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근형 디젤 동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통근형 디젤 동차
Commuter Diesel Car
양 수 3~5량
전기 방식 {{{전기방식}}}
제어 방식 {{{제어방식}}}
기관 형식 Cummins NTA855R1
기어비 {{{기어비}}}
차륜 배열 {{{차륜배열}}}
동륜 배열 {{{동륜배열}}}
기동가속도 {{{기동가속도}}} Km/h/s
영업최고속도 120 Km/h
설계최고속도 {{{설계최고속도}}} Km/h
감속도 {{{감속도}}} Km/h/s
전동기 출력 {{{전동기출력}}} kW
편성 출력 {{{편성출력}}} kW
출력 {{{출력}}} hp
견인력 {{{견인력}}}
주 용도 {{{용도}}}
차량 정원 좌석 52명
편성 정원 {{{편성정원}}}명
전장 20,800 mm
전폭 3,200 mm
전고 4,260 mm
차량 중량 {{{차량중량}}} t
편성 중량 {{{편성중량}}} t
대차간 거리 {{{대차간거리}}} mm
축중 {{{축중}}} t
궤간 1,435mm
구동 장치 {{{구동장치}}}
제동 방식 CLE 자동공기제동
MT비 {{{MT비}}}
보안 장치 ATS
제작사 대우중공업
제작 연도 1996~1999
비고 {{{비고}}}

통근형 디젤 동차(영어: Commuter Diesel Car)는 비둘기호, 통일호 등급의 객차와 동차의 퇴역에 대비하여 1996년부터 3년에 걸쳐 도입된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이다. 도입 당시에는 통일호 등급인 <도시통근 통일호>로 운행했으나 현재는 통근열차로 운행한다. 도입 당시에는 한국철도 CI 도색, 100주년 도색, 돌고래 도색, 꽃동산 도색, 백제왕관 도색 등 다양한 도색을 볼 수 있었으나 현재는 관광용 바다열차 3량을 제외한 전 차량 한국철도공사 CI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목차

[편집] 성능 및 설비

엔진은 커민스 NTA855R1 디젤엔진(315마력)을 동력차에 2기, 동력제어차에는 1기를 장착하고 있으며, Voith사 액체식 자동변속기를 사용하고 있다. 동력제어차에는 추가로 객실 전원(APU)용 NTA855R5엔진(251마력)을 탑재하고 있다. 엔진 부문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나 기존 NDC와 니이가타 동차에서 비롯되는 프레스형 대차와 구형 자동공기제동을 그대로 적용했기 때문에 전체적인 차량 중량 증가와 낮은 제동응답성, 그리고 엔진특성의 문제로 인해 급구배와 급곡선이 많은 일부 노선에서는 운용이 불가능하다.

96년 도입된 1차 도입분에서는 고정식 크로스시트 및 롱시트를 채용하였으나 이후 전후 전환이 가능한 전환식 크로스시트로 변경되었으며 처음 적용된 장애인 승하차 시설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이후 폐지되었다.

2007년에 3량 1편성을 관광전용열차로 개조하였다.

차내
차내

[편집] 편성

통근형 디젤 동차는 3량 1편성, 5량 1편성으로 편성되며 편성 내에서의 차호는 일정하지 않다. 수요가 많은 시간대에는 5량 편성이 중련하여 10량으로 편성되기도 한다. 편성 내에는 동력제어차 2량이 포함된다. 통근형 디젤 동차에 부여된 차호는 다음과 같다.

  • 동력제어차(Mc): 9501~9565
  • 동력차(M): 9601~9666
  • 관광전용열차 특별 편성 : 9564(Mc)-9666(M)-9565(Mc)

[편집] 운행 구간

2007년 6월 1일부터는 다음 구간에만 운행하고 있다.

2007년 7월 25일부터, 다음 구간에는 기존 차량의 내장재를 개조한 전용 관광열차가 운행할 예정이다. (3량 1편성)

[편집] 2004년 4월 1일~2006년 10월 31일

2004년 4월 1일부터 2006년 10월 31일까지 다음 구간에서 통근 열차가 운행하였다.

포항제철선의 정기 통근 열차는 포스코한국철도공사의 계약 만료로 운행이 종료되었다.

[편집] 함께 보기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다른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