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블로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Ciel, j’ai ma notice dans Wikipedia ! : Daniel Schneidermann talking in his French blog (www.bigbangblog.net) about Wikipedia. (please translate and insert in article)
- is the link important? it's not Korean so many ko: wikipedia users can't read. --Klutzy 2006년 3월 13일 (월) 01:04 (KST)
[편집] 부분 삭제 의견
"개인적인 역사적 서술, 일기, 아마추어에 의한 신문등이 블로그의 역사적 모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저작물들은 직접쓴 것을 나누어 보거나 간략하게 인쇄하여 지인들 끼리 돌려 보는 형태였다."을 삭제하자는 의견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부분을 삭제하는 것을 반대합니다.--Alfpooh 2007년 8월 27일 (월) 07:31 (KST)
-
- 이유없는 의견은 취향에 불과합니다. 근거를 말씀해주세요. 또한 위 발언의 출처가 어떻게 되는지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7일 (월) 08:19 (KST)
- 우선 절차상 문제를 지적하고 싶습니다. 출처가 의심될 경우 출처 태그를 달아 주세요. 삭제만 하신다면 그것은 적절한 편집이 아닙니다.--Alfpooh 2007년 8월 28일 (화) 21:22 (KST)
- 일단 제기하신 부분은 영문판의 History 문단중 "Chronicles, commonplaces, diaries, perzines and amateur press associations can all be seen as predecessors of blogs."를 번역하고 부연 설명을 달아 놓은 것입니다. --Alfpooh 2007년 8월 28일 (화) 21:22 (KST)
- 이유없는 의견은 취향에 불과합니다. 근거를 말씀해주세요. 또한 위 발언의 출처가 어떻게 되는지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7일 (월) 08:19 (KST)
- 컨센서스가 이루어지지 않은채 작성된 내용을 삭제하는 데에도 컨센서스가 필요한가요? 또한, 반대 의견이 나왔으면 새 컨센선스를 만들 생각을 하셔야 되는 것 아닙니까? 무작정 되돌리시는 일은 그만두시기 바랍니다. Chronicle은 역사 연대기 형식의 서술을 의미합니다. 또한 predecessor라고 해서 반드시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고 모태라는 뜻도 아닙니다. 출처가 불분명한 글은 가차없이 삭제하는 것이 Jimbo Wales가 권하고 (저도 좋아하는) 방식입니다. --Kjoonlee 2007년 8월 29일 (수) 04:27 (KST)
- 말씀드렸다시피 출처도 밝히고 또한 내용적으로도 맞는 일입니다. 여기에 짐웨일스가 등장하니 조금 황당합니다만, 우리의 친구 짐도 이러한 상황에서 성급하게 행동하기 보다는 토론에 먼저 참여하는 것을 권하리라 믿습니다. Chronicle은 블로그가 왜 연대기적 서술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지 설명하는 중요한 뿌리가 됩니다. 블로거들의 표현하고 남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정신의 뿌리를 좀더 역사적인 것에서 연결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사실 웹블로깅은 하늘에서 떨어지듯 그냥 태어난 것이 아니며 이전 피씨통신 더 나아가 유즈넷에 직접적인 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개인적 서술과 이러한 일기와 같은 서술을 나누어 보는 문화는 각 문화권별로 그 유사한 역사적 전통과 연결 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문서 또한 계속 발전 중이니 이러한 테마로 큰 맥락에서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아직 완전치 않더라도 계속 지켜봐주시거나 내용의 발전에 참여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Alfpooh 2007년 8월 29일 (수) 20:49 (KST)
[편집] 토론참여의 권유
편집요약에 대화하듯 적고 편집을 하는것은 별로 모양새가 좋지 않습니다. 섣부른 행동전에 토론 참여를 간곡히 권유합니다.--Alfpooh 2007년 8월 29일 (수) 20:51 (KST)
- 권유는 사양이 가능하지요. 섣부른 추가 전에 토론 참여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Kjoonlee 2007년 8월 30일 (목) 04:28 (KST)
[편집] 개인의 역사적 서술
"개인의 역사적 서술"이라는 부분에 대해 예를 들어 난중 일기와 이라크 전쟁 때에'살람팍스(Salam Pax)'라는 필명의 블로거가 자신의 사이트(http://dear_raed.blogspot.com)에 생생한 바그다드의 일상을 기록한 초기의 유명한 블로그를 비교해 보면 그 연관성이 드러날 수 있을 것입니다. 두 가지다 어떤 역사적 사건의 흐름에 따라 일기의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시간적으로는 차이가 나지만 다른 이들에게 역사속에서의 자신의 생각을 알리려는 목적은 같습니다. 다만 인터넷의 발달 덕분에 전세계적으로 또한 동시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며 독자들의 피드백을 얻는 것도 가능해 졌습니다. 그러한 새로운 특성이 블로그를 그냥 인터넷에 적는 일기가 아닌 새로운 매체의 형식으로 받아들여지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 근원의 창작자의 욕구나 목적을 본다면 각 문화/역사 속에 있는 많은 아마추어(왕이나 정부에 의하지 않은) 저술가의 자기 주변의 하루 하루 역사에 대한 자신의 의견이라는 점에서 그 맥을 같이 하는 것입니다.--Alfpooh 2007년 8월 30일 (목) 08:18 (K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