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초고층 건물 정보/설명문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집] 해설
{{초고층 건물 정보
|건물명칭 =
|원어건물명칭 =
|그림 =
|설명문 =
|세계최고층년도 =
|세계최고층년도종료 =
|위치 =
|좌표 =
|상태 =
|기공식 =
|완공 =
|완공예정 =
|개장 =
|철거 =
|파괴 =
|건축기간 =
|사용 =
|안테나_첨탑높이 =
|지붕높이 =
|최상층높이 =
|구조물높이 =
|층수 =
|승강기_대수 =
|건설비용 =
|연면적 =
|건축가 =
|엔지니어 =
|계약자 =
|개발사 =
|소유주 =
}}
[편집] 파라미터 설명
모든 파라미터(필드)는 옵션입니다.:
- 건물명칭 - 건물의 이름입니다.
- 원어건물명칭 - 건물의 원어 이름입니다. (예를 들어, AIG Tower)
- 그림 - 건물의 사진입니다; 위키 문법을 따라야 합니다. (예를 들어, [[그림:SomeFile.jpg|200px]] )
- 설명문 - 건물에 대한 옵셔널한 설명입니다. (건물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을 넣으면 됩니다.)here)
다음 두 파라미터는 세계 최고층 건물과 관련 있는 건물일 경우 넣으면 됩니다.
- 세계최고층년도 - "세계최고층"이 된 년도입니다. 건물 구조 높이를 기준으로 합니다;
- 세계최고층년도종료 - "세계최고층"에서 물러난 년도입니다. 역시 건물 구조 높이를 기준으로 합니다; 현재 이 건물이 세계최고층이면 빈 칸으로 두십시오.
- 위치 - 건물이 위치한 주소(적어도 도시까지는)를 적어주십시오.
- 주요 국제 도시: 샌프란시스코도 허용됩니다; 미학적으로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잘 알려진 주요 도시: 부산도 허용됩니다.
- 국제적으로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는 도시: 베슬란이라고 적기 보다는, 잘 알려지지 않은 도시이므로 러시아 베슬란이라고 적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러시아 세베로오세티야 공화국 베슬란이라고 적는 것은, 너무 자세하므로 바람직 하지 않습니다.
- 흔한 이름을 갖고 있는 도시:
[[포틀랜드 (오리건 주)|포틀랜드]]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미국]] [[오리건 주]][[포틀랜드 (오리건 주)|포틀랜드]]가 바람직합니다.
- 좌표 -
{{tl|좌표도분초}}를 사용하십시오. (with "display=inline,title") - 상태 - 공란으로 두셔도 됩니다. 완공, 완공예정, 철거, 파괴, 건설중이란 단어들 중 한 가지를 골라 쓰셔도 됩니다.
- 기공식 - 기공식이 있었던 날짜(적어도 년도까지)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 건축 - 건물이 건축된 년도를 나타냅니다. (예: 1996년-1999년)
- 완공예정 - 완공예정일입니다. (날짜까지 자세하면 좋습니다.)
- 개장 - (예정된) 개장일입니다. (날자까지 자세하면 좋습니다.) 완공일자와 일치한다면 이것을 공란으로 두십시오.
- 철거 - 철거된 날짜입니다.
- 파괴 - 파괴된 날짜입니다.
- 용도 - 건물의 용도입니다. (예: 주거용 아파트, 사무실)
- 안테나_첨탑높이 - 안테나 혹은 첨탑 끝까지의 높이입니다.
- 지붕높이 - 지붕까지의 높이입니다.
- 최상층높이 - 최상층까지의 높이입니다.
- 구조물높이 - 건축 구조물 높이입니다.
- 층수 - 층수입니다. (지상 층수, 지하 층수까지 상세하기 적으셔도 됩니다.)
- 승강기_대수 - 엘리베이터(승강기) 대수입니다.
- 건설비용 - 건설 비용입니다.
- 연면적 - 건물의 총 연면적입니다.
- 건축가 - 건물의 건축가/건축회사입니다. (주의: 건축가가 파라미터 이름입니다.)
- 엔지니어 - (구조(structural)) 엔지니어 이름입니다.
- 계약자 - 건물의 계약자입니다.
- 개발사 - 건물의 개발사입니다.
- 소유주 - 건물의 소유주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