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충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충(害蟲)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생활이나 농업등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해를 주는 곤충을 뜻한다. 크게 위생해충, 농업해충, 산림해충등으로 구분된다.

목차

[편집] 위생해충

파리, 모기, 벼룩, 진드기, , 바퀴벌레처럼 몸에 해를 입히거나 병을 옮기는 해충을 말한다.

[편집] 농업해충

농작물의 즙을 빨아먹거나 갉아먹어서 해를 끼치는 해충을 말한다. 진딧물, 이화명충, 배추벌레,호랑나비의 유충(귤나무를 갉아먹는다.)등이 농업해충에 속한다. 그런데 이중 배추벌레와 호랑나비는 유충시절에는 농업해충이지만, 성충은 식물의 번식을 돕는 익충이라는 이중성을 갖는다.

[편집] 산림해충

나무를 해치는 해충을 말한다. 송충이, 미국흰불나방의 유충, 하늘소의 유충과 성충등이 산림해충에 속한다. 솔나방의 애벌레인 송충이는 소나무의 잎을 갉아먹는 해충으로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솔잎혹파리와 함께 임업피해를 주고 있다.미국흰불나방의 유충은 수입목재를 통해 1950년대 대한민국에 들어온 귀화해충으로 활엽수의 잎을 갉아먹기 때문에 한때 산림지역에 큰 피해를 주었다. 하늘소는 크게 나무껍질을 씹어먹거나 나무속을 파먹으며, 솔수염하늘소처럼 제선충의 숙주역할로 피해를 주기도 한다.

[편집] 천적

해충을 구제하는 방법은 농약을 이용한 방법과 천적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해충만 죽일 수 있고, 인체에 해롭지 않은 천적을 이용한 해충 제거가 연구되거나 상품화되고 있다. 실례로 농업진흥청의 농업과학기술원에서는 진딧물의 천적인 무당벌레의 유충과 성충을 사육, 진딧물 제거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실험한 바 있다. 하지만 미국의 귤 재배농민들이 호주에서 수입한 배달리아무당벌레로 귤나무의 농업해충인 깍지벌레의 수를 줄인 적이 있어서 이미 19세기부터 천적을 이용한 해충제거가 논의되어왔다고 보는게 정확하다. 그외 해충구제방법으로는 수컷을 방사능으로 거세시켜서 번식을 못하게 하는 방법이 있는데, 실제로 미국에서는 의 피부에 기생하는 말파리의 수컷을 방사능으로 거세시킨뒤 풀어주어 번식활동을 못하게 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