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커(영어: hacker)는 본래 컴퓨터에 빠져 컴퓨터에 능통한 전문가를 뜻하는 말이다. 그러나, 현재 일반인에게는 컴퓨터 지식을 이용하여 남의 시스템에 침입하거나 범죄에 이용하는 사람을 뜻하는 단어로 사용된다. 일부 언론에서 보안 전문가를 가리키는 말로 쓸 때도 있다.
그러나 컴퓨터 전문가 공동체에서는 이러한 부정적인 의미를 입힌 것은 잘못이라고 말하며, 리누스 토르발스, 리처드 스톨만, 에릭 레이먼드등의 저명한 프로그래머를 해커라고 부르며, 불법으로 다른 시스템에 침입하는 사람은 크래커로 구분하여 불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편집] 역사
1950년대 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동아리 테크모델철도클럽에서 ‘해커’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등장했다. 이 클럽은 두가지 분과로 나뉘어져 있었다. 두 분과 중 첫번째 그룹은 모형기차를 어떻게 하면 정교하게 만드느것을 연구하였고 두번째 그룹은 기차들끼리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연구하였다. 그 당시 메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는 DEC사에서 기증했던 PDP-1이라는 미니컴퓨터가 있었다. 항상 모형기차의 제어에만 지대한 관심을 두고 있던 두번째 그룹에 속해있던 학생들은 모형기차제어대에 사용되는 중앙회로와 작동원리가 매우 유사한 PDP-1에 흥미를 느끼게 된다.
이 컴퓨터를 배우던 학생들이 너무 장시간 이용을 하자 대학교 측에서는 비용문제를 이유로 들어 그 기계가 위치를 했던 전산실 문을 닫아 버린다. 학생들은 월담을 하면서까지 컴퓨터를 사용하였다. 이 당시 지금 기준으로 봤을 아주 조잡했던 PDP-1에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탁월한 재능을 보였던 학생들을 해커라고 불렀고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을 해크라고 하였다.
[편집] 한국 해커 역사
한국에서 해커라는 용어가 일반인에게 알려지게 된 것은 KAIST와 Postech간의 해킹 전쟁으로 인해 KAIST 학생들이 불구속 기소되면서 언론에 알려졌다.
[편집] 분류
일반적으로 해커는 선의적인 목적으로 시스템의 취약점을 분석하여 사전에 보안 취약점을 고치거나 해결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White Hat(화이트 햇)과 악의적인 목적으로 불법으로 남의 시스템에 침투하여 정보를 훔치거나 변경하는 행위를 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Black Hat(블랙 햇)과 그리고 그 두 분류의 중간에 있는 Gray Hat으로 나눠진다.
일반적으로 White Hat을 Ethical Hacker, Security Reseacher라고 불리우며, Black Hat을 Cracker로 부르기도 한다.
| 이 문서는 컴퓨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