 車駕肥輕}}}} |rowspan=2| 대대로 받는 녹으로 부귀를 누리며 수레는 (제물로) 무겁고 가마는 가벼우니 |- |세록치부 거가비경 |- | {{더 크게|{{lang|zh|策功茂實 勒碑刻銘}}}} |rowspan=2|끝없이 쌓은 공적 비석에 세기는 구나. |- |책공무실 늑비각명 |- | {{더 크게|{{lang|zh|磻溪伊尹 佐時阿衡}}}} |rowspan=2| 반계의 (태공망)과 (탕왕을 도운) 이윤은 때가 도와 아형의 벼슬에 올랐고 |- |반계이윤 좌시아형 |- | {{더 크게|{{lang|zh|奄宅曲阜 微旦孰營}}}} |rowspan=2| 곡부에 궁전을 지은 것은 주공 단<ref>주문왕의 아우, 노나라의 시조</ref> 이 아니면 누가할 것인가 |- |엄택곡부 미단숙영 |- | {{더 크게|{{lang|zh|桓公匡合 濟弱扶傾}}}} |rowspan=2|환공은 제후를 널리 합쳐 기울어져가는 나라를 구했지 |- |환공광합 제약부경 |- | {{더 크게|{{lang|zh|綺迴漢惠 說感武丁}}}} |rowspan=2|기리계<ref>한고조가 죽고 여희가 여씨 일족에서 황제를 즉위시키고자 하였으나 장량은 기리계의 도움으로 혜제가 즉위하도록 하였다.</ref> 가 한 혜제를 회복시키고 부열이 무정을 감동시키듯.<ref>은 나라 무정이 부열에게 감동하여 선정을 배풀었다는 고사</ref> |- |기회한혜 설감무정 |- | {{더 크게|{{lang|zh|俊乂密勿 多士寔寧}}}} |rowspan=2|준걸과 예사가 모이니 참으로 평안하구나. |- |준예밀물 다사식녕 |- | {{더 크게|{{lang|zh|晉楚更霸 趙魏困橫}}}} |rowspan=2|진과 초가 다시 패자가 되고 조와위는 연횡으로 곤궁에 빠져 |- |진초갱패 조위곤횡 |- | {{더 크게|{{lang|zh|假途滅虢 踐土會盟}}}} |rowspan=2|진은 위계를 써 괵을 멸하고 천토에서 회맹하였고 |- |가도멸괵 천토회맹 |- | {{더 크게|{{lang|zh|何遵約法 韓弊煩刑}}}} |rowspan=2|어찌 (한고조의) 약법을 두고 한비자의 낡고 번잡한 형벌을 따를 것인가 |- |하준약법 한폐번형 |- | {{더 크게|{{lang|zh|起翦頗牧 用軍最精}}}} |rowspan=2| 백기 왕전 염파 이목은 군사를 가장 잘 다루었고 |- |기전파목 용군최정 |- | {{더 크게|{{lang|zh|宣威沙漠 馳譽丹青}}}} |rowspan=2|위엄을 사막에까지 떨치니 단청에 넣어 기리는 구나. |- |선위사막 치예단청 |- | {{더 크게|{{lang|zh|九州禹跡 百郡秦幷}}}} |rowspan=2| 하우씨가 구주를 두어 백군이 진에 병합되고 |- |구주우적 백군진병 |- | {{더 크게|{{lang|zh|嶽宗恆岱 禪主云亭}}}} |rowspan=2| 산중 으뜸은 항산과 태산이라 임금을 정하는 운정이 그곳에 있으며 |- |악종항대 선주운정 |- | {{더 크게|{{lang|zh|雁門紫塞 雞田赤城}}}} |rowspan=2| 안문관과 만리장성, 계전과 적성 |- |안문자새 계전적성 |- | {{더 크게|{{lang|zh|昆池碣石 鉅野洞庭}}}} |rowspan=2| 운남의 곤지와 부평의 갈석, 거야의 넓은 들판과 동정의 큰 호수 |- |곤지갈석 거야동정 |- | {{더 크게|{{lang|zh|曠遠緜邈 巖岫杳冥}}}} |rowspan=2|아득히 멀리 줄지어 있으니 아득하고 묘연하구나. |- |광원면막 암수묘명 |- | {{더 크게|{{lang|zh|治本於農 務茲稼穡}}}} |rowspan=2| 다스림의 근본은 농업이니 때를 맞추어 심고 거두어야 하리 |- |치본어농 무자가색 |- | {{더 크게|{{lang|zh|俶載南畝 我藝黍稷}}}} |rowspan=2|이제 남쪽 이랑을 일궈 나는 기장과 피를 가꾸어 |- |숙재남묘 아예서직 |- | {{더 크게|{{lang|zh|稅熟貢新 勸賞黜陟}}}} |rowspan=2| 익으면 세를 내고 햇곡식으로 제사를 지내 상을 권하고 (못된 자는) 내쫓으리라. |- |세숙공신 권상출척 |- | {{더 크게|{{lang|zh|孟軻敦素 史魚秉直}}}} |rowspan=2|맹자는 도타운 사람이었고 사어는 강직했으니 |- |맹가돈소 사어병직 |- | {{더 크게|{{lang|zh|庶幾中庸 勞謙謹敕}}}} |rowspan=2|중용을 으뜸으로 삼고 겸손에 힘쓰고 경계해야지 |- |서기중용 노겸근칙 |- | {{더 크게|{{lang|zh|聆音察理 鑑貌辨色}}}} |rowspan=2|들리는 소리 자세히 살피고 거울에 비치는 모양 꼼꼼히 구별하고 |- |영음찰리 감모변색 |- | {{더 크게|{{lang|zh|貽厥嘉猷 勉其祗植}}}} |rowspan=2|그 아름다움이 후세에 미치도록 그 덕을 쌓기를 부지런히 하며 |- |이궐가유 면기지식 |- | {{더 크게|{{lang|zh|省躬譏誡 寵增抗極}}}} |rowspan=2|몸을 살펴 나무라고 탓할 일은 없는지 반성하고 총애가 늘면 더욱 조심하여야 한다. |- |성궁기계 총증항극 |- | {{더 크게|{{lang|zh|殆辱近恥 林皋幸即}}}} |rowspan=2| 위태로운 치욕은 부끄러운 일에 의한 것이니 수풀과 언덕에 있는 것이 도리어 다행이다. |- |태욕근치 임고행즉 |- | {{더 크게|{{lang|zh|兩疏見機 解組誰逼}}}} |rowspan=2| 양소<ref>한나라의 소광과 소수</ref> 는 기회를 보아 관복을 벗으니 누가 핍박하였으랴 |- |양소견기 해조수핍 |- | {{더 크게|{{lang|zh|索居閒處 沈默寂寥}}}} |rowspan=2|한가한 곳을 찾아 살며 고요히 살며 침묵한 채 |- |색거한처 침묵적요 |- | {{더 크게|{{lang|zh|求古尋論 散慮逍遙}}}} |rowspan=2|옛일을 두고 논장을 찾고 염려를 잊고 소요하니 |- |구고심론 산려소요 |- | {{더 크게|{{lang|zh|欣奏累遣 慼謝歡招}}}} |rowspan=2|기쁜 일은 알리고 누추한 것은 보내며 슬픈 일은 마다하고 기쁜 일을 환영하리 |- |흔주루견 척사환초 |- | {{더 크게|{{lang|zh|渠荷的歷 園莽抽條}}}} |rowspan=2|도랑에 핀 연꽃의 이력, 동산에 자란 풀 가지 |- |거하적력 원망추조 |- | {{더 크게|{{lang|zh|枇杷晚翠 梧桐早凋}}}} |rowspan=2|비파나무 만추에도 푸르른데 오동나무 일찍이 시들었고 |- |비파만취 오동조조 |- | {{더 크게|{{lang|zh|陳根委翳 落葉飄颻}}}} |rowspan=2|고목 뿌리 덮은 낙엽 바람에 날리니 |- |진근위예 낙엽표요 |- | {{더 크게|{{lang|zh|遊鵾獨運 凌摩絳霄}}}} |rowspan=2|댓닭 한 마리 홀로 해엄치며 노을진 하늘을 업수이 여기고 |- |유곤독운 능마강소 |- | {{더 크게|{{lang|zh|耽讀翫市 寓目囊箱}}}} |rowspan=2|(한나라 왕총은) 독서를 즐겨 한 번 보면 상자에 넣은 듯 (잊지 않았다지) |- |탐독완시 우목낭상 |- | {{더 크게|{{lang|zh|易輶攸畏 屬耳垣墻}}}} |rowspan=2|가벼이 경솔하게 구는 것을 두려워하는 까닭은 담장에도 귀가 있다 하기 때문 |- |역유유외 속이원장 |- | {{더 크게|{{lang|zh|具膳飡飯 適口充腸}}}} |rowspan=2|반찬이나 저녁밥이야 먹고 배를 채우면 그만인 것 |- |구선손반 적구충장 |- | {{더 크게|{{lang|zh|飽飫烹宰 飢厭糟糠}}}} |rowspan=2|배부르면 재상의 요리도 물리게 되고 배 고프면 겨 지게미로도 족하니 |- |포어팽재 기염조강 |- | {{더 크게|{{lang|zh|親戚故舊 老少異糧}}}} |rowspan=2|친척이나 옛친구 노소에 따라 음식도 다를 밖에 |- |친척고구 노소이량 |- | {{더 크게|{{lang|zh|妾御績紡 侍巾帷房}}}} |rowspan=2|아내가 길쌈하여 어른 방에 수건을 받들고 |- |첩어적방 시건유방 |- | {{더 크게|{{lang|zh|紈扇圓潔 銀燭煒煌}}}} |rowspan=2|흰 비단으로 지은 부채 둥글고 깨끗하며 은촛대 불빛 밝으니 |- |환선원결 은촉위황 |- | {{더 크게|{{lang|zh|晝眠夕寐 藍笋象床}}}} |rowspan=2|낮에 자고 저녁에 또 자려 푸른 대로 코끼리 침상을 만들지 |- |주면석매 남순상상 |- | {{더 크게|{{lang|zh|絃歌酒讌 接盃舉觴}}}} |rowspan=2|거문거를 뜯고 노래를 부르며 주연을 열고 술잔을 들어 부딛히고 |- |현가주연 접배거상 |- | {{더 크게|{{lang|zh|矯手頓足 悅豫且康}}}} |rowspan=2|손을 들고 발을 움직여 춤추며 이처럼 평안함을 즐거워하세 |- |교수돈족 열예차강 |- | {{더 크게|{{lang|zh|嫡後嗣續 祭祀烝嘗}}}} |rowspan=2| 맏이는 뒤를 이어 제사를 지내어 |- |적후사속 제사증상 |- | {{더 크게|{{lang|zh|稽顙再拜 悚懼恐惶}}}} |rowspan=2|이마를 조아려 두 번 절하여 송구하고 두려운 마음을 보여야 한다. |- |계상재배 송구공황 |- | {{더 크게|{{lang|zh|牋牒簡要 顧答審詳}}}} |rowspan=2|편지는 간략히 요지만 쓰고 답신은 자세히 살펴서 하라. |- |전첩간요 고답심상 |- | {{더 크게|{{lang|zh|骸垢想浴 執熱願涼}}}} |rowspan=2|몸에 때가 끼면 목욕할 생각이 나고 열이 차면 서늘하기를 원하게 되는 것 |- |해구상욕 집열원량 |- | {{더 크게|{{lang|zh|驢騾犢特 駭躍超驤}}}} |rowspan=2|노새며 망아지, 숫송아지가 놀라뛰며 내달리듯 |- |여라독특 해약초양 |- | {{더 크게|{{lang|zh|誅斬賊盜 捕獲叛亡}}}} |rowspan=2|적도는 잡아 죽이고 배역자는 잡아들이리 |- |주참적도 포획반망 |- | {{더 크게|{{lang|zh|布射遼丸 嵇琴阮嘯}}}} |rowspan=2|여포는 활 잘 쏘았고 의료는 돌 잘 던졌으며 혜강은 금을 잘켰고 완적은 휘파람을 잘 불었지 |- |포사료환 혜금완소 |- | {{더 크게|{{lang|zh|恬筆倫紙 鈞巧任釣}}}} |rowspan=2|붓을 만든 건 몽념 종이를 만든 건 채륜, 마륜의 교묘한 솜씨<ref>마륜은 지남차를 만들었다고 한다.</ref> 임공자의 낚시대<ref>장자에 나오는 이야기이다.</ref> |- |염필윤지 균교임조 |- | {{더 크게|{{lang|zh|釋紛利俗 竝皆佳妙}}}} |rowspan=2|이러한 재주를 세상에 푸니 모두다 뛰어나고 신기하였다. |- |석분리속 병개가묘 |- | {{더 크게|{{lang|zh|毛施淑姿 工顰妍笑}}}} |rowspan=2|오나라 모타와 월나라 서시의 자태는 찡그린 모습도 아름다워라 |- |모시숙자 공빈연소 |- | {{더 크게|{{lang|zh|年矢每催 曦暉朗耀}}}} |rowspan=2| 세월은 살같이 언제나 제촉하나 햇빛 달빛은 밝게 빛나 |- |연시매최 희휘낭요 |- | {{더 크게|{{lang|zh|璇璣懸斡 晦魄環照}}}} |rowspan=2|천문을 보는 기계 매달려 돌듯 그믐이 지나 다시 보름이 되니 |- |선기현알 회백환조 |- | {{더 크게|{{lang|zh|指薪修祜 永綏吉劭}}}} |rowspan=2|손가락에 섶불을 단 듯 수양에 전념하면 영원토록 평안하고 길하리라. |- |지신수우 영수길소 |- | {{더 크게|{{lang|zh|矩步引領 俯仰廊廟}}}} |rowspan=2|반듯하게 걸으며 옷길을 끌고 사당에 엎드려 예의를 다하고 |- |구보인령 부앙낭묘 |- | {{더 크게|{{lang|zh|束帶矜莊 徘徊瞻眺}}}} |rowspan=2|허리띠를 단단히 묶어 긍지를 갖고 여러 곳을 두루 살펴라 |- |속대긍장 배회첨조 |- | {{더 크게|{{lang|zh|孤陋寡聞 愚蒙等誚}}}} |rowspan=2|(이런 글을 쓴 나는) 고루하고 들은 것 없어 어리석단 꾸짖음을 면치 못하리 |- |고루과문 우몽등초 |- | {{더 크게|{{lang|zh|謂語助者 焉哉乎也}}}} |rowspan=2|어조사에는 언재호야가 있다. |- |위어조자 언재호야 |} ==역주 == <references/> = 라이선스 = {{번역 저작권 |원문 = {{PD-old-100}} |번역 = {{PD-자작}} }} [[분류:한시]] jduacwa4cc4uhd3hhql6biomic50850 392748 392680 2025-06-28T08:11:28Z 2406:5900:1001:2070:8364:B1AA:7E44:D85B 392748 wikitext text/x-wiki {{번역 머리말 |제목 = 천자문 |저자 = [[저자:주흥사|주흥사]] |역자 = [[사용자:jjw|jjw]]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위키백과|천자문}} 천자문(千字文)은 중국 남조 양(502~549)의 주흥사가 양 무제의 명을 받아 지은 책으로, 모두 다른 한자 1000자를 사용하여 1구 4자의 사언 고시 250구로 만들었다. 한문의 입문서로 널리 쓰였다. 2010년 8월 25일 석봉 한호의 필체를 목각한 《천자문》이 대한민국 보물 제1659호로 지정되었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200px; background:#eeffee;"| 원문 !background:#eeeeff;"| 번역 |- | {{더 크게|{{lang|zh|天地玄黃 宇宙洪荒}}}} |rowspan=2|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며 우주는 넓고도 크다. |- |천지현황 우주홍황<ref>독음은 [http://handic.daum.net/dicha/view_top.do 다음한자사전] 을 따랐다. 두음법칙에 의해 독음이 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리(李)는 낱말의 앞에 올경우 이로 적었다.</ref> |- | {{더 크게|{{lang|zh|日月盈昃 辰宿列張}}}} |rowspan=2| 해와 달이 차고 기울며 별은 자리를 잡아 늘어서 있다. |- |일월영측 진수열장 |- | {{더 크게|{{lang|zh|寒來暑往 秋收冬藏}}}} |rowspan=2| 추위가 오고 더위가 가니 가을엔 거두고 겨울엔 갈무리하여 둔다. |- | 한래서왕 추수동장 |- | {{더 크게|{{lang|zh|閏餘成歲 律呂調陽}}}} |rowspan=2| 윤달을 더하여 한해를 이루고 가락을 맞추어 양기를 돋운다. |- | 윤여성세 율려조양 |- | {{더 크게|{{lang|zh|雲騰致雨 露結為霜}}}} |rowspan=2| 구름은 올라가 비가 되고 이슬은 얼어 서리가 된다. |- | 운등치우 노결위상 |- | {{더 크게|{{lang|zh|金生麗水 玉出崑岡}}}} |rowspan=2| 금은 여수에서 나고 옥은 곤강에서 난다. |참고로 崑은 昆과 같다. |- | 금생여수 옥출곤강 |- | {{더 크게|{{lang|zh|劍號巨闕 珠稱夜光}}}} |rowspan=2| 검은 일컬어 거궐이요 구슬은 일컬어 야광이라. |- | 검호거궐 주칭야광 |- | {{더 크게|{{lang|zh|果珍李柰 菜重芥薑}}}} |rowspan=2| 과일 가운데 진미는 오얏과 능금이요 채소 가운데 중요한 것은 겨자와 생강이라. |- | 과진이내 채중개강 |- | {{더 크게|{{lang|zh|海鹹河淡 鱗潛羽翔}}}} |rowspan=2| 바다는 짜고 강물은 싱거우며 비늘 달린 물고기는 물에 잠기고 깃 달린 새는 높이 난다. |- | 해함하담 인잠우상 |- | {{더 크게|{{lang|zh|龍師火帝 鳥官人皇}}}} |rowspan=2| 복희씨<ref>복희는 뱀의 몸에 사람의 얼굴을 하였다고 하며 용사는 복희의 별칭이다.</ref>, 신농씨<ref>화제 또는 염제(炎帝)는 신농씨의 별칭이다</ref>, 소호<ref>소호는 새 이름을 관직명으로 삼았다고 한다.</ref> 와 황제헌원<ref>황제는 《황제내경》과 같은 의술서의 저자로 알려져 있어 인황이란 별칭이 붙었다.</ref> |- | 용사화제 조관인황 |- | {{더 크게|{{lang|zh|始制文字 乃服衣裳}}}} |rowspan=2| 문자를 처음 짓고 옷을 지어 입혔지. |- | 시제문자 내복의상 |- | {{더 크게|{{lang|zh|推位讓國 有虞陶唐}}}} |rowspan=2| 자리를 미루며 나라를 물려주니 유우<ref>순임금의 이름이다.</ref> 와 도당<ref>우 임금의 이름이다.</ref> 이라. |- | 추위양국 유우도당 |- | {{더 크게|{{lang|zh|弔民伐罪 周發殷湯}}}} |rowspan=2| 백성을 돕고 죄를 벌하니 주나라 무왕<ref>발(發)은 주 무왕의 이름</ref> 과 은나라 탕왕이라. |- | 조민벌죄 주발은탕 |- | {{더 크게|{{lang|zh|坐朝問道 垂拱平章}}}} |rowspan=2| 조정에 앉아 도를 묻기에 두 손으로 문장을 올리니, |- | 좌조문도 수공평장 |- | {{더 크게|{{lang|zh|愛育黎首 臣伏戎羌}}}} |rowspan=2| 백성을 아끼고<ref>여수(黎首)는 검은 머리, 즉 관직이 없는 백성을 말한다.</ref> 오랑캐가 신하로 복종하게 하소서. |- | 애육여수 신복융강 |- | {{더 크게|{{lang|zh|遐邇壹體 率賓歸王}}}} |rowspan=2| 멀고 가까운 곳이 하나가 되어 임금께 이끌려 따를 것입니다. |- | 하이일체 솔빈귀왕 |- | {{더 크게|{{lang|zh|鳴鳳在樹 白駒食場}}}} |rowspan=2|봉황은 나무에 내려 울고 흰망아지 풀을 뜯으니<ref>성군이 나면 봉황이 찾아와 울고 흰망아지가 나타난다는 전설에 빗대어 태평성대를 말함</ref> |- | 명봉재수 백구식장 |- | {{더 크게|{{lang|zh|化被草木 賴及萬方}}}} |rowspan=2| 덕화가 초목까지 미치고 만방에 퍼지리. |- | 화피초목 뇌급만방 |- | {{더 크게|{{lang|zh|蓋此身髮 四大五常}}}} |rowspan=2| 몸에 털이 덮힌 것과 같이 4대5상을 지키고<ref>4대는 하늘, 땅, 도(道), 임금. 5상은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ref> |- | 개차신발 사대오상 |- | {{더 크게|{{lang|zh|恭惟鞠養 豈敢毁傷}}}} |rowspan=2| 길러준 은혜를 공경하여 감히 상처를 내지 말아야 한다. |- | 공유국양 기감훼상 |- | {{더 크게|{{lang|zh|女慕貞烈 男效才良}}}} |rowspan=2|여자는 정조를 따르고 남자는 재량을 본받아 |- | 여모정렬 남효재량 |- | {{더 크게|{{lang|zh|知過必改 得能莫忘}}}} |rowspan=2|잘못이 있으면 반드시 고치고 배운 것은 잊지 말아야 한다. |- | 지과필개 득능막망 |- | {{더 크게|{{lang|zh|罔談彼短 靡恃己長}}}} |rowspan=2| 다른이의 단점을 입에 담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너무 믿지 마라 |- | 망담피단 미시기장 |- | {{더 크게|{{lang|zh|信使可覆 器欲難量}}}} |rowspan=2| 믿었던 장점이 뒤집힐 수 있고 다른 사람 기량은 헤아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 | 신사가복 기욕난량 |- | {{더 크게|{{lang|zh|墨悲絲染 詩讚羔羊}}}} |rowspan=2| 이 때문에 묵자는 실이 물드는 것을 탄식하였고<ref>묵자 소염론</ref> 시경은 고양을 찬송하였다.<ref>시경 고양편</ref> |- | 묵비사염 시찬고양 |- | {{더 크게|{{lang|zh|景行維賢 克念作聖}}}} |rowspan=2| 바르고 어진 것을 보고 행하여 지극히 생각하면 성인이 되고 |- | 경행유현 극념작성 |- | {{더 크게|{{lang|zh|德建名立 形端表正}}}} |rowspan=2|덕을 쌓아 이름을 세우면 바른 모양이 겉으로 드러난다. |- | 덕건명립 형단표정 |- | {{더 크게|{{lang|zh|空谷傳聲 虛堂習聽}}}} |rowspan=2| 빈 골짜기에 울리는 소리처럼 또한 빈집에서 들리는 소리처럼 |- | 공곡전성 허당습청 |- | {{더 크게|{{lang|zh|禍因惡積 福緣善慶}}}} |rowspan=2| 화는 악행을 쌓은 것이 원인이요 복은 선행의 결과이다. |- | 화인악적 복연선경 |- | {{더 크게|{{lang|zh|尺璧非寶 寸陰是競}}}} |rowspan=2| 커다란 옥 구슬이<ref>여기서 벽은 완벽의 유래가 된 옥구슬을 말한다. 척(尺)과 촌(寸)은 길이의 단위이나 크고 작은 것으로 의역하였다.</ref> 보배가 아니니 작은 시간을 경주하여야 하여라. |- | 척벽비보 촌음시경 |- | {{더 크게|{{lang|zh|資父事君 曰嚴與敬}}}} |rowspan=2|부모를 모시고 임금을 섬기는 것은 엄정하면서도 정성스러워야 하는 것이니 |- | 자부사군 왈엄여경 |- | {{더 크게|{{lang|zh|孝當竭力 忠則盡命}}}} |rowspan=2| 효도는 마땅히 온 힘을 다해야 하고 충성은 목숨도 바쳐야 하는 것이다. |- | 효당갈력 충즉진명 |- | {{더 크게|{{lang|zh|臨深履薄 夙興溫凊}}}} |rowspan=2| 깊은 곳을 만나도 살얼음 지나듯 조심하고 일찍 일어나 덥고 차가운지 살피는 것(이 효도하는 마음가짐이며) |- | 임심리박 숙흥온정 |- | {{더 크게|{{lang|zh|似蘭斯馨 如松之盛}}}} |rowspan=2| 난초와 같이 향기롭고 소나무처럼 굳센 것(이 충성하는 마음가짐이다.) |- | 사란사형 여송지성 |- | {{더 크게|{{lang|zh|川流不息 淵澄取映}}}} |rowspan=2| 냇물을 쉬지 않고 흐르고 연못은 맑아 그림자를 비추듯 |- | 천류불식 연징취영 |- | {{더 크게|{{lang|zh|容止若思 言辭安定}}}} |rowspan=2| 얼굴은 생각과 같게 하고 말은 안정되게 하여야 한다. |- | 용지약사 언사안정 |- | {{더 크게|{{lang|zh|篤初誠美 愼終宜令}}}} |rowspan=2| 일을 시작할 때에 정성을 다하고 마무리 지을 때에도 신중히 하면 |- | 독초성미 신종의령 |- | {{더 크게|{{lang|zh|榮業所基 籍甚無竟}}}} |rowspan=2| 이를 바탕으로 이루는 업적이 끝없으리라. |- | 영업소기 적심무경 |- | {{더 크게|{{lang|zh|學優登仕 攝職從政}}}} |rowspan=2| 학문이 뛰어나 벼슬에 올라 직무를 맞고 정사를 돌볼 때에 |- | 학우등사 섭직종정 |- | {{더 크게|{{lang|zh|存以甘棠 去而益詠}}}} |rowspan=2| 벼슬을 맡아 팥배나무 밑에서 정사를 본 소공과 같이 청렴하면 물러날 때 칭송을 들을 것이다.<ref>감당(甘棠)은 팥배나무이다. 주나라 소공은 팥배나무 아래에서 정사를 보고 공명 정대하며 청렴하였다고 한다. 소공이 죽자 백성들이 그를 그리워하며 감당시를 읇었다. 시경 국풍편 감당</ref> |- | 존이감당 거이익영 |- | {{더 크게|{{lang|zh|樂殊貴賤 禮別尊卑}}}} |rowspan=2| 즐거움에 귀천이 없으나 예절에는 존비가 있으니 |- | 악수귀천 예별존비 |- | {{더 크게|{{lang|zh|上和下睦 夫唱婦隨}}}} |rowspan=2| 상하가 화목하고 부부가 원만하며<ref>사자성어 부창부수의 출전이다.</ref> |- | 상화하목 부창부수 |- | {{더 크게|{{lang|zh|外受傅訓 入奉母儀}}}} |rowspan=2| 밖에서는 스승의 가르침을 받고 안에서는 어머니의 뜻을 받을며 |- | 외수부훈 입봉모의 |- | {{더 크게|{{lang|zh|諸姑伯叔 猶子比兒}}}} |rowspan=2| 모든 고모 삼촌의 아이를 내 아이라 여기고 |- | 제고백숙 유자비아 |- | {{더 크게|{{lang|zh|孔懷兄弟 同氣連枝}}}} |rowspan=2| 형제는 서로 품어주니 같은 기운에서 나온 가지기 때문이고 |- | 공회형제 동기연지 |- | {{더 크게|{{lang|zh|交友投分 切磨箴規}}}} |rowspan=2| 벗을 사귈 때는 가려서 사귀고 규범을 염두에 두어 절제하여 |- | 교우투분 절마잠규 |- | {{더 크게|{{lang|zh|仁慈隱惻 造次弗離}}}} |rowspan=2| 어질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대하여 떠나지 말아야 하고 |- | 인자은측 조차불리 |- | {{더 크게|{{lang|zh|節義廉退 顛沛匪虧}}}} |rowspan=2| 절의를 지키고 청렴히 물러나 이러한 (예의가) 이지러지지 않게 하여야 한다. |- | 절의염퇴 전패비휴 |- | {{더 크게|{{lang|zh|性靜情逸 心動神疲}}}} |rowspan=2| 성정이 고요하면 심정이 편안하고 마음이 동요하면 정신이 피로하니 |- | 성정정일 심동신피 |- | {{더 크게|{{lang|zh|守眞志滿 逐物意移}}}} |rowspan=2| 참 뜻이 가득하도록 지키고 물욕을 멀리하라. |- | 수진지만 축물의이 |- | {{더 크게|{{lang|zh|堅持雅操 好爵自縻}}}} |rowspan=2| 우아하고 절개가 있으면 관작은 스스로 오게 되어 있다. |- | 견지아조 호작자미 |- | {{더 크게|{{lang|zh|都邑華夏 東西二京}}}} |rowspan=2| 화하<ref>중국의 별칭</ref> 의 도읍은 동서 2경이라 |- |도읍화하 동서이경 |- | {{더 크게|{{lang|zh|背邙面洛 浮渭據涇}}}} |rowspan=2|낙양은 북망산을 등지고 낙수를 마주하고 장안에는 위수와 경수가 흐르는 구나. |- |배망면락 부위거경 |- | {{더 크게|{{lang|zh|宮殿盤鬱 樓觀飛驚}}}} |rowspan=2|궁전은 울창한 숲에 쌓였고 누각에 올라 놀라운 경치를 보며 |- |궁전반울 누관비경 |- | {{더 크게|{{lang|zh|圖寫禽獸 畵綵仙靈}}}} |rowspan=2|날짐승 들짐승을 그리니 신선 사는 그림이로구나. |- |도사금수 화채선령 |- | {{더 크게|{{lang|zh|丙舍傍啟 甲帳對楹}}}} |rowspan=2|병사<ref>궁전 내에 있는 건물들을 뜻하는 낱말</ref> 옆을 열어 갑장<ref>동방삭이 만들었다는 장막</ref> 이 기둥을 마주하게 하고 |- | 병사방계 갑장대영 |- | {{더 크게|{{lang|zh|肆筵設席 鼓瑟吹笙}}}} |rowspan=2|자리를 마련해 연회를 열고 비파를 뜯고 생황을 부니 |- |사연설석 고슬취생 |- | {{더 크게|{{lang|zh|升階納陛 弁轉疑星}}}} |rowspan=2| 계단을 올라 납폐하는 신료들은 별인듯 번쩍이고 |- |승계납폐 변전의성 |- | {{더 크게|{{lang|zh|右通廣內 左達承明}}}} |rowspan=2| 오른쪽은 광내로 통하고 왼쪽은 승명에 닿아<ref>광내와 승명은 모두 고대 중국 궁내의 관직처</ref> |- |우통광내 좌달승명 |- | {{더 크게|{{lang|zh|既集墳典 亦聚群英}}}} |rowspan=2| 이미 분전<ref>삼황오제 시절의 법률과 의전을 뜻한다.</ref> 을 모은 곳에 영웅들이 모였도다. |- |기집분전 역취군영 |- | {{더 크게|{{lang|zh|杜稾鍾隸 漆書壁經}}}} |rowspan=2| 두고<ref>초서를 처음 썼다고 전해진다.</ref> 와 종례<ref>예서로 이름이 알려져 있다.</ref> 의 글 칠서<ref>대나무에 칠을 한 뒤 쓴 글, 종이가 없던 시절에 사용하였다.</ref> 와 벽경<ref>공자에게서 전해 왔다는 육경</ref> |- |두고종례 칠서벽경 |- | {{더 크게|{{lang|zh|府羅將相 路俠槐卿}}}} |rowspan=2|각 부에 장군과 재상이 있어 고관이 즐비하여 길이 좁다. |- |부라장상 노협괴경 |- | {{더 크게|{{lang|zh|戶封八縣 家給千兵}}}} |rowspan=2|여덟 고을을 봉지로 주고 천명의 군사로 지키게 하니<ref>한고조의 논공행상을 가리킨다.</ref> |- |호봉팔현 가급천병 |- | {{더 크게|{{lang|zh|高冠陪輦 驅轂振纓}}}} |rowspan=2|높은 관을 쓰고 수레에올라 바퀴를 구르며 갓끈을 떨치는 구나. |- |고관배련 구곡진영 |- | {{더 크게|{{lang|zh|世祿侈富 車駕肥輕}}}} |rowspan=2| 대대로 받는 녹으로 부귀를 누리며 수레는 (제물로) 무겁고 가마는 가벼우니 |- |세록치부 거가비경 |- | {{더 크게|{{lang|zh|策功茂實 勒碑刻銘}}}} |rowspan=2|끝없이 쌓은 공적 비석에 세기는 구나. |- |책공무실 늑비각명 |- | {{더 크게|{{lang|zh|磻溪伊尹 佐時阿衡}}}} |rowspan=2| 반계의 (태공망)과 (탕왕을 도운) 이윤은 때가 도와 아형의 벼슬에 올랐고 |- |반계이윤 좌시아형 |- | {{더 크게|{{lang|zh|奄宅曲阜 微旦孰營}}}} |rowspan=2| 곡부에 궁전을 지은 것은 주공 단<ref>주문왕의 아우, 노나라의 시조</ref> 이 아니면 누가할 것인가 |- |엄택곡부 미단숙영 |- | {{더 크게|{{lang|zh|桓公匡合 濟弱扶傾}}}} |rowspan=2|환공은 제후를 널리 합쳐 기울어져가는 나라를 구했지 |- |환공광합 제약부경 |- | {{더 크게|{{lang|zh|綺迴漢惠 說感武丁}}}} |rowspan=2|기리계<ref>한고조가 죽고 여희가 여씨 일족에서 황제를 즉위시키고자 하였으나 장량은 기리계의 도움으로 혜제가 즉위하도록 하였다.</ref> 가 한 혜제를 회복시키고 부열이 무정을 감동시키듯.<ref>은 나라 무정이 부열에게 감동하여 선정을 배풀었다는 고사</ref> |- |기회한혜 설감무정 |- | {{더 크게|{{lang|zh|俊乂密勿 多士寔寧}}}} |rowspan=2|준걸과 예사가 모이니 참으로 평안하구나. |- |준예밀물 다사식녕 |- | {{더 크게|{{lang|zh|晉楚更霸 趙魏困橫}}}} |rowspan=2|진과 초가 다시 패자가 되고 조와위는 연횡으로 곤궁에 빠져 |- |진초갱패 조위곤횡 |- | {{더 크게|{{lang|zh|假途滅虢 踐土會盟}}}} |rowspan=2|진은 위계를 써 괵을 멸하고 천토에서 회맹하였고 |- |가도멸괵 천토회맹 |- | {{더 크게|{{lang|zh|何遵約法 韓弊煩刑}}}} |rowspan=2|어찌 (한고조의) 약법을 두고 한비자의 낡고 번잡한 형벌을 따를 것인가 |- |하준약법 한폐번형 |- | {{더 크게|{{lang|zh|起翦頗牧 用軍最精}}}} |rowspan=2| 백기 왕전 염파 이목은 군사를 가장 잘 다루었고 |- |기전파목 용군최정 |- | {{더 크게|{{lang|zh|宣威沙漠 馳譽丹青}}}} |rowspan=2|위엄을 사막에까지 떨치니 단청에 넣어 기리는 구나. |- |선위사막 치예단청 |- | {{더 크게|{{lang|zh|九州禹跡 百郡秦幷}}}} |rowspan=2| 하우씨가 구주를 두어 백군이 진에 병합되고 |- |구주우적 백군진병 |- | {{더 크게|{{lang|zh|嶽宗恆岱 禪主云亭}}}} |rowspan=2| 산중 으뜸은 항산과 태산이라 임금을 정하는 운정이 그곳에 있으며 |- |악종항대 선주운정 |- | {{더 크게|{{lang|zh|雁門紫塞 雞田赤城}}}} |rowspan=2| 안문관과 만리장성, 계전과 적성 |- |안문자새 계전적성 |- | {{더 크게|{{lang|zh|昆池碣石 鉅野洞庭}}}} |rowspan=2| 운남의 곤지와 부평의 갈석, 거야의 넓은 들판과 동정의 큰 호수 |- |곤지갈석 거야동정 |- | {{더 크게|{{lang|zh|曠遠緜邈 巖岫杳冥}}}} |rowspan=2|아득히 멀리 줄지어 있으니 아득하고 묘연하구나. |- |광원면막 암수묘명 |- | {{더 크게|{{lang|zh|治本於農 務茲稼穡}}}} |rowspan=2| 다스림의 근본은 농업이니 때를 맞추어 심고 거두어야 하리 |- |치본어농 무자가색 |- | {{더 크게|{{lang|zh|俶載南畝 我藝黍稷}}}} |rowspan=2|이제 남쪽 이랑을 일궈 나는 기장과 피를 가꾸어 |- |숙재남묘 아예서직 |- | {{더 크게|{{lang|zh|稅熟貢新 勸賞黜陟}}}} |rowspan=2| 익으면 세를 내고 햇곡식으로 제사를 지내 상을 권하고 (못된 자는) 내쫓으리라. |- |세숙공신 권상출척 |- | {{더 크게|{{lang|zh|孟軻敦素 史魚秉直}}}} |rowspan=2|맹자는 도타운 사람이었고 사어는 강직했으니 |- |맹가돈소 사어병직 |- | {{더 크게|{{lang|zh|庶幾中庸 勞謙謹敕}}}} |rowspan=2|중용을 으뜸으로 삼고 겸손에 힘쓰고 경계해야지 |- |서기중용 노겸근칙 |- | {{더 크게|{{lang|zh|聆音察理 鉴貌辨色}}}} |rowspan=2|들리는 소리 자세히 살피고 거울에 비치는 모양 꼼꼼히 구별하고 |- |영음찰리 감모변색 |- | {{더 크게|{{lang|zh|貽厥嘉猷 勉其祗植}}}} |rowspan=2|그 아름다움이 후세에 미치도록 그 덕을 쌓기를 부지런히 하며 |- |이궐가유 면기지식 |- | {{더 크게|{{lang|zh|省躬譏誡 寵增抗極}}}} |rowspan=2|몸을 살펴 나무라고 탓할 일은 없는지 반성하고 총애가 늘면 더욱 조심하여야 한다. |- |성궁기계 총증항극 |- | {{더 크게|{{lang|zh|殆辱近恥 林皋幸即}}}} |rowspan=2| 위태로운 치욕은 부끄러운 일에 의한 것이니 수풀과 언덕에 있는 것이 도리어 다행이다. |- |태욕근치 임고행즉 |- | {{더 크게|{{lang|zh|兩疏見機 解組誰逼}}}} |rowspan=2| 양소<ref>한나라의 소광과 소수</ref> 는 기회를 보아 관복을 벗으니 누가 핍박하였으랴 |- |양소견기 해조수핍 |- | {{더 크게|{{lang|zh|索居閒處 沈默寂寥}}}} |rowspan=2|한가한 곳을 찾아 살며 고요히 살며 침묵한 채 |- |색거한처 침묵적요 |- | {{더 크게|{{lang|zh|求古尋論 散慮逍遙}}}} |rowspan=2|옛일을 두고 논장을 찾고 염려를 잊고 소요하니 |- |구고심론 산려소요 |- | {{더 크게|{{lang|zh|欣奏累遣 慼謝歡招}}}} |rowspan=2|기쁜 일은 알리고 누추한 것은 보내며 슬픈 일은 마다하고 기쁜 일을 환영하리 |- |흔주루견 척사환초 |- | {{더 크게|{{lang|zh|渠荷的歷 園莽抽條}}}} |rowspan=2|도랑에 핀 연꽃의 이력, 동산에 자란 풀 가지 |- |거하적력 원망추조 |- | {{더 크게|{{lang|zh|枇杷晚翠 梧桐早凋}}}} |rowspan=2|비파나무 만추에도 푸르른데 오동나무 일찍이 시들었고 |- |비파만취 오동조조 |- | {{더 크게|{{lang|zh|陳根委翳 落葉飄颻}}}} |rowspan=2|고목 뿌리 덮은 낙엽 바람에 날리니 |- |진근위예 낙엽표요 |- | {{더 크게|{{lang|zh|遊鵾獨運 凌摩絳霄}}}} |rowspan=2|댓닭 한 마리 홀로 해엄치며 노을진 하늘을 업수이 여기고 |- |유곤독운 능마강소 |- | {{더 크게|{{lang|zh|耽讀翫市 寓目囊箱}}}} |rowspan=2|(한나라 왕총은) 독서를 즐겨 한 번 보면 상자에 넣은 듯 (잊지 않았다지) |- |탐독완시 우목낭상 |- | {{더 크게|{{lang|zh|易輶攸畏 屬耳垣墻}}}} |rowspan=2|가벼이 경솔하게 구는 것을 두려워하는 까닭은 담장에도 귀가 있다 하기 때문 |- |역유유외 속이원장 |- | {{더 크게|{{lang|zh|具膳飡飯 適口充腸}}}} |rowspan=2|반찬이나 저녁밥이야 먹고 배를 채우면 그만인 것 |- |구선손반 적구충장 |- | {{더 크게|{{lang|zh|飽飫烹宰 飢厭糟糠}}}} |rowspan=2|배부르면 재상의 요리도 물리게 되고 배 고프면 겨 지게미로도 족하니 |- |포어팽재 기염조강 |- | {{더 크게|{{lang|zh|親戚故舊 老少異糧}}}} |rowspan=2|친척이나 옛친구 노소에 따라 음식도 다를 밖에 |- |친척고구 노소이량 |- | {{더 크게|{{lang|zh|妾御績紡 侍巾帷房}}}} |rowspan=2|아내가 길쌈하여 어른 방에 수건을 받들고 |- |첩어적방 시건유방 |- | {{더 크게|{{lang|zh|紈扇圓潔 銀燭煒煌}}}} |rowspan=2|흰 비단으로 지은 부채 둥글고 깨끗하며 은촛대 불빛 밝으니 |- |환선원결 은촉위황 |- | {{더 크게|{{lang|zh|晝眠夕寐 藍笋象床}}}} |rowspan=2|낮에 자고 저녁에 또 자려 푸른 대로 코끼리 침상을 만들지 |- |주면석매 남순상상 |- | {{더 크게|{{lang|zh|絃歌酒讌 接盃舉觴}}}} |rowspan=2|거문거를 뜯고 노래를 부르며 주연을 열고 술잔을 들어 부딛히고 |- |현가주연 접배거상 |- | {{더 크게|{{lang|zh|矯手頓足 悅豫且康}}}} |rowspan=2|손을 들고 발을 움직여 춤추며 이처럼 평안함을 즐거워하세 |- |교수돈족 열예차강 |- | {{더 크게|{{lang|zh|嫡後嗣續 祭祀烝嘗}}}} |rowspan=2| 맏이는 뒤를 이어 제사를 지내어 |- |적후사속 제사증상 |- | {{더 크게|{{lang|zh|稽顙再拜 悚懼恐惶}}}} |rowspan=2|이마를 조아려 두 번 절하여 송구하고 두려운 마음을 보여야 한다. |- |계상재배 송구공황 |- | {{더 크게|{{lang|zh|牋牒簡要 顧答審詳}}}} |rowspan=2|편지는 간략히 요지만 쓰고 답신은 자세히 살펴서 하라. |- |전첩간요 고답심상 |- | {{더 크게|{{lang|zh|骸垢想浴 執熱願涼}}}} |rowspan=2|몸에 때가 끼면 목욕할 생각이 나고 열이 차면 서늘하기를 원하게 되는 것 |- |해구상욕 집열원량 |- | {{더 크게|{{lang|zh|驢騾犢特 駭躍超驤}}}} |rowspan=2|노새며 망아지, 숫송아지가 놀라뛰며 내달리듯 |- |여라독특 해약초양 |- | {{더 크게|{{lang|zh|誅斬賊盜 捕獲叛亡}}}} |rowspan=2|적도는 잡아 죽이고 배역자는 잡아들이리 |- |주참적도 포획반망 |- | {{더 크게|{{lang|zh|布射遼丸 嵇琴阮嘯}}}} |rowspan=2|여포는 활 잘 쏘았고 의료는 돌 잘 던졌으며 혜강은 금을 잘켰고 완적은 휘파람을 잘 불었지 |- |포사료환 혜금완소 |- | {{더 크게|{{lang|zh|恬筆倫紙 鈞巧任釣}}}} |rowspan=2|붓을 만든 건 몽념 종이를 만든 건 채륜, 마륜의 교묘한 솜씨<ref>마륜은 지남차를 만들었다고 한다.</ref> 임공자의 낚시대<ref>장자에 나오는 이야기이다.</ref> |- |염필윤지 균교임조 |- | {{더 크게|{{lang|zh|釋紛利俗 竝皆佳妙}}}} |rowspan=2|이러한 재주를 세상에 푸니 모두다 뛰어나고 신기하였다. |- |석분리속 병개가묘 |- | {{더 크게|{{lang|zh|毛施淑姿 工顰妍笑}}}} |rowspan=2|오나라 모타와 월나라 서시의 자태는 찡그린 모습도 아름다워라 |- |모시숙자 공빈연소 |- | {{더 크게|{{lang|zh|年矢每催 曦暉朗耀}}}} |rowspan=2| 세월은 살같이 언제나 제촉하나 햇빛 달빛은 밝게 빛나 |- |연시매최 희휘낭요 |- | {{더 크게|{{lang|zh|璇璣懸斡 晦魄環照}}}} |rowspan=2|천문을 보는 기계 매달려 돌듯 그믐이 지나 다시 보름이 되니 |- |선기현알 회백환조 |- | {{더 크게|{{lang|zh|指薪修祜 永綏吉劭}}}} |rowspan=2|손가락에 섶불을 단 듯 수양에 전념하면 영원토록 평안하고 길하리라. |- |지신수우 영수길소 |- | {{더 크게|{{lang|zh|矩步引領 俯仰廊廟}}}} |rowspan=2|반듯하게 걸으며 옷길을 끌고 사당에 엎드려 예의를 다하고 |- |구보인령 부앙낭묘 |- | {{더 크게|{{lang|zh|束帶矜莊 徘徊瞻眺}}}} |rowspan=2|허리띠를 단단히 묶어 긍지를 갖고 여러 곳을 두루 살펴라 |- |속대긍장 배회첨조 |- | {{더 크게|{{lang|zh|孤陋寡聞 愚蒙等誚}}}} |rowspan=2|(이런 글을 쓴 나는) 고루하고 들은 것 없어 어리석단 꾸짖음을 면치 못하리 |- |고루과문 우몽등초 |- | {{더 크게|{{lang|zh|謂語助者 焉哉乎也}}}} |rowspan=2|어조사에는 언재호야가 있다. |- |위어조자 언재호야 |} ==역주 == <references/> = 라이선스 = {{번역 저작권 |원문 = {{PD-old-100}} |번역 = {{PD-자작}} }} [[분류:한시]] 0iixp3kb4owu8we76refj8p9v6eyzv2 392749 392748 2025-06-28T08:12:14Z 2406:5900:1001:2070:8364:B1AA:7E44:D85B 392749 wikitext text/x-wiki {{번역 머리말 |제목 = 천자문 |저자 = [[저자:주흥사|주흥사]] |역자 = [[사용자:jjw|jjw]]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위키백과|천자문}} 천자문(千字文)은 중국 남조 양(502~549)의 주흥사가 양 무제의 명을 받아 지은 책으로, 모두 다른 한자 1000자를 사용하여 1구 4자의 사언 고시 250구로 만들었다. 한문의 입문서로 널리 쓰였다. 2010년 8월 25일 석봉 한호의 필체를 목각한 《천자문》이 대한민국 보물 제1659호로 지정되었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200px; background:#eeffee;"| 원문 !background:#eeeeff;"| 번역 |- | {{더 크게|{{lang|zh|天地玄黃 宇宙洪荒}}}} |rowspan=2|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며 우주는 넓고도 크다. |- |천지현황 우주홍황<ref>독음은 [http://handic.daum.net/dicha/view_top.do 다음한자사전] 을 따랐다. 두음법칙에 의해 독음이 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리(李)는 낱말의 앞에 올경우 이로 적었다.</ref> |- | {{더 크게|{{lang|zh|日月盈昃 辰宿列張}}}} |rowspan=2| 해와 달이 차고 기울며 별은 자리를 잡아 늘어서 있다. |- |일월영측 진수열장 |- | {{더 크게|{{lang|zh|寒來暑往 秋收冬藏}}}} |rowspan=2| 추위가 오고 더위가 가니 가을엔 거두고 겨울엔 갈무리하여 둔다. |- | 한래서왕 추수동장 |- | {{더 크게|{{lang|zh|閏餘成歲 律呂調陽}}}} |rowspan=2| 윤달을 더하여 한해를 이루고 가락을 맞추어 양기를 돋운다. |- | 윤여성세 율려조양 |- | {{더 크게|{{lang|zh|雲騰致雨 露結為霜}}}} |rowspan=2| 구름은 올라가 비가 되고 이슬은 얼어 서리가 된다. |- | 운등치우 노결위상 |- | {{더 크게|{{lang|zh|金生麗水 玉出昆岡}}}} |rowspan=2| 금은 여수에서 나고 옥은 곤강에서 난다. |참고로 昆은 崑과 같다. |- | 금생여수 옥출곤강 |- | {{더 크게|{{lang|zh|劍號巨闕 珠稱夜光}}}} |rowspan=2| 검은 일컬어 거궐이요 구슬은 일컬어 야광이라. |- | 검호거궐 주칭야광 |- | {{더 크게|{{lang|zh|果珍李柰 菜重芥薑}}}} |rowspan=2| 과일 가운데 진미는 오얏과 능금이요 채소 가운데 중요한 것은 겨자와 생강이라. |- | 과진이내 채중개강 |- | {{더 크게|{{lang|zh|海鹹河淡 鱗潛羽翔}}}} |rowspan=2| 바다는 짜고 강물은 싱거우며 비늘 달린 물고기는 물에 잠기고 깃 달린 새는 높이 난다. |- | 해함하담 인잠우상 |- | {{더 크게|{{lang|zh|龍師火帝 鳥官人皇}}}} |rowspan=2| 복희씨<ref>복희는 뱀의 몸에 사람의 얼굴을 하였다고 하며 용사는 복희의 별칭이다.</ref>, 신농씨<ref>화제 또는 염제(炎帝)는 신농씨의 별칭이다</ref>, 소호<ref>소호는 새 이름을 관직명으로 삼았다고 한다.</ref> 와 황제헌원<ref>황제는 《황제내경》과 같은 의술서의 저자로 알려져 있어 인황이란 별칭이 붙었다.</ref> |- | 용사화제 조관인황 |- | {{더 크게|{{lang|zh|始制文字 乃服衣裳}}}} |rowspan=2| 문자를 처음 짓고 옷을 지어 입혔지. |- | 시제문자 내복의상 |- | {{더 크게|{{lang|zh|推位讓國 有虞陶唐}}}} |rowspan=2| 자리를 미루며 나라를 물려주니 유우<ref>순임금의 이름이다.</ref> 와 도당<ref>우 임금의 이름이다.</ref> 이라. |- | 추위양국 유우도당 |- | {{더 크게|{{lang|zh|弔民伐罪 周發殷湯}}}} |rowspan=2| 백성을 돕고 죄를 벌하니 주나라 무왕<ref>발(發)은 주 무왕의 이름</ref> 과 은나라 탕왕이라. |- | 조민벌죄 주발은탕 |- | {{더 크게|{{lang|zh|坐朝問道 垂拱平章}}}} |rowspan=2| 조정에 앉아 도를 묻기에 두 손으로 문장을 올리니, |- | 좌조문도 수공평장 |- | {{더 크게|{{lang|zh|愛育黎首 臣伏戎羌}}}} |rowspan=2| 백성을 아끼고<ref>여수(黎首)는 검은 머리, 즉 관직이 없는 백성을 말한다.</ref> 오랑캐가 신하로 복종하게 하소서. |- | 애육여수 신복융강 |- | {{더 크게|{{lang|zh|遐邇壹體 率賓歸王}}}} |rowspan=2| 멀고 가까운 곳이 하나가 되어 임금께 이끌려 따를 것입니다. |- | 하이일체 솔빈귀왕 |- | {{더 크게|{{lang|zh|鳴鳳在樹 白駒食場}}}} |rowspan=2|봉황은 나무에 내려 울고 흰망아지 풀을 뜯으니<ref>성군이 나면 봉황이 찾아와 울고 흰망아지가 나타난다는 전설에 빗대어 태평성대를 말함</ref> |- | 명봉재수 백구식장 |- | {{더 크게|{{lang|zh|化被草木 賴及萬方}}}} |rowspan=2| 덕화가 초목까지 미치고 만방에 퍼지리. |- | 화피초목 뇌급만방 |- | {{더 크게|{{lang|zh|蓋此身髮 四大五常}}}} |rowspan=2| 몸에 털이 덮힌 것과 같이 4대5상을 지키고<ref>4대는 하늘, 땅, 도(道), 임금. 5상은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ref> |- | 개차신발 사대오상 |- | {{더 크게|{{lang|zh|恭惟鞠養 豈敢毁傷}}}} |rowspan=2| 길러준 은혜를 공경하여 감히 상처를 내지 말아야 한다. |- | 공유국양 기감훼상 |- | {{더 크게|{{lang|zh|女慕貞烈 男效才良}}}} |rowspan=2|여자는 정조를 따르고 남자는 재량을 본받아 |- | 여모정렬 남효재량 |- | {{더 크게|{{lang|zh|知過必改 得能莫忘}}}} |rowspan=2|잘못이 있으면 반드시 고치고 배운 것은 잊지 말아야 한다. |- | 지과필개 득능막망 |- | {{더 크게|{{lang|zh|罔談彼短 靡恃己長}}}} |rowspan=2| 다른이의 단점을 입에 담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너무 믿지 마라 |- | 망담피단 미시기장 |- | {{더 크게|{{lang|zh|信使可覆 器欲難量}}}} |rowspan=2| 믿었던 장점이 뒤집힐 수 있고 다른 사람 기량은 헤아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 | 신사가복 기욕난량 |- | {{더 크게|{{lang|zh|墨悲絲染 詩讚羔羊}}}} |rowspan=2| 이 때문에 묵자는 실이 물드는 것을 탄식하였고<ref>묵자 소염론</ref> 시경은 고양을 찬송하였다.<ref>시경 고양편</ref> |- | 묵비사염 시찬고양 |- | {{더 크게|{{lang|zh|景行維賢 克念作聖}}}} |rowspan=2| 바르고 어진 것을 보고 행하여 지극히 생각하면 성인이 되고 |- | 경행유현 극념작성 |- | {{더 크게|{{lang|zh|德建名立 形端表正}}}} |rowspan=2|덕을 쌓아 이름을 세우면 바른 모양이 겉으로 드러난다. |- | 덕건명립 형단표정 |- | {{더 크게|{{lang|zh|空谷傳聲 虛堂習聽}}}} |rowspan=2| 빈 골짜기에 울리는 소리처럼 또한 빈집에서 들리는 소리처럼 |- | 공곡전성 허당습청 |- | {{더 크게|{{lang|zh|禍因惡積 福緣善慶}}}} |rowspan=2| 화는 악행을 쌓은 것이 원인이요 복은 선행의 결과이다. |- | 화인악적 복연선경 |- | {{더 크게|{{lang|zh|尺璧非寶 寸陰是競}}}} |rowspan=2| 커다란 옥 구슬이<ref>여기서 벽은 완벽의 유래가 된 옥구슬을 말한다. 척(尺)과 촌(寸)은 길이의 단위이나 크고 작은 것으로 의역하였다.</ref> 보배가 아니니 작은 시간을 경주하여야 하여라. |- | 척벽비보 촌음시경 |- | {{더 크게|{{lang|zh|資父事君 曰嚴與敬}}}} |rowspan=2|부모를 모시고 임금을 섬기는 것은 엄정하면서도 정성스러워야 하는 것이니 |- | 자부사군 왈엄여경 |- | {{더 크게|{{lang|zh|孝當竭力 忠則盡命}}}} |rowspan=2| 효도는 마땅히 온 힘을 다해야 하고 충성은 목숨도 바쳐야 하는 것이다. |- | 효당갈력 충즉진명 |- | {{더 크게|{{lang|zh|臨深履薄 夙興溫凊}}}} |rowspan=2| 깊은 곳을 만나도 살얼음 지나듯 조심하고 일찍 일어나 덥고 차가운지 살피는 것(이 효도하는 마음가짐이며) |- | 임심리박 숙흥온정 |- | {{더 크게|{{lang|zh|似蘭斯馨 如松之盛}}}} |rowspan=2| 난초와 같이 향기롭고 소나무처럼 굳센 것(이 충성하는 마음가짐이다.) |- | 사란사형 여송지성 |- | {{더 크게|{{lang|zh|川流不息 淵澄取映}}}} |rowspan=2| 냇물을 쉬지 않고 흐르고 연못은 맑아 그림자를 비추듯 |- | 천류불식 연징취영 |- | {{더 크게|{{lang|zh|容止若思 言辭安定}}}} |rowspan=2| 얼굴은 생각과 같게 하고 말은 안정되게 하여야 한다. |- | 용지약사 언사안정 |- | {{더 크게|{{lang|zh|篤初誠美 愼終宜令}}}} |rowspan=2| 일을 시작할 때에 정성을 다하고 마무리 지을 때에도 신중히 하면 |- | 독초성미 신종의령 |- | {{더 크게|{{lang|zh|榮業所基 籍甚無竟}}}} |rowspan=2| 이를 바탕으로 이루는 업적이 끝없으리라. |- | 영업소기 적심무경 |- | {{더 크게|{{lang|zh|學優登仕 攝職從政}}}} |rowspan=2| 학문이 뛰어나 벼슬에 올라 직무를 맞고 정사를 돌볼 때에 |- | 학우등사 섭직종정 |- | {{더 크게|{{lang|zh|存以甘棠 去而益詠}}}} |rowspan=2| 벼슬을 맡아 팥배나무 밑에서 정사를 본 소공과 같이 청렴하면 물러날 때 칭송을 들을 것이다.<ref>감당(甘棠)은 팥배나무이다. 주나라 소공은 팥배나무 아래에서 정사를 보고 공명 정대하며 청렴하였다고 한다. 소공이 죽자 백성들이 그를 그리워하며 감당시를 읇었다. 시경 국풍편 감당</ref> |- | 존이감당 거이익영 |- | {{더 크게|{{lang|zh|樂殊貴賤 禮別尊卑}}}} |rowspan=2| 즐거움에 귀천이 없으나 예절에는 존비가 있으니 |- | 악수귀천 예별존비 |- | {{더 크게|{{lang|zh|上和下睦 夫唱婦隨}}}} |rowspan=2| 상하가 화목하고 부부가 원만하며<ref>사자성어 부창부수의 출전이다.</ref> |- | 상화하목 부창부수 |- | {{더 크게|{{lang|zh|外受傅訓 入奉母儀}}}} |rowspan=2| 밖에서는 스승의 가르침을 받고 안에서는 어머니의 뜻을 받을며 |- | 외수부훈 입봉모의 |- | {{더 크게|{{lang|zh|諸姑伯叔 猶子比兒}}}} |rowspan=2| 모든 고모 삼촌의 아이를 내 아이라 여기고 |- | 제고백숙 유자비아 |- | {{더 크게|{{lang|zh|孔懷兄弟 同氣連枝}}}} |rowspan=2| 형제는 서로 품어주니 같은 기운에서 나온 가지기 때문이고 |- | 공회형제 동기연지 |- | {{더 크게|{{lang|zh|交友投分 切磨箴規}}}} |rowspan=2| 벗을 사귈 때는 가려서 사귀고 규범을 염두에 두어 절제하여 |- | 교우투분 절마잠규 |- | {{더 크게|{{lang|zh|仁慈隱惻 造次弗離}}}} |rowspan=2| 어질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대하여 떠나지 말아야 하고 |- | 인자은측 조차불리 |- | {{더 크게|{{lang|zh|節義廉退 顛沛匪虧}}}} |rowspan=2| 절의를 지키고 청렴히 물러나 이러한 (예의가) 이지러지지 않게 하여야 한다. |- | 절의염퇴 전패비휴 |- | {{더 크게|{{lang|zh|性靜情逸 心動神疲}}}} |rowspan=2| 성정이 고요하면 심정이 편안하고 마음이 동요하면 정신이 피로하니 |- | 성정정일 심동신피 |- | {{더 크게|{{lang|zh|守眞志滿 逐物意移}}}} |rowspan=2| 참 뜻이 가득하도록 지키고 물욕을 멀리하라. |- | 수진지만 축물의이 |- | {{더 크게|{{lang|zh|堅持雅操 好爵自縻}}}} |rowspan=2| 우아하고 절개가 있으면 관작은 스스로 오게 되어 있다. |- | 견지아조 호작자미 |- | {{더 크게|{{lang|zh|都邑華夏 東西二京}}}} |rowspan=2| 화하<ref>중국의 별칭</ref> 의 도읍은 동서 2경이라 |- |도읍화하 동서이경 |- | {{더 크게|{{lang|zh|背邙面洛 浮渭據涇}}}} |rowspan=2|낙양은 북망산을 등지고 낙수를 마주하고 장안에는 위수와 경수가 흐르는 구나. |- |배망면락 부위거경 |- | {{더 크게|{{lang|zh|宮殿盤鬱 樓觀飛驚}}}} |rowspan=2|궁전은 울창한 숲에 쌓였고 누각에 올라 놀라운 경치를 보며 |- |궁전반울 누관비경 |- | {{더 크게|{{lang|zh|圖寫禽獸 畵綵仙靈}}}} |rowspan=2|날짐승 들짐승을 그리니 신선 사는 그림이로구나. |- |도사금수 화채선령 |- | {{더 크게|{{lang|zh|丙舍傍啟 甲帳對楹}}}} |rowspan=2|병사<ref>궁전 내에 있는 건물들을 뜻하는 낱말</ref> 옆을 열어 갑장<ref>동방삭이 만들었다는 장막</ref> 이 기둥을 마주하게 하고 |- | 병사방계 갑장대영 |- | {{더 크게|{{lang|zh|肆筵設席 鼓瑟吹笙}}}} |rowspan=2|자리를 마련해 연회를 열고 비파를 뜯고 생황을 부니 |- |사연설석 고슬취생 |- | {{더 크게|{{lang|zh|升階納陛 弁轉疑星}}}} |rowspan=2| 계단을 올라 납폐하는 신료들은 별인듯 번쩍이고 |- |승계납폐 변전의성 |- | {{더 크게|{{lang|zh|右通廣內 左達承明}}}} |rowspan=2| 오른쪽은 광내로 통하고 왼쪽은 승명에 닿아<ref>광내와 승명은 모두 고대 중국 궁내의 관직처</ref> |- |우통광내 좌달승명 |- | {{더 크게|{{lang|zh|既集墳典 亦聚群英}}}} |rowspan=2| 이미 분전<ref>삼황오제 시절의 법률과 의전을 뜻한다.</ref> 을 모은 곳에 영웅들이 모였도다. |- |기집분전 역취군영 |- | {{더 크게|{{lang|zh|杜稾鍾隸 漆書壁經}}}} |rowspan=2| 두고<ref>초서를 처음 썼다고 전해진다.</ref> 와 종례<ref>예서로 이름이 알려져 있다.</ref> 의 글 칠서<ref>대나무에 칠을 한 뒤 쓴 글, 종이가 없던 시절에 사용하였다.</ref> 와 벽경<ref>공자에게서 전해 왔다는 육경</ref> |- |두고종례 칠서벽경 |- | {{더 크게|{{lang|zh|府羅將相 路俠槐卿}}}} |rowspan=2|각 부에 장군과 재상이 있어 고관이 즐비하여 길이 좁다. |- |부라장상 노협괴경 |- | {{더 크게|{{lang|zh|戶封八縣 家給千兵}}}} |rowspan=2|여덟 고을을 봉지로 주고 천명의 군사로 지키게 하니<ref>한고조의 논공행상을 가리킨다.</ref> |- |호봉팔현 가급천병 |- | {{더 크게|{{lang|zh|高冠陪輦 驅轂振纓}}}} |rowspan=2|높은 관을 쓰고 수레에올라 바퀴를 구르며 갓끈을 떨치는 구나. |- |고관배련 구곡진영 |- | {{더 크게|{{lang|zh|世祿侈富 車駕肥輕}}}} |rowspan=2| 대대로 받는 녹으로 부귀를 누리며 수레는 (제물로) 무겁고 가마는 가벼우니 |- |세록치부 거가비경 |- | {{더 크게|{{lang|zh|策功茂實 勒碑刻銘}}}} |rowspan=2|끝없이 쌓은 공적 비석에 세기는 구나. |- |책공무실 늑비각명 |- | {{더 크게|{{lang|zh|磻溪伊尹 佐時阿衡}}}} |rowspan=2| 반계의 (태공망)과 (탕왕을 도운) 이윤은 때가 도와 아형의 벼슬에 올랐고 |- |반계이윤 좌시아형 |- | {{더 크게|{{lang|zh|奄宅曲阜 微旦孰營}}}} |rowspan=2| 곡부에 궁전을 지은 것은 주공 단<ref>주문왕의 아우, 노나라의 시조</ref> 이 아니면 누가할 것인가 |- |엄택곡부 미단숙영 |- | {{더 크게|{{lang|zh|桓公匡合 濟弱扶傾}}}} |rowspan=2|환공은 제후를 널리 합쳐 기울어져가는 나라를 구했지 |- |환공광합 제약부경 |- | {{더 크게|{{lang|zh|綺迴漢惠 說感武丁}}}} |rowspan=2|기리계<ref>한고조가 죽고 여희가 여씨 일족에서 황제를 즉위시키고자 하였으나 장량은 기리계의 도움으로 혜제가 즉위하도록 하였다.</ref> 가 한 혜제를 회복시키고 부열이 무정을 감동시키듯.<ref>은 나라 무정이 부열에게 감동하여 선정을 배풀었다는 고사</ref> |- |기회한혜 설감무정 |- | {{더 크게|{{lang|zh|俊乂密勿 多士寔寧}}}} |rowspan=2|준걸과 예사가 모이니 참으로 평안하구나. |- |준예밀물 다사식녕 |- | {{더 크게|{{lang|zh|晉楚更霸 趙魏困橫}}}} |rowspan=2|진과 초가 다시 패자가 되고 조와위는 연횡으로 곤궁에 빠져 |- |진초갱패 조위곤횡 |- | {{더 크게|{{lang|zh|假途滅虢 踐土會盟}}}} |rowspan=2|진은 위계를 써 괵을 멸하고 천토에서 회맹하였고 |- |가도멸괵 천토회맹 |- | {{더 크게|{{lang|zh|何遵約法 韓弊煩刑}}}} |rowspan=2|어찌 (한고조의) 약법을 두고 한비자의 낡고 번잡한 형벌을 따를 것인가 |- |하준약법 한폐번형 |- | {{더 크게|{{lang|zh|起翦頗牧 用軍最精}}}} |rowspan=2| 백기 왕전 염파 이목은 군사를 가장 잘 다루었고 |- |기전파목 용군최정 |- | {{더 크게|{{lang|zh|宣威沙漠 馳譽丹青}}}} |rowspan=2|위엄을 사막에까지 떨치니 단청에 넣어 기리는 구나. |- |선위사막 치예단청 |- | {{더 크게|{{lang|zh|九州禹跡 百郡秦幷}}}} |rowspan=2| 하우씨가 구주를 두어 백군이 진에 병합되고 |- |구주우적 백군진병 |- | {{더 크게|{{lang|zh|嶽宗恆岱 禪主云亭}}}} |rowspan=2| 산중 으뜸은 항산과 태산이라 임금을 정하는 운정이 그곳에 있으며 |- |악종항대 선주운정 |- | {{더 크게|{{lang|zh|雁門紫塞 雞田赤城}}}} |rowspan=2| 안문관과 만리장성, 계전과 적성 |- |안문자새 계전적성 |- | {{더 크게|{{lang|zh|昆池碣石 鉅野洞庭}}}} |rowspan=2| 운남의 곤지와 부평의 갈석, 거야의 넓은 들판과 동정의 큰 호수 |- |곤지갈석 거야동정 |- | {{더 크게|{{lang|zh|曠遠緜邈 巖岫杳冥}}}} |rowspan=2|아득히 멀리 줄지어 있으니 아득하고 묘연하구나. |- |광원면막 암수묘명 |- | {{더 크게|{{lang|zh|治本於農 務茲稼穡}}}} |rowspan=2| 다스림의 근본은 농업이니 때를 맞추어 심고 거두어야 하리 |- |치본어농 무자가색 |- | {{더 크게|{{lang|zh|俶載南畝 我藝黍稷}}}} |rowspan=2|이제 남쪽 이랑을 일궈 나는 기장과 피를 가꾸어 |- |숙재남묘 아예서직 |- | {{더 크게|{{lang|zh|稅熟貢新 勸賞黜陟}}}} |rowspan=2| 익으면 세를 내고 햇곡식으로 제사를 지내 상을 권하고 (못된 자는) 내쫓으리라. |- |세숙공신 권상출척 |- | {{더 크게|{{lang|zh|孟軻敦素 史魚秉直}}}} |rowspan=2|맹자는 도타운 사람이었고 사어는 강직했으니 |- |맹가돈소 사어병직 |- | {{더 크게|{{lang|zh|庶幾中庸 勞謙謹敕}}}} |rowspan=2|중용을 으뜸으로 삼고 겸손에 힘쓰고 경계해야지 |- |서기중용 노겸근칙 |- | {{더 크게|{{lang|zh|聆音察理 鉴貌辨色}}}} |rowspan=2|들리는 소리 자세히 살피고 거울에 비치는 모양 꼼꼼히 구별하고 |- |영음찰리 감모변색 |- | {{더 크게|{{lang|zh|貽厥嘉猷 勉其祗植}}}} |rowspan=2|그 아름다움이 후세에 미치도록 그 덕을 쌓기를 부지런히 하며 |- |이궐가유 면기지식 |- | {{더 크게|{{lang|zh|省躬譏誡 寵增抗極}}}} |rowspan=2|몸을 살펴 나무라고 탓할 일은 없는지 반성하고 총애가 늘면 더욱 조심하여야 한다. |- |성궁기계 총증항극 |- | {{더 크게|{{lang|zh|殆辱近恥 林皋幸即}}}} |rowspan=2| 위태로운 치욕은 부끄러운 일에 의한 것이니 수풀과 언덕에 있는 것이 도리어 다행이다. |- |태욕근치 임고행즉 |- | {{더 크게|{{lang|zh|兩疏見機 解組誰逼}}}} |rowspan=2| 양소<ref>한나라의 소광과 소수</ref> 는 기회를 보아 관복을 벗으니 누가 핍박하였으랴 |- |양소견기 해조수핍 |- | {{더 크게|{{lang|zh|索居閒處 沈默寂寥}}}} |rowspan=2|한가한 곳을 찾아 살며 고요히 살며 침묵한 채 |- |색거한처 침묵적요 |- | {{더 크게|{{lang|zh|求古尋論 散慮逍遙}}}} |rowspan=2|옛일을 두고 논장을 찾고 염려를 잊고 소요하니 |- |구고심론 산려소요 |- | {{더 크게|{{lang|zh|欣奏累遣 慼謝歡招}}}} |rowspan=2|기쁜 일은 알리고 누추한 것은 보내며 슬픈 일은 마다하고 기쁜 일을 환영하리 |- |흔주루견 척사환초 |- | {{더 크게|{{lang|zh|渠荷的歷 園莽抽條}}}} |rowspan=2|도랑에 핀 연꽃의 이력, 동산에 자란 풀 가지 |- |거하적력 원망추조 |- | {{더 크게|{{lang|zh|枇杷晚翠 梧桐早凋}}}} |rowspan=2|비파나무 만추에도 푸르른데 오동나무 일찍이 시들었고 |- |비파만취 오동조조 |- | {{더 크게|{{lang|zh|陳根委翳 落葉飄颻}}}} |rowspan=2|고목 뿌리 덮은 낙엽 바람에 날리니 |- |진근위예 낙엽표요 |- | {{더 크게|{{lang|zh|遊鵾獨運 凌摩絳霄}}}} |rowspan=2|댓닭 한 마리 홀로 해엄치며 노을진 하늘을 업수이 여기고 |- |유곤독운 능마강소 |- | {{더 크게|{{lang|zh|耽讀翫市 寓目囊箱}}}} |rowspan=2|(한나라 왕총은) 독서를 즐겨 한 번 보면 상자에 넣은 듯 (잊지 않았다지) |- |탐독완시 우목낭상 |- | {{더 크게|{{lang|zh|易輶攸畏 屬耳垣墻}}}} |rowspan=2|가벼이 경솔하게 구는 것을 두려워하는 까닭은 담장에도 귀가 있다 하기 때문 |- |역유유외 속이원장 |- | {{더 크게|{{lang|zh|具膳飡飯 適口充腸}}}} |rowspan=2|반찬이나 저녁밥이야 먹고 배를 채우면 그만인 것 |- |구선손반 적구충장 |- | {{더 크게|{{lang|zh|飽飫烹宰 飢厭糟糠}}}} |rowspan=2|배부르면 재상의 요리도 물리게 되고 배 고프면 겨 지게미로도 족하니 |- |포어팽재 기염조강 |- | {{더 크게|{{lang|zh|親戚故舊 老少異糧}}}} |rowspan=2|친척이나 옛친구 노소에 따라 음식도 다를 밖에 |- |친척고구 노소이량 |- | {{더 크게|{{lang|zh|妾御績紡 侍巾帷房}}}} |rowspan=2|아내가 길쌈하여 어른 방에 수건을 받들고 |- |첩어적방 시건유방 |- | {{더 크게|{{lang|zh|紈扇圓潔 銀燭煒煌}}}} |rowspan=2|흰 비단으로 지은 부채 둥글고 깨끗하며 은촛대 불빛 밝으니 |- |환선원결 은촉위황 |- | {{더 크게|{{lang|zh|晝眠夕寐 藍笋象床}}}} |rowspan=2|낮에 자고 저녁에 또 자려 푸른 대로 코끼리 침상을 만들지 |- |주면석매 남순상상 |- | {{더 크게|{{lang|zh|絃歌酒讌 接盃舉觴}}}} |rowspan=2|거문거를 뜯고 노래를 부르며 주연을 열고 술잔을 들어 부딛히고 |- |현가주연 접배거상 |- | {{더 크게|{{lang|zh|矯手頓足 悅豫且康}}}} |rowspan=2|손을 들고 발을 움직여 춤추며 이처럼 평안함을 즐거워하세 |- |교수돈족 열예차강 |- | {{더 크게|{{lang|zh|嫡後嗣續 祭祀烝嘗}}}} |rowspan=2| 맏이는 뒤를 이어 제사를 지내어 |- |적후사속 제사증상 |- | {{더 크게|{{lang|zh|稽顙再拜 悚懼恐惶}}}} |rowspan=2|이마를 조아려 두 번 절하여 송구하고 두려운 마음을 보여야 한다. |- |계상재배 송구공황 |- | {{더 크게|{{lang|zh|牋牒簡要 顧答審詳}}}} |rowspan=2|편지는 간략히 요지만 쓰고 답신은 자세히 살펴서 하라. |- |전첩간요 고답심상 |- | {{더 크게|{{lang|zh|骸垢想浴 執熱願涼}}}} |rowspan=2|몸에 때가 끼면 목욕할 생각이 나고 열이 차면 서늘하기를 원하게 되는 것 |- |해구상욕 집열원량 |- | {{더 크게|{{lang|zh|驢騾犢特 駭躍超驤}}}} |rowspan=2|노새며 망아지, 숫송아지가 놀라뛰며 내달리듯 |- |여라독특 해약초양 |- | {{더 크게|{{lang|zh|誅斬賊盜 捕獲叛亡}}}} |rowspan=2|적도는 잡아 죽이고 배역자는 잡아들이리 |- |주참적도 포획반망 |- | {{더 크게|{{lang|zh|布射遼丸 嵇琴阮嘯}}}} |rowspan=2|여포는 활 잘 쏘았고 의료는 돌 잘 던졌으며 혜강은 금을 잘켰고 완적은 휘파람을 잘 불었지 |- |포사료환 혜금완소 |- | {{더 크게|{{lang|zh|恬筆倫紙 鈞巧任釣}}}} |rowspan=2|붓을 만든 건 몽념 종이를 만든 건 채륜, 마륜의 교묘한 솜씨<ref>마륜은 지남차를 만들었다고 한다.</ref> 임공자의 낚시대<ref>장자에 나오는 이야기이다.</ref> |- |염필윤지 균교임조 |- | {{더 크게|{{lang|zh|釋紛利俗 竝皆佳妙}}}} |rowspan=2|이러한 재주를 세상에 푸니 모두다 뛰어나고 신기하였다. |- |석분리속 병개가묘 |- | {{더 크게|{{lang|zh|毛施淑姿 工顰妍笑}}}} |rowspan=2|오나라 모타와 월나라 서시의 자태는 찡그린 모습도 아름다워라 |- |모시숙자 공빈연소 |- | {{더 크게|{{lang|zh|年矢每催 曦暉朗耀}}}} |rowspan=2| 세월은 살같이 언제나 제촉하나 햇빛 달빛은 밝게 빛나 |- |연시매최 희휘낭요 |- | {{더 크게|{{lang|zh|璇璣懸斡 晦魄環照}}}} |rowspan=2|천문을 보는 기계 매달려 돌듯 그믐이 지나 다시 보름이 되니 |- |선기현알 회백환조 |- | {{더 크게|{{lang|zh|指薪修祜 永綏吉劭}}}} |rowspan=2|손가락에 섶불을 단 듯 수양에 전념하면 영원토록 평안하고 길하리라. |- |지신수우 영수길소 |- | {{더 크게|{{lang|zh|矩步引領 俯仰廊廟}}}} |rowspan=2|반듯하게 걸으며 옷길을 끌고 사당에 엎드려 예의를 다하고 |- |구보인령 부앙낭묘 |- | {{더 크게|{{lang|zh|束帶矜莊 徘徊瞻眺}}}} |rowspan=2|허리띠를 단단히 묶어 긍지를 갖고 여러 곳을 두루 살펴라 |- |속대긍장 배회첨조 |- | {{더 크게|{{lang|zh|孤陋寡聞 愚蒙等誚}}}} |rowspan=2|(이런 글을 쓴 나는) 고루하고 들은 것 없어 어리석단 꾸짖음을 면치 못하리 |- |고루과문 우몽등초 |- | {{더 크게|{{lang|zh|謂語助者 焉哉乎也}}}} |rowspan=2|어조사에는 언재호야가 있다. |- |위어조자 언재호야 |} ==역주 == <references/> = 라이선스 = {{번역 저작권 |원문 = {{PD-old-100}} |번역 = {{PD-자작}} }} [[분류:한시]] gde9seqb4ir49lmk0cba2ss2qjh9gex 392751 392749 2025-06-28T08:16:55Z 2406:5900:1001:2070:8364:B1AA:7E44:D85B 392751 wikitext text/x-wiki {{번역 머리말 |제목 = 천자문 |저자 = [[저자:주흥사|주흥사]] |역자 = [[사용자:jjw|jjw]]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위키백과|천자문}} 천자문(千字文)은 중국 남조 양(502~549)의 주흥사가 양 무제의 명을 받아 지은 책으로, 모두 다른 한자 1000자를 사용하여 1구 4자의 사언 고시 250구로 만들었다. 한문의 입문서로 널리 쓰였다. 2010년 8월 25일 석봉 한호의 필체를 목각한 《천자문》이 대한민국 보물 제1659호로 지정되었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200px; background:#eeffee;"| 원문 !background:#eeeeff;"| 번역 |- | {{더 크게|{{lang|zh|天地玄黃 宇宙洪荒}}}} |rowspan=2|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며 우주는 넓고도 크다. |- |천지현황 우주홍황<ref>독음은 [http://handic.daum.net/dicha/view_top.do 다음한자사전] 을 따랐다. 두음법칙에 의해 독음이 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리(李)는 낱말의 앞에 올경우 이로 적었다.</ref> |- | {{더 크게|{{lang|zh|日月盈昃 辰宿列張}}}} |rowspan=2| 해와 달이 차고 기울며 별은 자리를 잡아 늘어서 있다. |- |일월영측 진수열장 |- | {{더 크게|{{lang|zh|寒來暑往 秋收冬藏}}}} |rowspan=2| 추위가 오고 더위가 가니 가을엔 거두고 겨울엔 갈무리하여 둔다. |- | 한래서왕 추수동장 |- | {{더 크게|{{lang|zh|閏餘成歲 律呂調陽}}}} |rowspan=2| 윤달을 더하여 한해를 이루고 가락을 맞추어 양기를 돋운다. |- | 윤여성세 율려조양 |- | {{더 크게|{{lang|zh|雲騰致雨 露結為霜}}}} |rowspan=2| 구름은 올라가 비가 되고 이슬은 얼어 서리가 된다. |- | 운등치우 노결위상 |- | {{더 크게|{{lang|zh|金生麗水 玉出昆岡}}}} |rowspan=2| 금은 여수에서 나고 옥은 곤강에서 난다. |참고로 昆은 崑과 같다. |- | 금생여수 옥출곤강 |- | {{더 크게|{{lang|zh|劍號巨闕 珠稱夜光}}}} |rowspan=2| 검은 일컬어 거궐이요 구슬은 일컬어 야광이라. |- | 검호거궐 주칭야광 |- | {{더 크게|{{lang|zh|果珍李柰 菜重芥薑}}}} |rowspan=2| 과일 가운데 진미는 오얏과 능금이요 채소 가운데 중요한 것은 겨자와 생강이라. |- | 과진이내 채중개강 |- | {{더 크게|{{lang|zh|海鹹河淡 鱗潛羽翔}}}} |rowspan=2| 바다는 짜고 강물은 싱거우며 비늘 달린 물고기는 물에 잠기고 깃 달린 새는 높이 난다. |- | 해함하담 인잠우상 |- | {{더 크게|{{lang|zh|龍師火帝 鳥官人皇}}}} |rowspan=2| 복희씨<ref>복희는 뱀의 몸에 사람의 얼굴을 하였다고 하며 용사는 복희의 별칭이다.</ref>, 신농씨<ref>화제 또는 염제(炎帝)는 신농씨의 별칭이다</ref>, 소호<ref>소호는 새 이름을 관직명으로 삼았다고 한다.</ref> 와 황제헌원<ref>황제는 《황제내경》과 같은 의술서의 저자로 알려져 있어 인황이란 별칭이 붙었다.</ref> |- | 용사화제 조관인황 |- | {{더 크게|{{lang|zh|始制文字 乃服衣裳}}}} |rowspan=2| 문자를 처음 짓고 옷을 지어 입혔지. |- | 시제문자 내복의상 |- | {{더 크게|{{lang|zh|推位讓國 有虞陶唐}}}} |rowspan=2| 자리를 미루며 나라를 물려주니 유우<ref>순임금의 이름이다.</ref> 와 도당<ref>우 임금의 이름이다.</ref> 이라. |- | 추위양국 유우도당 |- | {{더 크게|{{lang|zh|弔民伐罪 周發殷湯}}}} |rowspan=2| 백성을 돕고 죄를 벌하니 주나라 무왕<ref>발(發)은 주 무왕의 이름</ref> 과 은나라 탕왕이라. |- | 조민벌죄 주발은탕 |- | {{더 크게|{{lang|zh|坐朝問道 垂拱平章}}}} |rowspan=2| 조정에 앉아 도를 묻기에 두 손으로 문장을 올리니, |- | 좌조문도 수공평장 |- | {{더 크게|{{lang|zh|愛育黎首 臣伏戎羌}}}} |rowspan=2| 백성을 아끼고<ref>여수(黎首)는 검은 머리, 즉 관직이 없는 백성을 말한다.</ref> 오랑캐가 신하로 복종하게 하소서. |- | 애육여수 신복융강 |- | {{더 크게|{{lang|zh|遐邇壹體 率賓歸王}}}} |rowspan=2| 멀고 가까운 곳이 하나가 되어 임금께 이끌려 따를 것입니다. |- | 하이일체 솔빈귀왕 |- | {{더 크게|{{lang|zh|鳴鳳在樹 白駒食場}}}} |rowspan=2|봉황은 나무에 내려 울고 흰망아지 풀을 뜯으니<ref>성군이 나면 봉황이 찾아와 울고 흰망아지가 나타난다는 전설에 빗대어 태평성대를 말함</ref> |- | 명봉재수 백구식장 |- | {{더 크게|{{lang|zh|化被草木 賴及萬方}}}} |rowspan=2| 덕화가 초목까지 미치고 만방에 퍼지리. |- | 화피초목 뇌급만방 |- | {{더 크게|{{lang|zh|蓋此身髮 四大五常}}}} |rowspan=2| 몸에 털이 덮힌 것과 같이 4대5상을 지키고<ref>4대는 하늘, 땅, 도(道), 임금. 5상은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ref> |- | 개차신발 사대오상 |- | {{더 크게|{{lang|zh|恭惟鞠養 豈敢毁傷}}}} |rowspan=2| 길러준 은혜를 공경하여 감히 상처를 내지 말아야 한다. |- | 공유국양 기감훼상 |- | {{더 크게|{{lang|zh|女慕貞烈 男效才良}}}} |rowspan=2|여자는 정조를 따르고 남자는 재량을 본받아 |- | 여모정렬 남효재량 |- | {{더 크게|{{lang|zh|知過必改 得能莫忘}}}} |rowspan=2|잘못이 있으면 반드시 고치고 배운 것은 잊지 말아야 한다. |- | 지과필개 득능막망 |- | {{더 크게|{{lang|zh|罔談彼短 靡恃己長}}}} |rowspan=2| 다른이의 단점을 입에 담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너무 믿지 마라 |- | 망담피단 미시기장 |- | {{더 크게|{{lang|zh|信使可覆 器欲難量}}}} |rowspan=2| 믿었던 장점이 뒤집힐 수 있고 다른 사람 기량은 헤아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 | 신사가복 기욕난량 |- | {{더 크게|{{lang|zh|墨悲絲染 詩讚羔羊}}}} |rowspan=2| 이 때문에 묵자는 실이 물드는 것을 탄식하였고<ref>묵자 소염론</ref> 시경은 고양을 찬송하였다.<ref>시경 고양편</ref> |- | 묵비사염 시찬고양 |- | {{더 크게|{{lang|zh|景行維賢 克念作聖}}}} |rowspan=2| 바르고 어진 것을 보고 행하여 지극히 생각하면 성인이 되고 |- | 경행유현 극념작성 |- | {{더 크게|{{lang|zh|德建名立 形端表正}}}} |rowspan=2|덕을 쌓아 이름을 세우면 바른 모양이 겉으로 드러난다. |- | 덕건명립 형단표정 |- | {{더 크게|{{lang|zh|空谷傳聲 虛堂習聽}}}} |rowspan=2| 빈 골짜기에 울리는 소리처럼 또한 빈집에서 들리는 소리처럼 |- | 공곡전성 허당습청 |- | {{더 크게|{{lang|zh|禍因惡積 福緣善慶}}}} |rowspan=2| 화는 악행을 쌓은 것이 원인이요 복은 선행의 결과이다. |- | 화인악적 복연선경 |- | {{더 크게|{{lang|zh|尺璧非寶 寸陰是競}}}} |rowspan=2| 커다란 옥 구슬이<ref>여기서 벽은 완벽의 유래가 된 옥구슬을 말한다. 척(尺)과 촌(寸)은 길이의 단위이나 크고 작은 것으로 의역하였다.</ref> 보배가 아니니 작은 시간을 경주하여야 하여라. |- | 척벽비보 촌음시경 |- | {{더 크게|{{lang|zh|資父事君 曰嚴與敬}}}} |rowspan=2|부모를 모시고 임금을 섬기는 것은 엄정하면서도 정성스러워야 하는 것이니 |- | 자부사군 왈엄여경 |- | {{더 크게|{{lang|zh|孝當竭力 忠則盡命}}}} |rowspan=2| 효도는 마땅히 온 힘을 다해야 하고 충성은 목숨도 바쳐야 하는 것이다. |- | 효당갈력 충즉진명 |- | {{더 크게|{{lang|zh|臨深履薄 夙興溫凊}}}} |rowspan=2| 깊은 곳을 만나도 살얼음 지나듯 조심하고 일찍 일어나 덥고 차가운지 살피는 것(이 효도하는 마음가짐이며) |- | 임심리박 숙흥온정 |- | {{더 크게|{{lang|zh|似蘭斯馨 如松之盛}}}} |rowspan=2| 난초와 같이 향기롭고 소나무처럼 굳센 것(이 충성하는 마음가짐이다.) |- | 사란사형 여송지성 |- | {{더 크게|{{lang|zh|川流不息 淵澄取映}}}} |rowspan=2| 냇물을 쉬지 않고 흐르고 연못은 맑아 그림자를 비추듯 |- | 천류불식 연징취영 |- | {{더 크게|{{lang|zh|容止若思 言辭安定}}}} |rowspan=2| 얼굴은 생각과 같게 하고 말은 안정되게 하여야 한다. |- | 용지약사 언사안정 |- | {{더 크게|{{lang|zh|篤初誠美 愼終宜令}}}} |rowspan=2| 일을 시작할 때에 정성을 다하고 마무리 지을 때에도 신중히 하면 |- | 독초성미 신종의령 |- | {{더 크게|{{lang|zh|榮業所基 籍甚無竟}}}} |rowspan=2| 이를 바탕으로 이루는 업적이 끝없으리라. |- | 영업소기 적심무경 |- | {{더 크게|{{lang|zh|學優登仕 攝職從政}}}} |rowspan=2| 학문이 뛰어나 벼슬에 올라 직무를 맞고 정사를 돌볼 때에 |- | 학우등사 섭직종정 |- | {{더 크게|{{lang|zh|存以甘棠 去而益詠}}}} |rowspan=2| 벼슬을 맡아 팥배나무 밑에서 정사를 본 소공과 같이 청렴하면 물러날 때 칭송을 들을 것이다.<ref>감당(甘棠)은 팥배나무이다. 주나라 소공은 팥배나무 아래에서 정사를 보고 공명 정대하며 청렴하였다고 한다. 소공이 죽자 백성들이 그를 그리워하며 감당시를 읇었다. 시경 국풍편 감당</ref> |- | 존이감당 거이익영 |- | {{더 크게|{{lang|zh|樂殊貴賤 禮別尊卑}}}} |rowspan=2| 즐거움에 귀천이 없으나 예절에는 존비가 있으니 |- | 악수귀천 예별존비 |- | {{더 크게|{{lang|zh|上和下睦 夫唱婦隨}}}} |rowspan=2| 상하가 화목하고 부부가 원만하며<ref>사자성어 부창부수의 출전이다.</ref> |- | 상화하목 부창부수 |- | {{더 크게|{{lang|zh|外受傅訓 入奉母儀}}}} |rowspan=2| 밖에서는 스승의 가르침을 받고 안에서는 어머니의 뜻을 받을며 |- | 외수부훈 입봉모의 |- | {{더 크게|{{lang|zh|諸姑伯叔 猶子比兒}}}} |rowspan=2| 모든 고모 삼촌의 아이를 내 아이라 여기고 |- | 제고백숙 유자비아 |- | {{더 크게|{{lang|zh|孔懷兄弟 同氣連枝}}}} |rowspan=2| 형제는 서로 품어주니 같은 기운에서 나온 가지기 때문이고 |- | 공회형제 동기연지 |- | {{더 크게|{{lang|zh|交友投分 切磨箴規}}}} |rowspan=2| 벗을 사귈 때는 가려서 사귀고 규범을 염두에 두어 절제하여 |- | 교우투분 절마잠규 |- | {{더 크게|{{lang|zh|仁慈隱惻 造次弗離}}}} |rowspan=2| 어질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대하여 떠나지 말아야 하고 |- | 인자은측 조차불리 |- | {{더 크게|{{lang|zh|節義廉退 顛沛匪虧}}}} |rowspan=2| 절의를 지키고 청렴히 물러나 이러한 (예의가) 이지러지지 않게 하여야 한다. |- | 절의염퇴 전패비휴 |- | {{더 크게|{{lang|zh|性靜情逸 心動神疲}}}} |rowspan=2| 성정이 고요하면 심정이 편안하고 마음이 동요하면 정신이 피로하니 |- | 성정정일 심동신피 |- | {{더 크게|{{lang|zh|守眞志滿 逐物意移}}}} |rowspan=2| 참 뜻이 가득하도록 지키고 물욕을 멀리하라. |- | 수진지만 축물의이 |- | {{더 크게|{{lang|zh|堅持雅操 好爵自縻}}}} |rowspan=2| 우아하고 절개가 있으면 관작은 스스로 오게 되어 있다. |- | 견지아조 호작자미 |- | {{더 크게|{{lang|zh|都邑華夏 東西二京}}}} |rowspan=2| 화하<ref>중국의 별칭</ref> 의 도읍은 동서 2경이라 |- |도읍화하 동서이경 |- | {{더 크게|{{lang|zh|背邙面洛 浮渭據涇}}}} |rowspan=2|낙양은 북망산을 등지고 낙수를 마주하고 장안에는 위수와 경수가 흐르는 구나. |- |배망면락 부위거경 |- | {{더 크게|{{lang|zh|宮殿盤鬱 樓觀飛驚}}}} |rowspan=2|궁전은 울창한 숲에 쌓였고 누각에 올라 놀라운 경치를 보며 |- |궁전반울 누관비경 |- | {{더 크게|{{lang|zh|圖寫禽獸 畵綵仙靈}}}} |rowspan=2|날짐승 들짐승을 그리니 신선 사는 그림이로구나. |- |도사금수 화채선령 |- | {{더 크게|{{lang|zh|丙舍傍啟 甲帳對楹}}}} |rowspan=2|병사<ref>궁전 내에 있는 건물들을 뜻하는 낱말</ref> 옆을 열어 갑장<ref>동방삭이 만들었다는 장막</ref> 이 기둥을 마주하게 하고 |- | 병사방계 갑장대영 |- | {{더 크게|{{lang|zh|肆筵設席 鼓瑟吹笙}}}} |rowspan=2|자리를 마련해 연회를 열고 비파를 뜯고 생황을 부니 |- |사연설석 고슬취생 |- | {{더 크게|{{lang|zh|升階納陛 弁轉疑星}}}} |rowspan=2| 계단을 올라 납폐하는 신료들은 별인듯 번쩍이고 |- |승계납폐 변전의성 |- | {{더 크게|{{lang|zh|右通廣內 左達承明}}}} |rowspan=2| 오른쪽은 광내로 통하고 왼쪽은 승명에 닿아<ref>광내와 승명은 모두 고대 중국 궁내의 관직처</ref> |- |우통광내 좌달승명 |- | {{더 크게|{{lang|zh|既集墳典 亦聚群英}}}} |rowspan=2| 이미 분전<ref>삼황오제 시절의 법률과 의전을 뜻한다.</ref> 을 모은 곳에 영웅들이 모였도다. |- |기집분전 역취군영 |- | {{더 크게|{{lang|zh|杜稾鍾隸 漆書壁經}}}} |rowspan=2| 두고<ref>초서를 처음 썼다고 전해진다.</ref> 와 종례<ref>예서로 이름이 알려져 있다.</ref> 의 글 칠서<ref>대나무에 칠을 한 뒤 쓴 글, 종이가 없던 시절에 사용하였다.</ref> 와 벽경<ref>공자에게서 전해 왔다는 육경</ref> |- |두고종례 칠서벽경 |- | {{더 크게|{{lang|zh|府羅將相 路俠槐卿}}}} |rowspan=2|각 부에 장군과 재상이 있어 고관이 즐비하여 길이 좁다. |- |부라장상 노협괴경 |- | {{더 크게|{{lang|zh|戶封八縣 家給千兵}}}} |rowspan=2|여덟 고을을 봉지로 주고 천명의 군사로 지키게 하니<ref>한고조의 논공행상을 가리킨다.</ref> |- |호봉팔현 가급천병 |- | {{더 크게|{{lang|zh|高冠陪輦 驅轂振纓}}}} |rowspan=2|높은 관을 쓰고 수레에올라 바퀴를 구르며 갓끈을 떨치는 구나. |- |고관배련 구곡진영 |- | {{더 크게|{{lang|zh|世祿侈富 車駕肥輕}}}} |rowspan=2| 대대로 받는 녹으로 부귀를 누리며 수레는 (제물로) 무겁고 가마는 가벼우니 |- |세록치부 거가비경 |- | {{더 크게|{{lang|zh|策功茂實 勒碑刻銘}}}} |rowspan=2|끝없이 쌓은 공적 비석에 세기는 구나. |- |책공무실 늑비각명 |- | {{더 크게|{{lang|zh|磻溪伊尹 佐時阿衡}}}} |rowspan=2| 반계의 (태공망)과 (탕왕을 도운) 이윤은 때가 도와 아형의 벼슬에 올랐고 |- |반계이윤 좌시아형 |- | {{더 크게|{{lang|zh|奄宅曲阜 微旦孰營}}}} |rowspan=2| 곡부에 궁전을 지은 것은 주공 단<ref>주문왕의 아우, 노나라의 시조</ref> 이 아니면 누가할 것인가 |- |엄택곡부 미단숙영 |- | {{더 크게|{{lang|zh|桓公匡合 濟弱扶傾}}}} |rowspan=2|환공은 제후를 널리 합쳐 기울어져가는 나라를 구했지 |- |환공광합 제약부경 |- | {{더 크게|{{lang|zh|綺迴漢惠 說感武丁}}}} |rowspan=2|기리계<ref>한고조가 죽고 여희가 여씨 일족에서 황제를 즉위시키고자 하였으나 장량은 기리계의 도움으로 혜제가 즉위하도록 하였다.</ref> 가 한 혜제를 회복시키고 부열이 무정을 감동시키듯.<ref>은 나라 무정이 부열에게 감동하여 선정을 배풀었다는 고사</ref> |- |기회한혜 설감무정 |- | {{더 크게|{{lang|zh|俊乂密勿 多士寔寧}}}} |rowspan=2|준걸과 예사가 모이니 참으로 평안하구나. |- |준예밀물 다사식녕 |- | {{더 크게|{{lang|zh|晉楚更霸 趙魏困橫}}}} |rowspan=2|진과 초가 다시 패자가 되고 조와위는 연횡으로 곤궁에 빠져 |- |진초갱패 조위곤횡 |- | {{더 크게|{{lang|zh|假途滅虢 踐土會盟}}}} |rowspan=2|진은 위계를 써 괵을 멸하고 천토에서 회맹하였고 |- |가도멸괵 천토회맹 |- | {{더 크게|{{lang|zh|何遵約法 韓弊煩刑}}}} |rowspan=2|어찌 (한고조의) 약법을 두고 한비자의 낡고 번잡한 형벌을 따를 것인가 |- |하준약법 한폐번형 |- | {{더 크게|{{lang|zh|起翦頗牧 用軍最精}}}} |rowspan=2| 백기 왕전 염파 이목은 군사를 가장 잘 다루었고 |- |기전파목 용군최정 |- | {{더 크게|{{lang|zh|宣威沙漠 馳譽丹青}}}} |rowspan=2|위엄을 사막에까지 떨치니 단청에 넣어 기리는 구나. |- |선위사막 치예단청 |- | {{더 크게|{{lang|zh|九州禹跡 百郡秦幷}}}} |rowspan=2| 하우씨가 구주를 두어 백군이 진에 병합되고 |- |구주우적 백군진병 |- | {{더 크게|{{lang|zh|嶽宗恆岱 禪主云亭}}}} |rowspan=2| 산중 으뜸은 항산과 태산이라 임금을 정하는 운정이 그곳에 있으며 |- |악종항대 선주운정 |- | {{더 크게|{{lang|zh|雁門紫塞 雞田赤城}}}} |rowspan=2| 안문관과 만리장성, 계전과 적성 |- |안문자새 계전적성 |- | {{더 크게|{{lang|zh|昆池碣石 鉅野洞庭}}}} |rowspan=2| 운남의 곤지와 부평의 갈석, 거야의 넓은 들판과 동정의 큰 호수 |- |곤지갈석 거야동정 |- | {{더 크게|{{lang|zh|曠遠緜邈 巖岫杳冥}}}} |rowspan=2|아득히 멀리 줄지어 있으니 아득하고 묘연하구나. |- |광원면막 암수묘명 |- | {{더 크게|{{lang|zh|治本於農 務茲稼穡}}}} |rowspan=2| 다스림의 근본은 농업이니 때를 맞추어 심고 거두어야 하리 |- |치본어농 무자가색 |- | {{더 크게|{{lang|zh|俶載南畝 我藝黍稷}}}} |rowspan=2|이제 남쪽 이랑을 일궈 나는 기장과 피를 가꾸어 |- |숙재남묘 아예서직 |- | {{더 크게|{{lang|zh|稅熟貢新 勸賞黜陟}}}} |rowspan=2| 익으면 세를 내고 햇곡식으로 제사를 지내 상을 권하고 (못된 자는) 내쫓으리라. |- |세숙공신 권상출척 |- | {{더 크게|{{lang|zh|孟軻敦素 史魚秉直}}}} |rowspan=2|맹자는 도타운 사람이었고 사어는 강직했으니 |- |맹가돈소 사어병직 |- | {{더 크게|{{lang|zh|庶幾中庸 勞謙謹敕}}}} |rowspan=2|중용을 으뜸으로 삼고 겸손에 힘쓰고 경계해야지 |- |서기중용 노겸근칙 |- | {{더 크게|{{lang|zh|聆音察理 鉴貌辨色}}}} |rowspan=2|들리는 소리 자세히 살피고 거울에 비치는 모양 꼼꼼히 구별하고 |- |-참고로 鉴는 鑑과 같다. |영음찰리 감모변색 |- | {{더 크게|{{lang|zh|貽厥嘉猷 勉其祗植}}}} |rowspan=2|그 아름다움이 후세에 미치도록 그 덕을 쌓기를 부지런히 하며 |- |이궐가유 면기지식 |- | {{더 크게|{{lang|zh|省躬譏誡 寵增抗極}}}} |rowspan=2|몸을 살펴 나무라고 탓할 일은 없는지 반성하고 총애가 늘면 더욱 조심하여야 한다. |- |성궁기계 총증항극 |- | {{더 크게|{{lang|zh|殆辱近恥 林皋幸即}}}} |rowspan=2| 위태로운 치욕은 부끄러운 일에 의한 것이니 수풀과 언덕에 있는 것이 도리어 다행이다. |- |태욕근치 임고행즉 |- | {{더 크게|{{lang|zh|兩疏見機 解組誰逼}}}} |rowspan=2| 양소<ref>한나라의 소광과 소수</ref> 는 기회를 보아 관복을 벗으니 누가 핍박하였으랴 |- |양소견기 해조수핍 |- | {{더 크게|{{lang|zh|索居閒處 沈默寂寥}}}} |rowspan=2|한가한 곳을 찾아 살며 고요히 살며 침묵한 채 |- |색거한처 침묵적요 |- | {{더 크게|{{lang|zh|求古尋論 散慮逍遙}}}} |rowspan=2|옛일을 두고 논장을 찾고 염려를 잊고 소요하니 |- |구고심론 산려소요 |- | {{더 크게|{{lang|zh|欣奏累遣 慼謝歡招}}}} |rowspan=2|기쁜 일은 알리고 누추한 것은 보내며 슬픈 일은 마다하고 기쁜 일을 환영하리 |- |흔주루견 척사환초 |- | {{더 크게|{{lang|zh|渠荷的歷 園莽抽條}}}} |rowspan=2|도랑에 핀 연꽃의 이력, 동산에 자란 풀 가지 |- |거하적력 원망추조 |- | {{더 크게|{{lang|zh|枇杷晚翠 梧桐早凋}}}} |rowspan=2|비파나무 만추에도 푸르른데 오동나무 일찍이 시들었고 |- |비파만취 오동조조 |- | {{더 크게|{{lang|zh|陳根委翳 落葉飄颻}}}} |rowspan=2|고목 뿌리 덮은 낙엽 바람에 날리니 |- |진근위예 낙엽표요 |- | {{더 크게|{{lang|zh|遊鵾獨運 凌摩絳霄}}}} |rowspan=2|댓닭 한 마리 홀로 해엄치며 노을진 하늘을 업수이 여기고 |- |유곤독운 능마강소 |- | {{더 크게|{{lang|zh|耽讀翫市 寓目囊箱}}}} |rowspan=2|(한나라 왕총은) 독서를 즐겨 한 번 보면 상자에 넣은 듯 (잊지 않았다지) |- |탐독완시 우목낭상 |- | {{더 크게|{{lang|zh|易輶攸畏 屬耳垣墻}}}} |rowspan=2|가벼이 경솔하게 구는 것을 두려워하는 까닭은 담장에도 귀가 있다 하기 때문 |- |역유유외 속이원장 |- | {{더 크게|{{lang|zh|具膳飡飯 適口充腸}}}} |rowspan=2|반찬이나 저녁밥이야 먹고 배를 채우면 그만인 것 |- |구선손반 적구충장 |- | {{더 크게|{{lang|zh|飽飫烹宰 飢厭糟糠}}}} |rowspan=2|배부르면 재상의 요리도 물리게 되고 배 고프면 겨 지게미로도 족하니 |- |포어팽재 기염조강 |- | {{더 크게|{{lang|zh|親戚故舊 老少異糧}}}} |rowspan=2|친척이나 옛친구 노소에 따라 음식도 다를 밖에 |- |친척고구 노소이량 |- | {{더 크게|{{lang|zh|妾御績紡 侍巾帷房}}}} |rowspan=2|아내가 길쌈하여 어른 방에 수건을 받들고 |- |첩어적방 시건유방 |- | {{더 크게|{{lang|zh|紈扇圓潔 銀燭煒煌}}}} |rowspan=2|흰 비단으로 지은 부채 둥글고 깨끗하며 은촛대 불빛 밝으니 |- |환선원결 은촉위황 |- | {{더 크게|{{lang|zh|晝眠夕寐 藍笋象床}}}} |rowspan=2|낮에 자고 저녁에 또 자려 푸른 대로 코끼리 침상을 만들지 |- |주면석매 남순상상 |- | {{더 크게|{{lang|zh|絃歌酒讌 接盃舉觴}}}} |rowspan=2|거문거를 뜯고 노래를 부르며 주연을 열고 술잔을 들어 부딛히고 |- |현가주연 접배거상 |- | {{더 크게|{{lang|zh|矯手頓足 悅豫且康}}}} |rowspan=2|손을 들고 발을 움직여 춤추며 이처럼 평안함을 즐거워하세 |- |교수돈족 열예차강 |- | {{더 크게|{{lang|zh|嫡後嗣續 祭祀烝嘗}}}} |rowspan=2| 맏이는 뒤를 이어 제사를 지내어 |- |적후사속 제사증상 |- | {{더 크게|{{lang|zh|稽顙再拜 悚懼恐惶}}}} |rowspan=2|이마를 조아려 두 번 절하여 송구하고 두려운 마음을 보여야 한다. |- |계상재배 송구공황 |- | {{더 크게|{{lang|zh|牋牒簡要 顧答審詳}}}} |rowspan=2|편지는 간략히 요지만 쓰고 답신은 자세히 살펴서 하라. |- |전첩간요 고답심상 |- | {{더 크게|{{lang|zh|骸垢想浴 執熱願涼}}}} |rowspan=2|몸에 때가 끼면 목욕할 생각이 나고 열이 차면 서늘하기를 원하게 되는 것 |- |해구상욕 집열원량 |- | {{더 크게|{{lang|zh|驢騾犢特 駭躍超驤}}}} |rowspan=2|노새며 망아지, 숫송아지가 놀라뛰며 내달리듯 |- |여라독특 해약초양 |- | {{더 크게|{{lang|zh|誅斬賊盜 捕獲叛亡}}}} |rowspan=2|적도는 잡아 죽이고 배역자는 잡아들이리 |- |주참적도 포획반망 |- | {{더 크게|{{lang|zh|布射遼丸 嵇琴阮嘯}}}} |rowspan=2|여포는 활 잘 쏘았고 의료는 돌 잘 던졌으며 혜강은 금을 잘켰고 완적은 휘파람을 잘 불었지 |- |포사료환 혜금완소 |- | {{더 크게|{{lang|zh|恬筆倫紙 鈞巧任釣}}}} |rowspan=2|붓을 만든 건 몽념 종이를 만든 건 채륜, 마륜의 교묘한 솜씨<ref>마륜은 지남차를 만들었다고 한다.</ref> 임공자의 낚시대<ref>장자에 나오는 이야기이다.</ref> |- |염필윤지 균교임조 |- | {{더 크게|{{lang|zh|釋紛利俗 竝皆佳妙}}}} |rowspan=2|이러한 재주를 세상에 푸니 모두다 뛰어나고 신기하였다. |- |석분리속 병개가묘 |- | {{더 크게|{{lang|zh|毛施淑姿 工顰妍笑}}}} |rowspan=2|오나라 모타와 월나라 서시의 자태는 찡그린 모습도 아름다워라 |- |모시숙자 공빈연소 |- | {{더 크게|{{lang|zh|年矢每催 曦暉朗耀}}}} |rowspan=2| 세월은 살같이 언제나 제촉하나 햇빛 달빛은 밝게 빛나 |- |연시매최 희휘낭요 |- | {{더 크게|{{lang|zh|璇璣懸斡 晦魄環照}}}} |rowspan=2|천문을 보는 기계 매달려 돌듯 그믐이 지나 다시 보름이 되니 |- |선기현알 회백환조 |- | {{더 크게|{{lang|zh|指薪修祜 永綏吉劭}}}} |rowspan=2|손가락에 섶불을 단 듯 수양에 전념하면 영원토록 평안하고 길하리라. |- |지신수우 영수길소 |- | {{더 크게|{{lang|zh|矩步引領 俯仰廊廟}}}} |rowspan=2|반듯하게 걸으며 옷길을 끌고 사당에 엎드려 예의를 다하고 |- |구보인령 부앙낭묘 |- | {{더 크게|{{lang|zh|束帶矜莊 徘徊瞻眺}}}} |rowspan=2|허리띠를 단단히 묶어 긍지를 갖고 여러 곳을 두루 살펴라 |- |속대긍장 배회첨조 |- | {{더 크게|{{lang|zh|孤陋寡聞 愚蒙等誚}}}} |rowspan=2|(이런 글을 쓴 나는) 고루하고 들은 것 없어 어리석단 꾸짖음을 면치 못하리 |- |고루과문 우몽등초 |- | {{더 크게|{{lang|zh|謂語助者 焉哉乎也}}}} |rowspan=2|어조사에는 언재호야가 있다. |- |위어조자 언재호야 |} ==역주 == <references/> = 라이선스 = {{번역 저작권 |원문 = {{PD-old-100}} |번역 = {{PD-자작}} }} [[분류:한시]] qqbrgyhtv792336xdsyvvdaod5v5872 392755 392751 2025-06-28T08:25:38Z 2406:5900:1001:2070:8364:B1AA:7E44:D85B 392755 wikitext text/x-wiki {{번역 머리말 |제목 = 천자문 |저자 = [[저자:주흥사|주흥사]] |역자 = [[사용자:jjw|jjw]] |부제 = |이전 = |다음 = |설명 = {{위키백과|천자문}} 천자문(千字文)은 중국 남조 양(502~549)의 주흥사가 양 무제의 명을 받아 지은 책으로, 모두 다른 한자 1000자를 사용하여 1구 4자의 사언 고시 250구로 만들었다. 한문의 입문서로 널리 쓰였다. 2010년 8월 25일 석봉 한호의 필체를 목각한 《천자문》이 대한민국 보물 제1659호로 지정되었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200px; background:#eeffee;"| 원문 !background:#eeeeff;"| 번역 |- | {{더 크게|{{lang|zh|天地玄黃 宇宙洪荒}}}} |rowspan=2|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며 우주는 넓고도 크다. |- |천지현황 우주홍황<ref>독음은 [http://handic.daum.net/dicha/view_top.do 다음한자사전] 을 따랐다. 두음법칙에 의해 독음이 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리(李)는 낱말의 앞에 올경우 이로 적었다.</ref> |- | {{더 크게|{{lang|zh|日月盈昃 辰宿列張}}}} |rowspan=2| 해와 달이 차고 기울며 별은 자리를 잡아 늘어서 있다. |- |일월영측 진수열장 |- | {{더 크게|{{lang|zh|寒來暑往 秋收冬藏}}}} |rowspan=2| 추위가 오고 더위가 가니 가을엔 거두고 겨울엔 갈무리하여 둔다. |- | 한래서왕 추수동장 |- | {{더 크게|{{lang|zh|閏餘成歲 律呂調陽}}}} |rowspan=2| 윤달을 더하여 한해를 이루고 가락을 맞추어 양기를 돋운다. |- | 윤여성세 율려조양 |- | {{더 크게|{{lang|zh|雲騰致雨 露結為霜}}}} |rowspan=2| 구름은 올라가 비가 되고 이슬은 얼어 서리가 된다. |- | 운등치우 노결위상 |- | {{더 크게|{{lang|zh|金生麗水 玉出昆岡}}}} |rowspan=2| 금은 여수에서 나고 옥은 곤강에서 난다. |- | 금생여수 옥출곤강 |- | {{더 크게|{{lang|zh|劍號巨闕 珠稱夜光}}}} |rowspan=2| 검은 일컬어 거궐이요 구슬은 일컬어 야광이라. |- | 검호거궐 주칭야광 |- | {{더 크게|{{lang|zh|果珍李柰 菜重芥薑}}}} |rowspan=2| 과일 가운데 진미는 오얏과 능금이요 채소 가운데 중요한 것은 겨자와 생강이라. |- | 과진이내 채중개강 |- | {{더 크게|{{lang|zh|海鹹河淡 鱗潛羽翔}}}} |rowspan=2| 바다는 짜고 강물은 싱거우며 비늘 달린 물고기는 물에 잠기고 깃 달린 새는 높이 난다. |- | 해함하담 인잠우상 |- | {{더 크게|{{lang|zh|龍師火帝 鳥官人皇}}}} |rowspan=2| 복희씨<ref>복희는 뱀의 몸에 사람의 얼굴을 하였다고 하며 용사는 복희의 별칭이다.</ref>, 신농씨<ref>화제 또는 염제(炎帝)는 신농씨의 별칭이다</ref>, 소호<ref>소호는 새 이름을 관직명으로 삼았다고 한다.</ref> 와 황제헌원<ref>황제는 《황제내경》과 같은 의술서의 저자로 알려져 있어 인황이란 별칭이 붙었다.</ref> |- | 용사화제 조관인황 |- | {{더 크게|{{lang|zh|始制文字 乃服衣裳}}}} |rowspan=2| 문자를 처음 짓고 옷을 지어 입혔지. |- | 시제문자 내복의상 |- | {{더 크게|{{lang|zh|推位讓國 有虞陶唐}}}} |rowspan=2| 자리를 미루며 나라를 물려주니 유우<ref>순임금의 이름이다.</ref> 와 도당<ref>우 임금의 이름이다.</ref> 이라. |- | 추위양국 유우도당 |- | {{더 크게|{{lang|zh|弔民伐罪 周發殷湯}}}} |rowspan=2| 백성을 돕고 죄를 벌하니 주나라 무왕<ref>발(發)은 주 무왕의 이름</ref> 과 은나라 탕왕이라. |- | 조민벌죄 주발은탕 |- | {{더 크게|{{lang|zh|坐朝問道 垂拱平章}}}} |rowspan=2| 조정에 앉아 도를 묻기에 두 손으로 문장을 올리니, |- | 좌조문도 수공평장 |- | {{더 크게|{{lang|zh|愛育黎首 臣伏戎羌}}}} |rowspan=2| 백성을 아끼고<ref>여수(黎首)는 검은 머리, 즉 관직이 없는 백성을 말한다.</ref> 오랑캐가 신하로 복종하게 하소서. |- | 애육여수 신복융강 |- | {{더 크게|{{lang|zh|遐邇壹體 率賓歸王}}}} |rowspan=2| 멀고 가까운 곳이 하나가 되어 임금께 이끌려 따를 것입니다. |- | 하이일체 솔빈귀왕 |- | {{더 크게|{{lang|zh|鳴鳳在樹 白駒食場}}}} |rowspan=2|봉황은 나무에 내려 울고 흰망아지 풀을 뜯으니<ref>성군이 나면 봉황이 찾아와 울고 흰망아지가 나타난다는 전설에 빗대어 태평성대를 말함</ref> |- | 명봉재수 백구식장 |- | {{더 크게|{{lang|zh|化被草木 賴及萬方}}}} |rowspan=2| 덕화가 초목까지 미치고 만방에 퍼지리. |- | 화피초목 뇌급만방 |- | {{더 크게|{{lang|zh|蓋此身髮 四大五常}}}} |rowspan=2| 몸에 털이 덮힌 것과 같이 4대5상을 지키고<ref>4대는 하늘, 땅, 도(道), 임금. 5상은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ref> |- | 개차신발 사대오상 |- | {{더 크게|{{lang|zh|恭惟鞠養 豈敢毁傷}}}} |rowspan=2| 길러준 은혜를 공경하여 감히 상처를 내지 말아야 한다. |- | 공유국양 기감훼상 |- | {{더 크게|{{lang|zh|女慕貞烈 男效才良}}}} |rowspan=2|여자는 정조를 따르고 남자는 재량을 본받아 |- | 여모정렬 남효재량 |- | {{더 크게|{{lang|zh|知過必改 得能莫忘}}}} |rowspan=2|잘못이 있으면 반드시 고치고 배운 것은 잊지 말아야 한다. |- | 지과필개 득능막망 |- | {{더 크게|{{lang|zh|罔談彼短 靡恃己長}}}} |rowspan=2| 다른이의 단점을 입에 담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너무 믿지 마라 |- | 망담피단 미시기장 |- | {{더 크게|{{lang|zh|信使可覆 器欲難量}}}} |rowspan=2| 믿었던 장점이 뒤집힐 수 있고 다른 사람 기량은 헤아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 | 신사가복 기욕난량 |- | {{더 크게|{{lang|zh|墨悲絲染 詩讚羔羊}}}} |rowspan=2| 이 때문에 묵자는 실이 물드는 것을 탄식하였고<ref>묵자 소염론</ref> 시경은 고양을 찬송하였다.<ref>시경 고양편</ref> |- | 묵비사염 시찬고양 |- | {{더 크게|{{lang|zh|景行維賢 克念作聖}}}} |rowspan=2| 바르고 어진 것을 보고 행하여 지극히 생각하면 성인이 되고 |- | 경행유현 극념작성 |- | {{더 크게|{{lang|zh|德建名立 形端表正}}}} |rowspan=2|덕을 쌓아 이름을 세우면 바른 모양이 겉으로 드러난다. |- | 덕건명립 형단표정 |- | {{더 크게|{{lang|zh|空谷傳聲 虛堂習聽}}}} |rowspan=2| 빈 골짜기에 울리는 소리처럼 또한 빈집에서 들리는 소리처럼 |- | 공곡전성 허당습청 |- | {{더 크게|{{lang|zh|禍因惡積 福緣善慶}}}} |rowspan=2| 화는 악행을 쌓은 것이 원인이요 복은 선행의 결과이다. |- | 화인악적 복연선경 |- | {{더 크게|{{lang|zh|尺璧非寶 寸陰是競}}}} |rowspan=2| 커다란 옥 구슬이<ref>여기서 벽은 완벽의 유래가 된 옥구슬을 말한다. 척(尺)과 촌(寸)은 길이의 단위이나 크고 작은 것으로 의역하였다.</ref> 보배가 아니니 작은 시간을 경주하여야 하여라. |- | 척벽비보 촌음시경 |- | {{더 크게|{{lang|zh|資父事君 曰嚴與敬}}}} |rowspan=2|부모를 모시고 임금을 섬기는 것은 엄정하면서도 정성스러워야 하는 것이니 |- | 자부사군 왈엄여경 |- | {{더 크게|{{lang|zh|孝當竭力 忠則盡命}}}} |rowspan=2| 효도는 마땅히 온 힘을 다해야 하고 충성은 목숨도 바쳐야 하는 것이다. |- | 효당갈력 충즉진명 |- | {{더 크게|{{lang|zh|臨深履薄 夙興溫凊}}}} |rowspan=2| 깊은 곳을 만나도 살얼음 지나듯 조심하고 일찍 일어나 덥고 차가운지 살피는 것(이 효도하는 마음가짐이며) |- | 임심리박 숙흥온정 |- | {{더 크게|{{lang|zh|似蘭斯馨 如松之盛}}}} |rowspan=2| 난초와 같이 향기롭고 소나무처럼 굳센 것(이 충성하는 마음가짐이다.) |- | 사란사형 여송지성 |- | {{더 크게|{{lang|zh|川流不息 淵澄取映}}}} |rowspan=2| 냇물을 쉬지 않고 흐르고 연못은 맑아 그림자를 비추듯 |- | 천류불식 연징취영 |- | {{더 크게|{{lang|zh|容止若思 言辭安定}}}} |rowspan=2| 얼굴은 생각과 같게 하고 말은 안정되게 하여야 한다. |- | 용지약사 언사안정 |- | {{더 크게|{{lang|zh|篤初誠美 愼終宜令}}}} |rowspan=2| 일을 시작할 때에 정성을 다하고 마무리 지을 때에도 신중히 하면 |- | 독초성미 신종의령 |- | {{더 크게|{{lang|zh|榮業所基 籍甚無竟}}}} |rowspan=2| 이를 바탕으로 이루는 업적이 끝없으리라. |- | 영업소기 적심무경 |- | {{더 크게|{{lang|zh|學優登仕 攝職從政}}}} |rowspan=2| 학문이 뛰어나 벼슬에 올라 직무를 맞고 정사를 돌볼 때에 |- | 학우등사 섭직종정 |- | {{더 크게|{{lang|zh|存以甘棠 去而益詠}}}} |rowspan=2| 벼슬을 맡아 팥배나무 밑에서 정사를 본 소공과 같이 청렴하면 물러날 때 칭송을 들을 것이다.<ref>감당(甘棠)은 팥배나무이다. 주나라 소공은 팥배나무 아래에서 정사를 보고 공명 정대하며 청렴하였다고 한다. 소공이 죽자 백성들이 그를 그리워하며 감당시를 읇었다. 시경 국풍편 감당</ref> |- | 존이감당 거이익영 |- | {{더 크게|{{lang|zh|樂殊貴賤 禮別尊卑}}}} |rowspan=2| 즐거움에 귀천이 없으나 예절에는 존비가 있으니 |- | 악수귀천 예별존비 |- | {{더 크게|{{lang|zh|上和下睦 夫唱婦隨}}}} |rowspan=2| 상하가 화목하고 부부가 원만하며<ref>사자성어 부창부수의 출전이다.</ref> |- | 상화하목 부창부수 |- | {{더 크게|{{lang|zh|外受傅訓 入奉母儀}}}} |rowspan=2| 밖에서는 스승의 가르침을 받고 안에서는 어머니의 뜻을 받을며 |- | 외수부훈 입봉모의 |- | {{더 크게|{{lang|zh|諸姑伯叔 猶子比兒}}}} |rowspan=2| 모든 고모 삼촌의 아이를 내 아이라 여기고 |- | 제고백숙 유자비아 |- | {{더 크게|{{lang|zh|孔懷兄弟 同氣連枝}}}} |rowspan=2| 형제는 서로 품어주니 같은 기운에서 나온 가지기 때문이고 |- | 공회형제 동기연지 |- | {{더 크게|{{lang|zh|交友投分 切磨箴規}}}} |rowspan=2| 벗을 사귈 때는 가려서 사귀고 규범을 염두에 두어 절제하여 |- | 교우투분 절마잠규 |- | {{더 크게|{{lang|zh|仁慈隱惻 造次弗離}}}} |rowspan=2| 어질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대하여 떠나지 말아야 하고 |- | 인자은측 조차불리 |- | {{더 크게|{{lang|zh|節義廉退 顛沛匪虧}}}} |rowspan=2| 절의를 지키고 청렴히 물러나 이러한 (예의가) 이지러지지 않게 하여야 한다. |- | 절의염퇴 전패비휴 |- | {{더 크게|{{lang|zh|性靜情逸 心動神疲}}}} |rowspan=2| 성정이 고요하면 심정이 편안하고 마음이 동요하면 정신이 피로하니 |- | 성정정일 심동신피 |- | {{더 크게|{{lang|zh|守眞志滿 逐物意移}}}} |rowspan=2| 참 뜻이 가득하도록 지키고 물욕을 멀리하라. |- | 수진지만 축물의이 |- | {{더 크게|{{lang|zh|堅持雅操 好爵自縻}}}} |rowspan=2| 우아하고 절개가 있으면 관작은 스스로 오게 되어 있다. |- | 견지아조 호작자미 |- | {{더 크게|{{lang|zh|都邑華夏 東西二京}}}} |rowspan=2| 화하<ref>중국의 별칭</ref> 의 도읍은 동서 2경이라 |- |도읍화하 동서이경 |- | {{더 크게|{{lang|zh|背邙面洛 浮渭據涇}}}} |rowspan=2|낙양은 북망산을 등지고 낙수를 마주하고 장안에는 위수와 경수가 흐르는 구나. |- |배망면락 부위거경 |- | {{더 크게|{{lang|zh|宮殿盤鬱 樓觀飛驚}}}} |rowspan=2|궁전은 울창한 숲에 쌓였고 누각에 올라 놀라운 경치를 보며 |- |궁전반울 누관비경 |- | {{더 크게|{{lang|zh|圖寫禽獸 畵綵仙靈}}}} |rowspan=2|날짐승 들짐승을 그리니 신선 사는 그림이로구나. |- |도사금수 화채선령 |- | {{더 크게|{{lang|zh|丙舍傍啟 甲帳對楹}}}} |rowspan=2|병사<ref>궁전 내에 있는 건물들을 뜻하는 낱말</ref> 옆을 열어 갑장<ref>동방삭이 만들었다는 장막</ref> 이 기둥을 마주하게 하고 |- | 병사방계 갑장대영 |- | {{더 크게|{{lang|zh|肆筵設席 鼓瑟吹笙}}}} |rowspan=2|자리를 마련해 연회를 열고 비파를 뜯고 생황을 부니 |- |사연설석 고슬취생 |- | {{더 크게|{{lang|zh|升階納陛 弁轉疑星}}}} |rowspan=2| 계단을 올라 납폐하는 신료들은 별인듯 번쩍이고 |- |승계납폐 변전의성 |- | {{더 크게|{{lang|zh|右通廣內 左達承明}}}} |rowspan=2| 오른쪽은 광내로 통하고 왼쪽은 승명에 닿아<ref>광내와 승명은 모두 고대 중국 궁내의 관직처</ref> |- |우통광내 좌달승명 |- | {{더 크게|{{lang|zh|既集墳典 亦聚群英}}}} |rowspan=2| 이미 분전<ref>삼황오제 시절의 법률과 의전을 뜻한다.</ref> 을 모은 곳에 영웅들이 모였도다. |- |기집분전 역취군영 |- | {{더 크게|{{lang|zh|杜稾鍾隸 漆書壁經}}}} |rowspan=2| 두고<ref>초서를 처음 썼다고 전해진다.</ref> 와 종례<ref>예서로 이름이 알려져 있다.</ref> 의 글 칠서<ref>대나무에 칠을 한 뒤 쓴 글, 종이가 없던 시절에 사용하였다.</ref> 와 벽경<ref>공자에게서 전해 왔다는 육경</ref> |- |두고종례 칠서벽경 |- | {{더 크게|{{lang|zh|府羅將相 路俠槐卿}}}} |rowspan=2|각 부에 장군과 재상이 있어 고관이 즐비하여 길이 좁다. |- |부라장상 노협괴경 |- | {{더 크게|{{lang|zh|戶封八縣 家給千兵}}}} |rowspan=2|여덟 고을을 봉지로 주고 천명의 군사로 지키게 하니<ref>한고조의 논공행상을 가리킨다.</ref> |- |호봉팔현 가급천병 |- | {{더 크게|{{lang|zh|高冠陪輦 驅轂振纓}}}} |rowspan=2|높은 관을 쓰고 수레에올라 바퀴를 구르며 갓끈을 떨치는 구나. |- |고관배련 구곡진영 |- | {{더 크게|{{lang|zh|世祿侈富 車駕肥輕}}}} |rowspan=2| 대대로 받는 녹으로 부귀를 누리며 수레는 (제물로) 무겁고 가마는 가벼우니 |- |세록치부 거가비경 |- | {{더 크게|{{lang|zh|策功茂實 勒碑刻銘}}}} |rowspan=2|끝없이 쌓은 공적 비석에 세기는 구나. |- |책공무실 늑비각명 |- | {{더 크게|{{lang|zh|磻溪伊尹 佐時阿衡}}}} |rowspan=2| 반계의 (태공망)과 (탕왕을 도운) 이윤은 때가 도와 아형의 벼슬에 올랐고 |- |반계이윤 좌시아형 |- | {{더 크게|{{lang|zh|奄宅曲阜 微旦孰營}}}} |rowspan=2| 곡부에 궁전을 지은 것은 주공 단<ref>주문왕의 아우, 노나라의 시조</ref> 이 아니면 누가할 것인가 |- |엄택곡부 미단숙영 |- | {{더 크게|{{lang|zh|桓公匡合 濟弱扶傾}}}} |rowspan=2|환공은 제후를 널리 합쳐 기울어져가는 나라를 구했지 |- |환공광합 제약부경 |- | {{더 크게|{{lang|zh|綺迴漢惠 說感武丁}}}} |rowspan=2|기리계<ref>한고조가 죽고 여희가 여씨 일족에서 황제를 즉위시키고자 하였으나 장량은 기리계의 도움으로 혜제가 즉위하도록 하였다.</ref> 가 한 혜제를 회복시키고 부열이 무정을 감동시키듯.<ref>은 나라 무정이 부열에게 감동하여 선정을 배풀었다는 고사</ref> |- |기회한혜 설감무정 |- | {{더 크게|{{lang|zh|俊乂密勿 多士寔寧}}}} |rowspan=2|준걸과 예사가 모이니 참으로 평안하구나. |- |준예밀물 다사식녕 |- | {{더 크게|{{lang|zh|晉楚更霸 趙魏困橫}}}} |rowspan=2|진과 초가 다시 패자가 되고 조와위는 연횡으로 곤궁에 빠져 |- |진초갱패 조위곤횡 |- | {{더 크게|{{lang|zh|假途滅虢 踐土會盟}}}} |rowspan=2|진은 위계를 써 괵을 멸하고 천토에서 회맹하였고 |- |가도멸괵 천토회맹 |- | {{더 크게|{{lang|zh|何遵約法 韓弊煩刑}}}} |rowspan=2|어찌 (한고조의) 약법을 두고 한비자의 낡고 번잡한 형벌을 따를 것인가 |- |하준약법 한폐번형 |- | {{더 크게|{{lang|zh|起翦頗牧 用軍最精}}}} |rowspan=2| 백기 왕전 염파 이목은 군사를 가장 잘 다루었고 |- |기전파목 용군최정 |- | {{더 크게|{{lang|zh|宣威沙漠 馳譽丹青}}}} |rowspan=2|위엄을 사막에까지 떨치니 단청에 넣어 기리는 구나. |- |선위사막 치예단청 |- | {{더 크게|{{lang|zh|九州禹跡 百郡秦幷}}}} |rowspan=2| 하우씨가 구주를 두어 백군이 진에 병합되고 |- |구주우적 백군진병 |- | {{더 크게|{{lang|zh|嶽宗恆岱 禪主云亭}}}} |rowspan=2| 산중 으뜸은 항산과 태산이라 임금을 정하는 운정이 그곳에 있으며 |- |악종항대 선주운정 |- | {{더 크게|{{lang|zh|雁門紫塞 雞田赤城}}}} |rowspan=2| 안문관과 만리장성, 계전과 적성 |- |안문자새 계전적성 |- | {{더 크게|{{lang|zh|昆池碣石 鉅野洞庭}}}} |rowspan=2| 운남의 곤지와 부평의 갈석, 거야의 넓은 들판과 동정의 큰 호수 |- |곤지갈석 거야동정 |- | {{더 크게|{{lang|zh|曠遠緜邈 巖岫杳冥}}}} |rowspan=2|아득히 멀리 줄지어 있으니 아득하고 묘연하구나. |- |광원면막 암수묘명 |- | {{더 크게|{{lang|zh|治本於農 務茲稼穡}}}} |rowspan=2| 다스림의 근본은 농업이니 때를 맞추어 심고 거두어야 하리 |- |치본어농 무자가색 |- | {{더 크게|{{lang|zh|俶載南畝 我藝黍稷}}}} |rowspan=2|이제 남쪽 이랑을 일궈 나는 기장과 피를 가꾸어 |- |숙재남묘 아예서직 |- | {{더 크게|{{lang|zh|稅熟貢新 勸賞黜陟}}}} |rowspan=2| 익으면 세를 내고 햇곡식으로 제사를 지내 상을 권하고 (못된 자는) 내쫓으리라. |- |세숙공신 권상출척 |- | {{더 크게|{{lang|zh|孟軻敦素 史魚秉直}}}} |rowspan=2|맹자는 도타운 사람이었고 사어는 강직했으니 |- |맹가돈소 사어병직 |- | {{더 크게|{{lang|zh|庶幾中庸 勞謙謹敕}}}} |rowspan=2|중용을 으뜸으로 삼고 겸손에 힘쓰고 경계해야지 |- |서기중용 노겸근칙 |- | {{더 크게|{{lang|zh|聆音察理 鉴貌辨色}}}} |rowspan=2|들리는 소리 자세히 살피고 거울에 비치는 모양 꼼꼼히 구별하고 |- |영음찰리 감모변색 |- | {{더 크게|{{lang|zh|貽厥嘉猷 勉其祗植}}}} |rowspan=2|그 아름다움이 후세에 미치도록 그 덕을 쌓기를 부지런히 하며 |- |이궐가유 면기지식 |- | {{더 크게|{{lang|zh|省躬譏誡 寵增抗極}}}} |rowspan=2|몸을 살펴 나무라고 탓할 일은 없는지 반성하고 총애가 늘면 더욱 조심하여야 한다. |- |성궁기계 총증항극 |- | {{더 크게|{{lang|zh|殆辱近恥 林皋幸即}}}} |rowspan=2| 위태로운 치욕은 부끄러운 일에 의한 것이니 수풀과 언덕에 있는 것이 도리어 다행이다. |- |태욕근치 임고행즉 |- | {{더 크게|{{lang|zh|兩疏見機 解組誰逼}}}} |rowspan=2| 양소<ref>한나라의 소광과 소수</ref> 는 기회를 보아 관복을 벗으니 누가 핍박하였으랴 |- |양소견기 해조수핍 |- | {{더 크게|{{lang|zh|索居閒處 沈默寂寥}}}} |rowspan=2|한가한 곳을 찾아 살며 고요히 살며 침묵한 채 |- |색거한처 침묵적요 |- | {{더 크게|{{lang|zh|求古尋論 散慮逍遙}}}} |rowspan=2|옛일을 두고 논장을 찾고 염려를 잊고 소요하니 |- |구고심론 산려소요 |- | {{더 크게|{{lang|zh|欣奏累遣 慼謝歡招}}}} |rowspan=2|기쁜 일은 알리고 누추한 것은 보내며 슬픈 일은 마다하고 기쁜 일을 환영하리 |- |흔주루견 척사환초 |- | {{더 크게|{{lang|zh|渠荷的歷 園莽抽條}}}} |rowspan=2|도랑에 핀 연꽃의 이력, 동산에 자란 풀 가지 |- |거하적력 원망추조 |- | {{더 크게|{{lang|zh|枇杷晚翠 梧桐早凋}}}} |rowspan=2|비파나무 만추에도 푸르른데 오동나무 일찍이 시들었고 |- |비파만취 오동조조 |- | {{더 크게|{{lang|zh|陳根委翳 落葉飄颻}}}} |rowspan=2|고목 뿌리 덮은 낙엽 바람에 날리니 |- |진근위예 낙엽표요 |- | {{더 크게|{{lang|zh|遊鵾獨運 凌摩絳霄}}}} |rowspan=2|댓닭 한 마리 홀로 해엄치며 노을진 하늘을 업수이 여기고 |- |유곤독운 능마강소 |- | {{더 크게|{{lang|zh|耽讀翫市 寓目囊箱}}}} |rowspan=2|(한나라 왕총은) 독서를 즐겨 한 번 보면 상자에 넣은 듯 (잊지 않았다지) |- |탐독완시 우목낭상 |- | {{더 크게|{{lang|zh|易輶攸畏 屬耳垣墻}}}} |rowspan=2|가벼이 경솔하게 구는 것을 두려워하는 까닭은 담장에도 귀가 있다 하기 때문 |- |역유유외 속이원장 |- | {{더 크게|{{lang|zh|具膳飡飯 適口充腸}}}} |rowspan=2|반찬이나 저녁밥이야 먹고 배를 채우면 그만인 것 |- |구선손반 적구충장 |- | {{더 크게|{{lang|zh|飽飫烹宰 飢厭糟糠}}}} |rowspan=2|배부르면 재상의 요리도 물리게 되고 배 고프면 겨 지게미로도 족하니 |- |포어팽재 기염조강 |- | {{더 크게|{{lang|zh|親戚故舊 老少異糧}}}} |rowspan=2|친척이나 옛친구 노소에 따라 음식도 다를 밖에 |- |친척고구 노소이량 |- | {{더 크게|{{lang|zh|妾御績紡 侍巾帷房}}}} |rowspan=2|아내가 길쌈하여 어른 방에 수건을 받들고 |- |첩어적방 시건유방 |- | {{더 크게|{{lang|zh|紈扇圓潔 銀燭煒煌}}}} |rowspan=2|흰 비단으로 지은 부채 둥글고 깨끗하며 은촛대 불빛 밝으니 |- |환선원결 은촉위황 |- | {{더 크게|{{lang|zh|晝眠夕寐 藍笋象床}}}} |rowspan=2|낮에 자고 저녁에 또 자려 푸른 대로 코끼리 침상을 만들지 |- |주면석매 남순상상 |- | {{더 크게|{{lang|zh|絃歌酒讌 接盃舉觴}}}} |rowspan=2|거문거를 뜯고 노래를 부르며 주연을 열고 술잔을 들어 부딛히고 |- |현가주연 접배거상 |- | {{더 크게|{{lang|zh|矯手頓足 悅豫且康}}}} |rowspan=2|손을 들고 발을 움직여 춤추며 이처럼 평안함을 즐거워하세 |- |교수돈족 열예차강 |- | {{더 크게|{{lang|zh|嫡後嗣續 祭祀烝嘗}}}} |rowspan=2| 맏이는 뒤를 이어 제사를 지내어 |- |적후사속 제사증상 |- | {{더 크게|{{lang|zh|稽顙再拜 悚懼恐惶}}}} |rowspan=2|이마를 조아려 두 번 절하여 송구하고 두려운 마음을 보여야 한다. |- |계상재배 송구공황 |- | {{더 크게|{{lang|zh|牋牒簡要 顧答審詳}}}} |rowspan=2|편지는 간략히 요지만 쓰고 답신은 자세히 살펴서 하라. |- |전첩간요 고답심상 |- | {{더 크게|{{lang|zh|骸垢想浴 執熱願涼}}}} |rowspan=2|몸에 때가 끼면 목욕할 생각이 나고 열이 차면 서늘하기를 원하게 되는 것 |- |해구상욕 집열원량 |- | {{더 크게|{{lang|zh|驢騾犢特 駭躍超驤}}}} |rowspan=2|노새며 망아지, 숫송아지가 놀라뛰며 내달리듯 |- |여라독특 해약초양 |- | {{더 크게|{{lang|zh|誅斬賊盜 捕獲叛亡}}}} |rowspan=2|적도는 잡아 죽이고 배역자는 잡아들이리 |- |주참적도 포획반망 |- | {{더 크게|{{lang|zh|布射遼丸 嵇琴阮嘯}}}} |rowspan=2|여포는 활 잘 쏘았고 의료는 돌 잘 던졌으며 혜강은 금을 잘켰고 완적은 휘파람을 잘 불었지 |- |포사료환 혜금완소 |- | {{더 크게|{{lang|zh|恬筆倫紙 鈞巧任釣}}}} |rowspan=2|붓을 만든 건 몽념 종이를 만든 건 채륜, 마륜의 교묘한 솜씨<ref>마륜은 지남차를 만들었다고 한다.</ref> 임공자의 낚시대<ref>장자에 나오는 이야기이다.</ref> |- |염필윤지 균교임조 |- | {{더 크게|{{lang|zh|釋紛利俗 竝皆佳妙}}}} |rowspan=2|이러한 재주를 세상에 푸니 모두다 뛰어나고 신기하였다. |- |석분리속 병개가묘 |- | {{더 크게|{{lang|zh|毛施淑姿 工顰妍笑}}}} |rowspan=2|오나라 모타와 월나라 서시의 자태는 찡그린 모습도 아름다워라 |- |모시숙자 공빈연소 |- | {{더 크게|{{lang|zh|年矢每催 曦暉朗耀}}}} |rowspan=2| 세월은 살같이 언제나 제촉하나 햇빛 달빛은 밝게 빛나 |- |연시매최 희휘낭요 |- | {{더 크게|{{lang|zh|璇璣懸斡 晦魄環照}}}} |rowspan=2|천문을 보는 기계 매달려 돌듯 그믐이 지나 다시 보름이 되니 |- |선기현알 회백환조 |- | {{더 크게|{{lang|zh|指薪修祜 永綏吉劭}}}} |rowspan=2|손가락에 섶불을 단 듯 수양에 전념하면 영원토록 평안하고 길하리라. |- |지신수우 영수길소 |- | {{더 크게|{{lang|zh|矩步引領 俯仰廊廟}}}} |rowspan=2|반듯하게 걸으며 옷길을 끌고 사당에 엎드려 예의를 다하고 |- |구보인령 부앙낭묘 |- | {{더 크게|{{lang|zh|束帶矜莊 徘徊瞻眺}}}} |rowspan=2|허리띠를 단단히 묶어 긍지를 갖고 여러 곳을 두루 살펴라 |- |속대긍장 배회첨조 |- | {{더 크게|{{lang|zh|孤陋寡聞 愚蒙等誚}}}} |rowspan=2|(이런 글을 쓴 나는) 고루하고 들은 것 없어 어리석단 꾸짖음을 면치 못하리 |- |고루과문 우몽등초 |- | {{더 크게|{{lang|zh|謂語助者 焉哉乎也}}}} |rowspan=2|어조사에는 언재호야가 있다. |- |위어조자 언재호야 |} ==역주 == <references/> = 라이선스 = {{번역 저작권 |원문 = {{PD-old-100}} |번역 = {{PD-자작}} }} [[분류:한시]] rvqojjbuakk7iugnhqllr60y02gwwre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5 250 32051 392735 392289 2025-06-28T06:58:12Z ZornsLemon 15531 39273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Motoko C. K."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더크게|시ᄂᆞᆯ〮 法{{*|법〮}} 아〯ᄂᆞᆫ〮 弟{{*|똉〯}}子{{*|ᄌᆞᆼ〯}}ᄃᆞᆯ〮히〮 다〯 조차〮 滅{{*|며ᇙ〮}}度{{*|똥〮}}ᄒᆞ니〮 佛{{*|뿌ᇙ〮}}法{{*|법〮}}이〮 ᄒᆞ마〮 滅{{*|며ᇙ〮}}ᄒᆞ릴〮ᄊᆡ〮 未{{*|밍〮}}來{{*|ᄅᆡᆼ}} 衆{{*|쥬ᇰ〮}}生{{*|ᄉᆡᇰ}}이〮 甚{{*|씸〮}}히〮 어〯엿버〮 智{{*|딩〮}}慧{{*|ᅘᆒᆼ〮}眼{{*|ᅌᅡᆫ〯}}ᄋᆞᆯ〮 일허〮 迷{{*|몡}}惑{{*|ᅘᅬᆨ〮}}ᄒᆞ〮야〮 어〮득〮ᄒᆞ니〮 우〮리ᄃᆞᆯ〮히〮 佛{{*|뿌ᇙ〮}}敎{{*|교ᇢ〮}}ᄅᆞᆯ〮 받ᄌᆞᄫᅡ〮 ᄡᅥ〮 法{{*|법〮}}藏{{*|짜ᇰ〮}}ᄋᆞᆯ〮 結{{*|겨ᇙ〮}}集{{*|찝〮}} 다〯 ᄒᆞ고〮 ᄠᅳᆮ〮다히〮 滅{{*|며ᇙ〮}}度{{*|똥〮}}ᄒᆞ져〮 迦{{*|강}}葉{{*|셥〮}}}}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p431218q1k8z5tt2cg05wovhnyaj7e 392736 392735 2025-06-28T06:59:36Z ZornsLemon 15531 39273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Motoko C. K."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더크게|시ᄂᆞᆯ〮 法{{*|법〮}} 아〯ᄂᆞᆫ〮 弟{{*|똉〯}}子{{*|ᄌᆞᆼ〯}}ᄃᆞᆯ〮히〮 다〯 조차〮 滅{{*|며ᇙ〮}}度{{*|똥〮}}ᄒᆞ니〮 佛{{*|뿌ᇙ〮}}法{{*|법〮}}이〮 ᄒᆞ마〮 滅{{*|며ᇙ〮}}ᄒᆞ릴〮ᄊᆡ〮 未{{*|밍〮}}來{{*|ᄅᆡᆼ}} 衆{{*|쥬ᇰ〮}}生{{*|ᄉᆡᇰ}}이〮 甚{{*|씸〮}}히〮 어〯엿버〮 智{{*|딩〮}}慧{{*|ᅘᆒᆼ〮}}眼{{*|ᅌᅡᆫ〯}}ᄋᆞᆯ〮 일허〮 迷{{*|몡}}惑{{*|ᅘᅬᆨ〮}}ᄒᆞ〮야〮 어〮득〮ᄒᆞ니〮 우〮리ᄃᆞᆯ〮히〮 佛{{*|뿌ᇙ〮}}敎{{*|교ᇢ〮}}ᄅᆞᆯ〮 받ᄌᆞᄫᅡ〮 ᄡᅥ〮 法{{*|법〮}}藏{{*|짜ᇰ〮}}ᄋᆞᆯ〮 結{{*|겨ᇙ〮}}集{{*|찝〮}} 다〯 ᄒᆞ고〮 ᄠᅳᆮ〮다히〮 滅{{*|며ᇙ〮}}度{{*|똥〮}}ᄒᆞ져〮 迦{{*|강}}葉{{*|셥〮}}}}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ft23otn93j0ziz1qb0xn2n56h3g2cc3 사용자:Aspere/common.js 2 69582 392715 392035 2025-06-28T05:37:11Z Aspere 5453 392715 javascript text/javascript // 띄어쓰기토글테스트 importScript("User:Aspere/togglespacing.js"); // CharInsert 테스트 window.charinsertCustom = { "Insert": ' Mention: {\{u|+}} {\{ping|+}}', }; //syntax highlighter // mw.loader.load('//www.mediawiki.org/w/index.php?title=MediaWiki:Gadget-DotsSyntaxHighlighter.js&action=raw&ctype=text/javascript'); // mw.loader.load('https://www.mediawiki.org/w/index.php?title=XTools/ArticleInfo.js&action=raw&ctype=text/javascript'); // Dark mode (toggle-able) // mw.loader.load( 'https://en.wikipedia.org/w/index.php?title=User:Volker_E._(WMF)/dark-mode.js&action=raw&ctype=text/javascript' ); // [[User:Volker_E._(WMF)/dark-mode.js]] //<nowiki> /* Cat-a-lot - changes category of multiple files */ mw.loader.using(['jquery.ui', 'mediawiki.util'], function(){ mw.loader.load('//commons.wikimedia.org/w/load.php?modules=ext.gadget.Cat-a-lot'); }); ////////// Cat-a-lot user preferences ////////// window.catALotPrefs = {"watchlist":"preferences","minor":true,"editpages":true,"docleanup":false,"subcatcount":10}; ////////////////////////////////////catALotEnd// //</nowiki> // "해석" 이름공간 테스트를 번역 이름공간으로 해봄 // 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js"); // 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2.js"); 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withoutlink.js"); // "해석" 이름공간 추가에 관한 테스트 // 출처: 백괴사전 (https://www.uncyclopedia.kr/wiki/%EB%AF%B8%EB%94%94%EC%96%B4%EC%9C%84%ED%82%A4:Common.js)에서 쌔벼옴 (도둑질한거 맞음) // 일반 문서에 해설 탭을, 해설 문서에 일반 문서 탭을 추가하는 함수. // 작성자: [[사용자:Cyrus H.]] / [[사용자:Peremen]] /* function doHaeseolseoThings() { var ns = mw.config.get("wgNamespaceNumber"); var t = mw.config.get("wgTitle"); var skin = mw.config.get("skin"); if(ns == 0) {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해석:"+t), "해석", "ca-go-to-haeseolseo", "이 문헌의 내용에 대한 해석", "1", '#ca-talk'); checkDocumentExistency("해석:"+wgTitle,"ca-go-to-haeseolseo"); } else if(ns == 1) {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해석:"+t), "해석", "ca-go-to-haeseolseo", "이 문헌의 내용에 대한 해석", "1", '#ca-talk'); checkDocumentExistency("해석:"+wgTitle,"ca-go-to-haeseolseo"); } else if(ns == 108) {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t), "문서", "ca-return-to-document", "본문 보기", "1", "#ca-nstab-해석");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토론:"+t), "토론", "ca-return-to-talk", "문서의 내용에 대한 토론 문서", "2", "#ca-nstab-해석"); checkDocumentExistency(wgTitle,"ca-return-to-document"); checkDocumentExistency("토론:"+wgTitle,"ca-return-to-talk"); } } $(doHaeseolseoThings); // 문서가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판단하여 탭 색을 바꾸는 함수. // 작성자: [[사용자:Cyrus H.]] / [[사용자:Peremen]] function checkDocumentExistency(documentTitle,tabId) { $.getJSON("/api.php", {action:"query", titles:documentTitle, format:"json"}, function(d) { if(d.query.pages["-1"].missing != undefined) $("#"+tabId).addClass("new"); } ); } */ // 매스무버 importScript("w:ko:User:기나ㅏㄴ/massmove.js"); //[[User:기나ㅏㄴ/massmove.js]] // 매스딜리트 //자세한 설명은 [[사용자:기나ㅏㄴ/massdelete]]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when(mw.loader.using(['mediawiki.util'], $.ready)).done( function() { mw.util.addPortletLink("p-tb", mw.config.get('wgArticlePath').replace('$1', "특수:MassDelete"), '대량 문서 삭제기' , "대량 문서 삭제" , "대량 문서 삭제"); }); if (mw.config.get('wgCanonicalNamespace')+':'+mw.config.get('wgTitle') === '특수:MassDelete' && mw.config.get('wgAction') == 'view'); mw.loader.using(['mediawiki.api', 'mediawiki.Title'], function () { "use strict"; var config = mw.config.get(['wgNamespaceNumber', 'wgTitle', 'wgUserGroups', 'skin']); function removeBlanks(arr) { var ret = []; var i, len; for (i = 0, len = arr.length; i < len; i++) { var s = arr[i]; s = s.trim(); if (s) { ret.push(s); } } return ret; } function doMassDelete()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disabled = true; var articles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Pages").value.split("\n"); articles = removeBlanks(articles); if (!articles.length) { return; } var api = new mw.Api(), wpMassDeleteReasons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value, wpMassDeleteReason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value, deleted = 0, failed = [], error = [], deferreds = [], reason = wpMassDeleteReasons == "other" ? wpMassDeleteReason : wpMassDeleteReasons + (wpMassDeleteReason ? " (" + wpMassDeleteReason + ")" : ""), onSuccess = function () { deleted++;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value = "(" + deleted + ")"; }; function makeDeleteFunc(article) { return function () { return $.Deferred(function (deferred) { var promise = api.postWithToken('csrf', { format: 'json', action: 'delete', title: article, reason: reason + " - [[사용자:기나ㅏㄴ/massdelete|massdelete]]" }); promise.done(onSuccess); promise.fail(function (code, obj) { failed.push(article); error.push(obj.error.info); }); promise.always(function () { deferred.resolve(); }); }); }; } // Make a chain of deferred objects. We chain them rather than execute them in // parallel so that we don't make 1000 simultaneous delete requests and bring the // site down. We use deferred objects rather than the promise objects returned // from the API request so that the chain continues even if some articles gave // errors. var deferred = makeDeleteFunc(articles[0])(); for (var i = 1, len = articles.length; i < len; i++) { deferred = deferred.then(makeDeleteFunc(articles[i])); } // Show the output and do cleanup once all the requests are done. $.when(deferred).then(function ()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value = "완료 (" + deleted + ")"; if (failed.length) { var $failedList = $('<ul>'); for(var x = 0; x < failed.length; x++) { // Link the titles in the "failed" array var failedTitle = mw.Title.newFromText(failed[x]); var $failedItem = $('<li>'); if (failedTitle) { $failedItem.append( $('<a>') .attr('href', failedTitle.getUrl()) .text(failed[x]) ); } else { $failedItem.text(failed[x]); } $failedItem.append(document.createTextNode(': ' + error[x])); $failedList.append($failedItem); } $('#wpMassDeleteFailedContainer') .append($('<br />')) .append($('<b>') .text('삭제 실패:') ) .append($failedList); } }); } function massdeleteform() { var bodyContent; switch (mw.config.get('skin')) { case 'modern': bodyContent = 'mw_contentholder'; break; case 'cologneblue': bodyContent = 'article'; break; case 'monobook': case 'vector': default: bodyContent = 'bodyContent'; break; } document.getElementsByTagName("h1")[0].textContent = "대량 문서 삭제기"; document.title = "대량 문서 삭제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ocument.getElementById(bodyContent).innerHTML = '<h3 id="siteSub">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h3><br /><br />' + '<form id="wpMassDelete" name="wpMassDelete">' + '<b>도구 사용 미숙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책임은 <i>전적으로 귀하</i>에게 있습니다.</b>' + '<div id="wpMassDeleteFailedContainer"></div>' + '<br /><br />' + '삭제할 문서 (한 줄에 한 문서):<br />' + '<textarea tabindex="1" accesskey="," name="wpMassDeletePages" id="wpMassDeletePages" rows="10" cols="80"></textarea>' + '<br /><br /><table style="background-color:transparent">' + '<tr><td>일반적인 이유:</td>' + '<td><select id="wpMassDeleteReasons">' + '<optgroup label="다른 이유">' + '<option value="다른 이유">다른 이유</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일반적인 삭제 기준">' + '<optgroup label="일반적인 이유">' + '<option value="재단의 [[foundation:Resolution:Licensing policy|저작권 정책]] 위반: [[틀:정치적 연설]] 및 [[틀:PD-매니페스토]]만을 사용하는 문서 정리 (변경금지 저작물에 해당, [[위키문헌:사랑방#&lcub;&lcub;정치적 연설&rcub;&rcub;의 자유로운 사용과 관련하여|관련 논의]])">그거</option>' + '<option value="충분한 출처 정보 없이 장기간 미사용 상태인 파일">충분한 출처 정보 없이 장기간 미사용 상태인 파일</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저작권|저작권 침해]]: 위키백과에 올리는 내용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BY-SA]] 라이선스에 따라 누구나 이용, 수정, 배포할 수 있는 [[자유 저작물]]이어야 합니다.">저작권 침해</option>' + '<option value="장난이나 낙서, 실수 또는 연습삼아 만들어진 문서">장난, 실수 ,연습</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광고|광고·홍보]]성 문서: [[위키백과:중립적 시각]],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 [[위키백과:이해관계의 충돌]]을 참조해 주세요">광고, 홍보</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삭제 토론|삭제 토론]] 결과에 따름">삭제 토론 결과에 따름</option>' + '<option value="잘못된 방법으로 이동된 문서">잘못된 방법으로 이동된 문서</option>' + '<option value="스팸">스팸</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일반 문서">' + '<option value="[[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문서 등재 기준]] 미달: [[위키백과:신뢰할 수 있는 출처|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합니다">등재 기준 미달</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낱말|단어의 단순한 사전적 정의]] 이상으로 발전할 수 없는 주제: [[위키낱말사전]]을 활용해 주세요">단순한 사전적 정의</option>' + '<option value="원문 자료: [[위키문헌]]을 활용해 주세요">원문 자료</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독자 연구 금지|독자 연구]] 문서: [[위키백과:확인 가능]]을 참조해 주세요">독자 연구</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차단 정책|차단]]된 상태인 사용자가 차단을 회피/우회해서 만든 문서">차단회피로 만든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넘겨주기">' + '<option value="끊긴 넘겨주기">끊긴 넘겨주기</option>' + '<option value="사용하지 않는 넘겨주기">단순한 사전적 정의</option>' + '<option value="잘못된 넘겨주기">잘못된 넘겨주기</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분류">' + '<option value="사용하지 않는 분류">사용하지 않는 분류</option>' + '<option value="이동된 분류">이동된 분류</option>' + '<option value="중복된 분류">중복된 분류</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사용자 문서">' + '<option value="본인의 사용자 문서 삭제 신청">본인의 사용자 문서 삭제 신청</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파일">' + '<option value="불필요한 로컬의 파일 설명 문서">불필요한 로컬의 파일 설명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초안">' + '<option value="1년 이상 방치된 초안 문서">1년 이상 방치된 초안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 '<optgroup label="빠른 삭제 기준">' + '<optgroup label="일반">' + '<option value="[[백:G1|G1]]: [[백:무의미한 편집|무의미한 편집]]">G1: 무의미한 편집</option>' + '<option value="[[백:G2|G2]]: 테스트 문서">G2: 테스트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3|G3]]: 명백한 문서 훼손과 노골적인 장난">G3: 명백한 문서 훼손과 노골적인 장난</option>' + '<option value="[[백:G4|G4]]: 삭제 토론을 거쳐 삭제된 문서의 재생성">G4: 삭제 토론을 거쳐 삭제된 문서의 재생성</option>' + '<option value="[[백:G5|G5]]: 추방, 또는 차단된 사용자가 만든 문서">G5: 추방, 또는 차단된 사용자가 만든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6|G6]]: 기술적 삭제">G6: 기술적 삭제</option>' + '<option value="[[백:G7|G7]]: 작성자의 삭제 요청">G7: 작성자의 삭제 요청</option>' + '<option value="[[백:G8|G8]]: 존재하지 않거나 삭제된 문서와 연결된 문서">G8: 존재하지 않거나 삭제된 문서와 연결된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9|G9]]: 공적 작업">G9: 공적 작업</option>' + '<option value="[[백:G10|G10]]: 대상에 대한 비난, 위협, 협박, 공격만을 목적으로 한 문서">G10: 대상에 대한 비난, 위협, 협박, 공격만을 목적으로 한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11|G11]]: 명백한 광고나 홍보">G11: 명백한 광고나 홍보</option>' + '<option value="[[백:G12|G12]]: 명백한 저작권 침해">G12: 명백한 저작권 침해</option>' + '<option value="[[백:G13|G13]]: 버려진 초안">G13: 버려진 초안</option>' + '<option value="[[백:G14|G14]]: 불필요한 동음이의어 문서">G14: 불필요한 동음이의어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문서">' + '<option value="[[백:A1|A1]]: 문맥 없음">A1: 문맥 없음</option>' + '<option value="[[백:A2|A2]]: 한국어가 아닌 그 외 언어로 된 문서">A2: 한국어가 아닌 그 외 언어로 된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A3|A3]]: 내용 없음">A3: 내용 없음</option>' + '<option value="[[백:A10|A10]]: 기존 주제와 중복되는 최근에 만들어진 문서">A10: 기존 주제와 중복되는 최근에 만들어진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A11|A11]]: 명백한 발명품">A11: 명백한 발명품</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Redirects">' + '<option value="[[백:R2|R2]]: 이름공간 사이의 넘겨주기">R2: 이름공간 사이의 넘겨주기</option>' + '<option value="[[백:R3|R3]]: 타당하지 않은 오타">R3: 타당하지 않은 오타</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Images and other media">' + '<option value="[[백:F1|F1]]: 중복">F1: 중복</option>' + '<option value="[[백:F2|F2]]: 손상되었거나, 누락되었거나, 내용이 없는 그림">F2: 손상되었거나, 누락되었거나, 내용이 없는 그림</option>' + '<option value="[[백:F3|F3]]: 부적절한 라이선스">F3: 부적절한 라이선스</option>' + '<option value="[[백:F4|F4]]: 라이선스 정보 부족">F4: 라이선스 정보 부족</option>' + '<option value="[[백:F5|F5]]: 사용되지 않는 비자유 저작물">F5: 사용되지 않는 비자유 저작물</option>' + '<option value="[[백:F6|F6]]: 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 누락">F6: 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 누락</option>' + '<option value="[[백:F7|F7]]: 잘못된 공정 이용 주장">F7: 잘못된 공정 이용 주장</option>' + '<option value="[[백:F8|F8]]: [[위키미디어 공용]]과 동일한 파일이 중복">F8: 위키미디어 공용과 동일한 파일이 중복</option>' + '<option value="[[백:F9|F9]]: 명백한 저작권 침해">F9: 명백한 저작권 침해</option>' + '<option value="[[백:F10|F10]]: 쓸모없는 비 미디어 자료">F10: 쓸모없는 비 미디어 자료</option>' + '<option value="[[백:F11|F11]]: 사용 허락 근거 없음">F11: 사용 허락 근거 없음</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분류">' + '<option value="[[백:C1|C1]]: 채워지지 않은 분류">C1: 채워지지 않은 분류</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사용자 문서">' + '<option value="[[백:U1|U1]]: 사용자 요청">U1: 사용자 요청</option>' + '<option value="[[백:U2|U2]]: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U2: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option>' + '<option value="[[백:U3|U3]]: 비자유 갤러리">U3: 비자유 갤러리</option>' + '<option value="[[백:U5|U5]]: 위키백과를 웹 호스팅으로 노골적 오용">U5: 위키백과를 웹 호스팅으로 노골적 오용</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틀">' + '<option value="[[백:T2|T2]]: 허위 정책">T2: 허위 정책</option>' + '<option value="[[백:T3|T3]]: 중복과 하드코드된 인스턴스">T3: 중복과 하드코드된 인스턴스</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포털">' + '<option value="[[백:P1|P1]]: 일반 문서로도 빠른 삭제 대상인 주제에 관한 포털">P1: "일반 문서로도 빠른 삭제 대상"인 주제에 관한 포털</option>' + '<option value="[[백:P2|P2]]: 포괄하는 문서가 부족한 포털">P2: 포괄하는 문서가 부족한 포털</option>' + '</optgroup>' + '</optgroup>' + '</select></td></tr>' + '<tr><td>다른/추가적인 이유:</td>' + '<td><input type="text" id="wpMassDeleteReason" name="wpMassDeleteReason" maxlength="255" /></td></tr>' + '<tr><td><input type="button" id="wpMassDeleteSubmit" name="wpMassDeleteSubmit" value="삭제" /></td>' + '</form>';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onchange = function() { var maxlength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value == "other" ? 255 : 252-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value.length); //It's 252 because of the three characters (" ()") in addition to the selected summary.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etAttribute("maxlength", maxlength);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e) { doMassDelete(); }); } if (config.wgNamespaceNumber == -1 && config.wgTitle.toLowerCase() == "massdelete" && /sysop/.test(config.wgUserGroups) ) { massdeleteform(); } }); 4qdemdb5e1m415uffln8dwu418oypv1 392716 392715 2025-06-28T05:42:40Z Aspere 5453 392716 javascript text/javascript // 띄어쓰기토글테스트 importScript("User:Aspere/togglespacing.js"); // CharInsert 테스트 window.charinsertCustom = { "문헌테스트": ' 방점: 〮 〯', ' 반복부호: 〻 々', '괄호 【 】' }; //syntax highlighter // mw.loader.load('//www.mediawiki.org/w/index.php?title=MediaWiki:Gadget-DotsSyntaxHighlighter.js&action=raw&ctype=text/javascript'); // mw.loader.load('https://www.mediawiki.org/w/index.php?title=XTools/ArticleInfo.js&action=raw&ctype=text/javascript'); // Dark mode (toggle-able) // mw.loader.load( 'https://en.wikipedia.org/w/index.php?title=User:Volker_E._(WMF)/dark-mode.js&action=raw&ctype=text/javascript' ); // [[User:Volker_E._(WMF)/dark-mode.js]] //<nowiki> /* Cat-a-lot - changes category of multiple files */ mw.loader.using(['jquery.ui', 'mediawiki.util'], function(){ mw.loader.load('//commons.wikimedia.org/w/load.php?modules=ext.gadget.Cat-a-lot'); }); ////////// Cat-a-lot user preferences ////////// window.catALotPrefs = {"watchlist":"preferences","minor":true,"editpages":true,"docleanup":false,"subcatcount":10}; ////////////////////////////////////catALotEnd// //</nowiki> // "해석" 이름공간 테스트를 번역 이름공간으로 해봄 // 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js"); // 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2.js"); 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withoutlink.js"); // "해석" 이름공간 추가에 관한 테스트 // 출처: 백괴사전 (https://www.uncyclopedia.kr/wiki/%EB%AF%B8%EB%94%94%EC%96%B4%EC%9C%84%ED%82%A4:Common.js)에서 쌔벼옴 (도둑질한거 맞음) // 일반 문서에 해설 탭을, 해설 문서에 일반 문서 탭을 추가하는 함수. // 작성자: [[사용자:Cyrus H.]] / [[사용자:Peremen]] /* function doHaeseolseoThings() { var ns = mw.config.get("wgNamespaceNumber"); var t = mw.config.get("wgTitle"); var skin = mw.config.get("skin"); if(ns == 0) {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해석:"+t), "해석", "ca-go-to-haeseolseo", "이 문헌의 내용에 대한 해석", "1", '#ca-talk'); checkDocumentExistency("해석:"+wgTitle,"ca-go-to-haeseolseo"); } else if(ns == 1) {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해석:"+t), "해석", "ca-go-to-haeseolseo", "이 문헌의 내용에 대한 해석", "1", '#ca-talk'); checkDocumentExistency("해석:"+wgTitle,"ca-go-to-haeseolseo"); } else if(ns == 108) {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t), "문서", "ca-return-to-document", "본문 보기", "1", "#ca-nstab-해석");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토론:"+t), "토론", "ca-return-to-talk", "문서의 내용에 대한 토론 문서", "2", "#ca-nstab-해석"); checkDocumentExistency(wgTitle,"ca-return-to-document"); checkDocumentExistency("토론:"+wgTitle,"ca-return-to-talk"); } } $(doHaeseolseoThings); // 문서가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판단하여 탭 색을 바꾸는 함수. // 작성자: [[사용자:Cyrus H.]] / [[사용자:Peremen]] function checkDocumentExistency(documentTitle,tabId) { $.getJSON("/api.php", {action:"query", titles:documentTitle, format:"json"}, function(d) { if(d.query.pages["-1"].missing != undefined) $("#"+tabId).addClass("new"); } ); } */ // 매스무버 importScript("w:ko:User:기나ㅏㄴ/massmove.js"); //[[User:기나ㅏㄴ/massmove.js]] // 매스딜리트 //자세한 설명은 [[사용자:기나ㅏㄴ/massdelete]]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when(mw.loader.using(['mediawiki.util'], $.ready)).done( function() { mw.util.addPortletLink("p-tb", mw.config.get('wgArticlePath').replace('$1', "특수:MassDelete"), '대량 문서 삭제기' , "대량 문서 삭제" , "대량 문서 삭제"); }); if (mw.config.get('wgCanonicalNamespace')+':'+mw.config.get('wgTitle') === '특수:MassDelete' && mw.config.get('wgAction') == 'view'); mw.loader.using(['mediawiki.api', 'mediawiki.Title'], function () { "use strict"; var config = mw.config.get(['wgNamespaceNumber', 'wgTitle', 'wgUserGroups', 'skin']); function removeBlanks(arr) { var ret = []; var i, len; for (i = 0, len = arr.length; i < len; i++) { var s = arr[i]; s = s.trim(); if (s) { ret.push(s); } } return ret; } function doMassDelete()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disabled = true; var articles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Pages").value.split("\n"); articles = removeBlanks(articles); if (!articles.length) { return; } var api = new mw.Api(), wpMassDeleteReasons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value, wpMassDeleteReason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value, deleted = 0, failed = [], error = [], deferreds = [], reason = wpMassDeleteReasons == "other" ? wpMassDeleteReason : wpMassDeleteReasons + (wpMassDeleteReason ? " (" + wpMassDeleteReason + ")" : ""), onSuccess = function () { deleted++;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value = "(" + deleted + ")"; }; function makeDeleteFunc(article) { return function () { return $.Deferred(function (deferred) { var promise = api.postWithToken('csrf', { format: 'json', action: 'delete', title: article, reason: reason + " - [[사용자:기나ㅏㄴ/massdelete|massdelete]]" }); promise.done(onSuccess); promise.fail(function (code, obj) { failed.push(article); error.push(obj.error.info); }); promise.always(function () { deferred.resolve(); }); }); }; } // Make a chain of deferred objects. We chain them rather than execute them in // parallel so that we don't make 1000 simultaneous delete requests and bring the // site down. We use deferred objects rather than the promise objects returned // from the API request so that the chain continues even if some articles gave // errors. var deferred = makeDeleteFunc(articles[0])(); for (var i = 1, len = articles.length; i < len; i++) { deferred = deferred.then(makeDeleteFunc(articles[i])); } // Show the output and do cleanup once all the requests are done. $.when(deferred).then(function ()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value = "완료 (" + deleted + ")"; if (failed.length) { var $failedList = $('<ul>'); for(var x = 0; x < failed.length; x++) { // Link the titles in the "failed" array var failedTitle = mw.Title.newFromText(failed[x]); var $failedItem = $('<li>'); if (failedTitle) { $failedItem.append( $('<a>') .attr('href', failedTitle.getUrl()) .text(failed[x]) ); } else { $failedItem.text(failed[x]); } $failedItem.append(document.createTextNode(': ' + error[x])); $failedList.append($failedItem); } $('#wpMassDeleteFailedContainer') .append($('<br />')) .append($('<b>') .text('삭제 실패:') ) .append($failedList); } }); } function massdeleteform() { var bodyContent; switch (mw.config.get('skin')) { case 'modern': bodyContent = 'mw_contentholder'; break; case 'cologneblue': bodyContent = 'article'; break; case 'monobook': case 'vector': default: bodyContent = 'bodyContent'; break; } document.getElementsByTagName("h1")[0].textContent = "대량 문서 삭제기"; document.title = "대량 문서 삭제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ocument.getElementById(bodyContent).innerHTML = '<h3 id="siteSub">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h3><br /><br />' + '<form id="wpMassDelete" name="wpMassDelete">' + '<b>도구 사용 미숙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책임은 <i>전적으로 귀하</i>에게 있습니다.</b>' + '<div id="wpMassDeleteFailedContainer"></div>' + '<br /><br />' + '삭제할 문서 (한 줄에 한 문서):<br />' + '<textarea tabindex="1" accesskey="," name="wpMassDeletePages" id="wpMassDeletePages" rows="10" cols="80"></textarea>' + '<br /><br /><table style="background-color:transparent">' + '<tr><td>일반적인 이유:</td>' + '<td><select id="wpMassDeleteReasons">' + '<optgroup label="다른 이유">' + '<option value="다른 이유">다른 이유</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일반적인 삭제 기준">' + '<optgroup label="일반적인 이유">' + '<option value="재단의 [[foundation:Resolution:Licensing policy|저작권 정책]] 위반: [[틀:정치적 연설]] 및 [[틀:PD-매니페스토]]만을 사용하는 문서 정리 (변경금지 저작물에 해당, [[위키문헌:사랑방#&lcub;&lcub;정치적 연설&rcub;&rcub;의 자유로운 사용과 관련하여|관련 논의]])">그거</option>' + '<option value="충분한 출처 정보 없이 장기간 미사용 상태인 파일">충분한 출처 정보 없이 장기간 미사용 상태인 파일</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저작권|저작권 침해]]: 위키백과에 올리는 내용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BY-SA]] 라이선스에 따라 누구나 이용, 수정, 배포할 수 있는 [[자유 저작물]]이어야 합니다.">저작권 침해</option>' + '<option value="장난이나 낙서, 실수 또는 연습삼아 만들어진 문서">장난, 실수 ,연습</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광고|광고·홍보]]성 문서: [[위키백과:중립적 시각]],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 [[위키백과:이해관계의 충돌]]을 참조해 주세요">광고, 홍보</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삭제 토론|삭제 토론]] 결과에 따름">삭제 토론 결과에 따름</option>' + '<option value="잘못된 방법으로 이동된 문서">잘못된 방법으로 이동된 문서</option>' + '<option value="스팸">스팸</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일반 문서">' + '<option value="[[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문서 등재 기준]] 미달: [[위키백과:신뢰할 수 있는 출처|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합니다">등재 기준 미달</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낱말|단어의 단순한 사전적 정의]] 이상으로 발전할 수 없는 주제: [[위키낱말사전]]을 활용해 주세요">단순한 사전적 정의</option>' + '<option value="원문 자료: [[위키문헌]]을 활용해 주세요">원문 자료</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독자 연구 금지|독자 연구]] 문서: [[위키백과:확인 가능]]을 참조해 주세요">독자 연구</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차단 정책|차단]]된 상태인 사용자가 차단을 회피/우회해서 만든 문서">차단회피로 만든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넘겨주기">' + '<option value="끊긴 넘겨주기">끊긴 넘겨주기</option>' + '<option value="사용하지 않는 넘겨주기">단순한 사전적 정의</option>' + '<option value="잘못된 넘겨주기">잘못된 넘겨주기</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분류">' + '<option value="사용하지 않는 분류">사용하지 않는 분류</option>' + '<option value="이동된 분류">이동된 분류</option>' + '<option value="중복된 분류">중복된 분류</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사용자 문서">' + '<option value="본인의 사용자 문서 삭제 신청">본인의 사용자 문서 삭제 신청</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파일">' + '<option value="불필요한 로컬의 파일 설명 문서">불필요한 로컬의 파일 설명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초안">' + '<option value="1년 이상 방치된 초안 문서">1년 이상 방치된 초안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 '<optgroup label="빠른 삭제 기준">' + '<optgroup label="일반">' + '<option value="[[백:G1|G1]]: [[백:무의미한 편집|무의미한 편집]]">G1: 무의미한 편집</option>' + '<option value="[[백:G2|G2]]: 테스트 문서">G2: 테스트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3|G3]]: 명백한 문서 훼손과 노골적인 장난">G3: 명백한 문서 훼손과 노골적인 장난</option>' + '<option value="[[백:G4|G4]]: 삭제 토론을 거쳐 삭제된 문서의 재생성">G4: 삭제 토론을 거쳐 삭제된 문서의 재생성</option>' + '<option value="[[백:G5|G5]]: 추방, 또는 차단된 사용자가 만든 문서">G5: 추방, 또는 차단된 사용자가 만든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6|G6]]: 기술적 삭제">G6: 기술적 삭제</option>' + '<option value="[[백:G7|G7]]: 작성자의 삭제 요청">G7: 작성자의 삭제 요청</option>' + '<option value="[[백:G8|G8]]: 존재하지 않거나 삭제된 문서와 연결된 문서">G8: 존재하지 않거나 삭제된 문서와 연결된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9|G9]]: 공적 작업">G9: 공적 작업</option>' + '<option value="[[백:G10|G10]]: 대상에 대한 비난, 위협, 협박, 공격만을 목적으로 한 문서">G10: 대상에 대한 비난, 위협, 협박, 공격만을 목적으로 한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11|G11]]: 명백한 광고나 홍보">G11: 명백한 광고나 홍보</option>' + '<option value="[[백:G12|G12]]: 명백한 저작권 침해">G12: 명백한 저작권 침해</option>' + '<option value="[[백:G13|G13]]: 버려진 초안">G13: 버려진 초안</option>' + '<option value="[[백:G14|G14]]: 불필요한 동음이의어 문서">G14: 불필요한 동음이의어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문서">' + '<option value="[[백:A1|A1]]: 문맥 없음">A1: 문맥 없음</option>' + '<option value="[[백:A2|A2]]: 한국어가 아닌 그 외 언어로 된 문서">A2: 한국어가 아닌 그 외 언어로 된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A3|A3]]: 내용 없음">A3: 내용 없음</option>' + '<option value="[[백:A10|A10]]: 기존 주제와 중복되는 최근에 만들어진 문서">A10: 기존 주제와 중복되는 최근에 만들어진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A11|A11]]: 명백한 발명품">A11: 명백한 발명품</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Redirects">' + '<option value="[[백:R2|R2]]: 이름공간 사이의 넘겨주기">R2: 이름공간 사이의 넘겨주기</option>' + '<option value="[[백:R3|R3]]: 타당하지 않은 오타">R3: 타당하지 않은 오타</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Images and other media">' + '<option value="[[백:F1|F1]]: 중복">F1: 중복</option>' + '<option value="[[백:F2|F2]]: 손상되었거나, 누락되었거나, 내용이 없는 그림">F2: 손상되었거나, 누락되었거나, 내용이 없는 그림</option>' + '<option value="[[백:F3|F3]]: 부적절한 라이선스">F3: 부적절한 라이선스</option>' + '<option value="[[백:F4|F4]]: 라이선스 정보 부족">F4: 라이선스 정보 부족</option>' + '<option value="[[백:F5|F5]]: 사용되지 않는 비자유 저작물">F5: 사용되지 않는 비자유 저작물</option>' + '<option value="[[백:F6|F6]]: 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 누락">F6: 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 누락</option>' + '<option value="[[백:F7|F7]]: 잘못된 공정 이용 주장">F7: 잘못된 공정 이용 주장</option>' + '<option value="[[백:F8|F8]]: [[위키미디어 공용]]과 동일한 파일이 중복">F8: 위키미디어 공용과 동일한 파일이 중복</option>' + '<option value="[[백:F9|F9]]: 명백한 저작권 침해">F9: 명백한 저작권 침해</option>' + '<option value="[[백:F10|F10]]: 쓸모없는 비 미디어 자료">F10: 쓸모없는 비 미디어 자료</option>' + '<option value="[[백:F11|F11]]: 사용 허락 근거 없음">F11: 사용 허락 근거 없음</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분류">' + '<option value="[[백:C1|C1]]: 채워지지 않은 분류">C1: 채워지지 않은 분류</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사용자 문서">' + '<option value="[[백:U1|U1]]: 사용자 요청">U1: 사용자 요청</option>' + '<option value="[[백:U2|U2]]: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U2: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option>' + '<option value="[[백:U3|U3]]: 비자유 갤러리">U3: 비자유 갤러리</option>' + '<option value="[[백:U5|U5]]: 위키백과를 웹 호스팅으로 노골적 오용">U5: 위키백과를 웹 호스팅으로 노골적 오용</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틀">' + '<option value="[[백:T2|T2]]: 허위 정책">T2: 허위 정책</option>' + '<option value="[[백:T3|T3]]: 중복과 하드코드된 인스턴스">T3: 중복과 하드코드된 인스턴스</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포털">' + '<option value="[[백:P1|P1]]: 일반 문서로도 빠른 삭제 대상인 주제에 관한 포털">P1: "일반 문서로도 빠른 삭제 대상"인 주제에 관한 포털</option>' + '<option value="[[백:P2|P2]]: 포괄하는 문서가 부족한 포털">P2: 포괄하는 문서가 부족한 포털</option>' + '</optgroup>' + '</optgroup>' + '</select></td></tr>' + '<tr><td>다른/추가적인 이유:</td>' + '<td><input type="text" id="wpMassDeleteReason" name="wpMassDeleteReason" maxlength="255" /></td></tr>' + '<tr><td><input type="button" id="wpMassDeleteSubmit" name="wpMassDeleteSubmit" value="삭제" /></td>' + '</form>';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onchange = function() { var maxlength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value == "other" ? 255 : 252-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value.length); //It's 252 because of the three characters (" ()") in addition to the selected summary.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etAttribute("maxlength", maxlength);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e) { doMassDelete(); }); } if (config.wgNamespaceNumber == -1 && config.wgTitle.toLowerCase() == "massdelete" && /sysop/.test(config.wgUserGroups) ) { massdeleteform(); } }); 9nml07m4891y9mxvdd8mtkah23ukqgn 392717 392716 2025-06-28T05:47:13Z Aspere 5453 392717 javascript text/javascript // 띄어쓰기토글테스트 importScript("User:Aspere/togglespacing.js"); // CharInsert 테스트 window.charinsertCustom = { "문헌테스트": ' 방점: 〮 〯', ' 반복부호: 〻 々', ' 괄호 【 】', }; //syntax highlighter // mw.loader.load('//www.mediawiki.org/w/index.php?title=MediaWiki:Gadget-DotsSyntaxHighlighter.js&action=raw&ctype=text/javascript'); // mw.loader.load('https://www.mediawiki.org/w/index.php?title=XTools/ArticleInfo.js&action=raw&ctype=text/javascript'); // Dark mode (toggle-able) // mw.loader.load( 'https://en.wikipedia.org/w/index.php?title=User:Volker_E._(WMF)/dark-mode.js&action=raw&ctype=text/javascript' ); // [[User:Volker_E._(WMF)/dark-mode.js]] //<nowiki> /* Cat-a-lot - changes category of multiple files */ mw.loader.using(['jquery.ui', 'mediawiki.util'], function(){ mw.loader.load('//commons.wikimedia.org/w/load.php?modules=ext.gadget.Cat-a-lot'); }); ////////// Cat-a-lot user preferences ////////// window.catALotPrefs = {"watchlist":"preferences","minor":true,"editpages":true,"docleanup":false,"subcatcount":10}; ////////////////////////////////////catALotEnd// //</nowiki> // "해석" 이름공간 테스트를 번역 이름공간으로 해봄 // 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js"); // 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2.js"); 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withoutlink.js"); // "해석" 이름공간 추가에 관한 테스트 // 출처: 백괴사전 (https://www.uncyclopedia.kr/wiki/%EB%AF%B8%EB%94%94%EC%96%B4%EC%9C%84%ED%82%A4:Common.js)에서 쌔벼옴 (도둑질한거 맞음) // 일반 문서에 해설 탭을, 해설 문서에 일반 문서 탭을 추가하는 함수. // 작성자: [[사용자:Cyrus H.]] / [[사용자:Peremen]] /* function doHaeseolseoThings() { var ns = mw.config.get("wgNamespaceNumber"); var t = mw.config.get("wgTitle"); var skin = mw.config.get("skin"); if(ns == 0) {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해석:"+t), "해석", "ca-go-to-haeseolseo", "이 문헌의 내용에 대한 해석", "1", '#ca-talk'); checkDocumentExistency("해석:"+wgTitle,"ca-go-to-haeseolseo"); } else if(ns == 1) {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해석:"+t), "해석", "ca-go-to-haeseolseo", "이 문헌의 내용에 대한 해석", "1", '#ca-talk'); checkDocumentExistency("해석:"+wgTitle,"ca-go-to-haeseolseo"); } else if(ns == 108) {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t), "문서", "ca-return-to-document", "본문 보기", "1", "#ca-nstab-해석");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토론:"+t), "토론", "ca-return-to-talk", "문서의 내용에 대한 토론 문서", "2", "#ca-nstab-해석"); checkDocumentExistency(wgTitle,"ca-return-to-document"); checkDocumentExistency("토론:"+wgTitle,"ca-return-to-talk"); } } $(doHaeseolseoThings); // 문서가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판단하여 탭 색을 바꾸는 함수. // 작성자: [[사용자:Cyrus H.]] / [[사용자:Peremen]] function checkDocumentExistency(documentTitle,tabId) { $.getJSON("/api.php", {action:"query", titles:documentTitle, format:"json"}, function(d) { if(d.query.pages["-1"].missing != undefined) $("#"+tabId).addClass("new"); } ); } */ // 매스무버 importScript("w:ko:User:기나ㅏㄴ/massmove.js"); //[[User:기나ㅏㄴ/massmove.js]] // 매스딜리트 //자세한 설명은 [[사용자:기나ㅏㄴ/massdelete]]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when(mw.loader.using(['mediawiki.util'], $.ready)).done( function() { mw.util.addPortletLink("p-tb", mw.config.get('wgArticlePath').replace('$1', "특수:MassDelete"), '대량 문서 삭제기' , "대량 문서 삭제" , "대량 문서 삭제"); }); if (mw.config.get('wgCanonicalNamespace')+':'+mw.config.get('wgTitle') === '특수:MassDelete' && mw.config.get('wgAction') == 'view'); mw.loader.using(['mediawiki.api', 'mediawiki.Title'], function () { "use strict"; var config = mw.config.get(['wgNamespaceNumber', 'wgTitle', 'wgUserGroups', 'skin']); function removeBlanks(arr) { var ret = []; var i, len; for (i = 0, len = arr.length; i < len; i++) { var s = arr[i]; s = s.trim(); if (s) { ret.push(s); } } return ret; } function doMassDelete()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disabled = true; var articles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Pages").value.split("\n"); articles = removeBlanks(articles); if (!articles.length) { return; } var api = new mw.Api(), wpMassDeleteReasons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value, wpMassDeleteReason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value, deleted = 0, failed = [], error = [], deferreds = [], reason = wpMassDeleteReasons == "other" ? wpMassDeleteReason : wpMassDeleteReasons + (wpMassDeleteReason ? " (" + wpMassDeleteReason + ")" : ""), onSuccess = function () { deleted++;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value = "(" + deleted + ")"; }; function makeDeleteFunc(article) { return function () { return $.Deferred(function (deferred) { var promise = api.postWithToken('csrf', { format: 'json', action: 'delete', title: article, reason: reason + " - [[사용자:기나ㅏㄴ/massdelete|massdelete]]" }); promise.done(onSuccess); promise.fail(function (code, obj) { failed.push(article); error.push(obj.error.info); }); promise.always(function () { deferred.resolve(); }); }); }; } // Make a chain of deferred objects. We chain them rather than execute them in // parallel so that we don't make 1000 simultaneous delete requests and bring the // site down. We use deferred objects rather than the promise objects returned // from the API request so that the chain continues even if some articles gave // errors. var deferred = makeDeleteFunc(articles[0])(); for (var i = 1, len = articles.length; i < len; i++) { deferred = deferred.then(makeDeleteFunc(articles[i])); } // Show the output and do cleanup once all the requests are done. $.when(deferred).then(function ()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value = "완료 (" + deleted + ")"; if (failed.length) { var $failedList = $('<ul>'); for(var x = 0; x < failed.length; x++) { // Link the titles in the "failed" array var failedTitle = mw.Title.newFromText(failed[x]); var $failedItem = $('<li>'); if (failedTitle) { $failedItem.append( $('<a>') .attr('href', failedTitle.getUrl()) .text(failed[x]) ); } else { $failedItem.text(failed[x]); } $failedItem.append(document.createTextNode(': ' + error[x])); $failedList.append($failedItem); } $('#wpMassDeleteFailedContainer') .append($('<br />')) .append($('<b>') .text('삭제 실패:') ) .append($failedList); } }); } function massdeleteform() { var bodyContent; switch (mw.config.get('skin')) { case 'modern': bodyContent = 'mw_contentholder'; break; case 'cologneblue': bodyContent = 'article'; break; case 'monobook': case 'vector': default: bodyContent = 'bodyContent'; break; } document.getElementsByTagName("h1")[0].textContent = "대량 문서 삭제기"; document.title = "대량 문서 삭제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ocument.getElementById(bodyContent).innerHTML = '<h3 id="siteSub">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h3><br /><br />' + '<form id="wpMassDelete" name="wpMassDelete">' + '<b>도구 사용 미숙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책임은 <i>전적으로 귀하</i>에게 있습니다.</b>' + '<div id="wpMassDeleteFailedContainer"></div>' + '<br /><br />' + '삭제할 문서 (한 줄에 한 문서):<br />' + '<textarea tabindex="1" accesskey="," name="wpMassDeletePages" id="wpMassDeletePages" rows="10" cols="80"></textarea>' + '<br /><br /><table style="background-color:transparent">' + '<tr><td>일반적인 이유:</td>' + '<td><select id="wpMassDeleteReasons">' + '<optgroup label="다른 이유">' + '<option value="다른 이유">다른 이유</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일반적인 삭제 기준">' + '<optgroup label="일반적인 이유">' + '<option value="재단의 [[foundation:Resolution:Licensing policy|저작권 정책]] 위반: [[틀:정치적 연설]] 및 [[틀:PD-매니페스토]]만을 사용하는 문서 정리 (변경금지 저작물에 해당, [[위키문헌:사랑방#&lcub;&lcub;정치적 연설&rcub;&rcub;의 자유로운 사용과 관련하여|관련 논의]])">그거</option>' + '<option value="충분한 출처 정보 없이 장기간 미사용 상태인 파일">충분한 출처 정보 없이 장기간 미사용 상태인 파일</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저작권|저작권 침해]]: 위키백과에 올리는 내용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BY-SA]] 라이선스에 따라 누구나 이용, 수정, 배포할 수 있는 [[자유 저작물]]이어야 합니다.">저작권 침해</option>' + '<option value="장난이나 낙서, 실수 또는 연습삼아 만들어진 문서">장난, 실수 ,연습</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광고|광고·홍보]]성 문서: [[위키백과:중립적 시각]],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 [[위키백과:이해관계의 충돌]]을 참조해 주세요">광고, 홍보</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삭제 토론|삭제 토론]] 결과에 따름">삭제 토론 결과에 따름</option>' + '<option value="잘못된 방법으로 이동된 문서">잘못된 방법으로 이동된 문서</option>' + '<option value="스팸">스팸</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일반 문서">' + '<option value="[[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문서 등재 기준]] 미달: [[위키백과:신뢰할 수 있는 출처|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합니다">등재 기준 미달</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낱말|단어의 단순한 사전적 정의]] 이상으로 발전할 수 없는 주제: [[위키낱말사전]]을 활용해 주세요">단순한 사전적 정의</option>' + '<option value="원문 자료: [[위키문헌]]을 활용해 주세요">원문 자료</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독자 연구 금지|독자 연구]] 문서: [[위키백과:확인 가능]]을 참조해 주세요">독자 연구</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차단 정책|차단]]된 상태인 사용자가 차단을 회피/우회해서 만든 문서">차단회피로 만든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넘겨주기">' + '<option value="끊긴 넘겨주기">끊긴 넘겨주기</option>' + '<option value="사용하지 않는 넘겨주기">단순한 사전적 정의</option>' + '<option value="잘못된 넘겨주기">잘못된 넘겨주기</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분류">' + '<option value="사용하지 않는 분류">사용하지 않는 분류</option>' + '<option value="이동된 분류">이동된 분류</option>' + '<option value="중복된 분류">중복된 분류</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사용자 문서">' + '<option value="본인의 사용자 문서 삭제 신청">본인의 사용자 문서 삭제 신청</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파일">' + '<option value="불필요한 로컬의 파일 설명 문서">불필요한 로컬의 파일 설명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초안">' + '<option value="1년 이상 방치된 초안 문서">1년 이상 방치된 초안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 '<optgroup label="빠른 삭제 기준">' + '<optgroup label="일반">' + '<option value="[[백:G1|G1]]: [[백:무의미한 편집|무의미한 편집]]">G1: 무의미한 편집</option>' + '<option value="[[백:G2|G2]]: 테스트 문서">G2: 테스트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3|G3]]: 명백한 문서 훼손과 노골적인 장난">G3: 명백한 문서 훼손과 노골적인 장난</option>' + '<option value="[[백:G4|G4]]: 삭제 토론을 거쳐 삭제된 문서의 재생성">G4: 삭제 토론을 거쳐 삭제된 문서의 재생성</option>' + '<option value="[[백:G5|G5]]: 추방, 또는 차단된 사용자가 만든 문서">G5: 추방, 또는 차단된 사용자가 만든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6|G6]]: 기술적 삭제">G6: 기술적 삭제</option>' + '<option value="[[백:G7|G7]]: 작성자의 삭제 요청">G7: 작성자의 삭제 요청</option>' + '<option value="[[백:G8|G8]]: 존재하지 않거나 삭제된 문서와 연결된 문서">G8: 존재하지 않거나 삭제된 문서와 연결된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9|G9]]: 공적 작업">G9: 공적 작업</option>' + '<option value="[[백:G10|G10]]: 대상에 대한 비난, 위협, 협박, 공격만을 목적으로 한 문서">G10: 대상에 대한 비난, 위협, 협박, 공격만을 목적으로 한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11|G11]]: 명백한 광고나 홍보">G11: 명백한 광고나 홍보</option>' + '<option value="[[백:G12|G12]]: 명백한 저작권 침해">G12: 명백한 저작권 침해</option>' + '<option value="[[백:G13|G13]]: 버려진 초안">G13: 버려진 초안</option>' + '<option value="[[백:G14|G14]]: 불필요한 동음이의어 문서">G14: 불필요한 동음이의어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문서">' + '<option value="[[백:A1|A1]]: 문맥 없음">A1: 문맥 없음</option>' + '<option value="[[백:A2|A2]]: 한국어가 아닌 그 외 언어로 된 문서">A2: 한국어가 아닌 그 외 언어로 된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A3|A3]]: 내용 없음">A3: 내용 없음</option>' + '<option value="[[백:A10|A10]]: 기존 주제와 중복되는 최근에 만들어진 문서">A10: 기존 주제와 중복되는 최근에 만들어진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A11|A11]]: 명백한 발명품">A11: 명백한 발명품</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Redirects">' + '<option value="[[백:R2|R2]]: 이름공간 사이의 넘겨주기">R2: 이름공간 사이의 넘겨주기</option>' + '<option value="[[백:R3|R3]]: 타당하지 않은 오타">R3: 타당하지 않은 오타</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Images and other media">' + '<option value="[[백:F1|F1]]: 중복">F1: 중복</option>' + '<option value="[[백:F2|F2]]: 손상되었거나, 누락되었거나, 내용이 없는 그림">F2: 손상되었거나, 누락되었거나, 내용이 없는 그림</option>' + '<option value="[[백:F3|F3]]: 부적절한 라이선스">F3: 부적절한 라이선스</option>' + '<option value="[[백:F4|F4]]: 라이선스 정보 부족">F4: 라이선스 정보 부족</option>' + '<option value="[[백:F5|F5]]: 사용되지 않는 비자유 저작물">F5: 사용되지 않는 비자유 저작물</option>' + '<option value="[[백:F6|F6]]: 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 누락">F6: 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 누락</option>' + '<option value="[[백:F7|F7]]: 잘못된 공정 이용 주장">F7: 잘못된 공정 이용 주장</option>' + '<option value="[[백:F8|F8]]: [[위키미디어 공용]]과 동일한 파일이 중복">F8: 위키미디어 공용과 동일한 파일이 중복</option>' + '<option value="[[백:F9|F9]]: 명백한 저작권 침해">F9: 명백한 저작권 침해</option>' + '<option value="[[백:F10|F10]]: 쓸모없는 비 미디어 자료">F10: 쓸모없는 비 미디어 자료</option>' + '<option value="[[백:F11|F11]]: 사용 허락 근거 없음">F11: 사용 허락 근거 없음</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분류">' + '<option value="[[백:C1|C1]]: 채워지지 않은 분류">C1: 채워지지 않은 분류</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사용자 문서">' + '<option value="[[백:U1|U1]]: 사용자 요청">U1: 사용자 요청</option>' + '<option value="[[백:U2|U2]]: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U2: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option>' + '<option value="[[백:U3|U3]]: 비자유 갤러리">U3: 비자유 갤러리</option>' + '<option value="[[백:U5|U5]]: 위키백과를 웹 호스팅으로 노골적 오용">U5: 위키백과를 웹 호스팅으로 노골적 오용</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틀">' + '<option value="[[백:T2|T2]]: 허위 정책">T2: 허위 정책</option>' + '<option value="[[백:T3|T3]]: 중복과 하드코드된 인스턴스">T3: 중복과 하드코드된 인스턴스</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포털">' + '<option value="[[백:P1|P1]]: 일반 문서로도 빠른 삭제 대상인 주제에 관한 포털">P1: "일반 문서로도 빠른 삭제 대상"인 주제에 관한 포털</option>' + '<option value="[[백:P2|P2]]: 포괄하는 문서가 부족한 포털">P2: 포괄하는 문서가 부족한 포털</option>' + '</optgroup>' + '</optgroup>' + '</select></td></tr>' + '<tr><td>다른/추가적인 이유:</td>' + '<td><input type="text" id="wpMassDeleteReason" name="wpMassDeleteReason" maxlength="255" /></td></tr>' + '<tr><td><input type="button" id="wpMassDeleteSubmit" name="wpMassDeleteSubmit" value="삭제" /></td>' + '</form>';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onchange = function() { var maxlength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value == "other" ? 255 : 252-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value.length); //It's 252 because of the three characters (" ()") in addition to the selected summary.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etAttribute("maxlength", maxlength);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e) { doMassDelete(); }); } if (config.wgNamespaceNumber == -1 && config.wgTitle.toLowerCase() == "massdelete" && /sysop/.test(config.wgUserGroups) ) { massdeleteform(); } }); 3zn27nzkz82icva90qccyewpz5cw0sp 392718 392717 2025-06-28T05:48:37Z Aspere 5453 392718 javascript text/javascript // 띄어쓰기토글테스트 importScript("User:Aspere/togglespacing.js"); // CharInsert 테스트 window.charinsertCustom = { "옛한글": '〮 〯 〻 々【 】', }; //syntax highlighter // mw.loader.load('//www.mediawiki.org/w/index.php?title=MediaWiki:Gadget-DotsSyntaxHighlighter.js&action=raw&ctype=text/javascript'); // mw.loader.load('https://www.mediawiki.org/w/index.php?title=XTools/ArticleInfo.js&action=raw&ctype=text/javascript'); // Dark mode (toggle-able) // mw.loader.load( 'https://en.wikipedia.org/w/index.php?title=User:Volker_E._(WMF)/dark-mode.js&action=raw&ctype=text/javascript' ); // [[User:Volker_E._(WMF)/dark-mode.js]] //<nowiki> /* Cat-a-lot - changes category of multiple files */ mw.loader.using(['jquery.ui', 'mediawiki.util'], function(){ mw.loader.load('//commons.wikimedia.org/w/load.php?modules=ext.gadget.Cat-a-lot'); }); ////////// Cat-a-lot user preferences ////////// window.catALotPrefs = {"watchlist":"preferences","minor":true,"editpages":true,"docleanup":false,"subcatcount":10}; ////////////////////////////////////catALotEnd// //</nowiki> // "해석" 이름공간 테스트를 번역 이름공간으로 해봄 // 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js"); // 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2.js"); 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withoutlink.js"); // "해석" 이름공간 추가에 관한 테스트 // 출처: 백괴사전 (https://www.uncyclopedia.kr/wiki/%EB%AF%B8%EB%94%94%EC%96%B4%EC%9C%84%ED%82%A4:Common.js)에서 쌔벼옴 (도둑질한거 맞음) // 일반 문서에 해설 탭을, 해설 문서에 일반 문서 탭을 추가하는 함수. // 작성자: [[사용자:Cyrus H.]] / [[사용자:Peremen]] /* function doHaeseolseoThings() { var ns = mw.config.get("wgNamespaceNumber"); var t = mw.config.get("wgTitle"); var skin = mw.config.get("skin"); if(ns == 0) {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해석:"+t), "해석", "ca-go-to-haeseolseo", "이 문헌의 내용에 대한 해석", "1", '#ca-talk'); checkDocumentExistency("해석:"+wgTitle,"ca-go-to-haeseolseo"); } else if(ns == 1) {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해석:"+t), "해석", "ca-go-to-haeseolseo", "이 문헌의 내용에 대한 해석", "1", '#ca-talk'); checkDocumentExistency("해석:"+wgTitle,"ca-go-to-haeseolseo"); } else if(ns == 108) {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t), "문서", "ca-return-to-document", "본문 보기", "1", "#ca-nstab-해석");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토론:"+t), "토론", "ca-return-to-talk", "문서의 내용에 대한 토론 문서", "2", "#ca-nstab-해석"); checkDocumentExistency(wgTitle,"ca-return-to-document"); checkDocumentExistency("토론:"+wgTitle,"ca-return-to-talk"); } } $(doHaeseolseoThings); // 문서가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판단하여 탭 색을 바꾸는 함수. // 작성자: [[사용자:Cyrus H.]] / [[사용자:Peremen]] function checkDocumentExistency(documentTitle,tabId) { $.getJSON("/api.php", {action:"query", titles:documentTitle, format:"json"}, function(d) { if(d.query.pages["-1"].missing != undefined) $("#"+tabId).addClass("new"); } ); } */ // 매스무버 importScript("w:ko:User:기나ㅏㄴ/massmove.js"); //[[User:기나ㅏㄴ/massmove.js]] // 매스딜리트 //자세한 설명은 [[사용자:기나ㅏㄴ/massdelete]]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when(mw.loader.using(['mediawiki.util'], $.ready)).done( function() { mw.util.addPortletLink("p-tb", mw.config.get('wgArticlePath').replace('$1', "특수:MassDelete"), '대량 문서 삭제기' , "대량 문서 삭제" , "대량 문서 삭제"); }); if (mw.config.get('wgCanonicalNamespace')+':'+mw.config.get('wgTitle') === '특수:MassDelete' && mw.config.get('wgAction') == 'view'); mw.loader.using(['mediawiki.api', 'mediawiki.Title'], function () { "use strict"; var config = mw.config.get(['wgNamespaceNumber', 'wgTitle', 'wgUserGroups', 'skin']); function removeBlanks(arr) { var ret = []; var i, len; for (i = 0, len = arr.length; i < len; i++) { var s = arr[i]; s = s.trim(); if (s) { ret.push(s); } } return ret; } function doMassDelete()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disabled = true; var articles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Pages").value.split("\n"); articles = removeBlanks(articles); if (!articles.length) { return; } var api = new mw.Api(), wpMassDeleteReasons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value, wpMassDeleteReason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value, deleted = 0, failed = [], error = [], deferreds = [], reason = wpMassDeleteReasons == "other" ? wpMassDeleteReason : wpMassDeleteReasons + (wpMassDeleteReason ? " (" + wpMassDeleteReason + ")" : ""), onSuccess = function () { deleted++;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value = "(" + deleted + ")"; }; function makeDeleteFunc(article) { return function () { return $.Deferred(function (deferred) { var promise = api.postWithToken('csrf', { format: 'json', action: 'delete', title: article, reason: reason + " - [[사용자:기나ㅏㄴ/massdelete|massdelete]]" }); promise.done(onSuccess); promise.fail(function (code, obj) { failed.push(article); error.push(obj.error.info); }); promise.always(function () { deferred.resolve(); }); }); }; } // Make a chain of deferred objects. We chain them rather than execute them in // parallel so that we don't make 1000 simultaneous delete requests and bring the // site down. We use deferred objects rather than the promise objects returned // from the API request so that the chain continues even if some articles gave // errors. var deferred = makeDeleteFunc(articles[0])(); for (var i = 1, len = articles.length; i < len; i++) { deferred = deferred.then(makeDeleteFunc(articles[i])); } // Show the output and do cleanup once all the requests are done. $.when(deferred).then(function ()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value = "완료 (" + deleted + ")"; if (failed.length) { var $failedList = $('<ul>'); for(var x = 0; x < failed.length; x++) { // Link the titles in the "failed" array var failedTitle = mw.Title.newFromText(failed[x]); var $failedItem = $('<li>'); if (failedTitle) { $failedItem.append( $('<a>') .attr('href', failedTitle.getUrl()) .text(failed[x]) ); } else { $failedItem.text(failed[x]); } $failedItem.append(document.createTextNode(': ' + error[x])); $failedList.append($failedItem); } $('#wpMassDeleteFailedContainer') .append($('<br />')) .append($('<b>') .text('삭제 실패:') ) .append($failedList); } }); } function massdeleteform() { var bodyContent; switch (mw.config.get('skin')) { case 'modern': bodyContent = 'mw_contentholder'; break; case 'cologneblue': bodyContent = 'article'; break; case 'monobook': case 'vector': default: bodyContent = 'bodyContent'; break; } document.getElementsByTagName("h1")[0].textContent = "대량 문서 삭제기"; document.title = "대량 문서 삭제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ocument.getElementById(bodyContent).innerHTML = '<h3 id="siteSub">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h3><br /><br />' + '<form id="wpMassDelete" name="wpMassDelete">' + '<b>도구 사용 미숙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책임은 <i>전적으로 귀하</i>에게 있습니다.</b>' + '<div id="wpMassDeleteFailedContainer"></div>' + '<br /><br />' + '삭제할 문서 (한 줄에 한 문서):<br />' + '<textarea tabindex="1" accesskey="," name="wpMassDeletePages" id="wpMassDeletePages" rows="10" cols="80"></textarea>' + '<br /><br /><table style="background-color:transparent">' + '<tr><td>일반적인 이유:</td>' + '<td><select id="wpMassDeleteReasons">' + '<optgroup label="다른 이유">' + '<option value="다른 이유">다른 이유</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일반적인 삭제 기준">' + '<optgroup label="일반적인 이유">' + '<option value="재단의 [[foundation:Resolution:Licensing policy|저작권 정책]] 위반: [[틀:정치적 연설]] 및 [[틀:PD-매니페스토]]만을 사용하는 문서 정리 (변경금지 저작물에 해당, [[위키문헌:사랑방#&lcub;&lcub;정치적 연설&rcub;&rcub;의 자유로운 사용과 관련하여|관련 논의]])">그거</option>' + '<option value="충분한 출처 정보 없이 장기간 미사용 상태인 파일">충분한 출처 정보 없이 장기간 미사용 상태인 파일</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저작권|저작권 침해]]: 위키백과에 올리는 내용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BY-SA]] 라이선스에 따라 누구나 이용, 수정, 배포할 수 있는 [[자유 저작물]]이어야 합니다.">저작권 침해</option>' + '<option value="장난이나 낙서, 실수 또는 연습삼아 만들어진 문서">장난, 실수 ,연습</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광고|광고·홍보]]성 문서: [[위키백과:중립적 시각]],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 [[위키백과:이해관계의 충돌]]을 참조해 주세요">광고, 홍보</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삭제 토론|삭제 토론]] 결과에 따름">삭제 토론 결과에 따름</option>' + '<option value="잘못된 방법으로 이동된 문서">잘못된 방법으로 이동된 문서</option>' + '<option value="스팸">스팸</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일반 문서">' + '<option value="[[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문서 등재 기준]] 미달: [[위키백과:신뢰할 수 있는 출처|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합니다">등재 기준 미달</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낱말|단어의 단순한 사전적 정의]] 이상으로 발전할 수 없는 주제: [[위키낱말사전]]을 활용해 주세요">단순한 사전적 정의</option>' + '<option value="원문 자료: [[위키문헌]]을 활용해 주세요">원문 자료</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독자 연구 금지|독자 연구]] 문서: [[위키백과:확인 가능]]을 참조해 주세요">독자 연구</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차단 정책|차단]]된 상태인 사용자가 차단을 회피/우회해서 만든 문서">차단회피로 만든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넘겨주기">' + '<option value="끊긴 넘겨주기">끊긴 넘겨주기</option>' + '<option value="사용하지 않는 넘겨주기">단순한 사전적 정의</option>' + '<option value="잘못된 넘겨주기">잘못된 넘겨주기</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분류">' + '<option value="사용하지 않는 분류">사용하지 않는 분류</option>' + '<option value="이동된 분류">이동된 분류</option>' + '<option value="중복된 분류">중복된 분류</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사용자 문서">' + '<option value="본인의 사용자 문서 삭제 신청">본인의 사용자 문서 삭제 신청</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파일">' + '<option value="불필요한 로컬의 파일 설명 문서">불필요한 로컬의 파일 설명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초안">' + '<option value="1년 이상 방치된 초안 문서">1년 이상 방치된 초안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 '<optgroup label="빠른 삭제 기준">' + '<optgroup label="일반">' + '<option value="[[백:G1|G1]]: [[백:무의미한 편집|무의미한 편집]]">G1: 무의미한 편집</option>' + '<option value="[[백:G2|G2]]: 테스트 문서">G2: 테스트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3|G3]]: 명백한 문서 훼손과 노골적인 장난">G3: 명백한 문서 훼손과 노골적인 장난</option>' + '<option value="[[백:G4|G4]]: 삭제 토론을 거쳐 삭제된 문서의 재생성">G4: 삭제 토론을 거쳐 삭제된 문서의 재생성</option>' + '<option value="[[백:G5|G5]]: 추방, 또는 차단된 사용자가 만든 문서">G5: 추방, 또는 차단된 사용자가 만든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6|G6]]: 기술적 삭제">G6: 기술적 삭제</option>' + '<option value="[[백:G7|G7]]: 작성자의 삭제 요청">G7: 작성자의 삭제 요청</option>' + '<option value="[[백:G8|G8]]: 존재하지 않거나 삭제된 문서와 연결된 문서">G8: 존재하지 않거나 삭제된 문서와 연결된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9|G9]]: 공적 작업">G9: 공적 작업</option>' + '<option value="[[백:G10|G10]]: 대상에 대한 비난, 위협, 협박, 공격만을 목적으로 한 문서">G10: 대상에 대한 비난, 위협, 협박, 공격만을 목적으로 한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11|G11]]: 명백한 광고나 홍보">G11: 명백한 광고나 홍보</option>' + '<option value="[[백:G12|G12]]: 명백한 저작권 침해">G12: 명백한 저작권 침해</option>' + '<option value="[[백:G13|G13]]: 버려진 초안">G13: 버려진 초안</option>' + '<option value="[[백:G14|G14]]: 불필요한 동음이의어 문서">G14: 불필요한 동음이의어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문서">' + '<option value="[[백:A1|A1]]: 문맥 없음">A1: 문맥 없음</option>' + '<option value="[[백:A2|A2]]: 한국어가 아닌 그 외 언어로 된 문서">A2: 한국어가 아닌 그 외 언어로 된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A3|A3]]: 내용 없음">A3: 내용 없음</option>' + '<option value="[[백:A10|A10]]: 기존 주제와 중복되는 최근에 만들어진 문서">A10: 기존 주제와 중복되는 최근에 만들어진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A11|A11]]: 명백한 발명품">A11: 명백한 발명품</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Redirects">' + '<option value="[[백:R2|R2]]: 이름공간 사이의 넘겨주기">R2: 이름공간 사이의 넘겨주기</option>' + '<option value="[[백:R3|R3]]: 타당하지 않은 오타">R3: 타당하지 않은 오타</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Images and other media">' + '<option value="[[백:F1|F1]]: 중복">F1: 중복</option>' + '<option value="[[백:F2|F2]]: 손상되었거나, 누락되었거나, 내용이 없는 그림">F2: 손상되었거나, 누락되었거나, 내용이 없는 그림</option>' + '<option value="[[백:F3|F3]]: 부적절한 라이선스">F3: 부적절한 라이선스</option>' + '<option value="[[백:F4|F4]]: 라이선스 정보 부족">F4: 라이선스 정보 부족</option>' + '<option value="[[백:F5|F5]]: 사용되지 않는 비자유 저작물">F5: 사용되지 않는 비자유 저작물</option>' + '<option value="[[백:F6|F6]]: 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 누락">F6: 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 누락</option>' + '<option value="[[백:F7|F7]]: 잘못된 공정 이용 주장">F7: 잘못된 공정 이용 주장</option>' + '<option value="[[백:F8|F8]]: [[위키미디어 공용]]과 동일한 파일이 중복">F8: 위키미디어 공용과 동일한 파일이 중복</option>' + '<option value="[[백:F9|F9]]: 명백한 저작권 침해">F9: 명백한 저작권 침해</option>' + '<option value="[[백:F10|F10]]: 쓸모없는 비 미디어 자료">F10: 쓸모없는 비 미디어 자료</option>' + '<option value="[[백:F11|F11]]: 사용 허락 근거 없음">F11: 사용 허락 근거 없음</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분류">' + '<option value="[[백:C1|C1]]: 채워지지 않은 분류">C1: 채워지지 않은 분류</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사용자 문서">' + '<option value="[[백:U1|U1]]: 사용자 요청">U1: 사용자 요청</option>' + '<option value="[[백:U2|U2]]: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U2: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option>' + '<option value="[[백:U3|U3]]: 비자유 갤러리">U3: 비자유 갤러리</option>' + '<option value="[[백:U5|U5]]: 위키백과를 웹 호스팅으로 노골적 오용">U5: 위키백과를 웹 호스팅으로 노골적 오용</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틀">' + '<option value="[[백:T2|T2]]: 허위 정책">T2: 허위 정책</option>' + '<option value="[[백:T3|T3]]: 중복과 하드코드된 인스턴스">T3: 중복과 하드코드된 인스턴스</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포털">' + '<option value="[[백:P1|P1]]: 일반 문서로도 빠른 삭제 대상인 주제에 관한 포털">P1: "일반 문서로도 빠른 삭제 대상"인 주제에 관한 포털</option>' + '<option value="[[백:P2|P2]]: 포괄하는 문서가 부족한 포털">P2: 포괄하는 문서가 부족한 포털</option>' + '</optgroup>' + '</optgroup>' + '</select></td></tr>' + '<tr><td>다른/추가적인 이유:</td>' + '<td><input type="text" id="wpMassDeleteReason" name="wpMassDeleteReason" maxlength="255" /></td></tr>' + '<tr><td><input type="button" id="wpMassDeleteSubmit" name="wpMassDeleteSubmit" value="삭제" /></td>' + '</form>';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onchange = function() { var maxlength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value == "other" ? 255 : 252-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value.length); //It's 252 because of the three characters (" ()") in addition to the selected summary.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etAttribute("maxlength", maxlength);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e) { doMassDelete(); }); } if (config.wgNamespaceNumber == -1 && config.wgTitle.toLowerCase() == "massdelete" && /sysop/.test(config.wgUserGroups) ) { massdeleteform(); } }); 0d2wenq91lwrzxg61qni2rq1t09sm7t 392719 392718 2025-06-28T05:49:44Z Aspere 5453 392719 javascript text/javascript // 띄어쓰기토글테스트 importScript("User:Aspere/togglespacing.js"); // CharInsert 테스트 window.charinsertCustom = { "옛한글": ' 〮 〯 〻 々 【 】', }; //syntax highlighter // mw.loader.load('//www.mediawiki.org/w/index.php?title=MediaWiki:Gadget-DotsSyntaxHighlighter.js&action=raw&ctype=text/javascript'); // mw.loader.load('https://www.mediawiki.org/w/index.php?title=XTools/ArticleInfo.js&action=raw&ctype=text/javascript'); // Dark mode (toggle-able) // mw.loader.load( 'https://en.wikipedia.org/w/index.php?title=User:Volker_E._(WMF)/dark-mode.js&action=raw&ctype=text/javascript' ); // [[User:Volker_E._(WMF)/dark-mode.js]] //<nowiki> /* Cat-a-lot - changes category of multiple files */ mw.loader.using(['jquery.ui', 'mediawiki.util'], function(){ mw.loader.load('//commons.wikimedia.org/w/load.php?modules=ext.gadget.Cat-a-lot'); }); ////////// Cat-a-lot user preferences ////////// window.catALotPrefs = {"watchlist":"preferences","minor":true,"editpages":true,"docleanup":false,"subcatcount":10}; ////////////////////////////////////catALotEnd// //</nowiki> // "해석" 이름공간 테스트를 번역 이름공간으로 해봄 // 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js"); // 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2.js"); 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withoutlink.js"); // "해석" 이름공간 추가에 관한 테스트 // 출처: 백괴사전 (https://www.uncyclopedia.kr/wiki/%EB%AF%B8%EB%94%94%EC%96%B4%EC%9C%84%ED%82%A4:Common.js)에서 쌔벼옴 (도둑질한거 맞음) // 일반 문서에 해설 탭을, 해설 문서에 일반 문서 탭을 추가하는 함수. // 작성자: [[사용자:Cyrus H.]] / [[사용자:Peremen]] /* function doHaeseolseoThings() { var ns = mw.config.get("wgNamespaceNumber"); var t = mw.config.get("wgTitle"); var skin = mw.config.get("skin"); if(ns == 0) {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해석:"+t), "해석", "ca-go-to-haeseolseo", "이 문헌의 내용에 대한 해석", "1", '#ca-talk'); checkDocumentExistency("해석:"+wgTitle,"ca-go-to-haeseolseo"); } else if(ns == 1) {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해석:"+t), "해석", "ca-go-to-haeseolseo", "이 문헌의 내용에 대한 해석", "1", '#ca-talk'); checkDocumentExistency("해석:"+wgTitle,"ca-go-to-haeseolseo"); } else if(ns == 108) {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t), "문서", "ca-return-to-document", "본문 보기", "1", "#ca-nstab-해석"); mw.util.addPortletLink(skin?'p-namespaces':'p-cactions', mw.util.getUrl("토론:"+t), "토론", "ca-return-to-talk", "문서의 내용에 대한 토론 문서", "2", "#ca-nstab-해석"); checkDocumentExistency(wgTitle,"ca-return-to-document"); checkDocumentExistency("토론:"+wgTitle,"ca-return-to-talk"); } } $(doHaeseolseoThings); // 문서가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판단하여 탭 색을 바꾸는 함수. // 작성자: [[사용자:Cyrus H.]] / [[사용자:Peremen]] function checkDocumentExistency(documentTitle,tabId) { $.getJSON("/api.php", {action:"query", titles:documentTitle, format:"json"}, function(d) { if(d.query.pages["-1"].missing != undefined) $("#"+tabId).addClass("new"); } ); } */ // 매스무버 importScript("w:ko:User:기나ㅏㄴ/massmove.js"); //[[User:기나ㅏㄴ/massmove.js]] // 매스딜리트 //자세한 설명은 [[사용자:기나ㅏㄴ/massdelete]]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when(mw.loader.using(['mediawiki.util'], $.ready)).done( function() { mw.util.addPortletLink("p-tb", mw.config.get('wgArticlePath').replace('$1', "특수:MassDelete"), '대량 문서 삭제기' , "대량 문서 삭제" , "대량 문서 삭제"); }); if (mw.config.get('wgCanonicalNamespace')+':'+mw.config.get('wgTitle') === '특수:MassDelete' && mw.config.get('wgAction') == 'view'); mw.loader.using(['mediawiki.api', 'mediawiki.Title'], function () { "use strict"; var config = mw.config.get(['wgNamespaceNumber', 'wgTitle', 'wgUserGroups', 'skin']); function removeBlanks(arr) { var ret = []; var i, len; for (i = 0, len = arr.length; i < len; i++) { var s = arr[i]; s = s.trim(); if (s) { ret.push(s); } } return ret; } function doMassDelete()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disabled = true; var articles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Pages").value.split("\n"); articles = removeBlanks(articles); if (!articles.length) { return; } var api = new mw.Api(), wpMassDeleteReasons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value, wpMassDeleteReason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value, deleted = 0, failed = [], error = [], deferreds = [], reason = wpMassDeleteReasons == "other" ? wpMassDeleteReason : wpMassDeleteReasons + (wpMassDeleteReason ? " (" + wpMassDeleteReason + ")" : ""), onSuccess = function () { deleted++;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value = "(" + deleted + ")"; }; function makeDeleteFunc(article) { return function () { return $.Deferred(function (deferred) { var promise = api.postWithToken('csrf', { format: 'json', action: 'delete', title: article, reason: reason + " - [[사용자:기나ㅏㄴ/massdelete|massdelete]]" }); promise.done(onSuccess); promise.fail(function (code, obj) { failed.push(article); error.push(obj.error.info); }); promise.always(function () { deferred.resolve(); }); }); }; } // Make a chain of deferred objects. We chain them rather than execute them in // parallel so that we don't make 1000 simultaneous delete requests and bring the // site down. We use deferred objects rather than the promise objects returned // from the API request so that the chain continues even if some articles gave // errors. var deferred = makeDeleteFunc(articles[0])(); for (var i = 1, len = articles.length; i < len; i++) { deferred = deferred.then(makeDeleteFunc(articles[i])); } // Show the output and do cleanup once all the requests are done. $.when(deferred).then(function ()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value = "완료 (" + deleted + ")"; if (failed.length) { var $failedList = $('<ul>'); for(var x = 0; x < failed.length; x++) { // Link the titles in the "failed" array var failedTitle = mw.Title.newFromText(failed[x]); var $failedItem = $('<li>'); if (failedTitle) { $failedItem.append( $('<a>') .attr('href', failedTitle.getUrl()) .text(failed[x]) ); } else { $failedItem.text(failed[x]); } $failedItem.append(document.createTextNode(': ' + error[x])); $failedList.append($failedItem); } $('#wpMassDeleteFailedContainer') .append($('<br />')) .append($('<b>') .text('삭제 실패:') ) .append($failedList); } }); } function massdeleteform() { var bodyContent; switch (mw.config.get('skin')) { case 'modern': bodyContent = 'mw_contentholder'; break; case 'cologneblue': bodyContent = 'article'; break; case 'monobook': case 'vector': default: bodyContent = 'bodyContent'; break; } document.getElementsByTagName("h1")[0].textContent = "대량 문서 삭제기"; document.title = "대량 문서 삭제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ocument.getElementById(bodyContent).innerHTML = '<h3 id="siteSub">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h3><br /><br />' + '<form id="wpMassDelete" name="wpMassDelete">' + '<b>도구 사용 미숙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책임은 <i>전적으로 귀하</i>에게 있습니다.</b>' + '<div id="wpMassDeleteFailedContainer"></div>' + '<br /><br />' + '삭제할 문서 (한 줄에 한 문서):<br />' + '<textarea tabindex="1" accesskey="," name="wpMassDeletePages" id="wpMassDeletePages" rows="10" cols="80"></textarea>' + '<br /><br /><table style="background-color:transparent">' + '<tr><td>일반적인 이유:</td>' + '<td><select id="wpMassDeleteReasons">' + '<optgroup label="다른 이유">' + '<option value="다른 이유">다른 이유</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일반적인 삭제 기준">' + '<optgroup label="일반적인 이유">' + '<option value="재단의 [[foundation:Resolution:Licensing policy|저작권 정책]] 위반: [[틀:정치적 연설]] 및 [[틀:PD-매니페스토]]만을 사용하는 문서 정리 (변경금지 저작물에 해당, [[위키문헌:사랑방#&lcub;&lcub;정치적 연설&rcub;&rcub;의 자유로운 사용과 관련하여|관련 논의]])">그거</option>' + '<option value="충분한 출처 정보 없이 장기간 미사용 상태인 파일">충분한 출처 정보 없이 장기간 미사용 상태인 파일</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저작권|저작권 침해]]: 위키백과에 올리는 내용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BY-SA]] 라이선스에 따라 누구나 이용, 수정, 배포할 수 있는 [[자유 저작물]]이어야 합니다.">저작권 침해</option>' + '<option value="장난이나 낙서, 실수 또는 연습삼아 만들어진 문서">장난, 실수 ,연습</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광고|광고·홍보]]성 문서: [[위키백과:중립적 시각]],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 [[위키백과:이해관계의 충돌]]을 참조해 주세요">광고, 홍보</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삭제 토론|삭제 토론]] 결과에 따름">삭제 토론 결과에 따름</option>' + '<option value="잘못된 방법으로 이동된 문서">잘못된 방법으로 이동된 문서</option>' + '<option value="스팸">스팸</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일반 문서">' + '<option value="[[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문서 등재 기준]] 미달: [[위키백과:신뢰할 수 있는 출처|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합니다">등재 기준 미달</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낱말|단어의 단순한 사전적 정의]] 이상으로 발전할 수 없는 주제: [[위키낱말사전]]을 활용해 주세요">단순한 사전적 정의</option>' + '<option value="원문 자료: [[위키문헌]]을 활용해 주세요">원문 자료</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독자 연구 금지|독자 연구]] 문서: [[위키백과:확인 가능]]을 참조해 주세요">독자 연구</option>' + '<option value="[[위키백과:차단 정책|차단]]된 상태인 사용자가 차단을 회피/우회해서 만든 문서">차단회피로 만든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넘겨주기">' + '<option value="끊긴 넘겨주기">끊긴 넘겨주기</option>' + '<option value="사용하지 않는 넘겨주기">단순한 사전적 정의</option>' + '<option value="잘못된 넘겨주기">잘못된 넘겨주기</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분류">' + '<option value="사용하지 않는 분류">사용하지 않는 분류</option>' + '<option value="이동된 분류">이동된 분류</option>' + '<option value="중복된 분류">중복된 분류</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사용자 문서">' + '<option value="본인의 사용자 문서 삭제 신청">본인의 사용자 문서 삭제 신청</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파일">' + '<option value="불필요한 로컬의 파일 설명 문서">불필요한 로컬의 파일 설명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초안">' + '<option value="1년 이상 방치된 초안 문서">1년 이상 방치된 초안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 '<optgroup label="빠른 삭제 기준">' + '<optgroup label="일반">' + '<option value="[[백:G1|G1]]: [[백:무의미한 편집|무의미한 편집]]">G1: 무의미한 편집</option>' + '<option value="[[백:G2|G2]]: 테스트 문서">G2: 테스트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3|G3]]: 명백한 문서 훼손과 노골적인 장난">G3: 명백한 문서 훼손과 노골적인 장난</option>' + '<option value="[[백:G4|G4]]: 삭제 토론을 거쳐 삭제된 문서의 재생성">G4: 삭제 토론을 거쳐 삭제된 문서의 재생성</option>' + '<option value="[[백:G5|G5]]: 추방, 또는 차단된 사용자가 만든 문서">G5: 추방, 또는 차단된 사용자가 만든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6|G6]]: 기술적 삭제">G6: 기술적 삭제</option>' + '<option value="[[백:G7|G7]]: 작성자의 삭제 요청">G7: 작성자의 삭제 요청</option>' + '<option value="[[백:G8|G8]]: 존재하지 않거나 삭제된 문서와 연결된 문서">G8: 존재하지 않거나 삭제된 문서와 연결된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9|G9]]: 공적 작업">G9: 공적 작업</option>' + '<option value="[[백:G10|G10]]: 대상에 대한 비난, 위협, 협박, 공격만을 목적으로 한 문서">G10: 대상에 대한 비난, 위협, 협박, 공격만을 목적으로 한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G11|G11]]: 명백한 광고나 홍보">G11: 명백한 광고나 홍보</option>' + '<option value="[[백:G12|G12]]: 명백한 저작권 침해">G12: 명백한 저작권 침해</option>' + '<option value="[[백:G13|G13]]: 버려진 초안">G13: 버려진 초안</option>' + '<option value="[[백:G14|G14]]: 불필요한 동음이의어 문서">G14: 불필요한 동음이의어 문서</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문서">' + '<option value="[[백:A1|A1]]: 문맥 없음">A1: 문맥 없음</option>' + '<option value="[[백:A2|A2]]: 한국어가 아닌 그 외 언어로 된 문서">A2: 한국어가 아닌 그 외 언어로 된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A3|A3]]: 내용 없음">A3: 내용 없음</option>' + '<option value="[[백:A10|A10]]: 기존 주제와 중복되는 최근에 만들어진 문서">A10: 기존 주제와 중복되는 최근에 만들어진 문서</option>' + '<option value="[[백:A11|A11]]: 명백한 발명품">A11: 명백한 발명품</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Redirects">' + '<option value="[[백:R2|R2]]: 이름공간 사이의 넘겨주기">R2: 이름공간 사이의 넘겨주기</option>' + '<option value="[[백:R3|R3]]: 타당하지 않은 오타">R3: 타당하지 않은 오타</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Images and other media">' + '<option value="[[백:F1|F1]]: 중복">F1: 중복</option>' + '<option value="[[백:F2|F2]]: 손상되었거나, 누락되었거나, 내용이 없는 그림">F2: 손상되었거나, 누락되었거나, 내용이 없는 그림</option>' + '<option value="[[백:F3|F3]]: 부적절한 라이선스">F3: 부적절한 라이선스</option>' + '<option value="[[백:F4|F4]]: 라이선스 정보 부족">F4: 라이선스 정보 부족</option>' + '<option value="[[백:F5|F5]]: 사용되지 않는 비자유 저작물">F5: 사용되지 않는 비자유 저작물</option>' + '<option value="[[백:F6|F6]]: 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 누락">F6: 비자유 저작물 이용 근거 누락</option>' + '<option value="[[백:F7|F7]]: 잘못된 공정 이용 주장">F7: 잘못된 공정 이용 주장</option>' + '<option value="[[백:F8|F8]]: [[위키미디어 공용]]과 동일한 파일이 중복">F8: 위키미디어 공용과 동일한 파일이 중복</option>' + '<option value="[[백:F9|F9]]: 명백한 저작권 침해">F9: 명백한 저작권 침해</option>' + '<option value="[[백:F10|F10]]: 쓸모없는 비 미디어 자료">F10: 쓸모없는 비 미디어 자료</option>' + '<option value="[[백:F11|F11]]: 사용 허락 근거 없음">F11: 사용 허락 근거 없음</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분류">' + '<option value="[[백:C1|C1]]: 채워지지 않은 분류">C1: 채워지지 않은 분류</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사용자 문서">' + '<option value="[[백:U1|U1]]: 사용자 요청">U1: 사용자 요청</option>' + '<option value="[[백:U2|U2]]: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U2: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option>' + '<option value="[[백:U3|U3]]: 비자유 갤러리">U3: 비자유 갤러리</option>' + '<option value="[[백:U5|U5]]: 위키백과를 웹 호스팅으로 노골적 오용">U5: 위키백과를 웹 호스팅으로 노골적 오용</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틀">' + '<option value="[[백:T2|T2]]: 허위 정책">T2: 허위 정책</option>' + '<option value="[[백:T3|T3]]: 중복과 하드코드된 인스턴스">T3: 중복과 하드코드된 인스턴스</option>' + '</optgroup>' + '<optgroup label="포털">' + '<option value="[[백:P1|P1]]: 일반 문서로도 빠른 삭제 대상인 주제에 관한 포털">P1: "일반 문서로도 빠른 삭제 대상"인 주제에 관한 포털</option>' + '<option value="[[백:P2|P2]]: 포괄하는 문서가 부족한 포털">P2: 포괄하는 문서가 부족한 포털</option>' + '</optgroup>' + '</optgroup>' + '</select></td></tr>' + '<tr><td>다른/추가적인 이유:</td>' + '<td><input type="text" id="wpMassDeleteReason" name="wpMassDeleteReason" maxlength="255" /></td></tr>' + '<tr><td><input type="button" id="wpMassDeleteSubmit" name="wpMassDeleteSubmit" value="삭제" /></td>' + '</form>';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onchange = function() { var maxlength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value == "other" ? 255 : 252-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value.length); //It's 252 because of the three characters (" ()") in addition to the selected summary.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Reason").setAttribute("maxlength", maxlength); }; document.getElementById("wpMassDeleteSubmit").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e) { doMassDelete(); }); } if (config.wgNamespaceNumber == -1 && config.wgTitle.toLowerCase() == "massdelete" && /sysop/.test(config.wgUserGroups) ) { massdeleteform(); } }); bf8w1j5x1wsrpywtmm6sr6pqznux33k 위키문헌:사랑방 4 87889 392724 390569 2025-06-28T05:59:38Z Aspere 5453 /* 미디어위키:Edittools 내 문자 추가 관련 의견 조사 */ 새 문단 392724 wikitext text/x-wiki {{절차 머리말 | 제목 = 사랑방 | 부제 = | 이전 = | 다음 = | 단축 = 문:사 | 설명 = 사랑방은 위키문헌 공동체의 토론 문서입니다. 자유롭게 질문하거나 의견을 남겨 주세요. 기존 토론에 참여하거나 [{{SERVER}}{{localurl:{{NAMESPACE}}:{{BASEPAGENAME}}|action=edit&section=new}} 새 문단을 만들어서] 참여하시면 됩니다. 위키미디어 재단 등의 소식은 [[위키문헌:소식지|소식지]] 문서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관리 등 [[문:관리자|관리자]]가 필요한 요청의 경우 [[문:관리자 게시판|관리자 게시판]]을 이용하면 더 빠를 수 있습니다. }} {{/안내문}} == 대문 개선에 관한 의견 수렴 == 현재의 대문이 굉장히 오래 된 것도 맞고 현실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내용도 없다는 의견을 많이 받아, 대문의 모습과 내용을 일부 바꿔 보았습니다. * [[사용자:Aspere/대문 초안]] 현재 대문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변경하였습니다. * 최상단 오른쪽의 링크 일부 수정 * 위키문헌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 삽입 * "둘러보기"에 분류와 더불어 대표적인 포털을 삽입 ** 제대로 정비된 포털 자체가 많지 않아 그나마 단기간에 발전시킬 수 있을 만한 포털을 중심으로 삽입하였습니다. 대표 이미지 또한 완벽하지 않으며 바뀔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문헌 몇 개를 선정해 "추천 문헌" 란 제작 ** 마찬가지로 포함된 문헌 자체는 바꿀 여지가 있습니다. * 거의 유지관리가 되지 않는 "특집 기사", "오늘의 역사", "하이라이트" 항목 삭제 한 번씩 보시고 드시는 감상이나 의견을 말씀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둘러보기"나 "추천 문헌"에 어떤 것이 들어가면 좋겠다는 간단한 것도 환영합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3일 (금) 19:57 (KST) :소개 부분이 조금 길고 여백이 많은 것 같습니다. 또한 각 항목간의 여백이 일정치 않습니다. "위키문헌이란" 항목의 제일 밑 부분은 여백이 없는데 "진행중인 공동 작업"과 "새로 올라온 문헌"에는 여백이 있고요. 주제별 색인에서 그림은 가운데 정렬을 하거나 기본 갤러리 기능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그림을 표현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조선노동당"이 들어가 있는 이유는 잘 모르겠네요. 또한 추천 문헌에서 훈민정음 그림과 하단의 "숙종의 한글편지", "개벽/1923년 2월/님의 노래" 부분이 서로 조화가 안 되는 것 같습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7일 (화) 19:04 (KST) ::여백은 기기 환경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는 만큼 정확히 일치시키기가 어렵습니다. 타 언어판 대문을 보시더라도 좌우 불균형이 거의 기본일 정도입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일부러 여백이 많아 보이게끔 배치한 게 맞습니다 (현재 대문이 너무 빡빡하다는 지적을 몇 번 받아서). 포털도 마찬가지로 강제로 가운데 정렬시키면 환경에 따라 깨지기 때문에 기본 정렬로 놔둔 것입니다. ::또한 추천 문헌의 위아래 부분은 전혀 다른 부분인데 둘 사이가 조화되지 않는다는 말씀이 무엇을 말씀하시고자 하는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디자인적으로 어울리지 않는다는 말씀이신가요, 아니면 내용상으로 어울리지 않는다는 말씀이신가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7일 (화) 19:23 (KST) :::여백을 일부로 의도하신거라면 이해하겠습니다. 훈민정음만 왜 우측에 따로 나와있는지 모르겠다는 의미였습니다. 또한 와이드스크린으로 보면 <code><nowiki>----</nowiki></code>로 구분된 부분이 훈민정음 그림의 좌측으로 올라와 보기 좋지가 않습니다. 벡터 2022가 아니라 기존 벡터 스킨을 쓰시면 바로 확인이 되겠네요. [https://imgdb.in/mnIc 그림 링크]--[[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24 (KST) ::::{{핑|Namoroka}} 그림 남겨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사실 지금 문제 확인이 안 되서 가지고 있는 모든 모니터를 다 꺼내오고 있었던 중이었는데... 일단 오른쪽 먹는 문제는 {{틀|clear}}를 넣어 봤습니다. 제가 레거시벡터를 거의 안 써서 저게 넘어간다고 인지를 못 했네요. (제가 주로 쓰는 모니터에서도 우연의 일치로 레거시벡터에서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그림에 생기는 여백 문제는 틀을 가져온 [[:ja:|일본어판 대문]]에도 확인해보니 그대로 나타나고 있었습니다. 저 정도로 여백이 크게 나타난다면 확실히 고치긴 해야 한다는 것에는 공감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고칠지 당장은 생각이 안 나네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42 (KST) :::::"위키문헌이란"의 윗부분과 "새로 올라온 문헌"의 윗부분의 여백도 아~주 미묘하게 여백이 다르네요. 해당 부분의 margin을 %가 아닌 em으로 지정하면 문제가 안 발생할 것 같습니다. 다른 부분에서도 margin을 1% 1% 1% 0로 정의했다가 같은 줄에서 1em 0로 지정하는 등 중복되는 부분이 많아 보입니다. 이러면 가장 마지막에 지정한 margin만 적용되는것 아닌가요? / 그리고 그림이 8개가 있으면 좁은 스크린에서, 적어도 벡터 2022에서는 그림이 3개/3개/2개 이런식으로 표시되는데 그러면 좌우를 비교했을 때 우측에 빈 공간이 너무 많이 남지 않는가요?--[[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48 (KST) ::::::일단 그림은 [[특:차이/349148|center 태그를 강제로 넣으면]] 가운데로 가기는 합니다. (이게 더 보기 좋은지 확신이 안 서서 원래대로 되돌려놓기는 했습니다만) 그리고 표시되는 그림 개수 자체는 화면의 좌우폭에 따라 자동으로 되는 거라 신벡터 스킨 자체의 문제는 아닙니다. (저는 6개 / 2개로 나옵니다) 남는 폭이 애매하게 그림 하나가 안 되면 그렇게 되는 것 같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53 (KST) :::::::<code><nowiki><gallery align="center"></nowiki></code>은 잘못된 코드 같고, <code><nowiki><center><gallery align="center"></nowiki></code> 대신 <code><nowiki><gallery style="text-align:center"></nowiki></code> 이게 맞을 듯 싶습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01 (KST) :::::::<code><nowiki><gallery class="center"></nowiki></code>가 있네요. 아니면 <code><nowiki><gallery mode=packed></nowiki></code>나 <code><nowiki><gallery mode=packed-hover></nowiki></code>는 어떠신지요.--[[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14 (KST) :::::::추가로 만약에 packed를 쓰거나, 쓰지 않더라도 대문에 병렬되어 표시되는 그림은 가로세로 비율이 똑같이 나오도록 나중에 자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23 (KST)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자르는 거야 어렵지 않고 여차하면 대문 용도로 문헌에 로컬 업로드도 해버리면 되니까요. 사진은 그래도 조금 더 어울리는 게 있을지 한번 더 찾아본 다음 잘라보겠습니다. ::::::::일단은 packed-hover가 제일 나은 것 같아서 그걸로 해 두긴 했습니다. 이런 게 있는지도 몰랐는데 많이 배워가네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34 (KST) ::::::그리고 좌우 높이가 약간 다른 건 말슴하신 대로 퍼센트 빼니까 동일하게 보입니다. 일단 제가 가지고 있는 모니터 상으로는 동일하게 나오는데 혹시 또 문제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35 (KST) :::::::그림에서 packed를 쓸지 말지는, 취향 차이인 듯 싶으니 이건 다른 사용자분들도 보시고 의견을 달아주셨으면 좋겠네요.--[[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8일 (수) 22:38 (KST) 오래된 토론이긴 한데 어떻게든 결론을 내놓는 것이 나을 것 같아서 일부 수정점을 남기겠습니다. 사용하는 파일들을 1:1 비율이 되게끔 잘라 로컬에 업로드해 두었습니다 (보호는 아직 안 걸었습니다). 조선노동당 포털은 제가 저것까지 정비할 자신이 없어서 그냥 과감하게 날려버렸습니다. 이 이외에 특별히 변경한 것은 없습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19일 (수) 15:53 (KST) :{{핑|Namoroka}} 토론에 참여해주신 다른 분이 안 계셔서 연락드립니다. 제 생각에는 이 정도로 일단 도입해봐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조금 더 다듬을 만한 게 있을지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19일 (수) 15:53 (KST) ::저는 큰 이의가 없습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19일 (수) 18:30 (KST) {{알림}} 대문을 수정하였습니다. 아마 문제가 없으리라고 99% 정도 확신하긴 하는데...혹시 뭔가 잘못되어 있으면 주저 말고 말씀해 주세요.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22:24 (KST) == 저작권 틀의 번역명 == 저작권 틀의 명칭이 {{틀|PD-미국}}과 같이 한국어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저는 이를 모두 다른 언어판에 맞춰 영어식으로 바꾸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해당 틀은 미국 연방 정부의 작품만 해당하는데 이름은 그냥 "미국"이라고만 말하고 있습니다. 원래 이름은 PD-USGov이고요. 해당 틀들을 모두 PD-미국-정부 이런 식으로 번역하는 수고를 할 것이 아닌 이상, 다른 언어판이나 공용에서 부르는 이름을 그대로 카피해 오는게 훨씬 수월합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03:18 (KST) :틀이 전체적으로 굉장히 오래전에 만들어진 것이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틀 내용이 오래 된 경우도 많고요. 어차피 넘겨주기를 남겨두면 괜찮을 테니 과감히 바꾸셔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03:25 (KST) == 초안 이름공간 도입 제안 == 현재 위키문헌에는 등재 기준 자체는 충족하는 것으로 보이나 문서의 상태가 너무 좋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90마745]] 문서나 [[71다2016]] 같이 봇으로 긁어온 판례 문서, [[분석심리학 논문집/Chapter2]]와 같이 번역되지 않고 방치된 문서,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 같이 대체 어디서 온 건지 모르겠는 경우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또 문서 품질이 안 좋다고 지우는 것은 점차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라는 위키미디어 운동의 취지 자체에 반하는 것이어서 손을 대지는 못 하고 있습니다. 차라리 그래서 [[w:위키백과:초안|위키백과의 초안 이름공간]]을 동일하게 도입해서 이러한 문서를 따로 격리해 놓는 것은 어떨까 제안해봅니다. 저품질 문서가 표시된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 참여에 의한 문서 개선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입니다. 이에 관하여 여러분의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3일 (월) 16:47 (KST) :{{찬성}}: 동의합니다. [[사용자:Korbine287|Korbine287]] ([[사용자토론:Korbine287|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17:03 (KST) :{{찬성}} --[[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22:01 (KST) {{알림}} 지침화를 위해 [[위키문헌:초안]] 문서를 생성하였습니다. 위키백과의 해당 문서를 들고 온 다음 위키문헌 실정에 맞게 약간 수정해 주었는데, 어색한 부분이 보이신다면 자유로운 수정 부탁드립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9일 (일) 17:45 (KST) * 초안 이름공간의 설정은 제안문의 "위키백과의 초안 이름공간을 동일하게 도입"이라는 문구에 따라 한국어 위키백과의 설정과 동일하게 도입하도록 조정되었습니다. 특기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초안 이름공간의 영어 넘겨주기 (<code>Draft</code>-><code>초안</code>, <code>Draft_talk</code>-><code>초안토론</code>)가 설정됩니다. ** 초안 이름공간의 내용은 검색엔진의 수집을 거부하도록 설정됩니다. ** 위 검색엔진의 수집 거부는 <code><nowiki>__INDEX__</nowiki></code> [[:mw:Help:Magic words#Behavior switches|매직 워드]]를 무시합니다. (초안 이름공간의 특정 문서만 검색엔진이 수집하도록 설정할 수 없습니다.) ** 초안 이름공간에서도 시각편집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regards, [[User:-revi|<span style="color:green;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Revi</span>]] 2025년 1월 30일 (목) 22:41 (KST) :: 이 기능은 한국시간으로 다음 주 화요일 (2월 4일) 23시를 전후하여 적용될 예정입니다. (목요일 (UTC) 재단 패치 업데이트: 한국시간 금요일 오전 6시라서 무리, 금요일 (UTC)에는 패치 업데이트는 긴급상황에만 가능, 다음주 월요일은 제가 바빠서...) — regards, [[User:-revi|<span style="color:green;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Revi</span>]] 2025년 1월 30일 (목) 22:48 (KST) == [[틀:번역 미완료]] 삭제 제안 == 해당 틀이 저작권적으로 모호한 면이 많고 최대한 자유로운 사용을 보장해야 한다는 위키미디어 운동 자체의 취지와 맞지 않다고 생각하는 바, {{틀|번역 미완료}} 틀을 삭제하고 전부 {{틀|GFDL/CC-BY-SA-4.0}} 틀로 교체할 것을 제안합니다. # 완성되지 않은 문서의 저작권을 판단할 수 없게끔 하는 구조 #* 위키문헌에 있는 모든 문서는 최소한 {{틀|GFDL/CC-BY-SA-4.0}} 라이선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것보다 더 풀어질 수는 있지만 더 좁혀질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특별히 라이선스를 정한 것이 아니라면 {{틀|GFDL/CC-BY-SA-4.0}} 라이선스를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 문서가 미완성인 경우에도 이 라이선스 규칙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그런데 해당 틀의 내용은 "미완성 상태이기 때문에 쓰지 말고 기다려봐라" 라는 내용에 가깝습니다. 이는 문서 기여의 근본적 취지와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문서를 완성해야만 자유 저작물이 된다고 보는 것도 이상하고요. # 저작권 결정권을 "번역을 완성한 사용자"에게 주는 시스템 자체의 의문 #* 위키문헌은 그 특성 상 여러 명이 기여하며, 저작권 정책에 따라 문서에 기여한 부분에 대한 저작권은 개인이 가지나 문서 전체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기여자가 문서 전체에 대한 라이선스를 결정"하는 것 자체가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 만약 기여자가 여러 명인데 각자 사용하고자 하는 라이선스가 다른 경우에 부분별로 라이선스를 나눠서 표시할 수도 없을 것이고, 한 사용자가 CC-BY-SA를 주장하는 부분을 다른 사용자가 편집한 다음 "나는 퍼블릭으로 배포하겠다"라고 하면 이것을 저작권 침해로 봐야 하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원래대로라면 해당 틀을 사용한 문서의 주기여자 모두에게 연락을 넣어야 하겠으나, 현실적으로 이 틀을 사용하는 문서는 오래 전 미완료 상태로 방치된 문서인 경우가 많아 현실적으로 연락이 닿을 가능성도 낮을 것 같고, {{틀|GFDL/CC-BY-SA-4.0}}와 호환되지 않는 라이선스를 주장하며 위키문헌에 올렸을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어렵습니다 (만약 그럴 경우 삭제 대상입니다). 따라서 현재 사용자분들의 총의만으로 결정해도 괜찮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관련해서 여러분의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20:47 (KST) :동의합니다. 저장하기를 누른 그 순간 GFDL/CC-BY-SA-4.0로 배포하는 것을 허락한 것입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14:03 (KST) {{알림}} 장기간 새로운 의견 제시가 없어 총의가 형성되었다고 보고, {{틀|번역 미완료}}를 {{틀|GFDL/CC-BY-SA-4.0}}으로 치환한 다음 해당 틀을 삭제하겠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21:09 (KST) == what is this word? == {{토론 이동|위키문헌:질문방#what is this word?}} == What is this word? == {{토론 이동|위키문헌:질문방#What is this word?_2}} == What is this word? == {{토론 이동|위키문헌:질문방#What is this word?_3}} == [[틀:판독 불가]] 개편 알림 == {{틀|판독 불가}} 틀을 한국어 위키문헌 실정에 맞게 '□' 기호를 표시하게끔 변경하였습니다. 틀을 이용하면 추적이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으므로, 앞으로 작업하시는 분들께서는 수동으로 '□' 기호를 입력하기보다는 해당 틀을 사용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넘겨주기인 {{틀|?}}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7일 (금) 10:50 (KST) :영어판과 틀 구성이 조금 다른데, {{틀|판독 불가}}는 한 글자에만 사용하고 {{틀|미판독 문자}}는 두 글자 이상에 사용하는 것이 맞을까요? ::그 틀도 따로 있다는 걸 까먹고 있었네요. 일단 역할이 동일하니 넘겨주기 처리하겠습니다. 지금 외출 중이어서 정리 작업은 조금만 있다가 하겠습니다.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8일 (토) 17:25 (KST) == "해석" 이름공간 도입 제안 == 현재 많은 문서에 케이스 바이 케이스식으로 수록되어 있는 "해석문"(번역이 아님)을 수록하기 위하여 "해석:" 이름공간을 새롭게 만들 것을 제안합니다. ; 생성 필요 이유에 관한 설명 # 통일되지 않은 방식: 여러분이 이미 잘 아시는 것처럼, 현재 있는 문서들에는 해석이 중구난방으로 달려 있습니다. 방식도 통일되어 있지 않고 극단적으로 해석이 원문처럼 둔갑한 경우도 많습니다. #* 현재 방식의 문제는 [[위키문헌토론:한문 해석문의 수록|한문 해석문의 수록 지침 도입 토론]]에 자세히 정리해 둔 것이 있습니다. #* 통일안으로 만들어진 한문 해석문 지침의 경우, 틀 사용 방식이 어렵기도 하고 "한문은 아닌데 해석문이긴 한 경우"를 전혀 커버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 번역 이름공간으로 대체 불가: [[번역:언간독]]과 같은 경우, 한문도 아니고 원문([[언간독]])은 분명 한국어이기 때문에 "번역"이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해석은 등재해주고 싶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 추가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 # 명확한 구분: 위키문헌은 근본적으로 '''원문을 수록하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 마음대로 해석문을 만들면 안 됩니다. 이것이 너무 가혹한 정책이기 때문에 만들어진 것이 "번역" 이름공간이고요. 현재 "해석문"은 번역도 아니고 그렇다고 원문도 아닌 애매한 상태이나, "번역" 이름공간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이름공간을 주는 것이 매 번 제기되는 "취지에 맞지 않는다"라는 의견을 수용하면서도 해석문의 작성을 가능하게끔 하는 방식이 될 수 있습니다. #* 번역 이름공간과의 구분: 전 지침에서 지적한 것과 같이 "한문은 엄연한 의미에서는 한국어이다"라는 문제를 해소해 줄 수 있습니다. # 활동 장려: 해석문을 만드는 방식으로 위키문헌에 기여하고자 하는 분들께는 어떤 방식으로 활동하면 되는지 더 명확해지는 것인 만큼, 이를 매개로 해석 활동을 하고 싶은 사용자를 모을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 문서 간의 관계 정리: 해석이라기보다는 한자 독음만 적는 경우([[대한민국헌법]]과 [[대한민국헌법 (한자혼용)]]의 관계 등)까지도 포함하면 문서 간의 관계를 더 구조적으로 정비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해석이 있다는 것도 모를 수도 있지만 아에 이름공간으로 정비해 버리면 서로 연관지어주기 더 쉬우리라고 생각합니다. # 정확한 원문 / 이해가 쉬운 텍스트의 동시 제공: 원문에 한자음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 이해를 위해 편집자가 임의로 적어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엄연한 의미에서 원문 훼손인 만큼, 이럴 때 해석 이름공간을 이용하면 확실히 원문은 원문대로, 해석은 해석대로 분리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름공간 번호는 (큰 상관은 없으나) 112(해석)와 113(해석토론)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냥 번역 이름공간이 114-115번이어서 임의로 생각해낸 번호입니다. 또한 일반-해석 사이의 연결은 밑에서 제안하는 것처럼 스크립트를 이용한 버튼 사용을 제가 제안하고는 있지만, 꼭 이래야 하는 것은 아니고 그냥 단순히 상단에 틀을 붙이는 정도로 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해석 이름공간을 실제로 도입한다면 지금까지의 편집 지침·경향·관행을 뜯어고쳐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만큼 꼭 한 마디씩이라도 의견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8:31 (KST) :{{찬성}} 아무래도 지금 규칙을 만들어두는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것보다는 유비무환이 더 좋다고 보는 입장이라서요. [[사용자:NZ 토끼들|NZ 토끼들]] ([[사용자토론:NZ 토끼들|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8:36 (KST) :번역 이름공간만을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고 생각하므로 새로운 이름 공간을 도입하자는 의견에 찬성합니다. [[사용자:Respice post te|Respice post te]] ([[사용자토론:Respice post te|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9:12 (KST) :{{찬성}} 찬성합니다. -- [[사용자:Jjw|Jjw]] ([[사용자토론:Jjw|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9:54 (KST) :{{찬성}} 개인적으로는 중국어 위키백과의 간체자-정체자 변환처럼 한자를 1:1 단순 대응하는 것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는데, 이러한 방식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다만 여전히 의미가 조금 헷갈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저는 고대 또는 중세 한국어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해석과 번역이 개념상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고대 그리스어를 현대 그리스어로 옮겨도 여전히 "번역"의 개념에 들어가는 것이 아닐련지요? 번역 이름공간을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가 있는지요? [[위키문헌:한문 해석문의 수록]] 생성 당시에 토론에 참여하지 않아서 잘 모르겠네요.--[[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18:21 (KST) ::또한 여전히 해석이나 번역을 사용하더라도 여전히 교정 기능을 사용하였으면 좋겠습니다. 예시 [[:en:Page:รัฐธรรมนูญ (ฉบับชั่วคราว) ๒๕๕๗ (๒) ๒๕๕๙.pdf/1]]--[[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18:22 (KST) ::: 이 모든 문제는 근본적으로 "한문"과 "중국어"의 경계가 불명확해서 생깁니다. 한문이라고 하나로 이야기하긴 하지만 단어만 한자로 쓰는 경우("한국식 한문")부터 중국어로 번역한 것이나 다름없는 수준까지 넓게 분포하기 때문에 어디까지 한국어의 변형인지, 어디부터 중국어인지 선을 긋기가 어려우니까요. [[위키문헌:사랑방/보존 4#한문으로 되어 있는 원문 텍스트의 이동 제안|실제로 과거 토론에서도 관련한 문제가 논의된 적도 있습니다]]. 이런 문제로 인해 한문은 "번역", "해석", "풀이" 등 온갖 용어가 섞여 사용되긴 하는데, 저번에 총의를 수렴할 때는 "그래도 한문은 한국어에 속하니까 "번역"은 아니지 않은가"라는 의견이 상당수 제기되어서 이를 반영한 제안입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0:08 (KST) ::: 또한 한자를 음으로 자동으로 변환하는 것은 저도 정말 보고 싶은 기능인데, 한자와 한자음이 한국어에서 간체-정체 관계처럼 일대일로 대응되지 않기 때문에 그런 예외를 전부 처리해주려면 굉장히 어려울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金"은 거의 항상 "금"으로 읽지만 사람 이름에 들어가는 순간 전부 "김"으로 읽는데 소프트웨어적으로 일반 단어와 인명을 구분해주기가... 만들 수만 있으면 국한문 혼용 문헌의 접근성이 엄청 좋아질 것 같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0:08 (KST) :::: 중국어 위키백과에서도 기본 변환 테이블은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은 <code>-{zh-tw:歐; zh-cn:奥; zh-hk:奧}--</code>와 같이 지정하고 있고, 한국어 위키문헌에서 필요한 기능은 각 언어별로 양방향 전환이 필요한 중국어와 달리 한자 → 한글 단방향 변환만 필요하기에 더욱 쉬울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이제까지 이러한 논의가 없었나 보네요. 하여튼 이건 나중에 따로 해야하는 얘기입니다. / 원문이 아닌 모든 한국어는 번역 이름공간으로 가지 않는 것이군요. 그렇다면 해석 이름공간에는 "현대 한국어로 풀어서 설명한 것"만을 포함하고, 단순히 한자를 한글로 옮긴 것은 포함하지 않는 건가요? 아님 해석 문서에 가능하면 둘 다 기재하는 건가요?--[[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2:58 (KST) ::::: 둘 다 포함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정리가 필요하다"라고 하는 가장 큰 이유가, 원문도 원문에 따라 한자만 있는 경우, 한글 독음을 달아둔 경우, 원문 내에서 아에 풀이까지 해주는 경우가 모두 있는데 독음을 달아주는 것을 포함해 원문에 무엇인가를 보충하는 것을 편집자의 영역으로 넘겨버리면 독자 입장에서 원문에는 없는데 따로 달아준 것인지, 아니면 원문에 이미 있던 것인지를 구분할 수 없을 테니 확실히 구별해 표시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덧붙여 "위키문헌은 원문을 그대로 넣는 곳"이라고 소개하면서 정작 저런 것 하나하나를 봐 주기 시작하면 결국은 "어디까지 괜찮은가"라는 문제가 생기고 결국은 다시 중구난방으로 돌아가는 셈일 것이고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3:07 (KST) === 자바스크립트를 통한 "해석" 버튼 표시 === 이름공간을 실제로 도입할 경우 원문과 해석문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줄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상단에 틀을 부착하는 방식도 나쁘지는 않으나, 타 사이트에서 영감을 얻어서 상단에 링크 버튼을 추가하는 스크립트를 제작해왔습니다. ; 스크립트 설명 일반 이름공간(ns:0)의 문서일 경우 "문서"와 "토론" 사이에 "해석"으로 가는 링크를, 해석 이름공간(가칭)의 경우 "해석"과 "토론" 사이에 "문서"로 가는 링크를 삽입해줍니다. 도입 시 아마도 [[미디어위키:common.js]]에 해당 내용을 삽입해서 모든 사용자에게 표시되게끔 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스크립트 실험판 크게 두 버전을 만들었는데, 둘 중 어떤 것이 더 나을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관련해서 여러분의 의견을 꼭 받고 싶습니다. : '''[[사용자:Aspere/haeseoktest.js|버전 1]]''': 상대편 문서가 없을 경우 빨간 링크로 표시합니다. :* 장점: 문서를 만들어줄 수 있다는 것이 가시적으로 보이는 만큼, 활동 유도에 효과적입니다. :* 단점: 모든 문서가 해석문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보니, 너무 과도한 표시가 될 우려가 있습니다. : '''[[사용자:Aspere/haeseoktest-withoutlink.js|버전 2]]''': 상대편 문서가 없을 경우 아에 링크를 표시하지 않습니다. :* 장점: 깔끔하고 해석문이 필요 없을 경우에 편리합니다. :* 단점: 해석문으로 가는 링크가 없어지는 셈이다 보니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 접근하기 어려워집니다. 토론 문서도 존재하지는 않지만 빨간 링크로 표시하고 있으며, 영어 위키낱말사전 등에서는 Citations 이름공간이 별도로 있는데 이 경우에도 문서가 없더라도 그대로 표시하고 있으므로 첫 번째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en:wikt:위키백과]] 필요 없는 문서에서는 별도 틀로 숨길 수 있으면 좋겠네요. 추가로 여기에서도 Gadget-DocTabs.js를 이미 사용 중입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3:04 (KST) :옳으신 말씀입니다. 또 그걸 어떻게 구현해야 하는지 공부해와야겠네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3:13 (KST) ; 스크립트 사용해 보기 [[특수:내사용자문서/common.js]]에 다음 줄을 삽입해 주세요. '''두 개를 동시에 넣지 마세요!''' * '''버전 1''': <code><nowiki>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js");</nowiki></code> ([[사용자:Aspere/haeseoktest.js]]) * '''버전 2''': <code><nowiki>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withoutlink.js"); </nowiki></code> ([[사용자:Aspere/haeseoktest-withoutlink.js]]) 현재 스크립트는 "해석" 이름공간이 없는 만큼 "번역" 이름공간으로 작동하게끔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표시되는 모습은 [[언간독]] 및 [[번역:언간독]] 문서를 보시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8:31 (KST) :일단 첫 번째 버전부터 [[특수:고유링크/354414|common.js 생성]]을 통해 테스트합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3:54 (KST) ::* [[User:Aspere/haeseoktest.js]] ::코드를 검토하기 위해 링크를 달아 놓습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3:56 (KST) ::: 링크를 좀 눈에 잘 띄게 걸어둘 걸 그랬네요. 신경써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4:13 (KST) ::가젯으로 Gadget-DocTabs.js라는 비슷한 기능이 있고, 이 기능은 하위 문서를 탭으로 보여주는 기능이라 1:1 비교는 어렵겠으나 API 사용을 더 선호하여 선택하신 까닭이 있으실까요?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4:15 (KST) :::사실 저도 JS를 완벽히 이해하고 있지도 않고 JS 실력이 안 좋기 때문에 상세하게 조언해 드리기는 좀 어렵습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4:16 (KST) :::: 간단한 이유입니다. 제가 API밖에 몰라서... 저도 이것저것 조합하면서 만든 것이고 "하여튼 작동하니 좋았쓰" 마인드로 완성해서 아마 분명히 개선점이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4:16 (KST) :::::저도 왜 API를 썼는지 이유가 궁금해서 여쭤 본 거고, JS에서 API를 사용하는 게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이 있는지는 잘 모릅니다. 사실 자바스크립트는 사용자가 사용 중인 컴퓨터나 장치의 에셋을 사용하는 거고, 루아나 API는 서버 에셋을 사용하므로 사실 그 사실만 놓고 본다면 API 써도 문제는 없지 않나 싶습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5:27 (KST) : <s>$.ready는 현재 depracted된 표현입니다.</s>--[[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3:08 (KST) :: (대충 진짜 몰랐다는 답변) 혹시 어떻게 고치면 좋을지 조언을 받을 수 있을까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3:11 (KST) ::: 제가 다른 사항과 착각하였습니다. 그대로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6일 (일) 18:12 (KST) == 문헌 사랑방의 대량 메시지 == 낱말사전의 경우에는 [[:분류:메시지 전달을 받지 않는 사용자]] 분류를 추가하고 아예 커뮤니티 공간에서는 대량 메시지를 받지 않거나, 다른 공간에 모아 두는 것으로 작년에 사용자들(지금은 없지만...)간 협의를 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제가 메타에서 이러한 대량 메시지를 받아야 하는가 받지 말아야 하는가에 대한 규정은 찾지 못했고, 그래서 낱말사전에서는 메인공간 뿐만 아니라 기간별 하위 문서에도 대량 메시지를 지웠거나 아예 받지 않습니다. [[w:위키백과:사랑방_(기술)/2025년_1월#MediaWiki_message_delivery_봇의_오동작|백과 사랑방에 오동작 보고]]를 잘못 올리면서 생각난 건데, 문헌에서도 의논하려고 생각을 해 뒀다가 잊은 내용이라 지금에서야 올립니다. 문헌 사랑방에서 가장 먼저 노출되어야 하는 건 문헌 사용자들이 문헌에 관해 남기는 의견이지 메타에서 뭐 규정 만들거나 행사한다거나 하는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거의 절대 다수의 메시지가 문헌과는 관련도가 크지 않은 안건이고, 대량 메시지 내용이 더 많아서 사실상 '정보 공해'라고 생각합니다. 문헌 사용자들도 메시지에 적힌 요청처럼 한국어로 번역을 해 준다거나 관심을 전혀 가지지 않습니다. 현재 대량 메시지는 모두 지우고, 이후 기간별 하위 문서가 만들어질 경우 그 하위 문서들에도 위 분류를 추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3:48 (KST) :{{찬성}} 이전과 달리 활동하는 분들이 많아진 만큼 충분히 신경써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완전히 받지 않는 것은 좀 너무할 수도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 따로 받는 곳을 만드는 게 어떨까 싶은데 기술적인 면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4:11 (KST) ::{{ㄷ|Aspere}} 딱 제 수준에서는 아예 사랑방을 남겨 두고 자유게시판을 새로 만든 다음 자유게시판에 메시지 거부 분류를 넣는 식의 트릭을 떠 올릴 수 있긴 합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21:13 (KST) :[[:w:백:소식지]] 처럼 격리소를 만들어 두는 방안도 고려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 regards, [[User:-revi|<span style="color:green;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Revi</span>]] 2025년 1월 30일 (목) 21:44 (KST) ::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위키백과에 그런 공간이 있는 줄도 몰랐네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22:10 (KST) 특별한 의견이 없으면 위에서 레비님이 말씀해주신 것을 참고해서 [[위키문헌:소식지]](가칭)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일단 해 보고 안 맞는 것 같으면 그 때 없애도 되니까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22:10 (KST) :{{ㄷ|Revi C.|Aspere}} 잘 모르는 게 사실이긴 하나, 완벽한 격리가 가능한지에 대한 기술상의 의문점이 있습니다. 위키백과 소식지 공간이 좋은 예시인 건 사실인데, 사실 위키백과 사랑방은 소식지 공간이 있어도 사실 몇몇 대량 메시지가 올라 옵니다. 이건 대량 메시지 봇의 소스코드를 확인해 봐야 하는 부분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3:16 (KST) ::관련 HTML 태그에 뭐 디자인 넣을 때 쓰는 class 같은 거에 표시해 놓고 봇이 식별해서 보내는 건가 싶긴 합니다. 사실 저도 봇이랑 가상 키보드 만들 때 그걸 찾는 식으로 구문을 작성하고 효과 띄우고 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3:19 (KST) :: 대량메시지의 발송은 '대량메시지 목록'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메타의 대량메시지 목록을 수정하면 됩니다. — regards, [[User:-revi|<span style="color:green;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Revi</span>]] 2025년 1월 31일 (금) 14:12 (KST) {{알림}} [[문:소식지]] 문서를 만들어서 현재까지 사랑방에 올라온 대량메시지를 옮겨 두었습니다. 또한 메타에 있는 대량메시지 수신 목록도 보이는 대로 소식지 쪽으로 가게끔 수정했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2월 6일 (목) 00:20 (KST) == Request to buy book == There is a book I want to buy, but I want to ask first: #Is this book available? #I'm willing to give you people money to buy this in South Korea since I don't have a South Korean phone and thus I can't register an account. Do you guys accept Venmo payments? [https://www.hanauction.com/htm/off_auction_read.htm?id=6593&off_id=35&page=9&ac_num=44&PHPSESSID=69f7e0e46946ba4f2df13a4e2dc69561] [[사용자:Blahhmosh|Blahhmosh]] ([[사용자토론:Blahhmosh|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12:13 (KST) :It was already sold out more than 10 years ago. You already know that copy of this book is available on Nat'l Library of Korea. [[:File:NLK-한古朝46-가2239 竹溪遺稿.pdf]] Is there any particular reason you need an original copy? --[[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19:40 (KST) ::This book is also available for checkout at the [https://clio.columbia.edu/catalog/3791963?counter=1 Columbia University Library], fyi.--[[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19:42 (KST) ::The reason I want another copy is because this copy you posted has many worn out characters, so I need another copy of this book to fill in all the worn out characters with the correct characters @[[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Blahhmosh|Blahhmosh]] ([[사용자토론:Blahhmosh|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5:24 (KST) :::I'll ask the library near where I live if it is possible to borrow or check books.--[[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5:29 (KST) == 관리자 선거 절차 일부 수정 제안 == [[위키문헌토론:관리자 선거 절차#당선자 결정에서의 조건 2 (반대표보다 최소 20표 이상 많은 찬성표) 삭제 제안|위키문헌토론:관리자 선거 절차]]에서 관리자 당선을 결정할 때의 조건 중 하나로 써 있는 "반대표보다 최소 20표 이상 많은 찬성표" 조문을 삭제하면 어떨까 하는 토론을 발제하였습니다. 한 번씩 읽어보시고 의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2월 10일 (월) 02:15 (KST) == 국회회의록 에디터톤 마무리 == 지난 1월 한 달 동안 진행되었던 [[문:국회회의록 에디터톤|국회회의록 에디터톤]]이 마무리되었습니다. 참여자 여러분 덕분에 위키문헌 내부의 문서 보충과 더불어 위키백과 문서와의 연계도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에디터톤 결과는 [[위키문헌:국회회의록 에디터톤/채점표]] 문서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여해 주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 종합 순위 * 1위 (1명): [[사:ZornsLemon|ZornsLemon]] (750,029 바이트) * 2위 (2명): [[사:Aspere|Aspere]] (599,680 바이트), [[사:Raccoon Dog|Raccoon Dog]] (334,597 바이트) * 3위 (1명): [[사:jjw|jjw]] (105,491 바이트) * 한자 서브 챌린지 참여자: [[사:ZornsLemon|ZornsLemon]] (92,683 바이트), [[사:Aspere|Aspere]] (5,573 바이트) ; 주제별 완성한 문서 {| class="wikitable" |- ! 시기·사건 !! 문서 |- | [[:w:대한민국 제헌 헌법|대한민국 제헌 헌법]]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헌/제1회/제2차]]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헌/제1회/제6차]] |- | [[:w:국회 프락치 사건|국회 프락치 사건]]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헌/제3회/제1차]] |- | [[:w:사사오입 개헌|사사오입 개헌]]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3대/제19회/제90차]]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3대/제19회/제91차]] |- | [[:w:4·19 혁명|4·19 혁명]] |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7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8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9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10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11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12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13차]] |- | [[:w:국회 오물투척사건|국회 오물투척사건]]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6대/제58회/제14차]] |- | [[:w:삼선 개헌|삼선 개헌]]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7대/제69회/제3차]] |- | [[:w:김영삼 의원 제명 파동|김영삼 의원 제명 파동]]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10대/제103회/제2차]]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10대/제103회/제5차]] |- | [[:w:박종철 고문치사 사건|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12대/제132회/개회식]] ** [[국회본회의 회의록/제12대/제132회/개회식]] |- | [[:w:이석기 내란 선동 사건|이석기 내란 선동 사건]] | * [[국회본회의 회의록/제19대/제320회/제2차]] |- | [[:w: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 * [[국회본회의 회의록/제22대/제418회/제16차]] * [[국회본회의 회의록/제22대/제419회/제4차]] |}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2월 10일 (월) 14:47 (KST) == 색인 이름공간 == 관련 틀을 수정 중이어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편집 버튼을 누른 후 아무 내용도 수정하지 않고 바로 저장([[w:WP:NULL|Null edit]])하면 정상적으로 표시됩니다. 곧 수정할 예정이오니 양해 부탁드립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2월 23일 (일) 03:10 (KST) [[분류:메시지 전달을 받지 않는 사용자]] == [[위키문헌:저작권 토론]] (가칭) 신설 제안 == 지금 각 문서의 저작권 관련 논의는 각 토론 문서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문서의 내용에 관련한 논의이니 자연스러운 일이긴 하나, 가시성이 너무 떨어져서 정말 "부르지 않으면 모르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의견을 받자고 토론을 여는 것인데 몰라서 의견을 못 남기는 건 좀 역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영어판의 [[:en:Wikisource:Copyright discussions|Wikisource:Copyright discussions]]을 도입하여 이러한 논의를 한 곳으로 모아 진행하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w:백:삭제 토론|위키백과의 삭제 토론]]처럼 관련 논의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장소를 만들어 "부르지 않아도" 토론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좀 더 넓혀보자는 취지입니다. 해당 문서에는 삭제 토론 틀처럼 별도의 틀을 달아 안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해당 문서의 이름은 일단 직역하긴 했는데 어감이 좋은 것 같지는 않아서 더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시면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영어판에서 토론 알림용으로 사용하는 <nowiki>{{</nowiki>[[:en:Template:Copyvio|Copyvio]]<nowiki>}}</nowiki>는 한국어판에 {{틀|저작권 의심}}으로 일단 존재는 하지만 한 번 손봐야 할 것 같습니다. {{핑|Namoroka|ZornsLemon}} 저작권 논의 관련해서 특히 활발히 활동하시는 사용자 분들이라 생각해서 호출드립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9일 (일) 22:08 (KST) :저작권에 대해 잘 아는 건 아니라서 도움이 될지는 모르지만, 좋은 아이디어 같습니다. [[사:ZornsLemon|Z.Lemon]] ([[사토:ZornsLemon|토론]]) 2025년 3월 9일 (일) 22:21 (KST) ::괜찮은 것 같습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12일 (수) 00:52 (KST) {{알림}} [[위키문헌:저작권 토론]] 문서를 생성하였습니다. 이게 토론 활성화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두고 봐야 하겠지만 일단은 시험적인 성격으로 활용해 주셨으면 합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12일 (수) 17:43 (KST) == [[위키문헌토론:저작권 정책#저작권 정책 개정]]에 관하여 == 안녕하세요 여러분. 현재 저작권 정책의 일부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토론을 개설하였습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사:Takipoint123|Takipoint123]] ([[사토:Takipoint123|토론]]) 2025년 3월 13일 (목) 02:30 (KST) == Photocopying Ancient texts in SKY and other universities == Hello. I'm planning on going to South Korea some time in April because some ancient historical texts are stored there that I need to copy. Can you check with me on the photocopying and loaning policies of these universities? I don't speak Korean, so I had a really hard time understanding their photocopying and loaning policies. *https://lib.pusan.ac.kr/ *https://lib.kookmin.ac.kr/ *https://library.history.go.kr/ *https://library.kmu.ac.kr *https://east.skku.edu/ *https://library.korea.ac.kr/ *https://library.sogang.ac.kr/ *https://library.yonsei.ac.kr/ *http://kostma.korea.ac.kr/ *https://library.cnu.ac.kr/ *https://ndlsearch.ndl.go.jp *http://www.library.pref.osaka.jp/site/nakato/english-nakato.html *https://lib.ewha.ac.kr/ *https://dldml2xhd.tistory.com/15920276 *https://lib.snu.ac.kr *https://lib.khu.ac.kr *https://lib.gnu.ac.kr *https://lib.dongguk.edu/search/detail/CATTOT000000239323 *https://www.nfm.go.kr *https://libs.yu.ac.kr/ *https://lib.jnu.ac.kr/ *https://elibrary.wku.ac.kr/ *https://dl.jbnu.ac.kr/ *https://www.gogung.go.kr/ Specifically, I want to see what their policies on scanning ancient historical texts are. I've searched the internet and couldn't find anything related to some of them. [[사:Blahhmosh|Blahhmosh]] ([[사토:Blahhmosh|토론]]) 2025년 3월 23일 (일) 15:02 (KST) :Oh, and one more thing, I'm here because I want to read '''ancient historical texts''', which are obviously very fragile, so do I need special permissions to read these books? And is it possible to scan these books? [[사:Blahhmosh|Blahhmosh]] ([[사토:Blahhmosh|토론]]) 2025년 3월 23일 (일) 15:04 (KST) == 韓語維基文庫《大韓民國憲法》文本之原貌問題及設立大使館頁面之建議 | {{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ruby|本文|본문}}의{{ruby|原型|원형}}{{ruby|問題|문제}}및{{ruby|大使館|대사관}}{{ruby|페이지|page}}{{ruby|設立|설립}}{{ruby|提案|제안}} ==   (本人母語爲漢語而非韓語,韓語文本乃程式翻譯所成,或有錯誤或未臻完善,尚祈海涵。答覆若用漢文(古漢文、今白話文皆可)、英文、德文,則在下能直接讀之;亦歡迎韓文回覆,在下將以翻譯程式讀之。)   (저의{{ruby|母國語|모국어}}는{{ruby|中國語|중국어}}이며{{ruby|韓國語|한국어}}가아닙니다.{{ruby|本|본}}{{ruby|韓國語|한국어}}{{ruby|本文|본문}}는{{ruby|機械|기계}}{{ruby|飜譯|번역}}으로{{ruby|作成|작성}}된것이므로{{ruby|誤謬|오류}}나{{ruby|未洽|미흡}}한{{ruby|部分|부분}}이있을수있습니다.{{ruby|諒解|양해}}부탁드립니다.{{ruby|答辯|답변}}이{{ruby|漢文|한문}}({{ruby|古文|고문}},{{ruby|現代|현대}}{{ruby|白話文|백화문}}모두{{ruby|可能|가능}}),{{ruby|英語|영어}},{{ruby|獨逸語|독일어}}로{{ruby|作成|작성}}될{{ruby|境遇|경우}}저는{{ruby|直接|직접}}읽을수있습니다.{{ruby|韓國語|한국어}}로{{ruby|答辯|답변}}하셔도좋으며,{{ruby|飜譯|번역}}프로그램을통해읽겠습니다.) === 一、《大韓民國憲法》文本之原貌問題 === === {{ruby|一|일}}.《{{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ruby|本文|본문}}의{{ruby|原型|원형}}{{ruby|問題|문제}} ===   考諸韓語維基文庫[[대한민국헌법|大韓民國憲法]]所收錄之文本,皆以純諺文示之。然而,按其歷史,該等憲法原文蓋爲'''漢諺混寫'''。具體情形如下:   {{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의[[대한민국헌법|{{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에{{ruby|收錄|수록}}된{{ruby|本文|본문}}는모두{{ruby|純|순}}한글로만{{ruby|表示|표시}}되어있습니다.그러나그{{ruby|歷史|역사}}에따르면,{{ruby|該當|해당}}{{ruby|憲法|헌법}}의{{ruby|原文|원문}}은{{ruby|大部分|대부분}}'''{{ruby|漢字|한자}}한글{{ruby|混用|혼용}}'''으로{{ruby|作成|작성}}되었을{{ruby|可能性|가능성}}이큽니다.{{ruby|具體的|구체적}}인{{ruby|狀況|상황}}은다음과같습니다: :* '''自一九四八年至一九八七年之十份《大韓民國憲法》''':於韓語維基百科[[대한민국헌법|大韓民國憲法]]分類中所收之文本,悉以'''純諺文'''呈示。然考諸相關資料,當時所定之憲法原文,蓋爲'''漢諺混寫'''。 :* '''{{ruby|一九四八年|일구사팔년}}부터{{ruby|一九八七年|일구팔칠년}}까지의열{{ruby|個|개}}의《{{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百科|백과}}의[[대한민국헌법|{{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ruby|分類|분류}}에{{ruby|收錄|수록}}된{{ruby|本文|본문}}는모두'''{{ruby|純|순}}한글'''로{{ruby|表示|표시}}되어있습니다.그러나{{ruby|關聯|관련}}{{ruby|資料|자료}}에따르면,{{ruby|當時|당시}}{{ruby|制定|제정}}된{{ruby|憲法|헌법}}의{{ruby|原文|원문}}은{{ruby|大槪|대개}}'''{{ruby|漢字|한자}}한글{{ruby|混用|혼용}}'''으로{{ruby|作成|작성}}되었을{{ruby|可能性|가능성}}이큽니다. :* '''一九一九年大韓民國臨時政府之《[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臨時憲章_(1919年) 大韓民國臨時憲章]》與《[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臨時憲法_(1919年) 大韓民國臨時憲法]》''':見於中文維基文庫,未見於韓語維基文庫。此二文本係臨時政府在華所制,或其原文即爲'''漢文''',然具體情形在下難以考定。 :* '''{{ruby|一九一九年|일구일구년}}{{ruby|大韓民國臨時政府|대한민국임시정부}}의《[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臨時憲章_(1919年) {{ruby|大韓民國臨時憲章|대한민국임시헌장}}]》및《[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臨時憲法_(1919年) {{ruby|大韓民國臨時憲法|대한민국임시헌법}}]》''':이는{{ruby|中國語|중국어}}위키{{ruby|文獻|문헌}}에서볼수있으나{{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에는{{ruby|收錄|수록}}되어있지않습니다.이두{{ruby|文書|문서}}는{{ruby|臨時政府|임시정부}}가{{ruby|中國|중국}}에서{{ruby|制定|제정}}한것으로,그{{ruby|原文|원문}}이'''{{ruby|漢文|한문}}'''일{{ruby|可能性|가능성}}이있으나{{ruby|具體的|구체적}}인{{ruby|狀況|상황}}은제가{{ruby|確認|확인}}할수없습니다.   按中文維基文庫所錄,'''一九八七年現行本'''《[[s:zh:大韓民國憲法|大韓民國憲法]]》備有漢語翻譯及漢諺混寫原文,而'''一九四八年本'''《[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憲法_(1948年) 大韓民國憲法]》僅見中文翻譯,而無原文。至於'''一九一九年臨時政府之兩文本''',則僅有中文譯本,未詳其原文爲韓文抑或漢文。   {{ruby|中國語|중국어}}위키{{ruby|文獻|문헌}}에{{ruby|收錄|수록}}된{{ruby|資料|자료}}에따르면,'''{{ruby|一九八七年|일구팔칠년}}{{ruby|現行本|현행본}}'''《[[s:zh:大韓民國憲法|{{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은{{ruby|漢字|한자}}{{ruby|飜譯|번역}}및{{ruby|漢字|한자}}한글{{ruby|混用|혼용}}{{ruby|原文|원문}}이{{ruby|包含|포함}}되어있고,'''{{ruby|一九四八年本|일구사팔년본}}'''《[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憲法_(1948年) {{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은{{ruby|中國語|중국어}}{{ruby|飜譯|번역}}만있고{{ruby|原文|원문}}은{{ruby|包含|포함}}되어있지않습니다.또한,'''{{ruby|一九一九年|일구일구년}}{{ruby|臨時政府|임시정부}}의두{{ruby|文書|문서}}'''역시{{ruby|中國語|중국어}}{{ruby|飜譯|번역}}만있고{{ruby|原文|원문}}이{{ruby|韓國語|한국어}}인지{{ruby|漢文|한문}}인지{{ruby|明確|명확}}하지않습니다.   據此推想,自一九四八年至一九八七年之各版本,皆應以'''漢諺混寫'''爲原文。今韓語維基文庫所存者純以諺文示之,或非原貌。   이에비추어보면,{{ruby|一九四八年|일구사팔년}}부터{{ruby|一九八七年|일구팔칠년}}까지의모든버전은'''{{ruby|漢字|한자}}한글{{ruby|混用|혼용}}'''으로{{ruby|作成|작성}}되었을{{ruby|可能性|가능성}}이큽니다.{{ruby|現在|현재}}{{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에있는{{ruby|텍스트|rext}}는{{ruby|純|순}}한글로만{{ruby|表示|표시}}되어있어{{ruby|原型|원형}}을{{ruby|完全|완전}}히{{ruby|反映|반영}}하지못하고있을수있습니다.   是以建議:   따라서다음과같은{{ruby|提案|제안}}을드립니다: :* '''於韓語維基文庫[[대한민국헌법|大韓民國憲法]]分類下,補全各版本憲法之原始漢諺混寫文本,並明示其爲原始文獻。''' :* '''{{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의[[대한민국헌법|{{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ruby|分類|분류}}하에{{ruby|各|각}}버전의{{ruby|憲法|헌법}}의{{ruby|原來|원래}}{{ruby|漢字|한자}}한글{{ruby|混用|혼용}}{{ruby|本文|본문}}를{{ruby|補完|보완}}하고,이를{{ruby|原文|원문}}으로{{ruby|明示|명시}}하십시오.''' :* '''如一九一九年臨時政府之憲章及憲法原文爲漢文,則亦宜補錄考定並註明為原始文獻。''' :* '''{{ruby|萬若|만약}}{{ruby|一九一九年|일구일구년}}{{ruby|臨時政府|임시정부}}의{{ruby|憲章|헌장}}및{{ruby|憲法|헌법}}의{{ruby|原文|원문}}이{{ruby|漢文|한문}}이라면,이를{{ruby|調査|조사}}하여{{ruby|原文|원문}}으로{{ruby|追加|추가}}하고{{ruby|原本|원본}}{{ruby|資料|자료}}임을{{ruby|明示|명시}}하십시오.''' === 二、設立大使館頁面之建議 === === {{ruby|二|이}}.{{ruby|大使館|대사관}}{{ruby|페이지|page}}{{ruby|設立|설립}}{{ruby|提案|제안}} ===   各語言之維基文庫,多於社群入口設立'''大使館'''頁面,以便非該語言之使用者得以溝通聯繫。例如:   여러{{ruby|言語|언어}}의위키{{ruby|文獻|문헌}}에서는{{ruby|大槪|대개}}{{ruby|使用者|사용자}}커뮤니티의{{ruby|入口|입구}}에'''{{ruby|大使館|대사관}}'''{{ruby|페이지|page}}를{{ruby|設定|설정}}하여그{{ruby|言語|언어}}를모르는{{ruby|使用者|사용자}}도{{ruby|連絡|연락}}하고{{ruby|疏通|소통}}할수있도록하고있습니다.{{ruby|例|예}}를들어: :* '''[https://zh.wikisource.org/wiki/Wikisource:大使館 中文維基文庫大使館]''':提供官話白話文外十五種語文之導引,且於[https://zh.wikisource.org/wiki/社群主頁 社群主頁]設有英語入口,便於搜尋。 :* '''[https://zh.wikisource.org/wiki/Wikisource:大使館 {{ruby|中國語|중국어}}위키{{ruby|文獻|문헌}}{{ruby|大使館|대사관}}]''':{{ruby|官話|관화}}{{ruby|白話文|백화문}}외에도{{ruby|十五個|십오개}}{{ruby|言語|언어}}로{{ruby|案內|안내}}를{{ruby|提供|제공}}하며,[https://zh.wikisource.org/wiki/社群主頁 {{ruby|使用者|사용자}}모임]{{ruby|페이지|page}}에{{ruby|英語|영어}}로된{{ruby|入口|입구}}가있어{{ruby|檢索|검색}}이{{ruby|容易|용이}}합니다.   然本人於嘗試聯繫韓語維基文庫社群時,未能於社群主頁或其他入口見設大使館頁面。爲促進跨語言交流與合作,故建議:   그러나제가{{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ruby|使用者|사용자}}모임와{{ruby|連絡|연락}}을{{ruby|試圖|시도}}했을때,커뮤니티{{ruby|主要|주요}}{{ruby|페이지|page}}나다른{{ruby|入口|입구}}에서{{ruby|大使館|대사관}}{{ruby|페이지|page}}를찾을수없었습니다.{{ruby|言語間|언어간}}{{ruby|疏通|소통}}과{{ruby|協力|협력}}을{{ruby|促進|촉진}}하기위해,다음과같은{{ruby|提案|제안}}을드립니다: :* '''於韓語維基文庫設立大使館頁面,並以主要國際語言(如英語、漢語等)標示聯繫方法,以便異語使用者能通暢聯絡。''' :* '''{{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에{{ruby|大使館|대사관}}{{ruby|페이지|page}}를{{ruby|設立|설립}}하고,{{ruby|主要|주요}}{{ruby|國際|국제}}{{ruby|言語|언어}}(例:{{ruby|英語|영어}},{{ruby|中國語|중국어}}등)로{{ruby|連絡|연락}}{{ruby|方法|방법}}을{{ruby|表示|표시}}하여다른{{ruby|言語|언어}}{{ruby|使用者|사용자}}들이{{ruby|圓滑|원활}}히{{ruby|連絡|연락}}할수있도록하십시오.'''   謹此奉陳,並頌 文祺。   {{ruby|謹呈|근정}}합니다. {{ruby|文運|문운}}을기원합니다. ::::[[사:Xsgzjmxs|Xsgzjmxs]] ([[사토:Xsgzjmxs|토론]]) 2025년 4월 3일 (목) 15:28 (KST) :{{답장|Xsgzjmxs}}, [[:zh:大韓民國臨時憲章 (1919年)]]와 [[:zh:大韓民國臨時憲法 (1919年)]]는 중국어 번역문이며, 당시 실제 원문은 말씀하신대로 국한문혼용의 한국어로 기재되어 있는 것이 맞습니다. 두 문서는 [[대한민국임시헌장 (제1호)]] 및 [[대한민국임시헌법 (제2호)]]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대한민국임시헌법 (제2호)]]의 경우 순한글로만 기록되어 있어 수정이 필요해 보이네요. [https://db.history.go.kr/modern/level.do?levelId=ij_001_0010_00010] [https://db.history.go.kr/modern/level.do?levelId=ij_001_0010_00020] / 대사관은 다른 사용자들의 의견이 있으면 있어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4월 3일 (목) 21:47 (KST) :예를 들어 [[대한민국헌법 (제1호) 국한문]]에 국한문 제헌헌법을 올려두었습니다. [[사:ZornsLemon|Z.Lemon]] ([[사토:ZornsLemon|토론]]) 2025년 4월 3일 (목) 22:21 (KST) :: 有勞相助,甚爲感念!<br>  援助을주심에깊이感謝드립니다. ::   另有一事欲就教於君:竊以爲《大韓民國憲法》(第一號)之[[대한민국헌법 (제1호) 국한문|漢諺混寫本]]與[[대한민국헌법_(제1호)|純諺文本]]實係同一文本,並無實質差異,故其於維基文庫之編排,或可共列於一頁之中,且陳明以漢諺混寫者爲原文,純諺文者爲其對應之譯本。如此編次,不惟便於讀者參照比較,亦可避免彼此分置而互無指引之弊。蓋若分頁而置,且不設標示,則閱者或見其一而不知其二,未免有所遺闕。<br>  또한가지아뢰고자하는바가있습니다:思索건대《大韓民國憲法》(第一號)의[[대한민국헌법 (제1호) 국한문|漢字한글混用本]]과[[대한민국헌법_(제1호)|純粹한글本]]은實質的으로同一한文獻으로,內容上別다른差異는없사온즉,維基文獻에서는兩本文을一페이지에倂記하고,混用本을原文으로삼아純한글本을그對應飜譯으로明記함이어떨까합니다.이와같이編輯한다면,讀者가兩本을對照해읽기에容易할뿐만아니라,兩本을따로이配置하되서로간아무런案內도없을境遇,한쪽만보고他쪽의存在를알지못하게되는弊端도막을수있으리라思料됩니다. ::   又據《大韓民國憲法》(第一號)[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e/2007_11_25_WarMemorial_120.JPG 實物照片],觀其版面所用空格分詞,與今行標準略有不同。譬如首頁一段,原應爲:<br>  아울러《大韓民國憲法》(第一號)[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e/2007_11_25_WarMemorial_120.JPG 實物寫眞]에따르면,그紙面에使用된空白區分方式은現行表記基準과다소差異가있사옵니다.例컨대初頁의本文은다음과같이되어야할것입니다: :: :: [[파일:2007 11 25 WarMemorial 120.JPG|섬네일|《大韓民國憲法》(第一號)實物寫眞]] :: :: ::::  大韓民國憲法 ::::   前 文 :::: 悠久한歷史와傳統에빛나는 우리들大韓國民은 己未三一運動으로大韓民國을建立하여 世界에宣布한偉大한獨立精神을繼承하여 이제民主獨立國家를再建함에있어서 正義人道와同胞愛로써民族의團結을鞏固히하며 모든社會的弊習을打破하고 民主主義諸制度를樹立하여政治、經濟、社會、文化의모든領域에있어서各人의機會를均等히하고 能力을最高度로發揮케하며 各人의責任과義務를完遂⋯⋯ :: ::   依此觀之,維基文庫之錄文,或應如實反映原始版本之格式,庶幾尊重史實,保存原貌。誠願編輯諸君詳察之。<br>  이와같이살펴볼때,위키文獻의收錄文은原本의形式을忠實히反映함이마땅할것이며,그리함으로써歷史的事實을尊重하고元來의面貌를保存하는데에도貢獻할수있으리라信합니다.
바라건대編輯에關係되신여러先生님들께서깊이살펴주시기를仰望하옵니다. :: 
  順頌<br>時綏。 :: [[사:Xsgzjmxs|Xsgzjmxs]] ([[사토:Xsgzjmxs|토론]]) 2025년 4월 11일 (금) 10:12 (KST) == Digital Librar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on Wikimedia Commons == [[c:Category:Books_in_the_Digital_Library_of_the_National_Library_of_Korea]] [[사:維基小霸王|維基小霸王]] ([[사토:維基小霸王|토론]]) 2025년 5월 20일 (화) 20:38 (KST) == 한국 저작권 틀 개정 관련 == * [[틀:PD-대한민국/연습장|틀:PD-대한민국]] ([[commons:Template:PD-South Korea|Template:PD-South Korea]]) * [[틀:PD-대한민국-법인/연습장|틀:PD-대한민국-법인]] ([[commons:Template:PD-South Korea-organization|Template:PD-South Korea-organization]]) → 기존의 [[틀:PD-대한민국-업무상]] * [[틀:PD-대한민국-무명/연습장|틀:PD-대한민국-무명]] ([[commons:Template:PD-South Korea-anon|Template:PD-South Korea-anon]]) * [[틀:PD-대한민국-비보호/연습장|틀:PD-대한민국-비보호]] ([[commons:Template:PD-South Korea-exempt|Template:PD-South Korea-exempt]]) → 기존의 [[틀:PD-대한민국]] 한국 저작권 틀을 공용에 맞추어 개정하려고 하는데 이름을 정하는데 있어서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명칭을 "PD-대한민국"과 "PD-South Korea"와 같이 한글과 영문 중 무엇으로 해야할지 정하지 못하였습니다. [[위키문헌:사랑방#저작권 틀의 번역명]]에서 이미 영문명으로 사용했으면 좋겠다고 의견을 남기긴 하였는데, [[틀:PD-대한민국]]의 경우 거의 만 개에 가까운 문서에 사용 중이어서 영향이 클 것 같아 한 번 더 여쭤봅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6월 8일 (일) 20:22 (KST) :저도 통일성 등을 생각해 영문으로 통일하는 쪽에 동의합니다. 다만 아무래도 틀 이름이 영어로만 되어 있으면 접근성이 낮아질 테니 한국어로 된 넘겨주기도 일일이 다 만들어두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6월 8일 (일) 21:32 (KST) == [[미디어위키:Edittools]] 내 문자 추가 관련 의견 조사 == [[미디어위키:Edittools]](데스크톱 편집창 기준, 편집창 하단에 표시되는 문자 모음)에 반복 기호(々나 〻)처럼 문헌 편집 시 자주 사용하는 문자를 넣으면 어떨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일단 제가 생각하기로는 다음 문자들을 넣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반복 기호 (々 및 〻) * 일부 괄호 기호 (〔, 〕, 【, 】)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또 추가할 만한 문자가 있는지 의견이 있으시다면 말씀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또한 너무 복잡해진다면 안 쓰는 기호를 빼 버려도 좋다고 생각은 하는데, 쓰고 계신 분이 계실지를 모르다 보니 그건 좀 조심스럽네요.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6월 28일 (토) 14:59 (KST) 1jjsrn2wzhf4ciir4ikm2u3he2uhgw4 392727 392724 2025-06-28T06:40:36Z Aspere 5453 /* 미디어위키:Edittools 내 문자 추가 관련 의견 조사 */ 답변 392727 wikitext text/x-wiki {{절차 머리말 | 제목 = 사랑방 | 부제 = | 이전 = | 다음 = | 단축 = 문:사 | 설명 = 사랑방은 위키문헌 공동체의 토론 문서입니다. 자유롭게 질문하거나 의견을 남겨 주세요. 기존 토론에 참여하거나 [{{SERVER}}{{localurl:{{NAMESPACE}}:{{BASEPAGENAME}}|action=edit&section=new}} 새 문단을 만들어서] 참여하시면 됩니다. 위키미디어 재단 등의 소식은 [[위키문헌:소식지|소식지]] 문서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관리 등 [[문:관리자|관리자]]가 필요한 요청의 경우 [[문:관리자 게시판|관리자 게시판]]을 이용하면 더 빠를 수 있습니다. }} {{/안내문}} == 대문 개선에 관한 의견 수렴 == 현재의 대문이 굉장히 오래 된 것도 맞고 현실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내용도 없다는 의견을 많이 받아, 대문의 모습과 내용을 일부 바꿔 보았습니다. * [[사용자:Aspere/대문 초안]] 현재 대문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변경하였습니다. * 최상단 오른쪽의 링크 일부 수정 * 위키문헌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 삽입 * "둘러보기"에 분류와 더불어 대표적인 포털을 삽입 ** 제대로 정비된 포털 자체가 많지 않아 그나마 단기간에 발전시킬 수 있을 만한 포털을 중심으로 삽입하였습니다. 대표 이미지 또한 완벽하지 않으며 바뀔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문헌 몇 개를 선정해 "추천 문헌" 란 제작 ** 마찬가지로 포함된 문헌 자체는 바꿀 여지가 있습니다. * 거의 유지관리가 되지 않는 "특집 기사", "오늘의 역사", "하이라이트" 항목 삭제 한 번씩 보시고 드시는 감상이나 의견을 말씀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둘러보기"나 "추천 문헌"에 어떤 것이 들어가면 좋겠다는 간단한 것도 환영합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3일 (금) 19:57 (KST) :소개 부분이 조금 길고 여백이 많은 것 같습니다. 또한 각 항목간의 여백이 일정치 않습니다. "위키문헌이란" 항목의 제일 밑 부분은 여백이 없는데 "진행중인 공동 작업"과 "새로 올라온 문헌"에는 여백이 있고요. 주제별 색인에서 그림은 가운데 정렬을 하거나 기본 갤러리 기능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그림을 표현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조선노동당"이 들어가 있는 이유는 잘 모르겠네요. 또한 추천 문헌에서 훈민정음 그림과 하단의 "숙종의 한글편지", "개벽/1923년 2월/님의 노래" 부분이 서로 조화가 안 되는 것 같습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7일 (화) 19:04 (KST) ::여백은 기기 환경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는 만큼 정확히 일치시키기가 어렵습니다. 타 언어판 대문을 보시더라도 좌우 불균형이 거의 기본일 정도입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일부러 여백이 많아 보이게끔 배치한 게 맞습니다 (현재 대문이 너무 빡빡하다는 지적을 몇 번 받아서). 포털도 마찬가지로 강제로 가운데 정렬시키면 환경에 따라 깨지기 때문에 기본 정렬로 놔둔 것입니다. ::또한 추천 문헌의 위아래 부분은 전혀 다른 부분인데 둘 사이가 조화되지 않는다는 말씀이 무엇을 말씀하시고자 하는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디자인적으로 어울리지 않는다는 말씀이신가요, 아니면 내용상으로 어울리지 않는다는 말씀이신가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7일 (화) 19:23 (KST) :::여백을 일부로 의도하신거라면 이해하겠습니다. 훈민정음만 왜 우측에 따로 나와있는지 모르겠다는 의미였습니다. 또한 와이드스크린으로 보면 <code><nowiki>----</nowiki></code>로 구분된 부분이 훈민정음 그림의 좌측으로 올라와 보기 좋지가 않습니다. 벡터 2022가 아니라 기존 벡터 스킨을 쓰시면 바로 확인이 되겠네요. [https://imgdb.in/mnIc 그림 링크]--[[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24 (KST) ::::{{핑|Namoroka}} 그림 남겨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사실 지금 문제 확인이 안 되서 가지고 있는 모든 모니터를 다 꺼내오고 있었던 중이었는데... 일단 오른쪽 먹는 문제는 {{틀|clear}}를 넣어 봤습니다. 제가 레거시벡터를 거의 안 써서 저게 넘어간다고 인지를 못 했네요. (제가 주로 쓰는 모니터에서도 우연의 일치로 레거시벡터에서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그림에 생기는 여백 문제는 틀을 가져온 [[:ja:|일본어판 대문]]에도 확인해보니 그대로 나타나고 있었습니다. 저 정도로 여백이 크게 나타난다면 확실히 고치긴 해야 한다는 것에는 공감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고칠지 당장은 생각이 안 나네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42 (KST) :::::"위키문헌이란"의 윗부분과 "새로 올라온 문헌"의 윗부분의 여백도 아~주 미묘하게 여백이 다르네요. 해당 부분의 margin을 %가 아닌 em으로 지정하면 문제가 안 발생할 것 같습니다. 다른 부분에서도 margin을 1% 1% 1% 0로 정의했다가 같은 줄에서 1em 0로 지정하는 등 중복되는 부분이 많아 보입니다. 이러면 가장 마지막에 지정한 margin만 적용되는것 아닌가요? / 그리고 그림이 8개가 있으면 좁은 스크린에서, 적어도 벡터 2022에서는 그림이 3개/3개/2개 이런식으로 표시되는데 그러면 좌우를 비교했을 때 우측에 빈 공간이 너무 많이 남지 않는가요?--[[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48 (KST) ::::::일단 그림은 [[특:차이/349148|center 태그를 강제로 넣으면]] 가운데로 가기는 합니다. (이게 더 보기 좋은지 확신이 안 서서 원래대로 되돌려놓기는 했습니다만) 그리고 표시되는 그림 개수 자체는 화면의 좌우폭에 따라 자동으로 되는 거라 신벡터 스킨 자체의 문제는 아닙니다. (저는 6개 / 2개로 나옵니다) 남는 폭이 애매하게 그림 하나가 안 되면 그렇게 되는 것 같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53 (KST) :::::::<code><nowiki><gallery align="center"></nowiki></code>은 잘못된 코드 같고, <code><nowiki><center><gallery align="center"></nowiki></code> 대신 <code><nowiki><gallery style="text-align:center"></nowiki></code> 이게 맞을 듯 싶습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01 (KST) :::::::<code><nowiki><gallery class="center"></nowiki></code>가 있네요. 아니면 <code><nowiki><gallery mode=packed></nowiki></code>나 <code><nowiki><gallery mode=packed-hover></nowiki></code>는 어떠신지요.--[[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14 (KST) :::::::추가로 만약에 packed를 쓰거나, 쓰지 않더라도 대문에 병렬되어 표시되는 그림은 가로세로 비율이 똑같이 나오도록 나중에 자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23 (KST)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자르는 거야 어렵지 않고 여차하면 대문 용도로 문헌에 로컬 업로드도 해버리면 되니까요. 사진은 그래도 조금 더 어울리는 게 있을지 한번 더 찾아본 다음 잘라보겠습니다. ::::::::일단은 packed-hover가 제일 나은 것 같아서 그걸로 해 두긴 했습니다. 이런 게 있는지도 몰랐는데 많이 배워가네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34 (KST) ::::::그리고 좌우 높이가 약간 다른 건 말슴하신 대로 퍼센트 빼니까 동일하게 보입니다. 일단 제가 가지고 있는 모니터 상으로는 동일하게 나오는데 혹시 또 문제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35 (KST) :::::::그림에서 packed를 쓸지 말지는, 취향 차이인 듯 싶으니 이건 다른 사용자분들도 보시고 의견을 달아주셨으면 좋겠네요.--[[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8일 (수) 22:38 (KST) 오래된 토론이긴 한데 어떻게든 결론을 내놓는 것이 나을 것 같아서 일부 수정점을 남기겠습니다. 사용하는 파일들을 1:1 비율이 되게끔 잘라 로컬에 업로드해 두었습니다 (보호는 아직 안 걸었습니다). 조선노동당 포털은 제가 저것까지 정비할 자신이 없어서 그냥 과감하게 날려버렸습니다. 이 이외에 특별히 변경한 것은 없습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19일 (수) 15:53 (KST) :{{핑|Namoroka}} 토론에 참여해주신 다른 분이 안 계셔서 연락드립니다. 제 생각에는 이 정도로 일단 도입해봐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조금 더 다듬을 만한 게 있을지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19일 (수) 15:53 (KST) ::저는 큰 이의가 없습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19일 (수) 18:30 (KST) {{알림}} 대문을 수정하였습니다. 아마 문제가 없으리라고 99% 정도 확신하긴 하는데...혹시 뭔가 잘못되어 있으면 주저 말고 말씀해 주세요.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22:24 (KST) == 저작권 틀의 번역명 == 저작권 틀의 명칭이 {{틀|PD-미국}}과 같이 한국어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저는 이를 모두 다른 언어판에 맞춰 영어식으로 바꾸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해당 틀은 미국 연방 정부의 작품만 해당하는데 이름은 그냥 "미국"이라고만 말하고 있습니다. 원래 이름은 PD-USGov이고요. 해당 틀들을 모두 PD-미국-정부 이런 식으로 번역하는 수고를 할 것이 아닌 이상, 다른 언어판이나 공용에서 부르는 이름을 그대로 카피해 오는게 훨씬 수월합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03:18 (KST) :틀이 전체적으로 굉장히 오래전에 만들어진 것이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틀 내용이 오래 된 경우도 많고요. 어차피 넘겨주기를 남겨두면 괜찮을 테니 과감히 바꾸셔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03:25 (KST) == 초안 이름공간 도입 제안 == 현재 위키문헌에는 등재 기준 자체는 충족하는 것으로 보이나 문서의 상태가 너무 좋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90마745]] 문서나 [[71다2016]] 같이 봇으로 긁어온 판례 문서, [[분석심리학 논문집/Chapter2]]와 같이 번역되지 않고 방치된 문서,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 같이 대체 어디서 온 건지 모르겠는 경우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또 문서 품질이 안 좋다고 지우는 것은 점차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라는 위키미디어 운동의 취지 자체에 반하는 것이어서 손을 대지는 못 하고 있습니다. 차라리 그래서 [[w:위키백과:초안|위키백과의 초안 이름공간]]을 동일하게 도입해서 이러한 문서를 따로 격리해 놓는 것은 어떨까 제안해봅니다. 저품질 문서가 표시된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 참여에 의한 문서 개선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입니다. 이에 관하여 여러분의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3일 (월) 16:47 (KST) :{{찬성}}: 동의합니다. [[사용자:Korbine287|Korbine287]] ([[사용자토론:Korbine287|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17:03 (KST) :{{찬성}} --[[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22:01 (KST) {{알림}} 지침화를 위해 [[위키문헌:초안]] 문서를 생성하였습니다. 위키백과의 해당 문서를 들고 온 다음 위키문헌 실정에 맞게 약간 수정해 주었는데, 어색한 부분이 보이신다면 자유로운 수정 부탁드립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9일 (일) 17:45 (KST) * 초안 이름공간의 설정은 제안문의 "위키백과의 초안 이름공간을 동일하게 도입"이라는 문구에 따라 한국어 위키백과의 설정과 동일하게 도입하도록 조정되었습니다. 특기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초안 이름공간의 영어 넘겨주기 (<code>Draft</code>-><code>초안</code>, <code>Draft_talk</code>-><code>초안토론</code>)가 설정됩니다. ** 초안 이름공간의 내용은 검색엔진의 수집을 거부하도록 설정됩니다. ** 위 검색엔진의 수집 거부는 <code><nowiki>__INDEX__</nowiki></code> [[:mw:Help:Magic words#Behavior switches|매직 워드]]를 무시합니다. (초안 이름공간의 특정 문서만 검색엔진이 수집하도록 설정할 수 없습니다.) ** 초안 이름공간에서도 시각편집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regards, [[User:-revi|<span style="color:green;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Revi</span>]] 2025년 1월 30일 (목) 22:41 (KST) :: 이 기능은 한국시간으로 다음 주 화요일 (2월 4일) 23시를 전후하여 적용될 예정입니다. (목요일 (UTC) 재단 패치 업데이트: 한국시간 금요일 오전 6시라서 무리, 금요일 (UTC)에는 패치 업데이트는 긴급상황에만 가능, 다음주 월요일은 제가 바빠서...) — regards, [[User:-revi|<span style="color:green;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Revi</span>]] 2025년 1월 30일 (목) 22:48 (KST) == [[틀:번역 미완료]] 삭제 제안 == 해당 틀이 저작권적으로 모호한 면이 많고 최대한 자유로운 사용을 보장해야 한다는 위키미디어 운동 자체의 취지와 맞지 않다고 생각하는 바, {{틀|번역 미완료}} 틀을 삭제하고 전부 {{틀|GFDL/CC-BY-SA-4.0}} 틀로 교체할 것을 제안합니다. # 완성되지 않은 문서의 저작권을 판단할 수 없게끔 하는 구조 #* 위키문헌에 있는 모든 문서는 최소한 {{틀|GFDL/CC-BY-SA-4.0}} 라이선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것보다 더 풀어질 수는 있지만 더 좁혀질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특별히 라이선스를 정한 것이 아니라면 {{틀|GFDL/CC-BY-SA-4.0}} 라이선스를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 문서가 미완성인 경우에도 이 라이선스 규칙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그런데 해당 틀의 내용은 "미완성 상태이기 때문에 쓰지 말고 기다려봐라" 라는 내용에 가깝습니다. 이는 문서 기여의 근본적 취지와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문서를 완성해야만 자유 저작물이 된다고 보는 것도 이상하고요. # 저작권 결정권을 "번역을 완성한 사용자"에게 주는 시스템 자체의 의문 #* 위키문헌은 그 특성 상 여러 명이 기여하며, 저작권 정책에 따라 문서에 기여한 부분에 대한 저작권은 개인이 가지나 문서 전체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기여자가 문서 전체에 대한 라이선스를 결정"하는 것 자체가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 만약 기여자가 여러 명인데 각자 사용하고자 하는 라이선스가 다른 경우에 부분별로 라이선스를 나눠서 표시할 수도 없을 것이고, 한 사용자가 CC-BY-SA를 주장하는 부분을 다른 사용자가 편집한 다음 "나는 퍼블릭으로 배포하겠다"라고 하면 이것을 저작권 침해로 봐야 하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원래대로라면 해당 틀을 사용한 문서의 주기여자 모두에게 연락을 넣어야 하겠으나, 현실적으로 이 틀을 사용하는 문서는 오래 전 미완료 상태로 방치된 문서인 경우가 많아 현실적으로 연락이 닿을 가능성도 낮을 것 같고, {{틀|GFDL/CC-BY-SA-4.0}}와 호환되지 않는 라이선스를 주장하며 위키문헌에 올렸을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어렵습니다 (만약 그럴 경우 삭제 대상입니다). 따라서 현재 사용자분들의 총의만으로 결정해도 괜찮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관련해서 여러분의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20:47 (KST) :동의합니다. 저장하기를 누른 그 순간 GFDL/CC-BY-SA-4.0로 배포하는 것을 허락한 것입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14:03 (KST) {{알림}} 장기간 새로운 의견 제시가 없어 총의가 형성되었다고 보고, {{틀|번역 미완료}}를 {{틀|GFDL/CC-BY-SA-4.0}}으로 치환한 다음 해당 틀을 삭제하겠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21:09 (KST) == what is this word? == {{토론 이동|위키문헌:질문방#what is this word?}} == What is this word? == {{토론 이동|위키문헌:질문방#What is this word?_2}} == What is this word? == {{토론 이동|위키문헌:질문방#What is this word?_3}} == [[틀:판독 불가]] 개편 알림 == {{틀|판독 불가}} 틀을 한국어 위키문헌 실정에 맞게 '□' 기호를 표시하게끔 변경하였습니다. 틀을 이용하면 추적이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으므로, 앞으로 작업하시는 분들께서는 수동으로 '□' 기호를 입력하기보다는 해당 틀을 사용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넘겨주기인 {{틀|?}}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7일 (금) 10:50 (KST) :영어판과 틀 구성이 조금 다른데, {{틀|판독 불가}}는 한 글자에만 사용하고 {{틀|미판독 문자}}는 두 글자 이상에 사용하는 것이 맞을까요? ::그 틀도 따로 있다는 걸 까먹고 있었네요. 일단 역할이 동일하니 넘겨주기 처리하겠습니다. 지금 외출 중이어서 정리 작업은 조금만 있다가 하겠습니다.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18일 (토) 17:25 (KST) == "해석" 이름공간 도입 제안 == 현재 많은 문서에 케이스 바이 케이스식으로 수록되어 있는 "해석문"(번역이 아님)을 수록하기 위하여 "해석:" 이름공간을 새롭게 만들 것을 제안합니다. ; 생성 필요 이유에 관한 설명 # 통일되지 않은 방식: 여러분이 이미 잘 아시는 것처럼, 현재 있는 문서들에는 해석이 중구난방으로 달려 있습니다. 방식도 통일되어 있지 않고 극단적으로 해석이 원문처럼 둔갑한 경우도 많습니다. #* 현재 방식의 문제는 [[위키문헌토론:한문 해석문의 수록|한문 해석문의 수록 지침 도입 토론]]에 자세히 정리해 둔 것이 있습니다. #* 통일안으로 만들어진 한문 해석문 지침의 경우, 틀 사용 방식이 어렵기도 하고 "한문은 아닌데 해석문이긴 한 경우"를 전혀 커버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 번역 이름공간으로 대체 불가: [[번역:언간독]]과 같은 경우, 한문도 아니고 원문([[언간독]])은 분명 한국어이기 때문에 "번역"이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해석은 등재해주고 싶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 추가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 # 명확한 구분: 위키문헌은 근본적으로 '''원문을 수록하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 마음대로 해석문을 만들면 안 됩니다. 이것이 너무 가혹한 정책이기 때문에 만들어진 것이 "번역" 이름공간이고요. 현재 "해석문"은 번역도 아니고 그렇다고 원문도 아닌 애매한 상태이나, "번역" 이름공간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이름공간을 주는 것이 매 번 제기되는 "취지에 맞지 않는다"라는 의견을 수용하면서도 해석문의 작성을 가능하게끔 하는 방식이 될 수 있습니다. #* 번역 이름공간과의 구분: 전 지침에서 지적한 것과 같이 "한문은 엄연한 의미에서는 한국어이다"라는 문제를 해소해 줄 수 있습니다. # 활동 장려: 해석문을 만드는 방식으로 위키문헌에 기여하고자 하는 분들께는 어떤 방식으로 활동하면 되는지 더 명확해지는 것인 만큼, 이를 매개로 해석 활동을 하고 싶은 사용자를 모을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 문서 간의 관계 정리: 해석이라기보다는 한자 독음만 적는 경우([[대한민국헌법]]과 [[대한민국헌법 (한자혼용)]]의 관계 등)까지도 포함하면 문서 간의 관계를 더 구조적으로 정비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해석이 있다는 것도 모를 수도 있지만 아에 이름공간으로 정비해 버리면 서로 연관지어주기 더 쉬우리라고 생각합니다. # 정확한 원문 / 이해가 쉬운 텍스트의 동시 제공: 원문에 한자음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 이해를 위해 편집자가 임의로 적어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엄연한 의미에서 원문 훼손인 만큼, 이럴 때 해석 이름공간을 이용하면 확실히 원문은 원문대로, 해석은 해석대로 분리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름공간 번호는 (큰 상관은 없으나) 112(해석)와 113(해석토론)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냥 번역 이름공간이 114-115번이어서 임의로 생각해낸 번호입니다. 또한 일반-해석 사이의 연결은 밑에서 제안하는 것처럼 스크립트를 이용한 버튼 사용을 제가 제안하고는 있지만, 꼭 이래야 하는 것은 아니고 그냥 단순히 상단에 틀을 붙이는 정도로 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해석 이름공간을 실제로 도입한다면 지금까지의 편집 지침·경향·관행을 뜯어고쳐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만큼 꼭 한 마디씩이라도 의견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8:31 (KST) :{{찬성}} 아무래도 지금 규칙을 만들어두는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것보다는 유비무환이 더 좋다고 보는 입장이라서요. [[사용자:NZ 토끼들|NZ 토끼들]] ([[사용자토론:NZ 토끼들|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8:36 (KST) :번역 이름공간만을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고 생각하므로 새로운 이름 공간을 도입하자는 의견에 찬성합니다. [[사용자:Respice post te|Respice post te]] ([[사용자토론:Respice post te|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9:12 (KST) :{{찬성}} 찬성합니다. -- [[사용자:Jjw|Jjw]] ([[사용자토론:Jjw|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9:54 (KST) :{{찬성}} 개인적으로는 중국어 위키백과의 간체자-정체자 변환처럼 한자를 1:1 단순 대응하는 것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는데, 이러한 방식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다만 여전히 의미가 조금 헷갈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저는 고대 또는 중세 한국어를 현대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해석과 번역이 개념상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고대 그리스어를 현대 그리스어로 옮겨도 여전히 "번역"의 개념에 들어가는 것이 아닐련지요? 번역 이름공간을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가 있는지요? [[위키문헌:한문 해석문의 수록]] 생성 당시에 토론에 참여하지 않아서 잘 모르겠네요.--[[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18:21 (KST) ::또한 여전히 해석이나 번역을 사용하더라도 여전히 교정 기능을 사용하였으면 좋겠습니다. 예시 [[:en:Page:รัฐธรรมนูญ (ฉบับชั่วคราว) ๒๕๕๗ (๒) ๒๕๕๙.pdf/1]]--[[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18:22 (KST) ::: 이 모든 문제는 근본적으로 "한문"과 "중국어"의 경계가 불명확해서 생깁니다. 한문이라고 하나로 이야기하긴 하지만 단어만 한자로 쓰는 경우("한국식 한문")부터 중국어로 번역한 것이나 다름없는 수준까지 넓게 분포하기 때문에 어디까지 한국어의 변형인지, 어디부터 중국어인지 선을 긋기가 어려우니까요. [[위키문헌:사랑방/보존 4#한문으로 되어 있는 원문 텍스트의 이동 제안|실제로 과거 토론에서도 관련한 문제가 논의된 적도 있습니다]]. 이런 문제로 인해 한문은 "번역", "해석", "풀이" 등 온갖 용어가 섞여 사용되긴 하는데, 저번에 총의를 수렴할 때는 "그래도 한문은 한국어에 속하니까 "번역"은 아니지 않은가"라는 의견이 상당수 제기되어서 이를 반영한 제안입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0:08 (KST) ::: 또한 한자를 음으로 자동으로 변환하는 것은 저도 정말 보고 싶은 기능인데, 한자와 한자음이 한국어에서 간체-정체 관계처럼 일대일로 대응되지 않기 때문에 그런 예외를 전부 처리해주려면 굉장히 어려울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金"은 거의 항상 "금"으로 읽지만 사람 이름에 들어가는 순간 전부 "김"으로 읽는데 소프트웨어적으로 일반 단어와 인명을 구분해주기가... 만들 수만 있으면 국한문 혼용 문헌의 접근성이 엄청 좋아질 것 같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0:08 (KST) :::: 중국어 위키백과에서도 기본 변환 테이블은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은 <code>-{zh-tw:歐; zh-cn:奥; zh-hk:奧}--</code>와 같이 지정하고 있고, 한국어 위키문헌에서 필요한 기능은 각 언어별로 양방향 전환이 필요한 중국어와 달리 한자 → 한글 단방향 변환만 필요하기에 더욱 쉬울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이제까지 이러한 논의가 없었나 보네요. 하여튼 이건 나중에 따로 해야하는 얘기입니다. / 원문이 아닌 모든 한국어는 번역 이름공간으로 가지 않는 것이군요. 그렇다면 해석 이름공간에는 "현대 한국어로 풀어서 설명한 것"만을 포함하고, 단순히 한자를 한글로 옮긴 것은 포함하지 않는 건가요? 아님 해석 문서에 가능하면 둘 다 기재하는 건가요?--[[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2:58 (KST) ::::: 둘 다 포함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정리가 필요하다"라고 하는 가장 큰 이유가, 원문도 원문에 따라 한자만 있는 경우, 한글 독음을 달아둔 경우, 원문 내에서 아에 풀이까지 해주는 경우가 모두 있는데 독음을 달아주는 것을 포함해 원문에 무엇인가를 보충하는 것을 편집자의 영역으로 넘겨버리면 독자 입장에서 원문에는 없는데 따로 달아준 것인지, 아니면 원문에 이미 있던 것인지를 구분할 수 없을 테니 확실히 구별해 표시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덧붙여 "위키문헌은 원문을 그대로 넣는 곳"이라고 소개하면서 정작 저런 것 하나하나를 봐 주기 시작하면 결국은 "어디까지 괜찮은가"라는 문제가 생기고 결국은 다시 중구난방으로 돌아가는 셈일 것이고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3:07 (KST) === 자바스크립트를 통한 "해석" 버튼 표시 === 이름공간을 실제로 도입할 경우 원문과 해석문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줄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상단에 틀을 부착하는 방식도 나쁘지는 않으나, 타 사이트에서 영감을 얻어서 상단에 링크 버튼을 추가하는 스크립트를 제작해왔습니다. ; 스크립트 설명 일반 이름공간(ns:0)의 문서일 경우 "문서"와 "토론" 사이에 "해석"으로 가는 링크를, 해석 이름공간(가칭)의 경우 "해석"과 "토론" 사이에 "문서"로 가는 링크를 삽입해줍니다. 도입 시 아마도 [[미디어위키:common.js]]에 해당 내용을 삽입해서 모든 사용자에게 표시되게끔 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스크립트 실험판 크게 두 버전을 만들었는데, 둘 중 어떤 것이 더 나을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관련해서 여러분의 의견을 꼭 받고 싶습니다. : '''[[사용자:Aspere/haeseoktest.js|버전 1]]''': 상대편 문서가 없을 경우 빨간 링크로 표시합니다. :* 장점: 문서를 만들어줄 수 있다는 것이 가시적으로 보이는 만큼, 활동 유도에 효과적입니다. :* 단점: 모든 문서가 해석문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보니, 너무 과도한 표시가 될 우려가 있습니다. : '''[[사용자:Aspere/haeseoktest-withoutlink.js|버전 2]]''': 상대편 문서가 없을 경우 아에 링크를 표시하지 않습니다. :* 장점: 깔끔하고 해석문이 필요 없을 경우에 편리합니다. :* 단점: 해석문으로 가는 링크가 없어지는 셈이다 보니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 접근하기 어려워집니다. 토론 문서도 존재하지는 않지만 빨간 링크로 표시하고 있으며, 영어 위키낱말사전 등에서는 Citations 이름공간이 별도로 있는데 이 경우에도 문서가 없더라도 그대로 표시하고 있으므로 첫 번째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en:wikt:위키백과]] 필요 없는 문서에서는 별도 틀로 숨길 수 있으면 좋겠네요. 추가로 여기에서도 Gadget-DocTabs.js를 이미 사용 중입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3:04 (KST) :옳으신 말씀입니다. 또 그걸 어떻게 구현해야 하는지 공부해와야겠네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3:13 (KST) ; 스크립트 사용해 보기 [[특수:내사용자문서/common.js]]에 다음 줄을 삽입해 주세요. '''두 개를 동시에 넣지 마세요!''' * '''버전 1''': <code><nowiki>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js");</nowiki></code> ([[사용자:Aspere/haeseoktest.js]]) * '''버전 2''': <code><nowiki>importScript("User:Aspere/haeseoktest-withoutlink.js"); </nowiki></code> ([[사용자:Aspere/haeseoktest-withoutlink.js]]) 현재 스크립트는 "해석" 이름공간이 없는 만큼 "번역" 이름공간으로 작동하게끔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표시되는 모습은 [[언간독]] 및 [[번역:언간독]] 문서를 보시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8:31 (KST) :일단 첫 번째 버전부터 [[특수:고유링크/354414|common.js 생성]]을 통해 테스트합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3:54 (KST) ::* [[User:Aspere/haeseoktest.js]] ::코드를 검토하기 위해 링크를 달아 놓습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3:56 (KST) ::: 링크를 좀 눈에 잘 띄게 걸어둘 걸 그랬네요. 신경써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4:13 (KST) ::가젯으로 Gadget-DocTabs.js라는 비슷한 기능이 있고, 이 기능은 하위 문서를 탭으로 보여주는 기능이라 1:1 비교는 어렵겠으나 API 사용을 더 선호하여 선택하신 까닭이 있으실까요?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4:15 (KST) :::사실 저도 JS를 완벽히 이해하고 있지도 않고 JS 실력이 안 좋기 때문에 상세하게 조언해 드리기는 좀 어렵습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4:16 (KST) :::: 간단한 이유입니다. 제가 API밖에 몰라서... 저도 이것저것 조합하면서 만든 것이고 "하여튼 작동하니 좋았쓰" 마인드로 완성해서 아마 분명히 개선점이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4:16 (KST) :::::저도 왜 API를 썼는지 이유가 궁금해서 여쭤 본 거고, JS에서 API를 사용하는 게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이 있는지는 잘 모릅니다. 사실 자바스크립트는 사용자가 사용 중인 컴퓨터나 장치의 에셋을 사용하는 거고, 루아나 API는 서버 에셋을 사용하므로 사실 그 사실만 놓고 본다면 API 써도 문제는 없지 않나 싶습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5:27 (KST) : <s>$.ready는 현재 depracted된 표현입니다.</s>--[[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3:08 (KST) :: (대충 진짜 몰랐다는 답변) 혹시 어떻게 고치면 좋을지 조언을 받을 수 있을까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23:11 (KST) ::: 제가 다른 사항과 착각하였습니다. 그대로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26일 (일) 18:12 (KST) == 문헌 사랑방의 대량 메시지 == 낱말사전의 경우에는 [[:분류:메시지 전달을 받지 않는 사용자]] 분류를 추가하고 아예 커뮤니티 공간에서는 대량 메시지를 받지 않거나, 다른 공간에 모아 두는 것으로 작년에 사용자들(지금은 없지만...)간 협의를 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제가 메타에서 이러한 대량 메시지를 받아야 하는가 받지 말아야 하는가에 대한 규정은 찾지 못했고, 그래서 낱말사전에서는 메인공간 뿐만 아니라 기간별 하위 문서에도 대량 메시지를 지웠거나 아예 받지 않습니다. [[w:위키백과:사랑방_(기술)/2025년_1월#MediaWiki_message_delivery_봇의_오동작|백과 사랑방에 오동작 보고]]를 잘못 올리면서 생각난 건데, 문헌에서도 의논하려고 생각을 해 뒀다가 잊은 내용이라 지금에서야 올립니다. 문헌 사랑방에서 가장 먼저 노출되어야 하는 건 문헌 사용자들이 문헌에 관해 남기는 의견이지 메타에서 뭐 규정 만들거나 행사한다거나 하는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거의 절대 다수의 메시지가 문헌과는 관련도가 크지 않은 안건이고, 대량 메시지 내용이 더 많아서 사실상 '정보 공해'라고 생각합니다. 문헌 사용자들도 메시지에 적힌 요청처럼 한국어로 번역을 해 준다거나 관심을 전혀 가지지 않습니다. 현재 대량 메시지는 모두 지우고, 이후 기간별 하위 문서가 만들어질 경우 그 하위 문서들에도 위 분류를 추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3:48 (KST) :{{찬성}} 이전과 달리 활동하는 분들이 많아진 만큼 충분히 신경써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완전히 받지 않는 것은 좀 너무할 수도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 따로 받는 곳을 만드는 게 어떨까 싶은데 기술적인 면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4:11 (KST) ::{{ㄷ|Aspere}} 딱 제 수준에서는 아예 사랑방을 남겨 두고 자유게시판을 새로 만든 다음 자유게시판에 메시지 거부 분류를 넣는 식의 트릭을 떠 올릴 수 있긴 합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21:13 (KST) :[[:w:백:소식지]] 처럼 격리소를 만들어 두는 방안도 고려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 regards, [[User:-revi|<span style="color:green;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Revi</span>]] 2025년 1월 30일 (목) 21:44 (KST) ::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위키백과에 그런 공간이 있는 줄도 몰랐네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22:10 (KST) 특별한 의견이 없으면 위에서 레비님이 말씀해주신 것을 참고해서 [[위키문헌:소식지]](가칭)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일단 해 보고 안 맞는 것 같으면 그 때 없애도 되니까요.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22:10 (KST) :{{ㄷ|Revi C.|Aspere}} 잘 모르는 게 사실이긴 하나, 완벽한 격리가 가능한지에 대한 기술상의 의문점이 있습니다. 위키백과 소식지 공간이 좋은 예시인 건 사실인데, 사실 위키백과 사랑방은 소식지 공간이 있어도 사실 몇몇 대량 메시지가 올라 옵니다. 이건 대량 메시지 봇의 소스코드를 확인해 봐야 하는 부분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3:16 (KST) ::관련 HTML 태그에 뭐 디자인 넣을 때 쓰는 class 같은 거에 표시해 놓고 봇이 식별해서 보내는 건가 싶긴 합니다. 사실 저도 봇이랑 가상 키보드 만들 때 그걸 찾는 식으로 구문을 작성하고 효과 띄우고 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사용자:Jeebeen|Jeebeen]] ([[사용자토론:Jeebeen|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3:19 (KST) :: 대량메시지의 발송은 '대량메시지 목록'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메타의 대량메시지 목록을 수정하면 됩니다. — regards, [[User:-revi|<span style="color:green;font-family:Courier new, serif;font-variant:small-caps">Revi</span>]] 2025년 1월 31일 (금) 14:12 (KST) {{알림}} [[문:소식지]] 문서를 만들어서 현재까지 사랑방에 올라온 대량메시지를 옮겨 두었습니다. 또한 메타에 있는 대량메시지 수신 목록도 보이는 대로 소식지 쪽으로 가게끔 수정했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2월 6일 (목) 00:20 (KST) == Request to buy book == There is a book I want to buy, but I want to ask first: #Is this book available? #I'm willing to give you people money to buy this in South Korea since I don't have a South Korean phone and thus I can't register an account. Do you guys accept Venmo payments? [https://www.hanauction.com/htm/off_auction_read.htm?id=6593&off_id=35&page=9&ac_num=44&PHPSESSID=69f7e0e46946ba4f2df13a4e2dc69561] [[사용자:Blahhmosh|Blahhmosh]] ([[사용자토론:Blahhmosh|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12:13 (KST) :It was already sold out more than 10 years ago. You already know that copy of this book is available on Nat'l Library of Korea. [[:File:NLK-한古朝46-가2239 竹溪遺稿.pdf]] Is there any particular reason you need an original copy? --[[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19:40 (KST) ::This book is also available for checkout at the [https://clio.columbia.edu/catalog/3791963?counter=1 Columbia University Library], fyi.--[[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19:42 (KST) ::The reason I want another copy is because this copy you posted has many worn out characters, so I need another copy of this book to fill in all the worn out characters with the correct characters @[[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Blahhmosh|Blahhmosh]] ([[사용자토론:Blahhmosh|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5:24 (KST) :::I'll ask the library near where I live if it is possible to borrow or check books.--[[사용자:Namoroka|Namoroka]] ([[사용자토론:Namoroka|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5:29 (KST) == 관리자 선거 절차 일부 수정 제안 == [[위키문헌토론:관리자 선거 절차#당선자 결정에서의 조건 2 (반대표보다 최소 20표 이상 많은 찬성표) 삭제 제안|위키문헌토론:관리자 선거 절차]]에서 관리자 당선을 결정할 때의 조건 중 하나로 써 있는 "반대표보다 최소 20표 이상 많은 찬성표" 조문을 삭제하면 어떨까 하는 토론을 발제하였습니다. 한 번씩 읽어보시고 의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2월 10일 (월) 02:15 (KST) == 국회회의록 에디터톤 마무리 == 지난 1월 한 달 동안 진행되었던 [[문:국회회의록 에디터톤|국회회의록 에디터톤]]이 마무리되었습니다. 참여자 여러분 덕분에 위키문헌 내부의 문서 보충과 더불어 위키백과 문서와의 연계도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에디터톤 결과는 [[위키문헌:국회회의록 에디터톤/채점표]] 문서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여해 주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 종합 순위 * 1위 (1명): [[사:ZornsLemon|ZornsLemon]] (750,029 바이트) * 2위 (2명): [[사:Aspere|Aspere]] (599,680 바이트), [[사:Raccoon Dog|Raccoon Dog]] (334,597 바이트) * 3위 (1명): [[사:jjw|jjw]] (105,491 바이트) * 한자 서브 챌린지 참여자: [[사:ZornsLemon|ZornsLemon]] (92,683 바이트), [[사:Aspere|Aspere]] (5,573 바이트) ; 주제별 완성한 문서 {| class="wikitable" |- ! 시기·사건 !! 문서 |- | [[:w:대한민국 제헌 헌법|대한민국 제헌 헌법]]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헌/제1회/제2차]]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헌/제1회/제6차]] |- | [[:w:국회 프락치 사건|국회 프락치 사건]]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헌/제3회/제1차]] |- | [[:w:사사오입 개헌|사사오입 개헌]]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3대/제19회/제90차]]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3대/제19회/제91차]] |- | [[:w:4·19 혁명|4·19 혁명]] |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7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8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9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10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11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12차]] * [[국회본회의_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4대/제35회/제13차]] |- | [[:w:국회 오물투척사건|국회 오물투척사건]]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6대/제58회/제14차]] |- | [[:w:삼선 개헌|삼선 개헌]]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7대/제69회/제3차]] |- | [[:w:김영삼 의원 제명 파동|김영삼 의원 제명 파동]]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10대/제103회/제2차]]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10대/제103회/제5차]] |- | [[:w:박종철 고문치사 사건|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 * [[국회본회의 회의록 (한글 텍스트화)/제12대/제132회/개회식]] ** [[국회본회의 회의록/제12대/제132회/개회식]] |- | [[:w:이석기 내란 선동 사건|이석기 내란 선동 사건]] | * [[국회본회의 회의록/제19대/제320회/제2차]] |- | [[:w: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 * [[국회본회의 회의록/제22대/제418회/제16차]] * [[국회본회의 회의록/제22대/제419회/제4차]] |} [[사용자:Aspere|Aspere]] ([[사용자토론:Aspere|토론]]) 2025년 2월 10일 (월) 14:47 (KST) == 색인 이름공간 == 관련 틀을 수정 중이어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편집 버튼을 누른 후 아무 내용도 수정하지 않고 바로 저장([[w:WP:NULL|Null edit]])하면 정상적으로 표시됩니다. 곧 수정할 예정이오니 양해 부탁드립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2월 23일 (일) 03:10 (KST) [[분류:메시지 전달을 받지 않는 사용자]] == [[위키문헌:저작권 토론]] (가칭) 신설 제안 == 지금 각 문서의 저작권 관련 논의는 각 토론 문서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문서의 내용에 관련한 논의이니 자연스러운 일이긴 하나, 가시성이 너무 떨어져서 정말 "부르지 않으면 모르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의견을 받자고 토론을 여는 것인데 몰라서 의견을 못 남기는 건 좀 역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영어판의 [[:en:Wikisource:Copyright discussions|Wikisource:Copyright discussions]]을 도입하여 이러한 논의를 한 곳으로 모아 진행하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w:백:삭제 토론|위키백과의 삭제 토론]]처럼 관련 논의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장소를 만들어 "부르지 않아도" 토론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좀 더 넓혀보자는 취지입니다. 해당 문서에는 삭제 토론 틀처럼 별도의 틀을 달아 안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해당 문서의 이름은 일단 직역하긴 했는데 어감이 좋은 것 같지는 않아서 더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시면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영어판에서 토론 알림용으로 사용하는 <nowiki>{{</nowiki>[[:en:Template:Copyvio|Copyvio]]<nowiki>}}</nowiki>는 한국어판에 {{틀|저작권 의심}}으로 일단 존재는 하지만 한 번 손봐야 할 것 같습니다. {{핑|Namoroka|ZornsLemon}} 저작권 논의 관련해서 특히 활발히 활동하시는 사용자 분들이라 생각해서 호출드립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9일 (일) 22:08 (KST) :저작권에 대해 잘 아는 건 아니라서 도움이 될지는 모르지만, 좋은 아이디어 같습니다. [[사:ZornsLemon|Z.Lemon]] ([[사토:ZornsLemon|토론]]) 2025년 3월 9일 (일) 22:21 (KST) ::괜찮은 것 같습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3월 12일 (수) 00:52 (KST) {{알림}} [[위키문헌:저작권 토론]] 문서를 생성하였습니다. 이게 토론 활성화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두고 봐야 하겠지만 일단은 시험적인 성격으로 활용해 주셨으면 합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3월 12일 (수) 17:43 (KST) == [[위키문헌토론:저작권 정책#저작권 정책 개정]]에 관하여 == 안녕하세요 여러분. 현재 저작권 정책의 일부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토론을 개설하였습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사:Takipoint123|Takipoint123]] ([[사토:Takipoint123|토론]]) 2025년 3월 13일 (목) 02:30 (KST) == Photocopying Ancient texts in SKY and other universities == Hello. I'm planning on going to South Korea some time in April because some ancient historical texts are stored there that I need to copy. Can you check with me on the photocopying and loaning policies of these universities? I don't speak Korean, so I had a really hard time understanding their photocopying and loaning policies. *https://lib.pusan.ac.kr/ *https://lib.kookmin.ac.kr/ *https://library.history.go.kr/ *https://library.kmu.ac.kr *https://east.skku.edu/ *https://library.korea.ac.kr/ *https://library.sogang.ac.kr/ *https://library.yonsei.ac.kr/ *http://kostma.korea.ac.kr/ *https://library.cnu.ac.kr/ *https://ndlsearch.ndl.go.jp *http://www.library.pref.osaka.jp/site/nakato/english-nakato.html *https://lib.ewha.ac.kr/ *https://dldml2xhd.tistory.com/15920276 *https://lib.snu.ac.kr *https://lib.khu.ac.kr *https://lib.gnu.ac.kr *https://lib.dongguk.edu/search/detail/CATTOT000000239323 *https://www.nfm.go.kr *https://libs.yu.ac.kr/ *https://lib.jnu.ac.kr/ *https://elibrary.wku.ac.kr/ *https://dl.jbnu.ac.kr/ *https://www.gogung.go.kr/ Specifically, I want to see what their policies on scanning ancient historical texts are. I've searched the internet and couldn't find anything related to some of them. [[사:Blahhmosh|Blahhmosh]] ([[사토:Blahhmosh|토론]]) 2025년 3월 23일 (일) 15:02 (KST) :Oh, and one more thing, I'm here because I want to read '''ancient historical texts''', which are obviously very fragile, so do I need special permissions to read these books? And is it possible to scan these books? [[사:Blahhmosh|Blahhmosh]] ([[사토:Blahhmosh|토론]]) 2025년 3월 23일 (일) 15:04 (KST) == 韓語維基文庫《大韓民國憲法》文本之原貌問題及設立大使館頁面之建議 | {{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ruby|本文|본문}}의{{ruby|原型|원형}}{{ruby|問題|문제}}및{{ruby|大使館|대사관}}{{ruby|페이지|page}}{{ruby|設立|설립}}{{ruby|提案|제안}} ==   (本人母語爲漢語而非韓語,韓語文本乃程式翻譯所成,或有錯誤或未臻完善,尚祈海涵。答覆若用漢文(古漢文、今白話文皆可)、英文、德文,則在下能直接讀之;亦歡迎韓文回覆,在下將以翻譯程式讀之。)   (저의{{ruby|母國語|모국어}}는{{ruby|中國語|중국어}}이며{{ruby|韓國語|한국어}}가아닙니다.{{ruby|本|본}}{{ruby|韓國語|한국어}}{{ruby|本文|본문}}는{{ruby|機械|기계}}{{ruby|飜譯|번역}}으로{{ruby|作成|작성}}된것이므로{{ruby|誤謬|오류}}나{{ruby|未洽|미흡}}한{{ruby|部分|부분}}이있을수있습니다.{{ruby|諒解|양해}}부탁드립니다.{{ruby|答辯|답변}}이{{ruby|漢文|한문}}({{ruby|古文|고문}},{{ruby|現代|현대}}{{ruby|白話文|백화문}}모두{{ruby|可能|가능}}),{{ruby|英語|영어}},{{ruby|獨逸語|독일어}}로{{ruby|作成|작성}}될{{ruby|境遇|경우}}저는{{ruby|直接|직접}}읽을수있습니다.{{ruby|韓國語|한국어}}로{{ruby|答辯|답변}}하셔도좋으며,{{ruby|飜譯|번역}}프로그램을통해읽겠습니다.) === 一、《大韓民國憲法》文本之原貌問題 === === {{ruby|一|일}}.《{{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ruby|本文|본문}}의{{ruby|原型|원형}}{{ruby|問題|문제}} ===   考諸韓語維基文庫[[대한민국헌법|大韓民國憲法]]所收錄之文本,皆以純諺文示之。然而,按其歷史,該等憲法原文蓋爲'''漢諺混寫'''。具體情形如下:   {{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의[[대한민국헌법|{{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에{{ruby|收錄|수록}}된{{ruby|本文|본문}}는모두{{ruby|純|순}}한글로만{{ruby|表示|표시}}되어있습니다.그러나그{{ruby|歷史|역사}}에따르면,{{ruby|該當|해당}}{{ruby|憲法|헌법}}의{{ruby|原文|원문}}은{{ruby|大部分|대부분}}'''{{ruby|漢字|한자}}한글{{ruby|混用|혼용}}'''으로{{ruby|作成|작성}}되었을{{ruby|可能性|가능성}}이큽니다.{{ruby|具體的|구체적}}인{{ruby|狀況|상황}}은다음과같습니다: :* '''自一九四八年至一九八七年之十份《大韓民國憲法》''':於韓語維基百科[[대한민국헌법|大韓民國憲法]]分類中所收之文本,悉以'''純諺文'''呈示。然考諸相關資料,當時所定之憲法原文,蓋爲'''漢諺混寫'''。 :* '''{{ruby|一九四八年|일구사팔년}}부터{{ruby|一九八七年|일구팔칠년}}까지의열{{ruby|個|개}}의《{{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百科|백과}}의[[대한민국헌법|{{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ruby|分類|분류}}에{{ruby|收錄|수록}}된{{ruby|本文|본문}}는모두'''{{ruby|純|순}}한글'''로{{ruby|表示|표시}}되어있습니다.그러나{{ruby|關聯|관련}}{{ruby|資料|자료}}에따르면,{{ruby|當時|당시}}{{ruby|制定|제정}}된{{ruby|憲法|헌법}}의{{ruby|原文|원문}}은{{ruby|大槪|대개}}'''{{ruby|漢字|한자}}한글{{ruby|混用|혼용}}'''으로{{ruby|作成|작성}}되었을{{ruby|可能性|가능성}}이큽니다. :* '''一九一九年大韓民國臨時政府之《[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臨時憲章_(1919年) 大韓民國臨時憲章]》與《[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臨時憲法_(1919年) 大韓民國臨時憲法]》''':見於中文維基文庫,未見於韓語維基文庫。此二文本係臨時政府在華所制,或其原文即爲'''漢文''',然具體情形在下難以考定。 :* '''{{ruby|一九一九年|일구일구년}}{{ruby|大韓民國臨時政府|대한민국임시정부}}의《[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臨時憲章_(1919年) {{ruby|大韓民國臨時憲章|대한민국임시헌장}}]》및《[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臨時憲法_(1919年) {{ruby|大韓民國臨時憲法|대한민국임시헌법}}]》''':이는{{ruby|中國語|중국어}}위키{{ruby|文獻|문헌}}에서볼수있으나{{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에는{{ruby|收錄|수록}}되어있지않습니다.이두{{ruby|文書|문서}}는{{ruby|臨時政府|임시정부}}가{{ruby|中國|중국}}에서{{ruby|制定|제정}}한것으로,그{{ruby|原文|원문}}이'''{{ruby|漢文|한문}}'''일{{ruby|可能性|가능성}}이있으나{{ruby|具體的|구체적}}인{{ruby|狀況|상황}}은제가{{ruby|確認|확인}}할수없습니다.   按中文維基文庫所錄,'''一九八七年現行本'''《[[s:zh:大韓民國憲法|大韓民國憲法]]》備有漢語翻譯及漢諺混寫原文,而'''一九四八年本'''《[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憲法_(1948年) 大韓民國憲法]》僅見中文翻譯,而無原文。至於'''一九一九年臨時政府之兩文本''',則僅有中文譯本,未詳其原文爲韓文抑或漢文。   {{ruby|中國語|중국어}}위키{{ruby|文獻|문헌}}에{{ruby|收錄|수록}}된{{ruby|資料|자료}}에따르면,'''{{ruby|一九八七年|일구팔칠년}}{{ruby|現行本|현행본}}'''《[[s:zh:大韓民國憲法|{{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은{{ruby|漢字|한자}}{{ruby|飜譯|번역}}및{{ruby|漢字|한자}}한글{{ruby|混用|혼용}}{{ruby|原文|원문}}이{{ruby|包含|포함}}되어있고,'''{{ruby|一九四八年本|일구사팔년본}}'''《[https://zh.wikisource.org/wiki/大韓民國憲法_(1948年) {{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은{{ruby|中國語|중국어}}{{ruby|飜譯|번역}}만있고{{ruby|原文|원문}}은{{ruby|包含|포함}}되어있지않습니다.또한,'''{{ruby|一九一九年|일구일구년}}{{ruby|臨時政府|임시정부}}의두{{ruby|文書|문서}}'''역시{{ruby|中國語|중국어}}{{ruby|飜譯|번역}}만있고{{ruby|原文|원문}}이{{ruby|韓國語|한국어}}인지{{ruby|漢文|한문}}인지{{ruby|明確|명확}}하지않습니다.   據此推想,自一九四八年至一九八七年之各版本,皆應以'''漢諺混寫'''爲原文。今韓語維基文庫所存者純以諺文示之,或非原貌。   이에비추어보면,{{ruby|一九四八年|일구사팔년}}부터{{ruby|一九八七年|일구팔칠년}}까지의모든버전은'''{{ruby|漢字|한자}}한글{{ruby|混用|혼용}}'''으로{{ruby|作成|작성}}되었을{{ruby|可能性|가능성}}이큽니다.{{ruby|現在|현재}}{{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에있는{{ruby|텍스트|rext}}는{{ruby|純|순}}한글로만{{ruby|表示|표시}}되어있어{{ruby|原型|원형}}을{{ruby|完全|완전}}히{{ruby|反映|반영}}하지못하고있을수있습니다.   是以建議:   따라서다음과같은{{ruby|提案|제안}}을드립니다: :* '''於韓語維基文庫[[대한민국헌법|大韓民國憲法]]分類下,補全各版本憲法之原始漢諺混寫文本,並明示其爲原始文獻。''' :* '''{{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의[[대한민국헌법|{{ruby|大韓民國憲法|대한민국헌법}}]]{{ruby|分類|분류}}하에{{ruby|各|각}}버전의{{ruby|憲法|헌법}}의{{ruby|原來|원래}}{{ruby|漢字|한자}}한글{{ruby|混用|혼용}}{{ruby|本文|본문}}를{{ruby|補完|보완}}하고,이를{{ruby|原文|원문}}으로{{ruby|明示|명시}}하십시오.''' :* '''如一九一九年臨時政府之憲章及憲法原文爲漢文,則亦宜補錄考定並註明為原始文獻。''' :* '''{{ruby|萬若|만약}}{{ruby|一九一九年|일구일구년}}{{ruby|臨時政府|임시정부}}의{{ruby|憲章|헌장}}및{{ruby|憲法|헌법}}의{{ruby|原文|원문}}이{{ruby|漢文|한문}}이라면,이를{{ruby|調査|조사}}하여{{ruby|原文|원문}}으로{{ruby|追加|추가}}하고{{ruby|原本|원본}}{{ruby|資料|자료}}임을{{ruby|明示|명시}}하십시오.''' === 二、設立大使館頁面之建議 === === {{ruby|二|이}}.{{ruby|大使館|대사관}}{{ruby|페이지|page}}{{ruby|設立|설립}}{{ruby|提案|제안}} ===   各語言之維基文庫,多於社群入口設立'''大使館'''頁面,以便非該語言之使用者得以溝通聯繫。例如:   여러{{ruby|言語|언어}}의위키{{ruby|文獻|문헌}}에서는{{ruby|大槪|대개}}{{ruby|使用者|사용자}}커뮤니티의{{ruby|入口|입구}}에'''{{ruby|大使館|대사관}}'''{{ruby|페이지|page}}를{{ruby|設定|설정}}하여그{{ruby|言語|언어}}를모르는{{ruby|使用者|사용자}}도{{ruby|連絡|연락}}하고{{ruby|疏通|소통}}할수있도록하고있습니다.{{ruby|例|예}}를들어: :* '''[https://zh.wikisource.org/wiki/Wikisource:大使館 中文維基文庫大使館]''':提供官話白話文外十五種語文之導引,且於[https://zh.wikisource.org/wiki/社群主頁 社群主頁]設有英語入口,便於搜尋。 :* '''[https://zh.wikisource.org/wiki/Wikisource:大使館 {{ruby|中國語|중국어}}위키{{ruby|文獻|문헌}}{{ruby|大使館|대사관}}]''':{{ruby|官話|관화}}{{ruby|白話文|백화문}}외에도{{ruby|十五個|십오개}}{{ruby|言語|언어}}로{{ruby|案內|안내}}를{{ruby|提供|제공}}하며,[https://zh.wikisource.org/wiki/社群主頁 {{ruby|使用者|사용자}}모임]{{ruby|페이지|page}}에{{ruby|英語|영어}}로된{{ruby|入口|입구}}가있어{{ruby|檢索|검색}}이{{ruby|容易|용이}}합니다.   然本人於嘗試聯繫韓語維基文庫社群時,未能於社群主頁或其他入口見設大使館頁面。爲促進跨語言交流與合作,故建議:   그러나제가{{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ruby|使用者|사용자}}모임와{{ruby|連絡|연락}}을{{ruby|試圖|시도}}했을때,커뮤니티{{ruby|主要|주요}}{{ruby|페이지|page}}나다른{{ruby|入口|입구}}에서{{ruby|大使館|대사관}}{{ruby|페이지|page}}를찾을수없었습니다.{{ruby|言語間|언어간}}{{ruby|疏通|소통}}과{{ruby|協力|협력}}을{{ruby|促進|촉진}}하기위해,다음과같은{{ruby|提案|제안}}을드립니다: :* '''於韓語維基文庫設立大使館頁面,並以主要國際語言(如英語、漢語等)標示聯繫方法,以便異語使用者能通暢聯絡。''' :* '''{{ruby|韓國語|한국어}}위키{{ruby|文獻|문헌}}에{{ruby|大使館|대사관}}{{ruby|페이지|page}}를{{ruby|設立|설립}}하고,{{ruby|主要|주요}}{{ruby|國際|국제}}{{ruby|言語|언어}}(例:{{ruby|英語|영어}},{{ruby|中國語|중국어}}등)로{{ruby|連絡|연락}}{{ruby|方法|방법}}을{{ruby|表示|표시}}하여다른{{ruby|言語|언어}}{{ruby|使用者|사용자}}들이{{ruby|圓滑|원활}}히{{ruby|連絡|연락}}할수있도록하십시오.'''   謹此奉陳,並頌 文祺。   {{ruby|謹呈|근정}}합니다. {{ruby|文運|문운}}을기원합니다. ::::[[사:Xsgzjmxs|Xsgzjmxs]] ([[사토:Xsgzjmxs|토론]]) 2025년 4월 3일 (목) 15:28 (KST) :{{답장|Xsgzjmxs}}, [[:zh:大韓民國臨時憲章 (1919年)]]와 [[:zh:大韓民國臨時憲法 (1919年)]]는 중국어 번역문이며, 당시 실제 원문은 말씀하신대로 국한문혼용의 한국어로 기재되어 있는 것이 맞습니다. 두 문서는 [[대한민국임시헌장 (제1호)]] 및 [[대한민국임시헌법 (제2호)]]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대한민국임시헌법 (제2호)]]의 경우 순한글로만 기록되어 있어 수정이 필요해 보이네요. [https://db.history.go.kr/modern/level.do?levelId=ij_001_0010_00010] [https://db.history.go.kr/modern/level.do?levelId=ij_001_0010_00020] / 대사관은 다른 사용자들의 의견이 있으면 있어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4월 3일 (목) 21:47 (KST) :예를 들어 [[대한민국헌법 (제1호) 국한문]]에 국한문 제헌헌법을 올려두었습니다. [[사:ZornsLemon|Z.Lemon]] ([[사토:ZornsLemon|토론]]) 2025년 4월 3일 (목) 22:21 (KST) :: 有勞相助,甚爲感念!<br>  援助을주심에깊이感謝드립니다. ::   另有一事欲就教於君:竊以爲《大韓民國憲法》(第一號)之[[대한민국헌법 (제1호) 국한문|漢諺混寫本]]與[[대한민국헌법_(제1호)|純諺文本]]實係同一文本,並無實質差異,故其於維基文庫之編排,或可共列於一頁之中,且陳明以漢諺混寫者爲原文,純諺文者爲其對應之譯本。如此編次,不惟便於讀者參照比較,亦可避免彼此分置而互無指引之弊。蓋若分頁而置,且不設標示,則閱者或見其一而不知其二,未免有所遺闕。<br>  또한가지아뢰고자하는바가있습니다:思索건대《大韓民國憲法》(第一號)의[[대한민국헌법 (제1호) 국한문|漢字한글混用本]]과[[대한민국헌법_(제1호)|純粹한글本]]은實質的으로同一한文獻으로,內容上別다른差異는없사온즉,維基文獻에서는兩本文을一페이지에倂記하고,混用本을原文으로삼아純한글本을그對應飜譯으로明記함이어떨까합니다.이와같이編輯한다면,讀者가兩本을對照해읽기에容易할뿐만아니라,兩本을따로이配置하되서로간아무런案內도없을境遇,한쪽만보고他쪽의存在를알지못하게되는弊端도막을수있으리라思料됩니다. ::   又據《大韓民國憲法》(第一號)[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e/2007_11_25_WarMemorial_120.JPG 實物照片],觀其版面所用空格分詞,與今行標準略有不同。譬如首頁一段,原應爲:<br>  아울러《大韓民國憲法》(第一號)[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e/2007_11_25_WarMemorial_120.JPG 實物寫眞]에따르면,그紙面에使用된空白區分方式은現行表記基準과다소差異가있사옵니다.例컨대初頁의本文은다음과같이되어야할것입니다: :: :: [[파일:2007 11 25 WarMemorial 120.JPG|섬네일|《大韓民國憲法》(第一號)實物寫眞]] :: :: ::::  大韓民國憲法 ::::   前 文 :::: 悠久한歷史와傳統에빛나는 우리들大韓國民은 己未三一運動으로大韓民國을建立하여 世界에宣布한偉大한獨立精神을繼承하여 이제民主獨立國家를再建함에있어서 正義人道와同胞愛로써民族의團結을鞏固히하며 모든社會的弊習을打破하고 民主主義諸制度를樹立하여政治、經濟、社會、文化의모든領域에있어서各人의機會를均等히하고 能力을最高度로發揮케하며 各人의責任과義務를完遂⋯⋯ :: ::   依此觀之,維基文庫之錄文,或應如實反映原始版本之格式,庶幾尊重史實,保存原貌。誠願編輯諸君詳察之。<br>  이와같이살펴볼때,위키文獻의收錄文은原本의形式을忠實히反映함이마땅할것이며,그리함으로써歷史的事實을尊重하고元來의面貌를保存하는데에도貢獻할수있으리라信합니다.
바라건대編輯에關係되신여러先生님들께서깊이살펴주시기를仰望하옵니다. :: 
  順頌<br>時綏。 :: [[사:Xsgzjmxs|Xsgzjmxs]] ([[사토:Xsgzjmxs|토론]]) 2025년 4월 11일 (금) 10:12 (KST) == Digital Librar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on Wikimedia Commons == [[c:Category:Books_in_the_Digital_Library_of_the_National_Library_of_Korea]] [[사:維基小霸王|維基小霸王]] ([[사토:維基小霸王|토론]]) 2025년 5월 20일 (화) 20:38 (KST) == 한국 저작권 틀 개정 관련 == * [[틀:PD-대한민국/연습장|틀:PD-대한민국]] ([[commons:Template:PD-South Korea|Template:PD-South Korea]]) * [[틀:PD-대한민국-법인/연습장|틀:PD-대한민국-법인]] ([[commons:Template:PD-South Korea-organization|Template:PD-South Korea-organization]]) → 기존의 [[틀:PD-대한민국-업무상]] * [[틀:PD-대한민국-무명/연습장|틀:PD-대한민국-무명]] ([[commons:Template:PD-South Korea-anon|Template:PD-South Korea-anon]]) * [[틀:PD-대한민국-비보호/연습장|틀:PD-대한민국-비보호]] ([[commons:Template:PD-South Korea-exempt|Template:PD-South Korea-exempt]]) → 기존의 [[틀:PD-대한민국]] 한국 저작권 틀을 공용에 맞추어 개정하려고 하는데 이름을 정하는데 있어서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명칭을 "PD-대한민국"과 "PD-South Korea"와 같이 한글과 영문 중 무엇으로 해야할지 정하지 못하였습니다. [[위키문헌:사랑방#저작권 틀의 번역명]]에서 이미 영문명으로 사용했으면 좋겠다고 의견을 남기긴 하였는데, [[틀:PD-대한민국]]의 경우 거의 만 개에 가까운 문서에 사용 중이어서 영향이 클 것 같아 한 번 더 여쭤봅니다.--[[사:Namoroka|Namoroka]] ([[사토:Namoroka|토론]]) 2025년 6월 8일 (일) 20:22 (KST) :저도 통일성 등을 생각해 영문으로 통일하는 쪽에 동의합니다. 다만 아무래도 틀 이름이 영어로만 되어 있으면 접근성이 낮아질 테니 한국어로 된 넘겨주기도 일일이 다 만들어두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6월 8일 (일) 21:32 (KST) == [[미디어위키:Edittools]] 내 문자 추가 관련 의견 조사 == [[미디어위키:Edittools]](데스크톱 편집창 기준, 편집창 하단에 표시되는 문자 모음)에 반복 기호(々나 〻)처럼 문헌 편집 시 자주 사용하는 문자를 넣으면 어떨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일단 제가 생각하기로는 다음 문자들을 넣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반복 기호 (々 및 〻) * 일부 괄호 기호 (〔, 〕, 【, 】)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또 추가할 만한 문자가 있는지 의견이 있으시다면 말씀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또한 너무 복잡해진다면 안 쓰는 기호를 빼 버려도 좋다고 생각은 하는데, 쓰고 계신 분이 계실지를 모르다 보니 그건 좀 조심스럽네요.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6월 28일 (토) 14:59 (KST) :(이 부분은 제안의 일부는 아니고 단순 의견입니다) IPA, lang, llang 틀 부분은 통으로 날려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문헌 작업 특성상 여기에 넣을 정도로 많이 쓰는 틀은 아니라고 생각이 듭니다. 차라리 {{틀|u}}, {{틀|du}}, {{틀|wu}} 같은 걸 넣는 게 더 나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사:Aspere|Aspere]] ([[사토:Aspere|토론]]) 2025년 6월 28일 (토) 15:40 (KST) i066p2yzvijxs1iza8rzplu712bes80 페이지:(언한문)금고긔관.djvu/129 250 91070 392695 391648 2025-06-27T15:40:34Z ZornsLemon 15531 39269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Taiji9234"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엇더ᄒᆞᆫ고난손이말ᄒᆞ되쳡이상공부인에슈양ᄒᆞ믈입어 노비가되기도원ᄒᆞ거든후ᄃᆡ ᄒᆞ시미이갓트니엇지감히당ᄒᆞ리잇가원보말ᄒᆞ되어 엇지이 런이치잇스리요너ᄂᆞᆫ이 에환가녀ᄌᆞ로우연이유리ᄒᆞ나엇지가히쳔이ᄒᆞ류에거 ᄒᆞ리요노부스ᄉᆞ 로쥬의가 잇스니과히혐의치말지얼다난손이말ᄒᆞ되상공과부인은거듭나를ᄉᆞᆯ게ᄒᆞᆫ부모라비 록분골쇄신ᄒᆞᆯ지라도가히보답ᄒᆞᆯ길이업거든임의미쳔ᄒᆞᆫᄉᆞ람을더럽다아니ᄒᆞ시고 친ᄯᆞᆯ을ᄉᆞᆷ으시니엇지감히명은거역ᄒᆞ리잇가ᄒᆞ고 곳부모 예로졀ᄒᆞ고뵈 이니원보 깃거ᄒᆞ믈이긔지목ᄒᆞ야문득부인을쳥ᄒᆞ야말ᄒᆞ되 오날ᄂᆡ 가나나손으로써ᄯᅡᆯ을ᄉᆞᆷ엇 스니가히사랑ᄒᆞᆯ지어다이ᄯᆡ난손이유상공부인을야야모친이라부루고효도로셤기 기를신분이나더ᄒᆞ더라부인이ᄯᅩ상공으로더부러말ᄒᆞ되난손으로ᄯᆞᆯ을삼으시니 반다시ᄐᆡᆨ셔ᄒᆞᆯ지라왕문용은청년에상ᄇᆡᄒᆞ고다년우리집일을관ᄒᆞᆯᄒᆞᄆᆡᄌᆡ간잇고 영민ᄒᆞ니여아에ᄇᆡ필ᄉᆞᆷ으미합당ᄒᆞ니상공은엇지져에혼ᄉᆞ를쥬쟝치아니ᄒᆞ나나닛 가원보져기웃고말ᄒᆞ되쳐질에후취일은조곰도노부심샹에잇지아니ᄒᆞ나스스로쥬 의가잇스니다만손슈만맛트리라ᄒᆞᆫᄃᆡ부이이그말를조치니라원보문득혼인길일을 자ᄐᆡᆨᄒᆞ야긔한에다다르ᄆᆡ소와양을잡고크게연셕을ᄇᆡ치ᄒᆞ고두루친구를쳥ᄒᆞ니리 씨모자와밋쳐질왕문용이일졔이연셕에다러왓더 라즁인 이말ᄒᆞ 되이ᄂᆞᆫ 유공이왕 부일을총ᄋᆡᄒᆞ기로슈양ᄯᆞᆯᄇᆡ소져를질아로더부러결혼케ᄒᆞᆫ다ᄒᆞ더라길일을당ᄒᆞ ᄆᆡ원보ᄉᆞᄅᆞᆷ으로ᄒᆞ여곰일습신낭에의복을가져당가운ᄃᆡ펴놋코원보즁인을향ᄒᆞ야{{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7gsfl22vg5purnodewx88fstnlgm1cr 위키문헌:소식지 4 96862 392701 392068 2025-06-27T20:57:42Z MediaWiki message delivery 4815 /* Sister Projects Task Force reviews Wikispore and Wikinews */ 새 문단 392701 wikitext text/x-wiki {{절차 머리말 | 제목 = 소식지 | 부제 = | 이전 = | 다음 = | 단축 = 문:소식지 | 설명 = [[:w:ko:위키미디어 재단|위키미디어 재단]] 및 [[:w:ko:위키문헌|위키문헌]] 전반에 관련된 뉴스레터를 모아두는 공간입니다. 뉴스레터와 관련한 경우 이 곳에 직접 의견을 남겨도 되지만, 일반적인 토의와 토론은 [[위키문헌:사랑방|사랑방]]에서 진행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 위키미디어 운동 헌장 비준 투표가 곧 종료됩니다 ==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Movement Charter/Drafting Committee/Announcement - Final reminder|이 메시지는 메타 위키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된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Movement Charter/Drafting Committee/Announcement - Final reminder}}&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 모두들 안녕하세요, 이는 [[m:Special:MyLanguage/Movement Charter|위키미디어 운동 헌장]] 비준을 위한 투표 기간이 '''2024년 7월 9일 23시 59분 UTC'''에 마감됨을 알려드리는 안내입니다. 아직 투표하지 않은 경우 [[m:Special:SecurePoll/vote/398|SecurePoll에서]] 투표하십시오. [[m:Special:MyLanguage/Movement_Charter/Ratification/Voting#Electoral_Commission|헌장 선거 위원회]]를 대표하여,<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m:User:RamzyM (WMF)|RamzyM (WMF)]] 2024년 7월 8일 (월) 12:47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6989444의 목록을 사용해 User:RamzyM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U4C Special Election - Call for Candidates</span>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Announcement – call for candidates|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Announcement – call for candidates}}&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 Hello all, A special election has been called to fill additional vacancies on the U4C. The call for candidates phase is open from now through July 19, 2024.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foundation:Wikimedia Foundation Universal Code of Conduct|UCoC]]. Community members are invited to submit their applications in the special election for the U4C. For more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U4C, please review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Charter|U4C Charter]]. In this special election, according to [[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Charter#2. Elections and Terms|chapter 2 of the U4C charter]], there are 9 seats available on the U4C: '''four''' community-at-large seats and '''five''' regional seats to ensure the U4C represents the diversity of the movement. [[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Charter#5. Glossary|No more than two members of the U4C can be elected from the same home wiki]]. Therefore, candidates must not have English Wikipedia, German Wikipedia, or Italian Wikipedia as their home wiki. Read more and submit your application on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Meta-wiki]]. In cooperation with the U4C,<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 talk:Keegan (WMF)|talk]]) 2024년 7월 10일 (수) 09:03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6989444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Wikimedia Movement Charter ratification voting results</span>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Movement Charter/Drafting Committee/Announcement - Results of the ratification vote|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Movement Charter/Drafting Committee/Announcement - Results of the ratification vote}}&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 Hello everyone, After carefully tallying both individual and affiliate votes, the [[m:Special:MyLanguage/Movement Charter/Ratification/Voting#Electoral Commission|Charter Electoral Commission]] is pleased to announce the final results of the Wikimedia Movement Charter voting.   As [[m:Special:MyLanguage/Talk:Movement Charter#Thank you for your participation in the Movement Charter ratification vote!|communicated]] by the Charter Electoral Commission, we reached the quorum for both Affiliate and individual votes by the time the vote closed on '''July 9, 23:59 UTC'''. We thank all 2,451 individuals and 129 Affiliate representatives who voted in the ratification process. Your votes and comments are invaluable for the future steps in Movement Strategy. The final results of the [[m:Special:MyLanguage/Movement Charter|Wikimedia Movement Charter]] ratification voting held between 25 June and 9 July 2024 are as follows: '''Individual vote:''' Out of 2,451 individuals who voted as of July 9 23:59 (UTC), 2,446 have been accepted as valid votes. Among these, '''1,710''' voted “yes”; '''623''' voted “no”; and '''113''' selected “–” (neutral). Because the neutral votes don’t count towards the total number of votes cast, 73.30% voted to approve the Charter (1710/2333), while 26.70% voted to reject the Charter (623/2333). '''Affiliates vote:''' Out of 129 Affiliates designated voters who voted as of July 9 23:59 (UTC), 129 votes are confirmed as valid votes. Among these, '''93''' voted “yes”; '''18''' voted “no”; and '''18''' selected “–” (neutral). Because the neutral votes don’t count towards the total number of votes cast, 83.78% voted to approve the Charter (93/111), while 16.22% voted to reject the Charter (18/111). '''Board of Trustees of the Wikimedia Foundation:''' The Wikimedia Foundation Board of Trustees voted '''not to ratify''' the proposed Charter during their special Board meeting on July 8, 2024. The Chair of the Wikimedia Foundation Board of Trustees, Nataliia Tymkiv, [[m: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Board_noticeboard/Board_resolution_and_vote_on_the_proposed_Movement_Charter|shared the result of the vote, the resolution, meeting minutes and proposed next steps]].   With this, the Wikimedia Movement Charter in its current revision is '''not ratified'''. We thank you for your participation in this important moment in our movement’s governance. The Charter Electoral Commission, [[m:User:Abhinav619|Abhinav619]], [[m:User:Borschts|Borschts]], [[m:User:Iwuala Lucy|Iwuala Lucy]], [[m:User:Tochiprecious|Tochiprecious]], [[m:User:Der-Wir-Ing|Der-Wir-Ing]]<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사용자: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용자토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4년 7월 19일 (금) 02:53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6989444의 목록을 사용해 User:RamzyM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Vote now to fill vacancies of the first U4C</span>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Announcement – voting opens|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Announcement – voting opens}}&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 Dear all, I am writing to you to let you know the voting period for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open now through '''August 10, 2024'''. Read the information on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voting page on Meta-wiki]] to learn more about voting and voter eligibility.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Community members were invited to submit their applications for the U4C. For more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U4C, please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Charter|review the U4C Charter]]. Please share this message with members of your community so they can participate as well. In cooperation with the U4C,<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m:User:RamzyM (WMF)|RamzyM (WMF)]] 2024년 7월 27일 (토) 11:47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6989444의 목록을 사용해 User:RamzyM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Reminder! Vote closing soon to fill vacancies of the first U4C</span>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Announcement – reminder to vote|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Announcement – reminder to vote}}&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 Dear all, The voting period for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closing soon. It is open through 10 August 2024. Read the information on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Election/2024_Special_Election#Voting|the voting page on Meta-wiki to learn more about voting and voter eligibility]]. If you are eligible to vote and have not voted in this special election, it is important that you vote now. '''Why should you vote?''' Th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Community input into the committee membership is critical to the success of the UCoC. Please share this message with members of your community so they can participate as well. In cooperation with the U4C,<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 talk:Keegan (WMF)|talk]]) 2024년 8월 7일 (수) 00:30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7183190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Coming soon: A new sub-referencing feature – try it!</span> == <div lang="en" dir="ltr"> <section begin="Sub-referencing"/> [[File:Sub-referencing reuse visual.png|{{#ifeq:{{#dir}}|ltr|right|left}}|400px]] Hello. For many years, community members have requested an easy way to re-use references with different details. Now, a MediaWiki solution is coming: The new sub-referencing feature will work for wikitext and Visual Editor and will enhance the existing reference system. You can continue to use different ways of referencing, but you will probably encounter sub-references in articles written by other users. More information on [[m:Special:MyLanguage/WMDE Technical Wishes/Sub-referencing|the project page]]. '''We want your feedback''' to make sure this feature works well for you: * [[m:Special:MyLanguage/WMDE Technical Wishes/Sub-referencing#Test|Please try]] the current state of development on beta wiki and [[m:Talk:WMDE Technical Wishes/Sub-referencing|let us know what you think]]. * [[m:WMDE Technical Wishes/Sub-referencing/Sign-up|Sign up here]] to get updates and/or invites to participate in user research activities. [[m:Special:MyLanguage/Wikimedia Deutschland|Wikimedia Deutschland]]’s [[m:Special:MyLanguage/WMDE Technical Wishes|Technical Wishes]] team is planning to bring this feature to Wikimedia wikis later this year. We will reach out to creators/maintainers of tools and templates related to references beforehand. Please help us spread the message. --[[m:User:Johannes Richter (WMDE)|Johannes Richter (WMDE)]] ([[m:User talk:Johannes Richter (WMDE)|talk]]) 10:36, 19 August 2024 (UTC) <section end="Sub-referencing"/>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Johannes_Richter_(WMDE)/Sub-referencing/massmessage_list&oldid=27309345의 목록을 사용해 User:Johannes Richter (WMDE)@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ign up for the language community meeting on August 30th, 15:00 UTC == Hi all, The next language community meeting is scheduled in a few weeks—on August 30th at 15:00 UTC. If you're interested in joining, you can [https://www.mediawiki.org/wiki/Wikimedia_Language_and_Product_Localization/Community_meetings#30_August_2024 sign up on this wiki page]. This participant-driven meeting will focus on sharing language-specific updates related to various projects, discussing technical issues related to language wikis, and working together to find possible solutions. For example, in the last meeting, topics included the Language Converter, the state of language research, updates on the Incubator conversations, and technical challenges around external links not working with special characters on Bengali sites. Do you have any ideas for topics to share technical updates or discuss challenges? Please add agenda items to the document [https://etherpad.wikimedia.org/p/language-community-meeting-aug-2024 here] and reach out to ssethi(__AT__)wikimedia.org. We look forward to your participation! [[사용자: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용자토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4년 8월 23일 (금) 08:20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7183190의 목록을 사용해 User:SSethi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Announcing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span> == <div lang="en" dir="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https://lists.wikimedia.org/hyperkitty/list/board-elections@lists.wikimedia.org/thread/OKCCN2CANIH2K7DXJOL2GPVDFWL27R7C/ Original message at wikimedia-l].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Announcement - results|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Announcement - results}}&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 Hello all, The scrutineers have finished reviewing the vote and the [[m:Special:MyLanguage/Elections Committee|Elections Committee]] have certified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Results|results]] for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4 Special Election|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special election]]. I am pleased to announce the following individual as regional members of the U4C, who will fulfill a term until 15 June 2026: * North America (USA and Canada) ** Ajraddatz The following seats were not filled during this special election: * Latin America and Caribbean * Central and East Europe (CEE) * Sub-Saharan Africa * South Asia * The four remaining Community-At-Large seats Thank you again to everyone who participated in this process and much appreciation to the candidates for your leadership and dedication to the Wikimedia movement and community. Over the next few weeks, the U4C will begin meeting and planning the 2024-25 year in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and review of the UCoC and Enforcement Guidelines. You can follow their work on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Meta-Wiki]]. On behalf of the U4C and the Elections Committee,<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m:User:RamzyM (WMF)|RamzyM (WMF)]] 2024년 9월 2일 (월) 23:06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7183190의 목록을 사용해 User:RamzyM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Have your say: Vote for the 2024 Board of Trustees!</span> == <div lang="en" dir="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Hello all, The voting period for the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4|2024 Board of Trustees election]] is now open. There are twelve (12) candidates running for four (4) seats on the Board. Learn more about the candidates by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4/Candidates|reading their statements]] and their [[m: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4/Questions_for_candidates|answers to community questions]]. When you are ready, go to the [[Special:SecurePoll/vote/400|SecurePoll]] voting page to vote. '''The vote is open from September 3rd at 00:00 UTC to September 17th at 23:59 UTC'''. To check your voter eligibility, please visit the [[m: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4/Voter_eligibility_guidelines|voter eligibility page]]. Best regards, The Elections Committee and Board Selection Working Group<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사용자: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용자토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4년 9월 3일 (화) 21:15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7183190의 목록을 사용해 User:RamzyM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cholarship Applications Now Open for Wikisource Conference 2025! == Dear Wikimedians, We are thrilled to announce that the Wikisource Conference is returning after a decade! It will be held from 14 to 16 February 2025 in Denpasar, Bali, Indonesia. This event will be a great opportunity for us to come together, share experiences, and discuss the future of Wikisource and its community. We are now accepting scholarship applications for the Wikisource Conference 2025 to promote diversity and inclusion. Scholarships are open to active contributors, community members, developers, and partners involved with Wikisource or related projects. Important Details: * Application Period: 1 September 2024 to 20 September 2024 * Application Deadline: 20 September 2024 * Meta page: [[:m:Wikisource Conference 2025/Scholarships|Link]] We encourage everyone who is passionate about Wikisource and interested in attending this unique gathering to apply for a scholarship. The selection committee will carefully review all applications, focusing on contributions to the Wikisource project, community engagement, and the potential impact of participation in the conference. To apply, please fill out the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fKU36artM5fVRFeG9GAZGhJSVFJKlACkywvE522fJ6zBf_nA/viewform scholarship application form]. We will provide updates soon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conference, including program details, speakers, and venue. If you have any questions or need help with your application, feel free to reach out on the [[:m:Talk:Wikisource Conference 2025/Scholarships|Meta Talk page]] or email us at wikisourceconference@gmail.com. We look forward to receiving your applications and hope to see many of you in Bali for the Wikisource Conference 2025! Regards, <small> Nitesh Gill The Wikisource Conference 2025 Team </small> [[사용자: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용자토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4년 9월 5일 (목) 20:14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SGill_(WMF)/lists/WS_VPs&oldid=27399964의 목록을 사용해 User:Nitesh (CIS-A2K)@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cholarship Application Deadline Extended for Wikisource Conference 2025! == Dear Wikimedians, This message is about the Wikisource Conference, taking place from 14 to 16 February 2025 in Denpasar, Bali, Indonesia, after a decade-long break. This conference will be a fantastic opportunity to reconnect, share insights, and discuss the future of Wikisource and its vibrant community. In the spirit of promoting diversity and inclusion, we're pleased to inform you that the deadline for scholarship applications has been '''extended to 29 September 2024'''. If you still need to apply, please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fKU36artM5fVRFeG9GAZGhJSVFJKlACkywvE522fJ6zBf_nA/viewform fill out the application form]. For any questions or assistance, feel free to contact us via the [[:m:Talk:Wikisource Conference 2025|Meta Talk page]] or by email at wikisourceconference@gmail.com. We look forward to your applications and hope to see you at the Wikisource Conference 2025! Thank you [[사용자: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용자토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4년 9월 20일 (금) 22:32 (KST) Wikisource Conference 2025 Scholarship Team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SGill_(WMF)/lists/WS_VPs&oldid=27416045의 목록을 사용해 User:Nitesh (CIS-A2K)@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Wikidata item' link is moving. Find out where...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i>Apologies for cross-posting in English. Please consider translating this message.</i>{{tracked|T66315}} Hello everyone, a small change will soon be coming to the user-interface of your Wikimedia project. The [[d:Q16222597|Wikidata item]] [[w:|sitelink]] currently found under the <span style="color: #54595d;"><u>''General''</u></span> section of the '''Tools''' sidebar menu will move into the <span style="color: #54595d;"><u>''In Other Projects''</u></span> section. We would like the Wiki communities feedback so please let us know or ask questions on the [[m:Talk:Wikidata_For_Wikimedia_Projects/Projects/Move_Wikidata_item_link|Discussion page]] before we enable the change which can take place October 4 2024, circa 15:00 UTC+2. More information can be found on [[m:Wikidata_For_Wikimedia_Projects/Projects/Move_Wikidata_item_link|the project page]].<br><br>We welcome your feedback and questions.<br> [[사용자: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용자토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4년 9월 28일 (토) 03:58 (KST)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Danny_Benjafield_(WMDE)/MassMessage_Test_List&oldid=27524260의 목록을 사용해 User:Danny Benjafield (WMDE)@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Final Reminder: Wikisource Conference 2025 Scholarship Deadline == Dear Wikimedians, This is a final reminder that the scholarship application deadline for the Wikisource Conference 2025 is 29 September 2024. The conference will take place from 14-16 February 2025 in Denpasar, Bali, Indonesia, after a decade-long break. If you haven’t applied yet, please do so by completing the scholarship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fKU36artM5fVRFeG9GAZGhJSVFJKlACkywvE522fJ6zBf_nA/viewform application form] by 11:59 AM UTC, 29th September 2024. For any questions, reach out via the Meta Talk page or email us at wikisourceconference@gmail.com. We look forward to your participation! Regards, Wikisource Conference 2025 Scholarship Team [[사용자: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용자토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4년 9월 30일 (월) 02:31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SGill_(WMF)/lists/WS_VPs&oldid=27416045의 목록을 사용해 User:Nitesh (CIS-A2K)@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2024년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 선거 예비 결과 ==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모두들 안녕하세요,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4|2024년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 선거]]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180개 이상의 위키 프로젝트에서 6000명에 가까운 커뮤니티 구성원이 투표했습니다. 다음 4명의 후보가 가장 많은 표를 얻었습니다: # [[User:Kritzolina|Christel Steigenberger]] # [[User:Nadzik|Maciej Artur Nadzikiewicz]] # [[User:Victoria|Victoria Doronina]] # [[User:Laurentius|Lorenzo Losa]] 이 후보자들은 투표를 통해 순위가 매겨졌지만, 여전히 이사회에 임명되어야 합니다. 그들은 성공적인 배경 조사를 통과하고 정관에 명시된 자격을 충족해야 합니다. 새로운 이사는 2024년 12월에 열리는 다음 이사회에서 임명될 것입니다. [[m: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4/Results|메타위키에서 결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감사를 전하며, 선거위원회 및 이사회 선정 실무 그룹 <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User:MPossoupe_(WMF)|MPossoupe_(WMF)]] 2024년 10월 14일 (월) 17:26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7183190의 목록을 사용해 User:MPossoupe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운동 위원회에 참여할 자원봉사자를 모집합니다 ==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매년, 일반적으로 10월부터 12월까지, 이 운동의 여러 위원회는 새로운 자원봉사자를 모집합니다. 위원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메타위키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m:Special:MyLanguage/Affiliations_Committee|가맹위원회(AffCom)]] * [[m:Special:MyLanguage/Ombuds_commission|옴부즈 위원회 (OC)]] *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Legal/Community Resilience and Sustainability/Trust and Safety/Case Review Committee|사례 검토 위원회 (CRC)]] 위원회 신청은 2024년 10월 16일에 시작합니다. 가맹위원회 신청은 2024년 11월 18일에 마감되고, 옴부즈 위원회와 사례 검토 위원회 신청은 2024년 12월 2일에 마감됩니다. [[m: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Legal/Committee_appointments|메타위키의 임명 페이지를 방문]]하여 신청 방법을 알아보세요. 토론 페이지에 게시하거나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mailto:cst@wikimedia.org cst@wikimedia.org]로 이메일을 보내세요. 위원회 지원팀을 위해, <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 talk:Keegan (WMF)|talk]]) 2024년 10월 17일 (목) 08:09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7601062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Wikidata item' link is moving, finally. == Hello everyone, I previously wrote on the 27th September to advise that the ''Wikidata item'' sitelink will change places in the sidebar menu, moving from the '''General''' section into the '''In Other Projects''' section. The scheduled rollout date of 04.10.2024 was delayed due to a necessary request for Mobile/MinervaNeue skin. I am happy to inform that the global rollout can now proceed and will occur later today, 22.10.2024 at 15:00 UTC-2. [[m:Talk:Wikidata_For_Wikimedia_Projects/Projects/Move_Wikidata_item_link|Please let us know]] if you notice any problems or bugs after this change. There should be no need for null-edits or purging cache for the changes to occur. Kind regards, -[[m:User:Danny Benjafield (WMDE)|Danny Benjafield (WMDE)]] 2024년 10월 22일 (화) 20:29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Danny_Benjafield_(WMDE)/MassMessage_Test_List&oldid=27535421의 목록을 사용해 User:Danny Benjafield (WMDE)@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ign up for the language community meeting on November 29th, 16:00 UTC == Hello everyone, The next language community meeting is coming up next week, on November 29th, at 16:00 UTC (Zonestamp! For your timezone <https://zonestamp.toolforge.org/1732896000>). If you're interested in joining, you can sign up on this wiki page: <https://www.mediawiki.org/wiki/Wikimedia_Language_and_Product_Localization/Community_meetings#29_November_2024>. This participant-driven meeting will be organized by the Wikimedia Foundation’s Language Product Localization team and the Language Diversity Hub. There will be presentations on topics like developing language keyboards, the creation of the Moore Wikipedia, and the language support track at Wiki Indaba. We will also have members from the Wayuunaiki community joining us to share their experiences with the Incubator and as a new community within our movement. This meeting will have a Spanish interpretation. Looking forward to seeing you at the language community meeting! Cheers, [[User:SSethi (WMF)|Srishti]] 2024년 11월 22일 (금) 04:55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7746256의 목록을 사용해 User:SSethi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Universal Code of Conduct annual review: provide your comments on the UCoC and Enforcement Guidelines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My apologies for writing in English. {{Int:Please-translate}}. I am writing to you to let you know the annual review period for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and Enforcement Guidelines is open now. You can make suggestions for changes through 3 February 2025. This is the first step of several to be taken for the annual review.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Annual_review|Read more information and find a conversation to join on the UCoC page on Meta]].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This annual review was planned and implemented by the U4C. For more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U4C,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Charter|you may review the U4C Charter]]. Please share this information with other members in your community wherever else might be appropriate. -- In cooperation with the U4C,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 talk:Keegan (WMF)|talk]]) 2025년 1월 24일 (금) 10:12 (KST)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7746256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Reminder: first part of the annual UCoC review closes soon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My apologies for writing in English. {{Int:Please-translate}}. This is a reminder that the first phase of the annual review period for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and Enforcement Guidelines will be closing soon. You can make suggestions for changes through [[d:Q614092|the end of day]], 3 February 2025. This is the first step of several to be taken for the annual review.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Annual_review|Read more information and find a conversation to join on the UCoC page on Meta]]. After review of the feedback, proposals for updated text will be published on Meta in March for another round of community review. Please share this information with other members in your community wherever else might be appropriate. -- In cooperation with the U4C,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 talk:Keegan (WMF)|talk]]) 2025년 2월 3일 (월) 09:49 (KST)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198931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 Upcoming Language Community Meeting (Feb 28th, 14:00 UTC) and Newsletter</span> == <div lang="en" dir="ltr"> <section begin="message"/> Hello everyone! [[File:WP20Symbols WIKI INCUBATOR.svg|right|frameless|150x150px|alt=An image symbolising multiple languages]] We’re excited to announce that the next '''Language Community Meeting''' is happening soon, '''February 28th at 14:00 UTC'''! If you’d like to join, simply sign up on the '''[[mw:Wikimedia_Language_and_Product_Localization/Community_meetings#28_February_2025|wiki page]]'''. This is a participant-driven meeting where we share updates on language-related projects, discuss technical challenges in language wikis, and collaborate on solutions. In our last meeting, we covered topics like developing language keyboards, creating the Moore Wikipedia, and updates from the language support track at Wiki Indaba. '''Got a topic to share?''' Whether it’s a technical update from your project, a challenge you need help with, or a request for interpretation support, we’d love to hear from you! Feel free to '''reply to this message''' or add agenda items to the document '''[[etherpad:p/language-community-meeting-feb-2025|here]]'''. Also, we wanted to highlight that the sixth edition of the Language & Internationalization newsletter (January 2025) is available here: [[:mw:Special:MyLanguage/Wikimedia Language and Product Localization/Newsletter/2025/January|Wikimedia Language and Product Localization/Newsletter/2025/January]]. This newsletter provides updates from the October–December 2024 quarter on new feature development, improvements in various language-related technical projects and support efforts, details about community meetings, and ideas for contributing to projects. To stay updated, you can subscribe to the newsletter on its wiki page: [[:mw:Wikimedia Language and Product Localization/Newsletter|Wikimedia Language and Product Localization/Newsletter]]. We look forward to your ideas and participation at the language community meeting, see you there! <section end="message"/> </div> <bdi lang="en" dir="ltr">[[User: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bdi> 2025년 2월 22일 (토) 17:29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217779의 목록을 사용해 User:SSethi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Universal Code of Conduct annual review: proposed changes are available for comment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My apologies for writing in English. {{Int:Please-translate}}. I am writing to you to let you know that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Annual_review/Proposed_Changes|proposed changes]] to the [[foundation:Special:MyLanguage/Policy:Universal_Code_of_Conduct/Enforcement_guidelines|Universal Code of Conduct (UCoC) Enforcement Guidelines]] and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Charter|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Charter]] are open for review.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Annual_review/Proposed_Changes|You can provide feedback on suggested changes]]''' through the [[d:Q614092|end of day]] on Tuesday, 18 March 2025. This is the second step in the annual review process, the final step will be community voting on the proposed changes.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Annual_review|Read more information and find relevant links about the process on the UCoC annual review page on Meta]].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This annual review was planned and implemented by the U4C. For more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U4C,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Charter|you may review the U4C Charter]]. Please share this information with other members in your community wherever else might be appropriate. -- In cooperation with the U4C, [[m:User:Keegan (WMF)|Keegan (WMF)]] 2025년 3월 8일 (토) 03:51 (KST)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307738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Final proposed modifications to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Enforcement Guidelines and U4C Charter now posted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The proposed modifications to the [[foundation:Special:MyLanguage/Policy:Universal_Code_of_Conduct/Enforcement_guidelines|Universal Code of Conduct Enforcement Guidelines]] and the U4C Charter [[m:Universal_Code_of_Conduct/Annual_review/2025/Proposed_Changes|are now on Meta-wiki for community notice]] in advance of the voting period. This final draft was developed from the previous two rounds of community review. Community members will be able to vote on these modifications starting on 17 April 2025. The vote will close on 1 May 2025, and results will be announced no later than 12 May 2025. The U4C election period, starting with a call for candidates, will open immediately following the announcement of the review results. More information will be posted on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Election|the wiki page for the election]] soon. Please be advised that this process will require more messages to be sent here over the next two months.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This annual review was planned and implemented by the U4C. For more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U4C, you may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Charter|review the U4C Charter]]. Please share this message with members of your community so they can participate as well. -- In cooperation with the U4C,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_talk:Keegan (WMF)|talk]]) 2025년 4월 4일 (금) 11:05 (KST)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469465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Vote now on the revised UCoC Enforcement Guidelines and U4C Charter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The voting period for the revisions to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Enforcement Guidelines ("UCoC EG") and the UCoC's Coordinating Committee Charter is open now through the end of 1 May (UTC) ([https://zonestamp.toolforge.org/1746162000 find in your time zone]).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Annual_review/2025/Voter_information|Read the information on how to participate and read over the proposal before voting]] on the UCoC page on Meta-wiki.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This annual review of the EG and Charter was planned and implemented by the U4C. Further information will be provided in the coming months about the review of the UCoC itself. For more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U4C, you may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Charter|review the U4C Charter]]. Please share this message with members of your community so they can participate as well. In cooperation with the U4C --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_talk:Keegan (WMF)|talk]]) 2025년 4월 17일 (목) 09:35 (KST)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469465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Vote on proposed modifications to the UCoC Enforcement Guidelines and U4C Charter</span> == <div lang="en" dir="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The voting period for the revisions to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Enforcement Guidelines and U4C Charter closes on 1 May 2025 at 23:59 UTC ([https://zonestamp.toolforge.org/1746162000 find in your time zone]).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Annual review/2025/Voter information|Read the information on how to participate and read over the proposal before voting]] on the UCoC page on Meta-wiki.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This annual review was planned and implemented by the U4C. For more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U4C, you may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Charter|review the U4C Charter]]. Please share this message with members of your community in your language, as appropriate, so they can participate as well. In cooperation with the U4C -- <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 talk:Keegan (WMF)|talk]]) 2025년 4월 29일 (화) 12:41 (KST)</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618011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Call for Candidates for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span> == <div lang="en" dir="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The results of voting on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Enforcement Guidelines and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Charter is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Annual review/2025#Results|available on Meta-wiki]]. You may now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5/Candidates|submit your candidacy to serve on the U4C]] through 29 May 2025 at 12:00 UTC. Information about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5|eligibility, process, and the timeline are on Meta-wiki]]. Voting on candidates will open on 1 June 2025 and run for two weeks, closing on 15 June 2025 at 12:00 UTC. If you have any questions, you can ask on [[m:Talk:Universal Code of Conduct/Coordinating Committee/Election/2025|the discussion page for the election]]. -- in cooperation with the U4C, </div><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bdi lang="en" dir="ltr">[[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_talk:Keegan (WMF)|토론]])</bdi> 2025년 5월 16일 (금) 07:08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618011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RfC ongoing regarding Abstract Wikipedia (and your project)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Apologies for posting in English, if this is not your first language)'' Hello all! We opened a discussion on Meta about a very delicate issue for the development of [[:m:Special:MyLanguage/Abstract Wikipedia|Abstract Wikipedia]]: where to store the abstract content that will be developed through functions from Wikifunctions and data from Wikidata. Since some of the hypothesis involve your project, we wanted to hear your thoughts too. We want to make the decision process clear: we do not yet know which option we want to use, which is why we are consulting here. We will take the arguments from the Wikimedia communities into account, and we want to consult with the different communities and hear arguments that will help us with the decision. The decision will be made and communicated after the consultation period by the Foundation. You can read the various hypothesis and have your say at [[:m:Abstract Wikipedia/Location of Abstract Content|Abstract Wikipedia/Location of Abstract Content]]. Thank you in advance! -- [[User:Sannita (WMF)|Sannita (WMF)]] ([[User talk:Sannita (WMF)|<span class="signature-talk">{{int:Talkpagelinktext}}</span>]]) 2025년 5월 23일 (금) 00:27 (KST)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Sannita_(WMF)/Mass_sending_test&oldid=28768453의 목록을 사용해 User:Sannita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 2025년 선정 및 질의응답 ==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5/Announcement/Selection announcement|{{int:interlanguage-link-mul}}]]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5/Announcement/Selection announcement}}&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 여러분 모두에게, 올해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에서 커뮤니티 및 가맹단체가 선정한 이사 2명의 임기가 종료됩니다.[1] 이사회는 모든 회원이 올해의 선정 과정에 참여하여 해당 자리를 채우기 위한 투표를 실시할 것을 요청합니다. 선거위원회는 재단 직원의 지원을 받아 이 과정을 감독합니다.[2] 2025년 커뮤니티 및 가맹단체 선정 이사 선출 과정에 후보로 포함되지 않은 이사(라주 나리셰티, 샤니 에반스타인 시갈로프, 로렌조 로사, 케이트 콜린스, 빅토리아 도로니나, 에즈라 알라 샤피)[3]로 구성된 거버넌스 위원회는 2025년 이사 선출 과정에 대한 이사회 감독 및 이사회에 대한 정보 제공을 담당합니다. 선거위원회, 이사회 및 직원의 역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4]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요 계획 날짜는 다음과 같습니다: * 5월 22일 ~ 6월 5일 : 발표(이 커뮤니케이션) 및 질의응답 기간 [6] * 2025년 6월 17일 ~ 7월 1일: 후보자 모집 * 2025년 7월: 필요한 경우, 10명 이상이 지원하면 가맹단체가 후보자를 최종 후보로 선정하기 위해 투표합니다. [5] * 2025년 8월: 캠페인 기간 * 2025년 8월~9월: 2주간의 커뮤니티 투표 기간 * 2025년 10월~11월: 선발된 후보자의 신원 조사 * 2025년 12월 이사회 회의: 새로운 이사 선출 이 메타위키 페이지 [[m: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5|[링크]]]에서 2025년 선거 과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자세한 일정, 후보자 자격 기준, 캠페인 규칙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질문하기''' 각 선발 과정에서 커뮤니티는 이사회 후보자들이 답변할 질문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선거위원회는 커뮤니티가 작성한 목록에서 후보자들이 답변할 질문을 선정합니다. 후보자는 지원서에 기재된 모든 필수 질문에 답변해야 자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지원 자격이 박탈됩니다. 올해 선거위원회는 후보자들이 답변할 5개의 질문을 선정할 예정입니다. 선정된 질문은 커뮤니티에서 제출된 질문들을 조합하여 작성될 수 있으며, 유사하거나 관련이 있는 질문일 경우 해당 질문을 조합하여 작성할 수 있습니다. [[m: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5/Questions_for_candidates|[링크]]] '''선거 자원봉사자''' 2025년 선거 과정에 참여하는 또 다른 방법은 선거 자원봉사자가 되는 것입니다. 선거 자원봉사자는 선거위원회와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지역 사회의 대표성을 확보하고 투표 참여를 독려합니다. 이 메타위키 페이지 [[m: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5/Election_volunteers|[링크]]]에서 이 프로그램과 참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감사합니다! [1] https://meta.wikimedia.org/wiki/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2/Results [2] https://foundation.wikimedia.org/wiki/Committee:Elections_Committee_Charter [3] https://foundation.wikimedia.org/wiki/Resolution:Committee_Membership,_December_2024 [4] https://meta.wikimedia.org/wiki/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_committee/Roles [5] https://meta.wikimedia.org/wiki/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5/FAQ [6] https://meta.wikimedia.org/wiki/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5/Questions_for_candidates 감사를 전하며, 빅토리아 도로니나 선거위원회와의 이사회 연락 담당자 거버넌스 위원회<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사: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5년 5월 28일 (수) 12:08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618011의 목록을 사용해 User:RamzyM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Vote now in the 2025 U4C Election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Apologies for writing in English. {{Int:Please-translate}} Eligible voters a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2025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election. More information–including an eligibility check, voting process information, candidate information, and a link to the vote–are available on Meta at the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Coordinating_Committee/Election/2025|2025 Election information page]]. The vote closes on 17 June 2025 at [https://zonestamp.toolforge.org/1750161600 12:00 UTC]. Please vote if your account is eligible. Results will be available by 1 July 2025. -- In cooperation with the U4C, [[m:User:Keegan (WMF)|Keegan (WMF)]] ([[m:User talk:Keegan (WMF)|talk]]) 2025년 6월 14일 (토) 08:01 (KST)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848819의 목록을 사용해 User:Keeg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 2025 - 후보자 모집 ==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div class="plainlinks">[[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5/Announcement/Call for candidates|{{int:interlanguage-link-mul}}]]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5/Announcement/Call for candidates}}&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div> 모두들 안녕하세요,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5|2025년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 후보자 모집은 2025년 6월 17일부터 2025년 7월 2일 11:59 UTC까지 진행됩니다]]. [1] 이사회는 위키미디어 재단의 활동을 감독하며, 각 이사는 3년 임기를 갖습니다 [2]. 이 직책은 자원봉사입니다. 올해 위키미디어 커뮤니티는 2025년 8월 말부터 9월까지 재단 이사회 2석을 선출하기 위한 투표를 실시합니다. 귀하 또는 귀하가 아는 분이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에 합류하기에 적합한 인물이신가요? [3] 이러한 리더십 직책을 맡는 데 필요한 것과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5/Candidate application|이 메타위키 페이지]]에서 후보 등록을 하는 방법, 또는 다른 사람이 올해 선거에 출마하도록 격려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안부를 전하며, 아비셰크 수리야완시<br /> 선거위원회 위원장 선거위원회 및 거버넌스위원회를 대신하여 [1] https://meta.wikimedia.org/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5/Call_for_candidates [2] https://foundation.wikimedia.org/wiki/Legal:Bylaws#(B)_Term. [3] https://meta.wikimedia.org/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5/Resources_for_candidates<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사: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5년 6월 18일 (수) 02:44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Distribution_list/Global_message_delivery&oldid=28866958의 목록을 사용해 User:RamzyM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Sister Projects Task Force reviews Wikispore and Wikinews</span> == <div lang="en" dir="ltr"> <section begin="message"/> Dear Wikimedia Community, The [[m:Wikimedia Foundation Community Affairs Committee|Community Affairs Committee (CAC)]] of the Wikimedia Foundation Board of Trustees assigned [[m:Wikimedia Foundation Community Affairs Committee/Sister Projects Task Force|the Sister Projects Task Force (SPTF)]] to update and implement a procedure for assessing the lifecycle of Sister Projects – wiki [[m:Wikimedia projects|projects supported by Wikimedia Foundation (WMF)]]. A vision of relevant, accessible, and impactful free knowledge has always guided the Wikimedia Movement. As the ecosystem of Wikimedia projects continues to evolve, it is crucial that we periodically review existing projects to ensure they still align with our goals and community capacity. Despite their noble intent, some projects may no longer effectively serve their original purpose. '''Reviewing such projects is not about giving up – it's about responsible stewardship of shared resources'''. Volunteer time, staff support, infrastructure, and community attention are finite, and the non-technical costs tend to grow significantly as our ecosystem has entered a different age of the internet than the one we were founded in. Supporting inactive projects or projects that didn't meet our ambitions can unintentionally divert these resources from areas with more potential impact. Moreover, maintaining projects that no longer reflect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Wikimedia name stands for, involves a reputational risk. An abandoned or less reliable project affects trust in the Wikimedia movement. Lastly, '''failing to sunset or reimagine projects that are no longer working can make it much harder to start new ones'''. When the community feels bound to every past decision – no matter how outdated – we risk stagnation. A healthy ecosystem must allow for evolution, adaptation, and, when necessary, letting go. If we create the expectation that every project must exist indefinitely, we limit our ability to experiment and innovate. Because of this, SPTF reviewed two requests concerning the lifecycle of the Sister Projects to work through and demonstrate the review process. We chose Wikispore as a case study for a possible new Sister Project opening and Wikinews as a case study for a review of an existing project. Preliminary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the CAC, and a community consultation on both proposals was recommended. === Wikispore === The [[m:Wikispore|application to consider Wikispore]] was submitted in 2019. SPTF decided to review this request in more depth because rather than being concentrated on a specific topic, as most of the proposals for the new Sister Projects are, Wikispore has the potential to nurture multiple start-up Sister Projects. After careful consideration, the SPTF has decided '''not to recommend''' Wikispore as a Wikimedia Sister Project. Considering the current activity level, the current arrangement allows '''better flexibility''' and experimentation while WMF provides core infrastructural support. We acknowledge the initiative's potential and seek community input on what would constitute a sufficient level of activity and engagement to reconsider its status in the future. As part of the process, we shared the decision with the Wikispore community and invited one of its leaders, Pharos, to an SPTF meeting. Currently, we especially invite feedback on measurable criteria indicating the project's readiness, such as contributor numbers, content volume, and sustained community support. This would clarify the criteria sufficient for opening a new Sister Project, including possible future Wikispore re-application. However, the numbers will always be a guide because any number can be gamed. === Wikinews === We chose to review Wikinews among existing Sister Projects because it is the one for which we have observed the highest level of concern in multiple ways. Since the SPTF was convened in 2023, its members have asked for the community's opinions during conferences and community calls about Sister Projects that did not fulfil their promise in the Wikimedia movement.[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WCNA_2024._Sister_Projects_-_opening%3F_closing%3F_merging%3F_splitting%3F.pdf <nowiki>[1]</nowiki>][https://meta.wikimedia.org/wiki/Wikimedia_Foundation_Community_Affairs_Committee/Sister_Projects_Task_Force#Wikimania_2023_session_%22Sister_Projects:_past,_present_and_the_glorious_future%22 <nowiki>[2]</nowiki>][https://meta.wikimedia.org/wiki/WikiConvention_francophone/2024/Programme/Quelle_proc%C3%A9dure_pour_ouvrir_ou_fermer_un_projet_%3F <nowiki>[3]</nowiki>] Wikinews was the leading candidate for an evaluation because people from multiple language communities proposed it. Additionally, by most measures, it is the least active Sister Project, with the greatest drop in activity over the years. While the Language Committee routinely opens and closes language versions of the Sister Projects in small languages, there has never been a valid proposal to close Wikipedia in major languages or any project in English. This is not true for Wikinews, where there was a proposal to close English Wikinews, which gained some traction but did not result in any action[https://meta.wikimedia.org/wiki/Proposals_for_closing_projects/Closure_of_English_Wikinews <nowiki>[4]</nowiki>][https://meta.wikimedia.org/wiki/WikiConvention_francophone/2024/Programme/Quelle_proc%C3%A9dure_pour_ouvrir_ou_fermer_un_projet_%3F <nowiki>[5]</nowiki>, see section 5] as well as a draft proposal to close all languages of Wikinews[https://meta.wikimedia.org/wiki/Talk:Proposals_for_closing_projects/Archive_2#Close_Wikinews_completely,_all_languages? <nowiki>[6]</nowiki>]. [[:c:File:Sister Projects Taskforce Wikinews review 2024.pdf|Initial metrics]] compiled by WMF staff also support the community's concerns about Wikinews. Based on this report, SPTF recommends a community reevaluation of Wikinews. We conclude that its current structure and activity levels are the lowest among the existing sister projects. SPTF also recommends pausing the opening of new language editions while the consultation runs. SPTF brings this analysis to a discussion and welcomes discussions of alternative outcomes, including potential restructuring efforts or integration with other Wikimedia initiatives. '''Options''' mentioned so far (which might be applied to just low-activity languages or all languag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estructure how Wikinews works and is linked to other current events efforts on the projects, *Merge the content of Wikinews into the relevant language Wikipedias, possibly in a new namespace, *Merge content into compatibly licensed external projects, *Archive Wikinews projects. Your insights and perspectives are invaluable in shaping the future of these projects. We encourage all interested community members to share their thoughts on the relevant discussion pages or through other designated feedback channels. === Feedback and next steps === We'd be grateful if you want to take part in a conversation on the future of these projects and the review process. We are setting up two different project pages: [[m:Public consultation about Wikispore|Public consultation about Wikispore]] and [[m:Public consultation about Wikinews|Public consultation about Wikinews]]. Please participate between 27 June 2025 and 27 July 2025, after which we will summarize the discussion to move forward. You can write in your own language. I will also host a community conversation 16th July Wednesday 11.00 UTC and 17th July Thursday 17.00 UTC (call links to follow shortly) and will be around at Wikimania for more discussions. <section end="message"/> </div> -- [[User:Victoria|Victoria]] on behalf of the Sister Project Task Force, 2025년 6월 28일 (토) 05:57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Johan_(WMF)/Sister_project_MassMassage_on_behalf_of_Victoria/Target_list&oldid=28911188의 목록을 사용해 User:Johan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fvd6qksldgxu9ifp03jjpgwz2e3rs97 두시언해/중간본/권3 0 99461 392675 392629 2025-06-27T13:18:14Z ZornsLemon 15531 /* 질병(疾病) */ 392675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두시언해 중간본 권3 | 다른 표기 = 分類杜工部詩 諺解 卷之三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권2|권2]] | 다음 = [[../권4|권4]] | 설명 = }} ==술회(述懷) 하(下)== * [[/기부서회|기부서회(夔府書懷)]] * [[/추일형남술회|추일형남술회(秋日荊南述懷)]] * [[/견민|견민(遣悶)]] * [[/풍질|풍질(風疾)]] * [[/수숙견흥|수숙견흥(水宿遣興)]] * [[/관정후희증|관정후희증(官定後戱贈)]] * [[/지덕2재|지덕2재(至德二載)]] * [[/우목|우목(寓目)]] * [[/문관군수하남하북|문관군수하남하북(聞官軍收河南河北)]] * [[/공낭|공낭(空囊)]] * [[/견회|견회(遣懷)]] * [[/견의|견의(遣意)]] * [[/독립|독립(獨立)]] * [[/원유|원유(遠遊)]] * [[/서보|서보(徐步)]] * [[/수좌|수좌(愁坐)]] * [[/운산|운산(雲山)]] * [[/의장|의장(倚杖)]] * [[/병적|병적(屛跡)]] * [[/귀래|귀래(歸來)]] * [[/강상치수|강상치수(江上値水)]] * [[/발민|발민(撥悶)]] * [[/산수|산수(散愁)]] * [[/수|수(愁)]] * [[/여야서회|여야서회(旅夜書懷)]] * [[/귀|귀(歸)]] * [[/객구관|객구관(客舊館)]] * [[/견수|견수(遣愁)]] * [[/즉사|즉사(卽事)]] * [[/협중남물|협중남물(峽中覽物)]] * [[/억정남자|억정남자(憶鄭南玼)]] * [[/회파상유|회파상유(懷㶚上遊)]] * [[/강상|강상(江上)]] * [[/강한|강한(江漢)]] * [[/수백|수백(垂白)]] * [[/추협|추협(秋峽)]] * [[/독좌 2수|독좌 2수(獨坐 二首)]] * [[/남경정백중승|남경정백중승(覽鏡呈栢中丞)]] * [[/동둔북엄|동둔북엄(東屯北俺)]] * [[/유탄|유탄(有歎)]] * [[/민|민(悶)]] * [[/독좌|독좌(獨坐)]] * [[/모귀|모귀(暮歸)]] * [[/희작배해체견민|희작배해체견민(戱作俳諧體遣悶)]] * [[/견우|견우(遣憂)]] * [[/견민정로|견민정로(遣悶呈路)]] * [[/장음|장음(長吟)]] * [[/누상|누상(樓上)]] ==질병(疾病)== * [[/병후과왕의음증가|병후과왕의(病後過王倚飮贈歌)]] * [[/취위추마|취위추마(醉爲墜馬)]] * [[/이롱|이롱(耳聾)]] * [[/노병|노병(老病)]] ==회고(懷古)== * [[/술고|술고(述古)]] * [[/견흥|견흥(遣興)]] * [[/억석|억석(憶昔)]] * [[/동도금화산|동도금화산(冬到金華山)]] * [[/진습유고택|진습유고택(陳拾遺故宅)]] * [[/과곽대공고택|과곽대공고택(過郭代公故宅)]] * [[/영회고적|영회고적(詠懷古跡)]] * [[/공안현회고|공안현회고(公安縣懷古)]] * [[/과송원외지문구장|과송원외지문구장(過宋員外之問舊莊)]] * [[/석순행|석순행(石笋行)]] * [[/석서행|석서행(石犀行)]] * [[/석경|석경(石鏡)]] * [[/금대|금대(琴臺)]] ==저작권== {{PD-old}} bky93gd9c96wgze3df2t2u7mdxcqrro 392677 392675 2025-06-27T13:18:56Z ZornsLemon 15531 /* 질병(疾病) */ 392677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두시언해 중간본 권3 | 다른 표기 = 分類杜工部詩 諺解 卷之三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권2|권2]] | 다음 = [[../권4|권4]] | 설명 = }} ==술회(述懷) 하(下)== * [[/기부서회|기부서회(夔府書懷)]] * [[/추일형남술회|추일형남술회(秋日荊南述懷)]] * [[/견민|견민(遣悶)]] * [[/풍질|풍질(風疾)]] * [[/수숙견흥|수숙견흥(水宿遣興)]] * [[/관정후희증|관정후희증(官定後戱贈)]] * [[/지덕2재|지덕2재(至德二載)]] * [[/우목|우목(寓目)]] * [[/문관군수하남하북|문관군수하남하북(聞官軍收河南河北)]] * [[/공낭|공낭(空囊)]] * [[/견회|견회(遣懷)]] * [[/견의|견의(遣意)]] * [[/독립|독립(獨立)]] * [[/원유|원유(遠遊)]] * [[/서보|서보(徐步)]] * [[/수좌|수좌(愁坐)]] * [[/운산|운산(雲山)]] * [[/의장|의장(倚杖)]] * [[/병적|병적(屛跡)]] * [[/귀래|귀래(歸來)]] * [[/강상치수|강상치수(江上値水)]] * [[/발민|발민(撥悶)]] * [[/산수|산수(散愁)]] * [[/수|수(愁)]] * [[/여야서회|여야서회(旅夜書懷)]] * [[/귀|귀(歸)]] * [[/객구관|객구관(客舊館)]] * [[/견수|견수(遣愁)]] * [[/즉사|즉사(卽事)]] * [[/협중남물|협중남물(峽中覽物)]] * [[/억정남자|억정남자(憶鄭南玼)]] * [[/회파상유|회파상유(懷㶚上遊)]] * [[/강상|강상(江上)]] * [[/강한|강한(江漢)]] * [[/수백|수백(垂白)]] * [[/추협|추협(秋峽)]] * [[/독좌 2수|독좌 2수(獨坐 二首)]] * [[/남경정백중승|남경정백중승(覽鏡呈栢中丞)]] * [[/동둔북엄|동둔북엄(東屯北俺)]] * [[/유탄|유탄(有歎)]] * [[/민|민(悶)]] * [[/독좌|독좌(獨坐)]] * [[/모귀|모귀(暮歸)]] * [[/희작배해체견민|희작배해체견민(戱作俳諧體遣悶)]] * [[/견우|견우(遣憂)]] * [[/견민정로|견민정로(遣悶呈路)]] * [[/장음|장음(長吟)]] * [[/누상|누상(樓上)]] ==질병(疾病)== * [[/병후과왕의음증가|병후과왕의음증가(病後過王倚飮贈歌)]] * [[/취위추마|취위추마(醉爲墜馬)]] * [[/이롱|이롱(耳聾)]] * [[/노병|노병(老病)]] ==회고(懷古)== * [[/술고|술고(述古)]] * [[/견흥|견흥(遣興)]] * [[/억석|억석(憶昔)]] * [[/동도금화산|동도금화산(冬到金華山)]] * [[/진습유고택|진습유고택(陳拾遺故宅)]] * [[/과곽대공고택|과곽대공고택(過郭代公故宅)]] * [[/영회고적|영회고적(詠懷古跡)]] * [[/공안현회고|공안현회고(公安縣懷古)]] * [[/과송원외지문구장|과송원외지문구장(過宋員外之問舊莊)]] * [[/석순행|석순행(石笋行)]] * [[/석서행|석서행(石犀行)]] * [[/석경|석경(石鏡)]] * [[/금대|금대(琴臺)]] ==저작권== {{PD-old}} 67h6pn6pcxgjr7zs5zuax51kbg4k7h6 페이지:이언 권3.djvu/14 250 100904 392707 391548 2025-06-28T04:14:15Z Sookhee-lee 18482 39270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ookhee-lee"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니즁국이ᄆᆞᆺ당히엄히방비ᄒᆞ야연ᄒᆡ각쳐에군ᄉᆞ ᄅᆞᆯ만히두어그간교ᄒᆞᆫᄆᆞᄋᆞᆷ을막으며즁국ᄉᆞ신을 변방디경의머믈너두어셩긔ᄅᆞᆯ통ᄒᆞ게ᄒᆞ고만일 법을멸시ᄒᆞ고약됴ᄅᆞᆯᄇᆡ반ᄒᆞᄂᆞᆫ등ᄉᆡ잇거든ᄉᆞ신 을보ᄂᆡ여의리로ᄭᅥᆨ거ᄒᆞ야곰두려워ᄒᆞ야항복ᄒᆞ 고감히방쟈히ᄒᆡᆼ치못ᄒᆞ게ᄒᆞ야뎡ᄒᆞᆫ디경을직희 고잇게ᄒᆞᆯ거시니방되이밧긔업ᄉᆞ리라혹이니ᄅᆞ ᄃᆡ아라ᄉᆞ국에셔로련ᄒᆞᆫ나라히구라파쥬의ᄂᆞᆫ영 국보국과아셰아쥬의ᄂᆞᆫ일본과파ᄉᆞ국이셔귀여 셔로구원ᄒᆞᄂᆞ니즁국이ᄆᆞᆺ당히ᄉᆞ신을보ᄂᆡ여화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9ja3ta2yxr1mla71rytb1clkiuig9xi 페이지:이언 권3.djvu/15 250 100910 392705 391554 2025-06-28T04:09:20Z Sookhee-lee 18482 39270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ookhee-lee"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친을통ᄒᆞ야심복으로븟쳐일이이시면협력ᄒᆞ야 막으리라ᄒᆞ니계□ᄯᅩᄒᆞᆫ죠커니와념려ᄒᆞᄂᆞᆫ바ᄂᆞᆫ 각국이텬죠ᄅᆞᆯ젹게볼거시니힘을빌기어려오리 라그러나큰판국을두로혀려ᄒᆞ면다ᄉᆞ리ᄂᆞᆫ법이 잇고다ᄉᆞ릴만ᄒᆞ인ᄌᆡ이시미더옥귀ᄒᆞ니이졔가 쟝요긴ᄒᆞᆫᄇᆡ대강셰가지ᄉᆞ단이이시니쳥컨ᄃᆡᄀᆞᆺ 쵸베프러갈ᄒᆡ여ᄡᅳ기ᄅᆞᆯᄌᆞ뢰ᄒᆞ노라하나흔슈뢰 포를만히짓고텰함을만히지으며슈군을훈련ᄒᆞ 야젼슈지ᄎᆡᆨ을ᄒᆞᆯ거시오즁국연ᄒᆡ각쳐에념려되 ᄂᆞᆫ곳이만흐니ᄀᆡ여히디형을인ᄒᆞ야ᄆᆞᆺ당ᄒᆞᆫ법을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kdu7rluu0009lr0b1qdi35wf6fj96lq 392706 392705 2025-06-28T04:13:44Z Sookhee-lee 18482 39270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ookhee-lee"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친을통ᄒᆞ야심복으로븟쳐일이이시면협력ᄒᆞ야 막으리라ᄒᆞ니계ᄀᆈᄯᅩᄒᆞᆫ죠커니와념려ᄒᆞᄂᆞᆫ바ᄂᆞᆫ 각국이텬죠ᄅᆞᆯ젹게볼거시니힘을빌기어려오리 라그러나큰판국을두로혀려ᄒᆞ면다ᄉᆞ리ᄂᆞᆫ법이 잇고다ᄉᆞ릴만ᄒᆞ인ᄌᆡ이시미더옥귀ᄒᆞ니이졔가 쟝요긴ᄒᆞᆫᄇᆡ대강셰가지ᄉᆞ단이이시니쳥컨ᄃᆡᄀᆞᆺ 쵸베프러갈ᄒᆡ여ᄡᅳ기ᄅᆞᆯᄌᆞ뢰ᄒᆞ노라하나흔슈뢰 포를만히짓고텰함을만히지으며슈군을훈련ᄒᆞ 야젼슈지ᄎᆡᆨ을ᄒᆞᆯ거시오즁국연ᄒᆡ각쳐에념려되 ᄂᆞᆫ곳이만흐니ᄀᆡ여히디형을인ᄒᆞ야ᄆᆞᆺ당ᄒᆞᆫ법을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22of3ok6cqsy875di7pxpwcdfayrtv3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16 250 101336 392725 392250 2025-06-28T06:22:34Z ZornsLemon 15531 39272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더크게|네〯 츠기 너기〮디〮 말〯라〮 ○ 迦{{*|강}}葉{{*|셥〮}}이〮 優{{*|ᅙᅮᇢ}}婆{{*|빵}}離{{*|링}}ᄅᆞᆯ〮 請{{*|쳐ᇰ〯}}ᄒᆞ〮야〮 律{{*|류ᇙ〮}}藏{{*|짜ᇰ〮}}ᄋᆞᆯ〮 모도〮고〮 阿{{*|ᅙᅡᆼ}}難{{*|난}}이〮ᄂᆞᆫ〮 經{{*|겨ᇰ}}藏{{*|짜ᇰ〮}}ᄋᆞᆯ〮 모도〮게〮 터니〮 迦{{*|강}}葉{{*|셥〮}}이〮 한 사〯ᄅᆞᄆᆡ〮게 닐오〮ᄃᆡ〮 이〮 阿{{*|ᅙᅡᆼ}}難{{*|난}} 比{{*|삥〮}}丘{{*|쿠ᇢ}}ㅣ 多{{*|당}}聞{{*|문}}緫{{*|조ᇰ〯}}持{{*|띵}}ᄒᆞ〮야〮 큰〮 智{{*|딩〮}}慧{{*|ᅘᆒᆼ〮}} 이셔〮 샤ᇰ녜〮 如{{*|ᅀᅧᆼ}}來{{*|ᄅᆡᆼ}}ᄅᆞᆯ〮 좃ᄌᆞᄫᅡ〮 梵{{*|뻠〮}}行{{*|ᅘᆡᇰ〮}}이〮 淸{{*|쳐ᇰ}}}}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jul5kuoe5hd1zjcwv922ufg82u85b5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17 250 101337 392734 392251 2025-06-28T06:57:46Z ZornsLemon 15531 39273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더크게|淨{{*|쪄ᇰ〮}}ᄒᆞ〮야〮 듣ᄌᆞᄫᆞᆫ〮 佛{{*|뿌ᇙ〮}}法{{*|법〮}}을〮 므〮를〮 그르〮세〮 옮기〮ᄃᆞᆺ〮 ᄒᆞ〮야〮 나ᄆᆞᆫ〮 거시〮 업〯서 부톄〯 讚{{*|잔〮}}歎{{*|탄〮}}ᄒᆞ〮샤ᄃᆡ〮 聰{{*|초ᇰ}}敏{{*|민〯}}이〮 第{{*|똉〮}}一{{*|ᅙᅵᇙ〮}}이〮라〮 ᄒᆞ〮시〮니라〮 阿{{*|ᅙᅡᆼ}}難{{*|난}}이〮ᄃᆞ려〮 닐오〮ᄃᆡ〮 네〯 이〮제 法{{*|법〮}}眼{{*|ᅌᅡᆫ〯}}ᄋᆞᆯ〮 펴〮ᅀᅡ〮 ᄒᆞ리〮라〮 阿{{*|ᅙᅡᆼ}}難{{*|난}}이〮 衆{{*|쥬ᇰ〮}}僧{{*|스ᇰ}}의〮게 禮{{*|렝〯}}數{{*|숭〮}}ᄒᆞ고〮 法{{*|법〮}}座{{*|쫭〮}}애〮 올아〮 안자〮 닐오〮ᄃᆡ〮}}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s1grgytkc8a2zedna0dwsffj639oii 페이지: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50 250 101519 392673 392487 2025-06-27T13:16:28Z ZornsLemon 15531 39267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누상" />머리 글거 ᄌᆞ조 白玉 빈혀ᄅᆞᆯ ᄲᅡ혀노라】 皇輿三極北 身事五湖南 【皇輿ᄂᆞᆫ 指天子ㅣ라 三極ᄋᆞᆫ 東南西極也ㅣ라 五湖ᄂᆞᆫ 洞庭이라 ○ 皇輿ㅣ 三極ㅅ 北녀긔 겨시니 내 모맷 이ᄅᆞᆫ 五湖ㅅ 南녀긔 왯노라】 戀闕勞肝肺 論材愧杞柟 【大闕을 思戀ᄒᆞ야 肝肺ᄅᆞᆯ 잇브게 ᄒᆞ노니 材質을 議論호매 杞柟ᄋᆞᆯ 붓그리노라】 亂離難自救 終是老湘潭 【이젯 亂離ᄅᆞᆯ 스싀로 救호미 어려우니 ᄆᆞᄎᆞᆷ내 이 湘潭애셔 늘그리로다】 <section end="누상" /> <section begin="질병" />:疾病 {{작게|古詩二首 律詩二首}} <section end="질병" /> <section begin="병후과왕의음증가" />::病後過王倚飮贈歌 麟角鳳觜世莫識 煎膠續絃奇自見 【仙家ㅣ 煮鳳喙麟角ᄒᆞ야 作膠ᄒᆞ니 能續斷絃ᄒᆞᄂᆞ니라 ○ 麒麟의 ᄲᅳᆯ와 鳳凰ᄋᆡ 부리ᄅᆞᆯ 世人이 아지 못ᄒᆞᄂᆞ니 달혀 플 ᄆᆡᆷᄀᆞ라 그츤 활 시우를 니어아 奇異호미 절로 나타나ᄂᆞ니라】 尙看王生抱此懷 在於甫也何由羨 【甫ㅣ 言我ㅣ 看王生호니 抱如此續絃之奇能ᄒᆞ니 何所羨於我乎ㅣ리오 ○ 王生의 이런 ᄯᅳᆮ 아나쇼ᄆᆞᆯ 오히려 보노니 내게 이셔 어느 줄로 블리오】 且遇王生慰疇昔 素知賤子甘貧賤 【慰疇昔은 王生이 以疇昔交情ᄋᆞ로 慰甫也ㅣ라 賤子ᄂᆞᆫ 甫ㅣ 自謂라 ○ 王生ᄋᆡ 녜 ᄠᅳ드로 慰勞호ᄆᆞᆯ 맛니로니 일 賤子ᄋᆡ 貧賤ᄃᆞᆯ히 너교ᄆᆞᆯ 아ᄂᆞ니라】 {{nop}} {{옛한글쪽 끝}} <section end="병후과왕의음증가"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engbtriqmnx6bmzwdyzfql54rg05wz 두시언해/중간본/권3/누상 0 101524 392671 392492 2025-06-27T13:13:34Z ZornsLemon 15531 392671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누상 | 다른 표기 = 樓上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장음|장음]] | 다음 = [[../병후과옥의음|병후과옥의음]]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49 to=50 fromsection="누상" tosection="누상" /> ==저작권== {{PD-old}} j6mzwtxxil84sbybqkmie1jv4jwoy6n 392672 392671 2025-06-27T13:15:58Z ZornsLemon 15531 392672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누상 | 다른 표기 = 樓上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장음|장음]] | 다음 = [[../병후과왕의음|병후과왕의음]]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49 to=50 fromsection="누상" tosection="누상" /> ==저작권== {{PD-old}} lomdxvxegukayky8q2sx62ice0e1tgv 392676 392672 2025-06-27T13:18:37Z ZornsLemon 15531 392676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누상 | 다른 표기 = 樓上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장음|장음]] | 다음 = [[../병후과왕의음증가|병후과왕의음증가]]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49 to=50 fromsection="누상" tosection="누상" /> ==저작권== {{PD-old}} eoea8tcan4oo4rap2t5yjjxl5137hc5 페이지:사민필지.djvu/15 250 101625 392665 392663 2025-06-27T11:59:57Z Yoonhee12 18497 39266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Yoonhee12"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이돌ㅅ덩이가기운과서로문질님에셔나ᄂᆞᆫ불이오 ᄯᅩ별ᄯᅩᆼᄯᅥ러진다ᄂᆞᆫ것은그ᄃᆞᆫ니ᄂᆞᆫ돌속에여러모양쇠가잇스니문질이ᄂᆞᆫ불에돌은타셔업서지고쇠는타지안이ᄂᆞᆫ고로ᄯᅥ러지ᄂᆞᆫ것이니라{{작게|이것이별과갓치멀지아니코ᄯᅡ헤셔ᄆᆡ우갓가오니라}}텬하는{{작게|은하슈ㅣ니라}}여러만흔별이서로모혀잇ᄂᆞᆫ거시나다만너무멀어그별들은뵈이지안이ᄒᆞ고그별의빗만환ᄒᆞ게빗최ᄂᆞᆫ거시니만일큰쳔리경으로보면그별들의수를력력히다보고헤ᄂᆞᆫ니라몃ᄇᆡᆨ만년젼처음에이ᄯᅡ히ᄃᆞᆫᄃᆞᆫᄒᆞᆫ덩이가안이오다만ᄒᆞᆫᄯᅳ겁고빗잇ᄂᆞᆫ긔운ᄲᅮᆫ이라이긔운이구을너돌ᄆᆡᄎᆞᄎᆞ엉긔여쇠녹인물과ᄀᆞᆺ치되고구을너도ᄂᆞᆫ대로ᄀᆞ헤ᄯᅳ거운긔운이헤여지며ᄎᆞᄎᆞ굿어저거쥭이되나밋처둑겁게굿지못ᄒᆞᆷ으로속에ᄯᅳ거운불이곳곳이터저솟고여화산이되여불ㅅ길이나오고터저솟고이며ᄯᅩ굿어더더귀가지니쳔만산악이되고졈졈깁히굿어둑거워지니이에ᄯᅡ덩이가되엿ᄂᆞᆫ지라이어케된후에크게만흔비가붓ᄂᆞᆫᄃᆞ시여러ᄒᆡ를ᄂᆞ리워ᄯᅡ깁흔곳에메이며넘처덥히니닐ᄋᆞᆫ바다히라바다와륙디를말ᄒᆞ건ᄃᆡ바다흔ᄉᆞ분지삼이오육디는ᄉᆞ분지일이며륙디잇ᄂᆞᆫ곳을말ᄒᆞ건ᄃᆡ오분지사는젹도북편이오오분지일은젹도남편이니ᄯᅡ히둥군연고로그즁에삼분지이는동펀에잇고삼분지일은셔편에잇셔셔로마조잇ᄂᆞ니라이갓치된후에바다속과륙디에풀이나고ᄯᅩ덤불나무가나고ᄯᅩ큰나무가나고ᄯᅩ물고기가나고ᄯᅩ물과륙디속에ᄃᆞᆫ이ᄂᆞᆫ즘승이나고ᄯᅩ나ᄂᆞᆫ새가나고ᄯᅩ긔ᄂᆞᆫ즘승이나고사ᄅᆞᆷ이나종에나니텬디만물이다사ᄅᆞᆷ의살기에쓰일것인고로만물이다ᄀᆞᆺ초인후에야사ᄅᆞᆷ이낫ᄂᆞ니라<br/> 이셰상륙디와바다흘다ᄉᆞᆺ세분별ᄒᆞ야일홈ᄒᆞ니륙디동북간은아시아(亞細亞)라닐ᄋᆞ고남은아프리가(阿弗利加)라닐ᄋᆞ고셔북간은유로바[歐羅巴]라일ᄋᆞ고동남간은오스트렐랴(大洋洲)ㅣ라닐ᄋᆞ<br/> ᄉᆞ민필지 오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lx1hi9z97gye1a1jhp1w5f9qdnkgeu8 페이지:사민필지.djvu/16 250 101628 392667 392664 2025-06-27T12:08:44Z Yoonhee12 18497 39266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Yoonhee12"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ᄉᆞ민필지 륙<br/> 고셔편은아메리가ㅣ라(亞米利加)일ᄋᆞᄃᆡ두ᄶᅩᆨ이남북에련ᄒᆞᆫ고로남아미리가ㅣ라북아미리가ㅣ라일ᄋᆞ고ᄯᅩ바다혼아시아동편과아미리가셔편사이는ᄐᆡ평양이라일ᄋᆞ고아프리가며유로바셔편과아메리가동편사이는대셔양이라일ᄋᆞ고아시아남편과아프리가동편과오스드렐랴셔편ᄉᆞ이는인도양이라닐ᄋᆞ고남극과북극에는남빙양이라북빙양이라닐ᄋᆞ며ᄯᅩ형톄가둥글어각디방이어ᄃᆡ어ᄃᆡ를분별ᄒᆞᆯ길이업는고로남북극ᄭᆞᆺᄭᆞᆺᄒᆞᆷ을의지ᄒᆞ야삼ᄇᆡᆨ륙십경선을뎡ᄒᆞ고{{작게|경션은ᄭᅩᆺᄭᅩᆺ이션줄이라}}젹도를{{작게|젹도는항상ᄒᆡ빗을바로밧ᄂᆞᆫᄃᆡ니ᄯᅡᄒᆞᆫ허리니라}}의지ᄒᆞ야삼ᄇᆡᆨ륙십위션을뎡ᄒᆞ고{{작게|위션은가로누은줄이라}}경션이나위션이나그틈사이는도슈라닐ᄋᆞ고경션은영국(英國)도셩(都城)브터시작ᄒᆞ야동경션몃도슈라ᄒᆞ며위션은젹도에셔시작ᄒᆞ야남위션몃도슈라북위션몃도슈라ᄒᆞ여텬하각디방과바다와산쳔을다헤아리ᄂᆞ니라<br/> 때략칠쳔년젼에사ᄅᆞᆷ이처음으로나셔디구동편젹도북편가온ᄃᆡ륙디일홈은버시아라ᄒᆞᄂᆞᆫ곳에살더니ᄎᆞᄎᆞ손이번셩ᄒᆞ고사ᄅᆞᆷ의수가만하지ᄆᆡ그ᄯᅡ에셔다용납ᄒᆞᆯ수가업고ᄯᅩ후속이소원ᄒᆞᆫ지라각각헤여저각디방으로난호여갈ᄉᆡ엇던이들은동북간으로가니이는아시아(亞細亞)ᄯᅡ히라이사ᄅᆞᆷ들을몽고족(蒙古族)이라일홈ᄒᆞ니몽고사ᄅᆞᆷ들은살빗치좀누르며털빗과눈ㅅ빗은검고엇던이들은동남으로가니이는오스드롈랴ᄯᅡ히라이사ᄅᆞᆷ들을멜레족이라일홈ᄒᆞ니멜레ㅅ사ᄅᆞᆷ들은살ㅅ빗치검불그며털빗과눈빗은검고엇던이들은셔남으로가니이는아프리가ᄯᅡ히라이사ᄅᆞᆷ들을이듸오변족이라일홈ᄒᆞ니이듸오변사ᄅᆞᆷ들은살빗치검으며털은검은양의털ᄀᆞᆺ고눈빗도검고엇던이들은셔북으로가니이는유로바ᄯᅡ히라이사ᄅᆞᆷ들을고ᄀᆡ션족이라ᄒᆞ니고ᄀᆡ션사ᄅᆞᆷ은살빗치희며털빗은검으ᄃᆡ북편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nv9b6pk2w9ipte0ju4h2lfu6o4gfbl6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40 250 101629 392666 2025-06-27T12:02:10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詩{{더더작게|시}}經{{더더작{{더더작게|}}게|경}}諺{{더더작게|언}}觧{{더더작게|ᄒᆡ}}卷{{더더작게|권}}之{{더더작게|지}}十{{더더작게|십}}一{{더더작게|일}}<br> ::祈{{더더작게|긔}}父{{더더작게|보}}之{{더더작게|지}}什{{더더작게|습}}<br> 祈{{더더작게|긔}}父{{더더작게|보}}{{분주|아|}}予{{더더작게|여}}王{{더더작게|왕}}之{{더더작게|지}}爪{{더더작... 39266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詩{{더더작게|시}}經{{더더작{{더더작게|}}게|경}}諺{{더더작게|언}}觧{{더더작게|ᄒᆡ}}卷{{더더작게|권}}之{{더더작게|지}}十{{더더작게|십}}一{{더더작게|일}}<br> ::祈{{더더작게|긔}}父{{더더작게|보}}之{{더더작게|지}}什{{더더작게|습}}<br> 祈{{더더작게|긔}}父{{더더작게|보}}{{분주|아|}}予{{더더작게|여}}王{{더더작게|왕}}之{{더더작게|지}}爪{{더더작게|조}}牙{{더더작게|아}}{{분주|ᅵ어|늘}}胡{{더더작게|호}}轉{{더더작게|젼}}予{{더더작게|여}}于{{더더작게|우}}恤{{더더작게|휼}}{{분주|ᄒᆞ|야}}靡{{더더작게|미}}所{{더더작게|소}}止{{더더작게|지}}居{{더더작게|거}}{{분주|오|}}<br> :祈{{더더작게|긔}}父{{더더작게|보}}아내王{{더더작게|왕}}의爪{{더더작게|조}}牙{{더더작게|아}}ᅵ어ᄂᆞᆯ엇디나ᄅᆞᆯ恤{{더더작게|휼}}에轉{{더더작게|젼}}ᄒᆞ야止{{더더작게|지}}居{{더더작게|거}}흘빠업게ᄒᆞᄂᆞ뇨<br> ○祈{{더더작게|긔}}父{{더더작게|보}}{{분주|아|}}予{{더더작게|여}}王{{더더작게|왕}}之{{더더작게|지}}爪{{더더작게|조}}士{{더더작게|ᄉᆞ}}{{분주|ᅵ어|ᄂᆞᆯ}}胡{{더더작게|호}}轉{{더더작게|젼}}予{{더더작게|여}}于{{더더작게|우}}恤{{더더작게|휼}}{{분주|ᄒᆞ|야}}靡{{더더작게|미}}所{{더더작게|소}}底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8ib0ftu29q8elmhv5se4wa53x7m4w0 페이지:孔夫子言行錄.djvu/11 250 101630 392668 2025-06-27T13:02:59Z Ghdtjdals 18466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ᄂᆞᆫ칠십삼셰七十三歲실너라노국魯國도셩都城북편北便사슈泗水우에장사葬事ᄒᆞ니물결이봉분封墳의갓가이아니ᄒᆞ고졔ᄌᆞ弟子ㅣ각각달은나라나무를심으니가시나무난나지아니ᄒᆞ더라그후에ᄃᆡ셩지셩문션왕大成至聖文宣王시호諡號를봉封ᄒᆞ여국도國都와각도각군各道各郡에ᄃᆡ셩젼大成殿을지어뫼시고칠십졔ᄌᆞ七弟子十로ᄇᆡ... 39266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hdtjdals"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ᄂᆞᆫ칠십삼셰七十三歲실너라노국魯國도셩都城북편北便사슈泗水우에장사葬事ᄒᆞ니물결이봉분封墳의갓가이아니ᄒᆞ고졔ᄌᆞ弟子ㅣ각각달은나라나무를심으니가시나무난나지아니ᄒᆞ더라그후에ᄃᆡ셩지셩문션왕大成至聖文宣王시호諡號를봉封ᄒᆞ여국도國都와각도각군各道各郡에ᄃᆡ셩젼大成殿을지어뫼시고칠십졔ᄌᆞ七弟子十로ᄇᆡ향配享ᄒᆞ여쳔츄만셰千秋万世에혈식血食으로봉ᄉᆞ奉祀ᄒᆞᄂᆞᆫ이라<br/> 유산단셔酉山丹書<br/> 공부ᄌᆞ말년孔夫子末年에단셔丹書를ᄆᆡᆺ드ᄉᆞ유산현옹酉山懸甕가운ᄃᆡ두어갈ᄋᆞᄉᆞᄃᆡ후세後世에유일남ᄌᆞ有一男子ㅣ자층진시황自稱秦始皇이라ᄒᆞ고등아당상登我堂上ᄒᆞ야젼도아의상顚到我衣裳이라기지ᄉᆞ구이망至沙丘而亡이라ᄒᆞ더시니그후에과연果然진왕녀졍秦王呂政이이쥬二周를병합幷合ᄒᆞ고뉵국六國을쇼멸消滅ᄒᆞᆫ후後에의긔양々意氣洋洋ᄒᆞ야쳔하天下에고긔顧忌ᄒᆞᆯ일업시다ᄒᆡᆼ行ᄒᆞᆯᄉᆡ자칭自稱왈曰진시황秦始皇이라ᄒᆞ고시셔詩書를불지르며유ᄉᆡᆼ儒生을뭇지르고ᄯᅩ공ᄌᆞ孔子의샹床우에올나현옹懸甕을여러단셔丹書를어더보고ᄌᆞ연심신自然心神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lr2dx3oiamifp8yasjyaw5aaie1w8g4 페이지:孔夫子言行錄.djvu/12 250 101631 392669 2025-06-27T13:11:17Z Ghdtjdals 18466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이경동驚動ᄒᆞ야즉시다른길을ᄎᆔᄒᆞ여가더니젹은아희가ᄉᆞ구沙丘를죠쟉造作ᄒᆞ거늘시황始皇이무러알고인ᄒᆞ여병드러쥭엇스니셩인聖人에명감明鑑ᄒᆞ심을가히알지라이런고로ᄉᆡᆼ민이ᄅᆡ生民以來로공ᄌᆞ孔子갓흐신니업고쳔디졍긔天地正氣로탄ᄉᆡᆼ誕生ᄒᆞᄉᆞ쇠衰ᄒᆞᆫ쥬周나라를이어소왕素王이되시니가히만셰졔왕万世... 39266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hdtjdals"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이경동驚動ᄒᆞ야즉시다른길을ᄎᆔᄒᆞ여가더니젹은아희가ᄉᆞ구沙丘를죠쟉造作ᄒᆞ거늘시황始皇이무러알고인ᄒᆞ여병드러쥭엇스니셩인聖人에명감明鑑ᄒᆞ심을가히알지라이런고로ᄉᆡᆼ민이ᄅᆡ生民以來로공ᄌᆞ孔子갓흐신니업고쳔디졍긔天地正氣로탄ᄉᆡᆼ誕生ᄒᆞᄉᆞ쇠衰ᄒᆞᆫ쥬周나라를이어소왕素王이되시니가히만셰졔왕万世帝王에스승이되시도다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8812hyt57orurksrvu4qbd5a758wqke 페이지: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52 250 101632 392670 2025-06-27T13:12:07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병후과옥의음" />○ 치ᄂᆞᆫ 도ᄐᆞᆯ 조쳐 어더 新鮮ᄒᆞᆫ 거슬 버히고 그으기 ᄒᆞᆫ 말만 수를 사아 ᄆᆞᄎᆞ매 이바지호ᄆᆞᆯ 諧和히 ᄒᆞᄂᆞ다】 故人情味晩誰似 令我手脚輕欲旋 【甫ㅣ 當老病ᄒᆞ야 故友ㅣ 皆踈ᄒᆞ니 情厚ㅣ 無如王生者故로 甫ㅣ 感喜ᄒᆞ야 手脚이 輕欲旋擧也ㅣ라 ○ 녜 버듸 ᄠᅳ디 늘구매 뉘 너 ᄀᆞ... 39267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병후과옥의음" />○ 치ᄂᆞᆫ 도ᄐᆞᆯ 조쳐 어더 新鮮ᄒᆞᆫ 거슬 버히고 그으기 ᄒᆞᆫ 말만 수를 사아 ᄆᆞᄎᆞ매 이바지호ᄆᆞᆯ 諧和히 ᄒᆞᄂᆞ다】 故人情味晩誰似 令我手脚輕欲旋 【甫ㅣ 當老病ᄒᆞ야 故友ㅣ 皆踈ᄒᆞ니 情厚ㅣ 無如王生者故로 甫ㅣ 感喜ᄒᆞ야 手脚이 輕欲旋擧也ㅣ라 ○ 녜 버듸 ᄠᅳ디 늘구매 뉘 너 ᄀᆞᆮᄒᆞ리오 날로 ᄒᆡ여 손 바리 가ᄇᆡ야와 드노코져 케 ᄒᆞᄂᆞ다】 老馬爲駒揔不虛 當時得意況深眷 【詩에 老馬反爲駒ㅣ라 ᄒᆞ니 當老病ᄒᆞ야 得王生의 美膳之饋而手足輕健이 如年少時ᄒᆞ니 遇王生之慰勞而得意也ㅣ라 ○ 늘근 ᄆᆞ리 삿기 ᄃᆞ외다 호미 다 虛ᄒᆞᆫ 마리 아니로다 이제 ᄠᅳ들 어뎃거늘 ᄒᆞᄆᆞᆯ며 네 기피 眷顧호미ᄯᆞ녀】 但使殘年飽喫飯 只願無事長相見 【此ᄂᆞᆫ 深期往還相從也ㅣ니라 ○ 오직 ᄒᆡ여곰 衰殘ᄒᆞᆫ 나해 바ᄇᆞᆯ ᄇᆡ브르 머거셔 오직 願호ᄃᆡ 일 업시셔 댱샹 서르 보고져 ᄒᆞ노라】 <section end="병후과옥의음" /> <section begin="취위추마" />::醉爲墜馬諸公携酒相看 甫也諸侯老賓客 罷酒酣歌拓金戟 【拓ᄋᆞᆫ 持也ㅣ라 此ᄂᆞᆫ 言乗酣持戟而將欲走馬也ㅣ라 ○ 나ᄂᆞᆫ 諸侯의 늘근 賓客이로니 수ᄅᆞᆯ 다 먹고 醉ᄒᆞ야 놀애 블러셔 金戟을 가죠라】 騎馬忽憶少年時 散蹄逬落瞿塘石 【이ᄂᆞᆫ 져믄 젯 ᄆᆞᆯ ᄐᆞ요ᄆᆞᆯ ᄉᆞ랑ᄒᆞ야 오ᄂᆞᆯ ᄯᅩ ᄃᆞᆯ여 瞿塘ㅅ 돔ᄒᆞ로 ᄆᆞᆯ 바래 {{옛한글쪽 끝}}<section end="취위추마"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677trwuca64sea0bheski5tc3nqrgnx 392674 392670 2025-06-27T13:16:51Z ZornsLemon 15531 39267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병후과왕의음증가" />○ 치ᄂᆞᆫ 도ᄐᆞᆯ 조쳐 어더 新鮮ᄒᆞᆫ 거슬 버히고 그으기 ᄒᆞᆫ 말만 수를 사아 ᄆᆞᄎᆞ매 이바지호ᄆᆞᆯ 諧和히 ᄒᆞᄂᆞ다】 故人情味晩誰似 令我手脚輕欲旋 【甫ㅣ 當老病ᄒᆞ야 故友ㅣ 皆踈ᄒᆞ니 情厚ㅣ 無如王生者故로 甫ㅣ 感喜ᄒᆞ야 手脚이 輕欲旋擧也ㅣ라 ○ 녜 버듸 ᄠᅳ디 늘구매 뉘 너 ᄀᆞᆮᄒᆞ리오 날로 ᄒᆡ여 손 바리 가ᄇᆡ야와 드노코져 케 ᄒᆞᄂᆞ다】 老馬爲駒揔不虛 當時得意況深眷 【詩에 老馬反爲駒ㅣ라 ᄒᆞ니 當老病ᄒᆞ야 得王生의 美膳之饋而手足輕健이 如年少時ᄒᆞ니 遇王生之慰勞而得意也ㅣ라 ○ 늘근 ᄆᆞ리 삿기 ᄃᆞ외다 호미 다 虛ᄒᆞᆫ 마리 아니로다 이제 ᄠᅳ들 어뎃거늘 ᄒᆞᄆᆞᆯ며 네 기피 眷顧호미ᄯᆞ녀】 但使殘年飽喫飯 只願無事長相見 【此ᄂᆞᆫ 深期往還相從也ㅣ니라 ○ 오직 ᄒᆡ여곰 衰殘ᄒᆞᆫ 나해 바ᄇᆞᆯ ᄇᆡ브르 머거셔 오직 願호ᄃᆡ 일 업시셔 댱샹 서르 보고져 ᄒᆞ노라】 <section end="병후과왕의음증가" /> <section begin="취위추마" />::醉爲墜馬諸公携酒相看 甫也諸侯老賓客 罷酒酣歌拓金戟 【拓ᄋᆞᆫ 持也ㅣ라 此ᄂᆞᆫ 言乗酣持戟而將欲走馬也ㅣ라 ○ 나ᄂᆞᆫ 諸侯의 늘근 賓客이로니 수ᄅᆞᆯ 다 먹고 醉ᄒᆞ야 놀애 블러셔 金戟을 가죠라】 騎馬忽憶少年時 散蹄逬落瞿塘石 【이ᄂᆞᆫ 져믄 젯 ᄆᆞᆯ ᄐᆞ요ᄆᆞᆯ ᄉᆞ랑ᄒᆞ야 오ᄂᆞᆯ ᄯᅩ ᄃᆞᆯ여 瞿塘ㅅ 돔ᄒᆞ로 ᄆᆞᆯ 바래 {{옛한글쪽 끝}}<section end="취위추마"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6e3gq7dp0dxwkagj1kavlvvankbq8u 두시언해/중간본/권3/병후과왕의음증가 0 101633 392678 2025-06-27T13:19:41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병후과왕의음증가 | 다른 표기 = 病後過王倚飮贈歌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누상|누상]] | 다음 = [[../취위추마|취위추마]]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50 to=52 fromsection="병후과왕의음증가" tosection="병후과왕의음증가" /> ==저작권== {{PD-old}} 392678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병후과왕의음증가 | 다른 표기 = 病後過王倚飮贈歌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누상|누상]] | 다음 = [[../취위추마|취위추마]]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50 to=52 fromsection="병후과왕의음증가" tosection="병후과왕의음증가" /> ==저작권== {{PD-old}} idcdlzvr45shr96jpepimxis3544g86 페이지:孔夫子言行錄.djvu/13 250 101634 392679 2025-06-27T13:22:29Z Ghdtjdals 18466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더 크게|공부ᄌᆞ언ᄒᆡᆼ록}}<br/> 박건회朴健會편집編輯<br/> 도학강논<br/> 만세도덕万世道德공부ᄌᆞ孔夫子ᄭᅴ옵셔ᄉᆞᆷ쳔제ᄌᆞ三千弟子거ᄂᆞ리시고도학道德을강논講論ᄒᆞ실ᄉᆡ갈아ᄉᆞᄃᆡ쳔지지간만물지중天地之間万物之衆에유인惟人이최귀最貴ᄒᆞ니소귀호인ᄌᆞ所貴乎人者는이긔유오륜야以其有五倫也라부ᄌᆞ유친父子有親... 39267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hdtjdals"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더 크게|공부ᄌᆞ언ᄒᆡᆼ록}}<br/> 박건회朴健會편집編輯<br/> 도학강논<br/> 만세도덕万世道德공부ᄌᆞ孔夫子ᄭᅴ옵셔ᄉᆞᆷ쳔제ᄌᆞ三千弟子거ᄂᆞ리시고도학道德을강논講論ᄒᆞ실ᄉᆡ갈아ᄉᆞᄃᆡ쳔지지간만물지중天地之間万物之衆에유인惟人이최귀最貴ᄒᆞ니소귀호인ᄌᆞ所貴乎人者는이긔유오륜야以其有五倫也라부ᄌᆞ유친父子有親ᄒᆞ며군신유의君臣有義ᄒᆞ며부부유별夫婦有別ᄒᆞ며장유유셔長幼有序ᄒᆞ며봉우유신朋友有信이라ᄒᆞ니라쥴어세상出於世上ᄒᆞ여부모父母의게효도孝道ᄒᆞ고인군人君의게층셩忠誠ᄒᆞ며부뷰의분별分別잇스며얼운의게공손 恭遜ᄒᆞ며붕우朋友의게신信이잇셔야인ᄌᆞ도리人子道理에극진極盡ᄒᆞ니라ᄒᆞ신ᄃᆡ시々是時애ᄉᆞᆷ쳔졔ᄌᆞ중에셔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6uwwdjttce070uqcxypdtsmhgnmb8g 페이지:孔夫子言行錄.djvu/14 250 101635 392681 2025-06-27T13:45:07Z Ghdtjdals 18466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증ᄌᆞ曾子뭇ᄌᆞ와ᄀᆞᆯ오ᄃᆡ졔순유우씨帝舜有虞氏의도덕道德을들어지니다<br/> 공ᄌᆞ孔子갈오ᄉᆞᄃᆡ도당씨陶唐氏게셔두ᄯᆞᆯ을두엇스니일홈은아황여영娥皇女英이라덕ᄒᆡᆼ德行이가장놉고인슌仁順ᄒᆞ신니두ᄯᆞᆯ을유우씨有虞氏ᄭᅴ쳐妻ᄒᆞ사셩혼成婚ᄒᆞ신이라<br/> ᄃᆡ슌효양부모<br/> 순舜의부친父親일홈은고쉬瞽嫂니일즉... 39268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hdtjdals"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증ᄌᆞ曾子뭇ᄌᆞ와ᄀᆞᆯ오ᄃᆡ졔순유우씨帝舜有虞氏의도덕道德을들어지니다<br/> 공ᄌᆞ孔子갈오ᄉᆞᄃᆡ도당씨陶唐氏게셔두ᄯᆞᆯ을두엇스니일홈은아황여영娥皇女英이라덕ᄒᆡᆼ德行이가장놉고인슌仁順ᄒᆞ신니두ᄯᆞᆯ을유우씨有虞氏ᄭᅴ쳐妻ᄒᆞ사셩혼成婚ᄒᆞ신이라<br/> ᄃᆡ슌효양부모<br/> 순舜의부친父親일홈은고쉬瞽嫂니일즉슌舜에모친母親이기세棄世ᄒᆞ시고후쳐後妻을ᄎᆔ娶ᄒᆞ야아들상象을나흐니고쉬후쳐瞽嫂後妻의게혹惑ᄒᆞ야상象을사랑ᄒᆞ고순을사랑ᄒᆞ지안이ᄒᆞᄂᆞᆫ지라상에모ᄌᆡ母子사오나와고ᄉᆔ의게참소讚訴ᄒᆞ야슌을쥭이고ᄌᆞᄒᆞ되슌이효셩 孝誠이지극至極ᄒᆞ사증증예蒸乂ᄒᆞ야불격간不格姦ᄒᆞ시니라일일一日은고ᄉᆔ순瞽嫂舜을죽이려ᄒᆞ고슌더러집을이으라ᄒᆞᅛᅲᆫ이ᄉᆡᆼ각ᄒᆞ되ᄉᆡ지도안이ᄒᆞ고온젼ᄒᆞᆫ집을이으라ᄒᆞ시니필련연고必然緣故잇도다ᄒᆞ시고부명父命을거스르지못ᄒᆞ야흔년欣然이ᄃᆡ답ᄒᆞ시고집우희을을ᄉᆡ쵸립草笠과삿갓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g3krrmtmc59qghyrgtq2zfmvpempoow 페이지: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53 250 101636 392682 2025-06-27T14:41:08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다텨 ᄩᅱ여 디게 ᄒᆞᆯ시라 ○ ᄆᆞᆯ 타 忽然히 져믄 ᄢᅴ 이ᄅᆞᆯ ᄉᆞ랑ᄒᆞ야 ᄆᆞᆯ 발흐터 瞿塘앳 돌ᄒᆞᆯ 소사디게 호라】 白帝城門水雲外 低身直下八千尺 【此下로 至凌紫陌ᄋᆞᆫ 極言走馬之狀ᄒᆞ다 ○ 白帝 城門ㅅ 믈와 구룸괏 밧ᄭᅴ 모ᄆᆞᆯ ᄂᆞᄌᆞ기 ᄒᆞ야 八千 尺을 바ᄅᆞ ᄂᆞ리 ᄃᆞᆯ요라】 粉堞電轉紫游韁 東得... 39268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다텨 ᄩᅱ여 디게 ᄒᆞᆯ시라 ○ ᄆᆞᆯ 타 忽然히 져믄 ᄢᅴ 이ᄅᆞᆯ ᄉᆞ랑ᄒᆞ야 ᄆᆞᆯ 발흐터 瞿塘앳 돌ᄒᆞᆯ 소사디게 호라】 白帝城門水雲外 低身直下八千尺 【此下로 至凌紫陌ᄋᆞᆫ 極言走馬之狀ᄒᆞ다 ○ 白帝 城門ㅅ 믈와 구룸괏 밧ᄭᅴ 모ᄆᆞᆯ ᄂᆞᄌᆞ기 ᄒᆞ야 八千 尺을 바ᄅᆞ ᄂᆞ리 ᄃᆞᆯ요라】 粉堞電轉紫游韁 東得平岡出天壁 【粉堞은 塗白土城堞也ㅣ라 電轉은 言速也ㅣ라 紫遊韁ᄋᆞᆫ 紫絲馬韁也ㅣ라 天壁ᄋᆞᆫ 山壁이 與天齊也ㅣ라 ○ ᄒᆡᆫ 城에 블근 ᄆᆞᆯ 굴에 번개 옮ᄃᆞᆺᄒᆞ니 東녀그로 平ᄒᆞᆫ 묏부리ᄅᆞᆯ 어더 하ᄂᆞᆯ ᄀᆞᆮᄐᆞᆫ 石壁ᄋᆞ로 나가라】 江村野堂爭入眼 垂鞭嚲鞚凌紫陌 【嚲ᄂᆞᆫ 丁可反ᄒᆞ니 垂下貌ㅣ라 鞚ᄋᆞᆫ 馬勒也ㅣ라 ○ ᄀᆞᄅᆞᇝ ᄆᆞᄋᆞᆯ와 ᄆᆡ햇 지비 ᄃᆞ톼 누네 드ᄂᆞ니 채ᄅᆞᆯ 드리우며 셕ᄉᆞᆯ ᄲᅡ지여 紫陌ᄋᆞ로 凌犯ᄒᆞ야 가라】 向來皓首驚萬人 自倚紅顔能騎射 【言今墜馬ᄒᆞ야 驚駭於人호니 此ᄂᆞᆫ 自恃少時예 能騎射故也ㅣ라 ○ 뎌 즈음ᄭᅴ 셴 머리 萬人ᄋᆞᆯ 놀내요니 ᄂᆞ치 블근 제 騎射 잘 ᄒᆞ던 이ᄅᆞᆯ 내 미데니라】 安知決臆追風足 朱汗驂驔猶噴玉 不虞一蹶終損傷 人生快意多所辱 【決臆ᄋᆞᆫ 縱意니 馬之勇也ㅣ라 追風ᄋᆞᆫ 馬足之疾이 可以追風也ㅣ라 朱汗ᄋᆞᆫ 汗血也ㅣ라 驂驔ᄋᆞᆫ 馬名이라 噴玉ᄋᆞᆫ 汗珠也ㅣ라 此ᄂᆞᆫ 言但恃良馬之能走ㅣ오 不虞終至顚墜호니 以此로 知凡事ᄅᆞᆯ 欲快意則多致羞辱也ㅣ니라 ○ 어느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d415od09v0qtcne33jzi36s9tc12k98 페이지: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54 250 101637 392683 2025-06-27T14:47:45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알리오 勇猛ᄒᆞᆫ ᄇᆞᄅᆞᆷ ᄧᅩᆺᄂᆞᆫ 바리 피ᄯᆞᆷ 내ᄂᆞᆫ ᄆᆞ리 오히려 玉ᄋᆞᆯ ᄲᅮᆷᄂᆞᆫ 거ᄉᆞᆯ ᄒᆞᆫ 번 업더져 ᄆᆞᄎᆞ매 損傷홀 고ᄃᆞᆯ 혜아리디 아니호니 人生애 ᄠᅳ들 훤히 호리라 ᄒᆞ면 辱ᄃᆞ외욜 배 한 거시로다】 職當憂戚伏衾枕 况乃遲暮加煩促 【職ᄋᆞᆫ 主也ㅣ라 ○ 반ᄃᆞ기 시름ᄒᆞ야 衾枕에 굿브... 39268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알리오 勇猛ᄒᆞᆫ ᄇᆞᄅᆞᆷ ᄧᅩᆺᄂᆞᆫ 바리 피ᄯᆞᆷ 내ᄂᆞᆫ ᄆᆞ리 오히려 玉ᄋᆞᆯ ᄲᅮᆷᄂᆞᆫ 거ᄉᆞᆯ ᄒᆞᆫ 번 업더져 ᄆᆞᄎᆞ매 損傷홀 고ᄃᆞᆯ 혜아리디 아니호니 人生애 ᄠᅳ들 훤히 호리라 ᄒᆞ면 辱ᄃᆞ외욜 배 한 거시로다】 職當憂戚伏衾枕 况乃遲暮加煩促 【職ᄋᆞᆫ 主也ㅣ라 ○ 반ᄃᆞ기 시름ᄒᆞ야 衾枕에 굿브려쇼미 專主ᄒᆞ니 ᄒᆞᄆᆞᆯ며 늘구메 어즈러우미 더우미ᄯᆞᆫ여】 朋知來問腆我顔 杖藜强起依僮僕 【腆顔ᄋᆞᆫ 愧色也ㅣ라 ○ 버지 와 무로매 내 ᄂᆞ치 붓그러우니 도ᄐᆞ랏 딥고 고ᄃᆞᆯ파 니러 죵ᄋᆞᆯ 븟들요라】 語盡還成開口笑 提携別掃淸溪谷 【此ᄂᆞᆫ 言携諸公ᄒᆞ야 掃洒溪曲而開筳也ㅣ라 ○ 마ᄅᆞᆯ 다 니ᄅᆞ고 도ᄅᆞ혀 입 여러 우우믈 일우고 버들 븟드러 各別히 ᄆᆞᆯ근 시냇 고ᄇᆡᄅᆞᆯ ᄡᅳᆯ로라】 酒肉如山又一時 初筵哀絲動豪竹 【哀絲ᄂᆞᆫ 琴瑟이오 豪竹ᄋᆞᆫ 大管이라 ○ 술와 고기와 뫼 ᄀᆞᆮᄒᆞ야 ᄯᅩ ᄒᆞᆫ ᄢᅵ로소니 처엄 돗긔 안조매 슬픈 실와 큰 대 소리 뮈놋다】 共指西日不相貸 喧呼且覆杯中淥 【貸ᄂᆞᆫ 假也ㅣ니 言日이 催落而不假貸少留也ㅣ라 ○ 다ᄆᆞᆺ 西ㅅ녁 ᄒᆡ 서르 ᄞᅮ이디 아니호ᄆᆞᆯ ᄀᆞᄅᆞ치고 숫워려셔 자ᇇ 가온ᄃᆡᆺ ᄆᆞᆯᄀᆞᆫ 수를 업텨 머구라】 何必走馬來爲問 君不見 嵇康養生被殺戮 【此ᄂᆞᆫ 言嵇康이 養生호ᄃᆡ 尙蒙誅戮ᄒᆞ니 今我墜馬ᄂᆞᆫ 不必憂慮而來問也ㅣ니라 ○ 엇뎨 구틔여 ᄆᆞᆯ ᄃᆞᆯ여와 무르리오 그듸ᄂᆞᆫ 보디 아니ᄒᆞᄂᆞᆫ다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osa1o6bm8kfa25x3v7zqljegsu7e3m 페이지: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55 250 101638 392684 2025-06-27T14:48:15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취위추마" />嵇康이 生을 保養호ᄃᆡ 주구믈 니브니라】 <section end="취위추마" /> <section begin="이롱" />::耳聾 生年鶡冠子 歎世鹿皮翁 【鶡冠ᄋᆞᆫ 虎賁羽林之士ᄋᆡ 所冠이니 言世方尙武也ㅣ라 鹿皮翁ᄋᆞᆫ 列仙傳에 菑川人이니 居岑山ᄒᆞ니 甫ㅣ 自比ᄒᆞ다 ○ 내 난 ᄒᆡ예 鶡冠 슨 子ㅣ 잇ᄂᆞ니 世ᄅᆞᆯ 嗟歎ᄒᆞ요ᄆᆞᆫ 鹿皮... 39268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취위추마" />嵇康이 生을 保養호ᄃᆡ 주구믈 니브니라】 <section end="취위추마" /> <section begin="이롱" />::耳聾 生年鶡冠子 歎世鹿皮翁 【鶡冠ᄋᆞᆫ 虎賁羽林之士ᄋᆡ 所冠이니 言世方尙武也ㅣ라 鹿皮翁ᄋᆞᆫ 列仙傳에 菑川人이니 居岑山ᄒᆞ니 甫ㅣ 自比ᄒᆞ다 ○ 내 난 ᄒᆡ예 鶡冠 슨 子ㅣ 잇ᄂᆞ니 世ᄅᆞᆯ 嗟歎ᄒᆞ요ᄆᆞᆫ 鹿皮 니븐 한아비로다】 眼復幾時暗 耳從前月聾 【누는 ᄯᅩ 어느 ᄢᆡ 어드울고 귀ᄂᆞᆫ 니건 ᄃᆞᆯ브터 머구라】 猿鳴秋淚缺 雀噪晩愁空 【猿雀鳴聲ᄋᆞᆯ 皆不得聞ᄒᆞᆯᄉᆡ 欠愁與淚也ㅣ니라 ○ 나비 우러도 ᄀᆞᄋᆞᆳ 누ᇇ므리 업고 새 우러도 나죄 시르미 뷔도다】 黃落驚山樹 呼兒問朔風 【言不聞風聲이오 唯見落葉이라 ○ 누르러 듣거늘 묏 남글 놀라 아ᄒᆡᄅᆞᆯ 블러 北녁 ᄇᆞᄅᆞᄆᆞᆯ 문로라】 <section end="이롱" /> <section begin="노병" />::老病 老病巫山裡 嵇留楚客中 【巫山ㅅ 안해셔 늘거 病ᄒᆞ고 楚ㅅ 나그냇 가온ᄃᆡ셔 머므럿노라】 藥殘他日裹 花發去年叢 【藥ᄋᆞᆫ 다ᄅᆞᆫ 날 ᄡᅳᆯ 거시 기터 잇고 고ᄌᆞᆫ 니건 ᄒᆡᆺ 들구레 펫도다】 夜足霑沙雨 春多逆水風 【바ᄆᆡᆫ 몰래 저지ᄂᆞᆫ 비 하고 보ᄆᆡᄂᆞᆫ 믈 거스리 부ᄂᆞᆫ ᄇᆞᄅᆞ미 하도다】 合分雙賜筆 猶作一飄蓬 【尙書丞郞ᄋᆞᆯ 月給大筆一雙ᄒᆞᄂᆞ니 {{옛한글쪽 끝}} <section end="노병"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keo1bw8cpwlyrf3jtd0clvi114q3au 페이지: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56 250 101639 392685 2025-06-27T14:48:4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노병" />甫ㅣ 爲工部郞而今羈旅於此故로 感而有是句ᄒᆞ다 ○ 주신 두 부들 ᄂᆞᆫ호미 맛당커늘 오히려 ᄒᆞᆫ 불여 ᄃᆞᆫ니ᄂᆞᆫ 다보지 ᄃᆞ외옛노라】 <section end="노병" /> <section begin="회고" />:懷古 {{작게|古詩 三十首 律詩 五首}} <section end="회고" /> <section begin="술고" />::述古 三首 赤驥頓長纓 非無萬里姿 【赤驥ᄂᆞᆫ 周穆王... 39268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section begin="노병" />甫ㅣ 爲工部郞而今羈旅於此故로 感而有是句ᄒᆞ다 ○ 주신 두 부들 ᄂᆞᆫ호미 맛당커늘 오히려 ᄒᆞᆫ 불여 ᄃᆞᆫ니ᄂᆞᆫ 다보지 ᄃᆞ외옛노라】 <section end="노병" /> <section begin="회고" />:懷古 {{작게|古詩 三十首 律詩 五首}} <section end="회고" /> <section begin="술고" />::述古 三首 赤驥頓長纓 非無萬里姿 【赤驥ᄂᆞᆫ 周穆王ㅅ 八駿之一이라 ○ 赤驥ㅣ 긴 노히 눌러 ᄆᆡ여 이시나 萬里ᄅᆞᆯ 갈 姿質이 업순디 아니니라】 悲鳴淚至地 爲問馭者誰 【슬허 우러 누ᇇ므리 ᄯᅡ해 니르ᄂᆞ니 爲ᄒᆞ야 묻노라 ᄐᆞ리ᄂᆞᆫ 누고】 鳳凰從天來 何意復高飛 【鳳凰이 하ᄂᆞᆯ로브터셔 오니 어느 ᄆᆞᄋᆞᄆᆞ로 다시 노피 ᄂᆞᆯ리오】 竹花不結實 念子忍朝饑 【子ᄂᆞᆫ 指鳳凰ᄒᆞ다 ○ 댓 고지 여르미 ᄆᆡᆺ디 아니ᄒᆞ니 네의 아ᄎᆞᆷ 주으륨 ᄎᆞ모ᄆᆞᆯ 思念ᄒᆞ노라】 古時君臣合 可以物理推 賢人識定分 進退固其宜 【此篇ᄋᆞᆫ 言驥不遇伯樂이면 必困於長纓ᄒᆞ며 鳳不得竹實이면 必困於飢餒ㅣ니 比君子ㅣ 不逢明主이면 必至窮約ᄒᆞ니 故로 君臣遇合ᄋᆞᆯ 可以物理로 推明ᄒᆞ야 進退ᄅᆞᆯ 合於義니라 ○ 녯 ᄢᅴᆺ 님금과 臣下ㅣ 相合호ᄆᆞᆯ 可히 物理로ᄡᆡ 推明이니 어딘 사ᄅᆞᆷᄆᆞᆫ 定分ᄋᆞᆯ 아라 進退호ᄆᆞᆯ 진실로 맛당히 ᄒᆞᄂᆞ니라】 市人日中集 於利競錐刀 置膏烈火上 {{옛한글쪽 끝}} <section end="술고" /><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ty1sd2hrks4nz5q38j13o9enk6jcxv 두시언해/중간본/권3/취위추마 0 101640 392686 2025-06-27T14:51:33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취위추마제공휴주상간 | 다른 표기 = 醉爲墜馬諸公携酒相看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병후과왕의음증가|병후과왕의음증가]] | 다음 = [[../이롱|이롱]]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52 to=55 fromsection="취위추마" tosection="취위추마" /> ==저작권== {{PD-old}} 392686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취위추마제공휴주상간 | 다른 표기 = 醉爲墜馬諸公携酒相看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병후과왕의음증가|병후과왕의음증가]] | 다음 = [[../이롱|이롱]]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52 to=55 fromsection="취위추마" tosection="취위추마" /> ==저작권== {{PD-old}} 3ktio5jiw1nh60cke6djcm0r8oxd95j 두시언해/중간본/권3/이롱 0 101641 392687 2025-06-27T14:52:38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이롱 | 다른 표기 = 耳聾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취위추마|취위추마]] | 다음 = [[../노병|노병]]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55 to=55 fromsection="이롱" tosection="이롱" /> ==저작권== {{PD-old}} 392687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이롱 | 다른 표기 = 耳聾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취위추마|취위추마]] | 다음 = [[../노병|노병]]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55 to=55 fromsection="이롱" tosection="이롱" /> ==저작권== {{PD-old}} f2uouukcpx5f53nxw489i0kjgud0jvd 두시언해/중간본/권3/노병 0 101642 392688 2025-06-27T14:54:05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노병 | 다른 표기 = 老病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이롱|이롱]] | 다음 = [[../술고|술고]]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55 to=56 fromsection="노병" tosection="노병" /> ==저작권== {{PD-old}} 392688 wikitext text/x-wiki {{머리말 | 제목 = 노병 | 다른 표기 = 老病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저자:두보|두보]] | 역자 = | 이전 = [[../이롱|이롱]] | 다음 = [[../술고|술고]] | 설명 = }} <pages index="언역 분류두공부시 (003).pdf" from=55 to=56 fromsection="노병" tosection="노병" /> ==저작권== {{PD-old}} bfuankxt3lifqev485j2aszqeg4mx8l 페이지:孔夫子言行錄.djvu/15 250 101643 392689 2025-06-27T15:26:22Z Ghdtjdals 18466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슬ᄭᅨ안고을나집을이흘ᄉᆡ상象의모ᄌᆞ고슈母子瞽嫂와의논議論ᄒᆞ고집세간을치오고불을노흐니슌舜이화세급火勢急ᄒᆞ물보시고올흔엽헤쵸립草笠을ᄭᅵ시고왼편에삿갓슬ᄭᅵ고몸을소소와나려ᄯᅴ여죽기을면ᄒᆞᆫ지라싱象의모ᄌᆞ슌母子舜을죽이지못ᄒᆞ믈앙앙怏々ᄒᆞ여ᄯᅩ고슈瞽嫂에게빅가지로참소讚訴ᄒᆞ니고슈瞽嫂ᄯᅩᄒᆞ... 39268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hdtjdals"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슬ᄭᅨ안고을나집을이흘ᄉᆡ상象의모ᄌᆞ고슈母子瞽嫂와의논議論ᄒᆞ고집세간을치오고불을노흐니슌舜이화세급火勢急ᄒᆞ물보시고올흔엽헤쵸립草笠을ᄭᅵ시고왼편에삿갓슬ᄭᅵ고몸을소소와나려ᄯᅴ여죽기을면ᄒᆞᆫ지라싱象의모ᄌᆞ슌母子舜을죽이지못ᄒᆞ믈앙앙怏々ᄒᆞ여ᄯᅩ고슈瞽嫂에게빅가지로참소讚訴ᄒᆞ니고슈瞽嫂ᄯᅩᄒᆞᆫ슌舜을쥭이려ᄒᆞ고순을불너이르되우물을치라ᄒᆞᆫᄃᆡ순의마음에죽이랴ᄒᆞᄂᆞᆫ일을아시되ᄯᅩᄒᆞᆫ부명父命을슌죵順從ᄒᆞᄂᆞᆫ효ᄌᆞ孝子라거역拒逆지아니ᄒᆞ시고우물을치라드러갈졔그젼보터친ᄒᆞᆫ벗시잇셔돈을허리에ᄎᆡ오며계교을갈르치니슌舜이돈을감초고들어가못헤겻궁글파노코기다리ᄂᆞᆫ지라고슈瞽嫂그릇에밥을나려보ᄂᆡ거날슌舜이잡거슬쥬어담고그우희돈을언고올여보ᄂᆡ니고슈와상의모ᄌᆞ탐욕貪辱이만흔고로그돈을보고그속에ᄯᅩ돈이잇는가ᄒᆞ여어더보는ᄯᆡ에연連ᄒᆞ여겻궁글파ᄂᆞᆫ지라여러번연ᄒᆞ야돈을언져보ᄂᆡ니그ᄉᆞ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5a2bonea8btvi9xm9cesa0b8dnadfrc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100 250 101644 392690 2025-06-27T15:26:44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찬란ᄒᆞ야 ᄉᆞᄅᆞᆷ의 안목을 놀ᄂᆡᆯ지라 지금 각국지인이 {{du|라마}}에 드러가 고적을 유람ᄒᆞᄂᆞᆫ 자ㅣ 다 ᄎᆡᆨᄎᆡᆨ칭탄ᄒᆞ기ᄅᆞᆯ 마지 아니며 교량의 견실ᄒᆞᆷ이 그 우에 덥흘 자ㅣ 업고 당시 {{du|구쥬}} 각국에 졀ᄃᆡᄒᆞᆫ 셩시에도 다만 흙을 메여 도로ᄅᆞᆯ 수츅ᄒᆞ거ᄂᆞᆯ {{du|의대리}}ᄂᆞᆫ 셕로ㅣ 잇셔 각국의 읏... 39269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찬란ᄒᆞ야 ᄉᆞᄅᆞᆷ의 안목을 놀ᄂᆡᆯ지라 지금 각국지인이 {{du|라마}}에 드러가 고적을 유람ᄒᆞᄂᆞᆫ 자ㅣ 다 ᄎᆡᆨᄎᆡᆨ칭탄ᄒᆞ기ᄅᆞᆯ 마지 아니며 교량의 견실ᄒᆞᆷ이 그 우에 덥흘 자ㅣ 업고 당시 {{du|구쥬}} 각국에 졀ᄃᆡᄒᆞᆫ 셩시에도 다만 흙을 메여 도로ᄅᆞᆯ 수츅ᄒᆞ거ᄂᆞᆯ {{du|의대리}}ᄂᆞᆫ 셕로ㅣ 잇셔 각국의 읏듬이 되고 례ᄇᆡ당과 궁전들은 금일 {{du|구쥬}}의 장려ᄒᆞᆷ으로도 더ᄒᆞᆯ 수 업스며 수도의 통창ᄒᆞᆷ은 {{du|영국}}도 ᄇᆡᆨ년 젼에야 비로소 비견ᄒᆞ게 되고 각 항구의 부두ᄂᆞᆫ 더욱 화미가려ᄒᆞ니 일로 보면 {{du|의ᄃᆡ리}} ᄉᆞᄅᆞᆷ의 기묘ᄒᆞᆫ ᄌᆡ조ㅣ 졀륜초군ᄒᆞᆷ을 가히 알 거시요 ᄯᅩ 글을 저술ᄒᆞᆷ과 그림을 조각ᄒᆞ야 ᄉᆡᆨ임과 밋 금벽이 교휘ᄒᆞ고 단쳥이 령농ᄒᆞᆫ 도화에ᄂᆞᆫ 타인이 그 뒤ᄅᆞᆯ ᄯᅡᄅᆞᆯ ᄌᆞ이 업고 인졍 풍속은 ᄯᅩ 돈후절검ᄒᆞ고 담량이 심히 장ᄃᆡᄒᆞ며 지긔도 ᄯᅩ한 고상ᄒᆞ고 그 률법은 {{du|구쥬}} 각국이 효측ᄒᆞᆯ 자ㅣ 만코 일졀 학문과 민ᄉᆡᆼ의 유익ᄒᆞᆫ 일이 실로이 당일 {{du|구쥬}}의 뎨일이러라 {{du|의ᄃᆡ리}} 젼부 즁에 민주ᄒᆞᄂᆞᆫ 두어 소방이 잇셔 {{du|의ᄃᆡ리}}의 속ᄒᆞᆫ 셩디ᄅᆞᆯ ᄲᆡ아셔 그 나라에 붓치고 날이 오ᄅᆡᄆᆡ 점점 큰 자ㅣ 적은 ᄌᆞᄅᆞᆯ 초ᄌᆞᆷ식지ᄒᆞ니 당시에 {{du|비니셜}}과<ref>베니스(Venice)</ref> {{du|경나아}} 두 항구와 {{du|미란셩}}과<ref>밀란(Milan)</ref> {{du|박비야셩}}이<ref>파비아(Pavia)</ref> 다 민주국 소방에 관할이 되고 이윽고 ᄯᅩ 분ᄒᆞ야 민주국 넷시 되야 다 강국이요 민주국이 ᄯᅩ 셔로 투긔ᄒᆞ야 병화ᄅᆞᆯ 일의키며 {{du|즁국}} {{du|송}}시【{{du|고려}}시】에 교황이 {{du|구주}}의 {{du|셔졔}}【{{du|셔졔}}ᄂᆞᆫ 셔방 황뎨라】로 더부러 교의 권을 닷토와 교황은 이르되 ᄂᆡ 교ᄉᆞᄅᆞᆯ 봉ᄒᆞᄂᆞᆫ 권이 잇스니 교의 권은 나의 속ᄒᆞᆫ 거시라 ᄒᆞ며 {{du|셔졔}}ᄂᆞᆫ 왈 ᄂᆡ 셰상을 다ᄉᆞ리니 교화도 응당 ᄂᆡ가 맛ᄂᆞᆫ다 ᄒᆞ야 셔로 ᄊᆞ와 용병ᄒᆞᆫ지 다년에 원슈ㅣ 영영이 고결 불ᄒᆡᄒᆞ더라 대져 이ᄯᅢ의 젼ᄌᆡᆼ은 피ᄎᆞ 긔모니ᄎᆡᆨ이 업고 오작 븍방 각국은 량마ㅣ 만코 {{du|의ᄃᆡ리}}ᄂᆞᆫ 량마ㅣ 업ᄂᆞᆫ 고로 항상 ᄑᆡᄒᆞ다가 이윽고 한 ᄭᅬᄅᆞᆯ ᄂᆡ야 말 기르ᄂᆞᆫ 셰가와 약조ᄅᆞᆯ 뎡ᄒᆞ얏더니 {{du|즁국}} {{du|원}}나라 【{{du|고려}}시】 ᄯᅢ에 이르러 븍인이 침노ᄒᆞ거ᄂᆞᆯ 모든 셰가ㅣ 말을 ᄂᆡ여 조력ᄒᆞ고 ᄯᅩ 큰 포ᄃᆡᄅᆞᆯ ᄊᆞ코 졍병을 초모ᄒᆞ야 직희더니 인ᄒᆞ야 위엄이 ᄯᅥᆯ치ᄂᆞᆫ 곳에 국권이 ᄯᅩᄒᆞᆫ 날로 즁ᄒᆞ야 인민이 병긔 가짐을 엄금ᄒᆞ니 이ᄂᆞᆫ {{du|구쥬}} ᄉᆞᄅᆞᆷ이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gc8ix953u4qzcfcqielaybezhd1pdfk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101 250 101645 392691 2025-06-27T15:27:04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권력으로 치국ᄒᆞᄂᆞᆫ 악풍의 시초ㅣ라 연이 {{du|의국}}의 군권이 셩ᄒᆞᄆᆡ {{du|의국}} 국셰 ᄯᅩᄒᆞᆫ 날로 쇠ᄒᆞ고 ᄉᆞᆷᄉᆞᄇᆡᆨ년 젼에 이르러 {{du|구쥬}} ᄉᆞᄅᆞᆷ이 쳐음으로 {{du|아비리가쥬}} 대랑산을<ref>희망봉(Cae of Good Hope)</ref> 【즉 {{du|호망각}}이라】 둘너 {{du|인도}}ᄅᆞᆯ 통ᄒᆞᄂᆞᆫ 쳡경을 어드니 수로ㅣ 더욱 신속ᄒ... 39269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권력으로 치국ᄒᆞᄂᆞᆫ 악풍의 시초ㅣ라 연이 {{du|의국}}의 군권이 셩ᄒᆞᄆᆡ {{du|의국}} 국셰 ᄯᅩᄒᆞᆫ 날로 쇠ᄒᆞ고 ᄉᆞᆷᄉᆞᄇᆡᆨ년 젼에 이르러 {{du|구쥬}} ᄉᆞᄅᆞᆷ이 쳐음으로 {{du|아비리가쥬}} 대랑산을<ref>희망봉(Cae of Good Hope)</ref> 【즉 {{du|호망각}}이라】 둘너 {{du|인도}}ᄅᆞᆯ 통ᄒᆞᄂᆞᆫ 쳡경을 어드니 수로ㅣ 더욱 신속ᄒᆞ야 동방 졔국 물화ㅣ 드ᄃᆡ여 {{du|의대리}} 항구ᄅᆞᆯ 지나지 아니ᄒᆞ니 {{du|의국}}의 상무ㅣ ᄯᅩᄒᆞᆫ 쇠ᄑᆡᄒᆞ고 【이 수로ᄅᆞᆯ 어든 후 ᄉᆞᄇᆡᆨ년간에 {{du|영국}} 션쳑이 왕ᄅᆡᄒᆞ야 동방 화물이 다 {{du|영국}} {{du|륜돈}}에 모히여 드ᄃᆡ여 {{du|구쥬}} 각국의 극대ᄒᆞᆫ 부두가 되얏더니 이졔 별로히 {{du|소이ᄉᆞᄉᆡ}}<ref>수에즈(Suez)</ref> 하슈ᄅᆞᆯ 녈ᄆᆡ {{du|대랑산}}이 ᄯᅩ 머다 ᄒᆞ야 {{du|의대리}} 옛길이 다시 흥왕ᄒᆞ더라】 {{du|의국}} 인민은 병긔ᄅᆞᆯ 금ᄒᆞᆫ 후로부터 담ᄃᆡᄒᆞ든 자ㅣ 변ᄒᆞ야 나타무용ᄒᆞ니 이에 각국이 날로 침로ᄒᆞ야 {{du|일이만}} {{du|법난셔}} {{du|셔반아}}ㅣ 다 그 ᄯᅡ흘 할거ᄒᆞ고 {{du|의ᄃᆡ리}} 젼국이 변ᄒᆞ야 전ᄌᆡᆼ 마당이 되고 븍방에 잇ᄂᆞᆫ {{du|셔ᄉᆞ국}}은 만산쳡쳡 즁에 벽쳐ᄒᆞ야 {{du|의국}}의 평원 광야ᄅᆞᆯ 탐ᄒᆞ고 그 동방에ᄂᆞᆫ {{du|토이기}}국이 먼져 {{du|아셰아}}로부터 야료ᄒᆞ다가 {{du|구라파}}에 이르러 동남방의 ᄒᆞᆫ 토디ᄅᆞᆯ ᄎᆞ지ᄒᆞ고 {{du|의ᄃᆡ리}} 젼국을 ᄉᆞᆷ키고ᄌᆞ ᄒᆞ니 {{du|구쥬}} 각국이 다 겁ᄒᆞ며 ᄌᆞᄎᆞ 이후 ᄉᆞᆷᄇᆡᆨ년에 {{du|의ᄃᆡ리}} 항상 외국의 웅거ᄒᆞᆫ ᄇᆡ 되야 지극히 쇠미ᄒᆞ고 지극히 잔약ᄒᆞ니 ᄃᆡ져 {{du|의국}} 인민은 원ᄅᆡ 담략이 잇거ᄂᆞᆯ 병긔ᄅᆞᆯ 금ᄒᆞᆷ으로부터 이 지경에 이르니 이ᄂᆞᆫ ᄌᆞ취지화ㅣ라 연이 {{du|의국}}이 타국의 날로 흥ᄒᆞᆷ을 보고 ᄯᅩᄒᆞᆫ ᄌᆞ주ᄒᆞᆯ ᄯᅳᆺ이 잇더라 【{{du|즁국}} {{du|한}}나라 {{u|셩뎨}} 원연 년간에 {{du|구주}} 인구 합이 이쳔 ᄉᆞᆷᄇᆡᆨ만이러라】 ::뎨이졀 {{u|나파륜}}이 {{du|의ᄃᆡ리}}ᄅᆞᆯ 졍돈ᄒᆞᆷ이라 {{du|의국}} 인민이 비록 ᄌᆞ주ᄒᆞᆯ 마음이 잇스나 필경 그 셩ᄉᆞ케 ᄒᆞᄂᆞᆫ 자ㅣ 젼혀 남의 나라ᄅᆞᆯ ᄲᆡ앗ᄂᆞᆫ {{u|나파륜 뎨일}}의 손에 잇슬 쥴 누ㅣ 아랏스리요 ᄃᆡ져 당시에 {{u|나파륜}}이 {{du|의국}}에 드러갈 ᄯᅢ에 {{du|륜파뎨}} 일경은 {{du|오지리아}}국에 속ᄒᆞ고 {{du|나파나사}}ᄂᆞᆫ {{du|셔반아}}인이 주장ᄒᆞ고 기외 ᄯᅩ 수ᄉᆞᆷ처ᄂᆞᆫ 교황의 관할이요 ᄯᅩ 민주ᄒᆞᄂᆞᆫ 소국 다셧과 ᄎᆞ외에도 무수ᄒᆞᆫ 명목이 잇셔 기간에 착잡ᄒᆞ거ᄂᆞᆯ {{u|나파륜}}이 이에 ᄀᆡ연 장탄 왈 셕일 {{du|의ᄃᆡ리}}ᄂᆞᆫ {{du|구쥬}} 셔방에 뎨일 대국이라 ᄯᅩ 우리 조상의 지파이 다 여긔셔 난호엿거ᄂᆞᆯ 이졔 리산ᄑᆡ망ᄒᆞᆷ이 지어 ᄎᆞ극ᄒᆞ니 엇지 슬푸지 아니리요 ᄂᆡ 이졔 각 소국을 합ᄒᆞ야 ᄒᆞᆫ 큰 나라ᄅᆞᆯ ᄆᆡᆫ드러 {{du|구쥬}} 각국과 동등이 되게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3vq1jejem8jo47ikjqr52wbtm99nijp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102 250 101646 392692 2025-06-27T15:27:25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ᄒᆞ면 ᄂᆡ 원이 맛치리라 ᄒᆞ더니 시이ᄉᆞ변ᄒᆞ야 {{u|나파륜}}이 사로잡히여 ᄒᆡ도 즁에 갈 ᄯᅢ에도 오히려 말ᄒᆞ야 왈 {{du|의ᄃᆡ리}} 비록 ᄉᆞ분오렬ᄒᆞ얏스나 언어가 갓고 문ᄌᆞ와 풍속이 갓트니 엇지 ᄒᆞᆫ 나라ᄅᆞᆯ ᄆᆡᆫ드지 아니리요 ᄯᅩ ᄂᆡ 쳐음 {{du|의대리}}에 일을 ᄯᅢ에 일이 거의 되야 {{du|오지리아}} ᄉᆞᄅᆞᆷ의... 39269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ᄒᆞ면 ᄂᆡ 원이 맛치리라 ᄒᆞ더니 시이ᄉᆞ변ᄒᆞ야 {{u|나파륜}}이 사로잡히여 ᄒᆡ도 즁에 갈 ᄯᅢ에도 오히려 말ᄒᆞ야 왈 {{du|의ᄃᆡ리}} 비록 ᄉᆞ분오렬ᄒᆞ얏스나 언어가 갓고 문ᄌᆞ와 풍속이 갓트니 엇지 ᄒᆞᆫ 나라ᄅᆞᆯ ᄆᆡᆫ드지 아니리요 ᄯᅩ ᄂᆡ 쳐음 {{du|의대리}}에 일을 ᄯᅢ에 일이 거의 되야 {{du|오지리아}} ᄉᆞᄅᆞᆷ의 {{du|륜파졔}}에 잇ᄂᆞᆫ 거슨 ᄶᅩᆺᄎᆞ ᄂᆡ고 각 소국은 다 멸ᄒᆞ야 {{du|의대리}}의 륙ᄇᆡᆨ만 인구ᄅᆞᆯ 합ᄒᆞ야 일국을 ᄆᆡᆫ들고 그 인민이 다 ᄌᆞ주지권이 잇{{sic|계}} ᄒᆞ얏스니 ᄂᆡ {{du|의국}}에 공이 업다 ᄒᆞᆯ 수 업다 ᄒᆞ나 연이 {{u|나파륜}}의 욕심은 ᄌᆞ연 드러나ᄂᆞᆫ 곳이 잇스니 그 셔방의 잇ᄂᆞᆫ {{du|폐망}}ᄉᆡᆼ과<ref>피에몬테(Piedmontese)</ref> {{du|경나아}} 항구와 {{du|토사간}} 디방과 {{du|나마}}ᄉᆡᆼ 등 각쳐의 륙ᄇᆡᆨ만 인구ᄅᆞᆯ 버혀 {{du|법국}}에 예속ᄒᆞ고 오직 {{du|나파나ᄉᆞ}} 일ᄃᆡ 디방의 칠ᄇᆡᆨ만 인구ᄂᆞᆫ 일국을 ᄆᆡᆫ드러 일졀 졔도ᄅᆞᆯ 다 ᄀᆡ혁ᄒᆞ야 그 ᄇᆡᆨ셩으로 ᄒᆞ야곰 ᄌᆞ유ᄌᆞᄌᆡᄒᆞᄂᆞᆫ 복을 누리게 ᄒᆞ니 이ᄂᆞᆫ {{u|나파륜}}의 공이요 {{u|나파륜}}이 ᄯᅩ 각 디방을 ᄃᆡ신ᄒᆞ야 률법을 ᄉᆡ로 졍ᄒᆞ야 {{du|의대리}} 구법보다 공졍ᄒᆞ고 명ᄇᆡᆨᄒᆞ며 ᄯᅩ 일너 왈 타일에 짐이 이 셰 나라ᄅᆞᆯ 합ᄒᆞ야 한 큰 나라ᄅᆞᆯ ᄆᆡᆫ든다 ᄒᆞ더라 ::뎨ᄉᆞᆷ졀 합ᄒᆞ야 ᄌᆞ주ᄒᆞᄂᆞᆫ 긔틀이라 이ᄯᅢ {{du|의국}}이 부득불 합ᄒᆞᆯ지라 연이나 {{u|나파륜}}이 ᄑᆡᄒᆞᄆᆡ 열국이 {{du|오지리아}} 도셩에 모히여 무릇 {{u|나파륜}}이 경장ᄒᆞ든 일을 일일히 다 복고ᄒᆞ니 {{du|의}}인이 비록 편안치 못ᄒᆞ나 엇지ᄒᆞᆯ 길 업셔 {{du|의국}}의 일홈만 잇고 실은 나라히 아니라 연이 그 ᄇᆡᆨ셩이 다 ᄌᆞ주지심이 잇셔 만일 ᄌᆡ샹ᄒᆞᆫ 자ㅣ 포학ᄒᆞᆫ 일이 잇스면 비록 만 번 쥭어도 밧지 아니ᄒᆞ리라 ᄒᆞ더라 이ᄯᅢ에 사사로히 모은 회가 쳐쳐에 잇셔 다 말호ᄃᆡ 타국은 다 거관 ᄒᆞᆷ과 ᄌᆞ유ᄒᆞᄂᆞᆫ 권이 잇거ᄂᆞᆯ 우리 엇지 독이 업스리요 ᄒᆞ고 불긔시에 션ᄇᆡ와 인민이 회에 든 자ㅣ 칠십만 인이러라 일쳔팔ᄇᆡᆨ이십년【순조 이십년】에 {{du|셔반아}}국이 졔도ᄅᆞᆯ 크게 변ᄒᆞ니 {{du|의}}인이 일너 왈 이졔 긔회 이르럿스니 우리 ᄇᆡᆨ셩을 건진다 ᄒᆞ고 {{du|나파나사}}와 {{du|폐망}} 냥ᄉᆡᆼ이 먼져 란을 이릐켜고 회즁인이 ᄯᅩ 일시에 일고ᄌᆞ ᄒᆞ거ᄂᆞᆯ {{du|오아보}} 각국 군왕은 이 일이 올은 쥴은 아지 못ᄒᆞ고 도뤼혀 각국에 격셔ᄅᆞᆯ 젼ᄒᆞ야 권력으로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fkfxllujjdaac5gxs8bfkia8mdobdsg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103 250 101647 392693 2025-06-27T15:27:44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압졔코ᄌᆞ ᄒᆞ며 {{du|영국}}은 혜오ᄃᆡ {{du|의}}인이 일이 올타 ᄒᆞ야 ᄎᆞᆷ예치 아니ᄒᆞ고 {{du|법국}}은 {{du|의ᄃᆡ리}} 인군이나 ᄇᆡᆨ셩이나 편벽되이 도읍지 아니ᄒᆞᆫ다 호ᄃᆡ {{du|법국}} ᄀᆡ화당은 오히려 {{du|법국}}이 리치ᄅᆞᆯ ᄉᆡᆼ각지 아니ᄒᆞ고 권셰만 밋ᄂᆞᆫ다 ᄒᆞ야 ᄎᆡᆨ망ᄒᆞ고 {{du|아}}황 {{u|ᄋᆡ렬산덕}}은<ref>알... 39269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압졔코ᄌᆞ ᄒᆞ며 {{du|영국}}은 혜오ᄃᆡ {{du|의}}인이 일이 올타 ᄒᆞ야 ᄎᆞᆷ예치 아니ᄒᆞ고 {{du|법국}}은 {{du|의ᄃᆡ리}} 인군이나 ᄇᆡᆨ셩이나 편벽되이 도읍지 아니ᄒᆞᆫ다 호ᄃᆡ {{du|법국}} ᄀᆡ화당은 오히려 {{du|법국}}이 리치ᄅᆞᆯ ᄉᆡᆼ각지 아니ᄒᆞ고 권셰만 밋ᄂᆞᆫ다 ᄒᆞ야 ᄎᆡᆨ망ᄒᆞ고 {{du|아}}황 {{u|ᄋᆡ렬산덕}}은<ref>알렉상드르(Alexander)</ref> 말호ᄃᆡ 향ᄌᆞ에 우리 ᄇᆡᆨ셩을 압졔ᄒᆞᆷ이 ᄐᆡ과ᄒᆞ얏스니 {{du|의대리}} 변란이 우리 징계될지라 우리 소민을 관ᄃᆡᄒᆞ야 그 복쳘을 드듸지 말미 올타 ᄒᆞ나 다만 ᄇᆡᆨ셩이 나라의 령은 기다리지 아니ᄒᆞ고 셩군쟉당ᄒᆞ야 조졍을 겁박ᄒᆞᆷ이 불가ᄒᆞ니 지금은 권셰로 누름이 가ᄒᆞ다 ᄒᆞ고 이에 각국 즁에 {{du|오국}}이 먼져 거병ᄒᆞ야 {{du|의국}}에 드러가니 {{du|의}}인이 츌기불의에 방비치 못ᄒᆞ고 다 도망ᄒᆞᄂᆞᆫ지라 열국이 다시 권셰로ᄡᅥ 그 ᄇᆡᆨ셩을 속박ᄒᆞ더라 자ᄎᆞ 이후 이십오년에 {{du|의}}민이 감히 동치 못ᄒᆞ고 {{du|륜파제}}와 {{du|비ᄂᆡ텬}} 량ᄉᆡᆼ은 {{du|오국}}의 할거ᄒᆞᆫ ᄇᆡ 되야 그 인군된 자ㅣ 원ᄅᆡ 본국인이 아니요 ᄯᅩ 빙권ᄌᆞ셰ᄒᆞ야 ᄇᆡᆨ셩을 학ᄃᆡᄒᆞ며 {{du|나파나사}} 왕은 {{du|법국}} {{u|포이분}} 왕족의 후예니 그 일홈은 {{u|비졉남}}이라 {{u|포이분}}의 럭ᄃᆡ 이ᄅᆡ 악습을 바리지 아니ᄒᆞ고 {{du|의}}인의 부ᄌᆞᄂᆞᆫ 억륵으로 원랍을 식이고 불쳥ᄒᆞᄂᆞᆫ ᄌᆞᄂᆞᆫ 임의 학ᄃᆡᄒᆞ더니 교황이 ᄯᅩ 홀연이 ᄒᆞᆫ 법을 ᄂᆡ여 ᄇᆡᆨ셩을 가라치지 아니ᄒᆞ고 오직 말ᄒᆞ되 ᄇᆡᆨ셩이 불식부지 ᄒᆞ여야 웃ᄉᆞᄅᆞᆷ의 명령을 조치리라 ᄒᆞ며 혹 간ᄒᆞᄂᆞᆫ 자ㅣ 잇스면 곳 살지쥬지ᄒᆞ니 이럼으로 도망ᄒᆞ야 타국에 간 자ㅣ 만흐며 다 말호ᄃᆡ 타국은 날로 고명ᄒᆞᆫ뎨 이르거ᄂᆞᆯ 우리 인군은 인민을 학ᄃᆡᄒᆞᆷ이 너무 심ᄒᆞ다 ᄒᆞ고 젼국에다 ᄉᆞ회ᄅᆞᆯ 모흐니 {{du|의국}}의 합ᄒᆞᆷ은 조모간에 잇슬너라 ::뎨ᄉᆞ졀 일쳔팔ᄇᆡᆨᄉᆞ십팔년 졍형이라 일쳔팔ᄇᆡᆨᄉᆞ십팔년【헌종 십사년】에 {{du|법난셔}}국이 ᄯᅩ 크게 변ᄒᆞ거ᄂᆞᆯ {{du|의}}인이 다시 말호ᄃᆡ 이ᄯᅢᄅᆞᆯ 일치 아니리라 ᄒᆞ고 타국에 도망ᄒᆞᆫ ᄉᆞᄅᆞᆷ이 다 도라{{sic|을}}ᄉᆡ 기즁 {{du|영국}} {{du|륜돈}}에 ᄑᆡᄒᆞ얏든 {{u|ᄆᆡᆨ졔이}}와<ref>마치니(Mazzini)</ref> {{du|몽퇴 비례야}}에<ref>몬테 비데오(Monte Video)</ref> 피ᄒᆞ얏든 무관에 {{u|가례파지}}ᄂᆞᆫ<ref>가리발디(Garibaldi) 다 명망이 잇든 ᄉᆞᄅᆞᆷ이라 {{du|의}}인이 밋기ᄅᆞᆯ ᄐᆡ산븍두 갓치 알며 ᄯᅩ 로장군 몃 ᄉᆞᄅᆞᆷ은 외방에 피란ᄒᆞ얏다가 이졔 도라오ᄆᆡ ᄇᆡᆨ발이 표연ᄒᆞ고 ᄎᆞ외에 ᄯᅩ 셔원 즁 사자와 각 처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p3qxuwx6z9g2pkwsew6938sbinnhx8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104 250 101648 392694 2025-06-27T15:28:14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상고들이 다 동심협력ᄒᆞ야 무론 병민문무ᄒᆞ고 일졔히 ᄌᆡ물과 셩명을 ᄋᆡᆨ기지 아니ᄒᆞ고 모히니 당시에 비록 셩공치ᄂᆞᆫ 못ᄒᆞ얏스나 후일 긔업ᄂᆞᆫ 다 이ᄯᅢ에 졍ᄒᆞ얏더라 {{du|의대리}} 인민이 다 말호ᄃᆡ {{du|오국}}인을 ᄶᅩᆺ고 {{du|의국}} ᄉᆞᄅᆞᆷ을 셰워 인군을 ᄉᆞᆷ으면 명졍언순ᄒᆞ리라 ᄒᆞ더니 맛ᄎᆞᆷ ᄉᆡ... 39269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상고들이 다 동심협력ᄒᆞ야 무론 병민문무ᄒᆞ고 일졔히 ᄌᆡ물과 셩명을 ᄋᆡᆨ기지 아니ᄒᆞ고 모히니 당시에 비록 셩공치ᄂᆞᆫ 못ᄒᆞ얏스나 후일 긔업ᄂᆞᆫ 다 이ᄯᅢ에 졍ᄒᆞ얏더라 {{du|의대리}} 인민이 다 말호ᄃᆡ {{du|오국}}인을 ᄶᅩᆺ고 {{du|의국}} ᄉᆞᄅᆞᆷ을 셰워 인군을 ᄉᆞᆷ으면 명졍언순ᄒᆞ리라 ᄒᆞ더니 맛ᄎᆞᆷ ᄉᆡ 교항 {{u|피하 뎨구}}ㅣ<ref>비오 9세(Pius IX)</ref> 즉위ᄒᆞᄆᆡ ᄌᆞ못 민원을 죳고ᄌᆞ ᄒᆞᄂᆞᆫ ᄯᅳᆺ이 잇거ᄂᆞᆯ ᄇᆡᆨ셩이 교황을 셰워 인군을 ᄉᆞᆷ고ᄌᆞ ᄒᆞ나 다만 교황은 원ᄅᆡ 그 집졍 ᄃᆡ신과 갓치 력ᄃᆡ로 건립ᄒᆞᆫ 규모ㅣ 잇셔 비록 감언리셜로 ᄇᆡᆨ셩을 속이나 기실은 열국 군왕과 갓치 지동도합ᄒᆞ야 ᄇᆡᆨ셩을 압졔ᄒᆞᆯ ᄲᅮᆫ이라 이ᄯᅢ에 {{du|의ᄃᆡ리}}에 원ᄅᆡ 단련ᄒᆞᆫ 민병이 잇셔 {{du|의}}민을 도와 {{du|오국}}인을 ᄶᅩᆺ고ᄌᆞ ᄒᆞ야 교황게 쳥ᄒᆞ야 허락을 바덧더니 홀연이 일쳔팔ᄇᆡᆨᄉᆞ십팔년 【헌종 십ᄉᆞ년】 ᄉᆞ월 이십구일에 교황이 다시 령을 환슈ᄒᆞ고 ᄇᆡᆨ셩을 만류ᄒᆞ야 왈 짐이 하ᄂᆞᆯ을 ᄃᆡ신ᄒᆞ야 하민을 교화ᄒᆞᄆᆡ 화목으로 주장을 ᄉᆞᆷ으니 {{du|구쥬}} 각국은 ᄒᆞᆫ 집안이요 짐은 집안의 어른이라 ᄌᆞ녀ㅣ 응목우ᄋᆡᄒᆞᆷ을 깃거ᄒᆞᆯ지라 엇지 집안에셔 젼ᄌᆡᆼ을 이릐켜 짐의 ᄯᅳᆺ을 상ᄒᆞ리요 ᄒᆞ거ᄂᆞᆯ {{du|의}}민이 다 ᄃᆡ로ᄒᆞ야 교황의 령을 죳지 아니ᄒᆞ니 ᄇᆡᆨ셩이 비록 텬주교ᄅᆞᆯ 봉ᄒᆡᆼᄒᆞ나 교황의 권은 ᄌᆞᄎᆞ로 조곰도 ᄒᆡᆼ치 못ᄒᆞ더라 {{du|의}}인이 ᄋᆡ지즁지ᄒᆞᄂᆞᆫ ᄌᆞᄂᆞᆫ 오직 {{du|살톄니아}}왕<ref>사르디니아(Sardinia)</ref> {{u|잡늑사 아ᄇᆡᆨ}}이라<ref>카를로 알베르토(Charlo Alberto)</ref> 그 왕의 ᄯᅳᆺ은 갈오ᄃᆡ {{du|의}}민의 소견은 오른 리치라 ᄂᆡ 도와 쥬리라 ᄒᆞ니 {{du|의}}민이 ᄃᆡ희ᄒᆞ야 왕을 밧들고 {{du|륜파졔}}ᄅᆞᆯ 직힐ᄉᆡ 가셕ᄒᆞᆫ ᄌᆞᄂᆞᆫ 왕이 원ᄅᆡ 과인지ᄌᆡ 업고 ᄯᅩ 셩품이 요량미졍ᄒᆞ야 치국ᄒᆞᄂᆞᆫ 법을 아지 못ᄒᆞ고 {{du|륜파졔}}에 이르럿슬 ᄯᅢ에도 발호시령ᄒᆞᆷ이 ᄯᅩ 민심을 열복지 못ᄒᆞ고 필경 도처 봉ᄑᆡᄒᆞ야 공연히 {{du|의}}인만 상ᄒᆡᄒᆞ고 ᄒᆞ나토 셩ᄉᆞ치 못ᄒᆞ며 일쳔팔ᄇᆡᆨᄉᆞ십구년 【헌종 십오년】 ᄉᆞᆷ월 이십ᄉᆞ일에 ᄯᅩ 대ᄑᆡᄒᆞ니 왕이 민심이 불복ᄒᆞᆷ을 알고 곳 위ᄅᆞᆯ 그 아들의게 젼ᄒᆞ고 물너나니라 ::뎨오졀 교황이 ᄶᅩ치믈 당ᄒᆞᆷ이라 일쳔팔ᄇᆡᆨᄉᆞ십구년 【헌종 십오년】 이월 팔일에 교황의 관할ᄒᆞᆫ ᄇᆡᆨ셩이 ᄌᆞ립ᄒᆞ야 민주국이 되고 교황이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k2glfl6gjszcfesb23ac2g55bycizg6 페이지:孔夫子言行錄.djvu/16 250 101649 392696 2025-06-27T15:42:26Z Ghdtjdals 18466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이가가장더듼지라문득ᄒᆞᆫ편궁기열이ᄆᆡ몸을은신隱身ᄒᆞ고잇거늘고슈연ᄒᆞ여든업스물보고우물을돌과흑으로메이고일으되인졔는슌舜이쥭도다ᄒᆞ거늘상의모ᄌᆞ깃거ᄒᆞ더라잇ᄯᆡ슌舜이ᄉᆞ라나사즉시그길노나셔ᄒᆞᆫ빈漢濱이란촌을ᄎᆞ져가셔즐그릇슬구어장으로팔나단일ᄉᆡ일일은한장에가니상象의모母두눈이어두어셔막ᄃᆡ... 39269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hdtjdals"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이가가장더듼지라문득ᄒᆞᆫ편궁기열이ᄆᆡ몸을은신隱身ᄒᆞ고잇거늘고슈연ᄒᆞ여든업스물보고우물을돌과흑으로메이고일으되인졔는슌舜이쥭도다ᄒᆞ거늘상의모ᄌᆞ깃거ᄒᆞ더라잇ᄯᆡ슌舜이ᄉᆞ라나사즉시그길노나셔ᄒᆞᆫ빈漢濱이란촌을ᄎᆞ져가셔즐그릇슬구어장으로팔나단일ᄉᆡ일일은한장에가니상象의모母두눈이어두어셔막ᄃᆡ을집고비러먹거ᄂᆞᆯ슌舜이보시고놀납고참혹慘酷이여겨나아가무러왈눈어두은여인女人이져럿틋시비러먹는정경情境이ᄎᆞᆷ혹慘酷ᄒᆞ여이다기부家夫도읍ᄂᆞᆫ잇가상象의모답왈母答曰ᄌᆞ년自然이불ᄒᆡᆼ不幸ᄒᆞ여젹환賊患도보고병病쳠도드러유지維支치못ᄒᆞ기로ᄂᆡ홀노단이며비러다가가부家夫을공괴供饋ᄒᆞ나이다슌이드르시ᄆᆡ졍경情境익긍ᄒᆞ온지라한장동안먹을거슬들릴거시니가지고가소셔ᄒᆞ고양식糧食을파라들리고ᄯᅩ일호ᄃᆡ후장에다시보사이다ᄒᆞ니상의모고두ᄇᆡᆨᄇᆡᄉᆞ례叩頭百拜謝禮ᄒᆞ고가흣창에ᄯᅩ온니슌舜이보시고안부安否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1ke37ns75aq7n2wzb1ib9r6xdyrrwo1 페이지:孔夫子言行錄.djvu/17 250 101650 392697 2025-06-27T15:52:00Z Ghdtjdals 18466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을무른후의ᄯᅩ한양식을지우고가로ᄃᆡ흣장에ᄯᅩ오소셔ᄒᆞ고이럿틋구급救急ᄒᆞ기을여러순ᄒᆞ니상의모불승감응不勝感應ᄒᆞ야고수의게층송稱頌ᄒᆞ기을마지아니ᄒᆞ니고슈듯고일르되흣장에가거든아모조록그사람을쳥ᄒᆞ여오게ᄒᆞ여빈말노나ᄉᆞ례謝禮ᄒᆞ고ᄌᆞᄒᆞ노라ᄒᆞᆫᄃᆡ상의모이말노흣장에가니슌이보시고ᄯᅩ양식을... 39269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hdtjdals"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을무른후의ᄯᅩ한양식을지우고가로ᄃᆡ흣장에ᄯᅩ오소셔ᄒᆞ고이럿틋구급救急ᄒᆞ기을여러순ᄒᆞ니상의모불승감응不勝感應ᄒᆞ야고수의게층송稱頌ᄒᆞ기을마지아니ᄒᆞ니고슈듯고일르되흣장에가거든아모조록그사람을쳥ᄒᆞ여오게ᄒᆞ여빈말노나ᄉᆞ례謝禮ᄒᆞ고ᄌᆞᄒᆞ노라ᄒᆞᆫᄃᆡ상의모이말노흣장에가니슌이보시고ᄯᅩ양식을쥬거ᄂᆞᆯ상의모슌을뭇들고일오ᄃᆡ가부안ᄆᆡᆼ家夫眼盲ᄒᆞ고병쳡病蟄ᄒᆞ여장터에오지못ᄒᆞ옵기로ᄒᆞᄒᆡ河海ᄀᆞᆺ흔은헤恩惠을사레코져ᄒᆞ여아모조록그ᄃᆡ을모셔오라ᄒᆞ노니슈고을앗기시지말고ᄒᆞᆫ번가시믈청請ᄒᆞ나이다ᄒᆞ고지셩至誠으로간쳥懇請ᄒᆞᄂᆞᆫ지라슌이ᄉᆡᆼ각ᄒᆞ시되이ᄂᆞᆫᄯᅩᄒᆞᆫ부명父命이지극至極히즁重ᄒᆞ신고로안니가시지못ᄒᆞ여슬푼마음을먹음고갈ᄉᆡ집을당도當到ᄒᆞᄆᆡ상象의모가부母家夫에계은인恩人달려온말ᄉᆞᆷ을젼傳ᄒᆞ니고슈반겨듯고치ᄉᆞ致謝코져나와그손을잡고ᄉᆞ레을마지아니ᄒᆞ니슌舜이눈물을흘니고공경恭敬ᄒᆞ여말ᄉᆞᆷ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s30gd4pfx7m67k532ad95kk0o0nlv4e 페이지:오자셔실긔.djvu/14 250 101651 392698 2025-06-27T17:52:46Z Bborang 18488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므로이ᄯᅡ의슈머ᄉᆞᄂᆞᆫ지라슈일젼에원장군이여간병이잇셔나를쳥ᄒᆞ거늘가셔보니관우ᄒᆡ오ᄌᆞ셔의ᄉᆞ진이걸닌지라그ᄉᆞ진이그ᄃᆡ로더부러갓흔고로무럿ᄂᆞ니그ᄃᆡ는쇼기지말지어다ᄂᆡ집이이산뒤에잇스니잠간가셔다리ᄂᆞ쉼이엇더ᄒᆞ뇨샹의ᄒᆞᆯ말이잇노라ᄒᆞ거늘오운이비샹ᄒᆞᆫᄉᆞ람인줄알고공ᄌᆞ승을다리고동... 39269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Bborang"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므로이ᄯᅡ의슈머ᄉᆞᄂᆞᆫ지라슈일젼에원장군이여간병이잇셔나를쳥ᄒᆞ거늘가셔보니관우ᄒᆡ오ᄌᆞ셔의ᄉᆞ진이걸닌지라그ᄉᆞ진이그ᄃᆡ로더부러갓흔고로무럿ᄂᆞ니그ᄃᆡ는쇼기지말지어다ᄂᆡ집이이산뒤에잇스니잠간가셔다리ᄂᆞ쉼이엇더ᄒᆞ뇨샹의ᄒᆞᆯ말이잇노라ᄒᆞ거늘오운이비샹ᄒᆞᆫᄉᆞ람인줄알고공ᄌᆞ승을다리고동고공을ᄯᅡ라갈ᄉᆡ슈리를ᄒᆡᆼᄒᆞᆷᄋᆡ한낫쵸당이잇는지라동고공이오운을읍ᄒᆞ야쵸당으로드러가거늘오운이동고공을향ᄒᆞ야ᄌᆡᄇᆡᄒᆞᆫᄃᆡ동고공이황망히답례왈이곳이오히려그ᄃᆡ의머물곳이아니라ᄒᆞ고다시인도ᄒᆞ야후원을지나셔편으로도라가니젹은사리ᄶᅡᆨ문이잇는지라그문으로드러가니쥭림이잇고쥭림뒤에토옥삼간이잇스니그문이무슨구멍갓혼지라머리를슉이고드러가니그안에평샹과탁ᄌᆞ를버려노앗고좌우에저근창을ᄂᆡ여양긔를통ᄒᆞ엿더라동고공이오운을인도ᄒᆞ야상좌에안즈라ᄒᆞ거늘운이공ᄌᆞ승을가라쳐ᄀᆞᆯ오ᄃᆡ져근쥬인이계시니ᄂᆡ맛당히겻ᄒᆡ뫼시리라ᄒᆞᆫᄃᆡ동고공이왈어느ᄉᆞ람이뇨ᄒᆞ거늘운이ᄀᆞᆯ오ᄃᆡ이는초국ᄐᆡᄌᆞ건의ᄋᆞ달승이니다로인으로ᄡᅥ장ᄌᆡ라ᄒᆞ야감히은휘치못ᄒᆞ고실졍을고ᄒᆞᄂᆞ이다ᄒᆞᆫᄃᆡ동고공이공ᄌᆞ승을샹좌에안게ᄒᆞ고ᄌᆞ긔는오운으로더부러동셔에샹ᄃᆡᄒᆞ야안즈며닐너ᄀᆞᆯ오ᄃᆡ이곳에셔는비록일년을머문다ᄒᆞ야도알ᄉᆞ람이업스나다만념녀ᄒᆞ는바는쇼관의방비가엄밀ᄒᆞ니공ᄌᆞ가엇지용이ᄒᆞ게지나가리오반ᄃᆞ시만젼의계ᄎᆡᆨ을어더야념녀가업스리라ᄒᆞ거늘오운이ᄭᅮ러안자고ᄒᆞ야ᄀᆞᆯ오ᄃᆡ션ᄉᆡᆼ이무ᄉᆞᆷ계ᄎᆡᆨ으로능히우리의난을버셔나게ᄒᆞ시려ᄒᆞᄂᆞ뇨일후에반ᄃᆞ시츙ᄒᆞ게갑흐리다ᄒᆞᆫᄃᆡ동고공이왈이곳이궁벽ᄒᆞ야알ᄉᆞ람이업스니공ᄌᆞ는아즉마ᄋᆞᆷ을펴고머무소셔ᄂᆡ가다시됴흔계교를ᄉᆡᆼ각ᄒᆞ야그ᄃᆡ군신을연고업시쇼관을지ᄂᆡ게ᄒᆞ리라ᄒᆞ거늘오운이칭샤ᄒᆞᆷ을마지아니ᄒᆞ더라동고공이ᄆᆡ일쥬식으로관ᄃᆡᄒᆞ며칠일을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3qorl75ssvqgq6180ua57h8dtvzaor7 페이지:오자셔실긔.djvu/15 250 101652 392699 2025-06-27T18:05:21Z Bborang 18488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류련ᄒᆞ되쇼관지ᄂᆡᆯ말은ᄒᆞ지아니ᄒᆞ거늘운이침식이불안ᄒᆞ야동고공을하직ᄒᆞ고ᄯᅥ나가려ᄒᆞ나능히쇼관을지ᄂᆡ지못ᄒᆞᆯ듯ᄒᆞ고머물고져ᄒᆞ나광음만허비ᄒᆞᆯ지라젼젼반측ᄒᆞᆷᄋᆡ신심이불안ᄒᆞ야가시를등에질머짐갓흔지라능히잠을닐우지못ᄒᆞ고밧게나와젼후로ᄇᆡ회ᄒᆞ더니동방이임의밝어옴을ᄭᅵ닷지ᄆᆞᆺ... 39269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Bborang"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류련ᄒᆞ되쇼관지ᄂᆡᆯ말은ᄒᆞ지아니ᄒᆞ거늘운이침식이불안ᄒᆞ야동고공을하직ᄒᆞ고ᄯᅥ나가려ᄒᆞ나능히쇼관을지ᄂᆡ지못ᄒᆞᆯ듯ᄒᆞ고머물고져ᄒᆞ나광음만허비ᄒᆞᆯ지라젼젼반측ᄒᆞᆷᄋᆡ신심이불안ᄒᆞ야가시를등에질머짐갓흔지라능히잠을닐우지못ᄒᆞ고밧게나와젼후로ᄇᆡ회ᄒᆞ더니동방이임의밝어옴을ᄭᅵ닷지ᄆᆞᆺᄒᆞ더라동고공이문을두다리고드러오다가오운을보고대경왈그ᄃᆡ슈염과머리털이엇지변ᄒᆞ얏ᄂᆞ뇨반ᄃᆞ시너무근심ᄒᆞᆫ소치로다ᄒᆞ거늘운이밋지아니ᄒᆞ고거울을ᄎᆔᄒᆞ야빗추워보니과연챵々히반ᄇᆡᆨ이되엿는지라운이거울을ᄯᅡ에더지고통곡왈아모일도셩ᄉᆞᄒᆞᆷ은업고터럭은임의반ᄇᆡᆨ이되엿도다하날이엇지이다지원통ᄒᆞ게ᄒᆞ시ᄂᆞ뇨ᄒᆞᆫᄃᆡ동고공이만류왈그ᄃᆡ는너무슯허ᄒᆞ지말나이는그ᄃᆡ의아름다운징죠로라ᄒᆞ노라ᄒᆞ거늘운이눈물을거두고ᄀᆞᆯ오ᄃᆡ엇지아름다운징죠라ᄒᆞ시ᄂᆞ뇨동고공이왈그ᄃᆡ상모가웅장ᄒᆞ야보는쟈알기용이ᄒᆞᆯ너니이졔터럭이반ᄇᆡᆨ이되엿스니용이ᄒᆞ게분변치못ᄒᆞᆯ지라가히타인즁에셧기여다른ᄉᆞ람을쇼기기ᄉᆔ울것이오ᄯᅩ우리늙은친구를임의쳥ᄒᆞ야왓스니나의계교를닐우리라ᄒᆞ노라ᄒᆞ거늘운이ᄀᆞᆯ오ᄃᆡ션ᄉᆡᆼ이계교를쟝ᄎᆞ엇지ᄒᆞ려ᄒᆞ시ᄂᆞ뇨동고공이왈나의친구의셩은황보요일홈은눌이라일로좃ᄎᆞ셔남방칠십리밧게룡동산이라ᄒᆞ는ᄯᅡ에머무ᄂᆞ니이ᄉᆞ람의신쟝이구쳑이오미간이여덟치가되야셔그ᄃᆡ와방불ᄒᆞᆯ지라그ᄉᆞ람으로거짓그ᄃᆡ모양을만들고그ᄃᆡ는그ᄉᆞ람의죵인이되면셜혹그ᄉᆞ람이잡힌다ᄒᆞᆯ지라도ᄌᆞ연요란ᄒᆞᆯ것이니그틈을타셔도망ᄒᆞ야쇼관을지ᄂᆡ여가면엇지아름답지아니ᄒᆞ리오ᄒᆞ거늘오운이ᄀᆞᆯ오ᄃᆡ션ᄉᆡᆼ의계교가비록아름답ᄉᆞ오나다만두리건ᄃᆡ존공의친구의게루가될지라일노ᄡᅥ마ᄋᆞᆷ에불안ᄒᆞ여이다ᄒᆞᆫᄃᆡ동고공이왈그는관계치아니ᄒᆞᆫ닐이라ᄂᆡ스ᄉᆞ로구원할계교를ᄉᆡᆼ각ᄒᆞ야친구의게쟈셔ᄒᆞᆫᄉᆞ연을말ᄉᆞᆷᄒᆞ니그친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6a68x033z9x1uasjil7m5nozvvkv58d 페이지:오자셔실긔.djvu/16 250 101653 392700 2025-06-27T18:15:51Z Bborang 18488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구도역시강ᄀᆡᄒᆞᆫ션ᄇᆡ라그리ᄒᆞ기로약쇽ᄒᆞ얏스니념녀ᄒᆞᆯ바이아니라ᄒᆞ고언필에ᄉᆞ람을보ᄂᆡ여황보눌을쳥ᄒᆞ야닐으러오ᄌᆞ셔로셔로보게ᄒᆞ거늘오운이ᄌᆞ셔히살펴보니과연삼분이ᄂᆞ갓흔지라심즁에깃버ᄒᆞ야무슈히샤례ᄒᆞ더니동고공이약물노ᄡᅥ오운의낫흘씻겨셔얼골빗을변ᄒᆞ게ᄒᆞ고황혼ᄯᆡ에닐으러오운의... 39270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Bborang"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구도역시강ᄀᆡᄒᆞᆫ션ᄇᆡ라그리ᄒᆞ기로약쇽ᄒᆞ얏스니념녀ᄒᆞᆯ바이아니라ᄒᆞ고언필에ᄉᆞ람을보ᄂᆡ여황보눌을쳥ᄒᆞ야닐으러오ᄌᆞ셔로셔로보게ᄒᆞ거늘오운이ᄌᆞ셔히살펴보니과연삼분이ᄂᆞ갓흔지라심즁에깃버ᄒᆞ야무슈히샤례ᄒᆞ더니동고공이약물노ᄡᅥ오운의낫흘씻겨셔얼골빗을변ᄒᆞ게ᄒᆞ고황혼ᄯᆡ에닐으러오운의쇼복을벗겨황보눌을입히고다른옷을가져오운을입혀셔황보눌의죵인모양을만들고공ᄌᆞ승도역시다른옷을ᄀᆡ착ᄒᆞ야촌간목동의모양을만드러황보눌을ᄯᅡ러밤을도와쇼관을바라고오더라각셜쵸국대장원월이관문을굿게직히여호령ᄒᆞ야북인의동으로건너가는쟈는여러가지로힐문ᄒᆞ야명ᄇᆡᆨᄒᆞᆫ연후에관을지ᄂᆡ감을허락ᄒᆞ니진짓물이ᄉᆡ지못ᄒᆞ고날으는ᄉᆡ라도지나지못ᄒᆞ더라황보눌이관문에닐으ᄆᆡ문직힌군ᄉᆡ그형샹이ᄉᆞ진으로더부러방불ᄒᆞ고몸에흰옷을입엇스며ᄯᅩ놀ᄂᆡ고두려ᄒᆞ는모양이잇거늘즉시잡아힐문ᄒᆞ고원월의계보ᄒᆞᆫᄃᆡ원월이달녀나와멀니바라보고ᄀᆞᆯ오ᄃᆡ이진짓오운이로다ᄒᆞ고좌우를ᄭᅮ지져일졔히하슈ᄒᆞ야눌을잡아셔관샹으로드러가니관직힌쟝ᄉᆞ와젼후ᄇᆡᆨ셩덜이오ᄌᆞ셔잡음을듯고다ᄯᅱ놀며구경ᄒᆞ거늘오운이관문이크게열니믈타셔공ᄌᆞ승을다리고인춍즁에셧기여관문을버셔나니진짓리어가쇠갈구리를버셔ᄂᆞᄆᆡᄭᅩ리를치고머리를흔들어다시오지아니ᄒᆞᆷ갓더라ᄌᆡ셜초쟝원월이황보눌을잡아결박ᄒᆞ야ᄯᅡ리며쵸ᄉᆞ를바다영ᄯᅡ로보ᄂᆡ려ᄒᆞ거늘황보눌이변명ᄒᆞ야ᄀᆞᆯ오ᄃᆡ나는룡동산에슘은션ᄇᆡ황보눌이라친구ᄉᆞ람동고공을ᄯᅡ라관밧게나아가동으로유람ᄒᆞ고져ᄒᆞᆷ이오별로히범죄ᄒᆞᆷ이업거늘무ᄉᆞᆷ연고로잡앗ᄂᆞ니잇고원월이그말을듯고뎡히의아ᄒᆞ더니문졸이보ᄒᆞ되동고공이와셔보이기를쳥ᄒᆞᄂᆞ이다ᄒᆞ거늘원월이좌우를명ᄒᆞ야황보눌을한편에치여놋코동고공을마져드려빈쥬의좌를뎡ᄒᆞᆫ후에동고공이ᄀᆞᆯ오ᄃᆡ로부가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p19h755ww7na24gh0wl9ejz1f3xnia4 페이지:詩經諺解 제7책.djvu/13 250 101654 392702 2025-06-28T00:18:40Z Lifestory24 17304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더 작게|ᄒᆞ고}}載{{더 작게|ᄌᆡ}}戢{{더 작게|즙}}干{{더 작게|간}}戈{{더 작게|과ᄒᆞ며}}載{{더 작게|ᄌᆡ}}櫜{{더 작게|고}}弓{{더 작게|궁}}矢{{더 작게|시ᄒᆞ고}}我{{더 작게|아}}求{{더 작게|구}}懿{{더 작게|의}}德{{더 작게|덕ᄒᆞ야}}肆{{더 작게|ᄉᆞ}}于{{더 작게|우}}時{{더 작게|시}}夏{{더 작게|하ᄒᆞ니}}允{{더 작게|윤}}王{{더 작게|왕}}保{{더 작... 39270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ifestory24"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더 작게|ᄒᆞ고}}載{{더 작게|ᄌᆡ}}戢{{더 작게|즙}}干{{더 작게|간}}戈{{더 작게|과ᄒᆞ며}}載{{더 작게|ᄌᆡ}}櫜{{더 작게|고}}弓{{더 작게|궁}}矢{{더 작게|시ᄒᆞ고}}我{{더 작게|아}}求{{더 작게|구}}懿{{더 작게|의}}德{{더 작게|덕ᄒᆞ야}}肆{{더 작게|ᄉᆞ}}于{{더 작게|우}}時{{더 작게|시}}夏{{더 작게|하ᄒᆞ니}}允{{더 작게|윤}}王{{더 작게|왕}}保{{더 작게|보}}之{{더 작게|지샷다}}<br/> :明{{더 작게|명}}昭{{더 작게|쇼}}ᄒᆞᆫ周{{더 작게|쥬}}ㅣᄡᅥ位{{더 작게|위}}예인ᄂᆞᆫ이를序{{더 작게|셔}}ᄒᆞ고곧干{{더 작게|간}}戈{{더 작게|과}}를戢{{더 작게|즙}}ᄒᆞ며곧弓{{더 작게|궁}}矢{{더 작게|시}}를櫜{{더 작게|고}}ᄒᆞ고내懿{{더 작게|의}}ᄒᆞᆫ德{{더 작게|덕}}을求{{더 작게|구}}ᄒᆞ야이夏{{더 작게|하}}애肆{{더 작게|ᄉᆞ}}ᄒᆞ니진실로王{{더 작게|왕}}이保{{더 작게|보}}ᄒᆞ샷다<br/> ::時{{더 작게|시}}邁{{더 작게|매}}一{{더 작게|일}}章{{더 작게|쟝}}<br/> 執{{더 작게|집}}競{{더 작게|경}}武{{더 작게|무}}王{{더 작게|왕이여}}無{{더 작게|무}}競{{더 작게|경}}維{{더 작게|유}}烈{{더 작게|렬}}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dk5zexvl15eogvwi9678qusveujip7l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41 250 101655 392703 2025-06-28T03:13:00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더더작게|지}}止{{더더작게|지}}{{분주|오|}}<br> :祈{{더더작게|긔}}父{{더더작게|보}}아내王{{더더작게|왕}}의爪{{더더작게|조}}士{{더더작게|ᄉᆞ}}ᅵ어ᄂᆞᆯ엇디나ᄅᆞᆯ恤{{더더작게|휼}}에轉{{더더작게|젼}}ᄒᆞ야底{{더더작게|지}}ᄒᆞ야止{{더더작게|지}}홀빼업게ᄒᆞᄂᆞ뇨<br> ○祈{{더더작게|긔}}父{{더더작게|보}}{{분주|ᅵ|여}}亶{{더더작게... 39270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더더작게|지}}止{{더더작게|지}}{{분주|오|}}<br> :祈{{더더작게|긔}}父{{더더작게|보}}아내王{{더더작게|왕}}의爪{{더더작게|조}}士{{더더작게|ᄉᆞ}}ᅵ어ᄂᆞᆯ엇디나ᄅᆞᆯ恤{{더더작게|휼}}에轉{{더더작게|젼}}ᄒᆞ야底{{더더작게|지}}ᄒᆞ야止{{더더작게|지}}홀빼업게ᄒᆞᄂᆞ뇨<br> ○祈{{더더작게|긔}}父{{더더작게|보}}{{분주|ᅵ|여}}亶{{더더작게|단}}不{{더더작게|블}}聦{{더더작게|총}}{{분주|이로|다}}胡{{더더작게|호}}轉{{더더작게|젼}}予{{더더작게|여}}于{{더더작게|우}}恤{{더더작게|휼}}{{분주|ᄒᆞ|야}}有{{더더작게|유}}母{{더더작게|모}}之{{더더작게|지}}尸{{더더작게|시}}饔{{더더작게|옹}}{{분주|고|}}<br> :祈{{더더작게|긔}}父{{더더작게|보}}ᅵ여진실로聦{{더더작게|총}}티몯ᄒᆞ도다엇디나ᄅᆞᆯ恤{{더더작게|휼}}에轉{{더더작게|젼}}ᄒᆞ야母{{더더작게|모}}로饔{{더더작게|옹}}을尸{{더더작게|시}}게ᄒᆞᄂᆞ뇨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c35xulx5fvrp6zy9pgf9eceo8dprrf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42 250 101656 392704 2025-06-28T04:06:00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祈{{더더작게|긔}}父{{더더작게|보}}三{{더더작게|삼}}章{{더더작게|쟝}}<br> 皎{{더더작게|교}皎{{더더작게|교}}白{{더더작게|ᄇᆡᆨ}}駒{{더더작게|구}}{{분주|ᅵ|}}食{{더더작게|식}}我{{더더작게|아}}塲{{더더작게|쟝}}苗{{더더작게|묘}}{{분주|ᅵ라|ᄒᆞ야}}縶{{더더작게|칩}}之{{더더작게|지}}維{{더더작게|유}}之{{더더작게|지}}{{분주|ᄒᆞ|야}}以{{더... 39270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祈{{더더작게|긔}}父{{더더작게|보}}三{{더더작게|삼}}章{{더더작게|쟝}}<br> 皎{{더더작게|교}皎{{더더작게|교}}白{{더더작게|ᄇᆡᆨ}}駒{{더더작게|구}}{{분주|ᅵ|}}食{{더더작게|식}}我{{더더작게|아}}塲{{더더작게|쟝}}苗{{더더작게|묘}}{{분주|ᅵ라|ᄒᆞ야}}縶{{더더작게|칩}}之{{더더작게|지}}維{{더더작게|유}}之{{더더작게|지}}{{분주|ᄒᆞ|야}}以{{더더작게|이}}永{{더더작게|영}}今{{더더작게|금}}朝{{더더작게|죠}}{{분주|ᄒᆞ|야}}所{{더더작게|소}}謂{{더더작게|위}}伊{{더더작게|이}}人{{더더작게|인}}{{분주|이|}}於{{더더작게|어}}焉{{더더작게|언}}逍{{더더작게|쇼}}遙{{더더작게|요}}{{분주|제호|리라}}<br> :皎{{더더작게|교}}皎{{더더작게|교}}ᄒᆞᆫ白{{더더작게|ᄇᆡᆨ}}駒{{더더작게|구}}ᅵ우리塲{{더더작게|쟝}}읫苗{{더더작게|묘}}ᄅᆞᆯ食{{더더작게|식}}ᄒᆞ다ᄒᆞ야縶{{더더작게|칩}}ᄒᆞ며維{{더더작게|유}}ᄒᆞ야ᄡᅥ이아ᄎᆞᆷ을기리ᄒᆞ야닐온밧伊{{더더작게|이}}人{{더더작게|인}}이이에逍{{더더작게|쇼}}遙{{더더작게|요}}케호리라<br> ○皎{{더더작게|교}}皎{{더더작게|교}}白{{더더작게|ᄇᆡᆨ}}駒{{더더작게|구}}ᅵ食{{더더작게|식}}我{{더더작게|아}}塲{{더더작게|쟝}}籗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gl3u7y11nh1vh3eos2u0t1t4w59i9x 페이지:이언 권3.djvu/16 250 101657 392708 2025-06-28T04:46:15Z Sookhee-lee 18482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지어요긴한곳의난화직희게ᄒᆞ고만일뎍병이깁히드러오믈방비ᄒᆞ려ᄒᆞ거든슈뢰포ᄅᆞᆯ비밀히베플고뎍병이츙돌ᄒᆞ믈방비ᄒᆞ려ᄒᆞ거든뎔함을몬져ᄇᆡ포ᄒᆞᆯ거시니두가지가구비ᄒᆞ면더옥용ᄆᆡᆼᄒᆞᆫ슈군을어더구졔ᄒᆞ게ᄒᆞᆫ연후에셔ㅁ뢰ᄒᆞ야ᄡᅳᆯ거시니보국과법국이셔로ᄡᅡ홀ᄯᆡᄅᆞᆯ보건ᄃᆡ보국사ᄅᆞᆷ이엇지능... 39270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ookhee-lee" /></noinclude>{{옛한글 시작}}지어요긴한곳의난화직희게ᄒᆞ고만일뎍병이깁히드러오믈방비ᄒᆞ려ᄒᆞ거든슈뢰포ᄅᆞᆯ비밀히베플고뎍병이츙돌ᄒᆞ믈방비ᄒᆞ려ᄒᆞ거든뎔함을몬져ᄇᆡ포ᄒᆞᆯ거시니두가지가구비ᄒᆞ면더옥용ᄆᆡᆼᄒᆞᆫ슈군을어더구졔ᄒᆞ게ᄒᆞᆫ연후에셔ㅁ뢰ᄒᆞ야ᄡᅳᆯ거시니보국과법국이셔로ᄡᅡ홀ᄯᆡᄅᆞᆯ보건ᄃᆡ보국사ᄅᆞᆷ이엇지능히파려도셩{{작게}}법국경셩이라에돌입ᄒᆞ며법국의셔ᄂᆞᆫ엇지한만이너겨방비ᄒᆞ미업셔시랴실노슈군을잘훈련ᄒᆞ야능히니긔믈ᄎᆔᄒᆞ미라슈군련습ᄒᆞᄂᆞᆫ법은영국이뎨일이오보국이버거되니{{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8qndeb5br2num8k78v3opl8ozjrtlm8 392709 392708 2025-06-28T04:48:14Z Sookhee-lee 18482 39270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ookhee-lee" /></noinclude>{{옛한글 시작}}지어요긴한곳의난화직희게ᄒᆞ고만일뎍병이깁히드러오믈방비ᄒᆞ려ᄒᆞ거든슈뢰포ᄅᆞᆯ비밀히베플고뎍병이츙돌ᄒᆞ믈방비ᄒᆞ려ᄒᆞ거든뎔함을몬져ᄇᆡ포ᄒᆞᆯ거시니두가지가구비ᄒᆞ면더옥용ᄆᆡᆼᄒᆞᆫ슈군을어더구졔ᄒᆞ게ᄒᆞᆫ연후에셔ㅁ뢰ᄒᆞ야ᄡᅳᆯ거시니보국과법국이셔로ᄡᅡ홀ᄯᆡᄅᆞᆯ보건ᄃᆡ보국사ᄅᆞᆷ이엇지능히파려도셩{{작게|법국경셩이라}}에돌입ᄒᆞ며법국의셔ᄂᆞᆫ엇지한만이너겨방비ᄒᆞ미업셔시랴실노슈군을잘훈련ᄒᆞ야능히니긔믈ᄎᆔᄒᆞ미라슈군련습ᄒᆞᄂᆞᆫ법은영국이뎨일이오보국이버거되니{{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iswmpxvdtdq0a0kpm6hxvu2vlkz930 392710 392709 2025-06-28T04:52:03Z Sookhee-lee 18482 39271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ookhee-lee" /></noinclude>{{옛한글 시작}}지어요긴한곳의난화직희게ᄒᆞ고만일뎍병이깁히드러오믈방비ᄒᆞ려ᄒᆞ거든슈뢰포ᄅᆞᆯ비밀히베플고뎍병이츙돌ᄒᆞ믈방비ᄒᆞ려ᄒᆞ거든뎔함을몬져ᄇᆡ포ᄒᆞᆯ거시니두가지가구비ᄒᆞ면더옥용ᄆᆡᆼᄒᆞᆫ슈군을어더구졔ᄒᆞ게ᄒᆞᆫ연후에셔○뢰ᄒᆞ야ᄡᅳᆯ거시니보국과법국이셔로ᄡᅡ홀ᄯᆡᄅᆞᆯ보건ᄃᆡ보국사ᄅᆞᆷ이엇지능히파려도셩{{작게|법국경셩이라}}에돌입ᄒᆞ며법국의셔ᄂᆞᆫ엇지한만이너겨방비ᄒᆞ미업셔시랴실노슈군을잘훈련ᄒᆞ야능히니긔믈ᄎᆔᄒᆞ미라슈군련습ᄒᆞᄂᆞᆫ법은영국이뎨일이오보국이버거되니{{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ghmcflmv9u4r5lkwj2mh5mq0bszkhx6 392733 392710 2025-06-28T06:50:33Z Sookhee-lee 18482 39273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ookhee-lee" /></noinclude>{{옛한글 시작}}지어요긴한곳의난화직희게ᄒᆞ고만일뎍병이깁히드러오믈방비ᄒᆞ려ᄒᆞ거든슈뢰포ᄅᆞᆯ비밀히베플고뎍병이츙돌ᄒᆞ믈방비ᄒᆞ려ᄒᆞ거든뎔함을몬져ᄇᆡ포ᄒᆞᆯ거시니두가지가구비ᄒᆞ면더옥용ᄆᆡᆼᄒᆞᆫ슈군을어더구졔ᄒᆞ게ᄒᆞᆫ연후에셔ᄌᆞ뢰ᄒᆞ야ᄡᅳᆯ거시니보국과법국이셔로ᄡᅡ홀ᄯᆡᄅᆞᆯ보건ᄃᆡ보국사ᄅᆞᆷ이엇지능히파려도셩{{작게|법국경셩이라}}에돌입ᄒᆞ며법국의셔ᄂᆞᆫ엇지한만이너겨방비ᄒᆞ미업셔시랴실노슈군을잘훈련ᄒᆞ야능히니긔믈ᄎᆔᄒᆞ미라슈군련습ᄒᆞᄂᆞᆫ법은영국이뎨일이오보국이버거되니{{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pc2ohvzk4lgjbr19o6lqi5aksm4pd6 페이지:(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35 250 101658 392711 2025-06-28T04:55:26Z Ming9113 1846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 부친이바리라ᄒᆞ심은엇지ᄒᆞ연고니잇가젼영왈셰상사ᄅᆞᆷ들이젼ᄒᆞᄂᆞᆫ말이오월오일은흉ᄒᆞᆫ날이되나니아달을나아ᄌᆞ라셔지게와가지런ᄒᆞ면장찻부모의게ᄒᆡ롭다ᄒᆞ나니라젼문이ᄃᆡ왈사ᄅᆞᆷ이셰상에나ᄆᆡ명을하날에밧거ᄂᆞᆯ엇지々게에명을바드리잇가만일명을지게에바들터이면엇지々게를놉히지못ᄒᆞ나잇가젼영이능... 39271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Ming9113" /></noinclude>{{옛한글 시작}} 부친이바리라ᄒᆞ심은엇지ᄒᆞ연고니잇가젼영왈셰상사ᄅᆞᆷ들이젼ᄒᆞᄂᆞᆫ말이오월오일은흉ᄒᆞᆫ날이되나니아달을나아ᄌᆞ라셔지게와가지런ᄒᆞ면장찻부모의게ᄒᆡ롭다ᄒᆞ나니라젼문이ᄃᆡ왈사ᄅᆞᆷ이셰상에나ᄆᆡ명을하날에밧거ᄂᆞᆯ엇지々게에명을바드리잇가만일명을지게에바들터이면엇지々게를놉히지못ᄒᆞ나잇가젼영이능히ᄃᆡ답지못ᄒᆞ나마ᄋᆞᆷ에암々층긔ᄒᆞ얏더라젼문이ᄎᆞ々ᄌᆞ라십여셰가되ᄆᆡ능히빈ᄀᆡᆨ을응졉ᄒᆞ니빈ᄀᆡᆨ이ᄯᅩᄒᆞᆫ즐거워ᄒᆞ야모다더부러놀며길이더라졔후의ᄉᆞᄌᆞ가졔국에이르면모다젼문을ᄎᆞ져보니이러무로젼영이그아달문을착ᄒᆞ다ᄒᆞ야셰워젹ᄌᆞ를ᄉᆞᆷ으며셜공의직위를이여호왈ᄆᆡᆼ상군이라ᄒᆞ다ᄆᆡᆼ상군이임의직위를이으ᄆᆡ크게집을짓고텬하에션ᄇᆡ를불으며ᄃᆡ져션ᄇᆡ에와셔잇겟다ᄂᆞᆫ사ᄅᆞᆷ은현우를뭇지안코거두어머무르게아니ᄒᆞᄂᆞᆫ사ᄅᆞᆷ이업스니텬하에도망ᄒᆞ야죄잇ᄂᆞᆫᄌᆞ가모다도라오더라ᄆᆡᆼ상군이비록귀ᄒᆞ나그음식먹ᄂᆞᆫ거슨졔ᄀᆡᆨ으로더부러갓더라하로ᄂᆞᆫ손을ᄃᆡ졉ᄒᆞ야밥에먹을ᄉᆡ엇던사ᄅᆞᆷ이그쵹광을가리거ᄂᆞᆯᄀᆡᆨ이의심ᄒᆞ되밥이ᄎᆞ등이잇ᄂᆞᆫ가ᄒᆞ야져를더지고가기를하직ᄒᆞ거ᄂᆞᆯ젼문이좌에이러나밥을가지고비겨보니등이업거ᄂᆞᆯᄀᆡᆨ이탄왈ᄆᆡᆼ상군이손ᄃᆡ졉ᄒᆞ기를이갓치ᄒᆞ거ᄂᆞᆯᄂᆡ가과히의심ᄒᆞ얏도다나ᄂᆞᆫ진ᄀᆡ쇼인이라무ᄉᆞᆷ면목으로그문ᄒᆞ에셔리오이에칼을ᄭᅳ러스ᄉᆞ로목을질너쥭으니ᄆᆡᆼ샹군이곡ᄒᆞ야그샹ᄉᆞ에림ᄒᆞ되심히슬퍼ᄒᆞ니즁ᄀᆡᆨ이무불감동ᄒᆞ야도라오ᄂᆞᆫ사ᄅᆞᆷ이더욱만아식ᄀᆡᆨ이항샹슈쳔인이ᄎᆞ더라졔후ㅣᄆᆡᆼ샹군이어질고ᄯᅩ빈ᄀᆡᆨ이만흠으로모다졔국을존즁히알아셔로경계ᄒᆞ며감히그디경을범ᄒᆞ지못ᄒᆞ더라ᄌᆡ셜장의위국에샹국된지삼년에 {{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67wa07zxhksg87u0914esbsnflmisl9 페이지:(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36 250 101659 392712 2025-06-28T05:14:10Z Ming9113 1846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 위양왕이훙ᄒᆞ고아달ᄋᆡ왕이셔니쵸회왕이ᄉᆞ신을보ᄂᆡ야죠샹ᄒᆞ고인ᄒᆞ야쳥ᄒᆞ되군ᄉᆞ를발하야진국을치라ᄒᆞ거ᄂᆞᆯᄋᆡ왕이허락ᄒᆞ니한국션혜왕과됴나라무령왕과연왕쾌모다죵군ᄒᆞ기를질겨ᄒᆞ거ᄂᆞᆯ쵸국ᄉᆞ신이졔나라에이ᄅᆖ니졔민왕이군신을모도고계교를무른ᄃᆡ좌우가모다왈진나라는구ᄉᆡᆼ간에지친이라원슈와... 39271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Ming9113" /></noinclude>{{옛한글 시작}} 위양왕이훙ᄒᆞ고아달ᄋᆡ왕이셔니쵸회왕이ᄉᆞ신을보ᄂᆡ야죠샹ᄒᆞ고인ᄒᆞ야쳥ᄒᆞ되군ᄉᆞ를발하야진국을치라ᄒᆞ거ᄂᆞᆯᄋᆡ왕이허락ᄒᆞ니한국션혜왕과됴나라무령왕과연왕쾌모다죵군ᄒᆞ기를질겨ᄒᆞ거ᄂᆞᆯ쵸국ᄉᆞ신이졔나라에이ᄅᆖ니졔민왕이군신을모도고계교를무른ᄃᆡ좌우가모다왈진나라는구ᄉᆡᆼ간에지친이라원슈와틈이업거ᄂᆞᆯ가히치지못ᄒᆞᄂᆞ이다ᄒᆞ며쇼진은합종를놉혀가히치겟다고견집ᄒᆞ니ᄆᆡᆼ샹군이홀노왈가히치겟다ᄒᆞ며가히안치겟다말ᄒᆞᆷ이모다불가ᄒᆞᆫ지라치면진국에원슈를ᄆᆡ짐이오치지아니ᄒᆞ면오국에로ᄒᆞᆷ이져쵹ᄒᆞᆯ지라신의미거ᄒᆞᆫ계교로써말ᄒᆞᆯ진ᄃᆡ발병ᄒᆞ야그ᄒᆡᆼᄒᆞᆷ을완々ᄒᆞᆷ만갓지못ᄒᆞᆫ지라군ᄉᆞ를발ᄒᆞᆫ즉오국으로더부러다름이아니오ᄒᆡᆼᄒᆞ기를완々이ᄒᆞᆫ즉가히관망만ᄒᆞ야진퇴ᄒᆞᆯ지니이다졔민왕이그말을올히역여즉시ᄆᆡᆼ샹군으로ᄒᆞ야곰군군ᄉᆞ이만을거ᄂᆞ려가게ᄒᆞ더라ᄆᆡᆼ샹군이발졍ᄒᆞ야겨우졔나라교외에나가더니훌연병이나셔못간다ᄒᆞ고의원을마져치료즁인고로ᄒᆡᆼ군을못ᄒᆞ고즁자ᄒᆞ야잇더라각셜한됴위연ᄉᆞ국의인군이쵸회왕으로더부러함곡관외에셔로모도여장찻칠ᄉᆡ회왕이비록죵약쟝이되기ᄂᆞᆫᄒᆞ얏스나ᄉᆞ국에군ᄉᆞ를통일치ᄂᆞᆫ못ᄒᆞ고네나라인군이각々ᄌᆞ긔군ᄉᆞ만건ᄂᆞ렷더라진나라장슈져리질이관문을크게열고싸홈을도둔ᄃᆡ다셧나라인군이셔로밀고감히먼져나오ᄂᆞᆫ사ᄅᆞᆷ이업셔셔이쳐럼슈일을상지ᄒᆞ야싸호지못ᄒᆞ거ᄂᆞᆯ져리질이긔병을ᄂᆡ야쵸병의량도를ᄭᅳᆫ으니쵸나라군ᄉᆞ가먹을거시업스ᄆᆡ군ᄉᆞ들이모다짓거려원망ᄒᆞ거ᄂᆞᆯ져리질이긔회를타셔음습ᄒᆞ니쵸병이ᄑᆡᄒᆞ야다라나며ᄉᆞ국군ᄉᆞ가쵸병의ᄑᆡ쥬ᄒᆞᆷ을보고싸호지도ᄒᆞᆫ번아니ᄒᆞ고모다회군ᄒᆞ얏 {{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1455uz97ez2c7xc3bblrhzpeij9af29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43 250 101660 392713 2025-06-28T05:28:07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더더작게|곽}}{{분주|이라|ᄒᆞ야}}縶{{더더작게|칩}}之{{더더작게|지}}維{{더더작게|유}}之{{더더작게|지}}{{분주|ᄒᆞ|야}}以{{더더작게|이}}永{{더더작게|영}}今{{더더작게|금}}夕{{더더작게|셕}}{{분주|ᄒᆞ|야}}所{{더더작게|소}}謂{{더더작게|위}}伊{{더더작게|이}}人{{더더작게|인}}{{분주|이|}}於{{더더작게|어}}焉{{더더작게|언}}嘉{{더더작게|가}}客{... 39271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더더작게|곽}}{{분주|이라|ᄒᆞ야}}縶{{더더작게|칩}}之{{더더작게|지}}維{{더더작게|유}}之{{더더작게|지}}{{분주|ᄒᆞ|야}}以{{더더작게|이}}永{{더더작게|영}}今{{더더작게|금}}夕{{더더작게|셕}}{{분주|ᄒᆞ|야}}所{{더더작게|소}}謂{{더더작게|위}}伊{{더더작게|이}}人{{더더작게|인}}{{분주|이|}}於{{더더작게|어}}焉{{더더작게|언}}嘉{{더더작게|가}}客{{더더작게|ᄀᆡᆨ}}{{분주|게호|리라}}<br> :皎{{더더작게|교}}皎{{더더작게|교}}ᄒᆞᆫ白{{더더작게|ᄇᆡᆨ}}駒{{더더작게|구}}ᅵ우리塲{{더더작게|쟝}}읫籗{{더더작게|곽}}을食{{더더작게|식}}ᄒᆞ다ᄒᆞ야縶{{더더작게|칩}}ᄒᆞ며維{{더더작게|유}}ᄒᆞ야이나죄ᄅᆞᆯ기리ᄒᆞ야닐온밧伊{{더더작게|이}}人{{더더작게|인}}이이예嘉{{더더작게|가}}客{{더더작게|ᄀᆡᆨ}}게호리라<br> ○皎{{더더작게|교}}皎{{더더작게|교}}白{{더더작게|ᄇᆡᆨ}}駒{{더더작게|구}}ᅵ{{분주|이|오}}賁{{더더작게|비}}然{{더더작게|연}}來{{더더작게|ᄅᆡ}}思{{더더작게|ᄉᆞ}}{{분주|이|면}}爾{{더더작게|이}}公{{더더작게|공}}爾{{더더작게|이}}侯{{더더작게|후}}{{분주|ᄒᆞ|야}}逸{{더더작게|일}}豫{{더더작게|예}}無{{더더작게|무}}期{{더더작게|긔}}{{분주|제호|리라}}愼{{더더작게|신}}爾{{더더작게|이}}優{{더더작게|우}}游{{더더작게|유}}{{분주|ᄒᆞ|며}}勉{{더더작게|면}}爾{{더더작게|이}}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7sr9punb9l6lgqxj3w5yjf82pqtc74k 페이지:(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37 250 101661 392714 2025-06-28T05:37:04Z Ming9113 1846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 더라이ᄯᆡᄆᆡᆼ샹군이졔국교외에령군ᄒᆞ고칭병ᄒᆞ야누엇더니ᄉᆞ국군ᄉᆞ가회군ᄒᆞᆷ을듯고진나라디경을ᄒᆞᆫ번밟지못ᄒᆞ며회군ᄒᆞ니엇지ᄆᆡᆼ샹군의이ᄒᆞᆫ계교가아니리오ᄆᆡᆼ샹군이졔국에도라오니졔민왕이탄왈쇼진의계교를들엇드면ᄒᆞ마일을그르칠번ᄒᆞ얏도다이에황금ᄇᆡᆨ근으로ᄆᆡᆼ샹군을쥬어빈ᄀᆡᆨ먹이ᄂᆞ... 39271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Ming9113" /></noinclude>{{옛한글 시작}} 더라이ᄯᆡᄆᆡᆼ샹군이졔국교외에령군ᄒᆞ고칭병ᄒᆞ야누엇더니ᄉᆞ국군ᄉᆞ가회군ᄒᆞᆷ을듯고진나라디경을ᄒᆞᆫ번밟지못ᄒᆞ며회군ᄒᆞ니엇지ᄆᆡᆼ샹군의이ᄒᆞᆫ계교가아니리오ᄆᆡᆼ샹군이졔국에도라오니졔민왕이탄왈쇼진의계교를들엇드면ᄒᆞ마일을그르칠번ᄒᆞ얏도다이에황금ᄇᆡᆨ근으로ᄆᆡᆼ샹군을쥬어빈ᄀᆡᆨ먹이ᄂᆞᆫ경비를ᄉᆞᆷ게ᄒᆞ고더욱ᄋᆡ즁ᄒᆞ게아니죠진이ᄆᆡᆼ샹군을ᄯᅡ르지못ᄒᆞᄆᆡ스ᄉᆞ로붓그러ᄒᆞ더라쵸회왕이졔나라에셔진나라와교합될가두려워ᄒᆞ야이에ᄉᆞ신을보ᄂᆡ고두터이ᄆᆡᆼ샹군의ᄯᅳᆺ을ᄆᆡᆺ고졔국으로더부러ᄆᆡᆼ셰ᄒᆞ야화친ᄒᆞᄆᆡ량국ᄉᆞ신이왕ᄅᆡᄒᆞ야ᄭᅳᆫ어지々아니ᄒᆞ더라졔션왕ᄯᆡ로부터쇼진이존귀ᄒᆞ야괴이ᄆᆡ귀쳑들이투긔ᄒᆞᄂᆞᆫ사ᄅᆞᆷ이만터니민왕ᄯᆡ에이르러ᄂᆞᆫ쇼진의괴임이쇠ᄒᆞ지아니ᄒᆞ얏다가금일에민왕이쇼진의계교를쓰지아니ᄒᆞ고문득ᄆᆡᆼ샹군의계교를좃치니과연진나라를쳣드면리롭지못ᄒᆞ얏고ᄆᆡᆼ샹군이황금에만은상을밧은즉조졍ᄃᆡ관니니의심ᄒᆞ되민왕이쇼진을깃버ᄒᆞ지아님이라이에자ᄀᆡᆨ를구ᄒᆞ야비슈를가지고죠졍에셔쇼진을ᄶᅵ르니비슈가쇼진의ᄇᆡ에드러갓거ᄂᆞᆯ쇼진이손으로ᄇᆡ를훔켜ᄌᆔ고다라나민왕ᄭᅴ호소ᄒᆞ니민왕이도젹을잡으라명ᄒᆞ나도젹이임의다라나잡지못ᄒᆞ겟거ᄂᆞᆯ쇼진왈신이쥭은후에원컨ᄃᆡ대왕은신의머리를버혀져ᄌᆞ에호령ᄒᆞ야왈쇼진이연나라를위ᄒᆞ야졔국에반간을ᄒᆞᆷ으로이졔다ᄒᆡᆼ이버혓스니누구던자쇼진의감안이ᄒᆞᆫᄭᅬ를알고죽인ᄌᆞ가잇스면쳔금으로샹을쥬리라ᄒᆞ면그도젹을잡으리이다ᄒᆞ고말을맛치며비슈를ᄲᆡ히니피가흘너ᄯᅡ에가득ᄒᆞ고쥭더라민왕이그말을의지ᄒᆞ야쇼진의머리를졔나라져ᄌᆞ거리에호령ᄒᆞ얏더니죠곰잇다엇던사ᄅᆞᆷ이그쇼 {{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q2dft85o5hjkjnkqe6ymdhr0ih0hrj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44 250 101662 392722 2025-06-28T05:53:36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遁{{더더작게|둔}}思{{더더작게|ᄉᆞ}}{{분주|ᅵ어|다}}<br> :皎{{더더작게|교}}皎{{더더작게|교}}ᄒᆞᆫ白{{더더작게|ᄇᆡᆨ}}駒{{더더작게|구}}ᅵ賁{{더더작게|비}}然{{더더작게|연}}히來{{더더작게|ᄅᆡ}}ᄒᆞ면널로公{{더더작게|공}}을ᄒᆞ며널로侯{{더더작게|후}}ᄅᆞᆯᄒᆞ야逸{{더더작게|일}}豫{{더더작게|예}}홈을期{{더더작게|긔}}업게호리라네... 39272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遁{{더더작게|둔}}思{{더더작게|ᄉᆞ}}{{분주|ᅵ어|다}}<br> :皎{{더더작게|교}}皎{{더더작게|교}}ᄒᆞᆫ白{{더더작게|ᄇᆡᆨ}}駒{{더더작게|구}}ᅵ賁{{더더작게|비}}然{{더더작게|연}}히來{{더더작게|ᄅᆡ}}ᄒᆞ면널로公{{더더작게|공}}을ᄒᆞ며널로侯{{더더작게|후}}ᄅᆞᆯᄒᆞ야逸{{더더작게|일}}豫{{더더작게|예}}홈을期{{더더작게|긔}}업게호리라네優{{더더작게|우}}游{{더더작게|유}}홈을愼{{더더작게|신}}ᄒᆞ며네遁{{더더작게|둔}}思{{더더작게|ᄉᆞ}}ᄅᆞᆯ勉{{더더작게|면}}흘띠어다<br> ○皎{{더더작게|교}}皎{{더더작게|교}}白{{더더작게|ᄇᆡᆨ}}駒{{더더작게|구}}{{분주|ᅵ|}}在{{더더작게|ᄌᆡ}}彼{{더더작게|피}}空{{더더작게|공}}谷{{더더작게|곡}}{{분주|ᄒᆞ|니}}生{{더더작게|ᄉᆡᆼ}}芻{{더더작게|추}}一{{더더작게|일}}束{{더더작게|속}}{{분주|이로|소니}}基{{더더작게|기}}人{{더더작게|인}}如{{더더작게|여}}玉{{더더작게|옥}}{{분주|이로|다}}毋{{더더작게|무}}金{{더더작게|금}}玉{{더더작게|옥}}爾{{더더작게|이}}音{{더더작게|음}}{{분주|ᄒᆞ|야}}而{{더더작게|이}}有{{더더작게|유}}遐{{더더작게|하}}心{{더더작게|심}}{{분주|이어|다}}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2rmhx2pdcxg1ujqn2zsxklwxyyw1qr2 페이지:(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38 250 101663 392723 2025-06-28T05:53:38Z Ming9113 1846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 진의머리아ᄅᆡ에상쥰다ᄂᆞᆫ방을보고스ᄉᆞ로사ᄅᆞᆷ의게ᄌᆞ랑ᄒᆞ야왈쇼진이쥭인사ᄅᆞᆷ은나라ᄒᆞ거ᄂᆞᆯ져ᄌᆞ에잇ᄂᆞᆫ관리가잡아셔민왕ᄭᅴ밧친ᄃᆡ왕이법ᄉᆞ로ᄒᆞ야곰엄형국문ᄒᆞ니그쥬장ᄒᆞ고식힌사ᄅᆞᆷ을모다알겟거ᄂᆞᆯ일시에잡아버히고멸ᄒᆞ기를두어집이나ᄒᆞ얏더라ᄉᆞ관이의론ᄒᆞ되쇼진이비록몸이쥭을... 39272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Ming9113" /></noinclude>{{옛한글 시작}} 진의머리아ᄅᆡ에상쥰다ᄂᆞᆫ방을보고스ᄉᆞ로사ᄅᆞᆷ의게ᄌᆞ랑ᄒᆞ야왈쇼진이쥭인사ᄅᆞᆷ은나라ᄒᆞ거ᄂᆞᆯ져ᄌᆞ에잇ᄂᆞᆫ관리가잡아셔민왕ᄭᅴ밧친ᄃᆡ왕이법ᄉᆞ로ᄒᆞ야곰엄형국문ᄒᆞ니그쥬장ᄒᆞ고식힌사ᄅᆞᆷ을모다알겟거ᄂᆞᆯ일시에잡아버히고멸ᄒᆞ기를두어집이나ᄒᆞ얏더라ᄉᆞ관이의론ᄒᆞ되쇼진이비록몸이쥭을지라도오히려능히계교를써그원슈를스ᄉᆞ로갑흐니가히일으되지혜잇다ᄒᆞᄀᆡᆺ스나몸이ᄌᆞᄀᆡᆨ맛남을면치못ᄒᆞ니엇지반복불츙ᄒᆞᆫ악보가아니리오쇼진쥭은후에그빈ᄀᆡᆨ들이왕々히쇼진의ᄭᅬ를루셜ᄒᆞ야쇼진이연나라를위ᄒᆞ야졔국에벼ᄉᆞᆯᄒᆞᆷ을말ᄒᆞ니민왕이비로소쇼진의간ᄉᆞᄒᆞᆷ을ᄭᆡ다라일노붓터연나라로더부러틈이잇스ᄆᆡᄆᆡᆼ샹군으로ᄒᆞ야곰군ᄉᆞ를거나려연나라를치려ᄒᆞᆫᄃᆡ쇼ᄃᆡ연왕을달ᄂᆡ여그아달을볼모ᄒᆞ고졔국에화진ᄒᆞ야ᄒᆞ니연왕이좃치며쇼려로ᄒᆞ야곰그아달을다리고와셔민왕을뵈인ᄃᆡ민왕이쇼진을한ᄒᆞ야쇼려를가두고ᄌᆞᄒᆞ니쇼려ㅣ여셩왈연왕이나라로써진나라에붓치고ᄌᆞᄒᆞ거ᄂᆞᆯ신의형졔대왕의위덕을일커르고말ᄒᆞ야왈진나라셤김이졔나라셤기니만못ᄒᆞ다ᄒᆞᆫ고로이졔신으로ᄒᆞ야곰볼모를보ᄂᆡ고화평을쳥ᄒᆞ얏거ᄂᆞᆯ대왕은엇지ᄒᆞᄉᆞᄉᆞ신의마ᄋᆞᆷ을의심ᄒᆞ시고ᄉᆡᆼ사ᄅᆞᆷ의죄를더ᄒᆞ고ᄌᆞᄒᆞ시ᄂᆞ뇨민왕이깃버ᄒᆞ야쇼려를후ᄃᆡᄒᆞ니쇼려ㅣ이에졔국에볼모가되고ᄃᆡ부벼ᄉᆞᆯ을ᄒᆞ며쇼ᄃᆡᄂᆞᆫ연나라에머물너벼ᄉᆞᆯᄒᆞ얏더라 <br> ᄌᆡ셜장의보건ᄃᆡ륙국이진나라한아를치다가셩ᄉᆞ치못ᄒᆞ거ᄂᆞᆯ심즁에암희ᄒᆞ얏다가ᄯᅩᄒᆞᆫ쇼진이임의쥭엇다ᄂᆞᆫ말을듯고이에크게깃버왈금일은ᄂᆡ가혀를놀닐만ᄒᆞᆫᄯᆡ라ᄒᆞ고이에승간ᄒᆞ야위나라ᄋᆡ왕을달ᄂᆡ여왈진나라에강ᄒᆞᆷ으로써다셧나라를막음이유여ᄒᆞ니그가 {{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brnnthcq0sf7x0y58y8z37y6z8rgytt 사용자:Aspere/미디어위키:Edittools 2 101664 392726 2025-06-28T06:39:10Z Aspere 5453 새 문서: <!-- 이 문서는 편집 창과 파일 올리기 창에 출력됩니다. --> <div id="specialchars" class="my-buttons" style="margin-top:10px; border-style:solid; border-width:1px; border-color:#aaaaaa; padding:1px; text-align:center; font-size:120%;"> <p class="specialbasic" id="Standard"> <charinsert><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 392726 wikitext text/x-wiki <!-- 이 문서는 편집 창과 파일 올리기 창에 출력됩니다. --> <div id="specialchars" class="my-buttons" style="margin-top:10px; border-style:solid; border-width:1px; border-color:#aaaaaa; padding:1px; text-align:center; font-size:120%;"> <p class="specialbasic" id="Standard"> <charinsert><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 … × ÷ ¹ ² ³ ½ € † ← →</charinsert> <br /> <charinsert>〻</charinsert> <charinsert>々</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br />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br /> <charinsert><poem>+</poem> <!--+--> <ref>+</ref> <references/></charinsert> <br /> <charinsert>[[분류:+]]</charinsert> <charinsert><nowiki>#넘겨주기 [[+]]</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기본정렬:+<nowiki>}}</nowiki></charinsert> </p> </div> rl5pebclszo8lxgq6v1g3hrntefuaeq 392728 392726 2025-06-28T06:41:37Z Aspere 5453 392728 wikitext text/x-wiki <!-- 이 문서는 편집 창과 파일 올리기 창에 출력됩니다. --> <div id="specialchars" class="my-buttons" style="margin-top:10px; border-style:solid; border-width:1px; border-color:#aaaaaa; padding:1px; text-align:center; font-size:120%;"> <p class="specialbasic" id="Standard"> <charinsert><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 … × ÷ ¹ ² ³ ½ € † ← →</charinsert> <br /> <charinsert>〻</charinsert> <charinsert>々</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br />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br /> <charinsert><nowiki>{{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d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w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br /> <charinsert>[[분류:+]]</charinsert> <charinsert><nowiki>#넘겨주기 [[+]]</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기본정렬:+<nowiki>}}</nowiki></charinsert> <br /> <charinsert><poem>+</poem> <!--+--> <ref>+</ref> <references/></charinsert> </p> </div> 9jffhhi0vtc34hubyi4e0p1y2pojr2w 392729 392728 2025-06-28T06:43:42Z Aspere 5453 392729 wikitext text/x-wiki <!-- 이 문서는 편집 창과 파일 올리기 창에 출력됩니다. --> <div id="specialchars" class="my-buttons" style="margin-top:10px; border-style:solid; border-width:1px; border-color:#aaaaaa; padding:1px; text-align:center; font-size:120%;"> <p class="specialbasic" id="Standard"> <charinsert><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 …</charinsert> <br /> <charinsert>〻</charinsert> <charinsert>々</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br />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br /> <charinsert><nowiki>{{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d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w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br /> <charinsert>[[분류:+]]</charinsert> <charinsert><nowiki>#넘겨주기 [[+]]</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기본정렬:+<nowiki>}}</nowiki></charinsert> <br /> <charinsert><poem>+</poem> <!--+--> <ref>+</ref> <references/></charinsert> </p> </div> 0px9ymx8027uq4iza3lyucg9xenv4a5 392730 392729 2025-06-28T06:43:53Z Aspere 5453 392730 wikitext text/x-wiki <!-- 이 문서는 편집 창과 파일 올리기 창에 출력됩니다. --> <div id="specialchars" class="my-buttons" style="margin-top:10px; border-style:solid; border-width:1px; border-color:#aaaaaa; padding:1px; text-align:center; font-size:120%;"> <p class="specialbasic" id="Standard"> <charinsert><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 …</charinsert> <charinsert>〻</charinsert> <charinsert>々</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br />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br /> <charinsert><nowiki>{{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d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w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br /> <charinsert>[[분류:+]]</charinsert> <charinsert><nowiki>#넘겨주기 [[+]]</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기본정렬:+<nowiki>}}</nowiki></charinsert> <br /> <charinsert><poem>+</poem> <!--+--> <ref>+</ref> <references/></charinsert> </p> </div> mh7hlw10h5n542tadpc69nq8t9uzlw5 392731 392730 2025-06-28T06:45:13Z Aspere 5453 392731 wikitext text/x-wiki <!-- 이 문서는 편집 창과 파일 올리기 창에 출력됩니다. --> <div id="{{{id|editpage-specialchars}}}" class="my-buttons edittools-text nomobile"> <div style="display: table; margin-right: auto; margin-left: auto;"> <charinsert><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 …</charinsert> <charinsert>〻</charinsert> <charinsert>々</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br />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br /> <charinsert><nowiki>{{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d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w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br /> <charinsert>[[분류:+]]</charinsert> <charinsert><nowiki>#넘겨주기 [[+]]</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기본정렬:+<nowiki>}}</nowiki></charinsert> <br /> <charinsert><poem>+</poem> <!--+--> <ref>+</ref> <references/></charinsert> </div> </div> p2wfr3t2gl1jqhrf827l5fm73ni58jp 392732 392731 2025-06-28T06:45:40Z Aspere 5453 392732 wikitext text/x-wiki <div id="{{{id|editpage-specialchars}}}" class="my-buttons edittools-text nomobile"> <div style="display: table; margin-right: auto; margin-left: auto;"> <charinsert><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 …</charinsert> <charinsert>〻</charinsert> <charinsert>々</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br />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br /> <charinsert><nowiki>{{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d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w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br /> <charinsert>[[분류:+]]</charinsert> <charinsert><nowiki>#넘겨주기 [[+]]</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기본정렬:+<nowiki>}}</nowiki></charinsert> <br /> <charinsert><poem>+</poem> <!--+--> <ref>+</ref> <references/></charinsert> </div> </div> 47b7f51g8ctx9jbgp1g3th1hw5oyfg9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61 250 101665 392737 2025-06-28T07:05:1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ᄃᆡ〮 오ᄂᆞᆯ〮 우〮리 三{{*|삼}}寶{{*|보ᇢ〯}}애〮 오〮ᅀᆞᄫᅡ〮 알픳〮 罪{{*|쬥〯}}ᄅᆞᆯ〮 뉘〯으처〮 禁{{*|금〮}}戒{{*|갱〮}}ᄅᆞᆯ〮 바다〮 디니〮ᅀᆞᄫᅩ〮리니〮 오ᄂᆞᆯ〮브터〮 샤ᇰ녜〮 無{{*|뭉}}畏{{*|ᅙᅱᆼ〮}}로〮 一{{*|ᅙᅵᇙ〮}}切{{*|촁〮}} 龍{{*|료ᇰ}}ᄋᆡ〮게 施{{*|싱}}ᄒᆞ〮야〮 正{{*|져ᇰ〮}}法{{*|법〮}}을〮 擁{{*|ᅙ... 39273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ᄃᆡ〮 오ᄂᆞᆯ〮 우〮리 三{{*|삼}}寶{{*|보ᇢ〯}}애〮 오〮ᅀᆞᄫᅡ〮 알픳〮 罪{{*|쬥〯}}ᄅᆞᆯ〮 뉘〯으처〮 禁{{*|금〮}}戒{{*|갱〮}}ᄅᆞᆯ〮 바다〮 디니〮ᅀᆞᄫᅩ〮리니〮 오ᄂᆞᆯ〮브터〮 샤ᇰ녜〮 無{{*|뭉}}畏{{*|ᅙᅱᆼ〮}}로〮 一{{*|ᅙᅵᇙ〮}}切{{*|촁〮}} 龍{{*|료ᇰ}}ᄋᆡ〮게 施{{*|싱}}ᄒᆞ〮야〮 正{{*|져ᇰ〮}}法{{*|법〮}}을〮 擁{{*|ᅙᅩᇰ〯}}護{{*|ᅘᅩᆼ〮}}ᄒᆞ〮야〮 滅{{*|며ᇙ〮}}盡{{*|찐〯}}에〮 다ᄃᆞᆮᄃᆞ〮록〮 부텻 ᄀᆞᄅᆞ치〮샤ᄆᆞᆯ〮 어긔〮디〮 아니〮호〮리〮ᅌᅵ다〮 부톄〯 네〯 金{{*|금}}翅{{*|싱〮}}鳥{{*|됴ᇢ〯}}王{{*|ᅌᅪᇰ}}ᄃᆞ려〮 니ᄅᆞ샤〮ᄃᆡ〮 너희〯 아〯래〮 金{{*|금}}仁{{*|ᅀᅵᆫ}}佛{{*|뿌ᇙ〮}}ㅅ 時{{*|씽}}節{{*|졇〮}}에〮 네〯 比{{*|삥〮}}丘{{*|쿠ᇢ}}ㅣ ᄃᆞ외얫〮더니〮 일후〮미〮 欣{{*|흔}}樂{{*|락〮}}과〮 大{{*|땡〮}}欣{{*|흔}}樂{{*|락〮}}과〮 上{{*|쌰ᇰ〮}}勝{{*|시ᇰ〮}}과〮 上{{*|쌰ᇰ〮}}友{{*|ᅌᅮᇢ〯}}왜〮러니〮 이〮 네〯 比{{*|삥〮}}丘{{*|쿠ᇢ}}ㅣ 戒{{*|갱〮}}法{{*|법〮}}에〮 어긔〮여 供{{*|고ᇰ}}養{{*|야ᇰ〮}}ᄋᆞᆯ〮 貪{{*|탐}}ᄒᆞ〮야〮 身{{*|신}}口{{*|쿠ᇢ〯}}意{{*|ᅙᅴᆼ〮}}ᄅᆞᆯ〮 護{{*|ᅘᅩᆼ〮}}持{{*|띵}}티〮 아니〮ᄒᆞ〮야〮 모〯딘 일〯 지ᅀᅩ〮미〮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jmgujnihzsilft3drvnft68jfh8q6nr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62 250 101666 392738 2025-06-28T07:05:3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만〯호〮ᄃᆡ〮 金{{*|금}}仁{{*|ᅀᅵᆫ}}佛{{*|뿌ᇙ〮}} 供{{*|고ᇰ}}養{{*|야ᇰ〮}}홈〮도〮 ᄯᅩ〮 몯〯 니ᄅᆞ 혜〯리〮러니〮 이〮 젼ᄎᆞ〮로〮 地{{*|띵〮}}獄{{*|ᅌᅩᆨ〮}}애〮 ᄠᅥ러〮디디〮 아니〮ᄒᆞ〮야〮 이〮 禽{{*|끔}}獸{{*|슈ᇢ〮}}에〮 ᄠᅥ러〮디〮여 前{{*|쪈}}後{{*|ᅘᅮᇢ〯}}에〮 殺{{*|사ᇙ〮}}生{{*|ᄉᆡᇰ}}호〮미〮 몯〯 니ᄅᆞ 혜... 39273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만〯호〮ᄃᆡ〮 金{{*|금}}仁{{*|ᅀᅵᆫ}}佛{{*|뿌ᇙ〮}} 供{{*|고ᇰ}}養{{*|야ᇰ〮}}홈〮도〮 ᄯᅩ〮 몯〯 니ᄅᆞ 혜〯리〮러니〮 이〮 젼ᄎᆞ〮로〮 地{{*|띵〮}}獄{{*|ᅌᅩᆨ〮}}애〮 ᄠᅥ러〮디디〮 아니〮ᄒᆞ〮야〮 이〮 禽{{*|끔}}獸{{*|슈ᇢ〮}}에〮 ᄠᅥ러〮디〮여 前{{*|쪈}}後{{*|ᅘᅮᇢ〯}}에〮 殺{{*|사ᇙ〮}}生{{*|ᄉᆡᇰ}}호〮미〮 몯〯 니ᄅᆞ 혜〯리라〮 부톄〯 神{{*|씬}}足{{*|죡〮}}ᄋᆞᆯ〮 나토〮샤〮 宿{{*|슉〮}}命{{*|며ᇰ〮}}을〮 아라〮 지ᅀᅩᆫ〮 罪{{*|쬥〯}}福{{*|복〮}}ᄋᆞᆯ〮 다〯 念{{*|념〮}}케〮 ᄒᆞ〮야〮시ᄂᆞᆯ〮 우〮리ᄃᆞᆯ〮히 모〮미〮 주그ᇙ〮만〯뎌ᇰ〮 모〯딘 일〯 犯{{*|뻠〯}}티〮 아니〮호〮리〮ᅌᅵ다〮 ᄒᆞ〮야ᄂᆞᆯ〮 부톄〯 爲{{*|윙〮}}ᄒᆞ〮야〮 經{{*|겨ᇰ}} 니ᄅᆞ샤〮 決{{*|ᄀᆑᇙ〮}}斷{{*|돤〯}}ᄒᆞᆫ 마〯ᄅᆞᆯ〮 심기〮샤ᄃᆡ〮 彌{{*|밍}}勒{{*|륵〮}}佛{{*|뿌ᇙ〮}} 時{{*|씽}}예〮 第{{*|똉〮}}一{{*|ᅙᅵᇙ〮}}會{{*|ᅘᅬᆼ〮}}예〮 다〯 度{{*|똥〮}}脫{{*|톼ᇙ〮}}ᄋᆞᆯ〮 得{{*|득〮}}ᄒᆞ리〮라〮 ○ 부톄〯 니ᄅᆞ샤〮ᄃᆡ〮 내〮 녜〯 一{{*|ᅙᅵᇙ〮}}切{{*|촁〮}} 衆{{*|쥬ᇰ〮}}生{{*|ᄉᆡᇰ}} 爲{{*|윙〮}}ᄒᆞ〮야〮 여러〮 가짓〮 苦{{*|콩〯}}行{{*|ᅘᆡᇰ〮}}ᄋᆞᆯ〮 닷가〮 大{{*|땡〮}}悲{{*|빙}}心{{*|심}}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kyq0a23qprqwkdt4lyt4ju5i8nzwk5w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63 250 101667 392739 2025-06-28T07:05:5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을〮 니ᄅᆞ와다〮 모〮미며〮 머리〮며〮 누〮니며〮 귀〮며〮 고〮히며〮 혀〮ᄃᆞᆯ〮ᄒᆞᆯ〮 ᄇᆞ료〮미〮 各{{*|각〮}}各{{*|각〮}} 毗{{*|삥}}福{{*|복〮}}羅{{*|랑}}山{{*|산}}이〮 ᄀᆞᆮ〮ᄒᆞ며〮 ::毗{{*|삥}}福{{*|복〮}}羅{{*|랑}}山{{*|산}}ᄋᆞᆫ〮 天{{*|텬}}竺{{*|듁〮}}에〮셔〮 사〯ᄅᆞ미〮 샤ᇰ녜〮 보〮아 수〯ᄫᅵ〮 信{{*|신〮}}ᄒᆞᆯ... 39273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을〮 니ᄅᆞ와다〮 모〮미며〮 머리〮며〮 누〮니며〮 귀〮며〮 고〮히며〮 혀〮ᄃᆞᆯ〮ᄒᆞᆯ〮 ᄇᆞ료〮미〮 各{{*|각〮}}各{{*|각〮}} 毗{{*|삥}}福{{*|복〮}}羅{{*|랑}}山{{*|산}}이〮 ᄀᆞᆮ〮ᄒᆞ며〮 ::毗{{*|삥}}福{{*|복〮}}羅{{*|랑}}山{{*|산}}ᄋᆞᆫ〮 天{{*|텬}}竺{{*|듁〮}}에〮셔〮 사〯ᄅᆞ미〮 샤ᇰ녜〮 보〮아 수〯ᄫᅵ〮 信{{*|신〮}}ᄒᆞᆯᄊᆡ〮 니ᄅᆞ시〮니라〮 :ᄯᅩ〮 象{{*|쌰ᇰ〯}}馬{{*|망〯}}國{{*|귁〮}}城{{*|쎠ᇰ}} 妻{{*|촁}}子{{*|ᄌᆞᆼ〯}}ᄅᆞᆯ〮 ᄇᆞ려〮 三{{*|삼}}千{{*|쳔}} 阿{{*|ᅙᅡᆼ}}僧{{*|스ᇰ}}祇{{*|낑}}劫{{*|겁〮}}을〮 디〯내〯야〮 一{{*|ᅙᅵᇙ〮}}切{{*|촁〮}} 苦{{*|콩〯}}惱{{*|노ᇢ〯}} 衆{{*|쥬ᇰ〮}}生{{*|ᄉᆡᇰ}}과〮 正{{*|져ᇰ〮}}法{{*|법〮}} 비〯우ᅀᅳ〮며〮 賢{{*|ᅘᅧᆫ}}聖{{*|셔ᇰ〮}} 헐〯며〮 慚{{*|짬}}愧{{*|귕〮}} 업〯슨 善{{*|쎤〯}}티〮 몯〯ᄒᆞᆫ 衆{{*|쥬ᇰ〮}}生{{*|ᄉᆡᇰ}}과〮 一{{*|ᅙᅵᇙ〮}}切{{*|촁〮}} 淨{{*|쪄ᇰ〮}}佛{{*|뿌ᇙ〮}}國{{*|귁〮}}土{{*|통〯}}애〮셔〮 ᄇᆞ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3o0ujrcqivqze8hmla038huhhgofmp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64 250 101668 392740 2025-06-28T07:06:1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룐〮 衆{{*|쥬ᇰ〮}}生{{*|ᄉᆡᇰ}}ᄋᆞᆯ〮 어〯엿비〮 너겨〮 이〮러틋〮ᄒᆞᆫ 衆{{*|쥬ᇰ〮}}生{{*|ᄉᆡᇰ}}ᄃᆞᆯ〮ᄒᆞᆯ〮 爲{{*|윙〮}}혼〮 젼ᄎᆞ〮로〮 發{{*|버ᇙ〮}}願{{*|ᅌᅯᆫ〮}}ᄒᆞ〮야〮 五{{*|ᅌᅩᆼ〯}}濁{{*|똭〮}}惡{{*|ᅙᅡᆨ〮}}世{{*|솅〮}}예〮 이셔〮 無{{*|뭉}}上{{*|쌰ᇰ〮}}道{{*|또ᇢ〯}}ᄅᆞᆯ〮 일워〮 三{{*|삼}}塗{{*|똥}} 苦{{*|... 39274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룐〮 衆{{*|쥬ᇰ〮}}生{{*|ᄉᆡᇰ}}ᄋᆞᆯ〮 어〯엿비〮 너겨〮 이〮러틋〮ᄒᆞᆫ 衆{{*|쥬ᇰ〮}}生{{*|ᄉᆡᇰ}}ᄃᆞᆯ〮ᄒᆞᆯ〮 爲{{*|윙〮}}혼〮 젼ᄎᆞ〮로〮 發{{*|버ᇙ〮}}願{{*|ᅌᅯᆫ〮}}ᄒᆞ〮야〮 五{{*|ᅌᅩᆼ〯}}濁{{*|똭〮}}惡{{*|ᅙᅡᆨ〮}}世{{*|솅〮}}예〮 이셔〮 無{{*|뭉}}上{{*|쌰ᇰ〮}}道{{*|또ᇢ〯}}ᄅᆞᆯ〮 일워〮 三{{*|삼}}塗{{*|똥}} 苦{{*|콩〯}}惱{{*|노ᇢ〯}} 衆{{*|쥬ᇰ〮}}生{{*|ᄉᆡᇰ}}ᄋᆞᆯ〮 救{{*|구ᇢ〮}}ᄒᆞ〮야〮 善{{*|쎤〯}}道{{*|또ᇢ〯}}와〮 涅{{*|녀ᇙ〮}}槃{{*|빤}}樂{{*|락〮}}애〮 便{{*|뼌}}安{{*|ᅙᅡᆫ}}히〮 두〯노니〮 衆{{*|쥬ᇰ〮}}生{{*|ᄉᆡᇰ}}이〮 내 法{{*|법〮}}中{{*|듀ᇰ}}에〮 날〯 爲{{*|윙〮}}ᄒᆞ〮야〮 出{{*|츄ᇙ〮}}家{{*|강}}ᄒᆞ〮야〮 鬚{{*|슝}}髮{{*|버ᇙ〮}} 갓고〮 袈{{*|강}}裟{{*|상}} 니버〮 비록〮 戒{{*|갱〮}}ᄅᆞᆯ〮 受{{*|쓔ᇢ〯}}티〮 아니〮커나〮 受{{*|쓔ᇢ〯}}ᄒᆞ〮얫〮다가〮 허러〮 犯{{*|뻠〯}}ᄒᆞ〮야도〮 이〮 사〯ᄅᆞᄆᆞᆯ〮 護{{*|ᅘᅩᆼ〮}}持{{*|띵}} 供{{*|고ᇰ}}養{{*|야ᇰ〮}}ᄒᆞ면〮 큰〮 果{{*|광〯}}報{{*|보ᇢ〮}}ᄅᆞᆯ〮 得{{*|득〮}}ᄒᆞ리〮니〮 ᄒᆞ〮ᄆᆞᆯ며〮 ᄀᆞ초〮 持{{*|띵}}戒{{*|갱〮}}ᄒᆞ〮ᄂᆞ니〮ᄅᆞᆯ〮 供{{*|고ᇰ}}養{{*|야ᇰ〮}}호〮미〮ᄯᆞ녀〮 ᄒᆞ〮다가〮 未{{*|밍〮}}來{{*|ᄅᆡᆼ}}世{{*|솅〮}}예〮 國{{*|귁〮}}王{{*|ᅌᅪᇰ}} 大{{*|땡〮}}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5cxlbetc115f8h6uv1p235qfmah6owj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65 250 101669 392741 2025-06-28T07:06:31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臣{{*|씬}}과〮 公{{*|고ᇰ}}事{{*|ᄊᆞᆼ〮}}ᄒᆞᇙ 사〯ᄅᆞ미〮 내 弟{{*|똉〯}}子{{*|ᄌᆞᆼ〯}}와〮 袈{{*|강}}裟{{*|상}} 니븐〮 사〯ᄅᆞᄆᆡ〮게 구지〮저 辱{{*|ᅀᅭᆨ〮}}ᄒᆞ며〮 티〮며〮 얽ᄆᆡ며〮 브〮리며〮 財{{*|ᄍᆡᆼ}}物{{*|무ᇙ〮}} 資{{*|ᄌᆞᆼ}}生{{*|ᄉᆡᇰ}}ᄒᆞᇙ 거슬〮 아ᅀᆞ〮면〮 이〮 사〯ᄅᆞᄆᆞᆫ〮 三{{*|삼}}世{{*|솅〮}} 諸... 39274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臣{{*|씬}}과〮 公{{*|고ᇰ}}事{{*|ᄊᆞᆼ〮}}ᄒᆞᇙ 사〯ᄅᆞ미〮 내 弟{{*|똉〯}}子{{*|ᄌᆞᆼ〯}}와〮 袈{{*|강}}裟{{*|상}} 니븐〮 사〯ᄅᆞᄆᆡ〮게 구지〮저 辱{{*|ᅀᅭᆨ〮}}ᄒᆞ며〮 티〮며〮 얽ᄆᆡ며〮 브〮리며〮 財{{*|ᄍᆡᆼ}}物{{*|무ᇙ〮}} 資{{*|ᄌᆞᆼ}}生{{*|ᄉᆡᇰ}}ᄒᆞᇙ 거슬〮 아ᅀᆞ〮면〮 이〮 사〯ᄅᆞᄆᆞᆫ〮 三{{*|삼}}世{{*|솅〮}} 諸{{*|졍}}佛{{*|뿌ᇙ〮}}ㅅ 眞{{*|진}}實{{*|씨ᇙ〮}} 報{{*|보ᇢ〮}}身{{*|신}}을〮 허〯논디〮며〮 一{{*|ᅙᅵᇙ〮}}切{{*|촁〮}} 天{{*|텬}} 人{{*|ᅀᅵᆫ}} 眼{{*|ᅌᅡᆫ〯}}目{{*|목〮}}ᄋᆞᆯ〮 ᄇᆞᆯ아〮 내〯논〮 디〮며〮 一{{*|ᅙᅵᇙ〮}}切{{*|촁〮}} 諸{{*|졍}}佛{{*|뿌ᇙ〮}}ㅅ 正{{*|져ᇰ〮}}法{{*|법〮}}을〮 숨겨〮 天{{*|텬}}人{{*|ᅀᅵᆫ}}ᄃᆞᆯ〮히〮 地{{*|띵〮}}獄{{*|ᅌᅩᆨ〮}}애〮 ᄠᅥ러〮디게〮 ᄒᆞ〮논〮 디〮라〮 그ᄢᅴ〮 憍{{*|교ᇢ}}陳{{*|띤}}如{{*|ᅀᅧᆼ}}와〮 梵{{*|뻠〮}}天{{*|텬}}王{{*|ᅌᅪᇰ}}이〮 부텻긔〮 ᄉᆞᆯᄫᅩ〮ᄃᆡ〮 ᄒᆞ〮다가〮 부텨 爲{{*|윙〮}}ᄒᆞ〮ᅀᆞᄫᅡ〮 鬚{{*|슝}}髮{{*|버ᇙ〮}} 갓고〮 袈{{*|강}}裟{{*|상}} 니버〮 禁{{*|금〮}}戒{{*|갱〮}}ᄅᆞᆯ〮 受{{*|쓔ᇢ〯}}티〮 아니〮커나〮 受{{*|쓔ᇢ〯}}ᄒᆞ〮얫〮다가〮 허러〮 犯{{*|뻠〯}}ᄒᆞ〮야도〮 王{{*|ᅌᅪᇰ}}이〮어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q48wrlc7z97igv6v72z3fc9fna57exj 사용자:ZornsLemon/미디어위키:Edittools 2 101670 392742 2025-06-28T07:08:33Z ZornsLemon 15531 새 문서: <div id="{{{id|editpage-specialchars}}}" class="my-buttons edittools-text nomobile"> <div style="display: table; margin-right: auto; margin-left: auto;"> <charinsert><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 …</charinsert> <charinsert>〻</charinsert> <charinsert>々</charinsert> <cha... 392742 wikitext text/x-wiki <div id="{{{id|editpage-specialchars}}}" class="my-buttons edittools-text nomobile"> <div style="display: table; margin-right: auto; margin-left: auto;"> <charinsert><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 …</charinsert> <charinsert>〻</charinsert> <charinsert>々</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br />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br /> <charinsert><nowiki>{{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d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wu|</nowiki>+<nowiki>}}</nowiki></charinsert> <br /> <charinsert>[[분류:+]]</charinsert> <charinsert><nowiki>#넘겨주기 [[+]]</nowiki></charinsert> <charinsert><nowiki>{{</nowiki>기본정렬:+<nowiki>}}</nowiki></charinsert> <br /> <charinsert><poem>+</poem> <!--+--> <ref>+</ref> <references/></charinsert> </div> </div> 47b7f51g8ctx9jbgp1g3th1hw5oyfg9 392743 392742 2025-06-28T07:10:53Z ZornsLemon 15531 문서를 비움 392743 wikitext text/x-wiki phoiac9h4m842xq45sp7s6u21eteeq1 페이지:이언 권3.djvu/17 250 101671 392744 2025-06-28T07:22:13Z Sookhee-lee 18482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이졔귱국이ᄆᆞᆺ당히군법의졍슉ᄒᆞᆫ양인을쳥ᄒᆞ고용ᄆᆡᆼ잇ᄂᆞᆫ군ᄉᆞᄅᆞᆯ갈ᄒᆡ여가ᄅᆞ치고련습ᄒᆞ야무시로죠련ᄒᆞᄃᆡᄋᆞᄋᆡ노름노리로아지말고긔어히대적을당ᄒᆞᆫᄃᆞ시ᄒᆞ면ᄌᆞ연이ᄒᆞᆼ습이될거시니일죠에군ᄀᆞᄅᆞᆯᄡᅳ면그공효ᄅᆞᆯᄌᆞ연어드리라샹고ᄒᆞ건ᄃᆡ직례성과산동과민즁이며졀강과량강과량... 39274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Sookhee-lee" /></noinclude>{{옛한글 시작}}이졔귱국이ᄆᆞᆺ당히군법의졍슉ᄒᆞᆫ양인을쳥ᄒᆞ고용ᄆᆡᆼ잇ᄂᆞᆫ군ᄉᆞᄅᆞᆯ갈ᄒᆡ여가ᄅᆞ치고련습ᄒᆞ야무시로죠련ᄒᆞᄃᆡᄋᆞᄋᆡ노름노리로아지말고긔어히대적을당ᄒᆞᆫᄃᆞ시ᄒᆞ면ᄌᆞ연이ᄒᆞᆼ습이될거시니일죠에군ᄀᆞᄅᆞᆯᄡᅳ면그공효ᄅᆞᆯᄌᆞ연어드리라샹고ᄒᆞ건ᄃᆡ직례성과산동과민즁이며졀강과량강과량회며량광과운남귀쥬와ᄉᆞ쳔등쳐에변방이가쟝급ᄒᆞ니관ᄋᆡ{{작게|길목셰요긴ᄒᆞᆫ곳이라}}ᄒᆞᆫ곳을일흐면일성이소동ᄒᆞᆯ거시오일성이소동ᄒᆞᆫᄌᆞᆨ여러성이황황ᄒᆞᆯ지라ᄯᅩ통샹ᄒᆞᄂᆞᆫ포귀만흔ᄌᆞᆨ셔로간셥ᄒᆞᄂᆞᆫ일이더옥{{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6geb8fjx77uzbyauouhmpju9mx5n1j5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48 250 101672 392745 2025-06-28T07:38:33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佩{{작게|패}}ᄒᆞ얏도다비록휴觿{{작게|휴}}ᄅᆞᆯ佩{{작게|패}}ᄒᆞ나能{{작게|능}}히내게知{{작게|지}}티몯ᄒᆞ도다容{{작게|용}}ᄒᆞ며遂{{작게|슈}}ᄒᆞ니垂{{작게|슈}}ᄒᆞᆫ帶{{작게|ᄃᆡ}}ㅣ悸{{작게|계}}ᄒᆞ도다<br /> ○芄{{작게|환}}蘭{{작게|란}}之{{작게|지}}葉{{작게|엽}}{{분주|이|여}}童{{작게|동}}子{{작게|ᄌᆞ}}佩{{작게|패}}韘{{작게|셥}}{{분주... 39274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佩{{작게|패}}ᄒᆞ얏도다비록휴觿{{작게|휴}}ᄅᆞᆯ佩{{작게|패}}ᄒᆞ나能{{작게|능}}히내게知{{작게|지}}티몯ᄒᆞ도다容{{작게|용}}ᄒᆞ며遂{{작게|슈}}ᄒᆞ니垂{{작게|슈}}ᄒᆞᆫ帶{{작게|ᄃᆡ}}ㅣ悸{{작게|계}}ᄒᆞ도다<br /> ○芄{{작게|환}}蘭{{작게|란}}之{{작게|지}}葉{{작게|엽}}{{분주|이|여}}童{{작게|동}}子{{작게|ᄌᆞ}}佩{{작게|패}}韘{{작게|셥}}{{분주|이로|다}}雖{{작게|슈}}則{{작게|즉}}佩{{작게|패}}韘{{작게|셥}}{{분주|이|나}}能{{작게|능}}不{{작게|블}}我{{작게|아}}甲{{작게|갑}}{{분주|이로|다}}容{{작게|용}}兮{{작게|혜}}{{분주|ᄒᆞ|니}}垂{{작게|슈}}帶{{작게|ᄃᆡ}}悸{{작게|계}}兮{{작게|혜}}{{분주|로|다}}<br /> :芄{{작게|환}}蘭{{작게|란}}의葉{{작게|엽}}이여童{{작게|동}}子{{작게|자}}ㅣ韘{{작게|셥}}을佩{{작게|패}}ᄒᆞ얏도다비록韘{{작게|셥}}을佩{{작게|패}}ᄒᆞ나能{{작게|능}}내게甲{{작게|갑}}디몯ᄒᆞ도다容{{작게|용}}ᄒᆞ며{{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7o7vl0e2pgnnr7wxde5f3g1krbqy7ds 392746 392745 2025-06-28T07:40:37Z 이유리아 18521 39274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佩{{작게|패}}ᄒᆞ얏도다비록휴觿{{작게|휴}}ᄅᆞᆯ佩{{작게|패}}ᄒᆞ나能{{작게|능}}히내게知{{작게|지}}티몯ᄒᆞ도다容{{작게|용}}ᄒᆞ며遂{{작게|슈}}ᄒᆞ니垂{{작게|슈}}ᄒᆞᆫ帶{{작게|ᄃᆡ}}ㅣ悸{{작게|계}}ᄒᆞ도다<br /> ○芄{{작게|환}}蘭{{작게|란}}之{{작게|지}}葉{{작게|엽}}{{분주|이|여}}童{{작게|동}}子{{작게|ᄌᆞ}}佩{{작게|패}}韘{{작게|셥}}{{분주|이로|다}}雖{{작게|슈}}則{{작게|즉}}佩{{작게|패}}韘{{작게|셥}}{{분주|이|나}}能{{작게|능}}不{{작게|블}}我{{작게|아}}甲{{작게|갑}}{{분주|이로|다}}容{{작게|용}}兮{{작게|혜}}{{분주|ᄒᆞ|니}}垂{{작게|슈}}帶{{작게|ᄃᆡ}}悸{{작게|계}}兮{{작게|혜}}{{분주|로|다}}<br /> :芄{{작게|환}}蘭{{작게|란}}의葉{{작게|엽}}이여童{{작게|동}}子{{작게|자}}ㅣ韘{{작게|셥}}을佩{{작게|패}}ᄒᆞ얏도다비록韘{{작게|셥}}을佩{{작게|패}}ᄒᆞ나能{{작게|능}}내게甲{{작게|갑}}디몯ᄒᆞ도다容{{작게|용}}ᄒᆞ며{{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s5ws89utds7a2ixwqzxkxdv0qctxrn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45 250 101673 392747 2025-06-28T07:49:54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皎{{더더작게|교}}皎{{더더작게|교}}ᄒᆞᆫ白{{더더작게|ᄇᆡᆨ}}駒{{더더작게|구}}ᅵ뎌空{{더더작게|공}}谷{{더더작게|곡}}의이시니生{{더더작게|ᄉᆡᆼ}}芻{{더더작게|추}}一{{더더작게|일}}束{{더더작게|속}}이로소니그사ᄅᆞᆷ이玉{{더더작게|옥}}곤도다비音{{더더작게|음}}을金{{더더작게|금}}玉{{더더작게|옥}}곤티ᄒᆞ야遐{{더더작게|하}}心{{더... 39274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皎{{더더작게|교}}皎{{더더작게|교}}ᄒᆞᆫ白{{더더작게|ᄇᆡᆨ}}駒{{더더작게|구}}ᅵ뎌空{{더더작게|공}}谷{{더더작게|곡}}의이시니生{{더더작게|ᄉᆡᆼ}}芻{{더더작게|추}}一{{더더작게|일}}束{{더더작게|속}}이로소니그사ᄅᆞᆷ이玉{{더더작게|옥}}곤도다비音{{더더작게|음}}을金{{더더작게|금}}玉{{더더작게|옥}}곤티ᄒᆞ야遐{{더더작게|하}}心{{더더작게|심}}을두디마ᄅᆞᆯ띠어다<br> ::白{{더더작게|ᄇᆡᆨ}}駒{{더더작게|구}}四{{더더작게|ᄉᆞ}}章{{더더작게|쟝}}<br> 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분주|아|}}無{{더더작게|무}}集{{더더작게|잡}}于{{더더작게|우}}穀{{더더작게|곡}}{{분주|ᄒᆞ|야}}無{{더더작게|무}}啄{{더더작게|탁}}我{{더더작게|아}}粟{{더더작게|속}}{{분주|이어|다}}此{{더더작게|ᄎᆞ}}邦{{더더작게|방}}之{{더더작게|지}}人{{더더작게|인}}{{분주|이|}}不{{더더작게|블}}我{{더더작게|아}}肯{{더더작게|긍}}穀{{더더작게|곡}}{{분주|인|댄}}言{{더더작게|언}}旋{{더더작게|션}}言{{더더작게|언}}歸{{더더작게|귀}}{{분주|ᄒᆞ|야}}復{{더더작게|복}}我{{더더작게|아}}邦{{더더작게|방}}族{{더더작게|족}}{{분주|호리|라}}<br> :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아穀{{더더작게|곡}}의集{{더더작게|집}}디마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qtu65a2hh4dy05ybchlcidmd0gqpwdo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49 250 101674 392750 2025-06-28T08:16:49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遂{{작게|슈}}ᄒᆞ니 垂{{작게|슈}}ᄒᆞᆫ帶{{작게|ᄃᆡ}}ㅣ悸{{작게|계}}ᄒᆞ도다<br /> ::芄{{작게|환}}蘭{{작게|란}}二{{작게|이}}章{{작게|쟝}}<br /> 誰{{작게|슈}}謂{{작게|위}}河{{작게|하}}廣{{작게|광}}{{분주|고| }}一{{작게|일}}葦{{작게|위}}杭{{작게|항}}之{{작게|지}}{{분주|로|다}}誰{{작게|슈}}謂{{작게|위}}宋{{작게|송}}遠{{작게|원}}{{분주|고}}跂{{작게|기}}... 39275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遂{{작게|슈}}ᄒᆞ니 垂{{작게|슈}}ᄒᆞᆫ帶{{작게|ᄃᆡ}}ㅣ悸{{작게|계}}ᄒᆞ도다<br /> ::芄{{작게|환}}蘭{{작게|란}}二{{작게|이}}章{{작게|쟝}}<br /> 誰{{작게|슈}}謂{{작게|위}}河{{작게|하}}廣{{작게|광}}{{분주|고| }}一{{작게|일}}葦{{작게|위}}杭{{작게|항}}之{{작게|지}}{{분주|로|다}}誰{{작게|슈}}謂{{작게|위}}宋{{작게|송}}遠{{작게|원}}{{분주|고}}跂{{작게|기}}予{{작게|여}}望{{작게|망}}之{{작게|지}}{{분주|로|다}}<br /> :뉘닐오ᄃᆡ河{{작게|하}}ㅣ넙다ᄒᆞᄂᆞᆫ고ᄒᆞᆫ葦{{작게|위}}로杭{{작게|항}}ᄒᆞ리로다뉘닐오ᄃᆡ宋{{작게|송}}이머다ᄒᆞᄂᆞᆫ고跂{{작게|기}}ᄒᆞ야내望{{작게|망}}ᄒᆞ리로다<br /> ○誰{{작게|슈}}謂{{작게|위}}河{{작게|하}}廣{{작게|광}}{{분주|고}}曾{{작게|증}}不{{작게|블}}容{{작게|용}}刀{{작게|도}}{{분주|ㅣ로|다}}誰{{작게|슈}}謂{{작게|위}}宋{{작게|송}}遠{{작게|원}}{{분주|고}}曾{{작게|증}}不{{작게|블}}崇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veom8tikwxk728qrdwi5nci8pqu1ib 392752 392750 2025-06-28T08:18:47Z 이유리아 18521 39275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遂{{작게|슈}}ᄒᆞ니 垂{{작게|슈}}ᄒᆞᆫ帶{{작게|ᄃᆡ}}ㅣ悸{{작게|계}}ᄒᆞ도다<br /> ::芄{{작게|환}}蘭{{작게|란}}二{{작게|이}}章{{작게|쟝}}<br /> 誰{{작게|슈}}謂{{작게|위}}河{{작게|하}}廣{{작게|광}}{{분주|고| }}一{{작게|일}}葦{{작게|위}}杭{{작게|항}}之{{작게|지}}{{분주|로|다}}誰{{작게|슈}}謂{{작게|위}}宋{{작게|송}}遠{{작게|원}}{{분주|고}}跂{{작게|기}}予{{작게|여}}望{{작게|망}}之{{작게|지}}{{분주|로|다}}<br /> :뉘닐오ᄃᆡ河{{작게|하}}ㅣ넙다ᄒᆞᄂᆞᆫ고ᄒᆞᆫ葦{{작게|위}}로杭{{작게|항}}ᄒᆞ리로다뉘닐오ᄃᆡ宋{{작게|송}}이머다ᄒᆞᄂᆞᆫ고跂{{작게|기}}ᄒᆞ야내望{{작게|망}}ᄒᆞ리로다<br /> ○誰{{작게|슈}}謂{{작게|위}}河{{작게|하}}廣{{작게|광}}{{분주|고}}曾{{작게|증}}不{{작게|블}}容{{작게|용}}刀{{작게|도}}{{분주|ㅣ로|다}}誰{{작게|슈}}謂{{작게|위}}宋{{작게|송}}遠{{작게|원}}{{분주|고}}曾{{작게|증}}不{{작게|블}}崇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tslbrot8pqhdz9diijgdd47bymwc6c 392753 392752 2025-06-28T08:22:16Z 이유리아 18521 39275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遂{{작게|슈}}ᄒᆞ니 垂{{작게|슈}}ᄒᆞᆫ帶{{작게|ᄃᆡ}}ㅣ悸{{작게|계}}ᄒᆞ도다<br /> ::芄{{작게|환}}蘭{{작게|란}}二{{작게|이}}章{{작게|쟝}}<br /> 誰{{작게|슈}}謂{{작게|위}}河{{작게|하}}廣{{작게|광}}{{분주|고|: }}一{{작게|일}}葦{{작게|위}}杭{{작게|항}}之{{작게|지}}{{분주|로|다}}誰{{작게|슈}}謂{{작게|위}}宋{{작게|송}}遠{{작게|원}}{{분주|고}}跂{{작게|기}}予{{작게|여}}望{{작게|망}}之{{작게|지}}{{분주|로|다}}<br /> :뉘닐오ᄃᆡ河{{작게|하}}ㅣ넙다ᄒᆞᄂᆞᆫ고ᄒᆞᆫ葦{{작게|위}}로杭{{작게|항}}ᄒᆞ리로다뉘닐오ᄃᆡ宋{{작게|송}}이머다ᄒᆞᄂᆞᆫ고跂{{작게|기}}ᄒᆞ야내望{{작게|망}}ᄒᆞ리로다<br /> ○誰{{작게|슈}}謂{{작게|위}}河{{작게|하}}廣{{작게|광}}{{분주|고}}曾{{작게|증}}不{{작게|블}}容{{작게|용}}刀{{작게|도}}{{분주|ㅣ로|다}}誰{{작게|슈}}謂{{작게|위}}宋{{작게|송}}遠{{작게|원}}{{분주|고}}曾{{작게|증}}不{{작게|블}}崇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tqd6p10bx7boiqj2mcsus2ofbvshjdp 392754 392753 2025-06-28T08:23:33Z 이유리아 18521 39275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遂{{작게|슈}}ᄒᆞ니 垂{{작게|슈}}ᄒᆞᆫ帶{{작게|ᄃᆡ}}ㅣ悸{{작게|계}}ᄒᆞ도다<br /> ::芄{{작게|환}}蘭{{작게|란}}二{{작게|이}}章{{작게|쟝}}<br /> 誰{{작게|슈}}謂{{작게|위}}河{{작게|하}}廣{{작게|광}}{{분주|고| }}一{{작게|일}}葦{{작게|위}}杭{{작게|항}}之{{작게|지}}{{분주|로|다}}誰{{작게|슈}}謂{{작게|위}}宋{{작게|송}}遠{{작게|원}}{{분주|고}}跂{{작게|기}}予{{작게|여}}望{{작게|망}}之{{작게|지}}{{분주|로|다}}<br /> :뉘닐오ᄃᆡ河{{작게|하}}ㅣ넙다ᄒᆞᄂᆞᆫ고ᄒᆞᆫ葦{{작게|위}}로杭{{작게|항}}ᄒᆞ리로다뉘닐오ᄃᆡ宋{{작게|송}}이머다ᄒᆞᄂᆞᆫ고跂{{작게|기}}ᄒᆞ야내望{{작게|망}}ᄒᆞ리로다<br /> ○誰{{작게|슈}}謂{{작게|위}}河{{작게|하}}廣{{작게|광}}{{분주|고}}曾{{작게|증}}不{{작게|블}}容{{작게|용}}刀{{작게|도}}{{분주|ㅣ로|다}}誰{{작게|슈}}謂{{작게|위}}宋{{작게|송}}遠{{작게|원}}{{분주|고}}曾{{작게|증}}不{{작게|블}}崇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veom8tikwxk728qrdwi5nci8pqu1ib 392756 392754 2025-06-28T08:27:14Z 이유리아 18521 39275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遂{{작게|슈}}ᄒᆞ니 垂{{작게|슈}}ᄒᆞᆫ帶{{작게|ᄃᆡ}}ㅣ悸{{작게|계}}ᄒᆞ도다<br /> ::芄{{작게|환}}蘭{{작게|란}}二{{작게|이}}章{{작게|쟝}}<br /> 誰{{작게|슈}}謂{{작게|위}}河{{작게|하}}廣{{작게|광}}고一{{작게|일}}葦{{작게|위}}杭{{작게|항}}之{{작게|지}}{{분주|로|다}}誰{{작게|슈}}謂{{작게|위}}宋{{작게|송}}遠{{작게|원}}고跂{{작게|기}}予{{작게|여}}望{{작게|망}}之{{작게|지}}{{분주|로|다}}<br /> :뉘닐오ᄃᆡ河{{작게|하}}ㅣ넙다ᄒᆞᄂᆞᆫ고ᄒᆞᆫ葦{{작게|위}}로杭{{작게|항}}ᄒᆞ리로다뉘닐오ᄃᆡ宋{{작게|송}}이머다ᄒᆞᄂᆞᆫ고跂{{작게|기}}ᄒᆞ야내望{{작게|망}}ᄒᆞ리로다<br /> ○誰{{작게|슈}}謂{{작게|위}}河{{작게|하}}廣{{작게|광}}고曾{{작게|증}}不{{작게|블}}容{{작게|용}}刀{{작게|도}}{{분주|ㅣ로|다}}誰{{작게|슈}}謂{{작게|위}}宋{{작게|송}}遠{{작게|원}}曾{{작게|증}}不{{작게|블}}崇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98b3dg500rdmj63khefevqh7ehnyizj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46 250 101675 392757 2025-06-28T08:38:42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라내의束{{더더작게|속}}을啄{{더더작게|탁}}디마ᄅᆞᆯ띠어다이邦{{더더작게|방}}ᄉ사ᄅᆞᆷ이나ᄅᆞᆯ즐겨穀{{더더작게|곡}}으로아닐딘댄旋{{더더작게|션}}ᄒᆞ야歸{{더더작게|귀}}ᄒᆞ야우리邦{{더더작게|방}}族{{더더작게|족}}에復{{더더작게|복}}호리라<br> ○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분주|아|}}... 39275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라내의束{{더더작게|속}}을啄{{더더작게|탁}}디마ᄅᆞᆯ띠어다이邦{{더더작게|방}}ᄉ사ᄅᆞᆷ이나ᄅᆞᆯ즐겨穀{{더더작게|곡}}으로아닐딘댄旋{{더더작게|션}}ᄒᆞ야歸{{더더작게|귀}}ᄒᆞ야우리邦{{더더작게|방}}族{{더더작게|족}}에復{{더더작게|복}}호리라<br> ○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분주|아|}}無{{더더작게|무}}集{{더더작게|잡}}于{{더더작게|우}}桑{{더더작게|상}}{{분주|ᄒᆞ|야}}無{{더더작게|무}}啄{{더더작게|탁}}我{{더더작게|아}}梁{{더더작게|량}}{{분주|이어|다}}此{{더더작게|ᄎᆞ}}邦{{더더작게|방}}之{{더더작게|지}}人{{더더작게|인}}{{분주|이|}}不{{더더작게|블}}可{{더더작게|가}}與{{더더작게|여}}明{{더더작게|명}}{{분주|이란|ᄃᆡ}}言{{더더작게|언}}旋{{더더작게|션}}言{{더더작게|언}}歸{{더더작게|귀}}{{분주|ᄒᆞ|야}}復{{더더작게|복}}我{{더더작게|아}}諸{{더더작게|져}}兄{{더더작게|형}}{{분주|호리|라}}<br> :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아桑{{더더작게|상}}의集{{더더작게|집}}디마라내의梁{{더더작게|량}}을啄{{더더작게|탁}}디마ᄅᆞᆯ띠어다이邦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lgl4qqtrw0y0t4ygjbfchp79t39oiil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50 250 101676 392758 2025-06-28T08:48:49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슝朝{{작게|죠}}{{분주|ㅣ로|다}}<br /> :뉘닐오ᄃᆡ河{{작게|하}}ㅣ다ᄒᆞᄂᆞᆫ고일즉刀{{작게|도}}容{{작게|용}}티몯ᄒᆞ리로다뉘닐오ᄃᆡ宋{{작게|송}}이머다ᄒᆞᄂᆞᆫ고일즉아ᄎᆞᆷ도ᄆᆞᆺ디몯ᄒᆞ리로다<br /> ::河{{작게|하}}廣{{작게|광}}二{{작게|이}}章{{작게|쟝}}<br /> 伯{{작게|ᄇᆡᆨ}}兮{{작게|혜}}朅{{작게|걸}}兮{{작게|혜}}{{분주|ᄒᆞ|니}}邦... 39275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슝朝{{작게|죠}}{{분주|ㅣ로|다}}<br /> :뉘닐오ᄃᆡ河{{작게|하}}ㅣ다ᄒᆞᄂᆞᆫ고일즉刀{{작게|도}}容{{작게|용}}티몯ᄒᆞ리로다뉘닐오ᄃᆡ宋{{작게|송}}이머다ᄒᆞᄂᆞᆫ고일즉아ᄎᆞᆷ도ᄆᆞᆺ디몯ᄒᆞ리로다<br /> ::河{{작게|하}}廣{{작게|광}}二{{작게|이}}章{{작게|쟝}}<br /> 伯{{작게|ᄇᆡᆨ}}兮{{작게|혜}}朅{{작게|걸}}兮{{작게|혜}}{{분주|ᄒᆞ|니}}邦{{작게|방}}之{{작게|지}}桀{{작게|걸}}兮{{작게|혜}}{{분주|로|다}}伯{{작게|ᄇᆡᆨ}}也{{작게|야}}執{{작게|집}}殳{{작게|슈}}{{분주|ᄒᆞ|야}}爲{{작게|위}}王{{작게|왕}}前{{작게|젼}}驅{{작게|구}}{{분주|ㅣ로|다}}<br /> :伯{{작게|ᄇᆡᆨ}}이朅{{작게|걸}}ᄒᆞ니邦{{작게|방}}읫桀{{작게|걸}}이로다伯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rd6ifpu7qgofer60tgs7z5yhfcnv32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51 250 101677 392759 2025-06-28T09:50:08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작게|ᄇᆡᆨ}}이殳{{작게|슈}}를자바王{{작게|왕}}을위ᄒᆞ야 前{{작게|젼}}驅{{작게|구}}ᄒᆞ놋다<br /> ○自{{작게|ᄌᆞ}}伯{{작게|ᄇᆡᆨ}}之{{작게|지}}東{{작게|동}}{{분주|ᄒᆞ|야}}首{{작게|슈}}如{{작게|여}}飛{{작게|비}}蓬{{작게|봉}}{{분주|호|라}}豈{{작게|긔}}無{{작게|무}}膏{{작게|고}}沐{{작게|목}}{{분주|이리오|마ᄂᆞᆫ}}誰{{작게|슈}}適{{작게|뎍}}... 39275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작게|ᄇᆡᆨ}}이殳{{작게|슈}}를자바王{{작게|왕}}을위ᄒᆞ야 前{{작게|젼}}驅{{작게|구}}ᄒᆞ놋다<br /> ○自{{작게|ᄌᆞ}}伯{{작게|ᄇᆡᆨ}}之{{작게|지}}東{{작게|동}}{{분주|ᄒᆞ|야}}首{{작게|슈}}如{{작게|여}}飛{{작게|비}}蓬{{작게|봉}}{{분주|호|라}}豈{{작게|긔}}無{{작게|무}}膏{{작게|고}}沐{{작게|목}}{{분주|이리오|마ᄂᆞᆫ}}誰{{작게|슈}}適{{작게|뎍}}爲{{작게|위}}容{{작게|용}{{분주|이리|오}}<br /> :伯{{작게|ᄇᆡᆨ}}이東{{작게|동}}홈으로브터머리ᄂᆞᄂᆞᆫ蓬{{작게|봉}}ᄀᆞᆮ토라엇디膏{{작게|고}}ㅣ며沐{{작게|목}}이업스리오마ᄂᆞᆫ누를適{{작게|뎍}}ᄒᆞ야容{{작게|용}}을ᄒᆞ리오<br /> ○其{{작게|기}}雨{{작게|우}}其{{작게|기}}雨{{작게|우}}애杲{{작게|고}}杲{{작게|고}}出{{작게|츌}}日{{작게|일}}{{분주|이로|다}}願{{작게|원}}言{{작게|언}}思{{작게|ᄉᆞ}}伯{{작게|ᄇᆡᆨ}}{{분주|이|라}}甘{{작게|감}}心{{작게|심}}首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itj9fl4gpcvd9uxjvis44e7tl1wst7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52 250 101678 392760 2025-06-28T10:15:20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작게|슈}}疾{{작게|질}}{{분주|이로|다}}<br /> :그雨{{작게|우}}콰뎌그雨{{작게|우}}콰뎌홈애杲{{작게|고}}杲{{작게|고}}히日{{작게|일}}이出{{작게|츌}}ᄒᆞ놋다願{{작게|원}}ᄒᆞ야伯{{작게|ᄇᆡᆨ}}을思 {{작게|ᄉᆞ}}혼디라首{{작게|슈}}疾{{작게|질}}을ᄆᆞᄋᆞᆷ애甘{{작게|감}}ᄒᆞ놋다<br /> ○焉{{작게|언}}得{{작게|득}}諼{{작게|훤}}草{{작게|초}}{{분주|... 39276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작게|슈}}疾{{작게|질}}{{분주|이로|다}}<br /> :그雨{{작게|우}}콰뎌그雨{{작게|우}}콰뎌홈애杲{{작게|고}}杲{{작게|고}}히日{{작게|일}}이出{{작게|츌}}ᄒᆞ놋다願{{작게|원}}ᄒᆞ야伯{{작게|ᄇᆡᆨ}}을思 {{작게|ᄉᆞ}}혼디라首{{작게|슈}}疾{{작게|질}}을ᄆᆞᄋᆞᆷ애甘{{작게|감}}ᄒᆞ놋다<br /> ○焉{{작게|언}}得{{작게|득}}諼{{작게|훤}}草{{작게|초}}{{분주|ᄒᆞ|야}}言{{작게|언}}樹{{작게|슈}}之{{작게|지}}背{{작게|ᄇᆡ}}오願{{작게|원}}言{{작게|언}}思{{작게|ᄉᆞ}}伯{{작게|ᄇᆡᆨ}}{{분주|이|라}}使{{작게|ᄉᆞ}}我{{작게|아}}心{{작게|심}}痗{{작게|ᄆᆡ}}{{분주|로|다}}<br /> :엇디諼{{작게|훤}}草{{작게|초}}ᄅᆞᆯ어더背{{작게|ᄇᆡ}}예樹{{작게|슈}}ᄒᆞᆯ고願{{작게|원}}ᄒᆞ야伯{{작게|ᄇᆡᆨ}}을思{{작게|ᄉᆞ}}혼디라날로ᄒᆡ여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aqhen1nav3h7f7j9jmm7shape3zep5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53 250 101679 392761 2025-06-28T10:41:49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곰ᄆᆞᄋᆞᆷ이痗{{작게|ᄆᆡ}}케ᄒᆞ놋다<br /> ::伯{{작게|ᄇᆡᆨ}}兮{{작게|혜}}四{{작게|ᄉᆞ}}章{{작게|쟝}}<br /> 有{{작게|유}}狐{{작게|호}}綏{{작게|유}}綏{{작게|유}}ᄒᆞ니뎌淇{{작게|긔}}ㅅ梁{{작게|량}}{{분주|이로|다}}心{{작게|심}}之{{작게|지}}憂{{작게|우}}矣{{작게|의}}ᄂᆞᆫ之{{작게|지}}子{{작게|ᄌᆞ}}無{{작게|무}}裳{{작게|샹}}{{분주|이니|라}}<b... 39276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곰ᄆᆞᄋᆞᆷ이痗{{작게|ᄆᆡ}}케ᄒᆞ놋다<br /> ::伯{{작게|ᄇᆡᆨ}}兮{{작게|혜}}四{{작게|ᄉᆞ}}章{{작게|쟝}}<br /> 有{{작게|유}}狐{{작게|호}}綏{{작게|유}}綏{{작게|유}}ᄒᆞ니뎌淇{{작게|긔}}ㅅ梁{{작게|량}}{{분주|이로|다}}心{{작게|심}}之{{작게|지}}憂{{작게|우}}矣{{작게|의}}ᄂᆞᆫ之{{작게|지}}子{{작게|ᄌᆞ}}無{{작게|무}}裳{{작게|샹}}{{분주|이니|라}}<br /> :狐{{작게|호}}ㅣ綏{{작게|유}}綏{{작게|유}}ᄒᆞ니뎌淇{{작게|긔}}ㅅ梁{{작게|량}}에잇도다ᄆᆞᄋᆞᆷ의시름흠은之{{작게|지}}子{{작게|ᄌᆞ}}ㅣ 裳{{작게|샹}}이업ᄉᆞᆯᄉᆡ니라<br /> ○有{{작게|유}}狐{{작게|호}}綏{{작게|유}}綏{{작게|유}}{{분주|ᄒᆞ|니}}在{{작게|ᄌᆡ}}彼{{작게|피}}淇{{작게|긔}}厲{{작게|려}}{{분주|ㅣ로|다}}心{{작게|심}}之{{작게|지}}憂{{작게|우}}矣{{작게|의}}ᄂᆞᆫ之{{작게|지}}子{{작게|ᄌᆞ}}無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kovnpafx76fwcwln3z329zugwpdv0ak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54 250 101680 392762 2025-06-28T10:58:30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작게|무}}帶{{작게|ᄃᆡ}}{{분주|니|라}}<br /> :狐{{작게|호}}ㅣ綏{{작게|유}}綏{{작게|유}}ᄒᆞ니뎌淇{{작게|긔}}ㅅ厲{{작게|려}}애잇도다ᄆᆞᄋᆞᆷ의시름홈은之{{작게|지}}子{{작게|ᄌᆞ}}ㅣ帶{{작게|ᄃᆡ}}업ᄉᆞᆯᄉᆡ니라<br /> ○有{{작게|유}}狐{{작게|호}}綏{{작게|유}}綏{{작게|유}}{{분주|ᄒᆞ|니}}在{{작게|ᄌᆡ}}彼{{작게|피}}淇{{작게|긔}}側{{작게|측}}... 39276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작게|무}}帶{{작게|ᄃᆡ}}{{분주|니|라}}<br /> :狐{{작게|호}}ㅣ綏{{작게|유}}綏{{작게|유}}ᄒᆞ니뎌淇{{작게|긔}}ㅅ厲{{작게|려}}애잇도다ᄆᆞᄋᆞᆷ의시름홈은之{{작게|지}}子{{작게|ᄌᆞ}}ㅣ帶{{작게|ᄃᆡ}}업ᄉᆞᆯᄉᆡ니라<br /> ○有{{작게|유}}狐{{작게|호}}綏{{작게|유}}綏{{작게|유}}{{분주|ᄒᆞ|니}}在{{작게|ᄌᆡ}}彼{{작게|피}}淇{{작게|긔}}側{{작게|측}}{{분주|이로|다}}心{{작게|심}}之{{작게|지}}憂{{작게|우}}矣{{작게|의}}ᄂᆞᆫ之{{작게|지}}子{{작게|ᄌᆞ}}無{{작게|무}}服{{작게|복}}{{분주|이니|라}}<br /> :狐{{작게|호}}ㅣ綏{{작게|유}}綏{{작게|유}}ᄒᆞ니뎌淇{{작게|긔}}ㅅ側{{작게|측}}애잇도다ᄆᆞᄋᆞᆷ의시ᄅᆞᆷ홈은之{{작게|지}}子{{작게|ᄌᆞ}}ㅣ服{{작게|복}}이업ᄉᆞᆯᄉᆡ니라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g3gj885z1uj7ce73i2494pr2u7ayjn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