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기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소요산 방면 | (122) 외대앞 | (123) 회기 (경희대앞) |
(124) 청량리 (지하) | 인천·천안 방면 |
| 용산 방면 | (K117) 청량리 (지상) | (K118) 회기 (경희대앞) |
(K119) 중랑 | 덕소 방면 |
| 회기 | |
|---|---|
| 역 정보 | |
| 노선 | 경원선(수도권 전철 1호선) 중앙선(수도권 전철 중앙선)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동 317-101 |
| 개업일 | 1980년 4월 1일 |
| 역 종별 | 운전간이역 |
| 역 등급 | 3급 |
| 승강장 | 혼합식 (2면 4선) |
| 전화번호 | 02-965-1467 |
| GPS 좌표 | {{{GPS}}} |
회기역(回基驛, Hoegi)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환승역이다. 부역명은 경희대앞(慶熙大앞)이다.
지하 청량리역과 이 역 사이에 교류와 직류간의 변환을 위한 절연 구간이 있다.
목차 |
[편집] 역 정보
- 내리는 문의 위치 : 오른쪽 (1호선과 중앙선 모두 동일함)
- 승강장 형태 : 직선 쌍섬식 승강장(|□||□|)
[편집] 타는 곳 정보
- ①: 수도권 전철 1호선 창동, 의정부, 동두천, 소요산 방면
- ②: 수도권 전철 1호선 종로3가, 서울역, 인천, 수원·병점 방면
- ③: 수도권 전철 중앙선 망우, 구리, 도농, 덕소 방면
- ④: 수도권 전철 중앙선 왕십리, 옥수, 이촌, 용산 방면
[편집] 주변 정보
- 경희대학교
- 서울위생병원
[편집] 승차량 변동
2003~2004년의 감소는 여기에서도 발견된다. 2006년의 경우 중앙선 방면의 동선이 추가되어 승객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주변 지역에는 주로 저층 고밀도 지역이 분포하고 있다.
|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 1호선 | 25366 | 28545 | 28962 | 32830 | 25790 | 24678 | 26792 |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경원선: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주내 - 녹양 - 가능(의정부북부)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성북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분류: 서울 동대문구의 전철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수도권 전철 환승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