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전계경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참전계경(參佺戒經)은 한국(환국) 시대부터 전해온다고 알려진 경전이다.

목차

[편집] 판본

  • 단군교팔리(檀君敎八理) 상하 본
  • 단군예절교훈팔리(檀君禮節敎訓八理) 본
  • 팔리훈(八理訓) 본
  • 참전계경 단단학회 소장본

[편집] 구성

[편집] 상편

  • 성(誠), 6체(體), 47용(用), 54조목
  • 신(信), 5단(團), 35부(部), 42조목
  • 애(愛), 5범(範), 43위(圍), 50조목
  • 제(濟), 4규(規), 32모(模), 37조목

[편집] 하편

  • 화, 6조, 42목, 49조목
  • 복, 6문, 45호, 52조목
  • 보, 6계, 30급, 37조목
  • 응, 6과, 39형, 45조목

[편집] 전문

[편집] 제1장 성(誠)

제1조 성(誠)

誠者 衷心之所發 血誠之所守 有六體四十七用
성자 충심지소발 혈성지소수 유육체사십칠용
  • 제1절 경신(敬神)
    • 제2조 경신(敬神)
敬者 盡至心也 神 天神神 日月星辰 風雨雷霆 是有形之天 無物不視 無聲不聽
경자 진지심야 신 천신야 일월성진 풍우뢰정 시유형지천 무물부시 무성불청
是無形之天 天之天 卽天神神 人不敬天 天不應人 如草木之不經雨露霜雪
시무형지천 천지천 즉천신야 인불경천 천불응인 여초목지불경우로상설
    • 제3조 존봉(尊奉)
尊 崇拜也 奉 誠佩也 人而尊奉天神 天神 亦降精于人 如위於赤喘 依於凍體
존 숭배야 봉 성패야 인이존봉천신 천신 역강정우인 여위어적천 의어동체
若無誠而尊之 且농 且盲 聽之無聞 視之無見
약무성이존지 차농 차맹 청지무문 시지무견
    • 제4조 숭덕(崇德)
崇 尊之也 德 天德也 天德者 甘霖於旱土 陽春於陰谷之類也 造次之間
숭 존지야 덕 천덕야 천덕자 감림어한토 양춘어음곡지류야 조차지간
苟未有天德 人而不爲人 物而不爲物 是以 哲人 孜孜 頌天德
구미유천덕 인이불위인 물이불위물 시이 철인 자자 송천덕
    • 제5조 도화(導化)
導 指人也 化 天工造化也 人 不知有天工造化則昧於天人知理 不知我賦性
도 지인야 화 천공조화야 인 부지유천공조화즉매어천인지리 부지아부성
從何而受矣 亦不知我身體自何而來矣 覺不先此 無所餘覺 哲人 宜開 導後人
종아이수의 역부지아신체자하이래의 각부선차 무소여각 철인 의개 도후인
    • 제6조 창도(彰道)
彰 贊也 道 天神正道也 人 以正道則妖怪 不能顯其狀
창 찬야 도 천신정도야 인 이정도즉요괴 불능현기상
邪魔 不能정其奸 夫正道者 中道也 中一其規 天道乃彰
사마 불능정기간 부정도자 중도야 중일기규 천도내창
    • 제7조 극례(克禮)
克 極也 禮 敬天神之禮也 無禮則不恭 不恭則無誠 若盡禮 天神 穆臨于上
극 극야 예 경천신지혜야 무례즉불공 불공즉무성 약진례 천신 목임우상
  • 제 2절 정심(正心)
    • 제12조 정심(正心)
正心者 正天心也 心有九竅 六感 弄焉 求天理而不可得也 若一片靈臺
정심자 정천심야 심유구규 육감 농언 구천리이불가득야 약일편영대
巍然獨立 太陽 光明 雲霧消滅之 大海汪洋 塵埃杜絶之
외연독립 태양 광명 운무소멸지 대해왕양 진애두절지

[편집] 제2장 신(信)

제55조 신(信)

信者 川理之必合 人事之必成 有 五團三十五部
신자 천리지필합 인사지필성 유 오단삼십오부


제3장 애(愛)

제96조 애(愛)

愛者 慈心之自然 人性之本質 有六範四十三圍
애자 자심지자연 인성지본질 유육범사십삼위


제4장 제(濟)

제146조 제(濟)

濟者 德之兼善 道之賴及 有四規三十二模
제자 덕지겸선 도지뢰급 유사규삼십이모


제5장 화(禍)

제183조 화(禍)

禍者 惡之所召 有六條四十二目
화자 악지소소 유육조사십이목


제6장 복(福)

제232조 복(福)

福者 善之餘慶 有六門四十五戶
복자 선지여경 유육문사십오호


제7장 보(報)

제284조 보(報)

報者 天 報惡人以禍 報善人以福 有六階三十及
보자 천 보악인이화 보선인이복 유육계삼십급


제8장 응(應)

제321조 응(應)

應者 惡受禍報 善受福報 有六果三十九形
응자 악수화보 선수복보 유육과삼십구형

[편집]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