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찰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조음 방법 |
| 장애음 |
| 파열음 |
| 불파음 |
| 비파음 |
| 마찰음 |
| 파찰음 |
| 치측 마찰음 |
| 접근마찰음 |
| 반찰음 |
| 공명음 |
| 비음 |
| 비찰음 |
| 탄음 |
| 전동음 |
| 유음 |
| 접근음 |
| 홀소리 |
| 반모음 |
| 공명강 |
| 구강음 |
| 비강음 |
| 비모음 |
| 기류의 방향 |
| 설측음 |
| 치측음 |
| 중설음 |
| 기류의 근원 |
| 폐장기류음 |
| 고립기류음 (비 폐장기류음) |
| 흡착음 |
| 방출음 |
| 내파음 |
| 성대의 울림 |
| 유성음 |
| 무성음 |
| 기식 |
| 유기음 |
| 무기음 |
| 근육의 긴장 |
| 긴장음 |
| 이완음 |
| 조음 위치 |
| 틀 편집 |
치찰음(齒擦音, sibilant)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공기가 좁은 틈을 이빨 쪽으로 통과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이다. 굳이 풀어서 설명하자면 치측 마찰음이 됀다.
치측음은 치측음 계열에 속하는 닿소리가 오직 마찰음밖에 없어서, 치찰음으로 재분류했다.
- [s̪] - 무성 치 치측마찰음
- [z̪] - 유성 치 치측마찰음
- [s] - 무성 치조 치측마찰음
- [z] - 유성 치조 치측마찰음
- [ʃ] - 무성 치조후 치측마찰음
- [ʒ] - 유성 치조후 치측마찰음
- [ɕ] - 무성 치조구개 치측마찰음
- [ʑ] - 유성 치조구개 치측마찰음
- [ʂ] - 무성 권설 치측마찰음
- [ʐ] - 유성 권설 치측마찰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