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6호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도권 전철 6호선은 수도권 전철의 노선 중 하나이다. 서울특별시 은평구와 중랑구를 잇는 노선으로, 서울 강북 지역의 주요 간선이다.
이 노선의 고유색은 ●황토색이며,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하고 있다.
목차 |
[편집] 운영
- 회사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응암-봉화산)
- 송전 방식 : 직류 1500볼트
- 궤간 : 표준궤
- 통행 방향 : 우측 통행
- 신호 체계 : ATC/ATO (Auto Train Control/Auto Train Operation)
[편집] 역 목록
| 역 번호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 610 | 응암 | Eungam | 鷹岩 | - | 0.0 | 서울특별시 | 은평구 | |
| 611 | 역촌 | Yeokchon | 驛村 | 1.1 | 1.1 | |||
| 612 | 불광 | Bulgwang | 佛光 | ●수도권 전철 3호선 | 0.8 | 1.9 | ||
| 613 | 독바위 | Dokbawi | 0.9 | 2.8 | ||||
| 614 | 연신내 | Yeonsinnae | ●수도권 전철 3호선 | 1.4 | 4.2 | |||
| 615 | 구산 | Gusan | 龜山 | 0.9 | 5.1 | |||
| 610 | 응암 | Eungam | 鷹岩 | ●수도권 전철 6호선 응암 순환 | 1.5 | 6.6 | ||
| 616 | 새절 | Saejeol | 0.9 | 7.5 | ||||
| 617 | 증산 (명지대앞) |
Jeungsan (Myongji Univ.) |
繒山 (明知大앞) |
0.9 | 8.4 | |||
| 618 | 수색 | Susaek | 水色 | 1.1 | 9.5 | |||
| 619 | 월드컵경기장 (성산) |
World Cup Stadium (Seongsan) |
월드컵競技場 (城山) |
0.8 | 10.3 | 마포구 | ||
| 620 | 마포구청 | Mapo-gu Office | 麻浦區廳 | 0.8 | 11.1 | |||
| 621 | 망원 | Mangwon | 望遠 | 1.0 | 12.1 | |||
| 622 | 합정 | Hapjeong | 合井 | ●수도권 전철 2호선 | 0.8 | 12.9 | ||
| 623 | 상수 | Sangsu | 上水 | 0.8 | 13.7 | |||
| 624 | 광흥창 | Gwangheungchang | 廣興倉 | 0.9 | 14.6 | |||
| 625 | 대흥 (서강대앞) |
Daeheung (Sogang Univ.) |
大興 (西江大앞) |
1.0 | 15.6 | |||
| 626 | 공덕 | Gongdeok | 孔德 | ●수도권 전철 5호선 | 0.9 | 16.5 | ||
| 627 | 효창공원앞 (용산구청) |
Hyochang Park (Yongsan-gu Office) |
孝昌公園앞 (龍山區廳) |
0.9 | 17.4 | 용산구 | ||
| 628 | 삼각지 | Samgakji | 三角地 | ●수도권 전철 4호선 | 1.2 | 18.6 | ||
| 629 | 녹사평 | Noksapyeong | 綠莎坪 | 1.1 | 19.7 | |||
| 630 | 이태원 | Itaewon | 梨泰院 | 0.8 | 20.5 | |||
| 631 | 한강진 | Hangangjin | 漢江鎭 | 1.0 | 21.5 | |||
| 632 | 버티고개 | Beotigogae | 1.0 | 22.5 | 중구 | |||
| 633 | 약수 | Yaksu | 藥水 | ●수도권 전철 3호선 | 0.7 | 23.2 | ||
| 634 | 청구 | Cheonggu | 靑丘 | ●수도권 전철 5호선 | 0.8 | 24.0 | ||
| 635 | 신당 | Sindang | 新堂 | ●수도권 전철 2호선 | 0.7 | 24.7 | ||
| 636 | 동묘앞 | Dongmyo | 東廟앞 | ●수도권 전철 1호선 | 0.6 | 25.3 | 종로구 | |
| 637 | 창신 | Changsin | 昌信 | 0.9 | 26.2 | |||
| 638 | 보문 | Bomun | 普門 | 0.8 | 27.0 | 성북구 | ||
| 639 | 안암 (고대병원앞) |
Anam (Korea Univ. Hospital) |
安岩 (高大病院앞) |
0.9 | 27.9 | |||
| 640 | 고려대 (종암) |
Korea Univ. (Jongam) |
高麗大 (鍾岩) |
0.8 | 28.7 | |||
| 641 | 월곡 (동덕여대) |
Wolgok (Dongduk Women's Univ.) |
月谷 (同德女大) |
1.4 | 30.1 | |||
| 642 | 상월곡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Sangwolgok (KIST) |
上月谷 (韓國科學技術硏究院) |
0.8 | 30.9 | |||
| 643 | 돌곶이 | Dolgoji | 0.8 | 31.7 | ||||
| 644 | 석계 | Seokgye | 石溪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 1.0 | 32.7 | 노원구 | |
| 645 | 태릉입구 | Taereung | 泰陵入口 | ●수도권 전철 7호선 | 0.8 | 33.5 | ||
| 646 | 화랑대 (서울여대입구) |
Hwarangdae (Seoul Women's Univ.) |
花郞臺 (서울女大入口) |
0.9 | 34.4 | |||
| 647 | 봉화산 | Bonghwasan | 烽火山 | 0.7 | 35.1 | 중랑구 | ||
[편집] 승차량 변동
승차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금 나타나는 효과는 주변 지역의 토지활용이 변동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교통 수요가 유도된다는 점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다.
가시성을 높히기 위해, 역당 평균량은 이탤릭으로 처리하였다.
| 구간 | 승차 인원[1]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 범주구별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 호선 전체 | 87901 | 2716 | 194690 | 5483 | 246803 | 6856 | 269619 | 7489 |
| 응암 순환 | 9860 | 2465 | 13359 | 3340 | 15189 | 3797 | 16260 | 4065 |
| 은평(응암~월드컵경기장) | 17780 | 3556 | 33103 | 6621 | 46006 | 9201 | 53049 | 10610 |
| 마포(마포구청역~공덕) | 20529 | 2933 | 41435 | 5919 | 51088 | 7298 | 55924 | 7989 |
| 용산(효창공원앞~약수) | 6938 | 2313 | 27059 | 3866 | 32204 | 4601 | 34480 | 4926 |
| 중구(청구~창신) | 7724 | 1931 | 14631 | 3658 | 19053 | 4763 | 19525 | 4881 |
| 동북(보문~봉화산) | 34930 | 3493 | 67817 | 6782 | 83263 | 8326 | 90382 | 9038 |
| 구간 | 승차 인원[2] | |||||
|---|---|---|---|---|---|---|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 범주구별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구간총량 | 역당평균 |
| 호선 전체 | 285807 | 7941 | 290301 | 8064 | 296205 | 8228 |
| 응암 순환 | 16740 | 4185 | 17184 | 4296 | 16918 | 4230 |
| 은평(응암~월드컵경기장) | 58225 | 11645 | 58874 | 11775 | 59063 | 11813 |
| 마포(마포구청역~공덕) | 59350 | 8479 | 61013 | 8716 | 61722 | 8817 |
| 용산(효창공원앞~약수) | 36242 | 5177 | 36188 | 5170 | 36791 | 5256 |
| 중구(청구~창신) | 19940 | 4985 | 21270 | 5318 | 23794 | 5949 |
| 동북(보문~봉화산) | 95363 | 9536 | 95773 | 9577 | 97918 | 9792 |
[편집] 주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 노선 | ||||
|---|---|---|---|---|
| 1기 지하철 | ●1호선(경부선·경원선·경인선) | ●2호선(성수지선·신정지선) | ●3호선(일산선) | ●4호선(과천선·안산선) |
| 2기 지하철 | ●5호선(마천지선) | ●6호선(응암 순환) | ●7호선 | ●8호선 |
| 광역 철도 | ●중앙선(경원선·중앙본선) | ●분당선 | ||
| 인천 지하철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
| 계획·공사중 | ●9호선 | 신분당선 | 신안산선 | 장항선 |
| 수인선 | 경춘선 | |||
| 차량 | ||||
| 코레일 | 1000호대 | 5000호대 | 6000호대 | 3000호대 |
| 2030호대 | ||||
| 서울메트로 | 1000호대 저항제어 | 1000호대 VVVF | 2000호대 MELCO | 2000호대 GEC |
| 2000호대 VVVF | 3000호대 | 4000호대 | ||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5000호대 | 6000호대 | 7000호대, 8000호대 | |
|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 인천 지하철의 차량 | |||
수도권 전철 6호선
|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수도권 전철 6호선 | 철도 토막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