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사레 보르지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체자레 보르지아
체자레 보르지아

체자레 보르지아(Cesare Borgia 1475년 9월 13일? – 1507년 5월 11일)는 르네상스 시대에 살았던 이탈리아 사람이다. 발렌티노(Valentinois)와 로마냐(Romagna)의 공작이고, 안드레아(Andria)와 베냐프로(Venafro)의 군주이며, 디오이스(Dyois)의 백작이고, 피옴비노(Piombino), 카메리노(Camerino), 우르비노(Urbino)의 지배자이고, 교황청의 총사령관이자 장관이며,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용병대장이며, 영주이자 추기경이다. 그는 교황 알렉산더 6세(Alexander VI)세와 Vannozza dei Cattanei의 아들이며, 형제로는 루크레치아 보르지아( Lucrezia Borgia), 스퀼리아스(Squillace)의 군주인 조프레 보르지아(Jofré Borgia), 간디아(Gandia)의 군주인 지오반니 보르지아(Giovanni Borgia)가 있다. 그리고 어머니를 알 수 없는 배다른 형제로는 돈 페드로 루이스 데 보르자(Don Pedro Luis de Borja)와, 지롤라모 데 보르자(Girolama de Borja)가 있다.


목차

[편집] 체자레 보르지아의 탄생(Birth)

체자레 보르지아의 삶의 모든 견해가 거의 그렇듯, 그의 출생의 날짜 역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그가 교황 알렉산더 6세(Alexander VI)가 되는 추기경인 로드리고(Rodrigo de Lanzol y Borja)와 누구인지 문서 상 내용이 빈약해서 알 수 없는 베노짜(Vanozza Catanei) 사이에서 1474년1476년 중에 태어났다는 것은 거의 받아들여지고 있다.

보르지아 가(家)는 원래 스페인 출신이었다. 체자레의 종조부이면서, 발렌치아(Valencia)의 주교인 앨론소 보르지아(Alonso Borgia(1378-1458))가 1455년에 교황 칼릭투스 3세(Callixtus III)로 선출되면서 보르지아 가는 15세기 중반에 지위가 크게 상승했다. 체자레의 아버지인 교황 알렉산더 6세(Alexander VI)는 그의 연인인 베노짜(Vanozza Catanei)와 낳은 아이들을 공공연히 인정한 첫 번째 교황이었다.

이후 교황 식스투스 4세(Sixtus IV)는 체자레에게 수여한 로마 교황의 교서에서 그의 탄생을 증명해야 할 필요가 없다고 알렸다.

[편집] 체자레 보르지아의 초기 삶(Early life)

체자레는 어렸을 때, 갈색 눈과 오렌지빛 머리의 어여쁜 아이로 알려졌고, 커가면서는 빠른 걸음과, 큰 키, 아버지를 닮아서 끝이 없는 야심과 핸섬한 남자로 알려졌다. 체자레는 초기에는 교회의 일을 위해 훈련받았다. 그래서 겨우 15세에 팜플로냐(Pamplona)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체자레가 법을 배웠던 피사(Pisa)와 페루지아(Perugia)의 학교를 다닐 때, 그의 아버지는 교황으로 선출되었고, 그는 이제 18세의 나이에 추기경이 되었다. 알렉산더 6세(Alexander VI)는 보르지아 가(家)에 희망을 걸고 체자레의 형제인 지오반니(Giovanni)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교황청의 군대를 이끌게 했다. 지오반니(Giovanni)가 1497년에 암살당했고 체자레는 그를 대신할 사람으로 임명받았다.

1498년 8월 17일에, 체자레는 역사적으로 추기경직을 사임한 첫 번째 사람이 되었다. 프랑스의 루이 12세(Louis XII)는 체자레를 발렌티노(Valentinois)의 공작으로 임명했고, 이후 그는 “발렌티노”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편집] 군사적 업적(Military career)

체자레의 아버지는 그를 후원해줄 힘이 있었고, 그의 업적은 아버지의 후원의 기초 위로 차곡차곡 쌓였다. 교황청 군대의 지명된 지휘자인 체자레는 이탈리아의 중심 도시들을 정복하기 위해 아버지에 의해 보내졌다. 이론적으로는 교황에게 직접적으로 지배를 받는 것이었지만, 현실적으로 이 도시들의 지배자들은 교황에게서 독립해왔었거나, 일족을 위해 다른 공국들에게 의존해 있는 상태였다.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체자레는 로마냐(Romagna)에 공국을 세우고 관리하여 교황 알렉산더 6세(Alexander VI)가 원한대로 나폴리(Naples), 피렌체(Florence), 밀라노(Milan), 베니스(Venice)와 경쟁할 수 있었다.

체자레 보르지아는 일시적으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를 군 건축가와 기술자로 고용했다. 레오나르도는 프랑스의 샤를 8세(Charles VIII)가 스포르차(Sforza)를 이탈리아로 쫓아내기 전까지, 오랫동안 루드비코 스포르차(Ludovico Sforza)의 Milanese court에서 일했다.

체자레가 굉장히 유능한 장군이자 정치가였지만, 교황의 계속되는 후원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그래서 그의 아버지의 죽음은 체자레의 화려한 경력에도 종지부를 찍을 수 밖에 없었다. 그의 아버지가 죽은 1503년에 커다란 불행이 그를 덮쳤다. 교황 율리우스 2세(Julius II)가 이끄는 체자레의 정적들이 그를 모함했고 결국 투옥시켰다. 1504년에는 스페인으로 추방되었다. 스페인의 포로가 된지 2년 후에 그는 탈출했고, 매부인 나바르(Navarre)의 왕 존 3세(John III)와 합류하였다. 체자레는 1507년 Viana의 포위공격 때 사망하며, 그때 그의 나이는 겨우 31세였다.

마키아벨리피렌체의 대사관직의 비서로서 체자레 공작을 만나 협상할 임무가 있었다. 그는 체자레를 크게 존경했다. 마키아벨리1502년 10월 7일부터 1503년 1월 18일까지 보르지아의 저택에서 지냈습니다. 이 기간에 그는 정기적으로 급송 공문서를 피렌체의 상관들에게 보냈고 그 문서들은 대부분 현재까지 남아 마키아벨리의 작품집으로 출판되어있다.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의 예로서 보르지아의 공적과 전략을 다수 사용하였고, 그를 모방하도록 권고하였다. 체자레의 두 개의 에피소드는 마키아벨리에게 특별히 인상적이었다. 첫 번째 에피소드는 체자레가 로마냐(Romagna)를 진압한 방법이었고, 마키아벨리는 이 방법을 「군주론」의 17번째 챕터에서 기술하고 있다. 두 번째 에피소드는 1503년 새해의 밤에 시니갈리아(Sinigaglia)에서 체자레의 정적들을 암살한 이야기이다.

보르지아에 대한 마키아벨리의 찬사는 논쟁의 주제가 되기 십상이다. 어떤 학자들은 마키아벨리의 보르지아가 20세기 범죄의 선구자 노릇을 했다고 생각하며, Macaulay와 Lord Acton을 포함한 다른 학자들은 시간에 따른 타락과 일반적인 범죄의 영향과 같은 폭력에 대한 찬사를 설명하기도 한다.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가 지은 Celebrated Crimes의 첫 번째 책에서는 보르지아 시대에 만들어진 예수 그리스도의 어떤 그림들이 체자레 보르지아를 모델로 그렸고 그 시대 이후 만들어진 예수의 이미지에 차례로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편집] 체자레 보르지아의 결혼과 아이들(Marriage and children)

1499년 5월 10일에, 체자레는 샬롯(Charlotte d'Albret (1480 ~ 1514년 3월 11일))와 결혼했다. 그녀는 나바르(Navarre)의 존 3세(John III)의 여동생이었다. 그들은 슬하에 딸 하나(루이스 보르지아Louise Borgia)를 두었다. 체자레는 적어도 11명의 사생아를 두었다. 그중에는 이사벨(Isabella Contessa di Carpi)와 결혼한 지롤라모 보르지아(Girolamo Borgia)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