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일레 셀라시에 1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일레 셀라시에 1세
하일레 셀라시에 1세

하일레 셀라시에 1세(1892년 7월 23일 - 1975년 8월 27일, 재위 1930년 ~ 1974년, 암하라어: ኃይለ፡ሥላሴ)는 에티오피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였다.

1974년 마르크스주의를 따르는 군부의 공산주의 쿠데타로 폐위되었고, 솔로몬 왕조는 끝을 맺게 되었다. 본명은 라스 타파리 마코넨(암하라어: ቀዳማዊ፡ኃይለ፡ሥላሴ)이다.

[편집] 역사

1916년쿠데타로, 메넬리크 2세의 딸이자 여황제로 즉위한 자우디투 1세의 황태자가 되어 에티오피아 제국의 실권을 잡았다.

자우디투가 사망한 뒤인 1930년에 제위에 올라 즉위식이 거행되었다. 그가 즉위한 날, 타임지 신문에서는 그의 초상화를 새길 정도로 그는 인기가 높았다.

그러나 1935년,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를 침공한다. 황제는 영국으로 정치적인 망명을 하였고, 1936년부터 1941년까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황제를 겸하게 된다.

1974년, 멩기스투가 이끄는 공산 쿠데타로 폐위되었고, 이듬해에 암살되었다. 그의 유해는 1992년 舊 궁전 안에서 발굴되어, 2000년아디스아바바의 트리니티 대성당 내 묘지에 묻혔다.

[편집] 업적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자신이 거느리던 친위대를 파견하여 대한민국을 지원하였다. 전후,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 현 AU)의 창설에 기여했으며, 외교면에서 능력을 발휘했다.

주요 업적은 국민 의무교육 확대, 노예제 폐지(1931년) 등을 꼽을 수 있다. 1960년대에는 국민소득이 3,000달러에 이르렀다. 하지만, 1974년 쿠데타로 공산주의 군사정권이 들어선후 경제가 파탄되면서 지금은 100달러밖에 되지 않는다.. 1968년대한민국을 방문하여 당시 서울 시민들로부터 열렬한 환호와 박수를 받았다.

[편집] 바깥 고리

전 임
자우디투 1세
(재위 1916 ~ 1930)
에티오피아 제국황제
1930년 - 1974년
후 임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