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바 공화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Тыва Республика
Республика Тыва
투바 공화국
투바 공화국의 국기 투바 공화국의 문장
투바 공화국의 지도
공용어 투바어, 러시아어
수도 키질
대통령 셰리크-올 디지지코비치 오르자크
국무총리 알렉산드르 블라디미로비치 브로케르트
면적
 -총
 - 내수 비율

170,500 km² km²
--
인구
 - (2002년)
 인구밀도

305,510명
1.8명
통화 루블
인터넷 코드 .RU

투바 공화국(투바어: Тыва Республика 티바 레스푸블리카,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 Тыва 레스푸블리카 티바[*])은 러시아의 자치 공화국이다. 칼미크 공화국과 같이 불교 국가이며, 수도는 키질이다.

목차

[편집] 지리

시베리아남쪽에 위치해 있다. 동쪽부분은 삼림으로 덮여있다. 서부는 분지지대이다.

[편집] 시간대

크라스노야르스크 시간대 (KRAT/KRAST)에 놓여 있다. UTC와의 시차는 +0700 (KRAT)/+0800 (KRAST)이다.

[편집]

8,000개 이상의 강이 존재하고, 예니세이 강이 흐른다. 예니세이 강은 투바에서 가장 큰 강이다.

  • 볼쇼이예니세이 강 (비헴 강이라고도 불림)
  • 칸테기르 강
  • 헴치크 강
  • 말리예니세이 강 (카헴 강이라고 불림)
  • 상예니세이 강 (울루그헴 강이라고 불림)

[편집] 호수

대부분의 호수가 염호이다.

  • 아자스 호 (100 km²)—투바에서 가장 큰 호수
  • 카디슈 호
  • 마니홀 호
  • 토자 호

[편집]

높이 600 m산들이 존재한다. 사얀 산과 타누올라 산이 대표적인 투바의 산이다. 투바 면저그이 80%이상이 산악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시베리아의 가장 최고점인 몽군타이가 산(3,970 m)이 투바에 위치해 있다.

[편집] 천연자원

투바에서는 석탄이 채굴되고 석유도 생산된다.

[편집] 기후

  • 1월 기온: −32°C
  • 7월 기온: +18°C
  • 강수량: 150 mm (평원), 1,000 mm (산악지대)

[편집] 행정 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 투바 공화국의 행정 구역입니다.

[편집] 주민

2002년의 조사에서 투바인 (또는 투빈인)들이 77%(23만5,313명)이 거주하고 있다. 투바인들은 투르크종족이지만 불교를 믿는다. 러시아인(6만1,442명, 20.1%), 코미인(1,404명), 하카스인(1,219명)이 거주하고 있다.

공용어투바어러시아어이다.

  • 인구: 30만5,510명 (2002)

[편집] 역사

투바 공화국이 공식적으로 러시아의 영토가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인 1944년 10월이다. 투바인들은 1758년부터 청나라의 지배를 받고 있었는데 청나라의 혼란과 신해혁명을 틈타 1911년에 청나라로부터 독립하였다. 그러나 러시아가 재빨리 이 지역을 보호령으로 선언하여 지배권 아래 넣었고, 말뿐인 독립국으로 유지하다가 1944년 10월에 투바 자치주(Tuvinian Autonomous Oblast)로서 소련에 편입시켰다. 그 후 1961년 10월 10일에 러시아 연방의 자치공화국으로 승격되었다. 투바 공화국은 1990년 12월 11일 주권을 선언하고 1991년 8월에 투바 공화국(Republic of Tuva)로 개칭하였다. 1993년 10월 21일에는 새 헌법이 채택되었다.

[편집] 경제

[편집] 교통

[편집] 문화

[편집] 종교

대부분이 티베트 불교와 샤머니즘을 믿는다. 일부는 러시아 정교회이슬람교를 믿는다.

[편집] 관광

[편집] 기타

미국의 노벨상 수상자인 리처드 파인먼 교수는 미국과 소련과의 냉전시절 당시 소련의 체제하에 있던 투바 공화국을 방문하기 위해 10여년을 준비했으나 결국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투바의 수도 키질에는 아시아의 지리적 중앙임을 상징하는 '아시아의 중심 기념탑'이 세워져 있으며 리처드 파인먼의 투바 여행에 대한 열정을 기리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편집] 참조

[편집] 바깥 고리


러시아행정 구역 Flag of Russia
연방 구성체
공화국 다게스탄 | 마리옐 | 모르도바 | 바시키르 | 부랴트 | 사하 | 세베로오세티야 | 아디게야 | 알타이 | 우드무르트 | 인구시 | 체첸 / 이츠케리아 체첸
추바시 |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 카렐리야 | 카바르디노발카르 | 칼미크 | 코미 | 타타르 | 투바 | 하카스
크라이 스타브로폴 | 알타이 | 캄차카 | 크라스노다르 | 크라스노야르스크 | 페름 | 프리모르스키 (연해주) | 하바롭스크
노보시비르스크 | 노브고로드 | 니즈니노브고로드 | 랴잔 | 레닌그라드 | 로스토프 | 리페츠크 | 마가단 | 모스크바 | 무르만스크 | 벨고로드
보로네시 | 볼고그라드 | 볼로그다 | 브랸스크 | 블라디미르 | 사라토프 | 사마라 | 사할린 | 스몰렌스크 | 스베르들롭스크 | 아르한겔스크
아무르 | 아스트라한 | 야로슬라블 | 오렌부르크 | 오룔 | 옴스크 | 울리야놉스크 | 이르쿠츠크¹ | 이바노보 | 첼랴빈스크 | 치타² | 칼루가
칼리닌그라드 | 케메로보 | 코스트로마 | 쿠르간 | 쿠르스크 | 키로프 | 탐보프 | 톰스크 | 툴라 | 튜멘 | 트베리 | 펜자 | 프스코프
연방시 모스크바 | 상트페테르부르크
자치주 유대인 자치주
자치구 네네츠 | 아긴스크부랴트² | 야말로네네츠 | 우스티오르딘스키부랴트¹ | 축치| 한티만시

1. 2008년 1월 1일, 우스티오르딘스키부랴트 자치구가 이르쿠츠크 주로 통합된다.
2. 2008년 3월 1일,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와 치타 주가 자바이칼스키 크라이로 통합된다.

연방관구
중앙 | 남부 | 서북 | 극동 | 시베리아 | 우랄 | 프리볼시스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