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혁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병혁(崔丙赫, 1878년 9월 24일 ~ 1920년 8월 15일)은 일제 강점기 초기의 지방 관료이다.

황해도 해주 출신이다.

1902년에 황해도 관찰부의 주사로 관직을 시작했으며, 이후 탁지부와 평양, 의주의 재정서 등지에서 근무했다.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된 후 1911년조선총독부 군서기로 임명되었으며, 황해도 신계군과 금천군 군수를 지냈다. 1912년에는 한국병합기념장도 받았다.

1917년부터 은율군 군수로 재직하던 중, 1920년 만주에서 잠입해 온 이지표 등 대한독립단 단원들에게 살해되었다. 최병혁이 살해된 것은 3·1 운동으로 만세 시위가 일어났을 때 적극적으로 시위대를 박해했기 때문이다[1]. 대한독립단 단원들은 구월산에서 유격전 끝에 전사하거나 체포되었고, 최병혁에게는 훈6등 서보장이 추서되었다.

2005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파 목록 관료 부문과 2006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조사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편집] 참고자료

[편집] 주석

  1. 전갑생, 반민특위 와해 후 첫 정부 발표 친일파 106명 《오마이뉴스》 (2006.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