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문헌
kowikisource
https://ko.wikisource.org/wiki/%EC%9C%84%ED%82%A4%EB%AC%B8%ED%97%8C:%EB%8C%80%EB%AC%B8
MediaWiki 1.45.0-wmf.7
first-letter
미디어
특수
토론
사용자
사용자토론
위키문헌
위키문헌토론
파일
파일토론
미디어위키
미디어위키토론
틀
틀토론
도움말
도움말토론
분류
분류토론
저자
저자토론
포털
포털토론
번역
번역토론
초안
초안토론
페이지
페이지토론
색인
색인토론
TimedText
TimedText talk
모듈
모듈토론
사용자토론:Renamed user 48a4133f735ce1d67f2518b54f01660e
3
52464
392763
345941
2025-06-28T12:10:37Z
A09
16426
A09님이 [[사용자토론:Scenelane]]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사용자토론:Renamed user 48a4133f735ce1d67f2518b54f01660e]]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계정 이름을 "[[Special:CentralAuth/Scenelane|Scenelane]]"에서 "[[Special:CentralAuth/Renamed user 48a4133f735ce1d67f2518b54f01660e|Renamed user 48a4133f735ce1d67f2518b54f01660e]]"(으)로 바꾸는 동안 자동으로 문서를 이동함
217525
wikitext
text/x-wiki
phoiac9h4m842xq45sp7s6u21eteeq1
번역:하타요가프라디피카/1
114
78266
392807
386104
2025-06-29T03:10:33Z
Danuri19
16656
392807
wikitext
text/x-wiki
{{번역 머리말
| 제목 = 하타요가프라디피카
| 다른 표기 = Hatha Yoga Pradipika
| 부제 = 1장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스와미 스와트마라마(Swami Swatmarama), 판참 싱(Pancham Sinh)
| 역자 = [[사:Danuri19|Danuri19]]
| 이전 =
| 다음 = [[../2|2장]]
| 연도 =
| 언어 = en
| 원본 =
| 설명 =
}}
<table border="1"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r> <td>
※현대요가는 고전요가를 근본으로서 존중합니다. 따라서 현대요가는 고전요가가 특정 요가 동작(행위)과 관련해 제안하는 과정 및 결과로서 그 안정성과 치유의 효과가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된것인지 또는 전적으로 신뢰할것인지에 신중한 주의를 필요로한다고 권고합니다. 따라서 검증된 고전요가에 기반한 현대요가를 안내받기 위해 하타요가 전문가의 지도를 받으십시요. 본 저작물의 번역과 주석은 단지 참고용일뿐입니다.
</td></tr></table>
[page]<br>
[1]<br>
하타 요가 프라디피카(Hatha Yoga Pradipika,HYP)<ref>[4.30][4.40]HYP는 태양이 지구에서 물로 보여주는 생명체의 놀라운 우주(universe)와 대자연의 생태계 처럼 물리학(과학)이 생명(생물학 또는 생리학)에 어떻게 투영될수있는지(이해할수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비종교적 철학 원서이자 임상학 텍스트임을 제4장30절,40절등에서 스와트마라마(Yogin Swatmārāma)는 언급하고 있다.</ref><ref>하타요가프라디피카(Hatha yoga pradipika 산스크리트어 हठयोगप्रदीपिका 하타 요가 빛)라는 원서(텍스트)는 하타요가 기록을 확인해볼수있는 라자요가를 기술한 책이다. 여기서 하타요가의 하타는 음양(하ha-(태양격)양, 타ṭha-(달)음)이라는 뜻으로 그리고 요가(yoga)를 (재)결합(조립)으로 이해해볼때(Gs P.xxii L.4) 이러한 맥락(context)에서 따라서 하타요가를 '음과 양의 에너지를 조화롭게 하다' 또는 '덩어리를 분해와 재조립(하고 다시 반복)의 (균형의) 사이클'로 이해해볼수있다. </ref><ref>하타요가haṭhayoga[모니어-윌리암스 산스크리트-영어 사전 참고]haṭha—yoga m. a kind of forced Yoga or abstract meditation (forcing the mind to withdraw from external objects; treated of in the Haṭha-pradīpikā by Svātmārāma and performed with much self-torture, such as standing on one leg, holding up the arms, inhaling smoke with the head inverted &c.)일종의 수련(강제) 요가 또는 추상적 명상(마음이 외부 대상으로부터 물러나도록 강요(절제 및 유도)하는 것, Haṭha-pradipikā에서 Svātmārāma에 의해 기술되었으며 한쪽 다리로 서기, 팔을 사용해 몸을 들거나 머리를 거꾸로 한 채 프라나야마(공기)를 흡입하는 등 많은 자기통제를 (시간을 멈추고 되돌리기 위한 현존하는 유일한 건강한 신체(심신수양)을 위해 허락(고안)된 방법으로)설명했습니다.)</ref> <ref> 추상적 명상은 생각의 적용 또는 집중, 추상적인 묵상이라고도 함(특히) 자기 집중의 추상적인 명상 및 시스템으로 실행되는 정신적 추상화(파탄잘리(Patañjali)가 (요가수트라에서 기술하고 이를) 가르쳤고 요가 철학이라고 함)이다. 이것의 주된 목적은 인간 정신이 이스바라(Īśvara), 즉 최고 정신(첫번째 힘,중력)과 완전한 합일을 달성할 수 있는 수단을 가르치는 것이며 이러한 자기 집중의 실천이 곧 요가 시스템(yoga system)이다. 하지만 또한 요가(yoga)는 노력, 열성, 근면, 관심(분투적으로 부지런한, 온 힘을 다해, 넘치는 열정으로)의 뜻 단어이기도 하다.</ref><ref>게란다 산(삼)히타(Gs SALUTATION)I salute that Adisvara(The First Lord) who taught first the science of Hatha Yoga. This is a ladder for climbing to the higher heights of Raja Yoga. (인사말) 처음으로 하타 요가의 과학을 가르친 그 아디스바라(첫번째 질서)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이것은 라자 요가의 더 높은 곳으로 오르기 위한 사다리(계단(소파나) 또는 카투스카)입니다</ref>
<br>
हठयोगप्रदीपिका<br>
Translated by Pancham Sinh (영문번역) 판참 싱<br>
<br>
[2]<br>
Table of Contents 목차<br>
<!-- (글자크기) 보기 125%이하 기준 -->
INTRODUCTION 서문 <br>
CHAPTER 1 - ON āSANAS 쳅터1 - 아사나에 대해서 <br>
āsanas 아사나(들) <br>
Swastikaāsana 스와스티카아사나 <br>
Gomukhaāsana 고무카아사나 <br>
Vīrāsana 비라사나 <br>
Kurmāsana 쿠르마사나 <br>
Kukkutāsana 쿠쿠타사나 <br>
Uttāna Kūrmaāsana 욷타나 쿠르마아사나 <br>
Dhanurāsana 다누라사나 <br>
Matsyaāsana 마츠야아사나 <br>
Paśchima Tāna 파스치마 타나 <br>
Mayūraāsana 마유라아사나 <br>
Śavaāsana 사바아사나<br>
The Siddhāsana 싣다사나 <br>
Padmāsana 파드마사나 <br>
The Simhāsana 심하사나 <br>
[3]<br>
The Bhadrāsana 바드라사나 <br>
Foods injurious to a Yogī 요기에게 해로운 음식 <br>
CHAPTER II - ON PRāNāYāMA 제2장 - 프라나야마에 대해서 <br>
Shatkarma 샤트카르마 <br>
The Dhauti 다우티 <br>
The Basti 바스티 <br>
The Neti 네티 <br>
The Trātaka 크라타카 <br>
The Nauli 나울리 <br>
The Kapāla Bhāti 카팔라 바티 <br>
Gaja Karani 가자 카라니 <br>
Manonmanī 마농마니 <br>
Different kinds of Kumbhakas 다양한 종류의 쿰바카 <br>
Sūrya Bhedana 수리야 베다나 <br>
Ujjāyī 우짜이 <br>
Sītkārī 시트카리 <br>
Śītalī 시탈리 <br>
The Bhastrikā 바스트리카 <br>
The Bhrāmari 바라마리 <br>
The mūrchhā 무르차 <br>
[4]<br>
The Plāvinī 플라비니 <br>
Indications of success in the practice of Hatha Yoga 하타요가수행에서 성공의 징후 <br>
CHAPTER III - ON MUDRāS 제3장 무드라에 대해서 <br>
The mudrās 무드라(들) <br>
The mahā mudrā 마하무드라 <br>
The mahā Bandha 마하반다 <br>
The mahā Vedha 마하베다<br>
The Khechari Mudra 케차리 무드라 <br>
The Uddiyāna Bandha 욷디야나 반다 <br>
The mūla Bandha 뮬라 반다 <br>
The Jālandhara Bandha 잘란다라 반다 <br>
The Viparīta Karanī 비파리타 카라니 <br>
The Vajrolī 바즈롤리 <br>
The Sahajolī 사하졸리 <br>
The Amarolī 아마롤리 <br>
The Śakti chālana 샥티 찰라나 <br>
CHAPTER IV - ON SAMāDHI 제4장 사마띠 <br>
The Sāmbhavī mudrā 삼바비 무드라 <br>
The Unmanī 운마니 <br>
The Tāraka 타라카 <br>
[5]<br>
The Khecharī 케차리 <br>
End of the Khecharī 케차리 끝 <br>
ārambha Avasthā 아람바 아바스타 <br>
The Ghata Avasthā 가타 아바스타 <br>
The Parichaya Avasthā 파리차야 아바스타 <br>
The Nishthavastha 니쉬타바스타 <br>
{{col-begin}}
{{col-2}}
[6]<br>
INTRODUCTION<br>
There exists at present a good deal of misconception with regard to the practices of the Hatha Yoga. People easily believe in the stories told by those who themselves heard them second hand, and no attempt is made to find out the truth by a direct reference to any good treatise.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the six practices, (Shatkarma) in Hatha Yoga are compulsory on the student and that besides being dirty, they are fraught with danger to the practiser. This is not true, for these practices are necessary only in the existence of impurities in the Nādis, and not otherwise.<br>
There is the same amount of misunderstanding with regard to the Prānāyāma. People put their faith implicitly in the stories told them about the dangers attending the practice, without ever taking the trouble of ascertaining the fact themselves. We have been inspiring and expiring air from our birth, and will continue to do so till death; and this is done without the help of any teacher. Prānāyāma is nothing but a properly regulated form of the otherwise irregular and hurried flow of air, without using much force or undue restraint; and if this is accomplished by patiently keeping the flow slow and steady, there can be no danger. It is the impatience for<br>
[7]<br>
the Siddhis which cause undue pressure on the organs and thereby causes pains in the ears, the eyes, the chest,etc. If the three bandhas (Bandha) be carefully performed while practising the Prānāyāma, there is no possibility of any danger.<br>
There are two classes of students of Yoga: (1) those who study it theoretically; (2) those who combine the theory with practice.
Yoga is of very little use, if studied theoretically. It was never meant for such a study. In its practical form, however, the path of the student is beset with difficulties. The books on Yoga give instructions so far as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methods in words, but all persons, not being careful enough to follow these instructions to the very letter, fail in their object. Such persons require a teacher versed in the practice of Yoga. It is easy to find a teacher who will explain the language of the books, but this is far from being satisfactory. For instance, a Pandit without any knowledge of the science of materia medica will explain ‘Kantakari’ as ‘Kantakasyaarih Kantakaari’ or an enemy of thorns, i.e., shoes, while it is in reality the name of a medicinal plant.<br>
[8]<br>
The importance of a practical Yogī as a guide to a student of Yoga cannot be overestimated; and without such a teacher it is next to impossible for him to achieve anything. The methods followed by the founders of the system and followed ever afterwards by their followers, have been wisely and advisedly kept secret; and this is not without a deep meaning. Looking to the gravity of the subject and the practices which have a very close relation with the vital organs of the human body,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hat the instructions should be received by students of ordinary capacity, through a practical teacher only, in order to avoid any possibility of mistake in practice. Speaking broadly, all men are not equally fitted to receive the instructions on equal terms.
man inherits on birth his mental and physical capitals, according to his actions in past births, and has to increase them by manipulation, but there are, even among such, different grades. Hence, one cannot become a Yogī in one incarnation, as says Sri Krishna<br>
(At the end of many biths, the man of knowledge reaches me.Gita 7.19) and again (Among men, one in many thousands, strives to win the saving knowledge. Gita 7.3)<br>
[9]<br>
There are men who, impelled by the force of their actions of previous births, go headlong and accomplish their liberation in a single attempt; but others have to earn it in their successive births. If the student belongs to one of such souls and being earnest, desires from his heart to get rid of the pains of birth and death, he will find the means too. It is wellknown that a true Yogī is above temptations and so to think that he keeps his knowledge secret for selling it to the highest bidder is simply absurd. Yoga is meant for the good of all creatures, and a true Yogī is always desirous of benefitting as many men as possible. But he is not to throw away this precious treasure indiscriminately. He carefully chooses its recipients, and when he finds a true and earnest student, who will not trifle with this
knowledge, he never hesitates in placing his valuable treasure at the disposal of the man. What is essential in him is that he should have a real thirst for such knowledge—a thirst which will make him restless till satisfied; the thirst that will make him blind to the world and its enjoyments. He should be, in short, fired with mumukshutva or desire for emancipation. To such a one, there is nothing dearer than the accomplishment of this object. A true lover will risk his very life to gain union with his beloved like Tulasīdās. A true lover will see everywhere, in every direction, in every tree and leaf, in <br>
[10]<br>
every blade of grass his own beloved. The whole of the world, with all its beauties, is a dreary waste in his eyes, without his beloved. And he will court death, fall into the mouth of a gaping grave, for the sake of his beloved. The student whose heart burns with such intense desire for union with Paramātmā, is sure to find a teacher, and through him he will surely find Him It is a tried experience that Paramātmā will try to meet you half way, with the degree of intensity with which you will go to meet Him. Even He Himself will become your guide, direct you on to the road to success, or put you on the track to find a teacher, or lead him to you.<br>
Well has it been said:<br>
<br>
It is the half hearted who fail. They hold their worldly pleasures dearer to their hearts than their God, and therefore He in His turn does not consider them worthy of His favours. Says the Upanishad:<br>
[11]<br>
The ātmā will choose you its abode only if it considers you worthy of such a favour, and not otherwise. It is therefore necessary that one should first make oneself worthy of His acceptance. Having prepared the temple (your heart) well fitted for His installation there, having cleared it of all the impurities which stink and make the place unsuitable for the highest personage to live in, and having decorated it beautifully with objects as befit that Lord of the creation, you need not wait long for Him to adorn this temple of yours which you have taken pains to make it worthy of Him. If you have done all this, He will shine in you in all His glory. In your difficult
moments, when you are embarrassed, sit in a contemplative mood, and approach your Parama Guru submissively and refer your difficulties to Him, you are sure to get the proper advice from Him. He is the Guru of the ancients, for He is not limited by Time. He instructed the ancients in bygone times, like a Guru, and if you have been unable to find a teacher in the human form, enter your inner temple and consult this Great Guru who accompanies you everywhere, and ask Him to show you the way. He knows best what is best, for you. Unlike mortal beings, He is beyond the past and the future, will either send one of His agents to guide you or lead you to one and put you on the right track. He is always anxious to teach the earnest seekers, and waits <br>
[12]<br>
for you to offer Him an opportunity to do so. But if you have not done your duty and prepared yourself worthy of entering His door, and try to gain access to His presence, laden with your unclean burden, stinking with Kama, Krodha, Lobha, and moha, be sure He will keep you off from Him.<br>
The āsanas are a means of gaining steadiness of position and help to gain success in contemplation, without any distraction of the mind. If the position be not comfortable, the slightest inconvenience will draw the mind away from the lakśya (aim), and so no peace of mind will be possible till the posture has ceased to cause pain by regular exercise.<br>
Of all the various methods for concentrating the mind, repetition of Pranava or Ajapā Jāpa and contemplation on its meaning is the best. It is impossible for the mind to sit idle even for a single moment, and, therefore, in order to keep it well occupied and to keep other antagonistic thoughts from entering it, repetition of Pranava should be practised. It should be repeated till Yoga Nidrā is induced which, when experienced, should be encouraged by slackening all the muscles of the body. This will fill the mind with sacred and divine<br>
[13]<br>
thoughts and will bring about its onepointedness, without much effort.<br>
Anāhata Nāda is awakened by the exercise of Prānāyāma. A couple of weeks’ practice with 80 prānāyāmas in the morning and the same number in the evening will cause distinct sounds to be heard; and, as the practice will go on increasing, varied sounds become audible to the practiser. By hearing these sounds attentively one gets concentration of the mind, and thence Sahaja Samādhi. When Yoga sleep is experienced, the student should give himself up to it and make no efforts to check it. By and by, these sounds become subtle and they become less and less intense, so the mind loses its waywardness and becomes calm and docile; and, on this practice becoming wellestablished,Samādhi becomes a voluntary act. This is, however, the highest stage and is the lot of the favoured and fortunate few only.<br>
During contemplation one sees, not with his eyes, as he does the objects of the world, various colours, which the writers on Yoga call the colours of the five elements.
Sometimes, stars are seen glittering, and lightning flashes in the sky. But these are all fleeting in their nature.<br>
[14]<br>
At first these colours are seen in greatly agitated waves which show the unsteady condition of the mind; and as the practice increases and the mind becomes calm, these colourwaves become steady and motionless and appear as one deep ocean of light. This is the ocean in which One should dive and forget the world and become one with his Lord—which is the condition of highest bliss.<br>
Faith in the practices of Yoga, and in one's own powers to accomplish what others have done before, is of great importance to insure speedy success. I mean "faith that will move mountains," will accomplish anything, be it howsoever difficult. There is nothing which cannot be accomplished by practice. Says Śiva in Śiva Samhitā.<br>
Through practice success is obtained; through practice one gains liberation. Perfect consciousness is gained through practice; Yoga is attained through practice; success in mudrās comes by practice. Through practice<br>
[15]<br>
is gained success in Prānāyāma. Death can be evaded of its prey through practice, and man becomes the conqueror of death by practice. And then let us gird up our loins, and with a firm resolution engage in the practice, having faith in कभतण् मेवाश्च धकायस्ते भा परेषु कदाचन
(To work alone have you the right and never to the fruits thereof. Gita 2.47), and the success must be ours. may the Almighty Father, be pleased to shower His blessings on those who thus engage in the performance of their duties. Om Siam.<br>
PANCHAM SINH.
AJMER:
31st January, 1915.
<br>
{{col-2}}
[6]
(들어가기에 앞서) 서문<ref>본격적으로 난해한 하타요가프라디피카의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판참 싱 선생님이 친절하고 간략하게 기술하는 요가의 개요를 통해 요가 시스템과 요가철학을 이해하고 접근해볼수있습니다.</ref><ref>요가시스템은 신체가 중력아래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시스템(과학적 접근)입니다 따라서 요가철학은 요가시스템의 모멘텀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자 상상(꿈,아이디어,이야기 등)이어야 합니다.</ref><ref>[4.40]The tāraka तारक 타라카 Some are devoted to the Vedas, some to Nigama, while others are enwrapt in Logic, but none knows the value of this mudrā, which enables one to cross the ocean of existence
일부는(어떤이는) 베다에 헌신하고, 일부는(어떤이는) 니가마(nigama)에 헌신하고, 다른 일부는(또다른 이는) (과학적으로)논리학에 둘러싸여 있지만, 존재의 바다를 건너게 해주는 이 무드라의 가치를 아는 사람은 (이들중)아무도 없습니다.</ref><ref>[4.114]As long as the Prāna does not enter and flow in the middle channel and the vindu does not become firm by the control of the movements of the Prāna; as long as the mind does not assume the form of Brahma without any effort in contemplation, so long all the talk of knowledge and wisdom is merely the nonsensical babbling of a mad man.
(끊없는 연습을 통해서)프라나가 중간 통로로 들어가 흐르지 않고 빈두가 프라나의 움직임을 통제하여 (몸이)굳건해지지 않는 한,(그리고) 마음이 명상(묵상)에 대한 노력 없이 절대적인 것(브라흐마)의 형태를 취하지 못하는 한, 지식과 지혜에 관한 모든 이야기는 단지 미친 사람의 터무니없는 옹알이일 뿐입니다.</ref> <br>
현재 하타요가 수행에 관해서는 많은 오해가 존재합니다. 사람들은 직접 들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쉽게 믿으며, 좋은 논문을 직접 참조하여 진실을 알아내려는 (과학적)시도는 전혀 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하타 요가의 6가지 수련(샤트카르마)은 학생에게 의무사항이며 어려운 것 외에도 수련자에게 위험이 따른다고 믿어집니다.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관행은 나디(들)(Nādis)에 불순물이 존재할 때만 필요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br>
프라나야마에 관해서도 같은 정도의 오해가 있습니다. 사람들은 사실을 스스로 확인하는 수고를 하지 않고 수행에 수반되는 위험에 대해 말하는 (잘못된)이야기를 암묵적으로 믿었습니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공기에 영감을 주고 소멸시켰으며, 죽을 때까지 계속 그럴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어떤 선생님의 도움 없이도 이루어집니다. 프라나야마는 많은 힘이나 과도한 구속을 사용하지 않고 불규칙하고 급하게 흐르는 공기의 적절하게 조절된 형태에 지나지 않습니다. <br>
[7]기관(또는 장기)에 과도한 압력을 가하여 귀, 눈, 가슴 등에 통증을 유발하는 것은 싣디(Siddhis성공)에 대한 조바심입니다. 프라나야마를 수행하는 동안 세 가지 반다들(tri-bandhas,Bandha)<ref>[3.6]참고 또는 웃디야나 반다[3.55],물라 반다[3.61], 잘란다라 반다[3.70]</ref><ref>[1.54],[1.55][1.56],[1.57]참고</ref>를 주의 깊게 수행한다면, 어떤 위험도 발생할 가능성이 없습니다.<br>
요가에는 두 가지 클래스가 있습니다: (1) 이론적으로 공부하는 사람들, (2)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사람.<ref>논리학의 정점중 주요한젓으로는 역지사지(易地思之)와 조사모삼(朝四暮三)의 양대축이 있습니다.</ref><ref>천기만보(千記萬步)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사람</ref><br>
요가는 이론적으로 연구한다면 거의 쓸모가 없습니다. 결코 그러한 연구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실제적인 형태에서 학생의 길은 어려움에 처해 있습니다. 요가에 관한 책들은 방법을 말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 한 지침을 제공하지만, 모든 사람이 이를 따르기에 충분히 주의하지 않습니다.
철자(단어)에 대한 (맥락을 고려하지 않는)지시 사항(의 단순한 설명)은 목표에 실패합니다. 그러한 사람들에게는 요가 수행에 정통한 스승(guru)<ref>스승 마스터 guru(구루), 제자 शिष्य śiṣya(시스야)</ref>이 필요합니다. 책의 언어를 설명해 줄 선생님을 찾는 것은 쉽지만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물질 과학에 대한 지식이 없는 학자(Pandit 판딧)는 '칸타카리(Kantakari)'를 '칸타카샤리 칸타카리(Kantakasyaarih Kantakaari)' 또는 가시의 적, 즉 신발로 설명하지만 실제로는 약용 식물의 이름(일 뿐)입니다.<br>
[8]
요가 학생의 지침으로서 (매일같이 지속적으로 실천하는)실용적인 요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러한(연습은) 교사(스승)없이는 (그가 들인 연습의 량과 그 노력한 과정의 시간에 비한다면 그가 얻는것은) 그가 어떤것을 성취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ref>스승님의 한 손가락(끝)의 한점이 가하는 그 힘이 제가 지구로부터 온몸으로 받는 중력의 힘이 내몸안에서 흐트러지지 않도록 (붙잡아 놓도록)해주십니다.</ref> 시스템의 창시자들이 따르고 그 이후에도 추종자들이 따르는 방법은 현명하고 신중하게 비밀로 유지되었습니다. 그리고 이건 깊은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인체의 중요한 기관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과목과 실천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정규 능력을 갖춘 학생이 실무 교사를 통해서만 수업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실제로 실수할 가능성을 피하기 위해서 폭넓게 말한다면, 이것은 모든 사람이 동등한 조건으로 지시를 받기에 동등하게 적합하지 않습니다.(사람은 사람으로서 동등하게 갖추어져 있는가 하면 또 한편으로는 저마다 각자 개인들로서 각양각색의 특별한 조건들로 인해 구별되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진화론적으로 보더라도)전생의 행위에 따라 태어날 때 정신적, 육체적 자산을 (서로 같거나 또느 다른조건으로)물려받으며 조작을 통해 이를 늘려야 하지만, 그러한 것에도 (부분적으로)등급이 다릅니다. 그러므로 스리 크리슈나(Sri Krishna)가 말했듯이 주어진 단 한번의 일생으로는 (절정에 달하는)요기가 될 수 없습니다.(일반적으로 동물은 특히 인간은 직립보행이라는 적응주의적 결과를 얻기까지 수많은 세월을 필요로 했다는것은 당연합니다)<br>
많은 고민 끝에 지식인이 나에게 찾아왔다.(Gita 7.19)<ref>바가바드 기타 Bhagavad Gita는 인도 고대 고전 서사시(敍事詩)이다.</ref><br>
수천 명 중 한 명은 구원의 지식을 얻기 위해 노력합니다.(Gita 7.3)<br>
[9]<br>
(계통발생학적으로 개체발생에서)전생의 행위의 힘에 이끌려 단 한 번의 시도로 정면으로 나아가 해방을 달성하는 (타고난)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계속해서 태어나면서 그것을 얻어야 합니다. 학생이 그러한 영혼 중 하나에 속하고 열렬하고 마음으로부터 탄생과 죽음의 고통을 없애고자 한다면<ref>정확히는 탄생과 죽음의 과정에있는 고통의 진실과 마주할수있는 단 한순간(또는 매 순간)의 용기일것입니다.</ref> 그 역시 방법을 찾을 것입니다. 진정한 요기(Yogī)는 유혹을 초월하여 자신의 요기를 지키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것을 최고가 입찰자에게 파는 지식의 비결은 그야말로 터무니없습니다. 요가는 모든 생명체의 이익을 위한 것이며, 진정한 요기는 항상 가능한 한 많은 인류에게 혜택을 주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그는 이 귀중한 보물을 함부로 버려서는(공개해서는) 안 됩니다. 그는 수신자를 신중하게 선택하고 진실하고 진지한 학생을 찾으면 이 학생을 소홀히 여기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소유할수있는것은 오직 죽음(또는 사랑)뿐이라는 것과 같은)지식이 풍부하기 때문에 그는 자신의 귀중한 보물을 사람의 처분에 맡기는 데 결코 주저하지 않습니다. 그에게 본질적인 것은 그러한 지식에 대한 진정한 목마름, 즉 만족할 때까지 그를 불안하게 만드는 목마름을 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세상과 세상의 즐거움에 눈이 멀게 만드는 갈증. 간단히 말해서 그는 무묵슈트바(mumukshutva), 즉 해방에 대한 열망을 품고 (그것으로부터 순순히)해고되어야 합니다. 그러한 사람에게는 이 목적을 달성하는 것보다 더 소중한 것은 없습니다. 진정한 연인은 툴라시다스(Tulasīdās)<ref>Tulsidas(툴시다스)로도 불린다. 인도 중세시대 철학자이자 시인. </ref><ref>툴라시다스(Tulasīdās)는 한 여인에 대한 ‘집착’에서 시작해, 라마에 대한 ‘헌신’으로 전환된 인간적 각성의 서사를 가진 인물로 전해지는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툴시다스는 젊은 시절, 라트나발리(Ratnavali)라는 여인을 깊이 사랑했다. 그녀는 그의 아내가 되었지만, 툴시다스는 집착에 가까운 애정을 보였고, 그녀 없이는 못 사는 사람이었다.어느 날, 아내가 친정에 가자 툴시다스는 그 날 밤에 참지 못하고 거센 비와 강물을 뚫고 그녀를 찾아간다. 강물을 건널때에는 심지어 뱀을 밧줄인 줄 알고 타고, 시체를 뗏목으로 삼아 건넜다고 표현해 전해질 정도이다. 그만큼 광적인 사랑의 집착에 사로잡혀 있었던 것이다. 툴시다스를 본 라트나발리는 깜짝 놀라며 이렇게 말한다. '이 썩어 없어질 육신을 향한 사랑이 이토록 깊다면, 그 사랑을 라마(절대적인 존재 또는 신)에 바쳤다면 당신은 이미 구도(救道)해 이를 얻었을 것입니다!'라고 한다. 바로 이 말이
툴시다스의 심장을 우레처럼 내려쳤고, 그는 눈물을 흘리며 라마의 이름을 외며 집을 떠났다고 한다. 그날 이후 그는 아내도, 집도, 세속도 내려놓고
평생 라마의 이름과 삶을 시로 바친 수행자가 되었다는 전승 전설이 전해진다.</ref>처럼 사랑하는 사람과 결합(함께)하기 위해 목숨을 걸 것입니다. 진정한 연인은 모든 곳, 모든 방향, 모든 나무와 나뭇잎, <br>
[10]모든 풀잎에서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을 볼 수 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없으면 온 세상이 그 모든 아름다움과 함께 그의 눈에는 황량한 황무지로 보입니다. 그리고 그는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기꺼이) 죽음을 맞이하고 갈라진 무덤 어귀에 떨어질 것입니다.(이조차 그는 행복합니다) 파라마트마(Paramātmā)와의 결합에 대한 강렬한 열망으로 가슴이 타오르는 학생은 반드시 교사를 찾을 것이며, 그를 통해 그는 반드시 그분(그것)을 찾을 것입니다. (한편으로는)파라마트마(Paramātmā)가 여러분이 그분(그것)을 만나러 갈 정도의 강도로 여러분을 만나려고 (그분역시) 그 절반에서 노력한다는 것은 시험된 경험입니다. 그분(그것) 자신도 여러분의 안내자가 되어주실 것이며, 여러분을 성공의 길로 인도하실 것이며, 선생님을 찾을 수 있는 길로 인도하시거나 그를 여러분에게로 인도하실 것입니다.<br>
실패하는 사람은 마음이 반쯤 열린 사람일것입니다. 그들은 그들의 마음에 그들의 하나님보다 세상의 쾌락을 더 소중하게 여깁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당신에게 자신의 등을 돌린다면 그들을 당신의 은총을 받을 자격이 (아직은)부족하다고 여기실것입니다. 우파니샤드는 이렇게 말합니다.<br>
[11]
아트마(atma)<ref>परमात्म paramātma 파라마트마= 파라마(parama परम highest, prime) + 아트마(आत्मन् ātman 아트만)</ref><ref>आत्म아트마(आत्मन् ātman 아트만) 숨쉬다. 영혼 ,생명과 감각의 원리(principle of life and sensation)</ref>는 당신이 그러한 호의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만 (그리고 그러한 노력의 결실에서 서서히)당신을 거처로 선택할 것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선택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먼저 그분을 받아들이기에 합당한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그 성전(너희 마음)을 그 곳에 세우기에 합당하게 예비하고 악취를 내며 그 곳을 가장 높은 분이 거하시기에 합당하지 않게 만드는 모든 더러운 것을 제거하고 만물의 주께 어울리는 물건으로 아름답게 장식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당신이 그분께 합당하게 만들기 위해 수고한 이 성전을 그분께서 (거하고)장식하실 때까지 오래 기다릴 필요가 없습니다. 만일 당신이 이 모든 일을 행했다면, (어느순간에서부터인지는 모르지만 이미)그분은 당신의 모든 영광으로 당신 안에서 빛을 비추고 계실 것입니다. 당신의 어려운 상황에 부끄러워하고 명상적인 기분으로 앉아 파라마 구루에게 순종적으로 다가가서 당신의 어려움을 그분께 아뢰는 순간, 당신은 틀림없이 그분께 적절한 조언을 받을 것입니다. 그분은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시기 때문에 고대인의 구루이십니다. 그는 구루처럼 과거의 고대인들을 가르쳤고, 인간 형태의 스승을 찾을 수 없다면 내면의 사원에 들어가서 이 위대한 스승에게 문의하십시오.
어디에서나 당신과 동행하고 그에게 길을 보여달라고 요청하는 구루. 그분은 당신에게 가장 좋은 것이 무엇인지 가장 잘 아십니다. 필멸의 존재와는 달리, 그분은 과거와 미래를 넘어서 계시며, 그분의 대리인 중 한 명을 보내 여러분을 인도하거나 여러분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실 것입니다. 그분은 항상 진지하게 구하는 자들을 가르치기를 열망하시며, <br>
[12]
여러분이 그분께 그렇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를 기다리고 계십니다. <br>
그러나 당신이 의무를 다하지 않고 그분의 문에 들어갈 자격을 갖추지 못하고 부정한 짐을 지고 카마, 크로다, 로바, 모하의 악취를 풍기면서 그분의 임재에 접근하려고 노력한다면, 그분이 당신을 그로부터 막으실 것임을 확신하십시오. <br>
<br>
아사나는 마음의 산만함이 (서서히)가라앉고 (단단하고)안정된 자세를 얻고 명상에 성공하도록 돕는 수단입니다. 자세가 불편하면 조금만 불편해도 마음이 락샤(목표)에서 멀어지게 되어 규칙적인 운동으로 통증을 유발하는 자세가 사라질 때까지는 마음의 평화가 불가능합니다.
마음을 집중하는 다양한 방법 중에서 프라나바(Pranava) 또는 아자파 자파(Ajapā Jāpa)<ref>नवnava = अजपा जाप ajapājāpa 사하자सहजsahaja [4.3][4.4]참고</ref>를 반복하고 그 의미를 묵상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마음이 단 한 순간이라도 가만히 앉아 있을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마음을 잘 사로잡고 다른 적대적인 생각이 마음 속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프라나바를 반복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요가 니드라(Yoga Nidrā 요가수면)가 유도될 때까지 반복해야 하며, 이를 경험하면 몸의 모든 근육을 느슨하게 하여 격려해야 합니다. 이것은 마음을 신성하고 신성한 생각으로 채웁니다.<br>
[13]
생각과 의지가 많은 노력 없이도 일목요연하게 집중되도록 만들것입니다.<br>
아나하타 나다는 프라나야마 수행으로 깨어납니다. 아침에 80개(번)<ref>들숨과 날숨의 한세트를 한 호흡으로 정의하고 그리고 한 호흡을 약3초로 진행했을때 20번의 호흡에서 약1분이 소요된다.</ref>의 프라나야마와 저녁에 같은 숫자로 2주 동안 연습하면 뚜렷한 소리가 들릴 것입니다. 그리고 연습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수행자는 다양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됩니다. 이 소리를 주의 깊게 들음으로써 우리는 마음의 집중을 얻게 되고, 거기서부터 사하자 사마띠(Sahaja Samādhi)를 얻게 됩니다. 요가수면(Yoga Nidrā)을 경험할 때 수련자는 그것에 전념해야 하며 그것을 확인하려고 노력하지 않아야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소리는 미묘해지고 강도는 점점 약해집니다. 그리하여 마음은 고집을 버리고 고요하고 유순해집니다. 그리고 이 수행이 잘 확립되면 사마띠는 자발적인 행위가 됩니다. 그러나 이것은 가장 높은 단계이며 오직 호의를 받고 운이 좋은 소수의 몫입니다.
<br>
명상하는 동안 사람은 세상의 대상을 보는 것처럼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요가 기록(자)들이 다섯 가지 요소의 색이라고 부르는 다양한 색을 봅니다.
때로는 별이 반짝이고 하늘에는 번개가 번쩍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들은 모두 그 성격상 일시적입니다.<br>
[14]
처음에는 이 색깔들이 마음의 불안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크게 흔들리는 파도로 보입니다. 그리고 수행이 증가하고 마음이 고요해짐에 따라 이 색파(colourwaves)는 안정되고 움직이지 않게 되어 하나의 깊은 빛의 바다처럼 나타납니다. 이것이 바로 사람이 뛰어들어 세상을 잊어버리고 주님(첫번째 힘 또는 절대적인 것)과 하나가 되어야 하는 바다입니다. 이것이 최고의 행복의 조건입니다.<br>
요가 수행에 대한 믿음과 다른 사람들이 이전에 해왔던 일을 성취할 수 있는 자신의 힘에 대한 믿음은 빠른 성공을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산을 옮기는 믿음,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이룰 수 있다는 믿음'이라는 뜻입니다. 실천으로 이룰 수 없는 것은 없습니다. 시바 삼히타(Śiva Samhitā)<ref>고대 하타요가 텍스트(text)인 고락사샤타카(Gsh,गोरक्षशतक,gorakṣaśataka)에 이어서 시바 삼히타(शिवसंहिता śivasaṃhitā)는 하타(요가)프라디피카(Hyp) 및 게란다 삼히타(Ghs)의 고전 하타요가 텍스트의 주요 계보(系譜)이다. </ref>에서 시바(Śiva)가 말합니다.<br>
연습을 통해 성공을 얻을 수 있습니다.(다른것은 없습니다.)<ref>ᅟHYP[4.114]As long as the Prāna does not enter and flow in the middle channel and the vindu does not become firm by the control of the movements of the Prāna; as long as the mind does not assume the form of Brahma without any effort in contemplation, so long all the talk of knowledge and wisdom is merely the nonsensical babbling of a mad man.
(끊없는 연습을 통해서)프라나가 중간 통로로 들어가 흐르지 않고 빈두가 프라나의 움직임을 통제하여 (몸이)굳건해지지 않는 한,(그리고) 마음이 명상(묵상)에 대한 노력 없이 절대적인 것(브라흐마)의 형태를 취하지 못하는 한, 지식과 지혜에 관한 모든 이야기는 단지 (어떤)미친 사람의 터무니없는 옹알이일 뿐입니다.</ref> 수행을 통해 우리는 해방을 얻습니다. 완벽한 의식은 수행을 통해 얻어집니다. 요가는 연습을 통해 달성됩니다. 무드라의 성공은 연습을 통해 옵니다. 연습을 통해 <br>
[15]
프라나야마(Prānāyāma)에서 성공을 얻습니다. 실천을 통해 죽음을 (서서히)피할 수 있고(죽음의 시간을 더디게 할수있고), 실천을 통해 인간은 죽음의 정복자가 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허리를 동이고 확고한 결심을 가지고 कभतण् मेवाश्च धकायस्ते भा परेषु कदाचन (혼자서 일할 권리는 있지만 결코 그 열매를 맺을 수는 없습니다. Gita 2.47)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실천에 참여해야 하며 성공은 우리의 것이어야합니다. 전능하신 아버지께서 자신의 의무를 수행하는 이들에게 축복을 부어 주시기를 바랍니다. 옴 샴.
판참 싱.
아지메르<ref>인도 라자스탄 주 아지메르 시[구글맵][https://www.google.com/maps/place/Ajmer,+%EB%9D%BC%EC%9E%90%EC%8A%A4%ED%83%84+%EC%9D%B8%EB%8F%84/@26.4098501,74.6143095,11.36z/data=!4m6!3m5!1s0x396be6d8fcb7cd01:0xcbaf8f12eb8100ee!8m2!3d26.4498954!4d74.6399163!16zL20vMF96cA?authuser=0&entry=ttu&g_ep=Egoy #]</ref>
1915년 1월 31일.<ref>[참고] [[아인슈타인의 이론에 따른 질량 점의 중력장에 대해서]] (Über das Gravitationsfeld eines Massenpunktes nach der Einsteinschen Theorie) Royal Prussian Academy of Science (Reimer, Berlin 1916, pp. 189-196) 카를 슈바르츠실트(Karl Schwarzschild)</ref>
<br>
{{col-end}}
{{col-begin}}
{{col-2}}
[16]<br>
CHAPTER 1 - On āsanas<br>
제1장 아사나 <ref>āsana 아사나 sitting (down) 앉기,-좌(坐) </ref> <br>
Prathamopadeśah 첫번째 지시<ref>지시 指示 official order ,여기서는 텍스트(text)로 기술(記述)하여 가르침(가리켜 보임)</ref><br>
[1.1]Salutation to ādinātha (Śiva) who expounded the
knowledge of Hatha Yoga, which like a staircase leads
the aspirant to the high pinnacled Rāja Yoga. <br>
(무한한)계단처럼<ref>सोपान sopāna 계단[참고]Ysp(Yoga-sopāna pūrva-catuṣka योगसोपान पूर्वचतुष्क요가계단의 첫번째사각형바닥) </ref><ref>आरोढुं इच्छोरधिरोहिणीव(ārodhumichchoradhirohinīva)오르고 싶은 등산가처럼</ref><ref>계단을 오를때 발을 들어올립니다.(내딛지 않습니다) 그리고 올린 발을 (중력(G)에 이끌리어) 내려놓습니다. 계단을 오를때처럼 내려올때도 그 반대방향에서 동등합니다. </ref> 수행자를 높은 정점의 라자 요가로 이끄는(끌어올리는) 하타 요가에 대한 지식을 설명해준 아디나타<ref>ādi 첫번째 ,nāth 힘 또는 질서(1st order)</ref><ref>중력(重力 gravity,gravitation)</ref><ref>우리의 주님은 오직 단 하나의 새로운 율법만을 제안하십니다. 바로 당신과 당신을 사랑하는 이들의 행복입니다. ([[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34절]'새 계명을 너희에게 주노니 서로 사랑하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ref>(시바)<ref>śiva 힌두교의 세 주신(主神) 가운데 하나. 파괴와 생식의 신으로, 네 개의 팔, 네 개의 얼굴, 그리고 과거ㆍ현재ㆍ미래를 투시하는 세 개의 눈이 있으며, 이마에 반달을 붙이고 목에 뱀과 송장의 뼈를 감은 모습을 하고 있다고 묘사된다.</ref><ref>[참고]सिव siva (one who sews or stitches, a sewer, stitcher) 바느질하는 사람 또는 꿰매는 (사람)것 실과 바늘은 의식주(衣食住)에서 의복을 표현할수있다. 한편 실과 바늘은 문화(culture)와 같은 깊이 있는 힘의 역학 관계를 묘사할수있다. 동양에서는 분해와 재조립의 균형을 상징하는 태극(음양)의 사이클로 이해해볼수있다.</ref>에게 경의를 표합니다.<ref>하타요가는 첫문장에서 라자요가를 언급함으로써 하타요가를 통틀어 요가의 핵심적이고 궁극적인 원리를 단 한 문장으로 기술하고 있습니다.</ref><ref>[2.51]우짜이(Ujjāyī)는 걷거나 앉아 있는 동안에도 삶의 모든 조건에서 수행되어야 합니다. </ref><br>
[1.2]Yogin Swātmārāma, after saluting first his Gurū Srinātha explains Hatha Yoga for the attainment of Raja Yoga. <br>
요가수행자 스와트마라마(Yogin Swatmārāma)는 먼저 그의 스승 스리나타(Gurū Srinātha)에게 경의를 표한 후 라자 요가(Raja Yoga)의 달성에 대해 하타 요가(Hatha Yoga)를 설명합니다.
<br>
[1.3]Owing to the darkness arising from the multiplicity of
opinions people are unable to know the Rāja Yoga.
Compassionate Swātmārāma composes the Hatha Yoga
Pradipikā like a torch to dispel it.<br>
다양한 의견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둠 때문에 사람들은 라자 요가를 알 수 없습니다.
자비로운 스와트마라마(Swatmārāma)는 그것을 없애기 위한 횃불처럼 하타 요가 프라디피카(Hatha Yoga Pradipikā)를 기술(記述,description)합니다.<br>
[1.4]Matsyendra, Goraksa, etc., knew Hatha Vidyā, and by
their favour Yogī Swātmārāma also learnt it from them.
The following Siddhas (masters) are said to have existed
in former times:—<br>
마시엔드라(Matsyendra 또는 마첸드라), 고락사(Goraksa) 등은 하타 비디야(Hatha Vidyā)를 알고 있었고 그들의 호의로<ref> 고락사(Goraksa)의 Gsh(Goraksha shataka 100)텍스트로 기술된 책과 그들의 전통을 잇는 제자들의 명맥으로</ref> 요가수행자(Yogī) 스와트마라마(Swatmārāma)도 그들에게서 그것을 배웠습니다.
이전 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싯다(스승)가 존재했다고 합니다.<br>
[1.5]Sri ādinātha (Śiva), matsyendra, Nātha, Sābar, Anand,
Bhairava, Chaurangi, mīna nātha, Goraksanātha,
Virupāksa, Bileśaya.<br>
스리 아디나타(Sri ādinātha 또는 Śiva), 마첸드라(Matsyendra),
나타(Nātha), 사바르(Sābar), 아난드(Anand),바이라바(Bhairava), 차우랑기(Chaurangi), 미나 나타(mīna nātha), 고락사나타(Goraksanātha),비루파크사(Virupāksa), 빌레사야(Bileśaya). <br>
[1.6]Manthāna, Bhairava, Siddhi Buddha, Kanthadi,
Karantaka, Surānanda, Siddhipāda, Charapati. <br>
만타나, 바이라바, 시디 붓다, 칸타디,
카란타카, 수라난다, 싯디파다, 차라파티.<br>
[1.7]Kānerī, Pūjyapāda, Nityanātha, Nirañjana, Kapāli,
Vindunātha, Kāka Chandīśwara. <br>
카네리,푸자파다,니티아나타,니란자나,카팔리,빈두나타, 카카 찬디스와라(Kāka Chandīśwara)<br>
[1.8]Allāma, Prabhudeva, Ghodā, Cholī, Tintini, Bhānukī
Nārdeva, Khanda Kāpālika. <br>
알라마, 프라부데바, 고다, 촐리, 틴티니,
바누키 나르데바(Bhānuki Nārdeva),
칸다 카팔리카.<br>
[1.9]These mahāsiddhas (great masters), breaking the sceptre
of death, are roaming in the universe. <br>
죽음의 홀을 깨뜨린 이 마하시다(위대한 스승)들은 (자연과 하나되어)우주를 돌아다닙니다.<br>
[1.10]Like a house protecting one from the heat of the sun,
Hatha Yoga protects its practiser from the burning heat
of the three Tāpas; and, similarly, it is the supporting
tortoise, as it were, for those who are constantly devoted
to the practice of Yoga. <br>
태양열로부터 사람을 보호하는 집처럼 하타요가는 세 가지 타파스<ref>니야마Niyama [1.18]는 타파스Tapas를 어떻게 다룰수있는지를 보여주는 예이다.</ref><ref>타파스Tapas는 신체적,정서적,이성적(또는 신체적,정신적,영적) 열망으로 이해해볼수있다. 이러한 각각의 측면의 욕망은 더 높은 경지로 가는 원동력일수도 있지만 한편 지나친 과욕으로 인해 각각의 소중한 자산(asset)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하거나 이를 파괴활수도 있다. </ref>의 뜨거운 열기로부터 수련자를 보호합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요가 수련에 끊임없이 헌신하는 사람들을 지원하는 거북이입니다.<ref>쉬운 아사나는 너무 쉬워서 매일같이 반복하는것이 귀찮습니까? 너무 어려운 동작은 너무 어려워서 매일같이 반복하는것이 힘듭니까? 적당한 동작은 잠깐만 하더라도 재미가 없습니까? 먼저 아사나가 몸과 대화하는것을 들으려고 하십시요. 생각이 몸이 말하는 소리에 귀를 귀울이지 못하게 한다면 어떻게 마음이 아사나를 첫번째 악세사리로 받아들일수있겠습니까? 따라서 모든 위대한 훌륭한 스승님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기초가 튼튼하고 단단해야 합니다!" ," (포기하지 않는 꾸준한 실천의) 노력이 없이는 얻는것도 없습니다."</ref><br>
[1.11]A Yogī desirous of success should keep the knowledge
of Hatha Yoga secret; for it becomes potent by
concealing, and impotent by exposing.<br>
성공을 원하는 요기는 하타 요가에 대한 지식을 비밀로 유지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숨기면 강력해지고 노출되면 무력해지기 때문입니다.<ref>임기응변臨機應變 일시일신귀속一時一身歸屬</ref><ref>성공을 원하는 요기는 하타 요가에 대한 지식이 (감춰진 보물처럼) 비밀스럽다는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숨겨긴것에서 (함께 할때)강인해지며 드러나진것에서 (홀로) 무력해지기 때문입니다.</ref><br>
[1.12]The Yogī should practise Hatha Yoga in a small room, situated in a solitary place, being 4 cubits square, and free from stones, fire, water, disturbances of all kinds, and in a country where justice is properly administered, where good people live, and food can be obtained easily and plentifully.<br>요기는 선한 사람들이 살고 정의가 올바르게 시행되는 곳이자 음식을 쉽고 풍부하게 얻을 수 있는 곳에서 돌, 불, 물, 모든 종류의 소란이 없고 4큐빗<ref>1큐빗(cubit)=(약)0.5m(미터) ,4큐빗=2m,가로세로2m=4m, 따라서 약1.2평 정도 크기</ref> 크기의 한적한 장소에 있는 작은 방에서 하타 요가를 수행해야 합니다. <br>
[1.13]The room should have a small door, be free from holes,
hollows, neither too high nor too low, well plastered
with cowdung and free from dirt, filth and insects. On its
outside there should be bowers, raised platform
(chabootrā), a well, and a compound. These
characteristics of a room for Hatha Yogīs have been
described by adepts in the practice of Hatha.<br>
방에는 작은 문이 있어야 하고, 구멍이나 빈 공간이 없어야 하며, 너무 높지도 낮지도 않아야 하며, 소똥으로 잘 칠해져 있고 흙, 오물, 벌레가 없어야 합니다. 그 외부에는 정자, 높은 플랫폼(chabootrā), 우물 및 건물이 있어야 합니다. 하타 요기들을 위한 방의 이러한 특징은 하타 수련 전문가들에 의해 설명되었습니다.<br>
[1.14]Having seated in such a room and free from all
anxieties, he should practise Yoga, as instructed by his
Guru.<br>
그러한 방에 앉아서 모든 걱정 없이 그는 구루(master)의 지시(official order)에 따라 요가를 수행해야 합니다.<ref>[그래픽 예시](하타요가)현대요가(modern yoga)의 준비운동으로 사용되는 생명숲 루틴의 <math>{1}\over{2}</math>세트
[[File:Masters hatayoga warmingup25.svg|프레임없음]]
(어떠한것도) 모든 (아사나)동작은 (우짜이 및 쿰바카)호흡(프라나야마)과 (쿤달리니 및 반다)무드라(의 도움)없이는 무의미합니다.(이들과 함께할때 비로서 마음이 몸과 대화할수있습니다 이내 사마띠에 들어가는 문을 열수있습니다) 여기서 자연이 펼쳐놓은 숲속 동식물들의 동작과 함께 생명의 위대함에 감사드립니다. 하늘을 날아다니는 큰새(The great bird)는 우짜이 호흡,웃디야나 호흡등의 공기와 숨입니다.(Hyp3.55),(Gs3.10)
<br>
(수련 예시)작은 사이클 3개를 아침(기상),저녁(취침전)등으로 나누어 하루에 걸쳐서 큰 사이클 하나를 완성할수 있습니다. (꾸준함에서) 하면할수록 (디테일은)늡니다.(마음을 조급하게 갖지 마세요) 동작 하나하나도 분해와 재조립에서 쉬어가며 천천히 차분하게 (욕심내지않고) 1회정도만 반복합니다. 동작이 서툴르게 나와도 이제 그만합니다. 그리고 (나중에(내일이 오면) 그러나 포기하지않고)다시 시작해봅니다. 몸을 너무 힘들게 (스승님의 도움이 없다면)하지 않도록 합니다. </ref><br>
[1.15]Yoga is destroyed by the following six causes:
Overeating, exertion, talkativeness, adhering to rules,
i.e., cold bath in the morning, eating at night, or eating
fruits only, company of men, and unsteadiness.<br>
요가(의 수련)는(은) 다음 여섯 가지 원인에 의해 (온전해지지 못하고)파괴됩니다.
과식, 과로, 수다쟁이, (잘못된)규칙 준수(예를 들면 아침 냉수욕, 밤에 먹기 또는 과일만 먹기), (지나친) 불량한 어울림, 몸이 불안정함.<br>
[1.16]The following six bring speedy success: Courage,
daring, perseverance, discriminative knowledge,faith,aloofness from company.<br>
다음 6가지 요소는 빠른 성공을 가져옵니다. 용기,대담함, 인내력, 분별력 있는 지식, 믿음, 향락에 대한 무관심.<br>
[1.17]The ten rules of conduct are: ahimsā (noninjuring), truth,
nonstealing, continence, forgiveness, endurance,
compassion, meekness, sparing diet and cleanliness.<br>
행동의 10가지 규칙은 아힘사(ahimsā)<ref>상처주지 않음 또는 평화로움 또는 동전의 양면성을 인지하듯 사물 사건의 장단점(선악)을 모두 인정하는 것 등 </ref>, 진실함, 도둑질하지 않음, 절제함, 용서함, 인내, 연민, 온유함, 음식을 아끼고 청결함입니다.<br>
[1.18]The ten niyamas mentioned by those proficient in the knowledge of yoga are: Tapa, patience, belief in God,charity, adoration of God, hearing discourses on the principles of religion, shame, intellect, Tapa and Yajña.<br>
요가 지식에 능숙한 사람들이 언급한 10가지 니야마는 타파, 인내, 신에 대한 믿음, 자선, (자신이 섬기는)신에 대한 경외, 종교(religion)<ref>the belief in and worship of a superhuman controlling power, especially a personal God or gods.초인간적인 통제력, 특히 인격적인 신에 대한 믿음과 숭배.</ref> 원리에 대한 담론 듣기, 수치심, 지성, 타파 및 야나(Yajña)<ref>"영혼의 소리에 귀 기울이세요” 또는 "몸(body)이 말하는 소리(이야기)에 귀 기울입니다”로 이해해볼수있다.</ref>입니다.<br>
[1.19]Being the first accessory of Hatha Yoga, āsana is
described first. It should be practised for gaining steady
posture, health and lightness of body.<br>
하타 요가의 첫 번째 악세사리(accessory)인 아사나(āsana)가 먼저 설명됩니다. 안정된 자세와 건강, 몸의 가벼움을 얻기 위해 실천해야 합니다.<ref>보물을 소장하는 금고의 문밖에서만이 그 문을 여는 열쇠가 그 의미와 가치를 보여주듯이 이미 라자요가(raja yoga)의 단계에 들어선 이들(요가수행자)조차 아사나(asana)와 같은 하타요가의 첫번째 악세사리(accessory)나 또는 호흡(두번째 악세사리)에 절대적이고 필수적인 몸(body)밖에 있는 공기(프라나)를 무시하거나 간과할수없습니다. 우선 기능이 형태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형태를 이해해본다면 그 작용하는 원리인 기능에 접근해 볼수있습니다.</ref><br>
[1.20]I am going to describe certain āsanas which have been adopted by munīs like Vasistha, etc., and Yogīs like matsyendra, etc.<br>나는 바시스타(Vasistha) 등과 같은 무니(munīs)<ref>(especially in India) an inspired holy person; an ascetic, hermit, or sage.(특히 인도에서) 영감을 받은 거룩한 사람 또는 절제하는 사람, 은둔자, 현자.</ref>와 마첸드라(Matsyendra) 등과 같은 요기들이 채택한 특정 아사나에 대해 설명할 것입니다.<br>
[1.21]Having kept both the hands under both the thighs, with
the body straight, when one sits calmly in this posture, it
is called Swastika.<br>
두 손을 양쪽 허벅지 아래에 두고 몸을 곧게 편 채 이 자세로 고요히 앉는 것을 만자(卍字 Swastika 스와스티카)<ref>स्वस्तिक 또는 svastika 스바스티카는 태양(신격의 비쉬누)빛(살)을 상징하는 바퀴 형상( A. 커닝햄 경에 따르면 그것은 태양 숭배와 아무런 관련이 없지만 그 모양은 상서로운 단어 suasti[svasti]의 글자가 얽힌 모노그램을 나타냅니다-모니어-윌리암스 산스크리트-영어 사전)</ref>라고 합니다.<br>
[1.22]Placing the right ankle on the left side and the left ankle
on the right side, makes Gomukhaāsana, having the
appearance of a cow.<br>
오른쪽 발목을 왼쪽에, 왼쪽 발목을 오른쪽에 배치하면 소의 모습을 한 고무카(아)사나(Gomukhaāsana)가 됩니다.<br>
[1.23]Vīrāsana<br>
One foot is to be placed on the thigh of the opposite
side; and so also the other foot on the opposite thigh.
This is called Vīrāsana.<br>
비라사나<ref>vīrāsana वीरासन hero-sitting 영웅좌(식) 또는 (결)가부좌 </ref><ref>‘영웅좌’(Type V2)에 기반을 둔 아사나(Āsana) 연구 -영웅좌(Vīrāsana), 연화좌(Padmāsana), 행운좌(Bhadrāsana)를 중심으로 A Study on Various Āsanas Based on the Second Type of Vīrāsana (Type V2 , 2022, vol., no.27, 통권 27호 pp. 165-223 (59 pages)DOI : 10.23118/jys.2022..27.165 발행기관 : 한국요가학회 [KC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35454 #]</ref><br>
한쪽 발은 (그 발의 허벅지 바깥쪽)대퇴골 옆에 놓입니다. 반대쪽(발의) 허벅지의 다른 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것을 비르아사나(비라(아)사나 Vīrāsana)라고 합니다.
<br>
[1.24]Kurmāsana<br>
쿠르마사나<br>
Placing the right ankle on the left side of anus, and the left ankle on the right side of it, makes what the Yogīs call Kūrmaāsana.<br>
오른쪽 발목을 항문 왼쪽 위로 가져가 놓고 (이후에) 왼쪽 발목을 항문 오른쪽 위에 가져가 놓으면 요기들이 쿠르마(아)사나(Kūrmaāsana)라고 부르는 (아사나의 준비자세가 되고 이후에) 이것을 만들수있습니다.(2번째 파드마아사나 입니다)<ref>2번째[1.47][1.48][1.49]파드마아사나(Padmaāsana)를 참고하십시요. </ref><br>
[1.25]Kukkutāsana<br>
Taking the posture of Padmaāsana and carrying the hands under the thighs, when the Yogī raises himself above the ground, with his palms resting on the ground,
it becomes Kukkutaāsana<br>
쿠쿠타사나<br>
파드마아사나(Padmaāsana)<ref>2번째[1.47][1.48][1.49]파드마아사나(Padmaāsana)를 참고하십시요. </ref> 자세를 취하고 양손을 허벅지 아래에 두고 요기가 손바닥을 땅에 대고 땅 위로 몸을 일으킬 때,
그것은 쿠쿠타아사나(Kukkutaāsana)가 됩니다<br>
[1.26]Uttāna Kūrmaāsana<br>
Having assumed Kukkutaāsana, when one grasps his
neck by crossing his hands behind his head, and lies in
this posture with his back touching the ground, it
becomes Uttāna Kūrmaāsana, from its appearance like
that of a tortoise<br>
웃타나 쿠르마아사나<br>
쿠쿠타아사나(Kukkutaāsana)를 취한 후 머리 뒤로 두 손을 교차시켜 목을 잡고 등이 땅에 닿은 자세로 누워 있으면 거북이의 모습에서 우따나(웃타나) 쿠르마아사나(Uttāna Kūrmaāsana)가 됩니다.<br>
[1.27]Dhanurāsana<br>
Having caught the toes of the feet with both the hands
and carried them to the ears by drawing the body like a
bow, it becomes Dhanura āsana<br>
다누라사나<br>
양손으로 발의 발가락을 잡고 활처럼 몸을 그려 귀까지 가져간 후 다누라 아사나(Dhanura āsana)가 됩니다.<br>
[1.28][1.29]Matsyaāsana<br>
Having placed the right foot at the root of the left thigh,
let the toe be grasped with the right hand passing over
the back, and having placed the left foot on the right
thigh at its root, let it be grasped with the left hand
passing behind the back. This is the āsana, as explained
by Sri Matsyanātha. It increases appetite and is an
instrument for destroying the group of the most deadly
diseases. Its practice awakens the Kundalinī, stops the
nectar shedding from the moon in people.<br>
마츠야사나(마트샤아사나 또는 마츠야나타matsyanatha)<ref>मत्स्य matsya a fish 물고기 , मत्स्यासन matsyāsana </ref><ref>[참고]우타나 파다 단다 마츠야나타 uttana-pada-danda matsyanatha</ref><br>
오른쪽 발을 왼쪽 허벅지 뿌리<ref>사타구니, 샅, 사타귀, 가랑이, 고간(股間), 서혜부(鼠蹊部) , groin(해부학), crotch, inguinal region</ref>에 놓고 오른손이 뒤를 지나 발가락을 잡도록 하고, 왼쪽 발을 오른쪽 허벅지 뿌리에 놓고 왼손이 뒤를 지나며 잡도록 합니다. 이것이 선생님 마츠야나타(Sri Matsyanātha)가 설명하는 아사나입니다. 그것은 식욕을 증가시키고 가장 치명적인 질병들을 파괴하는 도구입니다. 그 수행은 쿤달리니(Kundalinī)<ref>[구글번역 참고](in yoga) latent female energy believed to lie coiled at the base of the spine.(요가에서) 잠재된 여성(형 표현의) 에너지는 척추 기저부에 감겨져 있다고 믿어집니다.</ref>를 깨우고 달(moon)에서 사람들의 꿀이 흘러나오는 것을 잘 막습니다.<br>
[1.30]Paśchima Tāna<br>
Having stretched the feet on the ground, like a stick, and
having grasped the toes of both the feet with both the
hands, when one sits with his forehead resting on the
thighs, it is called Paśchima Tāna.<br>
파스치마 타나<ref>पश्चिम paścima तान tāna(= उत्तान uttāna)</ref><ref>단다(दण्डा daṇḍā 막대기)의 훌륭한 전형적인 응용동작입니다. 한편 이것은 K요가(Korean yoga)의 전형적인 경혈무드라(經穴mudra)를 구현하는 예시로 사용할수있습니다. 일례로 경혈무드라를 주요하게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에 속하는 혈(穴) 삼리혈(三里穴 무릎 아래 약간 바깥쪽 부위에 위치하고 있음) 및 독비(犢鼻) 그리고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의 가로금과 세로금자리인 오금 혈자리(합양(合陽),위중(委中),위양(委陽),부극(浮隙)들)의 반다(bandha=tendon)를 수기(水氣) 또는 화기(火氣)에서 이를 구현되도록 구체화할수있습니다. (참고1)침구경험방 허임1644</ref><br>
발을 땅바닥에 막대기처럼 쭉 뻗고, 두 손으로 두 발의 발가락을 잡고 허벅지 위에 이마를 대고 앉은것을 파스치마 타나(Paśchima Tāna)(또는 파스치모타나paśchimo-tāna)라고 합니다.<br>
[1.31]This Paśchima Tāna carries the air from the front to the
back part of the body (i.e., to the susumna). It kindles
gastric fire, reduces obesity and cures all diseases of
men.<br>
이 파스치마 타나(Paśchima Tāna)는 신체의 앞쪽에서 뒤쪽으로(즉, 수숨나(susumna)<ref>또는 수슘나sushumna,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23986 수슘나 나디의 수행적, 세속적 의미_Śiva Svarodaya를 중심으로 Meaning of Suṣumnā Nāḍīin Practice and Material Life] KCI 김재민 DOI : 10.32761/kjip.2008..24.008 인도철학회 KJIP 2008, vol., no.24, pp. 199-227 (29 pages) </ref>로) 공기를 운반합니다. 위화(胃熱)를 일으키고 비만을 감소시키며 남성의 모든 질병을 치유합니다.<br>
[1.32]Mayūraāsana<br>
Place the palms of both the hands on the ground, and place the navel on both the elbows and balancing thus, the body should be stretched backward like a stick. This is called mayūraāsana.<br>
마유라아사나<br>
양 손바닥을 땅에 대고 배꼽을 양 팔꿈치 위에 올려 균형을 잡으며 몸을 막대기처럼 뒤로 쭉 뻗는다. 이것을 마유라아사나(mayūraāsana)라고 합니다.<br>
[1.33] This āsana soon destroys all diseases, and removes
abdominal disorders, and also those arising from
irregularities of phlegm, bile and wind, digests
unwholesome food taken in excess, increases appetite
and destroys the most deadly poison. <br>
이 아사나는 곧 모든 질병을 없애고, 복부의 장애를 제거하며, 가래, 담즙, 풍의 불규칙으로 인한 장애를 제거하고, 과식한 불건전한 음식을 소화시키고, 식욕을 증가시키며, 가장 치명적인 독을 파괴합니다.<br>
[1.34]Śavaāsana<br>
Lying down on the ground, like a corpse, is called Śavaāsana. It removes fatigue and gives rest to the mind<br>
사(샤)바아사나<br>
시체처럼 땅에 눕는 것을 사바아사나(Śavaāsana)라고 합니다. 피로를 풀어주고 마음에 휴식을 줍니다.<br>
[1.35]Śiva taught 84 āsanas. Of these the first four being
essential ones, I am going to explain them here.<br>
시바(Śiva)는 84개의 아사나를 가르쳤습니다. 이 중 처음 네 가지는 필수적인 것이므로 여기서 설명하겠습니다.<br>
[1.36]These four are:—The Siddha, Padma, Sinha and Bhadra.
Even of these, the Siddhaāsana, being very comfortable,
one should always practise it.<br>
이 네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싯(싣)다(Siddha), 파드마(Padma), 신하(Sinha 또는 심하Simha), 바드라(Bhadra).
이들 중에서도 싯다아사나(Siddhaāsana또는 싣다사나)는 매우 편안하며, 항상 실천해야 합니다.<br>
[1.37]Press firmly the heel of the left foot against the
perineum, and the right heel above the male organ. With
the chin pressing on the chest, one should sit calmly,
having restrained the senses, and gaze steadily the space
between the eyebrows.<br>
왼쪽 발 뒤꿈치를 회음부에 단단히 누르고 오른쪽 발 뒤꿈치를 남성 성기 위(앞)쪽에서 누룹니다. 턱을 가슴에 대고 감각을 억제한 채 고요히 앉아 눈썹 사이를 응시해야 합니다.<br>
[1.38]This Siddhāsana is performed also by placing the left heel on medhra (above the male organ), and then placing the right one on it.<br>
이 싯다사나(Siddhāsana)는 또한 왼쪽 발뒤꿈치를 메드라(성기 또는 회음부) 앞쪽 위치에 놓고 오른쪽 발뒤꿈치를 그 위에 놓는 방식으로도 수행됩니다.<br>
[1.39]Some call this Siddhāsana, some Vajrāsana. Others call it mukta āsana or Gupta āsana.<br>
어떤 사람들은 이것을 싯다(싣다)아사나(Siddhāsana)라고 부르고 어떤 사람들은 바즈라사나(Vajrāsana)라고 부릅니다. 다른 사람들은 그것을 묵타(무크타) 아사나(mukta āsana)<ref>मुक्तासन muktāsana </ref> 또는 굽타 아사나(Gupta āsana)라고 부릅니다.<ref>[1.39]의 동의어들과 자세들의 복잡성은 (누은자세 그리고) 앉은 자세와 일어서기의 중간단계인 엉덩이가 들린 자세와의 연관성을 보여줍니다.</ref>
<br>[1.40]Just as sparing food is among Yamas, and Ahimsā
among the Niyamas, so is Siddhāsana called by adepts
the chief of all the āsanas.<br>
야마스(Yamas, 규칙적인 생활 등)중에는 음식을 아끼기(절식)가(이) 있고 니야마스(Niyamas)<ref>니야마스(Niyamas) 주목注目 또는 관조(觀照),의식 준수 </ref>중에는 아힘사(Ahimsā,평화로움)<ref>(때에 따라서) 이끌림과 배타함의 상쇄(음양의 조화) 또는 사마띠(삼다) 또는 자기자신과의 끝임없는 대화의 노력으로 도달하는 경지 </ref>가 있듯이(중요하듯이), 숙달자들은 싯다 아사나(Siddhāsana싯다사나)를 모든 아사나의 우두머리라고 부릅니다.
<br>[1.41]Out of the 84 āsanas Siddhāsana should always be practised, because it cleanses the impurities of 7,000 nādīs.<br>
84개의 아사나 중에서 싯다사나(Siddhāsana)는 항상 수행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7,000개의 나디(nādī)의 불순물을 정화하기(시작하기) 때문입니다.
<br>[1.42]By contemplating on oneself, by eating sparingly, and by practising Siddhāsana for years, the Yogī obtains success.<br>
자신에 대해 명상하고, 적게 먹고, 수년간 싯다아사나를 수행함으로써 요기는 성공을 얻습니다.
<br>[1.43]Other postures are of no use, when success has been achieved in Siddhāsana, and Prāna Vāyū becomes calm and restrained by Kevala Kumbhaka.<br>
싯다사나(Siddhāsana)에서 성공을 거두고 프라나 바유(Prana Vāyū)가 케발라 쿰바카(Kevala Kumbhaka)<ref>(자기자신과 대화하며) 무한한 계단을 오르는 (숨쉬는) 항아리</ref><ref>케발라(Kevala)는 순수한 또는 완전한, 쿰바카(Kumbhaka)는 항아리로 이해해볼때 프라나야마(HYP 제2장 [2.1]참고)인 호흡조절법과 관련한 맥락(context)를 주요하게 다룰수있게해준다.</ref><ref>[[라자 요가|요가수트라]](라자요가) (저자)파탄잘리Patanjali (영문번역) 스와미 비베카난다1896 Raja Yoga and Patanjali's Yoga Aphorisms(The Yoga-Sutra of Patanjali)라자요가 그리고 요가수트라 판탄잘리판 Swami Vivekananda 스와미 비베카난다1896 산스크리트어 및 영문[https://ia600301.us.archive.org/1/items/RajaYogaAndPatanjalisYogaAphorisms/Raja%20Yoga.pdf] </ref>에 의해 차분해지고 억제되면 다른 자세는 (더이상)소용(의미)이(가) 없습니다.
<br>[1.44]Success in one Siddhāsana alone becoming firmly established, one gets Unmanī at once, and the three bonds (Bandhas) are accomplished of themselves.<br>
이러한 싯다사나(Siddhāsana)의 성공이 확고히 확립되고, (확고히)한 사람이 움마니(Unmanī)<ref>또는 운마니(unmaṇi)उन्मणि 는 (a gem lying on the surface)두눈의 눈썹 가운데 위 이마 중앙에 위치한 곳(보석)을 가리킨다. (요가에서는) 비의식의 (세계의)경계를 비유할수있다.</ref>를 이어서 얻고, 세 가지 반다(tri-bandha)가 따라서 완성됩니다.
<br>[1.45]There is no āsana like the Siddhāsana and no Kumbhaka like the Kevala. There is no mudrā like the Khechari and no laya like the Nāda (Anāhata Nāda.)<br>
싯다사나(Siddhāsana)와 같은 아사나(āsana)는 없으며 케발라(Kevala)<ref>숨이 멈춰진(케발라(Kevala)만 있는) 쿰바카(Kumbhaka) [2.71]참고</ref>와 같은 쿰바카(Kumbhaka)<ref>(숨쉬는) 항아리</ref>는 없습니다. 케차리(Khechari)<ref>케카리khecarī [3.32]와[4.43]을 반드시 비교해야 합니다. 케차리는 단순히 혀만의 기립여부가 중요한것이 아닙니다. 여기에서 케차리는 [4.□□](사마띠)의 [4.43] 그리고 [3.70]잘란다라 반다(Jālandhara Bandha)의 케차리를 가리킵니다.</ref>와 같은 무드라(mudrā)도 없고 나다(Anāhata Nāda 아나하타 나다)<ref>नाद nāda 소리(any sound or tone)</ref><ref>[4.1],[4.65]</ref>와 같은 라야(laya)도 없습니다.<br>
Padmāsana
<br>[1.46]Place the right foot on the left thigh and the left foot on the right thigh, and grasp the toes with the hands crossed over the back. Press the chin against the chest and gaze on the tip of the nose. This is called the Padmāsana, the destroyer of the diseases of the Yamīs.<br>
파드마사나<ref>파드마사나는 [1.46]'야미스(Yamīs)의 질병을 파괴하는 파드마사나(Padmāsana)'인 1번째 파드마사나(밧다 파드마사나Baddha Padmasana라고도 함)와 2번째 파드마사나(연꽃자세라고도 함) [1.47][1.48][1.49]'모든 질병의 파괴자인 파드마사나(Padmāsana)'가 기술됬다는것(2종류)을 참고한다.</ref><br>
오른발은 왼쪽 허벅지 위에 , 왼발은 오른쪽 허벅지 위에 올려놓습니다. 양손을 등 뒤에서 교차시켜 (오른손이 오른쪽 발가락을 그리고 왼손이 왼쪽)발가락을 잡습니다. 턱을 가슴에 대고 코끝을 바라봅니다. 이것은 야미스(Yamīs)의 질병을 파괴하는 (밧다baddha)파드마사나(Padmāsana)라고 불립니다.
<br>[1.47]Place the feet on the thighs, with the soles upwards, and place the hands on the thighs, with the palms upwards.<br>
발바닥이 위로 향하도록 발을 허벅지 위에 놓고, 손은 손바닥이 위로 향하게 하여 허벅지 위에 놓습니다.
<br>[1.48]Gaze on the tip of the nose, keeping the tongue pressed against the root of the teeth of the upper jaw, and the chin against the chest, and raise the air up slowly, i.e., pull the apānavāyū gently upwards.<br>
혀를 윗턱의 치아 뿌리에 대고 턱을 가슴에 대고 누른 상태에서 코끝을 바라보면서 천천히 공기를 들어 올리십시오. 즉, 아파나바유를 부드럽게 위쪽으로 당깁니다.
<br>[1.49]This is called the Padmāsana, the destroyer of all diseases. It is difficult of attainment by everybody, but can be learnt by intelligent people in this world.<br>
이것을 모든 질병의 파괴자인 파드마사나(Padmāsana)라고 부릅니다. 누구든지 성취하기는 어렵지만 이 세상의 지성적인 사람들은 배울 수 있습니다.
<br>[1.50]Having kept both the hands together in the lap, performing the Padmāsana firmly, keeping the chin Fixed to the chest and contemplating on Him in the mind, by drawing the apānavāyū up (performing mūla Bandha) and pushing down the air after inhaling it, joining thus the prāna and apāna in the navel, one gets
the highest intelligence by awakening the śakti(kundalinī) thus.
N.B.:- When Apāna Vāyū is drawn gently up and after filling in the lungs with the air from outside, the prāna is forced down by and by so as to join both of them in the navel, they both enter then the Kundalinī and, reaching the Brahma randhra (the great hole), they make the mind calm. Then the mind can contemplate on the nature of the ātmana and can enjoy the highest bliss.<br>
두 손을 무릎 위에 모으고 파드마아사나를 굳게 수행하며 턱을 가슴에 고정하고 마음속에 그를 명상한 후, 아파나바유를 위로 끌어당기고(물라 반다 수행) 숨을 들이마신 후 공기를 아래로 밀어내며 결합합니다. 따라서 배꼽에 있는 프라나와 아빠나는 따라서 삭티(śakti(샥티),kundalinī)를 각성시켜 최고의 지능을 얻습니다.
참고:- 아파나 바유(Apana Vāyū)가 부드럽게 위로 당겨지고 폐에 외부 공기를 채운 후 프라나가 강제로 아래로 내려가 두 프라나가 배꼽에 합류하게 된 다음 둘 다 쿤달리니(Kundalinī)에 들어가 도달합니다. 브라흐마 란드라(큰 구멍)는 마음을 고요하게 만듭니다. 그러면 마음은 아뜨마나(ātmana)의 본질에 대해 명상할 수 있고 최고의 행복을 누릴 수 있습니다.
<br>[1.51]The Yogī who, sitting with Padmāsana, can control
breathing, there is no doubt, is free from bondage.<br>
파드마사나와 함께 앉아 호흡을 조절할 수 있는 요기는 의심의 여지 없이 속박에서 벗어났습니다.
<br>[1.52]Press the heels on both sides of the seam of Perineum, in such a way that the left heel touches the right side and the right heel touches the left side of it.<br>
왼쪽 발뒤꿈치가 오른쪽에 닿고 오른쪽 발뒤꿈치가 왼쪽에 닿도록 회음 솔기 양쪽을 발뒤꿈치로 누릅니다.<ref>현대요가에서는 무릎꿇기 자세에서처럼 왼쪽발뒤꿈치가 왼쪽엉덩이에 그리고 오른쪽발뒤꿈치에(가) 오른쪽엉덩이를 올려놓는(받치는) 자세로 구현될수있습니다.</ref>
<br>[1.53]Place the hands on the thighs, with stretched fingers, and
keeping the mouth open and the mind collected, gaze on the tip of the nose.<br>
손가락을 쭉 뻗은 채 허벅지 위에 손을 올려놓고,
입을 벌리고 정신을 집중한 채 코끝을 응시합니다.
<br>[1.54]This is Simhāsana, held sacred by the best of Yogīs.
This excellent āsana effects the completion of the three Bandhas (The mūlabandha, Kantha or Jālandhar Bandha and Uddiyāna Bandha).<br>
이것이 최고의 요기들이 신성하게 여기는 심하사나(Simhāsana)입니다.
이 훌륭한 아사나는 세 가지 반다(물라반다(mūlabandha), 칸타 또는 잘란다 반다(Jālandhar Bandha) 및 웃디야나(Uddiyāna)반다)의 완성에 영향을 미칩니다.<br>
The Bhadrāsana
<br>[1.55][1.56]Place the heels on either side of the seam of the Perineum, keeping the left heel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one on the right side, hold the feet firmly joined to one another with both the hands. This Bhadrāsana is the destroyer of all the diseases.<br>
바드라사나<ref>[[File:Master_hatayoga_alpa01.svg|프레임없음]]</ref><br>
발뒤꿈치를 회음 솔기의 양쪽에 놓고 왼쪽 발뒤꿈치를 왼쪽에, 오른쪽 발뒤꿈치를 오른쪽에 두고 두 손으로 발이 서로 단단히 연결되도록 잡습니다. 이 바드라사나는 모든 질병의 파괴자입니다.<br>
<br>[1.57]The expert Yogīs call this Gorakśa āsana. By sitting with this āsana, the Yogī gets rid of fatigue.<br>
전문가 요기들은 이것을 고락사 아사나(Gorakśa āsana)라고 부릅니다.<ref>이 아사나로부터 (엉덩이를 들어)앉게 되면 전문가 요기들은 이것을 고락사 아사나(Gorakśa āsana)라고 부릅니다. [1.39]에서 처럼 묵타사나(muktasana) 또는 욷카타사나(utkatasana)를 참고할수있습니다</ref> 이 아사나와 함께 앉아 있으면 요기는 피로를 없앨 수 있습니다.<br>
<br>[1.58]The Nādis should be cleansed of their impurities by performing the mudrās, etc., (which are the practices relating to the air) āsanas, Kumbhakas and various curious mūdrās.<br>
나디(들)는(은) 무드라<ref>HYP 제3장 [3.1]~ </ref> 등(공기와 관련된 수행) 아사나, 쿰바카 및 다양한 호기심 많은 무드라를 수행하여 불순물을 정화해야 합니다.<br>
<br>[1.59]By regular and close attention to Nāda (anāhata nāda) in Hatha Yoga, a Brahmachari, sparing in diet, unattached to objects of enjoyment, and devoted to Yoga, gains success, no doubt, within a year.<br>
하타 요가의 나다(anāhata nāda)에 정기적이고 세심한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브라흐마차리는 식사를 아끼고 즐거움의 대상에 집착하지 않고 요가에 헌신함으로써 의심할 바 없이 1년 안에 성공을 얻습니다.<br>
<br>[1.60]Abstemious feeding is that in which ¾ of hunger is satisfied with food, well cooked with ghee and sweets, and eaten with the offering of it to Śiva.<br>
절제된 식사는 배고픔의 3분의 1을 음식으로 만족시키고 버터 기름과 과자로 잘 요리하여 시바에게 바치는 것과 함께 먹는 것입니다.<br>
<br>Foods injurious to a Yogī<br>[1.61]Bitter, sour, saltish, hot, green vegetables, fermented,oily, mixed with til seed, rape seed, intoxicating liquors,fish, meat, curds, chhaasa pulses, plums, oilcake,asafœtida (hīnga), garlic, onion, etc., should not be eaten. <br>
요기에게 해로운 음식<br>
쓴맛, 신맛, 짠맛, 매운맛, 녹색 채소, 발효,
기름진 것, 틸씨, 유채 씨, 취하게 하는 술,
생선, 고기, 응유, 차하사 펄스, 자두, 오일케이크,
아사포에티다(힌가), 마늘, 양파 등은 (탈나도록)먹어서는 안 됩니다. <br>
<br>[1.62]Food heated again, dry, having too much salt, sour, minor grains, and vegetables that cause burning sensation, should not be eaten, Fire, women, travelling, etc., should be avoided.<br>
다시 가열한 음식, 건조한 음식, 염분이 많은 음식, 신맛이 나는 음식, 잡곡, 화끈거림을 일으키는 야채 등은 (즐겨)먹지 말고, (매우 강열한)열기나 여성(또는 이성), (낯선환경)여행 등에서 (매우 곤란한 처지에)놓이지 말아야 합니다.<br>
<br>[1.63]As said by Goraksa, one should keep aloof from the society of the evilminded, fire, women, travelling, early morning bath, fasting, and all kinds of bodily exertion.<br>
고락사가 말한 대로 악한(불건전한) 자들과의 교제, 불, 여자(또는 이성), 여행, 이른 아침 목욕, 단식, 온갖 육체적인 과로를 가능한한 멀리해야 합니다.<br>
<br>[1.64]Wheat, rice, barley, shāstik (a kind of rice), good corns, milk, ghee, sugar, butter, sugarcandy, honey, dried ginger, Parwal (a vegetable) the five vegetables, moong, pure water; these are very beneficial to those who practise Yoga.<br>
밀, 쌀, 보리, 샤스틱(쌀의 일종), 좋은 옥수수, 우유, 버터 기름, 설탕, 버터, 사탕, 꿀, 말린 생강, 파르왈(야채) 다섯 가지 야채, 녹, 순수한 물. 이는 요가를 수련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익합니다.<br>
<br>[1.65]A Yogī should eat tonics (things giving strength), well sweetened, greasy (made with ghee), milk, butter, etc., which may increase humors of the body, according to his desire.<br>
요기(Yogī)는 자신의 욕구에 따라 몸의 체액을 증가시킬 수 있는 토닉(tonic)들<ref>천연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또는 식물 생리활성 화합물(Plant Bioactive Compound)등</ref>(힘을 주는 것), 잘 달고 기름진 것(버터기름으로 만든 것), 우유, 버터 등을 섭취해야 합니다.<br>
<br>[1.66]Whether young, old or too old, sick or lean, one who discards laziness gets success if he practises Yoga.<br>
젊거나 늙었거나 너무 늙었거나, 아프거나 마르거나 (단지)게으름을 버리는 사람이 요가를 (꾸준히)수행할때 성공합니다.<br>
<br>[1.67]Success comes to him who is engaged in the practice.
How can one get success without practice; for by merely reading books on Yoga, one can never get success.<br>
성공은 실천하는 사람에게 찾아옵니다.
연습 없이 어떻게 성공할 수 있습니까? 왜냐하면 단지 요가에 관한 책을 읽는 것만으로는 결코 성공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br>
<br>[1.68]Success cannot be attained by adopting a particular dress (Vesa). It cannot be gained by telling tales. Practice alone is the means to success. This is true, there is no doubt.<br>
특정 드레스(베사)를 입는다고 성공할 수는 없습니다. 그것은 이야기를 해서 얻을 수 없습니다. 연습만이 성공의 수단입니다. 이것은 사실이며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br>
<br>[1.69][1.70]āsanas (postures), various Kumbhakas, and other divine means, all should be practised in the practice of Hatha Yoga, till the fruit—Rāja Yoga—is obtained.<br>
아사나(자세), 다양한 쿰바카(Kumbhaka), 기타 신성한 수단 등 모두 하타 요가 수행 시 라자 요가라는 열매를 얻을 때까지 수행해야 합니다.
<br>
<br>
End of chapter 1, on the method of forming the āsanas.<br>
1장의 끝, 아사나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col-2}}
[16]
<poem>
'''उपदेशः १
'''प्रथभोऩदेश् : Prathamopadeśah<br>
श्रीआदिनाथाय नमोऽस्तु तस्मै
येनोपदिष्टा हठयोगविद्या ।
विभ्राजते प्रोन्नतराजयोगम्
आरोढुं इच्छोरधिरोहिणीव ॥ १.१ ॥
[1.1]Śrī ādi nāthāya namostu tasmai
yenopadishtā hathayogavidyā
vibhrājate pronnatarājayogam
ārodhumichchoradhirohinīva <br>
प्रणम्य श्रीगुरुं नाथं स्वात्मारामेण योगिना ।
केवलं राजयोगाय हठविद्योपदिश्यते ॥ १.२ ॥
[1.2]Pranamya śrīghurum nātham svātmārāmena yoginā
kevalam rājayogāya hathavidyopadiśyate<br>
भ्रान्त्या बहुमतध्वान्ते राजयोगं अजानताम् ।
हठप्रदीपिकां धत्ते स्वात्मारामः कृपाकरः ॥ १.३ ॥
[1.3]Bhrāntyā bahumatadhvānte rājayogamajānatām
hathapradīpikām dhatte svātmārāmah krpākarah <br>
हठविद्यां हि मत्स्येन्द्रगोरक्षाद्या विजानते ।
स्वात्मारामोऽथवा योगी जानीते तत्प्रसादतः ॥ १.४ ॥
[14]Hathavidyām hi matsyendraghorakshādyā vijānate
svātmārāmoathavā yogī jānīte tatprasādatah<br>
श्रीआदिनाथमत्स्येन्द्रशावरानन्दभैरवाः ।
चौरङ्गीमीनगोरक्षविरूपाक्षबिलेशयाः ॥ १.५ ॥
[1.5]Śrīādināthamatsyendraśāvarānandabhairavāh
chaurangghīmīnaghorakshavirūpākshabileśayāh<br>
मन्थानो भैरवो योगी सिद्धिर्बुद्धश्च कन्थडिः ।
कोरंटकः सुरानन्दः सिद्धपादश्च चर्पटिः ॥ १.६ ॥
[1.6]Manthāno bhairavo yogī siddhirbuddhaścha kanthadih
koramtakah surānandah siddhapādaścha charpatih <br>
कानेरी पूज्यपादश्च नित्यनाथो निरञ्जनः ।
कपाली बिन्दुनाथश्च काकचण्डीश्वराह्वयः ॥ १.७ ॥
[1.7]Kānerī pūjyapādaścha nityanātho nirañjanah
kapālī bindunāthaścha kākachandīśvarāhvayah<br>
अल्लामः प्रभुदेवश्च घोडा चोली च टिंटिणिः ।
भानुकी नारदेवश्च खण्डः कापालिकस्तथा ॥ १.८ ॥
[1.8]Allāmah prabhudevaścha ghodā cholī cha timtinih
bhānukī nāradevaścha khandah kāpālikastathā<br>
इत्यादयो महासिद्धा हठयोगप्रभावतः ।
खण्डयित्वा कालदण्डं ब्रह्माण्डे विचरन्ति ते ॥ १.९ ॥
[1.9]Ityādayo mahāsiddhā hathayogaprabhāvatah
khandayitvā kāladandam brahmānde vicharanti te <br>
अशेषतापतप्तानां समाश्रयमठो हठः ।
अशेषयोगयुक्तानां आधारकमठो हठः ॥ १.१० ॥
[1.10]Aśeshatāpataptānām samāśrayamatho hathah
aśeshayogayuktānāmādhārakamatho hathah <br>
हठविद्या परं गोप्या योगिना सिद्धिं इच्छता ।
भवेद्वीर्यवती गुप्ता निर्वीर्या तु प्रकाशिता ॥ १.११ ॥
[1.11]Hathavidyā param gopyā yoginā siddhimichchatā
bhavedvīryavatī guptā nirvīryā tu prakāśitā<br>
सुराज्ये धार्मिके देशे सुभिक्षे निरुपद्रवे ।
धनुः प्रमाणपर्यन्तं शिलाग्निजलवर्जिते ।
एकान्ते मठिकामध्ये स्थातव्यं हठयोगिना ॥ १.१२ ॥
[1.12]Surājye dhārmike deśe subhikshe nirupadrave
dhanuh pramānaparyantam śilāgnijalavarjite
Ekānte mathikāmadhye sthātavyam hathayoginā<br>
अल्पद्वारं अरन्ध्रगर्तविवरं नात्युच्चनीचायतं
सम्यग्गोमयसान्द्रलिप्तं अमलं निःशेसजन्तूज्झितम् ।
बाह्ये मण्डपवेदिकूपरुचिरं प्राकारसंवेष्टितं
प्रोक्तं योगमठस्य लक्षणं इदं सिद्धैर्हठाभ्यासिभिः ॥ १.१३ ॥
[1.13]Alpadvāramarandhragartavivaram
ātyuchchanīchāyatam
samyaggomayasāndraliptamamalam
nihśesajantūjjhitam
Bāhye mandapavedikūparuchiram prākārasamveshtitam
proktam yogamathasya lakshanamidam
siddhairhathābhyāsibhih<br>
एवं विधे मठे स्थित्वा सर्वचिन्ताविवर्जितः ।
गुरूपदिष्टमार्गेण योगं एव समभ्यसेत् ॥ १.१४ ॥
[1.14]vam vidhe mathe sthitvā sarvachintāvivarjitah
ghurūpadishtamārgena yogameva samabhyaset<br>
अत्याहारः प्रयासश्च प्रजल्पो नियमाग्रहः ।
जनसङ्गश्च लौल्यं च षड्भिर्योगो विनश्यति ॥ १.१५ ॥
[1.15]Atyāhārah prayāsaścha prajalpo niyamāghrahah
janasangaścha laulyam cha shadbhiryogo vinaśyati<br>
उत्साहात्साहसाद्धैर्यात्तत्त्वज्ञानाश्च निश्चयात् ।
जनसङ्गपरित्यागात्षड्भिर्योगः प्रसिद्ध्यति ॥ १.१६ ॥
[1.16]Utsāhātsāhasāddhairyāttattvajñānāścha niśchayāt
janasangghaparityāghātshadbhiryogah prasiddhyati<br>
'''अथ यमनियमाः
अहिंसा सत्यं अस्तेयं ब्रह्मचर्यं क्षमा धृतिः ।
दयार्जवं मिताहारः शौचं चैव यमा दश ॥ १.१७ ॥
[1.17]Atha yamaniyamāh<br>
Ahimsā satyamasteyam brahmacharyam kshamā dhrtih
dayārjavam mitāhārah śaucham chaiva yamā daśa<br>
तपः सन्तोष आस्तिक्यं दानं ईश्वरपूजनम् ।
सिद्धान्तवाक्यश्रवणं ह्रीमती च तपो हुतम् ।
नियमा दश सम्प्रोक्ता योगशास्त्रविशारदैः ॥ १.१८ ॥
[1.18]Tapah santosha āstikyam dānamīśvarapūjanam
siddhāntavākyaśravanam hrīmatī cha tapo hutam
niyamā daśa samproktā yogaśāstraviśāradaih<br>
'''अथ आसनम्
हठस्य प्रथमाङ्गत्वादासनं पूर्वं उच्यते ।
कुर्यात्तदासनं स्थैर्यं आरोग्यं चाङ्गलाघवम् ॥ १.१९ ॥
[1.19]Atha āsanam<br>
hathasya prathamāngghatvādāsanam pūrvamuchyate
kuryāttadāsanam sthairyamāroghyam chāngalāghavam<br>
वशिष्ठाद्यैश्च मुनिभिर्मत्स्येन्द्राद्यैश्च योगिभिः ।
अङ्गीकृतान्यासनानि कथ्यन्ते कानिचिन्मया ॥ १.२० ॥
[1.20]Vaśishthādyaiścha munibhirmatsyendrādyaiścha
yogibhih
angīkrtānyāsanāni kathyante kānichinmayā<br>
जानूर्वोरन्तरे सम्यक्कृत्वा पादतले उभे ।
ऋजुकायः समासीनः स्वस्तिकं तत्प्रचक्षते ॥ १.२१ ॥
[1.21]Jānūrvorantare samyakkrtvā pādatale ubhe
Rjukāyah samāsīnah svastikam tatprachakshate <br>
सव्ये दक्षिणगुल्फं तु पृष्ठपार्श्वे नियोजयेत् ।
दक्षिणेऽपि तथा सव्यं गोमुखं गोमुखाकृतिः ॥ १.२२ ॥
[1.22] Savye dakshinaghulpham tu prshthapārśve niyojayet
Dakshineapi tathā savyam ghomukham ghomukhākrtih<br>
Vīrāsana<br>
एकं पादं तथैकस्मिन्विन्यसेदुरुणि स्थिरम् ।
इतरस्मिंस्तथा चोरुं वीरासनं इतीरितम् ॥ १.२३ ॥
[1.23]Ekam pādam tathaikasminvinyaseduruni sthiram
Itarasmimstathā chorum vīrāsanamitīritam<br>
Kurmāsana<br>
गुदं निरुध्य गुल्फाभ्यां व्युत्क्रमेण समाहितः ।
कूर्मासनं भवेदेतदिति योगविदो विदुः ॥ १.२४ ॥
[1.24]Ghudam nirudhya ghulphābhyām vyutkramena
samāhitah
Kūrmāsanam bhavedetaditi yogavido viduh<br>
Kukkutāsana<br>
पद्मासनं तु संस्थाप्य जानूर्वोरन्तरे करौ ।
निवेश्य भूमौ संस्थाप्य व्योमस्थं कुक्कुटासनम् ॥ १.२५ ॥
[1.25]Padmāsanam tu samsthāpya jānūrvorantare karau
Niveśya bhūmau samsthāpya vyomastham
kukkutāsanam<br>
Uttāna Kūrmaāsana<br>
कुक्कुटासनबन्धस्थो दोर्भ्यां सम्बद्य कन्धराम् ।
भवेद्कूर्मवदुत्तान एतदुत्तानकूर्मकम् ॥ १.२६ ॥
[1.26]Kukkutāsanabandhastho dorbhyām sambadya
kandharām
Bhavedkūrmavaduttāna etaduttānakūrmakam<br>
Dhanurāsana<br>
पादाङ्गुष्ठौ तु पाणिभ्यां गृहीत्वा श्रवणावधि ।
धनुराकर्षणं कुर्याद्धनुरासनं उच्यते ॥ १.२७ ॥
[1.27]Pādāngghushthau tu pānibhyām ghrhītvā śravanāvadhi
Dhanurākarshanam kuryāddhanurāsanamuchyate<br>
Matsyaāsana<br>
वामोरुमूलार्पितदक्षपादं
जानोर्बहिर्वेष्टितवामपादम् ।
प्रगृह्य तिष्ठेत्परिवर्तिताङ्गः
श्रीमत्य्सनाथोदितं आसनं स्यात् ॥ १.२८ ॥
[1.28]Vāmorumūlārpitadakshapādam
Jānorbahirveshtitavāmapādam
Praghrhya tishthetparivartitāngghah
Śrīmatysanāthoditamāsanam syāt<br>
मत्स्येन्द्रपीठं जठरप्रदीप्तिं
प्रचण्डरुग्मण्डलखण्डनास्त्रम् ।
अभ्यासतः कुण्डलिनीप्रबोधं
चन्द्रस्थिरत्वं च ददाति पुंसाम् ॥ १.२९ ॥
[1.29]Matsyendrapītham jatharapradīptim
Prachandarughmandalakhandanāstram
Abhyāsatah kundalinīprabodham
Chandrasthiratvam cha dadāti pumsām<br>
Paśchima Tāna<br>
प्रसार्य पादौ भुवि दण्डरूपौ
दोर्भ्यां पदाग्रद्वितयं गृहीत्वा ।
जानूपरिन्यस्तललाटदेशो
वसेदिदं पश्चिमतानं आहुः ॥ १.३० ॥
[1.30]Prasārya pādau bhuvi dandarūpau
Dorbhyām padāghradvitayam ghrhītvā
Jānūparinyastalalātadeśo
Vasedidam paśchimatānamāhuh<br>
इति पश्चिमतानं आसनाग्र्यं
पवनं पश्चिमवाहिनं करोति ।
उदयं जठरानलस्य कुर्याद्
उदरे कार्श्यं अरोगतां च पुंसाम् ॥ १.३१ ॥
[1.31]Iti paśchimatānamāsanāghryam
Pavanam paśchimavāhinam karoti
Udayam jatharānalasya kuryād
Udare kārśyamaroghatām cha pumsām<br>
धरां अवष्टभ्य करद्वयेन
तत्कूर्परस्थापितनाभिपार्श्वः ।
उच्चासनो दण्डवदुत्थितः खे
मायूरं एतत्प्रवदन्ति पीठम् ॥ १.३२ ॥ <br>
Mayūraāsana.<br>
[1.32]Dharāmavashtabhya karadvayena
Tatkūrparasthāpitanābhipārśvah
Uchchāsano dandavadutthitah khe
Māyūrametatpravadanti pītham<br>
हरति सकलरोगानाशु गुल्मोदरादीन्
अभिभवति च दोषानासनं श्रीमयूरम् ।
बहु कदशनभुक्तं भस्म कुर्यादशेषं
जनयति जठराग्निं जारयेत्कालकूटम् ॥ १.३३ ॥
[1.33]Harati sakalaroghānāśu ghulmodarādīn
Abhibhavati cha doshānāsanam śrīmayūram
Bahu kadaśanabhuktam bhasma kuryādaśesham
Janayati jatharāghnim jārayetkālakūtam<br>
Śavaāsana<br>
उत्तानं शबवद्भूमौ शयनं तच्छवासनम् ।
शवासनं श्रान्तिहरं चित्तविश्रान्तिकारकम् ॥ १.३४ ॥
[1.34]Uttānam śabavadbhūmau śayanam tachchavāsanam
Śavāsanam śrāntiharam chittaviśrāntikārakam<br>
चतुरशीत्यासनानि शिवेन कथितानि च ।
तेभ्यश्चतुष्कं आदाय सारभूतं ब्रवीम्यहम् ॥ १.३५ ॥
[1.35]Chaturaśītyāsanāni śivena kathitāni cha
Tebhyaśchatushkamādāya sārabhūtam bravīmyaham<br>
सिद्धं पद्मं तथा सिंहं भद्रं वेति चतुष्टयम् ।
श्रेष्ठं तत्रापि च सुखे तिष्ठेत्सिद्धासने सदा ॥ १.३६ ॥
[1.36]Siddham padmam tathā simham bhadram veti
chatushtayam
Śreshtham tatrāpi cha sukhe tishthetsiddhāsane sadā<br>
'''अथ सिद्धासनम्
योनिस्थानकं अङ्घ्रिमूलघटितं कृत्वा दृढं विन्यसेत्
मेण्ढ्रे पादं अथैकं एव हृदये कृत्वा हनुं सुस्थिरम् ।
स्थाणुः संयमितेन्द्रियोऽचलदृशा पश्येद्भ्रुवोरन्तरं
ह्येतन्मोक्षकपाटभेदजनकं सिद्धासनं प्रोच्यते ॥ १.३७ ॥
The Siddhāsana<br>
[1.37]Atha siddhāsanam
Yonisthānakamangghrimūlaghatitam
Krtvā drdham vinyaset
Mendhre pādamathaikameva hrdaye
Krtvā hanum susthiram
Sthānuh samyamitendriyoachaladrśā
paśyedbhruvorantaram
Hyetanmokshakapātabhedajanakam
Siddhāsanam prochyate<br>
मेण्ढ्रादुपरि विन्यस्य सव्यं गुल्फं तथोपरि ।
गुल्फान्तरं च निक्षिप्य सिद्धासनं इदं भवेत् ॥ १.३८ ॥
[1.38]Mendhrādupari vinyasya savyam ghulpham tathopari
Ghulphāntaram cha nikshipya siddhāsanamidam bhavet<br>
एतत्सिद्धासनं प्राहुरन्ये वज्रासनं विदुः ।
मुक्तासनं वदन्त्येके प्राहुर्गुप्तासनं परे ॥ १.३९ ॥
[1.39]Etatsiddhāsanam prāhuranye vajrāsanam viduh
Muktāsanam vadantyeke prāhurghuptāsanam pare<br>
यमेष्विव मिताहारं अहिंसा नियमेष्विव ।
मुख्यं सर्वासनेष्वेकं सिद्धाः सिद्धासनं विदुः ॥ १.४० ॥
[1.40]Yameshviva mitāhāramahimsā niyameshviva
Mukhyam sarvāsaneshvekam
Siddhāh siddhāsanam viduh<br>
चतुरशीतिपीठेषु सिद्धं एव सदाभ्यसेत् ।
द्वासप्ततिसहस्राणां नाडीनां मलशोधनम् ॥ १.४१ ॥
[1.41]Chaturaśītipītheshu siddhameva sadābhyaset
Dvāsaptatisahasrānām nādīnām malaśodhanam<br>
आत्मध्यायी मिताहारी यावद्द्वादशवत्सरम् ।
सदा सिद्धासनाभ्यासाद्योगी निष्पत्तिं आप्नुयात् ॥ १.४२ ॥
[1.42]Ātmadhyāyī mitāhārī yāvaddvādaśavatsaram
Sadā siddhāsanābhyāsādyogī nishpattimāpnuyāt<br>
किं अन्यैर्बहुभिः पीठैः सिद्धे सिद्धासने सति ।
प्राणानिले सावधाने बद्धे केवलकुम्भके ।
उत्पद्यते निरायासात्स्वयं एवोन्मनी कला ॥ १.४३ ॥
[1.43]Kimanyairbahubhih pīthaih siddhe siddhāsane sati
Prānānile sāvadhāne baddhe kevalakumbhake
Utpadyate nirāyāsātsvayamevonmanī kalā<br>
तथैकास्मिन्नेव दृढे सिद्धे सिद्धासने सति ।
बन्धत्रयं अनायासात्स्वयं एवोपजायते ॥ १.४४ ॥
[1.44]Tathaikāsminneva drdhe siddhe siddhāsane sati
Bandhatrayamanāyāsātsvayamevopajāyate<br>
नासनं सिद्धसदृशं न कुम्भः केवलोपमः ।
न खेचरीसमा मुद्रा न नादसदृशो लयः ॥ १.४५ ॥
[1.45]Nāsanam siddhasadrśam na kumbhah kevalopamah
Na khecharīsamā mudrā na nādasadrśo layah<br>
'''अथ पद्मासनम्
वामोरूपरि दक्षिणं च चरणं संस्थाप्य वामं तथा
दक्षोरूपरि पश्चिमेन विधिना धृत्वा कराभ्यां दृढम् ।
अङ्गुष्ठौ हृदये निधाय चिबुकं नासाग्रं आलोकयेत्
एतद्व्याधिविनाशकारि यमिनां पद्मासनं प्रोच्यते ॥ १.४६ ॥
[1.46]Atha padmāsanam
Vāmorūpari dakshinam cha charanam
Samsthāpya vāmam tathā
Dakshorūpari paśchimena vidhinā
Dhrtvā karābhyām drdham
Angghushthau hrdaye nidhāya
Chibukam nāsāghramālokayet
Etadvyādhivināśakāri yaminām
Padmāsanam prochyate<br>
उत्तानौ चरणौ कृत्वा ऊरुसंस्थौ प्रयत्नतः ।
ऊरुमध्ये तथोत्तानौ पाणी कृत्वा ततो दृशौ ॥ १.४७ ॥
[1.47]Uttānau charanau krtvā ūrusamsthau prayatnatah
Ūrumadhye tathottānau pānī krtvā tato drśau<br>
नासाग्रे विन्यसेद्राजदन्तमूले तु जिह्वया ।
उत्तम्भ्य चिबुकं वक्षस्युत्थाप्य्पवनं शनैः ॥ १.४८ ॥
[1.48]Nāsāghre vinyasedrājadantamūle tu jihvayā
Uttambhya chibukam vakshasyutthāpy pavanam śanaih<br>
इदं पद्मासनं प्रोक्तं सर्वव्याधिविनाशनम् ।
दुर्लभं येन केनापि धीमता लभ्यते भुवि ॥ १.४९ ॥
[1.49]Idam padmāsanam proktam sarvavyādhivināśanam
Durlabham yena kenāpi dhīmatā labhyate bhuvi<br>
कृत्वा सम्पुटितौ करौ दृढतरं बद्ध्वा तु पद्मासनं
गाढं वक्षसि सन्निधाय चिबुकं ध्यायंश्च तच्चेतसि ।
वारं वारं अपानं ऊर्ध्वं अनिलं प्रोत्सारयन्पूरितं
न्यञ्चन्प्राणं उपैति बोधं अतुलं शक्तिप्रभावान्नरः ॥ १.५० ॥
[1.50]Krtvā samputitau karau drdhataram
Baddhvā tu padmamāsanam
Ghādham vakshasi sannidhāya chibukam
Dhyāyamścha tachchetasi
Vāram vāramapānamūrdhvamanilam
Protsārayanpūritam
Nyañchanprānamupaiti bodhamatulam
śaktiprabhāvānnarah<br>
पद्मासने स्थितो योगी नाडीद्वारेण पूरितम् ।
मारुतं धारयेद्यस्तु स मुक्तो नात्र संशयः ॥ १.५१ ॥
[1.51]Padmāsane sthito yogī nādīdvārena pūritam
Mārutam dhārayedyastu sa mukto nātra samśayah<br>
'''अथ सिंहासनम्
गुल्फौ च वृषणस्याधः सीवन्याः पार्श्वयोः क्षिपेत् ।
दक्षिणे सव्यगुल्फं तु दक्षगुल्फं तु सव्यके ॥ १.५२ ॥
[1.52]Atha simhāsanam
Ghulphau cha vrshanasyādhah
Sīvantyāh pārśvayoh kshipet
Dakshine savyaghulpham tu
Dakshaghulpham tu savyake<br>
हस्तौ तु जान्वोः संस्थाप्य स्वाङ्गुलीः सम्प्रसार्य च ।
व्यात्तवक्त्रो निरीक्षेत नासाग्रं सुसमाहितः ॥ १.५३ ॥
[1.53]Hastau tu jānvoh samsthāpya
Svāngghulīh samprasārya cha
Vyāttavaktro nirīksheta nāsāghram susamāhitah<br>
सिंहासनं भवेदेतत्पूजितं योगिपुङ्गवैः ।
बन्धत्रितयसन्धानं कुरुते चासनोत्तमम् ॥ १.५४ ॥
[1.54]Simhāsanam bhavedetatpūjitam yoghipungghavaih
Bandhatritayasandhānam kurute chāsanottamam<br>
'''अथ भद्रासनम्
गुल्फौ च वृषणस्याधः सीवन्याः पार्श्वयोः क्षिप्ते ।
सव्यगुल्फं तथा सव्ये दक्षगुल्फं तु दक्षिणे ॥ १.५५ ॥
[1.55]<br>
पार्श्वपादौ च पाणिभ्यां दृढं बद्ध्वा सुनिश्चलम् ।
भद्रासनं भवेदेतत्सर्वव्याधिविनाशनम् ।
गोरक्षासनं इत्याहुरिदं वै सिद्धयोगिनः ॥ १.५६ ॥
[1.56]
[1.55][1.56]Atha bhadrāsanam
Ghulphau cha vrshanasyādhah
Sīvantyāh pārśvayoh kshipet
Savyaghulpham tathā savye
Dakshaghulpham tu dakshine
Pārśvapādau cha pānibhyām
Drdham baddhvā suniśchalam
Bhadrāsanam bhavedetatsarvavyādhivināśanam
Ghorakshāsanamityāhuridam vai siddhayoghinah<br>
एवं आसनबन्धेषु योगीन्द्रो विगतश्रमः ।
अभ्यसेन्नाडिकाशुद्धिं मुद्रादिपवनीक्रियाम् ॥ १.५७ ॥
[1.57]Evamāsanabandheshu yogīndro vighataśramah
Abhyasennādikāśuddhim mudrādipavanakriyām<br>
आसनं कुम्भकं चित्रं मुद्राख्यं करणं तथा ।
अथ नादानुसन्धानं अभ्यासानुक्रमो हठे ॥ १.५८ ॥
[1.58]Āsanam kumbhakam chitram
Mudrākhyam karanam tathā
Atha nādānusandhānamabhyāsānukramo hathe<br>
ब्रह्मचारी मिताहारी त्यागी योगपरायणः ।
अब्दादूर्ध्वं भवेत्सिद्धो नात्र कार्या विचारणा ॥ १.५९ ॥
[1.59]Brahmachārī mitāhārī tyāghī yogaparāyanah
Abdādūrdhvam bhavedsiddho nātra kāryā vichāranā<br>
सुस्निग्धमधुराहारश्चतुर्थांशविवर्जितः ।
भुज्यते शिवसम्प्रीत्यै मिताहारः स उच्यते ॥ १.६० ॥
[1.60]Susnighdhamadhurāhāraśchaturthāmśavivarjitah
Bhujyate śivasamprītyai mitāhārah sa uchyate<br>
कट्वाम्लतीक्ष्णलवणोष्णहरीतशाक
सौवीरतैलतिलसर्षपमद्यमत्स्यान् ।
आजादिमांसदधितक्रकुलत्थकोल
पिण्याकहिङ्गुलशुनाद्यं अपथ्यं आहुः ॥ १.६१ ॥
[1.61]Katvāmlatīkshnalavanoshnaharītaśāka
Sauvīratailatilasarshapamadyamatsyān
Ājādimāmsadadhitakrakulatthakola
Pinyākahingghulaśunādyamapathyamāhuh<br>
भोजनं अहितं विद्यात्पुनरस्योष्णीकृतं रूक्षम् ।
अतिलवणं अम्लयुक्तं कदशनशाकोत्कं वर्ज्यम् ॥ १.६२ ॥
[1.62]Bhojanamahitam vidyātpunarasyoshnīkrtam rūksham
Atilavanamamlayuktam kadaśanaśākotkam varjyam<br>
वह्निस्त्रीपथिसेवानां आदौ वर्जनं आचरेत् ॥ १.६३ ॥
[1.63]Vahnistrīpathisevānāmādau varjanamācharet<br>
'''तथा हि गोरक्षवचनम्
वर्जयेद्दुर्जनप्रान्तं वह्निस्त्रीपथिसेवनम् ।
प्रातःस्नानोपवासादि कायक्लेशविधिं तथा ॥ १.६४ ॥
[1.64]Tathā hi ghorakshavachanam
Varjayeddurjanaprāntam vahnistrīpathisevanam
Prātahsnānopavāsādi kāyakleśavidhim tathā<br>
गोधूमशालियवषाष्टिकशोभनान्नं
क्षीराज्यखण्डनवनीतसिद्धामधूनि ।
शुण्ठीपटोलकफलादिकपञ्चशाकं
मुद्गादिदिव्यं उदकं च यमीन्द्रपथ्यम् ॥ १.६५ ॥
[1.65]Ghodhūmaśāliyavashāshtikaśobhanānnam
Kshīrājyakhandanavanītasi hāmadhūni
Śunthīpatolakaphalādikapañchaśākam
Mudghādidivyamudakam cha yamīndrapathyam<br>
पुष्टं सुमधुरं स्निग्धं गव्यं धातुप्रपोषणम् ।
मनोभिलषितं योग्यं योगी भोजनं आचरेत् ॥ १.६६ ॥
[1.66]Pushtam sumadhuram snighdham
Gavyam dhātupraposhanam
Manobhilashitam yoghyam yogī bhojanamācharet<br>
युवो वृद्धोऽतिवृद्धो वा व्याधितो दुर्बलोऽपि वा ।
अभ्यासात्सिद्धिं आप्नोति सर्वयोगेष्वतन्द्रितः ॥ १.६७ ॥
[1.67]Yuvo vrddhoativrddho vā vyādhito durbaloapi vā
Abhyāsātsiddhimāpnoti sarvayogheshvatandritah<br>
क्रियायुक्तस्य सिद्धिः स्यादक्रियस्य कथं भवेत् ।
न शास्त्रपाठमात्रेण योगसिद्धिः प्रजायते ॥ १.६८ ॥
[1.68]Kriyāyuktasya siddhih syādakriyasya katham bhavet
Na śāstrapāthamātrena yogasiddhih prajāyate<br>
न वेषधारणं सिद्धेः कारणं न च तत्कथा ।
क्रियैव कारणं सिद्धेः सत्यं एतन्न संशयः ॥ १.६९ ॥
[1.69]
पीठानि कुम्भकाश्चित्रा दिव्यानि करणानि च ।
सर्वाण्यपि हठाभ्यासे राजयोगफलावधि ॥ १.७० ॥
[1.70]Na veshadhāranam siddheh kāranam na cha tatkathā
Kriyaiva kāranam siddheh satyametanna samśayah
Pīthāni kumbhakāśchitrā divyāni karanāni cha
Sarvānyapi hathābhyāse rājayogaphalāvadhi<br>
इति हठप्रदीपिकायां प्रथमोपदेशः ।
Iti hathapradīpikāyām prathamopadeśah
</poem>
{{col-end}}
== 참고 ==
산스크리트-영어 사전 1 구글 번역기(구글사전)<br>
산스크리트-영어 사전 2 모니어-윌리암스 산스크리트-영어 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scans/MWScan/2020/web/webtc/indexcaller.php Monier-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1899 Sir Monier Monier-Williams,Ernst Leumann,Carl Cappeller by Cologne Digital Sanskrit Dictionaries project <br>
모니어-윌리암스 영어-산스크리트 사전3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scans/MWEScan/2020/web/webtc/indexcaller.php Monier-Williams English-Sanskrit Dictionary] 1899 Sir Monier Monier-Williams,Ernst Leumann,Carl Cappeller by Cologne Digital Sanskrit Dictionaries project <br>
(사용예시) muhūrta (input:Roman Unicode , output: Roman Unicode)<br>
: गो (input:Devanagari Unicode , output: Roman Unicode)<br>
(로만표기 음가 예시(KH)교토-하버드표기)ā(A) a , ī(I) i,ū(U) u,ś(z) s ṣ(S) ,ṇ(N) ṅ(G) ñ(J) n , ḍ(D) ḍh(Dh),ṛ(R) r 등
(자음예시) भ bha 노몬그림자(the shadow of a gnomon, sūryas) ,ढ ḍha (개의)꼬리 또는 뱀
(사용예시) पृष्ट pRSTa pṛṣṭa asked,question, inquiry उत्थित utthita rising,extended,high
<br>
모니어-윌리암스 영어-산스크리트 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scans/MWScan/2020/web/webtc/indexcaller.php #] <br>
(예시) counteract प्रतिकृ pratikṛ to do or make an opposition 대응행동(또는 반대자세)
<br>
네이버 힌디어사전 (예시) 제자 弟子 शिष्य śiṣya , चतुष्क-कोण catuṣka koṇa 사각형(평면의) , अनु-त्रिक anutrika꼬리뼈(미골尾骨)<br>
[주요 용어]모니어-윌리암스 산스크리트-영어 사전 Monier-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1899
<table border="1"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r><td>
उत्तान uttāna (몸을)쭉 뻗은 자세
ऊर्ध्व ūrdhva 위(쪽)를 향한 또는 들어올리다.
अधोमुख adhomukha 얼굴을 아래를 향한, 밑으로 내미는
वज्रा vajrā (앞을 향해) 무릎꿇은 앉은자세 (바위)
बद्ध baddha 묶다 ,접힌(folded) ,연결하다. = बन्ध bandha binding
पद्मा padmā 연꽃자세 또는 (두다리 또는 두팔)자세를 엉키게하는것
विपरीत viparīta 거꾸로 , 역자세의
एक eka 하나(1)의
द्वि dvi = द्व dva 둘(2)의
त्रि tri=त्र tra = त् र 셋(3)의
अर्ध ardha 절반의 또는 다른 한쪽의
पार्श्व pārśva 측면의(또는 옆을 향하는)
परिवृत्प parivṛt(ti) turn(over)= रि-वृत्त pari-vṛtta 축(軸,axis)으로 돌리다(비틀다),회전의 , (위아래를)뒤집다.
(परि pari round 둥글게(또는 반대쪽) , वृत्त vṛtta turned 돌리다)
पाद pāda 다리(손발의, 특히 발foot) = अङ्ग aṅga =지체(肢體)의 = जङ्घा jaṅghā 발(특히 다리leg)
चतुरङ्ग 차투랑가 caturaṅga 네발달린 또는 사지(4 limbs)의
भुजंग 부잠(장)가bhujaṃga 뱀 또는 8(८)자의 또는 भुज부자bhuja 팔(arm)의 또는 -지체(-肢體)의 특히 हस्त hasta 손 또는 팔(hand or arm)
त्रिभुज tribhuja(3선분 3segments) = त्रिकोण trikoṇa(3각 3angles) 삼각형 triangle(triangular)
चतुष्कोण catuṣkoṇa 사각형(quadrangular 또는 tetragon) = चतुष्क catuṣka
कोण koṇa 각진형(角진型)의(-angle)
मध्यरेखा madhya중심-rekhā선 직경(지름)
दण्डा daṇḍā 막대기(stick) 또는 직선(line)의
धनु(र्) dhanu(r) bow (활처럼) 휜, 굽어진(또는 원의 호) 특히 후굴(後屈)의
गुप्त gupta 보호(protected,guarded,preserve)
सालम्ब sālamba 지지,의존(having anything as a support),lamba(람바)긴,큰(long,big)
मत्स्येन्द्र matsyendra 마첸드라(고대요가스승의 이름a teacher of Yoga, 비틀기자세(मत्स्येन्द्रासन Matsyendra's Pose)의 아사나로 잘 알려짐)
मस्त(क) masta(ka) 머리(head) = शीर्षा śīrṣā(shirsha) = मुख mukha 얼굴(주둥이 또는 머리) = 이마(forehead) ललाट lalāṭa
द्वयी(ई) dvayī(dvaya) (한)쌍의 ,-세트의 = यम yama
उभय ubhaya 두갈래의(2ways) मायूर māyūra peacock(feathers)공작(깃털) 두팔로 온몸을 지탱하는 = भुज부자bhuja (두)팔(arms)로
मुकुर mukura 거울(mirror) = दर्पण darpaṇa
सुप्त supta (드러)눕다 누운자세
उत्कटा utkaṭā = उत्कुटक utkuṭaka = उत्कटुक utkaṭuka = अवसक्थिक avasakthikā (엉덩이가 들린)쪼그려앉은 또는 (몸을)웅크린 자세
स्था stha 일어서다 , 서있는(자세)
भित्ति bhitti wall 벽(면)
हस्त hasta (손으로)부여잡다(to take into the hand)
पुट puṭa folded 접힘
<br>
※차크라 브리티스(चक्र वृत्ति chakra vrittis) [예시]파스치모타나(paschimotana) = (그라하graha) 우타나사나(uttānasana) = 아르다(ardha) 할라(아)사나(halāsana) = 샤이이타파스치마타나(sayitapaschimatana) 또는 비치트라카라니(vichitrakarani) = 파리푸르나나바사나(परिपूर्णनावासनparipūrṇa-nāvasana) 들은 모두 같은(에너지를 돌리려는) 말(동작)입니다.
</td></tr>
</table>
[주석]
{{주석}}
hl649vcf3kunjy3igbao0lv2pipmt94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34
250
101051
392775
391837
2025-06-28T16:29:03Z
ZornsLemon
15531
39277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열니여 그 일용ᄒᆞ고 나믄 돈을 은ᄒᆡᆼ에 ᄆᆡᆺ기여 식리ᄒᆞᄂᆞᆫ 자ㅣ 날노 더ᄒᆞ며 {{du|파리}} 셩즁에 관가로셔 구졔ᄒᆞᄂᆞᆫ 빈민이 날노 감ᄒᆞ니 ᄃᆡ져 ᄇᆡᆨ셩이 다년 궁곤ᄒᆞ믄 나라 위엄이 ᄯᅥᆯ치지 못ᄒᆞᆫ 연고ㅣ러니 이졔 나라 위엄이 베풀ᄆᆡ 민심이 드듸여 안졍ᄒᆞ더라
각 의원들이 {{u|노의 나파륜}}이 민쥬군을 변ᄒᆞ야 황졔 될가 염녀ᄒᆞ야 병권을 ᄆᆡᆺ기지 아니ᄒᆞ고ᄌᆞ ᄒᆞ나 일국의 병졍과 경무 순검과 지어 외방 관원과 아젼들이 다 마음을 죳고 졍셩을 드리미 규화가 ᄒᆡᄅᆞᆯ 향ᄒᆞᆷ과 ᄀᆞᆺ더라 {{u|노의 나파륜}}이 의원을 심이 믜워ᄒᆞ다가 이에 인심의 향ᄇᆡᄅᆞᆯ 보고 가만이 ᄉᆡᆼ각ᄒᆞ되 긔회 이믜 이르럿시니 모든 의원을 ᄶᅩ침만 ᄀᆞᆺ지 못ᄒᆞ다 ᄒᆞ고 드듸여 그 숙부 {{u|나파륜 졔일}}의 실신식언ᄒᆞ든 장기ᄅᆞᆯ 본바다 의원의 권을 ᄲᆡᆺ고ᄌᆞ ᄒᆞ야 ᄡᅥ 이르되 일국 군ᄉᆞㅣ 다 나의 지휘ᄅᆞᆯ 듯거ᄂᆞᆯ 엇지 잔약ᄒᆞᆫ 소민이 감히 항거ᄒᆞ리오 ᄒᆞ고 즉위 시에 ᄆᆡᆼ셰ᄒᆞᆫ 바ᄂᆞᆫ 다 이져 바럿더라
{{u|노의 나파륜}}이 심복 ᄃᆡ신 {{u|목니}}와<ref>모르니(Morny)</ref> 졔독 {{u|아뇌}}와<ref>아르노(Arnaud)</ref> 부장 {{u|모박ᄉᆞ}}<ref>모파스(Maupas)</ref> ᄉᆞᆷ인으로 더부러 가만이 의원의 ᄃᆡ권을 삭탈ᄒᆞᆯ ᄭᅬᄅᆞᆯ 정ᄒᆞ고 일쳔팔ᄇᆡᆨ오십일년 【쳘종 이년】 십이월 일일 밤에 ᄃᆡ연을 ᄇᆡ셜ᄒᆞ고 빈ᄀᆡᆨ과 모든 의원을 청ᄒᆞ야 {{du|ᄋᆡ려셜 궁}}에<ref>엘리제 궁(Palace Elysée)</ref> 잔ᄎᆡᄒᆞᆯ새 관졉ᄒᆞᄂᆞᆫ 모양이 ᄋᆡ연이 가히 친ᄒᆞᆯ너라 연이나 그 의표ᄂᆞᆫ 유화ᄌᆞ상ᄒᆞ야 비ᄒᆞᆯᄃᆡ 업ᄂᆞᆫ 민쥬군이오 그 ᄇᆡᆨ셩의 ᄌᆞ쥬지권을 ᄲᆡᆺᄂᆞᆫᄃᆡ 이르러ᄂᆞᆫ ᄯᅩᄒᆞᆫ 강의 과감ᄒᆞ미 비ᄒᆞᆯᄃᆡ 업ᄂᆞᆫ 황졔라 ᄉᆞᄅᆞᆷ이 그 마음을 측냥키 어렵더라 이윽고 잔ᄎᆡᄅᆞᆯ 파ᄒᆞ고 손을 보ᄂᆡᆯ새 오히려 옹용유례ᄒᆞ야 그 긔이ᄒᆞᆫ 계교와 신통ᄒᆞᆫ ᄭᅬ가 ᄲᆞ르기 신뢰불급엄이ᄒᆞᆯ 줄을 뉘 아랏스리오 이날 밤에 범의원 즁 명망이 노{{sic|픔|픈}} ᄌᆞᄂᆞᆫ 각각 그 ᄉᆞ졔에 ᄂᆞ가 결박ᄒᆞ야 옥에 보ᄂᆡ고 젼에 불괴ᄅᆞᆯ 품은 각 회당 두목은 발셔 순검이 다 ᄉᆞ로잡아 하ᄂᆞᆯ이 겨우 발그ᄆᆡ 범 평일에 감히 입을 놀니고 혀ᄅᆞᆯ 요동ᄒᆞ야 민쥬ᄅᆞᆯ 평논ᄒᆞᄂᆞᆫ ᄌᆞᄂᆞᆫ 다 일망타진ᄒᆞ고 밋 ᄒᆡ가 놉히 도다 텬ᄉᆡᆨ이 ᄃᆡ명ᄒᆞᄆᆡ {{du|파리}} 각 ᄇᆡᆨ셩이 문을 열고 ᄂᆞ오ᄂᆞᆫ 자ㅣ 다만 보건ᄃᆡ 누른 방을 놉히 달고 ᄃᆡ셔특셔ᄒᆞ야 갈오ᄃᆡ 의원이 이믜 흣텨지고 의원의 명류ᄂᆞᆫ 다 옥즁에 가두엇스니 짐이 이졔 군ᄉᆞ 오십만이 잇노라 너의 관리와 ᄇᆡᆨ셩이 감히 ᄇᆡ반ᄒᆞᄂᆞᆫ 자ㅣ 잇스면 곳 잡아 다ᄉᆞ리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nflcb7er8cao1vv9crjmzi7fwpb1gm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91
250
101562
392787
392560
2025-06-29T01:31:39Z
ZornsLemon
15531
39278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du|유야랍}}이라】 도셩에 나가 도망ᄒᆞᆯᄉᆡ 소친다려 일너 왈 우리 ᄇᆡᆨ셩이 우미ᄒᆞᆷ이 여ᄎᆞᄒᆞ니 타일에 져의 번연ᄀᆡ오ᄒᆞ면 다시 가히 ᄐᆡ평무ᄉᆞᄒᆞᆫ 복을 누리리라 ᄒᆞ더라
{{u|비졉남}} 황뎨 손위ᄒᆞᆫ 후 국회 즁 상하 각 관이 두어 례ᄇᆡ 후에 {{du|유야랍}} 도셩에 모히니 대져 {{du|오국}}은 국가히 릉히 ᄒᆞᆫ번 국회ᄅᆞᆯ 모흐면 아모리 졀ᄃᆡᄒᆞᆫ 일이라도 다 가히 결단ᄒᆞ든 ᄇᆡ라 이졔 국회 크게 됨을 보고 다 환희과망ᄒᆞ야 왈 종젼에 ᄇᆡᆨ셩 질고와 폐막을 다 가히 일조에 쓰러 바리리라 ᄒᆞ야 조와ᄒᆞᄂᆞᆫ 빗치 낫ᄒᆡ 드러나더니 다만 {{du|오}}황이 도셩에 잇지 아니ᄒᆞᄆᆡ 졔반 례졀과 규식을 ᄒᆡᆼ치 못ᄒᆞᆯ지라 이에 {{du|오}}황을 청ᄒᆞ야 도셩에 도라오게 ᄒᆞ니 {{du|오}}황이 도셩에 이르러 다시 혜오ᄃᆡ ᄇᆡᆨ셩이 필연 젼ᄉᆞᄅᆞᆯ 후회ᄒᆞ야 ᄌᆞᄎᆞ로 안분수명ᄒᆞ고 다시 지졀을 ᄂᆡ지 아니리라 ᄒᆞ고 의연히 옛 규모ᄅᆞᆯ 변치 아니ᄒᆞ얏더니 ᄯᅩ 두어 례ᄇᆡᄅᆞᆯ 지ᄂᆡᄆᆡ ᄇᆡᆨ셩이 그 ᄯᅳᆺ을 알고 드듸여 팔월 십이일에 ᄃᆡ란이 다시 이러 홀왕홀ᄅᆡᄒᆞ야 두미ᄅᆞᆯ 알 수 업다가 십월 ᄉᆞ일에 ᄇᆡᆨ셩이 군긔고ᄅᆞᆯ 창탈ᄒᆞ고 대신 {{u|뢰토아}}ᄂᆞᆫ<ref>라투르(Latour)</ref> 년긔 고대ᄒᆞᆫ ᄉᆞᄅᆞᆷ이라 맛ᄎᆞᆷᄂᆡ 쥭이고 초칠일에 {{u|비졉남}} 황뎨 ᄯᅩ 도망ᄒᆞ야 도셩에 나가니 {{du|유야랍}}이 ᄌᆞᄎᆞ로 ᄇᆡᆨ셩이 졍ᄉᆞᄅᆞᆯ 주장ᄒᆞ더라
{{du|오국}} 란리 지ᄎᆞᄒᆞᄆᆡ 졸연히 평졍키 어례울지라 그 외ᄉᆡᆼ에 {{du|륜파졔}}와<ref>롬바르디(Lombardy)</ref> {{du|비ᄂᆡ텬}}은<ref>베네치아(Venetia)</ref> {{du|의대리}}와 이웃이라 일시에 다 반ᄒᆞ고 {{du|지즁ᄒᆡ}} 모든 셤 즁에 {{du|살졍니아}}<ref>사르디니아(Sardnia)</ref>도 왕이 엇셔 민당과 연락ᄒᆞ고 {{du|의대리국}} ᄉᆞᄅᆞᆷ은 {{du|오}}민의 반ᄒᆞᆷ을 깃거ᄒᆞ고 {{du|항가리}} ᄉᆞᄅᆞᆷ은 갈오대 우리 이졔 ᄌᆞ주지국이 되얏스니 {{du|오국}}의 압졔ᄅᆞᆯ 밧지 아니리라 ᄒᆞ며 ᄎᆞ외에 ᄯᅩ {{du|파형야}}와 {{du|셜뇌사}}<ref>실레시아(Silesia)</ref> 냥ᄉᆡᆼ 즁에 잡거ᄒᆞᄂᆞᆫ {{du|아라사}} 종락 {{du|시랍비}} 【디명】 ᄉᆞᄅᆞᆷ이 ᄯᅩᄒᆞᆫ 반ᄒᆞ야 {{du|항가리}} ᄉᆞᄅᆞᆷ【{{du|아라사}} 동족인이니 디명을 인ᄒᆞ야 일홈ᄒᆞᆷ이라】을 응ᄒᆞ고 {{du|유야랍}}은 ᄇᆡᆨ셩이 졍ᄉᆞ을 쥬장ᄒᆞ야 심지어 {{du|오}}황이 의탁ᄒᆞᆯ 곳이 업고 통이 ᄂᆡ외 상하인 등이 다 의심ᄒᆞ고 겁ᄂᆡ여 그 황뎨와 대신이 인민을 압졔ᄒᆞᆫ다 ᄒᆞ고 공경ᄒᆞ고 ᄋᆡ련ᄒᆞᄂᆞᆫ 마음이 업고 다만 져의 질고ᄅᆞᆯ 구ᄒᆞ자 ᄒᆞ야 웃ᄉᆞᄅᆞᆷ을 긔탄치 아니ᄒᆞᆷ이 {{du|구쥬}} 각국 인민과 갓더라
이ᄯᅢ에 란당이 사긔ᄒᆞ나 겨우 수 월 만에 ᄎᆞ뎨 삭평ᄒᆞ니 그 {{du|파형야}}와 {{du|셜뇌사}} 냥ᄉᆡᆼ에 {{du|시랍비}} 인의 란을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1szglv5v2uta0p8cpeoxnin1lk4ejpf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92
250
101563
392788
392561
2025-06-29T01:32:39Z
ZornsLemon
15531
39278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평졍ᄒᆞᆫ ᄉᆞᄅᆞᆷ은 {{u|분지가}}<ref>빈디슈그레츠(Windischgrätz)</ref> 왕작이요 {{du|살졍니아}}도 왕을 ᄉᆞ로잡은 자ᄂᆞᆫ {{u|납대ᄉᆞ긔}}<ref>라데츠키(Radetsky)</ref> 총병이라 {{u|납대ᄉᆞ긔}} ᄯᅩ 군ᄉᆞᄅᆞᆯ 옴기여 {{du|의대리}}와 이웃ᄒᆞᆫ {{du|비니텬}} {{du|륜파졔}} 냥ᄉᆡᆼ의 란을 평ᄒᆞ고 ᄯᅩ {{u|비졉남}} 황뎨 피위ᄒᆞᆫ지 뎨ᄉᆞᆷ일에 의병장 {{u|ᄎᆞᄅᆡ긔}}라<ref>옐라치치(Jellačić)</ref> ᄒᆞᄂᆞᆫ ᄉᆞᄅᆞᆷ이 근왕병 ᄉᆞᆷ만을 거ᄂᆞ리고 {{du|유야랍}}에 이르니 {{du|유야랍}} ᄉᆞᄅᆞᆷ이 폐문불랍ᄒᆞ거ᄂᆞᆯ {{u|ᄎᆞᄅᆡ긔}}ᄂᆞᆫ {{du|극난텬}}<ref>크로아티아(Croatia)</ref> 족류ㅣ라 비록 {{du|항가리}}에 입적ᄒᆞ얏스나 {{du|항가리}}인과 동심치 아니ᄒᆞ고 일너 왈 우리 만일 ᄌᆞ립ᄒᆞ야 나라히 되면 필연 복망ᄒᆞᆷ이 {{du|오국}}보다 더 심ᄒᆞ리라 ᄒᆞ더니 이ᄯᅢ에 {{du|유야랍}}인이 문을 닷고 들이지 아니ᄒᆞ나 불순일간에 {{u|ᄎᆞᄅᆡ긔}}ᄅᆞᆯ 응ᄒᆞ야 오ᄂᆞᆫ 자ㅣ 졈졈 더ᄒᆞ야 칠만 인에 일으ᄂᆞᆫ지라 드대여 {{du|유야랍}}을 에우고 대포ᄅᆞᆯ 노으니 {{du|유야랍}} ᄉᆞᄅᆞᆷ이 막지 못ᄒᆞᆯ 쥴 알고 일쳔팔ᄇᆡᆨᄉᆞ십팔년 【헌종 십사년】 십월 ᄉᆞᆷ십일일에 셩문을 대ᄀᆡᄒᆞ고 {{u|ᄎᆞᄅᆡ긔}}ᄅᆞᆯ 영졉ᄒᆞ야 드리니 이ᄯᅢ에 {{u|비졉남}} 황뎨 {{u|ᄎᆞᄅᆡ긔}} 군즁에 잇다가 한ᄭᅦ 입셩ᄒᆞᄆᆡ 다시 황뎨 위에 올으게 ᄒᆞ니 {{u|비졉남}}이 혜오ᄃᆡ 짐이 다시 황위에 잇스면 민심이 불복ᄒᆞᆯ 거시요 짐도 ᄯᅩᄒᆞᆫ 원치 아니ᄒᆞᆫ다 ᄒᆞ고 그 족하 {{u|번셔 약슬 뎨일}}의게<ref>프란츠 요제프 1세(Franz Joseph I)</ref> 젼위ᄒᆞ니라
이ᄯᅢ에 {{du|항가리}} ᄉᆞᄅᆞᆷ 일쳔일ᄇᆡᆨ만 인이 ᄌᆞ립ᄒᆞ야 일국이 되니 그 ᄯᅡ히 수쳔리라 당초 {{du|오국}}에 속ᄒᆞ얏슬 ᄯᅢ에ᄂᆞᆫ 곤궁막심ᄒᆞ고 깁흔 바다에 ᄲᆞ짐과 갓ᄐᆞ야 진발ᄒᆞᆯ 도리 업스니 ᄃᆡ져 ᄆᆡ년 부셰 밧치기ᄂᆞᆫ 다 농민이 진기사력ᄒᆞ야 쥬야 고ᄉᆡᆼᄒᆞᆷ이요 그 진신셰가와 ᄌᆞᆷ영망족은 다 부셰ᄅᆞᆯ 면ᄒᆞ야 조곰도 국가에 보용ᄒᆞᆷ이 업고 기즁 더욱 가련ᄒᆞᆫ ᄌᆞᄂᆞᆫ 농가의 작인이라 종년 근고ᄒᆞ다가 화곡이 다 셩숙ᄒᆞ면 곳 답쥬의게 돌녀 보ᄂᆡ고 분호도 남은 거시 업스며 지어 관리의 관하 긔ᄒᆞᆫ 물건인즉 시가ᄂᆞᆫ 물론ᄒᆞ고 상고ㅣ 감히 닷토지 못ᄒᆞ며 만일 셰가 ᄌᆞ뎨가 물건을 가져 가거나 돈을 취ᄃᆡᄒᆞ면 영영 환보치 아니ᄒᆞ며 ᄯᅩ 감히 달나지도 못ᄒᆞ더라 이ᄯᅢ {{du|항가리}} 종락 즁 {{du|마가}}라 ᄒᆞᄂᆞᆫ 지파ㅣ 잇셔 {{du|항가리}} ᄯᅡ 졀반을 웅거ᄒᆞᄆᆡ 항상 ᄌᆞ주ᄒᆞᆯ 마음이 잇더니 밋 {{du|법국}}이 민쥬국 됨을 듯고 흠선불이ᄒᆞ야 먼져 긔ᄉᆞᄒᆞ니 {{du|구쥬}} ᄉᆞᄅᆞᆷ 방관ᄒᆞᄂᆞᆫ 자ㅣ 다 말ᄒᆞ되 {{du|항가리}} ᄉᆞᄅᆞᆷ이 도탄 즁에 잇슨지 오ᄅᆡᆫ 지라 이졔 승시ᄒᆞ야 이러남이 올타 ᄒᆞ더라
{{du|오국}}이 졍히 ᄃᆡ란ᄒᆞᆯᄉᆡ 만일 {{du|항가리}}ᄅᆞᆯ 회복지 못ᄒᆞ면 {{du|오국}}은 장찻 나라이 되지 못ᄒᆞᆯ지라 {{du|항가리}}의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5qp0y9oqycqnza4u9nrg7slb8t3cbgv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77
250
101681
392764
2025-06-28T13:38:40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76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두자리에안저이살ᄋᆡᆯ열두지ᄑᆡ를죄긔{{복원|ᄒᆞ}}리라
{{절||二十九}} 무론ᄂᆡ의일홈을위{{복원|ᄒᆞ}}여집과동ᄉᆡᆼ과누이과부모과자식과뎐장을{{복원|ᄯᅥ}}ᄂᆞᆫ쟈ᄂᆞᆫ쟝차ᄇᆡᆨᄇᆡ{{복원|나}}밧고ᄯᅩ영ᄉᆡᆼ을깃부{{복원|ᄒᆞ}}리라
{{절||三十}} 글어나만져가된쟈ᄂᆞᆫ만이후이되기후이된쟈ᄂᆞᆫ만져가되{{복원|나}}니{{복원|라}}
== 맛ᄃᆡ복음뎨이십쟝 ==
{{절||一}} 텬국이집쥬인갓타니아젹에{{?}}가싹군을{{복원|어}}더포도원에가나니라
{{절||二}} ᄆᆡ명에{{복원|ᄒᆞ}}루은한돈식결단{{?}}여포도원에{{복원|들}}여보ᄂᆡ고
{{절||三}} {{복원|사}}시에나가사ᄅᆞᆷ이쟝니에서서놀물보고
{{절||四}} 갈오ᄃᆡ너의도ᄯᅩ한포도원에들어가{{복원|라}}ᄂᆡ너를줄바를주리라ᄒᆞ{{?}}그사ᄅᆞᆷ이이여들어가고
{{절||五}} 나졔과{{?}}시에ᄯᅩ나가그러ᄒᆞ고
{{절||六}} 유시에나가ᄯᅩ한사ᄅᆞᆷ이셔시물보고갈오ᄃᆡ너의엇{{복원|지}}즁{{?}}놀아여긔셧나냐ᄒᆞ니
{{절||七}} 갈오ᄃᆡ우리를찻ᄂᆞᆫ사ᄅᆞᆷ이업나이다하ᄆᆡ갈오{{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jsmh09s13i1awjt7dfhyu3andkrpro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66
250
101682
392765
2025-06-28T14:25:49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나〮 大{{*|땡〮}}臣{{*|씬}}이〮어나〮 公{{*|고ᇰ}}事{{*|ᄊᆞᆼ〮}}ᄒᆞᇙ 사〯ᄅᆞ미〮 구지〮저 辱{{*|ᅀᅭᆨ〮}}ᄒᆞ며〮 티〮며〮 ᄆᆡ면〮 언〯맛〮 罪{{*|쬥〯}}ᄅᆞᆯ〮 어〯드리〮ᅌᅵᆺ고〮 부톄〯 梵{{*|뻠〮}}王{{*|ᅌᅪᇰ}}ᄃᆞ려〮 니ᄅᆞ샤〮ᄃᆡ〮 내〮 너 爲{{*|윙〮}}ᄒᆞ〮야〮 어〮둘〮 닐오〮리라〮 아〯모 사〯ᄅᆞ〮미나〮 萬{{*|...
39276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나〮 大{{*|땡〮}}臣{{*|씬}}이〮어나〮 公{{*|고ᇰ}}事{{*|ᄊᆞᆼ〮}}ᄒᆞᇙ 사〯ᄅᆞ미〮 구지〮저 辱{{*|ᅀᅭᆨ〮}}ᄒᆞ며〮 티〮며〮 ᄆᆡ면〮 언〯맛〮 罪{{*|쬥〯}}ᄅᆞᆯ〮 어〯드리〮ᅌᅵᆺ고〮 부톄〯 梵{{*|뻠〮}}王{{*|ᅌᅪᇰ}}ᄃᆞ려〮 니ᄅᆞ샤〮ᄃᆡ〮 내〮 너 爲{{*|윙〮}}ᄒᆞ〮야〮 어〮둘〮 닐오〮리라〮 아〯모 사〯ᄅᆞ〮미나〮 萬{{*|먼〮}}億{{*|ᅙᅳᆨ〮}} 부텻 피〮ᄅᆞᆯ〮 내〯면〮 罪{{*|쬥〯}} 만〯ᄒᆞ려〮 져〯그〮려〮 梵{{*|뻠〮}}王{{*|ᅌᅪᇰ}}이〮 對{{*|됭〮}}答{{*|답〮}}ᄒᆞ〮ᅀᆞᄫᅩᄃᆡ〮 다〯ᄆᆞᆫ〮 ᄒᆞᆫ 부텻 모매〮 피〮ᄅᆞᆯ〮 내〯야〮도〮 罪{{*|쬥〯}} 無{{*|뭉}}量{{*|랴ᇰ〮}}無{{*|뭉}}邊{{*|변}}커니〮 ᄒᆞ〮ᄆᆞᆯ며〮 萬{{*|먼〮}}億{{*|ᅙᅳᆨ〮}} 부텻 피〮 내〯요미〮ᄯᆞ니〮ᅌᅵᆺ가〮 뎌〮 罪{{*|쬥〯}}業{{*|ᅌᅥᆸ〮}} 果{{*|광〯}}報{{*|보ᇢ〮}}ᄅᆞᆯ〮 能{{*|느ᇰ}}히〮 니ᄅᆞᇙ 사〯ᄅᆞ미〮 乃{{*|냉〯}}終{{*|쥬ᇰ}}내〯 업〯스리〮ᅌᅵ다〮 부톄〯 梵{{*|뻠〮}}王{{*|ᅌᅪᇰ}}ᄃᆞ려〮 니ᄅᆞ샤〮ᄃᆡ〮 날〯 爲{{*|윙〮}}ᄒᆞ〮야〮 머리〮 갓고〮 袈{{*|강}}裟{{*|상}} 니븐〮 사〯ᄅᆞ미〮 禁{{*|금〮}}戒{{*|갱〮}}ᄅᆞᆯ〮 受{{*|쓔ᇢ〯}}티〮 아니〮커나〮 受{{*|쓔ᇢ〯}}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f1j0zpn2g1l3o41ck8dy3lpymeqlx3k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67
250
101683
392766
2025-06-28T14:26:09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ᄒᆞ〮얫〮다가〮 犯{{*|뻠〯}}ᄒᆞᆫ 사〯ᄅᆞᄆᆞᆯ〮 어〮즈려〮 구지〮저 辱{{*|ᅀᅭᆨ〮}}ᄒᆞ며〮 티〮며〮 ᄆᆡ면〮 萬{{*|먼〮}}億{{*|ᅙᅳᆨ〮}} 부텻 피〮 낸〯 거긔〮셔〮 罪{{*|쬥〯}} 어〯두미〮 더하리〮니〮 엇〯뎨〮어뇨〮 ᄒᆞ란〮ᄃᆡ〮 이〮 사〯ᄅᆞ미〮 날〯 爲{{*|윙〮}}ᄒᆞ〮야〮 出{{*|츄ᇙ〮}}家{{*|강}}ᄒᆞ〮야〮 머리〮 갓...
39276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ᄒᆞ〮얫〮다가〮 犯{{*|뻠〯}}ᄒᆞᆫ 사〯ᄅᆞᄆᆞᆯ〮 어〮즈려〮 구지〮저 辱{{*|ᅀᅭᆨ〮}}ᄒᆞ며〮 티〮며〮 ᄆᆡ면〮 萬{{*|먼〮}}億{{*|ᅙᅳᆨ〮}} 부텻 피〮 낸〯 거긔〮셔〮 罪{{*|쬥〯}} 어〯두미〮 더하리〮니〮 엇〯뎨〮어뇨〮 ᄒᆞ란〮ᄃᆡ〮 이〮 사〯ᄅᆞ미〮 날〯 爲{{*|윙〮}}ᄒᆞ〮야〮 出{{*|츄ᇙ〮}}家{{*|강}}ᄒᆞ〮야〮 머리〮 갓고〮 袈{{*|강}}裟{{*|상}} 니브〮면〮 비록〮 戒{{*|갱〮}}ᄅᆞᆯ〮 受{{*|쓔ᇢ〯}} 아니〮커나〮 시혹〮 受{{*|쓔ᇢ〯}}ᄒᆞ〮얫〮다가〮 허러〮 犯{{*|뻠〯}}ᄒᆞ〮야도〮 이〮 사〯ᄅᆞ미〮 오〮히려〮 能{{*|느ᇰ}}히〮 諸{{*|졍}} 天{{*|텬}} 人{{*|ᅀᅵᆫ}} 爲{{*|윙〮}}ᄒᆞ〮야〮 涅{{*|녀ᇙ〮}}槃{{*|빤}}道{{*|또ᇢ〯}}ᄅᆞᆯ〮 뵈〯리며〮 이〮 사〯ᄅᆞ미〮 곧〮 ᄒᆞ마〮 三{{*|삼}}寶{{*|보ᇢ〯}}中{{*|듀ᇰ}}에〮 敬{{*|겨ᇰ〮}}信{{*|신〮}}ᄒᆞᆫ ᄆᆞᅀᆞᄆᆞᆯ〮 得{{*|득〮}}ᄒᆞ〮야〮 一{{*|ᅙᅵᇙ〮}}切{{*|촁〮}} 九{{*|구ᇢ〯}}十{{*|씹〮}}五{{*|ᅌᅩᆼ〯}}道{{*|또ᇢ〯}}애〮 더어〮 그 사〯ᄅᆞ미〮 반ᄃᆞ〮기 涅{{*|녀ᇙ〮}}槃{{*|빤}}애〮 ᄲᆞᆯ리〮 드〮러 一{{*|ᅙᅵᇙ〮}}切{{*|촁〮}} 在{{*|ᄍᆡᆼ〮}}家{{*|강}} 俗{{*|쑉〮}}人{{*|ᅀᅵᆫ}}의〮게 더으니〮라〮 이〮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lu9us8mejjlwg425g1txpo8po2fk4j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68
250
101684
392767
2025-06-28T14:26:27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럴ᄊᆡ〮 天{{*|텬}}人{{*|ᅀᅵᆫ}}이〮 供{{*|고ᇰ}}養{{*|야ᇰ〮}}ᄒᆞ〮야ᅀᅡ〮 ᄒᆞ리〮라〮 ᄒᆞ〮다가〮 國{{*|귁〮}}王{{*|ᅌᅪᇰ}}이〮 出{{*|츄ᇙ〮}}家{{*|강}}ᄒᆞᆫ 사〯ᄅᆞ미〮 큰〮 罪{{*|쬥〯}}業{{*|ᅌᅥᆸ〮}} 지ᅀᅥ〮든〮 보고〮 오직〮 法{{*|법〮}}다ᄫᅵ〮 國{{*|귁〮}}土{{*|통〯}}와〮 뎔〮 밧긔〮 내〯좃디〮ᄫᅵ〮 티〮며〮 구지〮저...
39276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럴ᄊᆡ〮 天{{*|텬}}人{{*|ᅀᅵᆫ}}이〮 供{{*|고ᇰ}}養{{*|야ᇰ〮}}ᄒᆞ〮야ᅀᅡ〮 ᄒᆞ리〮라〮 ᄒᆞ〮다가〮 國{{*|귁〮}}王{{*|ᅌᅪᇰ}}이〮 出{{*|츄ᇙ〮}}家{{*|강}}ᄒᆞᆫ 사〯ᄅᆞ미〮 큰〮 罪{{*|쬥〯}}業{{*|ᅌᅥᆸ〮}} 지ᅀᅥ〮든〮 보고〮 오직〮 法{{*|법〮}}다ᄫᅵ〮 國{{*|귁〮}}土{{*|통〯}}와〮 뎔〮 밧긔〮 내〯좃디〮ᄫᅵ〮 티〮며〮 구지〮저 辱{{*|ᅀᅭᆨ〮}}ᄒᆞ며〮 一{{*|ᅙᅵᇙ〮}}切{{*|촁〮}} 제 罪{{*|쬥〯}}다ᄫᅵ〮 몯〯ᄒᆞ리〮라〮 ᄒᆞ〮다가〮 티〮며〮 구지〮즈면〮 이〮 사〯ᄅᆞ미〮 곧〮 ᄒᆞ마〮 解{{*|갱〯}}脫{{*|톼ᇙ〮}}애〮 므르며〮 一{{*|ᅙᅵᇙ〮}}切{{*|촁〮}} 人{{*|ᅀᅵᆫ}}天{{*|텬}} 善{{*|쎤〯}}道{{*|또ᇢ〯}}ᄅᆞᆯ〮 여희〮여 阿{{*|ᅙᅡᆼ}}鼻{{*|삥〮}}地{{*|띵〮}}獄{{*|ᅌᅩᆨ〮}}애〮 一{{*|ᅙᅵᇙ〮}}定{{*|뗘ᇰ〮}}히〮 가리〮니〮 ᄒᆞ〮ᄆᆞᆯ며〮 부텨 爲{{*|윙〮}}ᄒᆞ〮야〮 出{{*|츄ᇙ〮}}家{{*|강}}ᄒᆞ〮야〮 ᄀᆞ초〮 持{{*|띵}}戒{{*|갱〮}}ᄒᆞᆫ 사〯ᄅᆞᄆᆞᆯ〮 튜〮미〮ᄯᆞ녀〮 ○ 如{{*|ᅀᅧᆼ}}來{{*|ᄅᆡᆼ}} 涅{{*|녀ᇙ〮}}槃{{*|빤}} 臨{{*|림}}ᄒᆞ〮샤〮 석〯ᄃᆞ〮리〮 몯〯 미처〮 겨〯샤〮 文{{*|문}}殊{{*|쓩}}師{{*|ᄉᆞᆼ}}利{{*|링〮}} 命{{*|며ᇰ〮}}ᄒᆞ〮샤〮 네〯 戒{{*|갱〮}}壇{{*|딴}}所{{*|송〯}}애〮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qlwxa5aenwkybleni653tjn9mxsvl5s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69
250
101685
392768
2025-06-28T14:26:43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가〮 붑〮 텨〮 四{{*|ᄉᆞᆼ〮}}方{{*|바ᇰ}} 菩{{*|뽕}}薩{{*|사ᇙ〮}}와〮 比{{*|삥〮}}丘{{*|쿠ᇢ}} 天{{*|텬}}龍{{*|료ᇰ}} 八{{*|바ᇙ〮}}部{{*|뽕〯}} 等{{*|드ᇰ〯}}을〮 블러〮 祇{{*|낑}}桓{{*|ᅘᅪᆫ}}애〮 몯게〮 ᄒᆞ라〮 文{{*|문}}殊{{*|쓩}}ㅣ 모도〮아〮시ᄂᆞᆯ〮 世{{*|솅〮}}尊{{*|존}}이〮 文{{*|문}}殊{{*|쓩}} 大{{*|땡〮}}衆{{*|쥬ᇰ〮}}ᄃᆞ려〮 니ᄅᆞ...
39276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가〮 붑〮 텨〮 四{{*|ᄉᆞᆼ〮}}方{{*|바ᇰ}} 菩{{*|뽕}}薩{{*|사ᇙ〮}}와〮 比{{*|삥〮}}丘{{*|쿠ᇢ}} 天{{*|텬}}龍{{*|료ᇰ}} 八{{*|바ᇙ〮}}部{{*|뽕〯}} 等{{*|드ᇰ〯}}을〮 블러〮 祇{{*|낑}}桓{{*|ᅘᅪᆫ}}애〮 몯게〮 ᄒᆞ라〮 文{{*|문}}殊{{*|쓩}}ㅣ 모도〮아〮시ᄂᆞᆯ〮 世{{*|솅〮}}尊{{*|존}}이〮 文{{*|문}}殊{{*|쓩}} 大{{*|땡〮}}衆{{*|쥬ᇰ〮}}ᄃᆞ려〮 니ᄅᆞ샤〮ᄃᆡ〮 내〮 처〮ᅀᅥᆷ 城{{*|쎠ᇰ}} 나마〮 山{{*|산}}애〮 드〮러〮 道{{*|또ᇢ〯}} ᄇᆡ호ᇙ〮 제 값〮 업〯슨 寶{{*|보ᇢ〯}}衣{{*|ᅙᅴᆼ}}로〮 鹿{{*|록〮}}皮{{*|삥}} 갓옷〮 밧고〮아〮 니부〮니〮 樹{{*|쓩〮}}神{{*|씬}}이〮 모〮ᄆᆞᆯ〮 現{{*|ᅘᅧᆫ〮}}ᄒᆞ〮야〮 소내〮 僧{{*|스ᇰ}}伽{{*|꺙}}梨{{*|링}}ᄅᆞᆯ〮 자바〮 날〯ᄃᆞ려〮 닐오〮ᄃᆡ〮 悉{{*|시ᇙ〮}}達{{*|따ᇙ〮}}太{{*|탱〮}}子{{*|ᄌᆞᆼ〯}}하〮 이〮제 道{{*|또ᇢ〯}}理{{*|링〯}} 닷ᄀᆞ시〮ᄂᆞ니〮 一{{*|ᅙᅵᇙ〮}}定{{*|뗘ᇰ〮}}ᄒᆞ〮야〮 正{{*|져ᇰ〮}}覺{{*|각〮}}ᄋᆞᆯ〮 得{{*|득〮}}ᄒᆞ〮시〮리니〮 過{{*|광〮}}去{{*|컹〮}} 迦{{*|강}}葉{{*|셥〮}}佛{{*|뿌ᇙ〮}} 涅{{*|녀ᇙ〮}}槃{{*|빤}}ᄒᆞ〮시ᇙ 제〮 이〮 뵈〮 僧{{*|스ᇰ}}伽{{*|꺙}}梨{{*|링}} 大{{*|땡〮}}衣{{*|ᅙᅴᆼ}}ᄅᆞᆯ〮 내게 付{{*|붕〮}}囑{{*|죡〮}}ᄒᆞ〮샤ᄃᆡ〮 이대〮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erfadkn8c71od7l93x02k5lwrz3pkr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70
250
101686
392769
2025-06-28T14:27:00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守{{*|슈ᇢ〯}}護{{*|ᅘᅩᆼ〮}}ᄒᆞ〮얫〮다가〮 仁{{*|ᅀᅵᆫ}}者{{*|쟝〯}}ㅣ 世{{*|솅〮}}間{{*|간}}애〮 나〮거〮시든〮 悉{{*|시ᇙ〮}}達{{*|따ᇙ〮}}ᄭᅴ〮 받ᄌᆞᄫᆞ〮라〮 ᄒᆞ〮시더〮ᅌᅵ다〮 ᄒᆞ〮야ᄂᆞᆯ〮 내〮 그제 大{{*|땡〮}}衣{{*|ᅙᅴᆼ}} 바도〮려〮 ᄒᆞᇙ 제 ᄯᅡ〮히〮 ᄀᆞ자ᇰ〮 뮈〯더니〮 樹{{*|쓩〮}}神{{*|씬}}이〮 닐오〮ᄃ...
39276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守{{*|슈ᇢ〯}}護{{*|ᅘᅩᆼ〮}}ᄒᆞ〮얫〮다가〮 仁{{*|ᅀᅵᆫ}}者{{*|쟝〯}}ㅣ 世{{*|솅〮}}間{{*|간}}애〮 나〮거〮시든〮 悉{{*|시ᇙ〮}}達{{*|따ᇙ〮}}ᄭᅴ〮 받ᄌᆞᄫᆞ〮라〮 ᄒᆞ〮시더〮ᅌᅵ다〮 ᄒᆞ〮야ᄂᆞᆯ〮 내〮 그제 大{{*|땡〮}}衣{{*|ᅙᅴᆼ}} 바도〮려〮 ᄒᆞᇙ 제 ᄯᅡ〮히〮 ᄀᆞ자ᇰ〮 뮈〯더니〮 樹{{*|쓩〮}}神{{*|씬}}이〮 닐오〮ᄃᆡ〮 이〮제 太{{*|탱〮}}子{{*|ᄌᆞᆼ〯}} 爲{{*|윙〮}}ᄒᆞ〮야〮 오〮ᄉᆞᆯ〮 여러〮 福{{*|복〮}}田{{*|뗜}}相{{*|샤ᇰ〮}}ᄋᆞᆯ〮 뵈〯ᅀᆞᆸ노〮ᅌᅵ다〮 ᄒᆞ고〮 여러〮늘〮 내〮 福{{*|복〮}}田{{*|뗜}}相{{*|샤ᇰ〮}}ᄋᆞᆯ〮 보고〮 즉〮재 金{{*|금}}剛{{*|가ᇰ}}三{{*|삼}}昧{{*|ᄆᆡᆼ〮}}定{{*|뗘ᇰ〮}}에〮 드〮로니〮 ᄯᅡ〮히〮 ᄯᅩ〮 ᄀᆞ자ᇰ〮 뮈〯더니〮 樹{{*|쓩〮}}神{{*|씬}}이〮 ᄯᅩ〮 닐오〮ᄃᆡ〮 太{{*|탱〮}}子{{*|ᄌᆞᆼ〯}}ㅣ 이〮제 ᄉᆞᆫᄌᆡ〮 俗{{*|쑉〮}}人{{*|ᅀᅵᆫ}}이〮샤〮 이〮 法{{*|법〮}}衣{{*|ᅙᅴᆼ}} 닙디〮 몯〯ᄒᆞ〮시〮리니〮 頂{{*|뎡〯}}上{{*|쌰ᇰ〮}}애〮 두〮샤〮 恭{{*|고ᇰ}}敬{{*|겨ᇰ〮}} 供{{*|고ᇰ}}養{{*|야ᇰ〮}}ᄒᆞ〮시면〮 佛{{*|뿌ᇙ〮}}道{{*|또ᇢ〯}} 求{{*|꾸ᇢ}}ᄒᆞ〮샤매〮 魔{{*|망}}ㅣ 어〮즈〮리디〮 몯〯ᄒᆞ리〮ᅌᅵ다〮 내〮 樹{{*|쓩〮}}神{{*|씬}}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ij8oovw7y0erwt8na358smdxhxz34u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105
250
101687
392770
2025-06-28T15:04:08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ᄶᅩᆨ긴 바이 되야 먼리 도망ᄒᆞ야 {{du|감탑}}<ref>가에타(Gaeta)</ref> ᄯᅡ에 이르니 션시에 {{du|나파나사}} 왕이 ᄯᅩ 도망ᄒᆞ야 {{du|감탑}}에 이르거ᄂᆞᆯ 교황이 드듸여 동거ᄒᆞ고 다시 조셔ᄅᆞᆯ 나려 왈 ᄇᆡᆨ셩이 감히 짐의 위를 ᄲᆡ스니 실로 죄가 크고 악이 즁ᄒᆞ다 ᄒᆞ니 ᄇᆡᆨ셩이 듯고 다 우슈며 조곰도 불상히 아ᄂᆞᆫ 자ㅣ 업...
39277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ᄶᅩᆨ긴 바이 되야 먼리 도망ᄒᆞ야 {{du|감탑}}<ref>가에타(Gaeta)</ref> ᄯᅡ에 이르니 션시에 {{du|나파나사}} 왕이 ᄯᅩ 도망ᄒᆞ야 {{du|감탑}}에 이르거ᄂᆞᆯ 교황이 드듸여 동거ᄒᆞ고 다시 조셔ᄅᆞᆯ 나려 왈 ᄇᆡᆨ셩이 감히 짐의 위를 ᄲᆡ스니 실로 죄가 크고 악이 즁ᄒᆞ다 ᄒᆞ니 ᄇᆡᆨ셩이 듯고 다 우슈며 조곰도 불상히 아ᄂᆞᆫ 자ㅣ 업더라
::뎨륙졀 {{u|나파륜 뎨ᄉᆞᆷ}}이 다시 교황을 {{du|나마}}부에 셰움이라
연이 쳔만 의외에 교황을 돕ᄂᆞᆫ 자ㅣ 잇스니 일쳔팔ᄇᆡᆨᄉᆞ십팔년 【헌{{sic|중|종}} 십ᄉᆞ년】 십이월 이십일에 {{u|노의 나파륜}}이 {{du|법국}} 황뎨 되야 본ᄅᆡ 도ᄅᆞᆯ 즁히 녁이지 아니ᄒᆞ다가 지시ᄒᆞ야 교황이 피츅ᄒᆞᆷ을 듯고 홀연 대경 왈 교황은 뎨왕 즁 뎨일 인군이라 이졔 그 ᄇᆡᆨ셩의게 ᄶᅩᆺ기엿스니 만일 속히 구ᄒᆞ지 아니면 {{du|오지리아}}국이 나보다 먼져 구ᄒᆞᆯ지라 연즉 ᄂᆡ ᄑᆡ업이 즁도에 폐ᄒᆞᆯ 거시요 ᄯᅩ ᄂᆡ 교황을 구ᄒᆞ면 타일에 교황이 나의 덕을 감동ᄒᆞᆯ ᄲᅮᆫ 아니라 교인이 더욱 나를 도으리니 이ᄂᆞᆫ 일거냥득이라 ᄒᆞ고 곳 {{u|오쳡나}}<ref>우디노(Oudinot)</ref> 장군을 명ᄒᆞ야 군ᄉᆞ ᄉᆞ만오쳔을 거ᄂᆞ리고 교황을 밧드러 복위케 ᄒᆞ더라 【{{du|법}}황이 ᄉᆞᄅᆞᆷ다려 일너 왈 이번 용병ᄒᆞᆷ은 짐의 ᄯᅳᆺ이 아니라 졔 대신이 강잉이 짐을 권ᄒᆞᆷ이라 ᄒᆞ더라】
{{du|법국}}이 원ᄅᆡ 민주국이라 ᄒᆞ고 옛 인군을 ᄶᅩᆺ찻거ᄂᆞᆯ 이졔 {{du|법}}황이 그 ᄇᆡᆨ셩을 권ᄒᆞ야 린국을 쳐 민주국 됨을 ᄒᆡ롭게 ᄒᆞᆷ이 말ᄒᆞ기 어려운지라 이졔 ᄉᆞᄌᆞᄅᆞᆯ 보ᄂᆡ여 {{du|나마}}인다려 일너 왈 {{du|법국}}의 발병ᄒᆞᆷ은 너의ᄅᆞᆯ 위ᄒᆞ야 평란코ᄌᆞ ᄒᆞᆷ이라 너의 교황을 ᄶᅩᆺ찻스나 엇지 릉히 오ᄅᆡ ᄐᆡ평ᄒᆞ리요 만일 짐의 말을 드러 원수ᄅᆞᆯ 바리고 화목ᄒᆞᆷ을 주장ᄒᆞ면 짐이 ᄌᆞ연 너의 ᄌᆞ주지권이 잇게 ᄒᆞ리니 엇지 만젼지ᄎᆡᆨ이 아니리요 ᄒᆞ고 {{du|나마}}인을 ᄭᅬ이여 ᄌᆞ긔 계ᄎᆡᆨ에 드러올 쥴 아랏더니 {{du|나마}}인이 그 ᄉᆞᄌᆞ다려 왈 우리 이믜 ᄌᆞ주지권이 잇스니 너의 {{u|노의 나파륜}}의 계ᄎᆡᆨ을 바라지 아닐지라 너의 염녀ᄒᆞᆯ ᄇᆡ 아니라 ᄒᆞ고 {{u|가례파지}}로 장군을 ᄉᆞᆷ고 {{du|법국}}을 막을ᄉᆡ 일쳔팔ᄇᆡᆨᄉᆞ십구년 【헌종 십오년】 오륙월 간에 {{du|법국}}과 ᄊᆞ온지 수 월 만에 {{du|법국}}의게 ᄑᆡᄒᆞ야 다시 교황으로 {{du|나마}}부에 도라오게 ᄒᆞ니 교황의 쾌락ᄒᆞᆷ은 가지어니와 ᄇᆡᆨ셩의 원굴ᄒᆞᆷ은 다시 말ᄒᆞᆯ 것 업더라
{{nop}}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ndwmm22tevqrdyh7gse1nv6h80birj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106
250
101688
392771
2025-06-28T15:04:34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du|의}}민이 강포ᄒᆞᆷ을 당ᄒᆞᄆᆡ 호소ᄒᆞᆯ 곳이 업고 ᄯᅩ {{du|법}}병이 교황을 호위ᄒᆞ며 {{du|의국}} 븍방에ᄂᆞᆫ {{du|오국}} 대병이 진압ᄒᆞ니 {{du|의}}민이 더욱 겁ᄒᆞ며 ᄯᅩ 타국에 도망ᄒᆞᄂᆞᆫ 자ㅣ 잇스면 다 잡아 쥭이니 이럼으로 셕일의 그 인군과 항거ᄒᆞᄂᆞᆫ 자ㅣ 오직 부수청명ᄒᆞ야 그 노복과 갓치 ᄒᆞᆯ ᄲᅮᆫ이...
39277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du|의}}민이 강포ᄒᆞᆷ을 당ᄒᆞᄆᆡ 호소ᄒᆞᆯ 곳이 업고 ᄯᅩ {{du|법}}병이 교황을 호위ᄒᆞ며 {{du|의국}} 븍방에ᄂᆞᆫ {{du|오국}} 대병이 진압ᄒᆞ니 {{du|의}}민이 더욱 겁ᄒᆞ며 ᄯᅩ 타국에 도망ᄒᆞᄂᆞᆫ 자ㅣ 잇스면 다 잡아 쥭이니 이럼으로 셕일의 그 인군과 항거ᄒᆞᄂᆞᆫ 자ㅣ 오직 부수청명ᄒᆞ야 그 노복과 갓치 ᄒᆞᆯ ᄲᅮᆫ이러라
::뎨칠졀 {{u|가부이후}}의 ᄒᆡᆼ젹이라
{{du|의}}인이 민주국이 되고ᄌᆞ ᄒᆞ다가 졸연이 {{du|법}}황의 위력으로 압졔ᄒᆞᆷ을 당ᄒᆞ야 다시ᄂᆞᆫ 거의 그 영향도 업셔질 쥴 아랏더니 하ᄂᆞᆯ이 ᄒᆞᆫ 긔걸ᄒᆞᆫ ᄉᆞᄅᆞᆷ을 ᄂᆡ니 이ᄂᆞᆫ {{u|가부이후}}라<ref>카보우르 백작(Camillo Benso di Cavour)</ref> ᄃᆡᄃᆡ로 후작을 셰습ᄒᆞ고 가셰 ᄯᅩ한 거부ㅣ니 {{du|의국}}인이 그 대명을 ᄐᆡ산븍두갓치 넉이며 그 의표ᄂᆞᆫ 신장이 극단ᄒᆞ고 ᄯᅩ 살지며 머리 극히 크고 미목간에 영특ᄒᆞᆫ 긔상이 형형이 ᄉᆞᄅᆞᆷ을 놀ᄂᆡ며 언어ㅣ 유화겸공ᄒᆞ야 미미히 가이 드ᄅᆞᆯ 만ᄒᆞ며 먼져 {{du|살톄니아}}국 【{{du|의대리}}의 ᄒᆡ도ㅣ라】 의원에 잇다가 다시 각국을 유력ᄒᆞ고 그 졍치 득실을 상고ᄒᆞ야 본국에 도라오니 년이 ᄉᆞᆷ십팔 셰라 황연이 국가의 곳칠 졍사ㅣ 셰 가지 잇슴을 ᄭᆡ다르니 일은 민간이 의원을 쳔거ᄒᆞ야 국가 긔밀ᄉᆞᄅᆞᆯ 의론ᄒᆞᆷ이요 이ᄂᆞᆫ 민간이 각국과 통상ᄒᆞᄆᆡ 국가ㅣ 그 ᄌᆞ유ᄌᆞ재ᄒᆞᆷ을 허ᄒᆞ야 금단ᄒᆞ지 말미요 ᄉᆞᆷ은 국가ㅣ 인민으로 ᄒᆞ야곰 ᄌᆞ쥬지권이 잇게 ᄒᆞᆷ이라 {{u|가부이후}}ㅣ 이 셰 가지 ᄯᅳᆺ을 근본ᄒᆞ야 {{du|의대리}}국이 증증일상ᄒᆞᆷ을 바라더니 이졔 ᄇᆡᆨ셩이 곤고뎐련ᄒᆞ며 ᄋᆡ긍측달ᄒᆞᆫ 형상을 보고 항상 분탄이 넉이다가 일쳔팔ᄇᆡᆨ오십년【쳘종 원년】에 {{du|살톄니아}}국이 후ᄅᆞᆯ 청ᄒᆞ야 대신을 ᄉᆞᆷ으니 대져 {{u|가부이후}} 입상ᄒᆞᆫ 후 셰상을 바리기ᄭᆞ지 인민을 구졔ᄒᆞᄂᆞᆫ 외에ᄂᆞᆫ 타ᄉᆞᄅᆞᆯ 무를 결을이 업스니 이ᄂᆞᆫ 하ᄂᆞᆯ이 {{u|가부이}}후ᄅᆞᆯ ᄉᆡᆼᄒᆞ야 {{du|의국}} 일경을 ᄆᆡᆺ김이라 {{du|의국}} 인민이 고진감ᄅᆡᄒᆞᆯ 날이 머지 아니ᄒᆞᆯ너라
일쳔팔ᄇᆡᆨᄉᆞ십팔년【헌종 십ᄉᆞ년】에 {{du|의}}민이 다시 군왕의 속박을 당ᄒᆞ거ᄂᆞᆯ {{u|가부이}}후ㅣ 가만이 혜오ᄃᆡ {{du|의국}} 대셰가 외국 군사ㅣ 응치 아니면 이 ᄇᆡᆨ셩을 도탄에 면케ᄒᆞᆯ 길 업다 ᄒᆞ고 다시 혜오ᄃᆡ {{du|살톄니아}}의 인민은 불과 ᄉᆞᄇᆡᆨ만이오 {{du|오}}황의 속디와 교황의 인민이 이쳔만에 이르니 이졔 {{du|살톄니아}}국은 의원을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b51in6zjsi3vi9oqmq6zbrdd9juxzp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107
250
101689
392772
2025-06-28T15:05:02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셰우고 인민과 국ᄉᆞᄅᆞᆯ 의론ᄒᆞᄆᆡ 졍히 {{du|오}}황과 교황의 법보다 상반ᄒᆞᆯ지라 ᄂᆡ 만일 {{du|살톄니아}}국을 강ᄒᆞ게 아니ᄒᆞ면 타인이 필연 나를 억늑ᄒᆞ야 법령을 ᄀᆡ혁ᄒᆞ라 ᄒᆞᆯ지니 장찻 엇지 ᄒᆞᆯ고 오직 긔회 도라옴을 기다려 이러 나리라 ᄒᆞ더라 ::뎨팔졀 {{du|의국}}이 {{du|영법}} 냥국과 화친ᄒᆞᆷ이라 수년 젼...
39277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셰우고 인민과 국ᄉᆞᄅᆞᆯ 의론ᄒᆞᄆᆡ 졍히 {{du|오}}황과 교황의 법보다 상반ᄒᆞᆯ지라 ᄂᆡ 만일 {{du|살톄니아}}국을 강ᄒᆞ게 아니ᄒᆞ면 타인이 필연 나를 억늑ᄒᆞ야 법령을 ᄀᆡ혁ᄒᆞ라 ᄒᆞᆯ지니 장찻 엇지 ᄒᆞᆯ고 오직 긔회 도라옴을 기다려 이러 나리라 ᄒᆞ더라
::뎨팔졀 {{du|의국}}이 {{du|영법}} 냥국과 화친ᄒᆞᆷ이라
수년 젼에 {{du|살톄니아}}국이 {{du|의대리}}와 실화ᄒᆞ얏다가 다시 화호ᄒᆞᄆᆡ {{du|구쥬}} 각국이 다 말호ᄃᆡ {{du|살톄니아}}국은 촬이 소방이라 연이나 일ᄒᆞᄂᆞᆫ 거조ㅣ 다 합당ᄒᆞ다 ᄒᆞ야 심히 즁이 넉이더니 밋 {{du|영법}} 냥국이 {{du|토이긔}}ᄅᆞᆯ 도와 {{du|아라ᄉᆞ}}ᄅᆞᆯ 칠ᄉᆡ 다 혜오ᄃᆡ {{du|살쳬니아}}ᄂᆞᆫ 국소병과ᄒᆞ니 필연 슈슈방관ᄒᆞ야 참예치 못ᄒᆞ리라 ᄒᆞ얏더니 이에 {{u|가부이후}}ㅣ 시셰ᄅᆞᆯ 통달ᄒᆞ고 긔틀을 혜아려 궐연이 이러 왈 {{du|의국}}이 {{du|오국}}과 원ᄅᆡ 깁흔 원수ㅣ 잇스니 이졔 {{du|오국}}이 비록 젼ᄌᆡᆼ에 ᄎᆞᆷ예치ᄂᆞᆫ 아니ᄒᆞ얏스나 므릇 {{du|구쥬}} ᄃᆡ국의 관계되ᄂᆞᆫ 일에ᄂᆞᆫ {{du|오국}}이 반ᄃᆞ시 ᄎᆞᆷ예ᄒᆞᆯ지라 타일 {{du|영법토}} ᄉᆞᆷ국이 화친ᄒᆞᆯ ᄯᅢ에 {{du|오국}}은 엄연히 각국과 갓치 간셥ᄒᆞ리니 기시에ᄂᆞᆫ {{du|오국}}의 권셰 점점 즁ᄒᆞ고 {{du|의국}}의 국테ᄂᆞᆫ 날로 삭ᄒᆞ야 지어 {{du|살쳬니아}}ᄂᆞᆫ 더욱 화가 장ᄎᆞᆺ 이르리니 이졔 도모ᄒᆞᆷ이 올타 ᄒᆞ고 {{du|영법}} 군즁에 격셔ᄅᆞᆯ 젼ᄒᆞ야 군ᄉᆞ 이만 오쳔을 조발ᄒᆞ야 {{du|영법}}을 도와 {{du|아라사}}ᄅᆞᆯ 치리라 ᄒᆞ니 {{du|영법}} 냥국이 대희ᄒᆞ며 허물며 {{du|영국}}은 정히 군사ㅣ 적으믈 염녀ᄒᆞ다가 더욱 감격ᄒᆞ야 치ᄉᆞᄒᆞ고 ᄯᅩ 말호ᄃᆡ 귀국의 군량을 {{du|영국}}이 담당ᄒᆞ리라 ᄒᆞ니 {{u|가부이}}후ㅣ ᄯᅩ ᄉᆞ양ᄒᆞ야 밧지 아니ᄒᆞ고 군ᄉᆞᄅᆞᆯ 발ᄒᆞᆯᄉᆡ 보ᄂᆡᆫ 바 장수ㅣ ᄯᅩᄒᆞᆫ 장ᄌᆡ 잇거ᄂᆞᆯ {{du|영법}}이 더욱 경즁이 너기더라
밋 {{du|아라사}}의 란이 평ᄒᆞ고 {{du|의ᄃᆡ리}}의 긔초ㅣ 정ᄒᆞ며 각국이 회의ᄒᆞ야 화친ᄒᆞᆯᄉᆡ {{du|살톄니아}}국은 조금도 손익이 업스나 그 은근이 {{du|의ᄃᆡ리}} 젼국에 리익됨은 ᄌᆞᄎᆞ로 {{du|의국}}이 {{du|영법}} 냥국과 교의가 더 친밀ᄒᆞ고 {{u|가부이}}후ㅣ ᄯᅩ 간담을 기우려 {{du|영국}}에 하수연ᄒᆞ니 {{du|영국}}이 그 용심ᄒᆞᆷ을 올히 넉여 극진히 획ᄎᆡᆨᄒᆞ야 쥬나 아직 일비지력은 도읍지 아니ᄒᆞ더라 【{{du|영국}}이 비록 군ᄉᆞᄅᆞᆯ ᄂᆡ여 {{du|의대리}}ᄅᆞᆯ 돕지ᄂᆞᆫ 아니ᄒᆞ나 {{du|의대리}} 젼국이 합고ᄌᆞ ᄒᆞᆷ을 더욱 조와ᄒᆞ고 일쳔팔ᄇᆡᆨ오십구년에 {{du|법}}황이 {{du|의대리}}ᄅᆞᆯ 합ᄒᆞ야 합즁국을 ᄆᆡᆫ들고ᄌᆞ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j9uea7ng1y2bjkf70yuavtszufftgcb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108
250
101690
392773
2025-06-28T15:05:29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ᄒᆞ얏스니 만일 이 계교가 일우럿스면 {{du|의대리}}의 형셰 ᄌᆞ연 졀반은 {{du|오국}}에 드러갈지라 타일에 {{du|영국}} ᄌᆡ상이 이 말을 의론ᄒᆞ야 왈 이ᄯᅢ에 {{u|노의 나파륜}}의 계교ᄂᆞᆫ 과연 깁고 파측ᄒᆞ야 알 수 업다 ᄒᆞ며 {{du|영국}} ᄌᆡ상 {{u|박무사등}}이 ᄯᅩ 갈오ᄃᆡ {{du|의ᄃᆡ리}}ᄅᆞᆯ 합ᄒᆞ야 합즁국 ᄆᆡᆫ듬이 {{du|의}}인...
39277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ᄒᆞ얏스니 만일 이 계교가 일우럿스면 {{du|의대리}}의 형셰 ᄌᆞ연 졀반은 {{du|오국}}에 드러갈지라 타일에 {{du|영국}} ᄌᆡ상이 이 말을 의론ᄒᆞ야 왈 이ᄯᅢ에 {{u|노의 나파륜}}의 계교ᄂᆞᆫ 과연 깁고 파측ᄒᆞ야 알 수 업다 ᄒᆞ며 {{du|영국}} ᄌᆡ상 {{u|박무사등}}이 ᄯᅩ 갈오ᄃᆡ {{du|의ᄃᆡ리}}ᄅᆞᆯ 합ᄒᆞ야 합즁국 ᄆᆡᆫ듬이 {{du|의}}인의 원이 아니니 필경 셩ᄉᆞ치 못ᄒᆞᆯ 거시요 셩ᄉᆞᄒᆞᆯ지라도 ᄯᅩᄒᆞᆫ 오ᄅᆡ지 못ᄒᆞ고 기시에 {{du|오국}}이 ᄯᅩ ᄌᆞ긔 위력을 낫ᄐᆞᄂᆡ야 {{du|의ᄃᆡ리}} 각 졔후로 ᄒᆞ야곰 복위케 ᄒᆞᄌᆞ ᄒᆞᆷ이라 ᄒᆞ고 {{u|박무ᄉᆞ등}}이 ᄯᅩ 갈오ᄃᆡ {{du|오국}}이 ᄌᆞ긔ᄅᆞᆯ ᄌᆞ쳐ᄒᆞᆷ이어ᄂᆞᆫ 등수에 잇고ᄌᆞ ᄒᆞᄂᆞᆫ지 이졔 억지로 {{du|의국}} 일을 ᄎᆞᆷ예코ᄌᆞ ᄒᆞ니 {{du|오국}}이 만일 회과치 아니ᄒᆞ고 {{du|의국}}의 젼국을 ᄒᆡᄒᆞ면 {{du|영국}}이 {{du|법국}}과 의론ᄒᆞ고 {{du|오국}} ᄉᆞ신을 ᄶᅩᆺᄎᆞ {{du|의국}}에 잇지 못ᄒᆞ게 ᄒᆞᆯ지니 이럼으로 {{du|법}}황도 감히 {{du|의국}}을 합ᄒᆞ야 합즁국을 ᄆᆡᆫ드지 못ᄒᆞ고 {{du|오}}황도 ᄯᅩᄒᆞᆫ {{du|의국}}의 각 졔후ᄅᆞᆯ 복위케 못ᄒᆞ얏다 ᄒᆞ니 이ᄂᆞᆫ {{du|영국}}이 다시 {{du|의국}}을 구ᄒᆞᆫ 일이라 {{du|의국}}이 만만 감격ᄒᆞ야 밋 {{du|살톄니아}}국이 {{du|나파나사}}ᄅᆞᆯ 회복ᄒᆞᆫ 후에 셔간을 보ᄂᆡ여 감ᄉᆞᄒᆞᆷ을 말ᄒᆞ더라】
::뎨구졀 {{du|의국}}이 {{du|오국}}과 전ᄌᆡᆼᄒᆞᆷ이라
당시에 {{du|법}}황 {{u|노의 나파륜}}이 ᄌᆞ긔ᄅᆞᆯ 순종ᄒᆞᄂᆞᆫ ᄌᆞᄂᆞᆫ 곳 도와쥬고 은연이 종즁취리ᄒᆞ거ᄂᆞᆯ {{u|가부이}}후ㅣ 그 ᄯᅳᆺ을 알고 {{du|법}}황의게 구원을 쳥ᄒᆞ니 {{du|법}}황이 ᄃᆡ희ᄒᆞ야 드ᄃᆡ여 {{du|살톄니아}}국과 약조ᄅᆞᆯ 졍ᄒᆞ니 그 ᄯᅳᆺ에 ᄒᆞ얏스되 {{du|법국}}은 {{du|의대리}}에 웅거ᄒᆞᆫ {{du|오국}}인을 구츅ᄒᆞ고 {{du|륜파제}} {{du|비ᄂᆡ텬}} 량ᄉᆡᆼ을 취ᄒᆞ야 {{du|살톄니아}}국에 예{{sic|숙}}ᄒᆞ고 {{du|살쳬니아}}국은 {{du|살비}}와<ref>사보이(Savoy)</ref> {{du|니사}}의<ref>니스(Nice)</ref> ᄯᅡ흘 {{du|법국}}에 밧친다 ᄒᆞ얏더니 일쳔팔ᄇᆡᆨ오십구년 【쳘종 십년】 졍월 일일에 법경 {{du|파리}}에 주찰ᄒᆞᆫ 각국 사신이 {{du|법}}황의게 폐현ᄒᆞ고 신셰 ᄐᆡ평ᄒᆞᆷ을 경츅ᄒᆞᆯᄉᆡ 급기 {{du|오국}} 사신에 이르러 {{du|법}}황이 홀연이 ᄀᆡ연탄식 왈 짐이 {{du|오}}황과 교의 돈목ᄒᆞ거ᄂᆞᆯ 이졔 냥국간에 조금 미흡처이 잇스니 심이 가셕ᄒᆞ다 ᄒᆞᄂᆞᆫ지라 듯ᄂᆞᆫ 자ㅣ 악연치 아니 리 업고 다 말호ᄃᆡ 이러ᄒᆞᆫ 원조 경하에 황뎨가 홀연이 이러타시 말ᄒᆞᆷ은 종ᄅᆡ 쳐음이라 이 엇지 {{u|나파륜 뎨일}}의 옛법을 효측ᄒᆞᄂᆞᆫ가 ᄒᆞ니 대져 일쳔팔ᄇᆡᆨᄉᆞᆷ년【순조 ᄉᆞᆷ년】에 {{u|나파륜 뎨일}}이 일즉이 {{du|영국}} ᄉᆞ신을 향ᄒᆞ야 {{du|영국}}의 허물을 ᄎᆡᆨ망ᄒᆞ니 각국 사신이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ibtdqv6jx5gg67xiue44baqkdg44jg
페이지:태셔신사 하.djvu/109
250
101691
392774
2025-06-28T15:05:55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다 대경ᄒᆞ고 젼ᄌᆡᆼ이 장찻 조모간에 잇슬이라 ᄒᆞ얏더니 이졔 {{u|나파륜 뎨ᄉᆞᆷ}}이 {{du|오국}} ᄉᆞ신을 ᄃᆡᄒᆞ야 언사ㅣ 비록 완젼ᄒᆞ나 종ᄎᆞ로 냥국의 병혁이 일믈 가히 알지라 {{du|영국}} 졍부ㅣ 듯고 먼져 {{du|오}}황을 권ᄒᆞ야 {{du|살톄니아}}국에 병단을 이릐켜지 말나 만일 ᄂᆡ 말을 듯지 아니면 화란이 곳 잇스리라 ᄒᆞ얏더...
39277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다 대경ᄒᆞ고 젼ᄌᆡᆼ이 장찻 조모간에 잇슬이라 ᄒᆞ얏더니 이졔 {{u|나파륜 뎨ᄉᆞᆷ}}이 {{du|오국}} ᄉᆞ신을 ᄃᆡᄒᆞ야 언사ㅣ 비록 완젼ᄒᆞ나 종ᄎᆞ로 냥국의 병혁이 일믈 가히 알지라 {{du|영국}} 졍부ㅣ 듯고 먼져 {{du|오}}황을 권ᄒᆞ야 {{du|살톄니아}}국에 병단을 이릐켜지 말나 만일 ᄂᆡ 말을 듯지 아니면 화란이 곳 잇스리라 ᄒᆞ얏더니 {{du|오}}황이 듯지 아니ᄒᆞ고 일쳔팔ᄇᆡᆨ오십구년 【쳘종 십년】 ᄉᆞ월 이십팔일에 {{du|오}}병이 {{du|살톄니아}}국에 드러가 그 ᄯᅡ흘 점거ᄒᆞ니 {{du|법}}황이 곳 명장츌ᄉᆞᄒᆞ야 {{du|살톄니아}}국으로 향ᄒᆞ더라
과연 {{du|살톄니아}}국에 드러갓든 {{du|오}}병이 {{du|법국}} 군ᄉᆞᄅᆞᆯ 맛나ᄆᆡ 다 망풍분괴ᄒᆞ야 륙월 ᄉᆞ일과 튝월 이십오일에 두 번 ᄊᆞ와 {{du|오}}병이 거의 젼군 함몰ᄒᆞ야 죽고 상ᄒᆞᆫ 자ㅣ ᄉᆞᆷ만 명이라 대져 {{du|오}}군이 {{du|법}}군을 맛나ᄆᆡ 양의 무리 호랑이ᄅᆞᆯ 당ᄒᆞᆷ과 갓흐며 더욱이 {{du|살톄니아}} 군병이 합ᄒᆞ야 {{du|오}}군을 모라 {{du|의대리}} 디경 밧게 ᄶᅩᆺᄎᆞ ᄂᆡ이니 그 군즁ᄉᆞᄅᆞᆯ 뭇지 아니ᄒᆞ야도 가히 알너라 연이나 {{du|법}}군이 대쳡ᄒᆞᆫ 후 십유오일이 지나도 조곰도 동졍이 업ᄂᆞᆫ지라 {{du|살톄니아}} 군이 다 혜아ᄃᆡ 금번에 {{du|법}}군이 만일 ᄒᆞᆫ 번 더 도와주면 {{du|오국}} ᄉᆞᄅᆞᆷ의 ᄌᆞ취ᄅᆞᆯ 다 쓰러 바리리라 ᄒᆞ얏더니 쳔만의외에 {{du|법}}황이 시종이 여일치 못ᄒᆞ야 칠월 륙일에 홀연이 소문이 들니되 {{du|법국}} 관원이 {{du|오디리아}} 황뎨 ᄒᆡᆼ궁에 이르러 수작ᄒᆞᆫ 일이 잇다 ᄒᆞ며 ᄯᅩ 초칠일에 젼호ᄃᆡ 작일에 보왓든 {{du|법국}} 관원이 ᄯᅩ 친히 {{du|오국}} 군문으로 죳차 나옴을 보왓다 ᄒᆞ더니 ᄯᅩ다시 드르니 {{du|법}}황이 과연 ᄉᆞᄅᆞᆷ을 {{du|오국}} 진젼에 보ᄂᆡ야 {{du|오국}}과 화친ᄒᆞᆷ을 말ᄒᆞ얏ᄂᆞᆫ지라 연즉 {{du|법오}} 냥국이 화친ᄒᆞᆯ 날이 머지 아니ᄒᆞ얏더라
{{du|의국}} ᄉᆞᄅᆞᆷ이 이 말을 듯고 다 일너 왈 이 ᄉᆞᄅᆞᆷ의 괴휼ᄒᆞᆷ이 이에 이를 쥴은 몰낫다 ᄒᆞ고 일시에 분로ᄒᆞᆷ을 마지 아니ᄒᆞ야 당초에 {{du|법}}황이 구원ᄒᆞᆫ ᄯᅳᆺ은 아지 못ᄒᆞ더라 연이나 당시에 강약지셰 현슈ᄒᆞᄆᆡ 엇지ᄒᆞᆯ 길 업셔 급기 {{du|법오}} 냥국이 화친ᄒᆞᆯᄉᆡ {{du|살톄니아}}국도 ᄯᅩᄒᆞᆫ 그 약조 ᄂᆡ에 일홈을 두고 오직 {{u|가부이}}후ᄂᆞᆫ 갈오ᄃᆡ 나ᄂᆞᆫ 괘관동문ᄒᆞ고 갈 ᄲᅮᆫ이요 일홈 두기ᄂᆞᆫ 만만불가라 ᄒᆞ더라
화친이 졍ᄒᆞᄆᆡ {{du|오국}}이 {{du|륜파졔}} 일ᄉᆡᆼ과 밋 그 인민 ᄉᆞᆷᄇᆡᆨ만을 {{du|살톄니아}}국에 돌녀 보ᄂᆡ고 오직 {{du|비ᄂᆡ텬}}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k0l30u2rv72ckftd0v6roihub9lir4
페이지:오자셔실긔.djvu/17
250
101692
392776
2025-06-28T18:12:22Z
Bborang
18488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관에나가동으로유람코져ᄒᆞ더니듯ᄉᆞ온즉쟝군이도망ᄒᆞ는신하오ᄌᆞ셔를잡앗다ᄒᆞ기에특별히와셔치하ᄒᆞᄂᆞ이다ᄒᆞᆫᄃᆡ원월이ᄀᆞᆯ오ᄃᆡ쇼졸이한ᄉᆞ람을잡아드리니용모가오ᄌᆞ셔와흡ᄉᆞᄒᆞᆫᄃᆡ오히려ᄌᆞ복ᄒᆞ지아니ᄒᆞᆫ다ᄒᆞ거늘동고공이왈쟝군이ᄌᆞ셔의부ᄌᆞ로더부러한됴뎡에벼ᄉᆞᆯᄒᆞ엿거늘엇지진가...
39277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Bborang"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관에나가동으로유람코져ᄒᆞ더니듯ᄉᆞ온즉쟝군이도망ᄒᆞ는신하오ᄌᆞ셔를잡앗다ᄒᆞ기에특별히와셔치하ᄒᆞᄂᆞ이다ᄒᆞᆫᄃᆡ원월이ᄀᆞᆯ오ᄃᆡ쇼졸이한ᄉᆞ람을잡아드리니용모가오ᄌᆞ셔와흡ᄉᆞᄒᆞᆫᄃᆡ오히려ᄌᆞ복ᄒᆞ지아니ᄒᆞᆫ다ᄒᆞ거늘동고공이왈쟝군이ᄌᆞ셔의부ᄌᆞ로더부러한됴뎡에벼ᄉᆞᆯᄒᆞ엿거늘엇지진가를변ᄇᆡᆨ지못ᄒᆞ시ᄂᆞ뇨로부가ᄌᆞ셔로더부러약간면분이잇슨즉그ᄉᆞ람을잠간빌녀보게ᄒᆞ쇼셔한번보면허실을알니이다ᄒᆞᆫᄃᆡ원월이군ᄉᆞ를명ᄒᆞ야잡아온ᄉᆞ람을잇그러오라ᄒᆞ니황보눌이동고공을바라보고급히불너ᄀᆞᆯ오ᄃᆡ공이긔약을뎡ᄒᆞ고엇지일즉닐으지아니ᄒᆞ야날로ᄒᆞ야곰욕을당ᄒᆞ게ᄒᆞᄂᆞ뇨ᄒᆞ거늘동고공이우으며원월다려닐너왈쟝군이그릇아시도다이는나의친구황보눌이라날과갓치언약ᄒᆞ야유람코져ᄒᆞ더니졔가압셔ᄯᅥᄂᆞ온소치로소이다장군이만일밋지아니ᄒᆞ실진ᄃᆡ관을지ᄂᆡ가는문빙이이에잇ᄂᆞ니엇지쇼기리잇고ᄒᆞᆫᄃᆡ원월이대참ᄒᆞ야친히결박ᄒᆞᆷ을풀으고슐을주워놀ᄂᆡᆷ을진졍ᄒᆞ게ᄒᆞ고ᄀᆞᆯ오ᄃᆡ쇼졸이그릇ᄒᆞᆷ이니고이ᄒᆞ게아지말으쇼셔ᄒᆞ거늘동고공이왈쟝군이됴뎡을위ᄒᆞ야법을잡으심이니로부가무ᄉᆞᆷ괴이ᄒᆞ게녁일리치가잇스리요ᄒᆞᆫᄃᆡ원월이ᄯᅩ금과비단을ᄂᆡ여유ᄅᆞᆷᄒᆞ는자본을보ᄐᆡ거늘두ᄉᆞ람이샤례ᄒᆞ고관밧그로나아오니원월이쟝ᄉᆞ를호령ᄒᆞ야관문을녜와갓치굿게직히더라ᄌᆡ셜오운이쇼관을지ᄂᆡ여ᄲᅡᆯ니ᄒᆡᆼᄒᆞ야악져에닐으니대강이가로막혓ᄂᆞᆫᄃᆡ호々망々ᄒᆞ고파도가흉々ᄒᆞ니건너갈션쳑이업는지라심즁에십분위급ᄒᆞ게녁이더니홀연보ᄆᆡ어옹이ᄇᆡ를져어물을거ᄉᆞ려올나오거늘운이깃버ᄒᆞ야ᄀᆞᆯ오ᄃᆡ하날이우리명을ᄭᅳᆫ치아니ᄒᆞ시도다ᄒᆞ고급히불너ᄀᆞᆯ오ᄃᆡ어부야나를건늬라하니어부ᄇᆡ를져어건너ᄀᆞᆯ려ᄒᆞ다가언덕우에ᄉᆞᄅᆞᆷ에동졍이잇슴을보고이에소ᄅᆡ를노아노ᄅᆡᄒᆞ야ᄀᆞᆯ오ᄃᆡ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a55p39xz5lanwfv7gb64t9w8bo8u99
페이지:오자셔실긔.djvu/18
250
101693
392777
2025-06-28T18:25:29Z
Bborang
18488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날과달이밝고밝게달니니, 그ᄃᆡ로더부러쥬물가으로긔약ᄒᆞ노라ᄒᆞ거늘<br> 오운이노ᄅᆡ를듯고그ᄯᅳᆺ을짐작ᄒᆞ야강아ᄅᆡ를바라고나려가셔로쥬에닐으러갈ᄃᆡ로ᄡᅧ은신ᄒᆞ얏더니얼마아니되야어옹이ᄇᆡ를언덕에다히고살피되오운의동졍을아지못ᄒᆞᆯ지라다시노ᄅᆡᄒᆞ야ᄀᆞᆯ오ᄃᆡ<br> 날이임의져무럿스니, 그ᄃᆡ마음이...
39277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Bborang"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날과달이밝고밝게달니니, 그ᄃᆡ로더부러쥬물가으로긔약ᄒᆞ노라ᄒᆞ거늘<br>
오운이노ᄅᆡ를듯고그ᄯᅳᆺ을짐작ᄒᆞ야강아ᄅᆡ를바라고나려가셔로쥬에닐으러갈ᄃᆡ로ᄡᅧ은신ᄒᆞ얏더니얼마아니되야어옹이ᄇᆡ를언덕에다히고살피되오운의동졍을아지못ᄒᆞᆯ지라다시노ᄅᆡᄒᆞ야ᄀᆞᆯ오ᄃᆡ<br>
날이임의져무럿스니, 그ᄃᆡ마음이슯흐리로다, 달이임의달니거늘, 엇지건느지아<br>
니ᄒᆞᄂᆞ뇨ᄒᆞ거늘<br>
오운이공ᄌᆞ승을다리고갈ᄃᆡ쇽으로ᄯᅮᆯ코나오니어옹이급히불으거늘두ᄉᆞᄅᆞᆷ이돌을드듸고ᄇᆡ에오르니어옹이돗을올니고로를가븨야히져으ᄆᆡᄇᆡ닷기살갓ᄒᆞ야한시ᄀᆞᆫ이다못되야건너편언덕에다힌지라어옹이ᄀᆞᆯ오ᄃᆡ어졔밤ᄭᅮᆷ에쟝셩이나의ᄇᆡ에ᄯᅥ러져보인지라로부가오날반ᄃᆞ시이샹ᄒᆞᆫᄉᆞᄅᆞᆷ이물을건늴쥴짐작ᄒᆞ고ᄇᆡ를져어나왓더니과연그ᄃᆡ를맛낫도다그ᄃᆡ샹모를보니비샹ᄒᆞᆫᄉᆞᄅᆞᆷ이뎍실ᄒᆞᆫ지라실샹을일으고쇼기지말나ᄒᆞ거늘오운이드듸여셩명을고ᄒᆞᆫᄃᆡ어옹이차탄ᄒᆞ야ᄀᆞᆯ오ᄃᆡ그ᄃᆡ얼골에쥬린빗치잇스니ᄂᆡ도라가먹을것을가져다가그ᄃᆡ를먹이리니잠간기다리라ᄒᆞ고어옹이ᄇᆡ를버들아ᄅᆡᄆᆡ고촌즁으로드러가더니오ᄅᆡ오지아니ᄒᆞ거늘운이공ᄌᆞ승다려일너ᄀᆞᆯ오ᄃᆡᄉᆞᄅᆞᆷ의마ᄋᆞᆷ을측냥키어려운지라엇지여러ᄉᆞᄅᆞᆷ을모듸여우리를사로잡지아니ᄒᆞᆯ쥴을알니오ᄒᆞ고다시갈대깁흔곳에은신ᄒᆞ얏더니얼마아니되야어옹이보리밥과ᄉᆡᆼ션국을ᄭᅳ려가지고나무아ᄅᆡ에일으러사면으로살펴보니오운을보지못ᄒᆞᆯ지라이에놉히불너ᄀᆞᆯ오ᄃᆡ갈대쇽사ᄅᆞᆷ아갈대쇽사ᄅᆞᆷ아ᄂᆡ가그ᄃᆡ로ᄡᅥ리를구ᄒᆞ려ᄒᆞ는ᄌᆡ아니라ᄒᆞ거늘오운이그졔야갈대쇽으로죳ᄎᆞ나와대답ᄒᆞ니어옹이ᄀᆞᆯ오ᄃᆡ그ᄃᆡ의쥬림을알고특별히음식을가져ᄃᆡ졉ᄒᆞ려ᄒᆞ거늘엇지셔로피ᄒᆞ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degrhv391mpbwgc97q9i2xrbjroozj3
392778
392777
2025-06-28T18:25:56Z
Bborang
18488
39277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Bborang"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날과달이밝고밝게달니니, 그ᄃᆡ로더부러쥬물가으로긔약ᄒᆞ노라ᄒᆞ거늘<br />
오운이노ᄅᆡ를듯고그ᄯᅳᆺ을짐작ᄒᆞ야강아ᄅᆡ를바라고나려가셔로쥬에닐으러갈ᄃᆡ로ᄡᅧ은신ᄒᆞ얏더니얼마아니되야어옹이ᄇᆡ를언덕에다히고살피되오운의동졍을아지못ᄒᆞᆯ지라다시노ᄅᆡᄒᆞ야ᄀᆞᆯ오ᄃᆡ<br />
날이임의져무럿스니, 그ᄃᆡ마음이슯흐리로다, 달이임의달니거늘, 엇지건느지아<br />
니ᄒᆞᄂᆞ뇨ᄒᆞ거늘<br />
오운이공ᄌᆞ승을다리고갈ᄃᆡ쇽으로ᄯᅮᆯ코나오니어옹이급히불으거늘두ᄉᆞᄅᆞᆷ이돌을드듸고ᄇᆡ에오르니어옹이돗을올니고로를가븨야히져으ᄆᆡᄇᆡ닷기살갓ᄒᆞ야한시ᄀᆞᆫ이다못되야건너편언덕에다힌지라어옹이ᄀᆞᆯ오ᄃᆡ어졔밤ᄭᅮᆷ에쟝셩이나의ᄇᆡ에ᄯᅥ러져보인지라로부가오날반ᄃᆞ시이샹ᄒᆞᆫᄉᆞᄅᆞᆷ이물을건늴쥴짐작ᄒᆞ고ᄇᆡ를져어나왓더니과연그ᄃᆡ를맛낫도다그ᄃᆡ샹모를보니비샹ᄒᆞᆫᄉᆞᄅᆞᆷ이뎍실ᄒᆞᆫ지라실샹을일으고쇼기지말나ᄒᆞ거늘오운이드듸여셩명을고ᄒᆞᆫᄃᆡ어옹이차탄ᄒᆞ야ᄀᆞᆯ오ᄃᆡ그ᄃᆡ얼골에쥬린빗치잇스니ᄂᆡ도라가먹을것을가져다가그ᄃᆡ를먹이리니잠간기다리라ᄒᆞ고어옹이ᄇᆡ를버들아ᄅᆡᄆᆡ고촌즁으로드러가더니오ᄅᆡ오지아니ᄒᆞ거늘운이공ᄌᆞ승다려일너ᄀᆞᆯ오ᄃᆡᄉᆞᄅᆞᆷ의마ᄋᆞᆷ을측냥키어려운지라엇지여러ᄉᆞᄅᆞᆷ을모듸여우리를사로잡지아니ᄒᆞᆯ쥴을알니오ᄒᆞ고다시갈대깁흔곳에은신ᄒᆞ얏더니얼마아니되야어옹이보리밥과ᄉᆡᆼ션국을ᄭᅳ려가지고나무아ᄅᆡ에일으러사면으로살펴보니오운을보지못ᄒᆞᆯ지라이에놉히불너ᄀᆞᆯ오ᄃᆡ갈대쇽사ᄅᆞᆷ아갈대쇽사ᄅᆞᆷ아ᄂᆡ가그ᄃᆡ로ᄡᅥ리를구ᄒᆞ려ᄒᆞ는ᄌᆡ아니라ᄒᆞ거늘오운이그졔야갈대쇽으로죳ᄎᆞ나와대답ᄒᆞ니어옹이ᄀᆞᆯ오ᄃᆡ그ᄃᆡ의쥬림을알고특별히음식을가져ᄃᆡ졉ᄒᆞ려ᄒᆞ거늘엇지셔로피ᄒᆞ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3hg8ukznxshhap3jrihwxnlxmhpgkn
392779
392778
2025-06-28T18:26:34Z
Bborang
18488
39277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Bborang"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날과달이밝고밝게달니니, 그ᄃᆡ로더부러쥬물가으로긔약ᄒᆞ노라ᄒᆞ거늘<br />
오운이노ᄅᆡ를듯고그ᄯᅳᆺ을짐작ᄒᆞ야강아ᄅᆡ를바라고나려가셔로쥬에닐으러갈ᄃᆡ로ᄡᅧ은신ᄒᆞ얏더니얼마아니되야어옹이ᄇᆡ를언덕에다히고살피되오운의동졍을아지못ᄒᆞᆯ지라다시노ᄅᆡᄒᆞ야ᄀᆞᆯ오ᄃᆡ<br />
날이임의져무럿스니, 그ᄃᆡ마음이슯흐리로다, 달이임의달니거늘, 엇지건느지아<br />
니ᄒᆞᄂᆞ뇨ᄒᆞ거늘<br />
오운이공ᄌᆞ승을다리고갈ᄃᆡ쇽으로ᄯᅮᆯ코나오니어옹이급히불으거늘두ᄉᆞᄅᆞᆷ이돌을드듸고ᄇᆡ에오르니어옹이돗을올니고로를가븨야히져으ᄆᆡᄇᆡ닷기살갓ᄒᆞ야한시ᄀᆞᆫ이다못되야건너편언덕에다힌지라어옹이ᄀᆞᆯ오ᄃᆡ어졔밤ᄭᅮᆷ에쟝셩이나의ᄇᆡ에ᄯᅥ러져보인지라로부가오날반ᄃᆞ시이샹ᄒᆞᆫᄉᆞᄅᆞᆷ이물을건늴쥴짐작ᄒᆞ고ᄇᆡ를져어나왓더니과연그ᄃᆡ를맛낫도다그ᄃᆡ샹모를보니비샹ᄒᆞᆫᄉᆞᄅᆞᆷ이뎍실ᄒᆞᆫ지라실샹을일으고쇼기지말나ᄒᆞ거늘오운이드듸여셩명을고ᄒᆞᆫᄃᆡ어옹이차탄ᄒᆞ야ᄀᆞᆯ오ᄃᆡ그ᄃᆡ얼골에쥬린빗치잇스니ᄂᆡ도라가먹을것을가져다가그ᄃᆡ를먹이리니잠간기다리라ᄒᆞ고어옹이ᄇᆡ를버들아ᄅᆡᄆᆡ고촌즁으로드러가더니오ᄅᆡ오지아니ᄒᆞ거늘운이공ᄌᆞ승다려일너ᄀᆞᆯ오ᄃᆡᄉᆞᄅᆞᆷ의마ᄋᆞᆷ을측냥키어려운지라엇지여러ᄉᆞᄅᆞᆷ을모듸여우리를사로잡지아니ᄒᆞᆯ쥴을알니오ᄒᆞ고다시갈대깁흔곳에은신ᄒᆞ얏더니얼마아니되야어옹이보리밥과ᄉᆡᆼ션국을ᄭᅳ려가지고나무아ᄅᆡ에일으러사면으로살펴보니오운을보지못ᄒᆞᆯ지라이에놉히불너ᄀᆞᆯ오ᄃᆡ갈대쇽사ᄅᆞᆷ아갈대쇽사ᄅᆞᆷ아ᄂᆡ가그ᄃᆡ로ᄡᅥ리를구ᄒᆞ려ᄒᆞ는ᄌᆡ아니라ᄒᆞ거늘오운이그졔야갈대쇽으로죳ᄎᆞ나와대답ᄒᆞ니어옹이ᄀᆞᆯ오ᄃᆡ그ᄃᆡ의쥬림을알고특별히음식을가져ᄃᆡ졉ᄒᆞ려ᄒᆞ거늘엇지셔로피ᄒᆞ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22qwh1vwr4hhcvii1p6m3ecf88mnwk
페이지:오자셔실긔.djvu/19
250
101694
392780
2025-06-28T18:40:45Z
Bborang
18488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ᄂᆞ뇨오운이ᄀᆞᆯ오ᄃᆡ사ᄅᆞᆷ의셩명이하날에달녓스나오날々은존쟝ᄭᅴᄆᆡ엿는지라근심이마ᄋᆞᆷ을요란케ᄒᆞᆷᄋᆡ스사로진졍치못ᄒᆞᆷ이오니엇지감히피ᄒᆞ엿스리잇고어옹이밥을드리거늘운이공ᄌᆞ승으로더부러ᄇᆡ불니먹은후하직ᄒᆞ고갈ᄉᆡ운이찻던칼을글너어옹을쥬며왈이는우리나라션왕의사신ᄒᆞ신ᄇᆡ라우리한아비...
39278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Bborang"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ᄂᆞ뇨오운이ᄀᆞᆯ오ᄃᆡ사ᄅᆞᆷ의셩명이하날에달녓스나오날々은존쟝ᄭᅴᄆᆡ엿는지라근심이마ᄋᆞᆷ을요란케ᄒᆞᆷᄋᆡ스사로진졍치못ᄒᆞᆷ이오니엇지감히피ᄒᆞ엿스리잇고어옹이밥을드리거늘운이공ᄌᆞ승으로더부러ᄇᆡ불니먹은후하직ᄒᆞ고갈ᄉᆡ운이찻던칼을글너어옹을쥬며왈이는우리나라션왕의사신ᄒᆞ신ᄇᆡ라우리한아비와아비가몸에진여셔삼대가되엿ᄂᆞ니가온데칠셩문ᄎᆡ가잇셔々갑시ᄇᆡᆨ금이ᄂᆞ되는지다일로써존장의은혜를갑노라ᄒᆞᆫᄃᆡ어옹이쇼왈ᄂᆡ드르니초왕이령을나리되오운을잡아드리는쟈ㅣ잇스면곡식오만셕을주고샹대부벼ᄉᆞᆯ을식히리라ᄒᆞ니ᄂᆡ이졔샹경의샹을바리고너의ᄇᆡᆨ금칼을리롭게녁이리오ᄯᅩ군ᄌᆞ가칼이업스면유ᄅᆞᆷ치못ᄒᆞᄂᆞ니이는그ᄃᆡ에쓸바이오나의쇼용은아니라ᄒᆞ거늘운이왈존쟝이칼은밧지아니ᄒᆞ시니빌건ᄃᆡ셩명이ᄂᆞ닐으소셔후일에갑고져ᄒᆞᄂᆞ이다어옹이노왈ᄂᆡ그ᄃᆡ가원통ᄒᆞᆷ을먹음은고로강을건너주엇더니그ᄃᆡ후일에갑흐므로나를ᄭᅬ이니대장부아니로다ᄒᆞ거늘운이왈존장은비록갑흐믈바라지아니ᄒᆞᄂᆞᄂᆡ마ᄋᆞᆷ이야엇지편안ᄒᆞ릿고가라치심을바라노라간쳥ᄒᆞᆫᄃᆡ어웅왈이젯날셔로맛나ᄆᆡ그ᄃᆡ는초국난을도망ᄒᆞ야가고나는초ㅅ나라도적을노아보ᄂᆡᆺ스니셩명은일너무엇ᄒᆞ리오만일하날이지시ᄒᆞ샤셔로맛나거든나는그ᄃᆡ불으기를로즁인이라ᄒᆞ고그ᄃᆡ는나불으기를어쟝인이라ᄒᆞ면족히긔록ᄒᆞ리라ᄒᆞ거늘운이흔연히졀ᄒᆞ야샤례ᄒᆞ고ᄯᅥ나갈ᄉᆡ두어거름을가다가다시몸을도리켜어옹다려일너ᄀᆞᆯ오ᄃᆡ뒤에혹ᄯᅡ라오는군ᄉᆡ잇슬지라도나의죵뎍을일으지말나ᄒᆞᆫᄃᆡ어옹이탄식ᄒᆞ야ᄀᆞᆯ오ᄃᆡᄂᆡ그ᄃᆡ에게덕되게ᄒᆞ얏거늘그ᄃᆡ오히려나를의심ᄒᆞ니만일ᄶᅩᆺ는군ᄉᆞ가다른곳으로건너간다ᄒᆞᆯ지라도ᄂᆡ엇지변명ᄒᆞ리요쳥컨ᄃᆡᄂᆡ가몬져죽어그ᄃᆡ의의심을ᄭᅳᆫ으리라ᄒᆞ고언필에로를더지고각구로물속을향ᄒᆞ고더져쥭는지라오운이어옹익쥭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btclg9x9ygsbinyq5hw1xhj7cufzd97
페이지:오자셔실긔.djvu/20
250
101695
392781
2025-06-28T18:55:00Z
Bborang
18488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으믈탄왈나는널노ᄒᆞ야살믈엇고너는날로인ᄒᆞ야죽으니엇지슯흐지아니ᄒᆞ리오ᄒᆞ고비챵ᄒᆞᆷ을마지아니ᄒᆞ더라오운이공ᄌᆞ승을다리고오ㅅ나라디경에드러갈ᄉᆡᄒᆡᆼᄒᆞ야률양ᄯᅡ에일으니ᄇᆡ가쥬림ᄋᆡ긔력이피곤ᄒᆞ야밥을빌녀ᄒᆞ더니한녀ᄌᆡ물ᄀᆞ에셔깁을ᄲᅡᆯᄆᆡ도솔기쇽에밥이들엇거늘오운이거름을멈추고녀ᄌᆞ...
39278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Bborang"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으믈탄왈나는널노ᄒᆞ야살믈엇고너는날로인ᄒᆞ야죽으니엇지슯흐지아니ᄒᆞ리오ᄒᆞ고비챵ᄒᆞᆷ을마지아니ᄒᆞ더라오운이공ᄌᆞ승을다리고오ㅅ나라디경에드러갈ᄉᆡᄒᆡᆼᄒᆞ야률양ᄯᅡ에일으니ᄇᆡ가쥬림ᄋᆡ긔력이피곤ᄒᆞ야밥을빌녀ᄒᆞ더니한녀ᄌᆡ물ᄀᆞ에셔깁을ᄲᅡᆯᄆᆡ도솔기쇽에밥이들엇거늘오운이거름을멈추고녀ᄌᆞ다려일너왈부인은한그릇밥을빌니라ᄒᆞᆫᄃᆡ녀ᄌᆞㅣ머리숙이고ᄃᆡ답ᄒᆞ야왈쳡이삼십이되도록싀집ᄀᆞ지아니ᄒᆞ고어미로더부러한게사ᄂᆞ니엇지ᄒᆡᆼᄀᆡᆨ에게밥을팔니요ᄒᆞ거늘오운이ᄀᆞᆯ오ᄃᆡᄂᆡ이졔궁도에ᄲᅡ진지라원컨ᄃᆡ한그릇밥을빌어목슘을보존ᄒᆞ려ᄒᆞᄂᆞ니부인이죽는사ᄅᆞᆷ을구졔ᄒᆞ면무ᄉᆞᆷ불ᄀᆞᄒᆞᆷ이잇스리오ᄒᆞᆫᄃᆡ녀ᄌᆞㅣ머리를들어오운을보니샹모ᄀᆞ웅장ᄒᆞᆫ지라그졔야ᄀᆞᆯ오ᄃᆡ쳡이그ᄃᆡ의샹모를잠간보니비샹ᄒᆞᆫᄉᆞᄅᆞᆷ갓흔지라엇지죠고마ᄒᆞᆫ혐의로곤궁ᄒᆞᆷ을안자보리오ᄒᆞ고도솔기밥과병의쟝물을ᄂᆡ여ᄭᅮ러안져드리거ᄂᆞᆯᄌᆞ셔공ᄌᆞ승으로더부러한슐식먹고ᄂᆡ여노으니녀ᄌᆞㅣᄀᆞᆯ오ᄃᆡ그ᄃᆡ뭔니가신은길인듯ᄒᆞ온ᄃᆡ엇지ᄇᆡ불니먹지아나뇨ᄒᆞ거ᄂᆞᆯ두ᄉᆞᄅᆞᆷ이다시먹기를시작ᄒᆞ야그그릇에밥을다먹고ᄯᅥ나갈ᄉᆡ녀ᄌᆞ다려닐너왈부인의횔명ᄒᆞ신은혜를입으니은혜가폐부에샥이도다ᄂᆡ실샹도망ᄒᆞᄂᆞᆫᄉᆞᄅᆞᆷ이니만일다른ᄉᆞᄅᆞᆷ을맛나거든부인은루셜치말으소셔ᄒᆞᆫᄃᆡ녀ᄌᆞㅣ쳐연히탄식왈슯흐다쳡이홀어미를뫼셔삼십이되도록싀집가지아니ᄒᆞ고졍졀로ᄆᆡᆼ셰ᄒᆞ엿더니엇지모로ᄂᆞᆫ남ᄌᆞ로더부러슈작ᄒᆞᆯ줄을알앗스리오의리가문어지고졀ᄀᆡ가ᄯᅥ러진지라엇지ᄉᆞᄅᆞᆷ이라ᄒᆞ리오그ᄃᆡᄂᆞᆫ갈지어다ᄒᆞ거ᄂᆞᆯ오운이리별ᄒᆞ고가다가두어거름을못가셔머리를도리켜보니그녀ᄌᆞ큰돌을안고물에ᄲᅡ져쥭거ᄂᆞᆯ오운이녀ᄌᆞ의죽음을보고비챵ᄒᆞᆷ을익이지못ᄒᆞ야손가락을ᄭᅵ물어피를ᄂᆡ여스무글ᄌᆞ를돌우ᄒᆡ쓰니그글에닐넛스되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jroxet07nln286yx082tujtawfnmxeq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55
250
101696
392782
2025-06-29T00:08:50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有{{작게|유}}狐{{작게|호}}三{{작게|삼}}章{{작게|쟝}}<br /> 投{{작게|투}}我{{작게|아}}以{{작게|이}}木{{작게|목}}瓜{{작게|과}}애報{{작게|보}}之{{작게|지}}以{{작게|이}}瓊{{작게|경}}琚{{작게|거}}{{분주|ㅣ|오}}匪{{작게|비}}報{{작게|보}}也{{작게|야}}ᄂᆞᆫ永{{작게|영}}以{{작게|이}}爲{{작게|위}}好{{작게|호}}也{{작게|야}}{{분주|ㅣ니|라}}<br /> :내게木{{작게...
39278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有{{작게|유}}狐{{작게|호}}三{{작게|삼}}章{{작게|쟝}}<br />
投{{작게|투}}我{{작게|아}}以{{작게|이}}木{{작게|목}}瓜{{작게|과}}애報{{작게|보}}之{{작게|지}}以{{작게|이}}瓊{{작게|경}}琚{{작게|거}}{{분주|ㅣ|오}}匪{{작게|비}}報{{작게|보}}也{{작게|야}}ᄂᆞᆫ永{{작게|영}}以{{작게|이}}爲{{작게|위}}好{{작게|호}}也{{작게|야}}{{분주|ㅣ니|라}}<br />
:내게木{{작게|목}}瓜{{작게|과}}로ᄡᅥ投{{작게|투}}홈애報{{작게|보}}호ᄃᆡ瓊{{작게|경}}琚{{작게|거}}로 ᄡᅥᄒᆞ고報{{작게|보}}호라아니홈은기리ᄡᅥ好{{작게|호}}호례니라<br />
○投{{작게|투}}我{{작게|아}}以{{작게|이}}木{{작게|목}}桃{{작게|도}}애 報{{작게|보}}之{{작게|지}}以{{작게|이}}瓊{{작게|경}}瑶{{작게|요}}{{분주|ㅣ|오}}匪{{작게|비}}報{{작게|보}}也{{작게|야}}ᄂᆞᆫ永{{작게|영}}以{{작게|이}}爲{{작게|위}}好{{작게|호}}也{{작게|야}}{{분주|ㅣ니|라}}<br />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j57bk9bcp477zgdtdr2w093y2fcg6y
392783
392782
2025-06-29T00:10:22Z
이유리아
18521
39278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有{{작게|유}}狐{{작게|호}}三{{작게|삼}}章{{작게|쟝}}<br />
投{{작게|투}}我{{작게|아}}以{{작게|이}}木{{작게|목}}瓜{{작게|과}}애報{{작게|보}}之{{작게|지}}以{{작게|이}}瓊{{작게|경}}琚{{작게|거}}{{분주|ㅣ|오}}匪{{작게|비}}報{{작게|보}}也{{작게|야}}ᄂᆞᆫ永{{작게|영}}以{{작게|이}}爲{{작게|위}}好{{작게|호}}也{{작게|야}}{{분주|ㅣ니|라}}<br />
:내게木{{작게|목}}瓜{{작게|과}}로ᄡᅥ投{{작게|투}}홈애報{{작게|보}}호ᄃᆡ瓊{{작게|경}}琚{{작게|거}}로 ᄡᅥᄒᆞ고報{{작게|보}}호라아니홈은기리ᄡᅥ好{{작게|호}}호례니라<br />
○投{{작게|투}}我{{작게|아}}以{{작게|이}}木{{작게|목}}桃{{작게|도}}애報{{작게|보}}之{{작게|지}}以{{작게|이}}瓊{{작게|경}}瑶{{작게|요}}{{분주|ㅣ|오}}匪{{작게|비}}報{{작게|보}}也{{작게|야}}ᄂᆞᆫ永{{작게|영}}以{{작게|이}}爲{{작게|위}}好{{작게|호}}也{{작게|야}}{{분주|ㅣ니|라}}<br />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9i5jixdrs07hcskeatjcv60am9o7y1a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56
250
101697
392784
2025-06-29T00:26:57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내게木{{작게|목}}桃{{작게|도}}로ᄡᅥ投{{작게|투}}홈애報{{작게|보}}호ᄃᆡ瓊{{작게|경}}瑶{{작게|요}}로ᄡᅥᄒᆞ고報{{작게|보}}호라아니홈은기리ᄡᅥ好{{작게|호}}호례니라<br /> ○投{{작게|투}}我{{작게|아}}以{{작게|이}}木{{작게|목}}李{{작게|리}}예報{{작게|보}}之{{작게|지}}以{{작게|이}}瓊{{작게|경}}玖{{작게|구}}{{분주|ㅣ|오}}匪{{작게|비}}報{{작게|...
39278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내게木{{작게|목}}桃{{작게|도}}로ᄡᅥ投{{작게|투}}홈애報{{작게|보}}호ᄃᆡ瓊{{작게|경}}瑶{{작게|요}}로ᄡᅥᄒᆞ고報{{작게|보}}호라아니홈은기리ᄡᅥ好{{작게|호}}호례니라<br />
○投{{작게|투}}我{{작게|아}}以{{작게|이}}木{{작게|목}}李{{작게|리}}예報{{작게|보}}之{{작게|지}}以{{작게|이}}瓊{{작게|경}}玖{{작게|구}}{{분주|ㅣ|오}}匪{{작게|비}}報{{작게|보}}也{{작게|야}}ᄂᆞᆫ永{{작게|영}}以{{작게|이}}爲{{작게|위}}好{{작게|호}}也{{작게|야}}{{분주|ㅣ니|라}}<br />
:내게木{{작게|목}}李{{작게|리}}로ᄡᅥ投{{작게|투}}홈애報{{작게|보}}호ᄃᆡ瓊{{작게|경}}玖{{작게|구}}로ᄡᅥᄒᆞ고報{{작게|보}}호라아니홈은기리ᄡᅥ好{{작게|호}}호례니라<br />
::木{{작게|목}}瓜{{작게|과}}三{{작게|삼}}章{{작게|쟝}}<br />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j1o6zg6piag4sd012ebslo8me4dt7qv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57
250
101698
392785
2025-06-29T00:38:33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詩{{작게|시}}經{{작게|경}}諺{{작게|언}}解{{작게|ᄒᆡ}}券{{작게|권}}之{{작게|지}}三{{작게|삼}} {{옛한글쪽 끝}}
39278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詩{{작게|시}}經{{작게|경}}諺{{작게|언}}解{{작게|ᄒᆡ}}券{{작게|권}}之{{작게|지}}三{{작게|삼}}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easvjt6s3zdlnf3gbpmc18z5csjwq6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58
250
101699
392786
2025-06-29T01:19:49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詩{{작게|시}}經{{작게|경}}諺{{작게|언}}解{{작게|ᄒᆡ}}券{{작게|권}}之{{작게|지}}四{{작게|사}}<br /> ::王{{작게|왕}}風{{작게|풍}}<br /> 彼{{작게|피}}黍{{작게|셔}}離{{작게|리}}離{{작게|리}}{{분주|어|ᄂᆞᆯ}}彼{{작게|피}}稷{{작게|직}}之{{작게|지}}苗{{작게|묘}}{{분주|ㅣ로|다}}行{{작게|ᄒᆡᆼ}}邁{{작게|매}}靡{{작게|미}}靡{{작게|미}}{{분주|ᄒᆞ|야}}中{{작게...
39278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詩{{작게|시}}經{{작게|경}}諺{{작게|언}}解{{작게|ᄒᆡ}}券{{작게|권}}之{{작게|지}}四{{작게|사}}<br />
::王{{작게|왕}}風{{작게|풍}}<br />
彼{{작게|피}}黍{{작게|셔}}離{{작게|리}}離{{작게|리}}{{분주|어|ᄂᆞᆯ}}彼{{작게|피}}稷{{작게|직}}之{{작게|지}}苗{{작게|묘}}{{분주|ㅣ로|다}}行{{작게|ᄒᆡᆼ}}邁{{작게|매}}靡{{작게|미}}靡{{작게|미}}{{분주|ᄒᆞ|야}}中{{작게|즁}}心{{작게|심}}搖{{작게|요}}搖{{작게|요}}{{분주|호|라}}知{{작게|지}}我{{작게|아}}者{{작게|쟈}}ᄂᆞᆫ謂{{작게|위}}我{{작게|아}}心{{작게|심}}憂{{작게|우}}{{분주|ㅣ어|ᄂᆞᆯ}}不{{작게|블}}知{{작게|지}}我{{작게|아}}者{{작게|쟈}}ᄂᆞᆫ謂{{작게|위}}我{{작게|아}}何{{작게|하}}求{{작게|구}}{{분주|오ᄒᆞᄂᆞ니}}悠{{작게|유}}悠{{작게|유}}蒼{{작게|창}}天{{작게|텬}}아此{{작게|ᄎᆞ}}何{{작게|하}}人{{작게|인}}哉{{작게|ᄌᆡ}}오<br />
:뎌黍{{작게|셔}}ㅣ離{{작게|리}}離{{작게|리}}ᄒᆞ거ᄂᆞᆯ뎌稷{{작게|직}}이苗{{작게|묘}}ᄒᆞ얏도다行{{작게|ᄒᆡᆼ}}邁{{작게|매}}호믈靡{{작게|미}}靡{{작게|미}}히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smdt6n0qme1e3147xqrhb96arcmm9k
392790
392786
2025-06-29T01:46:01Z
이유리아
18521
39279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詩{{작게|시}}經{{작게|경}}諺{{작게|언}}解{{작게|ᄒᆡ}}券{{작게|권}}之{{작게|지}}四{{작게|사}}<br />
::王{{작게|왕}}風{{작게|풍}}<br />
彼{{작게|피}}黍{{작게|셔}}離{{작게|리}}離{{작게|리}}{{분주|어|ᄂᆞᆯ}}彼{{작게|피}}稷{{작게|직}}之{{작게|지}}苗{{작게|묘}}{{분주|ㅣ로|다}}行{{작게|ᄒᆡᆼ}}邁{{작게|매}}靡{{작게|미}}靡{{작게|미}}{{분주|ᄒᆞ|야}}中{{작게|즁}}心{{작게|심}}搖{{작게|요}}搖{{작게|요}}{{분주|호|라}}知{{작게|지}}我{{작게|아}}者{{작게|쟈}}ᄂᆞᆫ謂{{작게|위}}我{{작게|아}}心{{작게|심}}憂{{작게|우}}{{분주|ㅣ어|ᄂᆞᆯ}}不{{작게|블}}知{{작게|지}}我{{작게|아}}者{{작게|쟈}}ᄂᆞᆫ謂{{작게|위}}我{{작게|아}}何{{작게|하}}求{{작게|구}}{{분주|오ᄒᆞ|ᄂᆞ니}}悠{{작게|유}}悠{{작게|유}}蒼{{작게|창}}天{{작게|텬}}아此{{작게|ᄎᆞ}}何{{작게|하}}人{{작게|인}}哉{{작게|ᄌᆡ}}오<br />
:뎌黍{{작게|셔}}ㅣ離{{작게|리}}離{{작게|리}}ᄒᆞ거ᄂᆞᆯ뎌稷{{작게|직}}이苗{{작게|묘}}ᄒᆞ얏도다行{{작게|ᄒᆡᆼ}}邁{{작게|매}}호믈靡{{작게|미}}靡{{작게|미}}히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gc3czbpq69ppmkura5vp8kozvl8x7e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59
250
101700
392789
2025-06-29T01:38:24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ᄒᆞ야中{{작게|즁}}心{{작게|심}}애搖{{작게|요}}搖{{작게|요}}호라나ᄅᆞᆯ아ᄂᆞᆫ者{{작게|쟈}}ᄂᆞᆫ나ᄅᆞᆯ닐오ᄃᆡ心{{작게|심}}애憂{{작게|우}}ᄒᆞᆫ다ᄒᆞ거ᄂᆞᆯ나ᄅᆞᆯ아디몯ᄒᆞᄂᆞᆫ者{{작게|쟈}}ᄂᆞᆫ나ᄅᆞᆯ닐오ᄃᆡ므어ᄉᆞᆯ求{{작게|구}}ᄒᆞᄂᆞ뇨ᄒᆞᄂᆞ니悠{{작게|유}}悠{{작게|유}}ᄒᆞᆫ蒼{{작게|창}}天{{작게|텬}}아이...
39278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ᄒᆞ야中{{작게|즁}}心{{작게|심}}애搖{{작게|요}}搖{{작게|요}}호라나ᄅᆞᆯ아ᄂᆞᆫ者{{작게|쟈}}ᄂᆞᆫ나ᄅᆞᆯ닐오ᄃᆡ心{{작게|심}}애憂{{작게|우}}ᄒᆞᆫ다ᄒᆞ거ᄂᆞᆯ나ᄅᆞᆯ아디몯ᄒᆞᄂᆞᆫ者{{작게|쟈}}ᄂᆞᆫ나ᄅᆞᆯ닐오ᄃᆡ므어ᄉᆞᆯ求{{작게|구}}ᄒᆞᄂᆞ뇨ᄒᆞᄂᆞ니悠{{작게|유}}悠{{작게|유}}ᄒᆞᆫ蒼{{작게|창}}天{{작게|텬}}아이러케ᄒᆞ니ᄂᆞᆫ엇던사ᄅᆞᆷ고<br />
○彼{{작게|피}}黍{{작게|셔}}離{{작게|리}}離{{작게|리}}{{분주|어|ᄂᆞᆯ}}彼{{작게|피}}稷{{작게|직}}之{{작게|지}}穗{{작게|슈}}{{분주|ㅣ로|다}}行{{작게|ᄒᆡᆼ}}邁{{작게|매}}靡{{작게|미}}靡{{작게|미}}{{분주|ᄒᆞ|야}}中{{작게|즁}}心{{작게|심}}如{{작게|여}}醉{{작게|ᄎᆔ}}{{분주|호|라}}知{{작게|지}}我{{작게|아}}者{{작게|쟈}}ᄂᆞᆫ謂{{작게|위}}我{{작게|아}}心{{작게|심}}憂{{작게|우}}{{분주|ㅣ어|ᄂᆞᆯ}}不{{작게|블}}知{{작게|지}}我{{작게|아}}者{{작게|쟈}}ᄂᆞᆫ謂{{작게|위}}我{{작게|아}}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h6h1g8214cenksqj8cl2c5q9f69ygl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60
250
101701
392791
2025-06-29T01:57:33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何{{작게|하}}求{{작게|구}}{{분주|오ᄒᆞ|ᄂᆞ니}}悠{{작게|유}}悠{{작게|유}}蒼{{작게|창}}天{{작게|텬}}아此{{작게|ᄎᆞ}}何{{작게|하}}人{{작게|인}}哉{{작게|ᄌᆡ}}오<br /> :뎌黍{{작게|셔}}ㅣ離{{작게|리}}離{{작게|리}}ᄒᆞ거ᄂᆞᆯ뎌稷{{작게|직}}이穗{{작게|슈}}ᄒᆞ얏도다行{{작게|ᄒᆡᆼ}}邁{{작게|매}}호믈靡{{작게|미}}靡{{작게|미}히ᄒᆞ야中{{작게|즁}}...
39279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何{{작게|하}}求{{작게|구}}{{분주|오ᄒᆞ|ᄂᆞ니}}悠{{작게|유}}悠{{작게|유}}蒼{{작게|창}}天{{작게|텬}}아此{{작게|ᄎᆞ}}何{{작게|하}}人{{작게|인}}哉{{작게|ᄌᆡ}}오<br />
:뎌黍{{작게|셔}}ㅣ離{{작게|리}}離{{작게|리}}ᄒᆞ거ᄂᆞᆯ뎌稷{{작게|직}}이穗{{작게|슈}}ᄒᆞ얏도다行{{작게|ᄒᆡᆼ}}邁{{작게|매}}호믈靡{{작게|미}}靡{{작게|미}히ᄒᆞ야中{{작게|즁}}心{{작게|심}}애醉{{작게|ᄎᆔ}}ᄒᆞᆫᄃᆞᆮ호라나ᄅᆞᆯ아ᄂᆞᆫ者{{작게|쟈}}ᄂᆞᆫ나ᄅᆞᆯ닐오ᄃᆡ心{{작게|심}}애憂{{작게|우}}ᄒᆞᆫ다ᄒᆞ거ᄂᆞᆯ날를아디몯ᄒᆞᄂᆞᆫ者{{작게|쟈}}ᄂᆞᆫ나ᄅᆞᆯ닐오ᄃᆡ므어ᄉᆞᆯ求{{작게|구}}ᄒᆞᄂᆞ뇨ᄒᆞᄂᆞ니悠{{작게|유}}悠{{작게|유}}ᄒᆞᆫ蒼{{작게|창}}天{{작게|텬}}아이러케ᄒᆞ니ᄂᆞᆫ엇던사ᄅᆞᆷ고<br />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dhlm0vnmtow72e0st3e7vn94o3v45k
392792
392791
2025-06-29T01:59:36Z
이유리아
18521
39279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何{{작게|하}}求{{작게|구}}{{분주|오ᄒᆞ|ᄂᆞ니}}悠{{작게|유}}悠{{작게|유}}蒼{{작게|창}}天{{작게|텬}}아此{{작게|ᄎᆞ}}何{{작게|하}}人{{작게|인}}哉{{작게|ᄌᆡ}}오<br />
:뎌黍{{작게|셔}}ㅣ離{{작게|리}}離{{작게|리}}ᄒᆞ거ᄂᆞᆯ뎌稷{{작게|직}}이穗{{작게|슈}}ᄒᆞ얏도다行{{작게|ᄒᆡᆼ}}邁{{작게|매}}호믈靡{{작게|미}}靡{{작게|미}}히ᄒᆞ야中{{작게|즁}}心{{작게|심}}애醉{{작게|ᄎᆔ}}ᄒᆞᆫᄃᆞᆮ호라나ᄅᆞᆯ아ᄂᆞᆫ者{{작게|쟈}}ᄂᆞᆫ나ᄅᆞᆯ닐오ᄃᆡ心{{작게|심}}애憂{{작게|우}}ᄒᆞᆫ다ᄒᆞ거ᄂᆞᆯ날를아디몯ᄒᆞᄂᆞᆫ者{{작게|쟈}}ᄂᆞᆫ나ᄅᆞᆯ닐오ᄃᆡ므어ᄉᆞᆯ求{{작게|구}}ᄒᆞᄂᆞ뇨ᄒᆞᄂᆞ니悠{{작게|유}}悠{{작게|유}}ᄒᆞᆫ蒼{{작게|창}}天{{작게|텬}}아이러케ᄒᆞ니ᄂᆞᆫ엇던사ᄅᆞᆷ고<br />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jk1hbtilikiwilngunjj8uffv7q5qhh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78
250
101702
392793
2025-06-29T02:05:00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79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ᄃᆡ너ᄯᅩ한포도원에들어가{{복원|라}}하고
{{절||八}} 젼역에닐으러동산쥬인이집사으게갈오ᄃᆡ싹군을불너싹을줄네후에온거스로좃차만져온쟈ᄭᅥ지밋츠라하니
{{절||九}} 유시에온쟈모두한돈식밧으ᄆᆡ
{{절||十}} 만져온쟈더밧을줄노네겻다가ᄯᅩ한한돈식밧아가지고
{{절||十一}} 쥬인을시비하여갈오ᄃᆡ
{{절||十二}} 우리ᄂᆞᆫ죵일슈고하여덥게볏ᄶᅩ이고후에온자난잠시일하엿난{{복원|ᄃᆡ}}우리과갓치한다하니
{{절||十三}} 쥬인이그한사ᄅᆞᆷ게일너갈오ᄃᆡ벗아ᄂᆡ너를샹ᄌᆡ치안은거시너하루한돈식결단치안앗나냐
{{절||十四}} 네{{복원|싹}}시나가지고가라ᄂᆡ가후엣쟈도너과갓치하ᄂᆞᆫ거슨ᄂᆡ의하고저하ᄂᆞᆫ바니
{{절||十五}} ᄂᆡ물건으로써ᄂᆡ의하고져하ᄂᆞᆫ바가합당친안으냐ᄂᆡ가션을하ᄂᆞᆫ데너눈을불키나냐하니
{{절||十六}} 이갓치후이된쟈만져가되고만져된쟈후이되리라하다라
{{절||十七}} 예수예루사ᄅᆡᆷ에올나가난데사사로{{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lfc47tz2ukfkolhndgwwfzmb5h5sik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79
250
101703
392794
2025-06-29T02:08:56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79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이열두데자를다리고길에셔갈오샤ᄃᆡ
{{절||十八}} 우리예루살ᄋᆡᆷ에올나가인자가졔사쟝과션ᄇᆡ으게팔니워죽을죄를뎡ᄒᆞ여
{{절||十九}} 외방사ᄅᆞᆷ으게붓텨욕을보며ᄎᆡᆺ직으로치며십ᄌᆡ틀에못질하엿다가삼일만에닐니라하다라
{{절||二十}} 이여시비됴의아달의어맘이그아달과함게예수으게나아와절하며한가지일을구ᄒᆞ니
{{절||二十一}} 예수갈오샤ᄃᆡ너무삼거슬ᄒᆞ고져ᄒᆞ나냐갈오ᄃᆡ이두아달노ᄒᆞ여금쥬의나라에안지올데한나은자켠에ᄒᆞ고한나은우켠에{{복원|ᄒᆞ}}소셔{{복원|ᄒᆞ}}니
{{절||二十二}} 예수ᄃᆡ답ᄒᆞ여갈오샤ᄃᆡ너구ᄒᆞᄂᆞᆫ바를네아지못ᄒᆞ나니ᄂᆡ의마실잔을네능히마시랴갈오ᄃᆡ능히ᄒᆞ갓나이다하니
{{절||二十三}} 갈오샤ᄃᆡᄂᆡ의잔을네실노마실진ᄃᆡᆫ다못ᄂᆡ의자우에안으리니ᄂᆡ가주미안이요오직ᄂᆡ의아바니가뉘를위하여예비하여주리라하니
{{절||二十四}} 그열뎨자듯고형데두{{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hbt8esv7re03jok5hpz5iyri2sjkli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80
250
101704
392795
2025-06-29T02:11:25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79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사ᄅᆞᆷ을노ᄒᆞ니
{{절||二十五}} 예수블너갈오샤ᄃᆡ외방군왕이다사리물쥬{{복원|ᄒᆞ}}고그ᄃᆡ신이권셰쓰난줄을너의아나니
{{절||二十六}} 너의즁에난글어치안으니라
{{절||二十七}} 너의즁에크고져ᄒᆞᄂᆞᆫ쟈ᄂᆞᆫ너의ᄒᆞ인이되고쥬가되고져ᄒᆞ난쟈난죵이되나니
{{절||二十八}} 인자가와셔사ᄅᆞᆷ의셤기물밧지안코사ᄅᆞᆷ을셤기고ᄯᅩ뭇사ᄅᆞᆷ을위ᄒᆞ여ᄉᆡᆼ명을버려쇽{{복원|ᄒᆞ}}리라{{복원|ᄒᆞ}}다라
{{절||二十九}} 예리코를ᄯᅥ날ᄯᆡ여허다한사ᄅᆞᆷ이좃ᄂᆞᆫ데
{{절||三十}} 두쇠경이길역에안저예수지ᄂᆡᆫ다물듯고불너갈오ᄃᆡ쥬다빗의후예난우리를어엽비네기쇼셔ᄒᆞᄆᆡ
{{절||三十一}} 뭇사ᄅᆞᆷ이잠잠{{복원|ᄒᆞ}}라ᄎᆡᆨ망하니쇠경이더크게불너갈오ᄃᆡ쥬다빗의후예ᄂᆞᆫ우리를어엽비네기소셔하거날
{{절||三十二}} 예수머무르고불너갈오샤ᄃᆡ
{{절||三十三}} 너의나다려무어슬하고져ᄒᆞ나냐갈오ᄃᆡ쥬아우리눈을발게{{복원|ᄒᆞ}}소셔ᄒᆞ니
{{절||三十四}} 예수어엽비네겨그눈을만지ᄆᆡ즉시발가예수{{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imn1eefd6ys97bijzlldps15swax4w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81
250
101705
392796
2025-06-29T02:13:52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79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를주다라
== 맛ᄃᆡ복음뎨이십일쟝 ==
{{절||一}} 예루살ᄋᆡᆷ에갓가온벳바게의감남산에닐으러예수두뎨자를보ᄂᆡ여갈오샤ᄃᆡ
{{절||二}} 너의압촌에가셔나귀한나ᄆᆡᆫ네져근나귀거지잇ᄂᆞᆫ거슬풀어ᄭᅳᆯ어오되
{{절||三}} 만약뭇난쟈이스면말ᄒᆞ기를쥬가쓰갓다ᄒᆞ라뎌곳보ᄂᆡ리라ᄒᆞ니
{{절||四}} 이갓타면션지의말이
{{절||五}} {{?}}의ᄯᅡᆯ게고ᄒᆞ기를너의왕이닐으미여온유ᄒᆞ여나귀과져{{복원|근}}나귀를탓다ᄒᆞ미응험ᄒᆞ다라
{{절||六}} 뎨자이여가명한바갓치ᄒᆡᆼ{{복원|ᄒᆞ}}여
{{절||七}} 나귀과져근나귀를잇글며옷슬그우에놋코예수타니
{{절||八}} 일어사ᄅᆞᆷ이혹자긔옷슬길에페며혹남우가지를버여길에페고
{{절||九}} {{복원|젼}}후에셔뭇ᄇᆡᆨ셩이불너갈오ᄃᆡ다빗의후예난만복이리쥬의일홈부탁ᄒᆞ여온쟈ᄂᆞᆫ츅슈ᄒᆞ물보고지극키놉푼{{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bsxp3tgh40xrohtj0phe53arylzp26l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82
250
101706
392797
2025-06-29T02:16:51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79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데ᄂᆞᆫ만복이라ᄒᆞ다라
{{절||十}} 예수예루살ᄋᆡᆷ에든ᄯᆡ여오은셩이소동ᄒᆞ여{{복원|갈}}오ᄃᆡ이ᄂᆞᆫ뉘뇨ᄒᆞ니
{{절||十一}} 뭇사ᄅᆞᆷ이갈오ᄃᆡ가니ᄂᆡ의나살ᄋᆡᆺ션지예수라{{복원|ᄒᆞ}}다라
{{절||十二}} 예수하나님의뎐에들{{복원|어}}가당사ᄒᆞᄂᆞᆫ{{복원|쟈과}}돈밧구ᄂᆞᆫ쟈의탁자과비둘기파난쟈의의자를밀치며
{{절||十三}} 쳐ᄂᆡᄶᅩᆺ차갈오샤ᄃᆡ긔록에ᄂᆡ의집은비난집인데너의가써강도의소혈을만진다ᄒᆞ다라
{{절||十四}} 쇠경{{복원|과}}안잔방이가뎐에셔예수으게나아오ᄆᆡ예수곳치니
{{절||十五}} 모든졔사쟝과션ᄇᆡ가그긔이한일{{복원|ᄒᆡᆼ}}함과ᄯᅩ어린아ᄒᆡ가셩뎐에셔불너갈오ᄃᆡ다빗의후예난만복이라ᄒᆞ물보고노ᄒᆞ여
{{절||十六}} 예수게갈오ᄃᆡ뎌의말한바를너들엇나냐ᄒᆞ니예수갈오샤ᄃᆡ글엇타젹자과밋적먹난아ᄒᆡ입으로써찬미ᄒᆞ물온젼케ᄒᆞ라ᄒᆞ여스니이말을너의오이지못ᄒᆞ엿나냐ᄒᆞ고
{{절||十七}} 이여ᄯᅥ{{SIC|셩나|나셩}}으로나가ᄇᆡ다냐에{{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2jmm3v2xjbjq096uiatv1efjxv5gg57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106
250
101707
392798
2025-06-29T02:19:07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79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옥에이스물보고셤기지안터니잇가ᄒᆞ면
{{절||四十五}} ᄃᆡ답ᄒᆞ여갈으되ᄂᆡ실노너의게닐으나니ᄂᆡ한나이미말으게ᄒᆡᆼ치안으미곳ᄂᆡ게ᄒᆡᆼ치안으미라ᄒᆞ고
{{절||四十六}} 이사람덜은영이형벌ᄒᆞᄂᆞᆫ데들어가고올운쟈는영ᄉᆡᆼ에ᄒᆞ나니라
== 맛ᄃᆡ복음뎨이십뉵쟝 ==
{{절||一}} 예수말을다ᄒᆞ고뎨자게갈으샤되
{{절||二}} 이틀이맛참지ᄂᆡ여넘ᄂᆞᆫ졀인줄너의아난바니인자가팔니워못질ᄒᆞ리라ᄒᆞ다라
{{절||三}} 그ᄯᆡ여뭇졔사쟝과션ᄇᆡ과ᄇᆡᆨ셩의쟝노가졔사쟝ᄀᆡ야바의원에모여
{{절||四}} 예수잡아죽일궤흘을도모ᄒᆞ며
{{절||五}} 다못말ᄒᆞ되졀긔에안을거시접푸건ᄂᆡᆫᄇᆡᆨ셩이분요할가ᄒᆞ노라ᄒᆞ다라
{{절||六}} 예수ᄇᆡ다냐ᄇᆡᆨ납풍ᄒᆞ난시몬의집에잇ᄂᆞᆫ데
{{절||七}} 한부인이옥합에극키귀한기름을담아가지고나아와예수밥먹ᄂᆞᆫᄃᆡ그멀이에부{{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2zheuuijv4lovudb4usw46navwnvtun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107
250
101708
392799
2025-06-29T02:21:07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79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우니
{{절||八}} 뎨자보고노ᄒᆞ여갈오ᄃᆡ엇지이거슬허비ᄒᆞ나냐
{{절||九}} 이를파라스면불쇼할터이니써가ᄂᆞᆫ을건질이라ᄒᆞ니
{{절||十}} 예수알고갈으샤되엇지이부인을괴롭게ᄒᆞ나냐뎌ᄂᆡ게션을ᄒᆡᆼ한거시
{{절||十一}} 가ᄂᆞᆫ한쟈ᄂᆞᆫ늘너의과함게ᄒᆞ되나난너의과늘함긔못ᄒᆞ미라
{{절||十二}} 뎌기름을ᄂᆡ몸에붓난거슨ᄂᆡ장사를예비ᄒᆞᄂᆞᆫ거시라
{{절||十三}} ᄂᆡ실노너의게일으나니텬ᄒᆞ에이느곳에이복음을뎐ᄒᆞ던지이부인의ᄒᆡᆼ한ᄇᆡ를말ᄒᆞ여ᄉᆡᆼ각ᄒᆞ라ᄒᆞ다라
{{절||十四}} 이여열두뎨자의한나이스카롯유ᄃᆡ가졔사쟝으게나아가갈으되
{{절||十五}} 너의나를무어슬주고져ᄒᆞ면ᄂᆡ데를너의게붓치리라ᄒᆞᄆᆡ이여은셔른냥을달나주니
{{절||十六}} 일노붓터유다예수부칠긔미를찻다라
{{절||十七}} 눌욱금ᄒᆞᄂᆞᆫ졀첫날엗자예수으게나아와갈으되우리어느곳에넘난졀을예비ᄒᆞ라나니잇가ᄒᆞ니
{{절||十八}} 갈으샤되너의{{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tb6jf4kijncqspfd87myuccyc0hp7fq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108
250
101709
392800
2025-06-29T02:23:42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80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셩에들어가아무를보고갈으되스승이일으되ᄂᆡᄯᆡ가갓가와시니뎨자과함게너의집에셔넘ᄂᆞᆫ졀을직키리라ᄒᆞ라ᄒᆞ니
{{절||十九}} 뎨자가분부ᄃᆡ로연셕을예비ᄒᆞ고
{{절||二十}} 젼약에닐으러예수열두뎨자과함게연셕에안저
{{절||二十一}} 먹으며갈으샤되ᄂᆡ실노너의게일으나니너의즁에한사람이나를붓치리라ᄒᆞ니
{{절||二十二}} 뭇사람이심이근심ᄒᆞ며한나식무르되쥬ᄂᆡ니잇가ᄒᆞ니
{{절||二十三}} 예수ᄃᆡ답ᄒᆞ여갈으샤되나과함게그르세손질ᄒᆞᄂᆞᆫ쟈가곳나를붓칠쟈니
{{절||二十四}} 인자가긔록한ᄇᆡ갓치가되오직인자를붓칠쟈난ᄌᆡ화니라그사람이세샹에나지안음만갓지못ᄒᆞ리라ᄒᆞ니
{{절||二十五}} 붓칠쟈유다갈으되션ᄉᆡᆼ님ᄂᆡ니잇가{{복원|ᄒᆞ}}니갈으샤되네가말ᄒᆞ엿다ᄒᆞ다라
{{절||二十六}} 밥먹으며예수ᄯᅥᆨ을취ᄒᆞ여츅슈ᄒᆞ고ᄯᅦ여뎨자를주며갈으샤되바다먹으라이는ᄂᆡ신테라ᄒᆞ고
{{절||二十七}} ᄯᅩ잔을취ᄒᆞ여{{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31yv5irbb9tzckozktjzs0a1ldvuyfu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109
250
101710
392801
2025-06-29T02:25:50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80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츅슈하고뎨자를주어갈으샤되너의이거슬마시라
{{절||二十八}} 이는ᄂᆡ신약의피니만은사람을위ᄒᆞ여죄를샤ᄒᆞ여흘닌거시라
{{절||二十九}} ᄂᆡ너의게일으나니일노써ᄂᆡ다시이포도남우에나난거슬마시지못ᄒᆞ고그날에밋처ᄂᆡ너의과함게ᄂᆡ아밤의나라에셔ᄉᆡ거슬마시리라ᄒᆞ다라
{{절||三十}} 이여글을읍고감남산에나아가니
{{절||三十一}} 예수뎨자게갈으샤되이밤에너의다나를것치리라긔록ᄒᆞ여시되ᄂᆡ양치난쟈는텨양의무리가헤여지리라ᄒᆞ여시니
{{절||三十二}} ᄂᆡ다시닌후에너의압셔가니ᄂᆡ에가라리ᄒᆞ니
{{절||三十三}} 피들이ᄃᆡ답ᄒᆞ여갈으되뭇사람이쥬를것치나나는늘것치지안칸나이다ᄒᆞ니
{{절||三十四}} 예수갈으샤되ᄂᆡ실노너게일으나니이밤달울기젼에너세번나를모룬다ᄒᆞ리라ᄒᆞ니
{{절||三十五}} 피들이갈으되ᄂᆡ곳쥬과함게죽을지언뎡쥬를모루노라안칸나이다ᄒᆞ고뎨자ᄯᅩ한{{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o9zquaa3sxx7vtp5j8s0vpezomqrhi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110
250
101711
392802
2025-06-29T02:28:15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80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그러ᄒᆞ다라
{{절||三十六}} 이여예수뎨자과함게한디방에닐으니일음은ᄀᆡᆺ세마니라갈으샤되너의여긔안저스라ᄂᆡ뎌긔나아가빌니라ᄒᆞ고
{{절||三十七}} 이여피들과시비ᄃᆡ의두아들을ᄃᆡ리고가비르소근심ᄒᆞ여나른ᄒᆞ니
{{절||三十八}} 예수갈으샤되ᄂᆡ마암이심이근심ᄒᆞ여거의죽갓다너의여긔잇다가나과함게ᄭᆡ라ᄒᆞ고
{{절||三十九}} 죰나아가업더여빌어갈으샤되ᄂᆡ아바니만약능ᄒᆞ면이잔으로써나를지ᄂᆡ가게ᄒᆞ소셔그러나ᄂᆡ의ᄒᆞ고쟈ᄒᆞᄂᆞᆫᄇᆡ를좃지안코아바니ᄒᆞ고쟈ᄒᆞᄂᆞᆫᄇᆡ를좃츠소셔ᄒᆞ고
{{절||四十}} 이여뎨자으게닐으러자물보고피들게일으되너나과함게편시를능히ᄭᆡ지못ᄒᆞ나냐
{{절||四十一}} ᄭᆡ여비러시험을면{{복원|ᄒᆞ}}라마암은원하나몸이연약한지라하고
{{절||四十二}} 다시나아가빌어갈으샤되ᄂᆡ아바니만약이나를ᄂᆡ가마시지안코지ᄂᆡ가지안으면아바니의ᄯᅳᆺ을일우미니{{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4ai1dwdzfihizzypttvyku9b4z5udf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111
250
101712
392803
2025-06-29T02:30:48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80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이다하고
{{절||四十三}} 다시닐으러ᄯᅩ뎨자자물보니뎌의눈이곤한지라
{{절||四十四}} ᄯᅩᄯᅥ나세번ᄎᆡ빌기를ᄯᅩ한말갓치하고
{{절||四十五}} 후에뎨자으게닐으러갈으샤되이제ᄂᆞᆫ자며편안하라ᄯᆡ닐으러인자가죄인의손에붓치우리라
{{절||四十六}} 닐어가쟈붓칠쟈갓가왓다하니
{{절||四十七}} 말할ᄯᆡ여열두뎨자에한나유다가허다한사람과함게칼과몽치를가지고뭇졔사쟝과ᄇᆡᆨ셩쟝노으게로오며
{{절||四十八}} 스승붓친쟈군호를주어갈으되ᄂᆡ입맛추ᄂᆞᆫ쟈가기니자부라하고
{{절||四十九}} 곳예수으게나아가갈으되션ᄉᆡᆼ님편안하소셔하며입을맛추니
{{절||五十}} 예수갈으샤되벗아네온일하라하니뭇사람이곳압페닐으러예수를잡우ᄆᆡ
{{절||五十一}} 예수과함게한쟈한나이손으로칼을ᄲᆡ여졔사쟝의죵을텨그귀를ᄭᅡᆨ그니
{{절||五十二}} 이여예수갈으샤되네칼을집에ᄭᅩ주라무룬칼을동ᄒᆞᄂᆞᆫ{{복원|쟈}}ᄂᆞᆫ칼에망하나니
{{절||五十三}} 너의ᄯᅳᆺ에ᄂᆡ아바{{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ofyl4e5ia2zweeb0mmy971saho3kr23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112
250
101713
392804
2025-06-29T02:33:13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80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니게빌어나를위ᄒᆞ여이ᄯᆡ여십이만예텬사를보ᄂᆡ지못ᄒᆞ랴
{{절||五十四}} 이갓타면셩경에닐은바이일이반드시이슬이라ᄒᆞ여시니엇지응험ᄒᆞ랴
{{절||五十五}} 이여뭇사ᄅᆞᆷ으게갈으샤되너의칼과몽치로써나를잡기를강도갓치ᄒᆞ나냐ᄂᆡ날마당셩뎐에셔갈으쳐도너의나를잡지안터니
{{절||五十六}} 오직이다일우니션디의일은바응험한다ᄒᆞ니이여모든뎨자ᄯᅥ나도망ᄒᆞ다라
{{절||五十七}} 예수를잡운쟈익ᄭᅳᆯ고졔사쟝ᄀᆡ야바으게닐으니션ᄇᆡ과쟝노가모엿ᄂᆞᆫ지라
{{절||五十八}} 피들이멀니예수를좃차졔사쟝의원에들어가그굴노과함게안저그필경을보고쟈ᄒᆞ니
{{절||五十九}} 모든졔사쟝과쟝노와오은공회가거즛간증을구ᄒᆞ여예수를죽이고쟈ᄒᆞ여
{{절||六十}} 비록만이거즛간증ᄒᆞ난쟈와엇지못ᄒᆞ니후에두사ᄅᆞᆷ이닐으러갈으되
{{절||六十一}} 이사ᄅᆞᆷ이말{{복원|ᄒᆞ}}기를ᄂᆡ능히하나님의뎐을헐어사흘에{{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fwg3i7e235utqolx1h7jzpgfbvpbqh
페이지:맛대복음 (1884년).pdf/113
250
101714
392805
2025-06-29T02:35:12Z
Aspere
5453
/* 교정 안 됨 */
39280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Aspere" /></noinclude>셔우갓다ᄒᆞ엿다ᄒᆞ니
{{절||六十二}} 졔사쟝이닐어예수으게갈으되네아못ᄃᆡ답도안나냐데간증이엇ᄯᅥᄒᆞ냐ᄒᆞ니
{{절||六十三}} 예수묵묵부답ᄒᆞ거날졔사쟝이갈으되영ᄉᆡᆼ하나님을위ᄒᆞ여네게명ᄒᆞ나니우리게일으라네과연하나님의아달키리스토냐ᄒᆞ니
{{절||六十四}} 예수갈으샤되말ᄒᆞ엿나이다다못ᄂᆡ일으나니이후에인자가능한이의오룬켠에안저하날에구룸타고오물보리라ᄒᆞ니
{{절||六十五}} 이여졔사쟝이그옷슬ᄶᅳ즈며갈으되데참남한말을ᄒᆞ니엇지다른간증을쓰랴너의그참남ᄒᆞ물들어시니
{{절||六十六}} ᄯᅳᆺ에엇ᄯᅥᄒᆞ냐ᄒᆞ니ᄃᆡ답ᄒᆞ여갈으되죽을죄로다ᄒᆞ며
{{절||六十七}} 이여그낫체춤밧으며주머구로치며혹손바닥으로텨갈으되
{{절||六十八}} 키리스토야너를심문{{복원|ᄒᆞ}}며치난쟈가뉘냐밀이말ᄒᆞ라ᄒᆞ다라
{{절||六十九}} 피들이원에셔밧게안젓ᄂᆞᆫ데한비자나아와갈으되네ᄯᅩ한가니ᄂᆡ예수과{{upe}}<noinclude><references/></noinclude>
qlntx9pm7rhfjtpce95mnrqg4m5owek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47
250
101715
392806
2025-06-29T03:09:16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더더작게|방}}싸ᄅᆞᆷ이可{{더더작게|가}}히더브러明{{더더작게|명}}티몯ᄒᆞ리란ᄃᆡ旋{{더더작게|션}}ᄒᆞ야歸{{더더작게|귀}}ᄒᆞ야우리諸{{더더작게|져}}兄{{더더작게|형}}에復{{더더작게|복}}호리라<br> ○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분주|아|}}無{{더더작게|무}}集{{더더작게|집}}于{{더더작게|우}}...
39280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더더작게|방}}싸ᄅᆞᆷ이可{{더더작게|가}}히더브러明{{더더작게|명}}티몯ᄒᆞ리란ᄃᆡ旋{{더더작게|션}}ᄒᆞ야歸{{더더작게|귀}}ᄒᆞ야우리諸{{더더작게|져}}兄{{더더작게|형}}에復{{더더작게|복}}호리라<br>
○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분주|아|}}無{{더더작게|무}}集{{더더작게|집}}于{{더더작게|우}}栩{{더더작게|호}}{{분주|ᄒᆞ|야}}無{{더더작게|무}}啄{{더더작게|탁}}我{{더더작게|아}}黍{{더더작게|서}}{{분주|ᅵ어|다}}此{{더더작게|ᄎᆞ}}邦{{더더작게|방}}之{{더더작게|지}}人{{더더작게|인}}{{분주|이|}}不{{더더작게|블}}可{{더더작게|가}}與{{더더작게|여}}䖏{{더더작게|쳐}}{{분주|ᅵ란|ᄃᆡ}}言{{더더작게|언}}旋{{더더작게|션}}言{{더더작게|언}}歸{{더더작게|귀}}{{분주|ᄒᆞ|야}}復{{더더작게|복}}我{{더더작게|아}}諸{{더더작게|져}}父{{더더작게|부}}{{분주|호리|라}}<br>
: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아栩{{더더작게|호}}애集{{더더작게|집}}디마라내의黍{{더더작게|셔}}ᄅᆞᆯ啄{{더더작게|탁}}디마ᄅᆞᆯ띠어다이邦{{더더작게|방}}ᄉ사ᄅᆞᆷ이可{{더더작게|가}}히더브러䖏{{더더작게|쳐}}티몯ᄒᆞ與{{더더작게|}}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9ppzgbwfjofj3c41tbxagtti8w0357r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48
250
101716
392808
2025-06-29T03:56:14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더더작게|부}}에{{더더작게|}}復{{더더작게|복}}호리라<br> ::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三{{더더작게|삼}}章{{더더작게|장}}<br> 我{{더더작게|아}}行{{더더작게|ᄒᆡᆼ}}基{{더더작게|기}}野{{더더작게|야}}{{분주|니|호}}蔽{{더더작게|패}}芾{{더더작게|패}}基{{더더작게|기}}樗{{더더작게|져}}{{분주|ᅵ러|라}}昏{{더더작게|혼}}姻{{더더작게|인}}...
39280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더더작게|부}}에{{더더작게|}}復{{더더작게|복}}호리라<br>
::黃{{더더작게|황}}島{{더더작게|됴}}三{{더더작게|삼}}章{{더더작게|장}}<br>
我{{더더작게|아}}行{{더더작게|ᄒᆡᆼ}}基{{더더작게|기}}野{{더더작게|야}}{{분주|니|호}}蔽{{더더작게|패}}芾{{더더작게|패}}基{{더더작게|기}}樗{{더더작게|져}}{{분주|ᅵ러|라}}昏{{더더작게|혼}}姻{{더더작게|인}}之{{더더작게|지}}故{{더더작게|고}}{{분주|로|}}言{{더더작게|언}}就{{더더작게|ᄎᆔ}}爾{{더더작게|이}}居{{더더작게|거}}{{분주|호|니}}爾{{더더작게|이}}不{{더더작게|블}}我{{더더작게|아}}畜{{더더작게|휵}}{{분주|이란|ᄃᆡ}}復{{더더작게|복}}我{{더더작게|아}}邦{{더더작게|방}}家{{더더작게|가}}{{분주|호리|라}}<br>
:내그野{{더더작게|야}}애行{{더더작게|ᄒᆡᆼ}}호니蔽{{더더작게|패}}芾{{더더작게|패}}ᄒᆞᆫ그樗{{더더작게|져}}ᅵ러라昏{{더더작게|혼}}姻{{더더작게|인}}의故{{더더작게|고}}로네의居{{더더작게|거}}의就{{더더작게|ᄎᆔ}}호니네나ᄅᆞᆯ畜{{더더작게|휵}}디아니ᄒᆞ란ᄃᆡ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iyvih6spma663zoto7sjgdlrwq0sbc0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61
250
101717
392809
2025-06-29T05:02:23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彼{{작게|피}}黍{{작게|셔}}離{{작게|리}}離{{작게|리}}{{분주|어|ᄂᆞᆯ}}彼{{작게|피}}稷{{작게|직}}之{{작게|지}}實{{작게|실}}{{분주|이로|다}}行{{작게|ᄒᆡᆼ}}邁{{작게|매}}靡{{작게|미}}靡{{작게|미}}{{분주|ᄒᆞ야}}中{{작게|즁}}心{{작게|심}}如{{작게|여}}噎{{작게|얼}}{{분주|호|라}}知{{작게|지}}我{{작게|아}}者{{작게|쟈}}ᄂᆞᆫ謂{{작게|위}}我{{작게|아}}...
39280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彼{{작게|피}}黍{{작게|셔}}離{{작게|리}}離{{작게|리}}{{분주|어|ᄂᆞᆯ}}彼{{작게|피}}稷{{작게|직}}之{{작게|지}}實{{작게|실}}{{분주|이로|다}}行{{작게|ᄒᆡᆼ}}邁{{작게|매}}靡{{작게|미}}靡{{작게|미}}{{분주|ᄒᆞ야}}中{{작게|즁}}心{{작게|심}}如{{작게|여}}噎{{작게|얼}}{{분주|호|라}}知{{작게|지}}我{{작게|아}}者{{작게|쟈}}ᄂᆞᆫ謂{{작게|위}}我{{작게|아}}心{{작게|심}}憂{{작게|우}}{{분주|ㅣ어|ᄂᆞᆯ}}不{{작게|블}}知{{작게|지}}我{{작게|아}}者{{작게|쟈}}ᄂᆞᆫ謂{{작게|위}}我{{작게|아}}何{{작게|하}}求{{작게|구}}{{분주|오ᄒᆞ|ᄂᆞ니}}悠{{작게|유}}悠{{작게|유}}蒼{{작게|창}}天{{작게|텬}}아此{{작게|ᄎᆞ}}何{{작게|하}}人{{작게|인}}哉{{작게|ᄌᆡ}}오<br />
::뎌黍{{작게|셔}}ㅣ離{{작게|리}}離{{작게|리}}ᄒᆞ거ᄂᆞᆯ뎌稷{{작게|직}}이實{{작게|실}}ᄒᆞ얏도다行{{작게|ᄒᆡᆼ}}邁{{작게|매}}호믈靡{{작게|미}}靡{{작게|미}히ᄒᆞ야中{{작게|즁}}心{{작게|심}}애噎{{작게|얼}}ᄒᆞᆫᄃᆞᆮ호라나ᄅᆞᆯ아ᄂᆞᆫ者{{작게|쟈}}ᄂᆞᆫ나ᄅᆞᆯ닐오ᄃᆡ心{{작게|심}}애憂{{작게|우}}ᄒᆞᆫ다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n766fgr5pkd5pq6vsro0r64pcmnqk9c
392810
392809
2025-06-29T05:03:47Z
이유리아
18521
39281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彼{{작게|피}}黍{{작게|셔}}離{{작게|리}}離{{작게|리}}{{분주|어|ᄂᆞᆯ}}彼{{작게|피}}稷{{작게|직}}之{{작게|지}}實{{작게|실}}{{분주|이로|다}}行{{작게|ᄒᆡᆼ}}邁{{작게|매}}靡{{작게|미}}靡{{작게|미}}{{분주|ᄒᆞ|야}}中{{작게|즁}}心{{작게|심}}如{{작게|여}}噎{{작게|얼}}{{분주|호|라}}知{{작게|지}}我{{작게|아}}者{{작게|쟈}}ᄂᆞᆫ謂{{작게|위}}我{{작게|아}}心{{작게|심}}憂{{작게|우}}{{분주|ㅣ어|ᄂᆞᆯ}}不{{작게|블}}知{{작게|지}}我{{작게|아}}者{{작게|쟈}}ᄂᆞᆫ謂{{작게|위}}我{{작게|아}}何{{작게|하}}求{{작게|구}}{{분주|오ᄒᆞ|ᄂᆞ니}}悠{{작게|유}}悠{{작게|유}}蒼{{작게|창}}天{{작게|텬}}아此{{작게|ᄎᆞ}}何{{작게|하}}人{{작게|인}}哉{{작게|ᄌᆡ}}오<br />
::뎌黍{{작게|셔}}ㅣ離{{작게|리}}離{{작게|리}}ᄒᆞ거ᄂᆞᆯ뎌稷{{작게|직}}이實{{작게|실}}ᄒᆞ얏도다行{{작게|ᄒᆡᆼ}}邁{{작게|매}}호믈靡{{작게|미}}靡{{작게|미}히ᄒᆞ야中{{작게|즁}}心{{작게|심}}애噎{{작게|얼}}ᄒᆞᆫᄃᆞᆮ호라나ᄅᆞᆯ아ᄂᆞᆫ者{{작게|쟈}}ᄂᆞᆫ나ᄅᆞᆯ닐오ᄃᆡ心{{작게|심}}애憂{{작게|우}}ᄒᆞᆫ다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1hqurl8z1ythmqaimm4hodsibpzo9dr
392811
392810
2025-06-29T05:06:10Z
이유리아
18521
39281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彼{{작게|피}}黍{{작게|셔}}離{{작게|리}}離{{작게|리}}{{분주|어|ᄂᆞᆯ}}彼{{작게|피}}稷{{작게|직}}之{{작게|지}}實{{작게|실}}{{분주|이로|다}}行{{작게|ᄒᆡᆼ}}邁{{작게|매}}靡{{작게|미}}靡{{작게|미}}{{분주|ᄒᆞ|야}}中{{작게|즁}}心{{작게|심}}如{{작게|여}}噎{{작게|얼}}{{분주|호|라}}知{{작게|지}}我{{작게|아}}者{{작게|쟈}}ᄂᆞᆫ謂{{작게|위}}我{{작게|아}}心{{작게|심}}憂{{작게|우}}{{분주|ㅣ어|ᄂᆞᆯ}}不{{작게|블}}知{{작게|지}}我{{작게|아}}者{{작게|쟈}}ᄂᆞᆫ謂{{작게|위}}我{{작게|아}}何{{작게|하}}求{{작게|구}}{{분주|오ᄒᆞ|ᄂᆞ니}}悠{{작게|유}}悠{{작게|유}}蒼{{작게|창}}天{{작게|텬}}아此{{작게|ᄎᆞ}}何{{작게|하}}人{{작게|인}}哉{{작게|ᄌᆡ}}오<br />
:뎌黍{{작게|셔}}ㅣ離{{작게|리}}離{{작게|리}}ᄒᆞ거ᄂᆞᆯ뎌稷{{작게|직}}이實{{작게|실}}ᄒᆞ얏도다行{{작게|ᄒᆡᆼ}}邁{{작게|매}}호믈靡{{작게|미}}靡{{작게|미}}히ᄒᆞ야中{{작게|즁}}心{{작게|심}}애噎{{작게|얼}}ᄒᆞᆫᄃᆞᆮ호라나ᄅᆞᆯ아ᄂᆞᆫ者{{작게|쟈}}ᄂᆞᆫ나ᄅᆞᆯ닐오ᄃᆡ心{{작게|심}}애憂{{작게|우}}ᄒᆞᆫ다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eypj9zl1f3vvadh8z2yqeqph7k64yg8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62
250
101718
392812
2025-06-29T05:23:32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ᄒᆞ거ᄂᆞᆯ날를아디몯ᄒᆞᄂᆞᆫ者{{작게|쟈}}ᄂᆞᆫ나ᄅᆞᆯ닐오ᄃᆡ므어ᄉᆞᆯ求{{작게|구}}ᄒᆞᄂᆞ뇨ᄒᆞᄂᆞ니悠{{작게|유}}悠{{작게|유}}ᄒᆞᆫ蒼{{작게|창}}天{{작게|텬}}아이러케ᄒᆞ니ᄂᆞᆫ엇던사ᄅᆞᆷ고<br /> ::黍{{작게|셔}}離{{작게|리}}三{{작게|삼}}章{{작게|쟝}} 君{{작게|군}}子{{작게|ᄌᆞ}}于{{작게|우}}役{{작게|역}}{{분주|이|여}}不...
39281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ᄒᆞ거ᄂᆞᆯ날를아디몯ᄒᆞᄂᆞᆫ者{{작게|쟈}}ᄂᆞᆫ나ᄅᆞᆯ닐오ᄃᆡ므어ᄉᆞᆯ求{{작게|구}}ᄒᆞᄂᆞ뇨ᄒᆞᄂᆞ니悠{{작게|유}}悠{{작게|유}}ᄒᆞᆫ蒼{{작게|창}}天{{작게|텬}}아이러케ᄒᆞ니ᄂᆞᆫ엇던사ᄅᆞᆷ고<br />
::黍{{작게|셔}}離{{작게|리}}三{{작게|삼}}章{{작게|쟝}}
君{{작게|군}}子{{작게|ᄌᆞ}}于{{작게|우}}役{{작게|역}}{{분주|이|여}}不{{작게|블}}知{{작게|지}}其{{작게|기}}期{{작게|긔}}{{분주|로소|니}}曷{{작게|갈}}至{{작게|지}}哉{{작게|ᄌᆡ}}오雞{{작게|계}}棲{{작게|셔}}于{{작게|우}}塒{{작게|시}}며日{{작게|일}}之{{작게|지}}夕{{작게|셕}}矣{{작게|의}}라羊{{작게|양}}牛{{작게|우}}下{{작게|하}}來{{작게|ᄅᆡ}}{{분주|로소|니}}君{{작게|군}}子{{작게|ᄌᆞ}}于{{작게|우}}役{{작게|역}}{{분주|이|여}}如{{작게|여}}之{{작게|지}}何{{작게|하}}勿{{작게|믈}}思{{작게|ᄉᆞ}}{{분주|ㅣ리|오}}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rotts8usxwvu1v12fa25s55zlezkj9u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71
250
101719
392813
2025-06-29T05:32:06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의〮 마〯ᄅᆞᆯ〮 브터〮 즉〮재 뎌ᇰ〮바〮기예〮 이〮유니〮 처〮ᅀᅥᆷ 이ᇙ 제 大{{*|땡〮}}地{{*|띵〮}} 震{{*|진〮}}動{{*|또ᇰ〯}}ᄒᆞ〮야〮 내 모〮ᄆᆞᆯ〮 몯〯 이긔〮어늘〮 뎌〮 地{{*|띵〮}}神{{*|씬}} 堅{{*|견}}窂{{*|로ᇢ}}ㅣ 金{{*|금}}剛{{*|가ᇰ}}ㅅ ᄀᆞ〯ᅀᆞᆯ〮 從{{*|쬬ᇰ}}ᄒᆞ〮야셔〮 金{{*|금}}剛{{*|가ᇰ}}山{{*|산}}ᄋᆞᆯ〮 소사〮...
39281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의〮 마〯ᄅᆞᆯ〮 브터〮 즉〮재 뎌ᇰ〮바〮기예〮 이〮유니〮 처〮ᅀᅥᆷ 이ᇙ 제 大{{*|땡〮}}地{{*|띵〮}} 震{{*|진〮}}動{{*|또ᇰ〯}}ᄒᆞ〮야〮 내 모〮ᄆᆞᆯ〮 몯〯 이긔〮어늘〮 뎌〮 地{{*|띵〮}}神{{*|씬}} 堅{{*|견}}窂{{*|로ᇢ}}ㅣ 金{{*|금}}剛{{*|가ᇰ}}ㅅ ᄀᆞ〯ᅀᆞᆯ〮 從{{*|쬬ᇰ}}ᄒᆞ〮야셔〮 金{{*|금}}剛{{*|가ᇰ}}山{{*|산}}ᄋᆞᆯ〮 소사〮 내〯야〮 내 ᄃᆞᆫ뇨〮ᄆᆞᆯ〮 조차〮 곧〮마〯다〮 나〯ᄅᆞᆯ〮 바다〮ᅀᅡ〮 始{{*|싱〯}}作{{*|작〮}}ᄒᆞ〮야〮 便{{*|뼌}}安{{*|ᅙᅡᆫ}}히〮 住{{*|뜡〮}}호〮라〮 내〮 그제 六{{*|륙〮}}年{{*|년}} 苦{{*|콩〯}}行{{*|ᅘᆡᇰ〮}}ᄒᆞ〮야〮 모〮미〮 시드〮로ᄃᆡ〮 오〮ᄉᆞᆯ〮 ᄉᆞᆫᄌᆡ〮 頂{{*|뎡〯}}上{{*|쌰ᇰ〮}}애〮 두〮어〮 잇비〮 아니〮 너기〮다니〮 오직〮 梵{{*|뻠〮}}王{{*|ᅌᅪᇰ}}이〮 ᄌᆞ조〮 와〮 날〯 보고〮 내〮 ᄀᆞᆺᄂᆞᆫ가〮 ᄒᆞ〮야〮 내 伽{{*|꺙}}梨{{*|링}}ᄅᆞᆯ〮 가져〮 梵{{*|뻠〮}}天{{*|텬}}에〮 올아〮 가니〮 ᄯᅡ〮히〮 ᄯᅩ〮 ᄀᆞ자ᇰ〮 뮈〯오〮 日{{*|ᅀᅵᇙ〮}}月{{*|ᅌᅯᇙ〮}}이〮 光{{*|과ᇰ}}明{{*|며ᇰ}} 업〯거늘〮 地{{*|띵〮}}神{{*|씬}}이〮 ᄯᅩ〮 梵{{*|뻠〮}}王{{*|ᅌᅪᇰ}}ᄃᆞ려〮 닐오〮ᄃᆡ〮 네 오〮ᄉᆞᆯ〮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6g0mm1lf4wguj3300jne669fq8mye4d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72
250
101720
392814
2025-06-29T05:32:30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가져〮 도로 頂{{*|뎡〯}}上{{*|쌰ᇰ〮}}애〮 놋ᄉᆞᄫᆞ〮라〮 梵{{*|뻠〮}}王{{*|ᅌᅪᇰ}}이〮 그리〮ᄒᆞ니〮 大{{*|땡〮}}地{{*|띵〮}} 便{{*|뼌}}安{{*|ᅙᅡᆫ}}ᄒᆞ고〮 日{{*|ᅀᅵᇙ〮}}月{{*|ᅌᅯᇙ〮}}이〮 도로 ᄇᆞᆰ더〮라〮 내〮 ᄯᅩ〮 梵{{*|뻠〮}}王{{*|ᅌᅪᇰ}}ᄃᆞ려〮 닐오〮ᄃᆡ〮 네〯 僧{{*|스ᇰ}}伽{{*|꺙}}梨{{*|링}} 내 頂{{*|뎡〯}}上{{*|쌰ᇰ...
39281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가져〮 도로 頂{{*|뎡〯}}上{{*|쌰ᇰ〮}}애〮 놋ᄉᆞᄫᆞ〮라〮 梵{{*|뻠〮}}王{{*|ᅌᅪᇰ}}이〮 그리〮ᄒᆞ니〮 大{{*|땡〮}}地{{*|띵〮}} 便{{*|뼌}}安{{*|ᅙᅡᆫ}}ᄒᆞ고〮 日{{*|ᅀᅵᇙ〮}}月{{*|ᅌᅯᇙ〮}}이〮 도로 ᄇᆞᆰ더〮라〮 내〮 ᄯᅩ〮 梵{{*|뻠〮}}王{{*|ᅌᅪᇰ}}ᄃᆞ려〮 닐오〮ᄃᆡ〮 네〯 僧{{*|스ᇰ}}伽{{*|꺙}}梨{{*|링}} 내 頂{{*|뎡〯}}上{{*|쌰ᇰ〮}}애〮 잇논〮 ᄠᅳ〮들〮 아〯ᄂᆞᆫ다〮 모ᄅᆞ〮ᄂᆞᆫ다〮 對{{*|됭〮}}答{{*|답〮}}호〮ᄃᆡ〮 모ᄅᆞ〮노〮ᅌᅵ다〮 내〮 닐오〮ᄃᆡ〮 이〮ᄂᆞᆫ〮 未{{*|밍〮}}來{{*|ᄅᆡᆼ}}옛〮 모〯딘〮 比{{*|삥〮}}丘{{*|쿠ᇢ}} 比{{*|삥〮}}丘{{*|쿠ᇢ}}尼{{*|닝}}ᄃᆞᆯ〮히〮 내ᄋᆡ〮 解{{*|갱〯}}脫{{*|톼ᇙ〮}} 法{{*|법〮}}服{{*|뽁〮}}ᄋᆞᆯ〮 恭{{*|고ᇰ}}敬{{*|겨ᇰ〮}} 아니〮ᄒᆞ릴〮ᄊᆡ〮 頂{{*|뎡〯}}上{{*|쌰ᇰ〮}}애〮 두〮어〮 天{{*|텬}}魔{{*|망}}外{{*|ᅌᅬᆼ〮}}道{{*|또ᇢ〯}}ᄅᆞᆯ〮 것거〮 降{{*|ᅘᅡᇰ}}伏{{*|뽁〮}}ᄒᆡ〯요려〮 ᄒᆞ〮논〮 젼ᄎᆡ〮라〮 내〮 河{{*|ᅘᅡᆼ}}애〮 드〮러 沐{{*|목〮}}浴{{*|욕〮}}ᄒᆞ고〮 두〯 牧{{*|목〮}}女{{*|녀〯}}의〮 졋〮粥{{*|쥭〮}} 바ᄃᆞᇙ〮 저긔〮
{{nop}}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p74xkauuoc3m00m5f11p6sja5v8hmq8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73
250
101721
392815
2025-06-29T05:32:54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菩{{*|뽕}}薩{{*|사ᇙ〮}}이〮 道{{*|또ᇢ〯}}樹{{*|쓩〮}}에〮 가〮시ᇙ 제〮 天{{*|텬}}人{{*|ᅀᅵᆫ}}이〮 善{{*|쎤〯}}生{{*|ᄉᆡᇰ}}村{{*|촌}}主{{*|즁〯}}의〮 두〯 ᄯᆞᆯ〮ᄃᆞ려〮 닐오〮ᄃᆡ〮 네〯 ᄆᆞᆺ〮 처〮ᅀᅥ믜〮 바〮ᄇᆞᆯ〮 施{{*|싱}}ᄒᆞ〮ᅀᆞ〮ᄫᆞ라〮 그제 두〯 ᄯᆞ〮리〮 ᄒᆞᆫ 일후〮믄〮 難{{*|난}}陁{{*|땅}}ㅣ오〮 두〯 일후...
39281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菩{{*|뽕}}薩{{*|사ᇙ〮}}이〮 道{{*|또ᇢ〯}}樹{{*|쓩〮}}에〮 가〮시ᇙ 제〮 天{{*|텬}}人{{*|ᅀᅵᆫ}}이〮 善{{*|쎤〯}}生{{*|ᄉᆡᇰ}}村{{*|촌}}主{{*|즁〯}}의〮 두〯 ᄯᆞᆯ〮ᄃᆞ려〮 닐오〮ᄃᆡ〮 네〯 ᄆᆞᆺ〮 처〮ᅀᅥ믜〮 바〮ᄇᆞᆯ〮 施{{*|싱}}ᄒᆞ〮ᅀᆞ〮ᄫᆞ라〮 그제 두〯 ᄯᆞ〮리〮 ᄒᆞᆫ 일후〮믄〮 難{{*|난}}陁{{*|땅}}ㅣ오〮 두〯 일후〮믄〮 婆{{*|빵}}羅{{*|랑}}ㅣ러니〮 져〮즈로〮 粥{{*|쥭〮}} 쑤〮더니〮 그 가마〮 우희〮 種{{*|죠ᇰ〯}}種{{*|죠ᇰ〯}} 瑞{{*|ᄊᆔᆼ〮}}相{{*|샤ᇰ〮}}이〮 現{{*|ᅘᅧᆫ〮}}커ᄂᆞᆯ〮 바리예〮 다마〮 菩{{*|뽕}}薩{{*|사ᇙ〮}}ᄭᅴ〮 받ᄌᆞᄫᅡ〮ᄂᆞᆯ〮 좌〯시고〮 바리ᄅᆞᆯ〮 尼{{*|닝}}連{{*|련}}河{{*|ᅘᅡᆼ}}애〮 더뎌〮시ᄂᆞᆯ〮 天{{*|텬}}帝{{*|뎽〮}}釋{{*|셕〮}}이〮 天{{*|텬}}上{{*|쌰ᇰ〮}}애〮 가져〮다가〮 塔{{*|탑〮}} 일어〮 두〮ᅀᆞᆸ고〮 供{{*|고ᇰ}}養{{*|야ᇰ〮}}ᄒᆞ〮ᅀᆞᆸ〮ᄂᆞ니〮라〮 ○ 如{{*|ᅀᅧᆼ}}來{{*|ᄅᆡᆼ}}ㅅ 모〮미〮 ᄒᆞ마〮 無{{*|뭉}}量{{*|랴ᇰ〮}} 阿{{*|ᅙᅡᆼ}}僧{{*|스ᇰ}}祇{{*|낑}}劫{{*|겁〮}}에〮 飮{{*|ᅙᅳᆷ〯}}食{{*|씩〮}}을〮 受{{*|쓔ᇢ〯}}티〮 아니〮커〮신〮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tr1uoq3zvkp3lyfv517r12imzfz3k9j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74
250
101722
392816
2025-06-29T05:33:16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마ᄅᆞᆫ〮 聲{{*|셔ᇰ}}聞{{*|문}}ᄃᆞᆯ〮 爲{{*|윙〮}}ᄒᆞ〮샤〮 니ᄅᆞ샤〮ᄃᆡ〮 두〯 牧{{*|목〮}}牛{{*|ᅌᅮᇢ}}女{{*|녀〯}}의〮 졋〮粥{{*|쥭〮}}을〮 몬져 바도〮라〮 ᄒᆞ〮시〮니라〮 牧{{*|목〮}}牛{{*|ᅌᅮᇢ}}ᄂᆞᆫ〮 쇼〮 칠〮씨〮라〮 :이〮 大{{*|땡〮}}衣{{*|ᅙᅴᆼ}}ᄅᆞᆯ〮 니버〮 즉〮재 第{{*|똉〮}}三{{*|삼}}禪{{*|쎤}}樂{{*|락〮}}ᄋᆞ...
39281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마ᄅᆞᆫ〮 聲{{*|셔ᇰ}}聞{{*|문}}ᄃᆞᆯ〮 爲{{*|윙〮}}ᄒᆞ〮샤〮 니ᄅᆞ샤〮ᄃᆡ〮 두〯 牧{{*|목〮}}牛{{*|ᅌᅮᇢ}}女{{*|녀〯}}의〮 졋〮粥{{*|쥭〮}}을〮 몬져 바도〮라〮 ᄒᆞ〮시〮니라〮 牧{{*|목〮}}牛{{*|ᅌᅮᇢ}}ᄂᆞᆫ〮 쇼〮 칠〮씨〮라〮
:이〮 大{{*|땡〮}}衣{{*|ᅙᅴᆼ}}ᄅᆞᆯ〮 니버〮 즉〮재 第{{*|똉〮}}三{{*|삼}}禪{{*|쎤}}樂{{*|락〮}}ᄋᆞᆯ〮 得{{*|득〮}}ᄒᆞ〮야〮 한 受{{*|쓔ᇢ〯}}苦{{*|콩〯}}ㅣ 다〯 다ᄋᆞ며〮 내〮 菩{{*|뽕}}提{{*|똉}}樹{{*|쓩〮}}에〮 안자〮 처〮ᅀᅥᆷ 法{{*|법〮}}輪{{*|륜}} 轉{{*|ᄃᆑᆫ〯}}ᄒᆞᇙ 제 樹{{*|쓩〮}}神{{*|씬}}이〮 塔{{*|탑〮}}ᄋᆞᆯ〮 가져〮 와〮 내게 올이〮고〮 이〮 오〮ᄉᆞᆯ〮 바사〮 塔{{*|탑〮}}中{{*|듀ᇰ}}에〮 두게〮 ᄒᆞ니〮라〮 내〮 成{{*|쎠ᇰ}}佛{{*|뿌ᇙ〮}}ᄒᆞᆫ 後{{*|ᅘᅮᇢ〯}}로〮 이〮제 쉰〯 ᄒᆡ〮ᄅᆞᆯ〮 이〮 大{{*|땡〮}}衣{{*|ᅙᅴᆼ}}ᄅᆞᆯ〮 恭{{*|고ᇰ}}敬{{*|겨ᇰ〮}}ᄒᆞ〮야〮 重{{*|뜌ᇰ〯}}히〮 너겨〮 守{{*|슈ᇢ〯}}護{{*|ᅘᅩᆼ〮}}ᄒᆞ〮야〮 손〮ᅀᅩ〮 ᄲᆞ〮라〮 샤ᇰ녜〮 金{{*|금}}剛{{*|가ᇰ}}神{{*|씬}}을〮 브〮려〮 寶{{*|보ᇢ〯}}塔{{*|탑〮}}ᄋᆞᆯ〮 바다〮 ᄯᅡ해〮 노티〮 아니〮케〮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zlx1mupr2355kh8txqwenkf74wrg5j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75
250
101723
392817
2025-06-29T05:34:11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ᄒᆞ고〮 ᄆᆡ〯ᅀᅣᇰ 法{{*|법〮}}輪{{*|륜}} 轉{{*|ᄃᆑᆫ〯}}ᄒᆞᇙ 제 곧〮 이〮 오〮ᄉᆞᆯ〮 니버〮 成{{*|쎠ᇰ}}道{{*|또ᇢ〯}}ᄒᆞᆫ 後{{*|ᅘᅮᇢ〯}}로〮 쉰〯 디위〮ᄅᆞᆯ〮 니부〮니〮 내〮 涅{{*|녀ᇙ〮}}槃{{*|빤}}호〮려 ᄒᆞ〮노니〮 모로〮매〮 付{{*|붕〮}}囑{{*|죡〮}}호ᇙ〮 ᄃᆡ〮 이시리〮라〮 ○ 부톄〯 文{{*|문}}殊{{*|쓩}}와〮 諸{{*|...
39281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ᄒᆞ고〮 ᄆᆡ〯ᅀᅣᇰ 法{{*|법〮}}輪{{*|륜}} 轉{{*|ᄃᆑᆫ〯}}ᄒᆞᇙ 제 곧〮 이〮 오〮ᄉᆞᆯ〮 니버〮 成{{*|쎠ᇰ}}道{{*|또ᇢ〯}}ᄒᆞᆫ 後{{*|ᅘᅮᇢ〯}}로〮 쉰〯 디위〮ᄅᆞᆯ〮 니부〮니〮 내〮 涅{{*|녀ᇙ〮}}槃{{*|빤}}호〮려 ᄒᆞ〮노니〮 모로〮매〮 付{{*|붕〮}}囑{{*|죡〮}}호ᇙ〮 ᄃᆡ〮 이시리〮라〮 ○ 부톄〯 文{{*|문}}殊{{*|쓩}}와〮 諸{{*|졍}} 比{{*|삥〮}}丘{{*|쿠ᇢ}} 天{{*|텬}}龍{{*|료ᇰ}} 八{{*|바ᇙ〮}}部{{*|뽕〯}} 等{{*|드ᇰ〯}}ᄃᆞ려〮 니ᄅᆞ샤〮ᄃᆡ〮 이〮ᄂᆞᆫ〮 迦{{*|강}}葉{{*|셥〮}}佛{{*|뿌ᇙ〮}} 麁{{*|총}}布{{*|봉〮}} 僧{{*|스ᇰ}}伽{{*|꺙}}梨{{*|링}}니〮 큰〮 威{{*|ᅙᅱᆼ}}德{{*|득〮}}이〮 잇ᄂᆞ니〮 내〮 佛{{*|뿌ᇙ〮}}眼{{*|ᅌᅡᆫ〯}}ᄋᆞ〮로〮 보〯니〮 諸{{*|졍}} 天{{*|텬}}龍{{*|료ᇰ}} 鬼{{*|귕〯}}神{{*|씬}}과〮 十{{*|씹〮}}地{{*|띵〮}}菩{{*|뽕}}薩{{*|사ᇙ〮}}ᄃᆞᆯ〮히〮 이〮 大{{*|땡〮}}衣{{*|ᅙᅴᆼ}}ᄅᆞᆯ〮 터럭 귿〮마〮도〮 뮈우〮디〮 몯〯ᄒᆞ〮ᄂᆞ니〮 오직〮 如{{*|ᅀᅧᆼ}}來{{*|ᄅᆡᆼ}}옷〮 이〮 衣{{*|ᅙᅴᆼ}}塔{{*|탑〮}}ᄋᆞᆯ〮 받ᄂᆞ니〮라〮 ᄒᆞ〮시고〮 세〯 ᄇᆞᆯ〮 戒{{*|갱〮}}壇{{*|딴}}ᄋᆞᆯ〮 가ᇝ도〯ᄅᆞ샤〮 南{{*|남}}面{{*|면〮}} 西{{*|솅}}階{{*|갱}}로〮 戒{{*|갱〮}}壇{{*|딴}}애〮 오ᄅᆞ샤〮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ldll68puofnmo6ebac8q9egusna5y6i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76
250
101724
392818
2025-06-29T05:34:37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西{{*|솅}}面{{*|면〮}}을〮 從{{*|쬬ᇰ}}ᄒᆞ〮야〮 北{{*|븍〮}}녀그〮로〮 도〯ᄅᆞ샤〮 北{{*|븍〮}}面{{*|면〮}}에〮 가〮 셔〮샤〮 世{{*|솅〮}}尊{{*|존}}이〮 衣{{*|ᅙᅴᆼ}}塔{{*|탑〮}}ᄋᆞᆯ〮 더디〮샤〮 空{{*|코ᇰ}}中{{*|듀ᇰ}}에〮 올이〮시니〮 衣{{*|ᅙᅴᆼ}}塔{{*|탑〮}}이〮 放{{*|바ᇰ〮}}光{{*|과ᇰ}}ᄒᆞ〮야〮 百{{*|ᄇᆡᆨ〮}}億{{*|ᅙᅳᆨ〮}}國...
39281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西{{*|솅}}面{{*|면〮}}을〮 從{{*|쬬ᇰ}}ᄒᆞ〮야〮 北{{*|븍〮}}녀그〮로〮 도〯ᄅᆞ샤〮 北{{*|븍〮}}面{{*|면〮}}에〮 가〮 셔〮샤〮 世{{*|솅〮}}尊{{*|존}}이〮 衣{{*|ᅙᅴᆼ}}塔{{*|탑〮}}ᄋᆞᆯ〮 더디〮샤〮 空{{*|코ᇰ}}中{{*|듀ᇰ}}에〮 올이〮시니〮 衣{{*|ᅙᅴᆼ}}塔{{*|탑〮}}이〮 放{{*|바ᇰ〮}}光{{*|과ᇰ}}ᄒᆞ〮야〮 百{{*|ᄇᆡᆨ〮}}億{{*|ᅙᅳᆨ〮}}國{{*|귁〮}}土{{*|통〯}}ᄅᆞᆯ〮 차〮 비취〮니〮 一{{*|ᅙᅵᇙ〮}}切{{*|촁〮}} 苦{{*|콩〯}}趣{{*|츙〮}}ㅣ 光{{*|과ᇰ}}明{{*|며ᇰ}} 닙ᄉᆞᄫᅡ〮 다〯 더러〮 天{{*|텬}}樹{{*|쓩〮}} 妙{{*|묘ᇢ〮}}樂{{*|락〮}} 國{{*|귁〮}}土{{*|통〯}}ㅣ ᄀᆞᆮ〮더니〮 如{{*|ᅀᅧᆼ}}來{{*|ᄅᆡᆼ}} 音{{*|ᅙᅳᆷ}}聲{{*|셔ᇰ}} 내〯샤〮 諸{{*|졍}}佛{{*|뿌ᇙ〮}}ᄭᅴ〮 너비〮 告{{*|고ᇢ〮}}ᄒᆞ〮샤ᄃᆡ〮 내〮 涅{{*|녀ᇙ〮}}槃{{*|빤}}코〮져〮 ᄒᆞ〮노니〮 넷〯 迦{{*|강}}葉{{*|셥〮}}佛{{*|뿌ᇙ〮}}ㅅ 麁{{*|총}}布{{*|봉〮}} 僧{{*|스ᇰ}}伽{{*|꺙}}梨{{*|링}}ᄅᆞᆯ〮 내게 付{{*|붕〮}}囑{{*|죡〮}}ᄒᆞ〮샤〮 末{{*|마ᇙ〮}}法{{*|법〮}} 衆{{*|쥬ᇰ〮}}生{{*|ᄉᆡᇰ}}ᄋᆞᆯ〮 住{{*|뜡〮}}持{{*|띵}}ᄒᆞ〮시니〮 諸{{*|졍}}來{{*|ᄅᆡᆼ}}十{{*|씹〮}}方{{*|바ᇰ}}佛{{*|뿌ᇙ〮}} 等{{*|드ᇰ〯}}이〮 願{{*|ᅌᅯᆫ〮}}ᄒᆞᆫᄃᆞᆫ〮 各{{*|각〮}}各{{*|각〮}} ᄒᆞᆫ 오〮ᄉᆞᆯ〮 ᄇᆞ리〮샤〮 末{{*|마ᇙ〮}}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3g0lj36fgz0d3wt65srrszw0ejuhv1q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77
250
101725
392819
2025-06-29T05:35:00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法{{*|법〮}}을〮 모다〮 디니〮쇼셔〮 十{{*|씹〮}}方{{*|바ᇰ}} 諸{{*|졍}}佛{{*|뿌ᇙ〮}}이〮 즉〮재 各{{*|각〮}}各{{*|각〮}} 僧{{*|스ᇰ}}伽{{*|꺙}}梨{{*|링}}ᄅᆞᆯ〮 바ᄉᆞ샤〮 牟{{*|무ᇢ}}尼{{*|닝}}佛{{*|뿌ᇙ〮}}ᄭᅴ〮 施{{*|싱}}ᄒᆞ〮야〮시ᄂᆞᆯ〮 世{{*|솅〮}}尊{{*|존}}이〮 바다〮시ᄂᆞᆯ〮 魔{{*|망}}王{{*|ᅌᅪᇰ}}이〮 부텨ᄭᅴ〮 ᄉᆞᆯᄫᅩ〮...
39281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法{{*|법〮}}을〮 모다〮 디니〮쇼셔〮 十{{*|씹〮}}方{{*|바ᇰ}} 諸{{*|졍}}佛{{*|뿌ᇙ〮}}이〮 즉〮재 各{{*|각〮}}各{{*|각〮}} 僧{{*|스ᇰ}}伽{{*|꺙}}梨{{*|링}}ᄅᆞᆯ〮 바ᄉᆞ샤〮 牟{{*|무ᇢ}}尼{{*|닝}}佛{{*|뿌ᇙ〮}}ᄭᅴ〮 施{{*|싱}}ᄒᆞ〮야〮시ᄂᆞᆯ〮 世{{*|솅〮}}尊{{*|존}}이〮 바다〮시ᄂᆞᆯ〮 魔{{*|망}}王{{*|ᅌᅪᇰ}}이〮 부텨ᄭᅴ〮 ᄉᆞᆯᄫᅩ〮ᄃᆡ〮 내〮 黃{{*|ᅘᅪᇰ}}金{{*|금}} 珠{{*|즁}}寶{{*|보ᇢ〯}}로〮 옷〮 다ᄆᆞᆶ〮 塔{{*|탑〮}}ᄋᆞᆯ〮 ᄆᆡᇰᄀᆞ〮라〮 받ᄌᆞᆸ〯고져〮 ᄒᆞ〮노니〮 願{{*|ᅌᅯᆫ〮}}ᄒᆞᆫᄃᆞᆫ〮 어〯엿비〮 너기〮샤〮 드르쇼〮셔〮 世{{*|솅〮}}尊{{*|존}}이〮 許{{*|헝〯}}ᄒᆞ〮야〮시ᄂᆞᆯ〮 곧〮 神{{*|씬}}力{{*|륵〮}}으〮로〮 ᄒᆞᆫ 念{{*|념〮}} ᄊᆞᅀᅵ〮예〮 한 塔{{*|탑〮}}이〮 다〯 일〯어늘〮 世{{*|솅〮}}尊{{*|존}}이〮 ᄌᆞ〮걔 大{{*|땡〮}}衣{{*|ᅙᅴᆼ}}ᄅᆞᆯ〮 자ᄇᆞ샤〮 낫나〯치〮 寶{{*|보ᇢ〯}}塔{{*|탑〮}}中{{*|듀ᇰ}}에〮 녀허〮시ᄂᆞᆯ〮 魔{{*|망}}衆{{*|쥬ᇰ〮}}이〮 부텨ᄭᅴ〮 ᄉᆞᆯᄫᅩ〮ᄃᆡ〮 이〮 塔{{*|탑〮}}ᄋᆞᆯ〮 엇〯던 사〯ᄅᆞᄆᆡ〮게 付{{*|붕〮}}囑{{*|죡〮}}ᄒᆞ〮시며〮 엇〯던 ᄯᅡ해〮 便{{*|뼌}}安{{*|ᅙᅡᆫ}}히〮 두〮시리〮ᅌᅵᆺ고〮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32k64afyo52m4wl7mvncvfpl3cz7wmn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78
250
101726
392820
2025-06-29T05:35:26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그제 如{{*|ᅀᅧᆼ}}來{{*|ᄅᆡᆼ}} ᄒᆞ마〮 涅{{*|녀ᇙ〮}}槃{{*|빤}}호〮려 즉〮재 羅{{*|랑}}雲{{*|ᅌᅮᆫ}}이〮ᄃᆞ려〮 니ᄅᆞ샤〮ᄃᆡ〮 네〯 阿{{*|ᅙᅡᆼ}}難{{*|난}}이〮 블러〮 오라〮 阿{{*|ᅙᅡᆼ}}難{{*|난}}이〮 오〮나ᄂᆞᆯ〮 世{{*|솅〮}}尊{{*|존}}이〮 放{{*|바ᇰ〮}}光{{*|과ᇰ}}ᄒᆞ〮샤〮 大{{*|땡〮}}千{{*|쳔}}을〮 차〮 비취〮시니〮 百{{*|ᄇ...
39282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그제 如{{*|ᅀᅧᆼ}}來{{*|ᄅᆡᆼ}} ᄒᆞ마〮 涅{{*|녀ᇙ〮}}槃{{*|빤}}호〮려 즉〮재 羅{{*|랑}}雲{{*|ᅌᅮᆫ}}이〮ᄃᆞ려〮 니ᄅᆞ샤〮ᄃᆡ〮 네〯 阿{{*|ᅙᅡᆼ}}難{{*|난}}이〮 블러〮 오라〮 阿{{*|ᅙᅡᆼ}}難{{*|난}}이〮 오〮나ᄂᆞᆯ〮 世{{*|솅〮}}尊{{*|존}}이〮 放{{*|바ᇰ〮}}光{{*|과ᇰ}}ᄒᆞ〮샤〮 大{{*|땡〮}}千{{*|쳔}}을〮 차〮 비취〮시니〮 百{{*|ᄇᆡᆨ〮}}億{{*|ᅙᅳᆨ〮}} 釋{{*|셕〮}}迦{{*|강}}ㅣ 다〯 祇{{*|낑}}桓{{*|ᅘᅪᆫ}}애〮 몯거〮시ᄂᆞᆯ〮 世{{*|솅〮}}尊{{*|존}}이〮 즉〮재 坐{{*|쫭〮}}로셔〮 니〯르샤〮 戒{{*|갱〮}}壇{{*|딴}}애〮 오ᄅᆞ샤〮 ᄯᅩ〮 阿{{*|ᅙᅡᆼ}}難{{*|난}}이〮ᄃᆞ려〮 니ᄅᆞ샤〮ᄃᆡ〮 네〯 震{{*|진〮}}旦{{*|단〮}}國{{*|귁〮}}에〮 가〮 淸{{*|쳐ᇰ}}涼{{*|랴ᇰ}}山{{*|산}}窟{{*|코ᇙ〮}}에〮 文{{*|문}}殊{{*|쓩}}師{{*|ᄉᆞᆼ}}利{{*|링〮}}ᄃᆞ려〮 命{{*|며ᇰ〮}}호〮ᄃᆡ〮 내〮 迦{{*|강}}葉{{*|셥〮}} 僧{{*|스ᇰ}}伽{{*|꺙}}梨{{*|링}}ᄅᆞᆯ〮 付{{*|붕〮}}囑{{*|죡〮}}호〮려 ᄒᆞ〮노라〮 ᄒᆞ라〮 諸{{*|졍}}來{{*|ᄅᆡᆼ}}釋{{*|셕〮}}迦{{*|강}}佛{{*|뿌ᇙ〮}}이〮 즉〮재 文{{*|문}}殊{{*|쓩}}와〮 彈{{*|딴}}指{{*|징〯}}ㅅ ᄉᆞᅀᅵ〮예〮 戒{{*|갱〮}}壇{{*|딴}}애〮 오〮나〮시ᄂᆞᆯ〮 부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7d1fuyckafplomp1adoe2jyn1wp18nq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79
250
101727
392821
2025-06-29T05:35:51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톄〯 文{{*|문}}殊{{*|쓩}}와〮 諸{{*|졍}}來{{*|ᄅᆡᆼ}}大{{*|땡〮}}衆{{*|쥬ᇰ〮}}ᄃᆞ려〮 니ᄅᆞ샤〮ᄃᆡ〮 내〮 이〮제 涅{{*|녀ᇙ〮}}槃{{*|빤}}ᄒᆞ릴〮ᄊᆡ〮 너를〮 迦{{*|강}}葉{{*|셥〮}}佛{{*|뿌ᇙ〮}} 衣{{*|ᅙᅴᆼ}}塔{{*|탑〮}}을〮 맛뎌〮 내 遺{{*|ᄋᆔᆼ}}法{{*|법〮}}을〮 디니〮게 코〮져 ᄒᆞ〮노니〮 내〮 涅{{*|녀ᇙ〮}}槃{{*|빤}}애〮 든〮 後{{*|...
39282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톄〯 文{{*|문}}殊{{*|쓩}}와〮 諸{{*|졍}}來{{*|ᄅᆡᆼ}}大{{*|땡〮}}衆{{*|쥬ᇰ〮}}ᄃᆞ려〮 니ᄅᆞ샤〮ᄃᆡ〮 내〮 이〮제 涅{{*|녀ᇙ〮}}槃{{*|빤}}ᄒᆞ릴〮ᄊᆡ〮 너를〮 迦{{*|강}}葉{{*|셥〮}}佛{{*|뿌ᇙ〮}} 衣{{*|ᅙᅴᆼ}}塔{{*|탑〮}}을〮 맛뎌〮 내 遺{{*|ᄋᆔᆼ}}法{{*|법〮}}을〮 디니〮게 코〮져 ᄒᆞ〮노니〮 내〮 涅{{*|녀ᇙ〮}}槃{{*|빤}}애〮 든〮 後{{*|ᅘᅮᇢ〯}}에〮 迦{{*|강}}葉{{*|셥〮}} 衣{{*|ᅙᅴᆼ}}塔{{*|탑〮}}ᄋᆞᆯ〮 내 戒{{*|갱〮}}壇{{*|딴}} 北{{*|븍〮}}에〮 두〮어〮 열〮두〯 ᄒᆡ〮ᄅᆞᆯ〮 디〯내〯라〮 ᄯᅩ〮 四{{*|ᄉᆞᆼ〮}}天{{*|텬}}王{{*|ᅌᅪᇰ}}ᄃᆞ려〮 니ᄅᆞ샤〮ᄃᆡ〮 네〯 天{{*|텬}}樂{{*|ᅌᅡᆨ〮}} 가져〮 샤ᇰ녜〮 衣{{*|ᅙᅴᆼ}}塔{{*|탑〮}}ᄋᆞᆯ〮 供{{*|고ᇰ}}養{{*|야ᇰ〮}}ᄒᆞ라〮 ○ ᄯᅩ〮 부톄〯 文{{*|문}}殊{{*|쓩}}師{{*|ᄉᆞᆼ}}利{{*|링〮}}ᄃᆞ려〮 니ᄅᆞ샤〮ᄃᆡ〮 네〯 神{{*|씬}}力{{*|륵〮}}으〮로〮 祇{{*|낑}}桓{{*|ᅘᅪᆫ}}中{{*|듀ᇰ}}堂{{*|따ᇰ}} 西{{*|솅}}寶{{*|보ᇢ〯}}樓{{*|루ᇢ}}上{{*|쌰ᇰ〮}}애〮 가〮 내 珠{{*|즁}}玉{{*|ᅌᅩᆨ〮}}函{{*|ᅘᅡᆷ}}ᄋᆞᆯ〮 가져〮 大{{*|땡〮}}衆{{*|쥬ᇰ〮}}을〮 뵈〯라〮 내〮 처〮ᅀᅥᆷ 城{{*|쎠ᇰ}} 나마〮 父{{*|뿡〯}}王{{*|ᅌᅪᇰ}}宮{{*|구ᇰ}} 여희〮여 四{{*|ᄉᆞᆼ〮}}十{{*|씹〮}}里{{*|링〯}}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338e1l6e5wozm7pnyjnazax5k05cv8
페이지:Weolinseokbo Vol. 25.djvu/80
250
101728
392822
2025-06-29T05:36:13Z
ZornsLemon
1553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예〮 뎌〮 叢{{*|쪼ᇰ}}林{{*|림}}에〮 다ᄃᆞ라〮 모〮미〮 져〯기〮 ᄀᆞᆺ브거늘〮 쉬〯다니〮 樹{{*|쓩〮}}神{{*|씬}}이〮 모〮ᄆᆞᆯ〮 現{{*|ᅘᅧᆫ〮}}ᄒᆞ〮야〮 내게 닐오〮ᄃᆡ〮 太{{*|탱〮}}子{{*|ᄌᆞᆼ〯}}ㅣ 이〮제 道{{*|또ᇢ〯}}理{{*|링〯}} 닷ᄀᆞ시〮ᄂᆞ니〮 一{{*|ᅙᅵᇙ〮}}定{{*|뗘ᇰ〮}}ᄒᆞ〮야〮 金{{*|금}}色{{*|ᄉᆡᆨ〮}}身{{*|신}}...
39282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ZornsLemon"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예〮 뎌〮 叢{{*|쪼ᇰ}}林{{*|림}}에〮 다ᄃᆞ라〮 모〮미〮 져〯기〮 ᄀᆞᆺ브거늘〮 쉬〯다니〮 樹{{*|쓩〮}}神{{*|씬}}이〮 모〮ᄆᆞᆯ〮 現{{*|ᅘᅧᆫ〮}}ᄒᆞ〮야〮 내게 닐오〮ᄃᆡ〮 太{{*|탱〮}}子{{*|ᄌᆞᆼ〯}}ㅣ 이〮제 道{{*|또ᇢ〯}}理{{*|링〯}} 닷ᄀᆞ시〮ᄂᆞ니〮 一{{*|ᅙᅵᇙ〮}}定{{*|뗘ᇰ〮}}ᄒᆞ〮야〮 金{{*|금}}色{{*|ᄉᆡᆨ〮}}身{{*|신}}ᄋᆞᆯ〮 得{{*|득〮}}ᄒᆞ〮야〮 三{{*|삼}}界{{*|갱〮}}大{{*|땡〮}}師{{*|ᄉᆞᆼ}}ㅣ ᄃᆞ외시〮리니〮 迦{{*|강}}葉{{*|셥〮}}佛{{*|뿌ᇙ〮}} 涅{{*|녀ᇙ〮}}槃{{*|빤}}ᄒᆞ〮시ᇙ 제〮 내 거긔〮 珠{{*|즁}}函{{*|ᅘᅡᆷ}}과〮 깁〯 僧{{*|스ᇰ}}伽{{*|꺙}}梨{{*|링}}ᄅᆞᆯ〮 付{{*|붕〮}}囑{{*|죡〮}}ᄒᆞ〮샤〮 太{{*|탱〮}}子{{*|ᄌᆞᆼ〯}}ᄭᅴ〮 付{{*|붕〮}}囑{{*|죡〮}}ᄒᆞ라〮 ᄒᆞ〮시니〮ᅌᅵ다〮 내〮 神{{*|씬}}ᄃᆞ려〮 닐오〮ᄃᆡ〮 네 깁〯 僧{{*|스ᇰ}}伽{{*|꺙}}梨{{*|링}}ᄂᆞᆫ〮 내〮 ᄡᅮᇙ〮 거시〮 아니〮로다〮 내〮 先{{*|션}}老{{*|로ᇢ〯}}의〮 마〯ᄅᆞᆯ〮 드로〮니〮 諸{{*|졍}}佛{{*|뿌ᇙ〮}}이〮 出{{*|츄ᇙ〮}}世{{*|솅〮}}ᄒᆞ〮샤〮 蠶{{*|짬}}衣{{*|ᅙᅴᆼ}}ᄅᆞᆯ〮 닙디〮 아니〮ᄒᆞ〮시〮ᄂᆞ다〮 ᄒᆞ〮ᄂᆞ니〮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chwlte78dvf0sp1ct2ibh0quku4ovii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49
250
101729
392823
2025-06-29T05:38:15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우리邦{{더더작게|방}}家{{더더작게|가}}에復{{더더작게|복}}{{분주|호리|라}}<br> ○我{{더더작게|아}}行{{더더작게|ᄒᆡᆼ}}基{{더더작게|기}}野{{더더작게|야}}{{분주|ᄒᆞ|야}}言{{더더작게|언}}采{{더더작게|ᄎᆡ}}基{{더더작게|기}}蓫{{더더작게|휵}}{{분주|호|라}}昏{{더더작게|혼}}姻{{더더작게|인}}之{{더더작게|지}}故{{더더작게|고}}{{분주|로|}}言{{...
39282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우리邦{{더더작게|방}}家{{더더작게|가}}에復{{더더작게|복}}{{분주|호리|라}}<br>
○我{{더더작게|아}}行{{더더작게|ᄒᆡᆼ}}基{{더더작게|기}}野{{더더작게|야}}{{분주|ᄒᆞ|야}}言{{더더작게|언}}采{{더더작게|ᄎᆡ}}基{{더더작게|기}}蓫{{더더작게|휵}}{{분주|호|라}}昏{{더더작게|혼}}姻{{더더작게|인}}之{{더더작게|지}}故{{더더작게|고}}{{분주|로|}}言{{더더작게|언}}就{{더더작게|ᄎᆔ}}爾{{더더작게|이}}宿{{더더작게|슉}}{{분주|호|니}}爾{{더더작게|이}}不{{더더작게|블}}我{{더더작게|아}}畜{{더더작게|휵}}{{분주|이란|ᄃᆡ}}言{{더더작게|언}}歸{{더더작게|귀}}四{{더더작게|ᄉᆞ}}復{{더더작게|복}}{{분주|호리|라}}<br>
:내그野{{더더작게|야}}에行{{더더작게|ᄒᆡᆼ}}ᄒᆞ야그蓫{{더더작게|츅}}을采{{더더작게|ᄎᆡ}}호라昏{{더더작게|혼}}姻{{더더작게|인}}의故{{더더작게|고}}로네게就{{더더작게|ᄎᆔ}}ᄒᆞ야宿{{더더작게|슉}}호니네나ᄅᆞᆯ畜{{더더작게|휵}}디아니ᄒᆞ란ᄃᆡ歸{{더더작게|귀}}ᄒᆞ야復{{더더작게|복}}호리라<br>
○我{{더더작게|아}}行{{더더작게|ᄒᆡᆼ}}基{{더더작게|기}}野{{더더작게|야}}{{분주|ᄒᆞ|야}}言{{더더작게|언}}采{{더더작게|ᄎᆡ}}基{{더더작게|기}}蓫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b5vpfekvkt5op44r1pxeah736o72he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63
250
101730
392824
2025-06-29T06:01:35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君{{작게|군}}子{{작게|ᄌᆞ}}의役{{작게|역}}홈이여그期{{작게|긔}}를아디몯ᄒᆞ리로소니어ᄃᆡ至{{작게|지}}ᄒᆞ얀ᄂᆞᆫ고雞{{작게|계}}ㅣ塒{{작게|시}}애棲{{작게|셔}}ᄒᆞ며日{{작게|일}}이夕{{작게|셕}}ᄒᆞᆫ디라羊{{작게|양}}과牛{{작게|우}}ㅣ 下{{작게|하}}來{{작게|ᄅᆡ}}ᄒᆞ노소니君{{작게|군}}子{{작게|ᄌᆞ}}于의役{{작게|역}}홈이여엇디思{{작...
392824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君{{작게|군}}子{{작게|ᄌᆞ}}의役{{작게|역}}홈이여그期{{작게|긔}}를아디몯ᄒᆞ리로소니어ᄃᆡ至{{작게|지}}ᄒᆞ얀ᄂᆞᆫ고雞{{작게|계}}ㅣ塒{{작게|시}}애棲{{작게|셔}}ᄒᆞ며日{{작게|일}}이夕{{작게|셕}}ᄒᆞᆫ디라羊{{작게|양}}과牛{{작게|우}}ㅣ 下{{작게|하}}來{{작게|ᄅᆡ}}ᄒᆞ노소니君{{작게|군}}子{{작게|ᄌᆞ}}于의役{{작게|역}}홈이여엇디思{{작게|ᄉᆞ}}티아니ᄒᆞ리오<br />
○君{{작게|군}}子{{작게|ᄌᆞ}}于{{작게|우}}役{{작게|역}}{{분주|이|여}}不{{작게|블}}日{{작게|일}}不{{작게|블}}月{{작게|월}}{{분주|이로|소니}}曷{{작게|갈}}其{{작게|기}}有{{작게|유}}佸{{작게|활}}고雞{{작게|계}}棲{{작게|셔}}于{{작게|우}}桀{{작게|걸}}{{분주|이|며}}日{{작게|일}}之{{작게|지}}夕{{작게|셕}}矣{{작게|의}}라牛{{작게|우}}羊{{작게|양}}下{{작게|하}}括{{작게|괄}}{{분주|이로|소니}}君{{작게|군}}子{{작게|ᄌᆞ}}于{{작게|우}}役{{작게|역}}{{분주|이|여}}苟{{작게|구}}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a7doer0sltinonbq2eg52dqt5e8en79
페이지:詩經諺解 제2책.djvu/64
250
101731
392825
2025-06-29T06:23:06Z
이유리아
18521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君{{작게|군}}子{{작게|ᄌᆞ}}의役{{작게|역}}홈이여日{{작게|일}}로몯ᄒᆞ며月{{작게|월}}로몯ᄒᆞ리로소니언제그佸{{작게|활}}ᄒᆞᆯ고雞{{작게|계}}ㅣ桀{{작게|걸}}애棲{{작게|셔}}ᄒᆞ며日{{작게|일}}이夕{{작게|셕}}ᄒᆞᆫ디라牛{{작게|우}}와羊{{작게|양}}이役{{작게|역}}홈이여ᄯᅩ飢{{작게|긔}}渴{{작게|갈}}이나업슬디어다<br /> ::君{{작게|군}}子{{작...
392825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君{{작게|군}}子{{작게|ᄌᆞ}}의役{{작게|역}}홈이여日{{작게|일}}로몯ᄒᆞ며月{{작게|월}}로몯ᄒᆞ리로소니언제그佸{{작게|활}}ᄒᆞᆯ고雞{{작게|계}}ㅣ桀{{작게|걸}}애棲{{작게|셔}}ᄒᆞ며日{{작게|일}}이夕{{작게|셕}}ᄒᆞᆫ디라牛{{작게|우}}와羊{{작게|양}}이役{{작게|역}}홈이여ᄯᅩ飢{{작게|긔}}渴{{작게|갈}}이나업슬디어다<br />
::君{{작게|군}}子{{작게|ᄌᆞ}}于{{작게|우}}役{{작게|역}}二{{작게|이}}章{{작게|쟝}}
君{{작게|군}}子{{작게|ᄌᆞ}}陽{{작게|양}}陽{{작게|양}}{{분주|ᄒᆞ|야}}左{{작게|자}}執{{작게|집}}簧{{작게|황}}{{분주|ᄒᆞ|고}}右{{작게|우}}招{{작게|쵸}}我{{작게|아}}由{{작게|유}}房{{작게|방}}{{분주|ᄒᆞᄂᆞ|니}}其{{작게|기}}樂{{작게|락}}只{{작게|지}}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ddj6yldtubzc6hymxexeucej8ovcnu0
392826
392825
2025-06-29T06:26:50Z
이유리아
18521
392826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無{{작게|무}}飢{{작게|긔}}渴{{작게|갈}}{{분주|이어|다}}<br />
:君{{작게|군}}子{{작게|ᄌᆞ}}의役{{작게|역}}홈이여日{{작게|일}}로몯ᄒᆞ며月{{작게|월}}로몯ᄒᆞ리로소니언제그佸{{작게|활}}ᄒᆞᆯ고雞{{작게|계}}ㅣ桀{{작게|걸}}애棲{{작게|셔}}ᄒᆞ며日{{작게|일}}이夕{{작게|셕}}ᄒᆞᆫ디라牛{{작게|우}}와羊{{작게|양}}이役{{작게|역}}홈이여ᄯᅩ飢{{작게|긔}}渴{{작게|갈}}이나업슬디어다<br />
::君{{작게|군}}子{{작게|ᄌᆞ}}于{{작게|우}}役{{작게|역}}二{{작게|이}}章{{작게|쟝}}<br />
君{{작게|군}}子{{작게|ᄌᆞ}}陽{{작게|양}}陽{{작게|양}}{{분주|ᄒᆞ|야}}左{{작게|자}}執{{작게|집}}簧{{작게|황}}{{분주|ᄒᆞ|고}}右{{작게|우}}招{{작게|쵸}}我{{작게|아}}由{{작게|유}}房{{작게|방}}{{분주|ᄒᆞᄂᆞ|니}}其{{작게|기}}樂{{작게|락}}只{{작게|지}}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4b2fmku58sxtjhvcu3ekyg8hshvaq9t
392827
392826
2025-06-29T06:31:09Z
이유리아
18521
392827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이유리아"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無{{작게|무}}飢{{작게|긔}}渴{{작게|갈}}{{분주|이어|다}}
:君{{작게|군}}子{{작게|ᄌᆞ}}의役{{작게|역}}홈이여日{{작게|일}}로몯ᄒᆞ며月{{작게|월}}로몯ᄒᆞ리로소니언제그佸{{작게|활}}ᄒᆞᆯ고雞{{작게|계}}ㅣ桀{{작게|걸}}애棲{{작게|셔}}ᄒᆞ며日{{작게|일}}이夕{{작게|셕}}ᄒᆞᆫ디라牛{{작게|우}}와羊{{작게|양}}이下{{작게|하}}ᄒᆞ야括{{작게|괄}}ᄒᆞ노소니君{{작게|군}}子{{작게|ᄌᆞ}}의役{{작게|역}}홈이여ᄯᅩ飢{{작게|긔}}渴{{작게|갈}}이나업슬디어다<br />
::君{{작게|군}}子{{작게|ᄌᆞ}}于{{작게|우}}役{{작게|역}}二{{작게|이}}章{{작게|쟝}}
君{{작게|군}}子{{작게|ᄌᆞ}}陽{{작게|양}}陽{{작게|양}}{{분주|ᄒᆞ|야}}左{{작게|자}}執{{작게|집}}簧{{작게|황}}{{분주|ᄒᆞ|고}}右{{작게|우}}招{{작게|쵸}}我{{작게|아}}由{{작게|유}}房{{작게|방}}{{분주|ᄒᆞᄂᆞ|니}}其{{작게|기}}樂{{작게|락}}只{{작게|지}}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m14zvkeoc4swkfziizazktu9n7i7snk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50
250
101732
392828
2025-06-29T06:35:21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더더작게|복}}{{분주|호|라}}不{{더더작게|블}}思{{더더작게|ᄉᆞ}}舊{{더더작게|구}}姻{{더더작게|인}}{{분주|이|오}}求{{더더작게|구}}我{{더더작게|아}}新{{더더작게|신}}特{{더더작게|특}}{{분주|은|}}成{{더더작게|셩}}{{분주|論론語어|作작誠셩}}不{{더더작게|블}}以{{더더작게|이}}富{{더더작게|부}}{{분주|ᅵ|나}}亦{{더더작게|역}}秪{{더더작게|지}}以...
392828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더더작게|복}}{{분주|호|라}}不{{더더작게|블}}思{{더더작게|ᄉᆞ}}舊{{더더작게|구}}姻{{더더작게|인}}{{분주|이|오}}求{{더더작게|구}}我{{더더작게|아}}新{{더더작게|신}}特{{더더작게|특}}{{분주|은|}}成{{더더작게|셩}}{{분주|論론語어|作작誠셩}}不{{더더작게|블}}以{{더더작게|이}}富{{더더작게|부}}{{분주|ᅵ|나}}亦{{더더작게|역}}秪{{더더작게|지}}以{{더더작게|이}}異{{더더작게|이}}{{분주|라|니}}<br>
:내그野{{더더작게|야}}에行{{더더작게|ᄒᆡᆼ}}ᄒᆞ야그䈏{{더더작게|복}}을采{{더더작게|ᄎᆡ}}호라녯姻{{더더작게|인}}을思{{더더작게|ᄉᆞ}}티아니코내新{{더더작게|신}}特{{더더작게|특}}을求{{더더작게|구}}ᄒᆞ욤은진실로富{{더더작게|부}}로ᄡᅥ아니나 ᄯᅩᄒᆞᆫ마ᄌᆞᆷ다ᄅᆞᆷ으로ᄡᅥ니라<br>
::我{{더더작게|아}}行{{더더작게|ᄒᆡᆼ}}基{{더더작게|기}}野{{더더작게|야}}三{{더더작게|삼}}章{{더더작게|쟝}}<br>
秩{{더더작게|질}}秩{{더더작게|질}}斯{{더더작게|ᄉᆞ}}干{{더더작게|간}}{{분주|이|오}}幽{{더더작게|유}}幽{{더더작게|유}}南{{더더작게|남}}山{{더더작게|산}}{{분주|이로|소니}}如{{더더작게|여}}竹{{더더작게|쥭}}苞{{더더작게|포}}矣{{더더작게|의}}{{분주|오|}}如{{더더작게|여}}松{{더더작게|숑}}茂{{더더작게|무}}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hhkv56746s18euzsm6cvjod6ky7j4oz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51
250
101733
392829
2025-06-29T07:14:33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矣{{더더작게|의}}{{분주|로|다}}兄{{더더작게|형}}及{{더더작게|급}}弟{{더더작게|뎨}}矣{{더더작게|의}}{{분주|ᅵ|}}式{{더더작게|식}}相{{더더작게|샹}}好{{더더작게|호}}矣{{더더작게|의}}{{분주|오|}}無{{더더작게|무}}相{{더더작게|샹}}猶{{더더작게|유}}矣{{더더작게|의}}{{분주|로|다}}<br> :秩{{더더작게|질}}秩{{더더작게|질}}ᄒᆞᆫ이干{{더더작게|간}}...
392829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矣{{더더작게|의}}{{분주|로|다}}兄{{더더작게|형}}及{{더더작게|급}}弟{{더더작게|뎨}}矣{{더더작게|의}}{{분주|ᅵ|}}式{{더더작게|식}}相{{더더작게|샹}}好{{더더작게|호}}矣{{더더작게|의}}{{분주|오|}}無{{더더작게|무}}相{{더더작게|샹}}猶{{더더작게|유}}矣{{더더작게|의}}{{분주|로|다}}<br>
:秩{{더더작게|질}}秩{{더더작게|질}}ᄒᆞᆫ이干{{더더작게|간}}이오幽{{더더작게|유}}幽{{더더작게|유}}ᄒᆞᆫ南{{더더작게|남}}山{{더더작게|산}}이로소니竹{{더더작게|쥭}}이苞{{더더작게|포}}홈ᄀᆞᆮ고松{{더더작게|숑}}이茂{{더더작게|무}}홈ᄀᆞᆮ도다兄{{더더작게|형}}과믿弟{{더더작게|뎨}}ᄡᅥ서ᄅᆞ好{{더더작게|호}}ᄒᆞ고서ᄅᆞ猶{{더더작게|유}}홈이업스리로다<br>
○似{{더더작게|ᄉᆞ}}續{{더더작게|쇽}}妣{{더더작게|비}}祖{{더더작게|조}}{{분주|ᄒᆞ|야}}築{{더더작게|츅}}室{{더더작게|실}}百{{더더작게|ᄇᆡᆨ}}堵{{더더작게|도}}{{분주|ᄒᆞ|니}}西{{더더작게|셔}}南{{더더작게|남}}基{{더더작게|기}}戶{{더더작게|호}}{{분주|ᅵ로|소니}}爰{{더더작게|원}}居{{더더작게|거}}爰{{더더작게|원}}䖏{{더더작게|처}}{{분주|ᅵ|며}}爰{{더더작게|원}}笑{{더더작게|쇼}}爰{{더더작게|원}}語{{더더작게|어}}{{분주|ᅵ로|다}}<br>
:妣{{더더작게|비}}와祖{{더더작게|조}}ᄅᆞᆯ似{{더더작게|ᄉᆞ}}續{{더더작게|쇽}}ᄒᆞ야室{{더더작게|실}}百{{더더작게|ᄇᆡᆨ}}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9837qydbf7akelt1f5py9uhew8ooq48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52
250
101734
392830
2025-06-29T07:56:49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堵{{더더작게|도}}ᄅᆞᆯ築{{더더작게|츅}}ᄒᆞ니그戶{{더더작게|호}}ᄅᆞᆯ西{{더더작게|셔}}로ᄒᆞ며南{{더더작게|남}}으로ᄒᆞ얏도소니이예居{{더더작게|거}}ᄒᆞ며이예䖏{{더더작게|쳐}}하며이예笑{{더더작게|쇼}}ᄒᆞ며이예語{{더더작게|어}}ᄒᆞ리로다<br> ○約{{더더작게|약}}之{{더더작게|지}}閣{{더더작게|각}}閣{{더더작게|각}}{{분주|ᄒᆞ|...
392830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堵{{더더작게|도}}ᄅᆞᆯ築{{더더작게|츅}}ᄒᆞ니그戶{{더더작게|호}}ᄅᆞᆯ西{{더더작게|셔}}로ᄒᆞ며南{{더더작게|남}}으로ᄒᆞ얏도소니이예居{{더더작게|거}}ᄒᆞ며이예䖏{{더더작게|쳐}}하며이예笑{{더더작게|쇼}}ᄒᆞ며이예語{{더더작게|어}}ᄒᆞ리로다<br>
○約{{더더작게|약}}之{{더더작게|지}}閣{{더더작게|각}}閣{{더더작게|각}}{{분주|ᄒᆞ|며}}椓{{더더작게|탁}}之{{더더작게|지}}槖{{더더작게|탁}}槖{{더더작게|탁}}{{분주|ᄒᆞ|니}}風{{더더작게|풍}}雨{{더더작게|우}}攸{{더더작게|유}}除{{더더작게|져}}{{분주|;|며}}鳥{{더더작게|됴}}鼠{{더더작게|셔}}攸{{더더작게|유}}去{{더더작게|거}}{{분주|ᅵ로|소니}}君{{더더작게|군}}子{{더더작게|ᄌᆞ}}攸{{더더작게|유}}芋{{더더작게|우}}{{분주|ᅵ로|다}}<br>
:約{{더더작게|약}}홈을閣{{더더작게|각}}閣{{더더작게|각}}히ᄒᆞ며椓{{더더작게|탁}}홈믈槖{{더더작게|탁}}槖{{더더작게|탁}}히ᄒᆞ니風{{더더작게|풍}}雨{{더더작게|우}}의除{{더더작게|져}}ᄒᆞᆯ빠며鳥{{더더작게|됴}}鼠{{더더작게|셔}}의去{{더더작게|거}}ᄒᆞᆯ배로소니君{{더더작게|군}}子{{더더작게|ᄌᆞ}}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jnwro4vw55wel85rqwa8qh3xp9jbqvr
페이지:詩經諺解 제4책.djvu/53
250
101735
392831
2025-06-29T08:37:42Z
Lawhunt
1731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big> :의芋{{더더작게|우}}ᄒᆞᆯ빠로다<br> ○如{{더더작게|여}}跂{{더더작게|기}}斯{{더더작게|ᄉᆞ}}翼{{더더작게|익}}{{분주|ᄒᆞ|며}}如{{더더작게|여}}矢{{더더작게|시}}斯{{더더작게|ᄉᆞ}}棘{{더더작게|극}}{{분주|ᄒᆞ|며}}如{{더더작게|여}}鳥{{더더작게|됴}}斯{{더더작게|ᄉᆞ}}革{{더더작게|혁}}{{분주|ᄒᆞ|며}}如{{더더작게|여}}翬{{더더작게|휘}}斯{{...
392831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Lawhunt" /></noinclude>{{옛한글쪽 시작}}
<big>
:의芋{{더더작게|우}}ᄒᆞᆯ빠로다<br>
○如{{더더작게|여}}跂{{더더작게|기}}斯{{더더작게|ᄉᆞ}}翼{{더더작게|익}}{{분주|ᄒᆞ|며}}如{{더더작게|여}}矢{{더더작게|시}}斯{{더더작게|ᄉᆞ}}棘{{더더작게|극}}{{분주|ᄒᆞ|며}}如{{더더작게|여}}鳥{{더더작게|됴}}斯{{더더작게|ᄉᆞ}}革{{더더작게|혁}}{{분주|ᄒᆞ|며}}如{{더더작게|여}}翬{{더더작게|휘}}斯{{더더작게|ᄉᆞ}}飛{{더더작게|비}}{{분주|로소|니}}君{{더더작게|군}}子{{더더작게|ᄌᆞ}}攸{{더더작게|유}}躋{{더더작게|제}}{{분주|로|다}}<br>
:跂{{더더작게|기}}ᄒᆞ야이翼{{더더작게|익}}홈ᄀᆞᆮᄐᆞ며矢{{더더작게|시}}이棘{{더더작게|극}}홈ᄀᆞᆮᄐᆞ며鳥{{더더작게|됴}}ᅵ이革{{더더작게|혁}}홈ᄀᆞᆮᄐᆞ며翬{{더더작게|휘}}이飛{{더더작게|비}}홈ᄀᆞᆮ도소니君{{더더작게|군}}子{{더더작게|ᄌᆞ}}의躋{{더더작게|제}}ᄒᆞᆯ빠로다<br>
○殖{{더더작게|식}}殖{{더더작게|식}}基{{더더작게|기}}庭{{더더작게|뎡}}{{분주|이며|이여}}°有{{더더작게|유}}覺{{더더작게|각}}基{{더더작게|기}}楹{{더더작게|영}}{{분주|이|며}}噲{{더더작게|쾌}}噲{{더더작게|쾌}}基{{더더작게|기}}正{{더더작게|졍}}{{분주|이|여}}噦{{더더작게|홰}}噦{{더더작게|홰}}
</big>
{{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g1gg739f0b4l67rgrq3m79np5mboe84
페이지:(관셰음보살)륙자대명왕다라니신주경.djvu/8
250
101736
392832
2025-06-29T10:46:15Z
Goohui
18463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디옥도에ᄯᅥ러지지안니ᄒᆞ리니이믜맛치거든지극ᄒᆞᆫ마음으로륙쟈신주를지녀념ᄒᆞ고도로뎡에나기를베푸러원호ᄃᆡ부쳐님ᄭᅴ셔나를ᄋᆡ련히민념ᄒᆞᄉᆞ널니ᄒᆞ야금모든유졍을셥슈ᄒᆞᄉᆞ이진언위력을타게ᄒᆞ시니고로지극ᄒᆞᆫ마음으로굿게지녀퇴젼치안니ᄒᆞ깃ᄉᆞᆸᄂᆞ이ᄃᆞᄒᆞ고연후에뎡에이러나서크게회향ᄒᆞ리라<...
392832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Goohui" /></noinclude>{{옛한글쪽 시작}}디옥도에ᄯᅥ러지지안니ᄒᆞ리니이믜맛치거든지극ᄒᆞᆫ마음으로륙쟈신주를지녀념ᄒᆞ고도로뎡에나기를베푸러원호ᄃᆡ부쳐님ᄭᅴ셔나를ᄋᆡ련히민념ᄒᆞᄉᆞ널니ᄒᆞ야금모든유졍을셥슈ᄒᆞᄉᆞ이진언위력을타게ᄒᆞ시니고로지극ᄒᆞᆫ마음으로굿게지녀퇴젼치안니ᄒᆞ깃ᄉᆞᆸᄂᆞ이ᄃᆞᄒᆞ고연후에뎡에이러나서크게회향ᄒᆞ리라</br>졍삼업진언</br>옴샤바바바슈다살바달마사바바슈도함삼편</br>오방ᄂᆡ외안위제신진언</br>나무사만다못다남옴도로도로지미ᄉᆞ바하삼편</br>ᄀᆡ경게{{옛한글쪽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0qjr3rzcxtzrn2p1qlly693t9dgcpe3
페이지:(만고웅변)소진장의젼.djvu/39
250
101737
392833
2025-06-29T11:50:55Z
Ming9113
18465
/* 교정 안 됨 */ 새 문서: {{옛한글 시작}} 히셔로계르지못ᄒᆞᆷ이밝은지라본ᄅᆡ합죵을창시ᄒᆞᆫ쟈ᄂᆞᆫ쇼진이라쇼진이ᄯᅩᄒᆞᆫ그몸을보젼치못ᄒᆞ얏거든ᄒᆞ믈며엇지남에나라를보젼ᄒᆞ리오ᄃᆡ져친형뎨에부모를갓치ᄒᆞᆫᄌᆞ도혹젼ᄌᆡ를인ᄒᆞ야다투고싸홈이ᄉᆔ히지안커ᄂᆞᆯᄒᆞ믈며다른나라사이릿가이졔대왕이오히려쇼진에의론을잡아진나라를셤기々질겨ᄒᆞ지아...
392833
proofread-page
text/x-wiki
<noinclude><pagequality level="1" user="Ming9113" /></noinclude>{{옛한글 시작}}
히셔로계르지못ᄒᆞᆷ이밝은지라본ᄅᆡ합죵을창시ᄒᆞᆫ쟈ᄂᆞᆫ쇼진이라쇼진이ᄯᅩᄒᆞᆫ그몸을보젼치못ᄒᆞ얏거든ᄒᆞ믈며엇지남에나라를보젼ᄒᆞ리오ᄃᆡ져친형뎨에부모를갓치ᄒᆞᆫᄌᆞ도혹젼ᄌᆡ를인ᄒᆞ야다투고싸홈이ᄉᆔ히지안커ᄂᆞᆯᄒᆞ믈며다른나라사이릿가이졔대왕이오히려쇼진에의론을잡아진나라를셤기々질겨ᄒᆞ지아니ᄒᆞ다가만일렬국에진나라를먼져셤기ᄂᆞᆫᄌᆞ가잇셔그군ᄉᆞ를불너가지고위국을치면위국은곳위ᄐᆡᄒᆞᆯ지라대왕의마ᄋᆞᆷ은엇더ᄒᆞ시니잇가ᄋᆡ왕왈과인이샹국의말을좃ᄎᆞ진나라셤김을원ᄒᆞ나진실노두렵건ᄃᆡ진나라에셔밧지아니ᄒᆞᄂᆞᆫᄃᆡ엇지ᄒᆞ리오장의왈신이쳥컨ᄃᆡ대왕을위ᄒᆞ나진실노두렵건ᄃᆡ진나라에셔밧지아니ᄒᆞᄂᆞᆫᄃᆡ엇지ᄒᆞ리오장의왈신이쳥컨ᄃᆡ대왕을위ᄒᆞ야진나라에ᄉᆞ죄를ᄒᆞ고량국이화호ᄒᆞᆷ을ᄆᆡ지리이다ᄋᆡ왕이장의의말을좃차ᄎᆞ와복죵을쥰비ᄒᆞ야장의를보ᄂᆡ여진나라에드러가게ᄒᆞ고화친을구ᄒᆞ니진나라와위나라가이에화친이일우거ᄂᆞᆯ장의이에진나라에머물너상국이되얏더라지셜연나라샹국ᄌᆞ지ᄂᆞᆫ신장이팔쳑이오허리가커셔열아름이오살이비반ᄒᆞ야육즁ᄒᆞ며얼골이널고입이모지며손으로나ᄂᆞᆫᄉᆡ를훙킬만ᄒᆞ며다라나면말을좃칠만ᄒᆞ더라연나라역왕ᄯᆡ에임의국권을잡앗다가연왕쾌가즉위ᄒᆞᄆᆡ쥬ᄉᆡᆨ에침익ᄒᆞ며다만편이질거옴만탐ᄒᆞ야죠회의졍ᄉᆞ듯기를질겨ᄒᆞ지아니ᄒᆞ니ᄌᆞ지이에연나라를찬역ᄒᆞᆯᄯᅳᆺ이잇스며쇼ᄃᆡ쇼려가ᄯᅩᄒᆞᆫᄌᆞ지로더부러셔로졍의가두터ᄆᆞᄆᆡ양졔후의ᄉᆞ신을맛ᄂᆞ면ᄌᆞ지의어진일홈을찬양ᄒᆞ얏더라연왕쾌쇼ᄃᆡ로ᄒᆞ야곰졔나라에가셔볼모ᄒᆞᆫ아달의게문후ᄒᆞ게ᄒᆞ니쇼ᄃᆡ일을맛치고연나라로도라온ᄃᆡ련왕쾌가문왈졔후의ᄉᆞ신을맛ᄂᆞ면드른즉졔나라에ᄂᆞᆫᄆᆡᆼ샹군이잇셔텬하에큰어진사ᄅᆞᆷ이라ᄒᆞ니졔왕이이런어진신하가잇고엇지텬하에
{{옛한글 끝}}<noinclude><references/></noinclude>
2sq33kbued6h6s11nifoinuaae29l1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