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양 수 5M5T 10량
전기 방식 직류 1500V 가공가선방식
제어 방식 VVVF-GTO 1C4M제어
기관 형식 {{{기관형식}}}
기어비 {{{기어비}}}
차륜 배열 {{{차륜배열}}}
동륜 배열 {{{동륜배열}}}
기동가속도 3.0 Km/h/s
영업최고속도 {{{영업최고속도}}} Km/h
설계최고속도 110 Km/h
감속도 3.5(상용), 4.5(비상) Km/h/s
전동기 출력 220 kW
편성 출력 4400 kW
출력 {{{출력}}} hp
견인력 {{{견인력}}}
주 용도 지하철구간 입선용 통근형전동차
차량 정원 {{{차량정원}}}명
편성 정원 {{{편성정원}}}명
전장 {{{전장}}} mm
전폭 {{{전폭}}} mm
전고 {{{전고}}} mm
차량 중량 {{{차량중량}}} t
편성 중량 {{{편성중량}}} t
대차간 거리 {{{대차간거리}}} mm
축중 {{{축중}}} t
궤간 1,435mm
구동 장치 유도전동기
제동 방식 회생제동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MT비 {{{MT비}}}
보안 장치 {{{보안장치}}}
제작사 현대정공
제작 연도 최초 1996년
비고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1996년부터 일산선에 운용하기 위해 도입한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이다. 기본적 사양은 서울메트로 4000호대 전동차에 기초한다.

목차

[편집] 서울메트로 타입 차량 도입

96년에 개통한 일산선은 기존 4호선과 과천/안산선 직통시 문제가 되었던 좌/우측 통행 및 직/교류 급전방식 차이로 인해 발생한 차량, 운용, 시설면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시철도법에 기준하여 건설되었다. 전구간이 우측통행이며 직류 1500V와 ATC를 채용하였기때문에 궂이 직/교류 겸용차량이 필요하지 않게되었으며 특히 서울지하철공사에서는 창동차량기지의 부지부족으로 4호선 VVVF제어 차량의 중검수 시설을 설치하지 못해 3호선 지축차량기지에 4호선 VVVF차량의 중검수를 통합하여 운용하였기 때문에, 서울메트로 4000호대 전동차를 동일하게 도입한뒤 검수절차 및 차량운용을 서울메트로 측에 위탁하게 되었다. 이로인해 별도의 철도공사 측에선 별도의 차량기지를 건설할 필요없이 지축차량기지의 규모확충만으로도 상호간 부품공통화 등의 추가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편집] 기술적 사양

서울메트로 4000호대 전동차를 참고한다.

단 한국철도공사 소속 승무원이 운용하기 때문에 기존 한국철도공사 VVVF제어 전동차의 응답성 및 가속력에 준하게 기어비를 조정하고 있다.

[편집] 배속

3071~3086 - 구로차량사업소, 서울메트로 지축차량기지 위탁관리

차량의 편성번호를 71호부터 부여함으로서 서울메트로 3000호대 전동차와의 통합적인 관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편집] 함께 보기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