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구약성서
공통부분
정교회, 로마 가톨릭
  • 토비트
  • 유딧
  • 마카베오상
  • 마카베오하
  • 지혜서
  • 벤 시라
  • 바룩
  • 예레미야의 편지
    - 로마 가톨릭 전통에서는 바룩서의 일부로 간주
  • 다니엘 추가본
  • 에스텔 추가본
정교회
  • 에스드라 1서
  • 마카베오 3서
  • 마카베오 4서
  • 시경
  • 므나쎄의 기도
  • 시편 151편
  • 에스드라 2서
동방 정교회
  • 희견서
  • 에녹서

창세기(創世記, 히브리어: בראשׁית 브레쉬트, 그리스어: Γένεσις 게네시스; 영어: Genesis)는 유대교 성서구약성서에 포함되며, 율법서 가운데 첫 번째에 해당되는 낱권이다. 원본은 소실되어 없으며, 헌재 여러 필사본들이 남아있어, 이를 기반으로 많은 언어의 번역본이 만들어졌다. 이 책은 이 세상을 창조하는 내용으로 시작하여 이스라엘 민족이 이집트로 이주하는 시기까지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유대인들은 전통에 의해 이 책을 모세가 저술했다고 간주하고 있으며, 이 견해는 기독교에서도 그대로 수용하고 있으며, 이 책을 모세오경의 첫번째 책으로 놓고 있다. 창세기의 히브리어 이름인 '브레쉬트'(בראשית)는, 히브리어로 쓰여진 이 책의 첫번째 단어에 해당하며, 이 단어가 그대로 이 책의 이름으로 불려졌다. 이 단어는, '처음에, 시작으로, 우선' 등의 의미를 갖는다.[1] 이 책을 포함하는 모세오경의 5권은 전부 각각의 처음 단어를 따서 히브리어 이름이 정해졌다.

목차

[편집] 개요

창세기는, 신이 세상과 첫 인간인 아담(Adam)과 이브(Eve) 을 창조하는 이야기부터 시작된다. 이후 아담과 이브는 에덴 동산에서 쫒겨나며, 그들의 두 아들 카인(Cain)과 아벨(Abel)의 이야기가 언급된다. 그 다음으로 바벨탑의 건축을 둘러싼 여러가지 이야기들을 다루며, 노아(Noah)와 세상을 뒤엎는 홍수의 이야기가 나온다.

창세기의 중반은 신이 갈대아 지방(바빌로니아에 있는 것으로 추산)의 우르(Ur)라는 곳에 실던 아브람(이후 '아브라함'으로 이름이 바뀜)을 불러내어, 그와 그의 아내 사래(이후 '사라'로 이름이 바뀜)를 우르 지방(바빌로니아에 있는 것으로 추산됨)에서 가나안 땅(현재의 이스라엘/팔레스타인)으로 불러내는 이야기를 언급한다. 아브라함의 신에 대한 순종과, 그에 대해 신이 아브라함의 자손으로 인해 세상이 축복을 받을 것임을 약속하는 내용은 중반의 중요한 이야기이다. (22장 3절) 이어서 아브라함의 아들인 이사악, 그의 손자인 에사오와 야곱(이후 '이스라엘'로 이름이 바뀜)과 그의 가족들의 이야기가 서술되며, 마지막은 야곱의 자손들인 이스라엘 민족이, 파라오의 호의에 의해 이집트로 이주하는 것으로 마무리 된다.

창세기는, 이스라엘 민족의 종교적 관념들과 성립에 대한 역사적 가정들과 근본적인 이야기들을 제시해주며, 이스라엘의 역사, 법, 관습에 대한 소개글의 역할을 담당한다. 본문 자체에는 창세기를 지은 저자에 대한 언급이 없으나, 일부 성서학자의 연구예 의하면, 이스라엘 민족의 전통을 이어온 어떤 저자(또는 저자의 무리, 이에 관해서는 '저작과정 및 연대' 부분을 참고할 것)가 그전부터 내려오던 서로 상이한 문헌들과 공식적인 견해들을 유지하는 식으로 묶어낸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작업에는 적어도 4가지의 다른 전승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기원전 440여년 경에 하나의 책으로 묶어진 것으로 추산된다.


[편집] 내용

[편집] 천지창조와 사람의 창조

창세기 1장과 2장에는 신이 엿새동안 세상을 창조한 일을 기록하고 있다. 창조의 순서는, 빛과 어둠(첫째 날), 하늘(둘째 날), 육지와 바다, 식물(셋째 날), 해와 달과 별(넷째 날), 바다 동물과 새들(다섯째 날), 육지 동물과 사람(여섯째 날)이다. 6일동안 모든 것을 창조한 후 신은 일곱째 날에 쉬었고, 이 날을 거룩하게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섯째 날에 창조된 첫 사람인 아담과, 그에게서 창조된 반려자인 하와는 신으로부터 정복하고 다스리고, 생육하며 번성하는 축복을 받고(1:28) 생명나무가 있던 에덴동산에서 살게 되었다.

[편집] 죄의 발생에서 대홍수까지

그러던 중, 뱀이 하와에게 선악과를 먹도록 유혹하였고, 하와는 이 유혹에 넘어가 신이 금지하신 열매인 선악과를 먹게 되며, 곧이어 아담도 하와의 유혹에 넘어가 이 열매를 먹게 된다. 죄를 지은 아담과 하와는 에덴동산에서 쫓겨나게 된다.

아담과 하와는 땅에서 살기 시작한 이래로, 처음에는 가인과 아벨을 낳았으나, 가인이 아벨을 살인한 사건에 의해 죄인이 되어 유리하는 자가 되자, 나중에 아이를 한명 더 낳게 된다. 셋이 태어난 이후로 사람들은 번성하며 자손들이 늘어났으며, 홍수 직전에는 900살을 넘어 산 사람(무드셀라)이 있었다.

그러나 땅에 죄가 만연하여 신은 사람과 동물들을 멸망시킬 계획을 세운다. 그러나 노아 한 사람은 신이 보기에 의로웠고, 신은 노아에게 방주를 만들도록 하여 그의 가족과 모든 동물 중에서 일곱 쌍이나 두 쌍(7:2-3), 혹은 한 쌍(6:19) 씩을 방주에 태웠고, 홍수가 끝난 이후에 이들을 세상을 멸망시킨 40일간의 홍수로부터 구한다. 200여일 후에, 모든 비는 그치고, 방주는 아라랏산 근처에 머물게 된다.

[편집] 바벨탑

하나의 언어를 사용하던 사람들은 성을 세우고 하늘 꼭대기까지 이르는 탑을 세우려 한다. 그들의 작업을 보던 신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다르게 하고 그들을 온 땅에 흩었다, 이로 인해 탑의 건축은 중단되었고, 그 지역의 이름은 바벨이라 불리게 되었다.

[편집] 아브라함

신은 아브라함에게 자신의 말에 복종하며 살 것을 명하시며, 아브라함에게 많은 자손을 줄 것을 약속하며, 아브라함이 백 살이고 그의 아내 사라가 구십 살일때 그들에게 아들 이삭을 준다. 신은 아브라함의 믿음을 시험하여 아들 이삭을 번제불로 바치게 명령한다. 이에 순종한 아브라함은 이삭을 죽여 제물로 바치려 하나 천사가 이를 말리게 된다. 이 일로 신은 아브라함에게 복을 주어 그의 모든 자손과 모든 나라가 복을 받도록 약속한다.

[편집] 야곱과 에서

이삭과 리브가는 쌍동이 자식을 낳는데, 형의 이름은 에서이고, 동생의 이름은 야곱이라 했다. 에서는 사냥꾼이 되었고 야곱은 장막에 머무르는 것을 좋아하여 이삭은 에서를 더 사랑했고, 리브가는 야곱을 더 사랑하였다. 사냥에서 돌아온 에서는 배가 고파 야곱에게 만들던 붉은 죽을 달라 하였고, 야곱은 그 대가로 에서에게 맏아들의 권리를 달라고 한다. 맏아들의 권리를 대수롭게 여기지 않는 에서는 야곱에게 빵과 죽의 대가로 맏아들의 권리를 넘겨준다.

이삭이 늙어 눈이 침침해지자, 이삭은 에서를 불러 그에게 복을 주기 위해 사냥을 해 음식을 만들어 오게 한다. 이를 옅들은 리브가는 야곱에게 염소 요리를 만들게 하고, 염소의 가죽을 둘러 털이 많은 에서처럼 변장을 시켜 에서에게 줄 축복을 가로채게 한다. 장자의 권리와 아버지의 축복을 모두 빼앗긴 에서는 야곱을 미워하여 죽이려 하고, 이에 야곱은 하란에 있는 친적에게 도망을 가게 된다. 하란으로 가던 야곱은 루스라는 곳에서 잠을 자게 되었는데, 꿈 속에서 신이 나타나 그에게 많은 복을 약속한다. 잠에서 깬 야곱은 그 성의 이름을 '신의 집'이라는 뜻으로 '벧엘'이라 불렀다.

삼촌 라반의 집으로 간 야곱은 라반의 딸 라헬과 결혼하기 위하여 라반의 집에서 칠년간 일을 한다. 그러나 라반은 그를 속이고 큰 딸 레아와 결혼하게 한다. 삼촌이 자신을 속인 것에 야곱이 항의하자, 라반은 그에게 라헬도 주고 그 대신 칠년을 더 일하게 한다. 야곱과 레아 사이에는 많은 자식이 태어났지만, 라헬은 오랫동안 자식을 얻지 못하다 아들 요셉을 낳게 된다. 야곱은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해 삼촌에게서 그 동안 일한 대가를 요구하고, 대가로서 점이나 무늬가 있는 가축들을 요구한다. 라반에게 승낙을 받은 야곱은 나무가지를 이용하여 점과 무늬가 있는 가축을 늘리고, 약한 가축들만 점과 무늬가 없게 하여 많은 재산을 불리게 된다.

가족과 가축들을 데리고 라반의 집에서 도망친 야곱은 아버지 이삭의 집으로 향한다. 야곱은 에서가 자신을 해칠 것을 두려워하여 가축과 선물을 먼저 보내고, 그 후에 아내와 자식들을 보낸 후에 홀로 남는다. 그 후 어떤 사람이 와서 야곱과 밤새 씨름을 하였다. 날이 샐 때에 야곱이 그를 보내주지 않자, 그는 야곱에게 복을 주고 그에게 신과 겨루었다는 의미인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을 준다. 야곱을 만난 에서는 야곱을 반갑게 맞아 주었다.

[편집] 요셉

야곱은 노년에 얻은 아들인 요셉을 다른 아들들보다 사랑하였으며, 또한 요셉은 부모와 형제가 자신에게 절을 하는 꿈 얘기를 하여 그의 형제들은 요셉을 시기하였다. 그의 형제들은 요셉을 이집트로 가는 상인에게 팔아넘기고, 부모에게는 요셉이 짐승에게 잡아먹혔다고 말한다. 이집트로 팔려간 요셉은 다시 파라오의 신하 보디발에게 팔려간다. 보디발의 신임을 받은 요셉은 보디발의 모든 것을 관리하게 된다. 보디발의 아내는 요셉을 유혹하나 요셉이 거부하자, 요셉에게 누명을 씌워 감옥에 가둔다. 감옥에서 요셉은 파라오의 신하인 빵 만드는 사람과 포도주 만드는 사람을 만나 이들의 꿈을 정확히 해석한다. 이 년 뒤, 파라오는 알 수 없는 꿈을 꾸고 이를 아무도 해석하지 못하자 요셉이 꿈을 해몽해 준 포도주 만드는 사람이 파라오에게 요셉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파라오는 요셉에게 꿈 얘기를 하고, 요셉은 이를 7년간의 풍년과 7년간의 기근이 닥친다는 의미라는 것을 해석한다. 파라오는 요셉을 이집트에서 자신 다음으로 높은 사람으로 임명하여 모든 일을 맡기고, 요셉은 7년간의 풍년동안 이집트의 수확을 저장하여 가뭄에 대비한다.

기근이 닥쳐오자 온 세상에는 이집트 외에 식량이 남지 않게 된다. 야곱은 아들들을 보내어 이집트에서 식량을 사오게 하고, 이들은 이집트의 총리인 요셉에게 오게 된다. 요셉은 형제들을 알아보지만 모른척하고, 시므온을 가둔 후 다른 형제들을 집으로 보내어 동생 베냐민을 데려오게 한다. 그들이 두번째로 식량을 사기 위해 베냐민을 데려왔을 때, 요셉은 돌아가는 베냐민의 짐에 은잔을 숨겨 베냐민만을 돌아가지 못하게 하려 한다. 그의 형 유다가 그에게 베냐민을 놓아주고 자신을 종으로 삼을 것을 호소하는 것을 들은 후, 요셉은 자신의 정체를 밝힌다. 야곱은 모든 자식들과 함께 이집트로 가며, 죽어 다시 가나안 땅에 뭍힌다. 창세기는 요셉이 110세에 죽어 이집트에서 관에 넣어지는 것으로 끝난다.

[편집] 저작 과정 및 연대

[편집] 창세기를 구성하는 전승들

  • E전승 (엘로힘계 전승)
  • J전승 (야훼계 전승)
  • P전승 (사제 전승)
  • D전승 (신명기계 전승)
  • 기타

[편집] 구절

1장 1절 "태초에 하나님께서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

1장 3절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빛이 있으라, 그러자 빛이 있었다."

1장 28절 "하나님께서 그들을 축복하시고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열매를 맺고 증식하여 땅을 채우고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서 움직이는 모든 생물들을 지배하라."

2장 23절 "아담이 말하길, 이는 나의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로다. 남자로부터 나왔으니 여자라 불리리다."

[편집] 참고자료

  1. http://www.biblestudytools.net/Lexicons/Hebrew/heb.cgi?number=7225&version=kj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