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단 구동방식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르단 구동방식(cardan jointed drive)은 전동차 구동방식의 일종이다. 전동기를 용수철 위(통상은 대차)에 고정하여, 여기에 카르단 조인트를 개입하여 차축을 구동하는 방식의 총칭이다.
이탈리아의 수학자 제로니모 카르다노(Geronimo Cardano, 1501-1576)가 고안한 조인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
넓은 의미로는 용수철상(上) 가장(架装)전동기 방식을 가리키며, 카르단식 조인트(WN 드라이브 등)를 이용한 것도 카르단식으로 불린다(엄밀한 의미로는 오류로 여겨진다).
[편집] 장단점
구식인 조괘(釣掛)식 구동방식과 비교하면, 장점·단점은 아래와 같다.
[편집] 장점
- 고속주행에 적합하다. 주행장치의 스프링하 질량이 작기 때문에, 고속주행시라도 선로·차량에의 충격이 작다. 소음이나 승차감도 개선된다.
- 전동기 자체에의 충격도 작기 때문에 굳이 과도하게 튼튼한 대형 모터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소형에 고속회전이 가능한 전동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이 높다.
- 점검이 용이하다. 조괘식 구동방식에 비해 마모부분이 적고, 충격에 의한 소모도 적다. 카르단 구동 전동차의 점검 주기는 주괘식 구동 전동차의 3배나 되는 경우도 있다.
[편집] 단점
- 구조가 약간 복잡하다.
- 대출력 모터에 이용할 때 카르단 조인트의 한계강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공진(共振)에 의한 진동을 피하는 설계가 필요하다.
|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