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어도 제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어도 제도(釣魚島 諸島) 혹은 센카쿠 제도(첨각제도, 일본어: 尖閣諸島, せんかくしょとう) 또는 댜오위타이는 타이완과 오키나와 제도 사이에 동중국해 남서쪽의 무인도와 암초로 이루어진 제도로, 1895년부터 일본이 영유하고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이 각각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댜오위타이 군도(조어대군도, 중국어 간체: 钓鱼台群岛, 병음: Diàoyútái Qúndǎo 또는 중국어 간체: 钓鱼岛及其附属岛屿, 병음: Diàoyúdǎo jíqí fùshǔdǎoyǔ), 중화민국에서는 댜오위타이 열서(중국어: 釣魚台列嶼, 병음: Diàoyútái Lièyǔ)라고 부른다. 영어권에서는 피나클 제도(Pinnacle Islands)라고도 부른다. 대한민국에서는 대체로 '조어도 제도'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목차 |
개요
- 전체 면적은 7 km²로, 모두 무인도이다.
- 위치: 25°58' - 25°41'45" N, 123°27'45" - 124°41'30" E 부근
- 주된 섬이나 암초는 다음과 같다.
- 우오쓰리 섬/다이오유다오 (일본어: 魚釣島,うおつりじま, 중국어: 釣魚台)
- 동서에 약 3.5km, 남북에 약 2km 의 섬이고 면적은 3.82km²이다. 이 섬에서 가장 해발이 높은 곳은 362m이다.
- 구바 섬/황웨이유 (일본어: 久場島, くばじま, 중국어: 黄尾嶼)
- 면적은 0.91 km²이다.
- 다이쇼 섬/치웨이유 (일본어: 大正島, たいしょうじま, 중국어: 赤尾嶼)
- 면적은 0.06 km²이다.
- 기타코지마 섬/베이샤오다오 (北小島 중국 및 일본 명칭 같음)
- 면적은 0.31 km²이다.
- 미나미코지마 섬/난샤오다오 (南小島 중국 및 일본 명칭 같음)
- 면적은 0.40 km²이다.
- 오키노키타이와 암초 / 다베이샤오다오(일본어: 沖の北岩, おきのきたいわ, 大北小島 )
- 오키노미나미이와 암초 / 다난샤오다오(일본어: 沖の南岩, おきのみなみいわ, 大南小島)
- 도비세 암초 / 페이라이다오(일본어: 飛瀬, とびせ, 飛瀬島 )
센카쿠 제도는 일본의 행정 구역에는 오키나와 현 이시가키 시 (石垣市, いしがきし)에 속한다고 주장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타이완 성, 중화민국은 타이완 성 이란 현에 속한다고 주장한다.
역사
188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일본인이 세운 선창이나 공장이 있었는데 후에 무인도가 되었다. 청일 전쟁이 진행중이었던 1895년 1월 14일 일본은 센카쿠 제도가 어느 나라에도 속하지 않아 있던 것을 확인해서 비공개로 일본에 편입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미국의 시정권에 속했다.
1969년 5월에 섬 주변에서 지하 자원이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자 1971년 6월 11일에 중화민국이, 동년 12월 30일에 중화인민공화국이 각각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일본은 1972년 오키나와 현이 일본에 반환되었을 때 센카쿠 제도는 오키나와 제도와 같이 반환되었다고 주장한다.
1978년 일본의 우익단체가 우오쓰리 섬에 등대를 세웠다. 2005년 2월 일본 정부는 이 등대를 지도에 실어서 관리하기 시작했다.
염소 문제
1975년경부터 일본의 우익단체가 우오쓰리 섬/다이오유다오 (일본어: 魚釣島,うおつりじま, 중국어: 釣魚台)으로 염소를 갖고 들어왔다. 염소들이 섬에 방치되어 섬의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다. 이 때문에 염소를 없애고 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바깥 고리
| 이 문서는 아시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출처가 필요한 문서 | 준보호 문서 | 중립적 시각 분쟁 | 아시아 토막글 | 영토 분쟁 | 중일 관계 | 오키나와 현의 섬 | 중화인민공화국의 섬 | 중화민국의 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