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언어학 |
| 음성학 |
| 음운론 |
| 형태론 |
| 통사론 |
| 의미론 |
| 화용론 |
| 비교언어학 |
| 대조언어학 |
| 전산언어학 |
| 인지언어학 |
| 사회언어학 |
| 심리언어학 |
| 언어유형학 |
| 편집 |
음성학은 말소리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음성학은 말소리의 어느 측면을 연구 대상으로 결정하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뉜다.
- 조음 음성학은 말하는 사람이 여러 가지 발음 기관을 움직여 소리내는 과정을 다룬다.
- 음향 음성학은 말소리가 음파로서 공기를 진동시켜 듣는 사람의 귀에 도달하는 과정이나 말소리의 물리적 특징을 다룬다.
- 청취 음성학은 음파가 귀의 고막을 통해 들어와 소리가 들리게 되는 과정을 다룬다.
음성학은 기원전 5세기 경 고대 인도에서 처음 연구하기 시작했다. 산스크리트어 정음학에 관한 논문과 타밀어 문법책인 톨카피얌이 남아 있다. 지금도 인도에서 쓰이는 언어의 문자들 대부분은 전통적인 순서에 따라 닿소리를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으로 구분하고 순서를 매긴다.
| 이 문서는 언어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갑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