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3가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소요산 방면 | (129) 종로5가 | (130) 종로3가 | (131) 종각 | 인천·천안 방면 |
| 대화 방면 | (328) 안국 | (329) 종로3가 | (330) 을지로3가 | 수서 방면 |
| 방화 방면 | (533) 광화문 | (534) 종로3가 (탑골공원1) |
(535) 을지로4가 | 상일동·마천 방면 |
| 1. 역명판에는 자체적으로 탑골공원·인사동문화거리로 표기하고 있다. | ||||
종로3가역(鍾路3街驛, Jongno 3(sam)-ga)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역번호는 1호선은 130번, 3호선은 329번, 5호선은 534번이다. 5호선 역만 탑골공원(塔골公園)이라는 부역명이 붙어 있으며, 역의 역명판에는 부역명을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자체적으로 탑골공원·인사동 문화거리(영어: Tapgol Park, Insa-dong)로 표기하고 있다.
이 역의 3호선 승강장은 3호선 역이 위치한 도로가 좁아 섬식 승강장 치고는 승강장이 상당히 좁은 축에 속한다. 인근에 탑골공원과 종묘가 있다.
목차 |
[편집] 역사
- 1974년 8월 15일 - 1호선 개통으로 영업 개시
- 1985년 10월 18일 - 3호선 개통, 환승역이 됨.
- 1996년 12월 30일 - 5호선 개통
- 2001년 7월 24일 - 5호선 역명을 자체적으로 종로3가(탑골공원·인사동 문화거리)로 표기함.
[편집] 역 정보
[편집] 1호선
[편집] 3호선
[편집] 5호선
[편집] 출구 정보
이 역은 수도권 전철에서 가장 많은 15개소의 출입구가 있는 역이기도 하다.
- 1번: 종로1, 2, 3, 4가동사무소, 종로2가우체국, 종로2가치안센터, 탑골공원, 낙원상가
- 2번, 2-1번: 창덕궁, 피카다리플러스
- 3번: 돈의동, 종로3가소방파출소, 종로3가치안센터, 종묘, 종묘시민공원
- 4번: 낙원동
- 5번: 서울교동초등학교, 서울운현초등학교, 종로1, 2, 3, 4가동사무소, 종로2가우체국, 종로2가치안센터, 종로세무서, 탑골공원, 낙원상가, 현음악기
- 6번: 종로3가소방파출소
- 7번: 안국동, 돈화문, 종로3가치안센터, 창덕궁
- 8번: 묘동, 창덕궁, 종묘시민공원
- 9번: 종묘, 종로3가소방파출소, 종로3가치안센터
- 10번: 종묘, 종묘시민공원
- 11번: 대림상가
- 12번: 종로4가, 세운상가
- 13번: 장사동, 청계천3가, 기계공구상가
- 14번: 청계천3가, 서울청소년수련관
- 15번: 관수동, 종로2가, 기업은행 종로지점
[편집] 승차량 변동
종로3가에 접한 1호선역은 승객이 감소되고 있는 추세다. 사대문안의 3가 이하 역들의 일반적인 추세인 것 같다. 인접한 세운상가를 비롯한 산업 서비스업 및 소공업 상권에 관한 하나의 지표일 수 있다. 3호선역은 명확하지 않은 이유로 2005년부터 증가세다. 5호선역은 소폭 증가 끝에 보합세가 된 것 같다. 5호선역 주변 상업 컴플렉스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자료로 보인다.
|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 1호선 | 48369 | 49345 | 48189 | 47786 | 47993 | 46747 | 45053 |
| 3호선 | 6163 | 6376 | 6369 | 6187 | 6220 | 8104 | 9174 |
| 5호선 | 10068 | 10885 | 10899 | 10987 | 11344 | 11396 | 11183 |
[편집] 주석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지하철 1호선: - 지하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
경부선: 서울(급행 전용)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시흥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광명 셔틀: 용산 - (경부선과 동일) - 시흥 - 광명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마천지선: 강동 - 둔촌동 - 올림픽공원 - 방이 - 오금 - 개롱 - 거여 - 마천
분류: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도권 전철 5호선 | 수도권 전철 환승역 | 서울 종로구의 전철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