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주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실 존 로드의 케이프-카이로 철도 계획을 풍자한 그림. 그는 브리티쉬 남 아프리카 회사의 사장이자 아프리카에서 최초로 다이아몬드 체굴 사업을 한 사람이었다. 그는 케이프 타운에서 카이로 까지 철도를 놓아 아프리카 지도를 영국의 붉은 색으로 칠하기를 주창하였다
세실 존 로드의 케이프-카이로 철도 계획을 풍자한 그림. 그는 브리티쉬 남 아프리카 회사의 사장이자 아프리카에서 최초로 다이아몬드 체굴 사업을 한 사람이었다. 그는 케이프 타운에서 카이로 까지 철도를 놓아 아프리카 지도를 영국의 붉은 색으로 칠하기를 주창하였다

제국주의(帝國主義)는 한 나라의 정치·경제적인 지배권과 헤게모니를 다른 나라, 지역, 식민지 등으로 확대시키려는 정책, 또는 그러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상을 가리킨다.

목차

[편집] 의미

다른 나라나 지역, 식민지에 대해 직접적인 영토 침략이나 식민지화하는 것 뿐만아니라 간접적인 정치·경제의 조정 및 영향력 행사에 대해서도 제국주의라고 할 수 있다. 제국주의의 지배는 기본적으로 다른 나라에 대한 정치·경제에 대한 통치를 의미하나 제국내의 국외 영토 및 속령, 식민지 등에 대한 지배를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제국주의는 한 나라가 특정한 이익을 얻기 위해 다른 나라나 지역에 대해 군사적인 수단으로 개입하여 조정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제국주의는 결국 한 나라가 다른 지역에 대해 자배권을 행사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이유로 팽창주의라 불리기도 한다. 제국주의 국가들은 종종 서로의 정치·경제적인 이해나 종교 및 사상에 의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기도 한다.

[편집] 어원

제국주의(영어: Imperialism)는 제국을 가리키는 임페라토르(Imperator)에서 왔으며 이는 원래 로마의 황제를 뜻하는 말이었다. 유럽의 역사상 많은 국가나 왕이 로마 제국을 모델로 스스로 제국임을 선포한 것에서 그들이 취하였던 팽창주의 정책 및 사상을 제국주의라 부르게 되었다. 제국주의는 사회주의공산주의등에서 비판적인 용어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제국주의라는 낱말 자체는 그 이전부터 흔히 쓰였던 말이다.

[편집] 원인

유럽의 초기 식민지는 희귀한 자원과 노예의 확보를 위한 것이었다.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상아와 노예, 인도후추등이 대표적인 목표물이었다. 이후 산업혁명은 대량생산을 위해 보다 많은 자원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였고 동시에 생산된 제품을 판매할 판매처가 필요했다. 당시의 대표적인 식민무역은 영국의 경우 인도의 값싼 노동력과 면화로 면직물을 만들고 이 것을 다시 인도에서 아편과 바꾼 후 중국에서 은과 교환하는 것이었다. 이는 나중에 아편 전쟁이 일어나는 원인이 되었다. 자본주의가 발전하면서 식민지에너지및 자원의 확보와 자본 투자처로서 더욱 유용해 졌다. 이를 위해 제국주의 국가는 식민지에 척식회사를 설립하였는데 영국의 동인도회사나 일본의 동양척식주식회사가 그것이다

[편집] 역사

넓게는 대항해 시대이후 유럽의 각 나라들이 아메리카아프리카아시아에 대해 크고 작은 식민지를 만들고 자원과 노동력을 약탈하던 때 부터 제국주의의 시작이라 간주하나, 좁은 의미의 본격적인 제국주의는 산업혁명이후 유럽의 여러 나라들이 앞다투어 식민지 쟁탈전에 뛰어든 18세기 무렵부터 나타났다.

제국주의의 전성기였던 제1차 세계대전 직전의 시기에 이르러 세계는 이른바 열강이라 불리던 제국주의 국가와 식민지로 양분될 지경에 이르렀으며 에티오피아타이 등 몇몇 국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열강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식민지들은 대부분 격렬하게 제국주의에 저항하였으며 결국 제2차 세계대전이후 1960년대에 이르러서는 대부분 독립을 회복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식민지에 대한 옛 제국주의 국가의 정치 경제적 영향은 지속되었으며 이러한 간접적인 방식의 제국주의를 기존의 제국주의와 구분하기위해 신 제국주의라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