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롱의 법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쿨롱의 법칙(Coulomb's law)은 전하 둘 사이에 작용하는 전기력(F)은 두 전하량(q)의 곱에 비례하고, 그들 사이의 거리(r)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법칙이다. 샤를 드 쿨롱이 발견했다.

 F = k_C \frac{|q_1| |q_2|}{r^2}

여기서,

 F \ 는 가해지는 힘의 크기이다.
q_1 \ 는 한 물체 상의 전하량이다.
q_2 \ 는 다른 물체 상의 전하량이다.
r \ 는 두 전하 사이의 거리이다.
k_C = \frac{1}{4 \pi \varepsilon_0} \approx 8.988×109 N m2 C−2 (또는 m F−1)는 정전기 상수 또는 쿨롱 힘 상수(Coulomb's Force Constant)이다.
 \varepsilon_0 \approx 8.854×10−12 C2 N−1 m−2 (또는 F m−1)는 중요한 물리 상수진공상태의 유전율이다.

상기 식에 k_C \ 를 대입하면,

 F = { 1 \over { 4 \pi \varepsilon_0 } } { { | q_1 q_2 | } \over r^2 }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