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사람에 대해서는 집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서울시 가락동의 금호아파트
서울시 가락동의 금호아파트

은 사람이나 동물이 거주하기 위해 지은 건물로, 보통 벽과 지붕을 가지고 있으며, 추위와 더위, 비바람을 막아 준다. 좁은 뜻으로는 인간이 사는 집만을 의미하기도 한다.

목차

[편집] 한국의 집

복원된 암사동 신석기 시대 (약 6천 년 전) 막집
복원된 암사동 신석기 시대 (약 6천 년 전) 막집
한국의 기와집 - 남산 한옥마을
한국의 기와집 - 남산 한옥마을

한국의 집인 '한옥(韓屋)'은 한반도만주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발전 과정을 거쳐 왔다.

  • 후기 구석기시대에는 주로 동굴과 움집을 중심으로 생활하였다.
  • 신석기시대 초기에는 땅을 얕게 파고 서까래와 기둥이 있는 작은 집을 지은 수혈거주를 중심으로 생활하였다. 서까래와 기둥은 나무, 지붕은 풀을 덮었다.
  • 청동기시대에는, 내부에 여러 개의 기둥을 세운 비교적 넓고 높은 집에서 거주하였다.
  • 철기시대에는, 흙을 구운 기와를 지붕에 얹은 기와집이 등장하였다.
  • 서양의 건축기법이 도입된 이후로 한옥과 양옥이 공존하고 있으며, 도시 주변에는 아파트가, 농촌은 한옥이 대부분이다.

[편집] 일반적인 집의 구조

  • 일반적인 한옥에는, 대문, 마당, 부엌, 사랑방, 안방, 마루, 외양간, 화장실, 장독대 등이 갖추어져 있다.
  • 일반적인 집은, 주춧돌, 기둥, 서까래, 벽, , 처마, 지붕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편집] 집과 관련된 신앙

  • 성조신, 삼신할미, 조왕신, 측신, 마굿간신 등, 집안 곳곳에 해당 건물과 관련된 귀신이 있다고 믿어졌다.

[편집] 특성에 따른 분류

[편집] 재료별

  • 막집
  • 움집
  • 초가집
  • 기와집
  • 너와집
  • 귀틀집

[편집] 형태별

  • 날개집
  • '정'자집
  • 'ㄷ'자집

[편집] 지붕

  • 팔작집
  • 맛뱃집
  • 우진각
  • 사각지붕
  • 다각집
  • 육모정

[편집] 대표적인 한옥마을

  • 서울 남산골 한옥마을
  • 서울 북촌 한옥마을
  • 전라북도 전주 한옥마을
  • 전라남도 순천 낙안읍성
  • 경상북도 안동 하회마을 (세계유산)
  • 경상남도 월성 양동마을 (세계유산)

[편집] 참고문헌 및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