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홍찬(洪燦, ? ~ 1963년)은 영화 분야에서 주로 활동한 한국의 기업인이다.

일제 강점기영화 감독 이규환과 함께 영화사 성봉영화원을 설립했다. 성봉영화원은 〈나그네〉(1937)와 〈군용열차〉(1938)를 제작했는데, 이 중 군용열차는 중일 전쟁을 배경으로 군수 열차와 중국인 스파이 등이 등장하는 친일 영화이다[1].

광복 후 공연예술계에서 좌익 계열의 활동이 활발해지자, 이에 대응하기 위한 극장 관리인 조직인 한성극장협회가 우익 계열에서 조직되었을 때 회장을 맡아 미군정과 공조했다[2]. 노덕술, 최란수 등 친일 경찰들이 반민특위의 활동을 막기 위해 국회의원 살해를 모의했을 때 자신의 집을 회의 장소로 내주었다는 설[3]도 있다.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의해 체포된 바 있으며, 2005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친일파 목록 영화 부문에 포함되었다.

광복 당시에는 스카라극장의 전신인 약초극장의 지배인이었고, 1946년 약초극장을 인수하여 수도극장으로 개명하여 운영했다. 수도극장은 단성사, 국도극장과 함께 1950년대 서울의 대표적인 극장으로 많은 화제를 낳았다.

홍찬은 이승만과 특별히 가까운 사이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제1공화국 정부와의 정경유착 관계를 이용하여 1957년 막대한 비용이 들어간 안양촬영소를 설립하고 한국 최초의 시네마스코프 영화 〈생명〉(1958)을 제작했으나 흥행에는 실패했다. 두 번째 작품 〈낭만열차〉(1958)도 흥행하지 못해 안양촬영소는 이듬해 부도 처리되었다.

언론사인 평화신문사의 사장도 지냈다.

[편집] 참고자료

[편집] 주석

  1. 군용열차는 중일 전쟁을~: 16. 한국 최초의 친일 어용 영화는? - 서광제의 "군용열차"(1938) 《씨네서울》(2002.1.28)
  2. 황문평, 기획특집/해방공간(1945∼50)의 우리 문화예술*대중예술 - 내일을 지향하는 대중예술의 가치관 정립 《문화예술》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8년)
  3. 한홍구, 한홍구의 역사 이야기 - 이근안과 박처원, 그리고 노덕술 《한겨레21》 제360호 (2001.5.22)
  4. 《씨네21》 (2001.4.3) 대통령을 움직인 사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