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 | |
|---|---|
| 후기형 5000호대 전동차 | |
| 양 수 | 10량 |
| 전기 방식 | 교류 25,000V 60Hz, 직류 1500V 가공가선방식 |
| 제어 방식 | 5001~5061:VVVF-GTO 1C4M제어 5062~:VVVF-IGBT 2레벨 1C4M제어 |
| 기관 형식 | {{{기관형식}}} |
| 기어비 | {{{기어비}}} |
| 차륜 배열 | {{{차륜배열}}} |
| 동륜 배열 | {{{동륜배열}}} |
| 기동가속도 | 3.0 Km/h/s |
| 영업최고속도 | {{{영업최고속도}}} Km/h |
| 설계최고속도 | 110 Km/h |
| 감속도 | 상용 3.5 Km/h/s, 비상 4.5 Km/h/s |
| 전동기 출력 | 220 kW |
| 편성 출력 | 4400 kW |
| 출력 | {{{출력}}} hp |
| 견인력 | {{{견인력}}} |
| 주 용도 | 지하철구간 입선용 통근형전동차 |
| 차량 정원 | {{{차량정원}}}명 |
| 편성 정원 | {{{편성정원}}}명 |
| 전장 | {{{전장}}} mm |
| 전폭 | {{{전폭}}} mm |
| 전고 | {{{전고}}} mm |
| 차량 중량 | {{{차량중량}}} t |
| 편성 중량 | {{{편성중량}}} t |
| 대차간 거리 | {{{대차간거리}}} mm |
| 축중 | {{{축중}}} t |
| 궤간 | 1,435mm |
| 구동 장치 | 유도전동기 |
| 제동 방식 | 회생제동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MT비 | 5M 5T |
| 보안 장치 | {{{보안장치}}} |
| 제작사 | 대우중공업,현대정공,로템 |
| 제작 연도 | 최초 1996년 |
| 비고 | 5001~5042까지 초기형 5043~5066까지 중기형 5067 이후 후기형 |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는 1996년 경부선 용산~구로 및 경인선 복복선 개통 및 노후화된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의 대체를 목표로, 기존 생산된 2030호대 전동차를 기초로 제작, 1996년부터 2006년까지 도입된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다.
목차 |
[편집] 기술적 사양
[편집] 제어기기
5001~5061은 기존 도입된 과천선, 안산선용 2030호대 전동차를 기초로 하기 때문에 GTO 사이리스터를 사용한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 방식을 사용하며, 5062 이후로 도입된 차량은 IGBT 소자를 사용한 VVVF방식을 사용한다. 1개의 제어기기에 1량 분의 전동기를 사용하는 1C4M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기존 1000호대 전동차에 비해 출력을 높여 MT비를 줄임과 동시에 회생제동 능력을 갖춰 에너지 절약 및 검수소요 감소를 도모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도시바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후 우진산전에서 면허생산한 것을 채용하고 있다. GTO 사이리스터를 사용한 차량은 강제 냉각 방식의 MCK01C형 주제어장치를, IGBT 소자를 사용한 차량은 히트파이프에 의한 자연 냉각 방식의 COVO52-A0형 주제어장치를 채용하였다.
[편집] 차체 및 대차
차체에는 STS304를 사용한 스테인리스 용접방식의 무도장 차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대차는 원추형 고무스프링을 사용한 에어스프링 볼스터리스 방식을 채택해 승차감 향상과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다. 제동장치는 응답성이 빠르고 전기제동과의 조화가 양호한 전기지령식 제동을 사용하고 있는데, 1, 2세대 전동차의 경우 답면제동의 소음이 문제가 되어 이를 개량하는 사업이 진행중이다.
[편집] 실내설비
도입 초기에는 아이보리색 계통의 실내구성과 전형적인 모켓 롱시트로 이루어져 있었고, 객실 천장에는 LED방식의 승객안내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냉방은 기존 저항차량보다 냉방출력을 강화한 준집중형식으로 제작하였으며 98년 2차도입분부터는 1호차,10호차에 휠체어 스페이스가 설치되어 있다.
[편집] 운전설비
운전설비는 기존 2030호대 전동차와 동일하나 ATC 관련 장비는 빠져 있으며, 급행열차 운용등으로 인해 정차역을 오인통과하는 경우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정차역 자동통보장치를 장비하고 있다(2002년부터). 처음 도입부터 TGIS 모니터를 컬러모니터로 갖추었으며, 2005년 불연내장 리뉴얼 이후부터는 TGIS로 서비스기기 조작을 전자동화하였다. 운전기기는 투핸들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운전경계장치(DSD)를 갖추고 있다. 직교류 및 교류사구간 통과시 지상장비를 통해 경고방송을 송출하여 운전편의를 도모하고 있으며, 2006년부터는 전 차량의 차장용 출입문 조작장치를 기존 기계식에서 전자식으로 교체하고 있다.
[편집] 편성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제어기기와 전동기만이 탑재된 M차, 그리고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등을 갖춘 Tc차와 제어실이 없는 T1, 그리고 아무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어 있다.
- 50XX - Tc(SIV,공기압축기,축전지)
- 52XX - M(VVVF)
- 53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VVVF)
- 58XX - T
- 55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VVVF)
- 54XX - T1(SIV,공기압축기,축전지)
- 59XX - T
- 56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VVVF)
- 57XX - M(VVVF)
- 51XX - Tc(SIV,공기압축기,축전지)
[편집] 배속 및 검수
5010~5048,5067~5078,5083 : 구로전동차사업소(이중 5019호는 휴차)
5049~5066, 5079~5082 : 병점전동차사업소
5001~5009, 5084~5092 : 이문전동차사업소
5000호대 전동차의 경검수(일일, 주간, 월상정비)는 각 차량사업소에서, 중검수(1년 이상)는 안산선 시흥차량사업소에서 시행한다.(5043호 이후 차량은 이문차량사업소에서 중검수 시행)
[편집] 도입 역사
[편집] 초기형(1세대)
[편집] 1차 도입분(5001~5028) - 현대정공 제작
96년부터 97년 사이에 도입된 차량으로서 도시바 직수입 VVVF 인버터를 채용하고 있다. 초기 도색은 당시 철도청 신도색(역삼각마크 도색)인 녹색-노랑색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2005년 내장재 리뉴얼과 함께 철도공사의 신도색으로 교체되었다.
[편집] 2차 도입분(5029~5042) - 대우중공업 제작
98년부터 99년 사이에 도입된 차량으로서 1차 도입분과 큰 차이는 없으나 휠체어 스페이스가 추가되었으며, 전체적인 차량의 완성도가 높아졌다. 2002년 38편성에는 시범적으로 코모넷사의 차내방송 시스템이 장비되어 있으며, 40,41,42편성에는 1000호대 전동차의 잉여분 차량을 개조하여 5000호대에 편입해 사용하고 있는것이 특징이다.
[편집] 중기형(2세대)
[편집] 3차 도입분(5043~5060) - 로템 제작
2002년 수도권전철구간의 연장개통등과 기존 1000호대 전동차 초기형 차량의 퇴역으로 인해 도입되었는데, 새롭게 페이스리프트 된 FRP소재의 선두부와 객실측면창에 UV코팅이 적용된 통유리창, 전체적으로 백색이 강조된 실내설비 등을 추가해 최신형 차량으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특히 선두부 형태가 둥글하기 때문에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둥글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고 있기도 하다. 당시 도색은 녹색-연녹색 도색을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역시 철도공사 신도색으로 교체된 상태이다.
[편집] 4차 도입분(5061~5064)
기존 3차 도입분 차량과 큰 차이는 없으나 VVVF장비를 기존 GTO방식에서 도시바(우진산전)IGBT 2레벨 방식의 자연냉각형 인버터로 교체하였다. 이는 기존의 도시철도공사 7호선 2차도입분 차량의 제품에 컨버터를 적용한 방식으로 도입되었다. 도입 당초부터 철도공사 신도색이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편집] 5차 도입분(5065~5066)
외형은 기존 3차 도입분에 기초하였으나, 처음부터 불연내장재 설계기준을 적용하여 도입되었으며 LED방식의 열번표시기와 행선표시기를 장비했다. 대차 설계가 조금 더 경량화되어 3세대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편집] 후기형(3세대)
[편집] 6차 도입분(5067~5081)
2005년 중앙선 복선전철 및 경인선 복복선 연장으로 추가도입된 차량, 신세대 웰빙형 차량이라는 개념으로 새로이 페이스리프트 되었으며 로템의 표준형전동차 설계기준을 따르고 있다. 선두부의 전조등 형태를 본따 동호인들 사이에선 처음에 "뱀눈이"라는 애칭으로 불리기 시작했으나 표현의 문제등으로 인해 지금은 승무원들이 부르고 있는 "마티즈"라는 애칭을 사용하고 있기도 하다. 실내 시트의 히터가 경량 프리히터로 변경되었으며 그외에 내장이 고급화 되었다. 특히 객실 측면도어의 구동방식이 기존 공기식에서 스크류모터 구동방식으로 변경된것이 큰 특징으로 출입문 조작장치도 전자식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선두부 형상이 운전사의 시야를 방해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편집] 7차 도입분(5082~5092)
6차 도입분을 토대로 2006년 경원선 전철 연장개통으로 추가도입된 차량. 실내구성이 약간 변경되었으며 객실 환기용 팬이 추가되었다. 5783호에는 처음으로 로템사 IPM 2레벨 인버터를 시험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편집] 개조 역사
[편집] 도색 변경
96년 1세대에는 노랑색-녹색의 구 철도청 기본도색이, 2002년 2세대 4차 도입분까지는 녹색-청록색 도색이 적용되어있었으나 5차도입분 부터는 철도공사의 신CI도색(파랑/빨강)이 적용되었으며 이후 2006년까지 전차량의 도색이 모두 변경되었다. 이는 태극무늬를 상징하나 도색이 너무 원색적이며 출입문 부분에만 칠해 한때 동호인들 사이에선 "자석도색"이라는 은어가 사용되었다.
[편집] 전장품 변경
- 2004년부터 SIV를 우진산전 IGBT제품으로 변경하여 2005년까지 전차량이 변경 완료
- 2004년부터 답면제동장치 소음개량 사업이 시작되어 현재 진행중임
- 2002년부터 정차역 오통과방지를 위한 정차역 통보장치가 운전실에 부착되었으며 이후 2005년 내장재 리뉴얼과 함께 TGIS장치가 개량되면서 외장장치는 철거되고 TGIS에 통보장치 기능을 추가시킴
- 2004년 도입된 5064-5164편성 5664/5764호에는 IGBT인버터가 그 외 차량에는 GTO인버터가 적용되어 있었으나 이후 IGBT인버터로 통합
- 2003년 5038-5138편성에 코모넷 방송 시스템을 시험적으로 도입하였음
[편집] 불연재 내장 리뉴얼사업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차량의 내연기준으로 인해 2003년 후반기 도입분인 5062-5162편성부터는 불연재 내장을 갖추어 도입되었으며, 이후 2005년까지 철도공사의 전차량이 불연재 기준에 맞춘 내장으로 리뉴얼되었다. 리뉴얼 사업에는 로윈, 흥일기업등이 참여하였다. 이와 동시에 보수성이 떨어지는 전면, 측면행선표시장치(DI)를 롤지회전방식에서 LED현시방식으로 교체하였다.
[편집] 특이사항
- 2007년 5월 12일 영등포역 구내에서 인천방면으로 회송하던 디젤전기기관차 4404호가 동인천행 급행열차로 운행중이던 5019-5119편성과 추돌, 이중 5119호, 5719호가 중파되어 현재 5019-5119편성은 휴차중. 공교롭게도 5019-5119편성은 2003년 한국인 및 독일인에 의한 영등포역 그래피티 사건의 피해차량으로 알려져 있음.
[편집] 사진
[편집] 함께 보기
| 고속 열차 | KTX·HSR-350x·KTX-2·HEMU-400X |
|---|---|
| 증기 기관차 | 모가·4륜·푸러·아메·터우·발틱·고로·시그·마터·사타·혀기·소리·파시·미카·901호 |
| 디젤 기관차 | 2000·2100·3000·3100·3200·4000·4100·4200·4400·5000·6000·6100·6200·6300·7000·7100·7200·7300· |
| 디젤 동차 | 3등 동차·협궤 동차·니가타·가와사키·DEC·DHC·NDC·CDC·가솔린 동차 |
| 전기 기관차 | 데로·8000·8100·8200 |
| 전동차 | EEC·TTX·HEMU·수도권 전철·부산 지하철·대구 지하철·인천 지하철·광주 도시철도·대전 도시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AUTS |
| 객차 | 새마을호 객차·무궁화호 객차·통근열차(구 통일호) 객차·비둘기호 객차 (2000년에 폐지)·귀빈 객차·협궤 객차·특실 객차 |
| 노선 | ||||
|---|---|---|---|---|
| 1기 지하철 | ●1호선(경부선·경원선·경인선) | ●2호선(성수지선·신정지선) | ●3호선(일산선) | ●4호선(과천선·안산선) |
| 2기 지하철 | ●5호선(마천지선) | ●6호선(응암 순환) | ●7호선 | ●8호선 |
| 광역 철도 | ●중앙선(경원선·중앙본선) | ●분당선 | ||
| 인천 지하철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
| 계획·공사중 | ●9호선 | 신분당선 | 신안산선 | 장항선 |
| 수인선 | 경춘선 | |||
| 차량 | ||||
| 코레일 | 1000호대 | 5000호대 | 6000호대 | 3000호대 |
| 2030호대 | ||||
| 서울메트로 | 1000호대 저항제어 | 1000호대 VVVF | 2000호대 MELCO | 2000호대 GEC |
| 2000호대 VVVF | 3000호대 | 4000호대 | ||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5000호대 | 6000호대 | 7000호대, 8000호대 | |
|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 인천 지하철의 차량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