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홍진(洪震/洪鎭, 1877년 음력 8월 27일- 1946년)은 서울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령을 지냈다.

[편집] 생애

  • 1988년 음력 8월 27일 서울 서소문에서 아버지 한재식과 어머니 한수동의 차남으로 태어남. 본명은 면희(冕熹), 아명은 봉근(鳳根) 또는 우봉(又鳳).
  • 1896년 의령 남씨 남숙희의 차녀 남상복(南相福)과 혼인.
  • 1903년 2월 법관양성소 입학.
  • 1904년 7월 21일 법관양성소 졸업.
  • 7월 26일 법관양성소 박사에 임명되었으나, 이틀 뒤 의원면직.
  • 1906년 2월 한성평리원 주사.
  • 1908년 5월 14일 의병 사건의 논고를 거부하고 검사직을 의원면직.
  • 3월 17일 한성오의 집에서 한성정부를 조직.
  • 4월 15일 이규갑과 함께 한성정부의 각원 명단과 문건을 가지고 상하이로 망명. 압록강을 건너며 이름을 홍진(洪鎭)으로 바꿈.
  • 9월 11일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조직됨. 취임을 미루던 국무총리 이동휘를 찾아가 취임을 종용.
  • 11월 임시정부 국내조사위원 및 임시의정원 충청도 선거위원장에 임명.
  • 3월 30일 임시의정원 정무조사특별위원회 위원.
  • 4월 20일 상해대한교민단장에 선임.
  • 5월 6일 임시의정원 제3대 의장에 선출.
  • 5월 20일 교민단장 면직.
  • 8월 13일 상해교민단 사무소에서 대태평양회의외교후원회를 발족하고 임시회장으로 선출.
  • 8월 26일 대태평양회의외교후원회 공식출범에 따라 대표인 간사장을 맡음.
  • 1922년 4월 3일 태평양회의에 대한 책임으로 국무원이 총사직, 임시의정원 의장직에서 면직.
  • 1924년 5월 임시의정원 내에서 개헌 문제로 분란이 일자 사임후 장쑤 성 전장에서 은거.
  • 1926년 7월 7일 임시의정원에서 국무령으로 선출. 이름을 홍진(洪震)으로 바꿈.
  • 7월 8일 국무령에 취임.
  • 8월 30일 정부를 구성하고, 홍진 정부가 공식 출범.
  • 12월 9일 유일당운동에 주력하기 위하여 국무령을 사직.
  • 10월 16일 임시의정원 의장으로 선출(두번째).
  • 10월 23일 임시정부 국무위원으로 선임.
  • 10월 25일 임시정부 내무장으로 선임.
  • 11월 5일 임시의정원 의장과 국무위원 불겸직안에 따라 의장직 사임.
  • 1942년 10월 26일 임시의정원 의장으로 선출(세번째).
  • 1943년 10월 9일 제35차 임시의정원 회의 개최, 국무위원 숫자와 선출 방법을 둘러싸고 여야가 대립.
  • 1944년 1월 3일 국무위원 선출방식을 위한 투표에서 여야 동수가 되자, 의장으로 야당 측이 주장한 무기명 투표안에 찬성. 이 일을 계기로 부의장 최동오와 함께 한국독립당을 탈당.
  • 1945년 2월 9일 신한민주당을 창당, 유동렬·김붕준과 함께 주석단에 선출.
  • 7월 심장천식으로 입원, 입원 중 남상철의 권고로 영세를 받음(세례명 안드레아).
  • 9월 9일 향년 70세로 사거.
  • 9월 13일 명동성당에서 장례위원장 김구 집례로 장례미사, 인천시 관교동에 안장.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 자료

  • 晩悟洪震全集, 만오홍진전집간행위원회, 대한민국 국회도서관, 1996.
1995년········1996년 선정, 이 달의 독립 운동가 ········1997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송종익 신채호 신석구 서재필 신익희 유일한 김하락 박상진 홍진 정인승 전명운 정이형
다른 언어