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목적고등학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특수목적고등학교(이하 특목고)를 초중등교육법시행령 제90조에서는 '특수 분야의 전문적인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고등학교'로 정의한다.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와는 특목고에서는 과학, 외국어, 농업, 해양, 예술, 체육 등 각 특수하고 전문적인 분야를 미리 학생들에게 습득시켜 그 분야의 전문가를 조기 양성을 하는 목표로 설립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특목고를 일반적으로 과학계열인 과학고등학교와 외국어계열인 외국어고등학교를 지칭할 때 주로 쓰인다. 이 학교들은 최근 들어 입시 위주의 기관으로 변질되는 경향을 보여, 많은 사람들이 특목고를 명문 입시 고등학교로 보는 경우가 많다.

[편집] 특수목적고등학교의 세부 분류

특수목적고등학교는 2007년 현재, 9개 계열 129개 고등학교가 있다. (1개 학교가 2개 이상의 계열로 지정되어 있음)

  1. 과학계열 특수목적고등학교 (과학고등학교) - 과학영재의 조기발굴을 목적으로 세워졌으며, 2007년 9월 현재 전국에 19개 고등학교(특별법이 관리하는 한국과학영재학교 제외)가 있다. 모든 학교가 공립고등학교이며, 개설 과정은 오로지 하나, 〈과학과〉만이 설치되어 있다.
  2. 외국어계열 특수목적고등학교 (외국어고등학교) - 조기 외국어 교육을 목적으로 세워졌으며, 2007년 9월 현재 전국에 29개 고등학교가 있다. 사립고등학교가 대다수이다. 학교에 따라 〈영어과〉,〈독일어과〉,〈러시아어과〉,〈프랑스어과〉,〈에스파냐어과〉,〈중국어과〉,〈일본어과〉등이 설치되어 있다.
  3. 예술계열 특수목적고등학교 (예술고등학교) - 음악, 전통무용, 미술 등의 예술 각 분야의 조기 교육을 목적으로 세워졌으며, 2007년 9월 현재 전국에 24개 고등학교가 있다. 각 학교마다 설치되어 있는 과정이 다르다.
  4. 체육계열 특수목적고등학교 (체육고등학교) - 체육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기능을 공부하여 국민체육진흥에 일익을 담당할 체육인 양성을 목적으로 세워졌으며, 2007년 9월 현재 전국에 15개 고등학교가 있다. 주로 개인 체육종목을 위주로 입학생을 받는다.
  5. 공업계열 특수목적고등학교 - 공업에 관한 기초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첨단, 산업사회에 기여할 유능한 공업기술인 양성을 목적으로 지정되었으며, 2007년 9월 현재 전국에 22개 고등학교가 있다. 학교명에 '공업고등학교'가 들어가도, 반드시 이 계열의 특수목적고등학교인 것은 아니다.
  6. 농업계열 특수목적고등학교 - 농업경제와 국가발전을 위한 유능한 농업경영자 및 농업기술자 양성을 목적으로 지정되었으며, 2007년 9월 현재 전국에 10개 고등학교가 있다. 모든 학교가 공립고등학교이며, 학교 개수가 점차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7. 수산계열 특수목적고등학교 - 어업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실험실습을 통하여 장래 어업분야에 종사할 기능인을 양성할 목적으로 지정되었으며, 2007년 9월 현재 전국에 5개 고등학교가 있다. 모든 학교가 공립고등학교이다.
  8. 해양계열 특수목적고등학교 - 해양산업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실험실습을 통하여 장래 해양산업분야에 종사할 기능인을 양성할 목적으로 지정되었으며, 2007년 9월 현재 전국에 3개 고등학교가 있으며, 이 중 완도수산고등학교는 수산계열과 해양계열 특목고로 동시에 지정되어 있다.
  9. 국제계열 특수목적고등학교 (국제고등학교) - 국제화, 정보화 시대를 선도할 인문·사회계열의 유능한 인재 양성을 위해 설립되었다. 2007년 9월 현재 전국에 2개 고등학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