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컴퓨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패밀리 컴퓨터
패밀리 컴퓨터
NES
NES

패밀리 컴퓨터(영어: Nintendo Family Computer, 일본어: ファミリーコンピュータ)는 닌텐도에서 1983년 7월 15일 발매한 가정용 게임기패미컴(Famicom) 또는 FC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아시아권 이외의 북미유럽에서는 NES(영어: Nintendo Entertainment System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다.

목차

[편집] 개요

게임기의 발매와 동시에 '뽀빠이'와 '동키 콩' 그리고 '동키 콩 주니어'라는 3개의 게임이 동시 발매되었으며 이 게임기용 게임은 '핀볼'과 '동키 콩 시리즈' 및 '마리오 브라더스' 등과 같은 오락실 게임을 변환한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1985년에 발매된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등 독자적으로 개발된 게임에 의해 당시 가정용 게임기의 인기에 불을 붙였다. 일본에서의 내수 판매량은 약 1,935만대였므며 전 세계 누적 판매량은 약 6,291만대에 이른다. 닌텐도는 이로인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게 된다.

[편집] 하드웨어 변천사

패미컴의 조작기
패미컴의 조작기

[편집] 제어기와 마이크

방향 조절 버튼과 A·B 버튼, 시작, 선택 버튼을 갖추었으며 이 후의 가정용 게임조작기의 표준적인 형태가 된다. 고무로 만들어진 A와 B 두개의 버튼은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어 후에 플라스틱을 사용한 제품이 출시되었다.

  • 이 패드의 디자인은 2005년 9월 13일에 닌텐도에서 발매한 휴대용 게임기 게임보이 마이크로의 패미컴 컬러의 디자인에 그대로 도입된다.
  • II 컨트롤러에는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를 내장하고 있었는데 역시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어 뉴 패밀리 컴퓨터에서는 제거된다.

마이크 사용이 가능한 게임은 번겔링 베이, 타케시의 도전장, 젤다의 전설, 도라에몽과 패밀리 베이직 등이 있다.

[편집] 음원

내장 음원은 펄스파 2계통, 삼각파, 노이즈, DPCM의 5 채널이지만 롬 카트리지의 핀 하나가 아날로그 신호용으로 사용되어 음성 출력에 혼합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로인해 카트리지 측에 음원을 탑재하는 것으로 음원을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었다. 이것을 이용한 대표적인 게임은 디스크 시스템의 FM 음원이며 일부 코나미와 남코 게임의 추가 음원 등이 있다.

[편집] 기억공간 확장

부족한 메모리(64킬로바이트)의 확장을 위해 사용된MMC는, 프로그램 롬과 캐릭터 롬의 영역을 분할하여 필요에 따라서 바꾸기 위한 게이트 어레이다. 실용화 된 MMC만 6종류로 스클롤 방향의 제어, PPU를 보충하는기능 외에도 백업 메모리를 탑재한 것도 있었다. 이 방식은 게임보이에서도 MBC로 사용되게 된다.

[편집] 지역코드 제한

패밀리 컴퓨터의 롬팩에 포함된 소프트웨어는 기본적으로 지역코드 등의 제한이 없다. 그러나 다양한 국가와 지역의 시장을 가진 닌텐도사는 이 지역을 서로 구분하고 보호하기 위한 일환으로 롬팩과 카트리지의 규격을 지역별로 다르게 제작하는 방법으로 지역코드 제한과 같은 유사한 효과를 가지도록 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롬팩이나 카트리지 슬롯의 외형을 인위적으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과 이러한 용도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진 별도의 변환기(NES와 FC간의 외형적 차이를 맞추어주는 틀)로 인해 이러한 제한은 손쉽게 무력화되었다. 이러한 부분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게임기에서 콤팩트 디스크(CD)와 같은 광디스크를 채용한 것과는 달리 닌텐도사는 슈퍼패미컴은 물론 닌텐도 64 콘솔 제품의 경우에도 롬팩과 카트리지슬롯의 외형차이를 두분 방법을 그대로 적용했다.


[편집] 새로운 패밀리 컴퓨터

이 이름은 다른 게임기에서는 이미 주류가 되고 있던 콤포짓 비디오 출력에 의한 텔레비전 접속이 가능해진 것에서 유래됐다. 당시 RF 출력으로부터 AV 출력으로의 사양 변경으로 인해 일본에서는 발매가 연기됐었으나, 먼저 발매된 북미판 NES 2는 RF 출력만 가능하였다.

AV 사양 패밀리 컴퓨터는 저가격화를 위한 염가판으로써 발매됐지만, 기존의 주변 기기도 사용이 가능하고 취급도 쉬워진 점 등으로 고전 게임 애호가로부터 귀한 취급을 받았다.

[편집] 패밀리 컴퓨터와 달라진 점

  • NES와 같이 옅은 회색을 바탕으로 스위치나 버튼은 빨간색, 짙은 회색, 검은색으로 디자인 되었다. 컨트롤러는 슈퍼 패미콘과 같이 동그랗게 입체감을 갖게 되었으며, A 버튼의 위치를 변경하여 보다 조작이 쉽게 개량되었다.
  • 콤포짓 비디오 출력으로 인해 화면도 훨씬 깨끗해졌다. 텔레비전과의 접속에는 슈퍼 패미컴과 같은 AV 케이블을 사용하지만, 슈퍼 패미컴용 S 단자와 RGB 케이블은 사용할 수 없다. RF 출력 단자는 탑재되지 않았으므로 안테나 단자로 접속을 하려면 별매의 RF 변환기가 필요하다.
  • 컨트롤러의 탈착이 가능하며 I·II 컨트롤러의 구별이 없어졌으며, 앞서 말했듯이 패밀리 컴퓨터에 내장된 마이크가 제거됐으므로 이를 사용하는 일부 게임의 이용에 대한 제한이 생긴다.
NES용 게임팩
NES용 게임팩

패밀리 컴퓨터가 발매된 1983년 당시 일본에는 이미 텔레비전을 사용하는 게임기가 보급되고 있었다. 패밀리 컴퓨터는 그때 당시에 있어 높은 하드웨어 성능과 재미로부터 인기를 얻었지만 제 2의 아타리 쇼크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닌텐도는 이를 충분히 인식하고 써드파티의 라이센스 방식을 어렵게 하는 등 게임의 질을 철저히 관리하여 게임 시장을 확립할 수 있었고 현재에도 계속되는 거대 시장의 성장으로 연결되게 된다.

[편집] 가정용 게임기의 대명사

1977년에 발매된 아타리의 게임기인 비디오 컴퓨터 시스템은 큰 인기를 얻으면서 게임의 과잉 공급과 그에 따르는 질의 저하를 원인으로 소비자로부터 지지를 잃고 아타리의 비디오 컴퓨터 시스템 시장이 붕괴되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아타리 쇼크라고 불린다. 이에 반해 일본에서는 패미컴의 성공으로 가정용 게임기의 대명사가 되어 같은 일본의 게임기 제조회사인 세가나 NEC 홈 일렉트로닉스는 소니플레이 스테이션까지 패밀리 컴퓨터로 흔히 일컬었다.

가정용 게임기
1세대
마그나복스 오디세이 • 퐁 • 콜레코 텔스타
2세대
아타리 2600 • 인터턴 VC 4000 • 페어차일드 채널 F • 오디세이² • 인텔리비전 아타리 5200 • 콜레코비전 • 아카디아 2001 • 벡트렉스
3세대
패밀리 컴퓨터마스터 시스템 • 아타리 7800
4세대
PC 엔진메가 드라이브 • 네오 지오 • 슈퍼 패미컴
5세대
3DO • 아미가 CD32 • 아타리 재규어세가 새턴플레이스테이션닌텐도 64
6세대
드림캐스트플레이스테이션 2게임큐브엑스박스
7세대
엑스박스 360플레이스테이션 3

[편집] 역사

  • 1983년 7월 15일 패미컴: 8비트 CPU를 채용한 가정용 게임기로 일본에서의 발매당시 가격은 14,800엔이었다.
  • 1985년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Nintendo Entertainment System, NES)의 이름으로 미국 발매.
  • 현대 컴보이: 대한민국의 현대전자산업(지금의 현대전자)에서 발매.
  • 1993년 12월 1일 패밀리 컴퓨터 에이브이(일명 뉴패밀리컴퓨터) 일본에서의 발매당시 가격은 세금을 포함하여 7,000엔이었다.
  • 2003년 9월말 제조 부품의 수급이 어려다는 등의 이유로 생산을 중단했다.(발매 20 주기)
닌텐도 게임기
가정용 게임기 : 컬러 TV 게임 • 패미콤슈퍼 패미컴버추얼 보이닌텐도 64게임큐브 • 닌텐도 아이큐 •
휴대용 게임기 : 게임 앤드 워치게임보이/포켓/라이트게임보이 컬러게임보이 어드밴스/SP/마이크로 • 포켓몬 미니 • 닌텐도 DS/라이트
아케이드 : 닌텐도 클래식 • 닌텐도 Vs. 시리즈 • 플레이초이스-10 • 닌텐도 수퍼 시스템 • 트라이포스
게임보이 어드밴스 주변기기 : 게임 링크 • e-Reader • 게임보이 플레이어 • 게임큐브 케이블 • 게임보이 어드벤스 전용 무선 어댑터 • 플레이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