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프라이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하프라이프》 | |
|---|---|
| 개발사 | 밸브 코퍼레이션 |
| 배급사 | 시에라 스튜디오 일렉트로닉 아츠 밸브 코퍼레이션 |
| 엔진 | GoldSrc |
| 출시일 | PC: PS2: |
| 장르 | 1인칭 슈팅 게임 |
| 모드 | 싱글 플레이, 멀티 플레이 |
| 언어 | 영어, 한국어 등 |
| 이용등급 | 게임위 : 15세 이용가 BBFC: 15 ELSPA: 15+ ESRB: Mature (M) OFLC: MA 15+ PEGI: 16+, 15+(핀란드) (재 릴리즈) |
| 플랫폼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플레이스테이션 2, 매킨토시(취소), 드림캐스트(취소, 유출됨), 리눅스(취소), GP32(취소) |
| 미디어 | CD, DVD 또는 스팀 |
| 후속작 | 하프라이프 2 |
하프라이프(Half-Life)는 사이언스 픽션의 1인칭 슈팅 게임으로 밸브 코퍼레이션의 첫 게임이며, 1998년 11월 19일 시에라 스튜디오에 의해 발매되었다. 이 게임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를 설치한 PC에서만 작동되며[1] 퀘이크 엔진을 수정한 GoldSrc라 불리는 엔진을 사용한다.[2]
목차 |
[편집] 개요
플레이어는 게임에서 갓 졸업한 이론물리학자인 고든 프리맨이 되어 참담한 실패로 끝난 실험을 진행했던 파괴된 연구소 및 그 주변을 돌아다니며 사건을 해결하고 탈출하여야 한다. 이 게임은 컷신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이야기를 알려주는 1인칭 슈팅 게임이다. 하프라이프는 1998년 ~ 1999년 사이 50개의 올해의 게임 상을 수상하였으며[3] 게임플레이 방식은 몇 년동안 다른 1인칭 슈팅 게임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이후 줄곧 가장 탁월한 게임으로 평가받았다.[4]
하프라이프는 발매 이래 800만장 이상 판매되었으며[5] 현재까지 가장 많이 팔리는 1인칭 슈팅 게임이 되었다. 하프 라이프 프랜차이즈의 경우 – 하프라이프: 어포징 포스, 하프라이프: 블루 쉬프트와 같은 확장팩, 카운터 스트라이크, 팀 포트리스 클래식, 데스매치 클래식, 리코셰 그리고 데이 오브 디피트와 같은 모드(mod), 그리고 속편인 하프라이프 2를 포함해 – 1,500만장 이상이 판매되었다.[6]
이 게임은 2001년 11월 15일에 플레이스테이션 2용으로도 발매되었다. 또한 세가 드림캐스트용으로도 포팅되었으나, 드림캐스트 버전의 경우 발매 예정일 2주 전에 시장 변동을 이유로 발매가 취소되었으나, 드림캐스트 버전은 인터넷을 통해 유포되었다.[7] 매킨토시용 제작도 시도되었으나, 윈도 PC 버전과의 멀티플레이어 모드에서의 호환성 문제로 인해 계획이 취소되었다.
하프라이프 및 확장팩은 모두 과학 용어에서 가져온 것이며 '하프라이프'의 경우(한국어로는 반감기)어떤 양이 초기 값의 절반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뜻한다. 어포징 포스는 뉴턴의 운동 법칙 중 "제3법칙: 반작용의 법칙"을 참고로 한 것이고, 블루 시프트는 최대 파장이 낮은 파장 영역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뜻하는 '청색이동'을 뜻한다.
[편집] 줄거리
게임의 주된 배경은 뉴 멕시코 주의 사막 지대 위에 있는 블랙 메사 연구소(줄여서 '블랙 메사'라고 흔히 불린다)라는 가상의 연구 기관으로 에이리어 51이나 로스 알라모스 국립 연구소와 유사한 점이 많다. 시간적 배경은 2000년대의 5월 또는 12월 (게임 속에 나타나는 달력을 참고로 하여)이며, 주인공은 예기치 못한 '대공명'(resonance cascade, 이 용어는 가상의 용어이다. 보강간섭(constructive interference)와 즉발임계(prompt critical) 문서를 참고하라.)으로 인해 참담한 실패로 끝난 실험의 유일한 생존자인 이론물리학자인 고든 프리맨이다.
이 '대공명'으로 인해 젠(Xen)이라고 불리는 다른 세계에서 들어온 외계 생물들이 연구소에 들어오게 된다. 고든 프리맨은 파괴된 연구소에 있는 부상자들을 돕기 위해 탈출하려고 노력하던 도중, 이 연구소의 외계인을 처리하는 것은 물론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서 연구소에 남아 있는 생존자들까지 처리하기 위해서 급파된 위험 환경 전투 부대와 미국 해병대 특수 부대와 맞닥뜨리게 된다.
게임 도중에는, 신상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알려지지 않은 "지맨"(G-Man)이라고 불려지는 한 남성(실제 게임에서는 언급되지 않는다)이 주기적으로 나타나 프리맨의 행동을 관찰한다. 프리맨은 '람다 복합 기지'(여기서 '람다'는 그리스 문자 Λ를 뜻한다)로 달려가 연구소에 있는 모든 외계 생물들의 우두머리인 니힐란스를 처치하여 블랙메사에 존재하는 모든 외계 생물들의 활동을 멈추게 하기를 요구받고 젠으로 떠나 니힐란스를 처치한다.
프리맨은 이때 지맨과 대면하며 그때 지맨은 고든에게 자신의 위해 일해볼 것이냐 제안했고, 고든은 수락하여 지맨에게 고용되었다. 그때부터 고든은 '느린 시간 워프'라고 불리는 시공간 속에서 긴 시간 동안 대기 상태에 빠져 있게 된다.
이 게임의 줄거리는 게임 둠과 퀘이크, 스티븐 킹의 단/중편소설 《안개》(The Mist), 그리고 미국의 사이언스 픽션 텔레비전 프로그램 시리즈였던 《더 아우터 리미츠》(The Outer Limits)의 에피소드들 중 하나인 "The Borderland"의 영향을 받았다. 이것은 나중에《아빠의 원자력 발전소》(Dad's Nuke)와 《37번째 계단》(The 37th Mandala)을 썼던 밸브의 사내 작가이자 저자인 마크 레이드로우에 의해 발전된다.[8]
[편집] 게임플레이
하프라이프에서 플레이어는 전투와 퍼즐 해결, 이 두 가지를 수행해야 한다. 당시 동일 장르의 다른 게임들과는 달리, 하프라이프에서는 외계 생물체가 문을 처박는 것과 같이 주요 부분마다 작은 깜짝 이벤트가 일어나도록 하였다. 또한 당시 같은 장르의 게임들은 컷신을 넣어 이야기를 자세히 설명했으나, 하프라이프의 이야기는 이러한 이벤트를 통해 나옴으로써 플레이어를 계속 플레이 상태에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플레이어에게는 잠시도 고든을 움직이지 않는 때가 오지 않으며, 또한 고든 역시 게임 내에서 절대로 자신의 모습을 보이거나 말하지 않는다.
하프라이프에서는 "레벨"이 없다. 그 대신 챕터로 나누어지며 새 챕터로 바뀔 때마다 화면에 챕터명이 잠시 나온다. 새 맵으로 이동할 때마다 로딩과 함께 저장이 이루어지는데 이 때 잠시 게임이 중단된다. 게임 중간에 생존한 연구원들이나 경비원들이 고든을 도와주기도 한다.
[편집] 무기
하프라이프에서는 다양한 무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크로우바(crowbar)가 주어진다. 크로우바는 주로 초반에 근접전이나 장애물을 부술 때 사용된다. 이외에도 글록 17 권총, SPAS-12 산탄총, 유탄 발사기가 장착된 헤클러&코흐 MP5 기관단총, .357 매그넘, 로켓 발사기(RPG), 실험 무기인 글루온 건, 가우스 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프라이프 HD팩(Half-Life High Definition Pack)을 설치하면, 모델 안의 많은 수들의 폴리곤들로 인해 무기의 외양이 업데이트되는데, 게임플레이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 글록 17과 MP5는 각각 베레타 92FS와 M4A1로 교체된다.
[편집] 확장팩
두 개의 확장팩이 외부 개발사인 기어박스 소프트웨어를 통해 PC용으로 출시되었다. 하프라이프: 어포징 포스(1999년) 그리고 하프라이프: 블루 쉬프트(2001년)인데, 전자의 경우 외계 생물체의 진압을 위해 투입된 위험 환경 전투 부대의 대원 아드리안 셰퍼드의 시점으로 진행되며 새로운 무기와 논플레이어 캐릭터가 추가되었으며 이전에 보이지 않던 연구소 안의 모습도 볼 수 있다. 진행되는 챕터 수는 오리지널보다 짧은 편이다. 후자는 블랙 메사 연구소의 경비원인 바니 칼훈의 시점에서 진행되며, HD팩이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HD팩을 설치할 경우 하프라이프, 어포징 포스 그리고 블루 쉬프트의 외양을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모델들의 폴리곤과 텍스쳐 해상도가 증가했다.
2001년에는 역시 기어박스 소프트웨어에서 플레이스테이션 2용 하프라이프의 확장팩으로 하프라이프: 디케이를 출시했는데, 기존의 하프라이프가 싱글 플레이어에 초점을 두었던 것과 달리 두 명의 플레이어가 같이 게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편집] 사운드 트랙
하프라이프의 사운드 트랙은 켈리 베일리(Kelly Bailey)가 작곡했다.[8]
|
|
(참고: 대다수 트랙들은 제목을 바꿔서 하프라이프 2의 오리지날 사운드 트랙에도 실렸다; 괄호 안의 제목은 하프라이프 2 OST에서의 제목이다. 2번, 12번, 13번 그리고 24번 트랙은 속편용으로 리믹스되었다.)
[편집] 같이 보기
- 하프라이프: 업링크 - 정식으로 발매된 후인 1999년에 나온 하프라이프의 데모 버전.
[편집] 주석
- ↑ Steam - Half Life, 2007년 9월 3일 읽어봄.
- ↑ The Final Hours of Half-Life: Behind Closed Doors at Valve Software - GameSpot, 2007년 9월 3일 읽어봄.
- ↑ Award and Honors - Valve, 2007년 9월 3일 읽어봄.
- ↑ The Gamasutra Quantum Leap Awards: First-Person Shooters - GAMASUTRA, 2006년 9월 1일 글.
- ↑ Half-Life 2's Real Battle - 워싱턴 포스트, 2004년 11월 15일 기사.
- ↑ First In Half-Life Episodic Trilogy Debuts at Number 1 - Valve사의 2006년 6월 8일 보도 자료.
- ↑ Not Given Half A Chance: The Cancellation of Half-Life - IGN, 2007년 9월 3일 읽어봄.
- ↑ 8.0 8.1 The Valve team - Valve, 2007년 9월 4일 읽어봄.
[편집] 외부 링크
- 스팀아시아의 하프라이프 소개 페이지
- ((영어))하프라이프 위키
- ((영어))하프라이프 사운드 트랙 다운로드
- ((영어)) Half-Life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 이 문서는 게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