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렌 클라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헬렌 클라크
뉴질랜드의 총리
재임기간 1999년 12월 5일
전임 제니 시플리
후임 현직
태어난 곳 뉴질랜드 해밀턴
사망한 곳

헬렌 엘리자베스 클라크(Helen Elizabeth Clark, 1950년 2월 26일 - )는 뉴질랜드의 제37대 총리(1999~)이자 정치인이다.

목차

[편집] 성장 과정

해밀턴시의 보수적인 농업가정에서 자랐으며, 청년시절부터 여성운동에 적극적이었다. 1974년에 오클랜드 대학교 정치학 석사를 우수한 성적으로 취득한 이후에는 동 대학에서 강사생활을 했다. 1981년오클랜드시의 마운트 앨버트(Mt.Albert) 지역구의 (하원)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했으며, 1993년부터 현재까지 뉴질랜드 노동당(1999년부터 여당)의 지도자이다. 1999년 총선거에서 승리하여, 선거를 통해 집권한 뉴질랜드 최초의 여성 총리이다.

[편집] 주요 업적과 비판

경제 개혁과 관광 및 문화산업의 적극적 육성 등에 힘입어 재임기간중 서구 선진국에서 드물게 연평균 3~4%의 비교적 높은 경제성장을 기록하는 동시에, 정통사회민주주의정신에 입각한 각종 복지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보수 야당인 뉴질랜드 국민당의 지지자들로부터는 그의 주요 정책들이 국가개입이 심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비판을 꾸준히 받고 있다.

[편집] 국제적 정치인으로의 발돋움

외교적으로는 민주주의인권신장 그리고 평화체제의 발전을 꾸준히 강조하여, 중국북한의 민주화를 적극 지지하고, 아프가니스탄(2001년)과 피지등 남태평양 소국가들(수차례)에 평화유지군을 파병하였으며, 2003년 미국주도의 이라크 전쟁에 결사적으로 반대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그는 국제사회에 뉴질랜드의 존재가치를 더욱 높였으며, 그 또한 국제적 정치인으로 발돋움했다.

그는 또한 현재의 '영연방 아래의 입헌군주제'로부터 뉴질랜드가 완전한 공화국으로 독립하는 계획에 꾸준히 찬성해왔고, 이를 주도하고 있다.


[편집] 기타

2005년 11월대한민국노무현 대통령과 한-뉴질랜드 정상회담을 가졌다.

그의 배우자는 오클랜드 대학교의 사회학과 교수이기도 한 피터 데이비스(Peter Davis, 1981년 결혼)이다.


[편집] 바깥 고리

이 문서는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