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바이타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집] 비타민/바이타민
국립국어원이 정한 표준어로는 "비타민"입니다. "바이타민"은 대한화학회의 편수 자료 규정입니다. 위키백과에서는 현재 화학 물질에 대해서는 대한화학회 규정을 따르고 있어, 현재 바이타민으로 문서 이름이 되어 있습니다. (FYI) -- ChongDae 2007년 1월 25일 (금) 17:40 (KST)
[편집] 왜 꼭 대한화학회를 따라야 하는지?
대한화학회에서 정한 용어는 무조건 영어 발음을 따르도록 한 것인데 일단 한국어의 언어 현실을 무시한 것도 문제가 되거니와 마치 영어 발음이 전세계 표준이라도 되는 양 착각했다는 점이 큰 오류입니다. 다른 언어에서 대부분 [i]로 발음하고 게다가 영어도 미국 발음만 [ai]인데 대체 왜 이런 쓸데없는 짓을 하는지 도무지 모르겠군요. 그리고 어차피 한국말로 적으면 [v] 발음은 안 되므로 영어 발음을 흉내낸다는 게 아무런 의미가 없는데도 미국병 걸린 과학자들 때문에 우리말이 참 고생 많습니다.
의학용어는 대한의사협회에서 정하는데 최신판인 4집에의하면 비타민으로 되어 있습니다. 대한화학회가 vitamin의 한국어 표기에 대해 우선권을 가질 이유가 없습니다. 이 세상에 화학물질 아닌 게 어디 있나요? Diabetes333 2007년 8월 4일 (토) 21:38 (KST)
한국영양학회 사이트에는 영양학 용어사전이 없지만 논문검색에서 '비타민'으로 검색시 다수의 논문이 뜹니다. '바이타민', '바이터민'으로 검색하면 결과가 없습니다. 비타민의 한글 표기를 어디서 정해야 합니까? 국립국어원, 대한화학회, 의사협회, 한국영양학회? 굳이 따지자면 국립국어원이 맞을 것 같습니다. 대한화학회라는 것은 말도 안됩니다. 비타민은 화학물질이지만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없고, 비타민은 영양물질이고 , 비타민은 질병치료나 예방을 위해서도 사용되고, 지용성 비타민의 부작용은 의사의 치료를 필요로 합니다. 그래서 굳이 기준을 찾자면 국립국어원이 맞다고 봅니다. 비타민인지 바이타민인지는 우리말이니까요.Diabetes333 2007년 8월 4일 (토) 21:51 (KST)
- 저도 대한화학회 규정 상당히 맘에 안 듭니다. 망간 대신 망가니즈나 불소/플로오르 대신 플루오린 쓴 것은 진짜 영어 중심주의라 아예 엎고 싶습니다. (반대로 물리학회는 반대로 순한국어를 좀 심하게 많이 쓰고 있고요.) 비타민/바이타민에 대한 발음 규정만 놓고 볼때 대한화학회보다는 생물학회나 의학회 등 다른 학회의 규정도 함께 참고해서 고민했으면 합니다. 이제까지 한국어 위키백과 작업 편의상 국립국어원 표제어를 우선 쓰고, 전문 용어는 전문 기관의 규정을 우선해서 썼는데, 4만 항목을 넘어서면서 쌓인 경험을 토대로 어떤 식으로 정하는 게 좋을지 전체적인 대원칙을 정했으면 합니다. -- ChongDae 2007년 8월 12일 (일) 02:10 (K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