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파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조음 방법 |
| 장애음 |
| 파열음 |
| 불파음 |
| 비파음 |
| 마찰음 |
| 파찰음 |
| 치찰음 |
| 접근마찰음 |
| 반찰음 |
| 공명음 |
| 비음 |
| 비찰음 |
| 탄음 |
| 전동음 |
| 유음 |
| 접근음 |
| 홀소리 |
| 반모음 |
| 공명강 |
| 구강음 |
| 비강음 |
| 비모음 |
| 기류의 방향 |
| 설측음 |
| 치측음 |
| 중설음 |
| 기류의 근원 |
| 폐장기류음 |
| 고립기류음 (비 폐장기류음) |
| 흡착음 |
| 방출음 |
| 내파음 |
| 성대의 울림 |
| 유성음 |
| 무성음 |
| 기식 |
| 유기음 |
| 무기음 |
| 근육의 긴장 |
| 긴장음 |
| 이완음 |
| 조음 위치 |
| 틀 편집 |
불파음(不破音)은 닿소리를 조음할 때 폐쇄를 만들어서 공기의 흐름을 막은 채 폐쇄를 개방하지 않는 파열음을 말한다.
파열이 생기는 단계는 폐쇄를 일으킬 때 구강 안에서 생기는 내파(內破, implosive), 폐쇄(閉鎖, occlusive), 폐쇄를 개방할 때 생기는 외파(外破, explosive)로 나눌 수 있다. 보통 들리는 파열음은 외파의 소리이고 폐쇄를 개방하지 않을 때는 내파의 소리만 들린다. 이것이 바로 내파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