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우즈의 법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코우즈의 법칙 혹은 코우즈의 정리 (Coase theorem)은 로날드 코우즈(Ronald Coase)가 만든 경제에 관한 이론이다. 이 법칙은 경제적 효율성과 정부의 자산 분배에 관련이 있는데 핵심적으로는 거래 비용의 존재에 대한 이론적 설명이다.
1937년에 발표된 코우즈의 <<기업의 본질(The Nature of the Firm)>>에서는 기업 조직에 대한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거래 비용에 대한 부분에 중점을 두어 설명하였다. 이 논문으로 코우즈는 1991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였다. 코우즈 법칙은 현대의 정부 규제를 경제적 분석으로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바탕이 되었다.
이 법칙에 따르면 기업은 추가 거래를 내부에서 처리하는 비용이 같은 거래를 외부의 시장에서 처리하는 비용과 비교하여 같아 질때 까지 조직이 확대 되는 경향을 가진다. 현대적인 해석은 거래 비용 감소에 따라 기업내의 조직의 복잡성, 기업의 수는 감소한다는 법칙이다. 내부적으로 처리하는 비용이 더 낮으면 조직은 유지될 수 있다. (혹은 확대 되거나)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개인이 1:1로 거래할때 드는 비용보다 기업을 조직하고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이 더 저렴하기 때문에 기업이 본질적 가치를 가진다고 한다.
1990년대 이후 인터넷의 등장으로 이 법칙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 세계 경제를 설명하는 새로운 이론으로 다시 주목받게 되었는데 그것은 인터넷을 이용하게 됨에 따라 획기적으로 낮아진 시장에서의 거래 비용이 내부적으로 처리하는 조직의 경쟁력을 약화 시키는 원인이 되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