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짬뽕(중국어: 炒麻麵,초마면,일본어: ちゃんぽん)은 중국요리 중 하나로 해물 혹은 고기와 다양한 야채를 기름에 볶은 후 닭이나 돼지뼈로 만든 육수를 넣고 끓이고 국수를 넣어 삶은 후 먹는 음식이다. 한국에서는 두반장, 고추기름, 고추가루를 넣어 맵게 만들어 먹는다. 짜장면과 함께 20세기 초부터 한국에 거주하던 중국인 화교들에 의해 소개되어 서민들의 사랑을 받아온 대표적인 외식 요리이다.
목차 |
[편집] 짬뽕의 유래
일본에서는 19세기말에 나가사키 지방에서 중국인 요리사인 시카이로(四海樓)의 창업자 陳平順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 전해지며(1899년 추정) 나가사키의 향토요리로 잘 알려져있다. 맵게 만든 한국식 짬뽕과는 틀리 진한 육수맛을 내어 다른 국수 요리인 라멘과 비슷하다. 이때 중국 푸젠 성 출신 중국인들은 푸젠 사투리인 인삿말로 '샤퐁'(식사하셨습니까?)라는 말을 썼는데 이것이 어원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푸젠지방의 요리인 탕육사면(湯肉絲麺)을 변형시킨 것이라고도 한다.
한편 한국에서는 산둥 성 출신의 인천에 거주하던 중국인들이 한국인들의 식성에 맞도록 짜장면과 짬뽕을 각기 단맛과 매운맛을 더하여 발전시켰다. 특히 짬뽕의 경우 그때 그때마다 쉽게 구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로 섞어 만들었는데 그때문에 한국에서는 짬뽕이라는 말이 여러가지를 섞어 만들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시기적으로 볼때 일본의 나가사키 지방과 한국의 제물포항(1883년 개항)은 같은 시기에 중국인들의 집단 이주가 이루어졌다. 또한 두항구는 부산을 경유하는 뱃길이 열려 있었다.[1] 따라서 두 항구의 새로운 중국인 이민자들이 새로운 요리를 같이 선보인것은 자연스러운 교류의 결과였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짬뽕이라는 말로 일본과 한국에서는 굳어졌으나 정작 본래 유래한 중국에서는 짬뽕이라 불리우지는 않는다.
[편집] 짬뽕의 종류
- 짬뽕: 일반적인 짬뽕은 그때 그때마다의 제철 채소를 많이 쓰며 오징어와 조개가 많이 들어간다. 야채가 많이 들어가 푸짐하며 면은 일반적으로 짜장면의 것과 같은 것을 쓴다. 국물만 따로 만들어 두었다가 삶은 면에 부어 내어놓아서 보통 짜장면과 같이 빠르게 내어놓을 수 있으며 작은 그릇에 담아 볶음밥이나 다른 음식과 같이 내어놓기도 한다.
- 굴짬뽕: 보통 한국의 짬뽕은 매운 맛이 많이 나는 붉은 짬뽕이지만 굴짬뽕은 굴의 담백하고 시원한 맛을 살리기 위해 고추가루와 고추기름을 뺀 맑은 하얀 국물로 내어 놓는다.
- 삼선짬뽕: 제철의 해물을 듬뿍 넣고 즉석에서 볶아 내어 놓아 고급스럽게 만든 짬뽕이다. 일반 짬뽕보다 고급재료와 신선한 맛을 더 느낄수 있다. 삼선은 죽순, 새우, 해삼을 의미하며, 오징어가 아닌 다른 두족류 연체동물이나 버섯류 등이 일반 짬뽕에 비해 더 들어가기도 한다.
- 나가사키 짬뽕: 일본 나가사키식의 짬뽕이다. 국물이 맵지 않고 닭과 돼지뼈를 우린 육수에 숙주를 많이 넣으며 마지막에 면을 같이 삶아 내어 모든 제조과정이 하나의 팬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한국식 짬뽕과의 차이점이다. 나가사키지방의 향토음식으로 유명하다. 한국의 중국음식점에서 내어 놓는 중국집 우동과 더 비슷하다.
이외에 짬뽕에 면을 말지 않고 당면을 말아 밥과 함께 제공하여 밥을 말아 먹게 하는 짬뽕밥 등이 한국의 중국음식점에서 흔하게 팔린다.
[편집] 짬뽕 만들기
- 양파, 당근, 배추, 청경채, 표고버섯, 죽순, 목이버섯, 오이,호박등 제철 채소와 대파, 부추등을 적당한 크기로 썰고 해삼, 소라, 오징어, 새우등 해물과 돼지고기를 썰어 준비한다.
-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건고추, 대파, 생각, 마늘을 넣고 볶다가 고춧가루 한스푼을 넣고 같이 볶아준다.
- 고기를 넣고 같이 볶아주고 나머지 야채를 넣고 다시 볶아준다.
- 해물을 넣고 볶다가 물을 반컵정도 넣은 다음 1~2분 정도 국물이 우러나오도록 끓여준다.
- 육수를 한대접정도 넣고 굴소스,소금, 고추기름, 두반장, 후추가루등으로 양념을 한 후 다시 끓인다.
- 면은 따로 삶아서 찬물로 체에 건진다음 먼저 그릇에 담아 놓았다가 국물가 건더기를 부어서 내어 놓는다.
[편집] 외래어 표기 논란
대한민국의 국립국어원에서는‘짬뽕’은 일본어 ‘ちゃんぽん’이 어원으로 '짬뽕'으로 표기하고 '초마면'으로 순화해야한다고 한다. 또한 비슷한 사례인 짜장면과 자장면의 사례에서는 중국어원으로 해석하여 짜장면은 잘못이고 자장면이 맞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두가지 말 모두 20세기초 한국의 제물포지역에 이주한 중국인들에 의해 쓰여지기 시작한 말이라는 점은 간과한 것이며 이 두 음식의 탄생과 쓰임이 모두 같은 곳에서 일어난 만큼 다른 근원을 가진것이 아니라는 주장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외래어 (예: 택시) 보다는 한국어에 동화가 되버려 외래어로 느끼지 못하는 귀화어로 봐야한다는 주장도 있다.
[편집] 대중문화 속의 짬뽕
짬뽕은 한국의 서민 애환을 같이하는 대표적인 먹거리로서 사랑을 받아왔다. 짬뽕이라는 말은 한국어 속에서 이질적인 것을 섞어 만든 것을 뜻하게 되었다. 90년대 인디밴드의 대표주자 중 하나인 황신혜 밴드는 데뷰 음반에서 짬뽕이라는 제목을 가진 노래를 만들었으며 2004년에는 작가 윤정환에 의해 연극 짬뽕으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편집] 바깥고리
-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liberum&folder=25&list_id=6989847 리버룸의 블로그:짬뽕의 유래를 찾아서
- http://www.shikairou.com/ 일본 나가사키의 산해각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