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중국의 역사 |
|||||||
|---|---|---|---|---|---|---|---|
| 신화와 고대 | |||||||
| 선사시대 | |||||||
| 삼황오제 | |||||||
| 하 기원전2000? – 기원전1600? | |||||||
| 상 기원전1600? – 기원전1046 | |||||||
| 주 기원전1122 – 기원전256 | |||||||
| 서주 | |||||||
| 동주 | |||||||
| 춘추 시대 | |||||||
| 전국 시대 | |||||||
| 제국의 시대 |
|||||||
| 진 기원전221 – 기원전206 | |||||||
한 기원전206 – 서기220 |
|||||||
| 전한 | |||||||
| 신 8 – 23 | |||||||
| 후한 |
|||||||
| 삼국 시대 220–280 | |||||||
| 위, 촉, 오 | |||||||
| 진 265 – 420 | |||||||
| 서진 | |||||||
| 동진 | 오호십육국 304–439 |
||||||
| 남북조 시대 420 – 589 | |||||||
| 수 581 – 619 | |||||||
당 618 – 907 무주 690 – 705 |
|||||||
| 오대십국 907 – 960 |
요 907 – 1125 |
||||||
| 송 960 – 1279 |
|||||||
| 북송 | 서하 1038 – 1227 |
||||||
| 남송 | 금 1115 – 1234 |
||||||
| 원 1271 – 1368 | |||||||
명 1368 – 1644 |
|||||||
청 1644 – 1912 |
|||||||
| 현대의 중국 |
|||||||
| 중화민국 1911 – 현재 | |||||||
| 중화인민공화국 1949 – 현재 |
|||||||
청나라(淸-) 또는 청 제국(淸帝國)은 1616년 여진족의 누르하치가 세운 나라이다. 초기에는 금(흔히 “후금”이라 부름)이었다가 후에 청으로 국호를 바꿨다. 청은 한족의 명나라뿐 아니라 주변의 몽골, 위구르, 티베트를 모두 통합하여 몽골제국(원나라)을 제외한 역대 중국 왕조 중에서 가장 큰 영토를 이루게 되며 이민족으로서 가장 오랫동안 중국을 통치하게 된다.
청나라의 국가는 1911년에 제정한 궁 진어우이다.
목차 |
[편집] 청나라의 건국
1616년 만주족인 누르하치가 만주를 통일하고, 예전에 만주족의 다른 이름인 여진족이 세웠던 금나라를 잇는다는 뜻에서 후금(後金)이란 이름의 나라를 세우며 시작되었다. 그 후계자 홍타이지는 국호를 청(淸)으로 고치고 주변 각국을 침공하여 영토를 확장함과 동시에 군사·행정 제도인 팔기(八旗) 체제를 확립하였다. 홍타이지의 다음에 즉위한 순치제(順治帝) 때 청의 팔기군이 명나라 수도였던 베이징을 점령하고 수도로 삼았다.
[편집] 청나라의 성장과 쇠퇴
만주족이 세운 청은 원나라와는 달리 한족을 중용하였으며 그들의 선진 문화를 수용하기에 힘썼다. 순치제에 이어 강희제(康熙帝)가 즉위한 초기까지 오삼계(吳三桂) 등 청나라에 걸림돌이 되는 세력들이 있었으나 1683년 모두 진압되고 대만도 청나라 영토로 편입되었다.
이후 옹정제(雍正帝)·건륭제(乾隆帝)까지 3대에 걸쳐 주변 각국을 침공·정복하여 더러는 직접 지배하고 더러는 조공국(朝貢國)으로 삼아 일대 전성기를 이루었다. 그러나 백련(白蓮, 1796년-1804년),·천리(天理, 1813년)의 난을 계기로 청나라는 점차 쇠퇴로 기울었다.
영국은 1792년 매카트니를 시작으로 이후 몇 차례에 걸쳐 중국에 사절단을 보내 문호개방을 권유하였으나 오직 광저우만 개항되었을 뿐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마침내 삼각무역(아편무역)을 거쳐 영국내 대다수 정치인들도 반대한 침략전쟁인 아편 전쟁(1840년-1842년)으로 이어졌다. 1842년 난징조약으로 홍콩이 99년간 영국에 넘어가고 샹하이 등 5개 항구가 개항되었다. 이후 중국에서의 이권 확보를 위해 서구 열강이 쇄도해옴으로써 중국은 역사상 유례 없이 휘청거렸다.
1851년 홍수전(洪秀全)이 기독교 성격의 사회운동인 태평천국 운동을 일으켰다. 태평천국은 외형상 홍수전이 야훼의 자식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아우라 자칭하면서 기독교를 표방했으나, 내면에서는 만주족 지배로부터의 한족의 독립, 토지의 균등한 분배, 만민 평등을 주장한 사회혁명이었다. 청나라는 영국·프랑스와의 군사 분쟁(애로 호 전쟁, 1856년-1860년)까지 겹쳐 태평천국에게는 그야말로 호재였다. 그러나 흥수전에 대한 우상화를 경계한 서구 열강과 청나라 조정의 협공으로 태평천국은 휘청거리더니 1864년 천경(天京:태평천국이 난징을 고쳐 부른 이름)이 함락되고 홍수전도 자살함으로써 그 막을 내렸다.
이제 청나라의 선택은 서양문물의 도입을 통한 부국강병이었다. 1860년대 이후에 전개된 양무(洋務)운동은 증국번(曾國藩)·이홍장(李鴻章) 등의 주도하에 군함 등 신식 무기를 제조하고 관련 공업을 진흥시켜 중국 산업화의 기원이 되었다. 그러나 이는 거의 정부 관리의 감독을 받았기 때문에 한계 요인을 안고 있었다. 1894년-1895년의 청일전쟁이 청나라의 패배로 끝나 양무 운동은 수포로 돌아가고 중국을 둘러싼 열강의 각축은 더욱 치열한 양상을 띠었다.
1898년 캉유웨이(康有爲)·량치차오(梁啓超) 등은 일본의 메이지유신(明治維新)을 모델로 하여 무술(戊戌)개혁으로 입헌군주제를 확립하고자 했으나 서태후(西太后)·이홍장 등 기존세력의 반격으로 수포로 돌아갔다. 이후 1899년에 일어난 의화단(義和團)과 열강 8국의 연합군이 1900년 베이징에서 격돌한 북청(北淸)사변과 그 수습을 위한 베이징 의정서(1901년)를 거쳐 1904년-1905년의 러일 전쟁은 중국에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 자신들이 한때 '왜적'이라고 깔보았던 일본이 세계최강의 군사대국 러시아를 물리쳤기 때문이다.
이제 청나라의 선택은 근본적인 개혁뿐이었다. 서태후는 유학생을 일본 등에 보내 선진국의 헌법과 의회 제도에 대해 알아보게 했으며, 국내적으로도 낡은 과거 제도 대신 각지에 대학을 세워 신학문의 연구 기반을 조성하는 한편 최신식 군대도 만들었다. 그러는 중에 각지에서 한족 공화국을 지향하는 혁명세력이 움트고 있었다.
결국 청은 신해혁명(1911년)으로 인해 1912년 멸망하였고, 위안스카이가 중화민국의 대총통으로 취임하면서 그 영토를 계승하였다.
[편집] 청의 전성기 3명의 황제
[편집] 강희제 (1662~1722)
순치제가 사망하자 8세로 즉위한다. 15세때의 친정을 시작하여 오배의 난, 삼번의 난을 진압하고 대만을 복속함으로써 진정한 통일을 이루게 된다. 러시아가 강점한 네르친스크를 회복하기 위한 전쟁을 승리하여 네르친스크 조약을 체결하고 스타노보이 산백과 흑룡강을 따라 러시아와 국경을 확정한다. 또한 아직까지 완전히 충성을 맹세하지 않던 몽골을 정복하여 영토를 넓혔다. 문화적으로는 한자 5만여자를 부수별, 획수별로 분류한 강희자전을 편찬케한다. 광동을 중심으로 서양과의 무역이 크게 발달한다. 69세의 나이로 사망하며 아들 35명과 딸 20명이 있었다.
[편집] 옹정제 (1722~1735)
강희제가 사망하자 45세의 넷째 아들 옹정제가 즉위한다. 옹정제는 형제의 난에서 승리하여 부황의 후계자가 되었다.옹정제는 통치체제를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먼저 세금을 단일화 하여 국민들의 부담을 덜어준다. 문화적으로는 강희제때 시작한 백과사전 고금도서집성을 완성한다. 그러나 만주족을 비방하는 것을 억누르는 문자의 옥이라는 사상탄압을 한다. 옹정제는 지방관리가 올린 보고서를 꼼꼼히 읽고 자신의 의견을 적어 보냈는데 이때 붉은 글씨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주필이라고 불렀다. 하루 4시간밖에 자지않고 정무에 몰두하다가 과로때문에 세상을 떠난다. 하지만 옹정제의 최후에는 아직도 의혹이 많이 남아있다.
[편집] 건륭제 (1735~1795)
건륭제는 몽골제국을 제외한 중국의 역대왕조중에서 가장 큰 영토를 완성하였다. 이 당시의 영토는 몽골, 신강, 티베트를 모두 포함하였다. 또한 미얀마, 태국, 베트남등을 침공 속국으로 삼는다. 그리고 처음으로 인구도 3억을 넘어섰다. 명나라의 인구가 6천만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엄청난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적으로는 사고전서를 편찬, 경전과 역사서, 철학서, 문집을 모두 모아 10만권을 만들었다. 이 편찬사업을 통하여 한족지식인들을 감시하는 방법으로 사용하였고 청조통치에 문제가 있는 내용들은 폐기하였다. 이러한 편찬사업은 금석학의 발전을 가져왔다.
[편집] 청나라의 행정구분
통치 행정 구역의 구분: 성-부-주-현-청 (省 府 州 縣 廳)
[편집] 역대 황제
[편집] 건주 여진(建州 女眞) 추장 <후금 건국 전까지>
| 대수 | 묘호 | 시호 | 성명 | 재위기간 |
|---|---|---|---|---|
| - | 청 시조 (淸始祖) (청 태조 추숭) |
- | 애신각라포고리옹순 (愛新覺羅布庫里雍順) |
- |
| - | 청 조조 (淸肇祖) (청 태조 추숭) |
원황제 (原皇帝) |
애신각라맹특목 (愛新覺羅孟特穆) |
1405년 ~ 1433년 |
| - | - | 순황제 (純皇帝) (청 태조 추숭) |
애신각라충선 (愛新覺羅充善) |
1433년 ~ 1467년 |
| - | - | 흥황제 (興皇帝) (청 태조 추숭) |
애신각라탈라 (愛新覺羅脫羅) |
1467년 ~ 1481년 |
| - | - | 정황제 (正皇帝) (청 태조 추숭) |
애신각라석보제편고 (愛新覺羅錫寶齊篇古) |
1481년 ~ 1522년 |
| - | 청 흥조 (淸興祖) (청 태조 추숭) |
직황제 (直皇帝) |
애신각라복만 (愛新覺羅福滿) |
1522년 ~ 1542년 |
| - | 청 경조 (淸景祖) (청 태조 추숭) |
익황제 (翼皇帝) |
애신각라각창안 (愛新覺羅覺昌安) |
1542년 ~ 1571년 |
| - | 청 현조 (淸顯祖) (청 태조 추숭) |
선황제 (宣皇帝) |
애신각라탑극세 (愛新覺羅塔克世) |
1571년 ~ 1583년 |
| 제1대 | 청 태조 (淸太祖) |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입극인효 예무단의흠안홍문정업고황제 (承天廣運聖德神功肇紀立極仁孝 睿武端毅欽安弘文定業高皇帝) |
애신각라노이합적 (愛新覺羅努爾哈赤) (누르하치) |
1583년 ~ 1616년 |
[편집] 후금(後金, 1616년 ~ 1636년)
| 대수 | 묘호 | 시호 | 성명 | 연호 | 재위기간 |
|---|---|---|---|---|---|
| 제1대 | 청 태조 (淸太祖) |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입극인효 예무단의흠안홍문정업고황제 (承天廣運聖德神功肇紀立極仁孝 睿武端毅欽安弘文定業高皇帝) |
애신각라노이합적 (愛新覺羅努爾哈赤) (누르하치) |
천명(天命) | 1616년 ~ 1626년 |
| 제2대 | 청 태종 (淸太宗) |
응천흥국홍덕창무관온인성 예효경민소정융도현공문황제 (應天興國弘德彰武寬溫仁聖 睿孝敬敏昭定隆道顯功文皇帝) |
애신각라황태극 (愛新覺羅皇太極) (홍타이지) |
천총(天聰) | 1626년 ~ 1636년 |
[편집] 청(淸, 1636년 ~ 1912년)
| 대수 | 묘호 | 시호 | 성명 | 연호 | 재위기간 |
|---|---|---|---|---|---|
| 제2대 | 청 태종 (淸太宗) |
응천흥국홍덕창무관온인성 예효경민소정융도현공문황제 (應天興國弘德彰武寬溫仁聖 睿孝敬敏昭定隆道顯功文皇帝) |
애신각라황태극 (愛新覺羅皇太極) (홍타이지) |
숭덕(崇德) | 1636년 ~ 1643년 |
| - | 청 성종 (淸成宗) (청 세조 추숭) |
무덕수원광업정공 안민입정성경의황제 (懋德修遠廣業定功 安民立政誠敬義皇帝) |
애신각라도이곤 (愛新覺羅多爾袞) (도르곤) |
- | - |
| 제3대 | 청 세조 (淸世祖) |
체천융운정통건극영예흠문 현무대덕홍공지인순효장황제 (體天隆運定統建極英睿欽文 顯武大德弘功至仁純孝章皇帝) |
애신각라복림 (愛新覺羅福臨) |
순치(順治) | 1643년 ~ 1661년 |
| 제4대 | 청 성조 (淸聖祖) |
합천홍운문무예철공검관유 효경성신중화공덕대성인황제 (合天弘運文武睿哲恭儉寬裕 孝敬誠信中和功德大成仁皇帝) |
애신각라현엽 (愛新覺羅玄燁) |
강희(康熙) | 1661년 ~ 1722년 |
| 제5대 | 청 세종 (淸世宗) |
경천창운건중표정문무영명 관인신의예성대효지성헌황제 (敬天昌運建中表正文武英明 寬仁信毅睿聖大孝至誠憲皇帝) |
애신각라윤진 (愛新覺羅胤禛) |
옹정(雍正) | 1722년 ~ 1735년 |
| 제6대 | 청 고종 (淸高宗) |
법천융운지성선각체원입극 수문분무흠명효자신성순황제 (法天隆運至誠先覺體元立極 敷文奮武欽明孝慈神聖純皇帝) |
애신각라홍력 (愛新覺羅弘曆) |
건륭(乾隆) | 1735년 ~ 1795년 |
| 제7대 | 청 인종 (淸仁宗) |
수천흥운수화수유숭문경무 광유효공근검단민영철예황제 (受天興運敷化綏猷崇文經武 光裕孝恭勤儉端敏英哲睿皇帝) |
애신각라옹염 (愛新覺羅顒琰) |
가경(嘉慶) | 1795년 ~ 1820년 |
| 제8대 | 청 선종 (淸宣宗) |
효천부운입중체정지문성무 지용인자검근효민관정성황제 (效天符運立中體正至文聖武 智勇仁慈儉勤孝敏寬定成皇帝) |
애신각라민녕 (愛新覺羅旻寧) |
도광(道光) | 1820년 ~ 1850년 |
| 제9대 | 청 문종 (淸文宗) |
협천익운집중수모무덕진무 성효연공단인관민장검현황제 (協天翊運執中垂謨懋德振武 聖孝淵恭端仁寬敏莊儉顯皇帝) |
애신각라혁저 (愛新覺羅奕詝) |
함풍(咸豊) | 1850년 ~ 1861년 |
| 제10대 | 청 목종 (淸穆宗) |
계천개운수중거정보대 정공성지성효신민공관의황제 (繼天開運受中居正保大 定功聖智誠孝信敏恭寬毅皇帝) |
애신각라재순 (愛新覺羅載淳) |
동치(同治) | 1861년 ~ 1875년 |
| 제11대 | 청 덕종 (淸德宗) |
동천숭운대중지정경문 위무인효예지단검관근경황제 (同天崇運大中至正經文 緯武仁孝睿智端儉寬勤景皇帝) |
애신각라재첨 (愛新覺羅載湉) |
광서(光緖) | 1875년 ~ 1908년 |
| 비정통 | - | - | 애신각라부준 (愛新覺羅溥儁) |
보경(保慶) | 1899년 |
| 제12대 | 청 공종 (淸恭宗) |
민황제 (愍皇帝) (말대황제<末代皇帝>, 손황제<遜皇帝>) |
애신각라부의 (愛新覺羅溥儀) (푸이) |
선통(宣統) | 1908년 ~ 1912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