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동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소요산 방면 | (115) 방학 | (116) 창동 | (117) 녹천 | 인천·천안 방면 |
| 당고개 방면 | (411) 노원 | (412) 창동 | (413) 쌍문 | 오이도 방면 |
| 창동 | |
|---|---|
| 역 정보 | |
| 노선 | 경원선(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5동 135-1 |
| 개업일 | 1911년 10월 15일 |
| 역 종별 | 보통역 |
| 역 등급 | 3급 |
| 승강장 | 혼합식 (2면 4선) |
| 전화번호 | 02-992-3388 |
| GPS 좌표 | {{{GPS}}} |
창동역(倉洞驛, Chang-dong)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4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창동역 인근에는 서울메트로 창동차량사업소가 있다. 일부 1호선 인천행 열차는 이 역에서 출발한다.
현재 한국철도공사(구 철도청)에 의한 민간자본투자역사(민자역사)를 신축중이다.(2005년 기공)
목차 |
[편집] 역 정보
[편집] 1호선
- 내리는 문의 위치 : 왼쪽
- 화장실 위치 : 개찰구 안
[편집] 4호선
[편집] 출구 정보
- 1번: 도봉경찰서, 도봉구청 별관, 창동차량보관소, 창4동사무소, 창4동파출소, 창동역 버스 정류지, 창동역동측 버스 정류지
- 2번: 도봉등기소, 북부교육청, 서울창동초등학교, 창5동사무소, E마트 창동점, 창동역서측 버스 정류지
[편집] 승차량 변동
주변지역엔 대단위 아파트단지가 분포하고 있다. 1호선역은 2003~2004년의 감소 추세가 그리 크지 않은 몇 안되는 역이며, 가장 큰 감소세는 2000~2001년 7호선의 완전개통을 전후하여 발생하였다. 최근 다시 반전이 이뤄지고 있는 것 같다. 4호선역의 경우 진동 지점이 이전보다 낮아졌다. 즉 2000년부터 승객이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 1호선 | 14133 | 11731 | 10070 | 10174 | 9019 | 9826 | 9911 |
| 4호선 | 36045 | 35656 | 35707 | 34187 | 34208 | 34753 | 34370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과천선: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안산선: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공단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분류: 서울 도봉구의 전철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 수도권 전철 환승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