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고속철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호남고속철도는 보기에 따라 두 가지 의미로 나눌 수 있다.

  • (선로 그 자체로서) 오송과 목포를 잇는 노선
  • (실제 영업형태로 볼 때) 용산과 목포를 잇는 노선

목차

[편집] 개요

[편집] 호남고속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역

[편집] 현재

현재는 경부고속선인 '시흥-대전조차장' 구간만 고속철도 전용선로를 이용하고, 나머지는 기존 선로를 이용하고 있다. 사실상 순수한 의미의 고속철도 기능은 현재 없다고 보아야 하나, 고속열차가 들어가고 있으며, 고속철도 전용선로를 건설할 예정이 있는 점 등을 참작하여 이 곳에 정리한다.

  • 호남고속철도 본선 (현재, '용산-대전조차장' 구간은 경부고속철도와 공용)
역 이름 시간[1] 거리[2] 위치한 지역 환승
용산역 - - 서울특별시 용산구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수도권 1호선, 수도권 중앙선, 수도권 4호선(신용산역)
광명역 13분 18.8km 경기도 광명시 수도권 1호선(광명셔틀)
천안아산역 35분 93.1km 충청남도 아산시 경부고속철도, 장항선(아산역)
서대전역 53분 160.8km 대전광역시 중구 호남선, 전라선
계룡역 1시간 13분 180.5km 충청남도 계룡시 호남선, 전라선
논산역 1시간 27분 205.9km 충청남도 논산시 호남선, 전라선
익산역 1시간 42분 243.0km 전라북도 익산시 호남선, 전라선
김제역 2시간 8분 260.7km 전라북도 김제시 호남선
정읍역 2시간 12분 286.5km 전라북도 정읍시 호남선
장성역 2시간 30분 318.9km 전라남도 장성군 호남선
송정리역 2시간 29분 340.8km 광주광역시 광산구 호남선
나주역 2시간 48분 356.6km 전라남도 나주시 호남선
목포역 3시간 1분 407.6km 전라남도 목포시 호남선
  • 기존선 이용 KTX 운행구간 1 (행신-용산)
역 이름 시간[1] 거리[2] 위치한 지역 환승
행신역 23분 17.5km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경의선
  • 기존선 이용 KTX 운행구간 2 (장성-광주)
역 이름 시간[1] 거리[2] 위치한 지역 환승
광주역 2시간 44분 352.8km 광주광역시 북구 호남선(광주선 경유)

[편집] 미래

호남고속철도 전용선로는 2015년 '오송-송정리' 구간을 1단계로, 2017년 '송정리-임성리' 구간을 2단계로 하여 건설될 예정이다. 다만, 송정리역과 임성리역이 각각 광주와 목포 도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일부 차량은 기존선을 이용하여 광주역과 목포역으로 진입할 수도 있다.

  • 호남고속철도 본선 (2차 개통 이후, '용산-오송' 구간은 경부고속철도와 공용) [2017년 이후 예정]
역 이름 시간[1] 거리[2] 위치한 지역 환승
용산역 - - 서울특별시 용산구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수도권 1호선, 수도권 중앙선, 수도권 4호선(신용산역)
광명역 12분 18.8km 경기도 광명시 수도권 1호선(광명셔틀)
천안아산역 36분 93.1km 충청남도 아산시 장항선(아산역)
오송역 46분 121.8km 충청북도 청원군 충북선
남공주역 59분 165.6km 충청남도 공주시
익산역 1시간 09분 211.3km 전라북도 익산시 호남선, 전라선
정읍역 1시간 25분 253.5km 전라북도 정읍시 호남선
송정리역 1시간 33분 304.0km 광주광역시 광산구 호남선
임성리역 1시간 46분 352.8km 전라남도 목포시 호남선
  • 기존선 이용 KTX 운행구간 1 (행신-서울) ▶ 위 도표 참고
  • 기존선 이용 KTX 운행구간 2 (익산-여수) [2012년 이후 예정]
  • 기존선 이용 KTX 운행구간 3 (장성-광주) ▶ 위 도표 참고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주석

  1. 1.0 1.1 1.2 1.3 용산역에서 출발할 때의 시간이며, 각 역의 도착시간은 최단 시간 기준이다.
  2. 2.0 2.1 2.2 2.3 용산 기점의 거리이다.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