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일렉트로닉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워일렉트로닉스(Power Electronics; 전력용 전자공학)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전력 변환, 전력 개폐에 관한 기술을 취급하는 공학이다. 넓은 의미로는, 전력 변환과 제어를 중심으로 한 응용 시스템 전반의 기술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1957년 , 미국의 GE사에 의해 개발된 사이리스터의 등장 이후, 지금까지의 회전기나 자기, 액체, 기체등을 이용한 것과 달리, 반도체 소자에 의한 전력 변환, 전력 개폐 기술이 발전했다. 1969년 , GE의 H.F.스톰이 IEEE(미국의 전기 전자 학회)의 잡지 '스펙트럼'의 기사에서 고체 전력용 전자공학(solid-state power electronics)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 파워일렉트로닉스라는 말의 기원이 되었다.
대표적인 예로서 정류기, 인버터 등의 반도체 전력 변환 장치를 들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는 발전이나 송전 등의 전력 분야, 회전기, 팬, 펌프, 블로어 등을 이용하는 산업분야, 통신 시스템이나 공장등의 전원 장치, 전동차의 구동·변전 등의 전기 철도 분야, 자동차, 가정용 전자제품 등 매우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 이 문서는 기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