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조음 방법 |
| 장애음 |
| 파열음 |
| 불파음 |
| 비파음 |
| 마찰음 |
| 파찰음 |
| 치찰음 |
| 접근마찰음 |
| 반찰음 |
| 공명음 |
| 비음 |
| 비찰음 |
| 탄음 |
| 전동음 |
| 유음 |
| 접근음 |
| 홀소리 |
| 반모음 |
| 공명강 |
| 구강음 |
| 비강음 |
| 비모음 |
| 기류의 방향 |
| 설측음 |
| 치측음 |
| 중설음 |
| 기류의 근원 |
| 폐장기류음 |
| 고립기류음 (비 폐장기류음) |
| 흡착음 |
| 방출음 |
| 내파음 |
| 성대의 울림 |
| 유성음 |
| 무성음 |
| 기식 |
| 유기음 |
| 무기음 |
| 근육의 긴장 |
| 긴장음 |
| 이완음 |
| 조음 위치 |
| 틀 편집 |
전동음(顫動音)은 아래턱의 조음체와 위턱 조음점을 가볍게 몇 번 두들기면서 공기의 흐름을 막는 순간적인 폐쇄와 파열을 되풀이어서 내는 소리이다. 굴림소리, 떨림소리라고도 하며, 혀로 소리나는 것을 설전음(舌顫音)이라 한다.
[편집] 국제 음성 기호
- [ʙ] - 양순 전동음
- [r] - 치조 전동음
- [ʀ] - 구개수 전동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