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해선(鎭海線)은 경상남도 창원시의 창원역과 진해시 통해역을 연결하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경전선의 지선이다.
목차 |
[편집]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21.2km
- 운영 기관: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
- 역 수: 7
- 복선 구간: 없음
- 전철화 구간: 4.8km (창원~신창원 간, 이하 설명 참조)
- 보안 장치: ATS
[편집] 역 목록
현재의 진해선 역 목록 및 영업거리(1981년 10월 5일 이후)는 다음과 같다.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거리 (km) |
영업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 창원 | Changwon | 昌原 | 0.0 | 0.0 | 경전선 | 경상남도 | 창원시 | |
| 신창원 | Sinchangwon | 新昌原 | 4.8 | 4.8 | 구 용원역 | |||
| 남창원 | Namchangwon | 南昌原 | 4.4 | 9.2 | 구 상남역 이설·개칭 | |||
| 성주사 | Seongjusa | 聖住寺 | 3.6 | 12.8 | ||||
| 경화 | Gyeonghwa | 慶和 | 4.1 | 16.9 | 진해시 | |||
| 진해 | Jinhae | 鎭海 | 2.6 | 19.5 | ||||
| 통해 | Tonghae | 統海 | 1.7 | 21.2 | 일반인 이용 불가 | |||
1978년 10월 5일 이전의 역 목록 및 영업 거리는 다음과 같다. 역 명의 영문 표기는 당시 사용하였던 역사적 표기를 따른 것이며, 역의 한자표기는 해당 지역의 한자표기를 참조하여 기재한 것이다.
| 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거리 (km) |
영업거리 (km) |
|---|---|---|---|---|
| 용원 | Yongweon | 龍院 | 4.7 | 4.7 |
| 상남 | Sangnam | 上南 | 4.4 | 9.1 |
| 성주사 | Seongjusa | 聖住寺 | 4.4 | 13.5 |
| 경화 | Gyeonghwa | 慶和 | 4.4 | 17.9 |
[편집] 노선 특성
이 노선의 열차 운행은 정기 운행하는 통근열차와, 관광 목적 등의 임시열차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2006년 11월 1일을 기하여 통근열차가 폐지되었으며, 현재 KTX와의 연계운행을 위한 대구 착발 새마을호 외에 정기 운행하는 열차는 없다. 관광열차는 봄철에 집중된다. 현재 진해역, 신창원역을 제외한 전 역이 여객영업을 하지 않는다.
이 노선의 연선에는 로템의 철도차량 공장 등 각종 산업 및 특수 시설이 존재하고 있다. 진해선은 이들 시설에 대한 화물 수송에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진해선 창원~신창원 간에는 전차선이 가설되어 있으나, 이것은 로템 사에서 제작한 전기철도차량의 시험 및 회송 등의 용도로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국철도공사 측의 본선 열차들은 이용하지 않는 시설이다. 자료로 미루어, 시설의 관할 역시 한국철도공사가 담당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과거 통근열차 운행이 이루어지던 당시 진해선 통해역은 영업거리표 상에 등재되어 있고, 여객 취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이용할 수 없는 역이다. 이러한 통근열차가 운행하였으나 일반 이용이 통제된 역으로 괴동선의 제철역이 있었으나, 제철역은 통해역과 달리 영업거리표에 등재되어 있지 않다. 2006년도에 이르러 현재 이런 특이한 영업양태는 전부 폐지되었다.
2005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진해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 선구 | 선로용량 | 일반여객 | 전동차 | 화물열차 | 운행총계 |
|---|---|---|---|---|---|
| 창원~진해 | 16 | 2 | - | 2 | 4 |
[편집] 차량
- 동차
이 외에 임시열차로 운행하는 무궁화호 등이 존재한다.
과거의 운행하던 차량으로는 다음과 같다.
- 동차
[편집] 역사
[편집] 개요
진해선의 건설은 일제강점기 당시, 진해의 지리적 조건에 착안하여 설치된 일본제국해군의 해군 기지를 유지하고, 민간용 진해항의 인입철도로서 계획되어 건설된 것으로 보인다. 만철위탁경영기에 진해선의 착공이 이루어졌으나, 이후 위탁이 해제되어 직영체제가 된 1926년에 완공되었다. 건설에 관한 상세한 내막은 확인되고 있지 않다.
이후 1978년에 창원시 지역의 기계공단 건설을 위해서 노선의 이설이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창원 구간의 역들이 이설되었다. 이 이후에 역 건물의 개축 및 철거가 이루어졌으나, 시설물의 큰 변화 없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편집] 연혁
- 1921년 10월 10일 - 진해선 창원~진해간 착공.
- 1926년 11월 11일 - 창원~진해간 22.7km 완공. 경화역, 진해역, 통제부역 개역.
- 1978년 5월 19일 - 도시계획에 따른 용원~경화간 9.8km 선로이설공사 착공.
- 1961년 4월 1일 - 용원역 개역.
- 1967년 11월 11일 - 성주사역 개역.
- 1981년 1월 15일 - 용원역, 신창원역으로 개명.
- 1981년 5월 25일 - 용원~경화간 이설구간 11.0km 완공.
- 1981년 10월 10일 - 남창원역 개역.
- 1986년 4월 21일 - 통제부역, 통해역으로 개명.
- 2006년 6월 1일 - 동대구~진해간 새마을호 운행 개시.
- 2006년 11월 1일 - 진해선 통근열차 폐지.
[편집] 미래
진해선에 대한 개량 계획은 현재 전무한 상황이다.
[편집] 관련 항목
| 간선 | 경부고속선·경부선·경의선·서울교외선·호남선·경원선·충북선·경전선·장항선·전라선·경춘선·동해선(동해남부선·동해북부선)·중앙선·영동선·경북선·태백선 |
|---|---|
| 지선 | 오송선·대전선·대구선·가야선·강경선·군산선·진해선·광주선·괴동선·망우선·삼척선·묵호항선·함백선·정선선 |
| 수도권 전철 | 경인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광명 셔틀 |
| 영업중지 | 수인선·용산선·옥구선 |
| 화물선 | 남부화물기지선·양산화물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북전주선·여천선·우암선·부전선·온산선·장생포선·울산항선·남포선·북평선·문경선·화순선·진삼선·서천화력선 |
| 폐선 | 수려선·당인리선·주인선·가은선·김포선·안성선·신촌연결선·오정선·금강산선 |
| 계획중 | 호남고속선·강원선·중부내륙선·중부선·서해선·완도항선·서해산업선·용문-홍천선·평택-원주선·원주-강릉선·동서선·춘천-원주선·의정부-철원선·군산-목포선 |
분류: 진해선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