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색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기본 성질 |
| 색상 채도 명도 보색 |
| 삼원색 색상환 |
| 색 공간 |
| RGB CMYK HSB YCbCr |
| 색의 이용 |
| 웹 색상 보호색 경계색 |
| 색 목록 |
| 무채색: 흰색 회색 은색 검정 |
| 유채색: 빨강 주황색 노랑 녹색 파랑 |
| 남색 보라 하늘색 바다색 옥색 |
| 담청색 자청색 자주색 청록색 심홍색 |
| 관련 항목 |
| 광학 시각 미술 |
| 위키프로젝트 색 |
보색(complementary color, 補色)은 색상 대비를 이루는 한 쌍의 색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미술이나 인쇄에서 사용되는 감산혼합에 기반한 색상의 쌍을 보색이라고 하나 색 공간에 따라 서로 쌍이 되는 보색은 달라진다. 색상환에서 서로 마주 보는 색상이 보색이다. 보색을 사용하여 두 색상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을 보색 대비라 한다.
목차 |
[편집] 색 공간과 보색
RGB 가산혼합의 경우 두 색의 혼합 결과가 흰색이 되는 두 색상의 쌍을 말한다. CMYK 감산혼합의 경우 두 색의 혼합이 검정 또는 '어두운 회 보라'[1]가 되는 두 색상의 쌍을 말한다. HSV 색공간에서는 색상값 H에 대한 120도 대칭의 값을 갖는 두 색상의 쌍을 말하며 두 색의 혼합은 같은 명도값을 갖는 회색이 된다.
[편집] 감산혼합과 보색
CMYK 색공간에서 색은 옥색(Cyan), 자청색(Magenta), 노랑(Yellow) 및 검정(blacK)의 농도를 나타내는 네 수의 순서쌍으로 나타낸다. 네 가지 원색 중 검정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감산혼합의 보색은 두 색쌍의 차가 (100,100,100,0)이 되는 것이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색상 A의 좌표 (C1,M1,Y1,0)에 대한 보색 색상 B의 좌표 (C2,M2,Y2,0)는
,
, 
[편집] 가산혼합과 보색
RGB 색공간에서 색은 삼원색을 기반으로한 RED, GREEN, BLUE의 세 채널의 값을 나타내는 세 수의 순서쌍으로 나타낸다. RGB 색공간의 보색은 두 색쌍의 합이 흰색(255,255,255)이 되는 것이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색상 A의 좌표 (R1,G1,B1)에 대한 보색 색상 B의 좌표 (R2,G2,B2)는
,
, 
위 수식에 의한 보색 대비의 결과는 아래의 표와 같다.
| RGB 색공간 좌표와 보색 | ||
| 색상 1 | 색상 2 | |
|---|---|---|
| (255,0,0) | (0,255,255) | |
| (255,127,0) | (0,128,255) | |
| (0,255,0) | (255,0,255) | |
| (0,0,255) | (255,255,0) | |
| (0,0,128) | (255,255,127)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