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카스 공화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 Хакасия
Хакасия Республиказы
하카스의 기 하카스의 문장
Image:RussiaKhakassia2007-01.png
공용어 하카스어, 러시아어, 터키어
중심지 아바칸
대통령  ?
통화 루블
종교  ?
인터넷 코드 .RU

하카스 공화국(러시아어: Хака́сия 하카시야[*], 하카스어: Хакасия Республиказы)은 러시아공화국이다.

아바칸이 하카스 공화국의 중심지이고, 인구 16만명의 하카스 공화국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참조: 러시아의 행정 구역

목차

[편집] 지리

시베리아 남부에 위치해 있다. 면적은 61,900 km²이고, 인구는 57만5,400명이다. 이 곳은 예니세이 강, 아바칸 강, 톰 강, 벨리이유스 강, 초르니이유스 강이 흐른다.

[편집] 시간대

크라스노야르스크 시간대 (KRAT/KRAST)에 놓여 있다. UTC와의 시차는 +0700 (KRAT)/+0800 (KRAST)이다.

[편집] 행정 구역

[편집]

  • 알타이 군 (Алтайский район)
  • 아스키스키 군(Аскизский район, 하카스어: Асхыс)
  • 베이스키 군(Бейский район, 하카스어: Бея)
  • 보그라츠키 군(Боградский район, 하카스어: Боград)
  • 오르조니키젭스키 군(Орджоникидзевский район, 하카스어: Орджоникидзевск)
  • 시린스키 군(Ширинский район, 하카스어: Шира)
  • 타시팁스키 군(Таштыпский район, 하카스어: Таштып)
  • 우스티아바칸스키 군(Усть-Абаканский район, 하카스어: Ағбан-Пилтірі

[편집] 도시

  • 아바자(Абаза)
  • 아바칸(Абакан, 하카스어: Ағбан)
  • 사야노고르스크(Саяногорск)
  • 소르스크(Сорск)
  • 체르노고르스크(Черногорск, 하카스어: Харатас)

[편집] 역사

하카스인은 타타르와 뿌리가 유사한 민족으로 한때 시베리아에 강력한 국가를 세우기도 했다. 러시아인들이 17세기 때부터 이들의 지역으로 이주해오기 시작했는데, 하카스인들이 러시아인들이 몽골인들의 침입을 막아준다고 이를 나쁘게 생각하지 않았다.

하카스인들의 땅은 피터 대제에 의해 러시아에 병합되었다. 러시아인들은 무거운 세금, 토지 갈취, 정교로의 개종 강요 등으로 하카스인들을 핍박했다. 그리고 1890년대 시베리아 횡단철도 건설 이후에는 러시아인들의 수가 하카스인들을 압도하게 되었다. 
혁명 이후 1925년에 하카스 자치구(Khakass Autonomous Okrug)가 성립되었고 1930년 10월 20일에 자치주(Oblast)로 승격되었다. 1991년 7월 3일 하카스인들은 주권선언을 하였고, 1992년에는 연방조약을 통해 공화국으로 승격되었다. 헌법은 비교적 늦은 1995년 5월 25일에 채택되었다.

[편집] 주민

인구 (2002년): 54만6,072명.

소수민족: 2002년의 조사에서 러시아인이 43만8,395명 (80.27%)를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하카스인이 6만5,421명 (11.98%), 볼가독일인이 9,161명 (1.68%), 우크라이나인이 8,360명 (1.53%)를 차지하고 있다.

하카스어투르크어족에 속한 언어로, 하카스 공화국에서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편집] 역사

[편집] 경제

[편집] 바깥고리


러시아행정 구역 Flag of Russia
연방 구성체
공화국 다게스탄 | 마리옐 | 모르도바 | 바시키르 | 부랴트 | 사하 | 세베로오세티야 | 아디게야 | 알타이 | 우드무르트 | 인구시 | 체첸 / 이츠케리아 체첸
추바시 |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 카렐리야 | 카바르디노발카르 | 칼미크 | 코미 | 타타르 | 투바 | 하카스
크라이 스타브로폴 | 알타이 | 캄차카 | 크라스노다르 | 크라스노야르스크 | 페름 | 프리모르스키 (연해주) | 하바롭스크
노보시비르스크 | 노브고로드 | 니즈니노브고로드 | 랴잔 | 레닌그라드 | 로스토프 | 리페츠크 | 마가단 | 모스크바 | 무르만스크 | 벨고로드
보로네시 | 볼고그라드 | 볼로그다 | 브랸스크 | 블라디미르 | 사라토프 | 사마라 | 사할린 | 스몰렌스크 | 스베르들롭스크 | 아르한겔스크
아무르 | 아스트라한 | 야로슬라블 | 오렌부르크 | 오룔 | 옴스크 | 울리야놉스크 | 이르쿠츠크¹ | 이바노보 | 첼랴빈스크 | 치타² | 칼루가
칼리닌그라드 | 케메로보 | 코스트로마 | 쿠르간 | 쿠르스크 | 키로프 | 탐보프 | 톰스크 | 툴라 | 튜멘 | 트베리 | 펜자 | 프스코프
연방시 모스크바 | 상트페테르부르크
자치주 유대인 자치주
자치구 네네츠 | 아긴스크부랴트² | 야말로네네츠 | 우스티오르딘스키부랴트¹ | 축치| 한티만시

1. 2008년 1월 1일, 우스티오르딘스키부랴트 자치구가 이르쿠츠크 주로 통합된다.
2. 2008년 3월 1일,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와 치타 주가 자바이칼스키 크라이로 통합된다.

연방관구
중앙 | 남부 | 서북 | 극동 | 시베리아 | 우랄 | 프리볼시스키
이 문서는 러시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