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컴퓨터·비디오 게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컴퓨터·비디오 게임의 토론게임 위키프로젝트에서 진행중입니다. --isdead 2007년 6월 30일 (토) 13:31 (KST)

[편집] 컴퓨터 게임의 비판과 개발과 산업과 예술

아래의 네 가지를 추가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 컴퓨터 게임의 비판: 컴퓨터 게임의 중독성, 폭력성, 선정성 등에 대한 비판의 소개
  • 컴퓨터 게임의 개발: 컴퓨터 게임의 개발 과정 (본문으로 컴퓨터 게임 개발)
  • 컴퓨터 게임 산업: 컴퓨터 게임 산업의 사업적 측면에 대한 설명 (본문으로 컴퓨터 게임 산업)
  • 예술로서의 컴퓨터 게임: 컴퓨터 게임의 예술성과 뉴 미디어 아트와의 연관성 등

그 외에 뭔가 더 있을까요? --퍼플렉싱 2007년 7월 2일 (월) 14:08 (KST)

예술로서의 컴퓨터 게임은 모르겠습니다만, 위의 3개과 함께 컴퓨터 게임의 심의도 필요합니다. 각 나라별로 심의기관이 있는데, 거기를 통해 그 나라에서 출시되는 게임에 대한 이해와 특성또는 그 나라에 대해서 알수 있겠죠. --눈사람 2007년 7월 2일 (월) 14:47 (KST)
일단 이 문서에서 심의는 게임의 비판과 함께 조금만 다뤄도 될 것 같습니다. 나라/문화/제도권 별 게임 문서(예시. 대한민국의 컴퓨터 게임)에서도 다루면서 본문으로 게임물 심의 위원회 등의 문서를 만들구요. --퍼플렉싱 2007년 7월 2일 (월) 15:17 (KST)
예술성에 관해서는 다양한 양상에 넣도록 하고..나머지는..
  • 컴퓨터 게임의 개발:간략한 개발 과정과 소프트웨어로서의 컴퓨터 게임. (본문: 컴퓨터 게임 개발)
  • 컴퓨터 게임 산업:세계의 컴퓨터 게임 산업 규모, 성격, 역사. (본문: 컴퓨터 게임 산업)
    • 한국의 컴퓨터 게임 산업 (본문: 한국의 컴퓨터 게임 산업)
  • 컴퓨터 게임의 비판: 컴퓨터 게임은 사회 각층에서 다양한 비판을 받고 있다.
    • 게임 중독과 학습 둔화: 게임 중독의 정의, 원인, 연구 사례, 게임뇌 (본문: 게임 중독)
    • 폭력성과 선정성: 게임의 폭력성/선정성과 잭 톰슨, 게임의 폭력성이 미치는 것에 대한 연구 사례
    • 게임 관련 범죄
이 정도면 될지요? --퍼플렉싱 2007년 7월 2일 (월) 16:14 (KST)
네, 그정도면 적당하겠습니다. 게임의 비판은 분류할때 게임 문화에 들어가면 적당하고, 산업과 개발은 같이 게임 산업에서 다룹시다. --눈사람 2007년 7월 2일 (월) 16:22 (KST)
비판이 문화에 들어가는 건 좋군요. 하지만 개발이 게임 산업에서만 다뤄질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산업이 있어야 게임이 개발되는 건 아니니까요. --퍼플렉싱 2007년 7월 2일 (월) 16:26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