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디난드 마젤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르디난드 마젤란(Ferdinand Magellan, 포르투갈어: Fernão de Magalhães 페르낭 드 마갈량이스 [fɨɾ.'nɐ̃w̃ dɨ mɐ.ɣɐ.'ʎɐ̃ȷ̃ʃ], 스페인어: Fernando 또는 Hernando de Magallanes 페르난도/에르난도 데 마가야네스, 1480년 봄 - 1521년 4월 27일)은 포르투갈 출신의 항해가, 탐험가이다. 유럽인들에겐 새로운 대륙인 아메리카 대륙이 발견되고 지중해와 중동지방을 거쳐가던 육상 무역로 외에 새로운 동방항로에 대한 탐구가 한참이던 시절, 역사서에서는 처음으로 대서양과 태평양을 횡단한 것으로 기록에 남은 인물이다.
목차 |
[편집] 항해
[편집] 반란
1519년 8월 10일, 마젤란은 에스파냐 왕실의 지원을 받아 다섯 척의 배(산안토니오, 콘셉시온, 트리니다드, 빅토리아, 산티아고)와 270 명의 선원으로 구성된 함대를 이끌고 서쪽으로 출발하였다. 그러나 에스파냐 출신 선장 네명 (카르타헤나, 멘도사, 케사다, 델카노)이 1520년 반란을 일으켰다. 마젤란은 먼저 멘도사를 죽이고 카르타헤나를 감금한 뒤 케사다를 붇잡아 사지를 찢었다. 델카노는 용서받았다.
[편집] 마젤란 해협
그는 대서양을 횡단하여 남아메리카의 대서양쪽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갔다. 제일 남단에 이르러 처음 들어가는 해협에서 폭풍우 등에 휘말려 산티아고 호가 난파되고, 산 안토니오 호는 도망쳤다. 이런 고생 끝에 반대쪽 바다에 이르렀고, 너무 험난하게 해협을 건넌 직후에 마주한 잔잔한 바다에 감격하여 태평양이라 이름지었다. 그리고 그가 지나온 해협은 후에 마젤란 해협으로 명명되었다.
[편집] 죽음
여기서 다시 동쪽으로 배를 돌려도 되었지만, 마젤란은 계속 서쪽으로 향했다. 태평양에 대한 지식이 없던 시절에 태평양 횡단은 목숨을 건 모험이었다. 108일간의 항해 끝에 마젤란 함대는 1521년 4월에 필리핀에 도착하였다(이것이 필리핀에 가톨릭이 전파된 유래이다). 필리핀에서 마젤란은 열심히 카톨릭을 전파했다. 그러다가 마지막 섬인 막탄 섬에 갔다가 목숨을 잃었다. 백병전에서 아무래도 무거운 갑옷이 불리했다. 그래서 마젤란은 슬금슬금 물러나 배에 돌아간 다음 총과 대포로 응사하라고 명령했따. 그러나 선원들이 말을 잘못 들어 죄다 후퇴해 버렸고 남은 것은 마젤란과 노예 엔리케, 서기 피카페타 뿐이었다. 원주민들은 마젤란을 마구 창으로 짓이겼다. 1521년 4월 27일, 마젤란 나이 41세였다.
[편집] 엔리케의 배신
마젤란의 사랑을 받던 노예 엔리케는 마젤란의 죽음이 선원들이 멍청한 탓이라고 생각하여 앙갚음을 하려고 배신했다. 그는 마젤란에게 항복하고 기독교화했던 섬인 세부 섬을 찾아가 그곳 추장을 충동질햇다. 얼마 뒤 선원들은 세부 추장에게 식사 초대를 받았다. 물론 그들은 돌아오지 못햇다. 그런데 훌륭한 선원은 모두 다 그 안에 있었으므로 아마추어들끼리 항해해야만 했고 당연히 고생은 두배가 되었다. 피카페타는 막탄에서의 상처가 악화되어 세부에 가지 못했고 목숨을 구했다.
[편집] 증거 인멸
새 제독 칼바리요는 남은 배 중 콘셉시온을 불질러 버렸다. 자신들의 반란 증거를 인멸하기 위해서였다. 1522년에 출발할 당시 5척의 배와 270명의 선원으로 구성되었던 함대는 빅토리아호 1척과 18명의 선원으로 줄어들어 에스파냐로 겨우 귀환하였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칼바리요의 증거 인멸로 반란 주도자엿던 델카노가 귀족이 되었다. 그런데 유족이 없는 마젤란에게는 아무것도 주어지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남은 트리니다드 호는 뱃전에 구멍이 생겨 뒤에 처지다가 재수없게도 포르투갈 인들에게 붙잡히고 말았다. 트리니다드 선원들은 노예처럼 혹사당하다가 나중에 에스피노사와 3명의 선원만이 죽을 고생 끝에 에스파냐로 돌아갈수 잇엇다
[편집] 총론
이 항해로 마젤란은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실질적으로 입증하게 되었다.
[편집] 편협한 눈
마젤란은 항해 내내 철저한 유럽인의 시각으로, 즉, 서구우월주의로 세계를 바라보았다. 그는 유럽인을 제외한 다른 민족을 매우 하등시 여겼다. 다음의 인도에 상륙했을 때의 항해일지의 내용이다. 캘커타에 머물고 있던 마젤란의 함대에 인도 외교관이 방문해 환대했다. 그러나 마젤란은 인도 사신을 꽁꽁 묶은 뒤 손과 발을 잘랐다. 그리곤 귀를 자른 후 그 자리에 돼지의 귀를 봉합해 붙였다. 마지막으로 그가 이로 밧줄을 끊고 도망가지 못하게 이빨을 깨부셔서 사신의 목구멍으로 다 넘겨버렸다.[1][2]
[편집] 식민지
에스파냐의 필리핀 제도 식민지화는 1565년에 로페스 데 레가스피(Lopez de Legaspi)에 의해 시작되었고, 이때 성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 소속 수도사 5명이 같이 와서 전도를 시작하였다. 뒤이어 1577년에 프란체스코 수도회와 1578년에 도미니크 수도회 소속 수도사와 사제들이 차례로 필리핀으로 와서 전도를 시작하여 동남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로마 가톨릭이 국교인 나라가 되었다.
[편집] 참고 문헌
[편집] 선원들
| 마젤란 | |
| 제독: 페르디난드 마젤란 - 칼바리요 - 델카노 배: 산안토니오 - 빅토리아 - 콘셉시온 - 산티아고 - 트리니다드 반란자: 케사다 - 멘도사 - 카르타헤나 - 델카노 서기: 피카페타 통역: 엔리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