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6000호대 전동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철도공사 6000호대 전동차
양 수 5M5T 10량
전기 방식 교류 25,000V 60Hz
제어 방식 VVVF-IGBT 2레벨 1C4M제어
기관 형식 {{{기관형식}}}
기어비 {{{기어비}}}
차륜 배열 {{{차륜배열}}}
동륜 배열 {{{동륜배열}}}
기동가속도 3.0 Km/h/s
영업최고속도 {{{영업최고속도}}} Km/h
설계최고속도 110 Km/h
감속도 3.5(상용), 4.5(비상) Km/h/s
전동기 출력 220 kW
편성 출력 4400 kW
출력 {{{출력}}} hp
견인력 {{{견인력}}}
주 용도 광역전철용 통근형전동차
차량 정원 {{{차량정원}}}명
편성 정원 {{{편성정원}}}명
전장 {{{전장}}} mm
전폭 {{{전폭}}} mm
전고 {{{전고}}} mm
차량 중량 {{{차량중량}}} t
편성 중량 {{{편성중량}}} t
대차간 거리 {{{대차간거리}}} mm
축중 {{{축중}}} t
궤간 1,435mm
구동 장치 유도전동기
제동 방식 회생제동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MT비 {{{MT비}}}
보안 장치 {{{보안장치}}}
제작사 로템
제작 연도 최초 2006년
비고

한국철도공사 6000호대 전동차는 2005년 수도권 전철 중앙선 연장개통으로 인해 1호선에서 분리되면서 차량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교류전용으로 도입한 한국철도공사의 통근용 전동차이다.

목차

[편집] 기술적 사양

6000호대 전동차의 기술적 사양은 2005년부터 도입된 5000호대 전동차의 3세대형에 기초한다. 직류장비 및 직류절환장치만 제거된 형태이기 때문에 차이는 없다.

[편집] 배속

6001~6007 : 이문차량사업소

[편집] 향후 동향

2007년 6월 철도공사에서는 경원-중앙선 8량편성화 및 1인승무화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에따라 기존 10량(5M5T)편성이 4M4T편성으로 조정되어 중간 T1-M'차량은 Tc-M으로 개조되며 1인승무를 위해 운전실 구조가 상당부분 바뀔 예정이다. 또한 차후 경의선과의 직통운행을 예정하여 추가적인 증비도 예상되고 있다.

[편집] 함께 보기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