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2030호대 전동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한국철도공사 2030호대 전동차 | |
|---|---|
| 산본역으로 진입하는 2x40 전동차 | |
| 양 수 | 3M3T 6량, 5M5T 10량 |
| 전기 방식 | 교류 25,000V 60Hz, 직류 1500V 가공가선방식 |
| 제어 방식 | VVVF-GTO 1C4M제어 VVVF-IGBT 2레벨 1C4M제어(일부차량) |
| 기관 형식 | {{{기관형식}}} |
| 기어비 | {{{기어비}}} |
| 차륜 배열 | {{{차륜배열}}} |
| 동륜 배열 | {{{동륜배열}}} |
| 기동가속도 | 3.0 Km/h/s |
| 영업최고속도 | {{{영업최고속도}}} Km/h |
| 설계최고속도 | 110 Km/h |
| 감속도 | 3.5(상용), 4.5(비상) Km/h/s |
| 전동기 출력 | 220 kW |
| 편성 출력 | 4400 kW |
| 출력 | {{{출력}}} hp |
| 견인력 | {{{견인력}}} |
| 주 용도 | 지하철구간 입선용 통근형전동차 |
| 차량 정원 | {{{차량정원}}}명 |
| 편성 정원 | {{{편성정원}}}명 |
| 전장 | {{{전장}}} mm |
| 전폭 | {{{전폭}}} mm |
| 전고 | {{{전고}}} mm |
| 차량 중량 | {{{차량중량}}} t |
| 편성 중량 | {{{편성중량}}} t |
| 대차간 거리 | {{{대차간거리}}} mm |
| 축중 | {{{축중}}} t |
| 궤간 | 1,435mm |
| 구동 장치 | 유도전동기 |
| 제동 방식 | 회생제동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MT비 | {{{MT비}}} |
| 보안 장치 | {{{보안장치}}} |
| 제작사 | 대우중공업,현대정공,한진중공업,KOROS(로템) |
| 제작 연도 | 최초 1993년 |
| 비고 | |
한국철도공사 2030호대 전동차는 1993년 과천/안산선과 분당선에 운용하기위해 VVVF제어방식을 채택한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다.
목차 |
[편집] 기술적 사양
[편집] 제어기기
제어시스템은 GTO 사이리스터를 사용한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 방식을 사용하며, 1개의 제어기기에 1량 분의 전동기를 사용하는 1C4M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기존 1000호대 전동차에 비해 출력을 높여 MT비를 줄임과 동시에 회생제동 능력을 갖춰 에너지 절약 및 검수소요 감소를 도모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도시바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후 우진산전에서 면허생산한 것을 채용하고 있다. 다만 VVVF인버터의 경우 당시의 자연냉각식이 아닌 저항제어에서나 사용하는 강제냉각방식을 채택하였다.
[편집] 차체 및 대차
차체에는 STS304를 사용한 스테인리스 용접방식의 무도장 차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대차는 원추형 고무스프링을 사용한 에어스프링 볼스터리스 방식을 채택해 승차감 향상과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다. 제동장치는 응답성이 빠르고 전기제동과의 조화가 양호한 전기지령식 제동을 사용하고 있다.
[편집] 실내설비
도입 초기에는 아이보리색 계통의 실내구성과 전형적인 모켓 롱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객실 천장에는 LED방식의 승객안내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냉방은 기존 저항차량보다 냉방출력을 강화한 준집중형식으로 제작하였다.
[편집] 운전설비
운전설비는 투핸들 형태의 제어대와 계기판, TGIS모니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ATC/ATS 겸용운용을 위해 각각의 속도계가 따로 설치되어 있는것이 특징이며, 절환스위치는 제어대 중앙에 위치해 있다. 분당선용 차량에는 1인승무를 위해 출입문 개폐용 스위치가 제어대 쪽에 추가되어 있는것이 특징이다.
[편집] TGIS
TGIS는 Train General Information System의 약자로서 열차의 기본적 정보를 승무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기본적으로 제어차에 장비된 중앙장치와 각 차량에 장비된 단말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말기를 루프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각 단말기간의 통신은 RS-485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각각의 단말장치는 각 차량의 전기기기, 서비스기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중앙장치에서 통합한뒤 모니터를 통해 승무원에게 전달한다. TGIS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승무원 지원 기능 : 각종 기기 상태, 운행상태, 정차역 통보기능
- 주 제어기기 및 각종 고압전기기의 상태현시 및 고장기록
- 서비스기기(안내방송, 공조장치, 행선/열번 표시기 등)제어기능
- 검수지원 기능 : 운행/고장기록, 입/출고 점검 및 응급고장처치 안내기능.
93년 도입시에는 도시바에서 개발한 제품을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우진산전에서 국산화한 제품을 사용했으며 기능이 더욱 강화되었다.
[편집] 편성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제어기기와 전동기만이 탑재된 M차, 그리고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등을 갖춘 Tc차와 제어실이 없는 T1, 그리고 아무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어 있다.
[편집] 6량편성(분당선)
- 20XX - Tc(SIV,공기압축기,축전지)
- 22XX - M(VVVF)
- 23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VVVF)
- 28XX - T
- 25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VVVF)
- 21XX - Tc(SIV,공기압축기,축전지)
[편집] 10량편성(4호선,과천/안산선)
- 20XX - Tc(SIV,공기압축기,축전지)
- 22XX - M(VVVF)
- 23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VVVF)
- 28XX - T
- 25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VVVF)
- 24XX - T1(SIV,공기압축기,축전지)
- 29XX - T
- 26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VVVF)
- 27XX - M(VVVF)
- 21XX - Tc(SIV,공기압축기,축전지)
[편집] 배속
- 차번이 2030부터 부여된 이유는 93년 도입당시 2000호대 디젤 기관차가 아직 퇴역하기 전이었으며 다른 차번의 경우(4000,5000,6000)도 아직 차적이 정리되지 않은상태인 관계로 차번부여가 비교적 양호한 2030호부터 차번이 부여되었다.
- 2030~2046,2049,2051~2054,2070~2072,2077~2081 : 10량편성, 시흥차량사업소
- 2047~2048,2050,2055~2069,2073~2076,2082~2087 : 6량편성, 분당차량사업소
[편집] 도입 역사
[편집] 1세대형
93년 최초도입부터 99년까지 도입된 2030~2076까지가 해당된다. 한진중공업,대우중공업,현대정공에서 각각 제작되었다. 분당선의 경우 2073편성부터는 교류전용 차량으로 제작되었다.
[편집] 2세대형
99년 안산선 오이도 연장개통을 대비하여 도입되었으며 한국철도차량(KOROS)에서 제작되었다. 당시 한국철도 100주년을 기념하여 출입문등에 표식이 되어있는것이 특징이다. 또한 선두부가 최초로 페이스리프트 되어 FRP소재로 제작된 유선형 선두부를 채용하였는데 이를 "원조 둥글이"로 칭하고 있다. 이당시 객실구조는 변경되지 않았다. 그리고 2003년 분당선 연장개통을 위해 도입된 편성은 5000호대 2세대 전동차에 기초하였기 때문에 객실측면창에 통유리등이 채용되어 있는것이 특징이다. 단 5000호대 전동차와 비교하여 창문에 UV코팅처리는 하지 않았다.
[편집] 개조 역사
[편집] 도색 변경
도입후 2005년까지 도색은 오렌지-빨강색 도색을 공통으로 사용하여 왔으나, 2005년부터 불연재 내장 리뉴얼과 함께 철도공사 신도색으로 교체되었다. 과천/안산선용은 하늘색-파랑색, 분당선용은 노랑(카나리아)색-파랑색.
[편집] 전장품 변경
- 2004년부터 SIV를 우진산전 IGBT제품으로 변경하여 2005년까지 전차량이 변경 완료.
- 2004년부터 답면제동장치 소음개량 사업이 시작되어 현재 진행중임.
- 2005년부터 TGIS장비가 개량되어 안내방송, 냉방, 행선표시등 서비스기기 제어기능을 추가함.
- 2003년부터 일부 차량의 VVVF가 2레벨 IGBT 인버터로 교체되어있다.
- 2002년 안산선 소속의 전 차량에 코모넷 차내방송 시스템을 설치하여 가동중임.
[편집] 불연재 내장 리뉴얼사업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차량의 내연기준으로 인해 2005년까지 철도공사의 전차량이 불연재 기준에 맞춘 내장으로 리뉴얼되었다. 리뉴얼 사업에는 로윈, 흥일기업등이 참여하였다. 이와 동시에 보수성이 떨어지는 전면, 측면행선표시장치(DI)를 롤지회전방식에서 LED현시방식으로 교체하였다.
[편집] 함께 보기
| 고속 열차 | KTX·HSR-350x·KTX-2·HEMU-400X |
|---|---|
| 증기 기관차 | 모가·4륜·푸러·아메·터우·발틱·고로·시그·마터·사타·혀기·소리·파시·미카·901호 |
| 디젤 기관차 | 2000·2100·3000·3100·3200·4000·4100·4200·4400·5000·6000·6100·6200·6300·7000·7100·7200·7300· |
| 디젤 동차 | 3등 동차·협궤 동차·니가타·가와사키·DEC·DHC·NDC·CDC·가솔린 동차 |
| 전기 기관차 | 데로·8000·8100·8200 |
| 전동차 | EEC·TTX·HEMU·수도권 전철·부산 지하철·대구 지하철·인천 지하철·광주 도시철도·대전 도시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AUTS |
| 객차 | 새마을호 객차·무궁화호 객차·통근열차(구 통일호) 객차·비둘기호 객차 (2000년에 폐지)·귀빈 객차·협궤 객차·특실 객차 |
| 노선 | ||||
|---|---|---|---|---|
| 1기 지하철 | ●1호선(경부선·경원선·경인선) | ●2호선(성수지선·신정지선) | ●3호선(일산선) | ●4호선(과천선·안산선) |
| 2기 지하철 | ●5호선(마천지선) | ●6호선(응암 순환) | ●7호선 | ●8호선 |
| 광역 철도 | ●중앙선(경원선·중앙본선) | ●분당선 | ||
| 인천 지하철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
| 계획·공사중 | ●9호선 | 신분당선 | 신안산선 | 장항선 |
| 수인선 | 경춘선 | |||
| 차량 | ||||
| 코레일 | 1000호대 | 5000호대 | 6000호대 | 3000호대 |
| 2030호대 | ||||
| 서울메트로 | 1000호대 저항제어 | 1000호대 VVVF | 2000호대 MELCO | 2000호대 GEC |
| 2000호대 VVVF | 3000호대 | 4000호대 | ||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5000호대 | 6000호대 | 7000호대, 8000호대 | |
|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 인천 지하철의 차량 | |||
|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철도 토막글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