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리그 (스타크래프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로리그는 12개의 프로게임팀이 참가해서 팀간 대결하는 KeSPA주관의 스타크래프트 리그이다.
목차 |
[편집] 기원
이미 2002년 부터 팀 중심으로 뭉친 상태에서 팀간 리그가 필요한 상태였다. MBC게임은 발 빠르게 팀리그 개막을 위한 다양한 시장 조사와 실험을 시작한 상태에서, 온게임넷도 팀간리그를 진행하기로 기획하고 드디어 2003년 3월 1일 KTF 매직앤스와 AMD의 개막전으로 프로리그 역사의 장대한 막을 열었다.
[편집] 의의
[편집] 역대 프로리그
[편집] 2003년
[편집] 2003 KTF EVER
-
- 10개팀 소속 선수 3명의 랭킹을 점수로 합산해 예선 대진을 짬. 1등이 10등과 붙고, 2등이 9등과 붙는 방식으로 8개팀을 간추림.
-
- 본선
- 8개팀 풀리그뒤 6강을 추려 풀리그 (1위 결승직행 2,3위 플레이오프 5전 3선승제)
- [우승 동양 오리온, 준우승 한빛 스타즈, 3위 KTF MagicNs]
- 본선
[편집] 2003 네오위즈 피망
- 특이사항
- 본선
- 8개팀 풀리그뒤 4강을 가림
- 4강 풀리그뒤 1위 결승직행 2,3위 플레이오프
- 본선
- [우승 SUMA G.O, 준우승 투나 SG]
[편집] 2004년
[편집] 2004 SKY 프로리그 1라운드
- 특이사항
- 당시 최대규모의 스타크래프트 리그.
- 예선전이 없이 모든 팀들이 참여.
- [우승 한빛 스타즈, 준우승 SK텔레콤 T1]
- 경기방식
- 11개팀이 풀리그를 치뤄 1,2위팀이 결승직햏
- 비방송경기 도입
- 1라운드 최하위팀 2라운드 탈락
[편집] 2004 SKY 프로리그 2라운드
- 특이사항
- 새턴리그(토요일 경기)와 머큐리리그(수요일 경기)로 나누어서 경기함
- 플레이오프 5전3선승제 크로스 토너먼트
- 에이스결정전 방식의 재경기 시행
- [우승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준우승 Soul]
[편집] 2004 SKY 프로리그 3라운드
- 특이사항
- 2라운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 되나 2번씩 풀리그를 치룸
- KTF의 연승행진의 시작
- [우승 KOR, 준우승 KTF 매직엔스]
[편집] 2004 SKY 프로리그 그랜드파이널
- 특이사항
- 1,2,3라운드 우승자(한빛, 팬택앤큐리텔, KOR)와 와일드카드 1위(KTF)가 7전4선승제로 경기하였음
- 모든경기가 4:2로 끝남
-
- [우승 한빛 스타즈, 준우승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편집] 2005~2006년
[편집] 2005 SKY 프로리그 전기리그
- 특이사항
- 온게임넷, MBC게임 통합 팀간 리그
- 11개팀 풀리그로 2004년 1라운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됨
- 1경기를 3전2선승제에서 5전 3선승제로 변경
- 포스트시즌 도입
-
- [우승 SK텔레콤 T1, 준우승 KTF 매직엔스]
[편집] 2005 SKY 프로리그 후기리그
- 특이사항
- 전기리그 최하위였던 '이네이쳐 탑'팀이 탈락하여 후기리그 진출을 못하게 됨
- 10개팀이 2번 풀리그뒤 4강을 가려 포스트 시즌을 치룸
- 동시생중계로 진행된 최초의 프로리그 결승
-
- [우승 SK텔레콤 T1, 준우승 삼성전자 칸]
[편집] 2005 SKY 프로리그 그랜드파이널
- 특이사항
- SK텔레콤 T1이 트리플 크라운 달성
-
- [우승 SK텔레콤 T1, 준우승 KTF 매직엔스]
[편집] 2006 SKY 프로리그 전기리그
- 특이사항
- 동시생중계 전면 시행, 팀플레이 1경기로 축소(3경기마다 한번 팀플레이 진행)[7전4선승제에선 2경기]
- [우승 SK텔레콤 T1, 준우승 MBC게임 HERO]
[편집] 2006 SKY 프로리그 후기리그
- 특이사항
- 경기장을 이전한뒤 치룬 첫 프로리그, MBC게임은 최상용 캐스터의 복귀로 중계진의 변화가 생김
- [우승 MBC게임 HERO, 준우승 CJ 엔투스]
[편집] 2006 SKY 프로리그 그랜드파이널
- 특이사항
- 전기,후기 우승팀끼리 겨루는 통합챔피언전의 성격으로 변경
- [우승 MBC게임 HERO, 준우승 SK텔레콤 T1]
[편집] 2007년
[편집] 2007 신한은행 프로리그 전기리그
- 특이사항
[편집] 2007 신한은행 프로리그 후기리그
[편집] 역대 참가팀
[편집] 역대 리그방식
[편집] KTFever 2003
- 정규리그
- 1라운드 : 8개팀이 풀리그로 리그를 치뤄 6강을 가림
- 2라운드 : 6개팀이 풀리그로 4강을 가림
- 3라운드 : 4개팀이 풀리그를 거쳐 1위팀은 결승직행, 2위와 3위팀은 플레이오프를 치룸
- 정규리그 경기는 3전2선승제씩 하루 2경기 편성
- 풀리그 순위는 포인트제 방식사용 : 승부가 결정나도 3경기까지 경기를 치뤄야 함
- 플레이오프는 5전3선승제로 진행
- 결승은 7전4선승제로 진행
[편집] neowiz Pmang 2003-2004
- 정규리그
- 1라운드 : 8개팀이 풀리그로 리그를 치뤄 4강을 가림
- 2라운드 : 4개팀이 풀리그를 거쳐 1위팀은 결승직행, 2위와 3위팀은 플레이오프를 치룸
- 순위 매기는 방식은 지난시즌과 동일한 방식사용
- 플레이오프와 결승도 동일한방식으로 진행
[편집] SKY Proleague 2004
[편집] 1Round
- 정규리그
- 11팀이 풀리그를 거쳐 1,2위팀이 결승전진출
- 11위팀 2라운드 탈락
- 비방송 경기시행
- 주 4경기 편성(주2회 방송)
- 3번경기에서 3전2승제로 변경
[편집] 2Round
- 정규리그
- 10팀이 머큐리리그와 새턴리그로 나눠 5개팀씩 풀리그를 거쳐 각리그 1,2위팀이 플레이오프 진출
- 에이스 결정전도입(에이스 결정전 각 팀에서 1명씩나와 경기를 치뤄 순위를 가리는 프로리그 고유의 재경기 방식이다 2005년부터는 재경기 외에도 각경기 마지막 경기로 에이스 결정전방식으로 승패를 가림)
- 플레이오프
- 머큐리리그와 새턴리그의 1,2위팀이 크로스 토너먼트 방식으로 대결 ex)머큐리1위 vs 새턴2위 또는 머큐리2위 vs 새턴1위
- 5전3선승제로 승자가 결승전 진출
- 결승이 끝난뒤 2라운드 머큐리리그 최하위팀 vs 새턴리그 최하위팀이 5전3선승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뒤 그 경기에서 패한팀은 1라운드 최하위(1라운드 11위)팀과 5전3선승 경기를 치뤄 승자가 3라운드에 잔류하는 3라운드 진출전 경기를 치룸
[편집] 3Round
- 2라운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
[편집] Grand Final
- 1, 2, 3라운드 우승자와 와일드카드 1위 팀 끼리 대결을하여 우승자를 가림
- 대진은 프로리그 통합순위를 기준으로 결정
- 모든경기는 7전4선승제로 진행
- 각 라운드에 사용된 공식맵을 조합해 사용
[편집] SKY Proleague 2005
[편집] 전기리그
- 정규리그
- 11팀이 풀리그를 거쳐 4강을 가림
- 2004년과 마찬가지로 11위팀 후기리그 탈락
- 통합리그로 진행
- 주 6경기 편성(주3회 양 방송사 2원방송)
- 5전3승제로 변경
- 포스트시즌
-
- 전기리그1위팀은 결승으로 직행
- 준플레이오프 : 전기 3위팀 vs 전기 4위팀
- 플레이오프 : 준플레이오프 승리팀 vs 전기 2위팀
- 결승 : 플레이오프 승자 vs 전기 1위팀
-
[편집] 후기리그
- 정규리그
- 10개팀이 2번 턴하여 풀리그를 치뤄 4강을 가림
- 포스트시즌은 전기와 동일한 방식
[편집] Grand Final
- 2004년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
[편집] SKY Proleague 2006
- 정규리그
- 전, 후기 모두 11개팀 풀리그로 진행
- 전, 후기포스트시즌 : 2005년과 동일한 방식
[편집] Grand Final
- 전기 우승팀 vs 후기 우승팀의 대결로 바뀜
[편집] 신한은행 Proleague 2007
- 정규리그
- 전, 후기 모두 12개팀 풀리그로 2번 턴함
- 선발예고제 시행
- 전, 후기포스트시즌 : 2005년과 동일한 방식
[편집] 역대 상금
[편집] 역대 순위(SKY 프로리그 2004부터)
[편집] SKY 프로리그 2004
[편집] 역대 맵
- 2003 KTF Ever
- Nostalgia, Neo Bifrost, Guillotine, 신개마고원, Huntress, Neo Jungle Story
- 2003 Pmang
- Nostalgia, Another Day, Guillotine, 신개마고원, Huntress, Vertigo Plus
- 2004 SKY Round 1
- Nostalgia, XenoSky, Neo Guillotine, Requiem, Huntress, Vertigo Plus
- 2004 SKY Round 2
- Incubus 2004, XenoSky, Bifrost 3, Requiem, Odin, Mercury Zero
- 2004 SKY Round 3
- Incubus 2004, Neo Forbidden Zone, Alchemist, Requiem, Neo Guillotine, Eye in the Sky
- 2004 SKY Grand Final
- Incubus 2004, Neo Guillotine, XenoSky, Requiem, Odin, Vertigo Plus
- 2005 SKY 전기
- Neo Requiem, R-Point, Forte, Rush Hour, 우산국, Luna the Fianl
- 2005 SKY 후기
- Neo Requiem, R-Point, Neo Forte, Rush Hour II, 우산국, 철의 장막
- 2005 SKY Grand Final
- 철의 장막, R-Point, Neo Forte, Rush Hour II, 우산국, Luna the Final
- 2006 SKY 전기
- 815 III, 신 개척시대, 백두대간, Rush Hour III, Arcadia, The Eye, 망월, 철의 장막
- 2006 SKY 후기
- Arkanoid, Tau Cross, 신 백두대간, Longinus, Arcadia II, Blitz, 망월, Vampire
- 2006 SKY Grand Final
- Tau Cross, 신 백두대간, Longinus, Arcadia II, Blitz, 철의 장막, Vampire
- 2007 Shinhan Bank 전기
- Geometry, Tau Cross, 신 백두대간, Monty Hall, Python, 팔진도, 불의 전차, Vampire, DMZ(퇴출)
- 2007 Shinhan Bank 후기
- 백마고지, 운고로 분화구, Blue Storm, Monty Hall_SE, Python, Katrina, 성안길, 황산벌
[편집] 중계
[편집] 2003~2004년
- 온게임넷 단독 중계
- 토요일 2경기 중계
[편집] 2005년~2006년
- 온게임넷과 MBC게임 6대4로 중계
- 2005년 전기리그는 온게임넷, 2005년 후기리그, 그랜드파이널(통합챔피언전)은 MBC게임 중계
- 2005년 전기리그는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한경기씩 일원생중계로 방송.
- 2005년 후기리그는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한경기씩 이원생중계로 방송.
- 2006년 전기리그와 그랜드파이널(통합챔피언전)은 온게임넷, 2005년 후기리그는 MBC게임 중계
- 토요일 일요일 2경기 중계, 월요일 1경기 일원생중계로 방송.
[편집] 2007년
- 온게임넷과 MBC게임 5대5로 중계
- 토요일, 일요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한경기씩 이원생중계로 방송.
[편집] 논쟁
[편집] 통합리그 논란
[편집] 중계권 논란
- 이 부분의 본문은 KESPA입니다.
2007년 1월 협회는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에 중계권 개념을 도입해 중계권을 구입한 방송사에서만 리그를 중계할 수 있도록 하고, 중계 사업을 할 사업자를 공모하겠다고 발표했다. 기존에는 방송사들이 기업의 후원을 받아 방송을 제작했었고, 협회는 산업적 기반을 만들어나가기 위한 것이라 주장했다. 이에 기존에 리그를 방송하던 방송사들은 일방적인 중계 사업자 선정 사업에 유감을 표시했다.[1] 협회는 같은 달 31일 홀로 입찰에 참가한 IEG가 중계 사업자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2] IEG는 기존에 리그를 방송하던 온게임넷과 MBC게임을 상대로 중계권 협상을 벌였고, 두 차례의 결렬 이후 3월 20일 양 방송사의 3년간 중계권을 인정하며 타결되었다. 이 과정에서 리그가 파행 운영되어 팬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3]
한편, 스타크래프트의 개발사인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는 스타크래프트 2를 공개하기 전에 중계권에 대해 자사의 권리를 행사할 것임을 시사했다.[4] 이에 협회의 김영만 이사는 블리자드가 한국의 이스포츠 발전 노력을 무시한 것이라며, 회사의 권리를 양도하고 그 곳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이스포츠 발전에 쓰여야 한다고 주장했다.[5] 블리자드는 8월 협회가 자신들의 동의없이 중계권을 통한 수익사업을 진행하는 것을 용인할 수 없으며, 다각도로 협상을 진행중이라고 밝혔다.[6]
[편집] 기록
| 순위 | 팀 | 경기수 | 승,패 | 세트득/실 | 득실차 | 경고포인트 | |
|---|---|---|---|---|---|---|---|
| 1 | 한빛스타즈 | 10 | 8승2패 | 10/8 | +10 | 0 | |
| 2 | SK텔레콤T1 | 10 | 7승3패 | 14/6 | +8 | 1 | |
| 3 | SG 패밀리 | 10 | 7승3패 | 15/10 | +5 | 0 | |
| 4 | 슈마 G.O | 10 | 6승4패 | 14/9 | +5 | 1 | |
| 5 | KOR | 10 | 5승5패 | 13/13 | 0 | 0 | |
| 6 | SouL | 10 | 5승5패 | 11 | 8 | +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