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령 전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천문령 전투 | |||
|
|||
|
|||
|
|||
| 교전국 | |||
| 대조영군 | 거란족(당) | ||
| 지휘관 | |||
| 대조영 | 이진충 이해고 |
||
| 피해 상황 | |||
| 걸사비우, 대중상 | {{{사상자2}}} | ||
천문령 전투(天門嶺 戰鬪)는 699년, 발해 고왕 대조영(渤海 高王 大祚榮)과 당(唐) 왕조 하의 거란족(契丹族) 장수 이해고(李楷固)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신라(新羅)와 당의 연합군(나당 연합군)에 의해 고구려(高句麗)가 멸망한 후, 대조영은 부친 대중상(大仲象)을 따라 당의 영주(寧州)로 들어갔다. 696년 5월, 거란족의 이진충(李盡忠)과 손만영(孫萬榮)이 당 왕조에 반란을 일으켜 혼란이 일어난 틈을 타, 대중상과 말갈족(靺鞨族) 추장 걸사비우(乞四比羽)는 봉기하려는 준비를 했고, 측천무후(則天武后)의 유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고구려가 지난 날 통치했던 영토의 동쪽에 세력을 일으켰다.
당나라가 이진충을 보내 추격시켜 전투가 벌어졌고, 걸사비우와 대중상은 이때 전사하였다. 대조영은 말갈족과 고구려 출신의 인물들로 구성된 걸사비우와 대중상의 세력을 규합하여 당군에 대항하였다. 대조영은 천문령에서 당나라 군대를 격파하였고 발해를 건국할 기반을 닦게 되었다. 699년, 대조영은 오늘날 지린성(吉林城)에 있는 동모산 아래에서 진을 세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