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한국의 역사 (연표) | |||||||
| 한국의 선사 시대 (유적) | |||||||
| 환인 · 환웅 (신시) | |||||||
| 고조선 - 단군 | |||||||
| 진국 | |||||||
| 원 삼 국 | 삼 국 | 남 북 후 삼 |
삼한 | 옥 저 |
동 예 |
부 여 |
|||
| 진 한 |
변 한 |
마 한 |
|||||
| 가 야 |
백 제 |
고 구 려 |
|||||
| 신 라 |
|||||||
| 후 백 제 |
태 봉 |
발 해 |
|||||
| 고려 |
|||||||
| 조선 |
|||||||
| 대한제국 | |||||||
| 대한민국임시정부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 |
|||||||
| 군정기 | |||||||
| 대한민국 |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
||||||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는 1910년 한일합방에서부터 1945년 광복까지 한국에 대한 일본의 식민 통치를 시행한 기관이다.
1910년 설치되었으며 초대 조선 총독으로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취임하였다.
조선총독부는 1945년 광복을 맞자 남한지역을 미군정에게 인계할때까지 통치한 후 해체되었다.
총독부의 건물은 1926년 경복궁의 일부를 헐어내고 지어진 것이다. 해방 후 한국정부의 청사(중앙청)로 사용되어 오다가 나중에는 국립중앙박물관 건물로도 사용되었다. 이후 1995년 김영삼 문민정권이 철거하였다.
목차 |
[편집] 조선 총독
조선 총독은 일본 육·해군 대장 중에서 임명되었으며, 행정권·사법권·군사권 등의 모든 권한을 가졌다.
- 데라우치 마사타케 (1910년 ~ 1916년)
- 하세가와 요시미치 (1916년 ~ 1919년)
- 사이토 마코토 (1919년 ~ 1927년)
- 우가키 가즈시게 (1927년, 임시대리)
- 야마나시 한조 (1927년 ~ 1929년)
- 사이토 마코토 (1929년 ~ 1931년)
- 우가키 가즈시게 (1931년 ~ 1936년)
- 미나미 지로 (1936년 ~ 1942년)
- 고이소 구니아키 (1942년 ~ 1944년)
- 아베 노부유키 (1944년 ~ 1945년)
[편집] 조선총독부의 조직
- 총독관방(総督官房)
- 총무부(総務部) - 인사국(人事局), 외사국(外事局), 회계국(会計局)
- 내무부(内務部) - 지방국(地方局), 학무국(学務局)
- 탁지부(度支部) - 사세국(司税局), 사계국(司計局)
- 농상공부(農商工部) - 식산국(殖産局), 상공국(商工局)
- 사법부(司法部)
- 중추원(中樞院)
[편집] 직제
- 총독
- 정무총감
- 장관 : 각 부의 장
- 국장 : 각 국의 장
- 참사관 : 2명
- 비서관 : 2명
- 서기관 : 19명
- 사무관 : 19명
- 기사 : 30명
- 통역관 : 6명
- 기수 : 337명
- 통역생
- 총독부 무관 : 육해군 소장 또는 좌관(영관급)
- 부속부관 : 육해군 좌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