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판사(出版社)는 출판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를 말한다.
대한민국에서는 1884년에 세워진 광인사가 최초의 출판사이다. 하지만 현존하는 최고의 출판사는 1886년에 설립된 가톨릭출판사이며, 1890년에 세워진 개신교 출판사인 조선성교서회(現 대한기독교서회)도 역사가 오래된 출판사이다. 군사독재정권시기(1961년-1987년)에는 출판등록제로 인해서 제대로 성장하지 못했다. 하지만 민주화이후 출판의 자유가 허용되면서 수가 증가, 1인 출판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하고 있다. 덕분에,2006년 통계로 문화관광부에 등록된 출판사의 수는 2만 개를 넘을 정도로 출판계는 성장했다[1]
목차 |
[편집] 출판사들의 구분
[편집] 기독교출판사
기독교출판사는 기독교적인 성격을 지닌 단행본이나 잡지를 발행하는 출판사를 말한다. 국내에는 160여개(한국 기독교출판협회 소속회원사 기준)가 있다고 한다. 대부분 개인이 운영하지만, 특정 기독교 교파나 신학대학교에 속해 있는 출판사들도 존재한다. 하지만, 살림출판사, 평단문화사 등의 일반출판사에서도 풍부한 인력과 자본으로 양질의 기독교출판을 하고 있어서,기독교출판계내에서도 일반출판계와 기독교출판계의 구분이 무의미하다고 말하고 있다. 기독교 출판사는 최초의 기독교출판사로 알려진 가톨릭출판사이래로 기독교 단행본이나 기독교성격의 일반단행본을 출판하여 문서선교에 공헌하는 업적을 남겼지만, 두란노, 규장등의 일부 대형출판사들을 제외하고는 북디자인이나 마케팅에서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있다. 하지만 북디자인의 경우 일부 출판인들의 까다로운 디자이너 채용으로 일반출판계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개선되고 있다. 대부분의 기독교출판사들이 소수의 인원으로 유지되는 중·소형출판사이기 때문에 출판사에서 필요한 인력에 비해 구직자가 많은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문제도 해결되어야 할 점이다.
[편집] 어린이출판사
어린이출판사는 동화, 그림책, 위인전,학습만화등 유아와 어린이들의 정신적인 성장에 필요한 책을 만드는 출판사를 말한다. 집중력이 낮은 어린이의 특징을 배려, 그림이 많이 들어가고 글씨가 큰 편집이 어린이출판의 특징이다. 경쟁이 치열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 학습만화를 읽지 않는 어린이 독자들의 특징때문에 까다로운 분야이기도 하다. 대한민국의 어린이출판사로는 '깨닫는 마을 시리즈'와 '네버랜드 스토리'라는 이름으로 꾸준히 동화를 출판하고 있는 효리원,시공주니어등이 있으며, 김영사에서도 먼나라 이웃나라등의 어린이출판물을 만들고 있다.
[편집] 문학출판사
문학출판사는 소설이나 시같은 문학작품을 책으로 엮는 출판사를 말한다. 범우 사르비아 문고로 문고판형의 문학서적들을 출판해온 범우사가 대표적인 문학출판사이며, 문학동네,문학수첩등의 여러 문학출판사들이 있다. 주로 글이 많이 들어가는 편집이 특징이다.
[편집] 실용서 전문출판사
실용서 전문출판사는 컴퓨터활용서나 외국어 교재처럼 실생활에 유용한 실용서를 만드는 출판사를 말한다. 실용서의 특징상, 사진이나 그림이 많이 들어가는 화려한 편집이 특징이다.길벗, 평단문화사, 정보문화사, 영진닷컴등이 있다.
[편집] 사회과학출판사
[편집] 바깥 고리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