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대한민국국보 151호 조선왕조실록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구성 1893권 888책
소재지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부산 연제구
 국가기록원 부산지원
등록구분 1973년 12월 31일 국보 지정.
1997년 10월 세계기록유산 지정.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조선왕조태조부터 조선 철종까지 25대 472년간(1392년~1863년)의 역사를 기록한 으로, 총 1893권 888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6,400만 자의 방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은 공정성과 객관성을 지켜내기 위하여 매우 엄격한 규율에 의해 작성되었다. 왕의 실록은 반드시 해당 왕의 사후에 작성되었으며, 임금은 어떠한 경우에도 실록을 열람할 수 없었다. 사관들은 독립성과 비밀성을 부여 받아 사소한 사항까지도 왜곡없이 있는 그대로 작성할 수 있었다. 실록은 편찬될 때마다 여러 부를 활자로 더 인쇄하여 여러 곳에 나누어 보관하였기 때문에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의 분란에도 그 기록을 유지할 수 있었다. 1997년 10월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목차

[편집] 목록

순서 이름 편찬 원 이름 기타
1 태조실록 15 3 1413년(태종 13년) 태조강헌대왕실록
2 정종실록 6 1 1426년(세종 8년) 공정왕실록
3 태종실록 36 16 1431년(세종 13) 태종공정대왕실록
4 세종실록 163 67 단종 2(1454) 세종장헌대왕실록
5 문종실록 13 6 세조 1(1455) 문종공순대왕실록
6 단종실록 14 6 예종 1(1469) 노산군일기 추존 후에 "단종대왕실록"라 함.
7 세조실록 49 18 성종 2(1471) 세조혜장대왕실록
8 예종실록 8 3 성종 3(1472) 예종양도대왕실록
9 성종실록 297 47 연산군 5(1499) 성종강정대왕실록
10 연산군일기 63 17 중종 4(1509) 연산군일기
11 중종실록 105 53 명종 5(1550) 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실록
12 인종실록 2 2 명종 5(1550) 인종영정헌문의무장숙흠효대왕실록
13 명종실록 34 21 선조 4(1571) 명종대왕실록
14 선조실록 221 116 광해군 8(1616) 선조소경대왕실록
선조수정실록 42 8 효종 8(1657) 선조소경대왕수정실록
15 광해군일기 187 64 인조 11(1633) 광해군일기 중초본(태백산본)
187 40 효종 4(1653) 정초본(정족산본)
16 인조실록 50 50 효종 4(1653) 인조대왕실록
17 효종실록 21 22 현종 2(1661) 효종대왕실록
18 현종실록 22 23 숙종 3(1677) 현종순문숙무경인창효대왕실록
현종개수실록 28 29 숙종 9(1683) 현종순문숙무경인창효대왕개수실록
19 숙종실록 65 73 영조 4(1728) 숙종현의…대왕실록 숙종실록보궐정오가 합쳐져 있음
20 경종실록 15 7 영조 8(1732) 경종덕문익무순인선효대왕실록
경종수정실록 5 3 정조 5(1781) 경종덕문익무순인선효대왕수정실록
21 영조실록 127 83 정조 5(1781) 영종지행…현효대왕실록 "영조"로 추존됨
22 정조실록 54 56 순조 5(1805) 정종문성무열성인장효대왕실록 "정조"로 추존됨
23 순조실록 34 36 헌종 4(1838) 순종연덕…성효대왕실록 "순조"로 추존됨
24 헌종실록 16 9 철종 2(1851) 헌종경문위무명인철효대왕실록
25 철종실록 15 9 고종 2(1865) 철종희륜…영효대왕실록
26 고종실록 52 52 1934 고종순천…태황제실록
27 순종실록 22 8 1934 순종문온…효황제실록
  • "…"는 이름 일부가 생략되어 있다는 표시이다. 예컨대 영조실록의 정식 이름은 “영종지행순덕영모의열장의홍륜광인돈희체천건극성공신화대성광운개태기영요명순철건건곤녕익문선무희경현효대왕실록”이다.

[편집] 번역

1968년국사편찬위원회가 복사본을 발행했다. 북조선에서는 1980년에 《리조실록》의 이름으로 번역본이 전400권이 발행했다. 1994년에 한국에서도 현대 한국어로 번역해서 발행했다.

[편집] 참고

  1. 《선조대왕실록》, 《현종대왕실록》, 《경종대왕실록》은 주로 정치적 이해 관계(집권당의 변화 등)의 차이로 내용이 불만스럽다고 여겨 각각 《선조대왕수정실록》, 《현종대왕개수실록》, 《경종대왕수정실록》이라는 이름으로 내용을 고치고 추가하였다.
  2. 《광해군일기》는 최종본이 인쇄되지 못하고 중초본과 정초본만이 전해진다. 태백산본이 중초본, 정족산본이 정초본이다.
  3. 《고종태황제실록》과 《순종효황제실록》은 일제 강점기에 편찬된 것으로, 조선왕조실록의 편찬 규례(사관이 작성한 사초를 바탕으로 집필해야 한다 등)에 맞지 않고, 일본인의 시각에 입각한 바가 많다고 보아 포함시키지 않는 경우가 많다.

[편집] 함께 보기

[편집] 바깥 고리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정종실록
태종실록
세종실록
문종실록
단종실록
세조실록
예종실록
성종실록
연산군일기
중종실록
인종실록
명종실록
선조실록
선조수정
광해군일기
인조실록
효종실록
현종실록
현종개수
숙종실록
숙종보궐
경종실록
경종수정
영조실록
정조실록
순조실록
헌종실록
철종실록

고종실록
순종실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