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백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한국의 역사 (연표) | |||||||
| 한국의 선사 시대 (유적) | |||||||
| 환인 · 환웅 (신시) | |||||||
| 고조선 - 단군 | |||||||
| 진국 | |||||||
| 원 삼 국 | 삼 국 | 남 북 후 삼 |
삼한 | 옥 저 |
동 예 |
부 여 |
|||
| 진 한 |
변 한 |
마 한 |
|||||
| 가 야 |
백 제 |
고 구 려 |
|||||
| 신 라 |
|||||||
| 후 백 제 |
태 봉 |
발 해 |
|||||
| 고려 |
|||||||
| 조선 |
|||||||
| 대한제국 | |||||||
| 대한민국임시정부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 |
|||||||
| 군정기 | |||||||
| 대한민국 |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
||||||
후백제(後百濟)는 892년에 견훤이 세운 나라이다. 신라, 태봉(후고구려)과 함께 후삼국의 하나였다가, 936년 고려의 태조 왕건에게 멸망했다. 막강한 해군과 전투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수도는 완산주(오늘날의 전주시)였다.
목차 |
[편집] 역대 왕
[편집] 군사력
후백제의 군사력은 망할 당시 병력이 50만에 달해 고려보다 군사력에서 앞서 있었다. 그러나 나주 지방이 고려에게 넘어간 뒤부터 후백제는 고려에게 밀리기 시작했다.
[편집] 정치 제도
후백제에 정치제도는 신라를 많이 모방하였다.
[편집] 견훤
- 이 부분의 본문은 견훤입니다.
“진훤”이라고 주장하는 역사학자도 있으나[출처 필요] 정설은 견훤이다. 견훤은 원래 통일신라 상주 지방 농민이었다가 신라군에 들어가 서남해 방면에서 호족의 반란을 진압하고 비장이 되었다. 이때 진성여왕 때로 신라에 정치-사회는 극도로 문란해져 있었다. 견훤은 이쯤에 무진주를 점령하였고 그후 완산주도 점령하였다. 그후 백성에게 백제 의자왕의 숙원을 풀어주겠다며, 후백제를 건국하였다. 견훤은 건국하면서 오와 월과 통교하였다. 후백제는 영토 확장에 힘써 927년에는 신라로 쳐들어가 경애왕을 죽이고 친후백제파를 왕으로 앉혔다. 그 후 금강에게 왕위를 물려 주려고 했으나, 이를 시기한 맏아들 신검이 반란을 일으켰다. 신검은 금강을 죽인 다음, 견훤을 금산사에 가두었다. 견훤은 탈출해 고려에 투항했고, 고려는 군사 10만으로 후백제를 총공격하여 멸망시켰다.
[편집] 국호
국호는 백제를 계승한다는 뜻에서 후백제이다.
분류: 출처 없는 문장이 포함된 문서 | 후백제 | 한국의 옛 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