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이스트’ 문서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드라마에 대해서는 카이스트 (드라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한국과학기술원
{{{그림}}}
표어
설립 1971년
종류 국립
총장 서남표
학장 {{{학장}}}
국가 대한민국
위치 대전광역시 유성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캠퍼스 {{{캠퍼스}}}
학생 수 학부: 3,021(2006년 10월)
대학원: 4,315
학생 수 {{{학생수}}}
교수진 418명
상징
기타 설명 {{{기타}}}
웹사이트 http://www.kaist.ac.kr/
한국과학기술원을 갑천 건너에서 찍은 사진.
한국과학기술원을 갑천 건너에서 찍은 사진.

한국과학기술원(韓國科學技術院,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이공계 연구중심대학으로, 과학기술부 산하 국립 특수대학이다. 1971년에 한국과학원(KAIS)라는 이름의 대학원으로 서울에 처음 설립되었고, 1981년에 현재 이름으로 바뀌었다. 학부는 1986년 3월 28일에 첫 입학식을 가졌다. 2006년까지 3만명 이상의 고급 과학 두뇌를 양성하였으며 많은 이공계 학자, 벤처기업가, 기술관료들을 배출하였다.[1]

캠퍼스는 자연과학 및 공학, 산업디자인학과 등이 있는 본원(대전)과 테크노경영대학원 등이 있는 본원(서울특별시 홍릉)으로 나누어져 있다. 본원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성동 373-1(과학로 335)에 있고, 분원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2동 207-43(회기로 87)에 있다. 도서관도 대전과 서울에 각각 있고, 2006년 12월 31일 기준, 단행본 252,197권, 학술 및 인쇄 학술 잡지 약 10,000종 등을 보유하고 있다.

목차

[편집] 연혁

과학도서관 전경
과학도서관 전경
  • 1971년 2월 16일에 한국과학원법에 의거하여 서울 홍릉에 한국과학원(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KAIS)이 설립되다. 과학원은 석박사과정만을 개설하였다.
  • 1973년 3월 제 1회 석사과정 입학식을 열다. 6개 학과(기계공학, 산업공학, 수학 및 물리, 재료공학, 전기 및 전자공학, 화학 및 화학공학) 106명의 석사과정 학생을 선발하다.
  • 1975년 9월 제 1회 박사과정 입학식을 열다.
  • 1978년 박사학위자를 배출하다.
  • 1980년 12월 31일제5공화국에 의해 한국과학원법 및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육성법이 폐지되어, '한국과학기술원법'이 제정되다. 이에 따라 이듬해인 1981년 1월 15일 한국과학원은 한국과학기술연구소(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와 통합되어,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설립되다.
  • 1984년 12월 27일대전 유성구 대덕연구단지 내에 한국과학기술대학(Korea Institute of Technology, KIT)이 설립되다. 한국과학기술대학은 학사과정만을 개설하였다.
  • 1986년 3월 28일 제 1회 한국과학기술대학의 학사과정 입학식을 열다.
  • 1989년 6월 4일제6공화국에 의해, 한국과학기술원에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분리되어 독립하다.
  • 1989년 7월 4일에 한국과학기술대학을 통합하며, 서울 홍릉에서 대덕연구단지 내의 대덕 캠퍼스로 이전하다. 홍릉에는 서울 분원이 설치되다.
  • 1996년 10월 1일에 서울 홍릉에 테크노경영대학원이 개설되다. 고등과학원(KIAS)이 설립되다.
  • 2003년 7월 12일 기관장의 명칭이 '원장'에서 '총장'으로 변경되다.

[편집] 특징

[편집] 입시

  • 학사과정은 1992년부터, 석사과정은 1991년부터, 박사과정은 1994년부터 필기시험이 없는 무시험전형을 도입하였으며 현재는 100% 무시험 전형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 고등학교 3년을 마치지 않더라도, 과학영재선발위원회에 한국과학기술원 학사과정 입학지원자격인정 신청을 하여 심사에 합격하면 2학년임에도 지원할 수 있다.

[편집] 학사과정

  • 한국과학기술원은 한국과학기술원법이라는 특별법에 따라서 교육부와 무관하게 학교 운영을 자율적으로 할 수 있다.
  • 학사과정은 전공을 선택하지 않고 입학하며 2~3학기 이후에 본인 희망에 따라 학과를 결정한다.(예비신청은 2학기 말, 본 신청은 4학기 초) 다른 과로 옮기는 것도 학생 자율에 맡겨져 있다.
  • 학년 구분을 따로 하지 않는 무학년제를 운영하고 있다. 학점 이수를 빨리 하면 빨리 졸업할 수 있는 조기졸업제도를 운영한다.
  • 2007년 입학생부터 전과목을 영어로 듣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편집] 석박사 과정

  • 석박사통합과정이 있어서 박사를 받을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 박사 학위를 받기 위해서는 논문을 해외 학술지에 실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다.
  • 박사과정으로 국비장학생으로 입학하는 남자의 경우 별도의 시험이 없이 전문연구요원으로 편입되어 박사과정을 하면서 병역을 해결할 수 있다.

[편집] 자랑거리

이족 보행 로봇 휴보
이족 보행 로봇 휴보
  • 2006년 'COMMUNICATIONS of the ACM'저널(Vol. 49, No. 3)에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에서 최고 교육기관 1위로 소개됨.[2]
  • 2005년 JSS(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평가에서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 유명 저널 최다 논문 게재 대학으로 선정
  • 이족(二足) 보행 로봇 휴보 개발.
  • 2006년 Businessweek의 Global Top Design Program에 KAIST 산업디자인학과 선정
  • 2006년 중앙일보 대학 평가 1위
  • 영국 더 타임스(The Times Higher Education Supplement World University Ranking)순위
2004년 12월 - 공학 및 IT분야 세계 100대 대학 순위에서 37위로 평가됨
2005년 - The World's top 100 technology universities 항목에서 국내 1위, 세계 37위의 순위로 평가됨
  • 1999년2000년 아시아위크 아시아권 이공계 대학 순위에서 두 해 연속 1위[3]
  • 1992년에 대한민국의 첫 과학위성인 우리별 1호를 개발하였다.

[편집] 연례행사

[편집] 태울석림제

매년 5월경에 사흘간 열리는 축제이다. 대동제라고도 불린다. 교내 밴드 공연, 주점 등이 열린다. 둘째날에는 가요제가 열린다.

[편집] KAIST-POSTECH 학생대제전

2002년부터 시작된 한국과학기술원과 포항공과대학교 간에 열리는 행사이다.[4] 홈이 포항공과대학교일 경우 카포전, 한국과학기술원일 경우 포카전으로 칭한다. Science War라고도 부른다. 축구, 농구 등 체육경기 뿐만아니라, 스타크레프트경기, 과학 퀴즈, 해킹대회, 인공지능 대회 등도 열린다. 매년 열리며 한국과학기술원(대전)과 포항공과대학교(포항)에서 돌아가며 열린다. 2007년에는 포항공과대학교에서 개최되었다.

[편집] 개설학과

[편집] 자연과학대학

[편집] 공과대학

[편집] 문화과학대학

[편집] 경영대학(서울 홍릉 캠퍼스)

[편집] 학제학부

[편집] 관련 서적 및 드라마

  • 서적
    • 과학원 아이들: 한국과학기술원 석사 출신인 이영섭씨가 한국과학기술원의 학생들의 일상을 소재로 쓰고 김영사가 출판한 소설.
    • 놀며 공부하기 - KAIST 괴짜들의 행진: 한국과학기술원 재학생 및 졸업생 16명이 쓴 대학생활 수기 모음집. 1995년에 출판되었다.
    • 카이스트 MBA, 열정: 한국과학기술원 MBA 졸업생인 서영훈, 강승욱, 김지수씨가 쓴 경험담. 2007년에 출판되었다.
  • 드라마
    • 카이스트: SBS 방송국에서 1999년과 2000년에 방영한 드라마.

[편집] 참조

  1. 국가기록포탈 한국과학기술원 자료
  2. KAIST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 세계 최고, KAIST 홈페이지, 2006년 3월 31일
  3. ((영어))Asiaweek.com, Asia's Best Universities 2000, Science and Technology Schools, 2000년.
  4. Science War란?, KAIST-POSTECH 학생대제전 홈페이지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