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충북선(忠北線)은 충청남도 연기군조치원역과, 충청북도 제천시봉양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중앙선경부선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목차

[편집]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115.0km
  • 운영 기관: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좌측통행
  • 역 수: 19
  • 복선 구간: 110.6km (오송~봉양)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25kV AC
  • 보안 장치: ATS

[편집] 역 목록

역명 영어 역명 한자 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조치원 Jochiwon 鳥致院 0.0 0.0 경부선 충청남도 연기군
오송 Osong 五松 4.4 4.4 오송선 충청북도 청원군
청주 Cheongju 淸州 7.0 11.4 청주시
오근장 Ogeunjang 梧根場 10.1 21.5
청주공항 Cheongju Int'l Airport 淸州空港 2.9 24.4
내수 Naesu 內秀 4.4 28.8 청원군
증평 Jeungpyeong 曾坪 7.8 36.6 증평군
도안 Doan 道安 6.2 42.8
보천 Bocheon 甫川 8.7 51.5 음성군
음성 Eumseong 陰城 8.1 59.6
소이 Soi 蘇伊 4.5 64.1
주덕 Judeok 周德 7.8 71.9 충주시
달천 Dalcheon 達川 7.0 78.9
충주 Chungju 忠州 3.8 82.7
목행 Mokhaeng 牧杏 5.4 88.1
동량 Dongnyang 東良 4.6 92.7
삼탄 Samtan 三灘 7.9 100.6
공전 Gongjeon 公田 5.8 106.4 제천시
봉양 Bongyang 鳳陽 8.6 115.0 중앙선

[편집] 노선 특성

이 노선은 화물의 수송기능이 중시되는 노선으로서, 복선화 및 전철화도 여객 수송 목적이 아닌 주로 화물 수송을 목적으로 이루어진 노선이다. 따라서, 여객열차 운행은 정기 운행하는 무궁화호 뿐이며, 다른 등급의 열차는 거의 운행하지 않는다.

이 노선의 연선은 전체적으로 완만한 구릉지가 많으나, 중앙선 방향으로는 산악구간이 많은 편이다. 청주시 구간은 전반적으로 평야지대이나, 대개 농지여서, 여객 수요가 충분하지는 못하다.

2005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충북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선구 선로용량 일반여객 전동차 화물열차 운행총계
조치원~봉양 59 9 - 32 41

[편집] 차량

[편집] 역사

[편집] 개요

충북선은 일제강점기 당시에 사설철도회사인 조선중앙철도주식회사에 의해서 조치원~청주간이 1921년에 개업한 것이 시초이다. 일제 당시 충주까지 연장되어 운행하였다. 해방 이후, 국가에 의해 국유화되었고, 이후 중앙선과 연결되면서 강원도 지역 화물의 경유 루트로서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런 화물열차 중심의 운행으로 인해, 청주 등 도시지역에서는 이설을 강력히 요구하게 되어, 청주시 시내구간은 수 차례 이설되기도 하였다.

충북선은 1970년대에 이르러서는 화물 통행량이 선로용량을 초과하는 상황이 되어 복선화가 결정되었으며, 이로 인해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용산~성북), 호남선에 이은 다섯 번 째 복선노선이 되었다. 이후, 경부선 전철화에 따른 운행 효율화 등을 위하여 1997년에 전철화 공사가 실시, 2005년부터 전기 기관차가 운행하고 있다.

[편집] 연혁


[편집] 미래

충북선에 대한 개량 계획은 현재 전무한 상황이다.


[편집] 관련 항목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