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총대주교(總大主敎, Patriarcha)는 유대인들의 가부장(家父長), 씨족장, 부족장을 의미하는 말에서 나와 4세기부터 그리스도교에서 쓰이기 시작하였으며 동로마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 이후로는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등 5개 주요 교구들의 최고권자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1054년의 교회 대분열 이후 로마 가톨릭에서는 총대주교의 중요성이 급격히 감소되었으나 동방 정교회에는 특정 지방이나 같은 전례가 행해지는 지역의 최고권자로서 총대주교가 건재하고 있다. 이들은 모든 대주교 및 주교의 선출을 확인하고 이들에게 주교 서품을 집행하며, 관하 주교들을 처벌하고 전체 지역의 상소심(上訴審)을 심판하며 수도원을 주교의 관할권으로부터 면속시키는 등 실제적인 재치권(裁治權)을 행사하고 있다.
[편집] 고대 5대 총대주교
[편집] 동방 정교회의 총대주교
-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의 우두머리이자 동방 정교회의 정신적 수장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정교회의 우두머리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정교회의 우두머리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예루살렘 정교회의 우두머리
- 모스크바 총대주교 - 러시아 정교회의 우두머리
- 그루지야 총대주교 - 그루지야 정교회의 우두머리
- 세르비아 총대주교 - 세르비아 정교회의 우두머리
- 루마니아 총대주교 - 루마니아 정교회의 우두머리
- 불가리아 총대주교 - 불가리아 정교회의 우두머리
[편집] 동방 가톨릭의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의 콥틱 가톨릭 총대주교 - 콥틱 가톨릭교회의 우두머리
- 안티오키아의 시리아 가톨릭 총대주교 - 시리아 가톨릭교회의 우두머리
- 안티오키아의 메르키트 동방 가톨릭 총대주교 - 메르키트 동방 가톨릭교회의 우두머리
- 안티오키아의 마로니트 총대주교 - 마로니트교회의 우두머리
- 바빌론의 가르데아 가톨릭 총대주교 - 가르데아 가톨릭교회의 우두머리
- 킬리기아의 아르메니아 가톨릭 총대주교 - 아르메니아 가톨릭교회의 우두머리
[편집] 바깥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