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시픽 리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퍼시픽 리그(Pacific League, 일본어: パシフィック・リーグ 또는 약칭 パ・リーグ 파 리그[*])는 일본에서 운영되고 있는 두 개의 프로 야구 상위 리그 가운데 하나이다. 퍼시픽 리그의 우승 팀은 또다른 프로 야구 리그인 센트럴 리그의 우승 팀과 7전 4선승제의 일본 시리즈 경기를 가지어 우승팀을 가린다. 1950년에 기존 단일 리그에서 두 개의 리그로 분리될 당시 새 구단 가맹을 찬성하였던 팀을 비롯해 7개 팀으로 창설되었다. 센트럴 리그와는 달리 퍼시픽 리그 주관 시합에서는 지명타자 제도를 인정하고 있다.

목차

[편집] 연혁

1950년 새 구단의 가맹문제를 두고 시비가 생겨, 일본 야구 연맹이 분열되었을 당시, 가맹을 찬성하였던 난카이 호크스(南海ホークス, 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도큐 플라이어즈(東急フライヤーズ, 현 홋카이도 니혼햄 파이터즈), 다이에이 스타즈(大映スターズ), 한큐 브레이브스(阪急ブレーブス, '오릭스 블루웨이브'를 거쳐 현 오릭스 버팔로즈)와, 새 구단인 마이니치 오리온즈(毎日オリオンズ, 현 지바 롯데 마린즈), 긴테쓰 펄즈(近鉄パールス, 후의 오사카 긴테쓰 버팔로즈), 세이부 클리퍼스(西鉄クリッパース, 현 세이부 라이온즈)가 가세하여, 도합 7개 구단으로 태평양 야구 연맹(太平洋野球連盟)이 발족되었다.

1954년 시즌 개막 전에는 다카하시 유니온즈(高橋ユニオンズ, 1955년에만 '돈보 유니온즈'(トンボユニオンズ)란 이름을 씀)가 연맹에 가입하여 8개 구단이 되었다. 다카하시 유니온즈는 1954년부터 1956년까지 세 시즌에 참가한 후에, 1957년 2월 다이에이와 합병되어('다이에이 유니온즈'(大映ユニオンズ)가 됨) 7개 구단이 되었다. 여기에 1957년 시즌 종료 후에 다이에이가 마이니치와 통합이 되어 '마이니치 다이에이 오리온즈'(毎日大映オリオンズ, 통칭 '다이마이'(大毎) 오리온즈가 되어 6개 구단으로 감소하였다. 1980년에 들어와 연맹의 이름이 현재의 퍼시픽 야구 연맹(パシフィック野球連盟)으로 바뀌었다.

2004년 6월에 긴테쓰 버팔로스와 오릭스 블루웨이브의 합병이 돌연 발표되는 일로 인해(프로야구 재편 문제(일본)를 참고), 일시적으로 리그의 존속에 위기를 맞이하는 상황이 되었으나, 라쿠텐(楽天, 도호쿠 라쿠텐 골든 이글즈(東北楽天ゴールデンイーグルス)과 라이브도어(ライブドア, 센다이 라이브도어 피닉스(仙台ライブドアフェニックス)가 리그의 신규 참가에 나서, 같은 해 11월 2일 구단주 회의의 결과 라쿠텐의 참가가 결정되었다. 이로 인해 2005년 시즌 이후도 6개 구간의 체제가 유지될 수 있게 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참고로, 센트럴 리그의 주요 구단이 경영 주체의 바뀜없이 계속 이어온 것에 반해, 퍼시픽 리그는 긴테쓰와 오릭스의 합병으로, 퍼시픽 리그의 창설 이래, 구단 운영 회사의 교체를 겪지 않은 구단은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신생 라쿠텐을 제외하고).

1952년, 전후기 리그 제도를 채용한 1973년-1982년, 2004년 이후로 플레이오프 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2005년부터 센트럴 리그와 교류 경기를 갖고 있다.


[편집] 소속 구단

현재 6개의 구단이 소속되어 있다.

퍼시픽 리그의 소속 구단과 성적
구단 이름 일본어 이름 본거지 우승 회수 경기 수 승리 패전 비김 승률
세이부 라이온즈 西武ライオンズ 도코로자와 20 7577 3877 3386 314 .534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 후쿠오카 13 7554 3832 3445 277 .527
오릭스 버팔로즈 オリックス・バファローズ 오사카,고베 12 7530 3782 3481 267 .521
지바 롯데 마린즈 千葉ロッテマリーンズ 지바 5 7564 3668 3583 313 .506
홋카이도 니혼햄 파이터즈 北海道日本ハムファイターズ 삿포로 3 7542 3423 3825 291 .472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東北楽天ゴールデンイーグルス 센다이 0 272 85 182 5 .318

(1950~2006년까지의 정보)

[편집] 소속 구단의 이름 변천

(주의) 볼드체가 현재의 이름. 단일 리그 시대의 이름은 생략함.

[편집] 현재 존재하는 구단

  • 한큐 브레이브스 (1947 도중-1988) → 오릭스 브레이브스(オリックス・ブレーブス,1989-1990) → 오릭스 블루웨이브(オリックス・ブルーウェーブ, 1991-2004) → 오릭스 버팔로즈(2005-)
  • 난카이 호크스(1947 도중-1988) →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福岡ダイエーホークス, 1989-2004)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2005-)
  • 도큐 플라이어즈 (1949-1953) → 도에이 플라이어즈(東映フライヤーズ, 1954-1972) → 닛타쿠 홈 플라이어즈(日拓ホームフライヤーズ,1973) → 니혼햄 파이터즈(日本ハムファイターズ, 1974-2003) → 홋카이도 니혼햄 파이터즈(2004-)
  • 마이니치 오리온즈(1950-1957) → 다이마이 오리온즈(1959-1963) → 도쿄 오리온즈(東京オリオンズ, 1964-1968) → 롯데 오리온즈(ロッテオリオンズ, 1969-1991) → 지바 롯데 마린즈(1992-)
  • 니시테쓰 클리퍼스(1950) → 니시테쓰 라이온즈(西鉄ライオンズ, 1951-1972) →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즈(太平洋クラブライオンズ, 1973-1976) → 그라운라이더 라이온즈(クラウンライターライオンズ, 1977-1978) → 세이부 라이온즈(西武ライオンズ, 1979-)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2005-)

[편집] 과거에 존재했던 구단

  • 다카하시 유니온즈(1954) → 돈보 유니온즈(1955) → 다카하시 유니온즈(1956) → 다이에이 유니온즈(다이에이 스타즈와 통합됨)
  • 다이에이 스타즈(1949-1956) → 다이에이 유니온즈(1957) → 다이마이 오리온즈(마이니치 오리온즈와 통합됨)
  • 긴테쓰 펄즈(近鉄パールス, 1950-1958) → 긴테쓰 버팔로(近鉄バファロー,1959-1961) → 긴테쓰 버팔로즈(近鉄バファローズ, 1962-1998) → 오사카 긴테쓰 버팔로즈(大阪近鉄バファローズ, 1999-2004) →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 블루웨이브와 통합됨)

[편집] 경기 방식

[편집] 팀당 배당 경기 수

  • 1950-1951년 20회(*2)
  • 1952년    18회(정규 리그(전 팀 대상)) +4회(결승: 상위 4팀) (*4)
  • 1953-1955년 20회
  • 1956-1957년 22회
  • 1958-1962년 26회
  • 1961년    28회
  • 1958-1962년 26회
  • 1965년    28회
  • 1966-1996년 26회
  • 1997-2000년 27회(*1)
  • 2001-2003년 28회
  • 2004년    27회(*1)(*3)
  • 2005-2006년 20회+교류전 (센트럴 리그 6팀) 6회 = 26회
  • 2007년-    24회+교류전 (센트럴 리그 6팀) 4회 = 28회
※1952년에 프로야구의 지역연고제(프랜차이즈)가 도입이 된 이후로는 홈앤어웨이 방식으로 홈경기와 원정경기를 반씩 경기를 가졌음.
(*1)1997년-2000년 시즌과 2004년 시즌은 할당된 경기수가 홀수였기 때문에, 대전 상대 중 어느 한팀이 홈경기를 하나 더 많이 가졌음.
(*2)1951년에는 10월 20일 개최된 미일야구 대회의 일정상 10월 7일 부로 공식전을 종료하였음.
(*3)2004년에는 프로야구 선수 파업이 발생하여, 2경기를 남겨둔 채 공식전을 종료하였음.
(*4)1952년에는 최종순위의 변동이 생기는 경기에 대해서는 재시합을 가지는 규칙이 있었음.
1952년, 1955년, 1959-60년, 1962년, 1966-68년에는 비긴 경기에 대해 재경기를 실시하였음.
1956-58년, 1961년에는 비긴 경기를 0.5승으로 두어 승률을 계산하였음.

[편집] 지명타자 제도

1975년 시즌 이래로, 퍼시픽 리그는 지명타자 제도(DH제도)를 채용하였다.

[편집] 기타

  • 1952년 시즌은 정규 리그가 끝난 직후에 상위 4개팀으로 결승 리그를 치뤘다.
  • 1973년 - 1982년까지는 전후기 리그의 두 시즌 제도를 두어, 각 시즌의 우승팀으로 5전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뤄 리그 우승팀을 결정하였다.
  • 2004년 부터는 정규 리그의 상위 3팀이 결승토너먼트를 치룬다.(플레이오프 제도(일본 프로야구)#퍼시픽 리그를 참조)

[편집] 역대 리그 우승 구단

연도 - 우승 구단 (볼드체 표시는 그해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의미) - 감독
  • 1950년 마이니치 오리온즈 (유아사 사다오(湯浅禎夫))
  • 1951년 난카이 호크스 (야마모토 가즈토(山本一人))
  • 1952년 난카이 호크스 (야마모토 가즈토)
  • 1953년 난카이 호크스 (야마모토 가즈토)
  • 1954년 니시테쓰 라이온즈 (미하라 오사무(三原脩))
  • 1955년 난카이 호크스 (야마모토 가즈토)
  • 1956년 니시테쓰 라이온즈 (미하라 오사무)
  • 1957년 니시테쓰 라이온즈 (미하라 오사무)
  • 1958년 니시테쓰 라이온즈 (미하라 오사무)
  • 1959년 난카이 호크스 (쓰루오카 가즈토(鶴岡一人))
  • 1960년 다이마이 오리온즈 (니시모토 유키오(西本幸雄))
  • 1961년 난카이 호크스 (쓰루오카 가즈토)
  • 1962년 도에이 플라이어즈 (미즈하라 시게루(水原茂))
  • 1963년 니시테쓰 라이온즈 (나카니시 후토시(中西太))
  • 1964년 난카이 호크스 (쓰루오카 가즈토)
  • 1965년 난카이 호크스 (쓰루오카 가즈토)
  • 1966년 난카이 호크스 (쓰루오카 가즈토)
  • 1967년 한큐 브레이브스 (니시모토 유키오)
  • 1968년 한큐 브레이브스 (니시모토 유키오)
  • 1969년 한큐 브레이브스 (니시모토 유키오)
  • 1970년 롯데 오리온즈 (노닌 와타루(濃人渉))
  • 1971년 한큐 브레이브스 (니시모토 유키오(西本幸雄))
  • 1972년 한큐 브레이브스 (니시모토 유키오)
  • 1973년 난카이 호크스 (노무라 가쓰야(野村克也))
  • 1974년 롯데 오리온즈 (가네다 마사이치(金田正一))
  • 1975년 한큐 브레이브스 (우에다 도시하루(上田利治))
  • 1976년 한큐 브레이브스 (우에다 도시하루)
  • 1977년 한큐 브레이브스 (우에다 도시하루)
  • 1978년 한큐 브레이브스 (우에다 도시하루)
  • 1979년 긴테쓰 버팔로스 (니시모토 유키오)
  • 1980년 긴테쓰 버팔로스 (니시모토 유키오)
  • 1981년 니혼햄 파이터스 (오사와 게이지(大沢啓二))
  • 1982년 세이부 라이온즈 (히로오카 다쓰로(広岡達朗))
  • 1983년 세이부 라이온즈 (히로오카 다쓰로)
  • 1984년 한큐 브레이브스 (우에다 도시하루)
  • 1985년 세이부 라이온즈 (히로오카 다쓰로)
  • 1986년 세이부 라이온즈 (모리 마사아키(森祇晶))
  • 1987년 세이부 라이온즈 (모리 마사아키)
  • 1988년 세이부 라이온즈 (모리 마사아키)
  • 1989년 긴테쓰 버팔로스 (오기 아키라(仰木彬))
  • 1990년 세이부 라이온즈 (모리 마사아키)
  • 1991년 세이부 라이온즈 (모리 마사아키)
  • 1992년 세이부 라이온즈 (모리 마사아키)
  • 1993년 세이부 라이온즈 (모리 마사아키)
  • 1994년 세이부 라이온즈 (모리 마사아키)
  • 1995년 오릭스 블루웨이브 (오기 아키라)
  • 1996년 오릭스 블루웨이브 (오기 아키라)
  • 1997년 세이부 라이온즈 (히가시오 오사무(東尾修))
  • 1998년 세이부 라이온즈 (히가시오 오사무)
  • 1999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오 사다하루(王貞治))
  • 2000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오 사다하루)
  • 2001년 긴테쓰 버팔로스 (나시다 마사타카(梨田昌孝))
  • 2002년 세이부 라이온즈 (이하라 하루키(伊原春樹))
  • 2003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오 사다하루)
  • 2004년 세이부 라이온즈 (플레이오프 결과) (이토 쓰토무(伊東勤))
  • 2005년 지바 롯데 마린즈 (플레이오프 결과) (보비 발렌타인)
  • 2006년 홋카이도 니혼햄 파이터즈 (플레이오프 결과) (트레이 힐만)
※1 1973 - 1982년은 전후기 리그의 우승팀의 최종 리그 결과
※2 2004년 이후는 플레이오프의 결과

[편집] 참고

  • 일본 프로야구

[편집] 외부 링크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