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생물 분류 읽는 법
생물 분류 읽는 법
호랑이
수마트라 호랑이
수마트라 호랑이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색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고양이과
속: 표범속
종: 호랑이
학명
Panthera tigris
Linnaeus, 1758

호랑이(虎狼이) 또는 은 고양잇과의 동물이다. 크기는 아종에 따라 다른데, 발리호랑이는 대개 100 킬로그램 미만이며, 시베리아호랑이는 숫컷의 경우 300 킬로그램이 이르기도 한다. 대개 황갈색 몸에 검은색 줄무늬가 나 있으며, 배는 흰색이다. 드물게 흰색을 띈 흰호랑이가 있는데, 이는 백색증과 무관한 열성유전자가 발현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를 비롯한 신체의 거의 전 부위가 한의학의 약재로 쓰이고 있으며, 모피와 생식기를 얻으려는 인간에 의해 심각한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 한국에서는 민화속에도 등장할 정도로 많았지만, 일제의 남획으로 멸종되다시피 했다. 호랑이의 먹이는 사슴등의 큰 초식동물로써 생태계의 최우선에 있다. 인도에서는 호랑이로 인한 살상사고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아직 정확한 이유를 확인하지는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사냥꾼들이 호랑이 가죽을 얻으려고 사냥해서 현재는 멸종되었다.

[편집] 분류

시베리아 호랑이
시베리아 호랑이

호랑이는 9개의 아종으로 나뉘며, 그 중 세 아종은 이미 멸종했다.

  • 벵골호랑이(Panthera tigris tigris)
  • 시베리아호랑이/아무르호랑이(Panthera tigris altaica)
  • 인도차이나호랑이(Panthera tigris corbetti)
  • 말레이호랑이(Panthera tigris jacksoni)
  • 수마트라호랑이(Panthera tigris sumatrae)
  • 아모이호랑이/남중국호랑이(Panthera tigris amoyensis)

멸종

  • 발리호랑이 (Panthera tigris balica)
  • 자바호랑이 (Panthera tigris sondaica)
  • 카스피호랑이 (Panthera tigris virgata)

[편집] 한국문화와 호랑이

호랑이는 위험한 맹수로 무서움의 상징이나, 인간의 말을 알아듣는 영물, 의리를 아는 친숙한 존재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 호랑이는 십이지 중 세 번째 동물이다.
  • 단군 신화나 ‘호랑이와 곶감’과 같이 한국의 옛 이야기 속에 자주 등장하며, 조선시대 민화와 같은 회화 속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 호랑이는 산신령과 함께 등장하기도 한다.
  • 사방신(四方神) 중 서쪽 방위를 담당하고 있는 것은 백호(白虎)로 불리운다.
  • 후백제의 군주로 맹장이었던 견훤이 어릴적 호랑이 젖을 먹고 자랐다는 설화가 《삼국사기》에도 전한다[1].

[편집] 주석

  1. 《삼국사기》권50 열전 10 견훤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