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화차(貨車)는 철도에서 화물을 수송하기 위해 이용되는 철도 차량을 가리킨다. 다만, 여객에 부수되어 사용되는 수화물 등은 화차의 범주에서 빠지며, 또한 화물을 적재하지 않으나, 화물에 관련된 차량은 화차에 포함한다. 화차는 전통적으로 자체적인 동력이 없는 것만으로 한정하기도 한다.
[편집] 종류
[편집] 한국철도에서의 분류
2005년의 한국철도공사 통계자료를 기준으로 한 화차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의 숫자는 총 대수, 철도공사 소유차 대수, 사유차 대수이다.
- 유개차 (1,686/1,592/94)
- 소화물차 (165/165/-)
- 유조차 (4,973/1,264/3,709)
- 무개차 (4,010/3,663/347)
- 평판차 (2,914/1,940/974)
- 차장차 (69/69/-)
|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