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의학(韓醫學, 남한 표기) 또는 고려의학(高麗醫學, 북조선 표기)은 한국의 동양의학이다. 중국에서는 중의학이라부르고 일본에서는 한방의학(漢方醫學; Kampo medicine)이라고 부른다. 동양 철학에 기초하여 만들었지만 경험적(따라서 실험적)인 요소도 강한 학문이다. 한의학의 대표적 독창성은 사상의학에서 나타난다.[1]
목차 |
[편집] 현대 의학과의 차이
현대 의학과의 큰 차이점은 사람의 몸을 환원적인 개체의 모임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전일적인 유기체로 본다는 것이다. 한의학에서는 "사람의 몸은 또다른 우주이다."라고 하여, 서로 관계가 없어 보이는 기관 사이에도 흐름이 존재하고 이것이 질병이나 치료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한의학은 진단에는 진일론적 관점을 가지지만 치료에는 기계론적 관점을 가진다.
[편집] 치료효과
사람의 몸을 전일적인 유기체로 보기때문에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치료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치료방법의 특징 때문에 만성질환이나 기능성 질환에 우수한 치료효과를 보인다는 주장이 있다.
현대의학과는 달리 증거위주의 의학이 아니므로 실제 효과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인 의견과 매우 우수하다는 의견으로 양분되어 있다. 증거위주의 의학이 아니고, 이론 체계가 검증이 불가능한 체계이며, 한의학자 스스로 기의 검증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치료효과도 미지수이다.
의사들의 파업은 국민 건강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만, 한의사들의 파업은 국민건강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국내 한의사들의 인기 및 수의 증가는 그들의 치료효과가 아니라 그들의 수입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한의사들은 한약사의 기능 분리를 거부한다.
[편집] 원전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편집] 치료방법
- 침구요법
- 부항요법
- 탕액요법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편집] 대한민국의 한의학 교육
- 한의과대학
- 커리큘럼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편집] 주석
- ↑ Leem KH, Park HK (2007). "Traditional Korean medicine: now and the future.". Neurological Research 29 (Suppl 1): S3-4. DOI:10.1179/016164107X1723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