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근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조음 방법 |
| 장애음 |
| 파열음 |
| 불파음 |
| 비파음 |
| 마찰음 |
| 파찰음 |
| 치측 마찰음 |
| 접근마찰음 |
| 반찰음 |
| 공명음 |
| 비음 |
| 비찰음 |
| 탄음 |
| 전동음 |
| 유음 |
| 접근음 |
| 홀소리 |
| 반모음 |
| 공명강 |
| 구강음 |
| 비강음 |
| 비모음 |
| 기류의 방향 |
| 설측음 |
| 치측음 |
| 중설음 |
| 기류의 근원 |
| 폐장기류음 |
| 고립기류음 (비 폐장기류음) |
| 흡착음 |
| 방출음 |
| 내파음 |
| 성대의 울림 |
| 유성음 |
| 무성음 |
| 기식 |
| 유기음 |
| 무기음 |
| 근육의 긴장 |
| 긴장음 |
| 이완음 |
| 조음 위치 |
| 틀 편집 |
접근음(接近音, Approximant)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아랫턱의 조음 기관을 위턱의 조음 기관에 접촉하여 공기가 약간 좁은 틈을 통과되면서 나는 소리. 마찰음처럼 마찰은 발생하지 않는다. 틈을 혀 중앙에 만드는 (중앙)접근음(반모음을포함) 과 혀 양 옆에 만드는 설측음(설측접근음 lateral approximant)이 있다.
[편집] 국제 음성 기호
[편집] 접근음
이중조음
- [w] - 양순 연구개 접근음
- [ɥ] - 양순 경구개 접근음
[편집] 설측접근음
- [l] - 치조 설측음
- [ɭ] - 권설 설측음
- [ʎ] - 경구개 설측음
- [ʟ] - 연구개 설측음
- [ɫ] - 연구개화 치조 설측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