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백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함백선(咸白線)은 강원도 정선군의 예미역과 조동역을 연결하는 한국철도공사철도 노선으로, 태백선의 지선이다.

목차

[편집]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9.6km
  • 운영 기관: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
  • 역 수: 3
  • 복선 구간: 없음(태백선의 복선 기능 수행)
  • 전철화 구간: 전 구간(교류 25,000V)
  • 보안 장치: ATS

[편집] 역 목록

역명 영어 역명 한자 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 소재지
예미 Yemi 禮美 0.0 0.0 태백선 강원도 정선군
함백 Hambaek 咸白 5.2 5.2
조동(신) Jodong 鳥洞 4.4 9.6 태백선


[편집] 노선 특징

이 구간의 열차 운행은 철저하게 태백선의 용량 확충과 중량 화물열차의 안전을 위한 우회운행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용량 확충 차원에서 임시열차 등은 함백선에 진입, 태백선 본선 측의 열차를 대피하거나 교행시키는 일이 잦으며, 한편, 화물열차의 경우 태백선 본선측이 30퍼밀의 급경사를 이루고 있어 경사가 보다 완만한 함백선을 경유하여 운전하는 예가 잦다. 다만 이 구간은 태백선과 상하행 방향을 분담하는 식의 복선화가 아닌, 쌍단선식의 복선화 구간으로 역할하고 있어, 열차의 운행은 상하행 모두 이루어진다.

정기여객열차운행은 비둘기호,통일호, 무궁화호 일부 열차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현재는 전역 정차를 하는 무궁화호 만이 정차하고 있다.

2005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함백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선구 선로용량 일반여객 전동차 화물열차 운행총계
예미~함백 18 1 - 8 9

[편집] 차량

이 구간의 차량은 태백선의 차량에 준한다.

과거의 운행하던 차량으로는 다음과 같다.

  • 전동차


[편집] 역사

[편집] 개요

최초에는 영월선의 연장 노선인 함백선으로 처음에 건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후 정선선(이후의 태백선)이 건설되면서 예미~함백간의 노선은 정선선의 지선 형태로 변경되었으나, 1974년에 용량 확충 등의 필요에 의해서 함백~조동간의 루프 터널 및 연결선 공사가 개시되어 1977년에 현재와 같은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편집] 연혁


[편집] 미래

함백선에 대해서 향후 별다른 개량 계획은 존재하지 않는다. 노선 폐지의 가능성은 없으나, 과거 독립 지선의 역할에서 태백선의 병행단선으로의 역할 변동이 예측된다.

2006년 10월 31일에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는 구 함백역 역사를 철거하였으나, 이에 대해 해당 지역 주민의 항의가 격렬하였다. 정선군은 이에 부응하여 역사를 복원하고 관광스폿화 하려는 계획을 수립중에 있다.


[편집] 관련 항목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