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울 틸리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울 요하네스 틸리히(Paul Johannes Tillich, 1886년 8월 20일-1965년 10월 22일)은 독일의 신학자이자 루터교 목사이다.

폴 틸리히 공원의 기념비
폴 틸리히 공원의 기념비

목차

[편집] 생애

[편집] 학창시절

1886년 8월 20일 루터교 목사인 요한 오스카 틸리히 목사와 빌헬미나 마틸드 사이에서 태어났다. 1891년 작은 시골에서 자랐으며, 열다섯살되던해인 1901년 베를린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고등학교에서 공부했다. 1902년에는 루터교회 목사인 아버지가 집례하는 견진성사를 받음으로서 정식으로 그리스도인이 되었으며, 3년뒤 할레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1909년 목사후보생고시에 합격, 수련을 받던 중 브레슬라우 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이렇듯 다양한 수학은 폴 틸리히를 철학자의 신학자이자 신학자의 철학자라고 불리게 했다.1911년 신학분야의 최고 권위인 신학전문직학위를 받음에 따라 대학교에서 가르칠 자격을 얻었다.

[편집] 제1차 세계대전

제1차 세계대전은 당시 유럽인들이 그러했듯 폴 틸리히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당시 그는 낙관적인 역사관을 갖고 있었는데, 군목으로 복무하면서 전쟁의 참상을 목격한 후 인간의 어두운 모습을 발견했다. 이는 당시 유럽인들이 19세기에는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낙관주의를 갖고 있었지만, 전쟁을 계기로 인간의 잔인성을 목격하면서 불안과 절망을 갖게 되었음을 말해준다.

[편집] 독일에서의 학자생활

1924년 폴 틸리히는 마르부르크의 필립대학교의 부교수가 되어 학생들을 강의하여 학자로서의 삶을 시작했다. 다음해에는 《종교적 정황》이 출판하여 학계에서 유명해졌으며, 1929년 프랑크푸르트대학교의 철학과에서 사회학 정교수로 되어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당시 그가 가르친 내용은 칸트, 헤겔, 아퀴나스등 철학자들의 가르침, 사회윤리학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학자로서의 삶은 나치의 박해로 끝나게 된다.

[편집] 나치와의 대립

독재자 히틀러의 등장은 나치에 의해 기독교 사회주의자로 분류된 폴 틸리히의 학자로서의 삶을 마감하게 했다. 그는 비유대인중에서는 최초로 교수직을 박탈당했고, 그의 책들은 소각당하는 수모를 당했다. 다행히 미국의 진보적인 신학교인 유니온 신학교에서 틸리히를 1년간 철학부 교수로 모시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틸리히는 히틀러의 독재와 홀로코스트로 고난받는 동족들과 유대인들을 버릴 수 없다고 생각했지만, 나치의 박해가 극심해지면서 1932년 10월 가족과 함께 미국에 가야했다. 당시 그는 야훼께서 아브라함에게 하셨다는 말씀을 묵상했다.

야훼께서 아브람에게 말씀하셨다. "네 고향과 친척과 아비의 집을 떠나 내가 장차 보여줄 땅으로 가거라. 나는 너를 큰 민족이 되게 하리라. 너에게 복을 주어 네 이름을 떨치게 하리라. 네 이름은 남에게 복을 끼쳐주는 이름이 될 것이다. (창세기 12:1-2/공동번역)

도미당시 틸리히는 고향에 다시 돌아가고 싶어했지만 1933년 12월 교수직이 나치에 의해 완전히 박탈당하고 말았다. 다행히 학교측에서 1934년 5월 교수로 재임명한 덕분에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 계속 할 수 있었다. 그는 영어실력이 늘어난덕분에 신학, 심층심리학, 문학, 춤, 철학등 해박한 학식을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었고, 학생들은 그의 해박하고 창의력이 있는 강의에 감동받았다. 당연히 그는 유니온 신학교의 '스타'가 되었다.

[편집] 저술활동

틸리히는 1948년부터 1963년까지 출판활동에 몰두하여, 《개신교 시대》(The Protestant Era)의 영문판, 설교집 《흔들리는 터전》(The Shaking of Foundations),《조직신학》1권등이 출판되었고, 특히 존재에로의 용기(The Courage to Be)는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편집] 은퇴후의 삶과 죽음

폴 틸리히는 1955년 정년퇴임했으며, 하버드대학교의 요청으로 강의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특별교수가 되었다. 덕분에 자신의 작은 집에서 신학박사학위를 준비하는 신학생들과 토론을 하는 한편 세미나도 열었다. 물론 학부학생들도 그의 강의를 들었다. 1962년 하버드대학교 교수직에서 물러난 후 대학교측의 요청으로 시카고 대학교 신학부에서 가르쳤다. 72세의 할아버지 학자였던 폴 틸리히는 매학기 한 과목을 가르치되 네 학기동안 가르쳤으며, 종교학자 멀치아 엘리아데와 종교역사에 대한 강의도 하였다. 1964년이후 폴은 건강이 무척 좋지 않아져서 다음해 10월 22일 숨을 거두었다.그의 마지막 강의는 시카고 대학교 신학부가 주관한 강연회에서의 〈조직신학자에게 있어서의 종교사의 의미〉였다.

그가 숨을 거둔후 주요 언론들은 틸리히의 별세기사를 보도하여, 《뉴욕타임즈》에서는 사설에서 '폴 틸리히는 인간의 삶의 전분야를 그의 신학주제로 삼았다'고 하였다. 시신은 화장되어 매장되었다. 이후 부인의 요구로 1966년 5월 29일(성령강림주일)에 폴 틸리히 공원에 모셔졌다.

[편집] 참고자료

  • 《박만의 현대신학이야기》,'경계선의 신학자, 폴 틸리히',살림
이 문서는 기독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