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도 미사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탄도 미사일 또는 탄도탄은 자체 추진으로 발사 지점부터 목표 지점까지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미사일이다. 주로 핵무기 등에 쓰인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핵무기가 탄도 미사일에 의해 목표까지 운반되고 있다.
목차 |
[편집] 탄도 미사일의 역사
탄도 미사일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독일에서 발명하였다. 이 당시의 탄도 미사일은 명중률이 극히 낮았으나,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무기 경쟁에 따라 발전하였다. 그리하여 현재의 순항 미사일 중의 하나인 토마호크의 오차 범위는 대략 반경 1m이다.
[편집] 탄도 미사일의 종류
-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 - 사정거리 1000km 이하(스커드, 로동 1호 등)
- 중거리 탄도 미사일(MRBM) - 사정거리 1000~2500km
- 중장거리 탄도 미사일(IRBM) - 사정거리 2500~3500km
- 준 대륙간 탄도 미사일(SCBM) - 사정거리 3500~5500km
- 대륙간 탄도 미사일 (ICBM) - 사정거리 5500km 이상(대포동 2호 등)
- 장거리 미사일(LRBM, LRICBM) - 사정거리 5500~8000km
- 최장거리 대륙간 탄도탄(FRICBM): 사정거리 8000~12000km
-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편집] 대륙간 탄도 미사일 (ICBM)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은 이름 그대로 발사한 대륙과 먼 다른 대륙에 명중시킬 수 있는 탄도 미사일이다. 사정거리는 대략 5500km 이상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개발한 대포동 2호 등이 이 종류의 미사일이다.
[편집]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SLBM)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은 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전략 핵 잠수함에서 발사가 가능하도록 개량한 탄도 미사일이다. 잠수함에서 발사할 수 있기 때문에 목표물이 본국보다 해안에서 더 가까울 때에는 잠수함을 해안에 근접시켜 발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거기에 조기에 모두 탐지하기가 어려워 이러한 점 덕분으로 전략핵잠 함장들은 자국의 대통령 다음의 세계 3위의 권력을 지녔다는 농담도 나오고, 미소의 냉전 시기 공포의 핵균형을 이룬 근본이었다.
[편집] 탄도 미사일 요격 시스템
탄도 미사일 요격 시스템으로는 미국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MD)이 있다. 그러나 현재는 명중률이 대략 50% 정도이다. 이때 사용되는 미사일로는 스탠다드 미사일, 패트리어트 미사일 등이 있다.
[편집] 참고 문서
- 미사일
- 미사일 방어 시스템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정리가 필요한 문서 | 토막글 | 탄도 미사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