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집] 행정 구역 단위
- 성(省)
- 성 직할시(省轄市)
- 구(區)
- 리(里)
- 린(鄰)
- 리(里)
- 구(區)
- 현(縣)
- 시(市) / 진(鎮)
- 리(里)
- 린(鄰)
- 리(里)
- 향(鄉)
- 촌(村)
- 린(鄰)
- 촌(村)
- 시(市) / 진(鎮)
- 성 직할시(省轄市)
- 직할시(直轄市)
- 구(區)
- 리(里)
- 린(鄰)
- 리(里)
- 구(區)
[편집] 실효 통치 지역의 행정 구역
1949년 이후 중화민국 정부가 실효 통치하고 있는 지역(타이완 지구)의 행정 구역이다. 현재 성(省) 정부 기능은 사실상 폐지되어 직할시와 성 직할시는 동급으로 간주된다.
| 중화민국 타이완 지구(臺灣地區)의 행정구역주1 | |||||
|---|---|---|---|---|---|
| 성(省, 잠정 폐지)주2 | 약칭 | 5개 시(市) | 18개 현(縣) | ||
| 타이완 성(臺灣省) |
타이(臺) |
|
|
|
|
| 푸젠 성(福建省) |
민(閩) | ||||
| 직할시 | 약칭 | ||||
| 타이베이 시(臺北市) | 베이(北) | ||||
| 가오슝 시(高雄市)주5 | 가오(高) | ||||
|
주1.1955년 다천다오 철수 이후 중화민국 타이완 지구의 1급 행정 구역은 가오슝 시, 타이베이 시, 타이완 성, 푸젠 성의 4개이며, 수도는 타이베이 시이다. |
|||||
[편집] 공식 행정 구역
| 중화민국의 공식 행정 구역(1999년) | |||
| 35개 성(省)、2개 지방(地方)、1개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 14개 직할시(直轄市)주1 (원할시(院轄市)) |
||
| 명칭 | 약칭 | 성 정부 소재지 | |
| 간쑤 성(甘肅省) | 룽(隴) | 란저우(蘭州) | - |
| 광둥 성(廣東省) | 웨(粵) | 광저우(廣州) | 광저우(廣州) |
| 광시 성(廣西省) | 구이(桂) | 구이린(桂林) | - |
| 구이저우 성(貴州省) | 첸(黔) | 구이양(貴陽) | - |
| 넌장 성(嫩江省) | 넌(嫩) | 치치하얼(齊齊哈爾) | - |
| 닝샤 성(寧夏省) | 닝(寧) | 인촨(銀川) | - |
| 랴오닝 성(遼寧省) | 랴오(遼) | 선양(瀋陽) | 선양(瀋陽)、다롄(大連) |
| 랴오베이 성(遼北省) | 타오(洮) | 랴오위안(遼源) | - |
| 러허 성(熱河省) | 러(熱) | 청더(承德) | - |
| 산둥 성(山東省) | 루(魯) | 지난(濟南) | 칭다오(青島) |
| 산시 성(陜西省) | 산(陜) | 시안(西安) | 시안(西安) |
| 산시 성(山西省) | 진(晉) | 양취(陽曲) (현재의 타이위안(太原)) |
- |
| 시캉 성(西康省) | 캉(康) | 캉딩(康定) | - |
| 신장 성(新疆省) | 신(新) | 디화(迪化) (현재의 우루무치(烏魯木齊)) |
- |
| 싱안 성(興安省) | 싱(興) | 하이라얼(海拉爾) | - |
| 쑤이위안 성(綏遠省) | 쑤이(綏) | 구이쑤이(歸綏) (현재의 후허하오터(呼和浩特)) |
- |
| 쑹장 성(松江省) | 쑹(松) | 무단장(牡丹江) | 하얼빈(哈爾濱) |
| 쓰촨 성(四川省) | 촨(川) | 청두(成都) | 충칭(重慶) |
| 안둥 성(安東省) | 안(安) | 퉁화(通化) | - |
| 안후이 성(安徽省) | 완(皖) | 허페이(合肥) | - |
| 윈난 성(雲南省) | 뎬(滇) | 쿤밍(昆明) | - |
| 장시 성(江西省) | 간(贛) | 난창(南昌) | - |
| 장쑤 성(江蘇省) | 쑤(蘇) | 전장(鎮江) | 상하이(上海)、난징(南京)(수도) |
| 저장 성(浙江省) | 저(浙) | 항저우(杭州) | - |
| 지린 성(吉林省) | 지(吉) | 지린(吉林) | - |
| 차하얼 성(察哈爾省) | 차(察) | 장위안(張垣) (현재의 장자커우(張家口)) |
- |
| 칭하이 성(青海省) | 칭(青) | 시닝(西寧) | - |
| 타이완 성(台灣省) | 타이(臺) | 타이베이(臺北)주3 | 타이베이(臺北)、가오슝(高雄) |
| 푸젠 성(福建省) | 민(閩) | 푸저우(福州)주4 | - |
| 허난 성(河南省) | 위(豫) | 카이펑(開封) | - |
| 허베이 성(河北省) | 지(冀) | 칭위안(清苑) (현재의 바오딩(保定)) |
베이핑(北平)、톈진(天津) |
| 허장 성(合江省) | 허(合) | 자무쓰(佳木斯) | - |
| 헤이룽장 성(黑龍江省) | 헤이(黑) | 베이안(北安) | - |
| 후난 성(湖南省) | 샹(湘) | 창사(長沙) | - |
| 후베이 성(湖北省) | 어(鄂) | 우창(武昌) | 한커우(漢口) |
| 하이난 특별행정구(海南特別行政區) | 충(瓊) | 하이커우(海口) | - |
| 티베트 지방(西藏地方) | 짱(藏) | 라싸(拉薩) | - |
| 몽골 지방(蒙古地方)주2 | 멍(蒙) | 쿠룬(庫倫) (현재의 울란바토르) |
- |
| 주1:1949년에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으로 이전하기 전의 행정구역은 35개 성, 1개 지방(몽골 제외), 1개 특별행정구, 12개 직할시(타이베이와 가오슝은 이후에 승격되었다.)였다. 주2:몽골 지방은 외몽고를 뜻한다. 중화민국은 몽골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중화민국 영토의 일부로 간주한다. 주3:타이완 성 성 정부 소재지는 1957년 6월 30일에 난터우 현(南投縣)의 중싱신춘(中興新村)으로 이전하였다. 주4:푸젠 성의 성 정부 소재지는 1949년 8월에 진먼 현(金門縣)으로 이전하였다. |
|||
|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 ||
|---|---|---|
| 성 | 타이완 성 | 푸젠 성 | |
| 직할시 | 가오슝 시 | 타이베이 시 | |
| 현(타이완 성) | 가오슝 현 | 난터우 현 | 먀오리 현 | 신주 현 | 윈린 현 | 이란 현 | 자이 현 | 장화 현 타오위안 현 | 타이난 현 | 타이둥 현 | 타이베이 현 | 타이중 현 | 펑후 현 | 핑둥 현 | 화롄 현 |
|
| 시(타이완 성) | 신주 시 | 자이 시 | 지룽 시 | 타이난 시 | 타이중 시 | |
| 현(푸젠 성) | 롄장 현 | 진먼 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