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또는 역방문 기념 스탬프는, 1999년 철도청에서 한국철도 100주년을 기념하여 전국의 100개 역에 각 역의 특징을 살린 기념 스탬프를 제작하여 비치한 것이다.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목차 |
[편집]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비치된 역
[편집] 1999년 제작된 100개 역
- 경부선: 서울역, 노량진역, 영등포역, 수원역, 천안역, 조치원역, 신탄진역, 대전역, 영동역, 김천역, 구미역, 동대구역, 청도역, 밀양역, 구포역, 부산진역, 부산역
- 호남선: 서대전역, 논산역, 익산역, 김제역, 정읍역, 백양사역, 송정리역, 영산포역, 목포역
- 전라선: 전주역, 남원역, 구례구역, 순천역, 여수역
- 장항선: 온양온천역, 예산역, 삽교역, 홍성역, 대천역, 웅천역, 서천역, 장항역
- 중앙선: 청량리역, 양평역, 용문역, 간현역, 원주역, 제천역, 도담역, 단양역, 희방사역, 풍기역, 영주역, 안동역, 영천역, 경주역
- 경춘선: 성북역, 대성리역, 청평역, 가평역, 강촌역, 남춘천역, 춘천역
- 경원선: 의정부역, 신탄리역
- 경의선: 수색역, 백마역, 문산역
- 영동선: 봉화역, 승부역, 철암역, 신기역, 동해역, 정동진역, 강릉역
- 태백선: 영월역, 증산역, 추전역, 태백역
- 정선선: 정선역, 구절리역
- 진해선: 진해역
- 경전선: 창원역, 마산역, 진주역, 하동역, 광양역, 벌교역, 보성역
- 광주선: 광주역
- 동해남부선: 포항역, 불국사역, 울산역, 해운대역
- 경인선: 도원역, 인천역
- 충북선: 청주역, 충주역, 삼탄역
- 교외선: 일영역, 장흥역
- 경북선: 점촌역
- 군산선: 군산역
이 외에도 철도박물관에 기념 스탬프를 비치, 초기에는 총 101종의 기념 스탬프가 제작되었다.
[편집] 2000년 이후 스탬프를 새로 제작한 역
- 나주역: 호남선. 2001년 7월 10일 호남선 이설로 영산포역이 폐지되면서 영산포역을 대신하여 스탬프 신설
- 임진강역: 경의선. 2001년 9월 30일 영업 개시와 더불어 스탬프 신설
- 도라산역: 경의선. 2002년 4월 11일 영업 개시와 더불어 스탬프 신설
- 광명역: 경부고속선. 2006년 9월 한국철도 107주년 기념으로 스탬프 신설
- 천안아산역: 경부고속선. 광명역과 같음.
[편집] 스탬프를 받는 방법
- 역마다 비치되어 있는 곳이 다르지만, 역무실이나 매표소에 비치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서울역 등 큰 역은 역 내의 종합관광안내소에 스탬프를 비치하고 있다.
- 각 역에는 스탬프 도장과 패드가 비치되어 있어, 종이만 있으면 쉽게 스탬프를 받을 수 있다.
[편집] 외부고리
- 코레일 홈페이지 기념 스탬프 소개
- 다음카페 '스탬프와 함께하는 기차여행'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수집 카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