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천문대는 천문 또는 기상현상을 관측하는 곳이다.

목차

[편집] 고대의 천문대

[편집] 동아시아의 천문대

[편집] 한국의 천문대

신라 선덕여왕 때에 세워진 첨성대
신라 선덕여왕 때에 세워진 첨성대

고대의 천문대는 대부분 주변의 건물이나 나무가 시야를 가리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거주지역 부근에 세워졌다. 주로 일관이나 역관에 의해 운영되었고, 태양행성, 별의 위치나 운행, 혜성, 유성 등 천체의 모양을 관측하여 보고하였다.

  • 참성단 - 마니산 정상에 있는 제단으로, 고조선 시대에 세워졌다고 전해진다. 조선 시대에는 천문관측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 첨성대 - 선덕여왕 때에 세워진 천문대
  • 관천대 - 조선 시대의 천문대. 천문대 위에 대가 있어 관측기구를 설치하였다. 비교적 작은 크기의 관천대가 현재 창경궁현대 본사 앞에 놓여져 있다.
  • 대간의대 - 경복궁 경회루 북쪽에 세워진 대형 천문대.

[편집] 조선시대의 천문관측기구

조선 시대에는 천문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였으며, 세종 이후로 다양한 천문.기상관측기구가 개발되었다.

[편집] 캄보디아의 천문대

  • 앙코르와트

[편집] 유럽의 천문대

  • 스톤헨지 - 영국의 고대 천문대. 놓여있는 돌들이 일년 중의 절기를 표시하고 있다.

[편집] 아메리카의 천문대

  • 달의 피라밋

[편집] 아프리카의 천문대

  • 아부심벨 사원 - 이집트의 천문대이다.

[편집] 현대의 천문대

현대의 천문대는 주로 천체망원경, 전파망원경 등 광학기기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대부분 대기가 안정되고 기상여건이 좋은 산 정상 부근에 세워진다. 비행기 내부나 인공위성을 이용하기도 한다.

[편집] 한국의 천문대

[편집] 사설 천문대

  • 별마로 천문대 - 강원도 영월 소재.
  • 세종 천문대 - 경기도 여주 소재.
  • 연세대학교 천문대 - 경기도 일산 소재.
  • 중미산 천문대 - 경기도 양평 소재.
  • 안성 천문대 - 경기도 안성 소재.
  • 김해천문대 - 경상남도 김해 소재.
  • 대전 시민 천문대 - 대전 직할시 소재.
  • 나일성 천문관 - 경북 예천 소재.
  • 만행산 천문체험관

[편집] 세계의 천문대

[편집] 같이 보기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Observa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