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교(主敎, episcopus)는 로마 가톨릭이나 동방정교회 또는 성공회의 성직의 하나로, 담당 지역 교구를 사목 책임을 맡고 감독하는 역할을 한다.
목차 |
[편집] 역사
사도 바울로의 서신에서 그리스어인 ‘프레스비테로스(πρεσβ τερο)’와 ‘에프스토포스(επισκοπο)’란 단어가 나오는데 한글성서에는에서는 ‘원로’,‘감독자’,'감독'으로 번역하고 있다. επισχοπο(라틴어로 episcopus)는 ‘감독하는 자’, ‘관리자’, ‘지도자’ 등을 의미하며 그러한 직책을 가진 세속의 공직자를 지칭하는 용어였는데 초대 교회에서는 ‘사도의 후계자’를 뜻하는 용어로 채용되었고, 마침내 교회의 공식 용어로 쓰이게 되었다. 이를 한국교회에서는 ‘주교(主敎)’라고 번역한다.
이로 보아, 주교직은 이미 1세기 초기 기독교에서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
[편집] 주교의 호칭들
주교를 가리키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 윗자리에서 지도하는 자(antistites, praesules, principes, praepositi)
- 사제들 중의 최상급자(sacerdotes primi ordinis, summi sacerdotes, sacerdos Magnus)
- 다리를 놓는 자(pontifices)
- 목자(pastores)
- 가르치는 자(doctores)
[편집] 지위
- 교구를 감독하는 수석사제
[편집] 권한
- 신부나 부제에게 서품을 줄 수 있는 권한 즉, 성직을 부여할 수 있는 권한.
- 성체성사, 혼배성사, 견진성사를 집전할 수 있는 권한. 이중 성체성사와 혼배성사는 사제도 집전할 수 있다.
- 설교로 하느님의 말씀을 전할 수 있는 권한. 즉 복음을 선포할 수 있다.
[편집] 어떻게 해서 주교가 될까?
- 가톨릭에서는 주교는 교황에 의해 임명된다.
- 곧 그 지역 교회의 여러 교구장이 모여 교황을 대리하여 성품식을 주관하며 축복한다.
- 성공회에서는 의회민주주의에 따라 교구의회에서 주교를 임명한다. 임명된 주교는 주교 서품 및 승좌식을 통해, 교회로부터 주교로 인정받는다.
[편집] 대한민국의 성공회 주교
- 1대주교:고요한(존 코프) 주교(1890년 9월 29일 입국)
- 2대주교:단아덕 주교(1905년 1월 25일 서품)
- 3대주교:조마가 주교(1911년 7월 25일 서품)
- 4대주교:구세실 주교(1931년 6월 11일)
- 5대주교:김요한 주교(1955년 12월 23일)
- 노대영주교:2대 대전교구장(1968년 교구장 승임)
- 배두환 주교:3대 대전교구장(1974년 서품)
- 최철희 주교:첫 부산교구장(1974년 서품)
- 김성수 주교:제 2대 서울교구장,현재 성공회대학교 총장(1984년 서품)
- 윤환 주교:제4대 대전교구장,제5대 관구장(1987년 서품)
- 김재헌 주교:제 2대관구장,제 2대부산교구장(1988년 서품)
- 김성수 주교:대한 성공회 첫 관구장
- 정철범 주교:3대서울교구장,3,4대 관구장,신명은 마태.대주교(Arch-Bishop)역임
- 이대용 주교:3대부산교구장,7대관구장(1999년 서품)
- 박경조 주교:4대서울교구장,9대관구장(2005년 서품),신명은 프란시스
- 신현삼 주교:8대 관구장,5대 대전교구장
- 윤종모 주교:4대부산교구장
[편집] 대한민국의 가톨릭 주교
1. 최재선 (세례자 요한) 주교: 전 부산교구 초대 교구장, 은퇴 주교
2. 나길모 (굴리엘모) 주교 (William. J. Mcnahton): 미국인, 전 인천교구 초대 교구장, 은퇴 주교
3. 두봉 주교 (Rene Dupont): 프랑스인, 전 안동교구 초대 교구장, 은퇴 주교
4. 경갑룡 (요셉) 주교: 전 서울대교구 보좌주교, 전 대전교구 3대 교구장, 은퇴 주교
5. 박정일 (미카엘) 주교: 전 제주교구 2대 교구장, 전 전주교구 6대 교구장, 전 마산교구 3대 교구장, 은퇴 주교
6. 김창렬 (바오로) 주교: 전 제주교구 3대 교구장, 은퇴 주교
7. 김옥균 (바오로) 주교: 전 서울대교구 보좌주교, 은퇴 주교
8. 강우일 (베드로) 주교: 전 서울대교구 보좌주교, 전 가톨릭대학교 총장, 현 제주교구 4대 교구장
9. 이병호 (빈첸시오) 주교: 현 전주교구 제 7대 교구장
10. 김지석 (야고보) 주교: 현 원주교구 제 2대 교구장
11. 장익 (십자가의 요한) 주교: 현 춘천교구 제 6대 교구장
12. 최덕기(바오로) 주교: 현 수원교구 3대 교구장
13. 장봉훈(가브리엘) 주교: 현 청주교구 3대 교구장
14. 이기헌(베드로) 주교: 현 군종교구 2대 교구장
15. 최기산(보니파시오) 주교: 현 인천교구 2대 교구장
16. 안명옥(F.하비에르) 주교: 현 마산교구 4대 교구장
17. 권혁주(요한 크리소스토모) 주교: 현 안동교구 3대 교구장
18. 이한택(요셉) 주교: 현 의정부교구 초대 교구장
19. 염수정(안드레아) 주교: 현 서울대교구 보좌주교
20. 김운회(루가) 주교: 현 서울대교구 보좌주교
21. 이용훈(마티아) 주교: 현 수원교구 보좌주교
22. 김희중(히지노) 주교: 현 광주대교구 보좌주교
23. 유흥식(라자로) 주교: 현 대전교구 4대 교구장
24. 조규만(바실리오) 주교: 현 서울대교구 보좌주교
25. 황철수(바오로) 주교: 현 부산교구 교구장권한대행 겸 부산교구 보좌주교
26. 조환길(타데오) 주교: 현 대구대교구 보좌주교
총 26명의 주교가 대한민국에 있다. (추기경과 대주교는 각기의 백과에 수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