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방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방(曹芳, 231년 ~ 274년)은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제 3대 황제이다. 자는 난경(蘭卿)이다.

남몰래 조예가 들여온 아들로 어릴 때, 황태자에 책봉되었다. 양부 조예 사후 9살의 나이에 황위에 올랐다. 어린 나이에 황위에 올랐기 때문에 곽태후가 수렴청정을 하고, 고명대신인 조상, 사마의가 정치를 위임받았다. 조상이 사마의에게 패하자 권력은 사마의에게 옮겨졌고, 사마의가 죽고 사마사가 정권을 이어 받았다. 외척인 장집과 함께 사마씨를 토벌하고 황실의 위엄을 높이려 하였으나 사마사에게 발각되어 제왕(齊王)으로 강등되고 쫓겨난다. 진 왕조가 세워진 후에는 소릉공(邵陵公)으로 낮춰진다. 그의 시호는 여(廬), 정식으로는 소릉여공(邵陵廬公)이다.

그의 출신 성분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 우선 조예의 친자가 아니라는 것은 확실한 역사적 사실이다. 조조의 넷째 아들인 조창의 손자라는 설과 알려지지 않은 조씨 일족 중 한 사람으로 추정된다. 또한, 조예는 조비의 친자가 아닌 원희의 친자라는 설이 있어 원씨와도 혈연적 연계가 있을 가능성도 배제되지 않고 있다.

전 임
양부 위 열조 명제 조예
제3대 중국 황제
239년 - 254년
후 임
친족 위 폐제(고귀향공) 조모
전 임
양부 위 열조 명제 조예
중국 황제
239년 - 254년
후 임
친족 위 폐제(고귀향공) 조모


삼국지의 주요 등장 인물
군주 후한: 영제 - 소제 - 헌제
: 조조 - 조비 - 조예 - 조방 - 조모 - 조환
: 유비 - 유선
: 손견 - 손책 - 손권 - 손량 - 손휴 - 손호
: 사마염
기타: 공손찬 - 도겸 - 동탁 - 마등 - 여포 - 원소 - 원술 - 유요 - 유장 - 유표 - 장각 - 장로 - 장수 - 한복
참모 : 가후 - 곽가 - 만총 - 사마사 - 사마소 - 사마의 - 종요 - 순욱 - 순유 - 유엽 - 정욱 - 신비 - 진군
: 간옹 - 강유 - 등지 - 미축 - 방통 - 비의 - 손건 - 장완 - 제갈량 - 서서 - 마량 - 법정 - 동윤
: 고옹 - 노숙 - 육손 - 육항 - 장굉 - 장소 - 제갈근 - 제갈각 - 주유 - 보즐 - 노번 - 장제
: 가충 - 장화 - 진수
기타: 심배 - 봉기 - 이유 - 저수 - 전풍 - 진궁 - 신평 - 허유 - 괴량 - 괴월 - 곽도 - 진등 - 장송
장군 : 종회 - 등애 - 서황 - 악진 - 우금 - 이전 - 장합 - 장료 - 전위 - 하후돈 - 하후연 - 허저 - 관구검 - 제갈탄
: 관우 - 관평 - 관흥 - 마초 - 위연 - 장비 - 장포 - 조운 - 황충 - 요화 - 이엄 - 황권 - 마대 - 하후패
: 감녕 - 능통 - 서성 - 여몽 - 정보 - 한당 - 조무 - 황개 - 주연 - 주태 - 태사자 - 주환 - 정봉 - 여대
: 양호 - 두예 - 왕준 - 왕혼
기타: 기령 - 문추 - 안량 - 하진 - 화웅 - 고순 - 장연 - 문빙 - 장임
비한족 어부라(흉노) - 가비능(선비) - 답돈(오환) - 맹획(남만) - 부건(저족) - 황난(산월) - 아차새(강인) - 비미호(일본) - 동천왕(고구려)
기타 관로 - 남화노선 - 사마휘 - 손상향 - 우길 - 좌자 - 초선 - 화타


중국 삼국 시대의 역대 황제
조위
세조 문제 조비 | 열조 명제 조예 | 제왕 조방 | 고귀향공 조모 | 원제 조환
촉한
소열제 유비 | 후주 유선
손오
태조 대제 손권 | 회계왕 손량 | 경제 손휴 | 말제 손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