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니실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니실린(penicillin)은 최초의 항생제이다. 푸른곰팡이로 불리는 Penicillium notatumPenicillium chrysogenum에서 얻고 분자식은 R-C9H11N2O4S이다. 대표적인 베타-락탐계열 항생제이다.

1928년 영국 런던 St. Mary's hospital(현 임페리얼 칼리지 소속 병원)에서 플레밍이 발견했으며 체인과 플로리가 유효 물질을 분리, 정제하여 임상에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 공적으로 세 사람은 1945년 노벨 생리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발견 이후 페니실린은 합성이 가능하여 널리 사용되었으나, 점자 내성균주가 생겨 다른 항생제로 대체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몇몇 감염증에는 1차 선택약이다.

목차

[편집] 항균 메커니즘

베타-락탐계열 항생제는 세균 세포막인 펩티도글리칸의 교차연결 배열을 망가뜨린다. 페니실린의 베타-락탐의 일부분이 펩티도글리칸 분자를 연결하는 트랜스펩티다아제(transpeptidase)와 임의로 결합, 이것이 세균 세포벽의 약화를 야기한다. 이렇게 세포벽이 약화된 세포는 삼투압 변화를 이기지 못하고 세포벽이 터져 내용물이 나와 죽게 된다.

[편집] 임상사용하는 페니실린의 다양한 종류

페니실린은 오래된 항생제로 임상사용 초기부터 많은 개량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페니실린은 아래 종류를 모두 포함하는 단어이다.

[편집] 페녹시메틸 페니실린(penicillin V)

경구투여용 페니실린으로 다른 종류에 비해 높은 혈중농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을(조직에 높은 역가가 필요하지 않는) 때 사용한다. 페녹시메틸 페니실린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 피부 감염증
  • Streptococcus pyogenes 감염증
  • 류마티스열
  • 메트로니다졸과 병용시 치은염에 사용한다

[편집] 벤질페니실린(penicillin G)

벤질페니실린은 염산에 의해 불활성화되어 효과가 떨어지므로 경구투여하지 않는다. 페녹시메틸 페니실린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각개 조직에 대한 역가가 높아지므로 높은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벤질페니실린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 봉와직염
  • 세균성 심내막염
  • 세균성 뇌수막염
  • 흡인성 폐렴(기도로 들어간 음식물이 폐 내부에서 미생물에 의해 부패하여 생기는 폐렴의 종류)
  • 전격성 폐렴
  • 매독
  • 어린이의 패혈증

[편집] 프로카인 벤질페니실린

프로카인 페니실린이라고도 불리며, 벤질페니실린과 국소마취제인 프로카인의 혼합체이다. 근육주사하면 서서히 벤질페니실린으로 가수분해되며, 비교적 낮은 역가에 해당하는 항균효과가 필요한 경우 사용한다. 프로카인 벤질페니실린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 봉와직염
  • 단독
  • 호흡기 감염증
  • 매독

[편집] 반합성 페니실린

페니실린의 경구투여시 생활성화를 높이고 베타-락탐아제의 억제, 스펙트럼 범위를 넓이기 위해 구조적 변경이 이루어진 것들이 반합성 페니실린으로, 광범위한 감염증과 감염 예방에 사용되고 있다. 현대 사용중인 페니실린은 대부분 반합성 페니실린이다.

[편집] 좁은 스펙트럼을 가진 항생제

스펙트럼이 좁은 대신 베타-락탐아제의 기능을 저해할수 있도록 제작된 것들이다. 스펙트럼은 작지만 일반적 포도상구균의 특정 감염증에 다른 항생제보다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 메티실린
  • 디클록사신
  • 옥사실린
  • 나프실린
  • 플루클록사신

[편집] 중간 스펙트럼을 가진 항생제

스펙트럼 범위를 넓게 한 것들이다. 아목시실린의 경우 경구투여시 생활성화도 향상시킨 것이다. 베타-락탐아제 억제능력은 없다.

[편집] 넓은 스펙트럼을 가진 항생제

스펙트럼의 범위를 그람양성 세균은 물론 그람음성 세균에게까지 넓힌 것이다. 몇몇은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게도 감수성이 있다. 베타-락탐아제 억제능력은 없다.

  • 피페라실린
  • 티카실린
  • 아즐로실린
  • 카르베니실린

[편집] 베타-락탐아제 저해능력을 가진 항생제

베타-락탐아제의 활성을 저해시켜 항균효과를 현격히 증강시키고 스펙트럼도 넓힌 것들이다. 내성균주가 많아진 현 시점에서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약재가 되었다.

  • 아목시실린과 클라부란산의 혼합
  • 아목시실린과 설박탐의 혼합
  • 티카실린과 클라부란산의 혼합
  • 암피실린과 설박탐의 혼합
  • 피페라실린과 타조박탐의 혼합

[편집]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