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공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또는 KBS(Korean Broadcasting System)는 한국방송공사법에 의거하여 1973년 3월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공영 방송이다. KBS의 본관과 별관, 공개홀, 국제방송센터(IBC)은 모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과 경기도 수원시 인계동 KBS 수원센터에 있다.
목차 |
[편집] 연혁
- 1926년 사단법인 경성방송국 설립
- 1927년 라디오 방송 개시. (당시 경성방송국, 호출부호 JODK)
- 1932년 경성방송국에서 조선방송협회으로 개칭
- 1935년 부산방송국(JOBK) 개국
- 1942년 단파 방송 밀청 사건 발생.
- 1947년 ITU에서 한국에 호출부호 'HL' 할당. KBS 중앙방송국 출범
- 1948년 국영방송 발족 (호출부호 HLKA) 할당
- 1961년 서울국제방송국(RKI) 개국, 서울텔레비젼방송국 극영화상영 시험방송개시, 텔레비전 방송 개국
- 1968년 3개기관 통폐합 중앙방송국 개칭
- 1973년 한국방송공사(KBS) 창립 (공영 방송 출범)
- 1976년 여의도 현재 본사 신축사옥으로 이전
- 1980년 컬러 TV 방송 시작, 광고 방송 실시, 언론 통폐합 조치로 5개 TBC, DBS등 민영방송 인수.
- 1983년 이산가족찾기 생방송 KBS로 중계
- 1985년 음성다중방송 실시, KBS CIP 최종확정
- 1986년 아시안 게임 주관 방송 실시
- 1988년 서울 올림픽 주관 방송 실시, 88서울올림픽 중계를 하던 IBC 국제방송센터를 건립
- 1990년 KBS 윤리강령 제정 교육FM·3TV 교육부에 이관
- 1991년 KBS 라디오서울 SBS에 이관, KBS홀 개관
- 1994년 수신료 징수 제도 개선(한국전력 위탁 징수), 제1TV 상업 광고 폐지
- 1995년 장애인을 위한 <사랑의 소리방송> 개국, 인터넷 방송 개시
- 1996년 위성시험방송 개시
- 1997년 제34차 아시아 태평양 방송연맹 (ABU) 서울총회 개최
- 1998년 디지털 HDTV 위성실험방송 실시, IMF 금모으기 운동 개시
- 2000년 제3라디오 개국, 제2라디오 FM 방송 개시(106.1Mhz), 지상파 디지털TV 시험방송 개시. 남북정상회담 겨레으로 통일으로 생방송 중계, 이산가족찿기 생방송 중계
- 2001년 KBS (한국방송)약어 사용개시, 지상파 디지털 TV 본방송 개시 , KBS 윤리강령 제정
- 2002년 KBS KOREA, KBS SKY SPORTS, KBS SKY DRAMA 개국. 한·일 월드컵 공식 방송 실시, 부산 아시안 게임 주관 방송 실시, 남북통일음악회 개최
- 2003년 국제 위성 방송 KBS 월드 개국
- 2004년 5대 광역시 DTV 본방송 실시, 제1회 KBS한국어능력 인증 시험 실시. KBS 지역국 기능조정으로 지역방송국 9총국 9지역국으로 체제 개편(7개 지역국 폐지)
- 2005년 대한민국 최초 데이터 방송 실험 방송 실시, APEC 주관방송 실시
- 2005년 대한민국 최초 이동형 TV DMB 방송 개시, 지상파 낮방송 확대
- 2006년 KBS KOREA를 KBS PRIME으로, KBS SKY DRAMA를 KBS DRAMA로, KBS SKY SPORTS를 KBS N SPORTS로 변경, KBS JOY개국
[편집] 언론 통폐합과 한국방송공사
- 이 부분의 본문은 1980년 언론 통폐합입니다.
1980년 전두환(全斗煥) 정부의 1980년 언론 통폐합 조치에 따라 KBS는 5개의 민영 방송사를 인수하였다. 이리하여 동양방송(TBC)의 동양텔레비전·동양라디오·동양FM은 각각 제2TV·제3방송(1981년 폐지되었다가 2000년 제3라디오로 재개국)·제2FM, 동아방송(DBS)은 제4방송(이후 라디오 서울로 바뀌었다가 1991년 폐지), 서해방송은 KBS 군산방송국(이후 KBS 전주 제2라디오), 전일방송은 KBS 광주방송국 제2방송(이후 KBS 광주 제2라디오)이 되었고, 한국FM은 KBS 대구방송국에 흡수되었다. 같은 해 컬러 TV 방송을 시작하였고 이듬 해인 1981년에는 제3TV, 교육 FM 방송을 시작했다. 1990년 새 방송법에 따라서 라디오 서울이 분리되었고, 제3TV·교육 FM은 한국교육개발원 부속 교육방송(EBS)이 되었다. 다만, 교육방송의 전파 송신은 아직 KBS가 담당하고 있다.
[편집] KBS CI
현재의 KBS CI는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 등의 국제 행사를 앞둔 시점인 1984년 10월에 대한민국 최초의 전문 디자인 기업인 디자인포커스에서 제작했다. KBS의 심벌마크는 그 형태에서 보여지듯이 세계를 의미하는 지구와 한국을 대표하는 상징으로써 태극문양를 사용하여 세계 속의 KBS의 미를 표현하였다. 그리고 둥근 지구를 태극 모양의 전파로 감싸고, 공중파 전파 매체로서 눈을 형상화해, 세계와 정보의 뉴스를 모아 한 눈에 볼 수 있는 공영 방송으로서의 KBS를 표현하였다. 6선 심벌은 옥외사인, 장표류, 스티커 등에 4선 심벌은 방송에서 제작하는 매체에 적용한다. 귤색 심벌은 차량, 카메라, 명함, 문서, 옥외, 홍보물, 중계차, 봉투, 편지 마이크를 적용하고, 로고는 건물, 인쇄물, 샤인, 기념품 등에 적용한다. 2001년 3월, KBS 한국방송공사에서 KBS 한국방송으로 명칭을 바꿔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KBS의 캐릭터는 2003년 12월 봄 개편부터 귤입공 마스코트를 형상화한 입체 동그라미형태로 마크 맨을 제작이다.
[편집] 역대 사장
- 제1대 : 홍경모 (1973년 ~ 1979년)
- 제2대 : 최세경 (1979년 ~ 1980년)
- 제3대 : 이원홍 (李元洪, 1980년 ~ 1985년)
- 제4대 : 박현태 (朴鉉兌, 1985년 ~ 1986년)
- 제5대 : 정구호 (鄭九鎬, 1986년 ~ 1988년)
- 제6대 : 서영훈 (徐英勳, 1988년 ~ 1990년 3월)
- 제7대 : 서기원 (徐基源, 1990년 3월 ~ 1993년 3월)
- 제8대 : 홍두표 (洪斗杓, 1993년 3월 ~ 1998년 3월)
- 제9대 : 박권상 (朴權相, 1998년 3월 ~ 2003년 3월 10일)
- 제10대 : 서동구 (徐東九, 2003년 3월 25일 ~ 4월 2일)
- 제11대 : 정연주 (鄭淵珠, 2003년 4월 25일 ~ 현재)
[편집] 방송
[편집] 라디오 방송
- KBS 1FM - 고전음악, 국악 전문
- KBS 2FM - 대중음악 전문
- KBS 1라디오
- KBS 2라디오
- KBS 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
- KBS 사회교육방송 (대외방송)
- KBS 월드 라디오 (대외방송)
KBS의 각 지역국에서 개별적으로 송출하는 라디오 방송에 대해서는 KBS 지역국 FM 방송를 보라.
[편집] 텔레비전 방송
[편집] 운영 현황
KBS는 2005년 현재 지상파 방송인 KBS 1TV·KBS 2TV, 위성 방송인 KBS 월드(KBS WORLD), 지상파 DMB 방송인 U-KBS 등 4개 채널, 라디오 방송은 KBS 1라디오·KBS 2라디오(해피FM이라고도 칭함)·KBS 3라디오(장애인을 위한 방송)·KBS 1FM·KBS 2FM(쿨FM이라고도 칭함)·KBS 월드 라디오(KBS WORLD Radio), KBS 사회교육방송(대북방송 및 동북아시아 거주의 동포들을 위한 한국어 국제 방송) 등 7개 채널을 보유하고 있다. 1994년 이래 KBS 1TV와 KBS 1라디오, KBS 1FM에서는 상업 광고를 하지 않는다. KBS는 1,900석 규모의 KBS홀을 보유하고 있으며, KBS 교향악단과 KBS 국악관현악단을 운영하고 있다.
[편집] 논란 거리
[편집] 방송의 성격
KBS는 정부의 태도를 대변하여 어용 방송이라는 비판을 받아왔으며 현재도 몇몇 프로그램의 정치적 편향성이 논란이 되기도 했으나 국내 최고의 공영성을 지키는 방송사이다. 또한, 일부 TV 프로그램과 '쿨FM','해피FM'등의 라디오 프로그램은 MBC, SBS, EBS등과 같은 상업 방송과의 경쟁력에 차이가 없다.
[편집] 수신료 징수 문제
KBS의 수신료는 1981년 처음 도입되었는데, 2007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2,500원이다. 2007년 3월 4일에 방송된 KBS 스페셜 '공영방송을 말한다'편에 의하면, 당시 수신료 책정기준은 신문 1개월치 구독료를 기준으로 정했다고 한다. (2007년 현재 신문 한달치 구독료는 12,000원)
[편집] 전기료와 합산 징수
1994년 10월 부터 전기요금과 함께 징수되고 있으며, 사회 각 단체별로 공영방송의 재원마련에 대한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다.
[편집] 지역방송국
- 춘천방송총국
- 원주방송국
- 강릉방송국
- 대전방송총국
- 청주방송총국
- 충주방송국
- 부산방송총국
- 울산방송국
- 창원방송총국
- 진주방송국
- 대구방송총국
- 안동방송국
- 포항방송국
- 광주방송총국
- 목포방송국
- 순천방송국
- 전주방송총국
- 제주방송총국
[편집] 아나운서
[편집] 남성
- 한석준
- 신영일
- 배창복
[편집] 여성
[편집] 함께 보기
- 대한민국의 공기업
- 단파 방송 밀청 사건
- KBS 교향악단
[편집] 바깥 링크
| 이 문서는 방송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