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대입구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외선 순환 | (238) 합정 | (239) 홍대입구 | (240) 신촌 | 내선 순환 |
홍대입구역(弘大入口驛, Hongik Univ.)은 수도권 전철 2호선의 역 중 하나이다. 초기에는 '동교역'이었으나, 인근에 홍익대학교가 있어 지금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차후 경의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와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목차 |
[편집] 역 정보
-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동 165번지
- 전화번호 : 02-332-2594
- 내리는 문의 위치 : 왼쪽
- 승강장 형태 : 곡선 섬식 승강장
- 스크린도어 : 있음
- 화장실 위치 : 개찰구 안
[편집] 출구 정보
- 1번: 성산동, 홍대입구 광역버스 정류지
- 2번: 연남동, 가톨릭대학교 대학원·사회교육원, 동교동사무소, 경성중학교, 경성고등학교, KT 신촌지점, 홍대입구전철역 지·간선버스 정류지
- 3번(폐쇄): 동교동
- 4번(폐쇄): 연남동, 동교동사거리, 동교동파출소, 서교초등학교, 홍대입구전철역 지·간선버스 정류지
- 5번: 동교동, 동교동파출소, 마포평생학습관, 서교초등학교, 기업은행, 서교시장, 서교아파트, 홍대입구 광역버스 정류지, 홍익대입구역 지·간선버스 정류지
- 6번: 동교동, 서교초등학교, 홍익대학교, 기업은행 홍대역지점, 서교시장, 서교아파트
3번 출구와 4번 출구는 인천국제공항철도 건설을 위해 2006년 4월 25일 폐쇄되었다.
[편집] 역사
- 1984년 5월 22일: 2호선 개통(서울대입구역 - 을지로입구역)으로 영업 개시 (출구 6개)
- 2006년 4월 25일: 3번 출구, 4번 출구 폐쇄 (인천국제공항철도 건설)
- 2007년 7월: 스크린도어 설치
[편집] 승차량 변동
2000~2001년의 감소세는 주변에 6호선이 개통했기 때문인 것 같다. 이후 승차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주변은 문화상품의 소비로 이름난 지역이기 때문에 그 집적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또한 부근 신촌역의 감소와 동시적이기 때문에 신촌역 일대에 있던 서북부의 중심 기능이 이 역 부근으로 일부 옮겨오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는 수치일 수도 있다.
|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 2호선 | 43060 | 40803 | 41096 | 41663 | 44052 | 45770 | 46456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을지로 순환선: 시청 - 을지로입구 - 을지로3가 - 을지로4가 - 동대문운동장 - 신당 - 상왕십리 - 왕십리 - 한양대 - 뚝섬 - 성수 - 건대입구 - 구의 - 강변 - 성내 - 잠실 - 신천 - 종합운동장 - 삼성 - 선릉 - 역삼 - 강남 - 교대 - 서초 - 방배 - 사당 - 낙성대 - 서울대입구 - 봉천 - 신림 - 신대방 - 구로디지털단지 - 대림 - 신도림 - 문래 - 영등포구청 - 당산 - 합정 - 홍대입구 - 신촌 - 이대 - 아현 - 충정로 - 시청
신정지선: 신도림 - 도림천 - 양천구청 - 신정네거리 - 까치산
분류: 수도권 전철 2호선 | 용산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 서울 마포구의 전철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