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헌법학(憲法學)은 헌법에 대한 제 사항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넓게는 헌법해석학과 헌법철학, 헌법사, 헌법정책학 등의 여러 분야를 포괄하지만, 좁게는 헌법해석학만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목차 |
[편집] 분류
[편집] 고바야시 나오키
일본 도쿄 대학의 헌법학자 고바야시 나오키는 헌법학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1]. 대한민국에서도 종종 그의 분류가 통용되기도 한다.
- 이론헌법학
- 일반헌법학, 헌법원리론
- 헌법사 및 헌법학설사, 헌법사상사
- 비교헌법학(비교헌법사를 포함)
- 헌법사회학(헌법의 정치학·사회학·심리학적 연구)
- 실용헌법학
- 헌법해석학
- 헌법정책학(실천적 헌법론을 포함)
대한민국의 헌법학자 권영성은 고바야시 나오키와 비슷한 분류를 제시하였다[2]
- 이론헌법학
- 헌법철학·헌법원리론
- 헌법사·헌법학설사·헌법사상사
- 일반헌법학·개별헌법학(국가별)
- 비교헌법학
- 헌법사회학
- 실용헌법학
- 헌법해석학
- 헌법정책학
[편집] 김철수
대한민국의 헌법학자 김철수는 헌법학을 크게 헌법철학과 헌법과학으로 구분하였다[3].
- 헌법철학
- 헌법철학사·학설사·사상사
- 헌법존재론·헌법가치론
- 헌법학방법론·헌법원리론
- 헌법과학
- 대상
- 일반헌법학
- 비교헌법학
- 특수헌법학
- 방법
- 헌법사학
- 헌법이론학
- 헌법해석학
- 헌법사회학
- 헌법정책학
- 대상
[편집] 주석
[편집] 같이 보기
- 헌법총론
- 기본권론
- 통치구조론
| 법 | |||
| 법의 분류 | 헌법 행정법 민법 상법 형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 노동법 국제법 (조약) 국제사법 | ||
|---|---|---|---|
| 법체계 | 대륙법 영미법 관습법 종교법 | ||
| 법의 연원 | 성문법 헌법 법률 명령 조례 규칙 조약 불문법 관습법 판례 조리 |
||
| 법학 | 법철학 법사회학 법제사학 비교법학 법해석학 법정책학 |
||
| 주요 개념 | 로마법 만민법 게르만법 법언 법의 해석 법률행위 의사표시 재판 형벌 권리 의무 법치주의 물건 ( 동산 | 부동산 ) 인권 국가 민주주의 |
||
| 세계의 법 | 경국대전 대한민국 헌법 ( 역사 ) 행정수도법 결정 대일본제국 헌법 일본국 헌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마그나 카르타 아메리카 합중국 헌법 아메리카 합중국 수정헌법 바이마르 헌법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
||
| 법률 영역의 목록 참조. | |||
| 이 문서는 법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