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대앞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당고개 방면 | (448) 상록수 | (449) 한대앞 | (450) 중앙 | 오이도 방면 |
| 한대앞 | |
|---|---|
| 한대앞역 | |
| 역 정보 | |
| 노선 | 안산선(수도권 전철 4호선) 수인선 |
| 소재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 산17-3 |
| 개업일 | 1937년 8월 5일 |
| 역 종별 | 을종대매소 (상록수역 관리) |
| 역 등급 | |
| 승강장 | 상대식 (2면 3선) |
| 전화번호 | 031-406-7788 |
| GPS 좌표 | {{{GPS}}} |
한대앞역(漢大앞驛, Hanyang Univ. at Ansan)은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이다. 인근에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가 있다. 1995년 12월 31일 까지 수인선 열차가 운행하였다. 하행(안산행)홈 쪽에는 협궤철도 철길 등 수인선의 흔적이 있고, 한대앞역에서 4호선을 따라가다 보면 사리역 방향의 협궤철길을 볼 수 있다.
목차 |
[편집] 역 정보
[편집] 주변 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셔틀버스 운행)
- 상록구청
[편집] 역사
- 1937년 8월 5일: 일리역(一里驛)으로 영업개시
-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 개통, 수도권 전철 운행개시와 동시에 역명을 한대앞역으로 변경
- 1994년 9월 1일: 송도역 구간 폐지로 수인선 종착역이 됨
- 1996년 1월 1일: 수인선 영업 중지
- 200x년: 남부출구 설치
[편집] 미래
2015년으로 예정된 수인선 수원역 - 한대앞 간 공사가 완료되면, 수인선 전철을 타고 수원역을 거쳐 분당까지 갈 수 있게 된다.
[편집] 승차량 변동
역시 2002년과 2003년의 수치를 이상 증가로 간주할 경우, 2000~2001년의 급격한 상승이후 대체적으로 안정되어 있는 승차자 수를 보여주고 있다. 원인은 역시 서남쪽의 대단위 아파트단지 증가때문인 것 같다.
|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 4호선 | 4186 | 8133 | 10560 | 11308 | 8890 | 8599 | 8405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지하철 4호선: 당고개 - 상계 - 노원 -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삼거리 - 길음 -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동대문 - 동대문운동장 - 충무로 - 명동 - 회현 - 서울역 - 숙대입구 - 삼각지 - 신용산 - 이촌 - 동작 - 총신대입구(이수) - 사당 - 남태령
과천선: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안산선: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공단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분류: 수도권 전철 4호선 | 수인선 | 안산시의 전철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