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칭지명과 자칭지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타칭지명이란 어느 국가나 지역내에 살고 있는 사람들외에 외부인이 그 국가나 지역에 붙인 이름을 말한다. 이에 대해 국가나 지역내부사람들이 붙인 지명은 자칭지명이라고 한다. 대한민국을 예로 들면, 국명에 대해 자칭지명은 대한민국 또는 한국이고, 타칭지명은 Korea,남조선,솔롱고스등이 있다. 에스파냐의 경우, 에스파냐는 자칭지명이며, 스페인은 영어권에서 부르는 타칭지명이다. 타칭지명은 어원이 완전히 다른 경우외에 같은 어원이 여러가지 비슷한 철자로 나타나기도 한다. 런던(London)이 Londres(프랑스,에스파냐,포르투갈) Londen(네덜란드),Lontoo(핀란드)가 되는 것이 그 예이다. 또한 넓은 의미에서 철자마저 같은 단어라도 각 언어 발음의 차이로 인해 타칭지명이 되기도 한다. 파리(Paris)가 영어에서 패리스로 발음되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단, 이 경우, 발음의 유사성보다는 외국지명을 자국어의 음운체계에 맞춰 발음하고자 하느냐, 현지어의 음운체계에 맞춰 발음하고자 하느냐하는 의도가 더 중요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20세기 들어 많은 식민지국가들이 구 식민제국으로부터 붙여진 타칭지명을 거부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또한 분쟁중인 국가사이의 자칭,타칭지명은 영토문제를 포함한 정치적 문제를 포함하고 있기도 한다. 다음은 정부차원에서 타국에 대해 자칭지명의 사용을 권장한 예이다.
- 1990년 대한민국과 수교한 몽골정부는 중국어에서 유래된 몽고(蒙古)에 비하적인 의미가 있다고 하여, 자칭지명인 몽골로 바꿔줄 것을 요구
- 대한민국정부는 중국정부에 서울의 중국어표기를 漢城에서 首爾로 사용해 줄것을 요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유엔대사는 일본의 북조선(北朝鮮)호칭에 대해 정식국명사용을 요구 [1]
-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1985년 자국 국명(상아해안이란 의미의)을 외국어로 의역(영어 Ivory Coast등)하지 말것을 요구
- 우크라이나 정부는 수도 키예프에 대해 러시아어 발음에서 유래되었다는 이유로 영문(로마자)명칭을 키예프대신 키이프(Kyiv)로 사용할 것을 요구
- 벨라루스 정부는 자칭지명인 국명 Belarus를 모든 국가, 모든 언어에서 사용되어야 한다고 요구
다음은 자타칭지명을 두고 영토분쟁이 있거나 있었거나, 영토분쟁의 소지가 있는 대표적인 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