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고속철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남고속철도는 보기에 따라 두 가지 의미로 나눌 수 있다.
- (선로 그 자체로서) 오송과 목포를 잇는 노선
- (실제 영업형태로 볼 때) 용산과 목포를 잇는 노선
목차 |
[편집] 개요
[편집] 호남고속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역
[편집] 현재
현재는 경부고속선인 '시흥-대전조차장' 구간만 고속철도 전용선로를 이용하고, 나머지는 기존 선로를 이용하고 있다. 사실상 순수한 의미의 고속철도 기능은 현재 없다고 보아야 하나, 고속열차가 들어가고 있으며, 고속철도 전용선로를 건설할 예정이 있는 점 등을 참작하여 이 곳에 정리한다.
- 호남고속철도 본선 (현재, '용산-대전조차장' 구간은 경부고속철도와 공용)
| 역 이름 | 시간[1] | 거리[2] | 위치한 지역 | 환승 |
|---|---|---|---|---|
| 용산역 | - | - | 서울특별시 용산구 |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수도권 1호선, 수도권 중앙선, 수도권 4호선(신용산역) |
| 광명역 | 13분 | 18.8km | 경기도 광명시 | 수도권 1호선(광명셔틀) |
| 천안아산역 | 35분 | 93.1km | 충청남도 아산시 | 경부고속철도, 장항선(아산역) |
| 서대전역 | 53분 | 160.8km | 대전광역시 중구 | 호남선, 전라선 |
| 계룡역 | 1시간 13분 | 180.5km | 충청남도 계룡시 | 호남선, 전라선 |
| 논산역 | 1시간 27분 | 205.9km | 충청남도 논산시 | 호남선, 전라선 |
| 익산역 | 1시간 42분 | 243.0km | 전라북도 익산시 | 호남선, 전라선 |
| 김제역 | 2시간 8분 | 260.7km | 전라북도 김제시 | 호남선 |
| 정읍역 | 2시간 12분 | 286.5km | 전라북도 정읍시 | 호남선 |
| 장성역 | 2시간 30분 | 318.9km | 전라남도 장성군 | 호남선 |
| 송정리역 | 2시간 29분 | 340.8km | 광주광역시 광산구 | 호남선 |
| 나주역 | 2시간 48분 | 356.6km | 전라남도 나주시 | 호남선 |
| 목포역 | 3시간 1분 | 407.6km | 전라남도 목포시 | 호남선 |
- 기존선 이용 KTX 운행구간 1 (행신-용산)
| 역 이름 | 시간[1] | 거리[2] | 위치한 지역 | 환승 |
|---|---|---|---|---|
| 행신역 | 23분 | 17.5km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 경의선 |
- 기존선 이용 KTX 운행구간 2 (장성-광주)
| 역 이름 | 시간[1] | 거리[2] | 위치한 지역 | 환승 |
|---|---|---|---|---|
| 광주역 | 2시간 44분 | 352.8km | 광주광역시 북구 | 호남선(광주선 경유) |
[편집] 미래
호남고속철도 전용선로는 2015년 '오송-송정리' 구간을 1단계로, 2017년 '송정리-임성리' 구간을 2단계로 하여 건설될 예정이다. 다만, 송정리역과 임성리역이 각각 광주와 목포 도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일부 차량은 기존선을 이용하여 광주역과 목포역으로 진입할 수도 있다.
- 호남고속철도 본선 (2차 개통 이후, '용산-오송' 구간은 경부고속철도와 공용) [2017년 이후 예정]
| 역 이름 | 시간[1] | 거리[2] | 위치한 지역 | 환승 |
|---|---|---|---|---|
| 용산역 | - | - | 서울특별시 용산구 |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수도권 1호선, 수도권 중앙선, 수도권 4호선(신용산역) |
| 광명역 | 12분 | 18.8km | 경기도 광명시 | 수도권 1호선(광명셔틀) |
| 천안아산역 | 36분 | 93.1km | 충청남도 아산시 | 장항선(아산역) |
| 오송역 | 46분 | 121.8km | 충청북도 청원군 | 충북선 |
| 남공주역 | 59분 | 165.6km | 충청남도 공주시 | |
| 익산역 | 1시간 09분 | 211.3km | 전라북도 익산시 | 호남선, 전라선 |
| 정읍역 | 1시간 25분 | 253.5km | 전라북도 정읍시 | 호남선 |
| 송정리역 | 1시간 33분 | 304.0km | 광주광역시 광산구 | 호남선 |
| 임성리역 | 1시간 46분 | 352.8km | 전라남도 목포시 | 호남선 |
- 기존선 이용 KTX 운행구간 1 (행신-서울) ▶ 위 도표 참고
- 기존선 이용 KTX 운행구간 2 (익산-여수) [2012년 이후 예정]
- 기존선 이용 KTX 운행구간 3 (장성-광주) ▶ 위 도표 참고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주석
코레일의 노선 목록
| 간선 | 경부고속선·경부선·경의선·서울교외선·호남선·경원선·충북선·경전선·장항선·전라선·경춘선·동해선(동해남부선·동해북부선)·중앙선·영동선·경북선·태백선 |
|---|---|
| 지선 | 오송선·대전선·대구선·가야선·강경선·군산선·진해선·광주선·괴동선·망우선·삼척선·묵호항선·함백선·정선선 |
| 수도권 전철 | 경인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광명 셔틀 |
| 영업중지 | 수인선·용산선·옥구선 |
| 화물선 | 남부화물기지선·양산화물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북전주선·여천선·우암선·부전선·온산선·장생포선·울산항선·남포선·북평선·문경선·화순선·진삼선·서천화력선 |
| 폐선 | 수려선·당인리선·주인선·가은선·김포선·안성선·신촌연결선·오정선·금강산선 |
| 계획중 | 호남고속선·강원선·중부내륙선·중부선·서해선·완도항선·서해산업선·용문-홍천선·평택-원주선·원주-강릉선·동서선·춘천-원주선·의정부-철원선·군산-목포선 |
|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정리가 필요한 문서 | 철도 토막글 | 한국고속철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