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손 효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손 효과(Hawthorne effect)는 근로자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서 그들의 행동이 변하며 따라서 일시적으로 효율이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현상은 1924년에서 1932년 사이에 호손 웍스라는 공장에서 수행된 일련의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에서 처음 관찰된데서 유래한다. 최근 들어서는 호손 효과의 의미는 확장되어 어떤 새로운 관심을 기울이거나 관심을 더 쏟는 것으로 대상의 사람들이 행동과 능률에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변했다.

목차

[편집] 호손 효과의 실험

호손 효과에 관련된 실험은 여러가지가 있었다. 대부분의 경우 산업심리학분야와 조직행동론 분야에서는 제네랄일렉트릭사의 후원과 미국국립과학아카데미의 국가연구위원회가 지원한 호손 공장에서의 조명과 작업효율에 관한 연구를 그 유래로 참조하고 있다.

[편집] 호손 공장의 조명과 작업효율 연관성 실험

시카고 외곽에 위치했던 호손웍스는 웨스턴일렉트릭사에 소속된 미국에서 가장 큰 전구 제조공장이였다. 이 실험의 원래 목적은 조명의 밝기와 작업 생산성의 연관성을 알아내기 위한 것이였다.

1924년부터 1927년까지 2년 반동안 웨스턴일렉트릭사의 엔지니어들에 의해서 일련의 조명 단계별 실험이 이루어졌다. 그런데 연구자들은 조명의 밝기 외에 다른것이 실험에서 측정된 생산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아내었다. 그들은 연구자의 관찰행위가 어떤 영향을 미쳤을것이라고 생각하고 1927년에 이 실험을 중단 하였다. 1927년에 웨스턴일렉트릭사는 하버드 대학 교수인 엘돈 메이요의 팀에게 협조를 구하게 되었다. 실험은 다시 시작하였고 1932년까지 계속되었다. 새로운 실험들은 작업의 내용을 변화 시키고, 근무요일을 변화시킨다든가 길이, 휴식시간, 급료의 변화등의 요인을 주고 생산성에 얼마나 이러한 요인들이 영향을 끼치는지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서 엘톤 메이요는 사람들의 행동은 같이 일하는 그룹간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결론을 얻었다.

[편집] 사회학적 조사와 호손 효과

이후 문화기술연구나 사용자 조사등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적, 사회학적 연구조사에 있어 호손 효과는 관찰자나 연구자의 개입이 연구대상의 사람에게 영향을 끼쳐서 연구 결과를 다르게 나오게 하여 올바른 연구 결과를 얻지 못하게 되는 부정적인 효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연구자의 개입을 최소화 시키거나 가능한 자연스러운 환경을 유지하려는 연구 방법을 발전시키게 하였다.

[편집] 같이보기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