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학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충남대학교 | |
| {{{그림}}} | |
| 표어 | 창의·개발·봉사 |
| 설립 | 1952년 |
| 종류 | 국립 |
| 총장 | 양현수 |
| 학장 | {{{학장}}} |
| 국가 | 대한민국 |
|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전광역시 중구 |
| 캠퍼스 | {{{캠퍼스}}} |
| 학생 수 | 학부: 26,794 (2006) 대학원: 5,139 (2006) |
| 학생 수 | {{{학생수}}} |
| 교수진 | 854 (2006) |
| 상징 | 백마, 은행나무, 철쭉 |
| 기타 설명 | {{{기타}}} |
| 웹사이트 | http://www.cnu.ac.kr/ |
충남대학교(忠南大學校)는 대한민국 중부권 최대의 국립 종합대학이다.
목차 |
[편집] 연혁
- 1952년 5월 25일 당시 우리 나라 유일의 도립 종합대학으로 충남대학교는 설립 인가되었다. 처음 캠퍼스가 세워진 곳은 문화동의 보운캠퍼스였으며 문리과대학, 농과대학, 공과대학이 개설되었다.
- 1957년 대학원을 설립하였다.
- 1962년 대학정비령으로 충북대학교와 일시 통합하며 국립 충청대학교로 새로 발족하였으나, 이듬해에 다시 분리하면서 국립 대학교가 되었다.
- 1979년에서 1985년 사이에 의과 대학을 제외한 대부분의 캠퍼스가 현재의 대덕캠퍼스로 이전하였다.
[편집] 위치
- 충남대학교의 대학본부는 대전광역시의 북부인 유성구에 위치하고 있다. 이 지역은 과학기술부 선정의 대덕 R&D 특구(구 대덕연구단지)와 대덕 테크노 밸리 내로 각종 국책·사기업 연구소들이 자리잡고 있으며, 정부대전청사, 3군 본부 등과 인접해 있다. 뿐만 아니라 조만간 조성될 행정중심 복합도시와는 20분 이내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와는 2시간 이내의 거리이며, 부산광역시와는 2시간 30분 이내의 거리이다.
[편집] 상징물
- 충대 석탑: 충대 석탑은 중앙 도서관 바로 앞에 존재하는 상징물로 백제 시대의 정림사지 5층 석탑(국보 9호)을 본따 건립되었다고 한다. 정림사지 5층 석탑은 80년대 전후 충남대학교 박물관 발굴팀에 의해 4차례에 걸쳐 전면적인 발굴, 조사되었다고 한다.
- 교화 철쭉
- 교목 은행나무
- 백마상: 충남대학교에서 가장 중요한 상징물 중 하나. 백마는 고결하고 충의로운 품성을 지닌 동물로 알려져 왔다. 더불어 백마는 창의, 개발, 봉사 3정신의 이념적인 표상으로서 지성, 야망, 그리고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미래 충대인 정신의 비젼을 상징한다. 암수 두마리로 된 백마상은 본교가 남녀공학이므로 남학생과 여학생의 조화로운 캠퍼스 생활과 번영을 위한 동반자의 입장을 나타낸 것이다. 말이 딛고 있는 지반에 나초를 심은 것은 개교 기념의 달인 5월의 상징으로 풀이 되고 또한 먹이의 풍부함, 즉 본교의 모든 것이 충족해짐을 뜻한다. 좌우의 인상 중 우측상은 수레바퀴를 굴림으로써 단결과 협동을 상징하고 바퀴살을 11개로 만든 것은 건립 당시 7개 단과대학과 4개 대학을 상징한 것이다. 2후생관(학생회관)과 경상대학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 금자탑: 충남대학교 개교 50주년 기념 조형물. 타오르는 불꽃의 형상과 영원히 피어나는 생명의 꽃을 통해 자연과 인간이 서로 조화를 꾀하는 동시에 동양세계관의 역동적 이미지를 구현하고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백제 왕관의 화염문을 조형화하였으며 기하학적인 구조와 현대조각이 갖는 미를 대칭적으로 표출하여 밝음과 따스함을 추구하는 새로운 인간상을 그리고 있다. 이 조형물은 본교 구성원들의 자긍심과 일체감 형성을 더욱 강조하고, 충남대학교가 세계적인 대학으로 성장하길 표상하고 있다. 스텐레스 스틸로 제작되어 아름다움과 화려함을 극대화하였으며 정심화건물 앞에 설치되어 있다. 충남대학교 김석우 교수 작.
- 교시탑: 높이 20.2미터, 3면 탑신구조로 설치된 교시탑은 3교시인 창의, 개발, 봉사를 상징한다. 교시탑 아래에는 소광장이 있어 가끔 행사가 있기도 하다. 매시간 차임벨 기능이 있지만, 수업 방해 등의 이유로 최근엔 작동하지 않는 걸로 안다.
[편집] 건축물
- 동물병원 N13-2
- 박물관 N8
- 백마교양교육관 W10
- 백마회관(가칭) W8-1
- 도서관 N1
- 언어교육원 E1-1
- 정보통신원 N2
- 정심화국제문화회관 E1-2
[편집] 교류
- 충남대학교는 16개국에서 온 총 606명의 외국 학생이 재학 중으로 학부 208명, 석사 252명, 그리고 박사 146명이다. 대부분 인문대학, 경상대학, 공과대학에 재학 중이다. (2007년.03.02 기준)
- 자매 대학을 맺은 외국 대학교는 109개이다. 이 대학들을 중점으로 학점인정제, 교환학생제, 복수학위제, 방문학생프로그램, 외국어연수 등 여러 장학금 제도들이 운영되고 있다. (2007년 기준)
- 특히, 미국의 뉴욕 주립대학, 블룸필드대학, 일리노이공과대학, 중국의 산동대학과 2+2 복수학위제를 운영하고 있다. 충남대학교에서 2년을 수학 한 뒤 2년은 외국의 해당 대학에서 공부를 하게 되며, 2개의 학위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편집] 자매 대학
- 미국
SUNY 버펄로 법과대학, 노스파크대학,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주립대학, 메릴랜드대학(간호대학), 미시간주립대학, 버지니아폴리테크주립대학, 블룸필드대학, 사우스다코타주립대학,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학, 오클랜드대학, 오하이오주립대학, 워싱턴주립대학 사회교육원, 일리노이공과대학, 휴스턴대학
- 호주, 캐나다
그리피스대학(호), 플린더스대학(호), 브리티시 콜럼비아 공과대학(캐), 앨버타대학(캐)
- 일본
나고야대학 경상대학, 도야마대학, 도호쿠대학, 돗도리대학, 동경학예대학, 메이카이대학, 무로란공업대학, 미야기가쿠인여자대학, 야마구치대학, 에히메대학, 오따루상과대학, 오비히로축산대학, 오사카대학, 일본과학연구소(JAIST), 쯔쿠바대학, 큐슈대학, 큐슈산업대학, 홋카이도대학, 히로시마대학
- 중국
국립대만사범대학(대만), 국립연합대학(대만), 국립체육학원(대만), 국방과학기술대학교, 길림대학, 남개대학, 남경대학, 남경사범대학, 대련대학, 대련이공대학, 동북대학, 동북재경대학, 복단대학, 북경대학, 북경화공대학, 북화대학, 산동대학, 석하자대학, 섬서사범대학, 심양농업대학, 심양약학대학, 심양화공대학, 연변대학, 절강임업대학, 중국국가한어추광영도소조 (漢辦), 중국지질대학, 중앙민족대학, 천진대학, 하북대학
- 유럽
그라쯔공과대학(오), 그라쯔국립대학(오), 극동국립인문대학(러), 노보시비르스크대학(러), 도르트문트대학(독), 마틴루터 대학(독), 모스크바대학(러), 뮌헨 IP Law Center(독), 뮌헨응용과학대학(독), 바르샤바공과대학(폴), 수리수학 및 수리지구물리 연구소(러), 앙제대학(프), 영국 써레이대학(영), 이르쿠츠크 공과대학(러), 이바노보화공대학(러), 코시체수의과대학(슬로바키아), 코시체연합대학(슬로바키아), 투르프랑수아라블레대학(프), 파리고등 사범음악원 에꼴 노르말(프), 헬싱키 Art & Design 대학(핀)
- 아시아/기타
가자마다대학(인도네시아), 국립필리핀대학(딜리만), 네루대학(인도), 마라 기술대학(말레이시아), 몽골국립대학, 방글라데시농업대학, 베트남국립대학, 부라파대학(태국), 브라질 UFMG, 산토토마스(필리핀), 양곤대학(미얀마), 우즈베키스탄국립대학, 인도 델리대학, 카세사르트대학(태국), 코스타리카국립대학, 킨샤사 대학(콩고), 페트로폴리스 카톨릭대학(브라질), 푸트라 말레이시아 대학, 프놈펜 국립대학(캄보디아), 하노이대학(베트남)
[편집] 기타 중요 교류
- 2003년.04.16 공군본부: 학군교류 협정체결
- 2003년.07.14 ICU(한국정보통신대학교): 학술연구교류
- 2005년.11.14 국방과학연구소: 학연 교류 협력, 인력 교환, 학술 및 기술정보 교류, 시설 공동 활용
- 2006년.07.14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KOBIC): 학술,연구 및 서비스 교류 협정서
- 2006년.10.26 국방대학교: 직원 및 학생 상호 교류, 자료 및 정보 교환
- 2006년.11.17 철도공단: 산학 협정 및 산학교류 체결
- 2007년.02.20 해군: 학ㆍ군 교류 협정 체결
- 2007년.04.25 한국화학연구원-충남대학교 병원: 학술, 연구 교류
[편집] 개설학과
[편집] 학부(대학)
- 전기정보통신공학부
- 건축학부
- 건축학과(5년제) 건축공학과
- 토목·환경공학부
- 기계·기계설계·메카트로닉공학부
- 항공우주·선박해양공학부
- 바이오응용화학부
- 공업교육학부
- 식물자원학부
- 환경임산자원학부
- 동물자원과학부
- 응용생물화학식품학부
- 생물자원공학부
- 농업경제학과
- 법학부
- 약학부
의과대학
- 음악과 관현악과 회화과 조소과 산업미술학과
- 수의학과
학부
[편집] 일반대학원
[편집] 특수대학원
[편집] 바깥 고리
| 이 문서는 대학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대학교 토막글 | 1952년 설립 | 대한민국의 국립대학교 | 대전광역시의 대학교 | 대전 유성구 | 대전 중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