혓바닥소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조음 위치 |
| 입술소리 |
| 양순음 |
| 순치음 |
| 혀끝소리 |
| 설순음 |
| 치음 |
| 치간음 |
| 치조음 |
| 설첨음 |
| 설단음 |
| 치조후음 |
| 치조구개음 |
| 권설음 |
| 혓바닥소리 |
| 경구개음 |
| 연구개음 |
| 구개수음 |
| 목구멍소리 |
| 인두음 |
| 후두개음 |
| 성문음 |
| 조음 방법 |
| 틀 편집 |
혓바닥소리 또는 설배음(舌背音), 설면음(舌面音), 구개음(口蓋音), 입천장소리는 혓바닥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이다.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이 이에 속한다.
음성학에서 혓바닥은 경구개(센입천장)에 대하는 앞혓바닥(전설면, 前舌面)과 연구개(여린입천장)에 대하는 뒷혓바닥(후설면, 後舌面)으로 나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