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성부(漢城府)는 조선 시대 서울특별시의 이름이자, 그 지역을 담당하여 관할하는 관청이다. 일정한 지역을 담당하는 점에서는 일반적인 지방 기관과 같지만, 수도라는 점에서 중앙관청으로 인정하였으며 육조와 같은 격의 관청으로 대우하였다. 형조·사헌부와 함께 삼법사(三法司)라고도 불렸다. 서울의 호구, 시장 및 점포와 가옥 및 토지, 산, 도로, 교량, 하천 등의 관리와 재정 및 사법, 검시, 고실 등의 일을 담당했다.
목차 |
[편집] 연혁
조선의 태조 이성계가 1392년에 나라를 세워 1394년 10월에 도읍지를 개성에서 한양으로 천도한 후, 그 다음해인 1395년(태조 7년) 6월 6일에 한양부(漢陽府)의 명칭을 한성부(漢城府)로 고쳤다. 한양 천도 당시에 궁궐과 관청이 세워진 지역에 살던 백성들을 현주(見州)로 옮기고 양주군(楊州郡)이라 고친 바 있다.
[편집] 구성
[편집] 직제
| 품계 | 관직 | 정원 | 비고 |
|---|---|---|---|
| 정2품 | 판윤 | 1명 | |
| 종2품 | 좌윤 우윤 |
각 1명 | |
| 종4품 | 서윤 | 1명 | |
| 종5품 | 판관 | 2명 | |
| 정7품 | 참군 | 3명 | 1명은 통례원의 인의가 겸한다. |
[편집] 행정 구역
동·서·남·북·중(中)의 오부로 구성되었으며, 이 아래에는 방(坊)과 계(契)·동(洞)으로 나뉘었다.
[편집] 참고
| 조선의 행정기관 | |||
| 의정부 승정원 의금부 사헌부 사간원 집현전 규장각 훈련도감 포도청 한성부 개성부 종친부 충훈부 의빈부 돈녕부 봉조하 중추부 내금위 겸사복 오위도총부 경연 |
|||
| 이조 | 충익부 내시부 상서원 종부시 사옹원 내수사 액정서 | ||
| 호조 | 내자시 내섬시 사도시 사섬시 군자감 제용감 사재감 풍저창 광흥창 전함사 평시서 사온서 의영고 장흥고 사포서 양현고 오부 |
||
| 예조 | 홍문관 예문관 성균관 춘추관 승문원 통례원 봉상시 교서관 내의원 예빈시 장악원 관상감 전의감 사역원 세자시강원 종학 소격서 종묘서 사직서 빙고 전생서 사축서 혜민서 도화서 활인서 귀후서 사학 문소전 연은전 |
||
| 병조 | 5위 훈련원 사복시 군기시 전설사 세자익위사 | ||
| 형조 | 장례원 전옥서 | ||
| 공조 | 상의원 선공감 수성금화사 전연사 장원서 조지서 와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