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백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함백선(咸白線)은 강원도 정선군의 예미역과 조동역을 연결하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태백선의 지선이다.
목차 |
[편집]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9.6km
- 운영 기관: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
- 역 수: 3
- 복선 구간: 없음(태백선의 복선 기능 수행)
- 전철화 구간: 전 구간(교류 25,000V)
- 보안 장치: ATS
[편집] 역 목록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거리 (km) |
영업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 예미 | Yemi | 禮美 | 0.0 | 0.0 | 태백선 | 강원도 | 정선군 |
| 함백 | Hambaek | 咸白 | 5.2 | 5.2 | |||
| 조동(신) | Jodong | 鳥洞 | 4.4 | 9.6 | 태백선 | ||
[편집] 노선 특징
이 구간의 열차 운행은 철저하게 태백선의 용량 확충과 중량 화물열차의 안전을 위한 우회운행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용량 확충 차원에서 임시열차 등은 함백선에 진입, 태백선 본선 측의 열차를 대피하거나 교행시키는 일이 잦으며, 한편, 화물열차의 경우 태백선 본선측이 30퍼밀의 급경사를 이루고 있어 경사가 보다 완만한 함백선을 경유하여 운전하는 예가 잦다. 다만 이 구간은 태백선과 상하행 방향을 분담하는 식의 복선화가 아닌, 쌍단선식의 복선화 구간으로 역할하고 있어, 열차의 운행은 상하행 모두 이루어진다.
정기여객열차운행은 비둘기호,통일호, 무궁화호 일부 열차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현재는 전역 정차를 하는 무궁화호 만이 정차하고 있다.
2005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함백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 선구 | 선로용량 | 일반여객 | 전동차 | 화물열차 | 운행총계 |
|---|---|---|---|---|---|
| 예미~함백 | 18 | 1 | - | 8 | 9 |
[편집] 차량
이 구간의 차량은 태백선의 차량에 준한다.
- 객차
- 무궁화호 전 형식
- 기관차
- 7500호대 디젤 기관차
- 8000호대 전기 기관차
- 8100호대 전기 기관차
- 8200호대 전기 기관차
과거의 운행하던 차량으로는 다음과 같다.
- 전동차
[편집] 역사
[편집] 개요
최초에는 영월선의 연장 노선인 함백선으로 처음에 건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후 정선선(이후의 태백선)이 건설되면서 예미~함백간의 노선은 정선선의 지선 형태로 변경되었으나, 1974년에 용량 확충 등의 필요에 의해서 함백~조동간의 루프 터널 및 연결선 공사가 개시되어 1977년에 현재와 같은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편집] 연혁
- 1949년 5월 3일 - 영월선 제천~함백간 착공.
- 1957년 3월 9일 - 함백선 영월~함백간 22.6km 완공. 완공 이후 영월선 구간을 통합하여 함백선으로 명명.
- 1962년 5월 10일 - 정선선 예미~정선간 착공.
- 1967년 1월 20일 - 정선선 예미~정선간 41.6km 완공. 예미~함백간은 함백선으로 분리.
- 1974년 6월 20일 - 태백선 제천~고한간 80.1km 전철화 완공. 전기기관차 운행 개시.
- 1974년 12월 20일 - 함백~조동간 루프 터널 착공.
- 1976년 12월 30일 - 함백~조동간 루프 터널(L=2,450m) 개통으로 인해 예미~조동간 함백선 연결 개통. 해당 구간 복선화.
- 1977년 4월 1일 - 조동역(신호장) 개역.
- 1984년 4월 10일 - CTC화 완료.
- 2004년 3월 31일 - 객차형 통일호 전폐에 따른 통일호 폐지.
- 2006년 10월 31일 - 함백역 역 건물 철거.
[편집] 미래
함백선에 대해서 향후 별다른 개량 계획은 존재하지 않는다. 노선 폐지의 가능성은 없으나, 과거 독립 지선의 역할에서 태백선의 병행단선으로의 역할 변동이 예측된다.
2006년 10월 31일에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는 구 함백역 역사를 철거하였으나, 이에 대해 해당 지역 주민의 항의가 격렬하였다. 정선군은 이에 부응하여 역사를 복원하고 관광스폿화 하려는 계획을 수립중에 있다.
[편집] 관련 항목
| 간선 | 경부고속선·경부선·경의선·서울교외선·호남선·경원선·충북선·경전선·장항선·전라선·경춘선·동해선(동해남부선·동해북부선)·중앙선·영동선·경북선·태백선 |
|---|---|
| 지선 | 오송선·대전선·대구선·가야선·강경선·군산선·진해선·광주선·괴동선·망우선·삼척선·묵호항선·함백선·정선선 |
| 수도권 전철 | 경인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광명 셔틀 |
| 영업중지 | 수인선·용산선·옥구선 |
| 화물선 | 남부화물기지선·양산화물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북전주선·여천선·우암선·부전선·온산선·장생포선·울산항선·남포선·북평선·문경선·화순선·진삼선·서천화력선 |
| 폐선 | 수려선·당인리선·주인선·가은선·김포선·안성선·신촌연결선·오정선·금강산선 |
| 계획중 | 호남고속선·강원선·중부내륙선·중부선·서해선·완도항선·서해산업선·용문-홍천선·평택-원주선·원주-강릉선·동서선·춘천-원주선·의정부-철원선·군산-목포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