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조어도 제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의제기: 한국은 제3자적 입장이고, 대부분의 언론에서도 '조어도 제도'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표제어 변경이 타당하다고 사려됩니다.

211.41.226.89님, 서명(signature)을 하세요. ~~~~식으로 쓰면 됩니다. 그런데, '조어도'라는 표현은 한자로 쓰면 '釣魚島'가 되겠지요. 한국 언론들이 어떻게 표현하든지 제게는 상관없는데, 제3자적 입장으로 문서 이름을 바꾸고 싶으시면 더 중립적인 이름인 '피나클 제도'가 나을까요? LERK (회화 / 기여) 2005년 11월 4일 (金) 16:09 (UTC) 그러나 저는 이름 바꿈은 반대합니다. 혹시 바꿔야한다면 포클랜드 제도, 쿠릴 열도등도 바꿔야하게 되죠. (LERK (회화 / 기여) 2005년 11월 5일 (土) 00:33 (UTC) 추가)

센카쿠가 더 많이 쓰이는데요. --Puzzlet Chung 2005년 11월 5일 (土) 00:52 (UTC)

[편집] 제목 변경 제안

다오위타이(중국)와 센카쿠(일본)을 비교할때 조어도가 비록 다오위타이를 한국어로 발음 한것이지만 보다 중립적인 호칭이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피나클 제도와 비교해서는 마치 독도를 라크루앙으로 부르는 것과 같이 언중에 그리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다고 판단 됩니다. 특히 현재 센카쿠에 대한 호명 자체가 POV문제를 일으키는 만큼 조어도로 하고 첫 단원의 명칭에서 명칭 문제를 밝히는 식으로 할것을 제안합니다.--Alfpooh 2007년 4월 19일 (금) 16:08 (KST)
지지합니다.Peace001 2007년 5월 6일 (일) 01:41 (KST)
반대'다오위타이'로 변경하는 것은 중국POV이라 저는 생각합니다. 현재 일본이 실제로 이 제도를 통치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1970년대에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는데 그 전에 영유권을 주장한 적은 없었습니다. 일본이 악(惡)이라는 시각으로 편집하는것에는 강히 반대하겠습니다.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2007년 4월 19일 (금) 17:12 (KST)
위의 Alfpooh님의 의견은, 중국의 표현인 '댜오위타이'는 중국 편향적, 그리고 센카쿠는 일본 편향적으므로, 그나마 제3자의 위치에서 많이 쓰고 있는(것 처럼 생각되는) '조어도'를 쓰면, 비록 이것이 중국쪽 이름의 표기를 한국식으로 읽은 형태지만, 그나마 거리를 중립적 표현에 가까이 둘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의견으로 생각됩니다. 어디에도 '일본이 나쁜 쪽(悪)'이라는 시각은 보이지 않습니다만..
현재 실효 점유를 하고 있는 것이 일본인 것은 사실이므로, 굳이 쓰자면 이쪽 용어를 존중해주는 것도 일리가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어느 용어도 문제가 된다면, 차라리 한계를 긋고 제목은 그대로 놔두는 대신, 내용을 잘 채워 서로의 입장을 알려주는 방향으로 가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 tiens 2007년 4월 19일 (금) 17:27 (KST)
한편으로는, 여기는 우리땅이다 라고 현대적인 시각에서 먼저 이야기하면 결국 자기네 땅이 되는가에 대한 시각과, 필요성이 떨어져 놔두었을 뿐 당연히 자기땅으로 생각하고 있는 시각의 충돌이 아닌가 싶네요. 애초에 생각이 달랐다면, 아무리 서로 우긴들 협정은 되지 않겠죠. -- tiens 2007년 4월 19일 (금) 17:27 (KST)
물론 저도 일본을 이문제에 대해 악(惡) 혹은 불리한 쪽으로 편집하는 것에 반대합니다. 하지만 현재의 문서는 다분히 일본의 편향적인 시각에서 편집된것이 사실입니다. 그런데 LERK님이 반대하시는 것은 '다오위타이'를 반대하신것으로 문맥상 파악이 되는데요. 한국어로서 '조어대' 혹은 '조어도'도 반대하시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센카쿠 제도'도 완전히 납득하기에는 힘들군요. 그이유는 이전의 어원이라든가 현지인 (무인도라서 불가능합니다만)이 부르는 이름 역사적 고증의 변화, 작명의 유래등이 불분명하고 센카쿠라는 이름 자체는 모양을 설명하는 것이군요. 반면 이어도의 경우에는 설화, 노래등의 문화적 기록이 어느정도 연결되어 있습니다.(하지만 이것은 또 다른 논란이겠습니다.) --Alfpooh 2007년 4월 19일 (금) 23:52 (KST)
찬성 대한민국이 통치중인 독도의 경우 일본 국적을 지닌 LERK님에 의해 일본국 현급 관련 문서로 분류되었습니다. 여기서 일본 국적이 문제가 아니라 LERK님의 주장대로 센카쿠 제도 또한 중립적으로 편집되어야 함을 중시해야 합니다. 이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에서는 센카쿠, 다오위타이 이외에도 조어도라는 이름이 있습니다. 설령 이 것이 다오위타이를 한국식으로 읽은 것이라 하더라도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한국을 타국에서 코레아로 읽고 니혼과 쓰시마를 한국에서 일본과 대마도로 읽는 것과 다를바가 전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 뿐만 아니라 어떤 것이 더 많이 쓰이는가의 문제가 아니라 봅니다. 그렇다면 난사군도 또한 Spratly Islands로 바뀌어야 할 것입니다. 이를 종합해 볼때 적절한 중립성을 가진 이름인 조어도를 대대적으로 찬성하는 편입니다.direct-h 2007년 4월 20일 (금) 00:14 (KST)
찬성 저도 찬성합니다. 조어도 라는 명칭이 더 중립적이라고 생각합니다.Peace001 2007년 5월 6일 (일) 01:45 (KST)

의견 반대를 철회합니다. 한국어에서는 '조어도(釣魚島)'가 일반적 또 중립적이라면 그게 좋겠죠.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2007년 4월 20일 (금) 09:17 (KST)

의견 이동을 원상복구할 것을 제안합니다. 영토 분쟁이 있는 지역의 이름을 제3자적 이름이 아닌 실효지배하지 않는 나라의 이름을 쓰는 것은 분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ChongDae 2007년 4월 23일 (월) 02:57 (KST)

ChongDae 님의 의견은 반대이신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2007년 4월 23일에 하신 편집으로 봐서는 반대이신듯 한데 토론에서는 의견밖에 안남기셔서 부탁드립니다.--Alfpooh 2007년 4월 23일 (화) 23:13 (KST)

의견 실효지배 및 실제 점유하고 주권을 행사하고 있는 독도의 경우와는 다른 경우라고 생각 됩니다. 일단 센카쿠 제도댜오위타이는 양쪽 모두 제 삼자적 시각으로 보기에 아직 납득하기 어려운 이름이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조어도 제도가 어원상 댜오위타이에 가깝기는 하나 현재 쓰이고 있는 의미상 이 이름이 양국의 주장에 어느쪽에 특별히 동조하는 입장으로 보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첨각 제도를 고려 해볼수도 있겠으나 센카쿠, 첨각이 어떤 역사적, 문화적 근원이 있다기 보다는 모양새를 보고 영유권 주장시에 붙인 이름이므로 독도,이어도의 경우와는 틀리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일단 한국어에서 일반적으로 쓰고 편향적 느낌이 덜한 용어를 고른후 본문의 소개에서 균형에 맞게 다루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Alfpooh 2007년 4월 23일 (월) 08:21 (KST)

댜오위카이의 음차가 더 중립적이라고 보이지 않습니다. 센카쿠 제도의 경우 일본이 실제 점유하고 있고 주권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남쿠릴 열도의 이름을 현재 실효지배중인 러시아식 이름으로 쓰는 것과 마찬가지 기준입니다. 실제로 쓰이지는 않지만 "피나클 제도"로 옮기는 거라면 모르겠습니다만, 조어도는 중립적 시각에 더 부합하는 문서도 아닙니다. -- ChongDae 2007년 4월 23일 (월) 10:11 (KST)
조어도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지고, 더 검색하기 편한 이름이라고 생각합니다만. Peace001 2007년 5월 6일 (일) 01:47 (KST)

찬성 저는 조어도 제도가 좀 더 중립적인 명칭이라고는 보지 않지만, 조어도 제도가 한국어권에서 좀 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명칭이라는 점에서 이동을 찬성합니다. --마소리스 2007년 6월 25일 (월) 09:37 (KST)

[편집] 결론을 지읍시다.

의견 현재 찬성 1표에 머물러 있고 조어도 제도로의 이동이 된 적도 있었습니다. 이제 이 문제를 조기에 종결처리 합시다. 가령 기간을 산정해 투표를 지속하는 방안이 있을 것입니다. direct-h 2007년 5월 1일 (수) 21:04 (KST)

의견 조어도 이름으로 바꾸는 것을 찬성합니다. Peace001 2007년 5월 5일 (일) 22:57 (KST)

[편집] 일본어 판의 활용 문제

이 문서는 일본어 판 위키백과에서 번역하여 만들어 진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2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1. 한국어로 번역할때 그 어투와 내용에 있어 부적절하거나 어법에 맞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2. 다른 판본(영어판)에서 다룬 내용이 아직 빠져 있어 NPOV의 원칙에 위배되거나 그렇게 오해될 소지가 큽니다.

또한 특히 이러한 영토분쟁건에 있어 일본어 판을 기본으로 하는 것은 별로 바람직 하지 않다는 것이 개인 의견입니다. --Alfpooh 2007년 4월 16일 (월) 13:30 (KST)

중국쪽 사정을 아신다면 그걸 추가해주세요. 알고 싶군요.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2007년 4월 16일 (월) 13:38 (KST)
중국쪽 주장을 실어서 추가했으나, 어떤 일본인 유저에 억지에 의해, 편집한 사용자는 신고당해서 반달로 블록당하고, 편집 금지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덧붙여 사용자:LERK도 이 편집 금지에 한 몫 하신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단 이 페이지의 편집금지 부터 접근 해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Peace001 2007년 5월 6일 (일) 01:50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