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기독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
[편집] 경교의 전래
실크로드의 교류를 통하여 7세기 네스토리우스파가 당나라에 전해져 경교라 불리웠다. 장안에 대진사를 세울 정도로 교세가 번창했으나, 무종의 탄압으로 소멸되었다.
[편집] 몬테코르비노의 선교
13세기에 프란치스코회의 몬테코르비노의 지오반니 신부가 교황 니콜라오 4세의 친서를 원나라의 쿠빌라이 칸에게 전달하고 선교를 공인받아 중국 북부에서 많은 신자들을 얻었다. 그러나 원나라가 명나라에 밀려 북쪽으로 퇴각하자 중국의 기독교는 다시금 소멸되었다.
[편집] 예수회의 선교
16세기에 예수회에 의해 중국 기독교 선교가 재개되었다. 이미 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 인도, 일본에 이어 중국 선교를 시작했으나, 중국 남부의 상천도(上川島)에서 극소수의 신자를 얻었을 뿐이다. 그 다음에 마테오 리치가 1582년 마카오 상륙을 시작으로 천주실의를 저술하는 등 열성적인 선교로 서광계 등이 입교하는 등 많은 성과를 보았다. 1644년 명나라 대신 청나라가 중국을 지배하였으나, 아담 샬 폰 벨, 페르비스트 등 예수회 선교사들은 청나라 황궁에서 학자로 활동하는 등 그 수완을 인정받았다. 강희제는 1692년 기독교를 공인하였다.
[편집] 19세기 이후
19세기 이후의 중국 기독교는 서구 열강의 쇄도와 함께 식민주의라는 변질된 경로로 들어오는 듯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정통에서 이탈한 태평천국과 같은 신비주의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 이 문서는 중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정리가 필요한 문서 | 진행중 | 중국 토막글 | 종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