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시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시연
(げんしけん)
장르 아키하바라 스타일 청춘광시곡[1]
만화: 현시연
작가 기오 시모쿠(木尾士目)
그림 기오 시모쿠
출판사 일본: 고단샤(講談社)
대한민국: 북박스
레이블 일본: 애프터눈 KC(アフタヌーンKC)
대한민국: 비비 코믹스(BB Comics)
발매일 2002년 - 2006년
권수 9권(완결)
애니메이션 : げんしけん
원작 げんしけん
감독 이케하타 다카시(池端隆史)
제작사 젠코(ジェンコ)
팜 스튜디오(パルムスタジオ)
방송사 치바테레비
방영시기 2004년 10월 10일 - 2004년 12월 26일
화수 12화(완결)
저작권 표기 ©현시연연구회(現視研研究会)
애니메이션 : げんしけん OVA
원작 げんしけん
감독 미즈시마 고토무(水島努)
제작사 아지아도(亜細亜堂)
방송사 OVA
방영시기 -
화수 3화(미완결)
저작권 표기 ©릿쿄인학원 학생회(立橋院学園生徒会)

현시연》(일본어: げんしけん,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Modern Visual Culture)은 일본만화가 기오 시모쿠(木尾士目)의 작품이다.

일본 고단샤에서 발행하는 만화 잡지 《월간 애프터눈(月刊アフタヌーン)》에 2002년 6월호부터 2006년 7월호까지 연재되고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2004년 가을에는 총 12화 규모의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져 방영되었고, 2007년 4월 두번째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제작을 발표하고 2007년 10월 《현시연 2(げんしけん2》라는 제목으로 방영할 것을 예고했다.

'현대 시각 문화 연구회(現代視覚文化研究会 겐다이시카쿠분카켄큐카이)' 줄여서 현시연(現視研 겐시켄)라는 이름의 오타쿠 동아리 회원들의 생활을 중심 소재로 다룬 작품으로, 주인공 사사하라 간지가 학교에 입학하고 부터 졸업하기 까지의 시간인 2002년 4월부터 2006년 3월을 약간의 예외는 있지만 한 달씩 거의 실시간으로 그려냈다.

작품 내에서 다뤄지는 판권물 이야기는 보통 제목이 약간 변형되어 표현되며, 판권물의 캐릭터를 바탕으로 한 코스튬 플레이에서는 별다른 수정 없이 표현되어 있다.

작품 내에서 인기 만화·애니메이션으로 설정되어 있는 작중작(作中作) 《제비뽑기 언밸런스(くじびきアンバランス)》도 인기를 얻어 별도로 애니메이션이 방영되고, 만화가 연재되고 있으며, 한편 에로 게임·애니메이션으로 설정되어 있는 또 다른 작중작인 《라면 천사 프리티 멤마(ラーメン天使プリティメンマ)》도 애니메이션 제작이 예정되어 있다.

현대 시각 문화 연구회의 이름은 작가의 모교인 쓰쿠바 대학교의 실존 동아리 '현대 시각 문화 연구회'에서 이름을 따왔다. 또 무대가 되는 시오 대학교(椎応大学)는 일본의 쥬오 대학교를 본떠 만든 가공의 학교로, 월간 애프터눈의 초대 편집장이었던 구리하라 요시유키(栗原良幸)가 쥬오 대학교 출신이다.

이 만화의 영향으로 쥬오 대학교에 '현대 시청각 문화 연구반'이라는 동아리가 만들어졌다.

목차

[편집] 서지정보

9권의 만화책이 발매되어 있으며, 1권부터 3권까지는 박정훈, 4권부터 9권까지는 maria의 번역으로 북박스 비비 코믹스에서 출간하였다.

  1. 2003년 8월. 200쪽, ISBN 8956623465
  2. 2003년 8월. 200쪽, ISBN 8956623473
  3. 2004년 1월. 200쪽, ISBN 8956624720
  4. 2004년 8월. 200쪽, ISBN 8957576347
  5. 2004년 12월. 169쪽, ISBN 8957578536
  6. 2005년 7월. 175쪽, ISBN 8959244287
  7. 2006년 3월. 203쪽, ISBN 895986286X
  8. 2006년 10월. 199쪽, ISBN 8959869740
  9. 2007년 3월. 191쪽, ISBN 9788925506074
일본어판 현시연은 9권으로 완결이지만 한국어판에는 10권을 기대해 달라는 메세지가 쓰여 있다. 정식 한국어판 출판사인 북박스는 이에 대해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고 있다.

[편집] Project G

현시연 6권, 9권 특장판에는 현업 만화가 및 성우들이 현시연과 제비뽑기 언밸런스를 소재로 그린 동인지가 부록으로 포함되어 있는데, 각각 Project G, Project G2라 불린다.

한국어판에서 앞표지는 현시연의 일본어판 특장판의 커버 앞표지를 사용하였으며, 일본어판 동인지의 앞표지는 한국어판에서 뒤표지로 사용했다.

권별 참여자는 다음과 같다.

[편집] Project G

야구모 겐고(표지), 아사리 요시토, 시무라 다카코, 다마루 히로시, 구메타 고지, 히카와 헤키루, 소노다 겐이치, 아마즈메 류타, 모모세 다마미, 니노미야 히카루, 히라노 고타, TAGRO, 우타타네 히로유키, 사쿠라 다마키치

[편집] Project G2

미쓰미 미사토(표지), 나루코 하나하루, 하타 겐지로, 모리야마 다이스케, 스즈키 지로, 사무라 히로아키, 이시다 아쓰코, 세구치 다카히로, 후지키 순, 이누가미 스쿠네, 고메 게이토, 야스히코 요시카즈, 기즈키 아키라+사토 난키, 다케시타 겐지로, 야스나가 고이치로, 아리마 게이타로, 시노후사 로쿠로, 미즈하시 가오리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 자료

  1. 정식 한국어판 단행본 9권 뒷표지

[편집] 관련된 주제

[편집] 바깥 고리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