퉁구스카 폭발사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폭발로 쓰러진 나무. 1927년 쿨리크의 탐사에서 촬영
퉁구스카 폭발사건은 1908년 6월 30일 오전 7시 17분경에 지금의 러시아 시베리아 크라스노야르스크 크라이의 포트카멘나야퉁구스카 강 유역 북위 60° 55′, 동경 101° 57′ 지점에서 발생한 대규모의 공중폭발 사건이다. 폭발 에너지는 후에 10-15 메가톤 가량 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나무 6천만 그루에 해당하는 2,150 제곱킬로미터의 숲을 파괴하였다.파괴된 숲에서는 순록들의 시체와 옆으로 뉘여진 나무들이 발견되었다. 당시 목격자들은 장거리에 있던 기차를 타고 있었음에도 위력을 느꼈다고 했다.[1]
폭발의 원인으로는 수많은 가설이 나왔지만 소행성 또는 혜성의 파편이 지구에 충돌하면서 공중폭발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편집] 바깥고리
- http://www.aero.org/conferences/planetarydefense/2007papers/P4-1--Zlobin_Paper.pdf
- http://www.orc.ru/~azorcord/
- http://forest.akadem.ru/Articles/04/vaganov_en_1.pdf
[편집] 주석
- ↑ 학습그림과학/계몽사
| 이 문서는 러시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러시아 토막글 | 1908년 | 러시아의 역사 | 크라스노야르스크 크라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