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순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조음 위치 |
| 입술소리 |
| 양순음 |
| 순치음 |
| 혀끝소리 |
| 설순음 |
| 치음 |
| 치간음 |
| 치조음 |
| 설첨음 |
| 설단음 |
| 치조후음 |
| 치조구개음 |
| 권설음 |
| 혓바닥소리 |
| 경구개음 |
| 연구개음 |
| 구개수음 |
| 목구멍소리 |
| 인두음 |
| 후두개음 |
| 성문음 |
| 조음 방법 |
| 틀 편집 |
양순음(兩脣音)은 두 입술로 조음하는 닿소리이다. 양순음을 국제 음성 기호(IPA)로 쓰면 다음과 같다.
| IPA | 이름 | 예 | |||
|---|---|---|---|---|---|
| 언어 | 철자 | 발음 | 뜻 | ||
| 양순 비음 | 한국어 | "말"의 ㅁ | [maɭ] | 말 | |
| 무성 양순 파열음 | 한국어 | "바람"의 ㅂ | [paɾam] | 바람 | |
| 유성 양순 파열음 | 한국어 | "수박"의 ㅂ | [ˈsuːbak] | 수박 | |
| β̞ | 유성 양순 접근음 | 에스파냐어 | lobo | [loβ̞o] | 늑대 |
| 무성 양순 마찰음 | 일본어 | 富士山 (fujisan) | [ɸuʝisaɴ] | 후지 산 | |
| 유성 양순 마찰음 | 네덜란드어 | waar | [βaɾ] | 진정한 | |
| 양순 전동음 | |||||
| 양순 흡착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