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학명(學名)은 생물학에서 생물의 종에 붙인 분류학적인 이름이다. 종과 속의 두 단계의 이름으로 표기하는 이명법을 사용한다.
목차 |
[편집] 고안
생물에 학명을 붙여 표기하는 방법을 고안한 사람은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폰 린네이다. 린네는 스스로 많은 식물에 학명을 부여하였다.
[편집] 표기법
학명은 최초 고안자인 린네의 제안에 따라 라틴어 또는 라틴어화한 낱말로 구성되며 속의 이름과 종의 이름을 나란히 이어 쓴다. 학명 뒤에 이름을 붙인 사람과 이름 붙인 연도를 밝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오이의 학명은 Cucumis sativus이며 Cucumis는 속명, sativus 는 종명이다.
- 학명은 보통 Homo Sapience와 같이 기울여 표기하며 손으로 쓸 때는 Homo sapience와 같이 밑줄 표기한다.
- 처음에 오는 속명은 언제나 대문자로 시작한다. 종명은 소문자로만 표기한다.
[편집] 학명의 가치
학명은 단 두단어로 모든 생물 종을 표기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학명은 전 세계 어디서나 동일하게 쓰이며 하나의 학명은 오직 하나의 생물 종만을 가리키기 때문에 생물학의 표준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명태는 나라마다 다른 이름으로 불리나 학명은 Theragra chalcogramma로 동일하다.
[편집] 학명의 등록
하나의 생물 종에 대한 학명은 단 하나 만을 허용하므로 이를 관리하는 국제기구가 활동 중이다. 동물은 ICZN(International Commission on Zoological Nomenclature, 국제 동물명 협회), 식물은 ICBN(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 국제 식물명 협회), 미생물은 ICNB(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of Bacteria, 국제 미생물 명명 코드]]에서 관리한다.
[편집] 학명으로 사용되는 낱말
학명으로 사용되는 낱말의 기원은 다양하다. 어떤 것은 17세이 이후에 라틴어화한 신 라틴어 낱말이기도 하고, 어떤 것은 고대 그리스어에서 온 낱말이기도 하다. 어떤 경우에는 생물이 발견된 지방의 언어나 지방명, 발견한 사람의 이름이 붙기도 한다. 학명은 새로운 종을 발견한 사람이 등록을 신청하는 것이어서 신청자의 의도가 반영되는 경우가 많다. 벗나무속의 일종인 프루너스 야마사쿠라(Prunus jamasakura)와 같이 지역에서 불리는 이름이 그대로 사용된 경우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