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찰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조음 방법 |
| 장애음 |
| 파열음 |
| 불파음 |
| 비파음 |
| 마찰음 |
| 파찰음 |
| 치측 마찰음 |
| 접근마찰음 |
| 반찰음 |
| 공명음 |
| 비음 |
| 비찰음 |
| 탄음 |
| 전동음 |
| 유음 |
| 접근음 |
| 홀소리 |
| 반모음 |
| 공명강 |
| 구강음 |
| 비강음 |
| 비모음 |
| 기류의 방향 |
| 설측음 |
| 치측음 |
| 중설음 |
| 기류의 근원 |
| 폐장기류음 |
| 고립기류음 (비 폐장기류음) |
| 흡착음 |
| 방출음 |
| 내파음 |
| 성대의 울림 |
| 유성음 |
| 무성음 |
| 기식 |
| 유기음 |
| 무기음 |
| 근육의 긴장 |
| 긴장음 |
| 이완음 |
| 조음 위치 |
| 틀 편집 |
마찰음(摩擦音, Fricativ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공기가 좁은 틈을 통과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이다. 갈이소리라고도 한다. 통과하는 공기가 이빨 쪽으로 빠져나갈때를 치측 마찰음이라 한다.
목차 |
[편집] 국제 음성 기호
- [ɸ] - 무성 양순 마찰음
- [β] - 유성 양순 마찰음
- [f] - 무성 순치 마찰음
- [v] - 유성 순치 마찰음
- [θ] - 무성 치 마찰음
- [ð] - 유성 치 마찰음
- [ç] - 무성 경구개 마찰음
- [ʝ] - 유성 경구개 마찰음
- [x] - 무성 연구개 마찰음
- [ɣ] - 유성 연구개 마찰음
- [χ] - 무성 구개수 마찰음
- [ħ] - 무성 인두 마찰음
- [ʜ] - 무성 후두개 마찰음
[편집] 설측음
- [ɬ] - 무성 치조 설측마찰음
- [ɮ] - 유성 치조 설측마찰음
- [ɬ̢] 무성 권설 설측마찰음
- [ʎ̥] 무성 경구개 설측마찰음 (다른 기호: [ʎ̝̊])
- [ʟ̝̊] 무성 경구개 설측마찰음
[편집] 치측음
- [s̪] - 무성 치 치측마찰음
- [z̪] - 유성 치 치측마찰음
- [s] - 무성 치조 치측마찰음
- [z] - 유성 치조 치측마찰음
- [ʃ] - 무성 치조후 치측마찰음
- [ʒ] - 유성 치조후 치측마찰음
- [ɕ] - 무성 치조구개 치측마찰음
- [ʑ] - 유성 치조구개 치측마찰음
- [ʂ] - 무성 권설 치측마찰음
- [ʐ] - 유성 권설 치측마찰음
[편집] 방출음
- [s'] - 치조 방출치측마찰음
[편집] 방출음
- [k'] - 연구개 방출마찰음
[편집] 마찰음과 접근음의 특징을 동시에 가지는 마찰음
- [ʁ] 유성 구개수 마찰음
- [ʕ] 유성 인두 마찰음
- [ʢ] 유성 후두개 마찰음
[편집] 반찰음
- [h] 무성 성문 반찰음
- [ɦ] 유성 성문 반찰음
[편집] 이중 조음
- [ʍ] - 무성 양순 연구개 마찰음
- [ɧ] - 무성 치조후 연구개 마찰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