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정 세계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협정 세계시(協定世界時, UTC)는 1972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국제 표준시이다. 1967년 국제도량형총회가 정한 세슘 원자의 진동수에 의거한 초의 길이가 그 기준으로 쓰이며, 그 이전에는 지구의 자전에 따른 평균 태양시와 지구의 공전으로 태양년에서 산출한 초의 길이로 쓰였다. 참고로 평균 태양시는 그리니치 평균시와 같다.

[편집] 약자

국제 전기 통신 연합은 협정 세계시에 대한 통일된 약자를 원했다. 그런데 영어권의 사람들과 프랑스어권의 사람들은 각각 자신의 언어로 된 약자인 "CUT"(영어: Coordinated Universal Time)와 "TUC"(프랑스어: Temps Universel Coordonné)를 사용하길 원했다. 이 분쟁은 결국 두 언어 모두 C, T, U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UTC"라는 약어를 탄생시켰다. "UTC"는 또한, 세계시(UT)와 그 변형 약어들("UT0", "UT1", "UT1R" 등)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약어이기도 했다.

"UTC"는 보통 "영어: Universal Time Code"이나 "영어: Universal Time, Coordinated"의 약어라 알려지기도 하는데 이는 틀린것이다.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