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권(主權)의 개념에 대해서는 정치학자들마다 다양한 정의가 존재한다. 근대적 주권의 개념이 형성되고 있던 시기에 주권론을 펼친 장 보댕과 나치 치하에서 정치철학을 연구한 바 있던 카를 슈미트의 정의는 그 가운데서도 특히 살펴볼 만한 정의라고 할 수 있다.
주권은 영토, 국민과 함께 국가를 구성하는 3대 요소 중 하나이다. 현대 세계에 어느 국가의 주권도 미치지 않는 지역은 남극 대륙 뿐이다.
목차 |
[편집] 주권 개념의 역사적 이행 과정
보댕과는 다르게, 사회계약에서 주권은 인민의 양도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간주된다. 이 예에서처럼 주권 개념은 다양한 국면을 통과해 온 것으로 보인다.아래 페이지에서는 그 이행 과정에 대해 서술할 것이
- 주권 개념의 역사적 이행 과정
[편집] 현대 국가의 주권
[편집] 영토적 주권
영토적 주권은 주권 국가가 가지는 배타적 권리이다. 모든 주권 국가는 타국의 간섭 없이 자국 영토에 대한 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만일 타국의 영토에 대해 주권을 행사하려 한다면 이것은 엄연한 주권 침해 행위이며, 영토 분쟁과 같은 국제 분쟁을 야기할 수 있다.
[편집] 외교적 주권
외교적 주권은 타국과 상호 관계를 수립할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수교를 통해 외교관계가 수립된다.
인도에 외교권을 위임한 부탄과 같이 속국의 상태에 있는 국가는 외교적 주권을 행사할 수 없다. 또한, 완전한 주권 국가라도 국제적으로 승인 되지 않은 국가는 외교적 주권 행사가 제한적이다. 한국은 을사조약으로 외교권을 일본에 위임했던 적이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강대국이 약소국의 주권을 침해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강대국이 약소국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하여 자국의 뜻에 따르도록 강요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편집] 연방 국가의 주권
연방 국가는 배타적인 주권을 가진 지방 정부의 연합체이다. 지방 정부가 관할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각 지방 정부가 배타적인 권리를 갖는다. 외교권과 군사권은 일반적으로 중앙 정부의 고유 권한이기 때문에, 지방 정부는 외교권을 행사할 수 없고 독자적인 군대를 보유할 수 없다. 또한, 헌법에 명시된 중앙 정부의 권한 내에서는 중앙 정부의 방침에 따라야 한다.
지방 정부와 중앙 정부와의 관계는 각국마다 차이가 있다. 미국은 지방 정부의 권한에 제약이 거의 없고, 러시아는 지방 정부의 권한에 제약이 많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