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량리역 (지상)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용산 방면 | (K116) 왕십리 | (K117) 청량리 | (K118) 회기 | 덕소 방면 |
| 청량리 | |
|---|---|
| 청량리역 승강장 | |
| 역 정보 | |
| 노선 | 경원선 중앙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 588-1 |
| 개업일 | 1911년 10월 15일 |
| 역 종별 | 보통역 |
| 역 등급 | 1급 |
| 승강장 | |
| 전화번호 | 02-969-8003 |
| GPS 좌표 | {{{GPS}}} |
청량리역(淸凉里驛)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이다. 지하 청량리역과 구분하기 위해 지상 청량리역, 혹은 국철 청량리역이라 불리기도 한다. 1911년 10월 15일에 영업을 시작하였다.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동경성역으로 개칭되었고, 다시 청량리역으로 개칭되었다. 2007년 현재 가설 역사가 운영되고 있고 2010년 8월 완공을 목표로 민자 역사가 지어지고 있다.
이 역은 일반 철도 중앙선(안동, 부전 방향), 영동·태백선(강릉 방향), 경춘선(남춘천 방향) 열차의 시발역이고,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중간역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하 청량리역과는 서로 다른 역이다.
목차 |
[편집] 역사
- 1911년 10월 15일: 영업 개시
- 1938년 5월 1일: 동경성역(東京城驛)으로 역명 변경
- 1942년 6월 1일: 청량리역으로 역명 환원
- 1959년 11월 6일: 역사 신축
- 1978년 12월 9일: 용산 - 성북 간 국철(현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 1999년 7월: 임시 역사로 이전, 구 역사에 패스트푸드점 입주
- 2007년 2월: 구 역사 철거, 민자 역사 건축 시작
[편집] 역 정보
-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 588-1
- 영업 개시일: 1911년 10월 15일
- 관리 기관: 한국철도공사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있음
- 발매기 코드: 090(청량리), 267 (청량리역)
- AFC 코드:
- GPS 좌표:
[편집] 타는 곳
- 배치
| 1~2 | (-) | (수도권 전철용 승강장 신축중) |
| 3~4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용산·왕십리·회기·덕소 방면 |
| 5~6 | 경춘선 | 무궁화호 성북·대성리·남춘천 방면 |
| 7~8 | 중앙선, 영동선, 태백선 | 무궁화호 원주·제천·안동·경주·태백·강릉 방면 |
- 내리는 문
- 수도권 전철 : 오른쪽
- 일반 열차 : 임의
[편집] 주변역
[편집] 나가는 곳
- 1번: 청량리역 광장
- 지하청량리역 (수도권 전철 1호선): 약 70m
- 청량리역 광장의 육교를 이용하면 역 건너편으로 이동할 수 있다.
[편집] 승차량 변동
이러한 급격한 감소는 집계 방식 또는 지점이 변경되었다고밖에는 볼 수 없게 만든다. 2003년까지 1호선역과 집계가 겹쳐왔을 수 있다.
| 역 노선 | 승차 인원[1]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 중앙선 | 18490 | 16460 | 17080 | 20418 | 5303 | 4990 | 4979 |
[편집] 주석
- ↑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청량리 - 회기 - 중랑 - 망우 - 양원 - 동교(폐역) - 구리 - 도농 - 양정 - 덕소 - 도심(미개통) - 팔당 - 능내 - 양수 - 신원 - 국수 - 아신 - 양평 - 원덕 - 용문 - 지평 - 석불 - 구둔 - 매곡 - 양동 - 판대 - 간현 - 동화 - 만종 - 원주 - 유교 - 반곡 - 금교 - 치악 - 창교 - 신림 - 연교 - 구학 - 봉양 - 제천조차장 - 제천 - 고명 - 삼곡 - 도담 - 단양 - 단성 - 죽령 - 희방사 - 풍기 - 안정 - 북영주 - 영주 - 문수 - 승문(폐역) - 평은 - 옹천 - 마사 - 이하 - 서지 - 안동 - 무릉 - 운산 - 단촌 - 업동 - 의성 - 비봉 - 탑리 - 우보 - 화본 - 봉림 - 갑현 - 신녕 - 화산 - 북영천 - 영천 - 송포 - 임포 - 아화 - 건천 - 모량 - 율동 - 서경주(폐역) - 금장 - 경주
분류: 수도권 전철 중앙선 | 경원선 | 경춘선 | 중앙선 | 서울 동대문구의 전철역 | 서울특별시의 철도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