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태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태자(皇太子)는 제위 계승의 제1순위에 있는 황자를 가리키는 칭호이며, 경칭은 전하(殿下)이다. 왕위 계승의 제1순위에 있는 왕자의 경우에는 왕태자(王太子) 혹은 왕세자(王世子)라고 칭하며, 경칭은 저하이다. 서양에서는 대체로 황태자와 왕세자의 경칭을 구분하지 않는다.

한국의 경우, 고려 시대 원나라 간섭기 때부터 중국 대륙의 책봉 체제 아래에 있었기 때문에 태자라는 칭호를 사용하지 못하는 대신 왕세자라는 칭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청나라의 종속으로부터 벗어날 무렵부터 다시 태자라는 칭호를 복권시켰다.

그러나 한일 병합에 의해 대한제국일본 제국식민지로 전락하면서 대한제국황제일본천황으로부터 책봉을 받는 제후로 격하되어 왕위 계승자 칭호는 다시 왕세자가 바뀌어 버렸다. 현재는 일본으로부터 독립하여 공화정이 들어서면서 군주제가 폐지되어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대한제국에서 마지막으로 정식 책봉을 받은 황태자는 순종의 이복동생 의민황태자 이은이다.

[편집] 유럽의 황태자

  • 참고 : 유럽에는 현재 제위를 계승하는 나라는 없지만, 관례적으로 왕세자가 아닌 황태자라 부른다. 현재 제위를 계승하는 나라는 동아시아일본이 유일하다.

현재 존재하는 군주국들이 사용 중인 직함들:

과거 존재했던 군주국들이 사용했던 직함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