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가시노 게이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히가시노 게이고(일본어: 東野圭吾, ひがしの けいご. 1958년 2월 4일 ~ )는 일본소설가이다.

오사카 출신으로 대학 졸업 후 일본전장주식회사(日本電装株式会社, 현 덴소)에 근무하며 추리 소설을 저술하였다. 1985년 《방과 후(放課後)》로 제31회 에도가와 란포 상을 수상하며 작가로 데뷔하였다. 이후 퇴직 후 도쿄로 올라와, 작가로 전념하고 있다.

초기에는 학원물, 본격 추리, 서스펜스, 패러디, 엔터테인먼트 등 다채로운 장르의 소설을 썼다. 또한 엔지니어 출신이라는 영향 때문인지 원자력 발전이나 뇌 이식 등의 과학적인 소재를 다룬 소설도 여러 편 썼다.

1999년 《비밀(秘密)》로 제52회 일본 추리 소설 협회상 장편부문을, 2006년 《용의자 X의 헌신(容疑者Xの献身)》으로 제6회 본격 미스테리 대상 소설부문과 제134회 나오키 상을 수상하였다.

이제까지 나오키 상에 《비밀》, 《백야행(白夜行)》, 《짝사랑(片想い)》, 《편지(手紙)》, 《환야(幻夜)》등 다섯 작품이 후보로 추천받은 바 있으나 전부 낙선하여, 나오키 상과는 인연이 없는 남자라고 불리기도 했지만 여섯 번째 추천작에서 결국 상을 거머쥐게 되었다.

《용의자 X의 헌신》이 한국에 출간된 이후 한국 독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어 점점 더 많은 작품이 한국에 출간되고 있다. 또 SM픽쳐스가 《백야행》, 프라임 엔테테인먼트가 《분신(分身, 한국에서는 ‘레몬’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의 영화화 판권을 구입했다.[1] 히가시노 게이고는 2007년 현재 미야베 미유키(宮部みゆき, みやべ みゆき)·온다 리쿠(恩田陸, おんだ りく)와 더불어 한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일본의 추리 소설 작가이다.

목차

[편집] 한국에 번역된 작품

[편집] 소설

  1. 278쪽, ISBN 8979191316
  2. 268쪽, ISBN 8979191324
이선희 번역. 창해
※ 제52회 일본 추리 소설 협회상 장편부문 수상작
  1. 304쪽, ISBN 8984970247
  2. 280쪽, ISBN 8984970255
  3. 280쪽, ISBN 8984970263
정태원 번역. 태동출판사
  1. 278쪽, ISBN 8979193955
  2. 268쪽, ISBN 8979193963
이선희 번역. 창해
※ 당년 10월 동명의 영화 개봉에 맞춘 1999년판의 재판.
  1. 320쪽, ISBN 897919465X
  2. 320쪽, ISBN 8979194668
이선희 번역. 창해
  • 2005년 6월, 《게임의 이름은 유괴(ゲームの名は誘拐, 2002)》
권일영 번역. 노블하우스. 320쪽, ISBN 8991207324
  • 2005년 7월, 《변신(変身, 1991)》
이선희 번역. 창해. 450쪽, ISBN 8979196857
  • 2005년 8월, 《호숫가 살인사건(レイクサイド, 2002)》
권일영 번역. 노블하우스. 301쪽, ISBN 8991207456
  • 2005년 12월, 《레몬(分身, 1993)》
권일영 번역. 노블하우스. 432쪽, ISBN 8991207553
  • 2006년 5월, 《아내를 사랑한 여자(片想い, 2001)》
이선희 번역. 창해. 706쪽, ISBN 8979197187
※ 2003년 출간된 《짝사랑》이 제목이 바뀌어 출간된 것.
  • 2006년 8월, 《용의자 X의 헌신(容疑者Xの献身, 2005)》
양억관 번역. 현대문학. 406쪽, ISBN 8972753696
※ 제6회 본격 미스테리 대상 소설부문, 제134회 나오키 상 수상작.
  • 2006년 9월, 《환야(幻夜, 2004)》
  1. 408쪽, ISBN 8925500736
  2. 368쪽, ISBN 8925500744
권일영 번역.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11월, 《편지(手紙, 2006)》
권일영 번역. 랜덤하우스코리아. 416쪽, ISBN 8925503441
구혜영 번역. 창해. 455쪽, ISBN 9788979197662
  • 2007년 7월, 《붉은 손가락(赤い指, 2006)》
양윤옥 번역. 현대문학. 291쪽, ISBN 9788972753940
  • 2007년 7월, 《방과 후(放課後, 1985)》
구혜영 번역. 창해. 437쪽, ISBN 9788979197686
  • 2007년 7월, 《11문자 살인사건(11文字の殺人, 1987)》
민경욱 번역. 랜덤하우스코리아. 304쪽, ISBN 9788925511238
  • 2007년 7월, 《브루투스의 심장(ブルータスの心臓, 1989)》
민경욱 번역. 랜덤하우스코리아. 392쪽, ISBN 9788925511245
  • 2007년 8월, 《독소소설(毒笑小説, 1996)》
이선희 번역. 바움. 319쪽, ISBN 9788958830450
  • 2007년 8월, 《흑소소설(黒笑小説, 2005)》
이선희 번역. 바움. 299쪽, ISBN 9788958830443

[편집] 동화

  • 2002년 12월, 《산타 아줌마(サンタのおばさん, 2001)》
스기타히로미(杉田比呂美) 그림, 이선희 번역. 창해. 80쪽, ISBN 8986506408
바움. 299쪽, ISBN 8986506807

[편집] 만화

  • 《HEADS》
  1. 2004년 11월, 210쪽, ISBN 8953257581
  2. 2004년 12월, 218쪽, ISBN 9788958830443
  3. 2005년 1월, 202쪽, ISBN 9788958830443
  4. 2005년 2월, 208쪽, ISBN 9788958830443
히가시노 게이고(글), 마세 모토로(그림), 백소용(번역). 서울문화사

[편집] 참고 자료

  1. 한국영화, 일본판권 전쟁 (4)〉 FILM2.0, 2007년 9월 5일 온라인 등록
이 문서는 문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