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성공회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성공회 |
| 서론 |
|---|
| 기독교 종교 개혁 사도 계승 로마 가톨릭 주교 행정 |
| 인물 |
| 토머스 크랜머 헨리 8세 리처드 후커 엘리자베스 1세 존 웨슬리 |
| 교회법 |
| 캔터베리 대주교 램버스 회의 자문 회의 주교 회의 |
| 전례와 예배 |
| 성공회 기도서 고교회파 · 저교회파 광교회파 옥스퍼드 운동 39개조 신조 설교집 신부 감사성찬례 성인 |
| 각국의 성공회 |
| 영국 성공회·미국 성공회 아일랜드 성공회·오스트레일리아 성공회 뉴질랜드 성공회·캐나다 성공회 대한 성공회·대만 성공회 일본 성공회·홍콩 성공회 |
캐나다 성공회(Anglican Church of Canada)는 영국 성공회 교인들의 북미 대륙 이민으로 형성된 캐나다의 성공회이다.
17세기 이후 영국인의 캐나다 이민과 함께 캐나다 성공회의 기초가 잡혔다. 미국 독립 혁명 이후 미국에서 건너온 성공회 성직자들과 신도들을 통해 성공회의 세력은 더욱 강화되었고, 존 스트래천 주교 같은 유능한 성직자가 나와 지금의 토론토 대학을 세우는데 공헌하였다. 1867년 캐나다 연방의 결성 이래 영국의 군주를 국가원수로 하기 때문에 캐나다 성공회는 공식상 영국 왕의 종주권하에 있다.
[편집] 교구
- 노바 스코샤 및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교구
- 온타리오 교구
- 뉴 브런스윅 교구
- 브리티시 컬럼비아 교구
- 앨버타 교구
- 서스캐처원 교구
- 매니토바 교구
- 퀘벡 교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