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中华人民共和国香港特别行政区
中華人民共和國香港特別行政區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홍콩의 국기 홍콩의 문장
(국기) (문장)
표어: (없음)
국가: 의용군 진행곡¹
홍콩의 위치
수도 빅토리아
22°17′N 114°08′E
공용어 중국어, 광둥어, 영어
정부 형태
행정 장관
특별행정구
도널드 창
설립
 • 날짜
영국으로부터 이양
1997년 7월 1일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1,104 km² (169위)
4.6%
인구
 • 2005년 어림
 • 2004년 조사
 • 인구 밀도
 
6,943,600명 (97위)
6,898,686명
6,206명/km² (97위)
GDP (PPP)
 • 전체
 • 일인당
2004년 어림값
$2345억 (37위)
$30,558 (10위)
통화 달러 (ISO 4217:HKD)
(화폐단위:-)
시간대
 • 여름 시간
HKT (UTC+8)
없음 
ISO 3166-1
·Alpha-2
·Alpha-3
인터넷 도메인 .hk
국제 전화 +852
¹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토이므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를 사용한다. 대표 꽃은 洋紫荊이다.

홍콩(香港,Hong Kong, 광둥어: Heūng góng, 한국어: 향항)은 중국의 남동부에 있는 특별 행정구이다. 정식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특별 행정구(中華人民共和國 香港特別行政區, 이다. 홍콩 섬(香港島 향항도[*])과 코룽 반도(九龍半島 구룡 반도[*])와 신제(新界) 및 그 밖의 230개의 부속도서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편집] 홍콩의 역사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다. 당나라 때 주요한 군사항구였다. 지금 신지에(新界)의 "툰먼"에서 군대가 살았다. 1842년아편전쟁에서 이긴 영국청나라 정부에 난징 조약을 강요하여 홍콩을 점령했다. 청일전쟁 이후인 1898년 영국은 또다시 청나라 정부를 강요하여 신제를 추가로 99년간 조차, 1997년 6월 30일에 만료되었다.

1941년 12월 25일일본이 홍콩을 점령했다. 1945년 7월, 중화민국이 해방되었으나, 홍콩은 국공내전으로 인해 영국이 다시 통치했다. 1997년 7월 1일에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과 함께 홍콩 특별행정구가 수립되어, 향후 50년간 유지될 전망이다(2047년 6월 30일에 만료).

한 때 SARS로 인해 출입이 통제되기도 하였다.

[편집] 홍콩의 지리

중국 광둥 성 심천 남쪽, 마카오의 동쪽으로 있다. 면적은 1104km2.

[편집] 홍콩의 행정 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 홍콩의 행정 구역입니다.
  • 홍콩 섬: 중서구 (中西區) - 만자구 (灣仔區) - 동구 (東區) - 남구 (南區)
  • 코룽 반도: 유첨왕구 (油尖旺區) - 심수부구 (深水埗區) - 구룡성구 (九龍城區) - 황대선구 (黃大仙區) - 관당구 (觀塘區)
  • 신지에: 사전구 (沙田區) - 서공구 (西貢區) - 대부구 (大埔區) - 북구 (北區) - 원랑구 (元朗區) - 둔문구 (屯門區) - 전만구 (荃灣區) - 규청구 (葵靑區) - 이도구(離島區)

[편집] 홍콩의 지리

[편집] 홍콩의 정치

외교와 방위에 관한 사항만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결정하고, 나머지 사안은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가 관할한다.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전적으로 홍콩 주민의 자치에 의해 운영된다.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의 수장은 행정장관으로, 주민의 선거에 의해 선출된다. 2007년 3월 28일에 중국에 반환된 이후 세 번째로 치뤄지는 행정장관 선거는 최초로 경선(競選)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행정장관 후보는 도널드 창 (Donald Tsang) 과 량자제(Alan Leong)이다.

[편집] 홍콩의 주민

홍콩 인구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인구는 한족으로, 홍콩 인구의 95%를 차지한다. 한족 다음으로 많은 민족은 대부분이 필리핀인으로, 그 다음이 미국인, 그 다음으로 식민지 시대에 이주한 영국인이다. 그 외의 민족도 거주하며, 한국인의 수는 교민 2천명을 포함해서 총 5천여명이다.

[편집] 홍콩의 인구

UN의 조사 발표에 의하면 2003년의 홍콩 인구는 6,900,000명이다. 1841년에는 7,500명, 1931년에는 849,800명, 1945년에는 750,000명이었다.

연령에 따라 조사하면, 0~14세가 18%, 15~64세가 71%, 65세 이상이 11%이고, 평균 연령은 34세이다.

[편집] 홍콩의 언어

[편집] 공용어

홍콩에서 사용되는 언어. 풍자형식의 이미지이다. 오른쪽 위에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광둥어, 홍콩식 영어, 북경어, 한국어, 홍콩식 일본어, 타갈로그어
홍콩에서 사용되는 언어. 풍자형식의 이미지이다. 오른쪽 위에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광둥어, 홍콩식 영어, 북경어, 한국어, 홍콩식 일본어, 타갈로그어

공용어영어중국어이며, 그 중에서도 주로 중국어 방언광둥어이다. 인구의 95.2%가 광둥어를 사용하고 38.1%가 영어를 사용한다. 영어는 홍콩에서는 중국어와 함께 많이 사용되며, 영국의 통치가 시작된 뒤부터 1974년까지 약 120여 년간 홍콩의 유일한 공용어였다. 물론 1974년 이전에도 중국어(보통화에 가까운 형태로 쓰고, 광둥어로 발음했다)는 실질적 공용어의 지위를 누렸다. 당시의 홍콩은 영국령이라는 것과 국제 자유 도시라는 것 때문에 영어가 가장 중요한 언어였다. 그러나 2003년부터는 학과 내용에서 중국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홍콩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중국어를 사용하고 이해하는 수업을 장려하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개혁 개방 정책으로 1980년대 말부터 중국 본토와의 왕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 보통화(북경어를 기초로 한 표준 중국어. 홍콩에서는 일반적으로 "국어"라고 부름)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전에는 보통화로 수업하는 학교는 중국공산당계나 중국국민당이었지만,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반환을 앞둔 1990년대부터는 대부분의 초등학교에서 보통화 수업을 실시하고 있다. 반환 뒤부터는 정부 회의 보통화 동시 통역도 실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홍콩에서 중국어는 번체로 표기되지만 반환 이후부터는 간체로 표기된 정부 자료도 볼 수 있게 되었다.

홍콩이 영국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홍콩에서 사용되는 영어영국 영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centre","colour" 등 일부 단어가 영국식으로 표기된다.
  • 층수를 세는 방법은 1층을 "ground floor(G/F)"라고 부르고, 그 다음층을 "first floor(1/F)", "second floor(2/F)"…라고 부른다.
  • 지하도를 "subway", 엘리베이터를 "lift", 초등학교를 "primary school"라고 부른다(미국 영어에서는 지하철을 "subway", 엘리베이터를 "elevator", 초등학교를 "elementary school")라고 부른다.

(자세한 것은 영국과 미국 영어의 차이를 참조)

[편집] 기타 언어

광둥어 이외의 다른 중국어 집단은 북경어, 하카어, 상하이어, 민난어등이다. 그리고 홍콩수화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중국인도 있다. 외국 출신자들은 타갈로그어, 인도네시아어, 힌디어, 일본어, 한국어 등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도 많다.

[편집] 홍콩의 종교

불교도교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그 외에 기독교가 약 14.1%, 이슬람교가 약 3만명, 힌두교가 8천여명, 시크교와 유대교는 각각 5백여명이 존재한다. 홍콩 기독교에서 개신교(침례교, 홍콩 성공회,루터교 등)는 8.5%를 차지한다. 이슬람교는 중국 소수민족인 회족과 일부 인도인들이 믿는다.

[편집] 홍콩의 교육

홍콩의 문맹률은 약 6~7% 가량이며, 초·중등 의무 교육(9년간)을 실시한다.

[편집] 홍콩의 치안

홍콩은 자체적인 홍콩 경찰이 있으며(반환 이후에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 중국 대륙의 무장경찰 대신 SDU가 테러 진압을 담당한다.

[편집] 홍콩의 경제

홍콩의 국민소득은 미화로 약 3만 달러이며, 대한민국, 중화민국, 싱가포르와 함께 '아시아의 4마리 용'으로 불린다. 화폐 단위는 홍콩 달러이며, 2005년 이전까지는 홍콩 달러와 미국 달러의 환율은 7.8:1로 고정되어 있었다. 외환 보유액은 세계 8위로 1,223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2005년 기준).

[편집] 홍콩의 관광업

홍콩 디즈니랜드등 놀이시설과 쇼핑, 음식등이 유명하고 아시아의 교통의 요지인 점 때문에 많은 관광객들이 전세계에서 찾아 온다. 한해 약2천3백만명의 관광객이 방문한다. 최근에는 거의 절반이 중국 대륙지역에서 온 관광객이다.

[편집] 홍콩의 교통

이 문서는 저작권 침해가 의심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의 저작권에 대한 적절한 소명이 없다면 정책에 따라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해당 글의 토론을 참고해주세요.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불분명합니다. 참고 문헌·출처 등을 각주로 표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의심받을 수 있으며 삭제될 수 있습니다. (토론)

홍콩의 교통에서 교통카드는 필수입니다. 버스는 잔돈을 내어주지 않고 지하철(MTR)과 철도(KCR)은 할인이 됩니다. 이외에 자판기 및 편의점에서 계산도 가능합니다. 옥토퍼스 카드 교통카드의 개념으로 MTR, KCR, LRT, AEL, 버스 (란타우섬 내 버스도 포함), 페리 (외곽섬 행도 포함) ,피크트램, 세븐일레븐, 음료자동판매기, 기타 몇 곳등등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점차 그 사용범위를 확대해 가고 있습니다. 특히 홍콩의 버스는 잔돈 거슬러 주지 않으므로 옥토퍼스 카드를 사용하시면 잔돈 걱정 없으며 약간의 할인까지 되니 일석이조 입니다.

카드의 종류 [일반 옥토퍼스 카드] 구입가격은 150 HK$ 입니다. 보증금(Deposit) 50 HK$ + 사용금액(Stored Value) 100 HK$ 포함된 금액입니다. 사용금액을 다 쓰신 후에는 다시 충전해서 사용하실 수 있어 보통의 여행자나 장기여행자에게 유용합니다.

투어리스트 옥토퍼스 카드(Airport Express Tourist Octopus) [일일 무제한 MTR 여행자 옥토퍼스 카드] 구입가격은 HK$220 입니다. 보증금 50 HK$ + 편도 AEL + 3일동안 무제한 MTR 이용+ 20 HK$ (만큼만 버스, 페리, KCR, 트램 등 다른교통수단 이용가능)


[3일 여행자 옥토퍼스 카드] 구입가격은 HK$300 입니다. 보증금 50 HK$ + 왕복 AEL + 3일동안 무제한 MTR 이용 + 20 HK$ (만큼만 버스, 페리, KCR, 트램 등 다른교통수단 이용가능) 차이점은 공항고속열차인 AEL이 편도/왕복 차이입니다. 홍 콩 MTR은 구간별로 가격이 틀리고 타 교통수단에 비해서 가격이 높은 편이므로, MTR를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은 오히려 편할 수 있습니다. 3일동안 MTR사용기간이 끝나고, AEL도 왕복 다 이용하셨어도 일반 옥토퍼스 카드처럼 다시 충전해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입장소 옥토퍼스 카드 충전장소 → MTR 자동매표기 근처의 무인충전기 → MTR 유인 매표소[판매,충전,환불 모두 가능] → 맥심패스트푸드 & 맥심 Cake Shop (충전기계 있는 곳) → 모든 세븐일레븐, 서클 K (편의점) 최대 HK$1,000 까지 충전하실 수 있습니다. 충전하실때는 "Add value,please~" 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저는 "리차쥐" 했다가 민망했답니다.

옥토퍼스 카드 환불 장소 카드를 사신 곳에서 보증금 50 HK$를 환불받으실 수 있습니다. 충전금액보다 초과사용시 보증금에서 그만큼 제외하고 환불해주고, 금액이 남았을 경우 같이 환불해 줍니다. 환불 받으실때는 "Refund, please~" 하시면 됩니다. 공항에서 구입후 시내 MTR역에서 환불하셔도 됩니다.

알아두면 편한 팁

[버스/MTR 탑승 팁] 버스에서 사용하실 때는 우리나라카드단말기와 비슷하게 생긴 기계에 카드를 터치하시면 됩니다. 운전석 옆에 붙어 있습니다. MTR 타실때에는 한국 지하철에서 교통카드 사용하듯 쓰시면 됩니다.

[MTR 카드 환불 팁] 캐세이패시픽 패키지로 가시면 공항까지 올때는 카드를 쓰실 필요가 없으니까 가까운 MTR역에서 미리 환불하셔도 좋습니다. 공항에서 입국장까지 내려가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고 하고 이것저것 하다보면 가끔 잊으시는 분들이 계실 수 있습니다.

[투어리스트 옥토퍼스카드 이용 팁] 투어리스트 옥토퍼스카드는 MTR을 많이 이용하셔야 본전을 뽑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 증금은 환불되지만, MTR을 한두번 밖에 안탔다고 나머지 금액을 환불해주는 건 아닙니다.(단, 3일 사용기간 지나고 AEL도 왕복 다 사용하신 후에 재충전해서 사용하시면 일반옥토퍼스카드처럼 되기 때문에 그때 금액은 환불이 가능합니다.) 카드유효기간은 마지막 충전후 3년까지 입니다. 담번에 사용하셔도 되고 가까운 분들에게 선물하셔도 반응 좋습니다. [기타 이용 팁] 오션파크로 가는 629번 버스는 옥토퍼스카드 사용이 안됩니다. (버스에 기계는 있는데 사용이 안됩니다.) 한장으로 2명이 사용하셔도 된다는 글이 있긴 한데 원래는 1인당 1장씩 사용하셔야 합니다. 마카오에서 옥토퍼스 카드 사용 안됩니다.

  • 홍콩지하철
  • 버스
  • 항공: 홍콩 국제공항(첵랍콕 공항)은 1998년에 공식 개항한 홍콩의 화물과 승객의 주요한 환승 센터이며, 중국 본토, 동남아시아, 동아시아로 가는 관문이다. 24시간 운영되고 있으며 매년 4천5백만명의 승객과 3백만톤의 화물을 처리하고 있다.

[편집] 홍콩의 군사

과거에는 영국군이 주둔하기도 하였으나, 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 이래 홍콩의 군사는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가 담당하고 있으며, 홍콩 방위를 위해 파견된 중국인민해방군(주 홍콩 부대) 약 1만명이 주둔하고 있다.

[편집] 바깥 고리


홍콩의 행정 구역 홍콩의 구기
홍콩 섬: 중서구 | 완차이 | 동구 | 남구
쿨룬 (뉴쿨룬을 포함함): 야우침멍 구 | 삼수이포 | 구룡성 | 웡타이씬 | 쿤통
뉴테이토리: 췐완 | 퉨문 | 위엔랑 | 북구 | 타이포우 | 사틴 | 싸이쿵 | 콰이칭 | 아일랜드
아시아의 나라 아시아 대륙
그루지야¹ | 네팔 | 대한민국 | 동티모르 | 라오스 | 러시아¹ | 레바논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미얀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⁴|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¹ | 아제르바이잔¹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화민국⁴ | 중화인민공화국
카자흐스탄¹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키프로스² | 타이 | 타지키스탄 | 터키¹ |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³ | 필리핀
속령
마카오5 | 홍콩5
¹.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함. ².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
³.아시아의 비독립 국가. ⁴.불인정 또는 일부 인정 국가. 5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