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종류 | 공기업 |
| 시장 정보 | 비상장 |
| 본사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정부대전청사 |
| 설립일 | 1899년 9월 13일 궁내부 내장원 서북철도국 2005년 1월 1일 한국철도공사 |
| 업종 | 운수업 |
| 대표 | 이철 |
| 자본금 | 9,305,119,000,000원 (2006년) |
| 총 수입액 | 2,560,300,000,000원 (2006년) |
| 자산 총액 | 13,764,600,000,000원 (2006년) |
| 총 사원수 | 30,963명 |
| 주요 자회사 | 코레일투어서비스 코레일전기 코레일유통 코레일트랙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개발 코레일애드컴 코레일로지스 코레일엔지니어링 |
| 바깥 고리 | 코레일 |
한국철도공사(韓國鐵道公社) 또는 코레일(Korail)은 대한민국의 철도 영업과 관련 사무를 담당하는 공기업이다. 철도청이 2005년 1월 1일에 철도 영업 부문은 한국철도공사로, 시설 보유 부문, 건설부문은 철도시설공단으로 분할하면서 출범하였다. 명칭으로 코레일과 한국철도공사를 혼용하였으나, 2007년 5월 7일에 표현을 코레일로 전환하였다.
목차 |
[편집] 역사
[편집] 역대 사장
[편집] 시설
[편집] 주요 노선
[편집] 고속 철도
- 경부고속철도: 서울 - 대전 - 동대구 / 2차개통 : 서울 - 대전 - 동대구 (경주, 울산경유) 부산
[편집] 일반 철도
- 경부선: 서울 - 부산
- 중앙선: 청량리 - 경주
- 호남선: 대전조차장 - 목포
- 전라선: 익산 - 여수
- 경전선: 삼랑진 - 송정리
- 영동선: 영주 - 강릉
- 충북선: 조치원 - 봉양
- 장항선: 천안 - 장항
- 동해남부선: 부산진 - 포항
- 태백선: 제천 - 백산
- 경북선: 김천 - 영주
- 대구선: 가천 - 영천
- 구대구선 : 동대구 - 반야월
- 경의선: 서울 - 도라산 (본래 신의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평부선과 평의선이라고 부름)
- 경원선: 용산 - 신탄리(본래 원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강원선이라고 부름)
- 용산선: 용산 - 가좌
- 서울교외선: 능곡 - 의정부
- 경춘선: 성북 - 춘천 (2006년 6월 경춘선 복선전철화 공사로 종착역을 남춘천역으로 임시변경)
- 정선선: 증산 - 구절리 (정선 레일바이크는 아우라지 - 구절리 구간)
- 군산선: 익산 - 군산
- 문경선: 점촌 - 문경 (진남 - 문경 영업중지)
- 진해선: 창원 - 통해
- 광주선: 동송정 - 광주
- 대전선: 대전 - 서대전
- 묵호항선: 동해 - 묵호
- 수인선: 수원-한대앞 (전구간 영업중지·현재 공사중)
- 기타 역사적으로 흥미로운 노선: 수려선, 금강산선, 동해북부선
[편집] 광역전철
- 경부선: 서울 - 천안
- 경원선: 용산 - 소요산
- 경인선: 구로 - 인천
- 일산선: 지축 - 대화
- 분당선: 보정 - 선릉
- 과천선: 남태령 - 금정
- 안산선: 금정 - 오이도
- 중앙선: 청량리 - 덕소
- 경춘선: 망우 - 춘천 (전철화 공사중, 완공 미정)
- 장항선: 천안 - 신창 (전철화 공사중, 2008년 중 완공 예정)
[편집] 주요 역
- 수도권: 서울역, 용산역, 광명역, 노량진역, 영등포역, 구로역, 수원역, 인천역, 청량리역, 의정부역, 덕소역, 부평역, 동두천중앙역,수원역, 평택역
- 강원권: 춘천역, 원주역, 동해역, 강릉역
- 충청권: 천안역, 천안아산역, 조치원역, 신탄진역, 대전역, 서대전역, 장항역, 제천역, 청주역, 충주역
- 호남권: 익산역, 송정리역, 광주역, 목포역, 군산역, 전주역, 순천역, 여수역
- 영남권: 김천역, 구미역, 대구역, 동대구역, 삼랑진역, 부산진역, 부산역, 안동역, 영주역, 경주역, 포항역, 울산역, 창원역, 진해역, 마산역, 진주역
[편집] 간선열차 승하차자 순위
자료는 2006년 한국철도공사/철도시설공단 연보이다. 승하차 승객수 순위 50위 이상인 곳을 정리하였다. 통근열차 역시 여객사업본부 소속 열차지만 그 기본적 역할이 광역도시권의 승객 수송이므로 제외하였다.
05년에 비해 KTX 승객량은 소폭 증가했으나 기존선 열차의 승객량은 대부분 역에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 순위 | 역명 | 노선 | KTX | 새마을 | 무궁화 | 총량 |
|---|---|---|---|---|---|---|
| 1 | 서울 | 경부선,경의선 | 20111964 | 1520091 | 3122084 | 24754139 |
| 2 | 동대구 | 경부선,대구선 | 11846382 | 1089574 | 4356287 | 17292243 |
| 3 | 부산 | 경부선 | 11071691 | 1218308 | 3918265 | 16208264 |
| 4 | 대전 | 경부선,대전선 | 7649663 | 1493224 | 4981501 | 14124388 |
| 5 | 영등포 | 경부선 | 3590 | 1753755 | 6945545 | 8702890 |
| 6 | 용산 | 경부선(호남선 출발역) | 4428471 | 782440 | 3122088 | 8332999 |
| 7 | 수원 | 경부선 | 해당없음 | 2205058 | 5921228 | 8126286 |
| 8 | 천안 | 경부선,장항선 | 해당없음 | 965707 | 5915945 | 6881652 |
| 9 | 청량리 | 중앙선,경춘선 | 해당없음 | 289478 | 5774008 | 6063486 |
| 10 | 대구 | 경부선 | 무정차 | 659781 | 4767845 | 5427626 |
| 11 | 구미 | 경부선 | 해당없음 | 1195321 | 3706224 | 4901545 |
| 12 | 구포 | 경부선 | 2218729 | 410558 | 1934158 | 4563445 |
| 13 | 광명 | 경부고속선 | 4448010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4448010 |
| 14 | 서대전 | 호남선 | 1320084 | 326848 | 2026721 | 3673653 |
| 15 | 익산 | 호남선 | 1397389 | 296156 | 1847250 | 3540795 |
| 16 | 밀양 | 경부선 | 814125 | 132095 | 2463818 | 3410038 |
| 17 | 조치원 | 경부선,충북선 | 해당없음 | 139407 | 3294642 | 3434049 |
| 18 | 평택 | 경부선 | 해당없음 | 170909 | 2737711 | 2908620 |
| 19 | 천안아산 | 경부고속선 | 2849137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2849137 |
| 20 | 남춘천 | 경춘선 | 해당없음 | 6 | 2452771 | 2452777 |
| 21 | 광주 | 광주선 | 1745012 | 159364 | 454018 | 2358394 |
| 22 | 김천 | 경부선,경북선 | 해당없음 | 397737 | 1949536 | 2347273 |
| 23 | 목포 | 호남선 | 1000966 | 100034 | 646542 | 1747542 |
| 24 | 경산 | 경부선 | 무정차 | 86102 | 1639156 | 1725258 |
| 25 | 왜관 | 경부선 | 해당없음 | 43455 | 1292017 | 1335472 |
| 26 | 순천 | 전라선,경전선 | 해당없음 | 185352 | 1042219 | 1227571 |
| 27 | 제천 | 중앙선 | 해당없음 | 68689 | 1151642 | 1220331 |
| 28 | 온양온천 | 장항선 | 해당없음 | 226136 | 990143 | 1216279 |
| 29 | 전주 | 전라선 | 해당없음 | 169008 | 1020606 | 1189614 |
| 30 | 논산 | 호남선 | 141696 | 128178 | 901835 | 1171709 |
| 31 | 대천 | 장항선 | 해당없음 | 259825 | 880357 | 1140182 |
| 32 | 송정리 | 호남선,경전선 | 566119 | 80301 | 486822 | 1133242 |
| 33 | 정읍 | 호남선 | 384755 | 103693 | 630785 | 1119233 |
| 34 | 영동 | 경부선 | 해당없음 | 86603 | 957826 | 1044429 |
| 35 | 성북 | 경춘선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1008588 | 1008588 |
| 36 | 청도 | 경부선 | 무정차 | 17027 | 980551 | 997578 |
| 37 | 가평 | 경춘선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956410 | 956410 |
| 38 | 원주 | 중앙선 | 해당없음 | 114975 | 839074 | 954049 |
| 39 | 홍성 | 장항선 | 해당없음 | 197594 | 751082 | 948676 |
| 40 | 신탄진 | 경부선 | 해당없음 | 9355 | 934538 | 943893 |
| 41 | 울산 | 동해남부선 | 해당없음 | 214335 | 616753 | 831088 |
| 42 | 창원 | 경전선 | 해당없음 | 182291 | 633807 | 816098 |
| 43 | 양평 | 중앙선 | 해당없음 | 41608 | 700273 | 741881 |
| 44 | 마산 | 경전선 | 해당없음 | 155836 | 557204 | 713040 |
| 45 | 강촌 | 경춘선 | 해당없음 | 2098 | 700115 | 702213 |
| 46 | 여수 | 전라선 | 해당없음 | 83693 | 513916 | 597609 |
| 47 | 예산 | 장항선 | 해당없음 | 124506 | 470336 | 594842 |
| 48 | 경주 | 중앙선 | 해당없음 | 165979 | 419125 | 585104 |
| 49 | 김제 | 호남선 | 118934 | 75431 | 363045 | 557410 |
| 50 | 영주 | 중앙선 | 해당없음 | 31870 | 523200 | 555070 |
[편집] 문화재로 지정된 철도 시설물
- 사적: 서울역
- 등록문화재: 경의선 장단역 죽음의 다리, 신촌역, 임피역, 남창역, 진해역, 춘포역, 원창역, 반곡역, 구 곡성역, 철도청 대전지역사무소 재무과 보급창고, 반야월역, 동촌역, 구 왜관터널, 일산역, 팔당역, 구둔역, 심천역, 도경리역, 율촌역, 송정역, 가은역, 청소역, 연천역 급수탑, 도계역 급수탑, 추풍령역 급수탑, 연산역 급수탑, 안동역 급수탑, 영천역 급수탑, 삼랑진역 급수탑, 함평 구 학다리역 급수탑, 원주역 급수탑
[편집] 운행 차량
- KTX
- 새마을호
- 동차형 새마을호 (Diesel Hydraulic Car, DHC 또는 PP)
- 장대형 새마을호 객차
- 무궁화호
- 무궁화호 디젤 동차 (New Diesel Car)
- 장대형 무궁화호 객차
- 무궁화호 구 특실전용 객차 (구특전)
- TLX Lady bird 관광열차 : 내구연한이 남은 무궁화호 특실을 개조한 것으로 열차등급에는 새마을호로 표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겨울철에는 하이원 스키열차로 운행한다.
- HEMU(가칭,예정) - 2008년 후반기 수도권전철의 장항선 연장개통을 대비 고급형 급행전용 차량으로서 일본 히타치제작소가 A-Train 기술을 토대로 제작하여 SLS중공업에서 넉다운 방식으로 조립생산할 예정
- 바다열차 - 지방선의 통근열차 폐지로 인해 잉여분 CDC를 토대로 영동선(동해-강릉/삼척)에 운행될 예정의 관광전용열차
- 통근 열차
- 통근형 디젤 동차 (Commuter Diesel Car;CDC)
- 정선선 관광열차
- 기관차
- 4400호대 디젤 기관차 (입환기)
- 7000호대 디젤 기관차 (특대형)
- 7100호대 디젤 기관차 (특대형)
- 7200호대 디젤 기관차 (특대형)
- 7300호대 디젤 기관차 (특대형)
- 7400호대 디젤 기관차 (특대형)
- 소형 입환용 디젤 기관차
- 중형 입환용 디젤 기관차
- 8000호대 전기 기관차
- 8100호대 전기 기관차
- 8200호대 전기 기관차
- 기술시험용차량
- 도시철도
- 1호선(경부,경인,경원,중앙선)
- 1000호대 전동차 - 저항제어방식
- 5000호대 전동차 -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방식
- 6000호대 전동차 -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방식, 교류전용차량
- 3호선(일산선)
- 3000호대 전동차 -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방식
- 4호선(과천,안산선),분당선
- 2030호대 전동차 -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방식
- 1호선(경부,경인,경원,중앙선)
- 과거 운용 차량
- 9102호대 디젤 기관차 (서창입환기)
- 2000호대 디젤 기관차
- 2100호대 디젤 기관차
- 3000호대 디젤 기관차
- 3100호대 디젤 기관차
- 3200호대 디젤 기관차
- 4000호대 디젤 기관차
- 4100호대 디젤 기관차
- 4200호대 디젤 기관차
- 5000호대 디젤 기관차
- 6000호대 디젤 기관차
- 6100호대 디젤 기관차
- 6200호대 디젤 기관차
- 6300호대 디젤 기관차
- 데로형 전기 기관차
- 모가형 증기 기관차
- 4륜형 증기 기관차
- 푸러형 증기 기관차
- 아메형 증기 기관차
- 터우형 증기 기관차
- 발틱형 증기 기관차
- 고로형 증기 기관차
- 시그형 증기 동차
- 마터형 증기 기관차
- 사타형 증기 기관차
- 허기형 증기 기관차
- 소리형 증기 기관차
- 파시형 증기 기관차
- 미카형 증기 기관차
- 901호 증기 기관차
- 우등형 전기 동차 (Eletcic Excellent Car;EEC)
- 우등형 디젤 동차 (Diesel Excellent Car;DEC)
- 가솔린 디젤 동차
- 협궤 디젤 동차
- 니이가타 디젤 동차
- 초기저항식 전기 동차
[편집] 지회사
- 코레일투어서비스 (전 KTX관광레저)
- 코레일전기 (전 한국철도전기시스템)
- 코레일유통 (전 한국철도유통)
- 코레일트랙 (전 한국철도시설산업)
-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서비스넷+IP&C)
- 코레일개발 (한국철도개발+파발마)
- 코레일애드컴
- 코레일로지스
- 코레일엔지니어링
[편집] 바깥 고리
[편집] 같이 보기
코레일의 노선 목록
| 간선 | 경부고속선·경부선·경의선·서울교외선·호남선·경원선·충북선·경전선·장항선·전라선·경춘선·동해선(동해남부선·동해북부선)·중앙선·영동선·경북선·태백선 |
|---|---|
| 지선 | 오송선·대전선·대구선·가야선·강경선·군산선·진해선·광주선·괴동선·망우선·삼척선·묵호항선·함백선·정선선 |
| 수도권 전철 | 경인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광명 셔틀 |
| 영업중지 | 수인선·용산선·옥구선 |
| 화물선 | 남부화물기지선·양산화물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북전주선·여천선·우암선·부전선·온산선·장생포선·울산항선·남포선·북평선·문경선·화순선·진삼선·서천화력선 |
| 폐선 | 수려선·당인리선·주인선·가은선·김포선·안성선·신촌연결선·오정선·금강산선 |
| 계획중 | 호남고속선·강원선·중부내륙선·중부선·서해선·완도항선·서해산업선·용문-홍천선·평택-원주선·원주-강릉선·동서선·춘천-원주선·의정부-철원선·군산-목포선 |
| 고속 열차 | KTX·HSR-350x·KTX-2·HEMU-400X |
|---|---|
| 증기 기관차 | 모가·4륜·푸러·아메·터우·발틱·고로·시그·마터·사타·혀기·소리·파시·미카·901호 |
| 디젤 기관차 | 2000·2100·3000·3100·3200·4000·4100·4200·4400·5000·6000·6100·6200·6300·7000·7100·7200·7300· |
| 디젤 동차 | 3등 동차·협궤 동차·니가타·가와사키·DEC·DHC·NDC·CDC·가솔린 동차 |
| 전기 기관차 | 데로·8000·8100·8200 |
| 전동차 | EEC·TTX·HEMU·수도권 전철·부산 지하철·대구 지하철·인천 지하철·광주 도시철도·대전 도시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AUTS |
| 객차 | 새마을호 객차·무궁화호 객차·통근열차(구 통일호) 객차·비둘기호 객차 (2000년에 폐지)·귀빈 객차·협궤 객차·특실 객차 |
[편집] 주석
분류: 2005년 설립 | 대한민국의 철도 기업 | 대한민국의 공기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