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착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조음 방법 |
| 장애음 |
| 파열음 |
| 불파음 |
| 비파음 |
| 마찰음 |
| 파찰음 |
| 치측 마찰음 |
| 접근마찰음 |
| 반찰음 |
| 공명음 |
| 비음 |
| 비찰음 |
| 탄음 |
| 전동음 |
| 유음 |
| 접근음 |
| 홀소리 |
| 반모음 |
| 공명강 |
| 구강음 |
| 비강음 |
| 비모음 |
| 기류의 방향 |
| 설측음 |
| 치측음 |
| 중설음 |
| 기류의 근원 |
| 폐장기류음 |
| 고립기류음 (비 폐장기류음) |
| 흡착음 |
| 방출음 |
| 내파음 |
| 성대의 울림 |
| 유성음 |
| 무성음 |
| 기식 |
| 유기음 |
| 무기음 |
| 근육의 긴장 |
| 긴장음 |
| 이완음 |
| 조음 위치 |
| 틀 편집 |
흡착음(吸着音, 영어: Click)은 폐에서 나온 호기를 쓰지 않고 조음하는 닿소리의 하나로 설타음(舌打音)이라고도 한다.
연구개와 뒷혀에서 폐쇄를 만들고 동시에 연구개보다 앞 부분에 있는 조음 기관에서 폐쇄를 만들어서 닫은 공간에 공기를 가둔다. 폐쇄를 지속한 채 혀 중앙을 아래쪽에 움직이면 공건의 기압이 낮아져서 폐쇄가 개방되고 기압이 높은 밖에서 기압이 낮은 구강 안으로 공기가 들어온다. 이 공기의 흐름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가 흡착음이다. 뽀뽀할 때나 혀를 찰 때 나는 소리도 여기에 속한다.
아프리카의 언어에 볼 수 있다.
[편집] 국제 음성 기호
- ʘ - 양순 흡착음
- ǀ - 치 흡착음
- ǃ - 치조(후) 흡착음
- ǂ - 경구개치조 흡착음
- ǁ - 치조 설측흡착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