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연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종 이전의 조선은 독자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명과 청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중국 연호에 보조하여 사용한 것으로 '갑자', '을축' 등의 간지(干支)와 '태조 원년', '정조 15년' 등의 재위(在位) 연도가 있다.
| 연호 | 사용 기간 | 비고 |
|---|---|---|
| 홍무(洪武) | 태조 1년 - 태조 7년 | 명의 연호 |
| 건문(建文) | 정종 1년 - 태종 2년 | - |
| 영락(永樂) | 태종 3년 - 세종 6년 | - |
| 홍희(洪熙) | 세종 7년 | - |
| 선덕(宣德) | 세종 8년 - 세종 17년 | - |
| 정통(正統) | 세종 18년 - 세종 31년 | - |
| 경태(景泰) | 세종 32년 - 세종 2년 | - |
| 천순(天順) | 세조 3년 - 세조 10년 | - |
| 성화(成化) | 세조 11년 - 성종 18년 | - |
| 홍치(弘治) | 성종 19년 - 연산군 11년 | - |
| 정덕(正德) | 연산군 12년 - 중종 16년 | - |
| 가정(嘉靖) | 중종 17년 - 명종 22년 | - |
| 융경(隆慶) | 선조 1년 - 선조 5년 | - |
| 만력(萬歷) | 선조 6년 - 광해군 12년 | - |
| 천계(天啓) | 광해군 13년 - 인조 6년 | - |
| 숭정(崇禎) | 인조 7년 - 인조 15년 | - |
| 숭덕(崇德) | 인조 16년 - 인조 21년 | 청의 연호 (명이 쇠퇴하고 병자호란을 거치며 항복의 조건으로 청의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 그러나 한동안 '숭정' 연호가 계속 쓰임.) |
| 순치(順治) | 인조 22년 - 현종 2년 | - |
| 강희(康熙) | 현종 3년 - 경종 2년 | - |
| 옹정(雍正) | 경종 3년 - 영조 11년 | - |
| 건륭(乾隆) | 영조 12년 - 정조 19년 | - |
| 가경(嘉慶) | 정조 20년 - 순조 20년 | - |
| 도광(道光) | 순조 21년 - 철종 1년 | - |
| 함풍(咸豊) | 철종 2년 - 철종 12년 | - |
| 동치(同治) | 철종 13년 - 고종 11년 | - |
| 광서(光緖) | 고종 12년 - 고종 31년 | - |
| 개국(開國) | 고종 31년 - 고종 32년 | 독자 연호. 개국기년(開國紀年)법이라고 하는, 원년을 조선이 개국된 해인 1392년으로 삼는 기년법(紀年法)이다. |
| 건양(建陽) | 고종 33년 | - |
| 광무(光武) | 고종 34년 - 고종 44년 | - (대한제국의 선포) |
| 융희(隆熙) | 순종 1년 - 순종 4년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