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형부는 고려시대 중앙 기관이자 관직으로 조선 시대 형조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했다. 주로 법을 집행하는 실무 기관이었다.

연대 이름 관직
995년(성종14) 상서형부(尙書刑部) 판사(判事) 1, 상서(尙書) 1, 지부사(知部事) 1, 시랑(侍郎) 2, 낭중(郎中) 2, 원외랑(員外郎) 2, 율학박사(律學博士) 1, 조교(助敎) 2
1275년(충렬왕1) 전법사(典法司) 상서→판서(判書), 시랑→총랑(摠郎), 낭중→정랑(正郎), 원외랑→좌랑(佐郎)
1298년 형조(刑曺) 판서→상서, 총랑→시랑 3, 정랑→낭중 3, 좌랑→원외랑 3,
 ???? 전법사 상서→판서, 시랑→총랑, 낭중→정랑, 원외랑→좌랑
1356년(공민왕5) 형부 판서→상서, 총랑→시랑, 정랑→낭중, 좌랑→원외랑,
1362년 전법사 상서→판서, 시랑→총랑, 낭중→정랑, 원외랑→좌랑
1362년 이부(理部) 상서→판서, 총랑→의랑, 정중→직랑, 좌랑→산랑
1372년 전법사 의랑→총랑, 직랑→정랑, 산랑→좌랑
1389년(공양왕1) 형조 조선시대와 동일하게 변경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