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 원소 이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화학에서 체계적 원소 이름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거나 발견되었으나 아직 이름이 결정되지 않은 원소를 논문 등에서 가리키기 위하여 임시로 붙여지는 이름이다. 이 체계는 원소의 원자 번호를 바탕으로 하며, 국제 순수 및 응용화학연맹(IUPAC)에서 결정하였다.
[편집] 규칙
| 자리 | 이름 토막 | 기호 토막 |
|---|---|---|
| 0 | nil | n |
| 1 | un | u |
| 2 | b(i) | b |
| 3 | tr(i) | t |
| 4 | quad | q |
| 5 | pent | p |
| 6 | hex | h |
| 7 | sept | s |
| 8 | oct | o |
| 9 | en(n) | e |
어떤 원소의 체계적 원소 이름은 원자 번호를 십진법으로 표기한 각 자리를 표에 따라 해당하는 이름 토막으로 바꾸고 뒤에 -ium을 붙여 이은 것이다. 이름 토막의 어원은 라틴어와 그리스어에서 왔는데, 두 언어를 함께 쓴 이유는 모든 이름 토막이 서로 다른 글자로 시작되게 (따라서 기호 토막이 중복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다만 글자가 중복되어 이상하게 보이는 이름을 피하기 위하여 다음 두 법칙이 적용된다.
- 마지막 자리가 2(-bi-)거나 3(-tri-)이면 원소 이름은 -biium이나 -triium이 아닌 -bium이나 -trium으로 끝난다.
- 숫자에서 -90-이라는 자리들이 연달아 있으면 원소 이름은 -ennnil-이 아닌 -ennil-이 된다.
해당 원소 이름에 대응되는 원소 기호는 단순히 각 토막의 맨 첫 글자를 딴 뒤 맨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꾼 것이다. 이 규칙이 제정되던 당시에는 110번까지(2007년 현재는 111번까지)의 모든 원소가 이름을 부여받았기 때문에, 체계적 원소 이름은 사실상 세 글자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편집] 외부 링크
- ((영어)) IUPAC 권고안, 2004년 3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