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구 온난화(地球溫暖化) 또는 '온난화(溫暖化)'는 최근 수십 년 간 지구 표면 부근의 대기와 바다의 평균온도가 높아지고, 앞으로도 계속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는 현상을 말한다.
온난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메탄 등 온실 가스의 농도 증가가 주목받고 있다. 유엔 정부간 기후변화위원회(IPCC)에서는, 20세기 중반 이후의 관측되는 평균온도의 증가의 대부분은 인간의 활동으로 발생한 온실가스의 증가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지적하였다. [1] 기후변화위원회가 참조한 기후모델에서는, 1990년에서 2100년 사이에 1.1 ~ 6.4 ℃의 온도 상승이 예측되었다.
지구 표면의 온도상승은 해수면 상승을 초래하고, 이는 다시 강수량의 양과 패턴을 변화시켜, 가뭄, 홍수 등의 기상이변을 일으킨다. 빙하의 후퇴와 기후의 변화는 생태계를 변화시켜, 등의 인류를 포함한 지구상 생물의 생존에 위협이 된다.
앞으로 얼마 만큼의 온난화가 진행되며, 지역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있을 것인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대부분의 나라들은 온난화 가스에 대처하기 위한 교토의정서에 서명하였다.
목차 |
[편집] 원인
온난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화석연료로부터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지목받고 있다.
- 이산화탄소
- 태양 활동 변화
- 화산활동
[편집] 지역별 온난화 및 영향
지구 표면 부근 온도는 지난 1백 년 간 0.74 ± 0.18 ℃ 상승했다.
[편집] 한반도 주변
2007년의 일본 기상청 발표에 의하면, 한반도 부근 바다의 수온이 최근 100년 간 세계 평균 바다 수온 상승 온도인 0.7도의 2배에 해당되는 1.2도 ~ 1.6도 가량 오른 것으로 밝혀졌다.
[편집] 북극해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현 상태를 유지할 경우, 2040년이면 북극의 얼음은 모두 녹아 없어진다고 한다.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출처 및 근거
- ↑ Summary for Policymakers (영문) (PDF).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