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이병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편집] 이병도는 과연 친일사학자일까요?

다음은 '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실린 '이병도' 항목 중 일부입니다만.

1934년 한국의 언어·문학·역사·민속·미술을 연구하는 한국인 학자들과 함께 진단학회(震檀學會)를 창립하였다. 그리고 ≪진단학보≫를 간행함으로써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이 때 발기인은 이윤재(李允宰)·조윤제(趙潤濟)·손진태(孫晉泰)·이상백(李相佰) 등이었다.

≪진단학보≫는 국문으로 된 최초의 본격적인 학술지로, 일제에 대한 학문적·문화적 저항의 뜻을 함축하고 있었다. 그 뒤 1943년 일제의 탄압으로 학회활동을 중단하기까지 14집을 간행하였다.

친일 사학자였다면 일제의 탄압으로 학회활동을 중단했다는건 말이 안되죠.. 이병도가 친일논란이 등장한 이유는, 조선사편수회 때문인데, 조선사편수회의 작품 '조선사' 에는 요서경락설 까지 포함될 정도로 역사왜곡을 직접적으로 행하기 위한 단체는 아니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입니다. 내용이 중립성을 훼손한건 아닌지 고려해볼 문제인듯 합니다.

자료출처 : http://hkh336.egloos.com/519391

덧붙여서, http://mecry.com.ne.kr/introhistory/sagoan.htm 에서는 식민사관과 이병도의 '실증사관' 을 엄격히 구분하고 있습니다.

서구에서 랑케가 시작한 실증주의 사학은 식민지시기대학에서 역사를 전공한 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일본의 관학 아카데미즘을 도입하여 자신들의 역사연구 방법론으로 삼았다. 이후 일본인 학자들과는 일정한 차이를 두면서 실증적 연구로 식민사학을 극복할 수 있는 학문적 토 대를 마련해 나갔다.해방과 한국전쟁 후에는 남한 학계의 주된 학풍으로 성장하여, 현재 학계의 주류로 성장했다.

이병도가 비판받는 상대는 소위 '재야사학' 이라고 불리우는 환단고기 측 입니다만. 오히려 그들의 주장과 '식민사관' 이 비슷하면 비슷했지, 이병도와는 거리가 먼거 같습니다. 이병도가 위만조선인설을 주장한 것이라던가, http://orumi.egloos.com/1763156 위의 '진단학보' 를 통해 임나일본부설을 부정한것은 깡그리 무시하거나, 이병도가 주장한것이 아닌척 하고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것도 주의해야 할 점일 것입니다.--Nunting 2006년 7월 27일 (목) 01:19 (KST)

[편집] 이종욱

본문에 이종욱을 클릭하면 세계보건기구의 사무총장을 역임한 이종욱 박사가 나온다.

이기백의 제자로 주류사학에 도전적인 비판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학자 이종욱 서강대 교수는 자료가 없다.211.243.209.181 2007년 4월 27일 (토) 16:51 (KST)

[편집] 약력

↑ 김정희(반민족문제연구소 연구원). 식민사관을 계승한 이병도사관. ↑ 박선협 (2005년 3월 15일). ´이병도사관´에 놀아난 한국역사. 데일리안.

이상 두 내용을 바탕으로 쓰여진 약력은 그 년도가 사실과 조금씩 다른데, 조정할 필요가 있지 않겠습니까. 작성자가 계신지는 모르겠으나, 옮겨온다거나 지우면 노하실 분들이 계실까 싶어서 일단 생애와 약력 두 내용을 놓아둡니다.  천어/토론 2007년 7월 21일 (토) 06:29 (KST)

반민족문제연구소의 내용은 개인 홈페이지에 링크되어 있어서, 원본과 비교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고, '데일리안'의 경우도 개인 투고의 경우이므로, 지금으로서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견해를 따르는 것이 옳을 듯합니다. jtm71 2007년 7월 25일 (수) 04:49 (KST)
정리된 내용이 '이병도'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내용과 매우 비슷합니다. 일단 '저작권 침해 의심' 문구를 붙였습니다만, 내용을 다시 정리해 놓을 필요가 있을 듯합니다. jtm71 2007년 9월 2일 (일) 15:51 (KST)
맨 앞 부분이 매우 비슷하네요 -_-; 제가 써놓고도 지금 알았습니다. 천어/토론 2007년 9월 2일 (일) 16:13 (KST)
최소한 한 문단마다 각주로 어디서 퍼왔는지 정도는 써줘야 인용이라도 되지, 출처가 붙어있지 않고 그냥 쓰면, 말투 좀 고쳤다고 표절이 아닌게 되는게 아니겠죠. 자세히 각주를 붙이고, 글을 좀 다듬으면 좋겠습니다. -- WonYong (토론기여총편집횟수로그e-Mail) 2007년 9월 2일 (일) 19:13 (KST)

[편집] 링크의 임의 삭제

'엠파스 한국학'에 대한 링크가 임의로 삭제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 jtm71 2007년 7월 25일 (수) 04:21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